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8714B1 - 마가목가지, 마가목열매, 꽃향유꽃 및 흰민들레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마가목가지, 마가목열매, 꽃향유꽃 및 흰민들레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8714B1
KR102348714B1 KR1020190103191A KR20190103191A KR102348714B1 KR 102348714 B1 KR102348714 B1 KR 102348714B1 KR 1020190103191 A KR1020190103191 A KR 1020190103191A KR 20190103191 A KR20190103191 A KR 20190103191A KR 102348714 B1 KR102348714 B1 KR 1023487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flower
rowan
cosmetic composition
antioxid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3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4358A (ko
Inventor
김지효
이태범
황지영
소양강
이범석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남원시화장품산업지원센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남원시화장품산업지원센터 filed Critical 재단법인 남원시화장품산업지원센터
Priority to KR1020190103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8714B1/ko
Publication of KR20210024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4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8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87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Abstract

본 발명은 마가목가지, 마가목열매, 꽃향유꽃 및 흰민들레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마가목가지 추출물, 마가목열매 추출물, 꽃향유꽃 추출물 및 흰민들레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마가목가지, 마가목열매, 꽃향유꽃 및 흰민들레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A cosmetic composition for antioxidant and wrinkle improvement containing a mixed extract comprising Sorbus commixta branch, Sorbus commixta fruit, Elsholtzia splendens flower and Taraxacum coreanum flower extract}
본 발명은 마가목가지, 마가목열매, 꽃향유꽃 및 흰민들레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마가목가지, 마가목열매, 꽃향유꽃 및 흰민들레꽃 및 그 외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항산화 및 주름개선 기능이 보다 효과적으로 나타나는 마가목가지, 마가목열매, 꽃향유꽃 및 흰민들레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피부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여러 가지 내적, 외적 요인에 의해 변화를 겪는다.
즉, 내적으로는 신진대사를 조절하는 각종 호르몬의 분비가 감소하고, 면역 세포의 기능과 세포들의 활성이 저하되어 생체에 필요한 면역 단백질 및 생체 구성 단백질들의 생합성이 줄어들게 되며, 외적으로는 오존층 파괴로 인하여 태양 광선 중 지표에 도달하는 자외선의 함량이 증가하게 되고 환경 오염이 더욱 심화됨에 따라 자유 라디칼 및 활성 유해 산소 등이 증가함으로써, 피부의 두께가 감소하고, 주름이 증가되며, 탄력이 감소될 뿐 아니라 피부 혈색도 칙칙하게 안좋게 되고, 피부트러블이 자주 발생하며, 기미와 주근깨 및 검버섯 또한 증가하는 등 여러 가지 변화를 일으키게 된다.
노화가 진행될수록 피부를 구성하는 물질인 콜라겐, 엘라스틴, 히알루론산, 및 당단백질의 함유량 및 배열이 변하거나 감소하는 증상들이 나타나게 되고, 자유 라디칼 및 활성 유해 산소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를 받게된다. 또한 노화가 진행되거나 자외선에 의해서, 피부를 구성하는 대부분의 세포에서는, 염증을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는 전염증성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을 생성하는 효소인 사이클로옥시게나제-2(Cox-2, cyclooxygenase)의 생합성이 증가하고, 이들 염증성 인자에 의해 피부조직을 분해하는 효소인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아제(MMP, Matrix metalloproteinase)의 생합성이 증가하며, iNOS(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에 의한 NO(nitric oxide)생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자연적으로 진행되는 내인성 노화에 따른 세포 활성의 감소 및 미세염증에 의해 기질물질의 생합성이 감소되고, 여러 가지 유해 환경에 의한 스트레스의 증가 및 태양 광선에 의한 활성 산소 종의 증가와 같은 외적 요인에 의해 분해 및 변성이 가속화되어 피부기질이 파괴되고 얇아지면서 피부 노화의 제반 증상들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노화의 현상들을 방지하고, 개선 시킬 수 있는 활성성분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행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일 예로 한국공개특허 제10-2002-0080657호가 공개되어 있다.
