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1412B1 - 달맞이 꽃 추출물을 포함하고 초기 개선 활성이 우수한 피부 재생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달맞이 꽃 추출물을 포함하고 초기 개선 활성이 우수한 피부 재생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1412B1
KR102331412B1 KR1020200095970A KR20200095970A KR102331412B1 KR 102331412 B1 KR102331412 B1 KR 102331412B1 KR 1020200095970 A KR1020200095970 A KR 1020200095970A KR 20200095970 A KR20200095970 A KR 20200095970A KR 102331412 B1 KR102331412 B1 KR 102331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kin
composition
evening primrose
moistur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5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충무
윤현서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95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14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1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1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7Rhodophycota or Rhodophyta [red algae], e.g. Porphy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달맞이 꽃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재생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피부 재생 및 피부 보습 효과에 의한 피부 손상을 예방 및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달맞이 꽃 추출물을 포함하고 초기 개선 활성이 우수한 피부 재생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COMPOSITION WITH EXCELLENT INITIAL IMPROVEMENT ACTIVITIY FOR SKIN REGENERATION AND MOISTURING COMPRISING EVENING PRIMROSE EXTRACTS}
본 발명은 달맞이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재생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달맞이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우수한 피부 재생 및 피부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 산업은 소득수준의 향상과 인구 고령화에 따른 미에 대한 관심 증가와 젊고 탄력 있는 피부를 갈구하는 시대적인 욕구 증가로 그 수유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피부는 인체를 보호하거나 방어하는 1차적 기관이면서, 신체표면을 전체에 걸쳐 덮고 있는 가장 넓은 기관으로서, 표피, 진피 및 피하조직으로 구성된다. 이 중에서도 표피 부분의 가장 바깥층에 위치하는 각질층은 각질과 지질로 구성되어 있으면서 유해물질 침투나, 수분 증발을 억제하고, 박테리아나 외부 자극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한다. 각질층은 2주(14일)를 주기로 탈피되어 새로 형성된다. 한편, 다양한 스트레스 요인이나 자외선과 같은 자극에 의해 피부손상이 종종 일어나는데, 이러한 피부손상 유도인자들에 의해 각질층과 지질층이 손상되고 경피 수분손실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피부건조, 주름생성, 가려움증, 세균감염에 따른 염증이 발생되기도 한다. 사람의 각질형성 세포는 외부의 자극에 의해 IL-1a를 시작으로 IL-6, IL-8, TNF-a등 다양한 사이토카인을 만들어 방출할 수 있는데, 이러한 사이토카인은 피부의 자극유발이나 국소적인 염증반응을 매개한다. 특히 자외선과 같은 외부자극에 의한 각질층의 손상이 반복되거나, 정상적인 각질층의 복원이 지연되면 피부노화가 가속화되거나 피부질환으로 진행될 수 있다. 외부손상 의한 각질층의 신속한 복원은 피부건조, 피부노화, 가려움 등을 경감시킬 수 있으며, 이는 사람의 각질형성세포의 정상적인 분화 및 증식을 유도하는 피부재생을 촉진함으로써 예방할 수 있다.
인간을 포함하는 동물의 피부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외부의 손상 및 세균의 침입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방어 장벽(defense barrier)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내부로부터의 열과 수분의 손실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능을 하는 피부는 여러 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가운데 가장 바깥에 위치하는 것을 표피(epidermis)라고 하는데, 이들 표피에서 재생능력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진 것은 기저층에 존재하는 피부의 각질 줄기세포(Keratinocyte stem cells, KSC)이다.
이러한 피부는 세포의 변이, 활성산소 라디칼, 독성물질의 축적 및 피부간극 구성 단백질 변형 등에 의해 노화가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그 정확한 원인에 대한 수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각각의 주요인이 어떠한 메커니즘으로 피부에 주름을 형성하는지에 대해서는 충분히 밝혀져 있지 않았으며, 그 노화결과는 피부의 주름형성, 탄력저하 및 반점 형성 등으로 나타난다.
