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5921B1 - 레페치니아 카울레센스 추출물의 미용 제제 및 미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레페치니아 카울레센스 추출물의 미용 제제 및 미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5921B1
KR101685921B1 KR1020090050143A KR20090050143A KR101685921B1 KR 101685921 B1 KR101685921 B1 KR 101685921B1 KR 1020090050143 A KR1020090050143 A KR 1020090050143A KR 20090050143 A KR20090050143 A KR 20090050143A KR 101685921 B1 KR101685921 B1 KR 101685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mixture
plant
cosmetic
cosmetic prepa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0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7241A (ko
Inventor
페세 벨지니
르플롱퀘 벨지니
라쥬 크리스텔
두마 마크
Original Assignee
엘브이엠에이취 러쉐르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브이엠에이취 러쉐르쉐 filed Critical 엘브이엠에이취 러쉐르쉐
Publication of KR20090127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72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5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59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3/00Manicure or pedicure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페치니아 속에 속하는 식물체, 특히 식물체 종 레페치니아 카울레센스의 추출물이 미용 조성물에서 미용 제제로서 또는 활성 제제로서 사용되는 용도에 관한 것이다.
레페치니아 카올레센스, 추출물, 미용 조성물

Description

레페치니아 카울레센스 추출물의 미용 제제 및 미용 조성물{Cosmetic preparations and cosmetic compositions of Lepechinia caulescens extract}
본 발명은 레페치니아 속에 속하는 식물체의 추출물의 미용제제로서의 용도 및 이를 함유한 미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주제는 식물종 레페치니아 카울레센스 의 추출물의 미용 조성물에서의 미용 제제로서 또는 활성 성분으로서의 용도 및 이러한 조성물을 사용하는 미용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어팝토시스 (Apoptosis)는 유기체의 특정 세포의 단편화에 의한 제거의 활성적 생물학적 과정이다.
이것은 유전적 제어하의 생물학적 조직 수준에서 세포를 프로그램에 따라 제거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거는 자연적일 수 있거나 (조직에서 세포가 과잉일 때) 또는 다양한 형태의 스트레스에 의해 유도될 수 있다.
어팝토시스의 생물학적 증폭진행(cascade)이 알려져 있고, 카스파제류(caspases)와 같은 많은 작동체(effector), 특히 어팝토시스 프로그램을 실행시 키는 작동체 카스파제 3 또는 7, 및 이를 촉발시키는 개시 카스파제 8 및/또는 9를 사용한다.
특정 수의 어팝토시스 저해체들이 또한 공지되어 있는 데 (Deveraux 등, Genes Dev. 13 (1999), pp. 239-252), 이 중에 서바이핀이 존재한다. 이러한 저해체들은 따라서 세포 생존을 조절하여 생물학적 조직에서의 세포 항상성에 참여하고 있다.
IAP (Inhibitor of Apoptosis Protein) 족의 유일한 일원인, 서바이빈은 세포의 어팝토시스를 균형잡는 것과 및 이의 세포 주기를 조정하는 것을 둘 다 할 수 있는 이중기능성 단백질이다.
서바이빈은 특히 특정 카스파제류, 특히 카스파제 3, 7 및 9의 활성을 저해한다.
이러한 단백질은 활발히 성장하는 배아 조직에서 발현되나, 생리학적 세포 재생 및 치료 과정에 연루된 조직을 제외하고는, 성체 분화된 조직에서는 발현되지 않는다. 따라서, 피부 수준에서, 표피의 형성과 재생을 제공하는, 표피의 기저층의 각질세포에서 가장 특별하게 발현되고 있다.
표피 줄기 각질세포가 발견되는 것은 이러한 기저층이고, 이러한 각질세포들은 이러한 조직을 재생에 대한 고도의 능력을 가진 세포들이며, 이것은 완전 표피를 형성하는 데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증명되었다 (JL Xie 등, J Plast. Reconstr. Aesthet. Surg. 2007; 60(9): 983-90).
현재, 서바이빈이 표피의 줄기 세포에서 주로 발견되는 것이 드러나 있다 (Marconi A, Dallaglio K, Lotti R, Vaschieri C, Truzzi F, Fantini F, Pincelli C, Stem cells 2007: 25: 149-155).
역으로, 서바이빈이 과발현한다는 것은, 자외선 노출 후에, 표피에서 어팝토시스성 세포의 수가 유의하게 줄어드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Grossman 등, 2001 J Clin Invest 108: 991-999).
또한, 베타-1 인테그린류는 서바이빈의 세포 발현을 완전히 없애며 (Marconi A et al., Stem cells 2007: 25: 149-155) 그리고 세포를 어팝토시스되게 한다.
베타-1 인테그린류는 부착 단백질(adhesion protein)로서 이를 통해 표피성 기저 세포의 각질세포가 진피-표피 접점의 단백질에 부착된다.
베타-1 인테그린류는 표피의 줄기 세포에 의해 더 활발히 발현되고 (P. Jones, Cell 1993, 73: 713-724, Kaur J Invest Dermatol 2006, 126, 1450-1458), 이는 이러한 세포에서 서바이빈이 더 강력하게 발현된다는 것의 관찰을 확증시키는 것이다.
현재, 노화 중에, 각질세포에서(B Le Varlet 등. J Investig Dermatol Symp Proc. 1998, 3: 172-179) 광 노출된 주름진 피부 부위에서 (S Bosset et al. British J Dermatol 2003, 148: 7770-778) 베타-인테그린류의 발현이 저하되는 것이 관찰된다.
따라서, 표피의 기저 세포에서 서바이빈의 유지를 담당하는 단백질이 나이가 듦에 따라 감소되며 및 이와 병행하여, 어팝토시스에 대한 이러한 세포의 민 감성이 증대되고 주기 세포에서의 감소가 관찰되며 (Zuliani 등, J. Invest. Dermatol. 2004, 123:2, A50, 302), 이러한 관찰들은 노화되는 피부에서의 유망한 서바이빈 부족을 나타내는 것으로 수렴된다.
