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4139A - 카메라 제어부, 컨트롤러, 카메라 제어 방법, 카메라 원격 제어 방법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 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 제어부, 컨트롤러, 카메라 제어 방법, 카메라 원격 제어 방법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4139A
KR20110124139A KR1020110041629A KR20110041629A KR20110124139A KR 20110124139 A KR20110124139 A KR 20110124139A KR 1020110041629 A KR1020110041629 A KR 1020110041629A KR 20110041629 A KR20110041629 A KR 20110041629A KR 20110124139 A KR20110124139 A KR 201101241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amera
control
control right
cuto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1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노리 사까끼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10124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41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카메라, 컨트롤러, 방법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 장치가 카메라에 의해 다뤄지는 영역의 다른 부분을 제어하도록 협력한다. 영역의 각 부분에 설정되는 선택적인 제어권이 다른 원격 장치들에 부여됨으로써, 화상의 각 부분은 요구를 보낸 원격 장치들에 전송된다. 또한, 카메라는 디지털 팬, 디지털 틸트, 디지털 줌 기능을 가짐으로써, 화상의 여러 부분이 원격 장치에 의해 설정될 수 있게 한다. 제한된 수의 원격 장치만이 카메라에 의해 다뤄지는 영역의 부분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을 경우, 하나의 장치로부터 대기 장치로 제어를 전달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제어부, 컨트롤러, 카메라 제어 방법, 카메라 원격 제어 방법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 장치{CONTROL DEVICE, CAMERA, METHOD AND COMPUTER PROGRAM STORAGE DEVICE}
본 출원은 제어부, 카메라,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기억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유저가 카메라를 조작할 경우에, 복수의 유저로부터의 조작이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조작하고 싶어하는 유저에게 일정 기간, 카메라 제어권을 부여하는 카메라 제어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카메라 제어 시스템은,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4-194217호에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4-194217호에는, 카메라 제어권을 갖는 경우에는 조작부가 표시되고, 카메라 제어권을 갖지 않는 경우에는 조작부가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가 이루어지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제2004-194217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복수의 카메라로부터의 화상의 리스트가 표시되고, 카메라가 조작될 수 있는지 여부에 따라서 표시 상태를 바꾸는 카메라 제어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9-214811호에서는, 카메라가 조작될 수 없는 경우, 해당 조작부를 회색으로 표시하도록 제어가 이루어지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 제3548352호에는, 원격 카메라 제어 시스템에서의 제어권을 부여하는 시스템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4-194217호 일본 특허 공개 제9-214811호 일본 특허 제3548352호
그러나, 전술된 기술에 따르면, 상기 시스템 모두에서 카메라의 촬상 방향이 고정되어 있고, 전체 화상 중에서 디지털적으로 원하는 영역을 절단하여(cut out) 팬(panning), 틸트(tilting), 줌(zooming) 등의 조작을 하는 것을 상정하는 시스템이 아니다. 이에 따라, 카메라 단말 장치 측에서, 팬, 틸트, 줌 등의 제어를 기계적으로 행할 필요가 있어 시스템이 복잡해진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를 감안하여, 팬, 틸트, 줌 등의 조작을 디지털적으로 행하는 시스템에서, 클라이언트 장치에 적절하게 제어권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한, 신규의 개량된 컨트롤러, 카메라,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기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 제어부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화상 처리부는 화상의 절단부(cut out portion)를 제어가능하게 캡처한다. 인터페이스 컨트롤러는 포함되어서 제어권 요구를 수신하여 응답으로서 선택적으로 제어권을 부여하고, 화상의 절단부를 설정하기 위한 지정 요구(designation request)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제어는 디지털(또는 물리적) 팬, 틸트 및 줌의 카메라 제어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절단부는 제1 절단부이고, 인터페이스 컨트롤러는 제1 절단부에 대한 제어권을 원격 장치에 선택적으로 부여하고 제2 절단부에 대한 제어권을 제2 원격 장치에 선택적으로 부여하도록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제1 절단부는 화상의 제2 절단부와는 다른 부분이다.
또한, 제어권 요구는 화상의 절단부의 지정(specification)을 포함한다.
카메라는 비디오 카메라일 수도 있다.
화상 처리부는 제1 절단부와 제2 절단부에 대해 공통의 코덱, 해상도 및 프레임 레이트의 설정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화상 처리부는 제1 절단부에 대해 제2 절단부와는 다른 코덱, 해상도 및 프레임 레이트의 설정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할 수 있다.
