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5848B1 - 음식 조리용 히터를 구비한 연기 배출 후드 장치 - Google Patents

음식 조리용 히터를 구비한 연기 배출 후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5848B1
KR101685848B1 KR1020150140909A KR20150140909A KR101685848B1 KR 101685848 B1 KR101685848 B1 KR 101685848B1 KR 1020150140909 A KR1020150140909 A KR 1020150140909A KR 20150140909 A KR20150140909 A KR 20150140909A KR 101685848 B1 KR101685848 B1 KR 101685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plate
smoke
heat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0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훈
Original Assignee
김남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훈 filed Critical 김남훈
Priority to KR1020150140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58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5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5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F24F11/0012
    • F24F11/0017
    • F24F11/0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18Flexible soft ducts, e.g. ducts made of permeable texti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65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fan combined with single duct; mounting arrangements of a fan in a 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음식 조리용 히터를 구비한 연기 배출 후드 장치는, 배기관의 단부에 형성된 것으로, 연기를 흡입하는 흡입공을 구비한 흡입부; 상기 흡입공을 밀폐하지 않는 직경으로 상기 흡입공에 설치되어 음식을 조리할 수 있도록 가열되는 히터; 상기 히터를 상기 흡입공의 내주 면에 연결하는 서포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연기 배출 후드 장치에 의하면, 음식의 상부에 설치된 연기 배출 후드 장치의 힙입공에 히터를 설치함으로써 음식의 상부에서 열을 제공하여 음식 조리를 보조하거나 보다 신속하고 맛있게 음식을 조리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음식 조리용 히터를 구비한 연기 배출 후드 장치{HOOD DEVICE EXHAUSTING SMOKE WITH HEATER FOR COOK}
본 발명은 음식 조리용 히터를 구비한 연기 배출 후드 장치로서, 가정이나 음식점에서 음식 조리 시 발생되는 연기를 흡입하기 위하여 조리 테이블 상측에 설치된 연기 배출 후드 장치의 흡입공 내에 음식을 가열할 수 있는 히터를 구비하여 이 자체로 음식을 조리하거나 조리 테이블에 기 설치된 별도의 열원과 함께 음식을 상하에서 데우도록 하여 보다 신속하게 음식을 조리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하는 연기 배출 후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식 조리용 연기 배출 후드 장치는 일명 직화기, 배기 덕트 또는 자바라 후드라는 용어로도 명명되는 것으로서, 열원(불판, 히터, 숯불 등)을 구비한 조리 테이블의 상측에 설치되어 음식의 조리 시 발생되는 연기 또는 냄새를 흡입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음식 조리용 연기 배출장치는, 휴대용 가스레인지 또는 음식점에서 고기를 굽기 위해 사용되는 숯불 등의 열원 위에 위치한 그릴(또는 석쇠/불판)에 각종 생선, 또는 육류 등이 구워지면서 발생되는 유독가스 내지 연기를 흡입하는 흡입부와, 흡입부를 통해 연기 등이 흡입되어 이동되는 관로인 배기관(덕트) 및 흡입된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블로어(blower)가 내설되는 배기실을 포함하고, 더 나아가 사용자에 의해 스위치 조작 시 흡입부 또는 배기관을 승강시키는 모터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그릴 내지 석쇠 위에 생선, 육류 등을 올려놓은 후 스위치 또는 수동 조작에 의해 흡입부가 그릴 쪽으로 최대한 접근되도록 하강시킨 다음, 조리되는 음식물 등으로 부터 발생되는 연기/냄새를 배기실에 설치되는 블로어 구동으로 흡입부의 흡입공으로 흡입시킨 후, 배기관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후, 조리가 완료된 다음에는 스위치 또는 수동 조작으로 흡입부를 천정 쪽으로 상승 복원시키는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연기 배출 후드 장치에서 배기관의 하단에 설치된 흡입부의 흡입공에 히터를 구비하여 이를 통해 음식의 상부에서 음식을 가열 조리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고 맛있게 음식을 조리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히터를 구성하는 발열부의 다양한 패턴과 형상을 제공하되 열 변형을 최소화하는 구조를 제공할 뿐 아니라 히터 자체의 다양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히터가 흡입공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음식 조리의 편의성을 제공할 뿐 아니라 연기 흡입의 원활한 작용을 보장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히터의 둘레부에 일정 높이를 가진 차단벽을 제공하여 히터의 열이 주변에 불필요하게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온도와 연기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통해 상기 제 1 플레이트를 자동 구동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식 조리용 히터를 구비한 연기 배출 후드 장치는, 배기관의 단부에 형성된 것으로, 연기를 흡입하는 흡입공을 구비한 흡입부; 상기 흡입공을 밀폐하지 않는 직경으로 상기 흡입공에 설치되어 음식을 조리할 수 있도록 가열되는 히터; 상기 히터를 상기 흡입공의 내주 면에 연결하는 서포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히터는, 상기 서포터가 연결된 제 2 플레이트와, 상기 2 플레이트의 전면 측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 상기 발열부를 포함한 제 1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히터는, 둘레를 따라 함입 형성된 삽입공에 일정 높이로 이루어진 차단벽이 추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연기 배출 후드 장치는,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센서 및, 연기 유무와 연기량을 감지하는 연기 감지 센서를 포함한 센서부와, 상기 온도 감지센서와 연기 감지 센서의 온도 정보와 연기 정보를 전달받아 기준 온도와 기준 연기 정보와 비교 처리함으로써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승강 구동을 차등 제어하는 승강 구동 제어모듈을 구비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 조리용 히터를 구비한 연기 배출 후드 장치에 의하면,