또한, 보통 어릴 때는 피부 손상이 일어나더라도 흉터가 남지 않는 반면, 나이가 들어 피부 손상이 일어나게 되면 흉터가 남는 이유도 피부 재생에 필요한 피부각질 줄기세포와 전이-증폭 세포의 증식의 수준 정도가 나이 정도에 따라 현저하게 낮아지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즉, 노화가 진행하게 되면, 상기한 세포들의 증식 정도가 낮아지게 되며, 이는 피부 재생 능력이 감퇴하는 것으로, 상처 등의 회복이 지연되거나, 피부 탄력 감소가 심화되어 주름이 발생할 수 있다.
최근 국민들의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피부와 관련된 기능성 화장품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급증하고 있지만, 합성소재 기능성 화장품과 관련된 부작용이 지속적으로 제기되면서 효과적이면서도 독성이 없는 천연물을 이용한 화장품 개발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천연물을 이용한 화장품 개발연구는 안전함과 동시에 피부노화를 지연시키는 효과적인 화장품 소재 발굴의 일환으로 기능성 천연물에 대한 지속적인 개발이 필요하다.
KR 10-1850648 B1
본 발명의 목적은 달맞이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재생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달맞이 꽃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여, 피부 재생 및 피부 보습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재생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은 달맞이 꽃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한다.
상기 조성물은 분홍애기풀 추출물, 물잔디 추출물, 혹돌잎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피부 재생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제조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재생 크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제조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보습 크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제조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당업계에서 조추출물(crude extract)로 통용되는 의미를 갖지만, 광의적으로는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즉, 식물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얻은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 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재생"은, 피부 외부 및 내부 원인에 의해 발생된 피부(세포) 손상에 대한 피부 조직의 회복 과정을 의미한다. 상기 외부 원인에 의한 손상은 자외선, 외부 오염 물질, 창상, 외상 등을 들 수 있으며, 상기 내부 원인에 의한 손상은 스트레스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보습"은, 수분손실(수분 증발) 등을 적절히 조절하여 생체의 향상성을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재생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은 달맞이 꽃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한다.
달맞이꽃(evening primrose)은 첫 해에는 원줄기 없이 뿌리잎이 방석처럼 자라다가 겨울을 지내고 다음 해에 줄기를 만들어 곧추 자라 꽃피는 두해살이풀이다. 전체에 짧은 털이 나고 줄기에 잎은 어긋난다. 꽃은 황색이고 여름에 잎겨드랑이에 1개씩 밤에 펴서 다음 날 아침에 진다. 전초를 약으로 쓰며 종자의 기름을 판매한다. 유사식물로 큰달맞이꽃과 애기달맞이꽃 등이 있다. 정원에 심기는 낮달맞이꽃은 낮에 꽃 핀다.
상기 조성물은 분홍애기풀 추출물, 물잔디 추출물, 혹돌잎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조성물은 분홍애기풀 추출물 및 물잔디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조성물은 분홍애기풀 추출물, 물잔디 추출물 및 혹돌잎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달맞이 꽃 추출물에 분홍애기풀 추출물, 물잔디 추출물 및 혹돌잎 추출물을 혼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며, 상기 혼합 사용에 따른 상승효과에 따라 달맞이 꽃 추출물만을 사용한 경우에 비해 우수한 피부 재생 및 피부 보습 효과를 동등 또는 상승시키고, 더 나아가 기호성 높은 조성물로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분홍애기풀 추출물, 물잔디 추출물 및 혹돌잎 추출물 등의 해조류 추출물에 주로 함유되어 있는 다당류는 후코이단(Fucoidan)으로, 해조류가 파도, 햇빛으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하여 분비하는 물질로서 매우 탁월한 천연 보습제 역할을 할 수 있다.
분홍애기풀(Binghamia californica J. Agardh)은 홍조식물 분홍치목 마디잘록이과의 바닷말로 조간대 하부에 자란다. 식물체는 막질이며 분홍색으로 끈 모양의 가는 뿌리에서 납작한 줄기가 여러 개 나온다, 이리저리 굽고 서로 붙으며 얽혀서 덩어리로 된다. 줄기는 두 갈래로 가지를 낸다. 구술모양의 세포가 2~3겹으로 피층을 이루고 수조직은 둥근 세포와 막대 모양의 세포가 어우러져 양쪽 피층조직을 연결한다.
