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6322B1 - 엘리베이터 칸의 비상 멈춤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칸의 비상 멈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6322B1
KR102076322B1 KR1020187014049A KR20187014049A KR102076322B1 KR 102076322 B1 KR102076322 B1 KR 102076322B1 KR 1020187014049 A KR1020187014049 A KR 1020187014049A KR 20187014049 A KR20187014049 A KR 20187014049A KR 102076322 B1 KR102076322 B1 KR 102076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link
elastic body
roller guide
rail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4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2743A (ko
Inventor
나오히로 시라이시
세이지 와타나베
고타로 후쿠이
에이지 안도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72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2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6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6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22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means of linearly-movable w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28Buffer-stops for cars, cages, or skips

Abstract

엘리베이터 칸에 설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조속기 로프의 이동에 의해 회전시켜지는 링크(5)와, 이 링크(5)의 일단에 마련된 레일 스토퍼(4)와, 엘리베이터 칸에 장착된 롤러 가이드(3)와, 링크(5)의 타단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과의 사이에 마련된 탄성체(2)를 구비하며, 이 탄성체(2)는, 권상기의 브레이크시에는, 조속기 로프(6)의 이동에 따라서 링크(5)에 의해 변위시켜져도 레일 스토퍼(4)가 롤러 가이드(3)에 맞닿지 않는 스프링 반력을 가지고, 로프 절단 발생시에는 조속기 로프(6)의 이동에 따라서 링크(5)에 의해 더 변위시켜지는 것에 의해 변위가 미리 설정한 문턱값을 넘었을 때에는 스프링 반력을 저하시키는 것에 의해 레일 스토퍼(4)를 롤러 가이드(3)에 맞닿게 하는 특성을 가지는 엘리베이터 칸의 비상 멈춤 장치이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칸의 비상 멈춤 장치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칸의 비상 멈춤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로프 절단 발생시 등에서 엘리베이터 칸을 긴급 정지시키는 비상 멈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칸(이하, '엘리베이터 칸'으로 대략 칭함)의 비상 멈춤 장치는, 조속기 로프의 관성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칸의 가속도에 따라 쐐기 모양의 레일 스토퍼를 끌어올리는 구성을 가지는 것이며,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가 낮은 경우도 로프 절단 발생시에 재빠르게 동작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비상 멈춤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가 낮은 최하층 부근에서의 주행 중의 로프 절단 발생시에도, 엘리베이터 칸을 재빠르게 감속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승강로 하단의 피트(pit) 내에 설치되는 완충기를 소형의 것으로 해도 될 수 있다.
이 비상 멈춤 장치의 설계에서는, 권상기의 브레이크(E 스톱(stop))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칸이 감속하는 경우에는, 비상 멈춤 장치가 동작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레일 스토퍼가, 비상 멈춤 동작을 실행하는 위치(레일 접촉 위치)까지, 끌어올려지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비상 멈춤 장치에는 레일 스토퍼가 끌어올려지지 않는 방향으로 스프링 반력 등이 가해지고 있다.
한편으로, 로프 절단 발생시에는, 이 스프링 반력이 강한 만큼 비상 멈춤 장치가 동작할 때까지의 시간이 길어져 버리고, 그 결과, 대형의 완충기가 필요하게 되어 버린다.
