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0305B1 - 건설 기계 - Google Patents

건설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0305B1
KR101870305B1 KR1020137027311A KR20137027311A KR101870305B1 KR 101870305 B1 KR101870305 B1 KR 101870305B1 KR 1020137027311 A KR1020137027311 A KR 1020137027311A KR 20137027311 A KR20137027311 A KR 20137027311A KR 101870305 B1 KR101870305 B1 KR 101870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tank
oil tank
swing
working oil
moun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7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7480A (ko
Inventor
마코토 모토즈
데루오 이리노
고헤이 우라세
유우키 우미자키
도시히로 사코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겡키 티에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겡키 티에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겡키 티에라
Publication of KR20140057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7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0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03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83Tanks, e.g. oil tank, urea tank, fuel ta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63Arrangement of t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 E02F3/32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working downwardly and towards the machine, e.g. with backho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 E02F3/32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working downwardly and towards the machine, e.g. with backhoes
    • E02F3/325Backhoes of the miniature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08Improving mounting or assembling, e.g. frame elements, disposition of all the components on the super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10Supports for movable superstructures mounted on travelling or walking gears or on other superstructures
    • E02F9/12Slewing or traversing gea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8Counterweigh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선회 프레임(5) 상에는, 엔진(8)의 앞쪽에 위치하고 작동유 탱크(15)를 설치하는 동시에, 작동유 탱크(15)의 앞쪽에 위치하여 연료 탱크(16)를 배치한다. 연료 탱크(16)의 하측에는, 스윙 실린더(14)의 일부가 걸쳐지도록 장착 부재(17)를 설치한다. 작동유 탱크(15)와 장착 부재(17)와의 사이에는, 연료 탱크(16)를 전방향 및 후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구속하는 세로 구속구(20)와, 연료 탱크(16)를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으로 구속하는 가로 구속구(25)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다. 이로써, 연료 탱크(16)를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의 2방향에서 구속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설 기계{CONSTRUCTION MACHINE}
본 발명은, 유압 셔블(hydraulic shovel) 등의 건설 기계에 관한 것이며, 특히 선회(旋回) 프레임 상에 연료 탱크가 탑재된 건설 기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기계의 대표예인 유압 셔블은, 하부 주행체와, 상기 하부 주행체 상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旋回體)와, 상기 상부 선회체의 앞쪽에 부앙동(俯仰動) 가능하게 설치된 작업 장치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상부 선회체는, 선회 프레임과, 상기 선회 프레임 상에 설치되고, 오퍼레이터가 착석하는 운전석과, 상기 운전석의 뒤쪽에 위치하여 상기 선회 프레임에 탑재된 엔진과, 상기 엔진에 설치된 유압 펌프와, 상기 운전석의 우측에 위치하여 상기 선회 프레임 상에 설치되고, 상기 유압 펌프에 공급하는 작동유를 저장하는 작동유 탱크와, 상기 선회 프레임 상에 설치되고, 상기 엔진에 공급하는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 탱크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측 홈 등의 굴삭 작업에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유압 셔블로서, 작업 장치가 상부 선회체에 대하여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으로 요동(搖動) 가능하게 된 스윙식의 유압 셔블이 있다. 이 스윙식의 유압 셔블은, 상부 선회체를 구성하는 선회 프레임의 앞쪽에 위치하여, 스윙 실린더에 의해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으로 요동되는 스윙 포스트가 설치되고, 상기 스윙 포스트에 작업 장치가 부앙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특허 문헌 1).
이와 같은 스윙식의 유압 셔블은, 상부 선회체의 기기 종류의 설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하므로, 작동유 탱크와 연료 탱크가, 전방향 및 후방향에 인접한 상태로 스윙 실린더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종래 기술에서는, 스윙 실린더의 정비 작업을 행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 연료 탱크를 선회 프레임에 대하여 용이하게 장착하고, 분리해 내기 위하여, 고정 벨트를 사용하여 선회 프레임에 연료 탱크를 고정시키는 구조로 된 유압 셔블이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2, 특허 문헌 3).
한편, 다른 종래 기술로서, 2개의 고정 벨트를, 연료 탱크의 외주면 상에서, 상하 방향 또는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함으로써, 연료 탱크를 고정시키는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4, 특허 문헌 5). 또한, 2개의 고정 벨트를, 연료 탱크의 외주면 상에서 십자형으로 교차시킴으로써, 연료 탱크를 고정시키는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6).
일본공개특허 제2005-83040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제2002-61224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평9-151483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제2001-288778호 공보 일본 실용신안등록출원 공개 평5-72549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제2008-183967호 공보
그런데, 전술한 특허 문헌 2 내지 특허 문헌 5에 의한 연료 탱크의 장착 구조는, 1개의 고정 벨트, 또는 평행하게 배치한 2개의 고정 벨트를 사용하여 연료 탱크를 고정하고 있다. 그러므로, 연료 탱크를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상하 방향) 중 어느 한쪽 방향으로 밖에 구속할 수 없어, 유압 셔블의 진동에 의해 연료 탱크가 어긋나 버리는 문제가 있다.