유사하게, 인터페이스 컨트롤러는 제1 절단부에 대한 제어권을 원격 장치로부터 제3 원격 장치에 재부여하도록 구성된다.
컨트롤러의 일 실시예는 카메라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화상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송수신기; 및 제어권 요구를 생성하여, 카메라에 제어권 요구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입력부를 포함하고, 입력부는 또한 화상의 절단부를 제어가능하게 설정하기 위한 지정 요구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송수신기는 카메라로부터 전송된 화상의 절단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컨트롤러는 다른 컨트롤러가 카메라의 제어를 해제한 후 절단부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를 선택적으로 포함하고, 입력부는 카메라에 의해 제어권이 부여된 후 지정 요구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제3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제3 절단부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카메라 제어 방법은 한 영역의 화상을 캡처하는 단계; 제어권 요구를 수신하여 화상의 절단부를 설정하기 위해 제어권을 선택적으로 부여하는 단계; 절단부를 설정하기 위한 지정 요구를 수신하는 단계; 및 화상의 절단부를 캡쳐하도록 카메라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방법에서, 절단부는 제1 절단부이고, 제어하는 단계는 제1 절단부에 대한 제어권을 원격 장치에 선택적으로 부여하고 제2 절단부에 대한 제어권을 제2 원격 장치에 선택적으로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어하는 단계는 선택적으로 제1 절단부에 대한 제어권을 원격 장치로부터 제3 원격 장치에 재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은 카메라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페이스를 통해 화상을 수신하는 단계; 외부 입력에 기초하여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권 요구를 생성하고 제어권 요구를 카메라에 전송하는 단계; 카메라에 전송되었을 때 카메라가 화상의 절단부를 제어가능하게 설정하게 하는 지정 요구를 외부 입력에 기초하여 생성하는 단계; 및 카메라로부터 전송된 화상의 절단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방법은 다른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고 있던 다른 절단부가 카메라의 제어권을 해제한 후에 디스플레이 상에 절단부를 표시하고, 카메라가 컨트롤러에 제어권을 부여한 후에 지정 요구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예시적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 장치는, 컴퓨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컴퓨터 프로세서로 하여금 한 영역의 화상을 캡처하는 단계; 제어권 요구를 수신하고 화상의 절단부를 설정하기 위해 제어권을 선택적으로 부여하는 단계; 절단부를 설정하기 위한 지정 요구를 수신하는 단계; 및 화상의 절단부를 캡처하도록 카메라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가 저장되어 있다.
방법에서, 절단부는 제1 절단부이고, 컨트롤러는 제1 절단부에 대한 제어권을 원격 장치에 선택적으로 부여하고, 제2 절단부에 대한 제어권을 제2 원격 장치에 선택적으로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 장치는, 컴퓨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컴퓨터 프로세서로 하여금 카메라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페이스를 통해 화상을 수신하는 단계; 외부 입력에 기초하여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권 요구를 생성하고 제어권 요구를 카메라로 전송하는 단계; 카메라에 전송되었을 때 카메라가 화상의 절단부를 제어가능하게 설정하게 하는 지정 요구를 외부 입력에 기초하여 생성하는 단계; 및 카메라로부터 전송된 화상의 절단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가 저장되어 있다.
방법은 다른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고 있던 다른 절단부가 카메라의 제어권을 해제한 후에 디스플레이 상에 절단부를 표시하고, 카메라가 컨트롤러에 제어권을 부여한 후에 지정 요구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상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지털적으로 팬, 틸트, 줌 등의 조작을 행하는 시스템에서 클라이언트 장치에 적절하게 제어권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촬상 시스템에서 행해지는 처리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은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형상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적합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주목할 것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및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함으로써 그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는 것이다.
설명은 이하의 순서로 행하는 것으로 한다.
(1) 촬상 시스템의 구성예
(2) 제1 제어 모드에서의 처리
(3) 제2 제어 모드에서의 처리
(4) 제어권의 부여에 관한 처리
(1) 촬상 시스템의 구성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시스템(500)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촬상 시스템(500)은 카메라 단말 장치(IP 카메라, 100) 및 클라이언트 단말기(200)를 포함하여, 카메라 단말 장치(100)와 클라이언트 단말기(200)는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300)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카메라 단말 장치(100)는, 예를 들어 옥내 또는 옥외에 설치되는 감시 카메라이며, 피사체상을 결상하는 렌즈 광학 시스템과, 결상된 피사체상을 광전 변환하는 촬상 센서를 갖는 카메라부(102)를 포함한다. 카메라 단말 장치(100)는 화상 처리부(104), 송/수신부(106), 제어부(108), 설정부(110), 타이머(112)도 포함한다.