물잔디(Gelidiopsis variabilis (J. Agardh) Schmitz)의 식물체는 적갈색의 연골질로 조금 납작하고 꾸물꾸물한 가시 모양으로 가는 줄기에서 모여나 작은 개체군을 이룬다. 가지는 드물게 나며 길이와 나는 곳이 불규칙하다. 구슬모양의 세포가 한 두겹으로 피층을 이루고 안쪽으로 갈수록 조금씩 길어지면서 가운데 부분은 긴 막댕모양인 세포가 수조직을 이룬다. 조하대의 조개껍질에 자란다.
혹돌잎(Lithophyllum okamurai)는 홍조식물로 두께는 0.6mm 정도 되고, 작은 돌이나 그 밖의 물체 표면을 싸며, 혹 모양의 돌기를 내고 자란다. 온몸은 석회질로 덮여 있고 분홍색 또는 붉은색을 띤다. 원주상을 한 돌기가 가지에 해당되고, 그 끝은 둥글며 표면은 매끈하다. 한국에서는 제주와 남해안에서 채집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피부 재생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은 달맞이 꽃 추출물 100 중량부, 분홍애기풀 추출물 30 내지 50 중량부, 물잔디 추출물 30 내지 50 중량부 및 혹돌잎 추출물 30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각 추출물의 상호 작용에 의한 상승효과로 임계적 의의가 있는 정도의 상승효과가 발현되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승효과가 급격히 저하되거나 거의 없게 된다.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된다.
상기 추출물은 건조한 해조류를 분쇄한 분쇄물을 물, 에탄올, 메탄올 등과 같은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과 같은 극성 용매 또는 알코올과 물의 1:0.1 내지 1:10의 혼합비를 갖는 혼합 용매로 용출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추출 용매로 물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추출 온도는 1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실온에서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는 시료의 중량 기준으로 2 내지 50 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배이다. 추출을 위해 시료는 추출 용매에서 침출을 위해 1 내지 72 시간 동안 방치될 수 있으며, 상세하게는 1 내지 24시간 동안 방치될 수 있다.
여과된 추출물을 진공 회전 농축기로 감압 농축하여 수득한 결과물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해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인 한, 이에 제한되지 않고,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이의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추출물은 발효에 사용하는 미생물로부터 발효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홍애기풀 추출물, 물잔디 추출물 및 혹돌잎 추출물은 발효 분홍애기풀 추출물, 발효 물잔디 추출물 및 발효 혹돌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발효 분홍애기풀 추출물, 발효 물잔디 추출물 및 발효 혹돌잎 추출물을 이용하는 경우 세포독성이 낮아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에서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해조류 특유의 이취로 인한 떨어지는 기호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발효에 사용하는 미생물로는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Lactobacillus salivarius),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락토바실러스 람노수스(Lactobacillus rhamnosus),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 락토바실러스 퍼멘툼(Lactobacillus fermentum),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Lactobacillus paracasei), 락토바실러스 카세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에키(Lactobacillus delbrueckii), 락토바실러스 레우테리(Lactobacillus reuteri), 락토바실러스 부츠네리(Lactobacillus buchneri),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락토바실러스 존스니(Lactobacillus johonsonii), 락토바실러스 케피르(Lactobacillus kefir) 등과 같은 유산 바실리, 락토코코스 락티스(Lactococcus lactis), 락토코코스 플랜타룸(Lactococcus plantarum), 락토코코스 라피노락티스(Lactococcus raffinolactis), 엔테로코코스파에칼리스(Enterococcus faecalis), 엔테로코코스 파에시늄(Enterococcus faecium), 스트렙토코코스 터모필리우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류코노스톡락티스(Leuconostoc lactis),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Leuconostoc mesenteroides) 등과 같은 유산 콕사이 및 비피도박테리움 애닐멀스(Bifidobacterium animals), 비피도 박테리움 비피듐(Bifidobacterium bifidum),비피도박테리움 브레브(Bifidobacterium breve), 비피도박테리움 인판티스(Bifidobacterium infantis), 비피도바테리움 롱굼(Bifidobacterium longum), 비피도박테리움 수도롱굼(Bifidobacterium pseudolongum), 비피도박테리움 터모필룸(Bifidobacterium themophilum), 비피도박테리움 아돌센티스(Bifidobacterium