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0090B1 - 약제 불출 장치 - Google Patents

약제 불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0090B1
KR101650090B1 KR1020117006283A KR20117006283A KR101650090B1 KR 101650090 B1 KR101650090 B1 KR 101650090B1 KR 1020117006283 A KR1020117006283 A KR 1020117006283A KR 20117006283 A KR20117006283 A KR 20117006283A KR 101650090 B1 KR101650090 B1 KR 101650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ine
medicament
receiving
unit
receiv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6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3465A (ko
Inventor
쇼지 유야마
쥰이찌 이와야
아끼후미 다나까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10063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34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0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0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9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assembling and dispensing of pharmaceutical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30Devices or methods for 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quantity or quality or the material fed or fille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07F11/165Delivery means using xyz-picker or multi-dimensional article picking arrangements
    • G07F11/1653Delivery means using xyz-picker or multi-dimensional article picking arrangements the picking arrangements being collecting bucke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6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in which the articles are stored in compartments in fixed receptacl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16H20/1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delivered from dispensers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장치 본체(3)와, 장치 본체(3)에 장착되어, 수용된 약제를 약제 배출부를 통해서 불출 가능한 복수의 약제 수용 용기(9)를 구비한 약제 수용 유닛(4)과, 장치 본체(3)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약제 수용 유닛(4)의 각 약제 수용 용기(9)로 이동하고, 약제 배출부로부터 불출된 약제를 수취하여, 배출 위치로 이동해서 수취한 약제를 배출하는, 적어도 2개의 약제 수취부(26)를 갖는 약제 수취 유닛(5)과, 배출 위치에서 각 약제 수취부(26)로부터 배출된 약제를 각각 회수하는 복수의 약제 회수부(44)를 갖는 약제 회수 유닛(6)과, 각 약제 수취부(26)를 이동시켜서 해당하는 약제 수용부로부터 불출된 약제를 수취하고, 상기 약제를 약제 회수 유닛(6)의 해당하는 약제 회수부(44)로 배출시키는 제어 유닛(7)을 구비한 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약제 불출 장치 {MEDICATION DISPENSING DEVICE}
본 발명은, 약제 불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약제 불출 장치로서,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앰플을 수용한 카세트를, 장치 본체에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하고, 앰플 회수부에 설치한 4 군데의 앰플 저장실을 이용해서 4 처방분을 한데 모아 회수한 후, 약제 회수 용기에 불출하도록 한 구성의 것이 공지이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문헌1]:일본특허출원공개제2007-117708호공보
그러나 상기 종래의 약제 불출 장치에서는, 카세트로부터 앰플을 회수할 경우, 앰플 수용 드럼을 회전시켜서 각 앰플 저장실을 회수 가능한 위치로 이동시켜야만 해 회수 시간이 걸린다. 또한, 각 앰플 저장실로 회수한 앰플을, 차례로 트레이 내에서 분할된 각 수용실로 불출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불출 시간을 억제할 수 없다. 최근에는 점점 약제의 불출 업무의 신속화가 요청되고 있어, 상기 구성이라도 충분히 대응할 수 없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약제 수용 유닛으로부터의 약제 회수와, 약제 회수 유닛으로의 약제 불출을 한층 더 신속하게 행할 수 있는 약제 불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약제 불출 장치를, 장치 본체와, 상기 장치 본체에 장착되어, 수용된 약제를 약제 배출부를 통해서 불출 가능한 복수의 약제 수용 용기를 구비한 약제 수용 유닛과, 상기 장치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약제 수용 유닛의 각 약제 수용 용기로 이동하고, 약제 배출부로부터 불출된 약제를 수취하여, 배출 위치로 이동해서 수취한 약제를 배출하는, 적어도 2개의 약제 수취부를 갖는 약제 수취 유닛과, 상기 배출 위치에서 각 약제 수취부로부터 배출된 약제를 각각 회수하는 복수의 약제 회수부를 갖는 약제 회수 유닛과, 처방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상기 각 약제 수취부를 이동시켜서, 해당하는 약제가 수용된 약제 수용 용기로부터 불출한 약제를 수취하고, 상기 약제를 약제 회수 유닛의 해당하는 약제 회수부로 동시에 배출시키는 제어 유닛을 구비한 구성으로 한 것이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적어도 2개의 약제 수취부를 이동시켜서, 해당하는 약제가 수용된 약제 수용 용기로부터 각각 소정수의 약제를 불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단시간에 각 약제 수취부로 약제를 불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각 약제 수취부로 불출된 약제는, 각 약제 수취부를 약제 회수 유닛의 해당하는 각 약제 회수부로 이동시킴으로써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일련의 약제 불출 처리를 확실하면서도 또한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약제 수용 유닛은, 장치 본체의 임의의 기준면을 따라 약제 배출부를 병설하고, 상기 약제 수취 유닛은 상기 기준면을 따라 각 약제 수취부를 상하 좌우로 각각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구비하도록 하면 좋다.
상기 약제 수취 유닛은, 수평 방향으로 병설한 2개의 약제 수취부로 이루어지는 약제 수취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약제 수취 용기는 약제 배출부로부터 약제가 불출되는 약제 수용 용기에 대하여 각 약제 수취부를 위치 결정할 수 있도록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도록 하면 좋다.
이 구성에 따르면, 동일한 약제 수용 용기로부터 연속해서 약제를 불출할 경우, 병설한 약제 수취부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각 약제 수취부에서 간단하게 불출한 약제를 수취할 수 있다. 따라서, 고속으로 약제를 불출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병설한 약제 수취부를 약제 회수 유닛으로 이동시켜, 각 약제 회수부에 각 약제 수취부를 위치 결정하면, 약제 회수 유닛으로의 약제 불출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약제 수취 유닛은, 수평 방향으로 병설한 4개의 약제 수취부를 구비하고, 양단부에 각각 위치하는 약제 수취부는, 중앙 2 군데에 위치하는 약제 수취부에 대하여 상방 또는 하방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한 후, 서로 접근함으로써 정렬 가능하게 하면 좋다.
상기 약제 수취 유닛은, 수평 방향으로 병설한 2개의 약제 수취부로 이루어지는 약제 수취 용기를 2개 구비하고, 각 약제 수취 용기의 각 약제 수취부는 상하 좌우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변경 가능하게 하면 좋다.
상기 4개의 약제 수취부를 구비한 구성에 따르면, 1일분의 처방을 전부 각 약제 수취부에서 수취할 수 있어, 약제 회수 유닛의 각 약제 회수부로 한번에 불출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더욱 효율적인 약제의 불출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약제 수취 유닛의 각 약제 수취부에서 수취한 약제를 각 약제 회수부로 배출하기 전에, 각각 일단 저류시키는 복수의 약제 저류부를 갖는 약제 저류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다음의 약제 회수 유닛이 준비되기 전에, 약제 수취 유닛에서 다음의 처방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약제 수용 유닛의 약제 수용 용기로부터 해당하는 약제를 불출할 수 있어, 한층 더 고속으로 불출 처리를 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약제는 세로로 길며, 상기 약제 회수 유닛은 세로로 긴 약제 회수부가, 그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병설되는 것이며, 상기 약제 수취 유닛과 약제 회수 유닛 사이에, 약제 수취 유닛의 약제 수취부로부터 약제를 수취하는 수취 위치와, 약제의 길이 방향을 약제 회수부의 길이 방향과 합치시키는 전달 위치와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한 방향 변환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세로로 긴 약제를 불출할 때, 방향 변환부에 의해 약제의 길이 방향을 약제 회수 유닛의 방향 변환부의 길이 방향을 따르게 할 수 있으므로, 간단하면서도 또한 확실하게 각 약제 회수부로 약제를 불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방향 변환부 중, 인접하는 2개의 방향 변환부는, 적어도 한쪽이 수취 위치로부터 전달 위치로 회전을 개시한 후, 다른 쪽이 수취 위치로부터 전달 위치로 회전을 개시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방향 변환부의 회전 개시 시기를 늦추도록 한 것은, 인접해서 배치해도 서로 간섭하는 일 없이 회전시키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방향 변환부가 떨어져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동시에 회전을 개시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 구성에 의해, 2개의 방향 변환부를 접근시켜서 배치했다고 해도, 서로 간섭하는 일은 없어 원활하게 방향 변환시킬 수 있고, 장치 전체적으로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약제 저류 부재의 약제 저류부는, 복수 일체로 승강 구동 가능한 구성이며, 또한 각 약제 저류부는 개별로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복수의 약제 저류부를 일체적으로 승강시켜서, 약제를 약제 회수 유닛의 각 약제 회수부로 불출할 수 있다. 그리고 약제 저류 부재가 불출한 약제에 접촉할 경우에는, 개별로 각 약제 저류부가 상승하므로, 약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약제 수용 유닛은, 약제 수용 용기에 수용되는 약제가 앰플이며, 상기 앰플을 그 길이 방향을 따라서 1개씩 불출하는 불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약제 수취 유닛은 불출된 앰플을 지지하고, 회전함으로써 지지한 앰플을 하방측으로 이송하는 수취 회전체와, 상기 수취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하방측으로 이송된 앰플을 지지하고, 회전함으로써 하방으로 배출하는 바닥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가령 약제가 손상되기 쉬운 앰플이며, 그 길이 방향으로 불출되는 경우라도, 약제 수취 유닛에 의해 원활하게 수취해 둘 수 있다. 즉, 수취 회전체에 의해 지지한 앰플은, 이 수취 회전체가 회전함으로써 충격력이 작용하는 일 없이 하방측으로 이송되어, 바닥 플레이트 위에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앰플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배출 가능한 상태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취 회전체는 단면 U자형의 수취 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취 회전체가 통상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수취 홈부는 약제 수용 용기로부터의 앰플의 배출 방향을 향해 서서히 하방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동시에, 이동해 온 앰플에 부여하는 충격력을 완화하는 요충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약제 수용 용기로부터 불출된 앰플을 원활하게 수취 회전체의 수취 홈부로 이동시킬 수 있어, 앰플에 부여하는 충격력도 충분히 억제하여 손상에 이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취 회전체는, 약제 수용 용기측과는 반대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외팔보 지지됨으로써, 통상 위치에서 약제 수용 용기측의 단부면에 수취 홈부를 개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약제 수용 용기측에 충분한 개구를 형성하여, 약제 수용 용기로부터 불출된 앰플을 원활하게 수취 홈부 내로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약제 수취 유닛은, 상기 수취 회전체의 회전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고, 수취 홈부에서 지지한 앰플을 바닥 플레이트에 배출될 때까지 가이드하는 구획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수취 회전체를 회전시킴으로써, 수취 홈부에 지지한 앰플을 구획 플레이트에 의해 가이드하여 원활하게 바닥 플레이트 위로 이송할 수 있다.