클라이언트 단말기(200)는, 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PC) 등의 장치이다. 클라이언트 단말기(200)는 송/수신부(202), 표시 제어부(204), 입력부(206), 표시부(208)를 포함한다. 카메라 단말 장치(100)와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의 각 기능 블록은, 하드웨어(회로) 또는 CPU 등의 중앙 프로세서와 하드웨어를 기능시키기 위한 소프트웨어(프로그램)로 구성된다. 이러한 경우, 프로그램은 카메라 단말 장치(100)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에 포함되는 메모리 또는 외부로부터 삽입된 외장형 메모리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도 2는 촬상 시스템(500)에서 행해지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여기에서, 카메라 단말 장치(100)는 옥내의 회의실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단말 장치(100)의 카메라부(102)는 회의실 내의 비교적 넓은 범위를 전체 화상으로서 촬상한다.
전체 화상은 정지 화상의 데이터로서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에 전송된다. 유저는 클라이언트 단말기(200)를 사용하여 전체 화상 중에서 원하는 범위를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영역 A가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에 의해 지정되면, 카메라 단말 장치(100)는 영역 A의 라이브 화상의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인코딩된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에 전송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의 표시부(208)에는, 미리 카메라 단말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정지 화상의 전체 화상(라이브 화상이 아님)이 표시 제어부(204)의 처리에 의해 표시부(208)에 표시되어 있다. 유저가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의 입력부(206)를 조작하여 전체 화상에서 원하는 영역 A를 지정하면,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의 송/수신부(202)가 영역 A에 대한 정보를 카메라 단말 장치(100)에 보낸다.
카메라 단말 장치(100)의 송/수신부(106)는 네트워크(300)를 통해서 영역 A에 대한 정보(제어 정보)를 수신하면, 송/수신부(106)는 정보를 제어부(108)에 전송한다. 제어부(108)는 화상 처리부(104)에 대하여 카메라부(102)로부터 전송되는 전체 화상(라이브 화상) 중 영역 A의 부분을 절단하여 그 부분을 인코딩 처리하도록하는 지시를 발행한다. 송/수신부(106)는 인코딩 처리된 영역 A의 라이브 화상을 화상 처리부(104)로부터 수신하고, 네트워크(300)를 통해서 라이브 화상을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에 전송한다.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의 송/수신부(202)가 카메라 단말 장치(100)로부터 영역 A의 라이브 화상을 수신하면, 송/수신부(202)는 그 데이터를 표시 제어부(204)에 전송한다. 표시 제어부(204)에서는, 영역 A에 대한 정보를 디코딩하고, 표시부(208)에 정보를 표시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에 따라, 유저는 클라이언트 단말기(200)를 조작하여 전체 화상 중에서 원하는 영역을 지정함으로써, 기계적인 팬, 틸트 또는 줌 등의 조작과 동등한 조작을 디지털적으로 행할 수 있고, 그 결과, 원하는 영역의 영상을 취득할 수 있다.
특히, 근래에는, 네트워크(300)의 용량의 증대에 따라, 보다 화소수가 많은 고화질 영상이 전송될 수 있지만, 전체 화상의 모든 데이터를 라이브 화상으로서 전송하려면, 그 데이터량이 방대해진다. 본 실시예와 같이 유저측에서 영역을 지정함으로써 필요한 데이터만을 전송하여 원하는 영역의 고화질 화상을 시청할 수 있다.
이상의 시스템에서,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 장치(200)가 1대의 카메라 단말 장치(100)에 접속되어 있으면, 이러한 클라이언트 장치(200)가 동시에 전체 화상 중의 영역을 지정하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도 3은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200)가 네트워크(300)에 접속되어 있는 형상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에서는,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에 의해 조작가능한 영상으로서, 최대 2개의 영상이 지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3에서, 유저는 영상 1(영역 B)과 영상 2(영역 C)를 개별적으로 지정하여 원하는 영역의 라이브 화상을 취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200)가 동시에 영상 1 또는 영상 2를 제어하려고 시도하면, 그 제어가 경합하게 되는 상태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2개의 클라이언트 단말기(200)가 동시에 영상 1을 지정하여 영상 1의 영역을 제어하려고 하면, 영상 1에 대한 제어가 경합하게 되므로, 하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에 제어권을 부여할 필요가 있게 된다.
