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7091A - 피부장벽 및 염증 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장벽 및 염증 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7091A
KR20230117091A KR1020230099682A KR20230099682A KR20230117091A KR 20230117091 A KR20230117091 A KR 20230117091A KR 1020230099682 A KR1020230099682 A KR 1020230099682A KR 20230099682 A KR20230099682 A KR 20230099682A KR 20230117091 A KR20230117091 A KR 202301170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extract
flower extract
skin barrier
eff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9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1319B1 (ko
Inventor
한지원
김세율
박유나
남보미
황지영
김지효
유병완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남원시바이오산업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남원시바이오산업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남원시바이오산업연구원
Priority to KR1020230099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1319B1/ko
Publication of KR20230117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7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1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13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장벽 및 염증 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왕벚나무꽃 추출물, 복사나무꽃 추출물 및 국화꽃 추출물을 4.0 내지 4.8 : 0.4 내지 2 : 4.0 내지 4.8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장벽 및 염증 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피부장벽 및 염증 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having an effect of improving skin barrier and inflammation}
본 발명은 피부장벽 및 염증 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왕벚나무꽃, 복사나무꽃 및 국화꽃의 추출물을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우수한 피부장벽 및 염증 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의 변화나 생활 패턴의 변화에 따른 냉/난방의 인위적인 온도 조절, 사회생활에서 발생되는 각종 스트레스와 환경오염으로 인한 피부 스트레스, 화장 습관에 따른 잦은 세안 및 연령 증가에 따른 자연적인 피부 노화 등의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하여 각질층의 수분이 감소하여 피부가 건조해지고 표면이 거칠게 되며 피부가 푸석거리고 촉촉함을 잃어 생기가 없어 보이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피부 장벽 강화용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의 필요가 증가하고 있다.
여기서 피부보습을 유지하는 대표적인 인자인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은 콜라겐, 엘라스틴과 함께 피부 3대 요소가운데 하나로, 친수성이 강해 물과 결합하여 겔을 형성하는 성질이 있어 피부 수분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천연 보습제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히알루론산의 합성을 유도하거나 분해를 억제하는 물질은 피부 보습과 노화 방지에 효과적이며, 특히 히알루론산 합성효소(hyaluronic acid synthase, HAS) 중 HAS2와 HAS3는 히알루론산 합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최근 HAS의 유전자 발현 증가를 통해 히알루론산의 생산을 촉진시키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염증 반응은 외부 자극에 대한 생체조직의 방어반응의 하나로서 물리적 작용이나 유해물질, 화학적 자극, 세균 감염 등에 의한 손상을 수복 재생하려는 기전이며, 지속적인 염증반응은 오히려 점막손상을 촉진하고, 그 결과 일부에서는 암 발생 등 각종 질환을 유도한다. 특히, 피부염은 피부에 생긴 염증으로 발적, 종창, 열감 및 동통 증상을 동반한다. 자각증상으로 아픔보다 가려움을 더 느끼는 것이 보통이다.
일반적으로 피부염은 아토피성 피부염, 1차성 자극성 피부염, 접촉 피부염, 지루성 피부염과 같이 습진성 피부염 및 선상 피부염, 독나방 피부염 등 곤충이 원인인 피부염이 있다.
