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8966B1 - 자외선 노출에 의한 피부 과민 반응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화장료 - Google Patents

자외선 노출에 의한 피부 과민 반응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8966B1
KR102238966B1 KR1020200091919A KR20200091919A KR102238966B1 KR 102238966 B1 KR102238966 B1 KR 102238966B1 KR 1020200091919 A KR1020200091919 A KR 1020200091919A KR 20200091919 A KR20200091919 A KR 20200091919A KR 102238966 B1 KR102238966 B1 KR 102238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weight
onion
extract
ferme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1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5433A (ko
Inventor
김은주
홍은미
이길홍
Original Assignee
(주)제니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니트리 filed Critical (주)제니트리
Priority to KR1020200091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8966B1/ko
Publication of KR20200095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5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8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8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61K36/8962Allium, e.g. garden onion, leek, garlic or ch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1/00Bioreactors or fermen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u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Dermatolog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chemistry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외선 노출에 의한 피부 과민 반응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로, 일정 시간동안 자외선의 지속적 노출에 의해 피부에 발생할 수 있는 피부 과민 반응 및/또는 피부 손상을 예방 및 개선하는 자외선 노출에 의한 피부 과민 반응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외선 노출에 의한 피부 과민 반응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화장료{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alleviating ultraviolet-induced skin damage and cosmetic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외선 노출에 의한 피부 과민 반응의 예방 및 개선효과를 갖는 양파피 발효 추출물에 관한 것으로서 자외선의 노출에 따라 피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붉음증 등의 피부 과민 반응 및/또는 피부 손상, 예컨대 일정 시간동안 자외선의 노출에 의해 피부에 발생할 수 있는 피부 과민 반응 및/또는 피부 손상을 예방 및 개선하는 자외선 노출에 의한 피부 과민 반응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제형에 관한 것이다.
급격히 발달한 IT 산업 및 스포츠 문화, 새로운 형태의 집단 주거 생활양식과 생활 도구의 발달, 건강 및 미용과 관련된 삶의 질을 우선시하는 사회 분위기는 다양한 원인과 형태로 피부 손상을 크게 증가시키고 있다. 예를 들어, 재해, 화재, 화학물 접촉 등의 화상으로 인한 경중증의 피부 손상 뿐만 아니라, 환경오염으로 인한 오존층의 파괴로 자외선A(UV-A)와 자외선B(UV-B)에 과다하게 노출됨에 따라 발생하는 피부노화를 동반한 중경증의 피부손상 등이 있다.
피부가 열에 노출되는 순간 단백질이 변성되고 응고하여 세포가 손상되고, 조직의 괴사가 유발된다. 44 이하의 낮은 온도라도 장시간 접촉하면 조직이 파괴되며, 44 ~ 55에서는 온도가 1도 상승할 때마다 세포의 파괴 속도가 배가되고, 70 이상에서는 조직이 즉시 파괴된다.
이처럼 피부에 화상이 발생하게 되면 신체에서 자연적으로 염증 반응이 유발되는데, 염증 반응 자체의 임상적 증상은 24 ~ 48시간 이내에 소실되지만 대사 항진 상태와 면역 반응은 피부 재생이 이루어질 때까지 지속되고, 다양한 매개체에 의한 지속적인 면역 반응이 발생하면서 다양한 부작용에 장기간 시달리게 된다. 즉, 상피화가 완료된 화상 부위라 할지라도 치료 후 남아있는 흉터는 조직학적으로 지속적인 염증 반응(prolonged inflammation), 섬유아조직의 과도한 성장(over proliferation of fibroblasts)과 콜라겐 섬유의 과생성(over production of collagen)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신생혈관 과생성 및 염증세포 과발현으로 인한 붉음증, 피부착색, 소양증(가려움증), 피부당김과 통증이 발생하고, 섬유아세포와 콜라겐 섬유의 과생성으로 인한 비후성 반흔(흉터), 피부 변형 및 구축 등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화상 치료를 위한 치료제로 종래 기술 중 한국공개특허 10-2009-0030995호에는 시알릴올리고당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후성 만흔 및 켈로이드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종래 기술 중 한국등록특허 제10-1099550호에는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치료용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자외선은 피부에 영향을 미치는 파장에 따라 UV-A (320 ~ 400nm)와 UV-B (290 ~ 320nm)로 구분되며, UV-A는 피부의 진피까지 침투하여 피부암 또는 주름의 유발이나 멜라닌 형성 촉진과 같은 피부 노화 또는 피부 자극을 유발하고, UV-B는 피부의 표피까지 침투되어 홍반, 주근깨 또는 부종 등을 일으킬 수 있다. 이 뿐만 아니라, 자외선에 의한 2차적인 부작용으로 피부의 붉음증, 피부 착색, 피부 통증, 소양증(가려움증) 및 비후성 반흔(흉터) 등과 같은 중경증의 피부 손상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피부 손상을 억제하기 위해 자외선 차단에 관한 관심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매년 다양한 자외선 차단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자외선 차단제는 자외선을 산란시키거나, 자외선을 흡수하는 성분을 함유한 제품을 말하는데, 크게 무기 자외선 차단제와 유기 자외선 차단제로 구분된다.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피부에 도달하는 자외선을 물리적으로 산란시켜 자외선을 차단시키며 징크옥사이드와 티타늄디옥사이드가 대표적이다.
무기 자외선 차단 성분은 자외선A(UV-A) 차단에 효과적이나 백탁 현상으로 피부가 하얗게 보이는 단점이 있고 모공을 막아 피부트러블을 유발할 수 있다.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피부에 도달한 자외선의 에너지를 흡수하여 자외선을 차단하며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와 옥토크릴렌이 대표적이다.
유기 자외선 차단 성분은 자외선B(UVB) 흡수에 효과적이며, 무기 자외선 차단제와 달리 백탁 현상이 없다는 장점이 있지만, 민감한 피부에는 자극을 일으킬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대부분의 자외선 차단제는 무기계와 유기계를 혼합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자외선 차단지수에 관한 공인시험결과를 토대로 한국식품의약품안전처에 허가를 획득한 후 판매하고 있다.
이러한 자외선 차단제는 대략 자외선에 노출되기 15분 전에 피부에 충분한 양을 도포해 주어야 하고, 땀이나 옷에 의해 지워지므로 2시간 간격으로 자주 덧발라 주어야 한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2시간 간격으로 계속 덧발라 주는 것은 쉽지 않으며, 대부분의 자외선 차단제가 갖고 있는 제품의 끈적임으로 인해, 반복적인 덧바름은 더위를 동반한 불쾌감과 차단성분에 의한 피부트러블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사람에 따라 땀에 의해 지워지는 정도와 시간이 다르고 해변가와 같은 장소에서는 물에 의해 쉽게 지워지기 때문에, 하루 종일 자외선의 피부 노출을 완벽하게 차단시키는 것은 어렵다.
