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6403B1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56403B1 KR101456403B1 KR1020137013905A KR20137013905A KR101456403B1 KR 101456403 B1 KR101456403 B1 KR 101456403B1 KR 1020137013905 A KR1020137013905 A KR 1020137013905A KR 20137013905 A KR20137013905 A KR 20137013905A KR 101456403 B1 KR101456403 B1 KR 10145640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
- governor
- overspeed
- elevator
- elevator ca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B66B5/044—Mechanical overspeed govern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22—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means of linearly-movable wedg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28—Buffer-stops for cars, cages, or sk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현가수단에 의해 엘리베이터칸이 매달려 있다. 엘리베이터칸은 현가수단을 통하여 구동장치에 의해 승강된다. 또, 엘리베이터칸은 제동장치에 의해 제동된다. 이상 가속도 검출기구는 미리 설정된 설정값을 넘는 가속도가 엘리베이터칸에 발생한 경우에, 제동장치를 동작시켜 엘리베이터칸을 정지시킨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현가수단의 파단이나 제어장치의 고장 등의 이상시에 엘리베이터칸이 비상 정지되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조속기에서는, 제1 과속도(Vos)(운전정지용 스위치의 작동속도)가 정격속도(Vo)의 1.3배 정도로 설정되고, 제2 과속도(Vtr)(비상멈춤 작동속도)가 정격속도(Vo)의 1.4배 정도로 설정된다. 예를 들면, 제어장치의 이상 등에 의해, 엘리베이터칸이 정격속도를 넘어 제1 과속도(Vos)에 도달한 것이 검출되면, 권상기로의 급전(給電)이 차단되어 엘리베이터칸이 급정지된다. 또, 메인 로프의 파단 등에 의해, 엘리베이터칸이 낙하한 경우에는, 조속기에 의해 제2 과속도(Vtr)가 검출되고, 비상멈춤장치가 작동되어 엘리베이터칸이 비상 정지된다.
단, 엘리베이터칸이 승강로의 종단층 부근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엘리베이터칸 속도가 제1 과속도(Vos)나 제2 과속도(Vtr)까지 이르기 전에 승강로의 저부에 도달할 가능성이 있어, 이 경우는 완충기에 의해 엘리베이터칸이 감속 정지된다. 이 때문에, 완충기는 감속시켜야 할 속도가 높을수록 긴 완충 스트로크가 필요하고, 완충기의 길이는 제1 과속도(Vos)나 제2 과속도(Vtr)에 따라 정해진다.
이것에 대해서, 종단층 부근에 엘리베이터칸 위치 스위치를 마련하고, 엘리베이터칸 위치 스위치가 조작되고 있을 때는, 제1 과속도(Vos)보다도 낮은 종단 과속도(Vts)에서 이상을 검출하여, 권상기로의 급전을 차단하는 방법도 제안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메인 로프가 엘리베이터칸에 연결된 상태이면, 엘리베이터칸의 속도가 종단 과속도(Vts)를 넘지 않는다. 한편, 엘리베이터칸이 승강로의 하부 종단층 부근에 위치하고 있을 때, 메인 로프가 파단한 경우는, 종단 과속도(Vts)를 검출해도 권상기로 엘리베이터칸을 제동할 수 없다.
이 경우, 메인 로프가 파단하고 나서, 엘리베이터칸이 완충기에 충돌할 때까지의 시간을 Ts로 하면, 충돌속도(Vs)는,
Vs = Vts + g × Ts
이다. 이 충돌속도(Vs)가 조속기의 제2 과속도(Vtr)보다도 낮으면, 그만큼 완충기의 완충 스트로크를 단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 최근에는, 더욱 공간절약화, 비용절약화의 요구가 있고, 완충기의 치수를 더욱 단축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어, 종단층 부근에서 제1 과속도(Vos)나 제2 과속도(Vtr)가 낮아지도록 하는 조속기가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2 참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종단층 부근에서 제1 과속도(Vos)나 제2 과속도(Vtr)를 낮게 하기 위해서, 조속기의 구조가 복잡하게 되어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간단한 구성에 의해, 승강로의 공간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엘리베이터칸, 엘리베이터칸을 매다는 현가수단, 현가수단을 통하여 엘리베이터칸을 승강시키는 구동장치, 엘리베이터칸을 제동하는 제동장치 및 미리 설정된 설정값을 넘는 가속도가 엘리베이터칸에 발생한 경우에, 제동장치를 동작시키는 이상(異常) 가속도 검출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미리 설정된 설정값을 넘는 가속도가 엘리베이터칸에 발생하면, 이상 가속도 검출기구에 의해 제동장치가 동작되므로, 조속기의 구조를 복잡화하지 않고, 간단한 구성에 의해, 승강로의 공간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칸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작동레버가 요동(搖動)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의 엘리베이터칸 위치와 이상 검출속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도 1의 텐셔닝 쉬브(tensioning sheave)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텐셔닝 쉬브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텐셔닝 쉬브보다도 두께를 증가시킨 