상기 약제 수취 유닛은, 수평 방향으로 병설되는 복수의 수취부를 구비하고, 상하 좌우로 병설된 약제 수용 용기의 전방 범위에서는, 좌우 방향으로 밀려나오지 않는 범위에서 이동 가능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약제 수취 유닛이 약제 수용 용기의 전방 영역을 초과해서 측방으로 밀려나와서 이동하는 일이 없으므로, 장치 전체를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2개의 약제 수취부를 이동시켜서, 약제 수용 유닛으로부터 불출한 약제를 수취하는 동시에, 약제 회수 유닛으로 동시에 배출하도록 했으므로, 정확하면서도 또한 고속의 처리가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약제 불출 장치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카세트를 인출한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약제 수취 유닛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바닥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약제 저류 부재를 상방으로부터 본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약제 저류 부재를 하방으로부터 본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약제 불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약제 불출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도 8의 불출 수량 연산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약제 불출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약제 수취 유닛을 정면측으로부터 본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약제 수취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약제 수취 유닛을 배면측으로부터 본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1에 도시하는 약제 수용부의 동작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5는 도 11에 도시하는 약제 수용부의 다른 동작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6은 도 11에 도시하는 약제 수용부의 다른 동작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7은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약제 저류 부재 및 그 주변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평면도이다.
도 19는 도 17의 정면도이다.
도 20은 도 17의 우측 2 군데의 방향 변환 용기의 동작을 도시하는 개략 설명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방향 변환 용기의 회전 동작을 행하기 위한 기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약제 저류 부재 및 그 주변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배면측으로부터 본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2의 측면도이다.
도 25는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약제 수용 용기로부터의 약제 불출 기구를 도시하는 불출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26은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약제 수취 유닛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약제 수취 유닛에 의한 약제 저류 부재로의 약제의 불출 동작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8의 (a)는 도 26의 약제 수취 유닛의 평면도, (b)는 바닥면도, (c)는 배면도이다.
도 29는 도 26의 약제 수취 유닛에 의한 좌열의 약제 수용 용기로부터 약제를 불출할 때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0은 도 26의 약제 수취 유닛에 의한 우열의 약제 수용 용기로부터 약제를 불출할 때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을 따라서 설명한다. 단, 이하의 설명에서는, 구성 요소의 종류, 조합, 형상, 상대 배치 등은 특정적인 기재가 없는 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그것에만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적절하게 필요에 따라서 특정 방향이나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예를 들어, 「상」, 「하」, 「전」, 「후」, 「일단부」, 「타단부」 등)를 사용하지만, 그들 용어의 사용은 도면을 참조한 발명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서이며, 그들 용어의 의미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전체 구성)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약제 불출 장치를 도시한다. 이 약제 불출 장치는, 프레임(1)에 외부 장착 패널(2)을 장착한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장치 본체(3) 내에, 약제 수용 유닛(4), 약제 수취 유닛(5), 약제 회수 유닛(6) 및, 제어 유닛(7)(도 7 참조)을 각각 설치한 구성이다.
[1-1. 약제 수용 유닛(4)]
약제 수용 유닛(4)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세트 수용부(8)와, 거기에 착탈되는 복수의 카세트(9)(약제 수용부)를 구비한다. 카세트 수용부(8)는 장치 본체(3)의 내부 공간을 복수의 구획벽(10)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분할하고, 수평 선반(11)에 의해 다시 상하로 2 분할함으로써 세로로 긴 공간을 형성한 것이다. 구획벽(10)의 대향면에는 (상세하게는 도시하지 않음)이 각각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복수의 카세트(9)가 착탈 가능하게 병설되어 있다.
카세트(9)는, 종류별로 복수의 약제가 각각 수용되고, 수용하는 앰플(12)의 사이즈에 따라서 폭 치수 및 높이 치수, 경우에 따라서는 길이(깊이) 치수가 다르다. 여기에서는, 카세트(9) 내에는 약제로서 대략 원통 형상의 앰플(12)이, 그 지름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로 수용되어 있다. 앰플(12)은, 정(定) 하중 스프링(12a)에 의해 약제 불출측으로 압박됨으로써 간극 없이 병설되어 있다. 그리고 약제 불출부를 구성하는 로터(13)를 회전함으로써 1개씩 불출되도록 되어 있다. 로터(13)는, 앰플(12)의 외주면을 따른 오목부(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다. 로터(13)의 회전은, 돌출 방향으로 압박된 로드(14)를 압입하고, 이 로드(14)에 형성된 랙을 통해서 로터(13)의 회전축에 설치한 피니언을 회전시킴으로써 행해진다. 또한, 각 카세트(9)는 로터(13)에 의한 배출 위치가 임의의 기준면[장치 본체(1)의 전방면에 평행한 면]에 대하여 평행해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카세트(9)에는 로터(13) 측의 상하 테두리부에 절결부(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하고, 장치 본체(1)의 각 열마다 상하에 설치한 광 센서(1a) 및 반사판(1b)에 의해 절결 부분으로 앰플(12)이 불출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로터(13)가 회전해서 앰플(12)이 불출되면, 이 앰플(12)에 의해 절결 부분으로 조사광이 차단되어 센서(1a)에 수광되지 않게 되므로, 불출된 것을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로터(13)를 회전시켜서 앰플(12)을 불출했음에도 센서(1a)로 수광된 상태이면, 후술하는 돌출 동작을 반복해서 로터(13)를 회전시킨다. 그런데도 센서로 수광된 상태이면, 에러라는 취지를 통지하도록 하면 좋다. 카세트(9)에 형성한 절결 부분에서 앰플(12)의 유무를 검출하므로, 손가락이나 약제 수취 유닛(5) 등에 의해 잘못 검출하는 등의 염려가 없다. 또한, 센서(1a) 및 반사판(1b)에 의해 카세트(9)의 삽입 발출 상태도 검출하도록 해도 좋다.
[1-2. 약제 수취 유닛(5)]
약제 수취 유닛(5)은, 장치 본체(3)의 전방면측 프레임(1)[좌우 한 쌍의 수직 레일(15)]에, 상하(수직)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부착된 수평 레일(16)과, 이 수평 레일(16)에 좌우(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부착한 슬라이드 베이스(17)를 구비한다. 슬라이드 베이스(17)에는, 돌출 유닛(18)과 약제 수취 용기(19)가 설치되어 있다.
돌출 유닛(18)은, 돌출 베이스(20)에 돌출 모터(21)와 돌출 핀(22)을 설치한 것이다. 돌출 베이스(20)는 역 U자형이고, 돌출 핀(22)은 그 일단부측에 설치되어 있다. 돌출 핀(22)은, 돌출 모터(21)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피니언과 랙을 통해서 왕복 이동하고, 상기 약제 수용 유닛(4)에 설치한 로드(14)를 압입함으로써, 앰플(12)을 1개씩 불출시킨다.
약제 수취 용기(19)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면판(23)의 양단부 및 중앙부에 각각 측판(24) 및 중앙판(25)을 각각 일체화하고, 둘러싸인 2개의 영역[제1 약제 수취부(26a) 및 제2 약제 수취부(26b)]의 바닥면 부분에 바닥판(27)을 각각 배치한 것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판(27)의 상면에는 탄성 시트(31)가 배치되어 있다. 바닥판(27)은 상기 지지축(28a)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하고, 바닥면을 폐쇄한 상태에서는 정면판(23)을 향해 서서히 하방측으로 경사져 있다. 이에 의해, 카세트(9)로부터 불출된 앰플(12)이 원활하게 각 약제 수취부(26a, 26b)에 수용된다. 또한, 각 바닥판(27)은 지지축(28a)에 고정한 풀리(28b)에 걸친 벨트(28c)를 통해서 정면판(23)의 전방면에 설치한 모터(28d)로부터의 동력이 전달됨으로써, 동기 회전하여 바닥면을 개폐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약제 수취 용기(19)는, 슬라이드 베이스(17)에 대하여 수평 이동하여, 카세트(9) 즉 돌출 유닛(18)의 돌출 베이스(20)에 대하여 각 약제 수취부(26a, 26b)가 각각 위치 결정된다.
[1-3. 약제 회수 유닛(6)]
약제 회수 유닛(6)은, 약제 저류 부재(32)와, 그 하방측에 배치되어, 반송 부재(33)에 의해 반송되는 약제 회수 용기(34)를 구비한다.