여기서, 로프 절단 발생시에만 레일 스토퍼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제약하는 것도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 국제공개 WO 13/157069호 공보
상기의 특허 문헌 1의 경우에는, 로프 절단 검출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구가 별도 필요하게 된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권상기의 브레이크시에는 레일 스토퍼가 끌어올려지지 않도록 억제해 두고, 로프 절단 발생시에는 재빠르게 레일 스토퍼를 끌어올릴 수 있음과 아울러, 대형의 완충기를 필요로 하지 않고 또한 로프 절단 검출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구도 필요로 하지 않는 엘리베이터 칸의 비상 멈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칸의 비상 멈춤 장치는, 엘리베이터 칸에 설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조속기 로프의 이동에 의해 회전시켜지는 링크와, 상기 링크의 일단에 마련된 레일 스토퍼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장착된 롤러 가이드와, 상기 링크의 타단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과의 사이에 마련된 탄성체를 구비하며, 상기 탄성체는, 권상기의 브레이크시에는, 상기 조속기 로프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링크에 의해 변위시켜져도 상기 레일 스토퍼가 상기 롤러 가이드에 맞닿지 않는 스프링 반력을 가지고, 로프 절단 발생시에는 상기 조속기 로프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링크에 의해 더 변위시켜지는 것에 의해 상기 변위가 미리 설정한 문턱값을 넘었을 때에는 상기 스프링 반력을 저하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레일 스토퍼를 상기 롤러 가이드에 맞닿게 하는 특성을 가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칸의 비상 멈춤 장치는, 권상기의 브레이크시에는, 조속기 로프의 이동에 따라서 링크에 의해 변위시켜져도 레일 스토퍼가 롤러 가이드에 맞닿지 않는 스프링 반력을 가지고, 로프 절단 발생시에는 조속기 로프의 이동에 따라서 링크에 의해 더 변위시켜지는 것에 의해 변위가 미리 설정한 문턱값을 넘었을 때에는 스프링 반력을 저하시키는 것에 의해 레일 스토퍼를 롤러 가이드에 맞닿게 하는 특성을 가지도록 구성했으므로, 권상기의 브레이크시에는 레일 스토퍼가 끌어올려지지 않도록 억제해 두고, 로프 절단 발생시에는 재빠르게 레일 스토퍼를 끌어올릴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대형의 완충기를 필요로 하지 않고 또한 로프 절단 검출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구도 필요로 하지 않는다고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칸의 비상 멈춤 장치의 실시 형태 1을 나타내는 개략 구조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칸의 비상 멈춤 장치에 이용하는 스프링의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칸의 비상 멈춤 장치의 실시 형태 1의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스프링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스프링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칸의 비상 멈춤 장치의 실시 형태 2를 나타내는 개략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칸의 비상 멈춤 장치의 실시 형태 2의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칸의 비상 멈춤 장치를 도면을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형태 1.(비선형 스프링을 이용하는 경우)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칸의 비상 멈춤 장치의 실시 형태 1을 나타내며, 그 중에서, 도 1의 (1)은, 엘리베이터 칸(1)의 상부로부터, 오동작 방지 스프링으로서의 인장 스프링(2)이 접속된 예를 나타내고, 도 1의 (2)의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1)의 하부로부터, 역시 오동작 방지 스프링으로서의 압축 스프링(2)이 접속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1)에는, 비상 멈춤 기구를 구성하는 롤러 가이드(3)가 장착되어 있고, 조속기 로프(6)에도 고정되어 있다. 이 롤러 가이드(3)에 대향하여 레일 스토퍼(4)가 마련되어 있고, 이 레일 스토퍼(4)는, 링크(5)의 일단에 장착된다. 링크(5)의 타단에는, 스프링(2)이 접속되어 있다. 링크(5)의 회전축은 엘리베이터 칸(1)에 설치되어 있다.
동작에서는, 개략적으로, 엘리베이터 칸(1)이 일정 이상의 속도로 낙하할 때, 권상기가 브레이크를 걸지만, 이 때의 관성에 의해, 조속기 로프(6)는 화살표 방향으로 상승하므로, 엘리베이터 칸(1)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링크(5)는, 엘리베이터 칸(1)에서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므로, 스프링(2)을 잡아당김과 아울러, 레일 스토퍼(4)를 상부로 끌어올린다.
로프 절단이 발생했을 때에는, 롤러 가이드(3)에 레일 스토퍼(4)가 맞닿게 되어, 엘리베이터 칸(1)의 낙하를 정지시킨다.
먼저, 상기 과제의 해결책으로서, 본 발명자는, 스프링(2)에, 도 2의 그래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 변위가 권상기의 브레이크시(時)인 E 스톱시보다 크게 되면, 즉, 레일 스토퍼(4)를 문턱값 xth 이상으로 끌어올리면, 스프링 반력이 급격하게 저하된다고 하는 레일 접촉시에 특유인 스프링 변위 특성이 있는 것에 주목했다.
