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5707B1 - 음식 조리용 히터를 구비한 연기 배출 후드 장치 - Google Patents

음식 조리용 히터를 구비한 연기 배출 후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5707B1
KR101655707B1 KR1020150168271A KR20150168271A KR101655707B1 KR 101655707 B1 KR101655707 B1 KR 101655707B1 KR 1020150168271 A KR1020150168271 A KR 1020150168271A KR 20150168271 A KR20150168271 A KR 20150168271A KR 101655707 B1 KR101655707 B1 KR 101655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smoke
exhaust pipe
cooking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8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훈
Original Assignee
김남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훈 filed Critical 김남훈
Priority to KR1020150168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57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5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5707B1/ko
Priority to PCT/KR2016/013879 priority patent/WO2017095109A1/ko
Priority to US15/777,675 priority patent/US10641501B2/en
Priority to CN201680069287.0A priority patent/CN108291732B/zh
Priority to JP2018527235A priority patent/JP6713668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42Devices for removing cooking fum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ooking range e.g. downdraf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for withdrawing or condensing cooking vapors from cooking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8Removing cooking fumes movable
    • F24C15/2085Removing cooking fumes movable adjustable in height
    • F24F11/0017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18Flexible soft ducts, e.g. ducts made of permeable texti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24F2011/0012
    • F24F2011/002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Ventilation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음식 조리용 히터를 구비한 연기 배출 후드 장치는, 조리부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흡입하는 흡입부와, 상기 흡입부에서 흡입된 연기가 이송되는 배기관 및, 상기 배기관 및 상기 흡입부 중 어느 하나의 외부 일 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조리부의 상부에서 방열하는 히터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 조리용 히터를 구비한 연기 배출 후드 장치에 의하면, 음식의 상부에 설치된 연기 배출 후드 장치의 흡입부 인근 하부에 히터를 설치함으로써 음식의 상부에서 열을 제공하여 음식 조리를 보조하거나 신속하고 맛있게 음식을 조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음식 조리용 히터를 구비한 연기 배출 후드 장치{Hood Device Exhausting Smoke With Heater For Cook}
본 발명은 음식 조리용 히터를 구비한 연기 배출 후드 장치로서, 가정 또는 음식점과 같은 실내에서 음식 조리 시 발생되는 연기를 흡입하도록 조리 테이블의 상단에 설치되는 연기 배출 후드 장치에 음식을 조리할 수 있는 히터를 포함한 히터 어셈블리를 구비하고, 상기 히터 어셈블리를 회동 가능한 구조로 구비하여 이 자체로 또는 기존의 테이블에 구비된 열원과 함께 음식에 골고루 열을 전달하여 신속하게 음식을 조리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하는 연기 배출 후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식 조리용 연기 배출 후드 장치는 배기 덕트 또는 배기 후드라고도 불리는 것으로, 이러한 음식 조리용 연기 배출장치는, 휴대용 가스레인지 또는 음식점의 숯불 및 전열기와 같은 열원에 위치한 불판이나 그릴에서 생선이나 육류가 구워질 때 발생하는 연기 또는 유독가스를 흡입하는 흡입부와, 흡입부를 통해서 들어온 연기가 이동하는 관인 배기관, 흡입된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블로어(blower)가 내설되는 배기실을 포함한다. 더 나아가 사용자에 의한 스위치 조작으로 흡입부 및 배기관이 승강되는 모터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식 조리용 연기 배출 후드 장치는, 불판이나 그릴 위에 음식을 올려놓은 후, 수동 혹은 스위치 조작으로 흡입부를 불판에 접근되게 하강시킨 다음, 음식 조리 시 발생하는 연기/냄새를 흡입부를 통해 흡입하고, 배기관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후, 조리가 끝난 다음에는 수동 혹은 스위치 조작으로 흡입부 및 배기관을 천정 쪽으로 상승 시키는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연기 배기 후드 장치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육류 및 생선을 조리할 때 열원에 의하여 하부가 먼저 가열 되어 기름이 발생하면 그 기름이 흘러나오는 과정에서 폭발적으로 외부로 터져 나올 수 있고, 음식의 하면이 보이지 않아 조리의 진행 상태를 가늠하기 어려워 자칫 잘못하면 음식을 과 조리하여 태워버릴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하부의 열원만을 이용하는 조리 방식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연기 배출 후드 장치와 연계하여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발명이 필요하다.