한편, 전술한 특허 문헌 6과 같이, 2개의 고정 벨트를 연료 탱크의 외주면 상에서 십자형으로 교차시켜 연료 탱크를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구속한 경우에는, 연료 탱크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 종래 기술에서는, 연료 탱크를 고정시키기 위한 전용의 장착대가 필요해지므로, 부품수가 증대하여, 제조 비용이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수의 증대를 초래하지 않고, 연료 탱크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건설 기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1). 본 발명에 의한 건설 기계는, 하부 주행체와, 상기 하부 주행체 상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와, 상기 상부 선회체의 앞쪽에 부앙동 가능하게 설치된 작업 장치와, 상기 작업 장치와 균형을 이루기 위해 상기 상부 선회체의 뒤쪽에 설치된 카운터 웨이트(counter weight)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선회체는, 지지 구조체를 형성하고 전단(前端)에 지지 브래킷이 설치된 선회 프레임과, 상기 카운터 웨이트의 앞쪽에 위치하여 상기 선회 프레임 상에 탑재된 엔진과, 상기 선회 프레임의 상기 지지 브래킷에 설치되어 상기 작업 장치를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윙 포스트와, 상기 스윙 포스트와 상기 선회 프레임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스윙 포스트를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으로 요동시키는 스윙 실린더와, 상기 스윙 실린더의 근방이고, 또한 상기 엔진의 앞쪽에 위치하여 상기 선회 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유압 액추에이터에 공급되는 작동유를 저장하는 작동유 탱크와, 상기 작동유 탱크의 앞쪽에 위치하여 상기 선회 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상기 엔진에 공급되는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 탱크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이 채용하는 구성의 특징은, 상기 선회 프레임에는, 상기 연료 탱크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스윙 실린더의 일부를 걸치는 장착 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작동유 탱크의 상부 위치와 상기 장착 부재와의 사이에는, 상기 연료 탱크를 전방향 및 후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구속하는 세로 구속구(拘束具)를 착탈(着脫)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작동유 탱크의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의 외측의 측면부와 상기 장착 부재와의 사이에는, 상기 연료 탱크를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으로 구속하는 가로 구속구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연료 탱크는, 세로 구속구와 가로 구속구에 의해 수평 방향(전방향 및 후방향 및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과 수직 방향(상하 방향)의 2방향(구체적으로는, 3축 방향)으로 확실하게 고정되어 있으므로, 건설 기계의 주행 시나 작업 시의 진동에 의해 연료 탱크가 선회 프레임에 대하여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연료 탱크가 어긋나 주위의 탑재 기기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연료 탱크와 주위의 탑재 기기와의 사이의 클리어런스를 작게 설정할 수 있어, 그만큼, 연료 탱크의 용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스윙 실린더의 일부를 걸치는 장착 부재와 작동유 탱크를 이용하여 세로 구속구와 가로 구속구를 장착할 수 있으므로, 세로 구속구와 가로 구속구를, 각각 전용의 고정구 등을 사용하여 개별적으로 장착할 필요가 없다. 이 결과, 부품수의 증대를 억제하여, 제조 비용의 저감에도 기여할 수 있다. 부가하여, 세로 구속구 및 가로 구속구를 장착 부재 또는 작동유 탱크에 대하여 착탈함으로써, 연료 탱크를 교환할 때나 스윙 실린더 등의 유지보수 작업 시에 용이하게 연료 탱크를 착탈 가능하게 할 수 있다.
(2).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상부 선회체는, 바닥판과 좌측의 세로판 및 우측의 세로판에 의해 상기 선회 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좌측의 세로판 및 우측의 세로판의 전단에 상기 스윙 포스트를 지지하는 상기 지지 브래킷을 설치하고, 상기 스윙 실린더는 상기 각 세로판 중 한쪽의 세로판보다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여 설치하고, 상기 작동유 탱크와 상기 연료 탱크는, 상기 스윙 실린더를 따르게 하여 전방향 및 후방향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스윙 실린더의 주위의 공간을 이용하여, 작동유 탱크와 연료 탱크를 선회 프레임 상에 탑재할 수 있다.
(3).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연료 탱크의 상면은 상기 작동유 탱크의 상면보다 낮게 형성하고, 상기 세로 구속구는, 상기 연료 탱크의 상면보다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작동유 탱크에 장착되는 연결 부재와, 상단측이 상기 연결 부재에 연결되는 동시에 하단측이 상기 장착 부재에 장착되고 상기 연료 탱크의 전면(前面)과 맞닿는 벨트 부재에 의해 구성하고, 상기 가로 구속구는, 전단측(前端側)이 상기 장착 부재에 장착되는 동시에 후단측(後端側)이 상기 작동유 탱크의 외측의 측면부에 장착되고 상기 연료 탱크의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의 외측의 측면과 맞닿는 벨트 부재에 의해 구성한 것에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세로 구속구를 구성하는 연결 부재는, 연료 탱크의 상면보다 상측에 위치한 상태로 작동유 탱크에 고정되므로, 연료 탱크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4).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작동유 탱크에 장착되는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작동유 탱크의 전면의 상부 위치, 또는 상면의 앞부분 위치 중 어느 하나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작동유 탱크에 연결 부재를 장착함으로써, 연료 탱크의 상면에 연결 부재를 맞닿게 할 수 있어, 연료 탱크의 상하 방향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5).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연료 탱크는, 그 바닥면을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의 외측의 깊은 바닥부와 내측의 얕은 바닥부를 가지는 계단식 바닥면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장착 부재는, 상기 스윙 실린더를 에워싸도록 세로판부와 상기 세로판부의 상단을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으로 연결하는 가로판부로 이루어지는 역 L자형으로 구성하고, 상기 장착 부재의 가로판부에는, 상기 연료 탱크의 얕은 바닥부를 탑재하고, 상기 세로판부에는, 상기 세로 구속구의 하단측과 상기 가로 구속구의 전단측을 장착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스윙 실린더의 상측에는, 장착 부재를 통하여 연료 탱크의 얕은 바닥부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스윙 실린더의 상부 공간을 이용하여 연료 탱크의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세로 구속구의 하단측과 가로 구속구의 전단측을 동일한 부재인 장착 부재에 고정시키고 있으므로,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6).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상부 선회체는, 상기 하부 주행체에 대한 선회 중심과 상기 카운터 웨이트와의 사이를 선회 반경으로 하는 후방 소(小)선회형로서 형성되고, 상기 연료 탱크는 외측의 측면부가 상기 선회 반경에 들어가도록 원호형상으로 형성한 것에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상부 선회체가 선회 동작을 행할 때, 연료 탱크의 외측의 측면이 상부 선회체의 선회 반경으로부터 돌출되는 경우가 없어, 선회 동작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유압 셔블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상부 선회체를 외장(外裝) 커버, 운전석 등을 분리해 낸 상태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선회 프레임의 단체(單體)를 스윙 실린더를 장착한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상부 선회체에 작동유 탱크, 연료 탱크, 스윙 실린더, 세로 구속구, 가로 구속구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선회 프레임에 작동유 탱크, 연료 탱크, 스윙 실린더, 세로 구속구, 가로 구속구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도 6은 선회 프레임에 작동유 탱크, 스윙 실린더만을 장착하고, 연료 탱크, 세로 구속구, 가로 구속구를 분리해 낸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선회 프레임에 탑재한 연료 탱크를, 세로 구속구 및 가로 구속구에 의해 구속한 상태를 나타낸 주요부 확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연료 탱크로부터 세로 구속구 및 가로 구속구를 분리해 낸 상태를 나타낸 주요부 확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세로 구속구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 8과 같은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건설 기계 실시형태를 유압 셔블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부호 "1"은 건설 기계의 대표예로서의 캡(cab) 사양의 유압 셔블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유압 셔블(1)은, 자주(自走) 가능한 크롤러식의 하부 주행체(2)와, 상기 하부 주행체(2) 상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부 선회체(3)의 앞쪽에는 작업 장치(4)가 부앙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상부 선회체(3)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상부 선회체(3)는, 후술하는 선회 프레임(5), 운전석(6), 캡(7), 엔진(8), 유압 펌프(9), 열교환기(10), 카운터 웨이트(12), 작동유 탱크(15), 연료 탱크(16)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부 선회체(3)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주행체(2)의 차폭과 대략 같은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의 폭 치수를 가지고, 하부 주행체(2)에 대한 선회 중심(O)과 후술하는 카운터 웨이트(12)의 후면과의 사이의 거리를 선회 반경(R)으로 했을 때, 선회 중심(O)을 중심으로 한 선회 반경(R)의 가상원(C) 내에 대략 들어가도록, 위쪽으로부터 볼 때 대략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유압 셔블(1)은, 상부 선회체(3)가 선회 동작을 행했을 때, 카운터 웨이트(12)의 후면이 하부 주행체(2)의 차폭 내에 들어가는 후방 소선회형의 유압 셔블로서 구성되어 있다.