한편, 자외선은 앞서 언급한 피부자극 또는 피부노화와 같은 부작용 외에 생체를 방어하기 위한 색소형성, 칼슘 대사에 중요한 작용을 하는 비타민 D 생성 촉진 등 생명유지에 꼭 필요한 작용을 하고 있어 장단점의 양면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자외선을 무조건적으로 피하기보다는 자외선의 부작용을 최소화 시키면서 장점을 최대한 받아드려 인체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제품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첫 번째 과제는 일정 시간동안 자외선의 노출에 의해 피부에 발생할 수 있는 피부과민 반응 및/또는 피부 손상을 예방 및 개선하는 자외선 노출에 의한 피부 과민 반응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두 번째 과제는 천연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서 종래의 자외선 차단관련 제품보다 효능이나 안전성이 우수한 자외선 노출에 의한 피부 과민 반응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제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세 번째 과제는 자외선의 노출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피부 과민 반응 및/또는 피부 손상을 예방 및/또는 개선하기 위해 피부 내에서 HSP 70 발현 억제, 미세혈관세포 증식 억제, 미세혈관세포 이동 억제, 혈관확장 및/또는 혈관형성을 억제하는 양파피 발효 추출물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첫 번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외선 노출에 의한 피부 과민 반응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양파피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자외선 노출에 의한 피부 과민 반응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은 자외선의 지속적인 노출에 따라 피부에서 발생하는 붉음증, 피부착색, 피부 통증, 소양증 및 비후성 반흔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예방 및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자외선 노출에 의한 피부 과민 반응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은 화장료, 의약품 및 의약외품 중 어느 하나의 용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자외선 노출에 의한 피부 과민 반응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의 상기 양파피 발효 추출물의 농도는 50 ~ 10,000pp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자외선 노출에 의한 피부 과민 반응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은 피부 세포에서 HSP(Heat Shock Protein, 열충격단백질) 70의 발현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자외선 노출에 의한 피부 과민 반응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은 진피층에 있는 피부 미세혈관세포의 증식 또는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자외선 노출에 의한 피부 과민 반응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은 피부 세포의 혈관확장 및 혈관형성을 억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두 번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외선 노출에 의한 피부 과민 반응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제형에 관한 것으로서, 양파피 발효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자외선 노출에 의한 피부 과민 반응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제형은 유액, 화장수, 크림, 로션, 에센스, 팩, 젤 또는 미스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자외선 노출에 의한 피부 과민 반응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제형은 글리세린(glycerin), 티타늄옥사이드(titanium oxide), 수산화알루미늄(aluminum hydroxide), 스테아르산(stearic acid), 산화아연(zinc oxide), 디메치콘(dimethicone),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ethylhexyl methoxycinnamate), 4-메칠벤질리덴캠버(4-methylbenzylidene camphor), 쿼터늄-18 벤토나이트(Quaternium-18 Bentonite), 염화나트륨(sodium chloride), 식물성스테롤(phytosterol), 옥토크릴렌(octocrylene) 및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dimethicone/vinyl dimethicone crosspolymer)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자외선 노출에 의한 피부 과민 반응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제형은 양파피 발효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글리세린(glycerin) 700 ~ 900 중량부; 티타늄옥사이드(titanium oxide), 수산화알루미늄(aluminum hydroxide) 또는 스테아르산(stearic acid) 900 ~ 1100 중량부; 산화아연(zinc oxide) 또는 디메치콘(dimethicone) 300 ~ 500 중량부;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ethylhexyl methoxycinnamate) 900 ~ 1100 중량부; 4-메칠벤질리덴캠버(4-methylbenzylidene camphor) 500 ~ 700 중량부; 쿼터늄-18 벤토나이트(Quaternium-18 Bentonite) 100 ~ 260 중량부; 염화나트륨(sodium chloride) 50 ~ 150 중량부; 식물성스테롤(phytosterol) 20 ~ 60 중량부; 옥토크릴렌(octocrylene) 500 ~ 700 중량부; 디메치콘(dimethicone) 또는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dimethicone/vinyl dimethicone crosspolymer) 500 ~ 70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세 번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파피 발효 추출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1) 건조 분쇄된 양파피를 포함하는 배지를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배지에 유산균을 접종하여 상기 양파피를 발효하는 단계, (3) 발효된 양파피를 포함하는 배지를 C1 ~ C4 알코올 용매로 추출하여 알코올 용매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4) 수득한 알코올 용매 추출물을 여과한 후, 건조하여 양파피 발효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양파피 발효 추출물 제조방법의 상기 (1) 단계의 배지는 0.1 ~ 10 중량%의 양파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양파피 발효 추출물 제조방법의 상기 (1) 단계의 배지는 탄소원(carbon source) 및 질소원, 미량원소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탄소원은 글루코오스(glucose), 수크로오스(sucrose), 말토오스(maltose), 프럭토오스(fructose), 락토오스(lactose), 자일로오스(xylose), 갈락토오스(galactose) 및 아라비노오스(arabinose)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질소원은 이스트추출물(yeast extract), 펩톤(peptone), 비프추출물(beef extract), 대두단백질분해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량원소는 아세트산나트륨(sodium acetate), 인산칼륨(potassium phosphate), 시트르산암모늄(Diammonium citrate), 황산마그네슘(magnesium sulfate, MgSO4), 황산망간(manganese sulfate, MnSO4), 황산아연(zinc sulfate, ZnSO4), 황산구리(copper sulfate, CuSO4)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양파피 발효 추출물 제조방법의 상기 (1) 단계의 배지는 양파피 0.01 ~ 10 중량%, 글루코오스(glucose) 0.1 ~ 5 중량%, 이스트추출물(yeast extract) 0.1 ~ 2 중량%, 인산칼륨(potassium phosphate) 0.01 ~ 0.2 중량%, 아세트산나트륨(sodium acetate) 0.01 ~ 0.5 중량%, 시트르산암모늄(Diammonium citrate) 0.01 ~ 0.5 중량%, 황산마그네슘(magnesium sulfate, MgSO4) 0.001 ~ 0.01 중량%, 황산망간(manganese sulfate, MnSO4) 0.001 ~ 0.05 중량%, 황산아연(zinc sulfate, ZnSO4) 0.0001 ~ 0.01 중량%, 황산구리(copper sulfate, CuSO4) 0.0001 ~ 0.01 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양파피 발효 추출물 제조방법의 상기 (1) 단계는 상기 배지를 90 ~ 121에서 15 ~ 30분간 살균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양파피 발효 추출물 제조방법의 상기 (2) 단계의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및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균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양파피 발효 추출물 제조방법의 상기 (2) 단계에서 유산균의 접종량은 접종 초기 균수가 105 ~ 106 cfu/㎖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양파피 발효 추출물 제조방법의 상기 (3) 단계의 알코올 용매는 20 ~ 90 중량% 에탄올 수용액이고, 상기 (3) 단계의 추출은 상기 에탄올 수용액을 사용하여 12 ~ 72 시간동안 추출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양파피 발효 추출물 제조방법의 상기 (4) 단계에서 여과된 알코올 용매 추출물은 40 ~ 80 온도에서 진공농축한 후, 진공건조(vaccum dry), 분무건조(spray dry) 또는 동결건조(freeze dry)로 건조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노출에 의한 피부 과민 반응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은 피부 세포에서 HSP 70 발현 억제, 미세혈관세포 증식 억제, 미세혈관세포 이동 억제, 혈관확장 및/또는 혈관형성을 억제 할 수 있어, 본 발명의 조성물이 포함된 제형을 피부에 도포하면 일정 시간동안 자외선의 지속적 노출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피부 과민 반응 및/또는 피부 손상을 예방 및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양파의 퀘르세틴 함유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양파피 발효 추출물이 포함된 배지에 세포독성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양파피 발효 추출물이 포함된 배지에 HSP 70의 발현 억제활성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양파피 발효 추출물이 포함된 배지에 미세혈관세포 증식 억제활성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양파피 발효 추출물이 포함된 배지에 미세혈관세포 이동 억제활성을 현미경을 통해 관찰한 결과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양파피 발효 추출물이 포함된 배지에 혈관확장 및 혈관형성 억제활성을 현미경을 통해 관찰한 결과이다.
도 7 내지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노출에 의한 피부 과민 반응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제형을 피부에 도포한 후, 자외선에 노출에 의한 피부 색소침착의 억제 정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자외선의 부작용 부분만 크게 언급되고 있는 시점에서 자외선을 무조건적으로 피하기보다는 자외선의 장점을 받아드려 인체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자외선 차단관련 제품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자외선 노출에 의한 피부 과민 반응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을 통해 상술한 문제의 해결을 모색하였다. 이를 통해, 피부 세포에서 HSP 70 발현 억제, 미세혈관세포 증식 억제, 미세혈관세포 이동 억제, 혈관확장 및/또는 혈관형성을 억제 하는 효과가 우수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이 포함된 자외선 차단관련 제품을 피부에 도포하면 일정 시간동안 자외선의 노출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피부 과민 반응 및/또는 피부 손상을 예방 및 개선할 수 있는 자외선 노출에 의한 피부 과민 반응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자외선 노출에 의한 피부 과민 반응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은 천연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 즉 양파피를 발효한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제형은 종래의 자외선 차단관련 제품보다 효능이나 안전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자외선 노출에 의한 피부 과민 반응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은 양파피 발효 추출물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자외선 노출에 의한 피부 과민 반응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은 자외선의 지속적인 노출에 따라 피부에서 발생하는 피부 과민 반응 및/또는 피부 손상, 예를 들어, 붉음증, 피부 착색, 피부 통증, 소양증(가려움증) 및 비후성 반흔(흉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예방 및 개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피부 과민 반응 및/또는 피부 손상은 피부의 상피화가 완료된 화상 부위라 할지라도 치료 후 남아있거나 발생할 수 있는 손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붉음증, 피부착색, 소양증(가려움증), 피부당김 및 통증은 신생혈관 과생성 및 염증세포 과발현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고 비후성 반흔(흉터)은 조직학적으로 지속적인 염증 반응(prolonged inflammation), 섬유아조직의 과도한 성장(over proliferation of fibroblasts)과 콜라겐 섬유의 과생성(over production of collagen)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노출에 의한 피부 과민 반응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은 화장료, 의약품 및 의약외품 중 어느 하나의 용도일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하여 화장료의 용도로 사용하거나, 의약품의 용도 또는 의약외품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앞서 언급했듯이, 본 발명의 자외선 노출에 의한 피부 과민 반응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은 양파피 발효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서, 피부 세포에서 미세혈관 세포 증식 억제 및/또는 미세혈관세포 이동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 미세혈관세포의 혈관확장 및/또는 혈관형성 억제, HSP(Heat Shock Protein, 열충격단백질) 70의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며, 이는 하기와 같다.