1) 음식의 상부에 설치된 연기 배출 후드 장치의 흡입공에 히터를 설치함으로써 음식의 상부에서 열을 제공하여 음식 조리를 보조하거나 보다 신속하고 맛있게 음식을 조리할 수 있고,
2) 장시간 이용하면서 히터의 발열부가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패턴 구조를 제시하며,
3) 히터를 제 1,2 플레이트의 다층 구조로 제시하되 제 2 플레이트에서 발열부를 구비한 제 1 플레이트가 인입/인출되도록 하여 집중적 조리 기능 제공은 물론 연기 흡입 시 히터의 발열에 의해 와류가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뿐 아니라,
4) 히터 둘레에 차단벽을 제공하여 측 부위로 불필요한 열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5) 온도 및 연기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제 1 플레이트 또는 차단벽의 승강을 구동 제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연기 배출 후드 장치에 히터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부분 확대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히터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3a, 도 3b은 본 발명의 히터를 구성하는 발열부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히터를 구성하는 플레이트의 변형된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히터에 구성된 차단벽의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컨트롤러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연기 배출 후드 장치에 히터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히터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공지의 연기 배출 후드 장치에서 흡입부(2)의 내측, 즉 흡입공(3) 영역에 히터(10)를 장착한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연기 배출 후드 장치(1)는 자바라 형식으로 이루어져 길이 조절이 가능(천장에서 하부로 연장된 구조)하거나 아니면 조리 테이블에서 라운딩지게 절곡 되어 음식이 위치하는 조리 영역의 상부에까지 연장(테이블에서부터 절곡 연장된 구조)된 배기관을 구비할 수 있고, 흡입공을 구비한 흡입부는 배기관의 하단 측에 형성되어 배기관보다 직경이 크게 상협하광(上狹下廣)한 구조로서 이루어져 연기를 보다 용이하게 강제 흡입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더불어, 흡입부의 단부 측 내경, 즉 흡입공에는 육류를 구울 때 기름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름 받이 캡(5)(또는 기름 받이 필터)나 후드를 보호하기 위한 후드 캡(도 2(c)에 도시)이 추가로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서의 연기 배출 후드 장치(1)는 공지의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특정한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히터(10)는 발열 기능을 제공하여 음식물을 가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부탄가스, 기타 액체 연료를 통해 하방으로 열을 발산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대류 현상에 의해 상부로 열이 이동되는 현상을 가급적 최소화하고 연료 교체에 대한 번거로움을 줄이기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전기를 매개로 한 코일 또는 적외선 구조의 발열부(100)(예를 들어, 열선)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기본적으로 이러한 히터(10)는 흡입부(2)의 흡입공(3) 내에 장착되는바 흡입공(3)을 히터(10)가 밀폐하게 되면 이로 인해 연기가 흡입될 수 없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흡입공(3)의 체적이 충분히 확보되면서 히터(10)를 흡입부(2)의 내측 벽(즉, 흡입공의 둘레 벽)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히터(10)는 서포터(15)를 매개로 흡입공(3)의 둘레 벽(내주 면)에 장착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흡입부(2)의 외측(예를 들어 배기관)에는 히터(1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내지 외부 전원과 연결된 전선 등의 전원 공급 장치가 형성되어 이를 통해 히터(10)가 가열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역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히터(10)가 장착된 흡입부(2)(또는, 다른 위치도 가능) 또는 히터(10)의 하방 측에 위치한 조리 테이블의 일 측에는 히터(10)의 on/off 제어는 물론 열의 세기/강약에 대한 단계별 조절을 할 수 있는 컨트롤 박스가 구비될 수 있고 이는 조리 테이블에 설치되어 무선 방식으로 히터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불어, 히터(10)가 과열되었을 때 자동으로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안전 회로부가 이러한 컨트롤 박스 또는 히터(10)에 장착되어 안전성을 담보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히터(10)에 의하면, 공지의 음식점 불판이나 조리 기구가 하부에서 상부로 열을 전달하여 음식을 조리하는 것과 달리, 상부에서 하부로 열을 전달하여 음식의 상면 부위를 익히는 용도로 활용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공지의 조리 기구(하부에서 상부로 열을 전달하는 기능)와 병행하여 보조적인 가열 수단으로 사용됨으로써 위아래에서 열을 전달하여 음식의 위아래를 익힐 수 있어, 보다 신속하게 음식을 조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음식을 고르고 맛있게 익힐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히터(10)가 서포터(15)를 매개로 다양한 구조로서 흡입부(2)의 흡입공(3) 내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a)는 히터(10)가 선형의 열선으로 이루어진 발열부(100)를 포함한 구조로서, 열선 형태의 발열부(100)의 양 단에 각각 장착된 서포터(15)가 흡입부(2)의 내벽에 결합되어 있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때, 서포터(15) 중 어느 하나는 발열부(100)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단자의 역할을 겸비할 수 있다.
