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7303B1 - 카메라 장치, 카메라 시스템, 제어 장치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카메라 장치, 카메라 시스템, 제어 장치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7303B1
KR101677303B1 KR1020110073076A KR20110073076A KR101677303B1 KR 101677303 B1 KR101677303 B1 KR 101677303B1 KR 1020110073076 A KR1020110073076 A KR 1020110073076A KR 20110073076 A KR20110073076 A KR 20110073076A KR 101677303 B1 KR101677303 B1 KR 101677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image
control
information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3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2399A (ko
Inventor
도시히로 에조에
가즈노리 사까끼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012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23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7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7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카메라 장치는 카메라부에 의해 촬상된 전체 화상내에 지정된 제1 영역을 제어하기 위해 이용되는 제1 정보를 취득하는 제1 정보 취득부, 전체 화상내에 지정된 제2 영역을 제어하기 위해 이용되는 제2 정보를 취득하는 제2 정보 취득부, 복수의 장치로부터 입력될 수 있는 제1 정보 중, 제1 영역의 제어권을 갖는 장치로부터 입력된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카메라부의 기계적인 움직임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카메라부에 의해 촬상된 전체 화상으로부터 제1 영역의 화상을 취득하고, 복수의 장치로부터 입력될 수 있는 제2 정보 중, 제2 영역의 제어권을 갖는 장치로부터 입력된 상기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영역 내로부터 제2 영역의 화상을 추출하는 화상 처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메라 장치, 카메라 시스템, 제어 장치 및 프로그램{CAMERA DEVICE, CAMERA SYSTEM, CONTROL DEVICE AND PROGRAM}
본 발명은 카메라 장치, 카메라 시스템, 제어 장치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관련 분야에서, 카메라로 촬상할 수 있는 범위를 전체 화상으로서 표시하고, 그 전체 화상 상에서의 조작에 의해 카메라의 촬상 방위를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이 카메라 제어 시스템은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출원 공보 JP 2005-354748A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프리셋 설정된 개소에 대응하는 개소를 썸네일로서 표시하고, 썸네일들 중 원하는 썸네일을 선택함으로써, 프리셋 설정된 개소에 카메라의 촬상 방위를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일본 특허 출원 공보 JP 2005-354748A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카메라 단말 장치측에서, 기계적으로 팬, 틸트, 줌과 같은 제어를 행하여 화상을 취득하기 때문에, 취득할 수 있는 화상의 범위에 제약이 발생하는 것으로 상정된다. 또한, 전체 화상으로부터 디지털 방식으로 원하는 영역을 추출하여, 디지털 팬, 틸트 및 줌 조작을 행하는 것을 상정한 경우, 디지털 팬, 틸트 및 줌 조작과 기계적인 팬, 틸트 및 줌 조작을 서로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은 곤란하다.
상술한 관점에서, 디지털 팬, 틸트 및 줌 조작과, 기계적인 팬, 틸트 및 줌 조작을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는, 신규하면서도 개량된 카메라 장치, 카메라 시스템, 제어 장치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카메라부에 의해 촬상된 전체 화상내에 지정된 제1 영역을 제어하기 위해 이용되는 제1 정보를 취득하는 제1 정보 취득부, 상기 전체 화상내에 지정된 제2 영역을 제어하기 위해 이용되는 제2 정보를 취득하는 제2 정보 취득부, 복수의 장치로부터 입력될 수 있는 상기 제1 정보 중, 상기 제1 영역의 제어권을 갖는 장치로부터 입력된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부의 기계적인 움직임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촬상된 전체 화상으로부터 상기 제1 영역의 화상을 취득하고, 복수의 장치로부터 입력될 수 있는 상기 제2 정보 중, 상기 제2 영역의 제어권을 갖는 장치로부터 입력된 상기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영역 내로부터 상기 제2 영역의 화상을 추출하는 화상 처리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카메라 장치는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중 한 영역에 관한 제어권의 요구 정보를 취득하는 요구 정보 취득부와,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중 한 영역에 제어권이 할당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요구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권을 할당하는 제어권 할당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역의 제어권을 갖는 장치와는 다른 타 장치가 상기 제2 영역의 제어권을 갖는 경우에, 상기 제1 영역이 상기 타 장치의 제어권에 관한 상기 제2 영역에 포함되는 범위 내에서 상기 카메라부의 기계적인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상 처리부는 상기 제2 영역의 제어권을 갖는 장치와는 다른 타 장치가 상기 제1 영역의 제어권을 갖는 경우에, 상기 타 장치의 제어에 의해 정해진 상기 제1 영역 내로부터 상기 제2 영역의 화상을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화상을 촬상하는 카메라 단말 장치와, 상기 카메라 단말 장치를 제어하는 클라이언트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카메라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카메라 단말 장치는 카메라부에 의해 촬상된 전체 화상 내에 지정된 제1 영역을 제어하기 위해 이용되는 제1 정보를 취득하는 제1 정보 취득부, 상기 전체 화상 내에 지정된 제2 영역을 제어하기 위해 이용되는 제2 정보를 취득하는 제2 정보 취득부, 복수의 장치로부터 입력될 수 있는 상기 제1 정보 중, 상기 제1 영역의 제어권을 갖는 장치로부터 입력된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부의 기계적인 움직임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촬상된 전체 화상으로부터 상기 제1 영역의 화상을 취득하고, 복수의 장치로부터 입력될 수 있는 상기 제2 정보 중, 상기 제2 영역의 제어권을 갖는 장치로부터 입력된 상기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영역 내로부터 상기 제2 영역의 화상을 추출하는 화상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카메라 단말 장치에 의해 촬상된 전체 화상 내에 지정된 제1 영역을 제어하기 위해 이용되는 제1 정보를 취득하는 제1 정보 취득부, 상기 전체 화상 내에 지정된 제2 영역을 제어하기 위해 이용되는 제2 정보를 취득하는 제2 정보 취득부, 상기 제1 영역을 제어하는 제어권이 할당된 경우에,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카메라부의 기계적인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해 이용되는 제어 정보를 상기 카메라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부, 및 상기 제2 영역을 제어하는 제어권이 할당된 경우에,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촬상된 전체 화상으로부터 상기 제1 영역의 화상을 취득하고, 상기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영역 내로부터 상기 제2 영역의 화상을 추출하는 화상 처리부를 포함하는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제1 영역의 제어권을 갖는 장치와는 다른 타 장치가 상기 제2 영역의 제어권을 갖는 경우에, 상기 제1 영역이 상기 타 장치의 제어권에 관한 상기 제2 영역에 포함되는 범위 내에서 상기 카메라부의 기계적인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해 이용되는 상기 제어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상 처리부는 상기 제2 영역의 제어권을 갖는 장치와는 다른 타 장치가 상기 제1 영역의 제어권을 갖는 경우에, 상기 타 장치의 제어에 의해 정해진 상기 제1 영역 내로부터 상기 제2 영역의 화상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전체 화상과 상기 제2 영역의 화상에 대응하는 부분 화상을 모두 표시하고, 또한 상기 전체 화상 내에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대응하는 범위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1 영역의 제어권 및 상기 제2 영역의 제어권 중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전체 화상 내에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중 하나를 제어 가능한 범위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카메라부에 의해 촬상된 전체 화상 내에 지정된 제1 영역을 제어하기 위해 이용되는 제1 정보를 취득하는 유닛, 상기 전체 화상 내에 지정된 제2 영역을 제어하기 위해 이용되는 제2 정보를 취득하는 유닛, 복수의 장치로부터 입력될 수 있는 상기 제1 정보 중, 상기 제1 영역의 제어권을 갖는 장치로부터 입력된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부의 기계적인 움직임을 제어하는 유닛, 및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촬상된 전체 화상으로부터 상기 제1 영역의 화상을 취득하고, 복수의 장치로부터 입력될 수 있는 상기 제2 정보 중, 상기 제2 영역의 제어권을 갖는 장치로부터 입력된 상기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영역 내로부터 상기 제2 영역의 화상을 추출하는 유닛으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카메라 장치 및 상기 카메라 장치의 촬상 방위를 제어하는 복수의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이용 가능한 제어 장치가 제공되며, 이 제어 장치는 상기 카메라 장치에 의해 촬상된 전체 화상을 표시하는 전체 화상 영역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 및 상기 카메라 장치가 상기 전체 화상 상에 지정된 제1 영역에 대응하는 방위를 촬상하도록 상기 카메라 장치를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역에 포함되는 제2 영역을 확대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부분 화상 영역을 표시하고,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상기 전체 화상 상에 다른 표시 상태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 제어권을 갖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영역을 변경 가능하게 하고, 제2 제어권을 갖는 경우에는, 상기 제2 영역을 변경 가능하게 한다.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제2 영역이 상기 제1 영역 범위 내이면, 상기 제2 영역이 변경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제2 영역을 조작하여 변경하는 경우에, 상기 제2 영역이 상기 제1 영역 범위 내를 초과하도록 상기 제2 영역을 변경하고자 할 때, 상기 제1 영역도 변경하여, 상기 제2 영역이 상기 제1 영역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카메라 제어부는 상기 변경된 상기 제1 영역에 대응하는 방위를 촬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제어권을 갖는 제어 장치는, 동시에 복수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팬, 틸트 및 줌 조작과, 기계적인 팬, 틸트 및 줌 조작을 용이하면서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촬상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는 촬상 시스템에서 행해지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3은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4는 각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표시 화면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5는 각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표시되는 전체 화상과 부분 화상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6은 화상 범위 R1 및 화상 범위 R2의 조작 방법 1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7은 화상 범위 R1 및 화상 범위 R2의 조작 방법 2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8은 카메라 단말 장치가 기계적인 줌 기능만을 갖고 있는 경우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각 클라이언트 단말 장치에서의 전체 화상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0의 (a)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범위 R1 및 화상 범위 R2의 조작 방법 1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0의 (b)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범위 R1 및 화상 범위 R2의 조작 방법 1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0의 (c)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범위 R1 및 화상 범위 R2의 조작 방법 1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0의 (d)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범위 R1 및 화상 범위 R2의 조작 방법 1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0의 (e)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범위 R1 및 화상 범위 R2의 조작 방법 1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1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범위 R1 및 화상 범위 R2의 조작 방법 2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2는 하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화상 범위 R1과 화상 범위 R2의 양쪽의 제어권을 가지고 있고, 다른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제어권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3은 하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화상 범위 R1과 화상 범위 R2의 양쪽의 제어권을 가지고 있고, 다른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디지털 PTZ의 제어권을 가지고 있는 경우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4는 클라이언트 단말 장치가 기계적인 PTZ의 제어권을 가지고 있고, 다른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디지털 PTZ의 제어권을 가지고 있는 경우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5는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디지털 PTZ의 제어권을 가지고 있고, 다른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기계적인 PTZ의 제어권을 가지고 있는 경우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6은 화상 범위 R2에 대응하는 2개의 다른 영상 1 및 영상 2가 각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송신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및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함에 유의하라.