우선, 도 3은 화장료, 의약품 또는 의약외품에 포함될 수 있는 양파피 발효 추출물 농도보다 10배 정도 희석된 농도로 실험을 수행한 것으로서, 양파피 발효 추출물이 포함된 배지에 HSP 70 발현 억제활성을 측정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양파피 발효 추출물이 피부 세포에서 HSP 70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HSP는 세포나 조직 또는 개체가 생리적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 노출될 때 합성되는 단백질로서 HSP의 과발현에 의해 TGF-b1이 활성화되면서 혈관 확장과 신생 혈관 생성을 유도, 염증반응 유발, 섬유아세포 합성 촉진, 콜라겐 섬유 합성 촉진 등이 연속적으로 활성화된다. 달리 말하면, 열충격반응(heat shock response)은 염증반응을 동반한 비후성 반흔(흉터)에서 TGF-b1의 활성을 증가시킴으로서, 다양한 부작용을 연속적으로 유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양파피 발효 추출물이 피부 세포에서 HSP 70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4 내지 도 6은 화장료, 의약품 또는 의약외품에 포함될 수 있는 양파피 발효 추출물 농도보다 10배 정도 희석된 농도로 실험을 수행한 것으로서, 양파피 발효 추출물이 포함된 배지에 피부의 미세혈관세포 증식 억제활성을 측정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양파피 발효 추출물이 미세혈관세포 증식 억제 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양파피 발효 추출물이 포함된 배지에 피부의 미세혈관세포 이동 억제활성을 현미경을 통해 관찰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양파피 발효 추출물이 미세혈관세포 이동 억제 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양파피 발효 추출물이 포함된 배지에 피부 미세혈관세포의 혈관확장 및 혈관형성 억제활성을 현미경을 통해 관찰한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양파피 발효 추출물이 혈관확장 및 혈관형성 억제 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양파피 발효 추출물의 농도가 50 ~ 10,000ppm, 바람직하게는 300 ~ 5,000ppm 인 경우에 HSP 70 발현 억제, 미세혈관세포 증식 억제, 미세혈관세포 이동 억제, 혈관확장 및 혈관형성 억제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양파피 발효 추출물이 50 ~ 10,000ppm 농도일 때 HSP 70 발현 억제, 미세혈관세포 증식 억제, 미세혈관세포 이동 억제, 혈관확장 및 혈관형성 억제 효과를 극대화하는데 매우 유리할 수 있다. 만일, 본 발명의 양파피 발효 추출물의 농도가 50ppm 미만일 경우 HSP 70 발현 억제 효과, 미세혈관세포 증식 억제, 미세혈관세포 이동 억제, 혈관확장 및 혈관형성 억제가 미흡하며, 10,000ppm를 초과할 경우 세포 독성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자외선 노출에 의한 피부 과민 반응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제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자외선 노출에 의한 피부 과민 반응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제형은 유액, 화장수, 크림, 로션, 에센스, 팩, 젤 또는 미스트와 같은 피부 점착타입의 화장료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각 제형은 양파피 발효 추출물 이외에 다른 성분들을 사용 목적에 따라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합 성분으로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언트(emollient)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차단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코올, 색소, 향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하지만,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른 배합 성분이 배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자외선 노출에 의한 피부 과민 반응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제형은 양파피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고, 글리세린(glycerin), 티타늄옥사이드(titanium oxide), 수산화알루미늄(aluminum hydroxide), 스테아르산(stearic acid), 산화아연(zinc oxide), 디메치콘(dimethicone),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ethylhexyl methoxycinnamate), 4-메칠벤질리덴캠버(4-methylbenzylidene camphor), 쿼터늄-18 벤토나이트(Quaternium-18 Bentonite), 염화나트륨(sodium chloride), 식물성스테롤(phytosterol), 옥토크릴렌(octocrylene) 및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dimethicone/vinyl dimethicone crosspolymer)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성분들을 포함함으로서, 본 발명의 자외선 노출에 의한 피부 과민 반응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제형은 본 발명의 효과를 지닌 자외선 차단관련 제품으로서 사용가능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자외선 차단관련 제품으로서 사용가능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자외선 노출에 의한 피부 과민 반응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제형은 붉음증, 피부 착색, 피부 통증, 소양증(가려움증) 및 비후성 반흔(흉터) 등의 피부 과민 반응 및/또는 피부 손상을 예방 및/또는 개선할 수 있고, 배합성분에 의해 자외선을 차단하는 효과도 지닐 수 있다.
피부의 보습 작용을 하는 글리세린은 양파피 발효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700 ~ 9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750 ~ 85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고, 물리적 자외선 차단성분으로 피부 표면에 얇은 막을 형성하여 자외선을 반사시키는 티타늄옥사이드, 수산화알루미늄 또는 스테아르산은 양파피 발효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900 ~ 11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950 ~ 105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자외선 산란제인 산화아연 및/또는 디메치콘은 양파피 발효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0 ~ 5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50 ~ 55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고, 화학적 자외선 흡수성분인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는 양파피 발효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900 ~ 11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950 ~ 105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화학적 자외선 차단성분인 4-메칠벤질리덴캠버는 양파피 발효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0 ~ 7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50 ~ 65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고, 현탁화제(비계면활성)로 사용되는 쿼터늄-18 벤토나이트는 양파피 발효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0 ~ 26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50 ~ 21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점도증가제로 사용되는 염화나트륨은 양파피 발효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 1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75 ~ 12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고, 피부 수분손실을 예방하는 식물성스테롤은 양파피 발효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 6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0 ~ 4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화학적 자외선 차단성분인 옥토크실렌은 양파피 발효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0 ~ 7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50 ~ 65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고, 거품형성방지제, 피부보호제, 수분차단제로 사용되는 디메치콘 및/또는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는 양파피 발효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0 ~ 7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50 ~ 65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물질 이외에 본 발명의 자외선 노출에 의한 피부 과민 반응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제형은 정제수, 방부제, 및/또는 향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언급했듯이, 본 발명의 자외선 노출에 의한 피부 과민 반응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제형은 피부 세포에서 HSP(Heat Shock Protein) 70의 발현 억제, 미세혈관세포 증식 억제, 미세혈관세포 이동 억제, 혈관확장 및/또는 혈관형성을 억제할 수 있어, 피부의 붉음증, 피부 착색, 피부 통증, 소양증(가려움증) 및 비후성 반흔(흉터) 등의 피부 과민 반응 및/또는 피부 손상을 예방 및/또는 개선하는 효과가 우수하며, 이는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자외선 노출에 의한 피부 과민 반응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제형을 피부에 도포한 후, 자외선 노출에 의한 피부 색소침착 정도를 측정한 도 7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자외선 노출에 의한 피부 과민 반응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제형을 피부에 도포하면, 피부의 색소침착 정도가 개선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자외선 노출에 의한 피부 과민 반응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제형을 피부에 도포하면, 피부 과민 반응 및/또는 피부 손상 중 하나인 피부 붉음증을 예방 및/또는 개선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본 발명의 자외선 노출에 의한 피부 과민 반응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제형을 피부에 도포하면, 본 발명의 자외선 노출에 의한 피부 과민 반응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제형이 피부에 도포되지 않는 경우 및/또는 본 발명의 양파피 발효 추출물이 포함되지 않은 일반적인 자외선 차단관련 제품이 피부에 도포된 경우보다 피부 붉음증이 예방 및/또는 개선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자외선 노출에 의한 피부 과민 반응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과 이의 제형에 포함되는 양파피 발효 추출물은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해 제조된다.
양파피 발효 추출물 제조단계는 (1) 건조 분쇄된 양파피를 포함하는 배지를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배지에 유산균을 접종하여 상기 양파피를 발효하는 단계, (3) 발효된 양파피를 포함하는 배지를 C1 ~ C4 알코올 용매로 추출하여 알코올 용매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4) 수득한 알코올 용매 추출물을 여과한 후, 건조하여 양파피 발효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제조된 양파피 발효 추출물은 피부 세포에서 HSP(Heat Shock Protein) 70의 발현 억제, 미세혈관세포 증식 억제, 미세혈관세포 이동 억제 및/또는 혈관형성을 억제 하는데 우수한 효과를 보인다.
먼저, (1) 단계로서 분쇄된 양파피를 포함하는 배지를 제조한다.
양파에는 퀘르세틴 4-글루코시드(quercetin 4-glucoside), 퀘르세틴 4,7-디글리코시드(quercetin 4,7-diglycoside), 퀘르세틴 3,7-디글리코시드(quercetin 3,7-diglycoside), 퀘르세틴 아글리콘(quercetin aglycone), 이소람네틴 모노글리코시드(isorhamnetin monoglycoside), 캠퍼롤 모노글리코시드(kaempferol monoglycoside) 등의 플라보노이드 류가 함유되어 있고, 이 중 80%가 퀘르세틴 어글리코시드(quercetin aglycoside), 모노글리코시드(monoglycoside), 퀘르세틴 글리콘(quercetin glycone)으로 구성되어 있음이 보고되었다.
퀘르세틴(quercetin)은 플라보노이드의 일종으로 이러한 플라보노이드는 피부의 신생혈관 억제 효과뿐만 아니라 혈관이나 모세혈관을 보호하는 작용이 있으며, 과산화 지질을 억제하고, 알레르기나 피부질환을 억제한다는 보고가 있다.