한편, 피부 주름 형성에 관련이 있는 결합 조직은 주로 콜라겐 섬유(collagen fiber), 세망섬유(reticular fiber), 엘라스틴 섬유(elastic fiber) 등의 섬유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진피 조직 내에 있는 콜라겐과 엘라스틴은 서로 긴밀하게 관련되어 작용함으로써 피부의 유연성과 탄력을 유지하게 하는 중요한 섬유 조직이다.
엘라스틴은 피부의 탄력성을 좌우하는 주요 섬유 조직으로서 그 양은 약 2%정도로 적은 양이지만 표피를 지탱하는 연결망 조직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피부 탄력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엘라스틴은 엘라스타아제(Elastase)라는 분해 효소에 의하여 분해 되며, 18~19세까지는 섬유아세포에 의하여 계속 생성되지만 그 이후부터는 생성이 중단되고 이미 생성된 엘라스틴만으로 피부 탄력을 담당해야 하므로 엘라스틴이 한번 약화되면 그 탄력성을 회복하기가 매우 어렵다.
엘라스타제(elastase)는 피부 탄력을 유지해주는 동물 결합조직의 불용성 탄성섬유단백질인 엘라스틴(elastin)을 분해하는 유일한 분해효소로 알려져 있다(Wiedow, O., Schroder, J. M., E. J. Biol. Chem., 265(5),p14791, 1990).
이러한 엘라스타제는 연령이 증가하거나 자외선 등의 외부피부자극에 의해 과잉생성 된다. 과잉 생성된 엘라스타제가 엘라스틴을 과도하게 분해하여 콜라겐 간 결합이 약화되고 피부에 주름이 생성된다. 특히 40대 이후에서 엘라스타제의 작용에 의해 피부의 탄력이 급격히 감소하게 되는데 이는 엘라스타제의 작용이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활발해져 엘라스틴 섬유가 일부 소멸되거나 응집현상이 나타나고, 콜라겐섬유가 감소하기 때문이다. 즉, 엘라스틴 섬유의 결핍과 응집, 엘라스타아제의 활성도의 현격한 증가는 피부 주름생성의 주요 요인이므로, 이에 대한 저해는 피부 주름 개선을 근본적으로 줄여 줄 수 있다.(Bissett, D. L., Photochem. Photobiol., 46, pp367-378, 1987 ; Bizot-Foulon V., Godeat G., W. Int. J. Cos. Sci., 17, pp255-264, 1995). 현재, 주름 개선 화장료로는 레티노이드, 아데노신, 동물 태반 유래 단백질, 클로렐라 추출물, 빈랑자 추출물 등이 알려져 있다. 가장 잘 알려져 있는 레티놀은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여 엘라스타아제 효소를 저해하는 물질이지만 불안정하고 피부 적용 시에 자극, 발작 등의 안전성 문제로 사용량의 제한이 있으며, 클로렐라 추출물 등은 효과가 미미하여 실질적으로 피부 주름 개선효과를 기대하기가 어렵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이 개선된 제품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남원·지리산권 자원식물 중 마가목가지, 마가목열매, 꽃향유꽃 및 흰민들레꽃 등의 추출물이 항산화 및 주름개선 기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에 따라 마가목가지, 마가목열매, 꽃향유꽃, 흰민들레꽃 및 그 외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 및 주름개선 기능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마가목가지, 마가목열매, 꽃향유꽃 및 흰민들레꽃 및 그 외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항산화 및 주름개선 기능이 보다 효과적으로 나타나는 마가목가지, 마가목열매, 꽃향유꽃 및 흰민들레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산화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마가목가지 추출물, 마가목열매 추출물, 꽃향유꽃 추출물 및 흰민들레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가목가지 추출물, 마가목열매 추출물, 꽃향유꽃 추출물 및 흰민들레꽃 추출물은 마가목가지, 마가목열매, 꽃향유꽃 및 흰민들레꽃을 각각 물 또는 유기용매를 용매로 하여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혼합 추출물은 상기 마가목가지 추출물, 마가목열매 추출물, 꽃향유꽃 추출물 및 흰민들레꽃 추출물을 2.5 내지 3 : 1 내지 2 : 1 내지 1.5 : 1 내지 2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항산화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상기 혼합 추출물 5 내지 10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혼합 