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6883B1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6883B1
KR101706883B1 KR1020157020910A KR20157020910A KR101706883B1 KR 101706883 B1 KR101706883 B1 KR 101706883B1 KR 1020157020910 A KR1020157020910 A KR 1020157020910A KR 20157020910 A KR20157020910 A KR 20157020910A KR 101706883 B1 KR101706883 B1 KR 101706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emergency stop
elevator car
overspeed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0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4787A (ko
Inventor
겐이치 오카모토
요시카츠 하야시
미네오 오카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94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47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6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6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B66B5/06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Abstract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현가수단에 의해 엘리베이터칸이 매달려 있다. 브레이크 장치는 현가수단을 통하여 엘리베이터칸에 제동력을 작용시킨다. 과대속도 감시부에는 엘리베이터칸 위치에 따라 변화하는 과대속도 검출레벨이 설정되어 있다. 과대속도 감시부는 엘리베이터칸 속도가 과대속도 검출레벨에 이르면 상기 브레이크 장치를 제동 동작시킨다. 이상 가속도 검출기구는 미리 설정된 설정값을 넘는 가속도가 엘리베이터칸에 발생했을 경우에, 비상멈춤장치를 작동시킨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DEVICE}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칸 위치에 따라 변화하는 과대(過大)속도 검출레벨이 과대속도 감시부에 설정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칸 완충기 및 균형추 완충기가 승강로 최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들 완충기는 승강체(엘리베이터칸 또는 균형추)를 브레이크 장치 및 비상멈춤장치에 의해서 승강로 최하부까지 제동 정지시킬 수 없었던 경우에, 승강체를 제동 정지시키는 역할을 가지고 있다. 이들 완충기에 의한 제동시의 평균 감속도를 d로 하고, 승강체가 완충기에 충돌할 때의 속도를 Vc, 감속시간을 t로 하면, 제동거리 L은 다음 식으로 나타낸다.
L = (1/2)d×t2 … (1)
여기서, 감속시간 t는 Vc-d×t = 0로부터, t = Vc/d로 하여 다음 식을 얻는다.
L = (1/2)d×t2 = (1/2)d×(Vc/d)2 = Vc2/2d … (2)
또, 평균 감속도 d에 대해서는, 제동 정지시에 엘리베이터칸 내의 승객이 받는 충격을 억제하기 위해서, 상한이 규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승강체가 완충기에 충돌하는 속도 Vc가 높아짐에 따라 제동거리 L을 길게 할 필요가 있고, 이 제동거리 이상의 완충기 스트로크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유럽 규격 EN규격(EN81-1 : 1998(10.4.3.1))에서는, 완충기 충돌속도 Vc[m/s]는 정격속도 Vr[m/s]의 115%, 평균 감속도 d[m/s2]의 상한은 중력가속도 g(= 9.81m/s2)라는 조건으로, 엘리베이터칸을 제동 정지할 만큼의 완충기 스트로크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식 (2)로부터, 완충기 스트로크 Lst[m]는 다음 식이 된다.
Lst ≥ L = Vc2/2g
= (1.152×Vr2)/(2×9.81)
≒ 0.0674Vr2[m] … (3)
또, 일본의 건축 기준법에서도, EN규격과 동일한 주지(主旨)에 의해 완충기 스트로크가 규정되어 있다.
여기서, 종래의 기계식 조속기에서는, 엘리베이터칸 속도가 제1 과대속도 검출레벨(Vos)에 이르면, 과속스위치가 조작되어, 권상기 모터로의 통전(通電)이 차단됨과 아울러, 브레이크 장치가 제동 동작된다. 이것에 의해, 구동쉬브의 회전이 제동 정지되어, 엘리베이터칸이 비상 정지된다. 또, 엘리베이터칸 속도가 제1 과대속도 검출레벨보다도 높은 제2 과대속도 검출레벨(Vtr)에 이르면, 조속기 로프가 파지(把持)되어, 비상멈춤장치가 작동된다. 이것에 의해, 제동력이 엘리베이터칸에 직접 가해져 엘리베이터칸이 비상 정지된다.
이와 같은 기계식 조속기에서는, 엘리베이터칸 속도의 2승(乘)에 비례하여 발생하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과속스위치를 조작하거나 조속기 로프를 파지하거나 하기 위해, 과대속도 검출레벨(Vos, Vtr)은 승강로 전역에서 일정하다. 이 때문에, 통상 주행시에 엘리베이터칸이 감속하는 승강로의 상하 종단부에서도, 과대속도 검출레벨(Vos, Vtr)은 정격속도 Vr을 넘는 레벨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완충기 충돌속도는 정격속도보다도 높은 속도이고, 또한, 정격속도가 높아짐에 따라서 높아지」는 것으로 하여, 완충기 스트로크를 설계할 필요가 있었다.
예를 들면, 정격속도 5m/s(300m/min), 10m/s(600m/min)인 경우의 완충기 스트로크를 식 (3)에 의해 각각 구하면, 1.685m(정격속도 5m/s), 6.74m(정격속도 10m/s)가 된다.
특히, 고속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정격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완충기 스트로크의 장대화(長大化)가 현저하게 되어, 이것에 수반하는 승강로 스페이스의 증대가 문제였다.
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서, 종단층 강제감속장치가 종래 인정되고 있다. 종단층 강제감속장치에는, 통상 주행시에 엘리베이터칸이 감속하는 승강로 종단부에서 단계적으로 낮아지는 과대속도 검출레벨(Vets)이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승강로 종단부에서 엘리베이터칸의 이상(異常)속도를 조기에 검출할 수 있어, 완충기 충돌속도를 저감하여, 완충기 스트로크를 단축할 수 있다.
또, 최근, 과대속도 검출레벨(Vets)을 연속하여(무단계로) 낮게 하는 기술도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종단층 강제감속장치에서는, 이상속도가 검출되었을 경우에, 브레이크 장치에 의해 엘리베이터칸을 비상 정지시키고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칸과 균형추를 매달고 있는 메인로프가 만일 모두 파단했을 경우에는, 브레이크 장치의 제동력이 엘리베이터칸에 작용하지 않고, 엘리베이터칸 속도가 기계식 조속기에서의 제2 과대속도 검출레벨(Vtr)에 이르러 비상멈춤장치가 작동될 때까지 엘리베이터칸이 감속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종래의 종단층 강제감속장치를 적용하여, 완충기 스트로크를 단축하는 경우에서도, 표준적인 완충기 스트로크에 대한 단축율은 제한되어 있으며, 또, 정격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완충기 스트로크도 길어진다고 하는 관계는 변함없다.