이러한 피부염의 치료에는 스테로이드제제, 항히스타민제제를 처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국소 부신피 질호르몬 같은 스테로이드제제를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 피부위축, 혈관확장 및 색소탈실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며, 항히스타민제제의 경우 내성 및 과민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 이에 종래 피부염 치료제의 문제점을 보완할 안전한 물질로 천연 유래 물질을 이용한 새로운 피부염 치료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피부장벽(보습)과 항염(염증 개선)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종래의 기술로 한국등록특허 제10-1777799호 "국화 숙성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이 공개되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남원·지리산권 자원식물 중 왕벚나무꽃, 복사나무꽃, 국화꽃 추출물을 이용하여 염증 개선 효과에 최적화된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왕벚나무꽃, 복사나무꽃 및 국화꽃의 추출물을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우수한 피부장벽 및 염증 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장벽 및 염증 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은 왕벚나무꽃 추출물, 복사나무꽃 추출물 및 국화꽃 추출물을 4.0 내지 4.8 : 0.4 내지 2 : 4.0 내지 4.8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장벽 및 염증 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왕벚나무꽃 추출물, 복사나무꽃 추출물 및 국화꽃 추출물은, 왕벚나무꽃, 복사나무꽃, 국화꽃을 각각 물 또는 유기용매의 용매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꽃 추출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3 내지 10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유액, 크림, 화장수, 에센스, 팩, 현탁액, 페이스트, 젤, 파우더, 립스틱, 메이컵 베이스, 파운데이션, 로션, 겔, 패취, 미용액, 클렌징 폼, 클렌징 크림, 클렌징 워터, 비누, 샴푸, 린스 및 분무제 중 하나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장벽 및 염증 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은 왕벚나무꽃, 복사나무꽃 및 국화꽃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을 포함하는 꽃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보습 기능을 통해 각질층 손상을 방지하여 우수한 피부장벽 개선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우수한 염증 개선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홍조, 브라운색소, 색소침착 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서로 상관관계가 있는 피부장벽(보습)과 염증 개선 기능이 같이 작용됨으로써 보다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도 1은 제조예와 실시예의 NO 생성율을 나타낸 그래프.
도 2의 (a) 및 (b)는 화장료 조성물 사용 전/사용 후에 따른 각질층 수분 함량과 수분 개선율을 나타낸 그래프.
도 3의 (a) 및 (b)는 화장료 조성물 사용 전/ 사용 후에 따른 경피 수분 손실량 및 피부장벽 개선율을 나타낸 그래프.
도 4의 (a) 및 (b)는 화장료 조성물 사용 전/사용 후에 따른 홍조 면적당 백분율 및 홍조 개선율을 나타낸 그래프.
도 5의 (a) 및 (b)는 화장료 조성물 사용 전/사용 후에 따른 브라운 색소 면적당 백분율 및 브라운색소 개선율을 나타낸 그래프.
도 6의 (a) 및 (b)는 화장료 조성물 사용 전/사용 후에 따른 색소침착 면적당 백분율 및 색소침착 개선율을 나타낸 그래프.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장벽 및 염증 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은(이하 '화장료 조성물'이라 함)은 왕벚나무꽃, 복사나무꽃 및 국화꽃 으로부터 추출된 꽃 추출물을 함유하여, 보다 우수한 피부장벽 및 염증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는 피부염으로 각질층이 손상되면 수분 감소로 이어질 수 있고, 수분 손실량이 증가하면 건조에 의해 가려움 등으로 이어져 피부염을 유발하는 등 서로 상관관계를 가지는 피부장벽(보습)과 염증에 대한 개선 효과가 같이 나타남으로써, 효과가 보다 극대화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먼저, 꽃 추출물에 포함되는 왕벚나무꽃 추출물은 항염 작용을 하고 히알루론산 분비능을 가져 보습 효과를 나타내며,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고 DPPH 라디칼 소거능을 가지고 있어 항산화 효과를 통해 활성 산소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고 세포를 보호하여 각질층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사나무꽃 추출물은 항염 작용을 하고 피부 보습에 관련된 HAS-2를 발현시킬 수 있고, 멜라닌생성 및 티로시나제활성 억제능을 가져 미백 효과를 나타낼 수 있고, 피부에 영양을 공급하고 엘라스타제활성 억제능을 통해 피부에 활력이 생기도록 도움을 줄 수 있어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고 DPPH 라디칼 소거능을 가지고 있어 항산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국화꽃 추출물은 우수한 히알루론산 생성능을 가져 보습효과가 뛰어나 속 건조를 잡아줄 수 있고 수분 손실을 야기하는 각질에 대한 제거 기능을 나타낼 수 있으며,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고 DPPH 라디칼 소거능을 가지고 있어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고, 비타민A, B1, C 그 외 각종 영양소가 풍부해 아토피, 두드러기 등 피부질환, 염증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콜라겐 분해효소 억제능, 콜라겐 합성능, 엘라스타제활성 억제능을 통해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내며, 티로시나제활성 억제능을 가져 미백 효과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왕벚나무꽃 추출물, 복사나무꽃 추출물, 국화꽃 추출물을 혼합하여 꽃 추출물로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은 피부장벽 및 염증 개선 효과가 보다 더 우수하게 나타나도록 하며, 피부장벽 손상에 따른 색소 침착, 염증 발생 등과 염증에 따른 홍조 등을 방지하고자 한다.