추출물은 사포딜라열매 추출물 및 박하 발효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항산화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유액, 크림, 화장수, 에센스, 팩, 현탁액, 페이스트, 젤, 파우더, 립스틱, 메이컵 베이스, 파운데이션, 로션, 연고, 겔, 패취, 미용액, 클렌징 폼, 클렌징 크림, 클렌징 워터, 비누, 샴푸, 린스, 분무제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가목가지, 마가목열매, 꽃향유꽃 및 흰민들레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마가목가지, 마가목열매, 꽃향유꽃 및 흰민들레꽃 및 그 외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각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 보다 항산화 및 주름개선 기능이 보다 효과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가목가지, 마가목열매, 꽃향유꽃 및 흰민들레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이하 '화장료 조성물'이라 함)은 마가목가지, 마가목열매, 꽃향유꽃 및 흰민들레꽃 및 그 외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각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 보다 항산화 및 주름개선 기능이 보다 효과적인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마가목가지 추출물 및 마가목열매 추출물은 활성산소를 제거하고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고 있어 항산화 기능을 나타낼 수 있으며, 콜라겐 합성능과 엘라스타제 활성억제능을 가져 피부 탄력을 향상시키며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때 마가목열매 추출물은 마가목가지 추출물보다 자유라디칼 소거능이 우수하며, 마가목가지 추출물은 마가목열매 추출물보다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고 엘라스타제 활성억제능이 우수하므로, 함께 사용되어 보완작용으로 항산화 및 주름개선 기능이 보다 우수하게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꽃향유 추출물 및 흰민들레꽃 추출물은 자유라디칼 소거능을 가지며,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고 있어 항산화 효과를 통해 활성 산소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고, 콜라겐 합성능과 엘라스타제 활성억제능을 가져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꽃향유 추출물은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여 색소 침착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흰민들레 추출물은 피부보호와 진정효과가 있어 염증성 피부질환을 완화시키는데 도움도 줄 수 있다.
이와 같이, 마가목가지 추출물, 마가목열매 추출물, 꽃향유꽃 추출물 및 흰민들레꽃 추출물은 동일하게 항산화 및 주름개선 기능을 가지나 세부적으로는 효능에 차이가 있어, 이러한 마가목가지 추출물, 마가목열매 추출물, 꽃향유꽃 추출물 및 흰민들레꽃 추출물을 혼합하여 혼합 추출물로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은 항산화 및 주름개선 기능이 보다 더 효과적으로 나타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마가목가지 추출물, 마가목열매 추출물, 꽃향유꽃 추출물 및 흰민들레꽃 추출물은 마가목가지, 마가목열매, 꽃향유꽃 및 흰민들레꽃을 각각 물 또는 유기용매를 용매로 하여 추출하는 것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때 마가목가지, 마가목열매, 꽃향유꽃 및 흰민들레꽃은 남원·지리산권 자원식물로, 전라북도 남원시에서 채취한 것으로 건조시켜 사용될 수 있는데, 35 내지 50℃에서 24시간 내지 72시간 건조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42℃에서 48시간 건조시킨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건조 온도가 35℃미만일 경우 건조시간이 너무 오래걸리거나 수분 증발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추출 효율이 저하될 수 있으며, 50℃를 초과할 경우 타거나 유효성분에 파괴, 변형 등이 일어날 수 있다.