부호 "4"는 상부 선회체(3)의 앞쪽에 부앙동 가능하게 설치된 작업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 작업 장치(4)는, 후술하는 스윙 포스트(13)에 부앙동 가능하게 장착된 붐(boom)(4A)과, 상기 붐(4A)의 선단부에 부앙동 가능하게 장착된 암(arm)(4B)과, 상기 암(4B)의 선단부에 회동(回動) 가능하게 장착된 버킷(bucket)(4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스윙 포스트(13)와 붐(4A)과의 사이에는 붐 실린더(4D)가 설치되고, 붐(4A)과 암(4B)과의 사이에는 암 실린더(4E)가 설치되고, 암(4B)과 버킷(4C)과의 사이에는 버킷 실린더(4F)가 설치되어 있다.
부호 "5"는 상부 선회체(3)의 베이스를 구성하는 선회 프레임을 나타내고, 상기 선회 프레임(5)은, 견고한 지지 구조체를 형성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선회 프레임(5)은,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의 중간부가 전방향 및 후방향으로 연장된 평판형의 바닥판(5A)과, 상기 바닥판(5A)의 상면측에 좌측, 우측에 V자형으로 이격되어 세워 설치된 좌측 세로판(5B), 우측 세로판(5C)과, 좌측 세로판(5B)의 좌측에 설치된 좌측 사이드 프레임(5D)과, 우측 세로판(5C)의 우측에 설치된 우측 사이드 프레임(5E)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각 세로판(5B, 5C)의 전단부(前端部)에는, 후술하는 스윙 포스트(13)를 지지하는 지지 브래킷(5F)이 고정되어 설치되어 있다.
한편, 바닥판(5A)과 우측 사이드 프레임(5E)과의 사이에는, 양자 사이를 연결하는 3개의 우측 빔(5G, 5H, 5I)이, 전, 후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맨 앞부에 위치하는 우측 빔(5G)과 우측 세로판(5C)과의 사이에는, 후술하는 장착 부재(17)가 설치되고, 다른 우측 빔(5H, 5I) 상에는, 후술하는 작동유 탱크(15)가 장착된다.
운전석(6)은 선회 프레임(5) 상에 있어서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의 좌측 전방 측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운전석(6)은, 오퍼레이터가 착석하는 것이다. 또한, 운전석(6)의 주위에는, 주행 레버·페달, 조작 레버 등의 조작 기기(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고, 이들 운전석(6), 각 조작 기기 등은, 캡(7)에 의해 덮혀져 있다.
엔진(8)은 선회 프레임(5)의 후단측에 탑재되고, 상기 엔진(8)은, 후술하는 카운터 웨이트(12)의 앞쪽에 위치하고,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 설치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엔진(8)의 좌측에는, 상기 엔진(8)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 펌프(9)가 설치되고, 엔진(8)의 우측에는 라디에이터, 오일 쿨러 등의 열교환기(10)가 설치되어 있다.
컨트롤 밸브(11)는, 선회 프레임(5)의 앞부분 좌측으로서 운전석(6)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 컨트롤 밸브(11)는, 각종 조작 기기(도시하지 않음)의 조작에 따라, 유압 펌프(9)로부터 유압 셔블(1)에 탑재된 유압 액추에이터에 대한 압유(壓油)의 급배(給排; supply discharge)를 제어하는 것이다.
카운터 웨이트(12)는, 엔진(8)의 뒤쪽에 위치하여 선회 프레임(5)의 후단부에 장착되어 있다(도 1 참조). 이 카운터 웨이트(12)는, 작업 장치(4)와의 중량 밸런스를 유지함으로써,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엔진(8)의 뒤쪽에 배치되고, 상부 선회체(3)의 선회 반경(R) 내에 들어가도록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으로 원호형으로 연장되는 철(凸) 만곡 형상을 이루고 있다.
스윙 포스트(13)는, 선회 프레임(5)의 지지 브래킷(5F)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스윙 포스트(13)는, 예를 들면, 주조(鑄造) 등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지지 브래킷(5F)에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핀 결합되어 있다. 이 스윙 포스트(13)는, 작업 장치(4)를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며, 상기 스윙 포스트(13)에는, 붐(4A)의 기단부(基端部)와 붐 실린더(4D)의 보텀측이 장착되어 있다.
부호 "14"는 선회 프레임(5)과 스윙 포스트(13)와의 사이에 설치된 스윙 실린더를 나타내고, 상기 스윙 실린더(14)는, 선회 프레임(5)의 우측 세로판(5C)보다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의 외측(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스윙 실린더(14)는, 튜브(14A)와, 상기 튜브(14A) 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피스톤(도시하지 않음)과, 기단측(基端側)이 피스톤에 장착되고 선단측이 튜브(14A)의 외부로 돌출된 로드(14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윙 실린더(14)는, 우측 세로판(5C)의 외측면을 따라 전방향 및 후방향으로 연장되고, 튜브(14A)의 보텀측이, 선회 프레임(5)에 회동 가능하게 핀 결합되고, 로드(14B)의 선단측이, 스윙 포스트(13)의 우측면 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스윙 실린더(14)를 신축시킴으로써, 스윙 포스트(13)는, 지지 브래킷(5F)과의 핀 결합부를 중심으로 하여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으로 요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상부 선회체(3)의 선회 프레임(5) 상에 설치된 작동유 탱크(15)와 연료 탱크(16)에 대하여 설명한다.