예를 들면, 유럽 규격 EN81-1 : 1998에서는, 정격속도 4m/s를 넘는 고속 엘리베이터에 종단층 강제감속장치를 적용했을 경우, 완충기 스트로크를 표준적인 스트로크의 1/3까지 단축하는 것이 인정되고 있다. 즉, 식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준의 완충기 스트로크는 0.0674Vr2이지만, 종단층 강제감속장치를 적용했을 경우에는, 완충기 스트로크는 0.0674Vr2/3 이상이 된다.
메인로프의 파단이라는 문제에 관해서는, 메인로프가 1개라도 파단한 시점에서 엘리베이터 장치의 운전을 휴지하는 등의 대책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또한, 메인로프의 파단을 검출하여 비상멈춤장치를 작동시키는 기술도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특허문헌 1)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 제4575076호 공보
(특허문헌 2) [특허문헌 2] 일본국 특허 제4292203호 공보
최근, 건물의 고층화에 수반하여 엘리베이터의 고속화가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종래의 종단층 강제감속장치를 적용해도, 완충기 스트로크가 수 m가 되어, 「완충기 스트로크의 새로운 단축」이 요구되고 있다. 이것에 대해서, 특허문헌 2에 나타난 것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종단층 강제감속장치에 의해 작동되는 브레이크 장치가 메인로프 끊어짐에 의해 무효가 되었을 경우에서도, 비상멈춤장치가 즉석에서 작동되지만, 「완충기 스트로크의 가일층의 단축」을 실현하는 것은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안전성을 확보하면서, 완충기 스트로크를 충분히 단축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구동쉬브를 가지는 권상기, 구동쉬브에 감겨져 있는 현가수단, 현가수단에 의해 매달리고, 권상기에 의해 승강되는 엘리베이터칸, 현가수단을 통하여 엘리베이터칸에 제동력을 작용시키는 브레이크 장치, 엘리베이터칸 위치에 따라 변화하는 과대속도 검출레벨이 설정되어 있고, 엘리베이터칸 속도가 과대속도 검출레벨에 이르면 브레이크 장치를 제동 동작시키는 과대속도 감시부, 엘리베이터칸에 마련되어 있는 비상멈춤장치 및 미리 설정된 설정값을 넘는 가속도가 엘리베이터칸에 발생했을 경우에, 비상멈춤장치를 작동시키는 이상 가속도 검출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엘리베이터칸 위치에 따라 변화하는 과대속도 검출레벨이 과대속도 감시부에 설정되어 있고, 엘리베이터칸 속도가 과대속도 검출레벨에 이르면 과대속도 감시부에 의해 브레이크 장치가 제동 동작되며, 또, 엘리베이터칸 가속도가 설정값을 넘으면, 이상 가속도 검출기구에 의해 비상멈춤장치가 작동되므로, 현가수단이 만일 파단했을 경우에도 비상멈춤장치로 엘리베이터칸을 정지시킬 수 있어, 안전성을 확보하면서, 완충기 스트로크를 충분히 단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칸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작동레버가 요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2의 이상 가속도 검출기구에 의한 등가적인 과대속도 검출레벨과 엘리베이터칸 위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의 과대속도 검출레벨의 설정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도 1의 종단층 강제감속장치에 의한 과대속도 검출시의 긴급 제동의 거동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도 2의 이상 가속도 검출기구에 의한 과대 가속도 검출시의 긴급 제동의 거동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의 정격속도와 완충기 스트로크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도 1의 텐셔닝 쉬브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텐셔닝 쉬브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텐셔닝 쉬브보다도 두께를 늘린 텐셔닝 쉬브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텐셔닝 쉬브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9의 텐셔닝 쉬브에 플라이 휠을 추가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텐셔닝 쉬브 및 플라이 휠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엘리베이터칸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작동레버가 요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엘리베이터칸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작동레버가 요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엘리베이터칸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작동레버가 요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서, 승강로(1)의 상부에는 기계실(2)이 마련되어 있다. 기계실(2)에는 권상기(구동장치)(3), 디플렉팅 쉬브(4) 및 운행제어장치(5)가 설치되어 있다. 권상기(3)는 구동쉬브(6)와, 구동쉬브(6)를 회전시키는 권상기 모터와, 구동쉬브(6)의 회전을 제동하는 브레이크 장치(전자 브레이크)(41)를 가지고 있다.
브레이크 장치(41)는 구동쉬브(6)와 동축에 결합된 브레이크 휠(드럼 또는 디스크)과, 브레이크 휠에 접리(接離)되는 브레이크 슈와, 브레이크 슈를 브레이크 휠에 밀어붙임 제동력을 인가하는 브레이크 스프링과, 브레이크 스프링에 저항하여 브레이크 슈를 브레이크 휠로부터 개리시켜 제동력을 해제하는 전자 마그넷을 가지고 있다.
구동쉬브(6) 및 디플렉팅 쉬브(4)에는 현가수단(7)이 감겨져 있다. 현가수단(7)으로서는 복수 개의 로프 또는 복수 개의 벨트가 이용되고 있다. 현가수단(7)의 제1 단부에는 엘리베이터칸(8)이 접속되어 있다. 현가수단(7)의 제2 단부에는 균형추(9)가 접속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8) 및 균형추(9)는 현가수단(7)에 의해 승강로(1) 내에 매달려 있으며, 권상기(3)에 의해 승강로(1) 내에서 승강된다. 운행제어장치(5)는 권상기(3)의 회전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설정한 속도로 엘리베이터칸(8)을 승강시킨다.
승강로(1) 내에는 엘리베이터칸(8)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0)과, 균형추(9)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11)이 설치되어 있다. 승강로(1)의 저부에는 엘리베이터칸(8)의 승강로 저부로의 충돌을 완충하는 엘리베이터칸 완충기(12)와, 균형추(9)의 승강로 저부로의 충돌을 완충하는 균형추 완충기(13)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로(1)의 상부 종단층 부근에는 복수(여기에서는 3개)의 상부 엘리베이터칸 위치스위치(14)가 상하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승강로(1)의 하부 종단층 부근에는 복수(여기에서는 3개)의 하부 엘리베이터칸 위치스위치(15)가 상하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8)에는 엘리베이터칸 위치스위치(14, 15)를 조작하는 캠(조작부재)(16)이 장착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8)이 상부 종단층 부근에 도달하면, 캠(16)에 의해 상부 엘리베이터칸 위치스위치(14)가 조작된다. 또, 엘리베이터칸(8)이 하부 종단층 부근에 도달하면, 캠(16)에 의해 하부 엘리베이터칸 위치스위치(15)가 조작된다.