즉 도 2(a)에 따른 히터(10)는 선형으로 이루어진 열선, 즉 발열부가 스크류, 원형 등의 다양한 형상을 가지면서 연장 형성되어 서포터(15)를 매개로 흡입공(3) 내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고, 이러한 히터(10)는 흡입공(3)으로 원활하게 연기가 흡입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흡입공(3)을 밀폐하지 않는 범위에서 자유로운 연장 길이와 연장 패턴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b)는 히터(10)가 판상 구조, 즉 플레이트(20)에 형성되고 플레이트(20)의 적어도 2개 측에 서포터(15)가 연결되어 이를 통해 흡입공(3)의 내주 면 일 측에 결합된 것을 나타낸 것으로, 이러한 실시예는 공지의 적외선 히터와 마찬가지로 플레이트(20)에 동심원, 스크류, 복수의 절곡 형태로 연장된 발열부(100)가 포함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 때, 플레이트(20)는 흡입공(3) 내경의 약 30 내지 60% 수준의 직경/사이즈로 이루어져 흡입공(3)으로 연기가 흡입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며, 서포터(15)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전선이 지나도록 함으로써 플레이트(20), 구체적으로는 발열부(100)에 전원을 공급하는데 지장이 없게 구성된다.
발열부(100)는 플레이트(20)의 전면(음식을 향한 면)에 형성되어 음식 또는 조리 테이블을 향해 발열을 하고, 이 대향 면인 플레이트(20)의 배면은 물론 측면 및 히터(10)가 장착된 흡입부(2)의 주변 부위에는 방열판이 적층 형성되거나 내열 처리를 하여 음식이나 조리 테이블을 향한 방향 이외로 불필요하게 열전달이 일어나서 흡입부(2)를 손상하거나 사용자의 부주의로 신체 부위(주로 손 부위)가 화상이 발생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2(c)는 선형으로 연장된 발열부(100) 내지 플레이트(20)에 발열부(100)가 형성된 어느 하나의 히터(10)가 장착된 상태에서 흡입공(3)에 기름 받이 캡(5)이 추가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다시 말해 흡입공(3)에 히터(10)가 내장된 상태에서도 공지의 기름 받이 캡(5)(또는 기름 받이 후드)이 흡입부(2)에 장착될 수 있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 때, 히터(10)의 발열에 의해 기름 받이 캡(5)에 수용된 기름이 타거나 순간 발화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나, 기름 받이 캡(5)에 수용되는 기름의 양이 그리 많지 않아 실제 화재로 이어지는 문제가 발생될 가능성은 극히 드물 뿐 아니라 더 나아가 공지의 기름 받이 캡(5)보다 그 둘레부의 높이를 높게 형성하거나 기름 받이 캡(5)의 외측 면에 방열 처리를 하는 방식으로 기름과 열이 직접 닿지 않도록 처리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도 있다.
이 외에, 본 발명의 히터(10)는 다양한 형상과 구조로서 흡입부(2)에 형성될 수도 있는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흡입부(2)의 흡입공(3)을 벗어난 다른 부위에 슬림(slim)하면서 가벼운 구조로 이루어진 박스 형태의 히터(10)가 장착될 수도 있고, 흡입공(3)을 제 1,2 영역으로 구분하여 제 1 영역에 히터(10)가 장착되고 제 2 영역을 공지의 흡입공(3)으로 활용하거나, 공지의 흡입공(3)에 히터(10)를 장착하되 연기는 흡입공(3) 주변에 별도로 형성된 덕트 장치를 통하여 흡입되는 등의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연기 배출 후드 장치(1)(특히, 흡입부)에 히터(10)를 장착한다는 것이 주요 특징이라 할 수 있기 때문에 도 1,2에 도시된 구조 이외의 다양한 구조 역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포함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도 3a, 도 3b은 본 발명의 히터를 구성하는 발열부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a, 3b에 따른 실시예는 히터(10)에 형성된 발열부(100)의 연장 패턴을 특화하여 설명한 것으로서, 히터(10)의 발열부(100)(또는 열선, 발열 모듈)은 반드시 선형 연장 패턴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도 3에서는 발열부(100)가 선형 연장 패턴으로 이루어진 것을 일 예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a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히터(10)는 플레이트(20) 상에서 터미널(30)에서 시작되어 복수 회수로 벤딩(bending) 처리되면서 1개의 라인으로서 특정 패턴으로 연장 형성된 발열부(100)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 발열부(100)는 원형(원판형) 형태로 이루어진 플레이트(20)의 일 측에 마련된 서로 인접한 2개의 터미널(30)(버너 등의 열원)에서 각각 연장된 연장 라인으로서 특정 패턴을 취한다.