이때, 왕벚나무꽃 추출물, 복사나무꽃 추출물 및 국화꽃 추출물은 왕벚나무꽃, 복사나무꽃, 국화꽃을 각각 물 또는 유기용매의 용매로 추출한 것으로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왕벚나무꽃, 복사나무꽃, 국화꽃은 남원·지리산권 자원식물로, 남원시에서 채취하고 건조시켜 사용될 수 있는데, 35 내지 45℃에서 24시간 내지 72시간 건조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42℃에서 48시간 건조시킨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건조 온도가 35℃미만일 경우 건조시간이 너무 오래걸리거나 수분 증발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추출 효율이 저하될 수 있으며, 45℃를 초과할 경우 타거나 유효성분에 파괴, 변형 등이 일어날 수 있다.
또한, 건조 시간이 24시간 미만일 경우 건조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72시간을 초과할 경우 이미 건조가 충분히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비효율적이며 오히려 추출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유기용매는 에탄올 또는 1,3-부틸렌글리콜(1,3-butylene glycol)이 바람직하나, 메탄올, 이소프로탄올, 부탄올 등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에탄올을 사용할 경우 50%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더욱 구체적으로, 왕벚나무꽃 추출물 또는 복사나무꽃 추출물 또는 국화꽃 추출물은 원료(왕벚나무꽃 또는 복사나무꽃 또는 국화꽃) 4 내지 6중량부에 95 내지 100중량부의 물 또는 유기용매를 첨가하고 가열한 후 농축시키고 동결건조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원료 5중량부에 95중량부의 물 또는 유기용매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원료가 4중량부 미만일 경우 추출물의 효능이 적게 나타나고 6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화장료의 관능적인 특성인 향과 색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용매가 95중량부 미만일 경우 유효성분이 완전히 침출되지 않고 약간만 증발해도 추출액이 농축되고, 추출액의 유효성분이 과다한 열에 의해 국소적으로 파괴될 수 있으며, 100중량부 초과일 경우 유효성분의 용출량은 증가할 수 있으나 동결건조 시 비효율적이다.
한편, 용매로 물을 사용할 경우 95 내지 105℃에서 230 내지 250분동안 가열할 수 있고, 유기용매를 사용할 경우 60 내지 85℃에서 3 내지 12시간동안 가열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을 사용할 경우 100℃에서 240분, 유기용매를 사용할 경우 80℃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할 수 있다.
이때, 물을 사용할 때 온도가 95℃, 시간이 230분, 유기용매를 사용할 때 60℃, 3시간 미만이면 유효성분이 완전하게 추출되지 못할 수 있고, 물을 사용할 때 온도가 105℃, 시간이 250분, 유기용매를 사용할 때 85℃, 12시간을 초과하면 유효성분이 파괴될 수 있으며, 더 이상 추출되는 유효성분 수율이 더 증가하지 않으므로 더 이상의 추출은 의미가 없다.
이와 같이 추출된 왕벚나무꽃 추출물, 복사나무꽃 추출물, 국화꽃 추출물을 배합하여 꽃 추출물이 제조될 수 있는데, 각 추출물을 바람직한 배합비로 혼합함으로써 상호작용으로 각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 보다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장벽 및 염증 개선 효과가 향상 되도록 할 수 있다.
즉, 꽃 추출물은 왕벚나무꽃 추출물, 복사나무꽃 추출물 및 국화꽃 추출물이 4.0 내지 4.8 : 0.4 내지 2 : 4.0 내지 4.8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으며, 4.5 : 1 : 4.5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중량비로 포함될 경우에 가장 바람직한 피부장벽 및 염증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꽃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3 내지 10중량%가 함유될 수 있고, 3중량%가 가장 바람직하다.