텐셔닝 쉬브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텐셔닝 쉬브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5의 텐셔닝 쉬브에 플라이휠(flywheel)을 추가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텐셔닝 쉬브 및 플라이휠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엘리베이터칸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작동레버가 요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엘리베이터칸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작동레버가 요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엘리베이터칸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작동레버가 요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칸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작동레버가 요동(搖動)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의 엘리베이터칸 위치와 이상 검출속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도 1의 텐셔닝 쉬브(tensioning sheave)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텐셔닝 쉬브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텐셔닝 쉬브보다도 두께를 증가시킨 텐셔닝 쉬브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텐셔닝 쉬브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5의 텐셔닝 쉬브에 플라이휠(flywheel)을 추가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텐셔닝 쉬브 및 플라이휠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엘리베이터칸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작동레버가 요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엘리베이터칸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작동레버가 요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엘리베이터칸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작동레버가 요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서, 승강로(1)의 상부에는 기계실(2)이 마련되어 있다. 기계실(2)에는 권상기(구동장치)(3), 디플렉팅 쉬브(deflecting sheave)(4) 및 제어장치(5)가 설치되어 있다. 권상기(3)는 구동 쉬브(6)와, 구동 쉬브(6)를 회전시키는 권상기 모터와, 구동 쉬브(6)의 회전을 제동하는 권상기 브레이크(전자 브레이크)를 가지고 있다.
권상기 브레이크는 구동 쉬브(6)와 동축(同軸)에 결합된 브레이크 휠(brake wheel)(드럼 또는 디스크)과, 브레이크 휠에 접리(接離)되는 브레이크 슈(brake shoe)와, 브레이크 슈를 브레이크 휠에 밀어붙여 제동력을 인가하는 브레이크 스프링과, 브레이크 스프링에 저항하여 브레이크 슈를 브레이크 휠로부터 개리(開離)시켜 제동력을 해제하는 전자 마그넷을 가지고 있다.
구동 쉬브(6) 및 디플렉팅 쉬브(4)에는 현가수단(7)이 감겨져 있다. 현가수단(7)으로서는, 복수 개의 로프 또는 복수 개의 벨트가 이용되고 있다. 현가수단(7)의 제1 단부에는 엘리베이터칸(8)이 접속되어 있다. 현가수단(7)의 제2 단부에는 균형추(9)가 접속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8) 및 균형추(9)는 현가수단(7)에 의해 승강로(1) 내에 매달려 있으며, 권상기(3)에 의해 승강로(1) 내에서 승강된다. 제어장치(5)는 권상기(3)의 회전을 제어함으로써, 설정한 속도로 엘리베이터칸(8)을 승강시킨다.
승강로(1) 내에는 엘리베이터칸(8)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0)과, 균형추(9)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11)이 설치되어 있다. 승강로(1)의 저부에는 엘리베이터칸(8)의 승강로 저부로의 충돌을 완충하는 엘리베이터칸 완충기(12)와, 균형추(9)의 승강로 저부로의 충돌을 완충하는 균형추 완충기(13)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로(1)의 상부 종단층 부근에는 복수(여기에서는 3개)의 상부 엘리베이터칸 위치 스위치(14)가 상하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승강로(1)의 하부 종단층 부근에는 복수(여기에서는 3개)의 하부 엘리베이터칸 위치 스위치(15)가 상하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8)에는 엘리베이터칸 위치 스위치(14, 15)를 조작하는 캠(조작부재)(16)이 장착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8)이 상부 종단층 부근에 도달하면, 캠(16)에 의해 상부 엘리베이터칸 위치 스위치(14)가 조작된다. 또, 엘리베이터칸(8)이 하부 종단층 부근에 도달하면, 캠(16)에 의해 하부 엘리베이터칸 위치 스위치(15)가 조작된다.
엘리베이터칸(8)의 하부에는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0)에 맞물려 엘리베이터칸(8)을 비상 정지시키는 제동장치로서의 비상멈춤장치(17)가 탑재되어 있다. 비상멈춤장치(17)로서는, 점진식(gradual) 비상멈춤이 이용되고 있다(일반적으로, 정격속도가 45m/min를 넘는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점진식 비상멈춤이 이용된다). 비상멈춤장치(17)에는 비상멈춤장치(17)를 작동시키는 작동레버(18)가 마련되어 있다.