또한, 건조 시간이 24시간 미만일 경우 건조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72시간을 초과할 경우 이미 건조가 충분히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비효율적이며 오히려 추출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유기용매는 에탄올 또는 1,3-부틸렌글리콜(1,3-butylene glycol)이 바람직하나, 메탄올, 이소프로탄올, 부탄올 등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에탄올을 사용할 경우 50%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더욱 구체적으로, 마가목가지 추출물 또는 마가목열매 추출물 또는 꽃향유 추출물 또는 흰민들레 추출물은 원료(마가목가지, 마가목열매, 꽃향유꽃 및 흰민들레꽃 중 하나) 4 내지 6중량부에 95 내지 100중량부의 물 또는 유기용매를 첨가하고 가열한 후 농축시키고 동결건조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원료 5중량부에 95중량부의 물 또는 유기용매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원료가 4중량부 미만일 경우 추출물의 효능이 적게 나타나고 6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화장료의 관능적인 특성인 향과 색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용매가 95중량부 미만일 경우 유효성분이 완전히 침출되지 않고 약간만 증발해도 추출액이 농축되고, 추출액의 유효성분이 과다한 열에 의해 국소적으로 파괴될 수 있으며, 100중량부 초과일 경우 유효성분의 용출량은 증가할 수 있으나 동결건조 시 비효율적이다.
한편, 용매로 물을 사용할 경우 95 내지 105℃에서 230 내지 250분동안 가열할 수 있고, 유기용매를 사용할 경우 60 내지 85℃에서 3 내지 12시간동안 가열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을 사용할 경우 100℃에서 240분, 유기용매를 사용할 경우 80℃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할 수 있다.
이때, 물을 사용할 때 온도가 95℃, 시간이 230분, 유기용매를 사용할 때 60℃, 3시간 미만이면 유효성분이 완전하게 추출되지 못할 수 있고, 물을 사용할 때 온도가 105℃, 시간이 250분, 유기용매를 사용할 때 85℃, 12시간을 초과하면 유효성분이 파괴될 수 있으며, 더 이상 추출되는 유효성분 수율이 더 증가하지 않으므로 더 이상의 추출은 의미가 없다.
이와 같이 추출된 마가목가지 추출물, 마가목열매 추출물, 꽃향유꽃 추출물 및 흰민들레꽃 추출물을 배합하여 혼합 추출물이 제조될 수 있는데, 각 추출물을 바람직한 배합비로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상호작용으로 각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 보다 화장료 조성물의 항산화 및 주름개선 기능이 향상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가목가지 추출물, 마가목열매 추출물, 꽃향유꽃 추출물 및 흰민들레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은 각 추출물을 2.5 내지 3 : 1 내지 2 : 1 내지 1.5 : 1 내지 2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고, 2.5 : 2 : 1.5 : 1 또는 3 : 2 : 1 : 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중량비로 포함될 경우 가장 바람직한 항상화 및 주름개선 기능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혼합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10중량%가 함유될 수 있고, 7중량%가 가장 바람직하다.
이때,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혼합 추출물이 5중량% 미만일 경우 항산화 및 보습 기능이 미미하고, 10중량%를 초과할 경우 알레르기 반응, 따가움, 가려움 등을 발생시킬 수 있어 피부 안전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관능적인 특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혼합 추출물은 항산화 기능 및 보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포딜라열매 추출물 및 박하 발효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포딜라열매 추출물은 활성산소를 제거하여 노화 방지 효과가 있고, 비타민 A를 함유하고 있어 건강한 점막과 피부를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며, 폴리페놀인 탄닌을 함유해 항염 작용 및 진정 효과로 피부염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건조시킨 사포딜라열매를 물 또는 유기용매 중 하나를 용매로하여 추출하는 것으로 제조할 수 있는데, 추출 조건은 상기 다른 추출물과 동일한 조건으로 추출될 수 있다.
박하 발효액은 항산화 및 항균 효능이 있고 수분 증발을 감소시켜 보습 효과가 더욱 우수하게 나타나도록 할 수 있으며, 화장료 조성물의 보존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박하추출물에 자일리톨분말, 모링가분말, 산수유분말을 혼합한 후 유산균을 첨가하여 발효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박하 추출물은 박하 항산화 물질을 포함하고 있어 알레르기 증상을 완화시키는데 효과가 있고 항염 작용을 하는 것으로, 건조시킨 박하를 물 또는 유기용매 중 하나를 용매로하여 추출하는 것으로 제조할 수 있는데, 추출 조건은 상기 다른 추출물과 동일한 조건으로 추출될 수 있다.