부호 "15"는 스윙 실린더(14)의 근방이고, 또한 엔진(8)의 앞쪽에 위치하여 선회 프레임(5) 상에 탑재된 작동유 탱크를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작동유 탱크(15)는, 선회 프레임(5)의 우측 빔(5H, 5I)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작동유 탱크(15)는, 유압 펌프(9)로부터 작업 장치(4)의 각 실린더(4D, 4E, 4F), 스윙 실린더(14), 선회 모터, 주행 모터(모두 도시하지 않음) 등의 유압 액추에이터에 공급되는 작동유를 저장하는 것이다. 여기서, 작동유 탱크(15)는, 유압 펌프(9)를 향해 효율적으로 작동유를 공급할 수 있도록 내부에 압력을 작용시키고 있다. 그러므로, 작동유 탱크(15)는, 예를 들면, 강판 등을 사용하여 큰 강도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즉, 도 4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동유 탱크(15)는, 전면판(前面板)(15A), 후면판(後面板)(15B), 좌측면판(15C), 우측면판(15D), 상면판(15E) 및 바닥면 판(15F)에 의해, 전방향 및 후방향으로 편평하게 상하 방향으로 장척(長尺)의 직육면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작동유 탱크(15)의 높이 치수는, 후술하는 연료 탱크(16)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작동유 탱크(15)의 상부 위치, 즉 전면판(15A)의 상단측에는, 후술하는 연료 탱크(16)의 상면부(16E)보다 높은 위치에, 판형의 나사 시트(15G)가 용접 등의 수단을 사용하여 고착되어 있다. 이 나사 시트(15G)는, 후술하는 연결 부재(21)를 장착하기 위한 것이다. 작동유 탱크(15)의 우측면판(15D)의 하단부에는, 단면(斷面) U자형으로 절곡된 판체로 이루어지는 걸림 부재(15H)가 용접 등의 수단을 사용하여 고착되어 있다. 이 걸림 부재(15H)는, 후술하는 가로 구속구(25)의 후단측을 걸기 위한 것이다.
부호 "16"은 작동유 탱크(15)의 앞쪽에 인접하여 선회 프레임(5) 상에 탑재된 연료 탱크를 나타내고 있다. 연료 탱크(16)는, 작동유 탱크(15)와 함께 스윙 실린더(14)를 따르게 하여 전방향 및 후방향에 배치되고, 연료 탱크(16) 내에는, 엔진(8)에 공급되는 연료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연료 탱크(16)는, 예를 들면, 수지 재료를 사용하여 이형(異形)의 용기로서 형성되어 있다. 즉, 연료 탱크(16)는, 전면부(16A), 후면부(16B), 좌측면부(16C), 우측면부(16D), 상면부(16E), 깊은 바닥부(16F), 얕은 바닥부(16G) 및 단차면부(段差面部)(16H)에 의해 구성되며, 선회 프레임(5)의 우측 빔(5G, 5H) 및 후술하는 장착 부재(17)에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료 탱크(16)의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의 외측으로 되는 우측면부(16D)는, 상부 선회체(3)의 선회 중심(O)을 중심으로 한 선회 반경(R)의 가상원(C) 내에 들어가도록, 위쪽으로부터 보아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료 탱크(16)의 상면부(16E)는, 작동유 탱크(15)와 연료 탱크(16)를 선회 프레임(5)에 탑재한 상태에서, 작동유 탱크(15)의 상면판(15E)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연료 탱크(16)의 상면부(16E)는, 작동유 탱크(15)의 전면판(15A)에 설치된 나사 시트(15G)보다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료 탱크(16)의 바닥면은, 그 우측 부분이 깊은 바닥부(16F)로 되고, 좌측 부분이 얕은 바닥부(16G)로 되어 있다. 깊은 바닥부(16F)의 좌측단 측과 얕은 바닥부(16G)의 우측단 측과의 사이에는, 단차면부(16H)가 형성되어 있다. 단차면부(16H)의 높이 치수는, 후술하는 장착 부재(17)의 세로판부(17A)의 높이 치수와 거의 같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연료 탱크(16)의 바닥면은, 깊은 바닥부(16F)와 얕은 바닥부(16G)에 의해 계단식 형상으로 하여 형성되고, 깊은 바닥부(16F)는, 선회 프레임(5)의 우측 빔(5G, 5H) 상에 탑재되고, 얕은 바닥부(16G)는, 장착 부재(17)의 가로판부(17B) 상에 탑재되어 있다. 단차면부(16H)는, 장착 부재(17)의 세로판부(17A)와 맞닿아 있다. 따라서, 연료 탱크(16)는, 얕은 바닥부(16G)를 스윙 실린더(14) 상에 배치함으로써, 스윙 실린더(14)의 위쪽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선회 프레임(5) 상에 탑재되어 있다.
연료 탱크(16)의 전면부(16A)의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의 중앙부에는, 세로 홈부(18)가 형성되어 있다. 이 세로 홈부(18)는, 상면부(16E)와 얕은 바닥부(16G)와의 사이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술하는 벨트 부재(22)의 벨트부(22A)를 위치결정하는 것이다. 한편, 연료 탱크(16)의 우측면부(16D)의 하단측에는, 가로 홈부(19)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가로 홈부(19)는, 후면부(16B)와 단차면부(16H)와의 사이를 전방향 및 후방향 및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수평 방향)으로 연장하고, 후술하는 가로 구속구(25)의 벨트 부재(25A)를 위치결정하는 것이다.
다음에, 부호 "17"은 선회 프레임(5)의 앞부분 우측에 설치된 장착 부재를 나타내고, 이 장착 부재(17)는, 지지 브래킷(5F)의 근방에 위치하여, 선회 프레임(5)의 우측 빔(5G)과 우측 세로판(5C)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장착 부재(17)는, 연료 탱크(16)의 하측에 위치하여, 스윙 실린더(14)의 일부[로드(14B) 측]를 걸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장착 부재(17)는, 선회 프레임(5)의 우측 빔(5G)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상승 세로판부(17A)와, 상기 세로판부(17A)의 상단으로부터 스윙 실린더(14)의 위쪽을 통하여 우측 세로판(5C) 측으로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판부(17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즉, 장착 부재(17)는, 세로판부(17A)와 가로판부(17B)에 의해 역 L자형으로 형성되고, 세로판부(17A)의 하단부가 선회 프레임(5)의 우측 빔(5G)에 고착되고, 가로판부(17B)의 좌단부가 우측 세로판(5C)에 고착되어 있다. 따라서, 장착 부재(17)는, 스윙 실린더(14)의 로드(14B)를 에워싸도록 걸쳐져 있다. 이로써, 스윙 실린더(14)가, 선회 프레임(5)과의 핀 결합부(도시하지 않음)를 중심으로 하여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으로 요동할 때, 로드(14B)의 이동 경로가, 장착 부재(17)에 의해 확보된다.