설명은 이하의 순서로 행하는 것에 유의하라.
1. 제1 실시 형태
(1) 촬상 시스템의 구성예
(2) 본 실시 형태의 처리
(3) 조작 방법 1
(4) 조작 방법 2
2. 제2 실시 형태
(1) 제2 실시 형태의 개요
(2) 조작 방법 1
(3) 조작 방법 2
3. 제3 실시 형태
(1) 제어권이 할당되었을 경우의 표시 및 조작
(2) 제어권 할당의 예
(3) 제어권 할당 관한 처리
1. 제1 실시 형태
(1) 촬상 시스템의 구성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촬상 시스템(500)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촬상 시스템(500)은 카메라 단말 장치(IP 카메라)(100) 및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200)를 포함한다. 이 카메라 단말 장치(100)와 각 클라이언트 단말기(200)는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300)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또한, 네트워크(300)에는 서버(400)가 접속되어 있고, 서버(400)는 네트워크(300)를 통하여 카메라 단말 장치(100) 및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와 접속되어 있다.
카메라 단말 장치(100)는 예를 들어, 옥 내외에 설치되는 감시 카메라이며, 피사체의 상을 결상하는 렌즈 광학계와, 결상된 피사체상을 광전 변환하는 촬상 소자를 포함하는 카메라부(10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카메라 단말 장치(100)는 화상 처리부(104), 송수신부(106), 제어부(108), 설정부(110) 및 타이머(112)를 구비하고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기(200)는 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PC)와 같은 기기이다. 클라이언트 단말기(200)는 송수신부(202), 제어부(204), 입력부(206) 및 표시부(208)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단말 장치(100)와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의 각 기능 블록은 하드웨어(회로) 또는 CPU와 같은 중앙 연산 처리 장치와 이를 기능시키기 위한 소프트웨어(프로그램)에 의해 구성되는 것에 유의하라. 후자의 경우, 프로그램은 카메라 단말 장치(100)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기(200)가 구비하는 메모리, 또는 외부로부터 삽입된 외장형 메모리와 같은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서버(400)는 카메라 단말 장치(100)와 유사한 화상 처리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며, 카메라 단말 장치(100)에서 취득된 화상을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서버(400)는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의 기능을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서버(400)의 기능은 카메라 단말 장치(100)와 통합될 수 있다.
도 2는 촬상 시스템(500)에서 행해지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여기서는, 일례로서, 카메라 단말 장치(100)가 옥내의 회의실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 단말 장치(100)의 카메라부(102)는 회의실 내의 비교적 넓은 범위를 전체 화상으로서 촬상한다.
전체 화상은 예를 들어, 정지 화상 데이터로서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에 송신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라이브 영상을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에 송신하고, 라이브 영상을 수신한 각각의 클라이언트 단말기(200)는 정지 화상을 추출할 수 있다. 유저는 클라이언트 단말기(200)를 사용하여, 전체 화상내에서 원하는 범위를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영역 A가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에 의해 지정되면, 카메라 단말 장치(100)는 영역 A의 라이브 영상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에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의 표시부(208)에는, 미리 카메라 단말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정지 화상의 전체 화상(이 경우는 라이브 영상이 아님)이, 제어부(204)의 처리에 의해 표시된다. 유저가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의 입력부(206)를 조작하여 전체 화상 중의 선택된 영역 A를 지정하면, 영역 A의 정보가 제어부(204)에 전송된다. 제어부(204)의 명령에 기초하여,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의 송수신부(202)는 영역 A의 정보를 카메라 단말 장치(100)에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204)의 명령에 기초하여, 영역 A의 정보(후술하는 화상 영역 R2에 상당)는 표시부(208)의 전체 화상내에 표시된다.
카메라 단말 장치(100)의 송수신부(106)가 네트워크(300)를 통하여 영역 A에 관한 정보(청구항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은 제2 정보)를 수신하면, 그 정보를 제어부(108)에 전송한다. 제어부(108)는 화상 처리부(104)에 대하여, 카메라부(102)로부터 전송된 화상(라이브 영상) 중, 영역 A의 부분만 추출하여 인코딩 처리하도록 지시한다. 송수신부(106)는 인코딩 처리된 영역 A의 라이브 영상을 화상 처리부(104)로부터 수신하고, 이 라이브 영상을 네트워크(300)를 통하여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에 송신한다.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의 송수신부(202)가 카메라 단말 장치(100)로부터 영역 A의 라이브 영상을 수신하면, 그 데이터를 화상 처리부(203)로 전송한다. 화상 처리부(203)에서는, 영역 A의 정보를 디코딩하고, 제어부(204)는 표시부(208)에 표시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 경우, 영역 A는 후술하는 화상 영역 R2에 대응한다는 것에 유의하라.
이와 같이, 유저는 클라이언트 단말기(200)를 조작하여 전체 화상으로부터 선택된 영역을 지정함으로써, 기계적인 팬, 틸트 및 줌(PTZ) 조작과 동등한 조작을 디지털 방식으로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선택된 영역의 영상을 취득할 수 있다.
특히, 최근, 네트워크(300)의 용량이 증가함으로써, 보다 화소수가 많은 고화질의 영상을 보낼 수 있다. 그러나, 전체 화상을 라이브 영상으로 하여 전송하는 경우, 그 데이터량은 방대하게 된다.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유저측에서 영역을 지정하여 필요한 데이터만을 전송함으로써, 선택된 영역의 고화질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화상 처리에 의한 영역 A의 추출은,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측에서 행해질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이 경우, (화상 처리부(104)에 상당하는) 화상 처리부(203)는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에 제공되고, 카메라 단말 장치(100)는 카메라부(102)로부터 전송된 화상(라이브 영상)을 인코딩 처리하여, 송수신부(106)로부터 네트워크(300)에 전송한다. 유저가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의 입력부(206)를 조작하여 전체 화상으로부터 선택된 영역 A를 지정하면, 제어부(204)는 화상 처리부(203)에 대하여 영역 A의 추출을 지시한다.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의 송수신부(202)가 라이브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면, 이 라이브 영상 데이터를 화상 처리부(203)에 송신하고, 화상 처리부(203)에 의해 영역 A가 추출된다. 추출된 영역 A의 화상은 제어부(204)로부터 표시부(208)에 전송되어, 표시부(208)에 표시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시스템에서는 디지털 팬, 틸트 및 줌 조작 외에, 기계적인 팬, 틸트 및 줌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 단말 장치(100)는 촬상 광학계의 광축 방향을 팬 및 틸트의 방향으로 가변할 수 있는 메카니컬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카메라 단말 장치(100)는 촬상 광학계의 줌 광학계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메커니컬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메커니컬 기구는 도 2에 도시된 카메라부(102)에 포함되고, 모터 및 기어와 같은 구동 기구로 구성된다. 카메라 단말 장치(100)의 카메라부(102)에 의해 제어부(108)의 명령에 따라 이들 메카니컬 기구를 구동함으로써, 기계적인 팬, 틸트 및 줌 조작을 행할 수 있다.
기계적인 팬, 틸트 및 줌 조작에 대해서도, 상술한 디지털 팬, 틸트 및 줌 조작과 유사하게,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의 전체 화상 중에서 영역을 지정함으로써,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측으로부터 조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유저가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의 입력부(206)를 조작하여 전체 화상으로부터 선택된 영역 A를 지정하면, 제어부(204)의 지시에 기초하여,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의 송수신부(202)는 영역 A의 정보(제1 정보)를 카메라 단말 장치(100)에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204)의 명령에 기초하여, 영역 A의 정보(후술하는 화상 영역 R1에 대응)는 표시부(208)의 전체 화상내에 표시된다.