adolescentis) 등과 같은 비피도박테리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람노수스(Lactobacillus rhamnosus), 비피도 박테리윰 비피듐(Bifidobacterium bifidum) 비피더스균, 비피도 박테리움 브레브(Bifidobacterium breve) 비피더스균, 및 락토바실러스 아시도 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피부 재생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은 달맞이 꽃 추출물 100 중량부, 발효 분홍애기풀 추출물 30 내지 50 중량부, 발효 물잔디 추출물 30 내지 50 중량부 및 발효 혹돌잎 추출물 30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각 추출물의 상호 작용에 의한 상승효과로 임계적 의의가 있는 정도의 상승효과가 발현되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승효과가 급격히 저하되거나 거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증,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 수중유(O/W)형 또는 유중수(W/O)형의 제형 또는 연고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기능적 물질, 예컨대 미백제, 보습제, 항염증제, 항박테리아제, 항진 균제, 비타민, 자외선 차단제, 항생제, 여드름 방지제, 향수, 염료가 포함될 수도 있으며, 이들은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피부 재생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제조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재생 크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제조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보습 크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제조한 것이다.
상기 피부학적으로 허용된 담체는 정제수, 오일, 왁스, 지방산, 지방산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 계면활 성제, 흡습제, 증점제, 항산화제, 점도 안정화제, 킬레이팅제, 완충제, 방부제, 저급 알코올 등이 포함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종류와 농도는 다양하고, 당업자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변경할 수 있는 부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화장품은 일반적인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유화 제형의 화장품으로는 영양화장수, 크림, 에센스 등이 있으며,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으로는 유연화장수가 있다.
상기 화장품은 본 발명의 추출물 이외에도 피부학적으로 허용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함으로써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국소 적용 또는 전신 적용할 수 있는 보조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적합한 화장품의 제형으로는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또는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conceal stick)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포말(foam)의 형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예를 들어, 수렴화장수,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각종 크림, 에센스, 팩, 파운데이션 등과 같은 화장품류와 클렌징, 세안제, 비누, 트리트먼트 또는 미용액 등이 있다. 구체적인 제형으로서는 스킨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샴푸, 클렌징 폼, 클렌징로션, 클 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유액, 프레스파우더, 루스파우더 또는 아이섀도 등의 제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달맞이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재생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에 의하면 피부 재생 및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재생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의 세포 생존율에 대한 실험 결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재생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의 상처 치유 정도에 대한 실험 결과로 피부 재생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조예: 추출물의 제조]
1. 달맞이 꽃 추출물의 제조
세척한 달맞이 꽃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 및 분쇄하였다. 상기 분쇄물을 에탄올에 혼합하고 이를 2시간 동안 98 내지 100℃를 유지하고, 이를 냉각시킨 뒤 와트만 여과지로 여과하여 그 여액을 수득하여 달맞이 꽃 추출물(EE)로 제조하였다.
2. 기타 해조류 추출물의 제조
분홍애기풀을 세척하고 건조한 뒤 이를 분쇄하였다. 상기 분쇄물을 에탄올에 혼합하고 이를 2시간 동안 98 내지 100℃를 유지하고, 이를 냉각시킨 뒤 와트만 여과지로 여과하여 그 여액을 수득하여 분홍애기풀 추출물(BE)로 제조하였다.
상기 분홍애기풀 추출물(BE)과 동일한 방법으로 물잔디 추출물(VE) 및 혹돌잎 추출물(AE)을 제조하였다.