이러한 경우, 본 실시예에서 클라이언트 단말기(200) 중 하나에 영상 1을 조작하는 제어권을 부여하고, 제어권이 부여된 클라이언트 단말기(200)만이 영상 1의 영역을 제어하여 원하는 영상을 취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제어 모드 중 하나를 사용하여 각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에 제어권을 부여한다. 이하, 각각의 모드에 대해서 설명한다.
(2) 제1 제어 모드에서의 처리
제1 제어 모드에서의 처리는, 예를 들어 영상 1과 영상 2 사이의 코덱, 해상도 또는 프레임 레이트 등의 설정이 동일하고, 각 클라이언트 단말기(200)가 영상 1과 영상 2의 양쪽을 수신할 수 있을 경우에 적용된다.
제1 제어 모드에서의 처리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1 및 영상 2의 2개의 영상을 조작할 수 있을 경우에, 어느 하나의 영상의 제어권이 비어 있는 경우에는, 다음으로 영상의 조작에 참여해 온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에 비어 있는 영상의 제어권을 부여한다.
예를 들어, 영상 1 영상 2의 양쪽의 제어권이 비어 있을 경우, 최초에 참여해 온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조작자 1로 규정함)는 영상 1과 영상 2 중 어느 한쪽의 제어권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조작자 1이 영상 1의 제어권을 획득하여 영상 1을 조작하는 것으로 한다. 조작자 1이 영상 1의 제어권을 보유하고 있는 상태에서, 조작자 1은 자유롭게 영상 1의 범위를 조작하여 원하는 영역의 라이브 화상을 취득할 수 있다.
이어서, 조작자 1이 영상 1의 제어권을 보유하고 있는 상태에서 참여해 온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조작자 2로 규정함)는 영상 2의 제어권이 비어 있기 때문에 영상 2의 제어권을 획득한다. 이에 따라, 조작자 2는, 영상 2의 제어권을 보유하고 있는 상태에서, 자유롭게 영상 2의 범위를 조작하고 원하는 영역의 라이브 화상을 취득할 수 있다.
이어서, 조작자 1이 영상 1의 제어권을 보유하고, 조작자 2가 영상 2의 제어권을 보유하고 있는 상태에서 참여해 온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조작자 3으로 함)는 영상 1과 영상 2의 양쪽의 제어권이 각각 조작자 1과 조작자 2에 의해 보유되어 있기 때문에 제어권을 획득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조작자 3은 영상 1 또는 영상 2의 제어권이 빌 때까지 대기하게 된다. 또한, 그 후에 조작자 4가 참여해 오면, 클라이언트 단말기(200)는 참여해 온 시각의 순서대로 제어권이 빌 때에 제어권을 획득하는 것으로 한다.
제어권을 보유하는 시간은, 예를 들어 미리 정해 둘 수 있다. 카메라 단말 장치(100)의 타이머(112)는 각각의 조작자가 제어권을 보유하고 있는 시간을 산출하고, 미리 정해진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조작자의 제어권을 해제한다. 일례로서, 조작자가 제어권을 보유하는 시간이 15분인 경우, 상기 예에서 조작자 1이 영상 1의 제어권을 획득하고 나서 15분이 경과되면, 조작자 1의 영상 1의 제어권이 해제된다. 이에 따라, 대기하고 있던 조작자 3은 영상 1의 제어권을 획득하여 영상 1을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조작자 2가 영상 2의 제어권을 획득하고 나서 15분이 경과되면, 조작자 2의 영상 2의 제어권이 해제된다. 이에 따라, 대기하고 있었던 조작자 4는 영상 2의 제어권을 획득하여 영상 2를 조작할 수 있다.
전술된 제1 제어 모드는 영상 1과 영상 2의 코덱, 해상도 또는 프레임 레이트 등의 설정이 동일한 경우에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3) 제2 제어 모드에서의 처리
이어서, 제2 제어 모드에서의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 제어 모드는 영상 1과 영상 2 사이의 코덱, 해상도 또는 프레임 레이트 등의 설정이 상이하고, 각 클라이언트 단말기(200)가 영상 1과 영상 2 중 한쪽만을 수신할 수 있을 경우에 적용된다.
우선, 영상 1을 수신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조작자 1로 규정함)는 영상 1의 제어권이 비어 있으면, 영상 1의 제어권을 획득하여 자유롭게 영상 1의 범위를 조작할 수 있다.