약제 저류 부재(32)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3)에 고정되는 지지부(35)와, 이 지지부(35)에 의해 지지되어 승강 가능한 본체부(36)를 구비한다. 본체부(36)는, 지지부(35)에 설치한 모터(도시하지 않음)의 구동에 의해 승강한다. 본체부(36)에는, 4개의 약제 저류부(37)가 설치되어 있다. 각 약제 저류부(37)의 바닥면은, 제1 경사판(38)과 제2 경사판(39)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경사판(38)은 본체부(36)에 고정되어 있고, 중간 부분에서 굴곡되어 있다. 제1 경사판(38)의 하반부에는 복수의 브러시(40)가 일체화되어, 선단부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제2 경사판(39)은, 모터(39a)의 구동에 의해 지지축(39b)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각 지지축(39b)에는 풀리(39c)가 고정되고, 풀리(39c) 사이에 걸친 벨트(39d)를 통하여, 제2 경사판(39)은 동기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제2 경사판(39)은, 상기 약제 수취 용기(19)의 바닥판(27)과 같은 구성으로, 힌지(38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1 경사부(41)와 제2 경사부(42)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1 경사판(38)과 제2 경사판(39)의 상면에는 각각 탄성 시트(43)가 적재되어 있다. 또한, 제2 경사판(39)을 중심측에 배치하면, 약제 회수 용기(34)의 각 약제 회수부(4) 내에 확실하게 앰플을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경사판(38)을 약제 회수부(44)의 위치에 맞춰서 내측으로 경사지게 함으로써, 앰플(12)의 수취량을 많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약제 회수 용기(34)에 대하여 약제 저류 부재(32)를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앰플(12)의 저류량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반송 부재(33)는, 도시하지 않은 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반송 벨트(33a)를 구비하고, 장치 본체(3) 내에 약제 회수 용기(34)를 반입하여, 회수 위치에서 일단 정지시킨 후, 외부로 반출한다.
약제 회수 용기(34)는, 내부가 구획판(34a)에 의해 4 분할됨으로써 약제 회수부(4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환자 1명의 1일 최대 처방 수(아침, 점심, 저녁, 밤)에 맞춘 것이다. 각 약제 회수부(44)의 크기는, 상기 약제 저류 부재(32)의 각 약제 저류부(37)에 대응하고 있다.
[1-4. 제어 유닛(7)]
제어 유닛(7)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스트 컴퓨터 등으로부터 입력된 처방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각종 모터 등을 구동 제어함으로써, 약제 수취 용기(19)를 이동시킨다. 그리고 약제 수용 유닛(4)의 카세트(9)로부터 해당하는 약제를 불출시켜 회수하고, 약제 저류 부재(32)를 통해서 약제 회수 용기(34)로 약제를 회수시킨다. 그 후, 약제 회수 용기(34)를 이동시켜서 회수한 약제를 반출한다.
(2. 동작)
다음에,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약제 불출 장치의 동작을 도 8에 도시하는 흐름도를 따라서 설명한다.
우선, 처방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약제의 불출 명령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 불출 명령이 있으면, 약제의 불출 수량을 연산 처리한다(스텝 S2).
약제의 불출 수량의 연산 처리에서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제 수취 용기(19)의 어떤 약제 수취부(26)에 약제를 불출할지를 결정한다(스텝 S21). 여기에서는, 약제 수취부(26)는 2개이므로, 처음에 제1 약제 수취부로 결정하고, 후술하는 스텝 S27에서 제2 약제 수취부로 변경한다.
제1 약제 수취부로 결정되면, 불출 수량을 초기화(n = 0)(스텝 S22)하여, 불출 수량 Y(i)가 미불출 수량 X 미만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3). 그리고 불출 수량 Y(i)가 미불출 수량 X에 도달하는지, 혹은 다음 식을 만족할 때까지(스텝 S24), 약제의 불출 수량을 가산(n + 1) 한다(스텝 S25).
[수학식 1]
T ≤ A ― (T × n + Z)
A : 약제 수취부(26)의 총 용량(수취 한계량)
T : 약제 사이즈
n : 약제의 불출 가정 수량(개수)
Z : 약제 수취부(26)의 초기 용량
이와 같이 하여, 불출 수량 Y(i)를 가산하여, 그 값이 미불출 수량 X를 초과하는지, 혹은 불출 수량 Y(i)가 미불출 수량 X 미만이라도 상기 수학식 1을 만족하지 않아, 제1 약제 수취부에는 더 이상 약제를 수용할 수 없다고 판단되면, 불출 수량 Y(i)를 가산하기 전의 현재의 불출 수량(n)으로 결정한다(스텝 S26). 그리고 약제를 불출하는 약제 수취부(26)를 다음의 제2 약제 수취부로 변경한다(스텝 S27).
이하, 마찬가지로 하여 상기 스텝 S21에서 S27을, 제2 약제 수취부로의 약제의 불출 수량이 연산될 때까지 속행한다(스텝 S28).
약제의 불출 수량이 연산되면, 약제를 불출 가능한 약제 수취부(26)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S3), 불출 가능한 약제 수취부(26)가 있으면, 그 약제 수취부(26)를 해당하는 카세트(9)로 이동시킨다(스텝 S4). 여기에서는, 약제 수취 용기(19)를 이동시켜서, 제1 약제 수취부(26a)를 해당하는 약제가 수용된 카세트(9)로부터 불출 가능한 위치에 위치 결정한다. 그리고 돌출 유닛(18)의 돌출 핀(22)을 돌출시킴으로써, 약제 수용 유닛(4)에 설치한 로드(14)를 압입하고, 로터(13)를 회전시켜서 약제를 1개씩 불출시킨다. 이렇게 해서, 상기 스텝 S2에서 미리 연산된 수량의 약제를 카세트(9)로부터 약제 수취부(26)로 불출한다(스텝 S5). 약제의 불출이 완료되면, 불출 수량을 기초로 하여 미불출 수량을 갱신한다(스텝 S6).
이하 마찬가지로 하여, 스텝 S3에서, 약제를 불출 가능한 약제 수취부(26)가 없어질 때까지, 상기 스텝 S4 내지 S6의 처리를 속행한다. 여기에서는, 제1 약제 수취부(26a)와 제2 약제 수취부(26b)의 양쪽에, 연산된 불출 수량이 전부 불출될 때까지, 카세트(9)로부터 각 약제 수취부(26)로의 약제 불출을 속행한다. 또한, 카세트(9)로부터 제2 약제 수취부로 약제를 불출할 경우, 돌출 유닛(18)이 제1 약제 수취부(26a) 측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약제 수취 용기(19)를 미끄럼 이동시켜서, 제2 약제 수취부(26b)를 돌출 유닛(18)에 위치 결정한다.
또한, 복수 종류의 약제를 제1 약제 수취부(26a)와 제2 약제 수취부(26b)로 불출할 경우, 그 불출 순서는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약제 수취부(26a)로 A 약제를 1개 불출하고, 제2 약제 수취부(26b)로 A 약제를 1개, B 약제를 1개 불출할 경우, 제1 약제 수취부(26a)로 A 약제를 불출한 후, 제2 약제 수취부(26b)에서 A 약제가 아닌, 먼저 B 약제를 1개 불출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제1 약제 수취부(26a)로 A 약제를 1개, B 약제를 1개 불출하고, 제2 약제 수취부(26b)로 A 약제를 1개 불출할 경우, 제1 약제 수취부(26a)로 A 약제를 1개 불출한 후, 제2 약제 수취부(26b)로 A 약제를 1개 불출하기 전에, 먼저 제1 약제 수취부(26a)로 B 약제를 1개 불출하도록 해도 좋고, 제1 약제 수취부(26a)보다도 먼저 제2 약제 수취부(26b)에서 A 약제를 1개 불출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1개의 약제 수취부(26)에서 약제의 수취 동작을 행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를 들어, 약제 수취부(26)의 수취 한계량이 10이고, 사이즈가 3인 A 약제를 6개, 사이즈가 2인 B 약제를 6개 불출할 경우, 약제 수취부(26)로 A 약제를 3개 불출하면, 이 약제 수취부(26)로는 더 이상의 약제 불출은 무리이다. 그래서, 일단 약제 수취부(26)로부터 약제 저류 부재(32)로 A 약제를 배출한다. 그리고 다시, 약제 수취부(26)를 이동시켜, A 약제를 3개 불출하는 2회째의 불출 동작을 실행한다. 계속해서, 3회째의 불출 동작에서, 약제 수취부(26)로 B 약제를 5개 불출하고, 4회째의 불출 동작에서, 약제 수취부(26)에 남은 1개의 B 약제를 불출한다. 이에 따르면, 불출 동작이 4회가 된다. 이에 대해, A 약제 2개와 B 약제 2개의 4개를 1 세트로 하여 불출하도록 하면, 3회의 불출 동작으로 종료할 수 있다.
제1 약제 수취부(26a)와 제2 약제 수취부(26b)로의 약제 불출이 완료되면, 약제 수취 용기(19)를 약제 저류 부재(32)로 이동시켜, 불출한 약제를 전부 대응하는 각 약제 저류부(37)로 배출시킨다(스텝 S7). 여기에서는, 약제 저류 부재(32)의 제1 약제 저류부에 제1 약제 수취부(26a)를 위치 결정하고, 제2 약제 저류부에 제2 약제 수취부(26b)를 위치 결정한다. 그리고 바닥판(27)을 회전시켜서 바닥면을 개방하고, 약제를 각 약제 수취부(26)로부터 대응하는 각 약제 저류부(37)로 2 군데에서 동시에 배출한다. 이때, 각 약제 수취부(26)의 수용 수량을 리셋(= 0)한다.
상기 스텝 S1에서, 불출 명령이 없으면, 약제 수취 용기(19)의 각 약제 수취부(26)에 약제가 잔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8). 이 판단은, 예를 들어 카세트(9)로부터 약제 수취부(26)로 약제가 불출된 후, 그 약제 수취부(26)로부터 약제 저류 부재(32)로 약제가 불출되었는지의 여부에 의해 행하면 좋다. 약제 수취부(26)에 약제가 잔류되어 있으면, 약제 수취 용기(19)를 이동시켜, 약제 저류 부재(32)의 각 약제 저류부(37) 중, 남은 2 군데로 이동시켜 약제를 배출시킨다(스텝 S9). 이때, 상기와 마찬가지로, 각 약제 수취부(26)의 수용 수량을 리셋(= 0)한다. 그 후, 약제를 약제 저류 부재(32)로부터 약제 회수 용기(34)로 불출하는 불출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10).