그리고, 그 스프링 변위 위치를, E 스톱시에 상정(想定)되는 최대 끌어올림량보다도 큰 위치로 설정함으로써, 로프 절단 발생시(1G)에는, 스프링 반력이 제거되어, 레일 스토퍼(4)가 재빠르게 끌어올려지게 된다.
한편, 문턱값 xth보다 낮은 E 스톱시(0.5G)에서는, 스프링 반력이 없어지지 않고, 끌어올림 저항을 유지하여 권상기의 브레이크를 발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 1은, 권상기의 브레이크시에는 레일 스토퍼가 끌어올려지지 않도록 억제해 두고, 로프 절단 발생시에는 재빠르게 레일 스토퍼를 끌어올릴 수 있는 특성을 구비한 스프링(2)을 사용한 것이다.
또, 링크 등을 이용하여, 중간의 위치까지 끌어올려지면, 스프링력이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도록 구성한 선행기술이 있지만(일본특허공개 제2000-219450 등), 관성 동작의 비상 멈춤 장치의 동작 시간 단축에 이용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도 2에 나타내는 비상 멈춤 장치에서의 스프링 특성에 대해 수리(數理) 해석한다. 모든 파라미터를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ㆍ레일 스토퍼(4)의 자중:m2
ㆍ조속기계(調速機系) 회전 관성의 합계(조속기 로프 자중과 조속기ㆍ텐션 쉬브(tension sheave)의 회전 관성):M
ㆍ엘리베이터 칸 변위:x1
ㆍ레일 스토퍼(4)의 변위:x2
ㆍ회전 중심 반대측부의 변위:x4
ㆍ오동작 방지 스프링(2)의 상수:k1
ㆍ스프링과 회전 중심과의 거리-조속기 로프와 회전 중심과의 거리의 비:h
이들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운동 방정식을 구하면, 다음 식 (1)과 같이 된다.
[수식 1]
Figure 112018048651591-pct00001
또, 반력이 없어지는 스프링 변위를 xth로 하면, 스프링(2)의 스프링 상수 k1는 다음 식 (2)과 같이 나타내진다.
[수식 2]
Figure 112018048651591-pct00002
끌어올림량을 y2=x1-x2로 하면, 상기의 식 (1)은, 다음 식 (3)과 같이 다시 쓸 수 있다.
[수식 3]
Figure 112018048651591-pct00003
상기의 식 (3)을, 스프링(2)을 선형의 조건으로서 풀면, 다음 식 (4)가 된다.
[수식 4]
Figure 112018048651591-pct00004
β=1일 때(로프 절단시)의 스프링의 변위가 전환 위치보다 크게 되고, β=0.5인 경우(E 스톱시)에는, 선형 스프링으로서 스프링 변위의 최대치가, 전환 위치 xth보다 크게 되지 않도록 설계할 필요가 있으므로, 다음 식 (5)과 같이 된다.
[수식 5]
Figure 112018048651591-pct00005
여기서, 스프링 반력 제거후의 운동 방정식은, 상기의 식 (3)에서 k1=0인 경우에 상당하므로,
[수식 6]
Figure 112018048651591-pct00006
이 되어, 포물 운동이 된다.
또, 전환 타이밍을 tth로 하면, 그 때의 끌어올림 위치 및 속도는 각각 다음 식 (7) 및 (8)로 나타낼 수 있다.
[수식 7]
Figure 112018048651591-pct00007
Figure 112018048651591-pct00008
연속의 조건으로부터, 전환후의 운동 방정식은, 다음 식 (9)가 된다.