구체적으로, 이 발열부(100)의 패턴은 플레이트(20)의 둘레 내측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2개로 장착되어 열을 발산하는 터미널(30)에서 시작되어 플레이트(20)의 둘레(호)의 형상에 상응하게 곡선 형태로 연장되다가 터미널(30)의 대향 측(터미널이 아래 측에 있다면 위 측) 플레이트(20)의 지점에서 플레이트(20)의 중심 방향으로 벤딩되어 연장되고, 다시 터미널(30) 주변 지점까지 연장된 다음 플레이트(20)의 중심 방향으로 벤딩되어 연장되는 것을 반복하여 플레이트(20)의 중심에 이르게 되는바, 터미널(30)의 좌우측에서 각각 이와 같은 연장 라인을 취하게 되어 플레이트(20)의 중심에서 2개의 연장 라인이 서로 만나는 구조를 가지며, 결과적으로 발열부(100)는 1개의 연장 라인이 복수 회수로 벤딩 처리됨으로써 도 3a와 같은 형상으로 도출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패턴을 가진 상태에서, 해당 발열부(100)는 라운딩 연장부(110)와 벤딩부(120) 및 중심 연결부(130)와 피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라운딩 연장부(110)는 히터(10)의 플레이트(20)의 외주 둘레 형상에 상응하거나 이에 유사한 곡도로서 라운딩 지게 연장된 연장 라인을 의미하며, 이러한 라운딩 연장부(110)는 동일 폭(동일 두께)을 가지고 연장 형성되어 있다.
즉, 도 3a에서는 라운딩 연장부(110)가 플레이트(20)의 좌우측을 기준으로 각각 2개의 라인으로 시작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는바, 원형 형상의 플레이트(20)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는 이유로서 벤딩되어 중심으로 진행될수록 그 벤딩 부위 사이의 연장 길이가 점차적으로 짧아지는 특징을 가진다.
벤딩부(120)는 각각의 라운딩 연장부(110)의 끝단에서 후속 라운딩 연장부(110)의 시작 단으로 이어지는 부위로서 도 3을 보아 알 수 있듯이 절곡된 부위를 의미하고, 이 역시 동일 폭을 가지고 절곡되어 있다. 이 때, 벤딩부(120)는 각각의 인접한 라운딩 연장부(110) 사이의 거리, 즉 피치(pitch)가 라운딩 연장부(110)의 연장 길이와 지점에 상관없이 동일한 수치를 유지하도록 U자와 유사한 형상 또는 거의 180도에 가깝게 절곡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피치는 라운딩 연장부(110)는 물론 벤딩부(120)의 벤딩된 사이 거리 역시 동일 수치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심 연결부(130)는 제일 내측의 좌우 측 라운딩 연장부(110)가 서로 만나기 위해 연결된 부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도 3을 보아 알 수 있듯이 거의 원에 유사한 곡도를 가지면서 연장된 상태를 취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발열부(100)의 패턴 및 구조에 의한 기능 및 작용은 다음과 같다.