한국 공개 특허 제 2015-0021214호 한국 공개 특허 제 2012-0030118호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연기 배출 후드 장치에서 배기 후드의 외측 인근에 히터를 설치하여 배기 후드로 하여금 연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음식의 상부에서 히터로 열을 가하여 신속하고 맛있게 음식을 조리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히터 어셈블리가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조리 테이블의 공간을 확보하고 사용의 편의성을 보장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히터를 다층 구조로 제시하여, 발열부를 구비한 플레이트가 승강 가능하도록 하여 집중적 조리기능을 제공하고 연기 흡입 시 히터의 열에 의한 와류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히터 어셈블리의 높낮이를 상하로 이동시켜 조리부에 전달되는 열의 세기를 조절하고, 조리 테이블 상부의 스페이스를 확보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식 조리용 히터를 구비한 연기 배출 후드 장치는, 조리부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흡입하는 흡입부와, 상기 흡입부에서 흡입된 연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관 및, 상기 배기관 및 상기 흡입부 중 어느 하나의 외부 일 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조리부의 상부에서 발열하는 히터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히터 어셈블리는, 발열부를 포함한 히터와, 상기 발열부 대항 측인 상기 히터 부위를 감싸는 하우징 및,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서 연장되어 타단이 상기 배기관 및 상기 흡입부 중 어느 하나의 외부 일 측에 결합되는 연결부와, 상기 히터를 상기 하우징의 내측 면에 연결하는 서포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연결부는, 상기 배기관 및 상기 흡입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배기관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함입 형성된 높이 조절공 및, 패스너(fastener)를 매개로 상기 높이 조절공에 체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연결부의 단부가 결합된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히터는, 상기 서포터에 연결된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전면 측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 상기 발열부를 포함한 제 2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 조리용 히터를 구비한 연기 배출 후드 장치에 의하면,
1) 음식의 상부에 설치된 연기 배출 후드 장치의 외측 인근에 히터를 설치함으로써, 음식을 상부에서 또는 상하부에서 고르게 가열하여 조리시간을 단축시킴과 동시에 맛을 향상시킬 수 있고,
2) 히터 어셈블리를 회동 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조리를 하지 않거나 조리가 끝난 후에 히터 어셈블리를 회동 및 고정시켜 사용자에게 조리 테이블을 넓게 쓸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하며,
3) 히터가 이중층을 가진 플레이트 구조를 포함하여 필요시에 히터를 하강시키는 것으로, 열로 인해 형성된 와류가 배기 작용을 저해시키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조리에 있어 열원을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고,
4) 높이조절수단을 구비하여 히터 어셈블리의 위치를 수직으로 조절 가능하게 함으로써, 음식에 방출되는 열의 세기를 조절함과 동시에 조리 테이블 위의 공간 확보를 돕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 조리용 히터를 구비한 연기 배출 후드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기 배출 후드 장치의 저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연결부가 두 개로 구성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히터 어셈블리가 회동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연기 배출 후드 장치에 구성된 높이 조절공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의 히터를 구성하는 플레이트의 변형된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컨트롤러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공지의 연기 배출 후드 장치를 설명하면, 자바라 형식으로 천장에서 연장되어 길이조절이 가능한 구조이거나 아니면 조리테이블에서 라운딩지게 절곡 형성되어 음식이 위치하는 조리영역의 상부에까지 연장 형성된 배기관(110)을 구비할 수 있다. 자바라 형식을 가진 후드 장치는 추가적으로 승강 스위치를 구비하여 자동으로 그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흡입공(130)을 구비한 흡입부(120)는 배기관(110)의 끝에서 상협하광한 구조로 이루어져 보다 넓은 범위에서 연기를 흡입하기 용이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더불어, 흡입부(120)의 단부 측 내경, 즉 흡입공(130)에는 기름기 있는 음식을 조리할 때 흡입되지만 다시 낙하될 수 있는 기름을 받기 위한 기름 받이 캡이 구비될 수 있으며, 후드를 보호하기 위한 후드 캡이 추가로 장착되기도 한다.
본 발명도 연기 흡입을 위한 배기 후드(1)의 구조에 있어 앞서 말한 바와 구성이 유사하다 할 것이다. 그러나 이에 그치지 않고 본 발명의 음식 조리용 히터를 구비한 연기 배출 후드 장치에서는, 배기 후드(1)의 외부 일 측에 연결되어 조리부에 열을 공급할 수 있는 히터 어셈블리(2)를 포함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 조리용 히터를 구비한 연기 배출 후드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기 배출 후드 장치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1과 도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공지의 연기 배출 후드 장치의 외부 일 측에 히터 어셈블리(2)를 연결한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히터 어셈블리(2)는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히터(210)와, 히터(210)에서 하나 이상의 서포터(250)로 연결되고 히터(210)를 감싸 열을 효율적으로 집중시키고 외부로는 단열시키는 하우징(240), 그리고 하우징(240)에서 연장되어 배기 후드(1)에 히터 어셈블리(2)를 연결하는 연결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히터(210)는 히터 어셈블리(2)의 주목적인 열을 공급하는 발열부(220)를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발열부(220)의 구조적 보강을 위하여 표면에 발열부(220)를 수용하는 플레이트(230)를 포함할 수도 있다.
히터(210)의 조리부측 면에 위치하고 발열 기능을 제공하여 음식물을 가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발열부(220)는, 부탄가스, 기타 액체 연료를 통해 하방으로 열을 발산하는 구조로 이루어 질 수 있으나, 대류 현상에 의해 상부로 열이 샐 수도 있고 연료를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생길 수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발열부(220)는 적외선 방출 구조 및 코일 구조로 이루어진 열선 또는 발열 효율이 높은 할로겐램프와 같은 것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열부(220)가 적외선 및 전열을 발생시키는 열선으로 구성될 때, 그 구조는 나선형, 동심원형 또는 격자형이나 복수의 절곡부를 가진 곡선형 등 다양한 형태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열선의 면적이 넓어질수록 화력은 강해지는 반면 히터(210)의 상측부로 위치한 흡입공(130)을 가로막을 수 있다. 따라서 발열부(220)는 흡입공(130)으로 원활하게 연기가 흡입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는 범위에서 자유로운 연장 길이와 연장 패턴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발열부(220)에 의하면, 공지의 음식점 불판이나 조리기구가 하부에서 상부로만 열을 전달하여 음식을 조리하는 것과 다르게, 상부에서 하부로 열을 전달함으로써 음식의 상면을 익히는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하부에서 상부로 열을 전달하는 기존 조리기구와 병행하여 보조 가열 수단으로 사용되면 위와 아래에서 동시에 열을 전달하여 음식을 익힐 수 있어, 조리 시간이 보다 단축될 뿐 아니라 균일하고 맛있게 익히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발열부(220)가 전열 방식으로 작동할 때, 서포터(250) 중 하나는 발열부(220)에 전원을 공급하고 컨트롤러(300)에서 발생하는 /off 및 강/약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전선을 이송하는 통로 역할이 가능하다.