어팝토시스-조절 역할에 더하여, 서바이빈은 유사분열을 하는 동안 염색체와 세포골격과 연합시키는 "염색체 패신저 복합체(chromosomal passenger complex)"의 구성체임이 밝혀졌다(Vader 등, EMBO reports, 2006, 7, 1, 85-92); 따라서, 이것은 정상 세포 분열에서 중추적 역할을 하며, 이러한 분열은 노화되는 동안 손상되며, 결과적으로, 표피가 덜 재생되게 되고, 이를 얇게 하며 주름을 발전시킨다.
서바이빈은 따라서 각질 세포의 생존 및 저항에 대한 조절자이다; 이것은, 줄기 세포를 위시한, 표피의 기저층에 위치한 각질세포의 어팝토시스의 민감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작동한다. 이는 또한 표시의 재건 및 재생에 대한 능력을 조절한다.
따라서, 이것은 표피의 세포를 여유있게 비축하게 하며 및 효과적인 표피 세포 재생을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선행 기술
WO 2006/069192 (GILLETTE Co)는 털 및 신체 모발 성장 감소 효과에 대한 서바이빈-저해제의 미용 용도를 개시하고 있다.
현재까지, 서바이빈-발현 촉진체로서 작용하는 어떠한 화합물도 피부학 또는 미용학에서 사용된 것이 설명된 바가 없다.
레페치니아 (Lepechinia) 속의 식물에 관하여, 상기 속은 약 40 종을 포함하며, 이중에 레페치니아 카울레센스 (Lepechinia caulescens)가 있고 이는 멕시코와 남아메리카에서 주로 발견된다.
이러한 종의 하나인 레페치니아 카울레센스 (동의어: 호르미넘 카울레센스 오르테가 (Horminum caulescens Ortega))는 30 내지 80 cm 높이의 낮은 기립 다년생 식물로서, 이의 생장 주기는 계절 의존적이고, 멕시코, 니콰라과와 과테말라에서 고도 1200 내지 3900 m 사이에서 발견된다. 레페치니아 카울레센스는 민속 약물로서, 특히 설사나 구토에 효과가 있다.
발간된 자료에 의하면, 이러한 식물체에서 존재하는 화합물을 분리하는 목적의 연구가 있다.
디- 및 트리테르페노이드 산은 레페치니아 카울레센스의 지상부로부터 분리되었다 (Delgado 등, Phytochemistry, 1994, 37 (4), 1119-21).
몇몇 연구자는 레페치니아 카울레센스의 메탄올 추출물의 혈관이완 작용을 발견하였고, 이 활성은 올레아놀 산 및 우르솔 산의 존재에 의해 매개되는 것으로, 상기 둘 다는 이러한 식물체로부터 분리된 트리테르페노 산이다.
다른 연구자들에 의해, 레페치니아 카울레센스의 전체 식물체로부터 얻은 유기 추출물의 항경련 작용이 래트로부터 분리된 회장에 작용하는 것이 발견되었고, 이는 국지 멕시코 주민에 의해 상기 식물의 전통적 용도를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Rodriguez-Lopez 등, Fitoterapia, 2003 74 725-728).
특정 연구자들은 또한, 이러한 식물체의 유기 추출물의 유사인슐린 활성 을 특성화하였다 (Roman 등, Arch. Med. Res. (Mex.), 1992 ; 23 105).
최근에, 미국 특허 제 6,265,370 호는 레페치니아 의 생화 또는 분말 형태의 건조 꽃을 비누를 만드는 데 향료 제제로서의 용도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임의의 추출법으로 나온 생성물의 형태로 있는 레페치니아 속의 식물 종을 미용 조성물에서 활성 제제로서 사용된 어떠한 자료도 없다.
이 연구의 과정에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레페치니아 속의 적어도 하나의 식물, 레페치니아 카울레센스 식물종을 포함하거나 이로부터 형성된 식물체로부터 얻어진 추출물이 표피의 기저층의 각질 세포에서 및 더 상세하게는 상기 기저층의 줄기세포에서 서바이빈 단백질의 발현을 활성화하거나 자극한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상기 추출물은 따라서 인간 표피의 재생 세포에 대하여, 더 상세하게는 표피의 기저층의 줄기세포에 대하여 보호작용을 수행한다.
이러한 추출물들은 따라서 특히, 피부 노화의 신호가 나타나는 것을 방지 또는 지연시키는 것에, 또는 그외 세포 또는 조직 수명을 촉진하는 것에; 즉 손상된 표피의 재건 및 또한 정상적인 세포에서의 피부 상처 및 잘 치유되지 않는 궤양성 상처의 치유를 촉진하는 것에; 모발 재생 또는 모발 교체를 촉진하는 것에에 목적을 둔; 치료하기 위해 배양된 표피 (재건된 표피), 예를 들어, 이식체를 생성할 목적으로 시험관 세포 배양물을 연장시키는 보조제로서, 또는 그 외, 치료 또는 연구 목적의 시험관내 표피의 줄기세포 또는 모낭의 개체를 유지하는 데 미용 또는 피부학적 조성물의 활성 제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식물체로부터 얻은 미용학적 허용 식물 추출물의 미용 제제로서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또한 미용 또는 피부학적 제제로서 또는 미용 또는 피부학적 조성물에서의 활성제제로서의 상기 추출물 용도, 및 이러한 조성물들을 사용하는 하기 미용관리 또는 피부학적 방법에 관한 것이다:
a) 피부 노화의 신호 출현을 방지하거나 지연시키기 위한 또는 이의 효과를 늦추기 위한 방법
b) 표피 또는 이의 각질층이 특히 자외선에 의해 손상되었을 때, 이의 미용 관리 방법
c) 모발 손실을 방지하거나 늦추기 위해 모발 주기의 기능을 회복시켜 특히 대머리의 경우 모발 재생을 가속 또는 촉진하고나 푸석한 머리결을 강화시키는 방법
d) 손톱의 성장을 촉진시키고 및/또는 이의 강도를 강화시키는 방법.