엘리베이터칸(8)의 하부에는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0)에 맞물려 엘리베이터칸(8)을 비상 정지시키는 제동장치로서의 비상멈춤장치(17)가 탑재되어 있다. 비상멈춤장치(17)로서는, 점진적 비상멈춤(gradual safety)이 이용되고 있다(일반적으로, 정격속도가 45m/min를 넘는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점진적 비상멈춤이 이용된다).
비상멈춤장치(17)는 그립퍼(gripper),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0)과 그립퍼와의 사이에 밀어넣어져 제동력을 발생하는 슬라이딩 부재 및 슬라이딩 부재를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0)과 그립퍼와의 사이에 밀어넣기 위한 작동레버(18)를 가지고 있다.
기계실(2)에는 엘리베이터칸(8)의 과속도(이상속도)를 검출하는 조속기(19)가 설치되어 있다. 조속기(19)는 조속기 쉬브, 과속도 검출스위치 및 로프 캐치 등을 가지고 있다. 조속기 쉬브에는 무단상의 조속기 로프(20)가 감겨져 있다. 조속기 로프(20)는 승강로(1) 내에 환상(環狀)으로 부설되어 있다. 조속기 로프(20)는 승강로(1)의 하부에 배치된 텐셔닝 쉬브(21)에 감겨져 있다.
또, 조속기 로프(20)는 작동레버(18)에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칸(8)이 승강되면, 조속기 로프(20)가 순환되고, 엘리베이터칸(8)의 주행속도에 따른 회전속도로 조속기 쉬브가 회전된다. 또, 실시형태 1의 질량체(22)는 조속기(19), 조속기 로프(20) 및 텐셔닝 쉬브(2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조속기(19)에서는 엘리베이터칸(8)의 주행속도가 과속도에 이르렀던 것이 기계적으로 검출된다. 조속기(19)에는 정격속도 Vr보다도 높은 제1 과대속도 검출레벨 Vos와, 제1 과대속도 검출레벨보다도 높은 제2 과대속도 검출레벨 Vtr가 설정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8)의 주행속도가 제1 과대속도 검출레벨 Vos에 이르면, 과속도 검출스위치가 조작된다. 과속도 검출스위치가 조작되면, 권상기(3)로의 급전(給電)이 차단되고, 브레이크 장치(41)에 의해 엘리베이터칸(8)이 급정지된다.
엘리베이터칸(8)의 하강속도가 제2 과대속도 검출레벨 Vtr에 이르면, 로프 캐치에 의해 조속기 로프(20)가 파지되고, 조속기 로프(20)의 순환이 정지된다. 조속기 로프(20)의 순환이 정지되면, 작동레버(18)가 조작되며, 비상멈춤장치(17)에 의해 엘리베이터칸(8)이 비상 정지된다.
조속기(19)에는 조속기 쉬브의 회전에 따른 신호를 발생하는 회전검출기(42)가 마련되어 있다. 회전검출기(42)로부터의 신호는 과대속도 감시부로서의 종단층 강제감속장치(ETS 장치)(43)에 입력된다. 종단층 강제감속장치(43)는 회전검출기(42)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칸 위치 및 엘리베이터칸 속도를 운행제어장치(5)와는 독립하여 연산한다.
종단층 강제감속장치(43)에는 엘리베이터칸 위치에 따라 변화하는 과대속도 검출레벨 Vets가 설정되어 있다. 과대속도 검출레벨 Vets는 승강로 종단부의 엘리베이터칸 감속구간 내의 위치에 대해서 무단계로 변화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종단층 강제감속장치(43)는 엘리베이터칸 속도가 과대속도 검출레벨 Vets에 이르는지를 감시하고, 엘리베이터칸 속도가 과대속도 검출레벨 Vets에 이르면 브레이크 장치(41)를 제동 동작시킨다. 또, 종단층 강제감속장치(43)는 엘리베이터칸 위치스위치(14, 15)가 캠(16)에 의해 조작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칸(8)이 종단층근방에 이른 것을 검출한다. 또, 종단층 강제감속장치(43)는 엘리베이터칸 위치스위치(14, 15)로부터 얻어지는 절대위치정보에 근거하여, 회전검출기(42)로부터 얻어지는 엘리베이터칸 위치정보를 수정한다.
종단층 강제감속장치(43)의 기능은, 예를 들면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또, 운행제어장치(5)의 기능은 종단층 강제감속장치(43)와는 다른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칸(8)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작동레버(18)의 요동축에는 비상멈춤장치(17)를 작동시키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도면의 시계방향)의 토크를 작동레버(18)에 부여하는 비틀림 스프링(23)이 마련되어 있다. 비틀림 스프링(23)의 스프링력은, 통상의 승강 상태에서, 비상멈춤장치(17)가 작동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실시형태 1의 이상 가속도 검출기구(44)는 질량체(22) 및 비틀림 스프링(23)을 가지고 있다.
작동레버(18)는 비틀림 스프링(23)의 토크와, 작동레버(18)나 비상멈춤장치(17)의 그 외의 부품(도시생략)의 중량에 저항하여, 조속기 로프(20)가 장착된 위치에서 위쪽 방향으로 Fs[N]를 넘는 크기의 힘을 가했을 때에,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요동되고(들어올려지고), 이것에 의해 비상멈춤장치(17)가 작동하도록 조정되어 있다.
또, 조속기 로프(20)의 질량은 Mr[kg], 조속기(19)의 조속기 로프(20)가 감겨져 있는 지름에서의 관성 질량은 Mg[kg], 텐셔닝 쉬브(21)의 조속기 로프(20)가 감겨져 있는 지름에서의 관성 질량은 Mh[kg]이다. 즉, 질량체(22)의 작동레버(18)의 위치에서의 관성 질량 Mt[kg]는,
Mt = Mr+Mg+Mh … (4)
이다.