원형의 플레이트(20)에 발열부(100)가 배치될 때, 플레이트(20)의 호(외주 둘레) 형상에 상응하게 라운딩 연장부(110)가 연장됨으로써 원형 형상의 플레이트(20)의 표면적을 최대한 넓게 이용하면서 발열을 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하고, 벤딩부(120)에 의하여 수차례 플레이트(20)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역시 플레이트(20)의 표면적을 발열을 위하여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더불어, 인접한 라운딩 연장부(110) 및 벤딩부(120) 사이의 피치 및 연장 라인의 폭이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열 변형이나 응력이 특정 부위에 편중되는 문제를 방지하여 단락이 발생되는 문제를 최소화하는바, 특히 벤딩부(120)의 절곡 부위에서 절곡에 따라 내측으로 파인 공간이 U자 형상에 유사하도록 동일 너비, 즉 피치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이 부위에서 특히 단락이 많게 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도 3b는 도 3a의 변형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 3a에서의 벤딩부(120)의 구조를 변형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3b에 따른 변형 실시예는 벤딩부(120)에서 내측 부위(1개의 연장 라인에서 서로 마주보는 부위)의 시작 지점, 즉 벤딩이 시작되는 지점인 제 1 변곡점(123)(양 측 부위에 2개로 존재)에서 다른 연장 부위보다 곡률반경이 낮게(즉, 보다 급한 곡률) 연장된 제 1 곡률 연장부(121)와, 제 1 곡률 연장부(121)의 단부인 제 2 변곡점(124)(역시 양측 부위에 2개로서 존재)에서 제 1 곡률 연장부(121)보다 곡률반경이 낮게(역시 보다 급한 곡률)로 연장된 제 2 곡률 연장부(12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해, A는 일반적이 라운딩 연장부(110), B는 제 1 곡률 연장부(121), C는 제 2 곡률 연장부(122)라 할 때 곡률 반경은 A>B>C가 되어 B, C로 갈수록 급한 곡률을 가진다. 이로 인해, 제 1,2 곡률 연장부(121,122)가 형성된 지점에서의 벤딩부(120)의 폭은 다른 라운딩 연장부(110)보다 점진적으로 넓게 형성된다.
즉,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곡선형 라인에서 열 변형이 진행되는 벡터 방향이 마치 원심력이 작용되는 것과 같이 외측을 향하게 되기 때문에 이를 감안하여 특히 열 변형이 많은 벤딩부(120)의 구조를 보강 처리한 것이다.
다시 말해, 제 1,2 곡률 연장부(121,122)에 의하여 열 변형이 일어나는 벡터 방향에 상응하게 발열부(100)의 연장 패턴을 형성하면서 열 변형 패턴(방향)을 따르면서 발생될 수 있는 열 응집력에 대항하기 위하여 해당 부위(제 1,2 곡률 연장부가 형성된 부위)를 다른 부위보다 두껍게 처리한 것이다. 이 경우, 인접한 벤딩부(120)와 역시 동일한 폭을 유지(인접한 벤딩부에 방해되지 않는 구조)하면서도 벤딩부(120)의 두께를 확장시킬 수 있다는 특성을 제공한다.
이러한 도 3b에 따른 변형 실시예에 의한 발열부(100)의 구조에 의하여 열 변형 방향에 적응하여 내구성을 보강한다는 특성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도 3a, 도 3b에 대한 발열부(100)의 구조는 다양한 실시예 중 일 예로 설명된 것이고, 발열부(100)의 패턴은 보다 다양한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히터를 구성하는 플레이트의 변형된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에 따른 실시예는, 히터(10)를 구성하는 플레이트(20)가 제 1,2 플레이트(21,22)라는 복층/다층 구조로 이루어진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특히 히터(10)를 포함하는 제 1 플레이트(21)가 제 2 플레이트(22)를 기준으로 승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베이스(base)의 역할을 하면서 서포터(15)와 연결이 되고 추가적으로 방열판을 배면 및 제 1 플레이트(21)와의 결합 부위 주변에 장착할 수 있는 제 2 플레이트(22)와, 제 2 플레이트(22)의 전면(음식을 향한 면)에서 승강 가능하게 장착이 되어 히터(10)를 구비한 제 1 플레이트(21)로 이루어져 있다.
도 4를 보아 알 수 있듯이, 제 1 플레이트(21)는 제 2 플레이트(22)의 전면의 대략 중앙 부위에 형성된 결합 홈(23)에 장착되되 결합 홈(23)의 내주 면 및 제 1 플레이트(21)의 외주 면에 각각 형성된 나사산(24)에 의하여 제 1,2 플레이트(21,22)는 나사산 결합을 한다.
더 나아가, 제 1 플레이트(21)의 배면 중앙 부위에 샤프트(25)가 연결되고, 샤프트(25)는 제 2 플레이트(22) 일 측 또는 그 주변 부위에 형성된 모터(26)(바람직하게는, 스텝 모터)에 의하여 회전 제어가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모터(26)의 구동에 따라 샤프트(25)가 정/역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 1 플레이트(21)가 나사산(24)을 따라 전방으로 돌출되거나 후방으로 인입될 수 있고, 이러한 동작은 제 2 플레이트(22)를 기준으로 제 1 플레이트(21)가 승강되는 것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플레이트(21)가 제 2 플레이트(22)에서 승강되도록 구성한 이유는, 음식이 구워질 때 제 1 플레이트(21)가 음식 측으로 보다 가까이 접근하여 음식 조리의 편의성을 도모할 뿐 아니라, 히터(10)와 흡입공(3)의 위치가 동일 선상에 있지 않도록 하여 히터(10)의 발열에 의하여 흡입공(3)으로 연기가 원활하게 흡입되게 하기 위함이다.