본 발명의 다른 주요 목적은 또한 미용학적으로 허용된 식물 추출물을 사용하여, 특히 상기 지적된 미용 관리 유형을 실행하는 미용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주요 목적은 기초적 연구 또는 예를 들어, 화상 또는 치유가 어려운 궤양성 상처 후에, 이식체의 경우와 같이, 치료 목적으로, 재건된 표 피와 같은 배양된 표피를 생성하는 목적으로 줄기 세포 및/또는 고도의 클론원성 능력을 가진 세포를 시험관 내 배양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세포 배양물과 양립될 수 있는 식물체에서 얻은 식물체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레페치니아 속에 속하는 식물체, 특히 식물체 종 레페치니아 카울레센스의 추출물이 미용 조성물에서 미용 제제로서 또는 활성 제제로서 사용되는 용도에 관한 것으로써, 상기 및 기타 목적은 레페치니아 속에 속한 종의 적어도 하나의 식물체에 의해 형성된 또는 이를 포함하는 식물체로부터 얻고, 상기 식물체를 C1-C4 알콜 및 알코올과 물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극성 용매와 접촉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용 제제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은 레페치니아 속에 속한 적어도 하나의 식물에 의하거나 또는 이를 포함하는 식물체로 부터 얻은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용제제에 관한 것으로써, 하나의 미용 제제를 피부, 두피 또는 손톱에 국소 적용에 적합한 미용학적 허용 담체 내에 용액 또는 분산액으로 포함하여 피부 노화의 신호를 방지하거나 지연시키고 또는 이의 효과를 감소시키기며, 특히 자외선에 의해 손상될 때 치료를 가속시기거나 촉진할 목적으로 표피 또는 이의 각질층의 미용관리가 가능하고, 모발 손실을 예방하고 늦추며, 모발 재생을 가속시키거나 촉진하고 또는 푸석한 머리를 강화시키며, 손톱의 성장을 촉진 시키거나 강도를 강화한다.
또한, 주름의 골에 있는 표피의 세포 재보충 현상을 통해서 재생 가속 및 유지를 통해 항주름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표피의 기저층의 각질세포의 저항을 강화시켜 햇볕노출로 결과된 기저 수준에서의 세포 손실을 감소시키고 이로써 광노화를 제한하고, 줄기세포 및 고도의 클론원성 능을 가진 세포를 배양물로 유지시켜 이러한 배양물을 일정시간 동안 보존하게 하고 이들을 양호한 조건으로 옮기게 하거나 필요시 표피의 생산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제 1 관점은 그 종이 레페치니아 속에 속한 적어도 하나의 식물에 의해 또는 이를 포함하는 식물체로부터 얻은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용 제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추출물은 상기 식물체를 C1-C4 알콜 및 알코올과 물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극성 용매와 접촉시킴으로써 얻어진다.
사용된 식물체는 식물체 전체 또는 뿌리, 줄기, 잎, 꽃, 씨앗이나 꽃봉오리와 같은 식물의 일부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물체의 지상부 특히 잎으로부터 얻어진다.
추출 단계 전에, 식물체를 건조시키거나 및/또는 분쇄할 수 있다.
추출의 한 가지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라서, 상기 식물체는 건조된 및 분쇄된 상태로 있다.
레페치니아 속의 식물 및 특히 레페치니아 카울레센스 식물종에 더하여, 본 발명의 추출물이 제조되는 식물체는 식물체 전체 또는 식물체의 일부분의 형태의 구분없이 하나 이상의 다른 식물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식물체는 레페치니아 카울레센스 속의 식물체에 대해 나타난 특성과 유사하거나 상보적인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진, 레페치니아 속외의 속 또는 다른 과의 식물체일 수 있다.
이의 추출물이 다양한 메커니즘, 예를 들어 피부 구조의 온전성을 유지하거나 주름상에 작용을 유지함으로써, 피부 노화의 효과를 늦추거나 방지하는 식물체를 특히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당해 분야의 숙련자들에게 공지된 다양한 추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추출은 선택된 식물체를 극성용매 또는 C1-C4 알코올로부터 선택된 극성용매의 혼합물 또는 C1-C4 알코올과 물로부터 선택된 극성 용매의 혼합물과 접촉시킴으로써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용어 "극성 용매"는 용매가 4보다 크거나 같은 값의 극성 지수 값 P'를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극성 지수는 분자의 더하고 덜한 극성 본성을 나타내는 열역학적 값 (용해도의, 및 상태 변환의)에 기반하여 계산된 값이다.
용매의 극성 지수에 대하여는 L.R. SNYDER; Classification of the solvent properties of common liquids; Journal of Chromatography, 92 (1974), 223-230,의 논문을 참조할 수 있고, 이는 참조문헌으로 본 발명에 포함된다.
상기 추출단계에 사용될 수 있는 극성 용매 또는 극성 용매들의 혼합물로서, 상기 C1-C4 알코올은 에탄올이나 부탄올로부터 선택되고, 글리셀롤, 부틸렌 글리콜 및 프로필렌 글리콜로부터 선택된 글리콜, 및 이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혼합물은 적어도 하나의 알코올 및 물, 또는 적어도 하나의 글리콜 및 물의 혼합물로서 적어도 10% v/v의 알코올이나 글리콜을 포함하고 나머지는 물로 구성되는 혼합물이다.
이러한 용매 혼합물 중에서, 물과 에탄올의 50/50 v/v 비율의 혼합물, 또는 물과 부틸렌의 50/50 v/v 비율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추출 단계는 그 자체로 적어도 30분간 고온 환류시킴으로 수행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추출은 부임계 상태의 극성 용매, 바람직하게는 부임계 상태의 물을 사용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추출은 또한 조건적으로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탈색시키거나 정제하는 것에 목적을 둔 식물체 또는 식물 추출물의 처리를 포함하는 추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탈색 단계는 예를 들어, 추출전에 식물체 또는 추출물을 비극성 용매 또는 비극성 용매들의 혼합물로 처리하는 것, 바람직하게는 C6-C7 알칸, 예를 들어, 헵탄으로 처리하는 것, 또는 활성 탄 입자에 추출물을 접촉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 처리, 또는 대안적으로 초임계 상태의 CO2 를 사용하는 처리를 포함한다.
상기 추출은 추출 용매를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제거하는 단계로 완성된다.
전자의 경우, 상기 추출물은 일반적으로 상당한 양의 유기 용매가 없는 수성 농축물이 얻어질 때까지 농축하는 것이다; 후자의 경우, 건조 잔류물이 수득된다.
대안적으로, 추출 단계의 생성물은 동결건조 또는 분쇄되어 분말 형태로 있을 수 있다.