여기서, 만약 현가수단(7)이 파단하여 엘리베이터칸(8)이 가속도 g[m/s2]로 가속했을 경우, 엘리베이터칸(8)은 작동레버(18)에 대해 질량체(22)로부터
Fp = Mt×g … (5)
의 크기의 관성력 Fp[N]를 위쪽 방향으로 받는다. 그리고, 이 관성력 Fp[N]가 비상멈춤장치(17)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힘 Fs[N] 이상이 되도록 설정함으로써, 현가수단(7)이 파단하여 엘리베이터칸(8)이 낙하했을 경우에, 조속기(19)가 제2 과대속도 검출레벨 Vtr 이상의 속도를 검출하고 있지 않아도, 비상멈춤장치(17)를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 식은 질량체(22)에 작용하는 관성력에 의해서 비상멈춤장치(17)를 작동시키기 위한 조건이다.
Fp = Mt×g > Fs … (6)
이와 같이, 이상 가속도 검출기구(44)는, 현가수단(7)의 파단 등에 의해, 미리 설정된 설정값을 넘는 가속도가 엘리베이터칸(8)에 발생했을 경우에, 질량체(22)에 발생하는 힘을 이용하여, 비상멈춤장치(17)를 무급전으로 작동시켜, 엘리베이터칸(8)에 제동력을 직접 가한다. 또, 이상 가속도 검출기구(44)에 의해 비상멈춤장치(17)를 작동시킬 때에는, 권상기(3)로의 급전도 차단된다.
또한, 실시형태 1에서는, 관성력을 발생시키는 가속도는 현가수단(7)의 파단시에 엘리베이터칸(8)이 자유낙하할 때의 중력가속도 g를 상정하여 설명했지만, 비상멈춤장치(17)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힘 Fs의 설정이나, 관성력 Fp를 발생시키는 관성 질량 Mt의 설정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서, 비상멈춤장치(17)가 작동하는 엘리베이터칸 가속도 α를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의 비상멈춤장치(17)가 작동하는 조건은 다음 식이 된다.
Fp = Mt×α > Fs … (6')
다음으로, 이상 가속도 검출기구(44)에 의한 엘리베이터칸 가속도의 이상의 검출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엘리베이터칸(8)이 속도 V0로 주행중에, 현가수단(7)이 파단하여, 엘리베이터칸(8)이 자유낙하(가속도 g)했을 경우, 비상멈춤장치(17)가 작동할 때까지의 시간 지연을 Δtis로 하면, 현가수단(7)의 파단으로부터 비상멈춤장치(17)가 작동할 때까지 동안의 엘리베이터칸(8)의 증속 ΔVis는 다음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ΔVis = g×Δtis … (7)
여기서, 도 4는 도 2의 이상 가속도 검출기구(44)에 의한 등가적인 과대속도 검출레벨 Vis과 엘리베이터칸 위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실선 Vn은 최고속도를 정격속도 Vr로 하여, 상부 종단층에서 하부 종단층까지 통상 주행했을 때의 엘리베이터칸(8)의 통상 주행 패턴(통상 속도 패턴)이다. 또, 등가적인 과대속도 검출레벨 Vis는 이상 가속도 검출기구(44)로 검출되는 이상 가속도를 이상 검출속도로 치환한 것이다.
현가수단(7)의 파단에 의해 엘리베이터칸(8)이 자유낙하하여 엘리베이터칸 가속도가 설정값 이상이 되면, 상기의 관성력 Fp가 Fs보다 커져, 비상멈춤장치(17)가 작동된다. 이 때의 이상 검출속도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상 주행 패턴에 대해서 엘리베이터칸의 증속분 ΔVis의 간격을 두고, 통상 주행 패턴 Vn에 대략 따른 패턴이 된다.
종단층 강제감속장치(43)에는 기계식 조속기(19)에 의한 제1 과대속도 검출레벨(Vos)을 승강로 종단부에서 엘리베이터칸 위치에 따라 변화시킨 과대속도 검출레벨 Vets가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서, 도 4에 나타내는 등가적인 과대속도 검출레벨 Vis는 기계식 조속기(19)에서의 제2 과대속도 검출레벨(Vtr)을 승강로 종단부에서 엘리베이터칸 위치에 따라 변화(Vis)시키는 것과 동일한 효과가 있다.
또, 기계식 조속기(19)에서는 Vos와 Vtr와의 관계가 항상 Vos < Vtr인데 대하여, Vets와 Vis와의 대소 관계는 반드시 Vets < Vis가 되지 않아도 된다.
도 5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의 과대속도 검출레벨의 설정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에서는 이상 가속도 검출기구(44)에 의한 등가적인 과대속도 검출레벨 Vis가 종단층 강제감속장치(43)에 의한 과대속도 검출레벨 Vets와 교차하고 있다. 그러나, 등가적인 과대속도 검출레벨 Vis가 낮아져도, 이상 가속도 검출기구(44)는 어느 가속도 레벨을 넘었을 경우에만 동작하므로, 예를 들면 권상기 모터의 제어 폭주에 의한 엘리베이터칸 속도의 상승시에, 브레이크 장치(41)에 의한 제동이 유효한 상태에서, 이상 가속도 검출기구(44)가 종단층 강제감속장치(43)에 앞서 동작하지는 않는다.
이 때문에, 이상 가속도 검출기구(44)의 이상 가속도 검출 레벨은 권상기 모터의 제어 폭주에 의한 가속도보다도 높고, 또한, 현가수단(7)의 파단시의 가속도보다도 낮게 설정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도 5와 같이 과대속도 검출레벨 Vis와 과대속도 검출레벨 Vets가 교차하는 관계에 있어도, 또, 과대속도 검출레벨 Vis가 기계식의 조속기(19)에 의한 제2 과대속도 검출레벨 Vtr보다도 낮은 레벨로 설정해도, 통상 주행 상태에서는 물론, 브레이크 장치(41)에 의해 제동 가능한 상황에 있어서, 불필요하게 비상멈춤장치(17)를 작동시켜, 복귀에 시간을 필요로 하는 상태로 하지 않는다.
도 6은 도 1의 종단층 강제감속장치(43)에 의한 과대속도 검출시의 긴급 제동의 거동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권상기 모터의 제어 폭주에 의한 엘리베이터칸 속도 이상의 경우, 엘리베이터칸 속도가 과대속도 검출레벨 Vets에 이른 시점에서, 종단층 강제감속장치(43)에 의해, 권상기 모터로의 통전이 차단됨과 아울러, 브레이크 장치(41)가 제동 동작되어, 엘리베이터칸(8)이 비상 정지된다.
