KR101717964B1 - 작업 차량 및 회전등 - Google Patents

작업 차량 및 회전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7964B1
KR101717964B1 KR1020157002192A KR20157002192A KR101717964B1 KR 101717964 B1 KR101717964 B1 KR 101717964B1 KR 1020157002192 A KR1020157002192 A KR 1020157002192A KR 20157002192 A KR20157002192 A KR 20157002192A KR 101717964 B1 KR101717964 B1 KR 101717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shaped portion
light
disposed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2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8702A (ko
Inventor
히로시 아베
마코토 사사키
유키노리 마에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60048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8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7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7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2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for lighting other areas than only the way a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11Indicating devices mounted on the roof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1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the vehicle body, e.g. with mag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62D33/0617Drivers' cabs for tractors or off-the-road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02F9/163Structures to protect drivers, e.g. cabins, doors for cabins; Falling object protection structure [FOPS]; Roll over protection structure [ROP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800/00Features related to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Q2800/20Utility vehicles, e.g. for agriculture, construction work

Abstract

본 발명의 유압 셔블(100)은, 작업기(4)를 구비한 작업 차량으로서, 캡(5)과 회전등(10)을 구비하고 있다. 회전등(10)은, 캡(5)의 천정판(5b) 상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회전등(10)은, 회전등 본체(20)와, 장착부(30)와, 파지부(40)를 가지고 있다. 장착부(30)는, 회전등 본체(20)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회전등 본체(20)를 천정판(5b)에 장착한다. 파지부(40)는, 문형으로서 장착부(30)에 고정되어 있고, 제1 봉형부(41)와, 제2 봉형부(42)와, 제3 봉형부(43)를 가지고 있다. 제1 봉형부(41) 및 제2 봉형부(42)는, 장착부(30)로부터 위쪽을 향해 형성되어 있다. 제3 봉형부(43)는, 제1 봉형부(41)와 제2 봉형부(42) 사이를 접속한다. 제3 봉형부(43)는, 그 길이 방향으로 수직인 측방에서 볼 때 회전등 본체(20)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작업 차량 및 회전등{WORK VEHICLE AND ROTATING LIGHT}
본 발명은, 작업 차량 및 회전등에 관한 것이다
작업 차량의 일례인 유압 셔블(hydraulic shovel)에는, 굴곡 지브식(bendable-jib type)의 이동식 크레인의 기능을 가지는 것이 있다. 이와 같은 유압 셔블로 크레인 작업을 행할 때는, 회전등을 설치하고, 점등하는 것이 의무화되고 있다. 회전등은,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의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cab)의 천정판 상에 배치된다.
일본 공개특허 제2005―68830호 공보
그러나, 상기 종래의 작업 차량에서는,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유압 셔블의 캡의 높이에 따라서는, 캡의 천정판 상에 회전등을 설치하면 수송 규제의 높이를 초과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수송시에는 회전등을 천정판으로부터 분리해 내고(detach), 작업 시에는 다시 장착할 필요가 있으므로, 회전등을 착탈할 때의 취급성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착탈(着脫) 시에 취급하기 쉬운 회전등 및 회전등을 구비한 작업 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1 발명에 관한 작업 차량은, 작업기를 구비한 작업 차량으로서, 캡과 회전등을 구비하고 있다. 캡은, 상부에 설치된 천정판과, 좌우에 설치된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을 가진다. 회전등은, 캡의 천정판 상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회전등은, 회전등 본체와, 장착부와, 파지부(把持部)를 가지고 있다. 장착부는, 회전등 본체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회전등 본체를 천정판에 장착한다. 파지부는, 문형(門型; portal-shape)으로서 장착부에 고정되어 있다. 파지부는, 제1 봉형부(棒形部)와, 제2 봉형부와, 제3 봉형부를 가지고 있다. 제1 봉형부 및 제2 봉형부는, 장착부로부터 위쪽을 향해 형성되어 있다. 제1 봉형부는, 제2 봉형부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2 봉형부는, 회전등 본체보다 뒤쪽에 배치되고, 또한 제1 봉형부보다 제1 측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3 봉형부는, 그 길이 방향으로 수직인 측방에서 볼 때 회전등 본체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캡의 천정판 상에 회전등을 장착할 때는, 천정판의 위치가 높으므로, 작업자는 한 손으로 캡을 지지하고, 다른 한쪽의 손만을 사용하여 회전등을 장착하는 경우가 많다. 이 때, 작업자는, 위쪽을 향해 형성된 제1 봉형부 또는 제2 봉형부를 파지(把持)함으로써, 회전등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힘을 가하기 쉽다. 그러므로, 한 손으로 회전등을 캡의 천정판 상에 장착하는 경우라도, 회전등이 상하 방향으로 진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쉽고, 착탈하기 용이하다.
또한, 파지부의 제3 봉형부가, 회전등 본체보다 위쪽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3 봉형부에 의해 회전등의 광이 차단되는 것이 저감되어 있다.
또한, 파지부가 문형이므로, 회전등을 캡으로부터 분리해 냈을 때, 제3 봉형부를 파지할 수 있으므로, 운반을 행하기 용이하다.
또한, 파지부가 문형이므로, 파지부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제2 봉형부가 회전등 본체보다 뒤쪽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후방으로부터 회전등 본체에 장애물이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발명에 관한 작업 차량은, 제1 발명에 관한 작업 차량으로서, 제3 봉형부의 일부는, 평면에서 볼 때 회전등 본체와 중첩되어(superposed) 있다.
이와 같이, 회전등 본체를 걸치도록(straddle) 파지부를 형성함으로써, 제1 봉형부 또는 제2 봉형부를 회전등의 중심(重心; center of gravity )에 의해 가까운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작업자는 회전등이 상하 방향으로 진동되는 것을 더욱 방지하기 용이하다.
제3 발명에 관한 작업 차량은, 제2 발명에 관한 작업 차량으로서, 회전등 본체는, 베이스 부재와, 광원과, 커버 부재를 가지고 있다. 베이스 부재는, 장착부에 고정되어 있다. 광원은, 베이스 부재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커버 부재는, 광원을 위쪽으로부터 덮어, 착탈 가능하게 베이스 부재에 장착되어 있다. 제3 봉형부와 커버 부재의 사이에는, 커버 부재를 베이스 부재로부터 분리해 낼 때 커버 부재가 통과하는 소정 간격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3 봉형부와 커버 부재의 사이에 소정 간격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파지부가 회전등 본체를 에워싸도록 설치되어 있어도, 커버 부재를 베이스 부재에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으므로, 광원의 교환을 행하기 용이하다.