상기 분말은 본 발명에 따른 미용적 또는 피부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것과 같이 사용될 수 있거나 용매에 또는 혼합 용매에 재분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추출 단계의 생성물은 용매에 또는 혼합 용매에 용해되거나 분산되어 본 발명의 미용적 또는 피부학적 조성물에 활성 제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이 용해되거나 분산되는 용매 또는 혼합 용매들은 상기 추출에 사용된 것과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또한 다공성 또는 비다공성 나일론 분말, 및 운모 또는 임의의 박판 광물질로부터 선택된 지지체로 흡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된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수성 추출물이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레페치니아 속에 속한 종의 식물체의 식물체 추출 물, 바람직하게는 레페치니아 카울레센스 식물종의 추출물의 미용 조성물에서의 미용학적 활성 제제로서의 용도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미용 관리의 유형을 수행하기 위해 특별히, 피부 노화의 신호가 나타나는 것을 예방하거나 지연시키고 또는 이의 효과를 늦추기 위한 것이며, 특히 자외선에 손상되었을 때 표피, 또는 이의 각질층의 미용을 관리하고, 또한 대머리의 경우 모발 손실을 방지하거나 모발 성장을 가속시키고 촉진하며, 푸석한 머리결을 강화하고, 손톱의 성장을 촉진하기 위한 미용 제제의 하나 또는 활성 제제의 하나로서, 미용 조성물에서의 상기 추출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미용 제제 또는 활성 제제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신체의 피부, 얼굴 피부 또는 손톱에 상기 조성물을 적용하기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미용학적 허용 담체 내에서 용액 또는 분산물 중의 활성 제제의 하나로서 이를 포함하는 미용 조성물의 형태로 특히 국소적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미용 조성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식물체 레페치니아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미용 제제를 소망의 효과를 얻기에 유효한 양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피부 노화의 신호가 나타나는 것을 방지하거나 지연시키는 또는 이의 효과를 감소시키는 미용관리 방법으로서, 얼굴 또는 신체의 피부의 적어도 일부분에, 전술한 바와 같이, 레페치니아 속의 식물체의 적어도 하나 의 추출물, 또는 실시예로부터 나타난 바와 같이, 특히 레페치니아 카울레센스. 종의 식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에서 서바이빈 발현을 활성화시키거나 또는 자극하는 미용학적으로 허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제의 효과적인 양을 전달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미용 관리 방법은 얼굴 또는 피부 노화를 보이거나 피부 노화의 신호를 보이기 쉬운 신체의 피부의 적어도 일부에, 레페치니아 속에 속하는 식물체, 특히 레페치니아 카울레센스 종의 식물체의 적어도 하나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서바이빈 발현을 활성화시키거나 자극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제를 이의 활성 제제의 하나로 포함하는 미용 조성물, 예를 들어, 크림 또는 유장을 적용시켜, 특히 주름의 골에 있는 표피의 세포 재보충 현상을 통해서 및 이의 재생 가속 및 유지를 통해 항주름 효과를 얻게 하는 것을 포함한다. 표피의 세포 제보충 현상은 나이가 듦에 따라 더 약화되는 반면 표피의 세포 재생은 나이가 듦에 따라 저하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라서, 상기 미용 관리 방법은 햇볕에 노출된 얼굴 또는 신체의 피부의 적어도 일부분에, 레페치니아 속에 속하는 식물체, 특히 레페치니아 카울레센스 종의 식물체의 적어도 하나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서바이빈 발현을 활성화시키거나 자극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제를 이의 활성 제제의 하나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적용시켜, 표피의 기저층의 각질세포의 저항을 강화시켜 햇볕노출로 결과된 기저 수준에서의 세포 손실을 감소시키고 이로써 광노화를 제한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특히 자외선에 의해 손상되었을 때, 치유를 가속시키거나 촉진시키기 위한, 표피의 또는 이의 각질층의 미용 관리용 미용 또는 피부학적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관련된 피부, 신체 또는 얼굴 부위에, 피부에서 서바이빈 발현을 활성화시키고 및 레페치니아 속에 속하는 식물체, 특히 레페치니아 카울레센스 종의 식물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미용학적 허용 제제의 유효량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특히 대머리의 경우에, 모발 손실을 예방하거나 늦추거나, 모발 재생을 촉진하거나 가속시키기 위해서 또는 푸석한 머리결, 모근의 각질 세포의 증식으로 결과된 모간 (hair shaft)의 성장을 강화시키기 위해서 모발 주기의 기능을 회복시키는 것을 의도하는 미용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두피리의 적어도 일부분에, 레페치니아 속에 속하는 식물체, 특히 레페치니아 카울레센스 종의 식물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피에서 서바이빈 발현을 활성화시키거나 자극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미용학적 허용 제제의 유효한 양을 전달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손톱의 성장을 촉진하고 이의 강도를 강화시키는 미용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방법은 손톱 또는 이의 주위의 적어도 일부분에, 레페치니아 속에 속하는 식물체, 특히 레페치니아 카울레센스 종의 식물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서바이빈 발현을 활성화시키거나 자극하는 적어도 하나의 미용학적 허용 제제의 유효한 양을 전달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자에 의해 수행된 시험은 본 발명의 추출물의 예상치 못한 특성들이 또한 상기 추출물이 본 발명의 추출물과 유사 및/또는 상보적인 미용 효과를 가지는 다른 활성 제제와 조합되는 미용 조성물에서 얻어질 수 있거나 개선될 수 있다는 것을 보인다.