이때,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꽃 추출물이 3중량% 미만일 경우 효과가 미미하고, 10중량%를 초과할 경우 알레르기 반응, 따가움, 가려움 등을 발생시킬 수 있어 피부 안전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관능적인 특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와 같은 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유액, 크림, 화장수, 에센스, 팩, 현탁액, 페이스트, 젤, 파우더, 립스틱, 메이컵 베이스, 파운데이션, 로션, 겔, 패취, 미용액, 클렌징 폼, 클렌징 크림, 클렌징 워터, 비누, 샴푸, 린스 및 분무제 중 하나의 제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화장료 조성물은 꽃 추출물 외 참쑥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참쑥 추출물은 보습효과와 진정 작용 등으로 민감한 부분을 효과적으로 진정시킬 수 있으며, 항균, 항염 작용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참쑥 추출물은 참쑥으로부터 추출된 것으로, 상기에서 설명한 다른 추출물과 동일하게 추출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참쑥은 남원·지리산권 자원식물로, 남원시에서 채취하고 건조시켜 사용될 수 있는데, 35 내지 45℃에서 24시간 내지 72시간 건조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42℃에서 48시간 건조시킨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쑥 추출물이 더 포함될 시, 화장료 조성물은 효능 측면을 고려하면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참쑥 추출물을 1 내지 2중량%로 함유할 수 있고, 1.5중량%가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장벽 및 염증 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은 왕벚나무꽃, 복사나무꽃 및 국화꽃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을 포함하는 꽃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보습 기능을 통해 각질층 손상을 방지하여 우수한 피부장벽 개선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우수한 염증 개선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홍조, 브라운색소, 색소침착 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이하, 실시되는 실험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험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화장료 조성물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용매로 물 및 에탄올을 사용하여 실시예 및 실험예를 설명하였으나, 실질적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 시엔 1,3-부틸렌글리콜(1,3-butylene glycol)가 주로 사용될 수 있다.
[제조예 1] 왕벚나무꽃 추출물 제조
남원·지리산권 자원식물인 왕벋나무꽃을 건조시키고, 건조시킨 왕벚나무꽃 5중량부에 대하여 95중량부의 50%에탄올을 첨가하고 80℃로 4시간 동안 가열한 후 농축시키고 동결건조하여 제조하였다.
[제조예 2] 복사나무꽃 추출물 제조
남원·지리산권 자원식물인 복사나무꽃을 건조시키고, 건조시킨 복사나무꽃 5중량부에 대하여 95중량부의 50%에탄올을 첨가하고 80℃로 4시간 동안 가열한 후 농축시키고 동결건조하여 제조하였다.
[제조예 3] 국화꽃 추출물 제조
남원·지리산권 자원식물인 국화꽃을 건조시키고, 건조시킨 국화꽃 5중량부에 대하여 95중량부의 50%에탄올을 첨가하고 80℃로 4시간 동안 가열한 후 농축시키고 동결건조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꽃 추출물 제조
제조예 1 내지 3을 표 1의 중량비와 같이 혼합하여 실시예 1 내지 4의 꽃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제조예 1 4.75 4.50 4.25 4.00
제조예 2 0.50 1.00 1.00 2.00
제조예 3 4.75 4.50 4.25 4.00
[실험예 1] 꽃 추출물 염증 개선 효과 평가
꽃 추출물의 염증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제조예 1 내지 3 및 실시예 1 내지 4의 추출물에 대해 NO 생성 억제능을 측정하여 염증 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마우스 대식 세포 계열(murine macrophage cell line)인 RAW 264.7 cell을 한국세포주은행(KCLB; Seoul, Korea)으로부터 분양 받아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penicillin-streptomycin)과 10% 소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이 함유된 DMEM 배지(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GIBCO, Grand Island, YY, USA)를 사용하여 37℃, 5% CO2 인큐베이터 조건에서 배양하였으며, 2일 간격으로 계대 배양을 시행하였다. 97 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RAW 264.7 cells를 5Х104 cells/well로 분주하고 37℃, 5% CO2 인큐베이터 조건하에 24시간 배양한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전 배양 후, 1 ㎍/㎖ LPS가 포함된 배지로 교환하여 시료를 첨가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생성된 NO의 양은 Griess 시약(1% sulfanilamide, 0.1% naphylethylenediamine in 2.5% phosphoric acid)을 이용하여 세포배양액 중에서 존재하는 NO2 -의 형태로 측정하였다. 세포배양 상등액 100 ㎕와 Griess 시약 100 ㎕를 혼합하여 96 well plate에서 10분 동안 반응시킨 후 54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생성된 NO의 양은 아질산나트륨(sodium nitrite, NaNO2)를 이용하여 검정곡선을 작성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 및 도 1과 같다.