본 발명의 (1) 단계에서 사용되는 양파는 양파 중에서 양파피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인 양파피는 양파의 붉은색 겉껍질을 말한다. 달리 말하면, (1) 단계에서 분쇄된 양파피를 포함하는 배지를 제조할 때, 배지에 포함된 양파피는 분쇄된 양파의 가장 바깥쪽 껍질만 사용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양파에는 퀘르세틴이라는 물질이 포함되어 있는데, 양파의 퀘르세틴 함유량은 도 1과 같다. 도 1은 양파의 퀘르세틴 함유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양파의 안쪽 껍질보다 바깥쪽 껍질, 즉 겉껍질로 갈수록 많은 양의 퀘르세틴을 함유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양파 겉껍질의 퀘르세틴 함유량은 322.0mg/100g, 겉껍질의 내부의 1겹에는 27.2mg/100g, 2겹에는 14.0mg/100g, 3겹에는 11.5mg/100g, 가장 안쪽은 1.1mg/100g가 함유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양파의 안쪽 껍질을 사용하지 않고, 양파의 겉껍질인 양파피를 이용한 본 발명의 양파피 발효 추출물은 높은 농도의 퀘르세틴을 함유한다. 달리 말하면, 본 발명은 양파피를 사용함으로서 피부 세포에서 HSP(Heat Shock Protein) 70의 발현 억제, 미세혈관세포 증식 억제, 미세혈관세포 이동 억제 및/또는 혈관형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지만, 양파피가 아닌 양파 안쪽 껍질을 사용하게 된다면 본 발명의 목적인 피부 세포에서 HSP(Heat Shock Protein) 70의 발현 억제, 미세혈관세포증식 억제, 미세혈관세포 이동 억제 및/또는 혈관형성을 억제하는 효과의 우수성을 달성하기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양파피는 세척기에서 8 ~ 12회 세척과정을 거친 후 60 ~ 100에서 8 ~ 12 시간 건조 및 로스팅 과정을 거쳐 분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1)단계의 배지는 양파피를 0.1 ~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2 ~ 8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지는 탄소원(carbon source), 질소원(nitrogen source) 및 미량원소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탄소원은 글루코오스(glucose), 수크로오스(sucrose), 말토오스(maltose), 프럭토오스(fructose), 락토오스(lactose), 자일로오스(xylose), 갈락토오스(galactose) 및 아라비노오스(arabinos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글루코오스(glucose)을 포함할 수 있다.
질소원은 이스트추출물(yeast extract), 펩톤(peptone), 비프추출물(beef extract), 대두단백질분해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이스트추출물(yeast extract)을 포함할 수 있다.
미량원소는 아세트산나트륨(sodium acetate), 인산칼륨(potassium phosphate), 시트르산암모늄(Diammonium citrate), 황산마그네슘(magnesium sulfate, MgSO4), 황산망간(manganese sulfate, MnSO4), 황산아연(zinc sulfate, ZnSO4), 황산구리(copper sulfate, CuSO4)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아세트산나트륨, 인산칼륨, 시트르산암모늄, 황산마그네슘, 황산망간 , 황산아연, 황산구리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단계의 배지는 양파피, 글루코오스(glucose), 이스트추출물(yeast extract), 아세트산나트륨(sodium acetate), 인산칼륨(potassium phosphate), 시트르산암모늄(Diammonium citrate), 황산마그네슘(magnesium sulfate, MgSO4), 황산망간(manganese sulfate, MnSO4), 황산아연(zinc sulfate, ZnSO4), 황산구리(copper sulfate, CuSO4)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언급했듯이, (1)단계의 배지는 양파피를 0.1 ~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2 ~ 8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1)단계의 배지는 글루코오스(glucose) 0.1 ~ 5중량%, 바람직하게는 0.5 ~ 2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스트추출물을 0.1 ~ 2 중량%, 바람직하게는 0.3 ~ 2 중량%를 포함할 수 있고, 아세트산나트륨을 0.01 ~ 0.5 중량%, 바람직하게는 0.03 ~ 0.1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인산칼륨을 0.01 ~ 0.2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 0.2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시트르산암모늄(Diammonium citrate)을 0.01 ~ 0.5 중량%, 바람직하게는 0.03 ~ 0.1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1)단계의 배지는 황산마그네슘을 0.001 ~ 0.1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3 ~ 0.01 중량%를 포함할 수 있고, 황산망간을 0.001 ~ 0.05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3 ~ 0.01 중량%를 포함할 수 있고, 황산아연을 0.001 ~ 0.01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2 ~ 0.005 중량%를 포함할 수 있고, 황산구리를 0.001 ~ 0.01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2 ~ 0.00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1)단계의 배지는 정제수를 포함할 수 있는데, 정제수는 상기 배지에 양파피 0.1 ~ 10 중량%, 글루코오스(glucose) 0.1 ~ 5 중량%, 이스트추출물 0.1 ~ 2 중량%, 인산칼륨(potassium phosphate) 0.01 ~ 0.2 중량%, 아세트산나트륨(sodium acetate) 0.01 ~ 0.5 중량%, 시트르산암모늄(Diammonium citrate) 0.01 ~ 0.5 중량%, 황산마그네슘(magnesium sulfate, MgSO4) 0.001 ~ 0.01 중량%, 황산망간(manganese sulfate, MnSO4) 0.001 ~ 0.05 중량%, 황산아연(zinc sulfate, ZnSO4) 0.0001 ~ 0.01 중량%, 황산구리(copper sulfate, CuSO4) 0.0001 ~ 0.01 중량%를 제외한 나머지가 포함, 즉 잔량을 포함할 수 있다.
(1) 단계에서 분쇄된 양파피를 포함하는 배지를 제조한 후, 상기 배지를 살균처리하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살균처리는 90 ~ 121 온도에서 15 ~ 30분간, 바람직하게는 100 ~ 110 온도에서 20 ~ 25분간 진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2) 단계로서 상기 (1) 단계에서 제조된 배지에 유산균을 접종하여 양파피를 발효한다. (2) 단계에서 접종된 유산균은 25 ~ 45 온도에서, 12 ~ 72시간, 바람직하게는 30 ~ 40 온도에서, 36 ~ 60 시간동안 배양되어 양파피가 포함된 배지를 발효하는데, 만일 배양온도가 25 미만이면 발효가 쉽게 일어나지 않으며, 45를 초과하면 열에 약한 유산균이 사멸할 수 있다.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 균주가 사용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및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균주일 수 있다.
상기 (2) 단계에서 유산균의 접종량은 접종 초기 균수가 105 ~ 106cfu/㎖일 수 있다. 만일, (2) 단계에서 유산균의 접종 초기 균수가 105 cfu/㎖미만이면 유산균의 배양시간이 길어지며, 106 cfu/㎖를 초과하면 종균의 생산에 있어 경제적인 부담이 될 수 있다.
다음으로, (3) 단계로서 (2) 단계에서 발효된 양파피를 포함하는 배지를 C1 ~ C4 알코올 용매로 추출하여 알코올 용매 추출물을 수득한다. 양파피를 포함하는 배지의 추출용매로 사용되는 알코올 용매는 C1 ~ C4 저급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알코올을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알코올 용매는 알코올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며 100% 알코올로 이루어져 있거나 다른 용매에 혼합된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다른 용매로서 바람직하게 물, 메틸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및 헥산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알코올 용매에 물을 혼합 용매로 사용하는 경우 20 ~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40 ~ 80 중량%의 농도를 갖는 알코올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추출 효율을 극대화하는데 매우 유리하다. 달리 말하면, 20 중량% 미만의 C1 ~ C4 알코올 수용액을 사용한다면 알코올에 포함되는 양파피 성분이 감소될 수 있으며, 90 중량%를 초과하면 알코올에 포함되는 양파피 성분의 증가없이 경제적인 부담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2) 단계에서 발효된 양파피를 포함하는 배지를 C1 ~ C4 알코올 용매로 추출하는데 있어서, 상온에서 추출할 수 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다양한 통상적인 추출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2) 단계에서 발효된 양파피를 포함하는 배지를 C1 ~ C4 알코올 용매로 추출하는데 있어서, 추출온도는 10 ~ 40, 바람직하게는 20 ~ 30, 추출시간은 1회 추출시 12 ~ 72시간, 바람직하게는 24 ~ 48시간, 추출횟수는 1 ~ 5회, 바람직하게는 2 ~ 3회일 수 있다.
다음으로, (4) 단계로서 (3) 단계에서 수득한 알코올 용매 추출물을 여과한 후, 건조하여 양파피 발효 추출물을 수득한다.
(4) 단계의 여과는 상기 (3) 단계에서 수득한 알코올 용매 추출물에 포함된 균체성분이나 불용성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실시하며, 필터 플레스(filter press) 또는 멤브레인 필터(membrane fiter), 원심분리(centrifuge)를 이용한 여과방법을 실시할 수 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다양한 통상적인 여과방법을 실시할 수 있다.
(4) 단계에서 여과된 알코올 용매 추출물은 40 ~ 80, 바람직하게는 50 ~ 70 온도에서 진공농축할 수 있다.