3. 발효 해조류 추출물의 제조
발효에 사용하는 미생물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를 D.W 75%(w/w), 진지분유 15%(w/w)와 분홍애기풀 추출물(BE) 10%(w/w)이 혼합된 멸균배지에 접종한 후 배양(25℃, 24시간)하여 발효 분홍애기풀 추출물(BLc)를 제조하였다.
4. 기타 발효 해조류 추출물의 제조
상기 발효 분홍애기풀 추출물(BLc)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효 물잔디 추출물(VLc) 및 발효 혹돌잎 추출물(ALc)을 제조하였다.
5. 혼합 추출물의 제조
상기 제조된 추출물을 하기 표 1과 같은 함량 범위로 혼합하여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MX1 MX2 MX3 MX4 MX5 MX6 MX7 MX8 MX9 MX10 MX11
EE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BE - 20 30 40 50 60 - - - - -
VE - 20 30 40 50 60 - - - - -
AE - 20 30 40 50 60 - - - - -
BLc - - - - - - 20 30 40 50 60
VLc - - - - - - 20 30 40 50 60
ALc - - - - - - 20 30 40 50 60
(단위: 중량부)
[실험예 1: 세포 독성 분석]
달맞이 꽃 추출물(MX1)의 안전성 평가를 위해 MTT 분석을 통해 인간 상피세포의 추출물에 따른 세포 생존율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피부 각질 형성 세포주인 HaCaT 세포를 12-웰 플레이트에 1×104cells/well의 농도로 접종하여 24시간 배양한 후, PBS로 세척하였다. 그리고 나서 각 농도별(0.5, 1, 3, 5, 0, 20 ㎍/㎖)로 희석한 70% 에탄올 달맞이 꽃 추출물(MX1)의 시료를 각 웰에 첨가한 후 (음성 대조군은 비처리군), 24시간 및 48시간 배양하였다. 24시간 및 48시간 배양 후 0.5% MTT 용액을 각 웰에 40㎕씩 첨가하여, 5% CO2, 37℃ 배양기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제거한 다음 DMSO를 150㎕씩을 넣고 10분간 흔들어 준 다음, ELISA plate reader를 이용하여 59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음성 대조군과 달맞이 꽃 추출물(MX1) 처리군 모두에서 세포 증식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술한 방법으로 혼합 추출물 MX2 내지 MX11 추출물의 세포 독성 실험도 진행하였다. 그 결과 MX1과 마찬가지로 혼합 추출물 MX2 내지 MX11 추출물 처리군의 경우에도 세포 증식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달맞이 꽃 추출물 및 혼합 추출물 MX2 내지 MX11 추출물의 처리가 세포에 독성의 문제가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세포 재생 효과]
피부각질형성세포는 염증환경에서 사이토카인(cytokine) 및 피부세포의 증식에 관련된 성장인자를 생산하여 향상성을 유지하므로, 달맞이 꽃 추출물의 세포 이동 및 증식에 의한 세포 재생 유도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상처 치유 검정(Wound healing assay)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피부각질 형성 세포주인 HaCaT 세포를 6 well plate에 각 well 당 1×105cells/mL로 분주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배양액을 제거한 뒤 10 ㎕ pipette tip으로 스크래치를 내었다. 현미경으로 관찰한 뒤 배양액 교체 후 달맞이 꽃 추출물(MX1) 시료를 농도별(1, 3, 5 ㎍/㎖)로 처리하였고 양성 대조군으로 시판중인 제품 ATO AI®워터 아쿠아 미스트(아토피성 피부를 위한 화장품 브랜드인 아토아이사 제품) 1㎕/㎖를 이용하였다. 염증 반응 유도군에서는 TNF-α/IFN-γ 10 ng/mL을 한 시간 전처리하였다. 물질처리 후 24시간 뒤 상처치유가 된 정도를 현미경으로 관찰 후 사진을 찍었다.