카메라 단말 장치(100)의 송수신부(106)가 네트워크(300)를 통하여 영역 A에 관한 정보(제1 정보)를 수신하면, 그 정보를 제어부(108)에 전송한다. 제어부(108)는 영역 A의 정보에 기초하여, 카메라부(102)에 대하여, 카메라부(102)의 기계적인 팬, 틸트 및 줌 위치를 지시한다. 이때, 제어부(108)는 전체 화상내의 영역 A의 위치, 영역 A의 크기에 따라서, 팬, 틸트 및 줌 위치를 지시할 수 있다. 카메라부(102)는 영역 A의 정보에 기초하여, 기계적인 팬, 틸트 및 줌 위치를 제어한다. 이 경우, 영역 A는 후술하는 화상 영역 R1에 대응한다는 것에 유의하라.
도 3은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200)가 네트워크(300)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개개의 클라이언트 단말기(200)는 전체 화상으로부터 선택된 영역을 지정함으로써, 기계적인 PTZ 조작 및 디지털 PTZ 조작을 함께 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개개의 클라이언트 단말기(200)로부터의 명령이 경합하는 것이 상정되지만, 이에 대해서는 제3 실시 형태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라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2) 본 실시 형태의 처리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처리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4는 각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의 표시 화면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각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에는, 상술한 전체 화상과 부분 화상이 함께 표시된다. 도 4에서는, 각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에 공통으로 표시되는 전체 화상과, 각 클라이언트(200)마다 개별로 표시되는 부분 화상을 함께 나타내고 있다.
전체 화상은 카메라 단말 장치(100)에 의해 미리 촬상된 광범위한 화상이며, 예를 들어, 카메라 단말 장치(100)에서 기계적인 팬, 틸트, 및 줌 조작이 가능한 가장 넓은 범위에서 촬상된 파노라마 화상이다. 전체 화상은 예를 들어, 카메라 단말 장치(100)를 기계적인 PTZ 조작을 행하여 광축 방향이 다른 복수의 화상을 촬상하고, 이들 복수의 화상을 접속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한편, 각각의 부분 화상은 각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에서, 유저가 전체 화상으로부터 지정한 특정 범위의 화상이며, 각 클라이언트 단말기(200)마다 다른 범위를 선택할 수 있다. 도 4는 각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에 대응하는 클라이언트 A, B, C의 각 단말기에 전체 화상과 부분 화상이 표시되는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의 예에서는, 클라이언트 A의 단말기에 전체 화상 중 영역 A에 대응하는 부분 화상이 표시되고, 클라이언트 B의 단말기에 전체 화상 중 영역 B에 대응하는 부분 화상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C의 단말기에는, 클라이언트 A와 유사하게, 전체 화상 중 영역 A에 대응하는 부분 화상이 표시되어 있다.
각 클라이언트의 단말기 각각의 표시부(208)에는 전체 화상과 부분 화상이 함께 표시된다. 도 4의 예에서는, 클라이언트 A의 단말기에는 클라이언트 A의 부분 화상과 전체 화상이 표시되고, 다른 클라이언트의 부분 화상은 표시되지 않는다. 그러나, 관리자 등의 경우에는, 클라이언트 A의 단말기에 다른 클라이언트의 부분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A의 단말기에 표시되는 전체 화상 중에 다른 클라이언트의 부분 화상에 대응하는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클라이언트 A의 단말기에서는 다른 클라이언트의 부분 화상의 영역을 인식할 수 있다.
도 5는 각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에 표시되는 전체 화상과 부분 화상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에 표시되는 전체 화상에는, 기계적인 PTZ에 의한 화상 영역 R1과, 디지털 PTZ에 의한 화상 영역 R2가 함께 표시된다. 기계적인 PTZ에 의한 화상 영역 R1은 카메라 단말 장치(100)의 기계적인 동작에 의해 지정되는 화상 영역을 나타내고 있고, 디지털 PTZ 조작이 행해지고 있지 않은 상태의 화상 영역을 나타내고 있다. 바꾸어 말하자면, 기계적인 PTZ에 의한 화상 영역 R1은 카메라 단말 장치(100)의 기계적인 처리에 의한 팬, 틸트 및 줌 위치가 변경되지 않았을 때 표시되는 화상 영역에 대응한다. 따라서, 기계적인 PTZ에 의한 화상 영역 R1은 카메라 단말 장치(100)의 기계적인 팬, 틸트 및 줌 위치를 가변한 경우에, 그 범위가 변경된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시스템에서는, 1개의 카메라 단말 장치(100)에 대하여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200)가 접속된다. 따라서, 기계적인 PTZ에 의한 화상 영역 R1은 1개의 카메라 단말 장치(100)의 기계적인 팬, 틸트 및 줌 위치에 대응하며, 각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에서 동일한 범위가 된다. 따라서, 각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에 표시된 전체 화상내에는 동일한 화상 영역 R1이 표시된다.
한편, 디지털 PTZ에 의한 화상 영역 R2는 기계적인 PTZ에 의한 화상 영역 R1으로부터, 디지털 조작에 의해 그 일부분을 추출한 화상 영역에 대응한다. 그 결과, 원칙적으로, 디지털 PTZ에 의한 화상 영역 R2는 기계적인 PTZ에 의한 화상 영역 R1보다도 좁은 범위가 된다. 기계적인 PTZ에 의한 화상 영역 R1내에 디지털 PTZ에 의한 화상 영역 R2가 지정되면, 카메라 단말 장치(100)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에서 행해지는 화상 처리에 의해, 화상 영역 R1으로부터 화상 영역 R2가 추출되어 표시된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부분 화상은 기계적인 PTZ에 의한 화상 영역 R1으로부터 유저의 지정에 따라 추출된 디지털 PTZ의 화상 영역 R2에 대응한다.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의 제어부(204)는 화상 영역 R1과 화상 영역 R2의 표시 상태가 상이하도록 표시부(208)에 표시하는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 영역 R1과 화상 영역 R2의 윤곽을 상이한 색으로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유저는 화상 영역 R1과 화상 영역 R2를 시각적으로 구별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개의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에 표시되는 전체 화상내에는, 모든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에 공통이며 기계적인 PTZ에 의한 화상 영역 R1과 함께, 화상 영역 R1내에 지정된 디지털 PTZ에 의한 화상 영역 R2가 표시된다. 유저는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의 입력부(206)(마우스, 키보드 등)를 조작함으로써, 전체 화상으로부터, 화상 영역 R1 및 화상 영역 R2를 지정하여, 이 화상 영역 R1 및 화상 영역 R2를 선택된 범위로 변경할 수 있다. 이하, 화상 영역 R1과 화상 영역 R2의 지정 및 변경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3) 조작 방법 1
도 6은 화상 영역 R1 및 화상 영역 R2의 조작 방법 1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조작 방법 1에서는, 화상 영역 R1 및 화상 영역 R2를 지정하기 위한 2종류의 PTZ 조작을 독립하여 행한다. 이하에서는, 유저가 마우스 조작에 의해 PTZ 조작을 행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다.
유저가 화상 영역 R2를 지정하여 디지털 PTZ 조작을 행한 경우에, 화상 영역 R2의 조작이 화상 영역 R1의 표시 영역 내에서 행해진 경우는, 화상 영역 R1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화상 영역 R2를 변경하는 조작이 행해진다. 유저가 화상 영역 R1의 범위 내에서 화상 영역 R2를 설정하고 있는 경우에는, 화상 영역 R1은 변경되지 않고, 카메라 단말 장치(100)에 있어서의 기계적인 PTZ 위치는 변경되지 않는다. 따라서, 유저가 화상 영역 R1의 범위 내에서 화상 영역 R2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기계적인 조작을 행하지 않고, 화상 영역 R1내에서 화상 처리에 의해 지정된 화상 영역 R2를 추출하여, 부분 화상으로서 표시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와 같이, 화상 영역 R1을 변경하지 않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클라이언트 B와 같이 다른 유저가 다른 화상 영역 R2의 화상을 부분 화상으로서 표시하고 있어도, 문제없이, 다른 유저가 부분 화상을 계속해서 볼 수 있다.
또한, 유저가 화상 영역 R1을 지정하여 PTZ 조작을 행한 경우에, 화상 영역 R2의 표시 영역을 촬상할 수 있는 범위이면, 디지털 PT는 고정이고, 화상 영역 R1을 변경하는 기계적인 PT 조작을 행한다.
다음으로, 유저가 화상 영역 R2를 지정하여 디지털 PT 조작을 행하는 경우에, 기계적인 PT 조작의 표시 영역 외에 팬 및 틸트가 행해진 경우, 즉, 유저가 화상 영역 R2의 지정을 화상 영역 R1의 범위를 벗어나 확대하고자 한 경우에는, 기계적인 PT 조작을 연동하여 행하고, 화상 영역 R2가 화상 영역 R1 내가 되도록 화상 영역 R1을 변경한다. 이와 같이, 유저가 화상 영역 R2를 조작하여, 화상 영역 R1의 표시 영역 벗어나 PTZ 조작을 행하면, 화상 영역 R1의 범위 외의 화상이 지정되기 때문에, 카메라 단말 장치(100)의 기계적인 PTZ 위치를 변경하는 동작이 행해진다.