NO Production(%)
1 2 Ave
Control 20.983 20.844 21
LPS 1㎍/ml 99.218 100.782 100
제조예 1 25㎍/ml 89.327 93.518 91
50㎍/ml 83.627 86.421 85
100㎍/ml 67.784 71.696 70
제조예 2 25㎍/ml 93.350 93.574 93
50㎍/ml 92.428 94.831 94
100㎍/ml 85.918 92.680 89
제조예 3 25㎍/ml 78.765 97.282 85
50㎍/ml 75.272 88.880 82
100㎍/ml 65.912 71.081 68
실시예 1 25㎍/ml 68.175 74.136 71
50㎍/ml 57.521 56.180 57
100㎍/ml 44.333 45.822 45
실시예 2 25㎍/ml 66.015 62.438 64
50㎍/ml 56.776 56.254 57
100㎍/ml 42.917 46.419 45
실시예 3 25㎍/ml 65.940 66.760 66
50㎍/ml 58.191 59.309 59
100㎍/ml 48.952 48.505 49
실시예 4 25㎍/ml 66.015 65.195 66
50㎍/ml 56.031 57.819 57
100㎍/ml 50.368 46.940 49
표 2와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4가 단독 추출물인 제조예 1 내지 3 보다 NO 생성이 적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또한 실시예 1 내지 4에서도 특히 실시예 2에서 NO 생성이 가장 낮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단독 추출물 보다 추출물을 혼합한 꽃 추출물의 염증 개선 효과가 우수하며, 왕벚나무꽃 추출물, 복사나무꽃 추출물 및 국화꽃 추출물이 4.5 : 1 : 4.5의 중량비로 혼합될 경우 가장 우수한 염증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제조예 4] 왕벚나무꽃 추출물 제조
남원·지리산권 자원식물인 왕벚나무꽃을 건조시키고, 건조시킨 왕벚나무꽃 5중량부에 대하여 95중량부의 40%부틸렌글라이콜을 첨가하고 60℃로 24시간 동안 환류추출하여 제조하였다.
[제조예 5] 복사나무꽃 추출물 제조
남원·지리산권 자원식물인 복사나무꽃을 건조시키고, 건조시킨 복사나무꽃 5중량부에 대하여 95중량부의 40%부틸렌글라이콜을 첨가하고 60℃로 24시간 동안 환류추출하여 제조하였다.
[제조예 6] 국화꽃 추출물 제조
남원·지리산권 자원식물인 국화꽃을 건조시키고, 건조시킨 국화꽃 5중량부에 대하여 95중량부의 40%부틸렌글라이콜을 첨가하고 60℃로 24시간 동안 환류추출하여 제조하였다.
[제형예] 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제조
가장 우수한 염증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실시예 2의 꽃 추출물과 동일한 비율로 제조예 4 내지 6을 이용하여 꽃 추출물을 제조한 후, 하기 표 3과 같이 화장료 조성물을 구성하여 제조하였다.
여기서 사용된 꽃 추출물은 제조예 4 내지 6이 4.5 : 1 : 4.5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제조된 것이다.
