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9497B1 - 현상 장치 - Google Patents

현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9497B1
KR101679497B1 KR1020147032465A KR20147032465A KR101679497B1 KR 101679497 B1 KR101679497 B1 KR 101679497B1 KR 1020147032465 A KR1020147032465 A KR 1020147032465A KR 20147032465 A KR20147032465 A KR 20147032465A KR 101679497 B1 KR101679497 B1 KR 101679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region
chamber
conveying
develo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2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3842A (ko
Inventor
교스케 다카하시
아츠시 마츠모토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03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9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9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87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 G03G15/0891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for conveying or circulating developer, e.g. aug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87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 G03G15/0891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for conveying or circulating developer, e.g. augers
    • G03G15/0893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for conveying or circulating developer, e.g. augers in a closed loop within the sump of the developing devi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9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using magnetic brush
    • G03G15/0907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using magnetic brush with bias volta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9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using magnetic brush
    • G03G15/0921Details concerning the magnetic brush roller structure, e.g. magnet configur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8Details of powder developing device not concerning the development directly
    • G03G2215/0802Arrangements for agitating or circulating developer material
    • G03G2215/0816Agitator type
    • G03G2215/0819Agitator type two or more agitators
    • G03G2215/0822Agitator type two or more agitators with wall or blade between agitators

Abstract

현상 장치는 현상제 담지체와, 제1 실과, 제2 실과, 격벽과, 연결부와, 상기 제1 실에 회전가능하게 제공되는, 상기 제1 실에 현상제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 부재를 포함한다. 순환 경로에서, 상기 반송 부재는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현상제 피복 영역에 대응하는 제1 영역과, 상기 반송 부재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영역의 하류에 제공되는,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상기 현상제 피복 영역 외부의 영역에 대응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반송 부재의 단위 구동 시간당의 반송 능력은 상기 제2 영역에서보다 상기 제1 영역에서 더 작은 값으로 설정된다.

Description

현상 장치{DEVELOPING DEVICE}
본 발명은 전자 사진 방식이나 정전 기록 방식 등에 의해 잠상 담지체(감광체, 유전체 등)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2성분 현상제에 의해 토너 상으로 현상하는 현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사식 전자 사진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토너를 전기적으로 대전시켜서 정전기력을 이용해서 화상 형성을 행하는 전자 사진 장치에서는, 잠상 담지체로서의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 잠상에 대하여 현상 장치로부터 대전된 토너를 공급해서 정전 잠상을 토너 상으로서 가시화(현상)한다. 그 토너 상을 기록재(종이 등)에 전사하고, 정착 장치에 의해 기록재에 열과 압력에 의해 정착 화상으로서 정착시키고, 그 후에 화상 형성물로서 기록재를 출력한다.
출력되는 화상 농도는 단위 면적당의 기록재 상의 토너량과 정착 후의 토너의 특성에 의해 결정된다. 본 발명은 정전 잠상에 원하는 토너량을 공급하는 현상 장치에 관한 것이므로, 이하에서는 현상에 사용되는 토너량에 관해서 간단히 설명한다. 정전 잠상이 동일할 경우에는, 토너의 대전량이 높을수록 현상에 사용되는 토너량은 적고, 토너의 대전량이 낮을수록 많아진다. 이렇게, 토너의 대전량에 따라서 출력 화상의 농도가 변화하기 때문에, 안정된 농도의 화상을 출력하기 위해서는 토너의 대전량을 적정하게 유지할 필요가 있다.
전자 사진에서는 그 밖의 공정에서도 정전기력을 이용해서 토너를 제어하기 때문에, 토너의 대전량을 원하는 값으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단, 본 발명은 현상 장치에 관한 것이므로, 이후는 현상 장치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현상 장치는, 통상적인 경우, 현상제를 교반, 반송하면서, 현상 용기 내에서 현상제를 순환시키는 스크류가 내장된 현상 용기를 포함하고, 잠상 담지체에 대향하고, 현상제를 잠상 담지체에 반송하는 현상제 담지체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통상적인 경우, 현상제 담지체에 담지되어 잠상 담지체 부근에 반송되는 현상제의 양을 원하는 값으로 하기 위해서, 현상 용기와 현상제 담지체의 간격(공간)을 규제하는 현상제 규제 부재가 현상 용기 측에 마련되어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현상제로서, 비자성 토너와 자성 캐리어를 포함하는 2성분 현상제를 사용한다. 2성분 현상제는 토너에 자성체를 포함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색(색조)이 양호한 등의 이유로, 2성분 현상제가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2성분 현상제를 사용하는 현상 장치의 경우, 통상적으로, 현상제 담지체로서 현상제 담지 능력을 가지는 마그넷 롤러(자계 발생 수단)를 내장한 현상 슬리브를 이용한다. 현상 슬리브는 마그넷 롤러의 자력에 의해 현상제를 담지하고 회전하여 현상제를 잠상 담지체에 반송하여, 토너를 정전 잠상에 공급한다. 토너는 캐리어와의 마찰에 의해 전기적으로 대전되기 때문에, 토너와 캐리어의 비율에 의해 토너의 대전량이 상이하다. 현상재 내의 토너와 캐리어는 반대 극성으로 대전되고, 대전량의 총합은 0으로 되기 때문에, 현상제 내의 토너 비율이 높을수록 토너의 대전량이 작아진다.
즉, 동일한 정전 잠상에 대해서도, 토너 비율의 변화에 의해 토너의 대전량이 변화하므로 현상에 사용되는 토너량이 상이하다. 이 때문에, 통상적인 경우, 토너의 대전량을 대략 일정하게 제어하기 위해 화상 형성에 의해 소비된 토너와 거의 동량의 토너가 보급되어, 토너와 캐리어의 비율은 소정의 범위 내에서 이용된다. 현상제의 토너 비율이 지나치게 높으면 토너의 대전량이 낮아져 토너의 비산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반대로 현상제의 토너 비율이 지나치게 낮으면 캐리어가 붙어 정전 잠상으로부터 현상된 토너 상을 흐트러지게 하거나, 캐리어로부터 잠상 담지체에 전하가 흘러 정전 잠상을 흐트러지게 한다.
또한, 현상 장치 내의 토너 비율이 대략 원하는 값이어도, 정전 잠상 담지체에 공급되는 현상제의 토너 비율에 국소적인 불균일이 있을 경우, 토너 비율의 불균일에 따라 현상에 사용되는 토너량에 불균일이 발생한다. 따라서, 현상제 담지체 상에 반송되는 현상 전의 토너 비율은 가능한 한 일정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본 특허 제3127594호와 같이, 잠상 담지체에 공급되는 현상제의 토너 비율이 일정해지도록 하는 현상 장치 구성이 제안되었다.
일본 특허 제3127594호의 현상 장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서,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의 토너 비율을 가능한 한 일정하게 한다고 하는 관점으로부터, 2성분 현상 장치의 구성은 종래형 현상 장치와 신형 현상 장치로 대략 나눌 수 있다. 이 두 개의 구성은 현상제의 순환 경로와 현상제 담지체의 위치 관계에 있어서 상이하다.
통상적으로, 현상 장치에는, 현상제를 잠상 담지체에 반송하는 현상제 담지체와, 현상제를 현상 용기 내에서 순환시키는 반송 스크류가 내장된 현상 용기가 구비된다. 현상 용기를 기능으로 구획해서 생각하면, 현상제 담지체는 현상제를 현상제 담지체에 공급하는 현상제 공급실, 현상 담지체에 의해 잠상 담지체 부근의 대향부에 현상제를 반송해서, 정전 잠상을 토너 상으로 현상함으로써 토너 비율이 낮아진 현상제를 현상 용기 내에 회수하는 회수실을 포함한다. 또한, 현상 용기는, 회수된 현상제와 현상에 사용된 토너량에 따른 양의 보급 토너를 교반하여 현상 용기 내의 토너 비율을 거의 일정하게 하는 현상제 교반실을 포함한다.
또한, 현상 용기는, 현상제 교반실의 현상제 반송(급송) 방향의 하류부와 현상제 공급실의 현상제 반송 방향의 상류부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현상 용기는, 현상제 공급실의 현상제 반송 방향의 하류부와 현상제 교반실의 현상제 반송 방향의 상류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현상 용기는 소비된 토너량에 따라 토너를 보급하기 위한 보급부를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현상제 공급실의 토너 비율을 거의 일정하게 하기 위해서, 토너 보급구가 현상제 공급실의 현상제 반송 방향의 하류부와 현상제 교반실의 현상제 반송 방향의 상류부의 사이의 제2 연결부 부근에 배치된다.
종래형 현상 장치에서는, 공급 기능과 회수 기능이 겸비된 현상제 공급실로부터 현상제를 현상 담지체에 공급하고, 현상에 사용된 현상제를 회수한다. 이 때문에, 현상에 사용되어 토너 비율의 낮아진 현상제가 현상제 교반실에 포함되므로, 국소적인 토너 비율 불균일도 발생하기 쉽다. 또한, 현상제 공급실의 하류 단부에 가까운 위치일수록 토너 비율이 낮아진다.
이것에 비하여, 신형 현상 장치에서는, 공급 기능과 회수 기능이 서로 독립적이다. 이 때문에, 현상제 공급실에 들어오는 현상제의 토너 비율이 일정하면, 현상제 공급실 전역에서 토너 비율은 일정하다.