제4 발명에 관한 작업 차량은, 제1 발명에 관한 작업 차량으로서, 작업기는, 캡의 제1 측면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다. 회전등은, 천정판의 제2 측면측의 끝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봉형부는, 회전등 본체보다 제2 측면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2 측면측에서 볼 때, 제1 봉형부의 일부는 상기 회전등 본체와 중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작업기와는 반대측 캡의 제2 측면의 위쪽에 회전등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작업자는, 작업 차량의 내측에 들어가지 않아도 작업 차량의 외측으로부터 회전등을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제1 봉형부의 일부가 회전등 본체와 중첩되어 있으므로, 제1 봉형부가 회전등 본체의 보다 가까이에 배치할 수 있다. 즉, 제1 봉형부를 회전등의 중심에 의해 가까운 위치에 배치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는 회전등의 상하 방향으로의 진동를 더욱 방지하기 용이하여, 회전등을 장착하기 쉽다.
또한, 제1 봉형부의 일부가 회전등 본체보다 제2 측면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제2 측면측으로부터 회전등 본체에 장애물이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5 발명에 관한 작업 차량은, 제1 발명에 관한 작업 차량으로서, 천정판에 고정되고, 장착부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기대부(基臺部; base component)를 더 구비하고 있다. 기대부는, 걸어맞춤부와, 안내부를 가지고 있다. 걸어맞춤부는, 장착부에 걸어맞춤 가능하다. 안내부는, 장착부를 걸어맞춤부에 의해 걸어맞춤 가능한 위치로 안내하고, 규제부를 가지고 있다. 규제부는, 안내된 후에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추어진 상태에서 장착부의 이동을 규제한다. 장착부는, 피걸어맞춤부와 피규제부를 가지고 있다. 피걸어맞춤부는,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추어진다. 피규제부는, 회전등 본체를 협지(sandwich)하여 피걸어맞춤부의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다. 걸어맞춤부가 피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추어진 상태에서는, 피걸어맞춤부가 아래쪽으로 가압되는 것에 의해 피규제부가 위쪽으로 가압되어 규제부와 맞닿고 장착부가 기대부에 고정되어 있다.
이로써, 안내부를 따라 장착부를 기대부에 배치하고, 기대부와 장착부를 걸어맞추어지는 것만으로, 장착부를 기대부에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용이하게 회전등을 천정판에 장착 가능하다. 또한,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회전등을 천정판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제6 발명에 관한 작업 차량은, 제5 발명에 관한 작업 차량으로서, 작업기는, 캡의 제1 측면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다. 회전등은, 천정판의 제2 측면측의 끝에 배치되어 있다. 걸어맞춤부 및 피걸어맞춤부는, 회전등 본체의 제2 측면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걸어맞춤부가 작업기와는 반대측 캡의 제2 측면의 위쪽에 회전등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작업자는, 작업 차량의 내측에 들어가지 않아도 작업 차량의 외측으로부터 걸어맞춤부를 걸어맞춤, 비걸어맞춤 상태로 할 수 있으므로, 회전등의 착탈을 행하기 용이하다.
제7 발명에 관한 작업 차량은, 제6 발명에 관한 작업 차량으로서, 장착부는, 그 하면에, 자력(磁力)에 의해 기대부와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가지고 있다. 제3 봉형부의 일부는, 위쪽에서 볼 때 회전등 본체와 중첩되어 있다. 작업기와는 반대측의 측방에서 볼 때, 제1 봉형부의 일부는 회전등 본체와 중첩되어 있다. 작업기와는 반대측의 측방에서 볼 때, 걸어맞춤부 및 피걸어맞춤부는, 전후 방향에서의 회전등 본체의 대략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봉형부는, 회전등 본체보다 외측 또한 걸어맞춤부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2 봉형부는, 회전등 본체보다 뒤쪽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장착부가 자력에 의해 기대부에 고정되는 고정 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으므로, 걸어맞춤부를 비걸어맞춤 상태로 했을 때 회전등이 뜻하지 않게 천정판으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8 발명에 관한 회전등은, 작업 차량의 캡의 상부에 설치된 천정판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등으로서, 회전등 본체와, 장착부와, 파지부를 가지고 있다. 장착부는, 회전등 본체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회전등 본체를 천정판에 장착한다. 파지부는, 문형으로서, 장착부에 고정되어 있다. 파지부는, 제1 봉형부와, 제2 봉형부와, 제3 봉형부를 가지고 있다. 제1 봉형부 및 제2 봉형부는, 장착부로부터 위쪽을 향해 형성되어 있다. 제3 봉형부는, 제1 봉형부와 제2 봉형부와의 사이를 접속한다. 제3 봉형부의 일부는, 평면에서 볼 때 회전등 본체와 중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회전등 본체를 걸치도록 파지부를 형성함으로써, 제1 봉형부 또는 제2 봉형부를 회전등의 중심에 의해 가까운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작업자는 회전등이 상하 방향으로 진동되는 것을 더욱 방지하기 용이하고, 회전등을 천정판에 착탈하기 용이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착탈 시에 취급하기 쉬운 회전등 및 회전등을 구비한 작업 차량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유압 셔블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유압 셔블의 회전등 근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회전등 및 기대부를 좌측 후방측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회전등을 기대부로부터 분리해 낸 상태를 좌측 하방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 상태를 우측 상방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회전등 및 기대부를 좌측 하방측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의 (a)는 도 2의 회전등 및 기대부를 위쪽으로부터 본 평면도, (b)는 도 7의 (a)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2의 회전등 및 기대부를 좌측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2의 회전등을 좌측 경사 전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0은 도 2의 회전등을 캡의 천정판 상에 장착하고 있는 작업자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2의 회전등을 캡의 천정판 상에 장착하고 있는 상태를 후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2는 도 2의 회전등의 피규제부를 안내부의 간극에 꽂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斷面圖)이다.
도 13은 도 2의 회전등을 기대부에 장착한 상태를 우측 전방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4의 (a)는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의 변형예에서의 회전등 및 기대부를 나타낸 평면도, (b)는 도 14의 (a)의 부분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작업 차량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한다.
<1. 구성>
(1―1. 유압 셔블의 전체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유압 셔블(100)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유압 셔블(100)은, 차량 본체(1)와, 작업기(4), 회전등(10)을 구비하고 있다.
차량 본체(1)는, 주행체(2)와, 선회체(旋回體)(3)를 가지고 있다. 주행체(2)는, 한 쌍의 주행 장치(2a, 2b)를 가진다. 각각의 주행 장치(2a, 2b)는, 크롤러 트랙(crawler track)(2d, 2e)을 가지고 있고, 엔진으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해 크롤러 트랙(2d, 2e)이 구동되는 것에 의해, 유압 셔블(100)을 주행시킨다.
선회체(3)는, 주행체(2) 상에 탑재되어 있다. 선회체(3)는, 주행체(2)에 대하여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선회체(3)의 앞부분 좌측 위치에는 운전실로서의 캡(5)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전체 구성의 설명에 있어서, 전후 방향이란, 캡(5)의 전후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차량 본체(1)의 전후 방향은, 캡(5), 즉 선회체(3)의 전후 방향과 일치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좌우 방향, 또는 측방이란, 차량 본체(1)의 차폭 방향을 의미한다. 도 1에는, 전방향이 화살표 F, 후방향이 화살표 B, 좌측 방향이 화살표 L, 우측 방향이 화살표 R로 나타나 있다. 이하의 도면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선회체(3)는, 연료 탱크, 엔진 등을 가지고 있고, 그 후방에는, 카운터웨이트(counterweight)(6)가 설치되어 있다.