또한, 역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발열부(220)에 전원을 제공하기 위해서 하우징(240)의 외측 면에 배터리가 구비될 수 있고, 발열부(220)에 연결된 전선을 연장하여 직접적인 교류 전원을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듯 히터(210)는 발열부(220)만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발열부(220)의 안정성 및 효율을 위해 발열부(220)을 수용하는 플레이트(23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230)는 하나 이상의 서포터(250)로 하우징(240)에 연결 고정되고, 조리부를 향해 하향 위치한다. 또한 발열부(220)가 수용된 측의 배면에는 단열층을 적층시켜 역방향으로 나가는 열을 단열함으로써 열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230)는 후술하겠지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변형 구조로 제공되어 조리 시 발열부(220)와 조리부의 거리를 조절하는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히터(210)의 일 측으로 서포터(250)와 연결되는 하우징(240)은, 조리부가 위치한 하단으로 열이 발산되는 제 1 개방부(241)를 포함한다. 또한 흡입부(120)로 이어지는 하우징의 상단에는 조리 시에 올라오는 연기 및 미량의 잔열이 빠져나가는 제 2 개방부(242)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각 개방부의 직경 관계는 열 및 연기의 흐름에 간접적인 영향을 끼치게 되는데, 제 1 개방부(241)와 제 2 개방부(242)의 직경이 같은 수직의 원통형으로 구비될 경우, 하우징(240)의 내부에서 반사되는 열은 방향성을 가지지 못한 채 제 1 개방부(241)와 제 2 개방부(242)로 동시 방열된다. 만약 제 1개방부(241)가 제 2 개방부(242)에 대하여 더 큰 직경을 지니게 되면, 발열부(220)에서 발산되는 열 중 하향하지 않는 열도 하우징(240)의 내부에서 반사되어 다시 제 1 개방부(241)로 빠져나갈 개연성이 커진다. 따라서 제 1 개방부(241)의 직경이 제 2 개방부(242)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로 하우징(240)이 형성될 경우, 보통은 하우징(240)의 형상이 갓 형태 또는 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단면이 정규분포곡선을 그리는 곡선 삿갓의 형태는, 열이 하방으로 방출되는 범위를 더 넓혀줄 뿐만 아니라, 음식 조리 시 발생할 수 있는 유독 가스를 포함한 연기를 하우징(240)의 제 1 개방부(241)에서 더욱 넓게 포집할 수 있게 하여 연기 배출의 기능을 강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하우징(240)은 단순한 삿갓 형태부터 돔 형태 또는 단면이 정규분포곡선의 형태를 띠는 원주체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개방부(242)를 통하여 연기가 빠져나가야 함을 고려하였을 때, 제 2 개방부(242)가 흡입공(130)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경우 흡입공(130)이 연기를 다 흡입하지 못하게 될 수 있으므로, 제 2 개방부(242)는 흡입공(130)에 대하여 그와 같거나 유사한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우징(240)의 내측에는 열의 반사율을 높이기 위하여 금속 또는 화학 물질을 코팅 또는 적층한 반사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반사의 효율은 시트 표면의 상태에 크게 좌우되는데, 이러한 면에 있어 시트를 이룰 수 있는 물질 중, 금속으로는 아연이나 알루미늄이 반사율이 우수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조리용 기구에서 화학적 안정성을 위하여 내식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성분을 시트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외부로 나가는 열의 유실을 막기 위하여 하우징(240)의 외면에 단열층이 적층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받을 수 있는 원치 않는 열기를 차단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240)의 일 측에는 히터 어셈블리(2)와 배기관(110) 및 흡입부(120)중 어느 하나의 외부 일 측을 연결하는 연결부(20)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20)는 단곡선의 형태도 가능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단 내지 3단으로 절곡될 수도 있다. 연결부(20)가 연결되는 지점에 따라 다르겠으나, 연결부(20)의 끝단이 흡입부(120)에서 가까운 곳에 연결될 때 연결부(20)는 경첩 구조인 컴팩트한 구조로 이루어 질 수 있다.