또한, 다른 예로서, 화상 영역 R2가 조작된 경우는, 화상 영역 R2가 화상 영역 R1의 범위내 인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화상 영역 R1의 PT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유저가 화상 영역 R1을 지정하여 기계적인 PT 조작을 행하는 경우에, 디지털 PT의 화상 영역 R2가 화상 영역 R1의 표시 영역을 벗어난 경우에는, 디지털 PT 조작을 기계적인 PT 조작과 연동하여 행하기 때문에, 화상 영역 R2가 화상 영역 R1 내가 되도록 화상 영역 R2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상의 조작에 의해, 유저는 화상 영역 R1과 화상 영역 R2의 각각을 지정함으로써, 기계적인 PT 조작 또는 디지털 PT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화상 영역 R1 및 화상 영역 R2 중 어느 한쪽 조작에 의해 다른 쪽의 화상 영역을 표시하기 어렵게 되는 경우에는, 다른 쪽의 화상 영역을 연동하여 변경함으로써, 항상 화상 영역 R1내에 화상 영역 R2를 설정할 수 있다.
화상 영역 R1 및 화상 영역 R2의 지정 및 변경은 전체 화상 상에서 유저가 마우스를 사용하여 클릭 및 드래그 조작을 행함으로써 실현된다. 예를 들어, 화상 영역 R1(또는 화상 영역 R2)을 선택한 상태에서, 유저가 전체 화상내의 선택된 점을 클릭함으로써, 화상 영역 R1(또는 화상 영역 R2)의 중심을 클릭한 점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대안적으로, 유저는 화상 영역 R1(또는 화상 영역 R2)을 선택한 상태에서, 드래그 조작에 의해 화상 영역 R1(또는 화상 영역 R2)을 선택된 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전체 화상 상에서 선택된 점을 클릭한 경우, 클릭한 점이 화상 영역 R1 내이면, 화상 영역 R1(기계적인 PT)은 고정인 상태에서, 화상 영역 R2(디지털 PT)의 중앙을 클릭 위치로 정렬할 수 있다. 클릭한 점이 화상 영역 R1의 표시 영역을 벗어나 있다면, 기계적인 및 디지털 양쪽의 표시 영역의 중앙이 클릭 위치로 정렬되도록 기계적인 및 디지털 양쪽의 조작을 행한다.
이 경우에, 디지털 PT의 화상 영역 R2의 중앙이 클릭 위치로 정렬되지만, 기계적인 PT에 의한 화상 영역 R1의 중앙은 클릭 위치일 필요는 없다. 대안적으로, 화상 영역 R2가 화상 영역 R1에 정확하게 맞추어지도록 기계적인 PT를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기계적인 PT에 의한 조작량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줌 조작에 대해서는, 원칙적으로, 기계적인 또는 디지털의 줌 조작이 지정되는 경우(화상 영역 R1 또는 화상 영역 R2가 지정되는 경우)에는, 상술한 PT 조작과 유사하게 지정되어 있는 측의 줌만을 줌 제어한다.
또한, 기계적인 또는 디지털의 줌 조작이 지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줌 조작이 지시된 경우, 우선 기계적인 줌을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기계적인 줌을 행하기 때문에, 화상 영역 R1을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행함으로써, 화상 영역 R1 내 및 화상 영역 R2 내의 화상이 함께 확대되어, 부분 화상으로서 화상 영역 R2에 대응하는 범위가 표시된다. 다음으로, 기계적인 줌이 텔레포토(망원) 방향으로 최대로 된 경우(기계적인 줌이 텔레포토 단부에 도달한 경우), 디지털 줌을 이용하여 화상 영역 R2의 범위를 더욱 확대하는 처리를 행한다.
조작 방법 1에서는, 화상 영역 R2를 지정하여 화상 영역 R2를 이동시킨 경우에, 화상 영역 R1은 최소한의 범위에서만 이동되므로, 다른 클라이언트 단말기(200)가 디지털 PTZ 조작을 하고 있는 경우에, 다른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에 가해지는 영향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4) 조작 방법 2
도 7은 화상 영역 R1 및 화상 영역 R2의 조작 방법 2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조작 방법 2에서는, 기계적인 PTZ 조작과 디지털 PTZ 조작을 연동시켜 동작시키는 것이다. 도 7에서, 화상 영역 R1(기계적인 PT) 및 화상 영역 R2(디지털 PT) 중 어느 하나를 지정하여 그 영역을 이동시키는 경우에 있어서도, 화상 영역 R1과 화상 영역 R2간의 위치 관계는 그대로 동일한 상태로 하여, 나란히 화상 영역 R1 및 화상 영역 R2를 이동시킨다.
예를 들어, 화상 영역 R1(또는 화상 영역 R2)을 선택한 상태에서, 유저가 전체 화상 중의 선택된 점을 클릭하면, 화상 영역 R1과 화상 영역 R2간의 위치 관계는 그대로 동일한 상태로 유지하면서, 화상 영역 R2의 중심을 클릭한 점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줌 조작에 대해서도, 화상 영역 R1(기계적인 PT) 및 화상 영역 R2(디지털 PT) 중 어느 하나를 지정하여 그 영역을 이동시키는 경우에 있어서도, 화상 영역 R1과 화상 영역 R2간의 배율의 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줌 조작을 행한다.
조작 방법 2에서는, 카메라 단말 장치(100)가 소정 대상을 추적하여 촬상하는 경우에, 화상 영역 R1과 화상 영역 R2가 함께 이동하기 때문에, 추적 대상을 화상 영역 R1 내에서 확실하게 추적할 수 있다. 또한, 추적 대상이 잠시 화상 영역 R2로부터 벗어나 버린 경우라도, 화상 영역 R2와 함께 화상 영역 R1을 움직이게 하고 있기 때문에, 화상 영역 R1을 항상 기록해 둠으로써, 추후 추적할 수 없었던 대상을 취득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단말기(200)가 기계적인 줌 조작과 디지털 줌 조작을 지정하여 선택된 제어를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기계적인 줌 조작과 디지털 줌 조작이 가능한 시스템에서, 원하는 범위의 화상을 취득할 수 있다.
2. 제2 실시 형태
(1) 제2 실시 형태의 개요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카메라 단말 장치(100)가 기계적인 팬 및 틸트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고, 기계적인 줌(광학 줌) 기능만을 가지고 있다. 도 8은 카메라 단말 장치(100)가 기계적인 줌 기능만을 갖고 있는 경우의 카메라 단말 장치(100)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 단말 장치(100)의 카메라 렌즈로부터 취득된 영상내에서 디지털 PTZ 조작이 행해진다. 이 경우,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측으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카메라 단말 장치(100)의 카메라 렌즈로부터 취득되는 영상의 일부(도 8에 도시된 영역 A)를 추출하여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에 전송한다. 영상의 전송시에는, 카메라 렌즈로부터 취득되는 영상 전체를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에 전송하고, 수신측인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측에서 모든 영상 내로부터 영역 A를 추출하여 표시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는 것에 유의하라.
도 9는 각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에 전체 화상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전체 화상내에는, 제1 실시 형태와 유사하게, 기계적인 Z에 의한 화상 영역 R1과 함께, 화상 영역 R1내에 지정된 디지털 PTZ에 의한 화상 영역 R2가 표시된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기계적인 팬 및 틸트 조작을 할 수 없으므로, 기계적인 PTZ에 의한 화상 영역 R1은 항상 전체 화상의 중앙에 표시된다. 도 9에서는 전체 화상만을 나타내고 있지만, 각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의 표시부(208)에는, 도 5와 유사하게 전체 화상과 부분 화상이 함께 표시된다는 것에 유의하라.
(2) 조작 방법 1
도 10의 (a) 내지 (e)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영역 R1 및 화상 영역 R2의 조작 방법 1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조작 방법 1에서는, 기계적인 광학 줌 조작에 의한 화상 영역 R1의 지정과, 디지털 PTZ 조작에 의한 화상 영역 R2의 지정을 독립하여 행한다.
우선, 도 10의 (a)에서, 화상 영역 R2의 디지털 PT 조작이 기계적인 줌의 화상 영역 R1의 표시 영역 내이면, 화상 영역 R1을 고정한 상태에서 화상 영역 R2의 디지털 PTZ 조작이 행해진다. 또한, 도 10의 (b)는 광학 줌 조작에 의한 화상 영역 R1의 지정을 나타낸다. 도 10의 (b)에서는, 디지털 PTZ 조작에 의한 화상 영역 R2가 화상 영역 R1에 포함되는 범위에서, 기계적인 PT 조작에 의해 화살표로 나타내는 범위내에서 화상 영역 R1을 가변할 수 있다.
도 10의 (c)는 디지털 PTZ 조작에 의해 화상 영역 R2가 가변될 때에, 화상 영역 R2가 화상 영역 R1의 표시 영역을 벗어나 확장되도록 조작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화상 영역 R2가 화상 영역 R1에 포함되도록, 광학 줌 조작에 의해 화상 영역 R1을 연동하여 확대하는 조작이 행해진다.
도 10의 (d)는 전체 화상에 있어서의, 광학 줌의 화상 영역 R1의 표시 비율이 소정값보다 커진 경우에, 화상 영역 R2에 따라서 기계적인 줌을 텔레포토측으로 이동시키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디지털 PT 조작에 의해 화상 영역 R2가 전체 화상의 중심 방향으로 이동되면, 화상 영역 R1에 화상 영역 R2가 포함되는 범위내에서 광학 줌을 텔레포토측으로 줌하고, 표시 비율이 상술한 소정값의 표시 비율에 접근하도록 광학 줌을 행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광학 줌에 의한 화상 영역 R1의 범위가 필요 이상으로 확대되는 것을 억제하여, 화질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의 (e)는 광학 줌 조작에 의해 화상 영역 R1을 조작하고 있는 동안, 디지털 PTZ에 의한 화상 영역 R2의 일부가 화상 영역 R1을 벗어나서 확대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화상 영역 R2가 화상 영역 R1 내가 되도록 디지털 PT 조작을 연동하여 행한다.