작업기(4)는, 붐(boom)(7), 암(arm)(8), 굴삭 버킷(excavator bucket)(9)을 가지고, 선회체(3)의 앞부분 중앙 위치에 장착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작업기(4)는, 캡(5)의 우측면(5a)의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붐(7)의 기단부(基端部)는, 선회체(3)에 회동(回動)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붐(7)의 선단부는 암(8)의 기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암(8)의 선단부는, 굴삭 버킷(9)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붐(7), 암(8) 및 굴삭 버킷(9)의 각각에 대응하도록 유압 실린더(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유압 실린더가 구동되는 것에 의해 작업기(4)가 구동된다. 이로써, 굴삭 등의 작업이 행해진다.
캡(5)의 천정판(5b)에는, 좌측면(5c)측의 끝의 후방에 회전등(10)이 설치되어 있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회전등(10) 근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천정판(5b)의 상면에는, 기대부(50)가 고정되어 있고, 기대부(50)에 회전등(10)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즉, 회전등(10)은, 기대부(50)를 통하여 천정판(5b)에 장착되어 있다.
(1―2. 회전등의 개요)
회전등(10)은, 광을 발하는 회전등 본체(20)와, 회전등 본체(20)를 기대부(50)에 장착하는 장착부(30)와, 장착부(30)를 기대부(50)에 장착할 때 작업자가 파지하는 파지부(40)를 가지고 있다.
(1―3. 회전등 본체)
도 3은, 좌측면(5c)의 후방측로부터 본 회전등(10) 및 기대부(5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등 본체(20)는, 외경(外徑)이 대략 원기둥 형상이며, 베이스 부재(21)와, 밸브(22)와, 커버 부재(23)를 가지고 있다. 베이스 부재(21)는, 위쪽이 개구된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이며, 장착부(30)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다. 밸브(22)는, 광원이며, 베이스 부재(21)의 중앙 근방에 배치되고, 수명이 다하면 교환된다. 커버 부재(23)는, 밸브(22)를 위쪽으로부터 덮도록, 베이스 부재(21)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지만, 밸브(22)의 주위에는, 반사판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3에는, 회전등 본체(20)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차량 본체(1)로부터 연결된(wiring routed) 배선과 접속되는 커넥터(24)가 도시되어 있다.
(1―4. 장착부)
도 4는, 회전등(10)을 기대부(50)로부터 분리해 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좌측면(5c)의 아래쪽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장착부(3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부(31)와, 피걸어맞춤부(32)와, 피규제부(33)와, 제1 위치 결정 돌기(34)와, 제2 위치 결정 돌기(35)와, 제1 맞닿음부(36)와, 제2 맞닿음부(37)와, 제1 마그넷(38)과, 제2 마그넷(39)을 가지고 있다.
지지부(31)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차(段差)가 형성된 판형의 부재이며, 베이스 부재(21)가 위쪽에 배치되는 제1 판형부(31a)와, 제1 판형부(31a)의 앞쪽에 설치된 제2 판형부(31b)와, 제1 판형부(31a)의 뒤쪽에 설치된 제3 판형부(31c)를 가지고 있다.
제1 판형부(31a)의 상면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등 본체(20)의 베이스 부재(21)가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베이스 부재(21)는, 복수의 시트(seat)(311a)(도 3 참조)를 통하여 배치되어 있다. 베이스 부재(21)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판형부(31a)의 하면으로부터 볼트(60)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제2 판형부(31b)의 하면에, 제1 맞닿음부(36)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맞닿음부(36)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형의 부재가 굽혀져 형성되어 있고, 기대부(50)와 맞닿는 접촉 평면(36a)을 가지고 있다. 제1 위치 결정 돌기(34)는, 접촉 평면(36a)의 뒤쪽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위치 결정 돌기(34)는, 좌우 방향으로 신장되고, 또한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함에 따라 아래쪽으로 신장되는 길이가 짧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맞닿음부(36)의 우측에는, 제1 마그넷(38)이 배치되어 있다.
제3 판형부(31c)의 하면에, 제2 맞닿음부(37)가 설치되어 있다. 제2 맞닿음부(37)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형의 부재가 굽혀져 형성되어 있고, 제2 맞닿음부(37)는, 기대부(50)와 맞닿는 접촉 평면(37a)을 가지고 있다. 제2 위치 결정 돌기(35)는, 접촉 평면(37a)의 뒤쪽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제2 위치 결정 돌기(35)는, 좌우 방향으로 신장되고, 또한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함에 따라 아래쪽으로 신장되는 길이가 짧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맞닿음부(37)의 우측에는, 제2 마그넷(39)이 배치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걸어맞춤부(32)는, 제1 판형부(31a)의 좌측면(5c)측에 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피걸어맞춤부(32)는, 제1 판형부(31a)의 좌측단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형성된 에지부(311)로부터 좌측면(5c)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상태를 우측면(5a)측의 위쪽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피규제부(33)는, 제1 판형부(31a)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 판형부(31a)의 하면에는 시트(311b)가 형성되어 있고, 피규제부(33)는, 시트(311b)의 아래쪽으로부터 우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피규제부(33)는 판형의 부재이며, 시트(311b)의 높이만큼, 제1 판형부(31a)와 간극을 두고, 제1 판형부(31a)와 대략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1―5. 기대부)
기대부(5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대 본체(base main body)(51)와, 자물쇠 본체(clasp main body )(52)와, 안내부(53)를 구비하고 있다.
기대 본체(51)는, 대략 판형의 부재로서, 금속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기대 본체(51)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관통공(51h)이 형성되어 있고, 관통공(51h)에 볼트 등을 통해 너트로 체결함으로써 기대부(50)는 캡(5)의 천정판(5b)에 고정된다.
도 6은, 좌측면(5c)의 전방 아래쪽로부터 본 회전등(10) 및 기대부(5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기대 본체(51)에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 제1 관통홈(51a)과 제2 관통홈(51b)이 형성되어 있다. 장착부(30)를 기대부(50)에 장착한 상태에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관통홈(51a)에 전술한 제1 위치 결정 돌기(34)가 끼워지고, 제2 관통홈(51b)에 전술한 제2 위치 결정 돌기(35)가 끼워진다.
또한, 기대 본체(51)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좌측면(5c)측의 끝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에지부(511)가 형성되어 있다. 에지부(511)의 전후 방향의 중앙 부분(511a)은, 좌측면(5c)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고, 중앙 부분(511a)에 자물쇠 본체(52)가 장착되어 있다.
자물쇠 본체(52)는, 전술한 장착부(30)의 피걸어맞춤부(32)와 함께, 파스너(fastener; 스냅 파스너라고도 함)를 구성한다. 자물쇠 본체(52)는, 피걸어맞춤부(32)에 걸어맞추어지는 훅(521)과, 조작 레버(522)를 가진다. 훅(521)이 장착부(30)의 피걸어맞춤부(32)에 당겨 건 후에 조작 레버(522)를 아래쪽으로 이동함으로써, 훅(521)은 피걸어맞춤부(32)에 걸어맞추어진다.