또한, 자일리톨분말은 수분 증발을 감소시키며, 피부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모링가분말 및 산수유분말은 항균 작용, 정화작용으로 화장료 조성물의 보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유산균은 비피도박테리엄 비피덤(Bifidobacterium bifidum) 및 스트렙토코쿠스 써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구체적으로, 박하 발효액은 박하 추출물 100중량부에 자일리톨분말 20 내지 30중량부, 모링가분말 0.1 내지 0.5중량부, 산수유분말 0.1 내지 1중량부를 혼합한 후, 유산균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자연 발효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 후 여과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자일리톨분말이 20중량부 미만일 경우 수분 증발 방지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30중량부 초과일 경우 화장료 조성물의 관능적인 특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모링가분말이 0.1중량부 미만일 경우 모링가 분말에 의한 효능이 미미하고, 0.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피부 안전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산수유분말이 0.1중량부 미만일 경우 산수유분말에 의한 효능이 미미하고, 1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피부 안전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화장료 조성물의 관능적인 특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박하 발효액은 유산균으로 발효되어 제조됨으로써, 각 재료들의 효능이 보다 우수해져 화장료 조성물의 기능 향상에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사포딜라열매 추출물 및 박하 발효액은 혼합 추출물에 각각 2 내지 2.5중량부, 0.5 내지 1중량부로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사포딜라열매 추출물 및 박하 발효액이 각각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더 포함됨에 따라 나타나는 항산화 기능 등의 상승 효과, 보존성 향상 효과가 미미하고, 상기 범위 초과일 경우 피부 안전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혼합 추출물은 마가목가지 추출물, 마가목열매 추출물, 꽃향유꽃 추출물, 흰민들레꽃 추출물, 사포딜라열매 추출물 및 박하 발효액을 2.5 내지 3 : 1 내지 2 : 1 내지 1.5 : 1 내지 2 : 2 내지 2.5 : 0.5 내지 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고, 2.5 : 2 : 1.5 : 1 : 2.5 : 0.5 또는 3 : 2 : 1 : 1 : 2.5 : 0.5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유액, 크림, 화장수, 에센스, 팩, 현탁액, 페이스트, 젤, 파우더, 립스틱, 메이컵 베이스, 파운데이션, 로션, 연고, 겔, 패취, 미용액, 클렌징 폼, 클렌징 크림, 클렌징 워터, 비누, 샴푸, 린스, 분무제의 제형과 같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가목가지, 마가목열매, 꽃향유꽃 및 흰민들레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마가목가지, 마가목열매, 꽃향유꽃 및 흰민들레꽃 및 그 외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각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 보다 항산화 및 주름개선 기능이 보다 효과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이하, 실시되는 실험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험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화장료 조성물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용매로 물 및 에탄올을 사용하여 실시예 및 실험예를 설명하였으나, 실질적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 시엔 1,3-부틸렌글리콜(1,3-butylene glycol)가 주로 사용될 수 있다.
[제조예 1] 마가목가지 추출물 제조
남원·지리산권 자원식물인 마가목가지를 건조시키고, 건조시킨 마가목가지 5중량부에 대하여 95중량부의 50%에탄올을 첨가하고 80℃로 4시간 동안 가열한 후 농축시키고 동결건조하여 제조하였다.
[제조예 2] 마가목열매 추출물 제조
남원·지리산권 자원식물인 마가목열매를 건조시키고, 건조시킨 마가목열매 5중량부에 대하여 95중량부의 50%에탄올을 첨가하고 80℃로 4시간 동안 가열한 후 농축시키고 동결건조하여 제조하였다.