그러나, 상기에 기재된 현상 장치 구성(신형 현상 장치)에서는, 현상제 공급실에서 현상제를 회수하지 않기 때문에, 현상제 공급실의 현상제량을 유지하기 어려운 경향이 있다. 현상제 공급실의 현상제량이 부족하면, 현상제 담지체 상에 현상제를 공급할 수 없기 때문에, 화상의 정전 잠상의 일부를 현상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에 기재된 현상 장치를 더욱 발전시킨 것이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공급 기능과 회수 기능이 서로 독립적인 구성의 현상 용기를 포함하고, 현상제 공급실 내의 현상제량을 유지하면서 필요한 현상제량을 억제할 수 있는 현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잠상을 현상하기 위해 비자성 토너 및 자성 캐리어를 포함하는 현상제를 담지하는 현상제 담지체와,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대향하는 위치에 제공되는, 상기 현상제가 상기 현상제 담지체로 반송되는 제1 실과,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대향하는 위치에 제공되는, 상기 현상제가 상기 현상제 담지체로부터 회수되는 제2 실과, 상기 제1 실 및 상기 제2 실을 구획하는 격벽과, 상기 격벽의 각 단부에 제공되는, 상기 제1 실 및 상기 제2 실에 의한 순환 경로를 형성하는 연결부와, 상기 제1 실에 회전가능하게 제공되는, 상기 제1 실에 현상제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순환 경로에서, 상기 반송 부재는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현상제 피복 영역에 대응하는 제1 영역과, 상기 반송 부재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영역의 하류에 제공되는,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상기 현상제 피복 영역 외부의 영역에 대응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반송 부재의 단위 구동 시간당의 반송 능력은 상기 제2 영역에서보다 상기 제1 영역에서 더 작은 값으로 설정되는 현상 장치가 제공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과,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아래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을 고려할 때에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실시예 1에서의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도.
도 2는 현상 장치의 단면 개략도.
도 3은 도 2의 (3)-(3)선을 따라 취해진 현상 장치의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을 적용하기 전의 현상 장치에서의 길이 방향에 대한 현상제 분포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5 및 6은 실시예 1 및 3의 현상 장치에서의 길이 방향에 대한 현상제 분포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실시예 4에서의 현상 장치에서의 길이 방향의 단면도.
도 8의 (a)는 실시예 1에서 사용된 특징적인 반송 스크류의 개략도이며, 도 8의 (b)는 종래의 반송 스크류의 개략도.
도 9 및 10은 실시예 2 및 3에서 각각 사용된 특징적인 반송 스크류의 개략도.
도 11의 (a)는 실시예 4에서의 현상제 공급실의 상류 측의 개략 단면도이고, 도 11의 (b)는 실시예 4에서의 현상제 공급실의 하류 측의 개략도.
도 12의 (a) 및 (b)는 실시예 5에서 사용된 특징적인 반송 스크류를 각각 도시하는 개략도.
도 13의 (a) 및 (b)는 실시예 6에서 사용된 특징적인 반송 스크류를 각각 도시하는 개략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현상 장치를 적용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
도 1은 본 실시예에서의 화상 형성 장치의 주요부의 개략 구성도이다. 이 화상 형성 장치는, 인라인 방식, 중간 전사 방식의 4색 풀 컬러 전자 사진 장치이다. 전자 사진 장치의 내부에는, 도 1의 도면 용지 상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제1 내지 제4 (4개의) 화상 형성 스테이션 U(UK, UM, UC, UK)이 수평 방향으로 병설된다. 화상 형성 스테이션(부) U는, 현상 장치에 수용된 2성분 현상제의 토너의 색이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으로 서로 상이할 뿐, 구성이 같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기구이다.
즉, 각 화상 형성 스테이션 U는, 잠상 담지체(정전 잠상 담지체)로서의 전자 사진 감광 부재(101)(Y, M, C, K)를 포함한다(이하, 드럼이라고 한다). 또한, 이 드럼(101)에 작용하는 프로세스 수단으로서, 1차 대전 장치(102)(Y, M, C, K), 레이저 노광 장치(103)(Y, M, C, K), 현상 장치(104)(Y, M, C, K)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1차 대전 장치(102)는 비접촉 대전 방식인 코로나 대전 방식의 장치이다. 또한, 1차 전사 블레이드(105)(Y, M, C, K), 드럼 클리너(109)(Y, M, C, K)가 구비된다.
각 화상 형성 스테이션의 드럼(101)은 화살표로 표시된 시계 방향으로 소정의 속도로 회전 구동된다. 그리고, 제1 화상 형성 스테이션 UY의 드럼(101Y)에는 형성될 풀 컬러 화상의 Y (색) 성분 화상에 대응하는 Y (색) 토너 상이 형성된다. 제2 화상 형성 스테이션 UM의 드럼(101M)에는 M 성분 상에 대응하는 M색 토너 상이 형성된다.
또한, 제3 화상 형성 스테이션 C의 드럼(101C)에는 C 성분 상에 대응하는 C 토너 상이 형성된다. 제4 화상 형성 스테이션 K의 드럼(101K)에는 K 성분 상에 대응하는 K 토너 상이 형성된다. 각 화상 형성 스테이션 U의 드럼(101)에 대한 토너 상의 전자 사진 화상 형성 프로세스 및 원리는 공지에 속하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각 화상 형성 스테이션 U의 하류 측에는 중간 전사체로서 가요성을 가지는 무단 형상의 중간 전사 벨트(121)가 구비된다. 벨트(121)는 구동 롤러(122)와, 장력 롤러(123)와, 2차 전사 대향 롤러(124)로 구성되는 3개의 롤러에 걸쳐져서 펼쳐진다. 벨트(121)는 구동 롤러(122)를 구동함으로써 화살표표 표시된 반시계 방향으로 드럼(101)의 회전 속도에 대응한 속도로 순환 이동된다.
2차 전사 대향 롤러(124)에는, 2차 전사 롤러(125)가 벨트(121)에 소정의 압력(가압력)으로 접촉하고 있다. 벨트(121)와 2차 전사 롤러(125)의 접촉부는 2차 전사 닙부이다.
각 화상 형성 스테이션 U의 1차 전사 블레이드(105)는 벨트(121)의 내측에 배설되어 있고, 드럼(101)의 하면을 향해 벨트(121)에 접촉하고 있다. 각 화상 형성 스테이션 U에서 드럼(101)과 벨트(121)의 접촉부가 1차 전사 닙부이다. 1차 전사 블레이드(105)에는 소정의 제어 타이밍에 소정의 1차 전사 바이어스가 인가된다.
각 화상 형성 스테이션 U의 드럼(101)에 각각 형성된 Y 토너, M 토너, C 토너, K 토너의 상은, 순환 이동되는 벨트(121)의 표면에 순차적으로 중첩되어서 1차 전사된다. 이에 의해, 벨트(121) 위에서, Y, M, C, K의 4색 중첩의 미정착의 풀 컬러 토너 상이 벨트(121) 위에 합성 형성되고, 그 후에 2차 전사 닙부에 반송된다.
한편, 급지 기구부(도시 생략)로부터 기록재(용지) P가 급송되어서 2차 전사 닙부에 도입되어서, 2차 전사 닙부에서 협지 반송된다. 2차 전사 롤러(125)에는 소정의 2차 전사 바이어스가 인가된다. 이에 의해, 벨트(121)로부터 기록재 P 상에 풀 컬러 토너 상이 일괄해서 순차적으로 2차 전사된다.
그리고, 2차 전사 닙부를 빠져나온 기록재 P는 벨트(121)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되고, 그 후에 정착 장치(130)에 도입된다. 기록재 P는 정착 롤러 쌍(131, 132)에 의해 협지 반송되어서 가열, 가압된다. 이에 의해, 미정착 토너 상이 기록재 표면에 정착 화상으로서 정착된다. 정착 장치(130)를 빠져나온 기록재 P는 컬러 화상 형성물로서 배출된다.
각 화상 형성 스테이션 U에서 벨트(121)에 대한 토너 상의 1차 전사 후에 드럼(101)의 표면에 남은 토너는 드럼 클리너(109)에 의해 드럼 표면으로부터 제거되어, 드럼(101)은 반복해서 화상 형성에 제공된다. 또한, 기록재 P에 대한 토너 상의 2차 전사 후에 벨트(121)의 표면에 남은 토너는 벨트 클리너(114)에 의해 벨트 표면으로부터 제거되어, 벨트(121)는 반복해서 화상 형성에 제공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잠상 담지체로서 드럼 형상의 감광체를 사용했지만, 벨트 형상의 감광체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대전 방식, 전사 방식, 클리닝 방식, 정착 방식에 관해서도, 상기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현상 장치에 관한 것으로, 각 화상 형성 스테이션 U에 같은 실시 형태를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이하에는 하나의 화상 형성 스테이션에 주목해서 설명한다.
<현상 장치>
도 2는 현상 장치(104)의 단면 개략도, 도 3은 도 2에 표시된 (3)-(3)선을 따라 취해진 현상 장치의 단면 개략도이다. 이 현상 장치(104)는 잠상이 형성된 드럼(잠상 담지체)(101)에 비자성 토너 t와 자성 캐리어 c를 포함하는 2성분 현상제 T를 적용해서 잠상을 토너 상으로서 현상하는 장치이며, 드럼(101)의 회전 축선(축) 방향에 나란한 방향인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장치이다.