기계실(2)에는 엘리베이터칸(8)의 과속도(이상 속도)를 검출하는 조속기(19)가 설치되어 있다. 조속기(19)는 조속기 쉬브, 과속도 검출 스위치 및 로프 캐치 등을 가지고 있다. 조속기 쉬브에는 무단상(無端狀)의 조속기 로프(20)가 감겨져 있다. 조속기 로프(20)는 승강로(1) 내에 환상(環狀)으로 부설(敷設)되어 있다. 조속기 로프(20)는 승강로(1)의 하부에 배치된 텐셔닝 쉬브(21)에 감겨져 있다.
또, 조속기 로프(20)는 작동레버(18)에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칸(8)이 승강되면, 조속기 로프(20)가 순환되고, 엘리베이터칸(8)의 주행속도에 따른 회전속도로 조속기 쉬브가 회전된다. 또, 실시형태 1의 질량체(22)는 조속기(19), 조속기 로프(20) 및 텐셔닝 쉬브(2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조속기(19)에서는 엘리베이터칸(8)의 주행속도가 과속도에 도달한 것이 기계적으로 검출된다. 검출하는 과속도로서는 정격속도(Vo)보다도 높은 제1 과속도(Vos)와, 제1 과속도보다도 높은 제2 과속도(Vtr)가 설정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8)의 주행속도가 제1 과속도(Vos)에 도달하면, 과속도 검출 스위치가 조작된다. 과속도 검출 스위치가 조작되면, 권상기(3)로의 급전이 차단되어, 권상기 브레이크에 의해 엘리베이터칸(8)이 급정지된다.
엘리베이터칸(8)의 하강속도가 제2 과속도(Vtr)에 도달하면, 로프 캐치에 의해 조속기 로프(20)가 파지되며, 조속기 로프(20)의 순환이 정지된다. 조속기 로프(20)의 순환이 정지되면, 작동레버(18)가 조작되고, 비상멈춤장치(17)에 의해 엘리베이터칸(8)이 비상 정지된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칸(8)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작동레버(18)의 요동축에는 비상멈춤장치(17)를 작동시키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도면의 시계방향)의 토크를 작동레버(18)에 부여하는 비틀림 스프링(torsion spring)(23)이 마련되어 있다. 비틀림 스프링(23)의 스프링력은, 통상의 승강 상태에서, 비상멈춤장치(17)가 작동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실시형태 1의 이상 가속도 검출기구는 질량체(22) 및 비틀림 스프링(23)을 가지고 있다.
작동레버(18)는 비틀림 스프링(23)의 토크와, 작동레버(18)나 비상멈춤장치(17)의 그 외의 부품(도시생략)의 중량에 저항하여, 조속기 로프(20)가 장착된 위치에서 상향으로 Fs[N]를 넘는 크기의 힘을 가했을 때에,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요동되고(들어 올려지고), 이것에 의해 비상멈춤장치(17)가 작동하도록 조정되고 있다.
또, 조속기 로프(20)의 질량은 Mr[kg], 조속기(19)의 조속기 로프(20)가 감겨져 있는 지름에서의 관성질량은 Mg[kg], 텐셔닝 쉬브(21)의 조속기 로프(20)가 감겨져 있는 지름에서의 관성질량은 Mh[kg]이다. 즉, 질량체(22)의 작동레버(18)의 위치에서의 관성질량 Mt[kg]는,
Mt = Mr + Mg + Mh
이다.
여기서, 만약 현가수단(7)이 파단하여 엘리베이터칸(8)이 가속도 g[m/s2]로 가속했을 경우, 엘리베이터칸(8)은 작동레버(18)에 대해 질량체(22)로부터
Fp = Mt × g … (1)
의 크기의 관성력 Fp[N]를 상향으로 받는다. 그리고, 이 관성력 Fp[N]가 비상멈춤장치(17)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힘 Fs[N]를 넘는 경우,
Fs < Mt × g … (2)
비상멈춤장치(17)가 작동한다.
따라서, 비상멈춤장치(17)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힘 Fs[N] 및 질량체(22)의 관성질량 Mt[kg]를 조정함으로써, 현가수단(7)이 파단하여 엘리베이터칸(8)이 낙하한 경우에, 조속기(19)가 제2 과속도(Vtr)를 검출하지 않아도, 비상멈춤장치(17)를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4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의 엘리베이터칸 위치와 이상 검출속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실선(Vn)은 최고속도를 정격속도(Vo)로 하여, 상부 종단층에서 하부 종단층까지 통상 주행했을 때의 엘리베이터칸(8)의 속도 패턴이다.