그 결과,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무처리군의 상처 범위(Wound area)는 54.7%, 염증 처리군에서는 88.76%이었고, 염증환경에서 달맞이 꽃 추출물(MX1)을 농도별로 처리하였을 때, 1 ㎍/㎖에서 72.4%, 3 ㎍/㎖에서 44.8%, 5 ㎍/㎖에서 38.4%로 농도 의존적으로 상처범위(wound area)가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염증환경에서 달맞이 꽃 추출물(MX1)이 피부각질형성세포의 세포 증식과 이동성 증진을 통하여 세포 재생을 증가하는데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보습효과]
피부 주름 개선 효과
건강한 40세 이상의 여성 중 문진과 이학적 검사상 눈가에 주름이 있는 사람을 선정하였다. 눈가 주름부위를 시험부위로 결정하였다.
상기 조성물 MX1 내지 MX11을 보습 크림으로 제조하고, 이를 모집된 실험자들에게 무작위로 배정한 후 시험 부위인 눈가 주름 부위에 적당량을 잘 스며들도록 1일 2회, 6주 동안 도포하도록 하였다.
각 실험군 당 실험자는 4명씩 배정하여, 총 28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얼굴 눈가 주름 시험부위에 대한 모사판(Replica)을 제작하고 비져미터(Visiometer, SkinVisiometer SV 600, Courage & Khazaka, 독일)를 이용하여 피부주름 모사판(Replica)에 대한 화상분석(Image Analysis)을 시행하였다. 주름분석은 모사판 주름에 일정한 각도의 빛을 조사하여 발생하는 그림자의 명암에 의해 주름의 깊이 정도를 파악함으로써 피부주름 깊이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주름의 깊이는 작아질수록 피부주름이 개선된 것을 의미한다.
MX1 MX2 MX3 MX4 MX5 MX6 MX7 MX8 MX9 MX10 MX11
0 주 0.25±0.12 0.26±0.12 0.26±0.12 0.27±0.14 0.27±0.09 0.26±0.10 0.28±0.11 0.27±0.24 0.28±0.15 0.27±0.12 0.28±0.12
6 주 0.24±0.09 0.25±0.09 0.23±0.09 0.24±0.10 0.23±0.12 0.25±0.14 0.25±0.08 0.22±0.14 0.21±0.21 0.21±0.14 0.25±0.08
(단위 mm, 평균±표준편차를 의미함)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달맞이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경우 주름개선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달맞이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 조성물 역시 전반적으로 주름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특히 혼합조성물 중 MX3 내지 MX5에 의하는 경우 우수한 주름 개선활성이 나타나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혼합범위에 의하는 경우 상호 작용에 의한 상승효과로 우수한 주름개선활성이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경우 추가적인 상승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특히 MX8 내지 Mx10에 의하는 경우 주름 개선활성이 가장 우수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피부 보습 효과
20세 내지 25세 여성 10명을 대상으로 상기 제조된 보습 크림의 피부 보습 효과를 평가하였다. 평가에 참가한 피시험자들은 매일 아침(오전 7시 내지 9시 사이)과 저녁(오후 7시 내지 9시 사이) 12시간 간격으로 2회씩 4주간 동안 세안 후 상기 보습 크림을 사용하였으며, 피부의 보습 효과 평가는 2주째와 4주째에 피부 수분증발속도의 측정을 통해 피부의 보습 효과를 평가하였다.
상기 피부 수분증발속도는 Tewamter TM300으로 측정하여 피시험자 10명의 평균값으로 나타냈으며, 그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MX1 MX2 MX3 MX4 MX5 MX6 MX7 MX8 MX9 MX10 MX11
수분증발속도 (g/h/m2) 21.18 21.11 18.37 18.44 18.21 20.94 18.12 16.38 16.16 16.12 18.48
최초 사용 전 대비 수분증발속도 감소율(%) 27.34 28.49 34.23 34.89 34.31 33.24 31.52 39.14 38.15 39.32 32.28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달맞이 꽃 추출물에 의하는 경우 수분증발속도가 낮아지는 점과 함께 그 사용에 따라 수분증발속도의 감소율이 증가하는 점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달맞이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 조성물 역시 우수한 보습활성을 나타낼 수 있고, 지속적으로 사용함에 따라 보습효과가 보다 우수해질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한편, 혼합 조성물의 경우 MX3 내지 MX5에 의하는 경우 상기 혼합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비하여 우수한 보습활성을 나타내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범위에서 각 추출물에 대한 혼합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호작용에 따른 상승효과가 나타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혼합 발효 추출물을 이용하는 조성물 MX8 내지 MX10에 의하는 경우 매우 우수한 보습활성이 나타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위 실시예에 의하는 경우 도포 후 12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사용하기 전의 피부의 수분증발속도에 비해 현저히 감소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관능 시험
상기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보습 효과 실험과 더불어, 눈가 주름 부분에 보습 크림을 바르고, 발림성 및 흡수성에 대한 관능 시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의 표 4에 나타내었다. 한편 하기의 평가 점수는 1 내지 10점으로 평가를 요청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우수한 평가를 의미하는 것이다.