안내부(53)는, 기대 본체(51)의 자물쇠 본체(52)에 대향하는 위치[우측면(5a)측의 끝의 전후 방향에서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공(531)과, 규제부(53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관통공(531)은, 기대 본체(51)에 형성되어 있다. 규제부(532)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공(531)의 위쪽을 덮도록 형성되고, 그 전단 부분(532a)과 후단 부분(532b)과, 기대 본체(51)에 장착되어 있고, 전단 부분(532a)과 후단 부분(532b)의 사이의 중앙 부분(532c)이 관통공(531)의 위쪽에 위치한다. 즉, 전단 부분(532a)은 관통공(531)의 앞쪽에 위치하고, 후단 부분(532b)은 관통공(531)의 뒤쪽에 위치한다. 중앙 부분(532c)은, 기대 본체(51)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기대 본체(51)와 중앙 부분(532c)의 사이에는 간극(533)이 형성되어 있다(후술하는 도 12 참조).
(1―6. 파지부)
파지부(40)는, 문형으로서, 1개의 봉형 부재를 굽힘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파지부(4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착부(30)로부터 위쪽을 향해 형성된 제1 봉형부(41)와, 장착부(30)로부터 위쪽을 향해 형성된 제2 봉형부(42)와, 제1 봉형부(41)의 상단(41a)과 제2 봉형부(42)의 상단(42a)을 접속하는 제3 봉형부(43)를 가지고 있다.
도 7의 (a)는, 회전등(10) 및 기대부(50)를 위쪽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8은, 회전등(10) 및 기대부(50)를 좌측면(5c)측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1―6―1. 제1 봉형부)
도 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봉형부(41)는, 회전등 본체(20)의 좌측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고, 제1 봉형부(41)의 일부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로부터 본 측면에서 볼 때 회전등 본체(20)와 중첩되어 있다. 또한, 제1 봉형부(41)는, 피걸어맞춤부(32)보다 앞쪽에 배치되어 있고, 회전등 본체(20)의 중심축(20a)보다 앞쪽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봉형부(41)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하단(41b)이 에지부(311)의 좌측에 위치하고, 하단(41b)의 측면과 에지부(311)가 용접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도 4에는, 접속 부분이 P1으로서 나타나 있다.
(1―6―2. 제2 봉형부)
제2 봉형부(42)는, 도 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등 본체(20)의 뒤쪽에 형성되어 있고,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하단(42b)이 제3 판형부(31c)의 상면에 접속되어 있다. 제2 봉형부(42)는, 도 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심축(20a)보다 우측(작업 차량의 내측)으로 어긋나 위치하고, 또한 후방에서 볼 때 제2 봉형부(42)의 일부는, 회전등 본체(20)와 중첩되어 있다.
(1―6―3. 제3 봉형부)
제3 봉형부(43)는, 제1 봉형부(41)의 상단(41a)과 제2 봉형부(42)의 상단(42a)을 접속하도록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다. 제3 봉형부(43)는, 회전등 본체(20)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3 봉형부(43)는, 도 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쪽에서 볼 때(평면에서 볼 때), 그 일부가 회전등 본체(20)와 중첩되고, 또한 중심축(20a)으로부터 좌측 후방으로 어긋나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3 봉형부(43)의 길이 방향을 화살표 E로 하면, 도 7의 (b)는, 길이 방향(화살표 E)에 수직인 측방으로부터, 제3 봉형부(43) 근방을 본 측면도이다. 길이 방향으로 수직인 방향은, 도 7의 (a)에 나타낸 화살표 G, H 방향으로 된다. 화살표 G 방향이란, 좌측 경사 후방향이며, 화살표 H 방향이란, 우측 경사 전방향이다. 즉, 도 7의 (b)는, 화살표 G 방향을 따라 제3 봉형부(43) 근방을 본 측면도이다. 도 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봉형부(43)는, 그 길이 방향으로 수직인 측방에서 볼 때, 회전등 본체(20)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도 9는, 좌측 경사 전방으로부터 회전등(10)을 본 도면이며, 제1 봉형부(41)가 생략된 도면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등(10)과 제3 봉형부(43)의 사이에는 공간(S)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공간(S)은, 밸브(22)의 교환 시에 커버 부재(23)를 분리해 낼 때, 커버 부재(23)가 통과 (화살표 T 참조)하는 공간이다. 즉, 제3 봉형부(43)와 회전등(10)의 사이에 커버 부재(23)가 통과하는 공간(S)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본 실시형태와 같이 회전등 본체(20)를 에워싸도록 파지부(40)를 설치한 경우라도, 커버 부재(23)를 분리해 낼 수 있어, 간단하게 밸브(22)의 교환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도 9에는, 분리되어 있는 커버 부재(23)가 2점 쇄선으로 나타나 있다.
<2. 동작>
(2―1. 장착 동작)
도 10은, 회전등(10)을 캡(5)의 천정판(5b) 상에 장착하고 있는 작업자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자(70)는, 스텝 등을 구비하는 테이블(80) 상에 올라타, 오른손(71)으로 캡(5)의 좌측면(5c)의 후단(後端) 근방을 파지하여 신체를 지지하면서, 왼손(72)으로 회전등(10)을 파지하여, 기대부(50)에 장착한다. 그리고, 기대부(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천정판(5b)에 고정되어 있다.
도 11은, 회전등(10)을 기대부(50)에 장착하고 있는 상태를 후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자(70)는, 회전등(10)의 제1 봉형부(41)를 파지하고, 회전등(10)의 피규제부(33)측을 피걸어맞춤부(32)측보다 아래쪽으로 내린 자세로, 피규제부(33)를 안내부(53)의 간극(533)에 꽂기 용이하다.
도 12는, 피규제부(33)를 안내부(53)의 간극(533)에 꽂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규제부(532)의 아래쪽에 관통공(53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피규제부(33)의 선단을 관통공(531)에 삽입 가능하므로, 상부 경사 방향으로부터 피규제부(33)를 간극(533)에 꽂기 용이하다.
여기서, 제1 봉형부(41)가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하 방향(도 11의 화살표 Y 참조)으로의 회전등(10)의 위치 조정을 행하기 용이하다. 또한,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봉형부(41)가 회전등 본체(20)의 중심축(20a)에 가깝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1 봉형부(41)가 회전등(10)의 중심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되어, 화살표 Y방향으로의 회전등(10)의 위치 조정이 행하기가 보다 용이해진다.
그 후, 작업자(70)는, 규제부(532)의 좌측의 끝(532e)(도 12 참조)에 피규제부(33)를 맞닿게 한 상태에서, 끝(532e)을 회동 지점(支点)으로 하여 회전등(10)의 좌측을 아래쪽(화살표 Q)으로 회동시켜, 회전등(10)을 기대부(50)의 장착 위치에 탑재한다. 이 때, 장착부(30)의 제1 맞닿음부(36)의 접촉 평면(36a)과 제2 맞닿음부(37)의 접촉 평면(27a)이, 기대부(50)의 기대 본체(51)와 맞닿고, 제1 마그넷(38) 및 제2 마그넷(39)이 자력에 의해 기대 본체(51)에 고정된다(도 4 참조).