[수식 8]
Figure 112018048651591-pct00009
이와 같이, 도 2의 특성을 가지는 스프링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에 관한 비상 멈춤 장치는 상기의 식에 근거하여 동작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선형 스프링을 이용한 경우(2)는, 선형 스프링을 이용한 경우(3)에 비해, 도중에 스프링 반력이 제거되는 것에 의해, 로프 절단 발생시의 끌어올림 동작(레일 접촉 위치(1)로의 도달 시간)이, (6)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tda로부터 tdb로 빠르게 되어 있다. 한편으로, E 스톱시의 동작(5)은, 전환 위치(4)의 끌어올림 거리 yth 이하이며, 영향이 없기 때문에, 관성 동작의 비상 멈춤 장치의 설계 범위를 넓힐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도 1의 (1)에 나타내는 구성에 한정하지 않고, 비상 멈춤 장치의 레일 스토퍼를 끌어올릴 때 저항이 되는 방향으로 스프링을 설치하고, 그 스프링의 변위, 또는, 스프링(2)에 걸리는 힘이 일정 이상이 된 경우에 스프링 반력이 저하되는 구성이라도 좋다.
즉, 도 1의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입 방향으로 스프링(2)을 이용하거나, 레일 스토퍼(4)측에 설치하거나, 끌어올림에 연동하는 다른 링크를 마련하고, 그 링크 상에 스프링을 설치하거나, 또는, 회전 중심에 회전 스프링을 설치하거나 하는 등의 바리에이션(variation)이 고려되어진다.
<스프링(2)의 변형예>
도 1에 나타내는 본 실시 형태 1에서의 스프링(2)으로서는, 도 2에 나타내는 스프링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서, 이하의 변형예를 들 수 있다. 또, 로프 절단 발생시에만 스프링 반력이 제거되고, 비상 멈춤 장치가 동작하도록 설계하기 때문에, 비상 멈춤 동작후에 끌어올림 저항력이 복귀하지 않아도, 비상 멈춤 장치가 동작하기 쉬운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안전상 문제는 되지 않는다.
1) 스프링을 파단시키는 예(인장 스프링의 경우)
인장 스프링에서는, 일정 이상의 장력이 걸렸을 때에 파단하도록 스프링을, 도 2에 나타내는 스프링 특성으로 설계함으로써, 비선형 특성을 실현할 수 있다.
2) 스프링의 절곡예(압축 스프링의 경우)
스프링을, 도 4의 (a1)~(a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리 절곡된 상태로 설치함으로써, 도중에 절곡을 발생시키고, 도 2에 나타내는 비선형 특성(좌굴(座屈))을, 도 4의 (a3)에 나타내는 상태로 실현한다.
3) 스프링에 중간부를 마련하는 방식(인장 스프링 및 압축 스프링의 경우)
도 4의 (b1)~(b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을, 스프링(2a, 2b)으로 구성하고, 이것을 마찰 유지 부재(10a, 10b)에 의해서 일체화한다. 이것에 의해, 압축력이나 인장력이 문턱값을 넘으면, 도 4의 (b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찰력으로 유지할 수 없게 되고, 분리되어 스프링 반력이 없어진다. 또, 마찰 부재 대신에, 자석에 의한 자력이나 흡반(吸盤)의 압력 변화, 접착제, 강도가 약한 부위를 마련하는 등에 의해, 중간 부재를 일체화시켜도 좋다.
게다가, 압축·인장력을 기준으로 떼어내는 구조 뿐만 아니라, 도 5의 (c1)~(c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름봉(11)을 이용하여 기준 변위에 근거하여 떼어내는 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4) 스프링 받이의 기구를 이용하는 방식(인장 스프링 및 압축 스프링의 경우)
도 5의 (d1)~(d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과 끌어올림 부재 또는 엘리베이터 칸과의 접속부인, 스프링 받이에 링크 등을 이용하여, 일정 이상의 힘이 걸리면 떨어지는 기구(12)를 구축한다. 이 예에서는, 압입에 의해 떨어지는 구조를 나타냈지만, 빼냄에 의해 떨어지는 구조로 해도 되고, 상기의 중간부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접속·분리 구조에는, 마찰이나 자력, 접착력 등을 이용해도 좋고, 변위를 기준으로 떨어지는 구조로 해도 괜찮다.