현상 장치(104)는 현상제 T를 수용하는 가로로 긴 현상 용기(2)와, 현상제 T를 담지해서 대향하는 드럼(101)에 대하여 현상제 T를 적용(공급)하는 현상제 담지체(6)를 포함한다. 현상제 담지체(6)는 현상제 담지체(6)에 마련되어진 개구부(2a)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현상제 담지체(6)의 회전 축선(축)은 드럼(101)의 회전 축선에 대하여 거의 나란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제 담지체(6)로서, 자계 발생 수단으로서의 마그넷 롤러(6m)를 내포한 현상 슬리브(6)가 이용되었다. 현상 슬리브(6)는 내포된 마그넷 롤러(6m)의 자력에 의해 현상제 T를 담지하고, 회전됨으로써 현상제 T를 현상제 반송 방향으로 반송하여, 현상 슬리브(6)가 드럼(101)과 대면하는 현상 영역 A에서 드럼(101)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 잠상에 대하여 현상제를 공급한다.
현상 용기(2)의 내부는 격벽(300)을 개재해서 수직으로 서로 평행하게 제공되는 실(chamber)인, 상측의 제1 현상제 수용실로서의 현상제 공급실(현상실)(401)과, 하측의 제2 현상제 수용실로서의 현상제 교반실(403)로 구획된다. 현상제 공급실(401)은 현상제 담지체(6)에 현상제를 공급(보급)하는 기능실이다. 현상제 교반실(403)은 현상 슬리브(6)로부터 회수된 현상제 T와 보급된 보급용 현상제를 받아 들인 후에 교반하는 기능실이다.
현상제 공급실(401) 및 현상제 교반실(403)의 현상 슬리브(6)의 축선 방향에 대한 일단 측에는 현상제 공급실(401)과 현상제 교반실(403)을 서로 연통시키는 제1 연결부(404)가 구비된다. 또한, 현상제 공급실(401) 및 현상제 교반실(403)의 현상 슬리브(6)의 축선 방향에 대한 타단 측에는 현상제 공급실(401)과 현상제 교반실(403)을 연통시키는 제2 연결부(402)가 구비된다.
또한, 현상제 공급실(401)과 현상제 교반실(403)에는, 제1 현상제 반송 부재로서의 제1 반송 스크류(3a) 및 제2 현상제 반송 부재로서의 제2 반송 스크류(3b)가 각각 구비된다. 도 3에서는, 제1 반송 스크류(3a) 및 제2 반송 스크류(3b)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제1 반송 스크류(3a) 및 제2 반송 스크류(3b)는 현상제 공급실(401)과 현상제 교반실(403) 내의 현상제 T를 반송하면서, 제1 연결부(404), 현상제 공급실(401), 제2 연결부(402) 및 현상제 교반실(403)로 구성되는 현상제 순환 경로에 현상제 T를 순환시킨다. 즉, 현상 용기(2)는 현상제 T를 교반, 반송하면서 현상 용기 내의 상기 현상제 순환로에 현상제 T를 순환시키는 기능 구성을 가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제 교반실(403)의 타단 측에, 현상제 교반실(403)에 보급용 현상제를 보급하는 현상제 보급부(12)가 마련되어 있다.
<현상제>
본 실시예에서 이용된 2성분 현상제의 토너 t와 캐리어 c에 대해서 설명한다. 토너 t는 결착 수지와, 착색제와, 필요에 따라서 실리카 등의 첨가제를 함유한다. 토너 t의 결착 수지는, 예를 들면 부 대전성 폴리에스테 수지이며, 체적 평균 입경은 4㎛ 이상 10㎛ 이하가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체적 평균 입경이 7㎛인 토너 t를 이용했다.
토너 t의 입경이 지나치게 작으면 캐리어 c와 마찰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토너 t의 대전량을 제어하기 어려워지고, 토너 t의 입경이 지나치게 크면 세밀한 토너 상을 형성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최근의 토너에 대해서는, 정착성을 좋게 하기 위해서 저융점의 토너 혹은 저 유리 전이점 Tg(예를 들면, Tg≤70℃)의 토너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몇몇 경우에, 정착 후의 분리성을 좋게 하기 위해서 토너에 왁스를 함유시키는 경우도 있다.
캐리어 c로서는, 표면 산화 혹은 미산화의 철, 니켈, 코발트, 망간, 크롬, 희토류 등의 금속 및 그것들의 합금, 혹은 페라이트 등의 산화물이 적절히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 자성 입자의 제조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캐리어 c는 체적 평균 입경이 20 내지 6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체적 평균 입경이 40㎛인 캐리어를 이용했다. 캐리어 c의 입경이 지나치게 작으면 현상 시에 캐리어 c가 드럼(101)에 부착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캐리어 c의 입경이 지나치게 크면 현상 시에 캐리어 c가 토너 상을 흐트러뜨리는 문제가 발생한다.
<현상 장치의 단면>
본 실시예의 현상 장치(104)에서, 현상 용기(2)에는 현상 슬리브(6)가 드럼(101)에 대향하는 현상 영역 A에 상당하는 위치에 개구부(2a)가 제공되고, 이 개구부(2a)에서 현상 슬리브(6)가 드럼(101)을 향해 부분적으로 노출하도록 회전가능하게 제공된다. 현상 슬리브(6)에 내포된 마그넷 롤러(6m)는 비회전 방식으로 고정된다. 현상 슬리브(6)의 현상 용기 측은 현상제 공급실(401) 및 현상제 교반실(403)에 면하고 있다.
도 2의 현상 장치(104)의 단면에서의 현상제 T의 흐름을 설명한다. 우선, 현상제 공급실(401)에서, 제1 반송 스크류(3a)에 의한 현상제 반송에 따라 현상제 T가 상승하여, 현상제가 현상 슬리브(6)에 공급(보급)된다. 현상제 T에서, 자성 캐리어 c가 혼합되어 있기 때문에 현상 슬리브(6) 근방의 현상제가 마그넷 롤러(6m)에 의해 발생된 자력에 의해 구속되어서, 현상제 T가 현상 슬리브(6)의 표면에 현상제층으로서 담지된다.
그리고, 현상 슬리브(6) 상의 현상제는 선단부를 현상 슬리브(6)에 소정의 틈을 두고서 대향시켜서 현상 용기(2)에 고정되어 배설되어 있는 규제 부재(현상제 규제 부재)(5)와 현상 슬리브(6)의 틈부를 통과한다. 이에 의해, 현상 슬리브(6) 상의 현상제의 양이 소정의 적량에 규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제량은 30 mg/cm2의 단위 영역당 적량에 규제된다. 양이 규제된 현상제는 계속되는 현상 슬리브(6)의 회전에 의해 현상 슬리브(6)가 드럼(101)에 대향하는 현상 영역 A에 반송되고, 그 후에 드럼(101)에 적용(보급)된다. 이에 의해, 드럼(101) 상의 잠상이 현상제 T의 토너 t에 의해 토너 상으로서 현상된다.
현상 영역 A를 통과한 현상제 T는 계속되는 현상 슬리브(6)의 회전에 의해 현상 용기(2) 안에 되돌려 반송되어, 마그넷 롤러(6m)의 반발 자극 N3, N2에 의한 박리 자계에 의해 현상 슬리브(6)로부터 현상제 T가 이탈해서 현상제 교반실(403)의 제2 반송 스크류(3b)에 의해 회수된다.
<현상 슬리브>
현상 슬리브(6)의 표면성과 현상제 반송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현상 슬리브(6)의 표면이 거울(미러) 표면과 같은 평활한 경우에는, 현상제 T와 현상 슬리브(6) 간의 마찰의 정도가 극단적으로 적기 때문에, 현상제는 거의 반송되지 않는다. 따라서, 현상 슬리브(6)의 표면에 적당한 요철을 만들고, 이 요철에 의해 현상제와 현상 슬리브(6) 간의 마찰을 의도적으로 발생시켜서 현상제의 반송량을 확보한다. 이러한 구성이 일반적으로 이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 슬리브(6)의 표면에 적당한 요철을 작성하는 방법으로서 블러스트 처리를 이용했다.
블러스트 처리는, 소정의 입도 분포를 가지는 숫돌 가루나 유리 비즈 등의 입자를 고압으로 불어 내뿜는 가공법이다. 이하에서, 블러스트 가공한 부분을 블러스트 영역이라고 부르고, 블러스트 가공하지 않은 부분을 비블러스트 영역이라고 부른다. 현상 슬리브(6)에는, 화상 형성 가능 영역보다 다소 아래의 영역에 현상제 반송 능력이 있는 블러스트 영역이 위치하고, 각 단부에 현상제 반송 능력이 없는 비블러스트 영역이 위치한다. 도 3에서는, 현상 슬리브(6)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참조 부호 501은 현상 슬리브(6)의 현상제 반송 능력이 있는 블러스트 영역(이하, 현상 슬리브(6)의 현상제 담지 영역이라고 부른다)을 나타내고 있다.