1단 절곡의 구조를 가지는 연결부(20)는, 하우징(240)에서 뻗어 나온 연결부(20)가 한 번의 절곡을 거쳐 배기관(110) 측벽까지 도달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구성이 간단하여 설치가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2단 절곡 구조를 가지는 연결부(20)에서는, 하우징(240)에서 횡축으로 뻗어 나오는 연결부(20)가 천정방향으로 상향하고 다시 배기관(110) 방향으로 절곡하여 배기관(110)의 측벽과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각 연결부(20)의 방향으로 외력의 하중이 분산될 수 있으므로, 상기 1단 절곡을 가지는 연결부(20)에 비해서 안정성 면에서 더 뛰어나다. 따라서 절곡을 포함한 연결부(20)의 구조로는, 1단 절곡 구조를 가지는 연결부(20)는 연결부(20)가 흡입부(120)에 가까이 연결되는 상태에 용이하며, 안정성을 추구하는 구성으로는 2단 절곡 구조가 가장 바람직하다. 첨부된 도면에서는 연결부(20)의 배기관 측 영역에서 고정 볼트(12)를 포함하는 힌지 구조를 표현하기 위하여 한 번의 추가 절곡을 나타내었으나, 이는 상기 설명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변형임은 물론이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연결부(20)의 구조를 간략화 하여 히터 어셈블리(2)를 흡입부(120)의 측면으로 접을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선형 또는 막대형으로 연장되는 연결부(20)를 가진 상기 실시 예와 달리, 연결부(20)가 단지 경첩의 구조만으로 구성되어 수첩과도 같은 구조로 회동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히터 어셈블리(2)는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접어두어 흡입부(120)의 측면에 고정되어 있다가, 히터 어셈블리(2)를 사용해야하는 조리 시에는 수첩을 열 듯 히터 어셈블리(2)를 내려서 히터(210)를 음식 방향으로 위치시켜 조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연결부는 다른 물리적 회동 구조를 지닌 구성으로 확장 가능하다.
배기 후드(1)의 배기관(110)에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는 고정부(10)는 컨트롤러(300)와 연결부(20)가 포함될 수 있다. 고정 수단으로는 공지의 여러 기술이 있으나, 고정부(10)의 고정 및 연결부(20) 회동 기능까지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방식을 하나의 실시예로 제시한다.
고정부(10)는 양 끝단에 관통 형성된 고정공을 구비한 알파벳 e자형의 단일 구조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배기관(110)의 둘레를 따라 감싸지되 고정부(10)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고정 볼트(12)로 배기관(110)에 고정 가능하다. 세부적으로 설명하자면, 고정부(10)는 배기관(110)의 둘레 길이보다 소폭 길게 형성되어 배기관(110)을 감싸고, 이로 인해 고정부(10)의 양단은 일정 부분 겹쳐지게 된다. 고정부 양단의 고정공은 이중으로 일치하게 포개지고, 포개진 고정공에 고정 볼트(12)가 체결됨으로써 고정부(10)를 밀착 고정할 수 있다. 이 때, 히터 어셈블리(2)의 연결부(20)가 힌지의 역할을 하여 히터 어셈블리(2)가 회동 기능을 얻을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의 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고정부(10)의 상기 실시 예에서 고정 볼트(12)는 회동을 위하여 자주 죄고 풀어야 하므로 특정 공구가 없이도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풀고 잠글 수 있는 나비 볼트 또는 노브 볼트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컨트롤러 브라켓(11)은 발열부(220)의 온도 설정 및 on/off제어 기능을 제공하는 컨트롤러(300)와 배기관(110)을 연결하는 것으로 배기 후드(1)의 측면 또는 조리 테이블의 일 측 등에 위치가능하나,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고정부(10)의 일 측에서 구비될 수 있다. 발열부(220)의 온도를 설정하거나 전원의 on/off제어 및 플레이트(230)의 승강 기능을 조절할 수 있는 컨트롤러(300)를 수용하는 것으로, 고정부(10)의 일 측에서 구비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연결부가 두 개로 구성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연결부(20)는 도 1, 도 2와 같이 배기관에 단신으로 연결될 수도 있으나, 지지와 회동을 튼튼히 하기 위하여 둘 이상의 연결부(20)가 구비되는 구조로 확장될 수도 있다. 도 3을 보아 알 수 있듯이, 이와 같은 구조에서 각 연결부(20)를 제 1 연결부(20a)와 제 2 연결부(20b)라고 칭하고, 제 1 연결부(20a)는 배기관(110) 및 흡입부(120) 중 하나의 외부 일 측면인 제 1 측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제 2 연결부(20b)도 배기관(110) 및 흡입부(120) 중 하나의 외부 일 측면에 연결 되되, 제 1 측부가 아닌 다른 지점에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제 1 연결부(20a)와 제 2 연결부(20b)는 배기 후드(1)의 길이방향 축에서 대칭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후술할 히터 어셈블리(2)의 회동 구조에 유리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히터 어셈블리가 회동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연결부(20)는 하우징(240) 측 대향 단에 구비된 회동부(21)를 통해 배기관(110)을 원통형으로 감싸는 고정부(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회동부(21)는 고정부(10)가 겹쳐지는 두 부분을 관통 체결하는 볼트에 같이 끼워짐으로써, 연결부(20)를 포함한 히터 어셈블리(2) 전체가 회동이 가능하게 된다.
즉, 고정 볼트(12)가 두 고정공을 관통하여 체결될 때, 고정 볼트(12)의 헤드와 고정공 사이에 연결부(20)의 회동부(21)(링 형태의 끝단)가 위치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로 고정 볼트(12)가 느슨할 때는 회동부(21)도 여유 있게 돌아가 히터 어셈블리(2)가 상하로 회동이 가능하고 고정하고자 하는 형태에서 고정 볼트(12)를 조이면 연결부(20) 및 히터 어셈블리(2)가 고정된다.