이 때, 브레이크 장치(41)의 제동력이 인가될 때까지는 약간의 시간 지연이 있기 때문에, 과대속도 검출레벨 Vets를 넘은 후에도, 엘리베이터칸 속도는 곧바로 감속되지 않는다. 또, 엘리베이터칸 속도 이상의 발생이 승강로 중간의 정격속도 주행 구간에 가까워짐에 따라, 과대속도 검출레벨 Vets가 높아지는 한편으로, 완충기 상면(도 6의 세로축의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거리가 길어진다. 이 때문에, 이상 검출시의 속도가 어느 속도 이상이 되면, 비상 제동시의 완충기 충돌속도는 작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은 도 2의 이상 가속도 검출기구(44)에 의한 과대 가속도 검출시의 긴급 제동의 거동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현가수단(7)이 만일 파단하여, 문턱값 레벨을 넘은 가속도가 발생하면, 그 때의 관성력에 의해서 비상멈춤장치(17)에 의한 감속이 개시된다. 등가적인 과대속도 검출레벨 Vis는 이상 가속도 검출기구(44)의 동작개시 타이밍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 종단층 강제감속장치(43)에 의한 과대속도 검출시의 긴급 제동의 거동과 마찬가지로, 엘리베이터칸 속도 이상의 발생이 승강로 중간의 정격속도 주행 구간에 가까워짐에 따라, 등가적인 과대속도 검출레벨 Vis가 높아지는 한편으로, 완충기 상면에 도달할 때까지 거리가 길어진다. 이 때문에, 이상 검출시의 속도가 어느 속도 이상이 되면, 비상 제동시의 완충기 충돌속도는 작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종단층 강제감속장치(43)에 더하여, 미리 설정된 설정값을 넘는 가속도가 엘리베이터칸(8)에 발생했을 경우에, 질량체(22)에 발생하는 힘을 이용하여 비상멈춤장치(17)를 제동 동작시키는 이상 가속도 검출기구(44)를 이용했으므로, 현가수단(7)이 만일 파단했을 경우에서도, 엘리베이터칸(8)에 제동력을 작용시켜 감속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종단층 강제감속장치(43)에 복수의 과대속도 검출레벨을 설정하고, 적어도 1개의 과대속도 검출레벨에 대응한 제동수단을 엘리베이터칸(8)에 제동력을 직접 작용시키는 제동수단(비상멈춤장치(17) 등)으로 했을 경우, 현가수단(7)의 파단시라도 엘리베이터칸(8)을 감속 정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실시형태 1의 이상 가속도 검출기구(44)는 과대 속도가 아니라 과대 가속도를 검출함으로써, 보다 조기에 이상을 검출하여, 엘리베이터칸(8)을 감속 정지시킬 수 있다.
즉, 종단층 강제감속장치(43)에 복수의 과대속도 검출레벨을 설정하는 경우, 엘리베이터칸(8)에 제동력을 직접 작용시키는 제2 과대속도 검출레벨은 현가수단(7)을 통하여 제동력을 작용시키는 제1 과대속도 검출레벨보다도 높은 속도 레벨로 설정된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칸 속도 이상의 검출 지연이 커진다.
이것에 대해서, 실시형태 1의 이상 가속도 검출기구(44)에 의해 가속도 이상을 검출하는 경우, 현가수단(7)의 파단시 등에서는, 엘리베이터칸 속도가 높아지기 전에 이상 검출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검출 지연을 작게 하여, 감속 동작을 조기에 개시한다. 따라서, 완충기 상면으로의 도달시의 엘리베이터칸 속도를 보다도 낮게 억제할 수 있어, 보다 큰 완충기 스트로크의 단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종래, 종단층 강제감속장치(43)에 대해서, 가속도나 메인로프 조각을 검출하여 비상멈춤장치를 작동시키는 기능을 부가하는 방법도 몇 개인가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그들은 모두 엘리베이터칸 가속도 또는 그에 비슷한 신호를 검출하여, 문턱값 레벨을 넘고 있는지 여부를 전기적으로 판단하는 것이며, 정전시에는 기능하지 않다. 정전시에 권상기 모터의 폭주를 상정할 필요는 없지만, 메인로프 파단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는 확률은 0은 아니다.
이것에 대해서, 실시형태 1의 이상 가속도 검출기구(44)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칸(8)에 제동력을 직접 작용시키는 비상멈춤장치(17)를, 정전시라도 기계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더욱이 또한, 실시형태 1의 이상 가속도 검출기구(44)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칸(8)의 정격속도가 어느 속도 이상으로 높아지면, 완충기 스트로크를 일정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8은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의 정격속도와 완충기 스트로크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표준의 완충기 스트로크와 실시형태 1의 구성에 의해 단축된 완충기 스트로크의 일례를 비교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 1의 구성에 의하면, 안전성을 확보하면서, 완충기 스트로크를 충분히 단축할 수 있으며, 게다가 정격속도가 어느 속도 이상이 되면 완충기 스트로크를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또, 완충기 스트로크를 단축하는 것에 의해, 승강로(1)의 공간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여기서, 엘리베이터칸(8)과 균형추(9)를 현가하는 현가수단(7)이 파단하여 있지 않은 상태에서, 종단층 강제감속장치(43)에 의해 과대 속도를 검출하여 브레이크 장치(41)가 작동했을 경우에, 엘리베이터칸(8)이 엘리베이터칸 완충기(12)의 상면에 이르렀을 때의 최대 충돌속도를 V1로 한다. 또, 현가수단(7)이 파단한 상태에서, 이상 가속도 검출기구(44)에 의해 비상멈춤장치(17)가 작동했을 경우에, 엘리베이터칸(8)이 엘리베이터칸 완충기(12)의 상면에 이르렀을 때의 최대 충돌속도 V2로 한다. 이 때, (1) 완충기 스트로크는 V1 및 V2 중 큰 쪽의 충돌속도에 근거해서 결정한다.
또, (2) 이상 가속도 검출기구(44)가 작동하는 가속도 α는 엘리베이터칸(8)(및 그 부하 질량) + 현가수단(7) + 균형추(9)(및 그 부하 중량)의 총질량 M과, 권상기 모터의 폭주시의 구동력 T에 의해서 정해지는 가속도 β(= M/T)와의 관계가 α > β 되도록 설정한다. 즉, 현가수단(7)이 파단하여 있지 않은 상태에서 엘리베이터칸(8)이 폭주해도, 비상멈춤장치(17)가 작동하지 않도록 설계한다.