세로판부(17A)의 전방 상단측에는, 후술하는 세로 구속구(20)의 하단측을 거는 걸림공(17C)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공(17C)의 하측에는, 후술하는 가로 구속구(25)의 수나사부(25C)가 삽통(揷通)되는 나사부 삽통공(揷通孔)(17D)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걸림공(17C)과 나사부 삽통공(17D)은, 장착 부재(17) 상에 연료 탱크(16)의 얕은 바닥부(16G)를 탑재했을 때, 연료 탱크(16)의 전면부(16A)에 형성된 세로 홈부(18)의 바닥부, 및 가로 홈부(19)의 바닥부보다 앞쪽에 위치하는 것이다.
다음에, 연료 탱크(16)를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세로 구속구(20)와 가로 구속구(25)에 대하여,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부호 "20"은 작동유 탱크(15)의 상부 위치와 장착 부재(17)와의 사이에 설치된 세로 구속구를 나타내고 있다. 세로 구속구(20)는, 연료 탱크(16)의 전방향 및 후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것이다. 이 세로 구속구(20)는, 후술하는 연결 부재(21)와 벨트 부재(22)가 연결되는 것에 의해 일체물로서 구성되어 있다.
연결 부재(21)는, 작동유 탱크(15)의 전면판(15A)에 장착되는 것이며, 상기 연결 부재(21)는, 예를 들면, 금속제의 판상체를 절곡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 연결 부재(21)는, 연료 탱크(16)의 상면부(16E)보다 상측에 위치하여 작동유 탱크(15)의 나사 시트(15G)에 장착되는 것이다. 여기서, 연결 부재(21)는, 전방향 및 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판형의 평판부(21A)와, 상기 평판부(21A)의 전단측으로부터 위쪽으로 굴곡된 전판부(前板部)(21B)와, 상기 평판부(21A)의 후단측으로부터 위쪽으로 굴곡된 후판부(後板部)(21C)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연결 부재(21)는, 전체로서 L자형을 이루고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판부(21B)에는, 후술하는 벨트 부재(22)의 수나사부(22C)가 삽통되는 1개의 나사부 삽통공(21B1)이 형성되고, 후판부(21C)에는, 후술하는 볼트(24)가 삽통되는 복수 개의 볼트 삽통공(21C1)이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벨트 부재(22)는, 예를 들면, 금속제 또는 수지제의 장척의 판체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벨트 부재(22)는, 상단측이 연결 부재(21)에 연결되는 동시에 하단측이 장착 부재(17)에 장착되어 있다. 이 벨트 부재(22)는, 연료 탱크(16)의 전면부(16A)와 맞닿는 것에 의해, 연료 탱크(16)의 전방향 및 후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것이다. 여기서, 벨트 부재(22)는, 연료 탱크(16)의 전면부(16A)에 형성된 세로 홈부(18)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벨트부(22A)와, 상기 벨트부(22A)의 하단측에 고착하여 설치되고, 하단부가 J자형으로 굴곡된 걸림 훅(22B)과, 상기 벨트부(22A)의 상단측에 고착하여 형성된 수나사부(22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벨트 부재(22)의 수나사부(22C)는, 연결 부재(21)의 전판부(21B)에 형성된 나사부 삽통공(21B1)에 삽통되고, 상기 수나사부(22C)에는 너트(23)가 나사장착된다. 이로써, 연결 부재(21)와 벨트 부재(22)가 일체물로 된 세로 구속구(20)가 형성된다. 연결 부재(21)의 후판부(21C)에 형성된 볼트 삽통공(21C1)에는, 볼트(24)가 삽통되고, 이 볼트(24)는 작동유 탱크(15)의 나사 시트(15G)에 나사장착된다. 이로써, 연결 부재(21)의 후판부(21C)는, 작동유 탱크(15)의 전면판(15A)의 상부 위치에 고정되고, 연결 부재(21)의 평판부(21A)를 연료 탱크(16)의 상면부(16E)와 맞닿게 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벨트 부재(22)의 걸림 훅(22B)을, 장착 부재(17)의 세로판부(17A)에 형성된 걸림공(17C)에 건다. 한편, 벨트 부재(22)의 벨트부(22A)를, 연료 탱크(16)의 세로 홈부(18)를 따라 배치한 후, 벨트 부재(22)의 수나사부(22C)에 나사장착한 너트(23)를 체결한다. 이로써, 연결 부재(21)와 벨트 부재(22)는 일체화되어 연결 부재(21)의 평판부(21A)를, 연료 탱크(16)의 상면부(16E)와 맞닿게 할 수 있다. 또한, 벨트 부재(22)의 벨트부(22A)를, 적절한 체결력을 가지는 연료 탱크(16)의 전면부(16A)와 맞닿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료 탱크(16)를 선회 프레임(5), 작동유 탱크(15)에 가압함으로써, 연료 탱크(16)의 상하 방향과 전방향 및 후방향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가로 구속구(25)는, 예를 들면, 금속제 또는 수지제의 장척의 판체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가로 구속구(25)는, 작동유 탱크(15)의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의 외측으로 되는 우측면판(15D)과 장착 부재(17)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 가로 구속구(25)는, 연료 탱크(16)의 우측면부(16D)와 맞닿는 것에 의해, 연료 탱크(16)의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것이다. 여기서, 가로 구속구(25)는, 연료 탱크(16)의 전면부(16A) 및 우측면부(16D)에 형성된 가로 홈부(19)를 따라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 및 전방향 및 후방향(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벨트 부재(25A)와 상기 벨트 부재(25A)의 후단측에 고착하여 설치되고, 후단부가 J자형으로 굴곡된 걸림 훅(25B)과, 상기 벨트 부재(25A)의 전단측에 고착하여 형성된 수나사부(25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로 구속구(25)의 걸림 훅(25B)은, 작동유 탱크(15)의 우측면판(15D)의 하단측에 설치된 걸림 부재(15H)에 걸리고, 벨트 부재(25A)는, 연료 탱크(16)의 가로 홈부(19)를 따라 배치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로 구속구(25)의 수나사부(25C)는, 장착 부재(17)의 세로판부(17A)에 형성된 나사부 삽통공(17D)에 삽통되고, 상기 수나사부(25C)에는 너트(26)가 체결된다. 이로써, 가로 구속구(25)의 벨트 부재(25A)를, 적절한 체결력을 가지는 연료 탱크(16)의 우측면부(16D)와 맞닿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료 탱크(16)를 장착 부재(17)의 세로판부(17A)에 가압함으로써, 연료 탱크(16)의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과 전방향 및 후방향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유압 셔블(1)은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것이며,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사용하는 연료 탱크(16)를 장착하는 작업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연료 탱크(16)를, 작동유 탱크(15)보다 앞쪽의 위치에서 선회 프레임(5) 상에 탑재한다. 여기서, 연료 탱크(16)의 바닥면은, 깊은 바닥부(16F)와 얕은 바닥부(16G)에 의해 계단식 바닥면 형상을 이루고 있으므로, 깊은 바닥부(16F)는, 선회 프레임(5)의 우측 빔(5G, 5H) 상에 탑재한다. 한편, 얕은 바닥부(16G)는, 선회 프레임(5)의 우측 빔(5G)과 우측 세로판(5C)과의 사이에 설치된 장착 부재(17)의 가로판부(17B) 상에 탑재한다. 이 경우, 가로판부(17B)의 하측 공간에는, 스윙 실린더(14)가 설치되어 있다. 이로써, 스윙 실린더(14)의 상측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용량이 큰 연료 탱크(16)를 좁은 선회 프레임(5) 상에 배치할 수 있다.
