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0158B1 - 낚시바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낚시바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0158B1
KR101660158B1 KR1020150021037A KR20150021037A KR101660158B1 KR 101660158 B1 KR101660158 B1 KR 101660158B1 KR 1020150021037 A KR1020150021037 A KR 1020150021037A KR 20150021037 A KR20150021037 A KR 20150021037A KR 101660158 B1 KR101660158 B1 KR 101660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point
barb
forming
fishing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1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9169A (ko
Inventor
황성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벨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벨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벨라
Priority to KR1020150021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0158B1/ko
Publication of KR20160099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9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0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0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45/00Wire-working in the manufacture of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F45/12Wire-working in the manufacture of other particular articles of fishing hoo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3/00Fish-h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1/00Bending wire other than coiling; Straightening wire
    • B21F1/02Straight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11/00Cutting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3/00Feeding wire in wire-working machines or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or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인트 및 포인트 미늘을 형성하기에 앞서서 미리 와이어의 단부를 단조가공하여 그 단면적을 넓게 형성하여 둠으로써, 포인트 미늘을 형성하는데 충분한 면적을 확보하여 포인트 및 포인트 미늘의 기능을 저하시키기 않도록 하면서도 낚시바늘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 낚시바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낚시바늘 제조장치는, 미리 정해진 길이로 절단된 와이어가 그 양단에 가이드 블럭의 지지를 받게 하면서 이 와이어의 폭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낚시바늘을 제조하는 낚시바늘 제조장치에 있어서, 포인트를 형성하기 위하여 절단된 와이어의 단부를 단조처리하기 위한 단조기; 단조처리된 와이어의 단조면을 컷팅하여 포인트를 형성하는 포인트 컷팅기; 상기 포인트에 포인트 미늘을 형성하기 위한 미늘형성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낚시바늘 제조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FISH HOOK}
본 발명은 낚시바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인트를 형성하기 위한 자리에 미리 단조가공한 다음 포인트를 형성함으로써, 포인트 미늘이 형성되는 와이어 단부의 조직을 치밀하게 하여 포인트 끝단이 충분한 강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낚시바늘을 제조하는 제조장치에 관하여 특허문헌1과 같이, 한국에서 출원하여 특허등록을 받은 바 있다. 특허문헌1에 개시된 낚시바늘 제조장치는, 일정한 길이로 절단된 소재를 이송 공급하여 낚시바늘을 제조하는 경우 낚시바늘의 첨예부 형성을 위한 그라인딩 및 컷팅공정이 고리를 형성하는 절곡성형공정, 미늘성형공정, 컷팅공정 및 벤딩공정과 일련의 작업공정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작업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작업자의 안전성 도모 및 제품의 규격화에 부응할 수 있도록 한 낚시바늘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낚시바늘 제조장치는 다음과 같은 공정상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1) 와이어가 단조가공되지 않은 상태에서 포인트의 하부에 포인트 미늘이 형성되게 되는데, 이때 포인트 미늘이 좁은 와이어의 폭(직경) 방향에 대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포인트 미늘의 강도가 떨어지거나 포인트의 강도를 약화시킬 우려가 있었다.
(2) 즉, 포인트 미늘은 와이어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각도로 펀칭하여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와이어의 직경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깊이만큼 파고 들게 하여 포인트 미늘을 형성한다. 이때문에, 와이어의 직경은 정해져 있는데 포인트 미늘을 형성하다 보면 그만큼 와이어의 직경에 해당하는 부분이 얇아지게 되는 것이다.