불출 처리에서는, 도 10의 흐름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약제 저류 부재(32)의 모든 약제 저류부(37)에 약제가 저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31). 약제의 저류가 완료되면, 그 하방의 배출 위치에 약제 회수 용기(34)가 위치 결정될 때까지 대기한다(스텝 S32). 그리고 배출 위치에 약제 회수 용기(34)가 위치 결정되면, 약제 저류 부재(32)를 강하시킨다(스텝 S33). 계속해서, 도시하지 않은 강하 위치 검출 센서에 의해 약제 저류 부재(32)가 배출 위치 근방의 배출 준비 위치까지 강하된 것이 검출되면(스텝 S34), 약제 저류 부재(32)를 정지시켜서 제2 경사판(39)을 회전시킴으로써 바닥면을 개방한다(스텝 S35). 제2 경사판(39)의 회전은, 도시하지 않은 개방 위치 검출 센서에 의해 검출될 때까지 행한다(스텝 S36). 이에 의해, 저류된 약제가 일제히 약제 회수 용기(34)의 각 약제 회수부(44)로 불출된다. 그 후, 제2 경사판(39)이 소정 위치까지 회전하면, 정제 저류 부재(32)를 배출 대기 위치로 상승시켜(스텝 S37), 도시하지 않은 대기 위치 검출 센서에 의해 약제 저류 부재(32)가 검출되면(스텝 S38), 약제 저류 부재(32)의 상승을 정지하고, 제2 경사판(39)을 회전시켜서 바닥면을 폐쇄한다(스텝 S39). 또한, 약제가 불출된 약제 회수 용기(34)는 다음 공정으로 반출하고, 다음의 약제 회수 용기(34)를 반입한다.
이와 같이,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구성에 따르면, 한 쌍의 약제 수취부(26)를 인접한 상태에서, 상하 및 좌우로 이동만 시키면 되므로, 구성을 간략화해서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돌출 유닛(18)에 대하여 약제 수취 용기(19)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각 약제 수취부(26)에서 돌출 유닛(18)을 겸용하도록 했으므로, 고속으로 확실하게 약제를 불출할 수 있다. 특히, 동일한 카세트(9)로부터 약제를 연속해서 불출하는 경우에 유효하다. 또한, 약제 회수 용기(34)의 근방에 배치한 약제 저류 부재(32)에, 일단 약제를 저류하고, 동시에 저류한 약제를 약제 회수 용기(34)로 배출할 수 있으므로, 신속한 불출 동작이 가능해지는 동시에, 약제인 앰플(12)에 깨짐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일도 없다.
(3. 다른 실시 형태)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항의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 등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약제를 약제 수취 용기(19)로부터 약제 회수 용기(34)로 불출하기 전에, 일단 약제 저류 부재(32)에 저류시키도록 했지만, 이 약제 저류 부재(32)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약제 수취 용기(19)로부터, 직접 약제 회수 용기(34)의 각 약제 회수부(44)로 약제를 불출하도록 해도 좋다.
약제 수취 용기(19)는, 한 쌍의 약제 수취부(26)를, 인접한 상태에서 상하 및 좌우로 이동시키도록 구성했지만, 각 약제 수취부(26)를 개별로 상하 및 좌우로 이동시키도록 해도 좋다. 이에 따르면, 한쪽 약제 수취부(26)에서, 어떤 카세트(9)로부터 한창 약제를 수취하고 있는 중에, 다른 쪽 약제 수취부(26)에서 다른 카세트(9)(약제가 동일한지의 여부를 묻지 않음)로부터 약제를 받을 수 있어, 한층 더 고속으로 약제의 불출 처리를 행할 수 있게 된다.
(3-2. 제3 실시 형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약제 수취 유닛(5)을 2개의 약제 수취부(26)로 이루어지는 약제 수취 용기(19)를 구비한 구성으로 했지만,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약제 수취부(26)로 이루어지는 약제 수취 용기(19)를 2개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약제 수취 유닛(5)은 상기와 마찬가지로 장치 본체(3)의 전방면측의 좌우 한 쌍의 수직 레일(15)과, 수직 레일(15)에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 수평 레일(16)과, 이 수평 레일(16)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 슬라이드 베이스(17)를 구비한다. 그리고 슬라이드 베이스(17)에는 각 약제 수취 용기(19)를 좌우 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한 수평 구동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수평 구동 기구는, 한 쌍의 풀리(100)(한쪽은 도시하지 않음) 사이에 벨트(101)를 걸친 것으로, 한쪽 풀리(100)가 모터(102)의 구동에 의해 정역(正逆)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벨트(101)에는 연결부(103)를 통해서 각 약제 수취 용기(19)가 각각 연결되어 있다. 연결 위치는, 각 약제 수취 용기(19)가 중앙에서 상하로 겹친 위치 관계에 있으면, 벨트(101)의 각 직선부의 중앙 부분이다. 이 상태로부터, 모터(102)를 정역 회전 구동시키면, 각 약제 수취 용기(19)가 좌우로 왕복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 베이스(17)의 하면에는 돌출 유닛(45)이 부착되어 있다. 돌출 유닛(45)은 천장판(46)과, 그 양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양측판(47)과, 천장판(46)의 중앙부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양측면을 구획하는 구획판(48)을 구비한다. 구획판(48)에 의해 구획된 2개의 영역의 천장판(46)에는 모터(50a)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각 모터(50a)는, 도시하지 않은 랙과 피니언에 의해 돌출 핀(50)을 각각 진퇴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돌출 유닛(50)의 양측면에는 수직 구동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수직 구동 기구는, 돌출 유닛(50)의 양측판(47)으로부터 각각 하방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제1 슬라이더(52)와, 각 제1 슬라이더(52)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한 대략 U자형의 제2 슬라이더(53)를 구비한다. 돌출 유닛(50)의 천장판(46)의 양단부 상부와, 양측판(47)에는 풀리(110)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일단부 상하에 위치하는 풀리(110)와 타단부 상하에 위치하는 풀리(110)에는 벨트(111)가 각각 걸쳐져 있다. 상방측에 위치하는 풀리(110)끼리는 지지축(112)에 의해 연결되고, 일단부 하방측에 위치하는 풀리(110)가 모터(113)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각 벨트(111)에는, 연결부(114)를 통해서 각 약제 수취 용기(54)가 각각 연결되어 있다. 연결 위치는, 전후에 위치하는 벨트(111)의 각 직선부이다. 따라서, 모터(113)를 정역 회전 구동하면, 풀리(110) 및 벨트(111)를 통해서 제2 슬라이더(53)가 승강하고, 각 약제 수취 용기(19)가 상반하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약제 수취 용기(19)를 구성하는 각 약제 수취부(55)는, 대략 U자형의 프레임(56)과, 프레임(56)의 바닥면 및 한쪽 측면을 덮는 바닥판(57)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바닥판(57)은, 동일한 지지축(57a)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모터(120)(예를 들어, 스테핑 모터)의 정역 회전 구동에 의해 풀리(121) 및 벨트(122)를 통해서 동력이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각 약제 수취부(26)의 바닥면은 동기해서 바닥면 및 측면을 폐쇄 또는 개방한다.
상기 약제 수취 유닛(5)은, 2개의 약제 수취부로 이루어지는 약제 수취 용기(19)를 2개 구비하여, 약제 수취 용기 단위로, 도 14의 (a)에서 (i)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좌우로 이동시킨다.
즉, 도 1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및 제4 약제 수취부(26c 및 26d)와, 제1 및 제2 약제 수취부(26a 및 26b)가 상하로 겹친 위치로부터, 각 세트를 좌우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도 1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에는 서로 겹치지 않는 위치에 이르면, 도 1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약제 수취부(26a 및 26b)를 상방으로 이동시켜, 각 약제 수취부(26a 내지 26d)를 이 순서로 일렬로 정렬시킨다. 또한, 제1 및 제2 약제 수취부(26a 및 26b)와, 제3 및 제4 약제 수취부(26c 및 26d)의 좌우 위치를 변경할 경우에는, 도 14의 (d), (e)의 동작을 행하게 해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킨 후, 도 14의 (f), (g)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것과는 반대의 동작을 행하게 하면 좋다. 그리고 도 14의 (h), (i)의 동작으로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면 좋다. 이와 같이, 2개의 약제 수취부(26a, 26b 또는 26c, 26d)로 이루어지는 약제 수취 용기(19) 단위로 상하 좌우로 이동시킴으로써, 카세트(9)로부터 불출하는 약제를 어떠한 약제 수취부(26a 내지 26d)라도 수취할 수 있다.
상기 약제 수취 유닛(5)의 이동은, 다음과 같이 구성해도 좋다.