<마그넷 롤러>
마그넷 롤러(6m)에 대해서 도 2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현상 슬리브(6) 내에 내포된 롤러 형상의 자계 발생 수단인 마그넷 롤러(6m)는 현상 용기(2)에 비회전적으로 고정되어 배치된다. 이 마그넷 롤러(6m)는 현상 영역 A에 대향하는 위치에 현상 자극 S1을 가진다. 현상 영역 A에서 형성되는 S1 극의 자계에 의해 현상제 T가 기립된 자기 브러시를 형성한다. 이 자기 브러시가, 현상 영역 A에서 화살표 a로 표시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드럼(101)에 접촉하면서, 대전된 토너 t를 정전기력에 의해 정전 잠상에 선택적으로 부착되게 해서, 정전 잠상을 토너 상으로서 현상한다.
마그넷 롤러(6m)는 상기 현상 자극 S1 이외에, 자극 N1, N2, N3, S2, 즉 합계 5개의 자극을 가진다. 마그넷 롤러(6m)의 각 자극의 역할과 단면에서의 현상제의 흐름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현상제 공급실(401)의 제1 반송 스크류(3a)의 현상제 반송에 수반하여, 현상제 T가 상승되어 현상 슬리브(6)에 공급된다. 현상제 T에서는, 자성 캐리어가 혼합되어 있기 때문에 N2 극에 의해 구속된다.
다음으로, 현상 슬리브(6)의 회전에 수반하여, 현상제 T는 규제 부재(5)에 대향하는 S2 극을 통과하고, 적량으로 규제된다. 양이 규제된 현상제 T는 N1 극을 통과하여, 드럼(101)에 대향하는 S1 극에 도달한다. 현상 영역 A를 통과하여 정전 잠상의 현상을 위하여 토너 t를 소비한 현상제 T는 현상 용기(2) 안에 되돌려 반송된다. 그리고, 반발 자극인 N3 극과 N2 극의 사이에서, 자극에 의한 자기 구속력으로부터 현상제 T가 해방되어서 현상 슬리브(6)로부터 이탈해서, 현상제 교반실(403) 내의 제2 반송 스크류(3b)에 의해 회수된다.
<규제 부재>
규제 부재(5)는, 현상 슬리브(6)에 담지되어서 정전 잠상에 공급되는 현상제 T를 적량 제공하기 위해서, 현상 슬리브(6)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현상 영역 A의 상류 측에서 현상 슬리브(6)에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규제 부재(5)는 현상 슬리브(6) 상의 현상제 T가 현상 용기(2)로부터 현상 영역 A 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는 간격을 규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규제 부재(5)로서, 현상 슬리브(6)의 축선 방향을 따라 연장된 판 형상의 규제 블레이드를 이용했다. 이 규제 블레이드(5)의 재질로서는,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레스 강 등의 비자성 재료, 또는 SPCC 등의 자성 저탄소강 재료, 혹은 상기 비자성 재료와 상기 자성 재료의 적층 부재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규제 블레이드(5)는 드럼(101)보다 현상 슬리브 회전 방향 상류의 위치에서 블레이드 선단부가 현상 슬리브(6)의 중심을 향하도록 현상 용기(2) 측에 배설되어 있다.
현상 슬리브(6)가 회전함으로써, 현상 슬리브(6) 상의 현상제 T는 규제 블레이드(5)의 선단부와 현상 슬리브(6)의 사이를 통과해서 현상 영역 A에 보내어진다. 따라서, 규제 블레이드(5)와 현상 슬리브(6)의 표면의 틈을 조정함으로써, 현상 슬리브(6) 상에 담지되어 현상 영역 A에 반송되는 현상제량이 조정된다.
또한, 규제 블레이드(5)와 현상 슬리브(6)의 틈이 지나치게 좁은 경우, 현상제 내의 이물이나 토너의 응집 덩어리가 막히기 쉬우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현상 슬리브(6) 상에 반송되는 현상제의 단위 면적당의 무게(양)가 지나치게 많은 경우, 드럼(101) 대향 위치 근방에서 현상제가 막히거나, 정전 잠상 담지체에 캐리어가 부착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양이 지나치게 적으면 현상에 의해 원하는 토너 상을 현상할 수 없어, 화상 농도가 저하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위 면적당) 현상제량이 30mg/cm2가 되도록, 규제 블레이드(5)와 현상 슬리브(6)의 간격을 400㎛로 설정했다.
<현상 영역>
본 실시예에서, 현상 슬리브(6)의 지름은 20㎜, 드럼(101)의 지름은 80㎜이다. 또한, 현상 슬리브(6)와 드럼(101)의 최근접 영역을 400㎛로 설정했다. 이 구성에 의해, 현상 영역 A에 반송된 현상제를 드럼(101)과 접촉시킨 상태로, 현상을 행할 수 있도록 설정이 행해진다. 또한, 현상 슬리브(6)는 비자성의 알루미늄으로 구성되고, 현상 슬리브(6)의 내부에는 자계 발생 수단인 마그넷 롤러(6m)가 비회전 상태로 설치된다. 현상 영역 A에서, 현상 영역 A 내의 드럼(101)에 대향하는 위치에 위치하는 S1 극의 자계에 의해 현상제가 자기 브러시를 형성한다.
상기 구성에서, 현상 슬리브(6)는, 현상 시에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살표 b로 표시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규제 블레이드(5)에 의해 적량으로 규제된 현상제를, 현상 슬리브(6)가 드럼(101)과 대향하는 현상 영역 A으로 반송한다. 현상 영역 A에서, 현상제 T는 마그넷 롤러(6m)의 자계에 의해 자기 브러시를 형성하여, 드럼(101) 위에 형성된 정전 잠상에 토너를 공급해서 토너 상을 얻는다.
이때에, 현상 슬리브(6)에는 현상 바이어스 전원 E로부터 직류 전압과 교류 전압이 중첩된 형태의 현상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500V의 직류 전압과, 피크 투 피크 전압 Vpp가 1800V, 주파수 f가 12㎑인 구형파를 교류 전압으로 했다. 그러나, 직류 전압값 및 교류 전압 파형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현상 영역 A에서는, 현상 슬리브(6)는 드럼(101)의 이동 방향(회전 방향) a와 동일한 방향 b로 이동(회전)하고, 드럼에 대한 주속비 2.0로 이동한다. 이 주속비는 통상 1.0 내지 3.0으로 설정된다. 이 주속비는 클수록 현상성이 좋아지지만, 그 값이 지나치게 크면 토너 비산, 현상제 열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주속비는 상기의 범위 내에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상 장치의 길이 방향의 구성>
현상 장치(104)의 길이 방향의 구성에 대해서 도 2와 도 3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현상 용기(2)의 내부는 격벽(300)을 개재해서 중력 방향에 대하여 상하로 수평하게 병설된 상측의 현상제 공급실(401)과 하측의 현상제 교반실(403)로 구획되고, 현상제 T는 현상제 공급실(401) 및 현상제 교반실(403)에 수용된다.
현상제 공급실(401) 및 현상제 교반실(403)에는, 각각, 현상제 교반 및 반송 수단으로서의 반송 부재인 제1 반송 스크류(3a) 및 제2 반송 스크류(3b)가 배치된다. 제1 반송 스크류(3a)는 현상제 공급실(401)의 바닥부에 현상 슬리브(6)의 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회전하여 현상제 공급실(401) 내의 현상제를 축선 방향 c를 따라 반송하면서, 현상 슬리브(6)에 현상제 T를 공급한다. 또한, 제2 반송 스크류(3b)는 현상제 교반실(403)의 바닥부에 현상 슬리브(6)의 축선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현상제 교반실(403) 내의 현상제 T를 제1 반송 스크류(3a)의 축선 방향 c와는 반대인 축선 방향 d로 반송한다.
현상제 공급실(401)과 현상제 교반실(403)은 현상 슬리브(6)의 축선 방향에 대하여 타단 측에서 서로 연통하고 있다. 즉, 이들 실은, 현상제 공급실(401)로부터 현상 슬리브(6)로 공급되지 않고 현상제 공급실(401)을 통과한 현상제를 현상제 교반실(403)로 하강시키는 하강부(제2 연결부)(402)에서 서로 연통하고 있다.
또한, 현상제 공급실(401)과 현상제 교반실(403)은 현상 슬리브(6)의 축선 방향의 일단 측에서 서로 연통하고 있다. 즉, 이들 실은, 현상 슬리브(6)로부터 현상제 교반실(403) 내에 회수된 현상제와, 현상제 공급실(401)로부터 하강된 현상제를 현상제 공급실(401)로 상승시키는 상승부(제1 연결부)(404)에서 서로 연통하고 있다.
제1 반송 스크류(3a) 및 제2 반송 스크류(3b)의 회전에 의한 현상제의 반송에 의해, 현상제 T가 격벽(300)의 길이 방향 단부에 위치하는 연통부인 상승부(404) 및 하강부(402)를 통해서 현상제 공급실(401)과 현상제 교반실(403)의 사이에서 순환된다. 화살표 f는 현상제 T가 상승부(404)를 통해서 현상제 교반실(403)로부터 현상제 공급실(401)로 반송되는 방향을 나타내고, 화살표 e는 현상제 T가 하강부(402)를 통해서 현상제 공급실(401)로부터 현상제 교반실(403)로 반송되는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제 공급실(401)과 현상제 교반실(403)은 중력 방향에 대하여 상하로 배치된다. 그러나, 종래 구성에서 자주 이용되는 것과 같이 현상제 공급실(401)과 현상제 교반실(403)이 수평으로 배치된 현상 장치, 혹은, 다른 형태의 현상 장치에도 본 발명은 적용가능하다.