특히, 레페치니아 추출물은 피부 구조의 유지와 온전함에 기여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활성 제제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 1 구체예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또한, 콜레우스 포스콜리 (Coleus forskolii)의 추출물 같은, 포스콜린 또는 이를 함유하는 추출물, 림노필라 (Limnophila) 속의 식물체, 특히 림노필라 콘페르타 (Limnophila conferta) 식물체 종의 추출물, 노스톡 코뮨 (Nostoc commune), 세네데스무스 디모르푸스 (Scenedesmus dimorphus), 큐르큐마 롱가 (Curcuma longa), 크로커스 사티버스 (Crocus sativus), 및 다니엘리아 올리베리 (Daniellia oliveri)의 식물종의 하나에 속한 식물종의 추출물로부터 선택된, 분리 분자나 추출된 생성물인, 피부에서 서바이빈 발현을 활성화하거나 자극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활성 제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용 활성 제제의 효능은 베타-1 인테그린과 같은, 표피 각질세포층의 부착 단백질이 발현, 및 이러한 세포들의 부착 자체 (마그네슘 아스파테이트, 망간 염 및 유도체, 아르기닌-글리신-아스파트 산 서열과 같은 인테그린에 의해 인식된 특정 펩타이드류, 또는 KGF와 같은 특정 성장 인자)를 자극하는 분자 또는 추출물에 의해 특히 바람직하게 개선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용 활성 제제의 활성화 효능은 메틸크산틴류 및 특히 카페인과 같은, cAMP를 분해하는 포스포디에스테라제를 저해하는 및 세포내 cAMP 수준을 높이게 하는 분자 또는 추출물에 의해 바람직하게 향상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미용 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또한, 미백 활성을 가지는 물질; 슬리밍 활성을 가지는 물질; 수화 활성을 가지는 물질; 진정, 완화 또는 이완 작용을 가지는 물질; 피부 모세순환을 자극하여 피부 특히 얼굴의 화색을 빛나게 하는 활성을 가지는 물질; 지성 피부 관리용 피지 조절 활성을 가지는 물질; 피부 세정 또는 정화용 물질; 자유 라디칼 제거 활성을 가지는 물질; 피부 구조의 유지를 촉진시키는 것, 피부의 외부 층의 세포외 기질의 분해 또는 표피의 분해를 제한하는 것, 피부-보호, 교정 또는 재건 효과를 얻는 것에 목적을 둔 활성을 통해 피부 노화의 효과, 특히 주름 형성을 감소 또는 지연시키는 물질; 항-염증 작용를 가지는 물질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다른 활성 제제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에 더하여, 상기 미용 조성물은 색소, 염료, 고분자물, 계면활성제, 유동제, 향료, 전해질, pH 조절제, 항산화제, 보존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미용학적 허용 부형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용 조성물은, 예를 들어, 유장 (serum), 로션, 에멀젼, 예를 들어, 크림, 대안적으로, 수성젤, 바람직하게는 마스크 일 수 있고, 또는 막대기, 패치, 또는 삼푸나 컨디셔너와 같은 두피용 청결제품, 또는 대안적으로는, 메이커업 제품, 특히, 손톱에 적용하는 조성물, 예를 들어, 손톱 유약의 형태로 있을 수 있다.
레페치니아 식물 추출물, 특히, 레페치니아 카울레센스 종의 추출물을 얻는 공정 조건은 전술한 바와 또는 실시예 1 또는 2에서 설명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추출물을 단독으로 또는 다는 추출물과 조합하여, 피부 또는 손톱의 국소 적용에 사용될 수 있는 미용학적 허용 담체에서 용액 또는 분산액으로 포함하는 미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관리 방법의 다른 바람직한 예에 따라서, 상기 미용학적 허용 제제는 또한 포스콜린 또는 이를 함유하는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전술한 주제 중 임의의 하나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제는, 이를 활성 성분의 하나로 포함하며 또한 적어도 하나의 미용학적 허용 부형제를 포함하는 미용 조성물의 형태로, 상기 조성물을 관심의 신체의 일부에 적용함으로써 국소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기초적 연구 또는 예를 들어, 화상 또는 치유가 어려운 궤양성 상처 후에, 이식체의 경우와 같이, 치료 목적으로, 재건된 표피와 같은 배양된 표피를 생성하는 목적으로 줄기 세포 및/또는 고도의 클론원성 능력을 가진 세포를 시험관 내 배양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배양 배지에 레페치니아 속에 속하는 식물체, 특히 레페치니아 카울레센스 종의 식물체의 적어도 하나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활성 제제를 배양에서 상기 세포를 유지시키는 데 또는 표피를 생성하는 데 유효한 양으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추출물의 활성 성분의 농도는 배양 배지의 0.01 % 내지 5 중량%, 특히 0.01 % 내지 3 중량%이다.
또한, 본 발명의 임의의 관점에 대하여, 용어 "유효한 양"은 하기에 필요한 양과 적어도 동일한 양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a) 피부 노화의 신호가 나타나는 것을 방지하거나 지연시키고 또는 이의 효과를 늦추기 위해; 및/또는
b) 특히 자외선에 의해 손상되었을 때 표피 또는 이의 각질층을 재건하기 위해, 및/또는
c) 모발 주기의 기능을 복구하여 모발 손실을 늦추거나 방지하기 위해, 특히 대머리의 경우 모발 재성장을 가속시키거나 촉진하기 위해, 또는 푸석한 머리결을 강화시키기 위해, 및/또는
d) 손톱의 성장을 촉진하고 및/또는 이의 내구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e) 줄기세포 및/또는 고도의 클론원성 능(clonogenic potential)을 가진 세포를 배양물로 유지시켜 이러한 배양물을 일정시간 동안 보존하게 하고 이들을 양호한 조건으로 옮기게 하기 위해 및 또한 필요시 표피의 생산을 수행하기 위해.
실제, 이러한 유효한 양은 당해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레페치니아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활성 제제 또는 추출물 독립적인 농도는 조성물 또는 배양 배지의 0.001 % 내지 5 중량%, 특히 0.01 내지 3 중량% 이다.
임의의 관점에 대한 상기 추출물에 관하여, 상기 농도는 조성물 또는 배양 배지의 중량에 대한 건조 추출물 중량으로 표시될 것이다.
실시예 1과 2에서 수행되고 보고된 특정 시험에 의해 증명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용 또는 피부학적 제제는 특히, 예상치 못하게 진피의 기저층의 줄기세포 또는 표피의 기저층의 줄기세포의 서바이빈 발현을 자극함으로써 효과적이 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들은 설명의 방식으로 단순히 주어지며 본 발명의 범위를 여하한 제한하지 않는, 몇 개의 본 발명의 예증적 구체예를 참고하여 제시된 하기 설명으로부터 명백히 드러날 것이다. 실시예에서, 온도는 섭씨이고, 압력은 기압이며, 양이나 퍼센트는 다른 언급이 없으면 중량 단위이다.
실시예
재료 및 방법
1) 세포 배양
정상 인간 각질세포를 EGF (표피 성장 인자) 및 BPE (소 뇌하수체 추출물) (KSFMc) (Gibco ref: 17005-034 + 37000-015)가 첨가된 무혈청 각질세포 배지를 담고 있는 75 cm2 플라스크에 담아 배양기내의 37℃, CO2를 함유한 습윤 분위기하에서 배양한다. 상기 세포를 48-웰 마이크로플레이트 상에 웰 당 500 ㎕ 배지에 50,000 세포의 농도로 심었다(day D0).