즉,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약제 수취부를 단부로부터 순서대로, 제1 내지 제4 약제 수취부(55a 내지 55d)(도면 중, 동그라미로 1에서 4의 숫자로 나타냄)라 하고, 중앙에 위치하는 제2 약제 수취부(55b) 및 제3 약제 수취부(55c)에 대하여, 제1 약제 수취부(55a)와 제4 약제 수취부(55d)를 상하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한다. 도면 중, 돌출 핀(50)의 위치를 삼각형으로 나타낸다. 카세트(9)로부터 제2 약제 수취부(55b) 및 제3 약제 수취부(55c)로 약제를 불출할 경우 도 1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약제 수취부(55a 내지 55d)를 위치 결정한다. 그리고 도 15의 (a)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도 1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약제 수취부(55a) 및 제4 약제 수취부(55d)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2 약제 수취부(55b) 및 제3 약제 수취부(55c)의 하방에 위치시킨다. 그 후, 이들 약제 수취부(55a 내지 55d)의 전부를 상방으로 이동시켜, 돌출 핀(50)을 이용해서 카세트(9)로부터 불출하는 약제를 제1 약제 수취부(55a) 및 제4 약제 수취부(55d)에 의해 수취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약제 수취 유닛(5)에서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약제 수취부(55a 내지 55d)(도면 중, 동그라미로 1에서 4의 숫자로 나타냄)를 이동 가능하게 구성해도 좋다. 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약제 수취부(55a)와 제2 약제 수취부(55b)를 링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또한, 제3 약제 수취부(55c)와 제4 약제 수취부(55d)를 링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그리고 양자의 링크를 링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이에 의해, 도 16에 도시하는 다양한 배치 패턴으로 각 약제 수취부(55a 내지 55d)를 배치할 수 있다. 장착된 양측 및 상하로 정렬되는 카세트(9), 특히 4 구석의 카세트(9)라도, 어느 하나의 약제 수취부(55a 내지 55d)로 약제를 불출할 수 있도록, 각 약제 수취부(55a 내지 55d)의 배치 패턴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제 수취부(26)의 수는 2 또는 4에 한정되지 않으며, 3 또는 5 이상이라도 상관없다.
또한, 상기 약제 수취 유닛(5)과 약제 저류 부재(32) 사이에는, 약제 저류 부재(32)로의 약제의 전달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도록, 별도로 약제의 방향을 변환하기 위한 방향 변환 용기(61)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방향 변환 용기(61)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 측연부의 일단부에 설치한 지지축(62)을 중심으로 하여, 수평면 내를 약제 회수 용기(34)의 반송 방향(도면 중, 우측 방향)을 따른 횡 방향 위치와, 이에 직교하는 종 방향 위치와의 사이의 약 90도의 범위에서 회전한다.
방향 변환 용기(61)의 바닥판(61a)은, 하나의 측연부의 회전축(도시하지 않음)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바닥판(61a)은, 지지 플레이트(63)의 상면에 의해 지지되어 폐쇄 상태를 유지하고, 약제 저류 부재(32)에 이름으로써 상면의 지지를 잃고 자중에 의해 개방한다. 또한, 바닥판(61a)은 약제 저류 부재(32)로부터 지지 플레이트(63)의 상면에 이름으로써 바닥면이 압박되어 자동적으로 폐쇄 상태로 복귀한다.
상기 지지축(62)에는 제1 캠(64)이 일체화되고, 제2 캠(65), 종동 기어(66) 및 구동 기어(67)를 통해서 모터(68)로부터의 동력이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제1 캠(64)은, 지지축(62)으로부터 양측으로 연장하는 제1 아암부(69)와, 이 제1 아암부(69)와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아암부(70)를 구비한다. 제2 아암부(70)의 중앙에는 선단부로부터 절결 홈(7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아암부(70)의 양측부에는, 제1 아암부(69)를 향해 제1 원호면(7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2 캠(65)은, 제1 캠(64)의 근방에 지지축(73)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2 캠(65)은 대경부(74)와, 그 중앙부에 일체화한 소경부(75)로 구성되어 있다. 소경부(75)는, 그 외주면이 제1 캠(62)의 제1 원호면(72)에 미끄럼 접촉하여, 제1 캠(64)의 회전 위치를 규제한다. 또한, 소경부(75)에는 대칭인 위치 2 군데에 제2 원호면(76)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대경부(74)에는 소경부(75)의 한쪽 제2 원호면(76)을 2분하는 외주측의 위치에 돌기(77)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77)는, 제1 캠(64)의 절결 홈(71)에 결합 분리되어, 결합 상태에서 제1 캠(64)을 제2 캠(65)과 연동해서 회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대경부(74)의 외주부에는 기어(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종동 기어(66)는, 대경 기어(78)와, 도시하지 않은 소경 기어로 이루어진다. 소경 기어에는, 상기 제2 캠(65)의 대경부(74)에 형성한 기어(도시하지 않음)와 맞물려져 있다.
구동 기어(67)는, 모터(68)의 회전축에 일체화되어, 종동 기어(66)와 맞물려 있다. 구동 기어(67)에는, 인접해서 배치한 2개의 방향 변환 용기(61)의 각 종동 기어(66)가 맞물려져 있으며, 구동 기어(67)를 통해서 양 방향 변환 용기(61)를 동기 회전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방향 변환 용기(61)에서는, 인접하는 2 군데에서, 회전 개시 시기가 벗어나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이하, 도 17 중, 우측 2 군데 중, 좌측 부재에 첨자 A를, 우측 부재에 첨자 B를 부여함). 즉, 도 2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캠(65A, 65B)은, 한쪽 소경부(75A)와 다른 쪽 소경부(75B)의 위치 관계를 회전 방향으로 90도 벗어난 것으로 한다. 이에 의해, 모터(68)를 구동해서 구동 기어(67)를 통해서 종동 기어(66A, 66B)를 각각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각 부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좌측에서는, 제2 캠(65A)의 돌기(77A)가 제1 캠(64A)의 절결 홈(71A)으로 침입하고, 도 2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캠(64A)을, 지지축(62A)을 중심으로 해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도 2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향 변환 용기(61A)가 회전을 개시한다. 그리고 제1 캠부(64A)가 90도 회전한 시점에서, 돌기(77A)가 절결 홈(71A)으로부터 탈락하고, 제1 캠부(64A)가 정지하여, 도 20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향 변환 용기(61A)는 종 방향 위치가 된다. 이때, 방향 변환 용기(61A)의 바닥판(61a)이 지지 플레이트(63)에 의한 지지를 잃어 개방되어, 수용된 약제가 약제 저류 부재(32)로 배출된다.
한편, 우측에서는 방향 변환 용기(61A)가 회전하고 있는 동안은, 제2 캠(65B)의 소경부(75B)의 외주면이, 제1 캠(64B)의 제1 원호면(72B)을 미끄럼 이동한다. 이로 인해, 제1 캠(64B)의 회전이 저지되어, 방향 변환 용기(61B)는 횡 방향 위치의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방향 변환 용기(61A)가 종 방향 위치까지 회전한 시점에서, 제2 캠(65B)의 돌기(77B)가 제1 캠(64B)의 절결 홈(71B)으로 침입하고, 도 21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캠(64B)을, 지지축(62B)을 중심으로 해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방향 변환 용기(61B)가 회전을 개시한다. 그리고 도 21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캠부(64B)가 90도 회전한 시점에서, 돌기(77B)가 절결 홈(71B)으로부터 탈락하여, 제1 캠부(64B)가 정지한다. 이에 의해, 도 20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향 변환 용기(61B)는 종 방향 위치가 되어, 상기와 마찬가지로 수용된 약제가 약제 저류 부재(32)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우선 방향 변환 용기(61A)가 횡 방향 위치로부터 종 방향 위치로 회전한 후, 방향 변환 용기(61B)의 회전을 개시시켜, 횡 방향 위치로부터 종 방향 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한정된 영역 내에서 방향 변환 용기(61A 및 61B)를 서로 간섭하는 일 없이, 무리 없이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방향 변환 용기(61A 및 61B)를 종 방향 위치로부터 횡 방향 위치로 회전시킬 경우, 모터(66)를 역회전 구동하여, 전술한 것과 반대의 동작을 행하게 하면 좋다. 또한, 좌측 2 군데의 방향 변환 용기(61)에 대해서는, 전술한 우측 2 군데의 것과 선 대칭이 되는 것만으로, 기본적인 움직임은 같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2 군데의 방향 변환 용기(61)에 대하여 1개의 모터로 구동할 수 있도록 했지만, 각 방향 변환 용기(61)를 개별로 설치한 모터에 의해, 기어를 통해서 각각 정역 회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약제 저류 부재(32)는 승강해서 제1 경사판(38)에 대하여 제2 경사판(39)을 개폐만 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다음과 같이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2 내지 도 24에 도시한 구성에서는, 약제 저류 부재(32)는 우측 2 군데와 좌측 2 군데에서, 각각 일체적으로 승강 가능하고, 또한 우측 2 군데와 좌측 2 군데가 각각 독립하여 승강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각 약제 저류 부재(32)는, 그 배면측에 상방으로 연장하는 배면부(81)를 각각 구비한다. 배면부의 배면에는, 단면 대략 コ자형의 가이드편(82)이 각각 고정되어 있다. 가이드편(82)의 상하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가이드 축(83)이 각각 병설 일체화되어 있다. 우측 2군데의 약제 저류 부재(32)의 배면부(81)에 설치한 2개의 가이드 축(83)은, 제1 지지 블록(84)의 전방면에 설치한 2군데의 지지부(84a)에 관통하고 있다. 또한, 좌측 2군데의 약제 저류 부재(32)의 배면부에 설치한 2개의 가이드 축(83)은, 제2 지지 블록(85)의 전방면에 설치한 2군데의 지지부(85a)에 관통하고 있다. 이에 의해, 가이드 축(83)을 통해서 배면부(81) 즉 각 약제 저류 부재(32)가 지지 블록(84, 85)에 대하여 독립하여 승강 가능하게 지지된다.
지지 블록(84, 85)은, 장치 본체(3)에 설치한 슬라이드 샤프트(86)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각 슬라이드 샤프트(86)에는 코일 스프링(87)이 외부 장착되어 있다. 이 코일 스프링(87)은, 지지 블록(84, 85)이 강하했을 때, 탄성 지지함으로써, 약제 저류 부재(32)가 약제 회수 용기(34)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코일 스프링(87)은, 직접 각 지지 블록(84, 85)에 부착하도록 해도 상관없다[반드시, 슬라이드 샤프트(86)에 외부 장착할 필요는 없음).