<현상제의 반송 경로>
현상제의 교반, 반송되는 경로로서는, 현상에 기여하는 순환 경로인 제1 경로와, 현상에 기여하지 않는 현상 용기(2) 내의 다른 순환 경로인 제2 경로를 포함하는 2개 경로가 있다. 제1 경로는 현상제 공급실(401), 현상 슬리브(6), 현상제 교반실(403), 상승부(404), 현상제 공급실(401)의 순서로 현상제가 통과하는 경로이다. 제2 경로는 현상제 공급실(401), 하강부(402), 현상제 교반실(403), 상승부(404), 현상제 공급실(401)의 순서로 현상제가 통과하는 경로이다.
<현상제의 보급 방법>
본 실시예에서의 현상제의 보급 방법에 대해서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현상제 교반실(403)의 타단 측에, 현상제 교반실(403)에 보급용 현상제를 보급하는(보충하는) 현상제 보급부(12)가 배설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제 보급부(12)는 토너와 캐리어를 포함하는 보급용 현상제를 수용하는 호퍼로서 설명된다.
호퍼(12)는 하부에 스크류 형상의 보급용 현상제 반송 부재(12a)를 포함하고, 보급용 현상제 반송 부재(12a)의 일단이 현상제 교반실(403)의 타단 측에 마련된 보급구(11)의 위치까지 연장되고 있다. 컨트롤러(도시 생략)는 보급용 현상제 반송 부재(12a)를 제어하여, 화상 형성에 의해 소비된 양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양의 토너를 포함하는 보급용 현상제를 호퍼(12)로부터 반송하여, 보급구(11)를 통해서 현상제 교반실(403)에 보급용 현상제를 보급한다.
즉, 보급용 현상제는 호퍼(12)로부터 화살표 g로 표시된 방향으로 반송되어, 현상제 교반실(403) 안에 들어간다. 보급구(11)는 현상제 공급실(401)보다 하류에 마련된다. 이것은, 보급된 현상제가 교반되기 전에 현상 슬리브(6)에 공급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이다.
<종래 구성의 과제>
상기와 같은 구성의 현상 장치(104)는, 현상 슬리브(6)에 의해 반송되어 드럼(101)에 공급되는 현상제의 토너 비율의 불균일을 억제하는 기능을 가진다. 그러나, 현상제 공급실(401)에서는 현상 슬리브(6)의 현상제를 회수하지 않기 때문에, 현상제 공급실(401)의 현상제량을 유지하기 어려운 경향이 있다. 현상 슬리브(6)의 일부에 현상제를 공급할 수 없을 정도로 현상제 공급실(401)의 현상제량이 부족하면, 정전 잠상의 현상에 의해 일부의 화상을 현상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 과제는,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것과 같이 현상제 공급실(401)과 현상제 교반실(403)이 상하로 배치된 구성에서 현저하게 발생한다. 여기서, 이하의 설명에서, "상류"와 "하류"는 현상제 반송 방향의 상류와 하류이다. 일반적으로, 현상제 공급실(401)의 상류부에 유입하는 현상제는, 제1 연결부(404)의 현상제가 현상제 교반실(403)의 하류 측의 현상제에 의해 압출됨으로써 반송된다.
본 실시예의 이러한 구성의 현상제 순환 경로의 경우, 현상제 공급실(401)의 상류 측에 반송되는 제1 연결부(404)의 현상제에는 화상 연결부(404)의 반송 경로와 역방향에 대하여 자체 중량이 가해진다. 그 때문에, 현상제 교반실(404)의 하류 측의 현상제가 제1 연결부(404)의 현상제를 압출하기 위해서는, 현상제 공급실(401)과 현상제 교반실(403)이 나란히(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현상 장치의 경우에 비하여 여분의 힘을 가할 필요하다. 결과로서, 제1 연결부(404)와 현상제 교반실(403)의 하류 측에서는 현상제가 막힌 상태로 되어, 현상제 교반실(403)에서는 현상제가 과다하고, 현상제 공급실(401)에서는 현상제가 부족하기 쉬워진다.
도 4를 참조해서 현상 용기(2) 내의 현상제 분포를 설명한다. 도 4에서, 파선은 현상제 공급실(401) 및 현상제 교반실(403)의 각각의 현상제 표면(레벨)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대로, 제1 연결부(404)의 현상제는 반송 방향 f와 반대 방향으로 자체 중량이 가해지기 때문에, 현상제 교반실(403)의 하류 측으로부터 현상제 공급실(401)의 상류 측까지 현상제가 막힌 상태에 있다.
제1 연결부(404)로부터 압출된 현상제 T는 무너지듯이 현상제 공급실(401)의 상류 측에 유입한다. 현상제 공급실(401)에서는, 현상 슬리브(6)에 현상제 T를 공급하면서 하류 측으로 반송하기 때문에, 위치가 하류 단부에 가까워질수록 현상제 T는 서서히 감소하여, 현상제 표면은 위치가 하류 단부에 가까워질수록 서서히 하강한다. 현상제 공급실(401)을 통과한 현상제는 제2 연결부(402)를 경유하여 현상제 교반실(403)에 반송된다. 현상제 교반실(403)에서는, 현상 슬리브(6)로부터 현상제를 회수하면서 반송하기 때문에, 위치가 하류 단부에 가까워질수록 현상제는 서서히 증가하여, 현상제 표면은 위치가 하류 단부에 가까워질수록 서서히 상승한다.
이러한 현상제 분포는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화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경사, 사용 환경, 출력 화상 동작 등의 요인에 대해서 설명한다. 화상 형성 장치 본체가 기울면, 현상 장치(104)의 현상제에 가해지는 반송 경로에 따른 자체 중량의 영향이 변화하기 때문에, 현상제 분포는 변화한다. 특히, 본 실시예의 구성에서 제1 연결부(404)가 제2 연결부(402)에 비해서 낮아지는 경사를 가지고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가 배치되었을 경우, 현상제 교반실(403)의 하류 측과 현상제 공급실(401)의 상류 측에서 현상제가 과다한 상태가 된다. 그 때문에, 현상제 공급실(401)의 하류 측에서 현상제 담지체(6)에 현상제가 공급될 수 없어, 화상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 환경이 변화하면 현상제 T의 토너 t와 캐리어 c의 대전량이 변화한다. 이것은 캐리어 c의 대전 가능량이 변화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통상적인 경우, 고온 다습 환경 하에서는, 캐리어 c의 대전 가능량이 변화한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현상제 T의 밀도가 높게 된다.
본 실시예의 구성의 경우, 현상제 T의 밀도가 높아지면, 제1 연결부(404)의 현상제 전체에 가해지는 자체 중량의 합계가 증가하여, 현상제 공급실(401)을 향하여 현상제를 압출하는 힘이 더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현상제가 현상제 공급실(401)에 부족한 상황이 발생한다. 따라서, 고온 다습 환경 하에서 화상 형성 장치를 사용했을 경우에 화상 불량이 발생하기 쉽다.
화상 형성이 연속해서 행하여졌을 경우, 제1 반송 스크류(3a), 제2 반송 스크류(3b) 및 현상 슬리브(6)의 구동이 안정화되어 현상제 순환 경로와 현상제 반송 경로의 양쪽 모두가 평형 상태가 되도록 현상제 분포에 정착된다. 반대로 말하면, 제1 반송 스크류(3a), 제2 반송 스크류(3b) 및 현상 슬리브제(6)의 구동 속도가 변화하고 있는 동안에는 평형 상태가 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반송 스크류(3a), 제2 반송 스크류(3b) 및 현상 슬리브(6)의 구동 속도가 변화하는 화상 형성의 최초와 최후의 단계에서는 평형 상태가 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몇 매의 화상 형성이 단속적으로 행하여지면, 현상제 분포가 안정화되지 않는 상태의 시간이 상대적으로 길어진다.
화상 형성 종료 시의 제1 반송 스크류(3a) 및 제2 반송 스크류(3b)의 구동 정지에 수반하여, 제1 연결부(404)의 현상제를 현상제 공급실(401)로 압출하는 힘이 약해지기 때문에, 현상제가 현상제 교반실(403)에서 과다하고, 현상제가 현상제 공급실(401)에서 부족한 상황이 된다. 이 때문에, 몇 매의 화상 형성을 단속적으로 행할 경우, 화상 불량이 일어나기 쉽다.
본 발명에서는, 현상제 공급실(401)에 위치하는 현상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화상의 일부가 소실되는 화상 불량을 억제하는 현상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반송(공급) 기능과 회수 기능이 서로 독립적인 구성의 현상 용기(2)를 포함하는 현상 장치(104)에서, 현상제 공급실(401)의 현상제량을 유지하면서, 필요한 현상제량을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제1 연결부(404), 현상제 공급실(401), 제2 연결부(402) 및 현상제 교반실(403)로 구성되는 현상제 순환 경로의 경로 내에서, 현상제 반송량을 다음과 같이 제어하고 있다.