그리고, 완충기 스트로크의 단축의 제한은 상기의 (1) (2)를 가미하여 결정한다.
또, 등가적인 과대속도 검출레벨 Vis는 비상멈춤장치(17)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힘 Fs[N] 및 질량체(22)의 관성 질량 Mt[kg]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임의의 크기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질량체(22)의 관성 질량 Mt를 적당한 크기로 조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도 1의 텐셔닝 쉬브(21)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0은 도 9의 텐셔닝 쉬브(21)의 단면도이다. 이와 같은 텐셔닝 쉬브(21)에 대신하여, 예를 들면,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두께를 증가시킨 텐셔닝 쉬브(24)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관성 질량 Mt를 조정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텐셔닝 쉬브(21)와 동축으로 회전하는 플라이 휠(25)을 추가하는 것에 의해서도, 관성 질량 Mt를 조정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다음으로,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엘리베이터칸(8)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 실시형태 2에서는, 작동레버(18)의 선단에 질량 Mm[kg]의 추(질량체)(26)가 장착되어 있다. 실시형태 2의 이상 가속도 검출기구(45)는 비틀림 스프링(23) 및 추(26)를 가지고 있다.
작동레버(18)의 요동 중심으로부터 조속기 로프(20) 장착 위치까지의 길이를 Lr[m], 추(26)의 중심까지의 길이를 Lm[m]으로 한다. 또, 조속기(19), 조속기 로프(20) 및 텐셔닝 쉬브(21)의 관성 질량 Mt[kg]는 추(26)의 질량 Mm[kg]에 비해 매우 작은 것으로 한다.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여기서, 만약 현가수단(7)이 파단하여 엘리베이터칸(8)이 가속도 g[m/s2]로 가속했을 경우, 엘리베이터칸(8)은 작동레버(18)의 조속기 로프(20) 장착 위치에서 추(26)로부터
Fq = Mm×(Lm/Lr)×g
의 크기의 관성력 Fq[N]를 위쪽 방향으로 받는다.
그리고, 이 관성력 Fq[N]가 비상멈춤장치(17)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힘 Fs[N]를 넘는 경우, 즉
Fs < Mm×(Lm/Lr)×g
로 되었을 경우,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동레버(18)가 반시계방향으로 요동되어, 비상멈춤장치(17)가 작동된다.
따라서, 비상멈춤장치(17)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힘 Fs[N], 추(26)의 질량 Mm[kg], 추(26)의 설치 위치 Lm[m] 등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현가수단(7)이 파단하여 엘리베이터칸(8)이 자유낙하했을 경우에, 조속기(19)가 제2 과대속도 검출레벨 Vtr 이상의 속도를 검출하지 않아도, 비상멈춤장치(17)를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조속기(19)의 구조를 복잡화하지 않고, 간단한 구성에 의해, 완충기 스트로크를 충분히 단축할 수 있어, 승강로(1)의 공간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2에서는, 조속기 로프(20)가 장착되어 있는 작동레버(18)에 추(26)를 장착한 경우를 나타냈지만, 조속기 로프(20)가 장착되지 않아도 동일하게 동작한다.
또, 실시형태 2에서는, 관성 질량 Mt를 질량 Mm에 비해 매우 작은 것으로 했지만, 관성 질량 Mt를 어느 정도 크게 하고, 실시형태 1의 질량체(22)와 실시형태 2의 추(26)를 조합하여 이상 가속도의 설정값을 조정해도 된다.
또한, 실시형태 2의 구성에 있어서, 비틀림 스프링(23)을 생략해도 된다.
실시형태 3.
다음으로,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엘리베이터칸(8)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18은 도 17의 작동레버(18)가 요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서, 엘리베이터칸(8)상에는 가이드체(27)가 마련되어 있다. 가이드체(27) 내에는 가이드체(27)의 내벽을 따라서 상하이동 가능한 추(질량체)(28)가 삽입되어 있다.
추(28)는 연결봉(연결체)(29)을 통하여 작동레버(18)에 연결되어 있다. 조속기(19), 조속기 로프(20) 및 텐셔닝 쉬브(21)의 관성 질량 Mt[kg]는 추(26)의 질량 Mm[kg]에 비해 매우 작은 것으로 한다. 실시형태 3의 이상 가속도 검출기구(46)는 비틀림 스프링(23) 및 추(28)를 가지고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현가수단(7)의 파단에 의해 엘리베이터칸(8)이 자유낙하했을 경우,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추(28)가 연결봉(29)을 통하여 작동레버(18)에 위쪽 방향의 관성력을 주고, 이것에 의해 비상멈춤장치(17)가 작동된다.
따라서, 비상멈춤장치(17)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힘 Fs[N], 추(28)의 질량 Mm[kg] 등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현가수단(7)이 파단하여 엘리베이터칸(8)이 낙하했을 경우에, 조속기(19)가 제2 과대속도 검출레벨 Vtr 이상의 속도를 검출하지 않아도, 비상멈춤장치(17)를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조속기(19)의 구조를 복잡화하지 않고, 간단한 구성에 의해, 완충기 스트로크를 충분히 단축할 수 있어, 승강로(1)의 공간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3에서는, 조속기 로프(20)가 장착되어 있는 작동레버(18)에 추(28)를 연결했을 경우를 나타냈지만, 조속기 로프(20)가 장착되지 않아도 동일하게 동작한다.
또, 실시형태 3에서는, 관성 질량 Mt를 질량 Mm에 비해 매우 작은 것으로 했지만, 관성 질량 Mt를 어느 정도 크게 하고, 실시형태 1의 질량체(22)와 실시형태 3의 추(28)를 조합하여 이상 가속도의 설정값을 조정해도 된다.
또한, 실시형태 3의 추(28)와 실시형태 2의 추(26)를 조합하여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또한, 비상멈춤장치(17)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힘 Fs를 조정하기 위해, 실시형태 2와 마찬가지로, 비틀림 스프링(23)을 마련하거나 생략하거나 할 수도 있다.
실시형태 4.
다음으로,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엘리베이터칸(8)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0은 도 19의 작동레버(18)가 요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서, 비상멈춤장치(17)의 프레임체에는 작동레버(18)를 조작하는 액추에이터(31)와, 엘리베이터칸(8)의 가속도에 따라 액추에이터(31)를 제어하는 가속도 검출부(32)가 장착되어 있다. 가속도 검출부(32)는 신호선(33)을 통하여 액추에이터(31)에 접속되어 있다.