추가적으로, 두 고정공의 사이에 같은 직경의 나사산이 관통 형성된 탄성부재를 구비하게 되면, 고정 볼트(12)를 조임에 따라 탄성 부재와의 마찰력이 증대하여 고정력의 강화를 추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회동 구조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을 표현한 것 중의 하나로, 본 발명의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다른 회동 구조 또한 가능하다. 예를 들어, 연결부(20)의 하우징(240) 대향 끝단에 원판형의 회동부(21)를 설치하고, 그와 연결되는 배기관(110) 및 흡입부(120)의 일 측에는 원판형 회동부(21)에 대응되는 형태로 함입 형성되어 회동부(21)를 면밀히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하면, 연결부(20)가 분리되지 않으면서 원활한 회동이 가능하다.
또한 히터 어셈블리(2)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히터 어셈블리(2)를 고정하기 위해서 배기관(110)의 측 부에 스토퍼(113)가 구비될 수 있다. 스토퍼(113)는 배기관(110)의 일 측에서 돌출 형성되어, 히터 어셈블리(2)가 회동되었을 때 히터 어셈블리(2)를 거치할 수 있는 역할을 제공한다. 더 자세히는, 히터 어셈블리(2)가 회동하여 배기관(110)에 가장 근접한 때 스토퍼(113)를 통해 이를 배기관(110)에 고정함으로써, 사용이 끝난 히터 어셈블리(2)를 안전하게 정리할 수 있다. 스토퍼(113)에 고정되는 히터 어셈블리(2)의 부분은 하우징(240)과 연결부(20)의 구분이 필요하지 않으나 비교적 단순한 선형 혹은 막대형을 띌 수 있는 연결부(20)인 것이 타당할 것이다. 이러한 스토퍼(113)는 단순한 브랜치형에서부터 Y자형 브랜치, 또는 갈고리 형태 등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결부(20)가 둘 이상 구비되는 구조로 확장되는 경우, 스토퍼(113)가 연결부(20)의 개수에 맞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연결부(20)의 다른 구조로, 주방이나 욕실의 수전에서 흔히 사용되는 일명 코브라와 같은 자바라 형태를 적용하여 히터 어셈블리(2)의 위치를 사용자가 직접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에서 히터 어셈블리(2)는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스토퍼(113)에 걸어 두었다가, 조리 시에 수동으로 옮겨 조리부의 상단에 위치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원활한 작동을 위해서 하우징(240)의 상단에는 고리형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하우징(240)의 상단에 열과 연기가 빠져 나가도록 형성될 수 있는 제 2 개방부(242)는, 사용자의 손이 위치하는 손잡이를 피해서 하우징(240)의 상단 주변부에서 흡입공(130)과 인접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 스토퍼(113)는 상기 손잡이를 걸 수 있는 갈고리형의 요철구조일 수 있다. 또한 배기관(110) 하단에 위치하는 흡입부(120) 중앙에도 동일한 형태의 스토퍼(113)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들고 있지 않아도 거치하여 조리 시 열원으로 쓸 수 있게 하는 구조가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연기 배출 후드 장치에 구성된 높이 조절공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히터 어셈블리(2)가 연결되고 컨트롤러 브라켓(11)이 고정된 고정부(1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일정 간격의 높이 조절공(111)을 구비할 수 있다. 높이 조절공(111)은 배기관(110)의 일 측에서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연속하여 함입 형성된 것으로, 상기 높이 조절공(111)에 다양한 패스너(fastener)(112)를 사용하여 고정부(10)를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높이 조절이 이루어진다. 높이 조절공(111)에 나사산이 구비된 경우, 앞서 말한 패스너(112)에 볼트를 사용할 수 있다. 이 볼트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나비볼트나 노브볼트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볼트가 높이 조절에 쓰이는 경우, 고정공과 힌지를 고정하는 고정 볼트(12)가 그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만약 다수개의 높이 조절공(111)이 관통공으로 구비된다면, 배기관(110)을 타고 올라오는 연기가 높이 조절공(111)으로 새어나올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를 대비하여 높이 조절공(111)이 관통공인 경우, 각 높이 조절공(111)에 대응하는 직경의 캡을 끼워 놓을 수 있다. 상기 캡의 재질은 히터(210)에서 올라오는 잔열에 의한 뒤틀림이나 변형이 없어야 하므로 내열성이 좋은 플라스틱이거나 금속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도면에 도시되어있지 않으나 배기관(110)은 다른 여러 높이 조절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 또는 벨트/풀리, 랙/피니언 구조 등이 가능하다.
이중에서 가이드 레일은 가이드 내부에 케이블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할 수 있어, 이 공간을 통하여 컨트롤러(300) 및 히터(210)의 전원선 또한 안전하게 정리가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히터를 구성하는 플레이트의 변형된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에 따른 실시 예는, 히터(210)를 구성하는 플레이트(230)가 제 1,2 플레이트(230)라는 복층/다층 구조로 이루어진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특히 히터(210)를 포함하는 제 2 플레이트(232)가 제 1 플레이트(231)을 기준으로 승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베이스(base)의 역할을 하면서 서포터(250)와 연결이 되고 추가적으로 방열판을 배면 및 제 2 플레이트(232)와의 결합 부위 주변에 장착할 수 있는 제 1 플레이트(231)와, 제 1 플레이트(231)의 전면(음식을 향한 면)에서 승강 가능하게 장착이 되어 히터(210)를 구비한 제 2 플레이트(232)로 이루어져 있다.