현가수단(7)의 파단에 의해, 엘리베이터칸(8)이 자유낙하하여, 엘리베이터칸(8)의 가속도가 설정값을 넘으면, 상기의 관성력 Fp가 Fs를 넘어, 이상 가속도 검출기구에 의해 비상멈춤장치(17)가 작동된다. 이 이상 가속도 검출기구에서 검출되는 이상 가속도를 이상 검출속도로 치환하면, 도 4의 과속도 Vi가 되고, 소정의 간격을 두고 속도 패턴 Vn에 대략 따른 패턴이 된다.
엘리베이터칸(8)의 속도가 제로 상태로부터 현가수단(7)이 파단한 경우, 질량체(22)의 관성력에 의해, 엘리베이터칸(8)의 속도가 Vio에 도달하여 비상멈춤장치(17)가 작동한다. 이 Vio가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g × Ts」보다도 작게 되도록, 비상멈춤장치(17)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힘 Fs, 질량체(22)의 관성질량 Mt가 조정되고 있다.
따라서, 이상시에 엘리베이터칸(8)이 엘리베이터칸 완충기(12)에 충돌하는 속도는, 현가수단(7)이 엘리베이터칸(8)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는 종단 과속도(Vts), 현가수단(7)이 파단한 경우는 최대에서도 Vts + Vio가 되며,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엘리베이터칸 완충기(12)로의 충돌속도 Vts + g × Ts보다도 낮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상 가속도의 검출에 의해 엘리베이터칸(8)을 비상 제동하는 속도를, 조속기(19)에서 검출되는 이상 속도보다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칸 완충기(12)의 완충 스트로크를 단축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칸 완충기(12)의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엘리베이터칸 완충기(12)를 설치하는 승강로(1)의 저부의 치수를 단축할 수 있다. 즉, 조속기(19)의 구조를 복잡화하지 않고, 간단한 구성에 의해, 승강로(1)의 공간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비상멈춤장치(17)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힘 Fs[N] 및 질량체(22)의 관성질량 Mt[kg]를 더욱 조정함으로써, Vio를 임의의 크기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질량체(22)의 관성질량 Mt를 적당한 크기로 조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도 1의 텐셔닝 쉬브(21)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도 5의 텐셔닝 쉬브(21)의 단면도이다. 이와 같은 텐셔닝 쉬브(21)에 대신하여, 예를 들면,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두께를 증가시킨 텐셔닝 쉬브(24)를 이용함으로써, 관성질량 Mt를 조정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텐셔닝 쉬브(21)와 동축으로 회전하는 플라이휠(25)을 추가하는 것에 의해서도 관성질량 Mt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1에서는, 종래와 같이, 조속기(19)에서 제1 과속도를 검출하면 엘리베이터칸(8)을 멈추고, 이 조속기(19)나 조속기 로프(20)를 질량체(22)로서 이용하여, 엘리베이터칸(8)의 낙하시에는 비상멈춤장치(17)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다른 질량체를 필요로 하지 않고, 시스템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다음으로,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엘리베이터칸(8)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 실시형태 2에서는, 작동레버(18)의 선단에 질량 Mm[kg]의 추(질량체)(26)가 장착되어 있다. 실시형태 2의 이상 가속도 검출기구는 비틀림 스프링(23) 및 추(26)를 가지고 있다.
작동레버(18)의 요동 중심으로부터 조속기 로프(20) 장착 위치까지의 길이를 Lr[m], 추(26)의 중심까지의 길이를 Lm[m]이라고 한다. 또, 조속기(19), 조속기 로프(20) 및 텐셔닝 쉬브(21)의 관성질량 Mt[kg]는 추(26)의 질량 Mm[kg]에 비해 매우 작은 것으로 한다.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여기서, 만약 현가수단(7)이 파단하여 엘리베이터칸(8)이 가속도 g[m/s2]로 가속한 경우, 엘리베이터칸(8)은 작동레버(18)의 조속기 로프(20) 장착 위치에서 추(26)로부터
Fq = Mm × (Lm/Lr) × g … (3)
의 크기의 관성력 Fq[N]를 상향으로 받는다.
그리고, 이 관성력 Fq[N]가 비상멈춤장치(17)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힘 Fs[N]를 넘는 경우,
Fs < Mm × (Lm/Lr) × g … (4)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동레버(18)가 반시계방향으로 요동되어, 비상멈춤장치(17)가 작동된다.