이어서, 영상 1을 수신할 수 있는 다른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조작자 2로 규정함)는, 조작자 1이 영상 1의 제어권을 보유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영상 1을 조작할 수 없다. 이러한 클라이언트 단말기(200)는 영상 2를 수신할 수는 없다. 따라서, 조작자 2는 조작자 1의 제어권이 해제될 때까지 대기한다.
한편, 영상 2를 수신할 수 있는 다른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조작자 3으로 규정함)는 영상 1을 수신할 수는 없다. 이에 따라, 조작자 1이 영상 1의 제어권을 보유하고 있는 상태에서도, 이러한 클라이언트 단말기(200)는, 영상 2의 제어권이 비어 있으면, 영상 2의 제어권을 획득하여 자유롭게 영상 2의 범위를 조작할 수 있다.
영상 2를 수신할 수 있는 다른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조작자 4로 규정함)는, 조작자 3이 영상 2의 제어권을 보유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영상 2를 조작할 수 없다. 이러한 클라이언트 단말기(200)는 영상 1을 수신할 수는 없기 때문에, 조작자 4는 조작자 3의 제어권이 해제될 때까지 대기한다.
제1 제어 모드와 마찬가지로, 제어권을 보유하는 시간은 미리 정해 둘 수 있다. 카메라 단말 장치(100)의 타이머(112)는 각각의 조작자가 제어권을 보유하고 있는 시간을 산출하고, 미리 정해진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조작자의 제어권을 해제한다. 조작자 1이 영상 1의 제어권을 획득하고 나서 15분이 경과되면, 조작자 1의 영상 1의 제어권이 해제된다. 이에 따라, 대기하고 있던 조작자 2는 영상 1의 제어권을 획득하여 영상 1을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조작자 3이 영상 2의 제어권을 획득하고 나서 15분이 경과되면, 조작자 3의 영상 2의 제어권이 해제된다. 이에 따라, 대기하고 있던 조작자 4는 영상 2의 제어권을 획득하여 영상 2를 조작할 수 있다.
전술된 제2 제어 모드는 영상 1 또는 영상 2의 코덱, 해상도, 프레임 레이트 등의 설정이 상이한 경우에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4) 제어권의 부여에 관한 처리
제어권을 획득하고자 할 경우, 유저는 클라이언트 단말기(200)로부터 영상 1 또는 영상 2를 선택하는 조작을 행한다. 여기에서는, 임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200)가 영상 1의 제어권을 획득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러한 조작은, 예를 들어 마우스, 키보드 등의 입력부(206)로부터 표시부(208)에 표시되어 있는 영상 1의 외측 프레임을 지정함으로써 행해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조작을 수신한 후, 송/수신부(202)는 클라이언트 단말기(200)가 영상 1의 제어권을 획득하려고 시도하고 있다는 것을 지시하는 정보(제어권 요구 정보)를 카메라 단말 장치(100)에 전송한다. 클라이언트 단말기(200)가 영상 1의 제어권을 얻으려고 시도하고 있는 경우에는, 영상 2의 제어권을 얻으려고 시도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제어권 요구 정보)가 카메라 단말 장치(100)에 전송된다.
제어권 요구 정보는 네트워크(300)을 통해서 카메라 단말 장치(100)에 전송되어 송/수신부(106)에 의해 수신된 후 제어부(108)에 전송된다. 제어권이 요구되는 영상 1 또는 영상 2에 제어권이 부여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제어부(108)는 제어권 요구 정보를 전송한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에 대하여 제어권을 부여하고 그 IP 어드레스를 기억한다. 이에 따라, 제어권을 부여한 클라이언트 단말기(200)로부터 영상 1의 영역을 지정하는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제어부(108)는 카메라부(102)로부터 전송된 전체 화상(라이브 화상) 중 지정된 부분만 절단하여 인코딩 처리하는 지시를 발행한다. 송/수신부(106)는 인코딩 처리된 영역 A의 라이브 화상을 화상 처리부(104)로부터 수신하고, 네트워크(300)을 통해서 라이브 화상을 제어권을 갖는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에 전송한다.