(3) 특히, 이러한 포인트 미늘은 와이어의 직경을 고려하여 너무 깊지 않게 형성하다 보면 포인트 미늘의 기능이 저하되게 되고, 반대로 너무 깊게 형성하다 보면 포인트 미늘이 형성된 와이어 부분이 약해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62016(등록일자 2008년 09월 30일)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포인트 및 포인트 미늘을 형성하기에 앞서서 미리 와이어의 단부를 단조가공하여 그 단면적을 넓게 형성하여 둠으로써, 포인트 미늘을 형성하는데 충분한 면적을 확보하여 포인트 및 포인트 미늘의 기능을 저하시키기 않도록 하면서도 낚시바늘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 낚시바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낚시바늘 제조장치는, 미리 정해진 길이로 절단된 와이어가 그 양단에 가이드 블럭의 지지를 받게 하면서 이 와이어의 폭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낚시바늘을 제조하는 낚시바늘 제조장치에 있어서, 포인트를 형성하기 위하여 절단된 와이어의 단부를 단조처리하기 위한 단조기; 단조처리된 와이어의 단조면을 컷팅하여 포인트를 형성하는 포인트 컷팅기; 상기 포인트에 포인트 미늘을 형성하기 위한 미늘형성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단조기로 단조가공하기 전에 와이어가 길게 펴지도록 교정하는 직선 교정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직선 교정기는, 상기 가이드 블럭의 상부에 설치되어 와이어의 길이 중간 부분을 가압하여 고정시켜 주기 위한 클램프; 및 이 클램프의 측부에 장착되어 함께 움직이면서 와이어의 일단부를 가압하여 펴주기 위한 위한 교정펀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조기는, 낚시줄을 매는 아이(Eye)와 직각이 되도록 단조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낚시바늘 제조장치는, 상기 포인트 컷팅 후 컷팅된 부분이 와이어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경우, 이를 제거하기 위한 불량교정장치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불량교정장치는, 포인트가 생성되지 않은 와이어의 타측을 고정시켜 주기 위한 클램프; 및 상기 포인트의 컷팅면을 따라 움직이면서 불완전 컷팅된 부분을 제거해 주는 불량교정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미늘형성장치는, 상기 와이어의 양단부를 지지하여 고정시켜 주기 위한 한쌍의 클램프; 및 상기 와이어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기울어지게 움직이는 미늘생성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낚시바늘 제조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포인트와 포인트 미늘을 형성하기 위한 면적을 미리 단조하여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2) 이는 포인트 및 포인트 미늘을 원하는 강도 및 크기대로 형성할 수 있게 되어 낚시바늘의 강성 및 품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3) 서로 인접하게 형성되는 포인트 및 포인트 미늘 사이의 상호 강성 저하 등의 문제를 고려하지 않고서도 이들 포인트와 포인트 미늘을 쉽게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바늘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바늘 제조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직선 교정기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조기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포인트 컷팅기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불량교정장치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미늘형성장치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과정중 와이어의 형성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성)
여기서, 도면부호 "10"은 낚시바늘을 제조하기 위하여 미리 정해진 길이로 절단된 와이어를, "G"는 이 와이어의 양단부를 각각 지지하고 이 와이어가 그 폭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제조공정이 수행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블럭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바늘 제조장치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낚시바늘을 제조하기 위한 와이어(10)를 가공시, 포인트(12)와 포인트 미늘(13)을 형성하기 위한 와이어(10)의 일단부에 미리 단조가공하기 위한 단조기(100), 이 단조된 와이어(10)의 단조면(11)에 각각 포인트(12)와 포인트 미늘(13)을 형성하기 위한 포인트 컷팅기(200) 및 미늘형성장치(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은 이처럼 단조면(11)을 형성함으로써, 포인트(12)와 포인트 비늘(13)을 형성하기 위해 넓은 면적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포인트(12)를 쉽게 커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포인트 미늘(13)을 형성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마련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조기(100)는, 도 4와 같이, 일반적으로 단조 등에 사용되는 펀치기능을 갖는 단조기를 이용한다.
특히, 이때, 단조기(100)는, 도 8의 (a) 및 (b)와 같이, 와이어(10)에서 아이(Eye)부분을 벤딩하기 위해 선가공된 넥부(14)의 반대쪽을 단조하게 된다. 여기서, 아이는 낚시바늘에서 낚시줄을 묶기 위한 부분으로서, 통상적으로 와이어(10)의 일단을 원형 형태로 벤딩하여 형성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단조기(100)는 와이어(10)의 타단을 단조하여 얻어진 단조면(11)이, 도 8의 (b)와 같이, 아이(14) 부분과 직각을 이루도록 단조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단조면(11)을 후술하게 될 포인트 컷팅기(200)로 절단하여 포인트(12)를 형성하게 되는데, 낚시바늘의 완성시 이 포이트(12)의 절단면이 아이(14)를 향하도록 벤딩할 수 있게 하여 낚시바늘이 어류의 입에 잘 걸리도록 관통력을 높일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는, 상기 단조기(100)를 통해 단조가공을 수행하기 전에 와이어(10)의 직선교정 과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직선교정은 직선 교정기(101)에 의하여 수행된다.
상기 직선 교정기(101)는, 도 3과 같이, 와이어(10)를 고정시켜 주기 위한 클램프(110) 및 클램프(110)에 의해 고정된 와이어(10)를 펴주기 위한 교정펀치(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클램프(110)는 상기 와이어(10)의 길이 중간 부분을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와이어(10)의 하부에는 이 클램프(11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블럭(S)이 구비된다.