24시간 배양 후 (day D1), 세포는 부착되었고 다음 처리 단계를 실행한다. 시드 배지를 제거하고, 및 용매 (예를 들어, DMSO)에 용해된 용액으로 다양한 농도에서 평가될 추출물을 가지는 처리 배지를 각 배양 웰에 첨가한다. 대조군을 동일한 용매를 사용하여 동일한 비율로 제조한다.
16 시간 처리 후, 세포에 의한 서바이빈 발현이 정점에 달하는 것이 관측된다. 다음 웰을 PBS로 세척한다. 상기 마이크로플레이트의 웰의 반을 사용하여 각질 세포를 용해하고 세포내 서바이빈을 검정한다. 나머지 반의 웰을 사용하여 BCA 방법으로 총 단백질을 검정하고, 이는 단백질의 단위량에 역 검정된 서바이빈의 양을 설명할 수 있다.
시험된 각 활성 제제의 세포 독성을 측정하는 단계가 사전에 필요하며 이는 후속적으로 비독성 투여량에서 활성 제제의 효과를 산정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이다.
이를 위해, 상기 활성 제제의 세포 독성 투여량은 XTT 시험 (참조: Cell Proliferation Kit II, Roche Diagnostic)으로 결정된다. 테트라졸리움 염 (XTT 시약)은 미토콘드리아 호흡 사슬에 위치한 탈수소효소에 의해 포르마잔으로 전환된다. 오직 살아있는 세포 만이 그 호흡 사슬이 작용하게 되고 따라서, 450 nm에서 검출되는 오렌지 화합물인 포르마잔을 생성할 수 있다.
시험된 각 활성 제제를 희석시켜 두 배의 희석물을 만들어 시험 샘플의 활성 제제 농도가 50 mg/ml 내지 0.195 mg/ml 범위로 만든다. 각 예비 제조된 희석 물을 KSFM-C 배지에서 1/1000으로 최종 희석시킨 후 48 시간 동안 각질 세포와 접촉시키며 이 시간에 세포 독성 시험을 수행한다.
2)  서바이빈 검정
서바이빈 발현에 대하여 식물종 레페치니아 카울레센스의 식물체 추출물의 활성을 평가한다. 정상 인간 각질 세포의 배양물 상에서 ELISA 효소 면역검정법 (참조: Duoset Survivin ELISA, R&D Systems)을 사용하여 서바이빈을 검정한다.
BCA 비색법 (참조: BC Assay Kit, Uptima Interchim)을 사용하여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총 단백질을 검정한다.
치료 16 시간 후에 ELISA에 의한 서바이빈을 검정하기 위해, 웰을 PBS으로 세척한 후, 용해 완충액을 100 μl/웰로 첨가한 후, 가볍게 흔들면서 10 분간 배양하였다. 이러한 완충액은 항단백질 분해효소를 포함하고 있고, 이는 세포 용해 동안 서바이빈을 위시한 단백질의 분해를 방지한다.
ELISA 마이크로플레이트를 준비한다 (참조 Clear Microplate R&D systems DY992). 세포 용해물을 사용하는 것과 같은 조건하에서, 인간 서바이빈의 표준 범위를 0 내지 2000 pg/ml으로 준비한다. 효소 반응을 황산으로 정지시킨 후,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서바이빈을 정량한다.
실시예 1 : 레페치니아 카울레센스 잎의 추출물 제조 및 서바이빈 발현에 대한 이의 활성 측정
건조 상태에 있는 레페치니아 카울레센스의 잎으로부터 형성된 식물 물질을 실험실 분쇄 믹서를 사용하여 즉석에서 갈아 0.1 내지 1 mm 정도의 평균 입자 크기로 만든다.
지상부 물질 10 g을 250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넣고, 여기에 하기 기재된 것들의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 150 ml을 첨가한다:
- 물,
- 부탄올,
- 90/10 (v/v) 에탄올/물,
- 프로판올,
- 50/50 (v/v) 에탄올/물,
- 50/50 (v/v) 부틸렌 글리콜/물.
상기 둥근바닥 플라스크 위에 벌브 콘덴서를 올리고, 정온 욕조에서 자기적으로 교반시킨 후 가열하여 용매 환류시킨다.
이 환류를 교반하면서 30분간 유지시킨다.
가열을 멈추면, 상기 둥근 바닥 플라스크를 욕조 외부의 주위 온도로 자연 냉각 시킨다.
다음 혼합물을 뷰흐너 70 ㎛ 와트만 GF/F 필터 및 테어드 플라스크를 구비한 뷰프너 깔대기를 통해 진공 여과한다; 여과물 1을 수득한다. 잔류 케이크를 뷰흐너 깔대기 상에서 추출 용매 50 ml로 세척한다; 여과물 2를 얻는다.
두 개 여과물을 혼합하고 무게를 단다.
결과된 여과물을 예비-테어드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넣은 후, 최대 50℃에서 욕조 내 진공하에어 회전 증발기로 농축 건조한다.
건조 잔류물을 정량하여 추출 질량 수율을 결정하고, 이를 건조 마쇄 상태의 출발 식물 물질 100 g 당 얻어진 건조 추출물의 질량으로 표시한다.
상기 기재된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로 수행된 각 방법으로 수득한 추출 질량 수율은 하기 표 1에 기재한다:
추출 용매 비율
(v/v)
질량 수율 (%)
100 28%
에탄올/물 50/50 29%
에탄올/물 90/10 21%
에탄올 100 10%
부탄올 100 12%
부틸렌 글리콜 /물 50/50 24%
실시예  2 :  서바이빈 발현에 대한 레페치니아 카울레센스 추출물의 활성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건조 추출물을 3.125 mg/ml의 농도로 DMSO에 희석시킨다.
세포에 처리하는 동안, 각 추출물을 배양 배지에 첨가하여 최종 농도 0.1% v/v, 즉 3.125 μg/ml의 농도를 얻는다. 대조군(DMSO) 도 또한 동일한 용매를 사용하여 0.1% v/v의 최종농도로 제조한다.