따라서, 비상멈춤장치(17)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힘 Fs[N], 추(26)의 질량 Mm[kg], 추(26)의 장착 위치 Lm[m] 등을 조정함으로써, 현가수단(7)이 파단하여 엘리베이터칸(8)이 자유낙하한 경우에, 조속기(19)가 제2 과속도(Vtr)를 검출하지 않아도, 비상멈춤장치(17)를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조속기(19)의 구조를 복잡화하지 않고, 간단한 구성에 의해, 승강로(1)의 공간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2에서는, 조속기 로프(20)가 장착되어 있는 작동레버(18)에 추(26)를 장착한 경우를 나타냈지만, 조속기 로프(20)가 장착되지 않아도 동일하게 동작한다.
또, 실시형태 2에서는, 관성질량 Mt를 질량 Mm에 비해 매우 작은 것으로 했지만, 관성질량 Mt를 어느 정도 크게 하고, 실시형태 1의 질량체(22)와 실시형태 2의 추(26)를 조합하여 이상 가속도의 설정값을 조정해도 된다.
또한, 실시형태 2의 구성에서 비틀림 스프링(23)을 생략해도 된다.
실시형태 3.
다음으로,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엘리베이터칸(8)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14는 도 13의 작동레버(18)가 요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서, 엘리베이터칸(8)상에는 가이드체(27)가 마련되어 있다. 가이드체(27) 내에는 가이드체(27)의 내벽을 따라서 상하이동 가능한 추(질량체)(28)가 삽입되어 있다.
추(28)는 연결봉(연결체)(29)을 통하여 작동레버(18)에 연결되어 있다. 조속기(19), 조속기 로프(20) 및 텐셔닝 쉬브(21)의 관성질량 Mt[kg]는 추(26)의 질량 Mm[kg]에 비해 매우 작은 것으로 한다. 실시형태 3의 이상 가속도 검출기구는 비틀림 스프링(23) 및 추(28)를 가지고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현가수단(7)의 파단에 의해 엘리베이터칸(8)이 자유낙하한 경우,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추(28)이 연결봉(29)을 통하여 작동레버(18)에 상향의 관성력을 주고, 이것에 의해 비상멈춤장치(17)가 작동된다.
따라서, 비상멈춤장치(17)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힘 Fs[N], 추(28)의 질량 Mm[kg] 등을 조정함으로써, 현가수단(7)이 파단하여 엘리베이터칸(8)이 낙하한 경우에, 조속기(19)가 제2 과속도(Vtr)를 검출하지 않아도, 비상멈춤장치(17)를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조속기(19)의 구조를 복잡화하지 않고, 간단한 구성에 의해, 승강로(1)의 공간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3에서는, 조속기 로프(20)가 장착되어 있는 작동레버(18)에 추(26)를 장착한 경우를 나타냈지만, 조속기 로프(20)가 장착되지 않아도 동일하게 동작한다.
또, 실시형태 3에서는, 관성질량 Mt를 질량 Mm에 비해 매우 작은 것으로 했지만, 관성질량 Mt를 어느 정도 크게 하여, 실시형태 1의 질량체(22)와 실시형태 3의 추(28)를 조합하여 이상 가속도의 설정값을 조정해도 된다.
또한, 실시형태 3의 추(28)와 실시형태 2의 추(26)를 조합하여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또한, 비상멈춤장치(17)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힘 Fs를 조정하기 위해, 실시형태 2와 마찬가지로, 비틀림 스프링(23)을 마련하거나 생략하거나 할 수도 있다.
실시형태 4.
다음으로,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엘리베이터칸(8)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16은 도 15의 작동레버(18)가 요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서, 비상멈춤장치(17)의 프레임체에는 작동레버(18)를 조작하는 액츄에이터(31)와, 엘리베이터칸(8)의 가속도에 따라 액츄에이터(31)를 제어하는 가속도 검출부(32)가 장착되어 있다. 가속도 검출부(32)는 신호선(33)를 통하여 액츄에이터(31)에 접속되어 있다.