실시 형태 2.(부가추를 추가하는 경우)
상기의 실시 형태 1은,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에 의하지 않고, 비록 오동작 이라도, 소정의 변위량만큼 이동해 버리면 스프링 반력이 저하해 버리기 때문에, 스프링 반력이 제거되는 변위량을 비교적 큰 값으로 설정해야 한다. 따라서, 로프 절단 발생시에도, 전환 위치까지의 동작은 기존의 구성과 동일한 정도의 시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전체로서의 동작 시간의 단축 효과가 한정된다.
여기서 오동작 방지 스프링(2)을 분할하고,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가추(7)를 사이에 두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개선할 수 있다. 부가추(7)는, 스프링(8 및 9)에 의해서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1)의 가속도에 따라 상하 변위한다. 이것을 이용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가 큰 경우(로프 절단 발생시)는, 부가추(7)가 엘리베이터 칸(1)에 대해서 크게 들어올려지고, 상측 스프링(8)이 미리 밀어넣어진 상태가 되기 때문에, 전환 위치까지의 레일 스토퍼(4)의 끌어올림량을 단축시킬 수 있다.
한편으로, E 스톱시는, 부가추(7)의 상승량이 작기 때문에, 전환 위치까지의 레일 스토퍼(4)의 끌어올림량이 크게 된다.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 칸 감속도에 의해서, 실질적으로 스프링 반력이 제거되는 변위량을 전환할 수 있고, 도 7의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프 절단 발생시의 비상 멈춤 동작 시간을 더 단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부가추(7) 자체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사양에 대해서 독립하여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기존의 기구를 이용하면서, 비상 멈춤 동작 시간만 단축할 수 있다.

Claims (6)

  1. 엘리베이터 칸에 설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조속기 로프의 이동에 의해 회전시켜지는 링크와,
    상기 링크의 일단에 마련된 레일 스토퍼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장착된 롤러 가이드와,
    상기 링크의 타단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과의 사이에 마련된 탄성체를 구비하며,
    상기 탄성체는, 권상기의 브레이크시에는, 상기 조속기 로프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링크에 의해 변위시켜져도 상기 레일 스토퍼가 상기 롤러 가이드에 맞닿지 않는 스프링 반력을 가지고, 로프 절단 발생시에는 상기 조속기 로프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링크에 의해 더 변위시켜지는 것에 의해 상기 변위가 미리 설정한 문턱값을 넘었을 때에는 상기 스프링 반력을 저하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레일 스토퍼를 상기 롤러 가이드에 맞닿게 하는 특성을 가지며,
    상기 탄성체는, 상기 변위가 압입되는 방향으로 발생하며, 미리 중간부에 휨부를 가지고, 상기 탄성체의 변위가 상기 문턱값을 넘는 경우에, 상기 휨부에서 절곡되는 특성을 가지는 엘리베이터 칸의 비상 멈춤 장치.
  2. 엘리베이터 칸에 설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조속기 로프의 이동에 의해 회전시켜지는 링크와,
    상기 링크의 일단에 마련된 레일 스토퍼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장착된 롤러 가이드와,
    상기 링크의 타단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과의 사이에 마련된 탄성체를 구비하며,
    상기 탄성체는, 권상기의 브레이크시에는, 상기 조속기 로프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링크에 의해 변위시켜져도 상기 레일 스토퍼가 상기 롤러 가이드에 맞닿지 않는 스프링 반력을 가지고, 로프 절단 발생시에는 상기 조속기 로프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링크에 의해 더 변위시켜지는 것에 의해 상기 변위가 미리 설정한 문턱값을 넘었을 때에는 상기 스프링 반력을 저하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레일 스토퍼를 상기 롤러 가이드에 맞닿게 하는 특성을 가지며,
    상기 탄성체는, 상기 변위가 인장되는 방향으로 발생하며, 상기 탄성체의 변위가 상기 문턱값을 넘는 경우에, 일부가 파단하는 특성을 가지는 엘리베이터 칸의 비상 멈춤 장치.