또한, 줌 조작에 대해서도, 화상 영역 R1(광학 줌) 및 화상 영역 R2(디지털 줌) 중 어느 하나를 지정하여 그 영역을 이동시키는 경우에 있어서도, 화상 영역 R1과 화상 영역 R2간의 배율의 비가 일정한 값으로 유지되도록 줌 조작을 행한다.
또한, 줌 조작이 행해진 경우, 우선, 광학 줌의 범위 내에서, 광학 줌을 행한다. 다음으로, 광학 줌의 텔레포토 방향으로 최대로 줌한 경우, 또한 텔레포토 방향으로 줌 조작이 행해지면, 디지털 줌을 행한다.
(3) 조작 방법 2
도 11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영역 R1 및 화상 영역 R2의 조작 방법 2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조작 방법 2에서는, 광학 줌과 디지털 줌을 연동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도 11에서, 광학 줌에 의한 화상 영역 R1과 디지털 줌에 의한 화상 영역 R2간의 배율의 비가 일정한 값으로 유지되도록 줌 조작을 행한다.
이 경우, 기계적인 줌 또는 디지털 줌 중 어느 하나를 지정해도, 화상 영역 R1 및 화상 영역 R2 각각의 중심은 고정되고, 화상 영역 R1과 화상 영역 R2간의 배율의 비가 일정해지는 줌이 행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면, 카메라 단말 장치(100)가 기계적인 팬 및 틸트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카메라 단말 장치(100)의 광학 줌 기능과 디지털 PTZ 조작에 의해 원하는 범위의 화상을 취득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1) 제어권이 할당된 경우의 표시 및 조작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다. 제3 실시 형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술한 개개의 클라이언트 단말기(200)로부터의 명령들간에 경합이 있을 경우의 처리에 관한 것이다. 이 경우, 제3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200) 중 어느 하나에 조작권을 할당하고, 조작권을 갖는 클라이언트 단말기(200)가 PTZ 조작을 행한다. 바꾸어 말하면,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권을 갖는 클라이언트 단말기(200)만이 배타적으로 PTZ 조작의 제어를 행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제1 및 제2 실시 형태와 유사하게, 기계적인 PTZ 조작과 디지털 PTZ 조작의 양쪽을 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기계적인 PTZ 조작과 디지털 PTZ 조작의 양쪽에 대하여, 배타적인 조작권을 할당할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 단말 장치(100)는 시스템 내에 1개 존재하므로, 기계적인 PTZ 조작의 제어권은 클라이언트 단말기(200)들 중 선택된 하나만이 보유할 수 있다. 한편, 디지털 PTZ 조작의 제어권에 대해서는, 하나의 선택된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에만 할당할 수 있거나,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에 할당할 수 있다. 이하,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도 12는 하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200)가 화상 영역 R1과 화상 영역 R2의 양쪽의 제어권을 가지고 있고, 다른 클라이언트(200)는 제어권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 영역 R1과 화상 영역 R2의 제어권을 갖고 있는 클라이언트 단말기(200)는 기계적인 PTZ 조작과 디지털 PTZ 조작을 함께 행할 수 있고, 화상 영역 R1과 화상 영역 R2를 자유롭게 조작할 수 있다. 이 경우, 기계적인 PTZ 조작에 의해 화상 영역 R1을 자유롭게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PTZ 조작을 이용하여 화상 영역 R1내에서 화상 영역 R2의 설정을 자유롭게 조작할 수 있다.
여기서, (기계적인 PTZ 조작에 대하여 제어권을 갖고 있지 않고, 디지털 PTZ 조작에 관한 제어권만을 갖고 있는) 다른 클라이언트 단말기(200)는 기계적인 PTZ 조작의 제어권을 가지고 있는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에 의해 화상 영역 R1이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화상 영역 R1내에서 화상 영역 R2의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200)가 기계적인 PTZ 조작의 제어권과 디지털 PTZ 조작의 제어권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 영역 R1과 화상 영역 R2는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다.
도 13은 하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200)가 화상 영역 R1과 화상 영역 R2의 양쪽의 제어권을 가지고 있고, 다른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여기서는 하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200))는 디지털 PTZ의 제어권을 가지고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기계적인 PTZ 조작에 제한을 하지 않는다면, 디지털 PTZ 조작의 제어권을 갖고 있는 다른 클라이언트 단말기(200)가 원하는 디지털 PTZ 조작을 행할 수 없게 된다. 이로 인해, 기계적인 PTZ 조작의 제어권을 가지고 있는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상에 다른 클라이언트 단말기(200)가 갖고 있는 디지털 PTZ 조작의 제어권에 관한 화상 영역 R2(도 13에 화상 영역 R2a로서 나타냄)를 표시한다. 다음으로, 다른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상의 화상 영역 R2a의 표시를 보장하기 위하여, 기계적인 PTZ 조작의 제어권을 가지고 있는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상에 화상 영역 R2a와, 화상 영역 R2a를 포함하는 범위(도 13에 파선으로 나타낸 직사각형의 범위 C)를 표시하고, 이 파선의 범위 내에서만 기계적인 PTZ 조작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기계적인 PTZ 조작의 제어권을 가지고 있는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에 의한 제어에 제약을 가함으로써, 기계적인 PTZ 조작이 행해졌다고 해도, 다른 클라이언트 단말기(200)가 갖고 있는 디지털 PTZ 조작의 제어권에 관한 화상 영역 R2는 화상 영역 R1 내에 항상 포함되게 되기 때문에, 다른 클라이언트 단말기(200)는 화상 영역 R2a의 부분 화상을 계속해서 취득할 수 있다.
도 13의 경우에 있어서도, 도 12와 유사하게, 기계적인 PTZ 조작의 제어권을 가지고 있는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상에 화상 영역 R1내에 디지털 PTZ에 의해 화상 영역 R2를 지정하여 부분 화상으로서 취득할 수 있다. 또한, 도 13에서와 같이, 하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200)가 화상 영역 R1 및 R2의 양쪽의 제어권을 가지고 있고, 다른 클라이언트 단말기(200)가 화상 영역 R2의 제어권을 가지고 있고, 화상 영역 R2에 대하여 양쪽의 클라이언트 단말기(200)가 제어권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다른 클라이언트 단말기(200)가 화상 영역 R2의 제어권을 가지고 있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하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에 대해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긴급하게 어느 장소의 영상을 보고 싶은 경우에, 다른 클라이언트 단말기(200)가 제어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 영역에 기계적인 PTZ 조작을 할 수 없게 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통상은, 화상 영역 R2a와 파선으로 나타낸 범위 C는 표시하지 않아도 되므로, 기계적인 PTZ 조작에 대하여 제어권을 가지고 있는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상에 유저가 PTZ 조작을 행한 경우에만 화상 영역 R2a와 범위 C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화상 영역 R1을 직사각형 범위 C보다도 크게 할 수는 없기 때문에, 범위 C를 벗어난 영역은 제어권이 할당되지 않은 영역으로 된다. 이로 인해,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범위 C를 벗어난 영역을 백색으로 표시하여(대안적으로, 그레이 표시 등이어도 됨), 제어권이 할당되지 않은 영역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4는 클라이언트 단말기(200)가 기계적인 PTZ 조작의 제어권을 가지고 있고, 다른 클라이언트 단말기(200)가 디지털 PTZ 조작의 제어권을 가지고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기계적인 PTZ 조작을 할 수 있는 범위는 다른 클라이언트 단말기(200)가 갖고 있는 디지털 PTZ 조작의 제어권에 관한 화상 영역 R2(도 14에 화상 영역 R2a로서 나타냄)를 포함하는 범위(도 14에 파선으로 나타낸 직사각형의 범위 C)이다.
도 14의 예에 있어서도, 통상은, 화상 영역 R2a와 파선으로 나타낸 범위 C는 표시하지 않아도 되므로, 기계적인 PTZ 조작에 대하여 제어권을 가지고 있는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상에 유저가 PTZ 조작을 하는 경우에만 화상 영역 R2a와 범위 C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14의 예에 있어서도, 범위 C를 벗어난 영역을 백색으로 표시하여(또는 그레이 표시 등이어도 됨), 제어권이 할당되지 않은 영역을 시각적으로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5는 클라이언트 단말기(200)가 디지털 PTZ 조작의 제어권을 가지고 있고, 다른 클라이언트 단말기(200)가 기계적인 PTZ 조작의 제어권을 가지고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디지털 PTZ 조작에 의한 화상 영역 R2의 조작이 가능한 범위는 다른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에 의해 설정되어 있는 기계적인 PTZ의 범위(화상 영역 R1) 이내이다. 화상 영역 R1은 기계적인 PTZ 조작의 제어권을 가지고 있는 다른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에 의한 조작에 의해 변경된다. 다른 클라이언트 단말기(200)가 기계적인 PTZ 조작의 제어권을 갖고 있으면, 라이브 영상으로서 부분 화상 영역에 표시할 수 없는 화상(화상 영역 R2 이외의 화상)도, 서버(400)에 미리 기록해 둠으로써, 나중에 화상 영역 R1의 화상에 대해서는 볼 수 있다.