INCI명 함량(%)
Water 69.7
EDTA-2NA 0.02
Glycerin 1.3
Butylene glycol 6.5
1,2 Hexanediol 2
Dipropylen glycol 4
Xantangum 0.2
Caprylyl glycol 0.2
Carbomer 10
Hydroxyethyl cellulose 1
Tromethamine 1.5
꽃 추출물 3
향료 0.08
종합 100
[실험예 2] 효능 평가
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선정기준에 부합하고 제외기준에 해당되지 않는 피시험자 12명(평균연령 33.3세)을 선별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안면부에 도포하는 것으로 사용하게 한 후, 수분 개선 효과, 피부장벽 개선 효과, 홍조 개선 효과, 브라운색소 개선 효과, 색소침착 개선 효과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이때, 피시험자들은 특별한 피부 증상이 없었고, 시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질환 및 약물 복용도 하지 않았다.
실험은 4주간 진행하였고, 각 항목에 대하여 사용 전에 측정 한 후, 주마다 상태를 측정하였다.
수분 개선 효과는 Skin-O-Mat를 이용하여 시험부위를 3회 측정하여 각질층 수분 함량을 측정하였고, 피부장벽 개선 효과는 AquaFlux를 이용하여 시험부위를 1회 측정하여 경피수분손실량을 측정하였으며, 브라운색소, 홍조, 색소침착 개선 효과는 각각 Mark.Vu를 이용하여 시험부위를 1회 촬영하는 것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도 2 내지 6과 같다.
1) 수분 개선 효과 확인
도 2의 (a) 및 (b)는 화장료 조성물 사용 전/사용 후에 따른 각질층 수분 함량과 수분 개선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질층 수분함량을 측정하여 개선율을 확인해보면, 개인차는 조금씩 있었으나 평균적으로 사용 전과 비교하여 사용 4주 후 5.32%의 개선율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피부장벽 개선 효과 확인
도 3의 (a) 및 (b)는 화장료 조성물 사용 전/ 사용 후에 따른 경피 수분 손실량 및 피부장벽 개선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한 후 경피 수분의 손실량이 감소하였고, 개인차는 조금씩 있었으나 평균적으로 사용 전과 비교하여 사용 3주 후, 사용 4주 후 각각 18.55%, 15.18%의 개선율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홍조 개선 효과 확인
도 4의 (a) 및 (b)는 화장료 조성물 사용 전/사용 후에 따른 홍조 면적당 백분율 및 홍조 개선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화장료 조성물 사용 후 홍조 분포 면적이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개인차는 조금씩 있었으나 평균적으로 사용 전과 비교하여 사용 4주 후 12.5%의 개선율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4) 브라운색소 개선 효과 확인
도 5의 (a) 및 (b)는 화장료 조성물 사용 전/사용 후에 따른 브라운 색소 면적당 백분율 및 브라운색소 개선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화장료 조성물 사용 후 브라운색소 분포 면적이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개인차는 조금씩 있었으나 평균적으로 사용 전과 비교하여 사용 3주 후 11.84%, 사용 4주 후 12.5%의 개선율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5) 색소침착 개선 효과 확인
도 6의 (a) 및 (b)는 화장료 조성물 사용 전/사용 후에 따른 색소침착 면적당 백분율 및 색소침착 개선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화장료 조성물 사용 후 색소침착 분포 면적이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개인차는 조금씩 있었으나 평균적으로 사용 전과 비교하여 사용 4주 후 10.6%의 개선율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Claims (4)

  1. 왕벚나무꽃 추출물, 복사나무꽃 추출물 및 국화꽃 추출물을 4.0 내지 4.8 : 0.4 내지 2 : 4.0 내지 4.8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장벽 및 염증 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왕벚나무꽃 추출물, 복사나무꽃 추출물 및 국화꽃 추출물은,
    왕벚나무꽃, 복사나무꽃, 국화꽃을 각각 물 또는 유기용매의 용매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장벽 및 염증 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꽃 추출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3 내지 10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장벽 및 염증 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유액, 크림, 화장수, 에센스, 팩, 현탁액, 페이스트, 젤, 파우더, 립스틱, 메이컵 베이스, 파운데이션, 로션, 겔, 패취, 미용액, 클렌징 폼, 클렌징 크림, 클렌징 워터, 비누, 샴푸, 린스 및 분무제 중 하나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장벽 및 염증 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230099682A 2021-07-28 2023-07-31 피부장벽 및 염증 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41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9682A KR102641319B1 (ko) 2021-07-28 2023-07-31 피부장벽 및 염증 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502A KR20230017683A (ko) 2021-07-28 2021-07-28 피부장벽 및 염증 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230099682A KR102641319B1 (ko) 2021-07-28 2023-07-31 피부장벽 및 염증 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9502A Division KR20230017683A (ko) 2021-07-28 2021-07-28 피부장벽 및 염증 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7091A true KR20230117091A (ko) 2023-08-07