다음에, 세로 구속구(20)와 가로 구속구(25)를 사용하여 연료 탱크(16)를 고정시킨다. 먼저, 벨트 부재(22)의 수나사부(22C)를, 연결 부재(21)의 전판부(21B)에 형성된 나사부 삽통공(21B1)에 삽통한다. 이 상태에서, 수나사부(22C)에 너트(23)를 나사장착함으로써, 연결 부재(21)와 벨트 부재(22)를 연결하여 세로 구속구(20)를 형성한다. 한편, 연결 부재(21)의 후판부(21C)에 형성한 볼트 삽통공(21C1)에 볼트(24)를 삽통하고, 이 볼트(24)를 작동유 탱크(15)의 나사 시트(15G)에 나사장착한다. 이로써, 연결 부재(21)의 후판부(21C)가, 작동유 탱크(15)의 전면판(15A)에 고정되고, 연결 부재(21)의 평판부(21A)를, 연료 탱크(16)의 상면부(16E)와 맞닿게 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벨트 부재(22)의 걸림 훅(22B)을, 장착 부재(17)의 세로판부(17A)에 형성된 걸림공(17C)에 건다. 벨트 부재(22)의 벨트부(22A)를, 연료 탱크(16)의 세로 홈부(18)를 따라 배치하고, 벨트 부재(22)의 수나사부(22C)에 나사장착한 너트(23)를 체결한다. 이로써, 연결 부재(21)의 평판부(21A)를, 연료 탱크(16)의 상면부(16E)에 접촉시키는 동시에, 벨트 부재(22)의 벨트부(22A)를, 적절한 체결력을 가지는 연료 탱크(16)의 전면부(16A)와 맞닿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연료 탱크(16)를, 선회 프레임(5), 작동유 탱크(15)에 가압됨으로써, 연료 탱크(16) 상하 방향과 전방향 및 후방향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다음에, 가로 구속구(25)의 걸림 훅(25B)을, 작동유 탱크(15)의 우측면판(15D)의 하단측에 설치된 걸림 부재(15H)에 걸고, 가로 구속구(25)의 벨트 부재(25A)를 연료 탱크(16)의 가로 홈부(19)를 따라 배치한다. 한편, 가로 구속구(25)의 수나사부(25C)를, 장착 부재(17)의 세로판부(17A)에 형성된 나사부 삽통공(17D)에 삽통하고, 상기 수나사부(25C)에 나사장착한 너트(26)를 체결한다. 이로써, 가로 구속구(25)의 벨트 부재(25A)를, 적절한 체결력을 가지는 연료 탱크(16)의 우측면부(16D)와 맞닿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연료 탱크(16)를, 장착 부재(17)의 세로판부(17A)에 가압됨으로써, 연료 탱크(16)의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과 전방향 및 후방향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연료 탱크(16)를, 세로 구속구(20)와 가로 구속구(25)에 의해, 수평 방향(전방향 및 후방향 및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과 수직 방향(상하 방향)의 2방향(구체적으로는, 전방향 및 후방향,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 상하 방향의 3축 방향)으로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유압 셔블(1)의 주행 시나 작업 시의 진동에 의해, 연료 탱크(16)가 선회 프레임(5)에 대하여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어, 연료 탱크(16)가 어긋나 주위의 탑재 기기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연료 탱크(16)와 주위의 탑재 기기와의 사이의 클리어런스를 작게 설정할 수 있어, 그만큼, 연료 탱크(16)의 용량을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세로 구속구(20)의 일단측에 형성된 걸림 훅(22B)을 장착 부재(17)의 걸림공(17C)에 걸고, 타단측에 형성된 수나사부(22C)를, 연결 부재(21)의 전판부(21B)에 고정하고 있다. 한편, 가로 구속구(25)의 일단측에 형성된 걸림 훅(25B)을 작동유 탱크(15)의 걸림 부재(15H)에 걸고, 타단측에 형성된 수나사부(25C)를 장착 부재(17)의 세로판부(17A)에 고정하고 있다. 이로써, 스윙 실린더(14)의 유지보수 시에, 연료 탱크(16)를 선회 프레임(5) 상으로부터 분리해 내는 경우에는, 용이하게 세로 구속구(20)와 가로 구속구(25)를 착탈할 수 있어, 연료 탱크(16)의 장착, 분리 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장착 부재(17)의 세로판부(17A)에 형성된 걸림공(17C)과 나사부 삽통공(17D)이, 연료 탱크(16)의 전면부(16A)에 형성된 세로 홈부(18)의 바닥부와 가로 홈부(19)의 바닥부보다 앞쪽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장착 부재(17)의 세로판부(17A)에 걸림공(17C)과 가로 구속구(25)의 나사부 삽통공(17D)을 형성하고, 걸림공(17C)에는 세로 구속구(20)의 걸림 훅(22B)을 걸고, 나사부 삽통공(17D)에는 가로 구속구(25)의 수나사부(25C)를 삽통할 수 있다. 이 결과, 2개의 구속구[세로 구속구(20)와 가로 구속구(25)]를 동일한 부재인 장착 부재(17)에 고정함으로써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작동유 탱크(15)의 전면 상부 위치, 즉 전면판(15A)의 상단측에 나사 시트(15G)를 설치하고, 세로 구속구(20)의 연결 부재(21)를, 나사 시트(15G)를 통하여 작동유 탱크(15)의 전면 상부 위치에 장착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낸 변형예와 같이, 세로 구속구(20´)의 연결 부재(21´)를, 작동유 탱크(15)의 상면 앞부분 위치에 장착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작동유 탱크(15)의 상면판(15E)의 전단측에 나사 시트(15G´)를 고착한다. 한편, 세로 구속구(20´)는, 연결 부재(21´)와 벨트 부재(22)에 의해 구성한다. 연결 부재(21´)는, 전방향 및 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판부(21A´)와 평판부(21A´)의 전단측으로부터 위쪽으로 굴곡된 전판부(21B´)와, 평판부(21A´)의 후단측으로부터 위쪽으로 굴곡된 후판부(21C´)와, 후판부(21C´)의 상단측으로부터 후방으로 굴곡된 후평판부(後平板部)(21D´)에 의해 구성한다. 전판부(21B´)에는, 벨트 부재(22)의 수나사부(22C)가 삽통되는 1개의 나사부 삽통공(21B1´)을 형성하고, 후평판부(21D´)에는, 볼트(24)가 삽통되는 복수의 볼트 삽통공(21D1´)을 형성한다.