만일 히터(10)와 흡입공(3)이 동일 선상에 위치할 경우 히터(10)의 발열에 의하여 대류 현상 또는 와류가 흡입공(3) 주변에 발생하면서 흡입공(3)을 통해 원활하게 연기가 주입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히터(10)를 보다 낮은 위치로 이동(하강)시켜 연기가 흡입공(3)을 통해 흡입될 때 히터(10)의 발열에 의해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제 1 플레이트(21)의 승강 구조는 하나의 알기 쉬운 예시에 해당되는 것이고, 이와 다른 다양한 구조와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러한 도 4에 따른 구성 및 기능에 의하여, 히터(10)에 의한 조리 기능의 촉진은 물론 기존의 연기를 흡입하는 작용이 각각 독립적으로 순조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특성을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히터에 구성된 차단벽의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에 따른 실시예는 히터(10)의 플레이트(20)의 둘레부에 차단벽(40)을 구비함과 동시에 추가적으로 이 차단벽(40)이 승강될 수 있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차단벽(40)은 히터(10)의 발열부(100)가 그 측부 측으로 발열되어 주변 구성에 불필요한 열전달이 되는 것을 최소화 처리한 것으로, 다시 말해 차단벽(40)이라는 물리적인 구조를 통하여 히터(10)의 측면 또는 그 주변 부위로 불필요한 열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따라서 이러한 차단벽(40)은 내열성/방열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차단벽(40)은 승강 가능하게 히터(10)의 둘레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차단벽(40)의 승강 구조는 히터(10)의 둘레부에 차단벽(40)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41)을 형성하고 차단벽(40)을 삽입 처리한 다음 이 차단벽(40)의 후단에 실린더와 같이 동력에 의하여 신장 구동되는 신장 부재를 연결하여 신장 부재(미도시)를 작동함으로써 차단벽을 승강 처리할 수 있다.
또는, 삽입공(41)에 나사산(42)을 형성하고 이와 동시에 차단벽(40)의 외측 면에 나사산(42)을 형성한 다음 차단벽(40)의 하단이 테이퍼(taper)지게 모아지도록 한 테이퍼부(43)를 통해 모아진 부위, 즉 첨단부(44)에 샤프트(45)를 연결하여 역시 이와 연결된 모터(46)의 구동에 의해 샤프트를 정/역 방향으로 구동함으로써 차단벽(40)을 승강 처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차단벽(40)이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깔때기와 같은 구조로서 차단벽(40)의 하단 부위가 테이퍼 지도록 모아지게 구성하여 이에 모터(46)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샤프트(45)를 연결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이와 같이 차단벽(40)을 승강 가능하게 구성한 것은, 일반적 상황에서는 차단벽(40)이 인입된 상태에서 히터(10)가 보다 폭넓은 범위로 열을 전달하여 음식 조리의 편의성을 제공하되, 특정 상황(예를 들어 연기와 열을 구분해야 하는 상황)에서는 차단벽(40)이 돌출 상승하도록 하여 히터(10)의 열이 측 방향으로 퍼지지 않도록 처리하여 히터(10)의 전방 측으로 보다 집중적으로 발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역시 상술한 차단벽(40)의 승강 구조는 하나의 알기 쉬운 예시에 해당되는 것이고, 이와 다른 다양한 구조와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로 인하여, 히터(10)의 열전달 범위를 조절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흡입부(2)에서의 연기 흡입 시 히터(10)의 발열에 의하여 연기 흡입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컨트롤러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연기 배출 후드 장치는 센서부(210)의 특화된 센싱(sensing) 기능에 의하여 상술한 제 1 플레이트(21) 내지 차단벽(40)이 자동으로 승강되는 기능을 제공할 뿐 아니라 온도 조절은 물론 발열 차단 기능과 같은 안전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컨트롤러(200)를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컨트롤러(200)는 히터(10)와 분리된 물리적 공간이나 영역, 예를 들어 연기 배출 후드 장치 일 측이나 조리 테이블 일 측에 설치될 수 있고 무선 방식의 구동 기능을 지원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컨트롤러(200)는 온도 감지 센서(211)와 연기 감지 센서(212)와 같은 센서를 포함한 센서부(210)와, off 구동 제어모듈(220) 및 승강 구동 제어모듈(230)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210)는 히터(10) 내지 흡입공(3)의 일 측에 장착될 수 있는 것으로, 기본적으로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센서(211)와, 연기(연기 유무, 연기량)을 감지하는 연기 감지센서(212)를 포함한다.