지지 블록(84, 85) 및 약제 저류 부재(32)의 승강은, 모터(88)의 정역 회전 구동에 의해, 구동 기어(89), 종동 기어(90), 풀리(91) 및 벨트(92)를 통해서 행해진다. 즉, 모터(88)의 회전축(88a)에는 구동 기어(89)가 일체화되고, 이 구동 기어(89)에는 종동 기어(90)가 맞물려 있다. 또한, 종동 기어(90)에는 풀리(91)가 일체화되어 있다. 또한, 풀리(91)에는 벨트(92)의 일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풀리(91)를 정역 회전시킴으로써, 벨트(92)를 권취 및 되감기 가능하게 되어 있다. 벨트(92)의 타단부는, 2개의 약제 저류 부재(32)를 지지하는 지지 블록(84, 85)에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모터(88)를 정역 회전 구동하면, 기어(89, 90), 풀리(91) 및 벨트(92)를 통해서 지지 블록(84, 85) 및 약제 저류 부재(32)가 승강한다.
상기 각 약제 저류 부재(32)의 배면부(81)에는, 상하에 배치되는 각 풀리(93, 94)에 걸친 벨트(95)가 내장되어 있다. 하방측 풀리(94)의 회전축(94a)에는 기어(96a)가 일체화되어 있다. 약제 저류 부재(32)의 일단부측에는, 상기 기어(96a) 이외에, 3개의 기어(96b, 96c, 96d)(사정에 따라서는 4개의 기어)가 병설되어 있다. 이들 기어(96a 내지 96d)는, 인접하는 것끼리가 서로 맞물려 있다. 양측에 위치하는 기어(96a, 96d)의 회전축은 제1 바닥판(97)과 제2 바닥판(98)의 회전 중심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모터(88)를 정역 회전 구동하면, 기어(96a 내지 96d)를 통해서 제1 바닥판(97)과 제2 바닥판(98)이 동기 회전하여, 약제 저류 부재(32)의 바닥면을 개폐하게 된다.
상기 구성의 약제 저류 부재(32)에서는,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약제 수취 용기(19)나 방향 변환 용기(61)로부터 약제가 공급된다. 이때, 모터(88)를 구동함으로써, 지지 블록(84, 85)을 슬라이드 샤프트(86)에 따라 상승시켜서, 약제 저류 부재(32)를 상방의 수취 위치에 위치시킨다.
각 약제 저류부(37)에 약제가 수용되면, 약제 저류 부재(32)의 하방의 적절한 위치에 약제 회수 용기(34)가 위치 결정됨으로써, 이번에는 모터(88)를 역회전 구동하여, 약제 저류 부재(32)를 하방의 전달 위치에 위치시킨다. 이때, 약제 저류 부재(32)가 소정 위치까지 강하되면, 지지 블록(84, 85)이 코일 스프링(87)에 접촉하여 상방으로의 압박력을 받아, 강하 속도를 약화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약제 저류 부재(32)가 약제 회수 용기(34)에 충돌하여,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이 손상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약제 회수 용기(34)가 전달 위치에 위치 결정되면, 바닥판(97, 98)을 개방해서 약제를 약제 회수 용기(34)의 각 약제 회수부(44)로 불출한다. 이때, 약제 회수 용기(34) 내에 수용된 약제와 개방된 바닥판(97, 98)이 간섭했다고 해도, 코일 스프링(87)에 의해 탄성 지지되고, 게다가 각 약제 저류부(37)는 가이드 축(83)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므로, 상방으로 이동해서 약제에 무리한 부하가 걸리는 일이 없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카세트(9)로부터 앰플(12)을 횡 방향으로 배출하도록 했지만, 앰플(12)을 종 방향으로 배출하도록 해도 좋다.
즉, 카세트(9) 내에 랜덤하게 수용된 앰플(12)은,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불출 부재(200)에 의해 종 방향(길이 방향을 따라서)으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불출 부재(200)는, 안내 통로(201)에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외주부에 축 방향을 따른 복수의 보유 지지 오목부(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 로터(202)를 회전 가능하게 배치한 것이다. 보유 지지 오목부에서 종 방향으로 보유 지지된 앰플(12)은, 로터(202)가 회전함으로써 1개씩 안내 통로(201)로부터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카세트(9)로부터 배출된 앰플(12)은, 도 26에 도시한 약제 수취 유닛(203)에 의해 수취된다. 이 약제 수취 유닛(203)은, 프레임(204) 내를 한 쌍의 구획 플레이트(25)에 의해 2 분할함으로써, 병설된 2개의 수취부(206)를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그 이동 범위는, 수취부(206)가 정렬 배치된 카세트(9)의 점유 스페이스의 전방 영역(약제가 배출되는 측)뿐이며, 그 측방 부분으로는 밀려나오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장치 전체를 콤팩트하게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약제 수취 유닛(203)의 특징적인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하 좌우로 정렬된 카세트(9) 중, 좌우 단부의(상하 방향의) 열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약제 수취 유닛(203)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고 있는 관계상, 수취부(206) 중 어느 한쪽 이외에는 불출된 약제를 수취할 수 없다. 예를 들어, 도 2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상단에 1번에서 7번까지의 카세트(9)가 장착되어 있고, 약제 수취 유닛(203)의 각 수취부(206)에서, 1번 카세트(9)로부터 약제를 수취할 경우, 도 2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X 위치의 수취부(206) 이외에는 수취할 수 없다. 이 경우, 약제 저류 부재(32)의 a 내지 d의 각 약제 저류부(37)에, 1번 카세트(9)에 수용된 약제를 불출하기 위해서는, 도 29의 (b) 내지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제 수취 유닛(203)을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반대로,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7번 카세트(9)로부터 약제를 불출할 경우, Y 위치의 수취부(206) 이외에는 수취할 수 없다. 이 경우, 도 30의 (b) 내지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제 수취 유닛(203)을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좌우 단부의 열에 배치된 카세트(9)에는 사용 빈도가 낮은 약제를 수용하도록 하면 좋다. 이에 의해, 한쪽 수취부(206)에서만 약제를 수취하는 기회를 줄일 수 있어, 약제의 불출 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 빈도가 낮음은, 예를 들어 과거의 처방 데이터에 포함되는 처방 빈도(예를 들어, 처방되는 약제수)에 의해 결정하면 좋다.
상기 각 수취부(206)는, 수취 회전체(207)와 바닥 플레이트(208)를 구비하고, 이들은 프레임(204)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각 구획 플레이트(205)는, 상하에 내측을 향해 서서히 돌출하는 만곡면(205a)이 형성되어 있다.
수취 회전체(207)는, 합성 수지 재료를 성형 가공한 것으로, 단면 대략 U자형의 수취 홈부(209)를 구비하고, 프레임(204)의 전방면 판(204a)에 지지축(207a)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 가능하게 외팔보 지지되어 있다. 수취 홈부(209)는, 도 27의 (1)에 도시하는 통상 위치에서는, 상방과 카세트(9) 측으로 개방하고, 카세트(9) 측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서서히 하방측으로 경사지도록(깊어짐) 형성되어 있다. 수취 홈부(209)의 카세트(9) 측의(반원 형상의) 개구는 불출 부재(200)의 불출구에 위치 결정된다. 또한, 수취 홈부(209)의 경사 각도는 카세트(9)로부터 불출된 앰플(12)을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고, 게다가 이동 속도가 지나치게 빨라지지 않는 값으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약 20도로 하고 있다. 단, 이 각도는 수취 회전체(207)의 재질, 수취 홈부(209)의 표면 조도 등의 영향에 의한 앰플(12)의 미끄러지기 쉬움의 차이에 의해 변경된다.
수취 회전체(207)의 지지축(207a)에는, 도 28의 (a),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동 기어(210)가 일체화되어 있다. 종동 기어(210)에는, 모터(211)로부터의 구동력이 구동 기어(212) 및 중간 기어(213)를 통해서 전달되고, 수취 회전체(207)는 회전한다. 수취 회전체(207)의 회전 방향은, 수취 홈부(209)가 구획 플레이트(205) 측으로부터 바닥 플레이트(208)를 향하는 방향이다.
수취 회전체(207)는,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면의 일부가 수취 홈부(209)의 경사에 맞추어 전방을 향해 서서히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수취 회전체(207)는 수취 홈부(209)의 양측 테두리부에 테이퍼면이 형성되고, 회전 시에 구획 플레이트(205)와의 간섭이 회피되고 있다. 또한, 수취 회전체(207)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수취 홈부(209)의 상방측에 개방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이 관통 구멍을 통해서(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로 이루어짐) 광 센서에 의해 통과하는 앰플(12)을 검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카세트(9)로부터 앰플(12)을 불출했음에도, 센서에 의해 검출할 수 없는 경우, 도중에 앰플(12)이 막히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수취 회전체(207)에는 수취 홈부(209)의 내측 단부면에 완충 수단으로서 우레탄 고무 등의 탄성 부재를 점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수취 홈부(209)를 슬라이드하는 앰플(12), 특히 그 헤드부측이 내측 단부면에 충돌했다고 해도, 손상에 이르는 일이 없다. 또한, 탄성 부재 대신에, 수취 회전체(207)가 통상 위치에 위치할 때, 경사의 최종 위치에 앰플(12)의 이동 속도를 저하시키는 감속 영역(예를 들어, 수평면이나 만곡면)을 마련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감속 영역이 완충 수단이 된다.
또한, 수취 홈부(209)의 전방측 내면에는 충격 흡수 재료(우레탄 등)를 점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앰플(12)이 수취 홈부(209)를 미끄러져서 일단부측의 내면에 충돌했다고 해도, 그 충격력을 충분히 완화할 수 있다.