제어부(108)는 제어권 요구 정보를 전송한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에 대하여 제어권을 부여하는 취지의 정보(제어권 허가 정보)를 전송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에 따라, 제어권 허가 정보는 송/수신부(106)로부터 전송된다. 제어권이 부여되면, 제어부(108)는 타이머(112)로부터의 시각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권을 부여한 후의 경과 시간을 산출한다. 제어권 허가 정보는 제어권을 부여한 시각(제어권 부여 시각)과 제어권을 부여한 영상(영상 1)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제어권 허가 정보는 네트워크(300)을 통해서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에 전송된다. 제어권 허가 정보가 수신되면,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의 송/수신부(202)는 제어권 허가 정보를 표시 제어부(204)에 전송된다. 표시 제어부(204)는 제어권 허가 정보에 포함되는 제어권 부여 시각에 기초하고, 제어권을 보유할 수 있는 나머지 시간을 표시부(208)가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권이 요구되는 영상 1에 이미 제어권이 부여되어 있는 경우에, 제어부(108)는 제어권이 이미 부여되어 있다는 정보와 제어권이 해제되기 전까지의 나머지 시간을, 제어권 요구 정보를 전송한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에 전송한다. 이러한 정보를 송/수신부(202)를 통해서 수신하면, 제어권 요구 정보를 전송한 클라이언트 단말기(200)는 표시 제어부(204)의 처리를 통해 그 정보를 표시부(208)에 표시한다. 따라서, 유저는 유저의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에 제어권이 부여되기 전까지의 대기 시간을 인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된 바와 같이, 팬, 틸트, 줌 등의 조작을 디지털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한 시스템에서, 각각의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에 제어권을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클라이언트 단말기(200)로부터의 조작 요구가 경합하게 되었을 경우에도, 부여된 제어권에 따라서 각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에 제어를 허가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설계 요건 및 다른 요소에 따라서,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 및 그 등가물의 범주 내에 있는 한, 여러 수정, 조합, 서브-조합 및 대체가 일어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본 출원은 2010년 5월 10일자로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JP2010-108563호에 개시된 것과 관련된 요지를 포함하며, 그 전체 내용은 참조로서 본원에 원용된다.
100: 카메라 단말 장치
102: 카메라부
104: 화상 처리부
106: 송/수신부
108: 제어부
200: 클라이언트 단말기

Claims (20)

  1. 카메라부에 의해 캡처된 영역에서의 화상의 절단부(cut out portion)를 제어가능하게 캡처하는 화상 처리부; 및
    제어권 요구를 수신하여 응답으로서 선택적으로 제어권을 부여하고, 상기 화상의 절단부를 설정하기 위한 지정 요구(designation request)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인터페이스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카메라 제어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처리부는 팬(pan), 틸트(tilt) 및 줌(zoom)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카메라 제어를 제어가능하게 행하는, 카메라 제어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처리부는 디지털 팬, 디지털 틸트 및 디지털 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카메라 제어를 제어가능하게 행하는, 카메라 제어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컨트롤러는 원격 장치로부터 제어권 요구를 수신하고 상기 화상의 절단부를 상기 원격 장치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카메라 제어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제1 절단부이고,
    상기 인터페이스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절단부에 대한 제어권을 원격 장치에 선택적으로 부여하고, 제2 절단부에 대한 제어권을 제2 원격 장치에 선택적으로 부여하도록 구성되는, 카메라 제어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단부는 상기 화상의 상기 제2 절단부와는 다른 부분인, 카메라 제어부.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권 요구는 상기 화상의 상기 절단부의 지정(specificaition)을 포함하는, 카메라 제어부.
  8. 제1항에 있어서,
    비디오 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제어부.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처리부는 상기 제1 절단부와 상기 제2 절단부에 대해 공통의 코덱, 해상도 및 프레임 레이트의 설정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하는, 카메라 제어부.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처리부는 상기 제1 절단부에 대해 상기 제2 절단부와는 다른 코덱, 해상도 및 프레임 레이트의 설정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하는, 카메라 제어부.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절단부에 대한 제어권을 상기 원격 장치로부터 제3 원격 장치에 재부여하도록 구성되는, 카메라 제어부.
  12. 컨트롤러로서,
    카메라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화상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송수신기; 및
    제어권 요구를 생성하여, 상기 카메라에 상기 제어권 요구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또한 상기 카메라가 상기 화상의 절단부를 제어가능하게 설정하게 하는 지정 요구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송수신기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전송된 상기 화상의 상기 절단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컨트롤러.
  13. 제12항에 있어서,
    다른 컨트롤러가 상기 카메라의 제어를 해제한 후 상기 절단부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제어권이 부여된 후 상기 지정 요구를 생성하는, 컨트롤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제3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제3 절단부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컨트롤러.