즉, 현상 슬리브(6)의 현상제 담지 능력이 있는 영역(현상제 도포 영역)과 대향하는 위치에서의 제1 반송 스크류(3a)에 의한 현상제의 순환 방향으로의 단위 시간 단위 체적당의 평균 현상제 반송량(반송 능력)은, 그 위치 이외의 제1 반송 스크류(3a)의 부분에서보다 작게 된다. 즉, 현상제 공급실(401)에서 현상 슬리브(6)의 현상제 담지 영역(501)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제1 반송 스크류(3a)의 부분에 의한 단위 시간 단위 체적당의 평균 현상제 반송량을, 현상제 순환 경로의 다른 영역에 비하여 작게 한다. 여기서, 반송 능력은, 반송 부재가 스크류인 경우, 스크류의 단위 구동 시간당 이동하는 스크류 피치에 대응하는 공간의 체적에 비례한다. 스크류 지름이 동일한 경우, 작은 피치의 경우보다 큰 피치의 경우에 반송 능력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피치(간격)가 동일한 경우에, 블레이드 지름이 커질수록 반송 능력이 더 커지는 경향이 있다.
이에 의해, 현상제 공급실(401) 내의 제1 반송 스크류(3a)가 현상 슬리브(6)의 현상제 담지 영역(501)에 대향하는 영역에서의 현상제가 현상제 순환 경로 내의 다른 영역에 대하여 양이 상대적으로 증가한다. 본 실시예의 구성에 의해, 현상제 공급실(401)에서의 현상 슬리브(6)의 현상제 담지 영역(501)에 대향하는 부분에서의 반송 방향의 현상제의 반송량이 저하되어, 다른 부분에 비하여 현상제 표면(레벨)이 상대적으로 높아진다. 이러한 경우의 현상제 공급실(401)에서의 현상제 표면 상태를 도 5에 파선으로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구성을 적용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 4와 비교해서, 현상제 공급실(401)의 현상제 표면은 높은 상태에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현상제 공급실(401) 내의 현상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현상 슬리브(6)에 안정적으로 공급하여, 현상 슬리브(6)에 의한 현상제 반송 불량에 의한 화상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종래의 현상 장치 구성, 즉 현상제 공급실(401)에서 현상에 기여한 현상제를 회수하는 구성에서는, 위치가 반송 경로 하류 단부에 근접할수록 토너 비율이 저하하는 경향이 현저해진다. 즉, 현상 슬리브의 현상제 담지 영역과 대향하는 위치에서의 현상제 반송 부재에 의한 현상제 반송량이 저하되면, 현상제 교반실에서 회수된 현상제가 현상제 담지체의 현상제 담지 영역과 대향하는 위치 부근에 잔류하게 된다. 그 때문에, 현상제 반송 경로에서 현상제의 토너 비율의 변화가 발생하기 쉽다.
또한, 회수된 직후의, 토너 비율이 저하된 현상제는, 현상제 공급실 내의 현상제와 균일하게 혼합되기 전에 현상 슬리브에 공급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토너 비율 불균일에 의한 (화상) 농도 불균일이 발생하기 쉽다.
한편, 신형 현상 장치에서는, 현상제의 공급 기능과 현상제 회수 기능이 서로 독립적이다. 그 때문에, 현상제 공급실(401)에 들어오는 현상제 T의 토너 비율이 일정하면, 현상제 공급실 전역에서의 토너 비율이 일정해져서, 현상제 공급실 내의 현상제 반송 부재의 구성에 상관없이 토너 비율 불균일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구성은 이로운 기능을 가진다.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구성>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구성을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현상제 반송 부재(3a, 3b)로서, 현상 슬리브(6)의 축선에 거의 평행한 회전축(31)과, 그 회전축(31)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현상제를 반송하는 방향으로 나선 형상으로 감긴 교반 블레이드(스크류 블레이드)(32)를 포함하는 반송 스크류를 이용한다. P1은 교반 블레이드(32)의 나선 간격(피치)이다.
현상제 공급실(401)의 제1 반송 스크류(3a)에 대해서는, 상기의 현상제 순환 경로 내에서, 도 8의 (a)와 같이, 현상 슬리브(6)의 현상제 담지 영역(501)과 대향하는 위치에서, 현상제가 반송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리브 부재(601)가 마련된다. 한편, 상기 현상제 순환 경로 내에서, 제1 반송 스크류(3a)의 그 위치 이외의 영역에는 리브 부재(601)가 마련되지 않는다. 도 8의 (b)에서, 리브 부재(601)를 마련하지 않는 종래의 반송 스크류가 도시된다.
제1 반송 스크류(3a)가 회전함으로써, 현상제 공급실(401)의 현상제가 현상제 반송 방향의 하류 측으로 반송되지만, 리브 부재(601)의 부분에서는, 현상제는 현상제 반송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압출된다. 그 때문에, 반송 방향에서의 현상제 반송량은 다른 부분(리브 부재(601)가 마련되지 않는 부분)보다도 상대적으로 적어진다.
이에 의해, 현상제 공급실(401)에서의 현상 슬리브(6)의 현상제 담지 영역(501)에 대향하는 영역의 현상제는, 다른 영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양이 증가해서 현상제 공급실(401) 내의 현상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결과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면 도 5와 같아져, 현상제 공급실(401)에서의, 현상 슬리브(6)의 현상제 담지 영역(501)에 대향하는 영역에서의 현상제 표면(파선)은 도 4에 도시된 현상제 표면(파선)보다도 높아진다.
본 실시예의 구성에 의해, 현상제 공급실(401)의 현상제 표면이 상승하여, 화상 형성에 필요한 현상제량은 감소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 형성에 필요한 현상제량을 현상 장치(104)가 연속적으로 구동되는 상태에서 현상제가 현상 슬리브(6)에 의해 항상 담지되는 데에 필요한 현상제량으로 설정했다. 여기서, 현상 장치(104)가 연속적으로 구동되는 상태에서 현상제량이 판단된 이유는, 상기한 바와 같이 연속, 현장 장치(104)가 연속적으로 구동되는 경우에 현상제 분포가 안정화되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는, 종래의 스크류 구성(나선 피치와 회전수는 도 8의 (a)와 동일한 도 8의 (b))의 경우에 필요한 현상제량은 300g이지만, 본 실시예의 구성에서는 필요한 현상제량이 270g이 되어, 현상제 공급실(401)에는 종래의 스크류 구성보다도 30g 이상의 양의 현상제가 유지된다. 이에 의해, 현상 슬리브(6)에 현상제가 공급되지 않음으로써 발생하는 화상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 2)
본 실시예에서의 화상 형성 장치의 기본 구성은 실시예 1과 같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다른 구성은, 현상제 공급실(401)의 현상제 반송 부재(반송 스크류(3a))에서의, 현상 슬리브(6)의 현상제 담지 영역(501)과 대향 위치에 있는 부분의 구성이다.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구성>
본 실시예에서도, 제1 현상제 반송 부재(3a) 및 제2 현상제 반송 부재(3b)로서, 현상 슬리브(6)의 축선에 거의 평행한 회전축(31)과, 그 회전축(31)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현상제를 반송하는 방향으로 나선 형상으로 감긴 교반 블레이드(32)를 포함하는 반송 스크류를 이용한다. 현상제 공급실(4-1)의 제1 반송 스크류(32a)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구성이 채용되고 있다. 다시 말해, 상기의 현상제 순환 경로의 경로 내에서, 도 9와 같이, 나선 형상의 교반 블레이드(32)는 현상 슬리브(6)의 현상제 담지 능력이 있는 영역(501)과 대향하는 위치에서의 나선 피치 P2가, 그 위치 이외의 부분에서의 나선 피치 P1 보다도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반송 스크류(3a)가 회전함으로써, 현상제 공급실(401)의 현상제는 현상제 반송 방향의 하류 측에 반송되지만, 반송 스크류의 회전수가 같을 경우, 교반 블레이드(32)의 나선 피치에 따라서 현상제가 반송되는 거리가 변화한다. 본 실시예와 같이, 부분적으로 나선 피치를 짧게 한 영역(나선 피치가 P2인 영역)에서는, 현상제 반송 방향으로의 현상제의 반송량이 다른 영역(나선 피치가 P1인 영역)보다 상대적으로 적어진다.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서는, 도 9와 같이, 도 8의 (b)에 도시된 다른 부분 보다 나선 피치가 짧다(P2<P1).
이에 의해, 현상제 공급실(401)에서의 현상 슬리브(6)의 현상제 담지 영역(501)에 대향하는 영역의 현상제가 다른 영역보다 상대적으로 증가해서, 현상제 공급실(401)의 현상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현상제의 분포는 실시예 1의 도 5에 도시된 것과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에 의해, 현상제 공급실(401)의 현상제 표면이 상승하여, 화상 형성에 필요한 현상제량은 감소한다. 구체적으로는, 종래의 스크류 구성(도 8의 (b))의 경우에 필요한 현상제량은 300g이지만, 본 실시예의 구성에서는 필요한 현상제량은 270g이 되어, 현상 용기(2)에는 종래의 스크류 구성보다 30g 이상의 양의 현상제가 유지된다. 이에 의해, 현상 슬리브(6)에 현상제가 공급되지 않음으로써 발생하는 화상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 3)
본 실시예에서의 화상 형성 장치의 기본 구성은 실시예 1과 같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다른 구성은, 실시예 1에서 마련된 리브 부재(601)가 현상제 공급실(401)의 하류부에 더 가까운 위치일 수가 점진적으로 더 커지는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류부에 더 가까운 위치일수록 리브 부재(601)의 폭을 점진적으로 크게 하고 있다(W1 <W2 <W3).