도 6을 보아 알 수 있듯이, 제 2 플레이트(232)는 제 1 플레이트(231)의 전면의 대략 중앙 부위에 형성된 결합 홈(233)에 장착되되 결합 홈(233)의 내주 면 및 제 2 플레이트(232)의 외주 면에 각각 형성된 플레이트 나사산(234)에 의하여 제 1,2 플레이트(230)는 나사산 결합을 한다.
더 나아가, 제 2 플레이트(232)의 배면 중앙 부위에 샤프트(235)가 연결되고, 샤프트(235)는 제 1 플레이트(231) 일 측 또는 그 주변 부위에 형성된 모터(236)(바람직하게는, 스텝 모터)에 의하여 회전 제어가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모터(236)의 구동에 따라 샤프트(235)가 정/역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 2 플레이트(232)가 플레이트 나사산(234)을 따라 전방으로 돌출되거나 후방으로 인입될 수 있고, 이러한 동작은 제 1 플레이트(231)을 기준으로 제 2 플레이트(232)가 승강되는 것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2 플레이트(232)가 제 1 플레이트(231)에서 승강되도록 구성한 이유는, 음식이 구워질 때 제 2 플레이트(232)가 음식 측으로 보다 가까이 접근하여 음식 조리의 편의성을 도모할 뿐 아니라, 히터(210)가 흡입공(130)의 위치와 동일 선상에 있지 않도록 하여 발열부(220)의 발열에 의하여 흡입공(130)으로 연기가 원활하게 흡입되게 하기 위함이다.
만일 히터(210)와 흡입공(130)이 인접하게 위치할 경우 발열부(220)의 발열에 의하여 대류 현상 또는 와류가 흡입공(130) 주변에 발생하면서 흡입공(130)을 통해 원활하게 연기가 주입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발열부(220)를 보다 낮은 위치로 이동(하강)시켜 연기가 흡입공(130)을 통해 흡입될 때 발열부(220)의 발열에 의해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제 2 플레이트(232)의 승강 구조는 하나의 알기 쉬운 예시에 해당되는 것이고, 이와 다른 다양한 구조와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러한 도 6에 따른 구성 및 기능에 의하여, 히터(210)에 의한 조리 기능의 촉진은 물론 기존의 연기를 흡입하는 작용이 각각 독립적으로 순조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특성을 제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컨트롤러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연기 배출 후드 장치는 조리 기능을 겸비하는 것으로, 센서모듈(310)의 특화된 센싱 기능에 의하여 상술한 제 2 플레이트(232)가 자동으로 승강되는 기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온도 조절은 물론 발열 차단 기능과 같은 안전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컨트롤러(3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컨트롤러(300)는 히터(210)와 분리된 물리적 공간이나 영역, 예를 들어 도 1에서와 같이 연기 배출 후드 장치의 일 측에 구비되거나 조리 테이블의 일 측에 설치될 수도 있고, 무선 방식의 구동 기능을 지원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컨트롤러(300)는 크게 환경을 센싱하는 센서모듈(310)과 센싱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정보에 따라 자동 및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구동제어모듈(320)은 포함한다.
센서모듈(310)은 온도감지센서(311)와 연기감지센서(312)를 포함한다. 온도감지센서(311)는 히터(210)를 감싸고 있는 하우징(240)의 내 측 일영역에 위치할 수 있고, 히터(210)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히터(210)를 조작할 때 필요한 온도 정보는 히터(210)의 온도보다는 열이 음식에 도달하는 거리에서의 온도에 관한 것이 타당하므로, 온도감지센서(311)에서 감지한 온도 값은 미리 학습된 계산을 통하여 적정 수준으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330)를 통해 사용자에게 보여지고, 사용자는 표시된 온도를 확인함과 동시에 구동 제어모듈(320)에 포함된 온도설정부(321)을 조작하여 히터(210)의 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설정해 놓은 온도는 온도감지센서(311)가 다시 감지하여 구동 제어모듈(320)의 on/off제어부로 전달하여 온도가 설정 온도를 초과하면 제 1 플레이트(231)에 대하여 제 2 플레이트(232)를 하강시키거나 일정시간 히터(210)를 off하고, 다시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낮아지면 제 2 플레이트(232)를 승강시키거나 히터(210)를 on하는 것과 같이 자동 피드백 프로세스를 구성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이와 별개로 조리에 불필요할 만큼 높은 온도 범위를 히터(210)의 상한 온도로 제한하여, 상한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히터(210)에 오작동이 발생하는 것으로 간주하여 전원을 차단하는 안전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센서모듈(310)의 연기감지센서(312)는 온도감지센서(311)와 마찬가지로 하우징(240)의 내 측 동일 영역이나 연기를 최종적으로 수용하는 흡입공(13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연기감지센서(312)는 고기를 굽는 등의 조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독가스 및 연기의 양 또는 조성을 감지하여 구동 제어모듈(320)로 보내게 된다.
이에 대하여 구동 제어모듈(320)은, 연기의 양이 기준치보다 높게 나오는 경우 흡입공(130) 인근의 공간을 확보하여 와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제 2 플레이트(232)를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미리 입력된 연기 - 조리 상태 데이터를 참조하여, 음식이 너무 타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히터(210)를 off시키거나, 설정한 온도를 낮추는 조리 도우미 메커니즘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연기 - 조리 상태 데이터는 연기의 농도 및 조성에 대응하는 음식의 상태를 데이터화 시킨 것으로, 연기 배출 후드 장치가 필요한 조리 음식 중 가장 많이 조리되는 육류의 구이부터 볶음 요리에 이르기까지 각 항목별 데이터를 따로 구비하여 선택적으로 조리 도우미 프로세스에 적용할 수 있다.