(2) 제어권 할당의 예
상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PTZ 조작에 의한 화상 영역 R2에 대해서는, 카메라 단말 장치(100)로부터 네트워크(300)를 통하여 복수의 화상 스트림을 송신함으로써, 상이한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200)가 다른 화상 영역 R2의 영상을 취득할 수 있다. 도 16은 화상 영역 R2에 대응하는 2개의 다른 영상(영상 1 및 영상 2)가 각각의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에 송신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여기서, 예를 들어, 영상 1은 도 13에 나타낸 화상 영역 R2에 대응하고, 영상 2는 도 13에 나타낸 화상 영역 R2a에 대응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영상(영상 1과 영상 2)을 조작할 수 있는 경우에, 영상 1 또는 영상 2 중 어느 하나의 제어권을 활용할 수 있는 경우, 다음에 영상의 조작에 참여해 온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에 활용가능한 영상 제어권을 할당한다.
예를 들어, 영상 1과 영상 2의 양쪽의 제어권을 활용할 수 있는 경우, 최초로 참여해 온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여기서는, 조작자 1)는 영상 1과 영상 2 중 어느 한쪽의 제어권을 취득할 수 있다. 여기서는, 조작자 1이 영상 1의 제어권을 얻어, 영상 1을 조작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조작자 1은 영상 1의 제어권을 보유하고 있는 동안은, 상술한 처리에 따라, 자유롭게 영상 1의 범위를 조작하여, 원하는 영역의 라이브 영상을 취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조작자 1이 영상 1의 제어권을 보유하고 있는 상태에서, 새롭게 참여해 온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여기서는, 조작자 2)는 영상 2의 제어권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영상 2의 제어권을 취득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조작자 2는 영상 2의 제어권을 보유하고 있는 동안은, 자유롭게 영상 2의 범위를 조작하여, 원하는 영역의 라이브 영상을 취득할 수 있다. 영상 1의 제어권을 활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영상 2의 제어권을 활용할 수 있다고 할지라도, 영상 1의 제어권을 활용할 수 있을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다음으로, 조작자 1이 영상 1의 제어권을 보유하고, 또한 조작자 2가 영상 2의 제어권을 보유하고 있는 상태에서, 참여해 온 다음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여기서는, 조작자 3)는 영상 1과 영상 2의 양쪽의 제어권이 조작자 1 및 조작자 2에 의해 보유되어 있기 때문에, 제어권을 취득할 수 없다. 이로 인해, 조작자 3은 영상 1 또는 영상 2의 제어권이 활용가능하게 될 때까지 대기하게 된다. 대기하고 있을 때, 클라이언트 단말기(200)는 통상적으로, 도 4에 도시한 클라이언트 C의 단말기와 같이, 다른 클라이언트 A의 단말기와 같은, 제어권을 가지고 있는 다른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와 동일한 영상을 보게 된다. 또한, 그 후에 조작자 4가 참여해 오면, 참여해 온 시각이 빠른 클라이언트 단말기(200)로부터 순서대로, 제어권이 활용가능하게 될 때, 제어권을 취득하게 된다.
제어권을 보유하는 시간은, 예를 들어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카메라 단말 장치(100)의 타이머(112)에서는 각각의 조작자가 제어권을 보유하고 있는 시간을 카운트하고, 미리 정해진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그 조작자의 제어권을 해제한다. 일례로서, 제어권을 보유하는 시간이 15분인 경우, 상술한 예에서 조작자 1이 영상 1의 제어권을 취득한 후 15분이 경과하면, 조작자 1의 영상 1에 대한 제어권이 해제된다. 그 결과, 대기하고 있던 조작자 3은 영상 1의 제어권을 획득하여 영상 1을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조작자 2가 영상 2의 제어권을 취득한 후 15분이 경과하면, 조작자 2의 영상 2에 대한 제어권이 해제된다. 그 결과, 대기하고 있던 조작자 4는 영상 2의 제어권을 취득하여 영상 2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기계적인 화상 영역 R1에 대하여 제어권을 할당한 경우도, 유사한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시스템 내에는 카메라 단말 장치(100)가 1대이므로, 화상 영역 R1의 제어권에 대해서는 하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에만 할당된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화상 영역 R1의 제어권을 활용가능한 경우, 최초로 참여해 온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여기서는, 조작자 1)는 화상 영역 R1의 제어권을 취득할 수 있다. 조작자 1이 화상 영역 R1의 제어권을 보유하고 있는 상태에서 참여해 온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여기서는, 조작자 2)는 화상 영역 R1의 제어권이 활용가능하게 될 때까지 대기하게 된다.
(3) 제어권 할당에 관한 처리
제어권을 얻고자 하는 경우, 유저는 클라이언트 단말기(200)로부터 화상 영역 R1 또는 화상 영역 R2를 선택하는 조작을 행한다. 여기서는, 도 15에 도시한 클라이언트 단말기(200)들 중 선택된 단말기가 화상 영역 R2의 영상 1의 제어권을 취득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의 조작은 예를 들어, 마우스, 키보드 등의 입력부(206)를 사용하여 표시부(208)에 표시되어 있는 영상 1의 외부 프레임을 지정함으로써 수행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술한 조작에 응답하여, 송수신부(202)는 클라이언트 단말기(200)가 영상 1에 대한 제어권을 취득하려고 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제어권 요구 정보)를 카메라 단말 장치(100)에 전송한다. 클라이언트 단말기(200)가 영상 2에 대한 제어권을 취득하려고 하고 있는 경우에는, 클라이언트 단말기(200)가 영상 2에 대한 제어권을 취득하려고 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제어권 요구 정보)가 카메라 단말 장치(100)에 전송된다 것에 유의하라.
제어권 요구 정보는 네트워크(300)를 통하여 카메라 단말 장치(100)에 전송되어, 송수신부(106)에서 수신되면, 제어부(108)에 전송된다. 제어부(108)는 제어권의 요구가 발행된 영상 1 또는 영상 2에 제어권이 할당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제어권 요구 정보를 송신한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에 제어권을 할당하고, 그 IP 어드레스를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에 기억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어부(108)가 제어권을 할당한 클라이언트 단말기(200)로부터 영상 1의 영역을 지정하는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제어부(108)는 카메라부(102)로부터 전송된 전체 화상(라이브 영상) 중 지정된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만 추출하여, 그 추출된 영역의 부분만을 인코딩 처리하도록 지시한다. 송수신부(106)는 인코딩 처리된 영역 A의 라이브 영상을 화상 처리부(104)로부터 수신하여, 네트워크(300)를 통하여 그 인코딩된 영역 A를 제어권을 갖는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에 송신한다.
기계적인 화상 영역 R1의 제어권의 할당에 대해서도 유사한 방식으로 행할 수 있다. 유저는 클라이언트 단말기(200)로부터 화상 영역 R1을 선택하는 조작을 행한다. 이 조작은 예를 들어, 마우스, 키보드 등의 입력부(206)를 사용하여 표시부(208)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 영역 R1의 외부 프레임을 지정함으로써 행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술한 조작에 응답하여, 송수신부(202)는 클라이언트 단말기(200)가 화상 영역 R1에 대한 제어권을 취득하려고 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제어권 요구 정보)를 카메라 단말 장치(100)에 송신한다.
제어권 요구 정보는 네트워크(300)를 통하여 카메라 단말 장치(100)에 전송되어, 송수신부(106)에서 수신되면, 제어부(108)에 전송된다. 제어부(108)는 제어권의 요구가 발행된 화상 영역 R1에 제어권이 할당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제어권 요구 정보를 송신한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에 대하여 제어권을 할당하고,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의 IP 어드레스를 기억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어부(108)가 제어권을 할당한 클라이언트 단말기(200)로부터 화상 영역 R1의 영역을 지정하는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제어부(108)는 카메라부(102)의 팬, 틸트 및 줌을 기계적으로 제어한다. 카메라부(102)는 화상 영역 R1에 대응하는 영상을 화상 처리부(104)에 전송한다. 화상 처리부(104)는 카메라부(102)로부터 전송된 라이브 영상 중, 화상 영역 R2에 의해 지정된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만 추출하여 그 추출된 영역의 부분만을 인코딩 처리한다. 송수신부(106)는 인코딩 처리된 화상 영역 R2의 라이브 영상을 화상 처리부(104)로부터 수신하고, 네트워크(300)를 통하여 그 인코딩된 화상 영역 R2를 제어권을 갖는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에 송신한다.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의 화상 처리부(203)에서 영상의 추출을 행하는 경우, 카메라부(102)에서 취득된 라이브 영상이 인코딩된 후, 네트워크(300)를 통하여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에 송신되고, 화상 처리부(203)에서 영상의 추출이 행해진다.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권의 설정은 제1 및 제2 실시 형태의 양쪽에 적용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상술한 제3 실시 형태에 따르면, 기계적인 PTZ 조작과 디지털 PTZ 조작의 각각의 제어권의 유무에 따라서,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의 화상 영역 R1 및 화상 영역 R2를 최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분야의 숙련된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및 그 등가물내에 포함되는 한, 설계 조건에 따라 각종 변형, 조합, 하위조합 및 변경을 행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일본 특허청에 2010년 7월 30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JP 2010-171345에 개시된 요지를 포함하며, 그 전체 내용은 참조로서 결합된다.