[제조예 3] 꽃향유꽃 추출물 제조
남원·지리산권 자원식물인 꽃향유꽃을 건조시키고, 건조시킨 꽃향유꽃 5중량부에 대하여 95중량부의 50%에탄올을 첨가하고 80℃로 4시간 동안 가열한 후 농축시키고 동결건조하여 제조하였다.
[제조예 4] 흰민들레꽃 추출물 제조
남원지리산권 자원식물인 흰민들레꽃을 건조시키고, 건조시킨 흰민들레꽃 5중량부에 대하여 95중량부의 50%에탄올을 첨가하고 80℃로 4시간 동안 가열한 후 농축시키고 동결건조하여 제조하였다.
[제조예 5] 사포딜라열매 추출물 제조
건조시킨 사포딜라열매 5중량부에 대하여 95중량부의 50%에탄올을 첨가하고 80℃로 4시간 동안 가열한 후 농축시키고 동결건조하여 제조하였다.
[제조예 6] 박하 발효액 제조
박하 추출물 100중량부에 자일리톨분말 20중량부, 모링가분말 0.5중량부, 산수유분말 1중량부를 혼합한 후, 유산균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자연 발효시켜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및 2] 혼합 추출물 제조
제조예 1 내지 6을 표 1의 중량비와 같이 혼합하여 실시예 1 및 2의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19086491013-pat00001
[ 실험예 1]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 기능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제조예 1 내지 4의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폴리페놀은 96well plate에 각 제조예 1 내지 3 80㎕와 1N Folin 시약 20㎕를 넣고, 실온에서 5분동안 배양하고, 2% Na2CO3 시약 100㎕를 첨가한 다음, 실온에서 30분동안 배양한 후, ELISA 흡광도 750nm로 측정하였다.
플라보노이드는 96well plate에 각 제조예 1 내지 3 10㎕와 diethylene glycol 시약 100㎕를 넣고, 1N NaOH 10㎕를 첨가한 다음, 37℃에서 1시간동안 배양한 후, ELISA 흡광도 420nm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Figure 112019086491013-pat00002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제조예 1 내지 4 모두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가 함유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제조예 1 내지 4인 마가목가지, 마가목열매, 꽃향유꽃 및 흰민들레꽃 추출물 모두 항산화 기능을 나타낼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실험예 2] 항산화 기능
항산화 기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제조예 1 내지 4, 실시예 1 및 2의 추출물에 대해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자유라디칼 소거능(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C)을 측정하여 항산화 기능을 평가하였다.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용액 (60 M)을 준비하였다. 그런 다음 실시예 1 내지 3의 농도를 1 %로 조정하고, 여기에 DPPH 용액을 1:1 비율로 섞은 다음 볼텍싱(와류 혼합)하였다. 30분 동안 상온에서 반응시킨 후 5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하기 수학식 1의 공식에 따라 자유라디칼 소거능(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C)을 구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는 Ascorbic acid을 사용하였다.
[수학식 1]
자유라디칼 소거능(%)=(대조군 흡광도-실시예 흡광도)/(대조군 흡광도)X100
그 결과는 하기 표 3과 같다.
Figure 112019086491013-pat00003
상기 표 3에서 알 수 있듯이, 제조예 1 내지 4, 실시예 1 및 2 모두 대조군보다 높은 자유라디칼 소거능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실시예 1 및 2의 자유라디칼 소거능이 특히 높은 것을 확일 할 수 있었다.
이는 제조예 1 내지 4가 항산화 기능을 나타낼 수 있으나,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보다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항산화 기능이 좀더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 실험예 3] 주름개선 기능 1
주름 개선 기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제조예 1 내지 4, 실시예 1 및 2의 추출물에 대해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콜라겐 합성능을 측정하여 주름개선 기능을 분석하였다.