진공농축된 알코올 용매 추출물은 건조단계를 거치는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다양한 통상적인 건조방법으로 건조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진공건조(vaccum dry), 분무건조(spray dry) 또는 동결건조(freeze dry)로 건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양파피 발효 추출물은 피부 세포에서 HSP(Heat Shock Protein) 70의 발현 억제, 미세혈관세포 증식 억제, 미세혈관세포 이동 억제 및/또는 혈관형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한데,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하,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은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양파피 발효 추출물 제조
(1) 양파피를 포함하는 배지의 제조
주식회사 샘넷식품 농업회사법인으로부터 구매한 양파의 겉껍질을 벗겨, 양파의 겉껍질(이하, 양파피라 한다.)만을 수득한 후 세척기에 10회 정도 세척한다. 그 후, 80에서 10시간 동안 건조 및 로스팅 과정을 거친 다음 분쇄한다.
상기 분쇄된 양파피가 포함하여, 하기 표 1과 같은 배지를 제조하였다.
성분명 중량%(w/w) 성분명 중량%(w/w)
분쇄된 양파피 8 황산마그네슘 0.012
글루코오스 0.5 황산망간 0.003
이스트추출물 0.5 황산아연 0.001
인산칼륨 0.25 황산구리 0.001
아세트산나트륨 0.12 정제수 90.493
시트르산암모늄 0.12
상기 표 1과 같이 제조된 배지는 121의 온도에서 20분간 살균처리하는 단계를 거친다.
(2) 양파피의 발효
실시예 1-1에서 제조된 배지에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균주를 접종하고, 38의 온도에서 48 시간동안 유산균을 배양하여, 양파피를 발효시킨다. 이 때, 유산균의 접종량은 접종 초기 균수가 106cfu/㎖이다.
(3) 알코올 용매로 추출하여 알코올 용매 추출물을 수득
실시예 1-2에서 발효된 양파피를 포함하는 배지 1L에, 95 중량% 에탄올 5.34L를 가하여 최종 알코올 농도를 80 중량% 로 맞춘 후, 상온에서 48시간 동안 추출하여 최종 6.34L의 알코올 용매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4) 알코올 용매 추출물을 여과, 건조하여 양파피 발효 추출물을 수득
실시예 1-3에서 수득된 6.34L의 알코올 용매 추출물을 필터 프레스(filter press)하여 균체성분이나 불용성 성분을 제거하였다. 이 후, 60의 온도에서 진공농축시킨 후, 동결건조(Freeze dry) 방법으로 건조하여 약 25g의 양파피 발효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양파피 발효 추출물을 포함한 자외선차단 관련 제품 제조
(1) 정제수 71.9g에 글리세린(glycerin) 4g, 식물성스테롤(phytosterol) 0.2g을 넣고 80로 가온하여 수상을 제조한다.
(2) 티타늄옥사이드(titanium oxide) 5g, 산화아연(zinc oxide) 2g,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ethylhexyl methoxycinnamate) 5g, 4-메칠벤질리덴캠버(4-methylbenzylidene camphor) 3 g, 쿼터늄-18 벤토나이트(Quaternium-18 Bentonite) 0.9 g, 옥토크릴렌(octocrylene) 3 g, 디메치콘(dimethicone) 3 g을 넣고 80로 가온하여 유상을 제조한다.
(3) (2)에서 제조된 유상에 (1)에서 제조된 수상을 용기에 조금씩 천천히 투입하면서 교반하여 균일하게 분산시킨다.
(4) 온도를 45로 낮춘 후, 용기에 염화나트륨(sodium chloride) 0.5 g, 방부제 0.5 g, 향료 0.5 g, 양파피 발효 추출물 0.5 g을 넣고 교반하여 자외선차단 관련 제품을 제조한다.
비교예 1
실시예 1의 (2) 단계(양파피의 발효)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의 (1) 단계에서 양파피가 아닌 양파피를 벗긴 양파 안쪽 껍질을 사용하고, 실시예 1의 (2) 단계(양파피의 발효)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추출 용매로 80 중량% 에탄올 수용액 대신 0 중량% 에탄올, 즉 100 중량%의 정제수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실시예 2에 포함된 양파피 발효 추출물만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한 성분을 혼합하여 제품을 제조하였다.
준비예 1. 세포 배양
세포배양을 위해 인간피부조직(Human dermal tissue)에서 유래된 HDMECs(human dermal microvascular endothelial cells, 미세혈관세포)을 스페인의 Innoprot 사에서 분양 받아 사용하였다.
미세혈관세포를 75T 플라스크에 분주 하여 37, 5 부피% CO2 조건 하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배지는 5 부피% FBS(fetal bovine serum), 1 부피% 항생제, 1 부피% bFGF(basic fibroblast grouth factor)와 EGF(epidermal growth factor)가 포함된 ECM 배지(endothelial cell medium-innoprot)를 사용하였으며, 3일마다 배양액을 교체하였다. 상기 플라스크에 85 부피% 정도 세포가 배양되면 계대해 주었으며 한번 이상의 계대가 된 후 안정된 상태의 미세혈관세포를 이용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예 1 : 세포독성 확인 시험
96-웰 배양용기에 준비예 1에서 배양된 미세혈관세포를 1?104cell/이 되도록 각 웰(well)에 200㎕씩 분주하여 안정화를 위해 37, 5 부피% CO2 조건 하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배양용기의 각 웰(well)에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양파피 발효 추출물을 50ppm, 100ppm, 200ppm, 300ppm, 500ppm 및 800ppm 농도별로 첨가한 다음 37, 5 부피% CO2 조건 하에서 24시간동안 배양한 후, MTS 시료(CellTiter 96 AQueous Non-Radioactive Cell Proliferation Assay kit, Cat no.G5421, Promega사) 20㎕를 넣어주고, 37, 5 부피% CO2 인큐베이터(Incubator)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492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은 배양용기에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양파피 발효 추출물이 첨가되지 않은 대조군을 기준으로 미세혈관세포의 생존비를 계산하여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800ppm 농도로 첨가한 양파피 발효 추출물은 미세혈관세포에 약간의 독성을 보였으나 유의할만한 수준은 아니였으며, 50ppm, 100ppm, 200ppm, 300ppm 및 500ppm 농도로 첨가한 양파피 발효 추출물은 미세혈관세포에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도 2는 화장료, 의약품 또는 의약외품에 포함될 수 있는 양파피 발효 추출물 농도보다 10배 정도 희석된 농도로 세포독성 실험을 수행한 것으로서, 양파피 발효 추출물을 포함한 화장료, 의약품 또는 의약외품의 제조시에는 세포 독성 면 등을 고려할 때, 5000ppm 이하로 사용하는 것이 유리함을 추론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 HSP(Heat Shock Protein) 발현 억제효과 확인 시험
Fibroblast 및 HaCat 세포를 각각 준비예 1과 같은 동일한 방법으로 배양하였다. 이 후, 배양된 Fibroblast 및 HaCat 세포를 5?104cell/이 되도록 96-웰 배양용기의 각 웰(well)에 200㎕씩 seeding한 후, 배양용기의 각 웰(well)에 각각의 시료를 첨가하였다. 이 후, 24시간동안 37, 5 부피% CO2 조건하에서 배양한 뒤에 RNA 추출을 통해 HSP 70의 발현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각 웰(well)은 대조군 웰(well)과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양파피 발효추출물이 시료로서 각각 100ppm 및 500ppm 농도로 첨가된 웰(well)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양파피 추출물이 각각 100ppm 및 500ppm 농도로 첨가된 웰(well)이다.
각 웰(well)의 Fibroblast 및 HaCat 세포의 HSP 70 발현 억제효과에 대한 결과는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발효되지 않은 양파피 추출물을 각각 100ppm 및 500ppm 농도로 처리된 웰(well)의 Fibroblast 및 HaCat 세포는 대조군과 거의 유사하게 HSP 70이 발현되었으나, 실시예 1의 양파피 발효 추출물을 100ppm 및 500 ppm 농도로 처리된 웰(well)의 Fibroblast 및 HaCat 세포는 HSP 70의 발현이 현저하게 억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본 발명의 양파피 발효 추출물은 피부 세포에 있어 HSP 70의 발현을 현저하게 억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3은 화장료, 의약품 또는 의약외품에 포함될 수 있는 양파피 발효 추출물 농도보다 10배 정도 희석된 농도로 HSP 발현 억제 실험을 수행한 것으로서, 양파피 발효 추출물을 포함한 화장료, 의약품 또는 의약외품의 제조시에는 피부 세포의 HSP 발현 억제 면 등을 고려할 때, 5000ppm 이하로 사용하는 것이 유리함을 추론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 미세혈관세포 증식 억제 확인 시험
96-웰 배양용기에 준비예 1에서 배양된 미세혈관세포가 1?104cell/가 되도록 각 웰(well)에 200㎕씩 분주하여 안정화를 위해 37, 5 부피% CO2 조건 하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24시간을 배양한 후, 상층의 배지는 모두 버리고, 미세혈관세포가 포함된 하층의 배지를 1?PBS(Phosphate buffer saline)로 washing 한다. washing한 후 음성대조군 웰(well)에는 5 부피% FBS(fetal bovine serum)가 포함된 배지를 180㎕ 넣어주고 나머지 웰(well)에는 5 부피% FBS와 bFGF(basic fibroblast grouth factor) 2 ng/㎖, EGF(epidermal growth factor) 2 ng/㎖이 포함된 배지를 180㎕ 넣어 주었다.