여기서, 화살표 Q 방향으로 회전등(10)을 회동시킬 때,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위치 결정 돌기(34)가 제1 관통홈(51a)에 끼워지고, 제2 위치 결정 돌기(35)가 제2 관통홈(51b)에 끼워지게 한다. 이로써, 보다 정확하게 위치 결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위치 결정 돌기(34) 및 제2 위치 결정 돌기(35)는, 회동 지점으로서의 끝(532e)을 향함에 따라, 아래쪽으로 신장되는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관통홈(51a), 제2 관통홈(51b)에 쉽게 끼워진다.
다음에, 자물쇠 본체(52)의 훅(521)을, 피걸어맞춤부(32)에 당겨 걸어 조작 레버(522)를 내리는 것에 의해 훅(521)이 피걸어맞춤부(32)에 걸어맞추어지고, 회전등 본체(20)가 고정되어 있는 장착부(30)가 기대부(50)에 고정된다. 전술한 장착 위치란, 훅(521)을 피걸어맞춤부(32)에 당겨 거는 조작 레버(522)를 아래쪽에 내려놓을 수 있는 위치, 즉 걸어맞춤 가능한 위치라고도 할 수 있다.
도 13은, 회전등(10)을 기대부(50)에 장착한 상태를 우측 전방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3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등(10)을 기대부(50)에 장착한 상태에서는, 피규제부(33)가, 규제부(532)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훅(521)을 피걸어맞춤부(32)에 당겨 거는 조작 레버(522)를 아래쪽으로 이동함으로써 걸어맞춘 상태로 된다. 걸어맞춘 상태에서는, 자물쇠 본체(52)에 의해 피걸어맞춤부(32)측에 아래쪽으로의 힘이 가해진다(화살표 D 참조). 그러므로, 회전등 본체(20)를 협지하여 피걸어맞춤부(32)와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는 피규제부(33)에 위쪽(화살표 U 참조)으로의 힘이 걸리지만, 피규제부(33)의 위쪽에는 규제부(532)가 위치하고 있으므로, 피규제부(33)는 규제부(532)와 맞닿아, 그 동작이 규제된다. 이로써, 회전등(10)이 기대부(50)에 고정된다.
그리고, 장착부(30)의 하면에는 제1 마그넷(38) 및 제2 마그넷(39)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1 마그넷(38) 및 제2 마그넷(39)의 자력에 의해 장착부(30)는 기대 본체(51)에 고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왼손(72)을 사용하여 자물쇠 본체(52)와 장착부(30)를 기대부(50)에 고정시키기 위해, 일단, 왼손(72)이 파지부(40)로부터 이격되었다고 해도 회전등(10)이 뜻하지 않게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2―2. 분리 동작)
유압 셔블(100)을 수송할 때, 회전등(10)을 분리해 내는 경우에는, 자물쇠 본체(52)의 조작 레버(522)가 위쪽으로 이동되고, 훅(521)이 피걸어맞춤부(32)로부터 분리된다. 그 후, 제1 봉형부(41)를 파지하여 피걸어맞춤부(32)측을 들어올려 안내부(53)로부터 피규제부(33)를 빼내는 것에 의해, 회전등(10)이 기대부(50)로부터 분리된다.
그리고, 자물쇠 본체(52)에 의한 고정을 해제한 후에 있어서도 제1 마그넷(38) 및 제2 마그넷(39)의 자력에 의해 장착부(30)는 기대 본체(51)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회전등(10)의 불의의 낙하를 막을 수 있다.
<3. 특징 등>
(3―1)
본 실시형태의 유압 셔블(100)(작업 차량의 일례)은, 작업기(4)를 구비한 작업 차량으로서, 캡(5)과 회전등(10)을 구비하고 있다. 캡(5)은, 상부에 설치된 천정판(5b)과, 좌우에 설치된 좌측면(5c)(제2 측면의 일례) 및 우측면(5a)(제1 측면의 일례)을 가진다. 회전등(10)은, 캡(5)의 천정판(5b) 상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회전등(10)은, 회전등 본체(20)와, 장착부(30)와, 파지부(40)를 가지고 있다. 장착부(30)는, 회전등 본체(20)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회전등 본체(20)를 천정판(5b)에 장착한다. 파지부(40)는, 문형으로서 장착부(30)에 고정되어 있고, 제1 봉형부(41)와, 제2 봉형부(42)와, 제3 봉형부(43)를 가지고 있다. 제1 봉형부(41) 및 제2 봉형부(42)는, 장착부(30)로부터 위쪽을 향해 형성되어 있다. 제3 봉형부(43)는, 제1 봉형부(41)와 제2 봉형부(42)의 사이를 접속한다. 제1 봉형부(41)는, 제2 봉형부(42)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2 봉형부(42)는, 회전등 본체(20)보다 뒤쪽에 배치되고, 또한 제1 봉형부보다 우측면(5a)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3 봉형부(43)는, 도 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길이 방향(화살표 E 방향)에 수직인 측방에서 볼 때(화살표 G 방향을 따라 볼 때) 회전등 본체(20)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캡(5)의 천정판(5b) 상에 회전등(10)을 장착할 때는, 천정판(5b)의 위치가 높으므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자(70)는 오른손(71)으로 캡(5)을 지지하고, 다른 한쪽의 왼손(72)만을 사용하여 회전등(10)을 장착하는 경우가 많다. 이 때, 작업자(70)는, 위쪽을 향해 형성된 제1 봉형부(41)를 파지함으로써, 회전등(10)에 대하여 상하 방향(도 11의 화살표 Y 참조)에 힘을 가하기가 용이하다. 그러므로, 한 손으로 회전등(10)을 캡(5)의 천정판(5b) 상에 장착하는 경우라도, 회전등(10)이 상하 방향(도 11의 화살표 Y 참조)으로 진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용이하고, 착탈하기 용이하다.
또한, 파지부(40)의 제3 봉형부(43)가, 회전등 본체(20)보다 위쪽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3 봉형부(43)에 의해 회전등 본체(20)의 광이 차단되는 것이 저감된다.
또한, 파지부(40)가 문형이므로, 회전등(10)을 캡(5)으로부터 분리해 냈을 때, 제3 봉형부(43)를 파지할 수 있으므로, 운반하기 쉽다.
또한, 파지부(40)가 문형이므로, 파지부(40)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제2 봉형부(42)가 회전등 본체(20)보다 뒤쪽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후방으로부터 회전등 본체(20)에 장애물이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3―2)
본 실시형태의 유압 셔블(100)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봉형부(43)의 일부는, 평면에서 볼 때 회전등 본체(20)와 중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회전등 본체(20)를 걸치도록 파지부(40)를 형성함으로써, 제1 봉형부(41) 또는 제2 봉형부(42)를 회전등(10)의 중심에 의해 가까운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작업자(70)는 회전등(10)의 상하 방향(도 11의 화살표 Y 참조)의 진동을 더욱 방지하기 용이하다.