온도설정부(321) 및 on/off제어부(322)와 승강제어모듈(323)은 테이블의 측 부에 위치하여 무선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330)가 포함된 컨트롤 박스에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컨트롤러(300)의 구동 제어모듈(320)에 음향출력부(324)를 추가적으로 구비하여, 음성으로 미리 녹음된 "음식이 타고 있어요"또는 "고기가 다 구워졌어요"와 같은 안내 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식 조리용 히터를 구비한 연기 배출 후드 장치를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
1 : 배기 후드 2 : 히터 어셈블리
10 : 고정부 11 : 컨트롤러 브라켓
12 : 회동 볼트 20 : 연결부
20a : 제 1 연결부 20b : 제 2 연결부
21 : 회동부 110 : 배기관
111 : 높이 조절공 112 : 패스너
113 : 스토퍼 120 : 흡입부
130 : 흡입공 210 : 히터
220 : 발열부 230 : 플레이트
231 : 제 1 플레이트 232 : 제 2 플레이트
233 : 결합홈 234 : 플레이트 나사산
235 : 샤프트 236 : 모터
240 : 하우징 241 : 제 1 개방부
242 : 제 2 개방부 250 : 서포터
300 : 컨트롤러 310 : 센서모듈
311 : 온도감지센서 312 : 연기감지센서
320 : 구동제어모듈 321 : 온도설정부
322 : on/off제어부 323 : 승강제어부
324 : 음향출력부 330 : 디스플레이

Claims (9)

  1. 음식 조리용 히터를 구비한 연기 배출 후드 장치로서,
    조리부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흡입하는 흡입부와,
    상기 흡입부에서 흡입된 연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관 및,
    상기 배기관 및 상기 흡입부 중 어느 하나의 외부 일 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조리부의 상부에서 발열하는 히터 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상기 히터 어셈블리는,
    발열부를 포함한 히터와,
    상기 발열부 대향 측인 상기 히터 부위를 감싸는 하우징 및,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서 연장되어 타단이 상기 배기관 및 상기 흡입부 중 어느 하나에 회동부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와,
    상기 배기관의 일 측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회동부에 의해 상기 배기관 측으로 회동된 상기 하우징을 고정시키는 스토퍼 및,
    상기 히터를 상기 하우징의 내측 면에 연결하는 서포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조리용 히터를 구비한 연기 배출 후드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배기관 및 상기 흡입부 중 어느 하나의 제 1 측부에 연결되는 제 1 연결부와,
    상기 배기관 및 상기 흡입부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제 1 측부와 다른 지점인 제 2 측부에 연결되는 제 2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조리용 히터를 구비한 연기 배출 후드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조리부측 개방부인 제 1 개방부와,
    상기 제 1 개방부의 대향 측에 형성된 제 2 개방부를 포함하는, 음식 조리용 히터를 구비한 연기 배출 후드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기 배출 후드 장치는,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를 포함한 센서모듈과,
    상기 온도감지센서의 온도 정보를 전달받아 기준 온도와 비교 처리함으로써 상기 히터의 on/off를 제어하는 on/off제어부를 구비한 컨트롤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조리용 히터를 구비한 연기 배출 후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함입 형성된 높이 조절공 및,
    패스너(fastener)를 매개로 상기 높이 조절공에 체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연결부의 단부가 결합된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조리용 히터를 구비한 연기 배출 후드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서포터에 연결된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전면 측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 상기 발열부를 포함한 제 2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조리용 히터를 구비한 연기 배출 후드 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은,
    연기 유무와 연기량을 감지하는 연기감지센서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온도감지센서와 상기 연기감지센서의 온도 정보와 연기 정보를 전달받아 기준 온도와 기준 연기 정보와 비교 처리함으로써 상기 제 2 플레이트의 승강 구동을 차등 제어하는 승강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조리용 히터를 구비한 연기 배출 후드 장치.