바닥 플레이트(208)는,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204)에 지지축(208a)을 중심으로 해서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와의 사이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지지축(208a)에는, 도 28의 (b),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동 기어(215)가 일체화되어, 모터(216)로부터의 구동력이 구동 기어(217) 및 종동 기어(218)를 통해서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모터(216)로의 통전을 정지함으로써, 바닥 플레이트(208)는 회전 가능해진다. 바닥 플레이트(208)에는, 양측부와 지지축 측의 테두리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되는 가이드 벽(21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바닥 플레이트(208)의 선단부 측[지지축(208a)과는 반대측]은, 선단부를 향함에 따라서 서서히 상방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바닥 플레이트(208)는, 폐쇄 위치에 위치할 때, 구획 플레이트(205)의 하단부(수평으로 돌출하는 부분)의 하면에 접촉(또는 그 근방에 위치)하고, 구획 플레이트(205)와 가이드 벽 및 바닥면의 일부에서 앰플(12)을 보유 지지 가능한 보유 지지 영역이 형성된다.
상기 각 부재를 구비한 약제 불출 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이 해서 앰플(12)의 불출을 행한다.
즉, 처방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해당하는 앰플(12)이 수용된 카세트(9)가 특정되면, 그 카세트(9)의 전방까지 약제 수취 유닛(203)을 이동시킨다. 그리고 불출 부재(200)의 불출구에 약제 수취 유닛(203)의 수취 회전체(207)의 개구 부분을 위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불출 부재(200)의 로터(202)를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카세트(9)로부터 앰플(12)을 1개씩 불출한다[도 28의 (1)]. 불출된 앰플(12)은 종 방향에서, 약제 수취 유닛(203)의 수취 회전체(207)의 수취 홈부(209)로 침입한다[도 28의 (2)].
수취 홈부(209)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앰플(12)의 불출 방향을 향해 서서히 하방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그 경사 각도는 적절한 값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카세트(9)로부터 종 방향으로 불출된 앰플(12)은, 원활하게, 충격력을 그만큼 받는 일 없이 수취 홈부(209)를 이동하여, 선단부 부분이 내면에 접촉해서 정지된다.
수취 회전체(207)로의 앰플(12)의 전달이 완료되면, 모터(211)를 구동해서 수취 회전체(207)를 회전시킨다[도 28의 (3)]. 수취 회전체(207)의 회전에 의해, 수취 홈부(209)에 보유 지지된 앰플(12)은, 그 내면을 따라 가장 깊은 위치로부터 한쪽 측연부로 구름 이동한다[도 28의 (4)]. 그리고 측연부가 구획 플레이트(205)의 하단부측 만곡면(205a)으로부터 멀어짐으로써[도 28의 (5)], 이번에는 만곡면(205a)을 굴러가서 바닥 플레이트(208)에 이른다[도 28의 (6)]. 그 후, 수취 회전체(207)가 통상 위치로 복귀함으로써, 다음의 앰플(12) 불출을 행한다[도 28의 (7)].
이하 마찬가지로 하여, 처방 데이터에 포함되는 소정 개수의 앰플(12)이 카세트(9)로부터 불출되면, 약제 수취 유닛(203)을 약제 회수 유닛의 약제 저류 부재(32)로 이동시킨다[도 28의 (8)]. 그리고 모터를 구동해서 바닥 플레이트(208)를 회전하고, 바닥면을 개방함으로써[도 29의 (9)], 바닥 플레이트(108)에 보유 지지한 앰플(12)을 약제 저류 부재(32)의 각 약제 저류부(37)로 배출한다. 또한, 바닥 플레이트(208)의 회전에 수반하여 약제 수취 유닛(203)을 서서히 상방으로 이동시킨다[도 28의 (10)]. 이때, 모터(216)로의 통전을 정지함으로써 바닥 플레이트(208)를 회전 가능한 상태로 한다. 이에 의해, 바닥 플레이트(208)와 약제 저류부(37) 사이에 앰플(12)이 협지되어 있다고 해도 바닥 플레이트(208)의 자중만이 작용할 뿐이며, 손상에 이르는 일이 없다. 이에 의해, 앰플(12)이 원활하게 약제 저류부(37)로 배출된다. 그 후, 바닥 플레이트(208)가 완전 개방된 상태에서, 약제 수취 유닛(203)이 약제 저류부(37)로부터 떨어져 상방 이동하고[도 28의 (11)], 약제 회수 유닛으로부터 충분히 떨어진 위치에서, 바닥 플레이트(208)를 폐쇄 위치로 회전시킨다[도 28의 (12)].
이와 같이, 상기 구성의 약제 수취 유닛(203)을 구비함으로써, 카세트(9)로부터 앰플(12)을 종 방향으로 불출했다고 해도 손상시키는 일 없이, 원활하게 약제 회수 유닛으로 반송할 수 있다. 특히, 수취 회전체(207)에 의해 1개씩 앰플(12)을 바닥 플레이트(208) 위로 이송할 수 있으므로, 앰플끼리가 간섭하는 일이 없어, 손상되기 쉬운 헤드부에서 깨져 버린다고 하는 등의 문제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닥 플레이트(208) 위에서는, 앰플은 가로로 나란히 정렬되어, 수취 회전체(207)의 회전에 의해 굴러 온 앰플(12)과, 이미 바닥 플레이트(208) 위에 위치하는 앰플(12)이 서로 충돌해도 손상되는 일은 없다.
또한, 상기 수취 회전체(207)는 단면 대략 U자형의 수취 홈부(209)를 구비한 구성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대략 원통형으로 하고, 그 외주면의 일부에 앰플(12)이 통과 가능한 개구를 형성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그리고 수취 회전체(207)를, 앰플(12)이 보유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하고, 개구부가 하방측으로 이동한 시점에서, 구획 플레이트(205)의 하단부측의 만곡면(205a)으로 앰플(12)을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면 좋다.
1 : 프레임
2 : 외부 장착 패널
3 : 장치 본체
4 : 약제 수용 유닛
5 : 약제 수취 유닛
6 : 약제 회수 유닛
7 : 제어 유닛
8 : 카세트 수용부
9 : 카세트(약제 수용 용기)
10 : 구획벽
11 : 수평 선반
12 : 앰플
13 : 로터
14 : 로드
15 : 수직 레일
16 : 수평 레일
17 : 슬라이드 베이스
18 : 돌출 유닛
19 : 약제 수취 용기
20 : 돌출 베이스
21 : 돌출 모터
22 : 돌출 핀
23 : 정면판
24 : 측판
25 : 중앙판
26 : 약제 수취부
27 : 바닥판
31 : 탄성 시트
32 : 약제 저류 부재
33 : 반송 부재
34 : 약제 회수 용기
35 : 지지부
36 : 본체부
37 : 약제 저류부
38 : 제1 경사판
39 : 제2 경사판
40 : 브러시
41 : 제1 경사부
42 : 제2 경사부
43 : 탄성 시트
44 : 약제 회수부
45 : 돌출 유닛
46 : 천장판
47 : 측판
48 : 구획판
49 : 전방판
50 : 돌출 핀
51 : 수직 구동 기구
52 : 제1 슬라이더
53 : 제2 슬라이더
54 : 약제 수취 용기
55 : 약제 수취부
56 : 프레임
57 : 바닥판
58 : 약제 수취부
61 : 방향 변환 용기
62 : 지지축
63 : 지지 플레이트
64 : 제1 캠
65 : 제2 캠
66 : 종동 기어
67 : 구동 기어
68 : 모터
69 : 제1 아암부
70 : 제2 아암부
71 : 절결 홈
72 : 제1 원호면
73 : 지지축
74 : 대경부
75 : 소경부
76 : 제2 원호면
77 : 돌기
78 : 대경 기어
81 : 배면부
82 : 가이드편
83 : 가이드 축
84 : 제1 지지 블록
85 : 제2 지지 블록
86 : 슬라이드 샤프트
87 : 코일 스프링
88 : 모터
89 : 구동 기어
90 : 종동 기어
91 : 풀리
92 : 벨트
93, 94 : 풀리
95 : 벨트
96a : 기어
97 : 제1 바닥판
98 : 제2 바닥판
100 : 풀리
101 : 벨트
102 : 모터
103 : 연결부
110 : 풀리
111 : 벨트
112 : 지지축
113 : 모터
114 : 연결부
120 : 모터
121 : 풀리
122 : 벨트
200 : 불출 부재
201 : 안내 통로
202 : 로터
203 : 약제 수취 유닛
204 : 프레임
204a : 전방면 판
205 : 구획 플레이트
205a : 만곡면
206 : 수취부
207 : 수취 회전체
207a : 지지축
208 : 바닥 플레이트
209 : 수취 홈부
210 : 종동 기어
211 : 모터
212 : 구동 기어
213 : 중간 기어
214 : 가이드 벽

Claims (14)

  1. 장치 본체와,
    상기 장치 본체에 장착되어, 수용된 약제를 약제 배출부를 통해서 불출 가능한 복수의 약제 수용 용기를 구비한 약제 수용 유닛과,
    상기 장치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약제 수용 유닛의 각 약제 수용 용기로 이동하고, 약제 배출부로부터 불출된 약제를 수취하여, 배출 위치로 이동해서 수취한 약제를 배출하는, 적어도 2개의 약제 수취부를 갖고, 각 약제 수취부에서 수취한 약제를 동시에 배출 가능하게 구성된 약제 수취 유닛과,
    상기 배출 위치로 이동한 약제 수취 유닛의 각 약제 수취부로부터 배출된 약제를 각각 회수하는 복수의 약제 회수부를 갖는 약제 회수 유닛과,
    처방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상기 각 약제 수취부를 이동시켜서, 해당하는 약제가 수용된 약제 수용 용기로부터 불출한 약제를 수취하고, 상기 약제를 약제 회수 유닛의 해당하는 약제 회수부로 동시에 배출시키는 제어 유닛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불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수용 유닛은 장치 본체의 임의의 기준면을 따라 약제 배출부가 병설되고, 상기 약제 수취 유닛은 상기 기준면을 따라 각 약제 수취부를 상하 좌우로 각각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불출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수취 유닛은, 수평 방향으로 병설한 2개의 약제 수취부로 이루어지는 약제 수취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약제 수취 용기는 약제 배출부로부터 약제가 불출되는 약제 수용 용기에 대하여 각 약제 수취부를 위치 결정할 수 있도록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불출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수취 유닛은 수평 방향으로 병설한 4개의 약제 수취부를 구비하고, 양단부에 각각 위치하는 약제 수취부는 중앙 2군데에 위치하는 약제 수취부에 대하여 상방 또는 하방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한 후, 서로 접근함으로써 정렬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불출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수취 유닛은 수평 방향으로 병설한 2개의 약제 수취부로 이루어지는 약제 수취 용기를 2개 구비하고, 각 약제 수취 용기의 각 약제 수취부는 상하 좌우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불출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수취 유닛의 각 약제 수취부에서 수취한 약제를 각 약제 회수부로 배출하기 전에, 각각 일단 저류시키는 복수의 약제 저류부를 갖는 약제 저류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불출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는 세로로 길며, 상기 약제 회수 유닛은 세로로 긴 약제 회수부가, 그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병설되는 것이며, 상기 약제 수취 유닛과 약제 회수 유닛 사이에, 약제 수취 유닛의 약제 수취부로부터 약제를 수취하는 수취 위치와, 약제의 길이 방향을 약제 회수부의 길이 방향과 합치시키는 전달 위치와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한 방향 변환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불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변환부 중, 인접하는 2개의 방향 변환부는 적어도 한쪽이 수취 위치로부터 전달 위치로 회전을 개시한 후, 다른 쪽이 수취 위치로부터 전달 위치로 회전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불출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저류 