이러한 센서부(210)는 히터(10)에 의한 열에 의해 오작동이 되거나 손상되지 않도록 히터(10)에 장착되며, 특히 온도 감지센서(211)는 직접 열에 닿지 않고 히터(10)의 세기 조절에 따라 학습적으로 측정된 추청 온도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off 구동 제어모듈(220)은 온도 감지센서(211)에서 측정한 온도 정보를 전달받아 기 설정된 기준 온도와 온도 정보를 비교 처리하여 히터(10)의 on/off 처리를 자동으로 수행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즉, off 구동 제어모듈(220)은 측정된 온도가 기준 온도보다 높을 경우 과열로 인식하여 자동으로 히터를 off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로 인해, 일반적으로 음식 조리의 서브 역할을 하는 히터(10)가 과열되어 필요 이상의 열을 발생하여 음식이 타거나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자동으로 히터(10)를 off 처리하여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는 특성을 부여한다.
승강 구동 제어모듈(230)은 상술한 제 1 플레이트(21) 및 차단벽(40)(승강 구조로 이루어진 경우)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승강 기능을 자동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온도 감지센서(211)로부터 전달받은 온도 정보를 기준 온도와 비교 처리함과 동시에 연기 감지 센서(212)에서 전달받은 연기 정보(연기 유무, 연기량)를 기준 연기 정보와 비교 처리하여 제 1 플레이트(21) 및 차단벽(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승강을 차등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히터(10)가 가열되어 음식을 조리하면서 연기가 발생하였을 때 승강 구동 제어모듈(230)이 이를 감지하여 제 1 플레이트(21)를 하강(돌출) 처리하거나 차단벽(40)을 하강(돌출)시키고 반대로 열이 기준 온도에 미치지 아니함과 동시에 연기가 기준 연기에 미치지 아니 할 때에는 제 1 플레이트(21)를 다시 상승(인입) 처리하거나 차단벽(40)을 상승(인입)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컨트롤러(200)의 기능에 의하여 사용자의 수작업에 의한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식 조리용 히터를 구비한 연기 배출 후드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연기 배출 후드 장치 2: 흡입부
3: 흡입공 4: 배기관
5: 기름 받이 캡 10: 히터
15: 서포터 20: 플레이트
21: 제 1 플레이트 22: 제 2 플레이트
23: 결합 홈 24: 나사산
25: 샤프트 26: 모터
30: 터미널 40: 차단벽
41: 삽입공 42: 나사산
43: 테이퍼부 44: 첨단부
45: 샤프트 46: 모터
100: 발열부 110 : 라운딩 연장부
120: 벤딩부 121: 제 1 곡률 연장부
122: 제 2 곡률 연장부 123: 제 1 변곡점
124: 제 2 변곡점 130: 중심 연결부
200: 컨트롤러 210: 센서부
211: 온도 감지센서 212: 연기 감지센서
220: off 구동 제어모듈 230: 승강 구동 제어모듈

Claims (8)

  1. 음식 조리용 히터를 구비한 연기 배출 후드 장치로서,
    배기관의 단부에 형성된 것으로, 연기를 흡입하는 흡입공을 구비한 흡입부;
    상기 흡입공을 밀폐하지 않는 직경으로 상기 흡입공에 설치되어 음식을 조리할 수 있도록 가열되는 발열부를 포함한, 히터;
    상기 히터를 상기 흡입공의 내주 면에 연결하는 서포터;를 포함하되,
    상기 히터는,
    상기 서포터가 연결된 제 2 플레이트와,
    상기 2 플레이트의 전면 측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 상기 발열부를 포함한 제 1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조리용 히터를 구비한 연기 배출 후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플레이트의 둘레 주변에서 상호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2개로 장착되어 열을 발산하는 터미널;
    상기 각각의 터미널부터 상기 플레이트의 둘레의 형상에 상응하게 곡선 형태로 연장되다가 상기 터미널의 대향 측 지점에서 플레이트의 중심 방향으로 벤딩되어 연장되는 것을 반복하는 라운딩 연장부와,
    상기 라운딩 연장부에서 벤딩 처리된 벤딩부 및 ,
    상기 플레이트의 중심 부위에서 상기 라운딩 연장부의 각 연장 라인이 서로 만나도록 원에 상응하는 형상으로서 연결된 중심 연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발열부는,
    상기 터미널의 열을 발산하는 열 통로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조리용 히터를 구비한 연기 배출 후드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부는,
    벤딩 처리가 시작되는 내측 부위 각각의 제 1 변곡점에서 다른 상기 라운딩 연장부보다 낮은 곡률 반경으로 연장된 제 1 곡률 연장부와,
    상기 제 1 곡률 연장부의 단부인 각각의 제 2 변곡점에서 상기 제 1 곡률 연장부보다 낮은 곡률반경으로 연장된 제 2 곡률 연장부로 이루어져,
    상기 벤딩부에서 상기 제 1,2 곡률 연장부가 형성된 부위의 폭이 다른 라운딩 연장부의 폭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조리용 히터를 구비한 연기 배출 후드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플레이트는,
    상기 제 1 플레이트를 수용할 수 있되 내주 면에 나사산을 구비한 결합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플레이트는,
    외주 면에 나사산을 구비하여 상기 결합 홈에 나사산 결합을 하되,
    배면 측에 모터의 구동으로 정역 방향으로 회전되는 샤프트와 연결되어,
    상기 샤프트의 정역 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제 2 플레이트에서 출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조리용 히터를 구비한 연기 배출 후드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둘레를 따라 함입 형성된 삽입공에 일정 높이로 이루어진 차단벽이 추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조리용 히터를 구비한 연기 배출 후드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벽은,
    상기 삽입공에서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조리용 히터를 구비한 연기 배출 후드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기 배출 후드 장치는,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센서 및, 연기 유무와 연기량을 감지하는 연기 감지 센서를 포함한 센서부와,
    상기 온도 감지센서와 연기 감지 센서의 온도 정보와 연기 정보를 전달받아 기준 온도와 기준 연기 정보와 비교 처리함으로써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승강 구동을 차등 제어하는 승강 구동 제어모듈을 구비한 컨트롤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조리용 히터를 구비한 연기 배출 후드 장치.