즉, 상기의 현상제 순환 경로의 경로 내에서, 제1 반송 스크류(3a)에 의한 현상제 반송량을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현상 슬리브(6)의 현상제 담지 능력이 있는 영역(501)과 대향하는 위치에서의 제1 반송 스크류(3a)에 의한 현상제의 순환 방향에서의 현상제의 단위 시간 단위 체적당의 현상제 반송량이 현상제의 반송 방향 하류 단부에 근접할수록 서서히 작아지도록 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구성>
상기 리브 부재(601)의 크기가 상류와 하류 측에서 동일하면, 리브 부재(601)가 마련된 부분에서 현상제 반송 방향에 대한 현상제 반송 기능도 동일하다. 현상제 공급실(401)의 하류 측에 가까운 위치일수록, 현상제는 현상 슬리브(6)에 더 많이 공급되므로, 현상제 표면이 서서히 저하한다. 종래의 스크류 구성의 현상제 표면의 경향과 비교하면 현상제 표면의 분포는 양호하지만 그 경향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 리브 구성의 경우, 현상 용기(2) 내의 현상제를 감소시키면, 현상제 공급실(401)의 하류부에서 현상제가 부족하게 된다. 즉, 현상제 공급실(401)의 하류부에서 현상제가 부족하지 않으면, 필요한 현상제량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그 결과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략적으로 나타나서, 현상제 공급실(401)에서의 현상제 표면(파선)의 상류 및 하류 측에서의 분포는 도 5의 경우와 비교하여 더욱 양호하다.
본 실시예의 구성에 의해, 하류부에 위치가 가까워질수록 리브 부재(601)에 의해 반송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현상제가 압출되는 양이 서서히 늘어나서, 현상제 반송 방향에서의 현상제 반송량이 저하한다.
따라서, 현상제 공급실(401)의 하류 측의 현상제 표면이 상승하여, 화상 형성에 필요한 현상제량은 감소한다. 구체적으로는, 동일 리브 구성의 경우(도 8의 (a))에 필요한 현상제량은 270g이지만, 본 실시예의 구성에서는 필요한 현상제량이 250g이 되어, 현상 용기(2)에는 동일 리브 구성의 경우보다도 20g 이상의 양의 현상제가 유지된다. 그 때문에, 현상제 담지체(6)에 현상제가 공급되지 않음으로써 는 것으로 발생하는 화상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 4)
본 실시예에서의 화상 형성 장치의 기본 구성은 실시예 1과 같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반송 스크류(3a)로서, 실시예 1 내지 3의 어느 하나, 혹은 실시예 1 내지 3을 조합시킨 것을 이용하고 있다. 다른 구성은, 현상제 공급실(401)의 하류 측의 단면 면적을 작게 하는 것이다. 기타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즉, 상기의 현상제 순환 경로 내에서, 현상 슬리브(6)의 현상제 담지 능력이 있는 영역과 대향하는 위치에서의 현상제 공급실(401)의 현상제 반송 방향에 수직인 단면 면적은, 그 이외의 부분 이상이다.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구성>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제 공급실(401)의 현상제 반송 방향과 수직인 방향에 대하여, 현상제 담지 영역(501)과 대향하는 위치에서는 그 하류부와 비교해서 반송 방향에서의 현상제 반송량이 적다. 따라서, 현상제 담지 영역(501)과 대향하는 위치보다 하류 측에서는, 현상제 표면이 대향 영역보다 낮아지므로, 단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제 공급실(401)의 하류 측의 천장이 낮아진 공간에 현상제를 현상 장치에 보급하는 현상제 보급 장치(도시 생략)를 배치하여, 공간이 효과적으로 이용된다.
도 7은 본 실시예의 현상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1의 (a)는 도 7에 도시된 (a)-(a) 선을 따라 취해진 현상제 공급실(401)의 단면 개략도(현상제 공급실(401)의 중앙부에서의 현상제 반송 방향에 수직인 단면도)이고, 도 11의 (b)는 도 7에 도시된 (b)-(b) 선을 따라 취해진 현상제 반송실(401)의 단면 개략도(현상제 공급실(401) 하류 측의 현상제 반송 방향에 수직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제 공급실(401)의 현상제 반송 방향과 수직인 방향에 대하여, 현상제 담지체(6)와 대향하는 위치와 그 대향하는 위치의 상류부에서의 현상제 공급실(401)의 하부 단면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하부 단면은, 제1 반송 스크류(3a)의 교반 블레이드(스크류 블레이드)(32)의 반경보다 클리어런스가 1㎜ 큰 반원이다. 현상제 공급실(401)의 상부 단면은, 스크류 블레이드(32)의 지름보다 2㎜ 큰 변을 가지는 정방형이다. 스크류 축(31)의 중심과 반원의 중심은 동일하다. 현상제 교반실(401)의 하류 측에서는 단면이 스크류 블레이드(32)의 반경보다 1㎜ 큰 반경의 원이다. 스크류 축(31)의 중심과 단면의 중심은 동일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현상제 공급실(401)의 현상제 담지 영역(501)과 대향하는 위치에서의 현상제량을 유지하면서, 현상제 담지 영역(501)고 대향하는 위치보다 하류의 영역에서 현상 용기(2)의 용적을 작게 할 수 있다.
(실시예 5)
제1 반송 스크류(3a)의 나선 형상의 교반 블레이드(32)에 대해서, 상기의 현상제 순환 경로 내에서, 현상 슬리브(6)의 현상제 담지 능력이 있는 영역(501)과 대향하는 위치에서의 블레이드 지름을, 그 대향하는 위치 이외의 부분에서의 블레이드 지름보다 짧게 한다. 즉, 도 12의 (a) 및 (b)에 도시한 같이, 현상 슬리브(6)의 현상제 담지 능력이 있는 영역(501)과 대향하는 위치에서의 교반 블레이드(32)의 블레이드 지름 R32a를, 그 대향하는 위치 이외의 위치에서의 교반 블레이드(32)의 블레이드 지름 R32b보다 짧게 한다.
상기와 같은 제1 반송 스크류(3a)의 구성에 의해도, 실시예 1 내지 4의 수단 구성과 마찬가지인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현상제 수용실(401)에서, 현상 슬리브(6)의 현상제 담지 능력이 있는 영역(501)과 대향하는 위치에서 제1 반송 스크류(3a)에 의한 현상제의 순환 방향에서의 단위 시간 단위 체적당의 현상제 반송량을, 그 대향하는 위치 이외의 부분보다 작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현상제 담지체(6)에 현상제가 공급되지 않음으로써 발생하는 화상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 6)
제1 반송 스크류(3a)의 회전축(31)에 대해서, 상기의 현상제 순환 경로 내에서, 현상 슬리브(6)의 현상제 담지 능력이 있는 영역(501)과 대향하는 위치에서의 굵기(지름)를, 그 대향하는 위치 이외의 부분에서의 굵기보다 굵게 한다. 즉, 도 13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 슬리브(6)의 현상제 담지 능력이 있는 영역(501)과 대향하는 위치에서의 회전축(31)의 굵기 R31a를 그 대향하는 위치 이외의 부분에서의 회전축(31)의 굵기 R31b보다도 굵게 한다. 또한, 나선 블레이드의 외경은 도 13의 (a) 및 (b)와 동일하다.
상기와 같은 제1 반송 스크류(3a)의 구성에 의해, 실시예 1 내지 5의 수단 구성과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의 현상제 순환 경로 내에서 제1 반송 스크류(3a)에 의한 현상제 반송량을 다음과 같이 설정할 수 있다. 현상제 수용실(401)에서, 현상 슬리브(6)의 현상제 담지 능력이 있는 영역(501)과 대향하는 위치에서의 제1 반송 스크류(3a)에 의한 현상제의 반송 방향에서의 단위 시간 단위 체적당의 현상제 반송량을, 그 대향하는 위치 이외의 부분보다 작게 할 수 있다. 현상제 담지체(6)에 현상제가 공급되지 않음으로써 발생하는 화상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
(1) 실시예 1 내지 6의 수단 구성을 적절히 조합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도 있다.
(2) 본 발명의 현상 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은, 실시예 1에 기술된 화상 형성 장치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 화상 형성 장치, 현상 장치 및 현상제에도 적용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현상제 공급실과 현상제 교반실의 위치 관계(상하 배치, 수평(좌우) 배치 등), 현상제 반송 부재 및 현상제 담지체의 형상, 토너 및 캐리어의 종류 등은 실시예 1 내지 4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3) 잠상이 형성되는 상 담지체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프로세스에서의 감광체에 한정되지 않고, 정전 기록 화상 형성 프로세스에서의 유전체, 자기 기록 화상 형성 프로세스에서의 자성체, 저항 패턴형 잠상을 형성하는 부재 등이어도 된다.
(4) 화상 형성 장치의 종류는 전사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화상 형성 장치는 상 담지체로서 감광지나 정전 기록지를 이용하는 직접 전사 방식이어도 된다. 화상 형성 장치는 상 담지체로서의 화상 표시 부재에 토너 상을 형성하는 화상 표시 장치이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구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설명된 세부 사항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본 출원은 본 발명의 목적, 또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하는 변경 또는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현상제 공급 기능과 현상제 회수 기능이 서로 독립적인 구성을 가지는 현상 용기를 포함하는 현상 장치에서, 현상제 공급 기능부인 제1 현상제 수용실의 현상제량을 유지하면서, 필요한 현상제량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현상제 수용실로서의 현상제 공급실의 현상제량이 부족하여, 현상제 담지체 상에 현상제를 공급할 수 없기 때문에 화상의 일부가 소실되는 화상 불량의 발생이 억제된다.