가속도 검출부(32)에는 가속도 센서가 마련되어 있고, 엘리베이터칸(8)의 가속도가 미리 설정된 설정값을 넘으면, 액츄에이터(31)에 동작지령신호를 출력한다. 액츄에이터(31)는 동작지령신호를 받으면, 작동레버(18)를 요동시켜, 비상멈춤장치(17)를 작동시킨다. 실시형태 4의 이상 가속도 검출기구는 액츄에이터(31), 가속도 검출부(32) 및 신호선(33)를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 장치 전체의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가속도 검출부(32)에서의 가속도의 설정값은 현가수단(7)의 파단에 의한 낙하시의 엘리베이터칸(8)의 가속도 g[9.8m/s2] 이하로 한다. 이것에 의해, 만일 현가수단(7)이 파단하여 엘리베이터칸(8)이 중력가속도로 가속한 경우,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31)를 움직여, 비상멈춤장치(17)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 가속도 검출부(32)에서의 가속도의 설정값은 제어장치(5)의 이상 등에 의한 엘리베이터칸(8)의 급가속도 검출할 수 있도록, 통상 운전시의 가속도보다도 높은 값으로 설정됨과 아울러, 엘리베이터칸(8)의 상승중에 정전 등에 의해 급정지(소위 E-Stop)할 때의 감속도보다도 높은 값으로 설정된다. 또한, 이와 같은 이상 검출 가속도의 설정 조건은 실시형태 1 ~ 3에 대해서도 말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 의해서도, 현가수단(7)이 파단하여 엘리베이터칸(8)이 자유낙하한 경우에, 조속기(19)가 제2 과속도(Vtr)를 검출하지 않아도, 비상멈춤장치(17)를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조속기(19)의 구조를 복잡화하지 않고, 간단한 구성에 의해, 승강로(1)의 공간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4에서는, 가속도 검출부(32)를 비상멈춤장치(17)의 프레임체에 장착했지만, 엘리베이터칸(8) 또는 엘리베이터칸(8)에 고정된 다른 기기 등에 장착하여도 된다.
또, 실시형태 1, 2에서는, 비상멈춤장치(17)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힘 Fs를 조정하기 위해서 비틀림 스프링(23)을 이용했지만, 적당한 힘 Fs를 얻을 수 있으면, 반드시 스프링 등을 추가하지 않아도 되고, 또, 추가하는 경우, 비틀림 스프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형태 1 ~ 4에서는, 이상 가속도 검출기구에 의해 동작되는 제동장치를 비상멈춤장치(17)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더욱이 또한, 도 1에서는 1 : 1로핑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냈지만, 로핑 방식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2 : 1로핑의 엘리베이터 장치에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기계실(2)를 가지지 않는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나, 여러 가지의 타입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8)
- 엘리베이터칸,
상기 엘리베이터칸을 매다는 현가수단,
상기 현가수단을 통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칸을 승강시키는 구동장치,
상기 엘리베이터칸을 제동하는 제동장치, 및
미리 설정된 설정값을 넘는 가속도가 상기 엘리베이터칸에 발생한 경우에, 상기 제동장치를 동작시켜 상기 엘리베이터칸을 정지시키는 이상(異常) 가속도 검출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이상 가속도 검출기구는,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움직임에 관련하여 동작하는 질량체를 가지고 있고, 상기 엘리베이터칸에 상기 설정값을 넘는 가속도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질량체에 발생하는 힘을 이용하여 상기 제동장치를 동작시키며,
상기 질량체는, 승강로 내에 환상(環狀)으로 부설(敷設)된 로프와, 상기 로프가 걸려진 쉬브를 가지고 있고,
상기 현가수단이 파단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칸이 낙하하는 것에 의해 상기 질량체의 관성력이 상기 제동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힘을 넘으면, 상기 제동장치가 작동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과속도를 검출하는 조속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로프가 감겨진 쉬브는 상기 조속기에 마련된 조속기 쉬브이며,
상기 로프는 조속기 로프인 엘리베이터 장치.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동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칸에 마련된 비상멈춤장치인 엘리베이터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과속도를 검출하는 조속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설정값은 상기 이상 가속도 검출기구에 의해 상기 제동장치를 동작시킬 때의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속도가 상기 조속기에서 설정된 과속도보다도 낮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승강로 저부로의 충돌을 완충하는 완충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완충기의 완충 성능은 상기 이상 가속도 검출기구에 의해 상기 제동장치를 동작시킬 때의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속도에 따라 설정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JP2010/069437 WO2012059970A1 (ja) | 2010-11-01 | 2010-11-01 | エレベータ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93650A KR20130093650A (ko) | 2013-08-22 |
KR101456403B1 true KR101456403B1 (ko) | 2014-10-31 |
Family
ID=46024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7013905A KR101456403B1 (ko) | 2010-11-01 | 2010-11-01 | 엘리베이터 장치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9505587B2 (ko) |
EP (1) | EP2636626B1 (ko) |
JP (1) | JP5645955B2 (ko) |
KR (1) | KR101456403B1 (ko) |
CN (1) | CN103189294B (ko) |