Claims (17)

  1. 카메라 장치로서,
    카메라부에서 촬상된 제1 화상 내에 지정된 제1 영역을 제어하기 위한 제1 정보를 취득하는 제1 정보 취득부;
    상기 제1 화상 내에 지정된 제2 영역을 제어하기 위한 제2 정보를 취득하는 제2 정보 취득부;
    복수의 장치로부터 입력될 수 있는 상기 제1 정보 중, 상기 제1 영역의 제어권을 갖는 장치로부터 입력된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부의 기계적인 움직임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의 제어권을 갖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상과 상기 제2 영역의 화상에 대응하는 부분 화상을 함께 표시하는 것과 함께, 상기 제1 화상 내에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대응하는 범위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상된 화상으로부터 상기 제1 영역의 화상을 취득하고, 복수의 장치로부터 입력될 수 있는 상기 제2 정보 중, 상기 제2 영역의 제어권을 갖는 장치로부터 입력된 상기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영역 내로부터 상기 제2 영역의 화상을 추출하는 처리를 행하는 화상 처리부;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에 관한 제어권의 요구 정보를 취득하는 요구 정보 취득부; 및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에 제어권이 할당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요구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권을 할당하는 제어권 할당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역의 제어권을 갖는 장치와는 다른 타 장치가 상기 제2 영역의 제어권을 갖는 경우에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타 장치의 제어권에 관한 상기 제2 영역이 포함되는 범위 내에서 상기 카메라부의 기계적인 움직임을 제어하는, 카메라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처리부는, 상기 제2 영역의 제어권을 갖는 장치와는 다른 타 장치가 상기 제1 영역의 제어권을 갖는 경우에 상기 타 장치의 제어에 의해 정해진 상기 제1 영역 내로부터 상기 제2 영역의 화상을 추출하는, 카메라 장치.
  5. 화상을 촬상하는 카메라 단말 장치와 상기 카메라 단말 장치를 제어하는 클라이언트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카메라 시스템으로서,
    상기 카메라 단말 장치는,
    카메라부에서 촬상된 제1 화상 내에 지정된 제1 영역을 제어하기 위한 제1 정보를 취득하는 제1 정보 취득부;
    상기 제1 화상 내에 지정된 제2 영역을 제어하기 위한 제2 정보를 취득하는 제2 정보 취득부;
    복수의 장치로부터 입력될 수 있는 상기 제1 정보 중, 상기 제1 영역의 제어권을 갖는 장치로부터 입력된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부의 기계적인 움직임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의 제어권을 갖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상과 상기 제2 영역의 화상에 대응하는 부분 화상을 함께 표시하는 것과 함께, 상기 제1 화상 내에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대응하는 범위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상된 화상으로부터 상기 제1 영역의 화상을 취득하고, 복수의 장치로부터 입력될 수 있는 상기 제2 정보 중, 상기 제2 영역의 제어권을 갖는 장치로부터 입력된 상기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영역 내로부터 상기 제2 영역의 화상을 추출하는 처리를 행하는 화상 처리부;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에 관한 제어권의 요구 정보를 취득하는 요구 정보 취득부; 및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에 제어권이 할당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요구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권을 할당하는 제어권 할당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시스템.
  6. 제어 장치로서,
    카메라 단말 장치에서 촬상된 제1 화상 내에 지정된 제1 영역을 제어하기 위한 제1 정보를 취득하는 제1 정보 취득부;
    상기 제1 화상 내에 지정된 제2 영역을 제어하기 위한 제2 정보를 취득하는 제2 정보 취득부;
    상기 제1 영역을 제어하는 제어권이 할당된 경우에,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 단말 장치의 기계적인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상기 카메라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부;
    상기 제2 영역을 제어하는 제어권이 할당된 경우에, 상기 카메라 단말 장치에서 촬상된 화상으로부터 상기 제1 영역의 화상을 취득하고, 상기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영역 내로부터 상기 제2 영역의 화상을 추출하는 처리를 행하는 화상 처리부; 및
    상기 제1 화상과 상기 제2 영역의 화상에 대응하는 부분 화상을 함께 표시하는 것과 함께, 상기 제1 화상 내에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대응하는 범위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부는 또한,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에 관한 제어권의 요구 정보를 상기 카메라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제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제1 영역의 제어권을 갖는 장치와는 다른 타 장치가 상기 제2 영역의 제어권을 갖는 경우에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타 장치의 제어권에 관한 상기 제2 영역이 포함되는 범위 내에서 상기 카메라 단말 장치의 기계적인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제어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처리부는, 상기 제2 영역의 제어권을 갖는 장치와는 다른 타 장치가 상기 제1 영역의 제어권을 갖는 경우에 상기 타 장치의 제어에 의해 정해진 상기 제1 영역 내로부터 상기 제2 영역의 화상을 추출하는, 제어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1 영역의 제어권 또는 상기 제2 영역의 제어권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화상 내에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의 제어 가능한 범위를 표시하는, 제어 장치.
  10. 카메라부에서 촬상된 제1 화상 내에 지정된 제1 영역을 제어하기 위한 제1 정보를 취득하는 유닛;
    상기 제1 화상 내에 지정된 제2 영역을 제어하기 위한 제2 정보를 취득하는 제2 유닛;
    복수의 장치로부터 입력될 수 있는 상기 제1 정보 중, 상기 제1 영역의 제어권을 갖는 장치로부터 입력된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부의 기계적인 움직임을 제어하는 유닛;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의 제어권을 갖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상과 상기 제2 영역의 화상에 대응하는 부분 화상을 함께 표시하는 것과 함께, 상기 제1 화상 내에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대응하는 범위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상된 화상으로부터 상기 제1 영역의 화상을 취득하고, 복수의 장치로부터 입력될 수 있는 상기 제2 정보 중, 상기 제2 영역의 제어권을 갖는 장치로부터 입력된 상기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영역 내로부터 상기 제2 영역의 화상을 추출하는 처리를 행하는 유닛;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에 관한 제어권의 요구 정보를 취득하는 유닛; 및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에 제어권이 할당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요구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권을 할당하는 유닛으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1. 카메라 장치 및 상기 카메라 장치의 촬상하는 방위를 제어하는 복수의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이용 가능한 제어 장치로서,
    상기 카메라 장치에서 촬상된 제1 화상을 표시하는 제1 화상 영역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 및
    상기 제1 화상 상에 지정된 제1 영역에 대응하는 방위를 촬상하도록 상기 카메라 장치를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역에 포함되는 제2 영역을 확대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부분 화상 영역을 표시하고,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상기 제1 화상 상에 다른 표시 상태로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제1 제어권을 갖는 경우에, 상기 제1 영역을 변경 가능하게 하고, 제2 제어권을 갖는 경우에, 상기 제2 영역을 변경 가능하게 하고,
    상기 제1 화상과 상기 제2 영역의 화상에 대응하는 부분 화상을 함께 표시하는 것과 함께, 상기 제1 화상 내에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대응하는 범위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제1 제어권 또는 상기 제2 제어권의 요구 정보를 상기 카메라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제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역의 범위 이내이면, 상기 제2 영역을 변경 가능하게 제어하는, 제어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제2 영역을 조작하여 변경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범위를 초과하여 변경하고자 했을 때, 상기 제1 영역도 변경하여, 상기 제2 영역이 상기 제1 영역의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카메라 제어부는, 상기 변경된 상기 제1 영역에 대응하는 방위를 촬상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권을 갖는 제어 장치는, 동시에 복수개 존재하는, 제어 장치.
  15. 카메라부에서 촬상된 제1 화상 내에 지정된 제1 영역을 제어하기 위한 제1 정보를 취득하는 것;
    상기 제1 화상 내에 지정된 제2 영역을 제어하기 위한 제2 정보를 취득하는 것;
    복수의 장치로부터 입력될 수 있는 상기 제1 정보 중, 상기 제1 영역의 제어권을 갖는 장치로부터 입력된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부의 기계적인 움직임을 제어하는 것;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의 제어권을 갖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상과 상기 제2 영역의 화상에 대응하는 부분 화상을 함께 표시하는 것과 함께, 상기 제1 화상 내에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대응하는 범위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상된 화상으로부터 상기 제1 영역의 화상을 취득하고, 복수의 장치로부터 입력될 수 있는 상기 제2 정보 중, 상기 제2 영역의 제어권을 갖는 장치로부터 입력된 상기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영역 내로부터 상기 제2 영역의 화상을 추출하는 처리를 행하는 것;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에 관한 제어권의 요구 정보를 취득하는 것; 및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에 제어권이 할당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요구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권을 할당하는 것을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의 제어 방법.
  16. 카메라 단말 장치에서 촬상된 제1 화상 내에 지정된 제1 영역을 제어하기 위한 제1 정보를 취득하는 것;
    상기 제1 화상 내에 지정된 제2 영역을 제어하기 위한 제2 정보를 취득하는 것;
    상기 제1 영역을 제어하는 제어권이 할당된 경우에,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 단말 장치의 기계적인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상기 카메라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것;
    상기 제2 영역을 제어하는 제어권이 할당된 경우에, 상기 카메라 단말 장치에서 촬상된 화상으로부터 상기 제1 영역의 화상을 취득하고, 상기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영역 내로부터 상기 제2 영역의 화상을 추출하는 처리를 행하는 것;
    상기 제1 화상과 상기 제2 영역의 화상에 대응하는 부분 화상을 함께 표시하는 것과 함께, 상기 제1 화상 내에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대응하는 범위를 표시하는 것; 및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에 관한 제어권의 요구 정보를 상기 카메라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어 방법.