교정펀치(120)는 상기 넥부(14)가 형성된 쪽을 가압하여 곧게 펴줄 수 있도록 가이드 블럭(G)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직선 교정기(101)는 교정펀치(120)를 클램프(110)의 측면에 장착하고, 이 클램프(110)가 와이어(10)를 고정시킴에 따라 바로 교정펀치(120)가 교정공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와이어(10)의 교정 공정은, 상기 단조공정을 수행하기 전에, 이 와이어(10)의 표면에 등미늘(15)등을 형성하는 공정이 먼저 수행된 경우에 유용하다. 즉, 등미늘(15)은 와이어(1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각도로 커터(미도시됨) 등으로 깍아내듯이 찍어서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커터의 각도 때문에 와이어(10)에 휨이 발생한다. 이에, 이러한 휨 등을 본 발명에 따른 직선 교정기(101)를 이용하여 곧게 펴주게 되는 것이다.
도 8에서, (a)는 미리 정해진 길이로 절단되어 낚시바늘을 제조하는데 이용되는 와이어(10)로서 등미늘과 아이 형성을 위한 1차 및 2차 벤딩된 상태에서 직선교정된 와이어(10)를 보여준다.
포인트 컷팅기(200)는, 도 5와 같이, 통상의 기술로 이루어진 커터를 이용한다. 특히, 이때의 커터는 포인트(12)의 형상과 모양을 결정하게 되는데, 이러한 형상과 모양은 이미 공지된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포인트(12)의 컷팅은 상술한 단조면(11)에 형성한다. 포인트(12)는, 도 8의 (c)와 같이 단조면(11)을 컷팅하여 첨예하게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포인트 컷팅기(200)로 단조면(11)을 컷팅하여 포인트(12)를 형성시, 컷팅된 부분이 와이어(10)로부터 완전하게 떨어져 나가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8의 (d)와 같이, 포인트(12)로부터 불량부분(16)을 제거할 수 있도록 불량교정장치(400)를 더 구성할 수 있다.
불량교정장치(400)는, 도 6과 같이, 와이어(10)를 고정시켜 주기 위한 클램프(410) 및 상기 불량부분(16)을 완전하게 컷팅시켜 주기 위한 불량교정날(420)을 포함한다.
특히 클램프(410)는 불량교정날(420) 등과 간섭을 피할 수 있도록 와이어(10)의 중간 부분이나 넥부(14)가 형성된 부분을 고정시켜 줄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불량교정날(420)은 포인트(12)의 컷팅면과 동일선상에서 움직이게 하여 원하는 형태의 포인트(12)부분만을 남기고 나머지 부분을 컷팅해 낼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늘형성장치(500)는, 도 7 및 도 8의 (e)과 같이, 와이어(10)를 고정시켜 주기 위한 한쌍의 클램프(510,520) 및 와이어(10)에 실질적으로 미늘(13)을 형성시켜 주는 미늘생성날(530)을 포함한다.
특히,상기 클램프(510,520)는 미늘생성날(530)과의 간섭을 받지 않으면서 미끌림을 방지할 수 있는 위치에서 와이어(10)를 고정시켜 줄 수 있게 장착한다. 즉, 미늘생성날(530)은, 와이어(1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각도로 와이어(10)의 표면을 찍듯이 움직이면서 미늘(13)을 형성한다. 이에 이 미늘생성날(530)의 각도 때문에 와이어(10)가 그 길이방향으로 미끌리듯이 움직일 우려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510,520)는 한쌍을 이용하여, 와이어(10)의 양단부를 각각 견고하게 고정시켜 줌으로써, 미끌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미늘형성장치(500)는 통상의 기술로 제작된 기술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포인트와 포인트 미늘을 형성하기 전에 미리 그 형성위치에 단조가공을 하여 둠으로써, 이들 포인트와 포인트 미늘의 형성에 필요한 충분한 폭과 넓이를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0 : 단조기
101 : 직선 교정기
120 : 교정펀치
200 : 포인트 컷팅기
400 : 불량교정장치
500 : 미늘형성장치

Claims (7)

  1. 미리 정해진 길이로 절단된 와이어가 그 양단에 가이드 블럭의 지지를 받게 하면서 이 와이어의 폭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낚시바늘을 제조하되,
    포인트를 형성하기 위하여 절단된 와이어(10)의 단부를 단조처리하기 위한 단조기(100);
    단조처리된 와이어(10)의 단조면(11)을 컷팅하여 포인트(12)를 형성하는 포인트 컷팅기(200);
    상기 포인트 컷팅 후 컷팅된 부분이 와이어(10)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경우, 이를 제거하기 위한 불량교정장치(400);
    상기 포인트(12)에 포인트 미늘(13)을 형성하기 위한 미늘형성장치(500);를 포함하고,
    상기 단조기(100)로 단조가공하기 전에 와이어(10)가 길게 펴지도록 교정하는 직선 교정기(101)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낚시바늘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직선 교정기(101)는,
    상기 가이드 블럭(G)의 상부에 설치되어 와이어(10)의 길이 중간 부분을 가압하여 고정시켜 주기 위한 클램프(110); 및
    이 클램프(110)의 측부에 장착되어 함께 움직이면서 와이어(10)의 일단부를 가압하여 펴주기 위한 위한 교정펀치(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바늘 제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불량교정장치(400)는,
    포인트(12)가 생성되지 않은 와이어(10)의 타측을 고정시켜 주기 위한 클램프(410); 및
    상기 포인트(12)의 컷팅면을 따라 움직이면서 불완전 컷팅된 부분을 제거해 주는 불량교정날(4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바늘 제조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늘형성장치(500)는,
    상기 와이어(10)의 양단부를 지지하여 고정시켜 주기 위한 한쌍의 클램프(510,520); 및
    상기 와이어(1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기울어지게 움직이는 미늘생성날(5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바늘 제조장치.