KR102641319B1 KR102641319B1 (ko) 2024-02-27

Family

ID=8522376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9502A KR20230017683A (ko) 2021-07-28 2021-07-28 피부장벽 및 염증 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230099682A KR102641319B1 (ko) 2021-07-28 2023-07-31 피부장벽 및 염증 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9502A KR20230017683A (ko) 2021-07-28 2021-07-28 피부장벽 및 염증 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30017683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1514A (ja) * 2007-06-20 2009-01-08 Yoshihiro Futamura 炎症性サイトカイン産生抑制作用を有するアネトール誘導体、それからなる食品製剤、化粧品、抗炎症剤
JP2013512235A (ja) * 2009-11-27 2013-04-11 ウンジン コーウェ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野菊抽出物またはこの分画物を含む抗炎症活性を持つ組成物
KR20210024357A (ko) * 2019-08-22 2021-03-05 재단법인 남원시화장품산업지원센터 왕벚나무꽃, 복사나무꽃 및 국화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50462B1 (ko) * 2020-02-12 2021-05-11 재단법인 남원시화장품산업지원센터 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다기능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1514A (ja) * 2007-06-20 2009-01-08 Yoshihiro Futamura 炎症性サイトカイン産生抑制作用を有するアネトール誘導体、それからなる食品製剤、化粧品、抗炎症剤
JP2013512235A (ja) * 2009-11-27 2013-04-11 ウンジン コーウェ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野菊抽出物またはこの分画物を含む抗炎症活性を持つ組成物
KR20210024357A (ko) * 2019-08-22 2021-03-05 재단법인 남원시화장품산업지원센터 왕벚나무꽃, 복사나무꽃 및 국화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50462B1 (ko) * 2020-02-12 2021-05-11 재단법인 남원시화장품산업지원센터 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다기능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이태범 외 3명. 화장품 소재로서의 꽃 10 종 에탄올추출물 생리활성 특성연구. 한국약용작물학회지, 202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7683A (ko) 2023-02-06
KR102641319B1 (ko) 202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0941B1 (ko) 알로에베라잎즙 및 할미꽃, 병풀, 쇠비름 및 위치하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09958B1 (ko) 구근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CN110691630A (zh) 红毛丹果皮提取物在皮肤和/或粘膜保湿中的用途
KR102253095B1 (ko) 여드름 피부 개선 화장료,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 기능성 화장품
KR101917645B1 (ko) 사카로미세스 효모발효여과물, 아스파라거스줄기 추출물 및 관동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69387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00581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348698B1 (ko) 왕벚나무꽃, 복사나무꽃 및 국화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87522A (ko) 알로에 베라 추출물 및 마쉬맬로우 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 보습용 또는 진정용 인체 세정제 조성물
KR102303644B1 (ko)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혼합 추출액을 함유한 얼굴 화장용 발효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25901B1 (ko) 지면패랭이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2445830B1 (ko) 밀싹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03815B1 (ko) 치아씨로부터 분리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장벽 강화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230117091A (ko) 피부장벽 및 염증 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15993B1 (ko) 옹기를 구비하는 추출기로부터 추출된 황기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435679B1 (ko)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JP2000256175A (ja) 化粧料組成物
KR102525467B1 (ko) 병아리꽃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JP4021363B2 (ja) 皮膚外用剤
KR102229902B1 (ko) 페놀성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2628074B1 (ko) 꿩의밥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2348714B1 (ko) 마가목가지, 마가목열매, 꽃향유꽃 및 흰민들레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00256174A (ja) 化粧料組成物
KR102597794B1 (ko) 상피세포 성장인자와 아로니아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621129B1 (ko) 곡물 및 한약재를 이용한 천연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