  3. 엘리베이터 칸에 설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조속기 로프의 이동에 의해 회전시켜지는 링크와,
    상기 링크의 일단에 마련된 레일 스토퍼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장착된 롤러 가이드와,
    상기 링크의 타단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과의 사이에 마련된 탄성체를 구비하며,
    상기 탄성체는, 권상기의 브레이크시에는, 상기 조속기 로프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링크에 의해 변위시켜져도 상기 레일 스토퍼가 상기 롤러 가이드에 맞닿지 않는 스프링 반력을 가지고, 로프 절단 발생시에는 상기 조속기 로프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링크에 의해 더 변위시켜지는 것에 의해 상기 변위가 미리 설정한 문턱값을 넘었을 때에는 상기 스프링 반력을 저하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레일 스토퍼를 상기 롤러 가이드에 맞닿게 하는 특성을 가지며,
    상기 탄성체는, 중간부에 서로 결합 가능한 2개의 부재가 개재하고 있고, 상기 탄성체의 변위가 상기 문턱값을 넘는 경우, 상기 2개의 부재의 결합이 해제되는 구조를 가지는 엘리베이터 칸의 비상 멈춤 장치.
  4. 엘리베이터 칸에 설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조속기 로프의 이동에 의해 회전시켜지는 링크와,
    상기 링크의 일단에 마련된 레일 스토퍼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장착된 롤러 가이드와,
    상기 링크의 타단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과의 사이에 마련된 탄성체를 구비하며,
    상기 탄성체는, 권상기의 브레이크시에는, 상기 조속기 로프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링크에 의해 변위시켜져도 상기 레일 스토퍼가 상기 롤러 가이드에 맞닿지 않는 스프링 반력을 가지고, 로프 절단 발생시에는 상기 조속기 로프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링크에 의해 더 변위시켜지는 것에 의해 상기 변위가 미리 설정한 문턱값을 넘었을 때에는 상기 스프링 반력을 저하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레일 스토퍼를 상기 롤러 가이드에 맞닿게 하는 특성을 가지며,
    상기 탄성체는, 상기 변위가 압입되는 방향으로 발생하며, 상기 엘리베이터 칸과의 고정부에서, 상기 탄성체의 변위가 일정치를 넘는 경우, 고정 상태를 변화시켜 상기 스프링 반력을 저하시키는 구조를 가지는 엘리베이터 칸의 비상 멈춤 장치.
  5. 엘리베이터 칸에 설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조속기 로프의 이동에 의해 회전시켜지는 링크와,
    상기 링크의 일단에 마련된 레일 스토퍼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장착된 롤러 가이드와,
    상기 링크의 타단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과의 사이에 마련된 탄성체를 구비하며,
    상기 탄성체는, 권상기의 브레이크시에는, 상기 조속기 로프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링크에 의해 변위시켜져도 상기 레일 스토퍼가 상기 롤러 가이드에 맞닿지 않는 스프링 반력을 가지고, 로프 절단 발생시에는 상기 조속기 로프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링크에 의해 더 변위시켜지는 것에 의해 상기 변위가 미리 설정한 문턱값을 넘었을 때에는 상기 스프링 반력을 저하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레일 스토퍼를 상기 롤러 가이드에 맞닿게 하는 특성을 가지며,
    상기 탄성체가, 중간에 추를 가지고, 상기 추와 상기 링크와의 사이의 탄성체 부분의 변위가 상기 문턱값을 넘었을 때, 상기 스프링 반력을 저하시키는 엘리베이터 칸의 비상 멈춤 장치.