콜라겐 합성능은 6 well plate에 HS27 세포 5×105cells로 분주한 후 37℃에서 24시간동안 배양하고, 시료를 농도별(10, 50, 100㎍/ml)로 처리하여 37℃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48시간 후에 상측액을 1.5㎕튜브에 옮기고 원심분리기을 통해 10000g에서 5분동안 원심분리한 후 상측액을 다른 1.5㎕튜브에 옮긴 다음 ELISA 방법에 따라 실험을 진행한 후 ELISA 450nm 흡광도로 측정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는 TGF-β1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는 표 4와 같다.
Figure 112019086491013-pat00004
상기 표 4에서 알 수 있듯이, 제조예 1 내지 4, 실시예 1 및 2에서 콜라겐 합성능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실시예 1 및 2에서 보다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제조예 1 내지 4가 주름 개선 기능을 나타낼 수 있으나,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보다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주름 개선 효과가 좀더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 실험예 4] 주름개선 기능 2
주름 개선 기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제조예 1 내지 4, 실시예 1 및 2의 추출물에 대해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엘라스타제 활성억제능을 측정하여 주름개선 기능을 분석하였다.
엘라스타제 활성억제능은 1.5㎕ 튜브에 buffer 200㎕, enzyme 100㎕, 시료 50㎕를 첨가하고 혼합한 후 2분간 대기한 다음, substrate 200㎕를 첨가하고, 25℃에서 10분동안 믹싱하며 반응시켰다. 반응시킨 후 96 well plate에 150㎕ 씩 분주하여 ELISA 흡광도 410nm로 측정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는 Ursolic acid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는 표 5와 같다.
Figure 112019086491013-pat00005
상기 표 5에서 알 수 있듯이, 제조예 1 내지 3, 실시예 1 및 2에서 엘라스타제 활성억제능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제조예 4는 500㎍/ml부터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실시예 1 및 2에서 보다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제조예 1 내지 4가 주름 개선 기능을 나타낼 수 있으나,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보다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주름 개선 효과가 좀더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 제형예 1 내지 5] 에센스 제조
상기 제조예 1 내지 4, 실시예 1 및 2의 추출물을 각각 이용하여 화장료 조성물인 제형예 1 내지 6을 제조하였고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9086491013-pat00006
[ 실험예 5] 주름 개선 효과 확인
제형예 1 내지 6의 보습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연령이 40 내지 50대의 여성 120명을 대상으로 시험하였다.
주름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각 20명씩 나누어 제형예 1 내지 6을 아침과 저녁으로 매일 2회에 걸쳐 얼굴에 고루 펴서 바르는 식으로 4주간 시험을 실시하였다. 60일의 시험 종료 후에 주름 개선의 정도를 숙련된 의사의 육안 관찰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표 7과 같다.
Figure 112019086491013-pat00007
상기 표 7에서 볼 수 있듯이, 제형예 1 내지 4가 주름 개선 효과가 있긴 하나, 제형예 5 및 6이 제형예 1 내지 4보다 주름 개선 효과가 더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예 6] 보존성 평가
제형예 5 및 6을 항온 항습기(고온, 40℃)에서 보관하여 10주 동안 주기적으로 pH의 변화를 측정하여 각 제형예의 보존성을 조사하였고 그 결과는 표 8과 같다.