하기 표 2는 총 단백질의 mg 당 서바이빈 피코그람으로 표시된, 서바이빈 발현에 대하여 실시예 1의 평균 활성을 나타내며, 100%를 이루는 용매 대조군에, 발현의 기저 수준에 상대적으로 표시되는, 서바이빈에 대하여 시험된 레페치니아 카울레센스 잎의 추출물의 각 활성을 나타내고 있다.
추출 용매 % 활성화
100% 물 0
50/50 에탄올/물 +37%
90/10 에탄올/물 +30%
에탄올 +6%
부탄올 +15%
50/50 BG/물 +23%
결론: 수성 추출물을 제외하고는, 모든 추출물들은 단백질 발현의 기저 수준 (대조군)에 비하여, 내부 각질 세포 서바이빈 발현을 유의하게 증가시킨다. 물과 알코올 또는 글리콜 극성 용매로부터 얻은 추출물이 각질 세포에 의한 서바이빈 발현을 가장 강하게 자극하는 것이다.
실시예 3 : 레페치니아 카울레센스 잎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용 조성물
에탄올/물 (50/50 v/v) 용매 혼합물로 추출한 후 수득한 건조 추출물을 에탄올/물 혼합물에서 1 질량 %로 용해한다.
-        레페치니아 카울레센스의 식물 추출물 0.1%
-        계면활성제 (Arlacel®165 VP) 5%
-        95% 세틸 알콜         1%
-        스테아릴 알콜   1%
-        밀납                 1.5%
-        오일 (Perleam®)             8.5%
-        트리 카프레이트/카프릴레이트 글리세라이드      3%
-        실리콘 오일 (dimethicone 100 CS)           1%
-        중합체 (Keltrol®)                 0.35%
-        수산화 나트륨         0.04%
-        테트라소듐 EDTA 분말             0.1%
-        보존제                                 0.5%
-        물                                 qs 100
상기 다양한 성분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로 혼합함으로써, 당해 분야의 숙련자들에게 공지된 통상의 방식으로 미용 조성물을 제조한다.
이러한 조성물은 매일 몇 주간 피부나 두피 또는 손톱에 적용하여 전술한 미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4 : 레페치니아 카울레센스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주름 토닉 로션
에탄올/물 (50/50 v/v) 용매 혼합물로 추출한 후 얻은 건조 추출물을 에탄올/물 혼합물에서 1 질량%로 용해한다.
건조 추출물의 1 질량% 용액을 얻고 이를 하기 미용 조성물에 사용한다:
-        레페치니아 카울레센스 식물체 추출물 2%
-        부틸렌 글리콜 3%
-        EDTA 0.1%
-        용해제 1%
-        향료 농축액 0.3%
-        에탄올 5%
-        UV 차단제 (벤조페논-4) 0.13%
-        물 qs 100
상기 다양한 성분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로 혼합함으로써, 당해 분야의 숙련자들에게 공지된 통상의 방식으로 미용 조성물을 제조한다.
이러한 조성물은 매일 몇 주간 주름진 피부 부위에 적용하여 주름의 감소 또는 완전한 제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5 : 레페치니아 카울레센스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에멀젼 형태의 항주름 데이 크림
에탄올/물 (50/50 v/v) 용매 혼합물로 추출한 후 얻은 건조 추출물을 에탄올/물 혼합물에서 1 질량%로 용해한다.
건조 추출물의 1 질량% 용액을 얻고 이를 하기 미용 조성물에 사용한다:
-        레페치니아 카울레센스의 식물체 추출물 2%
-        스테아레스-21 (Brij 721) 2.5%
-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Tegrin) 1.1%
-        스테아릴 알콜      5%
-        글리세롤 트리카프레이트 / 카프릴레이트     12.5%
-        부틸렌 글리콜           3%
-        글리세롤         2%
-        보존제     0.5%
-        향료 농축액       0.5%
-        UV 차단제 (옥틸 메톡시시나메이트) 7.5 %
-        물                                                     qs 100
상기 다양한 성분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로 혼합함으로써, 당해 분야의 숙련자들에게 공지된 통상의 방식으로 미용 조성물을 제조한다.
이러한 조성물은 매일 몇 주간 주름진 피부 부위에 적용하여 주름의 감소 또는 완전한 제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4)

  1. 레페치니아 카울레센스 종의 식물체 추출물을 C1-C4 알코올 또는 C1-C4 알코올과 물의 혼합물인 극성 용매와 접촉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용 제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식물체 전체 또는 뿌리, 줄기, 잎, 꽃, 씨앗이나 꽃봉오리로부터 선택된 식물의 일부에서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제제.
  4. 제 1 항 또는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상기 식물체의 잎으로부터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제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1-C4 알코올은 에탄올, 부탄올, 글리세롤 또는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제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세롤은 글리세롤, 부틸렌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세롤 또는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제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 용매는 적어도 하나의 알코올과 물 또는 적어도 하나의 글리세롤과 물의 혼합물로서, 적어도 10% v/v의 알코올이나 글리콜을 포함하고 나머지는 물로 구성되는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제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 용매의 혼합물은 물과 알코올의 50/50 v/v 비율의 혼합물, 또는 물과 글리세롤의 50/50 v/v 비율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제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상기 극성 용매의 혼합물에서 추출 단계의 생성물을 동결 건조 또는 아토마이징 한 후 분말의 형태로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제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다공성 또는 비다공성 나일론 분말 및 운모 또는 임의의 박판 광물질로부터 선택된 지지체 상에 흡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제제.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추출물은 피부 구조의 유지 및 온전성에 기여하는 림노필라 콘페르타(Limnophila) 식물체 종의 추출물, 노스톡 코뮨, 세네데스뮤스 디모르푸스, 큐르큐마 롱가, 크로스커스 사티버스, 다니엘리아 올리베리의 식물종 중 하나와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미용 제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0.001 % 내지 5 중량%의 농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제제.