  15. 카메라 제어 방법으로서,
    한 영역의 화상을 캡처하는 단계;
    제어권 요구를 수신하여 상기 화상의 절단부를 설정하기 위해 제어권을 선택적으로 부여하는 단계;
    절단부를 설정하기 위한 지정 요구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화상의 상기 절단부를 캡쳐하도록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메라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제1 절단부이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절단부에 대한 제어권을 원격 장치에 선택적으로 부여하고, 제2 절단부에 대한 제어권을 제2 원격 장치에 선택적으로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메라 제어 방법.
  17. 카메라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카메라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페이스를 통해 화상을 수신하는 단계;
    외부 입력에 기초하여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권 요구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권 요구를 상기 카메라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에 전송되었을 때 상기 카메라가 상기 화상의 절단부를 제어가능하게 설정하게 하는 지정 요구를 외부 입력에 기초하여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카메라로부터 전송된 상기 화상의 상기 절단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메라 원격 제어 방법.
  18. 컴퓨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컴퓨터 프로세서로 하여금
    한 영역의 화상을 캡처하는 단계;
    제어권 요구를 수신하고 상기 화상의 절단부를 설정하기 위해 제어권을 선택적으로 부여하는 단계;
    상기 절단부를 설정하기 위한 지정 요구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화상의 상기 절단부를 캡처하도록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가 저장되어있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제1 절단부이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절단부에 대한 제어권을 원격 장치에 선택적으로 부여하고, 제2 절단부에 대한 제어권을 제2 원격 장치에 선택적으로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 장치.
  20. 컴퓨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컴퓨터 프로세서로 하여금
    카메라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페이스를 통해 화상을 수신하는 단계;
    외부 입력에 기초하여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권 요구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권 요구를 상기 카메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에 전송되었을 때 상기 카메라가 상기 화상의 절단부를 제어가능하게 설정하게 하는 지정 요구를 외부 입력에 기초하여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카메라로부터 전송된 상기 화상의 상기 절단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가 저장되어 있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 장치.
KR1020110041629A 2010-05-10 2011-05-02 카메라 제어부, 컨트롤러, 카메라 제어 방법, 카메라 원격 제어 방법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 장치 KR201101241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08563A JP2011239149A (ja) 2010-05-10 2010-05-10 制御装置、カメラ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JP-P-2010-108563 2010-05-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4139A true KR20110124139A (ko) 2011-11-16

Family

ID=44281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1629A KR20110124139A (ko) 2010-05-10 2011-05-02 카메라 제어부, 컨트롤러, 카메라 제어 방법, 카메라 원격 제어 방법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10273570A1 (ko)
EP (1) EP2387228A3 (ko)
JP (1) JP2011239149A (ko)
KR (1) KR20110124139A (ko)
CN (1) CN102244724A (ko)
BR (1) BRPI1101759A2 (ko)
RU (1) RU2011117483A (ko)
TW (1) TWI47100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17285B2 (en) * 2006-04-28 2011-03-29 Reagan Inventions, Llc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entering, storing and sharing addresses for a positional information device
JP5338498B2 (ja) 2009-06-09 2013-11-13 ソニー株式会社 監視カメラシステムで使用される制御装置、カメラ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5791256B2 (ja) * 2010-10-21 2015-10-07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
KR101882442B1 (ko) * 2011-12-21 2018-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서버, 이동 단말기 제어 방법 및 서버의 제어 방법
JP2013142037A (ja) * 2012-01-12 2013-07-22 Tadano Ltd 作業車用の吊荷監視カメラ装置
US20150222762A1 (en) * 2012-04-04 2015-08-06 Google Inc.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a camera across processes
WO2014014238A1 (en) * 2012-07-17 2014-01-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mage
WO2014083321A1 (en) * 2012-11-27 2014-06-05 Bae Systems Plc Imaging system and process
JP5800249B2 (ja) * 2013-06-21 2015-10-2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撮影条件設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485420B2 (en) * 2014-02-03 2016-11-01 Point Grey Research Inc. Video imaging using plural virtual image capture devices