KR1020150021037A 2015-02-11 2015-02-11 낚시바늘 제조장치 KR101660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1037A KR101660158B1 (ko) 2015-02-11 2015-02-11 낚시바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1037A KR101660158B1 (ko) 2015-02-11 2015-02-11 낚시바늘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9169A KR20160099169A (ko) 2016-08-22
KR101660158B1 true KR101660158B1 (ko) 2016-09-27

Family

ID=56854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1037A KR101660158B1 (ko) 2015-02-11 2015-02-11 낚시바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01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24721B (zh) * 2017-12-06 2023-09-26 天津兴美机械设备有限公司 鱼钩线材中切机
CN111843515B (zh) * 2020-07-28 2022-03-04 东山县铜兴渔具制品有限公司 一种鱼钩的高效加工装置及加工工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5878Y1 (ko) * 2000-06-23 2000-12-01 주식회사유벨라 낚시바늘 제조장치
KR200249356Y1 (ko) * 2001-06-26 2001-11-16 변용출 참치용 낚시바늘의 가공장치
KR100862016B1 (ko) * 2006-09-14 2008-10-10 주식회사 유벨라 낚시바늘 제조장치
KR101419496B1 (ko) * 2012-11-02 2014-07-15 삼미금속공업 주식회사 와이어 밴딩머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5878Y1 (ko) * 2000-06-23 2000-12-01 주식회사유벨라 낚시바늘 제조장치
KR200249356Y1 (ko) * 2001-06-26 2001-11-16 변용출 참치용 낚시바늘의 가공장치
KR100862016B1 (ko) * 2006-09-14 2008-10-10 주식회사 유벨라 낚시바늘 제조장치
KR101419496B1 (ko) * 2012-11-02 2014-07-15 삼미금속공업 주식회사 와이어 밴딩머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9169A (ko) 2016-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0158B1 (ko) 낚시바늘 제조장치
JP2010158688A (ja) せん断加工成形方法
JP2014039957A (ja) フランジ付き成形部材のプレス加工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曲げ工具
KR20130110248A (ko) 파이프를 이용한 헤드레스트 프레임의 제조방법 및 헤드레스트 프레임
KR101584040B1 (ko) 코일스프링의 밴딩 및 절단장치
JP2006281312A (ja) プレス加工方法
EP3085466B1 (en) Hand held forming tool
JP2016140223A (ja) セグメントコイルの成形型
KR101653485B1 (ko) 낚시바늘의 제조방법
JP6892442B2 (ja) ミシン針、ミシン針の製造方法及び縫製方法
KR101708106B1 (ko) 낚시바늘 제조장치
KR102562884B1 (ko) 낚시바늘 및 이의 제조방법
JP5729505B2 (ja) 被加工材の穴抜き方法
JP6041831B2 (ja) 管切断装置
JP5896809B2 (ja) 鋸刃及び切削チップ
JP2009233710A (ja) プレス成形方法及びプレス成形金型装置
KR100985245B1 (ko) 낚시바늘 제조방법
JP5838822B2 (ja) プレス加工装置
JP3226337U (ja) ガイド冶具及び鋼帯の切断加工装置
KR101542946B1 (ko) 서로 직교하는 ㄱ자 앵글의 상면이 단차없이 수평을 이루도록 앵글 팔레트를 제조하기 위한 펀칭 장치
KR20110011986U (ko) 굴착기 버켓용 투스 제조장치
JP6555639B2 (ja) タイヤ用材料片の湾曲補正装置及び湾曲補正方法
JP3842986B2 (ja) 管切断装置及び方法
EP2755782B1 (en) Device for correcting the shape of a bent metal bar and corresponding method
KR100942119B1 (ko) 낚시바늘 소재 성형용 프레스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