  9. 삭제
KR1020150168271A 2015-11-30 2015-11-30 음식 조리용 히터를 구비한 연기 배출 후드 장치 KR101655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8271A KR101655707B1 (ko) 2015-11-30 2015-11-30 음식 조리용 히터를 구비한 연기 배출 후드 장치
PCT/KR2016/013879 WO2017095109A1 (ko) 2015-11-30 2016-11-29 음식 조리용 히터를 구비한 연기 배출 후드 장치
US15/777,675 US10641501B2 (en) 2015-11-30 2016-11-29 Smoke exhaust hood apparatus having heater for cooking food
CN201680069287.0A CN108291732B (zh) 2015-11-30 2016-11-29 具有食物烹饪用加热器的排烟罩装置
JP2018527235A JP6713668B2 (ja) 2015-11-30 2016-11-29 食物調理用のヒーターを具備した排煙フード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8271A KR101655707B1 (ko) 2015-11-30 2015-11-30 음식 조리용 히터를 구비한 연기 배출 후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5707B1 true KR101655707B1 (ko) 2016-09-07

Family

ID=56950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8271A KR101655707B1 (ko) 2015-11-30 2015-11-30 음식 조리용 히터를 구비한 연기 배출 후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641501B2 (ko)
JP (1) JP6713668B2 (ko)
KR (1) KR101655707B1 (ko)
CN (1) CN108291732B (ko)
WO (1) WO201709510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3234B1 (ko) * 2018-01-24 2019-05-28 주식회사 태산에프앤티 식당 배기덕트에 장착되는 직원호출용 발광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30487A4 (en) * 2018-07-27 2022-04-27 Sanandan Sudhir ADAPTABLE COOKING APPLIANCE
CN111184438B (zh) * 2018-11-15 2023-07-14 施特里克斯有限公司 液体加热容器和用于液体加热容器的控制单元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5578U (ko) * 1999-01-09 2000-08-05 이두열 고기 구이기의 연기제거장치
JP2004190899A (ja) * 2002-12-09 2004-07-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Ihクッキングヒータ用レンジフード
KR200416595Y1 (ko) * 2006-03-09 2006-05-18 주식회사 하나로비엠지 로스터용 배기장치의 후드관 높이조절구조
KR20080076172A (ko) * 2007-02-15 2008-08-20 주식회사 쿠스한트 내부 조리공간을 갖는 후드의 배기구조
KR20120030118A (ko) 2012-01-26 2012-03-27 이진희 열원체가 승하강 되는 조리용기
KR20150021214A (ko) 2013-08-20 2015-03-02 정지연 음식점 설비용 배기 후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72620U (ko) * 1980-05-23 1981-12-19
JPS57200117A (en) * 1981-06-02 1982-12-08 Matsushita Seiko Kk Cooker
JPH04164417A (ja) * 1990-10-30 1992-06-10 Suzuki Sangyo Kk うなぎの焼成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697285B2 (ja) * 1990-10-31 1998-01-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排煙装置
CN2173914Y (zh) * 1993-05-30 1994-08-10 牛中尧 全吸式排烟罩
CN2189280Y (zh) * 1993-12-29 1995-02-08 迟建国 炊灶排油烟装置
DE4441788A1 (de) * 1994-11-24 1996-05-30 Reinhard Grunow Dunstabzugshaube
KR20000015578A (ko) 1998-08-31 2000-03-15 김규현 반도체패키지 제조용 와이어본딩방법
JP2001116305A (ja) * 1999-10-19 2001-04-27 Osaka Gas Co Ltd 換気装置
KR100487316B1 (ko) * 2002-07-15 2005-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스오븐레인지의 공냉 시스템
KR20060030092A (ko) * 2006-03-17 2006-04-07 여흥수 직화구이 조리장치
JP2008128579A (ja) * 2006-11-22 2008-06-05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換気装置
JP2008259616A (ja) * 2007-04-11 2008-10-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加熱調理器および電磁誘導加熱式調理器
CN102331017A (zh) * 2011-06-23 2012-01-25 太仓南极风能源设备有限公司 热熔吸油烟机
CN104814653A (zh) * 2014-01-30 2015-08-05 深圳市繁兴科技有限公司 一种利用辐射进行辅助加热的炒菜设备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5578U (ko) * 1999-01-09 2000-08-05 이두열 고기 구이기의 연기제거장치
JP2004190899A (ja) * 2002-12-09 2004-07-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Ihクッキングヒータ用レンジフード
KR200416595Y1 (ko) * 2006-03-09 2006-05-18 주식회사 하나로비엠지 로스터용 배기장치의 후드관 높이조절구조
KR20080076172A (ko) * 2007-02-15 2008-08-20 주식회사 쿠스한트 내부 조리공간을 갖는 후드의 배기구조
KR20120030118A (ko) 2012-01-26 2012-03-27 이진희 열원체가 승하강 되는 조리용기
KR20150021214A (ko) 2013-08-20 2015-03-02 정지연 음식점 설비용 배기 후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3234B1 (ko) * 2018-01-24 2019-05-28 주식회사 태산에프앤티 식당 배기덕트에 장착되는 직원호출용 발광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713668B2 (ja) 2020-06-24
US10641501B2 (en) 2020-05-05
JP2019500930A (ja) 2019-01-17
CN108291732B (zh) 2020-07-17
WO2017095109A1 (ko) 2017-06-08
US20180347827A1 (en) 2018-12-06
CN108291732A (zh) 2018-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1722B2 (en)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US20230404324A1 (en)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baking a food product
CN110996668B (zh) 比萨饼烹饪用具
KR101655707B1 (ko) 음식 조리용 히터를 구비한 연기 배출 후드 장치
KR101590639B1 (ko)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32742B1 (ko) 인덕션 조리기
US10039417B2 (en) Oven apparatus
US9822982B2 (en) Modular portable cooking system
US20140290642A1 (en) Oven broil burner
KR102235891B1 (ko) 멀티 쿠커
KR101685848B1 (ko) 음식 조리용 히터를 구비한 연기 배출 후드 장치
KR101624872B1 (ko) 승강식 로스터 장치
KR101479422B1 (ko) 숯불구이기
CN107713737A (zh) 一种升降蒸台
KR102576022B1 (ko) 열원을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한 바베큐 그릴
KR20100096971A (ko) 조리기기
KR200324976Y1 (ko) 조리장치
KR20170142716A (ko) 복사열을 이용한 구이용 테이블
KR100488331B1 (ko) 조리장치
KR20170071956A (ko) 적외선 그릴
KR20190070216A (ko) 요리용 불판 위에 사용하는 전기오븐
KR20110003984A (ko) 직화 조리기
KR20110103251A (ko) 직화조리기
JP2012042146A (ja) 加熱調理器
KR20100012974U (ko) 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