따라서, 연결 부재(21´)의 후평판부(21D´)에 형성한 볼트 삽통공(21D1´)에 볼트(24)를 삽통하고, 이 볼트(24)를 작동유 탱크(15)의 나사 시트(15G´)에 나사장착함으로써, 세로 구속구(20´)의 연결 부재(21´)를 작동유 탱크(15)의 상면 앞부분 위치에 장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해도,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세로 구속구(20)의 하단측에 형성된 걸림 훅(22B)을, 장착 부재(17)의 세로판부(17A)에 형성된 걸림공(17C)에 걸고, 상단측에 형성된 수나사부(22C)를 연결 부재(21)의 전판부(21B)에 고정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걸림 훅(22B)을 연결 부재(21)에 걸고, 수나사부(22C)를 장착 부재(17)에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가로 구속구(25)의 걸림 훅(25B)을 장착 부재(17)에 걸고, 수나사부(25C)를 작동유 탱크(15)의 우측면판(15D)에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선회 프레임(5)을 구성하는 좌측의 세로판(5B) 및 우측의 세로판(5C)과 지지 브래킷(5F)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좌측에 캡(7)이 탑재되고, 우측에 스윙 실린더(14), 작동유 탱크(15), 연료 탱크(16)가 탑재된 유압 셔블(1)을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는 반대로, 좌측의 세로판(5B) 및 우측의 세로판(5C)과 지지 브래킷(5F)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좌측에 스윙 실린더(14), 작동유 탱크(15), 연료 탱크(16)가 탑재되고, 우측에 캡(7)이 탑재된 유압 셔블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운전석(6)의 주위를 캡(7)에 의해 덮는 캡 식의 유압 셔블(1)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바꾸어, 운전석(6)의 상측을 캐노피에 의해 덮는 캐노피식의 유압 셔블에 적용해도 된다.
1: 유압 셔블(건설 기계)
2: 하부 주행체
3: 상부 선회체
4: 작업 장치
5: 선회 프레임
5A: 바닥판
5B: 좌측 세로판
5C: 우측 세로판
5F: 지지 브래킷
8: 엔진
9: 유압 펌프
12: 카운터 웨이트
13: 스윙 포스트
14: 스윙 실린더
15: 작동유 탱크
15D: 우측면판
15E: 상면판
16: 연료 탱크
16A: 전면부
16D: 우측면부
16E: 상면부
16F: 깊은 바닥부
16G: 얕은 바닥부
17: 장착 부재
17A: 세로판부
17B: 가로판부
20, 20´: 세로 구속구
21, 21´: 연결 부재
22: 벨트 부재
22A: 벨트부
22B: 걸림 훅
22C: 수나사부
23, 26: 너트
24: 볼트
25: 가로 구속구
25A: 벨트 부재
25B: 걸림 훅
25C: 수나사부

Claims (6)

  1. 하부 주행체;
    상기 하부 주행체 상에 선회(旋回)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旋回體);
    상기 상부 선회체의 앞쪽에 부앙동(俯仰動) 가능하게 설치된 작업 장치; 및
    상기 작업 장치와 균형을 이루도록 하기 위해 상기 상부 선회체의 뒤쪽에 설치된 카운터 웨이트(counter weight);
    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선회체는,
    지지 구조체를 형성하고 전단(前端)에 지지 브래킷이 설치된 선회 프레임;
    상기 카운터 웨이트의 앞쪽에 위치하여 상기 선회 프레임 상에 탑재된 엔진;
    상기 선회 프레임의 상기 지지 브래킷에 설치되어 상기 작업 장치를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으로 요동(搖動)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윙 포스트;
    상기 스윙 포스트와 상기 선회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스윙 포스트를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으로 요동시키는 스윙 실린더;
    상기 스윙 실린더의 근방이고, 또한 상기 엔진의 앞쪽에 위치하여 상기 선회 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유압 액추에이터에 공급되는 작동유를 저장하는 작동유 탱크; 및
    상기 작동유 탱크의 앞쪽에 위치하여 상기 선회 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상기 엔진에 공급되는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 탱크;를 포함하는 건설 기계에 있어서,
    상기 선회 프레임에는, 상기 연료 탱크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상기 스윙 실린더의 일부를 걸치는 장착 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작동유 탱크의 상부 위치와 상기 장착 부재 사이에는, 상기 연료 탱크를 전방향 및 후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구속(拘束)하는 세로 구속구를 착탈(着脫)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작동유 탱크의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의 외측의 측면부와 상기 장착 부재 사이에는, 상기 연료 탱크를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으로 구속하는 가로 구속구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장착 부재에는, 상기 세로 구속구의 하단측과 상기 가로 구속구의 전단측이 설치되는,
    건설 기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선회체는, 바닥판과 좌측의 세로판 및 우측의 세로판에 의해 상기 선회 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좌측의 세로판 및 우측의 세로판의 전단에 상기 스윙 포스트를 지지하는 상기 지지 브래킷을 설치하고,
    상기 스윙 실린더는 상기 좌측의 세로판 및 우측의 세로판 중 한쪽의 우측의 세로판보다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여 설치되고,
    상기 작동유 탱크와 상기 연료 탱크는, 상기 스윙 실린더를 따르게 하여 전방향 및 후방향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탱크의 상면은 상기 작동유 탱크의 상면보다 낮게 형성되고,
    상기 세로 구속구는, 상기 연료 탱크의 상면보다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작동유 탱크에 장착되는 연결 부재와, 상단측이 상기 연결 부재에 연결되는 동시에 하단측이 상기 장착 부재에 장착되고 상기 연료 탱크의 전면(前面)과 맞닿는 제1 벨트 부재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가로 구속구는, 전단측이 상기 장착 부재에 장착되는 동시에 후단측이 상기 작동유 탱크의 외측의 측면부에 장착되고 상기 연료 탱크의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의 외측의 측면부와 맞닿는 제2 벨트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유 탱크에 장착되는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작동유 탱크의 전면의 상부 위치 및 상면의 앞부분 위치 중 어느 한쪽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탱크는, 상기 연료 탱크의 바닥면을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의 외측의 깊은 바닥부와 내측의 얕은 바닥부를 가지는 계단식 바닥면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장착 부재는, 상기 스윙 실린더를 에워싸는 세로판부와 상기 세로판부의 상단을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으로 연결하는 가로판부로 이루어지는 역 L자형으로 구성하고,