  17. 카메라 장치 및 상기 카메라 장치의 촬상하는 방위를 제어하는 복수의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이용 가능한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카메라 장치에서 촬상된 제1 화상을 표시하는 제1 화상 영역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 및
    상기 제1 화상 상에 지정된 제1 영역에 대응하는 방위를 촬상하도록 상기 카메라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에 포함되는 제2 영역을 확대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부분 화상 영역을 표시하고,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상기 제1 화상 상에 다른 표시 상태로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제1 제어권을 갖는 경우에, 상기 제1 영역을 변경 가능하게 하고, 제2 제어권을 갖는 경우에, 상기 제2 영역을 변경 가능하게 하고,
    상기 제1 화상과 상기 제2 영역의 화상에 대응하는 부분 화상을 함께 표시하는 것과 함께, 상기 제1 화상 내에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대응하는 범위를 표시하는 것; 및
    상기 제1 제어권 또는 상기 제2 제어권의 요구 정보를 상기 카메라 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어 방법.
KR1020110073076A 2010-07-30 2011-07-22 카메라 장치, 카메라 시스템, 제어 장치 및 프로그램 KR1016773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71345A JP2012034151A (ja) 2010-07-30 2010-07-30 カメラ装置、カメラシステム、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JP-P-2010-171345 2010-07-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2399A KR20120012399A (ko) 2012-02-09
KR101677303B1 true KR101677303B1 (ko) 2016-11-17

Family

ID=44318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3076A KR101677303B1 (ko) 2010-07-30 2011-07-22 카메라 장치, 카메라 시스템, 제어 장치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842188B2 (ko)
EP (1) EP2413603A3 (ko)
JP (1) JP2012034151A (ko)
KR (1) KR101677303B1 (ko)
CN (1) CN102348063B (ko)
BR (1) BRPI1103364A2 (ko)
RU (1) RU2011130847A (ko)
TW (1) TWI46106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91256B2 (ja) * 2010-10-21 2015-10-07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
JP2013084029A (ja) * 2011-10-06 2013-05-09 Sony Corp 表示制御装置
US9204103B1 (en) * 2011-12-30 2015-12-01 Emc Corporation Technique for parallel, distributed video processing
JP6346398B2 (ja) * 2012-03-07 2018-06-2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JP2014007653A (ja) * 2012-06-26 2014-01-16 Jvc Kenwood Corp 撮像装置、撮像方法、撮像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TWI505698B (zh) * 2012-12-06 2015-10-21 Inst Information Industry 多視角畫面之同步顯示系統以及多視角畫面之同步顯示方法
JP6478777B2 (ja) * 2015-04-13 2019-03-06 キヤノン株式会社 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6633862B2 (ja) * 2015-08-04 2020-01-22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CN108270986A (zh) * 2016-12-30 2018-07-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云台控制及处理方法、装置、系统、电子设备
JP6991733B2 (ja) * 2017-04-28 2022-01-12 キヤノン株式会社 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1991A (ja) 1998-09-22 2000-04-07 Canon Inc 撮像装置の遠隔制御方法、遠隔制御装置、制御装置、および撮像システム
JP2000106671A (ja) 1998-07-31 2000-04-11 Canon Inc カメラ制御システム、カメラ制御方法、およびその処理を実行する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録媒体、クライアント端末
JP2007214793A (ja) 2006-02-08 2007-08-23 Canon Inc カメラ制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2606B2 (ja) 1996-07-23 2001-08-27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サーバ及びその方法及び媒体
JP3817312B2 (ja) 1996-11-29 2006-09-06 キヤノン株式会社 制御方法及び装置と撮像システム及び表示操作装置とのその方法
JP2005354748A (ja) 1997-04-21 2005-12-22 Sony Corp 撮像手段制御方法および撮像手段制御装置
JP3990771B2 (ja) * 1997-07-23 2007-10-17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メラ制御システム、カメラサーバ、カメラ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JP2000041176A (ja) 1998-07-24 2000-02-08 Canon Inc 制御装置、制御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US6741276B1 (en) 1998-07-31 2004-05-25 Canon Kabushiki Kaisha Camera control system
JP4026944B2 (ja) 1998-08-06 2007-12-26 キヤノン株式会社 映像発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20080106597A1 (en) 1999-10-12 2008-05-08 Vigilos, Inc.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and remotely retrieving surveillance video images
US7199817B2 (en) 2000-07-26 2007-04-03 Smiths Detection Inc. Methods and systems for networked camera control
US7148914B2 (en) 2001-04-25 2006-12-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ubimages to remote sites
JP3747908B2 (ja) 2002-12-13 2006-02-22 ソニー株式会社 カメラ制御システム、カメラサーバ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4254031A (ja) 2003-02-19 2004-09-09 Canon Inc 画像処理システムの制御方法
US8427538B2 (en) 2004-04-30 2013-04-23 Oncam Grandeye Multiple view and multiple object processing in wide-angle video camera
JP4546202B2 (ja) * 2004-09-28 2010-09-15 キヤノン株式会社 映像受信装置とそ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4717408B2 (ja) * 2004-10-13 2011-07-06 キヤノン株式会社 映像配信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6245793A (ja) * 2005-03-01 2006-09-14 Konica Minolta Holdings Inc 撮像システム
TWI270019B (en) 2005-03-31 2007-01-01 Avermedia Tech Inc Interactive e-map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JP5030261B2 (ja) 2005-11-16 2012-09-19 キヤノン株式会社 映像配信装置、ビューワ装置、映像配信装置の制御方法、ビューワ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085302B2 (en) 2005-11-21 2011-12-27 Microsoft Corporation Combined digital and mechanical tracking of a person or object using a single video camera
JP4645956B2 (ja) 2006-03-24 2011-03-0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映像配信遠隔制御装置、映像配信システムおよび映像配信方法
JP2008099159A (ja) 2006-10-16 2008-04-24 Sony Corp 撮像装置、フレーミング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928275B2 (ja) 2007-01-10 2012-05-09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メラ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8197829A (ja) * 2007-02-09 2008-08-28 Sony Corp 画像処理装置と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と記録媒体
JP4933354B2 (ja) * 2007-06-08 2012-05-16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2009017221A (ja) 2007-07-04 2009-01-22 Canon Inc カメラ制御システム、制御権の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098955B2 (en) 2008-03-25 2012-01-17 Point Grey Research Inc. Efficient selection and application of regions of interest in digital imaging
JP5312256B2 (ja) 2008-09-12 2013-10-09 三洋電機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撮像システム
JP2010171345A (ja) 2009-01-26 2010-08-05 Renesas Electronics Corp 半導体装置
US8860805B2 (en) 2011-04-12 2014-10-14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6671A (ja) 1998-07-31 2000-04-11 Canon Inc カメラ制御システム、カメラ制御方法、およびその処理を実行する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録媒体、クライアント端末
JP2000101991A (ja) 1998-09-22 2000-04-07 Canon Inc 撮像装置の遠隔制御方法、遠隔制御装置、制御装置、および撮像システム
JP2007214793A (ja) 2006-02-08 2007-08-23 Canon Inc カメラ制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1103364A2 (pt) 2012-12-11
US8842188B2 (en) 2014-09-23
CN102348063A (zh) 2012-02-08
EP2413603A3 (en) 2014-11-19
JP2012034151A (ja) 2012-02-16
TW201223284A (en) 2012-06-01
US20120026344A1 (en) 2012-02-02
EP2413603A2 (en) 2012-02-01
TWI461064B (zh) 2014-11-11
KR20120012399A (ko) 2012-02-09
CN102348063B (zh) 2017-01-18
RU2011130847A (ru) 2013-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7303B1 (ko) 카메라 장치, 카메라 시스템, 제어 장치 및 프로그램
KR101760142B1 (ko) 카메라 장치, 카메라 시스템, 제어 장치 및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CN106454065B (zh) 信息处理装置及其控制方法
CN110022431B (zh) 摄像装置、摄像方法、显示装置和显示方法
KR20110108265A (ko) 제어 장치, 카메라 시스템 및 프로그램
JPH118844A (ja) 撮像装置コントローラおよび撮像システム
KR20110124139A (ko) 카메라 제어부, 컨트롤러, 카메라 제어 방법, 카메라 원격 제어 방법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 장치
JP2019176306A (ja) 監視システム、監視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8252331A (ja) デジタル監視システム
JP4583717B2 (ja) 撮像装置及び方法、画像情報提供システム、プログラム、並びに制御装置
JPH118845A (ja) パノラマ画像生成装置および方法
EP2387239A2 (en) Control device, camera system and program
KR102040723B1 (ko) 다원 방송 송출 방법 및 장치
CN112073630B (zh) 摄像装置、摄像装置的控制方法及记录介质
JP4332580B2 (ja) 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並びに監視システム
KR19980080383A (ko) 촬상 장치용 컨트롤러 및 촬상 시스템
JP2005354748A (ja) 撮像手段制御方法および撮像手段制御装置
JP2005348448A (ja) パノラマ撮像装置
JP2008236785A (ja) 画像提供装置、画像提供方法、および画像提供システム
JP2000059682A (ja) 撮像制御装置および方法、画像提供装置および方法、画像提供システム、並びに提供媒体
JP4127080B2 (ja) 撮像装置及び方法
JP2011205574A (ja) 制御装置、カメラ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06238124A (ja) リモート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