WO (1) | WO2012059970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782138B2 (ja) * | 2011-02-07 | 2015-09-24 |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Otis Elevator Company | 個別のシーブ上の2つのトリッピングメカニズムを有したエレベータガバナ |
WO2012137279A1 (ja) * | 2011-04-01 | 2012-10-11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エレベータ装置 |
JP5726374B2 (ja) | 2012-04-16 | 2015-05-27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エレベータ装置 |
DE112013003088B4 (de) | 2012-06-19 | 2019-01-17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Aufzugvorrichtung |
US20150251877A1 (en) * | 2012-12-17 | 2015-09-10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Elevator apparatus |
CN104955757B (zh) | 2013-02-07 | 2017-02-08 | 三菱电机株式会社 | 电梯装置 |
CN103803366B (zh) | 2013-12-19 | 2016-04-27 | 西子奥的斯电梯有限公司 | 一种电梯抱闸力矩检测方法 |
DE112014006564B4 (de) * | 2014-04-09 | 2021-03-18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Aufzugvorrichtung |
US10654685B2 (en) * | 2014-08-01 | 2020-05-19 | Otis Elevator Company | Car mounted governor for an elevator system |
JP6203427B2 (ja) * | 2014-11-19 | 2017-09-27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エレベータ装置 |
US20170073190A1 (en) * | 2015-09-14 | 2017-03-16 | Otis Elevator Company | Actuator assembly for an elevator governor system and method |
KR102076322B1 (ko) * | 2015-11-26 | 2020-03-02 |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 엘리베이터 칸의 비상 멈춤 장치 |
EP3342740B1 (en) * | 2016-12-29 | 2020-02-05 | KONE Corporation | A method for avoiding unwanted safety gear tripping in a safety stopping system of an elevator system and a safety stopping system |
CN106946115B (zh) * | 2017-05-16 | 2019-06-04 | 日立电梯(中国)有限公司 | 电梯制动系统 |
JP6818909B2 (ja) | 2017-12-20 | 2021-01-27 | 三菱電機株式会社 |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 |
JP6698727B2 (ja) * | 2018-03-12 | 2020-05-27 | ファナック株式会社 | 非常停止システム |
CN116812706A (zh) * | 2018-03-29 | 2023-09-29 | 福建江夏学院 | 一种电梯液压减速方法 |
EP3564169A1 (de) * | 2018-04-30 | 2019-11-06 | Inventio AG | Geschwindigkeitsbegrenzer - prüfeinrichtung |
ES2981788T3 (es) * | 2020-12-04 | 2024-10-10 | Otis Elevator Company | Desaceleración de terminales de emergencia en sistemas de ascensores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083432A (en) * | 1976-12-01 | 1978-04-11 | Otis Elevator Company | Safety arrangement |
WO2010107407A1 (en) * | 2009-03-16 | 2010-09-23 | Otis Elevator Company | Elevator over-acceleration and over-speed protection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3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957311A (en) * | 1931-03-27 | 1934-05-01 | Westinghouse Elec Elevator Co | Inertia type governor |
US2001361A (en) * | 1934-11-21 | 1935-05-14 | Otis Elevator Co | Elevator safety apparatus |
US2581297A (en) * | 1949-07-20 | 1952-01-01 | Westinghouse Electric Corp | Elevator safety device |
BE621571A (ko) * | 1961-08-18 | |||
US3762512A (en) * | 1971-10-29 | 1973-10-02 | Us Elevator Corp | Elevator rail grab safety apparatus |
GB1359384A (en) * | 1973-09-17 | 1974-07-10 | Kent A F | Intertiacontrolled fail-safe vehicle brake |
DE59106220D1 (de) * | 1990-12-07 | 1995-09-14 | Inventio Ag | Bremsfangvorrichtung für Aufzugskabine und Gegengewicht. |
JPH05155555A (ja) * | 1991-12-10 | 1993-06-22 | Mitsubishi Electric Corp | エレベーター用緩衝装置 |
FI101373B1 (fi) * | 1993-04-05 | 1998-06-15 | Kone Oy | Järjestely ripustus- ja kompensaatioköysien venymän kompensoimiseksi |
JP3390578B2 (ja) * | 1995-07-26 | 2003-03-24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エレベータ調速機 |
JP3532349B2 (ja) * | 1996-06-11 | 2004-05-31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
HUP9701783A3 (en) * | 1996-11-11 | 2000-04-28 | Inventio Ag | Break releaseing equipment |
US6173813B1 (en) | 1998-12-23 | 2001-01-16 | Otis Elevator Company | Electronic control for an elevator braking system |
DE19906073C2 (de) * | 1999-02-12 | 2003-03-27 | Inventio Ag | Vorrichtung zum Verhindern unkontrollierter Beschleunigungen eines Fahrkorbs einer Aufzugsanlage |
JP2002179360A (ja) * | 2000-12-19 | 2002-06-26 |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 エレベーターのガバナ装置 |