Figure 112019086491013-pat00008
상기 표 8에서 볼 수 있듯이, 제형예 5보다 제형예 6의 pH 변화가 적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제형예 6가 제형예 5보다 보존성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Claims (6)

  1. 마가목가지 추출물, 마가목열매 추출물, 꽃향유꽃 추출물 및 흰민들레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고,
    상기 마가목가지 추출물, 마가목열매 추출물, 꽃향유꽃 추출물 및 흰민들레꽃 추출물은,
    마가목가지, 마가목열매, 꽃향유꽃 및 흰민들레꽃을 각각 물 또는 유기용매를 용매로 하여 추출하고,
    상기 혼합 추출물은,
    상기 마가목가지 추출물, 마가목열매 추출물, 꽃향유꽃 추출물 및 흰민들레꽃 추출물을 2.5 내지 3 : 1 내지 2 : 1 내지 1.5 : 1 내지 2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산화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상기 혼합 추출물 5 내지 10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산화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유액, 크림, 화장수, 에센스, 팩, 현탁액, 페이스트, 젤, 파우더, 립스틱, 메이컵 베이스, 파운데이션, 로션, 겔, 패취, 미용액, 클렌징 폼, 클렌징 크림, 클렌징 워터, 비누, 샴푸, 린스 및 분무제 중 하나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90103191A 2019-08-22 2019-08-22 마가목가지, 마가목열매, 꽃향유꽃 및 흰민들레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48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191A KR102348714B1 (ko) 2019-08-22 2019-08-22 마가목가지, 마가목열매, 꽃향유꽃 및 흰민들레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191A KR102348714B1 (ko) 2019-08-22 2019-08-22 마가목가지, 마가목열매, 꽃향유꽃 및 흰민들레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4358A KR20210024358A (ko) 2021-03-05
KR102348714B1 true KR102348714B1 (ko) 2022-01-06

Family

ID=75164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3191A KR102348714B1 (ko) 2019-08-22 2019-08-22 마가목가지, 마가목열매, 꽃향유꽃 및 흰민들레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8714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3548B1 (ko) * 2004-05-18 2006-03-27 한불화장품주식회사 마가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64723B1 (ko) * 2008-01-23 2010-06-21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야생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80481B1 (ko) * 2010-05-31 2013-07-01 (주)내츄럴코리아 박하 발효 추출물에 포함된 인중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기능성 화장품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이니스프리 화이트 톤 업 라인 베타테스터! ☆ 초!! 가벼운 사용감의 화이트닝 라인~ 지복합피부 화이트닝 추천"(2010.02.18.) 1부.*
International Food Research Journal, Vol.20, Iss.5, pp.2065-2072(2013)(2013.12.31.) 1부.*
한국미용학회지, 제17권 제2호(2011), pp.373-380(2011.04.30.)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4358A (ko) 2021-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10052A (ko) 쿠메스트롤 또는 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용용 조성물
KR20140003198A (ko) 컴파운드 k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869096B1 (ko) 피부보습용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17645B1 (ko) 사카로미세스 효모발효여과물, 아스파라거스줄기 추출물 및 관동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56519B1 (ko) 붓꽃 구근 추출물의 안정화 방법 및 이를 포함한 화장료 조성물
KR102373899B1 (ko) 피부의 주름 개선, 미백, 세포 재생, 상처 치유에 유효한 복합 천연물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다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KR102300581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348698B1 (ko) 왕벚나무꽃, 복사나무꽃 및 국화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76797A (ko) 식물 부채파초의 추출물과 화장 보습제로서의 이들의 용도
KR102214985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303644B1 (ko)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혼합 추출액을 함유한 얼굴 화장용 발효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8293287B2 (en) Use of a Brassocattleya marcella Koss orchid extract as an active agent to prevent or delay the appearance of signs of cutaneous aging
KR102348714B1 (ko) 마가목가지, 마가목열매, 꽃향유꽃 및 흰민들레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03451B1 (ko) 펩타이드 복합체 및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다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281606B1 (ko) 펩타이드 복합체를 함유하는 주름 및 피부탄력 개선, 타이로시네이즈 억제 등 다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445188B1 (ko) 효과적인 피부재생 및 안티에이징을 위한 미세침, 저분자 펩티드,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마이크로 앤 리커버리 화장료 조성물
KR101435679B1 (ko)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939111B1 (ko) 진세노사이드 f2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200064942A (ko)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85446B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23372A (ko) 여우구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04878B1 (ko) 능소화 꽃, 매화 꽃, 붉가시나무의 가지 또는 잎의 혼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 피부진정 및 가려움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6665B1 (ko) 실버위드, 히더, 밀크씨슬의 허브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 미백 및 보습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472370B1 (ko) 항산화 및 미백효능이 우수한 화장료용 조성물
KR20140131027A (ko) 진세노사이드 Rh4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