가속도 검출부(32)에는 가속도 센서가 마련되어 있으며, 엘리베이터칸(8)의 가속도가 미리 설정된 설정값을 넘으면, 액추에이터(31)에 동작지령신호를 출력한다. 액추에이터(31)는, 동작지령신호를 받으면, 작동레버(18)를 요동시켜, 비상멈춤장치(17)를 작동시킨다. 실시형태 4의 이상 가속도 검출기구(47)는 액추에이터(31), 가속도 검출부(32) 및 신호선(33)을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 장치 전체의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가속도 검출부(32)에서의 가속도의 설정값은 현가수단(7)의 파단에 의한 낙하시의 엘리베이터칸(8)의 가속도 g[9.8m/s2] 이하로 한다. 이것에 의해, 만일 현가수단(7)이 파단하여 엘리베이터칸(8)이 중력가속도로 가속했을 경우,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31)를 움직여, 비상멈춤장치(17)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 가속도 검출부(32)에서의 가속도의 설정값은 운행제어장치(5)의 이상 등에 의한 엘리베이터칸(8)의 급가속도 검출할 수 있도록, 통상 운전시의 가속도보다 높은 값으로 설정됨과 아울러, 엘리베이터칸(8)의 상승중에 정전 등에 의해 급정지(소위 E-Stop)할 때의 감속도보다 높은 값으로 설정된다. 또한, 이와 같은 이상 검출 가속도의 설정 조건은 실시형태 1 ~ 3에 대해서도 말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 의해서도, 현가수단(7)이 파단하여 엘리베이터칸(8)이 자유낙하했을 경우에, 조속기(19)가 제2 과대속도 검출레벨 Vtr 이상의 속도를 검출하지 않아도, 비상멈춤장치(17)를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조속기(19)의 구조를 복잡화하지 않고, 간단한 구성에 의해, 완충기 스트로크를 충분히 단축할 수 있어, 승강로(1)의 공간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4에서는, 가속도 검출부(32)를 비상멈춤장치(17)의 프레임체에 장착했지만, 엘리베이터칸(8) 또는 엘리베이터칸(8)에 고정된 다른 기기 등에 장착해도 된다.
또, 실시형태 1, 2에서는, 비상멈춤장치(17)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힘 Fs를 조정하기 위해서 비틀림 스프링(23)을 이용했지만, 적당한 힘 Fs를 얻을 수 있으면, 반드시 스프링 등을 추가하지 않아도 되고, 또, 추가하는 경우, 비틀림 스프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현가수단(7)을 통하여 엘리베이터칸(8)에 제동력을 작용시키는 브레이크 장치(41)는 권상기 브레이크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현가수단(7)을 직접 파지하는 타입(소위 로프 브레이크) 등이라도 된다.
더욱이 또한, 도 1에서는 1 : 1 로핑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냈지만, 로핑 방식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2 : 1 로핑의 엘리베이터 장치에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기계실(2)를 가지지 않는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나, 여러 가지의 타입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6)

  1. 구동쉬브를 가지는 권상기,
    상기 구동쉬브에 감겨져 있는 현가수단,
    상기 현가수단에 의해 매달리고, 상기 권상기에 의해 승강되는 엘리베이터칸,
    상기 현가수단을 통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칸에 제동력을 작용시키는 브레이크 장치,
    엘리베이터칸 위치에 따라 변화하는 과대속도 검출레벨이 설정되어 있고, 엘리베이터칸 속도가 상기 과대속도 검출레벨에 이르면 상기 브레이크 장치를 제동 동작시키는 과대속도 감시부,
    상기 엘리베이터칸에 마련되어 있는 비상멈춤장치, 및
    미리 설정된 설정값을 넘는 가속도가 상기 엘리베이터칸에 발생했을 경우에, 상기 비상멈춤장치를 작동시키는 이상 가속도 검출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이상 가속도 검출기구는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움직임에 관련하여 동작하는 질량체를 가지고 있고, 상기 엘리베이터칸에 상기 설정값을 넘는 가속도가 발생했을 경우에, 상기 질량체에 발생하는 힘을 이용하여 상기 비상멈춤장치를 작동시키며,
    상기 현가수단이 파단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칸이 낙하하는 것에 의해 상기 질량체의 관성력이 상기 비상멈춤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힘을 넘으면, 상기 비상멈춤장치가 작동하며,
    상기 질량체는, 상기 비상멈춤장치의 작동레버에 접속된 로프와, 상기 로프가 감겨진 쉬브와, 상기 작동레버에 장착된 추를 가지고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과대속도 감시부는 승강로 종단부의 엘리베이터칸 감속구간 내의 위치에 대해서 무단계(無段階)로 변화하는 과대속도 검출레벨이 설정된 종단층 강제감속장치인 엘리베이터 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프는 승강로 내에 환상(環狀)으로 부설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과속도를 검출하는 조속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로프가 감겨진 상기 쉬브는 상기 조속기에 마련된 조속기 쉬브이며,
    상기 로프는 조속기 로프인 엘리베이터 장치.