96-웰 배양용기의 음성대조군 웰(well)을 제외한 각 웰(well)에 시료를 20㎕씩 첨가한다. 그 후, 96-웰 배양용기를 37, 5% CO2 조건 하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48시간 후, 상층의 배지는 모두 버리고, 미세혈관세포가 포함된 하층의 배지를 5 부피% PBS로 washing한 후, 5 부피% FBS가 포함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로 갈아준 다음 MTS 시료(CellTiter 96 AQueous Non-Radioactive Cell Proliferation Assay kit, Cat no.G5421, Promega사) 20㎕를 넣어주고, 37, 5 부피% CO2 인큐베이터(Incubator)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492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후 음성대조군 웰(well)를 기준으로 각 웰(well)의 세포의 생존비를 계산하였다.
각 웰(well)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양파피 발효 추출물이 시료로서 각각 50ppm, 100ppm, 200ppm, 300ppm, 400ppm 및 500ppm 농도로 첨가된 웰(well), 양성대조군 웰(well)로서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양파피 발효 추출물이 시료로서 첨가되지 않은 웰(well), 비교예 2에서 제조된 양파 안쪽 껍질의 추출물이 시료로서 각각 100ppm 및 200ppm 농도로 첨가된 웰(well) 및 비교예 3에서 제조된 양파피 추출물을 각각 100ppm 및 200ppm 농도로 첨가된 웰(well)이다.
각 웰(well)의 미세혈관세포의 세포증식 억제활성 측정결과는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양파피 발효 추출물을 50 내지 500ppm 농도로 첨가된 웰(well)은 양성대조군과 비교해 보았을 때, 미세혈관세포의 과도한 증식을 현저하게 억제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비교예 2 또는 비교예 3이 첨가된 웰(well)보다도 높은 세포 증식 억제 효과를 보여 주었다.
이를 토대로 본 발명의 양파피 발효 추출물은 피부 미세혈관세포의 세포 증식을 억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고, 특히 본 발명의 양파피 발효 추출물이 100ppm 내지 500ppm 농도로 첨가되면 피부 미세혈관세포의 세포 증식을 크게 억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자극으로 인해 과발현된 미세혈관세포의 증식을 억제시키면 이로인한 피부 붉음증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4은 화장료, 의약품 또는 의약외품에 포함될 수 있는 양파피 발효 추출물 농도보다 10배 정도 희석된 농도로 세포증식 억제 실험을 수행한 것으로서, 양파피 발효 추출물을 포함한 화장료, 의약품 또는 의약외품의 제조시에는 세포 활성 면 등을 고려할 때, 5000ppm 이하로 사용하는 것이 유리함을 추론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 미세혈관세포 세포 이동 억제 확인 시험
96-웰 배양용기에 준비예 1에서 배양된 미세혈관세포를 1?105cell/가 되도록 각 웰(well)에 200㎕씩 분주하여 안정화를 위해 37, 5 부피% CO2 조건 하에서 15시간 배양하였다. 15시간을 배양한 다음 200㎕ tip으로 스크래치 한 후 PBS로 세척하였다. 음성대조군 웰(well)에는 5 부피% FBS(fetal bovine serum)가 포함된 배지를 180㎕ 넣어주고 나머지 웰(well)에는 5 부피% FBS와 bFGF(basic fibroblast grouth factor) 2 ng/㎖, EGF(epidermal growth factor) 2 ng/㎖이 포함된 배지를 180㎕ 넣어 주었다.
96-웰 배양용기의 음성대조군 웰(well)을 제외한 각 웰(well)에 시료를 20㎕씩 첨가한다. 그 후, 96-웰 배양용기를 37, 5 부피% CO2 조건 하에서 9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현미경(Olympus IX53-100배율)을 통해 세포의 이동 정도를 관찰하였다.
각 웰(well)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양파피 발효 추출물이 시료로서 0, 100ppm, 200ppm, 300ppm 및 500ppm 농도로 첨가된 웰(well)이다.
각 웰(well)의 미세혈관세포의 세포이동 억제활성 측정결과는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양파피 발효 추출물을 100 내지 500ppm 농도로 첨가된 웰(well)은 양성대조군과 비교해 보았을 때 미세혈관세포의 이동이 현저히 억제되는 것을 현미경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본 발명의 양파피 발효 추출물은 피부 미세혈관세포의 세포 이동을 억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손상피부 주위로 몰려드는 혈관세포의 이동을 억제 시키면 손상피부 주위의 피부 붉음증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5은 화장료, 의약품 또는 의약외품에 포함될 수 있는 양파피 발효 추출물 농도보다 10배 정도 희석된 농도로 세포이동 억제 실험을 수행한 것으로서, 양파피 발효 추출물을 포함한 화장료, 의약품 또는 의약외품의 제조시에는 세포 활성 면 등을 고려할 때, 5000ppm 이하로 사용하는 것이 유리함을 추론할 수 있었다.
실험예 5 : 혈관확장 및 혈관형성 억제 확인 시험
96-웰 배양용기에 세포부착성 단백질(Growth factor reduced matrigel) 100㎕를 분주하여 37에서 30분간 코팅하였다.
96-웰 배양용기의 음성대조군 웰(well)에는 5 부피% FBS(fetal bovine serum)가 포함된 배지로 미세혈관세포를 희석하여 3.6?104cell/가 되도록 각 웰(well)에 450㎕씩 분주하고, 양성대조군에는 5 부피% FBS와 bFGF(basic fibroblast grouth factor) 2 ng/㎖, EGF(epidermal growth factor) 2 ng/㎖이 포함된 배지로 미세혈관세포를 희석하여 3.6?104cell/가 되도록 각 웰(well)에 450㎕씩 분주한다. 이후, 시료를 50㎕씩 첨가한다. 그 후, 96-웰 배양용기를 37, 5 부피% CO2 조건 하에서 24시간동안 배양하고, 현미경(Olympus IX53-100배율)을 통해 혈관확장 및 혈관형성 정도를 관찰하였다.
웰(well)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양파피 발효 추출물이 시료로서 0, 100ppm, 200ppm, 300ppm 및 500ppm 농도로 첨가된 웰(well)이다.
각 웰(well)의 미세혈관세포의 혈관확장 및 혈관형성 억제활성 측정결과는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양파피 발효 추출물을 100ppm 내지 500ppm 농도로 첨가된 웰(well)의 미세혈관세포의 혈관확장 및 혈관형성을 현저히 억제함을 현미경을 통해 관찰하였다.
이를 토대로 본 발명의 양파피 발효 추출물은 피부 세포의 혈관확장 및 혈관형성을 억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6은 화장료, 의약품 또는 의약외품에 포함될 수 있는 양파피 발효 추출물 농도보다 10배 정도 희석된 농도로 혈관확장 및 혈관형성 억제 실험을 수행한 것으로서, 양파피 발효 추출물을 포함한 화장료, 의약품 또는 의약외품의 제조시에는 세포 활성 면 등을 고려할 때, 5000ppm 이하로 사용하는 것이 유리함을 추론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양파피 발효 추출물은 피부 세포에서 HSP(Heat Shock Protein) 70의 발현 억제, 미세혈관세포 증식 억제, 미세혈관세포 이동 억제 및/또는 혈관형성을 억제하기 때문에, 자외선의 지속적인 노출에 따라 피부에서 발생하는 비후성 반흔, 소양증, 붉음증, 피부착색 및 통증 등의 피부 과민 반응 및/또는 피부 손상을 예방 및/또는 개선할 수 있는 복합소재 물질로서 활용가능성이 큰 물질임이 자명하다.
실험예 6 : 자외선 노출에 의한 피부의 색소침착 억제 확인 임상 시험
본 임상시험은 식품의약품안전청 고시 제2009-130호(자외선 차단효과 측정방법 및 기준)을 참고하였으며, 실험에 내용에 맞게 적절히 변형하여 사용하였다.
(1) 시험은 피험자의 팔에 실시 하였으며, 시험 부위는 피부손상, 과도한 털, 색조가 특별히 차이가 나지 않는 깨끗한 곳으로 선정하였다.
(2) 피험자의 피부상태에 따라 하기의 표 2의 피츠패트릭(Fitzpatrick)의 피부유형 분류기준표를 참고하여 최소홍반량을 결정하였고, 가로?세로 1cm?1cm의 3곳의 피부에 피부착색이 유도될 수 있도록 자외선을 조사하였다.