MX1 MX2 MX3 MX4 MX5 MX6 MX7 MX8 MX9 MX10 MX11
발림성 2 3 4 4 4 3 4 7 7 8 7
흡수성 3 3 4 4 4 3 5 7 7 8 7
화장료의 경우 우수한 도포성을 가져야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즉 실제 기능성과 별도로 우수한 도포성을 통하여 화장료의 사용감을 높임으로서 만족도가 높은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표 4의 결과를 참조하면, 혼합 추출물 MX2 내지 MX11는 달맞이 꽃 추출물만을 포함한 MX1 보다 발림성 및 흡수성이 우수한 평가를 나타낸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혼합 발효 추출물 MX8 내지 MX11에 의하는 경우,발림성과 흡수성이 높아 우수한 도포성을 가지는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혼합 발효 추출물 MX8 내지 MX10을 함유하는 보습 크림의 경우, 기호도가 높은 기능성 보습 크림으로의 제공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고 할 것이다.
제형예 1. 보습크림
상기 MX1 내지 MX11를 함유하는 보습 크림을 하기 조성 성분 및 조성비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MX1 3.0 중량%
글리세린 8.0 중량%
부틸렌글라이콜 5.0 중량%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1.0 중량%
폴리솔베이트60 0.5 중량%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5 중량%
피토스쿠알란 5.0 중량%
호호바 오일 3.0 중량%
카프릴/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15.0 중량%
알로에 버터 2.0 중량%
밀납 1.0 중량%
스테아릴 알코올 0.5 중량%
베헤릴 알코올 0.5 중량%
스테아린산 0.5 중량%
카르복실비닐폴리머 0.2 중량%
잔탄검 0.1 중량%
아르기닌 0.5 중량%
디메치콘 0.5 중량%
베타글루칸 0.2 중량%
방부제 0.5 중량%
정제수 잔량
[실험예 4: 혼합 추출물의 피부 재생 및 피부 보습 효과 시험]
피부 재생 효과
실시예 2에서 실시한 MX1의 피부 재생 효과 실험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피부 재생 효과 실험을 진행하였다.
피부 보습 효과
앞서 피부 보습 효과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의 상대적인 비교를 위해, 달맞이 꽃 추출물(MX1)의 효과를 지수 5로 두고, 혼합 추출물 MX2 내지 MX11를 지수로 평가하였으며,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하기의 지수는 그 숫자가 높을수록 그 효과가 우수한 것이다.
MX1 MX2 MX3 MX4 MX5 MX6 MX7 MX8 MX9 MX10 MX11
피부 재생 효과 5 5 7 6 7 5 6 9 8 9 6
피부 보습 효과 5 6 7 8 8 6 6 8 8 9 7
(단위: 지수)
상기 표 5를 참조하면, MX3 내지 MX5에 의하는 경우 우수한 피부 재생 및 피부 보습 효과가 상승작용이 나타나는 점을 알 수 있다. 또한 혼합 발효 추출물(MX7 내지 MX11)의 경우 낮은 세포독성으로 안정성이 증가되면서 우수한 피부 재생 및 피부 보습 효과를 나타냈다.