    상기 장착 부재의 가로판부에는, 상기 연료 탱크의 얕은 바닥부를 탑재하고, 상기 세로판부에는, 상기 세로 구속구의 하단측과 상기 가로 구속구의 전단측을 장착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선회체는, 상기 하부 주행체에 대한 선회 중심과 상기 카운터 웨이트 사이를 선회 반경으로 하는 후방 소(小)선회형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연료 탱크는, 외측의 측면부가 상기 선회 반경에 들어가도록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
KR1020137027311A 2011-08-09 2012-07-10 건설 기계 KR1018703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73933 2011-08-09
JP2011173933 2011-08-09
PCT/JP2012/067553 WO2013021768A1 (ja) 2011-08-09 2012-07-10 建設機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7480A KR20140057480A (ko) 2014-05-13
KR101870305B1 true KR101870305B1 (ko) 2018-06-22

Family

ID=47668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7311A KR101870305B1 (ko) 2011-08-09 2012-07-10 건설 기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998234B2 (ko)
EP (1) EP2743407B1 (ko)
JP (1) JP5789302B2 (ko)
KR (1) KR101870305B1 (ko)
CN (1) CN103703190B (ko)
WO (1) WO20130217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28588B2 (ja) * 2013-01-22 2016-11-16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
WO2016038905A1 (ja) 2015-02-23 2016-03-17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油圧ショベル
JP6479647B2 (ja) * 2015-12-17 2019-03-06 株式会社日立建機ティエラ 小型の建設機械
JP6560640B2 (ja) * 2016-04-20 2019-08-14 株式会社日立建機ティエラ 小型油圧ショベル
CN106042907A (zh) * 2016-07-08 2016-10-26 美通重工有限公司 一种隐藏式油箱安装装置
JP6964612B2 (ja) * 2019-01-25 2021-11-10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GB2591277B (en) * 2020-01-24 2024-04-10 Bamford Excavators Ltd A superstructure
CN214092491U (zh) * 2020-12-30 2021-08-31 三一汽车制造有限公司 转塔结构和作业机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1224A (ja) * 2000-08-24 2002-02-28 Hitachi Constr Mach Co Ltd 旋回式建設機械
JP2003064724A (ja) * 2001-08-28 2003-03-05 Kubota Corp 旋回作業機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9355Y2 (ja) * 1992-03-12 1998-01-14 小松ゼノア株式会社 燃料タンクの取付装置
JPH09151483A (ja) * 1995-11-22 1997-06-10 Kubota Corp 油圧ショベルの燃料タンク取付構造
JP2001059237A (ja) * 1999-08-20 2001-03-06 Hitachi Constr Mach Co Ltd 旋回式建設機械
JP2001288778A (ja) * 2000-04-10 2001-10-19 Komatsu Ltd 建設機械
JP4084244B2 (ja) 2003-06-10 2008-04-30 株式会社バンザイ ホイールバランサー用ホイール装着装置
JP4188783B2 (ja) * 2003-09-08 2008-11-26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旋回フレーム
JP2008183967A (ja) * 2007-01-29 2008-08-14 Komatsu Ltd 建設機械用樹脂製タンク
JP4941089B2 (ja) * 2007-05-15 2012-05-30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上部旋回体及びこれを備えた建設機械
JP5562777B2 (ja) * 2010-09-16 2014-07-30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1224A (ja) * 2000-08-24 2002-02-28 Hitachi Constr Mach Co Ltd 旋回式建設機械
JP2003064724A (ja) * 2001-08-28 2003-03-05 Kubota Corp 旋回作業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703190A (zh) 2014-04-02
EP2743407A4 (en) 2015-03-25
WO2013021768A1 (ja) 2013-02-14
US20140017054A1 (en) 2014-01-16
JP5789302B2 (ja) 2015-10-07
US8998234B2 (en) 2015-04-07
JPWO2013021768A1 (ja) 2015-03-05
CN103703190B (zh) 2016-02-24
KR20140057480A (ko) 2014-05-13
EP2743407B1 (en) 2016-03-30
EP2743407A1 (en) 2014-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0305B1 (ko) 건설 기계
US10161107B2 (en) Construction machine
JP5301480B2 (ja) 建設機械
JP6583883B2 (ja) 作業機械
US20150056052A1 (en) Construction machine
US9227510B2 (en) Fuel tank affixing structure for construction machine
US20160152131A1 (en) Construction Machine
WO2012124658A1 (ja) 建設機械の作動油タンク取り付け構造
JP6064773B2 (ja) 油圧ホース配設構造
JP4199173B2 (ja) 旋回式建設機械
US20060158006A1 (en) Construction machine and projecting object of the same
EP2913444A1 (en) Construction machinery
JP2008201328A (ja) トラクタの後作業機装着フレーム構造。
JP6560640B2 (ja) 小型油圧ショベル
CN110226009B (zh) 液压挖掘机
JP2011052455A (ja) 建設機械
US20140353058A1 (en) Vehicle
KR100938946B1 (ko) 프론트 로더 및 이를 구비한 로더 작업기
JP2009274630A (ja) クローラ式走行装置の張力調整装置
JP6908567B2 (ja) 建設機械
JP2011111023A (ja) 作業車両の燃料タンク
JP2010058616A (ja) アンダーガード
JP2010070939A (ja) 建設機械
JP5685556B2 (ja) ホイールローダおよび作業機械のタンク
JP6118274B2 (ja) ミニショベ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