유형 설명 MED(mJ/cm2)
항상 쉽게(매우 심하게) 붉어지고, 거의 검게 되지 않는다. 2~30
쉽게(심하게) 붉어지고, 약간 검게 된다. 25~35
보통으로 붉어지고, 중간 정도로 검게 된다. 30~50
그다지 붉어지지 않고, 쉽게 검게 된다. 45~60
거의 붉게 되지 않고, 매우 검게 된다. 60~80
전혀 붉게 되지 않고, 매우 검게 된다. 85~200
(3) 자외선의 조사는 태양광과 유사한 연속적인 방사스펙트럼을 갖고, 특정피크를 나타내지 않는 제논 아크 램프(Xenon arc lamp)를 장착한 인공태양광조사기를 이용하여 자외선을 조사하였다. 이 때, 자외선의 범위는 UV-B(290~320nm)와 UV-A(290~400nm)를 포함하는 290 ~ 400nm이며, 290nm 이하의 파장은 적절한 필터를 이용해 제거해 주었다.(4) 깨끗한 피부에 자외선을 조사 후, 자외선을 조사한 피부 중 한 곳은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양파피 발효 추출물을 포함한 자외선차단 관련 제품을 도포 하였고, 다른 한 곳은 비교예 4에서 제조된 양파피 발효 추출물이 제외된 자외선차단 관련 제품을 도포 하였으며, 또 다른 한 곳은 대조군으로 어떠한 자외선차단 관련 제품도 도포하지 않았다.
(5) 자외선이 조사된 이후 일상생활에서의 자외선 노출에 의한 영향을 배제 시키기 위해 10일 동안 지속적으로 각각의 크림을 발라주었으며 10일이 지난 후, 피험자의 피부의 색소침착 정도를 Aramo TS 피부 측정기(제조사 : ARAM HUVIS Co.,Ltd)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10일 후의 피험자의 피부 색소침착 측정결과는 도 7 내지 도 13에 나타내었다. Aramo TS 피부 측정기의 60배율 카메라를 이용해 피부 기저층에 침착된 색소를 촬영하였으며, 각각의 측정값은 색소침착이 발생한 면적으로 면적값이 클수록 색소침착이 광범위하게 발생하였음을 나타낸다.
대조군 비교예 4 실시예 1
피험자 1 71 64 37
피험자 2 57 45 42
피험자 3 73 63 39
피험자 4 70 55 39
피험자 5 63 55 26
피험자 6 71 62 27
피험자 7 63 59 23
상기 표 3은 색소 침착 정도를 수치화한 표로서, 각각의 수치는 색소침착의 정도의 측정값을 표로 나타낸 결과이며, 상기와 같은 피험자의 색소 침착 정도와 측정값은 도 7 내지 도 13에 나타내었다. 표 3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양파피 발효 추출물을 포함한 자외선차단제가, 피부에 어떠한 자외선차단제도 도포되지 않는 대조군 및 피부에 비교예 4의 양파피 발효 추출물이 제외된 자외선차단제가 도포된 피부보다 색소침착이 현저하게 예방 또는 개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도 7 내지 도 13의 측정사진을 통해서도 색소침착이 현저하게 예방 또는 개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양파피 발효 추출물은 피부 세포에서 HSP(Heat Shock Protein) 70의 발현 억제, 미세혈관세포 증식 억제, 미세혈관세포 이동 억제 및/또는 혈관형성을 억제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자외선 노출에 의한 피부 과민 반응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제형을 피부에 도포함으로서 자외선의 지속적인 노출에 따라 피부에서 발생하는 피부 과민 반응 및/또는 피부 손상, 대표적으로 피부 붉음증 등을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는 제형으로서 활용가능성이 큰 물질임이 자명하다.
[제조예]
제조예 1 : 자외선 노출에 의한 피부 과민 반응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제형의 제조예
본 발명의 양파피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노출에 의한 피부 과민 반응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제형을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조예 1-1. 자외선 차단성분이 포함된 크림(선크림)
양파피 발효 추출물 0.5 g
글리세린(glycerin) 4 g
티타늄옥사이드(titanium oxide) 5 g
산화아연(zinc oxide) 2 g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ethylhexyl methoxycinnamate) 5 g
4-메칠벤질리덴캠버(4-methylbenzylidene camphor) 3 g
쿼터늄-18 벤토나이트(Quaternium-18 Bentonite) 0.9 g
염화나트륨(sodium chloride) 0.5 g
식물성스테롤(phytosterol) 0.2 g
옥토크릴렌(octocrylene) 3 g
디메치콘(dimethicone) 3 g
방부제 0.5 g
향료 0.5 g
정제수 71.9 g
상기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자외선 차단성분이 포함된 크림(선크림) 형태 제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였다. 또한, 티타늄옥사이드를 대신하여 수산화알루미늄(aluminum hydroxide) 또는 스테아르산(stearic acid)이 혼합하여 실시하여도 무방하고, 징크옥사이드를 대신하여 디메치콘(dimethicone)을 혼합하여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디메치콘 대신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dimethicone/vinyl dimethicone crosspolymer)을 혼합하여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나아가, 상기 정제수와 상기 방부제 및/또는 향료의 혼합비는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제조예 1-2. 앰플
양파피 발효 추출물 0.5 g
디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7 g
1,3-부틸렌글리콜(1,3-butylene glycol) 5 g
폴리솔베이트 80(polysorbate 80) 3 g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dipotassium glycyrrhizate) 0.5 g
알란토인(allantoin) 0.5 g
판테놀(panthenol) 0.5 g
글리세린(glycerin) 3 g
방부제 0.5 g
향료 0.5 g
정제수 79 g
상기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앰플형태 제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였다. 나아가, 상기 정제수와 상기 방부제 및/또는 향료의 혼합비는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제조예 1-3. 스킨
양파피 발효 추출물 0.5 g
1,3-부틸렌글리콜(1,3-butylene glycol) 5 g
글리세린(glycerin) 4 g
폴리솔베이트 80(polysorbate 80) 2 g
초산토코페롤(tocopherol acetate) 0.05 g
니코틴산아마이드(nicotinic acid amide) 0.5 g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dipotassium glycyrrhizate) 0.5 g
알란토인(allantoin) 0.5 g
염산피리독신(pyridoxine hydrochloride) 0.5 g
*방부제 0.5 g
향료 0.5 g
정제수 85.45 g
상기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스킨형태 제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였다. 나아가, 상기 정제수와 상기 방부제 및/또는 향료의 혼합비는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제조예 1-4. 팩
양파피 발효 추출물 0.5 g
글리세린(glycerin) 5 g
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 2 g
셀룰로오스검(cellulose gum) 1 g
카르복시비닐폴리머(carboxyvinylpolymer) 0.2 g
폴리솔베이트 80(polysorbate 80) 1 g
알란토인(allantoin) 0.3 g
판테놀(panthenol) 0.5 g
알지닌(arginine) 0.3 g
피이지-4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 오일(PEG-40 hydrogenated caster oil) 0.3g
감초추출물 0.1g
레시틴(lecithin) 0.1 g
방부제 0.5 g
향료 0.5 g
정제수 87.7 g
상기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팩형태 제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였다. 나아가, 상기 정제수와 상기 방부제 및/또는 향료의 혼합비는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제조예 1-5. 로션
양파피 발효 추출물 0.5 g
글리세린(glycerin) 3 g
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 5 g
에리스리톨(erythritol) 1 g
카르복시비닐폴리머(carboxyvinylpolymer) 0.3 g
잔탄검(xanthan gum) 0.3 g
경화 피마자오일(hydrogenated caster oil) 0.5 g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 0.5 g
세테아릴알코올(cetearyl alcohol) 1 g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cetyl ethylhexanoate) 3 g
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PEG-100 stearate) 0.8 g
알지닌(arginine) 0.2 g
감초추출물 0.1 g
레시틴(lecithin) 0.1 g
방부제 0.5 g
향료 0.5 g
정제수 82.7 g
상기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로션형태 제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였다. 나아가, 상기 정제수와 상기 방부제 및/또는 향료의 혼합비는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제조예 1-6. 에센스
양파피 발효 추출물 0.5 g
글리세린(glycerin) 3 g
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 5 g
에리스리톨(erythritol) 1 g
카르복시비닐폴리머(carboxyvinylpolymer) 0.15 g
잔탄검(xanthan gum) 0.2 g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 0.5 g
세테아릴알코올(cetearyl alcohol) 1 g
알지닌(arginine) 0.15 g
감초추출물 0.1 g
레시틴(lecithin) 0.1 g
방부제 0.5 g
향료 0.5 g
정제수 87.3 g
상기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에센스형태 제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였다. 나아가, 상기 정제수와 상기 방부제 및/또는 향료의 혼합비는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Claims (7)

  1. 양파피 발효 추출물을 50 내지 500ppm 농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양파피 발효 추출물은 양파피 발효물을 에탄올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피부 세포의 혈관확장 및 혈관형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양파피 발효 추출물은
    (1) 건조 분쇄된 양파피 0.01 ~ 10 중량%, 글루코오스(glucose) 0.1 ~ 5 중량%, 이스트추출물(yeast extract) 0.1 ~ 2 중량%, 인산칼륨(potassium phosphate) 0.01 ~ 0.2 중량%, 아세트산나트륨(sodium acetate) 0.01 ~ 0.5 중량%, 시트르산암모늄(Diammonium citrate) 0.01 ~ 0.5 중량%, 황산마그네슘(magnesium sulfate, MgSO4) 0.001 ~ 0.01 중량%, 황산망간(manganese sulfate, MnSO4) 0.001 ~ 0.05 중량%, 황산아연(zinc sulfate, ZnSO4) 0.0001 ~ 0.01 중량%, 황산구리(copper sulfate, CuSO4) 0.0001 ~ 0.01 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는 배지를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배지에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를 접종하여 상기 양파피를 발효하는 단계;
    (3) 발효된 양파피를 포함하는 배지를 80 중량 % 에탄올 용매로 추출하여 알코올 용매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4) 수득한 에탄올 용매 추출물을 여과한 후, 건조하여 양파피 발효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의 지속적인 노출에 의한 피부에서 발생하는 피부 착색의 피부과민반응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제약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세포에서 HSP(Heat Shock Protein) 70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의 지속적인 노출에 의한 피부에서 발생하는 피부 착색의 피부과민반응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제약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세포의 증식 또는 이동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의 지속적인 노출에 의한 피부에서 발생하는 피부 착색의 피부과민반응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제약 조성물.