KR102647735B1 (ko) * 2015-06-11 2024-03-15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촬영 장치, 정보 취득 장치, 정보 취득 시스템, 송신 제어 방법, 정보 취득 방법 및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1729564B1 (ko) 2015-09-07 2017-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JP6980450B2 (ja) * 2017-08-09 2021-12-15 キヤノン株式会社 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4615362B (zh) * 2020-12-09 2023-07-11 华为技术有限公司 相机控制方法、装置和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96960B2 (ja) 1996-01-30 2007-10-24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メラ制御システム
JP3548352B2 (ja) 1996-10-25 2004-07-28 キヤノン株式会社 遠隔カメラ制御システム及び装置及びその方法
US20080106597A1 (en) * 1999-10-12 2008-05-08 Vigilos, Inc.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and remotely retrieving surveillance video images
US7129979B1 (en) * 2000-04-28 2006-10-31 Eastman Kodak Company Image sensor pixel for global electronic shuttering
EP1307867B1 (en) * 2000-07-26 2010-06-23 Smiths Detection Inc. Methods and systems for networked camera control
US7239318B2 (en) * 2001-03-23 2007-07-03 Rise Kabushikikaisha Method and computer software program product for processing characters based on outline font
US7148914B2 (en) * 2001-04-25 2006-12-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ubimages to remote sites
JP3880495B2 (ja) * 2002-09-25 2007-02-14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の制御方法及び画像配信装置
JP3747908B2 (ja) * 2002-12-13 2006-02-22 ソニー株式会社 カメラ制御システム、カメラサーバ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4254031A (ja) * 2003-02-19 2004-09-09 Canon Inc 画像処理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2004357126A (ja) * 2003-05-30 2004-12-16 Toshiba Corp 撮像装置、撮像システム及び撮像方法
JP2005236513A (ja) * 2004-02-18 2005-09-02 Fujinon Corp 撮像装置
US8427538B2 (en) * 2004-04-30 2013-04-23 Oncam Grandeye Multiple view and multiple object processing in wide-angle video camera
JP5030261B2 (ja) * 2005-11-16 2012-09-19 キヤノン株式会社 映像配信装置、ビューワ装置、映像配信装置の制御方法、ビューワ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645956B2 (ja) * 2006-03-24 2011-03-0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映像配信遠隔制御装置、映像配信システムおよび映像配信方法
JP4928275B2 (ja) * 2007-01-10 2012-05-09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メラ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9017221A (ja) * 2007-07-04 2009-01-22 Canon Inc カメラ制御システム、制御権の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645685B2 (ja) * 2008-06-02 2011-03-09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カメラ、カメラ制御プログラム及び撮影方法
JP4636130B2 (ja) * 2008-06-27 2011-02-23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312256B2 (ja) * 2008-09-12 2013-10-09 三洋電機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撮像システム
JP2010108563A (ja) 2008-10-31 2010-05-13 Fujitsu Ltd 光ピックアップ用レンズアクチュエータのコントローラおよびそれを備える光ディス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244724A (zh) 2011-11-16
EP2387228A2 (en) 2011-11-16
TW201208362A (en) 2012-02-16
TWI471003B (zh) 2015-01-21
EP2387228A3 (en) 2012-05-23
JP2011239149A (ja) 2011-11-24
RU2011117483A (ru) 2012-11-10
US20110273570A1 (en) 2011-11-10
BRPI1101759A2 (pt) 2012-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24139A (ko) 카메라 제어부, 컨트롤러, 카메라 제어 방법, 카메라 원격 제어 방법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 장치
KR101760142B1 (ko) 카메라 장치, 카메라 시스템, 제어 장치 및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US8842188B2 (en) Camera device, camera system, control device and program
KR20110124138A (ko) 제어 장치, 카메라 시스템 및 프로그램
JP7344703B2 (ja) 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295589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for simultaneously transmitting a plurality of pieces of image data obtained from a plurality of camera modules
JP2010213119A (ja) 映像伝送システム、撮像装置及びモニタ装置
JP7204569B2 (ja) 撮像装置、システム、撮像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20170085776A1 (en)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maging apparatus
KR20140111324A (ko) 비디오 감시 방법, 관련 시스템, 관련 감시 서버, 및 관련 감시 카메라
JP7242464B2 (ja) カメラシステム及びライブ画像配信方法
JP2011035543A (ja) 撮像装置、端末装置及び撮像システム、並びに撮像装置の情報処理方法
JP6655895B2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ならびにシステム
JP6415387B2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1052324A (ja) 撮像装置、システム、撮像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6351325B2 (ja) 記録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20141200A (ja) 動画配信機能を有する撮像装置
JP2016225920A (ja) 撮像装置、クライアント装置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
JP2012085125A (ja) ネットワークカメラシステム、サーバ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