(3―3)
본 실시형태의 유압 셔블(100)에서는, 회전등 본체(20)는, 베이스 부재(21)와, 밸브(22)(광원의 일례)와, 커버 부재(23)를 가지고 있다. 베이스 부재(21)는, 장착부(30)에 고정되어 있다. 밸브(22)는, 베이스 부재(21)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커버 부재(23)는, 밸브(22)를 위쪽으로부터 덮어, 착탈 가능하게 베이스 부재(21)에 장착되어 있다. 제3 봉형부(43)와 커버 부재(23)의 사이에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부재(23)를 베이스 부재(21)로부터 분리할 때 커버 부재(23)가 통과하는 소정 간격(S)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3 봉형부(43)와 커버 부재(23)의 사이에 소정 간격(S)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파지부(40)가 회전등 본체(20)를 에워싸도록 설치되어 있어도, 커버 부재(23)를 베이스 부재(21)에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으므로, 밸브(22)의 교환을 행하기 용이하다.
(3―4)
본 실시형태의 유압 셔블(100)에서는, 작업기(4)는, 캡(5)의 우측면(5a)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다. 회전등(10)은, 천정판(5b)의 좌측면(5c)측의 끝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봉형부(41)는, 회전등 본체(20)보다 좌측면(5c)측에 위치하고 있다. 좌측면(5c)측에서 볼 때(좌측에서 볼 때), 제1 봉형부(41)의 일부는 회전등 본체(20)와 중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작업기(4)와는 반대측의 캡(5)의 좌측면(5c)의 위쪽에 회전등(10)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작업자(70)는, 유압 셔블(100)의 내측에 들어가지 않아도 유압 셔블(100)의 외측으로부터 회전등(10)을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제1 봉형부(41)의 일부가 회전등 본체(20)와 중첩되어 있으므로, 제1 봉형부(41)를 회전등 본체(20)의 보다 가까이에 배치할 수 있다. 즉, 제1 봉형부(41)를 회전등(10)의 중심에 의해 가까운 위치에 배치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70)는 회전등(10)의 상하 방향(Y방향)으로의 진동을 더욱 방지하기 용이하다.
또한, 제1 봉형부(41)가 회전등 본체(20)보다 좌측면(5c)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좌측면(5c)측으로부터 회전등 본체(20)에 장애물이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3―5)
본 실시형태의 유압 셔블(100)은, 천정판(5b)에 고정되고, 장착부(30)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기대부(50)를 더 구비하고 있다. 기대부(50)는, 자물쇠 본체(52)(걸어맞춤부의 일례)와, 안내부(53)를 가지고 있다. 자물쇠 본체(52)는, 장착부(30)에 걸어맞춤 가능하다. 안내부(53)는, 장착부(30)를 자물쇠 본체(52)에 의해 걸어맞춤 가능한 위치로 안내하고, 규제부(532)를 가진다. 규제부(532)는, 안내된 후에 자물쇠 본체(52)에 걸어맞추어진 상태에서 장착부(30)의 이동을 규제한다. 장착부(30)는, 피걸어맞춤부(32)와 피규제부(33)를 가지고 있다. 피걸어맞춤부(32)는, 자물쇠 본체(52)에 걸어맞추어진다. 피규제부(33)는, 회전등 본체(20)를 협지하여 피걸어맞춤부(32)의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다. 자물쇠 본체(52)가 피걸어맞춤부(32)에 걸어맞추어진 상태에서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걸어맞춤부(32)가 아래쪽(화살표 D 방향)으로 가압되는 것에 의해 피규제부(33)가 위쪽(화살표 U 방향)으로 가압되어 규제부(532)와 맞닿고 장착부(30)가 기대부(50)에 고정되어 있다.
이로써, 안내부(53)에 따라 장착부(30)를 기대부(50)에 배치하고, 기대부(50)와 장착부(30)를 걸어맞추는 것만으로, 장착부(30)를 기대부(50)에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용이하게 회전등(10)을 천정판(5b)에 장착 가능하다. 또한,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회전등(10)을 천정판(5b)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3―6)
본 실시형태의 유압 셔블(100)에서는, 작업기(4)는, 캡(5)의 우측면(5a)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다. 회전등(10)은, 천정판(5b)의 좌측면(5c)측의 끝에 배치되어 있다. 자물쇠 본체(52)(걸어맞춤부의 일례) 및 피걸어맞춤부(32)는, 회전등 본체(20)의 좌측면(5c)측에 설치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물쇠 본체(52)가 작업기(4)와는 반대측의 캡(5)의 좌측면(5c)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작업자(70)는, 유압 셔블(100)의 내측에 들어가지 않아도 유압 셔블(100)의 외측으로부터 자물쇠 본체(52)를 걸어맞추거나, 비걸어맞춤 상태로 할 수 있으므로, 회전등의 착탈을 행하기 용이하다.
(3―7)
본 실시형태의 유압 셔블(100)에서는, 장착부(30)는, 그 하면에, 자력에 의해 기대부(50)와 고정시키는 제1 마그넷(38) 및 제2 마그넷(39)(고정 부재의 일례)을 더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장착부(30)가 자력에 의해 기대부(50)에 고정되는 제1 마그넷(38) 및 제2 마그넷(39)을 더 구비하고 있으므로, 자물쇠 본체(52)를 피걸어맞춤부(32)에 대하여 비걸어맞춤 상태로 했을 때 회전등(10)이 뜻하지 않게 천정판으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3―8)
본 실시형태의 유압 셔블(100)의 캡(5)의 상부에 설치된 천정판(5b)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등(10)으로서, 회전등 본체(20)와, 장착부(30)와, 파지부(40)를 가지고 있다. 장착부(30)는, 회전등 본체(20)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회전등 본체(20)를 천정판(5b)에 장착한다. 파지부(40)는, 문형으로서, 장착부(30)에 고정되어 있다. 파지부(40)는, 제1 봉형부(41)와, 제2 봉형부(42)와, 제3 봉형부(43)를 가지고 있다. 제1 봉형부(41) 및 제2 봉형부(42)는, 장착부(30)로부터 위쪽을 향해 형성되어 있다. 제3 봉형부(43)는, 제1 봉형부(41)와 제2 봉형부(42)의 사이를 접속한다. 제3 봉형부(43)의 일부는, 평면에서 볼 때 회전등 본체(20)와 중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회전등 본체(20)를 걸치도록 파지부(40)를 형성함으로써, 제1 봉형부(41) 또는 제2 봉형부(42)를 회전등(10)의 중심에 의해 가까운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작업자는 회전등(10)이 상하 방향으로 진동되는 것을 더욱 방지하기 용이하고, 회전등(10)을 천정판(5b)에 착탈하기 용이하다.