Claims (21)

  1. 잠상을 현상하기 위해 비자성 토너 및 자성 캐리어를 포함하는 현상제를 담지하는 현상제 담지체와,
    상기 현상제가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대향하는 위치에 제공되는 제1 개구를 통해 상기 현상제 담지체로 공급되는 제1 실과,
    상기 현상제가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대향하는 위치에 제공되는 제2 개구를 통해, 상기 제1 실을 통과하지 않고 상기 현상제 담지체로부터 회수되는 제2 실과,
    상기 제1 실 및 상기 제2 실을 구획하는 격벽과,
    상기 격벽의 각 단부에 제공되고, 상기 제1 실 및 상기 제2 실에 의한 순환 경로를 형성하며, 반송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실의 상류에 제공되는 제1 연결부와 반송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실의 하류에 제공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연결부와,
    상기 제1 실에 회전가능하게 제공되는, 상기 제1 실에 현상제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반송 부재는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축을 따라 제공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현상제 반송 방향으로 나선 형상으로 감긴 나선형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순환 경로에서, 상기 반송 부재는,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현상제 피복 영역에 대응하고, 상기 나선형 블레이드에 의해 형성된 제1 영역과, 상기 반송 부재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영역의 하류 및 상기 제2 연결부의 상류에 제공되고,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상기 현상제 피복 영역 외부의 영역에 대응하며, 상기 나선형 블레이드에 의해 형성된 제2 영역과, 상기 반송 부재의 상기 반송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영역의 상류 및 상기 제1 연결부의 하류에 제공되고, 상기 현상제 피복 영역 외부의 영역에 대응하며, 상기 나선형 블레이드에 의해 형성된 제3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반송 부재의 단위 구동 시간당의 평균 반송 능력은 상기 제2 영역 및 제3 영역에서보다 상기 제1 영역에서 더 작은 값으로 설정되는 현상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에서의 상기 반송 부재의 평균 반송 능력은, 상기 반송 방향에 대하여 상류 측에서보다 하류 측에서 더 작은 현상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에서는, 상기 반송 방향에 수직인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현상제를 압출하는 리브 부재가 상기 반송 부재에 제공되고, 상기 제2 영역 및 제3 영역에서는, 상기 리브 부재가 상기 반송 부재에 제공되지 않는 현상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블레이드는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제3 영역에서보다 상기 제1 영역에서 더 짧은 나선 형상의 피치를 가지는 현상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블레이드는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제3 영역에서보다 상기 제1 영역에서 더 작은 블레이드 지름을 가지는 현상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축은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제3 영역에서보다 상기 제1 영역에서 더 큰 두께를 가지는 현상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은 상기 제1 영역에서보다 상기 제2 영역에서 더 작은 값으로 설정되는, 상기 현상제 반송 방향에 수직인 단면 면적을 가지는 현상 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 부재는 상기 반송 방향에 대하여 상기 반송 부재의 상류 측 및 하류 측 각각에 제공되고,
    상기 하류 측에 제공되는 상기 리브 부재는 상기 상류 측에 제공되는 상기 리브 부재보다 더 큰 현상 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은 상기 제2 실의 상부에 제공되는 현상 장치.
KR1020147032465A 2012-04-27 2013-04-26 현상 장치 KR1016794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02951A JP2013231799A (ja) 2012-04-27 2012-04-27 現像装置
JPJP-P-2012-102951 2012-04-27
PCT/JP2013/062879 WO2013162075A1 (en) 2012-04-27 2013-04-26 Develop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842A KR20150003842A (ko) 2015-01-09
KR101679497B1 true KR101679497B1 (ko) 2016-11-24

Family

ID=49483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2465A KR101679497B1 (ko) 2012-04-27 2013-04-26 현상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563150B2 (ko)
EP (1) EP2841999A4 (ko)
JP (1) JP2013231799A (ko)
KR (1) KR101679497B1 (ko)
CN (1) CN104246622B (ko)
WO (1) WO20131620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48733B2 (ja) * 2014-03-20 2017-12-2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300637B2 (ja) 2014-05-23 2018-03-28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
JP6261445B2 (ja) 2014-05-23 2018-01-1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335642B2 (ja) 2014-05-23 2018-05-3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492480B2 (ja) * 2014-09-17 2019-04-0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装置、組立体、及び画像形成装置
JP7146493B2 (ja) 2017-07-10 2022-10-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1276A (ja) * 2002-10-30 2004-05-27 Kyocera Mita Corp 現像装置
JP2007310098A (ja) * 2006-05-17 2007-11-29 Murata Mach Ltd 画像形成装置
JP2010197839A (ja) * 2009-02-26 2010-09-09 Sharp Corp 現像装置及びこれを用いる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25661A (ja) 1990-09-18 1992-04-27 Fujitsu Ltd 電子写真装置の現像剤撹拌装置
JP3127594B2 (ja) 1992-08-03 2001-01-2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装置
US5682583A (en) * 1993-06-10 1997-10-28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Developing device for mixing and supplying developer
JP3282910B2 (ja) * 1994-03-02 2002-05-20 シャープ株式会社 現像装置
JPH08220887A (ja) 1995-02-13 1996-08-30 Minolta Co Ltd 現像装置
JP3129209B2 (ja) * 1996-10-25 2001-01-2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写真記録装置
US5963766A (en) * 1997-06-09 1999-10-05 Minolta Co., Ltd. Developing device
JP3510545B2 (ja) * 1999-11-24 2004-03-29 シャープ株式会社 現像装置
JP2002006599A (ja) 2000-06-27 2002-01-09 Canon Inc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410983B2 (ja) * 2002-10-30 2010-02-10 パナソニック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919683B2 (ja) * 2003-03-10 2007-05-30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
JP2005215483A (ja) * 2004-01-30 2005-08-11 Kyocera Mita Corp 現像装置
JP2005352225A (ja) * 2004-06-11 2005-12-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現像装置
JP2006308964A (ja) * 2005-04-28 2006-11-09 Kyocera Mita Corp 現像装置
JP4817828B2 (ja) 2005-12-13 2011-11-1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
JP4819547B2 (ja) * 2006-03-29 2011-11-24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
JP4980639B2 (ja) * 2006-03-31 2012-07-18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並びにこれを用いるプロセス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7310096A (ja) 2006-05-17 2007-11-29 Sharp Corp 映像表示装置、及びその表示輝度調整方法
US20080181672A1 (en) * 2007-01-25 2008-07-31 Kabushiki Kaisha Toshiba Development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0038939A (ja) * 2008-07-31 2010-02-18 Sharp Corp 現像装置及びこれを用いる画像形成装置
JP5561472B2 (ja) * 2009-06-29 2014-07-30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5444979B2 (ja) 2009-09-14 2014-03-19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171890B2 (ja) 2010-06-23 2013-03-27 シャープ株式会社 現像搬送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現像装置、トナーカートリッジおよびクリーニングユニット
JP5632663B2 (ja) 2010-06-29 2014-11-26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
JP2012042738A (ja) 2010-08-19 2012-03-01 Canon Inc 現像装置
JP5286376B2 (ja) * 2011-02-07 2013-09-11 シャープ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20120251185A1 (en) 2011-03-30 2012-10-04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device
JP6012214B2 (ja) 2011-04-20 2016-10-25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
JP5433637B2 (ja) * 2011-06-27 2014-03-05 シャープ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3020062A (ja) 2011-07-11 2013-01-31 Canon Inc 現像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1276A (ja) * 2002-10-30 2004-05-27 Kyocera Mita Corp 現像装置
JP2007310098A (ja) * 2006-05-17 2007-11-29 Murata Mach Ltd 画像形成装置
JP2010197839A (ja) * 2009-02-26 2010-09-09 Sharp Corp 現像装置及びこれを用いる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41999A4 (en) 2015-12-23
KR20150003842A (ko) 2015-01-09
US20150071683A1 (en) 2015-03-12
CN104246622A (zh) 2014-12-24
WO2013162075A1 (en) 2013-10-31
JP2013231799A (ja) 2013-11-14
US9563150B2 (en) 2017-02-07
EP2841999A1 (en) 2015-03-04
CN104246622B (zh) 2019-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5151B1 (ko) 현상 장치
KR101679497B1 (ko) 현상 장치
US8874009B2 (en) Developing device having dual feeding chambers
US11829086B2 (en) Developing apparatus
JP6025383B2 (ja) 現像装置
JP6648920B2 (ja) 現像装置
JP2012155251A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618297B2 (ja) 現像装置
JP2008176316A (ja) 画像形成装置
JP6598596B2 (ja) 現像装置
US20110150535A1 (en) Develop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JP2003195638A (ja) 現像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6755699B2 (ja) 現像装置
JP2011232536A (ja) 現像装置
JP6347828B2 (ja) 現像装置
JP2021096400A (ja) 現像装置
JP7379625B2 (ja) 現像装置
JP7147036B2 (ja) 現像装置
JP7416274B2 (ja) 現像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23012063A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7097082A (ja) 現像装置
JP2022080328A (ja) 現像装置
JP2023161928A (ja) 現像装置
JP2018005060A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20187381A (ja) 現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