JP2003104646A (ja) | 2001-09-28 | 2003-04-09 | Mitsubishi Electric Corp |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
DE50309764D1 (de) * | 2002-04-02 | 2008-06-19 | Inventio Ag | Einrichtung zum Einrücken einer Fangvorrichtung für eine Aufzugskabine |
MY135853A (en) * | 2003-02-04 | 2008-07-31 | Inventio Ag | Safety device for an elevator |
WO2004083090A1 (ja) | 2003-03-18 | 2004-09-30 |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 |
JP2004345803A (ja) * | 2003-05-22 | 2004-12-09 | Toshiba Elevator Co Ltd | 昇降体の非常止め装置、非常止め復帰装置及び非常止め復帰方法 |
JP4368854B2 (ja) * | 2003-11-21 | 2009-11-18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エレベータ装置 |
FI118333B (fi) * | 2004-01-09 | 2007-10-15 | Kone Corp | Laitteisto hississä korin hallitsemattoman liikkeen havaitsemiseksi ja pysäyttämiseksi |
EP1741656B2 (en) * | 2004-04-27 | 2015-06-17 |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 Elevator apparatus |
WO2006033144A1 (ja) * | 2004-09-22 | 2006-03-30 |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 |
JP4710834B2 (ja) * | 2004-12-15 | 2011-06-29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エレベータ非常止め装置 |
FI119877B (fi) * | 2005-08-19 | 2009-04-30 | Kone Corp | Hissin turvajärjestely |
JP5264786B2 (ja) * | 2008-01-25 | 2013-08-14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エレベータ装置 |
BRPI0924958B1 (pt) | 2009-03-16 | 2019-04-16 | Otis Elevator Company | Sistema e método para detectar e processar condições de sobre-aceleração e sobre-velocidade |
EP2456702B1 (en) * | 2009-07-20 | 2020-05-20 | Otis Elevator Company | Elevator governor system |
KR20120030568A (ko) | 2009-09-02 | 2012-03-28 |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 엘리베이터 장치 |
WO2012137279A1 (ja) * | 2011-04-01 | 2012-10-11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エレベータ装置 |
JP5726374B2 (ja) * | 2012-04-16 | 2015-05-27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エレベータ装置 |
DE112013003088B4 (de) * | 2012-06-19 | 2019-01-17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Aufzugvorrichtung |
WO2015128931A1 (ja) * | 2014-02-25 | 2015-09-03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エレベータ、エレベータの追加連結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 |
-
2010
- 2010-11-01 KR KR1020137013905A patent/KR10145640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0-11-01 CN CN201080069875.7A patent/CN103189294B/zh active Active
- 2010-11-01 EP EP10859227.0A patent/EP2636626B1/en active Active
- 2010-11-01 JP JP2012541644A patent/JP5645955B2/ja active Active
- 2010-11-01 US US13/882,369 patent/US9505587B2/en active Active
- 2010-11-01 WO PCT/JP2010/069437 patent/WO2012059970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083432A (en) * | 1976-12-01 | 1978-04-11 | Otis Elevator Company | Safety arrangement |
WO2010107407A1 (en) * | 2009-03-16 | 2010-09-23 | Otis Elevator Company | Elevator over-acceleration and over-speed protection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636626A4 (en) | 2014-11-26 |
EP2636626A1 (en) | 2013-09-11 |
US9505587B2 (en) | 2016-11-29 |
KR20130093650A (ko) | 2013-08-22 |
WO2012059970A1 (ja) | 2012-05-10 |
US20130220739A1 (en) | 2013-08-29 |
JP5645955B2 (ja) | 2014-12-24 |
CN103189294B (zh) | 2015-05-06 |
CN103189294A (zh) | 2013-07-03 |
EP2636626B1 (en) | 2018-03-21 |
JPWO2012059970A1 (ja) | 2014-05-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56403B1 (ko) | 엘리베이터 장치 | |
KR101706883B1 (ko) | 엘리베이터 장치 | |
KR101617572B1 (ko) | 엘리베이터 장치 | |
JP6633208B2 (ja) | エレベーター装置 | |
KR101920546B1 (ko) | 엘리베이터 장치 | |
JP6062009B2 (ja) | エレベータ装置 | |
WO2014097373A1 (ja) | エレベータ装置 | |
US9957133B2 (en) | Elevator apparatus | |
WO2007034587A1 (ja) | エレベータ装置 | |
JPWO2013190869A1 (ja) | エレベータ装置 | |
WO2000055085A1 (fr) | Dispositif de securite pour ascenseur | |
JP6188962B2 (ja) | エレベータ装置 | |
KR100627540B1 (ko) | 엘리베이터 장치 | |
WO2022172406A1 (ja) | エレベーター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