<4. 다른 실시형태>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A)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위쪽에서 볼 때 제3 봉형부(43)의 일부가, 회전등 본체(20)와 중첩되어 있었지만, 위쪽에서 볼 때 제3 봉형부(43)의 일부가 회전등 본체(20)를 중첩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4의 (a)에 나타낸 파지부(40')과 같이, 제2 봉형부(42)가 상기 실시형태보다 좌측에 위치하는 것에 의해, 위쪽에서 볼 때 제3 봉형부(43)가 회전등 본체(20)와 중첩되어 있지 않은 구성이라도 된다. 이 경우라도, 길이 방향(화살표 E')에 대하여 수직인 측방(화살표 G', H')의 한쪽인 화살표 G' 방향을 따라 본 경우에, 도 1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봉형부(43)가 회전등 본체(20)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3 봉형부(43)는, 위쪽에서 볼 때, 그 일부가 회전등 본체(20)와 중첩되어 있지 않아도 되고, 요컨대, 제3 봉형부(43)는, 그 길이 방향으로 수직인 측방에서 볼 때(측면에서 볼 때라고도 할 수 있음) 회전등 본체(20)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B)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 봉형부(41)와 제2 봉형부(42)의 높이가 같으며, 제3 봉형부(43)는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었지만, 제1 봉형부(41)와 제2 봉형부(42)의 높이가 상이하고, 제3 봉형부(43)가 수평이 아니어도 된다.
(C)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 봉형부(41)와 제2 봉형부(42)는 연직(沿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었지만, 경사져 있어도 되고, 요컨대 위쪽을 향해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D)
위 실시형태에서는, 제3 봉형부(43)는, 제1 봉형부(41)의 상단(41a)과 제2 봉형부(42)의 상단(42a)을 접속하고 있었지만, 상단(41a, 42a)끼리를 접속하지 않아도 되고, 제1 봉형부(41)의 상단(41a) 및/또는 제2 봉형부(42)의 상단(42a)이 제3 봉형부(43)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이라도, 본 명세서에서는, 문형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산업 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관한 작업 차량 및 회전등은, 회전등을 착탈할 때 취급하기 쉬운 효과를 가지고, 유압 셔블과 같은 각종 작업 차량에 대하여 널리 적용 가능하다.
1; 차량 본체
2; 주행체
2a; 주행 장치
2b; 주행 장치
2d; 크롤러 트랙
2e; 크롤러 트랙
3; 선회체
4; 작업기
5; 캡
5a; 우측면(제1 측면의 일례)
5b; 천정판
5c; 좌측면(제2 측면의 일례)
6; 카운터웨이트
7; 붐
8; 암
9; 굴삭 버킷
10; 회전등
20; 회전등 본체
20a; 중심축
21; 베이스 부재
22; 밸브(광원의 일례)
23; 커버 부재
24; 커넥터
27a; 접촉 평면
30; 장착부
31; 지지부
31a; 제1 판형부
31b; 제2 판형부
31c; 제3 판형부
32; 피걸어맞춤부
33; 피규제부
34; 제1 위치 결정 돌기
35; 제2 위치 결정 돌기
36; 제1 맞닿음부
36a; 접촉 평면
37; 제2 맞닿음부
37a; 접촉 평면
38; 제1 마그넷(고정 부재의 일례)
39; 제2 마그넷(고정 부재의 일례)
40; 파지부
40'; 파지부
41; 제1 봉형부
41a; 상단
41b; 하단
42; 제2 봉형부
42a; 상단
42b; 하단
43; 제3 봉형부
50; 기대부
51; 기대 본체
51a; 제1 관통홈
51b; 제2 관통홈
51h; 관통공
52; 자물쇠 본체(걸어맞춤부의 일례)
53; 안내부
60; 볼트
70; 작업자
71; 오른손
72; 왼손
80; 테이블
100; 유압 셔블(작업 차량의 일례)
311; 에지부
311a; 시트
311b; 시트
511; 에지부
511a; 중앙 부분
521; 훅
522; 조작 레버
531; 관통공
532; 규제부
532a; 전단 부분
532b; 후단 부분
532c; 중앙 부분
532e; 끝
533; 간극
S; 공간

Claims (8)

  1. 작업기를 구비하는 작업 차량으로서,
    상부에 설치된 천정판과, 좌우에 설치된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을 가지는 캡(cab); 및
    상기 캡의 상기 천정판 상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된 회전등(rotating light);
    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등은,
    회전등 본체;
    상기 회전등 본체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등 본체를 상기 천정판에 장착하는 장착부; 및
    상기 장착부에 고정된 문형(門型; portal-shape)의 파지부(把持部);를 가지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장착부로부터 위쪽을 향해 형성된 제1 봉형부(棒形部) 및 제2 봉형부와, 상기 제1 봉형부와 상기 제2 봉형부 사이를 접속하는 제3 봉형부를 가지고,
    상기 제1 봉형부는, 상기 제2 봉형부보다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봉형부는, 상기 회전등 본체보다 뒤쪽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1 봉형부보다 상기 제1 측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3 봉형부는, 그 길이 방향으로 수직인 측방에서 볼 때 상기 회전등 본체의 위쪽에 배치되고,
    상기 제3 봉형부의 일부는, 평면에서 볼 때 상기 회전등 본체와 중첩되어(superposed) 있고,
    상기 회전등 본체는,
    상기 장착부에 고정된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내측에 배치된 광원; 및
    상기 광원을 위쪽으로부터 덮고, 착탈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 부재에 장착된 커버 부재;를 가지고,
    상기 제3 봉형부와 상기 커버 부재 사이에는, 상기 커버 부재를 상기 베이스 부재로부터 분리해 낼 때 상기 커버 부재가 통과하는 소정 간격이 형성되어 있는,
    작업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기는, 상기 캡의 상기 제1 측면의 측방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등은, 상기 천정판의 상기 제2 측면측의 끝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봉형부는, 상기 회전등 본체보다 상기 제2 측면측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제2 측면측에서 볼 때, 상기 제1 봉형부의 일부는 상기 회전등 본체와 중첩되어 있는, 작업 차량.