특히, 발효 혼합 추출물 MX8 내지 MX10 범위의 혼합 추출물에 의하는 경우, 추가적인 상승 작용 효과에 따라 가장 우수한 피부재생 및 보습활성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7)

  1. 달맞이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분홍애기풀 추출물, 물잔디 추출물 및 흑돌잎 추출물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달맞이 꽃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분홍애기풀 추출물 30 내지 50 중량부, 물잔디 추출물 30 내지 50 중량부 및 흑돌잎 추출물 30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하는
    피부 재생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된
    피부 재생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5. 제 1항 및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피부 재생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 5항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재생 크림.
  7. 제 5항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보습 크림.
KR1020200095970A 2020-07-31 2020-07-31 달맞이 꽃 추출물을 포함하고 초기 개선 활성이 우수한 피부 재생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2331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970A KR102331412B1 (ko) 2020-07-31 2020-07-31 달맞이 꽃 추출물을 포함하고 초기 개선 활성이 우수한 피부 재생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970A KR102331412B1 (ko) 2020-07-31 2020-07-31 달맞이 꽃 추출물을 포함하고 초기 개선 활성이 우수한 피부 재생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1412B1 true KR102331412B1 (ko) 2021-12-02

Family

ID=78866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5970A KR102331412B1 (ko) 2020-07-31 2020-07-31 달맞이 꽃 추출물을 포함하고 초기 개선 활성이 우수한 피부 재생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141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9260A (ko) * 2011-11-28 2013-06-05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애기달맞이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850648B1 (ko) 2016-05-03 2018-04-19 다당앤(주) 피부보습 및 재생 촉진활성을 갖는 녹차유래의 다당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9260A (ko) * 2011-11-28 2013-06-05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애기달맞이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850648B1 (ko) 2016-05-03 2018-04-19 다당앤(주) 피부보습 및 재생 촉진활성을 갖는 녹차유래의 다당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BRA. 2007 *
Fivedotbotanics. 2020 *
Park Sang-hyun et al..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Vol. 35, No. 4. December, 2018. 1243-1249 *
Wonkwang University Thesis. 2010 *
박상현 외 4명. 달맞이꽃오일에서 얻은 세라마이드를 함유한 보습크림의 피부보습 및 경피수분손실량에 미치는 영향 연구.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Vol. 35, No. 4. December, 2018. 1243~1249*
원광대학교 학위논문. 2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4818B1 (ko) 불가사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재생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EP2260829B1 (de) Verwendung eines Extraktes aus Schneealgen in kosmetischen oder dermatologischen Formulierungen
KR102391657B1 (ko) 해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67974B1 (ko) 우엉 추출물과 냉감성분을 함유하는 모공축소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135871A (ko) 섬유모세포의 증식 및/또는 활성을 자극하는 활성 성분
KR101456042B1 (ko)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17645B1 (ko) 사카로미세스 효모발효여과물, 아스파라거스줄기 추출물 및 관동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963A (ko) 씀바귀, 선복화 및 민들레를 유산균으로 발효한 항염활성, 피부개선에 유용한 발효 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2367528B1 (ko) 해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62120B1 (ko) 피부 보습 화장료 조성물
KR101292274B1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57448B1 (ko) 흑다시마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15522B1 (ko) 발효 만주자작나무수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81343B1 (ko)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31412B1 (ko) 달맞이 꽃 추출물을 포함하고 초기 개선 활성이 우수한 피부 재생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20200117652A (ko) 혼합추출물을 활용한 아토피, 여드름피부 트러블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08976B1 (ko) 락토바실러스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FR3097762A1 (fr) Utilisation d'un extrait hydro-alcoolique d'Onagre pour hydrater la peau et améliorer la fonction barrière
JP2006045168A (ja) S100a8発現調節剤
KR102523528B1 (ko) 자몽, 동백꽃 유래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19382B1 (ko) 천연 식물 혼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51295B1 (ko) 화피 및 녹용의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2662972B1 (ko) 목주름 및 입술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85921B1 (ko) 레페치니아 카울레센스 추출물의 미용 제제 및 미용 조성물
KR101002796B1 (ko)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