  6. 삭제
KR1020157020910A 2011-04-01 2011-04-01 엘리베이터 장치 KR1017068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1/058431 WO2012137279A1 (ja) 2011-04-01 2011-04-01 エレベータ装置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2485A Division KR20130122663A (ko) 2011-04-01 2011-04-01 엘리베이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4787A KR20150094787A (ko) 2015-08-19
KR101706883B1 true KR101706883B1 (ko) 2017-02-14

Family

ID=4696872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0910A KR101706883B1 (ko) 2011-04-01 2011-04-01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137022485A KR20130122663A (ko) 2011-04-01 2011-04-01 엘리베이터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2485A KR20130122663A (ko) 2011-04-01 2011-04-01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546074B2 (ko)
EP (1) EP2695841B1 (ko)
JP (1) JP6012596B2 (ko)
KR (2) KR101706883B1 (ko)
CN (1) CN103459289B (ko)
WO (1) WO20121372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36626B1 (en) * 2010-11-01 2018-03-2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device
FI20125046L (fi) * 2012-01-16 2013-07-17 Kone Corp Hissi
BR112015008192A2 (pt) * 2012-10-18 2017-07-04 Inventio Ag equipamento de segurança de uma instalação de elevador
ES2568907T3 (es) 2012-10-30 2016-05-05 Kone Corporation Un ascensor y un método
JP6094997B2 (ja) * 2013-04-02 2017-03-1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
WO2016047314A1 (ja) * 2014-09-22 2016-03-3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JP6362520B2 (ja) * 2014-11-25 2018-07-2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WO2016113769A1 (ja) * 2015-01-13 2016-07-2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制御装置
CN107428502B (zh) * 2015-04-07 2019-12-20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装置
US10427908B2 (en) 2016-04-15 2019-10-01 Otis Elevator Company Emergency mode operation of elevator system having linear propulsion system
CN105836566A (zh) * 2016-05-12 2016-08-10 苏州富士电梯有限公司 一种电梯轿厢紧急保护装置
EP3342740B1 (en) * 2016-12-29 2020-02-05 KONE Corporation A method for avoiding unwanted safety gear tripping in a safety stopping system of an elevator system and a safety stopping system
EP3381853B1 (en) * 2017-03-30 2020-10-21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overtravel testing systems and methods
US11040848B2 (en) 2018-03-27 2021-06-22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machine brake delay control
JP7140634B2 (ja) * 2018-10-30 2022-09-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の制御システム
EP3670416A1 (en) 2018-12-20 2020-06-24 Otis Elevator Company Safety brake for a counterweight activated by a tension member
WO2020255193A1 (ja) * 2019-06-17 2020-12-2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終端階強制減速システム
CN112374325B (zh) * 2020-11-09 2021-12-17 山东奔速电梯股份有限公司 一种家用电梯免维护安全制动系统及制动方法
CN112792139B (zh) * 2020-11-26 2023-07-28 广州城建职业学院 一种防止双芯棒传动电机重载故障的控制方法
JP7078145B1 (ja) * 2021-02-09 2022-05-31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
CN114873405B (zh) * 2022-06-18 2022-11-11 宁波昊鸿电子有限公司 一种电梯坠落应急控制方法、系统、存储介质及智能终端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621571A (ko) * 1961-08-18
CH572863A5 (ko) * 1974-06-24 1976-02-27 Inventio Ag
JPS5527670Y2 (ko) 1974-11-08 1980-07-02
US4083432A (en) 1976-12-01 1978-04-11 Otis Elevator Company Safety arrangement
US4318456A (en) * 1980-05-16 1982-03-09 Westinghouse Electric Corp. Terminal slowdown control for elevator system
JPS58119573A (ja) * 1982-01-07 1983-07-16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装置
US4499974A (en) * 1983-08-30 1985-02-19 Westinghouse Electric Corp. Terminal slowdown speed pattern generator
JPS6422788A (en) 1987-07-20 1989-01-25 Mitsubishi Electric Corp Elevator
JPH0829893B2 (ja) * 1989-09-08 1996-03-2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DE4029311A1 (de) 1990-09-15 1992-03-19 Gkn Automotive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reifendruckregelung
JP2626408B2 (ja) 1992-05-20 1997-07-0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用非常停止装置
US6173813B1 (en) * 1998-12-23 2001-01-16 Otis Elevator Company Electronic control for an elevator braking system
US6082498A (en) * 1999-01-22 2000-07-04 Otis Elevator Normal thermal stopping device with non-critical vane spacing
DE19906073C2 (de) * 1999-02-12 2003-03-27 Inventio Ag Vorrichtung zum Verhindern unkontrollierter Beschleunigungen eines Fahrkorbs einer Aufzugsanlage
WO2003091142A1 (en) * 2002-04-24 2003-11-06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Overspeed governor apparatus for elevator system
WO2004050525A1 (ja) 2002-12-04 2004-06-17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の制動装置
WO2004083090A1 (ja) 2003-03-18 2004-09-3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
JP2004345803A (ja) 2003-05-22 2004-12-09 Toshiba Elevator Co Ltd 昇降体の非常止め装置、非常止め復帰装置及び非常止め復帰方法
WO2005105651A1 (ja) 2004-04-30 2005-11-1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装置
JP4566647B2 (ja) 2004-07-26 2010-10-2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JP4575076B2 (ja) 2004-08-05 2010-11-0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FI119878B (fi) * 2005-02-04 2009-04-30 Kone Corp Järjestelmä ja menetelmä hissin turvallisuuden parantamiseksi
CN1953926B (zh) 2005-03-31 2010-05-05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装置
JP2008019064A (ja) 2006-07-13 2008-01-31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降下防止装置
ATE456535T1 (de) 2007-05-24 2010-02-15 Wittur Holding Gmbh Geschwindigkeits- und beschleunigungsüberwachungseinheit mit elektronisch angesteuerter servoauslösung zum einsatz für fördermittel
WO2010063650A1 (de) * 2008-12-04 2010-06-10 Inventio Ag Verfahren zum lösen eines lastaufnahmemittels oder eines ausgleichsgewichts eines aufzugs aus einer fangstellung
BRPI0924457A2 (pt) * 2009-03-16 2016-02-16 Otis Elevator Co sistema de segurança de elevador, e, elevador
CN102348627B (zh) * 2009-03-16 2016-06-01 奥的斯电梯公司 电磁式安全设备触发器
RU2487074C2 (ru) 2009-03-16 2013-07-10 Отис Элевэйтор Компани Система обнаружения и обработки превышения ускорения и превышения скорости
EP2636626B1 (en) * 2010-11-01 2018-03-2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device
JP5325904B2 (ja) 2011-02-09 2013-10-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非常止め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エレベーター装置
US9637348B2 (en) * 2012-04-16 2017-05-0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apparatus
US9957133B2 (en) * 2013-02-07 2018-05-0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012596B2 (ja) 2016-10-25
WO2012137279A1 (ja) 2012-10-11
EP2695841A1 (en) 2014-02-12
US9546074B2 (en) 2017-01-17
US20130264149A1 (en) 2013-10-10
JPWO2012137279A1 (ja) 2014-07-28
EP2695841A4 (en) 2014-11-19
CN103459289A (zh) 2013-12-18
KR20130122663A (ko) 2013-11-07
EP2695841B1 (en) 2016-01-20
KR20150094787A (ko) 2015-08-19
CN103459289B (zh) 2016-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6883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1456403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1617572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1920546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1993538B1 (ko) 엘리베이터 장치
US9957133B2 (en) Elevator apparatus
WO2007034587A1 (ja) エレベータ装置
US9764927B2 (en) Elevator
JP6062009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4575076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6188962B2 (ja) エレベータ装置
WO2000055085A1 (fr) Dispositif de securite pour ascenseur
WO2022172406A1 (ja) エレベーター装置
WO2004058620A1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調速機ロー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