  3. 작업기를 구비하는 작업 차량으로서,
    상부에 설치된 천정판과, 좌우에 설치된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을 가지는 캡(cab); 및
    상기 캡의 상기 천정판 상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된 회전등(rotating light);
    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등은,
    회전등 본체;
    상기 회전등 본체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등 본체를 상기 천정판에 장착하는 장착부; 및
    상기 장착부에 고정된 문형(門型; portal-shape)의 파지부(把持部);를 가지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장착부로부터 위쪽을 향해 형성된 제1 봉형부(棒形部) 및 제2 봉형부와, 상기 제1 봉형부와 상기 제2 봉형부 사이를 접속하는 제3 봉형부를 가지고,
    상기 제1 봉형부는, 상기 제2 봉형부보다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봉형부는, 상기 회전등 본체보다 뒤쪽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1 봉형부보다 상기 제1 측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3 봉형부는, 그 길이 방향으로 수직인 측방에서 볼 때 상기 회전등 본체의 위쪽에 배치되고,
    상기 천정판에 고정되고, 상기 장착부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기대부(基臺部)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대부는,
    상기 장착부에 걸어맞춤 가능한 걸어맞춤부; 및
    상기 장착부를 상기 걸어맞춤부에 의해 걸어맞춤 가능한 위치로 안내하는 안내부;를 가지고,
    상기 안내부는, 안내된 후에 상기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추어진 상태에서 상기 장착부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가지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추어지는 피(被)걸어맞춤부; 및
    상기 회전등 본체를 협지(sandwich)하여 상기 피걸어맞춤부의 반대측에 설치된 피규제부;를 가지고,
    상기 걸어맞춤부가 상기 피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추어진 상태에서는, 상기 피걸어맞춤부가 아래쪽으로 가압되는 것에 의해 상기 피규제부가 위쪽으로 가압되어 상기 규제부와 맞닿아 상기 장착부가 상기 기대부에 고정되어 있는,
    작업 차량.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기는, 상기 캡의 상기 제1 측면의 측방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등은, 상기 천정판의 상기 제2 측면측의 끝에 배치되고,
    상기 걸어맞춤부 및 상기 피걸어맞춤부는, 상기 회전등 본체의 상기 제2 측면측에 설치되어 있는, 작업 차량.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그 하면에, 자력(磁力)에 의해 상기 기대부와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를 더 가지고,
    상기 제3 봉형부의 일부는, 위쪽에서 볼 때 상기 회전등 본체와 중첩되어 있고,
    상기 제2 측면측에서 볼 때, 상기 제1 봉형부의 일부는 상기 회전등 본체와 중첩되어 있고,
    상기 작업기와는 반대측의 측방에서 볼 때, 상기 걸어맞춤부 및 상기 피걸어맞춤부는, 전후 방향에서의 상기 회전등 본체의 대략 중앙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봉형부는, 상기 회전등 본체보다 외측이며 또한 상기 걸어맞춤부보다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봉형부는, 상기 회전등 본체보다 뒤쪽에 배치되어 있는, 작업 차량.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57002192A 2014-10-24 2014-10-24 작업 차량 및 회전등 KR1017179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4/078408 WO2015060448A1 (ja) 2014-10-24 2014-10-24 作業車両および回転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8702A KR20160048702A (ko) 2016-05-04
KR101717964B1 true KR101717964B1 (ko) 2017-03-20

Family

ID=52993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2192A KR101717964B1 (ko) 2014-10-24 2014-10-24 작업 차량 및 회전등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598002B2 (ko)
JP (1) JP5727686B1 (ko)
KR (1) KR101717964B1 (ko)
CN (1) CN104685134B (ko)
DE (1) DE112014000182T5 (ko)
IN (1) IN2015DN01526A (ko)
WO (1) WO20150604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31762A (en) 2014-10-29 2016-05-04 Bamford Excavators Ltd Working machine
US10493901B2 (en) 2017-09-25 2019-12-03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Light assembly for attachment to a surface of a vehicle
US11299088B2 (en) 2019-05-17 2022-04-12 Deere & Company Adaptive work vehicle lighting system and method of adaptively illuminating a work area
WO2023219389A1 (ko) * 2022-05-09 2023-11-16 에이치디현대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 기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84161A (ja) * 2006-04-13 2007-11-01 Hitachi Constr Mach Co Ltd ホイール式建設機械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731368U (ko) * 1971-04-30 1972-12-08
US3930227A (en) * 1973-11-26 1975-12-30 Sonia M Gof Portable motor vehicle visual warning indicator
DE2654363C3 (de) 1976-12-01 1980-01-31 Bayerische Motoren Werke Ag, 8000 Muenchen Vorrichtung zum Befestigen einer Warneinrichtung, wie Rundum-Kennleuchte o.dgl-, auf einem Fahrzeugdach
JPH0511079Y2 (ko) 1986-04-25 1993-03-18
JPH0817049B2 (ja) 1989-06-02 1996-02-21 株式会社小糸製作所 着脱式回転灯
US5010454A (en) * 1989-07-12 1991-04-23 Hopper Steven R Portable light assembly for an automobile
JP3193197B2 (ja) * 1993-07-22 2001-07-30 耕三郎 芝 機能性漬け物の素
US5490046A (en) * 1994-02-23 1996-02-06 Gohl; Gerald L. Portable, remote-controlled searchlight apparatus
DE4422150C1 (de) 1994-06-27 1996-02-01 Theodor Splithoff Haltevorrichtung für eine Rundumleuchte
JP3210841B2 (ja) 1995-07-04 2001-09-25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建設機械における照明装置
JP4318170B2 (ja) 2003-08-25 2009-08-19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建設機械
JP2011038315A (ja) 2009-08-11 2011-02-24 Hitachi Constr Mach Co Ltd クレーン機能を有するホイール式建設機械
CN202148552U (zh) 2011-05-30 2012-02-22 山东临工工程机械有限公司 装载机驾驶室
CN104032784B (zh) 2014-06-09 2017-03-01 湖北省路桥集团有限公司 一种土木工程用具有震动功能的推土机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84161A (ja) * 2006-04-13 2007-11-01 Hitachi Constr Mach Co Ltd ホイール式建設機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60448A1 (ja) 2015-04-30
JPWO2015060448A1 (ja) 2017-03-09
US9598002B2 (en) 2017-03-21
JP5727686B1 (ja) 2015-06-03
IN2015DN01526A (ko) 2015-06-19
DE112014000182T5 (de) 2015-06-18
US20160114721A1 (en) 2016-04-28
CN104685134A (zh) 2015-06-03
KR20160048702A (ko) 2016-05-04
CN104685134B (zh) 2017-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7964B1 (ko) 작업 차량 및 회전등
JP5290453B1 (ja) 油圧ショベル
KR101870305B1 (ko) 건설 기계
JP4437471B2 (ja) 建設機械のステップ構造
JP2010084644A (ja) 内燃エンジン付き作業機
JP2014005690A (ja) ローダ作業機
JP2011241643A (ja) 作業機のカメラ取付け装置
JP2017106180A (ja) 作業車及びフロントローダ
JP4845206B2 (ja) 建設機械のアンダーカバー装置
JP6286101B1 (ja) 作業車両
EP2813624A1 (en) Cable and hose support and guide for construction machine
JP6657134B2 (ja) トラクタ
US9855976B2 (en) Actuation system for hood of a machine
EP3812634A1 (en) Electric component for working vehicle, and hydraulic hose installation structure
JP2009293352A (ja) 杭打機及びリーダの組立方法
JP5045703B2 (ja) 移動式クレーン
JP5843724B2 (ja) ローダ作業機
JP7223274B2 (ja) ウインチ固定装置
JP2023008833A (ja) 取付用アタッチメント、ウインチおよび集材用作業車
US10851519B2 (en) Guard rail system
JP2014237950A (ja) 作業機械
JP6498592B2 (ja) 小型の建設機械
JP6225797B2 (ja) 上部旋回体及びこれを備えた建設機械
JP2020157867A (ja) 作業車両及び泥よけの着脱方法
JP6243211B2 (ja) 杭打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