  8. 삭제
KR1020150140909A 2015-10-07 2015-10-07 음식 조리용 히터를 구비한 연기 배출 후드 장치 KR101685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909A KR101685848B1 (ko) 2015-10-07 2015-10-07 음식 조리용 히터를 구비한 연기 배출 후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909A KR101685848B1 (ko) 2015-10-07 2015-10-07 음식 조리용 히터를 구비한 연기 배출 후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5848B1 true KR101685848B1 (ko) 2016-12-12

Family

ID=57574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0909A KR101685848B1 (ko) 2015-10-07 2015-10-07 음식 조리용 히터를 구비한 연기 배출 후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58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4672B1 (ko) * 2017-10-18 2018-10-04 권혁남 적외선을 이용한 전기 구이기
KR102000918B1 (ko) * 2018-02-13 2019-07-17 주식회사 모닝아트 무연후드 기능을 갖춘 상부가열식 구이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33463U (ko) * 1977-03-29 1978-10-23
KR20060030092A (ko) * 2006-03-17 2006-04-07 여흥수 직화구이 조리장치
KR100688351B1 (ko) * 2005-12-02 2007-03-02 주식회사 청우네이처 물의 증발 잠열을 이용한 열교환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33463U (ko) * 1977-03-29 1978-10-23
KR100688351B1 (ko) * 2005-12-02 2007-03-02 주식회사 청우네이처 물의 증발 잠열을 이용한 열교환장치
KR20060030092A (ko) * 2006-03-17 2006-04-07 여흥수 직화구이 조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4672B1 (ko) * 2017-10-18 2018-10-04 권혁남 적외선을 이용한 전기 구이기
KR102000918B1 (ko) * 2018-02-13 2019-07-17 주식회사 모닝아트 무연후드 기능을 갖춘 상부가열식 구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172942B (zh) 一种无烟烧烤炉
KR100326963B1 (ko) 적외선 가스 브로일러를 구비한 전기 조리 오븐
KR101685848B1 (ko) 음식 조리용 히터를 구비한 연기 배출 후드 장치
KR20150136893A (ko) 인덕션 조리기
KR200487910Y1 (ko) 구이불판 지지용 언더렌지 겸용 인덕션 조리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구이장치
JP4199228B2 (ja) グリル装置
JP6779677B2 (ja) ガスコンロ
KR101655707B1 (ko) 음식 조리용 히터를 구비한 연기 배출 후드 장치
JP7112079B2 (ja) レンジフードの制御方法
JP2004063199A (ja) 電磁誘導加熱調理方法とこれに用いる誘導加熱調理器
KR20110011146U (ko) 직화 구이기
KR100887754B1 (ko) 직접 열풍 분사방식을 이용한 피자용 가스 데크 오븐
KR102053551B1 (ko) 조리용 솥
JP7154092B2 (ja) 調理支援システム
CN208658986U (zh) 箱式燃气烤饼炉
KR101694156B1 (ko) 다기능 구이기
KR200236953Y1 (ko) 구이팬
CN109924226A (zh) 一种燃气烤炉
JP2021012841A (ja) 加熱調理器、加熱調理システム、端末装置、および報知方法
CN216823013U (zh) 一种新型热辐射烤炉
CN108644775B (zh) 一种防止烤箱燃烧器熄灭装置
KR20230174415A (ko) 균일한 고기 익힘 상태를 제공하는 숯불 고기 구이기
JP7086023B2 (ja) 加熱調理器
JP4761960B2 (ja) ガスホットプレート
KR20090008482U (ko) 피자 오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