  14. 삭제
KR1020090050143A 2008-06-06 2009-06-05 레페치니아 카울레센스 추출물의 미용 제제 및 미용 조성물 KR1016859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853795A FR2932088B1 (fr) 2008-06-06 2008-06-06 Utilisation d'un extrait de lepechinia caulescens comme agent cosmetique, et composition cosmetique le contenant
FR0853795 2008-06-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7241A KR20090127241A (ko) 2009-12-10
KR101685921B1 true KR101685921B1 (ko) 2016-12-13

Family

ID=40405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0143A KR101685921B1 (ko) 2008-06-06 2009-06-05 레페치니아 카울레센스 추출물의 미용 제제 및 미용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023403B2 (ko)
JP (1) JP5659463B2 (ko)
KR (1) KR101685921B1 (ko)
FR (1) FR2932088B1 (ko)
IT (1) IT13946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32086A1 (fr) * 2008-06-06 2009-12-11 Lvmh Rech Methode de soin cosmetique anti-age par stimulation de l'expression de la survivin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89512A1 (en) * 2005-01-21 2006-08-24 Ehrenkranz Joel R L Compositions containing botanical extracts rich in phlorizin and methods for using such compositions in blood glucose modification and to affect aging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9942A (en) * 1976-01-29 1978-05-16 L'oreal Deodorant composition and process
JPS5857307A (ja) * 1981-09-30 1983-04-05 Pola Chem Ind Inc 化粧料
US4911931A (en) * 1987-08-03 1990-03-27 Baylink David J Pharmaceutical combination for treatment of bone-wasting diseases
JPH0710722A (ja) * 1993-06-25 1995-01-13 Kotaku Rin 育毛剤
JPH1129467A (ja) * 1997-07-09 1999-02-02 Shiseido Co Ltd プロテアーゼ阻害剤
JP3604554B2 (ja) * 1998-03-02 2004-12-22 株式会社カネボウ化粧品 テルフェニル誘導体及び用途
US6124362A (en) * 1998-07-17 2000-09-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regulating hair growth
US6265370B1 (en) * 1999-11-19 2001-07-24 Hall Newbegin Method for soap making
AU2002340224B2 (en) * 2001-10-16 2008-11-27 Progen Pharmaceuticals, Inc Oligoamine compounds and derivatives thereof for cancer therapy
EP1310261A1 (de) * 2001-11-09 2003-05-14 Cognis France S.A. Verwendung eines Extraktes der Vigna aconitifolia-Pflanze in einer Kosmetischen und/oder dermopharmazeutischen Zusammensetzung
DE10308852A1 (de) * 2003-02-27 2004-09-09 Rovi Gmbh & Co. Kosmetische Rohstoffe Kg Mittel gegen Faltenbildung der Haut
JP4063822B2 (ja) * 2003-04-11 2008-03-19 コリアナ・コズメティック・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皮膚しわ改善及び皮膚美白の二重機能性化粧料組成物。
KR100882618B1 (ko) * 2004-08-30 2009-02-06 카오 가부시키가이샤 지방 분해 촉진제 및 피부외용 조성물
CN101087583A (zh) 2004-12-22 2007-12-12 吉莱特公司 用生存素抑制剂来减少毛发生长
JP4528745B2 (ja) * 2006-06-14 2010-08-18 日光ケミカルズ株式会社 チロシナーゼ産生抑制剤
EP1925302A1 (en) * 2006-11-24 2008-05-28 DSMIP Assets B.V. Dietary or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ricyclic diterpenes and derivatives thereof for the treatment of depress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89512A1 (en) * 2005-01-21 2006-08-24 Ehrenkranz Joel R L Compositions containing botanical extracts rich in phlorizin and methods for using such compositions in blood glucose modification and to affect ag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659463B2 (ja) 2015-01-28
IT1394629B1 (it) 2012-07-05
KR20090127241A (ko) 2009-12-10
US20090304829A1 (en) 2009-12-10
FR2932088B1 (fr) 2013-04-05
US9023403B2 (en) 2015-05-05
ITTO20090433A1 (it) 2009-12-07
FR2932088A1 (fr) 2009-12-11
JP2009298789A (ja) 2009-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3930B1 (ko) 화장료 용도의 아니고잔토스 플라비두스 추출물
KR20180089373A (ko) 미용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미용 관리 방법
US7470438B1 (en) Ericacea extracts for combating skin aging
US20030138393A1 (en) Use of an extract of at least one vaccinium-type plant as an anti-glycation agent
KR101714345B1 (ko) 정유 혼합물을 포함하는 미용학적 또는 피부학적 조성물 및 특히 민감성 또는 민감화 피부 관리에 사용되는 이의 용도
KR20160063394A (ko) 하마멜리스 비르기니아나 추출물의 미용 또는 피부과 용도
KR20160091300A (ko) 피부 노화 징후의 출현을 방지 또는 지연시키기 위한 활성제로서의 브라소카틀레야 마르셀라 코스 난초 추출물의 용도
KR101917645B1 (ko) 사카로미세스 효모발효여과물, 아스파라거스줄기 추출물 및 관동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40043192A (ko) 표피세포에 있어서의 라미닌 5 생산능을 증강시킬 수 있는물질 및 이들의 사용
KR102358611B1 (ko) 호장근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EP2722075B1 (en) Prevention of conditions arising from an impaired skin barrier function
KR101798632B1 (ko) 피뿌리풀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화장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101685921B1 (ko) 레페치니아 카울레센스 추출물의 미용 제제 및 미용 조성물
KR20170010499A (ko) 달팽이 점액 발효여과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장벽 개선 및 높은 피부 흡수율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과 기능성 화장품
KR101435679B1 (ko)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US8241676B2 (en) Use of a Limnophila extract as a cosmetic agent, and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same
US20020041908A1 (en) Iridacea extracts for stimulating the immune system
KR102233707B1 (ko) 천연 추출물 및 천연 가루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48714B1 (ko) 마가목가지, 마가목열매, 꽃향유꽃 및 흰민들레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52616B1 (ko) 아토피 등 극건성 피부의 보습과 진정, 피부장벽강화 효과를 지니는 흰민들레 태좌 배양 추출물 함유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31412B1 (ko) 달맞이 꽃 추출물을 포함하고 초기 개선 활성이 우수한 피부 재생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US20240180816A1 (en) Novel composition comprising iris-derived exosome as active ingredient
KR20240002803A (ko) 발효된 에델바이스 캘러스 배양 추출물 및 석류 유래 엑소좀 혼합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20230117091A (ko) 피부장벽 및 염증 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240068867A (ko) 포피라334가 봉입된 세포외소포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