  4. 양파피 발효 추출물을 50 내지 500ppm 농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양파피 발효 추출물은 양파피 발효물을 에탄올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피부 세포의 혈관확장 및 혈관형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양파피 발효 추출물은
    (1) 건조 분쇄된 양파피 0.01 ~ 10 중량%, 글루코오스(glucose) 0.1 ~ 5 중량%, 이스트추출물(yeast extract) 0.1 ~ 2 중량%, 인산칼륨(potassium phosphate) 0.01 ~ 0.2 중량%, 아세트산나트륨(sodium acetate) 0.01 ~ 0.5 중량%, 시트르산암모늄(Diammonium citrate) 0.01 ~ 0.5 중량%, 황산마그네슘(magnesium sulfate, MgSO4) 0.001 ~ 0.01 중량%, 황산망간(manganese sulfate, MnSO4) 0.001 ~ 0.05 중량%, 황산아연(zinc sulfate, ZnSO4) 0.0001 ~ 0.01 중량%, 황산구리(copper sulfate, CuSO4) 0.0001 ~ 0.01 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는 배지를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배지에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를 접종하여 상기 양파피를 발효하는 단계;
    (3) 발효된 양파피를 포함하는 배지를 80 중량 % 에탄올 용매로 추출하여 알코올 용매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4) 수득한 에탄올 용매 추출물을 여과한 후, 건조하여 양파피 발효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의 지속적인 노출에 의한 피부에서 발생하는 피부 착색의 피부과민반응 질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유액, 화장수, 크림, 로션, 에센스, 팩, 젤 또는 미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의 지속적인 노출에 의한 피부에서 발생하는 피부 착색의 피부과민반응 질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글리세린(glycerin), 티타늄옥사이드(titanium oxide), 수산화알루미늄(aluminum hydroxide), 스테아르산(stearic acid), 산화아연(zinc oxide), 디메치콘(dimethicone),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ethylhexyl methoxycinnamate), 4-메칠벤질리덴캠버(4-methylbenzylidene camphor), 쿼터늄-18 벤토나이트(Quaternium-18 Bentonite), 염화나트륨(sodium chloride), 식물성스테롤(phytosterol), 옥토크릴렌(octocrylene) 및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dimethicone/vinyl dimethicone crosspolymer)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의 지속적인 노출에 의한 피부에서 발생하는 피부 착색의 피부과민반응 질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7. 제 6항에 있어서,
    양파피 발효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글리세린(glycerin) 700 ~ 900 중량부; 티타늄옥사이드(titanium oxide), 수산화알루미늄(aluminum hydroxide) 또는 스테아르산(stearic acid) 900 ~ 1100 중량부; 산화아연(zinc oxide) 또는 디메치콘(dimethicone) 300 ~ 500 중량부;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ethylhexyl methoxycinnamate) 900 ~ 1100 중량부; 4-메칠벤질리덴캠버(4-methylbenzylidene camphor) 500 ~ 700 중량부; 쿼터늄-18 벤토나이트(Quaternium-18 Bentonite) 100 ~ 260 중량부; 염화나트륨(sodium chloride) 50 ~ 150 중량부; 식물성스테롤(phytosterol) 20 ~ 60 중량부; 옥토크릴렌(octocrylene) 500 ~ 700 중량부; 디메치콘(dimethicone) 또는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dimethicone/vinyl dimethicone crosspolymer) 500 ~ 70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의 지속적인 노출에 의한 피부에서 발생하는 피부 착색의 피부과민반응 질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00091919A 2020-07-23 2020-07-23 자외선 노출에 의한 피부 과민 반응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화장료 KR102238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919A KR102238966B1 (ko) 2020-07-23 2020-07-23 자외선 노출에 의한 피부 과민 반응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화장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919A KR102238966B1 (ko) 2020-07-23 2020-07-23 자외선 노출에 의한 피부 과민 반응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화장료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2947A Division KR20160084825A (ko) 2016-06-30 2016-06-30 자외선 노출에 의한 피부 과민 반응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화장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5433A KR20200095433A (ko) 2020-08-14
KR102238966B1 true KR102238966B1 (ko) 2021-04-12

Family

ID=72050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1919A KR102238966B1 (ko) 2020-07-23 2020-07-23 자외선 노출에 의한 피부 과민 반응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화장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896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20338A (ja) 2001-01-15 2004-07-08 コグニス・フランス・ソシエテ・アノニム 化粧用および/または医薬用製剤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647356A1 (en) * 2006-03-31 2007-10-11 Panacea Biotec Ltd. Compositions for hair loss disorders comprising extracts from the plant vernonia sp.
KR101633345B1 (ko) * 2009-09-07 2016-06-28 (주)아모레퍼시픽 목 피부 나이 판별 방법 및 키트
KR101781556B1 (ko) * 2010-11-30 2017-09-27 (주)아모레퍼시픽 홍조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83767A (ko) * 2011-01-18 2012-07-26 하홍열 양파피 착즙액, 추출물, 또는 분말을 함유한 피부외용제
KR101544125B1 (ko) * 2011-02-08 2015-08-13 주식회사 웰파이토 천연색소를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57435B1 (ko) * 2011-08-09 2013-04-23 이상록 세이지 추출물, 레몬밤 추출물, 우뭇가사리 추출물 및 양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24180B1 (ko) * 2011-08-30 2014-07-28 양재찬 식물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또는 피부보습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20338A (ja) 2001-01-15 2004-07-08 コグニス・フランス・ソシエテ・アノニム 化粧用および/または医薬用製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5433A (ko) 2020-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0465B1 (ko) 탁시폴린 배당체를 함유하는 작약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작약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H0892057A (ja) コーヒーノキ種子抽出物配合化粧料
KR20160084825A (ko) 자외선 노출에 의한 피부 과민 반응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화장료
KR102226179B1 (ko)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102257448B1 (ko) 흑다시마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5770426B2 (ja) 一重項酸素消去剤、並びに該一重項酸素消去剤を用いた皮膚外用剤及び化粧料
KR100371504B1 (ko) 분말 상의 포도 발효액 추출물을 함유하고 미백 및 주름방지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92293A (ko) 구기자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38966B1 (ko) 자외선 노출에 의한 피부 과민 반응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화장료
KR20160144946A (ko) 피부병변의 치료 또는 미용 목적으로 시술되는 레이저에 의한 피부 과민 반응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화장료
KR20110121775A (ko) 금꿩의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99858B1 (ko) 한방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32084B1 (ko) 오이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WO2020203933A1 (ja) 抗老化剤、抗酸化剤、抗炎症剤、及び美白剤、並びに、化粧料
KR20220057360A (ko) 히비스커스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용 개선용 조성물
CN113262191A (zh) 一种母菊花润肤面霜及其制备方法
JP5689552B1 (ja) 特定の波長域を有する光を照射して栽培したカモミールの抽出物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や内用剤。
JP3233813B2 (ja) チロシナーゼ生合成促進剤及び白髪改善用又は白髪防止用頭髪用化粧料並びに日焼け用化粧料
KR102238965B1 (ko) 피부병변의 치료 또는 미용 목적으로 시술되는 레이저에 의한 피부 과민 반응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화장료
KR101207560B1 (ko) 빗죽이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46584B1 (ko) 지실 추출물 및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렴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82951A (ko) 피부병변의 치료 또는 미용 목적으로 시술되는 레이저에 의한 피부 과민 반응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화장료
KR102628844B1 (ko) 등나무 꽃, 두릅나무 꽃, 동백나무 잎 및 동백나무 꽃 혼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07954A (ko) 피부병변의 치료 또는 미용 목적으로 시술되는 레이저에 의한 피부 과민 반응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화장료
KR102182927B1 (ko) 꽃송이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불미나리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항산화, 주름 개선, 탄력 개선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