  6. 삭제
KR1020187014049A 2015-11-26 2015-11-26 엘리베이터 칸의 비상 멈춤 장치 KR1020763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5/083212 WO2017090145A1 (ja) 2015-11-26 2015-11-26 エレベータかごの非常止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2743A KR20180072743A (ko) 2018-06-29
KR102076322B1 true KR102076322B1 (ko) 2020-03-02

Family

ID=58764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4049A KR102076322B1 (ko) 2015-11-26 2015-11-26 엘리베이터 칸의 비상 멈춤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142429B2 (ko)
JP (1) JP6505249B2 (ko)
KR (1) KR102076322B1 (ko)
CN (1) CN108349695B (ko)
DE (1) DE112015007155T5 (ko)
WO (1) WO20170901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014280A1 (de) * 2015-11-06 2017-05-11 Eisenmann Se Hubsystem zum Anheben und/oder Absenken von Lasten
EP3677534B1 (en) * 2019-01-02 2021-07-21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afety device actuator
CN110626908B (zh) * 2019-09-24 2024-04-09 迈格钠磁动力股份有限公司 具备自动复位功能的电梯缓速器和电梯系统
CN110713091B (zh) * 2019-10-18 2021-09-10 江西维毅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电梯
CN113307128A (zh) * 2021-05-28 2021-08-27 富鑫特种设备有限公司 一种电梯坠落保护装置以及保护方法
EP4321466A1 (en) * 2022-08-10 2024-02-14 Otis Elevator Company Frictionless electronic safety actuator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3432A (en) 1976-12-01 1978-04-11 Otis Elevator Company Safety arrangement
JPS5561582A (en) * 1978-10-27 1980-05-09 Tokyo Shibaura Electric Co Safety device for elevator
JPS58119573A (ja) * 1982-01-07 1983-07-16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装置
JP2626408B2 (ja) * 1992-05-20 1997-07-0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用非常停止装置
JPH06183660A (ja) * 1992-12-04 1994-07-05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ーの調速機誤動作防止装置
US6173813B1 (en) * 1998-12-23 2001-01-16 Otis Elevator Company Electronic control for an elevator braking system
JP2000219450A (ja) 1999-02-01 2000-08-08 Toshiba Corp エレベータ装置
JP2004345803A (ja) * 2003-05-22 2004-12-09 Toshiba Elevator Co Ltd 昇降体の非常止め装置、非常止め復帰装置及び非常止め復帰方法
WO2006046284A1 (ja) * 2004-10-27 2006-05-0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の非常停止装置
US8827044B2 (en) * 2009-03-16 2014-09-09 Otis Elevator Company Over-acceleration and over-speed detection and processing system
JP5645955B2 (ja) * 2010-11-01 2014-12-2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US9637348B2 (en) 2012-04-16 2017-05-0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apparatus
WO2013190869A1 (ja) * 2012-06-19 2013-12-2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BR112015001696A2 (pt) * 2012-08-02 2017-07-04 Mitsubishi Electric Corp dispositivo de parada de emergência para elevador
US9695011B2 (en) * 2012-11-13 2017-07-04 Schindler Aufzüge Ag Elevator with a safety brake
US9873592B2 (en) * 2015-10-08 2018-01-23 ThyssenKrupp Elevator AG, ThyssenKrupp AG Governor inertia carrier for elevator safety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319628A1 (en) 2018-11-08
DE112015007155T5 (de) 2018-08-09
US11142429B2 (en) 2021-10-12
JP6505249B2 (ja) 2019-04-24
WO2017090145A1 (ja) 2017-06-01
JPWO2017090145A1 (ja) 2018-04-19
KR20180072743A (ko) 2018-06-29
CN108349695A (zh) 2018-07-31
CN108349695B (zh) 2021-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6322B1 (ko) 엘리베이터 칸의 비상 멈춤 장치
KR102276519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1456403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1617572B1 (ko) 엘리베이터 장치
CN101759076B (zh) 电梯缓冲器
US10894695B2 (en) Device and method for actuating an elevator safety brake
WO2015155854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5774220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130122663A (ko) 엘리베이터 장치
JP6058176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5959668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5603755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4345803A (ja) 昇降体の非常止め装置、非常止め復帰装置及び非常止め復帰方法
JP6188962B2 (ja) エレベータ装置
CN116062584A (zh) 无摩擦电子安全促动器
JP6147858B2 (ja) エレベータ装置
WO2011125206A1 (ja) エレベーターのロープ振幅抑制装置及び管制運転装置
JP2004168450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S6023276A (ja) エレベ−タ−用非常停止装置
JPS6225590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