부재의 약제 저류부는, 복수 일체로 승강 구동 가능한 구성이며, 또한 각 약제 저류부는, 개별로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불출 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수용 유닛은 약제 수용 용기에 수용되는 약제가 앰플이며, 상기 앰플을 그 길이 방향을 따라서 1개씩 불출하는 불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약제 수취 유닛은 불출된 앰플을 지지하고, 회전함으로써 지지한 앰플을 하방측으로 이송하는 수취 회전체와, 상기 수취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하방측으로 이송된 앰플을 지지하고, 회전함으로써 하방으로 배출하는 바닥 플레이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불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취 회전체는 단면 U자형의 수취 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취 회전체가 통상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수취 홈부는 약제 수용 용기로부터의 앰플의 배출 방향을 향해 서서히 하방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동시에, 이동해 온 앰플에 부여하는 충격력을 완화하는 완충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불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취 회전체는 약제 수용 용기측과는 반대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외팔보 지지됨으로써, 통상 위치에서, 약제 수용 용기측의 단부면에 수취 홈부를 개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불출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수취 유닛은 상기 수취 회전체의 회전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고, 수취 홈부에서 지지한 앰플을 바닥 플레이트에 배출될 때까지 가이드하는 구획 플레이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불출 장치.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수취 유닛은 수평 방향으로 병설되는 복수의 수취부를 구비하고, 상하 좌우로 병설된 약제 수용 용기의 전방 범위에서는, 좌우 방향으로 밀려나오지 않는 범위에서 이동 가능한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불출 장치.
KR1020117006283A 2008-09-19 2009-09-17 약제 불출 장치 KR1016500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41657 2008-09-19
JP2008241657 2008-09-19
JPJP-P-2009-025113 2009-02-05
JP2009025113 2009-02-05
JPJP-P-2009-214708 2009-09-16
JP2009214708A JP5564868B2 (ja) 2008-09-19 2009-09-16 薬剤払出装置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2313A Division KR101743412B1 (ko) 2008-09-19 2009-09-17 약제 불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3465A KR20110063465A (ko) 2011-06-10
KR101650090B1 true KR101650090B1 (ko) 2016-08-22

Family

ID=4203932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2313A KR101743412B1 (ko) 2008-09-19 2009-09-17 약제 불출 장치
KR1020117006283A KR101650090B1 (ko) 2008-09-19 2009-09-17 약제 불출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2313A KR101743412B1 (ko) 2008-09-19 2009-09-17 약제 불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991138B2 (ko)
EP (1) EP2338459A4 (ko)
JP (1) JP5564868B2 (ko)
KR (2) KR101743412B1 (ko)
CN (1) CN102159171B (ko)
WO (1) WO20100324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88369B2 (ja) * 2008-09-19 2016-03-22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払出装置
KR101254651B1 (ko) * 2011-03-15 2013-04-15 (주)제이브이엠 약품공급장치
KR101293099B1 (ko) 2011-03-15 2013-08-12 (주)제이브이엠 약품공급장치
KR101254658B1 (ko) * 2011-03-15 2013-04-15 (주)제이브이엠 약품공급장치
KR101254659B1 (ko) * 2011-03-15 2013-04-15 (주)제이브이엠 약품공급장치
CN102491041B (zh) * 2011-12-07 2014-12-10 深圳市瑞驰智能系统有限公司 一种发药系统、控制端及发药方法
US10007764B2 (en) * 2012-04-18 2018-06-26 Jvm Co., Ltd. Medicine dispens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6015125B2 (ja) * 2012-05-18 2016-10-26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払出装置
US9098983B2 (en) * 2012-05-29 2015-08-04 Carefusion 303, Inc. Single-item-access drawer
USD702273S1 (en) * 2012-09-27 2014-04-08 Jvm Co., Ltd. Tablet distributing apparatus
US9150119B2 (en) 2013-03-15 2015-10-06 Aesynt Incorporated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anticipating and delivering medications from a central pharmacy to a patient using a track based transport system
US9511945B2 (en) 2012-10-12 2016-12-06 Aesynt Incorporated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porting medications from a central pharmacy to a patient in a healthcare facility
JP6316199B2 (ja) * 2012-11-01 2018-04-25 Ph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薬剤収納カセットと、それを装着する薬剤払出装置
JP6341197B2 (ja) * 2013-04-02 2018-06-13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調剤システム
CN103158993B (zh) * 2013-04-09 2016-03-16 苏州艾隆科技股份有限公司 发筐机
US9865119B2 (en) * 2013-09-05 2018-01-09 Panasonic Healthcare Holdings Co., Ltd. Pharmaceutical dispensing unit, pharmaceutical dispensing apparatus equipped with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harmaceutical dispensing apparatus
KR102114901B1 (ko) * 2013-10-02 2020-05-25 (주)제이브이엠 약제 불출 장치
JP6235320B2 (ja) * 2013-11-28 2017-11-22 株式会社イシダ 薬剤自動払出装置
CN103803104B (zh) * 2014-03-14 2016-02-03 四川新绿色药业科技发展股份有限公司 中药饮片发药机及其发药方法
US10275977B2 (en) * 2014-05-09 2019-04-30 Yuyama Mgf.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orting returned medicine based on size
US9944419B2 (en) * 2014-07-23 2018-04-17 Express Scripts Strategic Development,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 unit-of-use wrap seal packing station
CA2898372C (en) 2014-07-23 2021-05-18 Express Script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 unit-of-use wrap seal packing station
CN104692012A (zh) * 2015-01-12 2015-06-10 深圳市创自技术有限公司 用于自助发放机的传输机构、传送装置及自助发放机
US10625885B2 (en) * 2015-06-29 2020-04-21 Yuyama Mfg. Co., Ltd. Medicine dispensing apparatus
AU2016362656B2 (en) * 2015-11-30 2021-03-25 Yuyama Mfg. Co., Ltd. Drug cassette, drug delivery device, and drug packaging device
US10521562B2 (en) * 2016-06-02 2019-12-31 Becton Dickinson Rowa Germany Gmbh Automatic picking machine for filling a transport container
US10336541B2 (en) * 2016-09-28 2019-07-02 Hall Labs Llc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with retractable mountings
EP3562461A4 (en) 2017-03-01 2020-08-12 Synergie Medicale BRG Inc. SYSTEM FOR AUTOMATIC FILLING OF DRUG ORGANIZERS
WO2019066024A1 (ja) * 2017-09-29 2019-04-04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払出装置
CN108078780A (zh) * 2017-10-23 2018-05-29 苏州安充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针筒自动取液装置
WO2019163683A1 (ja) * 2018-02-20 2019-08-29 株式会社トーショー 薬品類払出装置
CN108765732A (zh) * 2018-08-22 2018-11-06 大连理工大学 一种升降传送式无人售货机
US10978193B2 (en) 2018-12-09 2021-04-13 Tech Pharmacy Services, Llc System and method of pharmaceutical operations for post-acute care facilities long-term care facilities
TW202039314A (zh) 2019-01-31 2020-11-01 日商湯山製作所股份有限公司 盒子處理裝置和藥劑處理裝置
US11120905B2 (en) 2019-04-10 2021-09-14 Tech Pharmacy Services, Llc Mean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continuous pharmaceutical operation service
US10964154B2 (en) 2019-06-04 2021-03-30 Tech Pharmacy Services, Llc Handling medication receptacles by pharmaceutical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US10959917B2 (en) 2019-04-10 2021-03-30 Tech Pharmacy Services, Llc Medication containers in medication dispensing system
CN110013409B (zh) * 2019-04-28 2020-08-28 漯河医学高等专科学校 一种用于妇产科护理的药物供给装置
USD918892S1 (en) * 2019-05-21 2021-05-11 Walmart Apollo, Llc Pickup kiosk
US11238970B2 (en) 2019-06-04 2022-02-01 Tech Pharmacy Services, Ll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handling pills within pharmaceutical dispensing devices
CN110539930B (zh) * 2019-09-05 2021-06-04 冯威华 分药设备
CN111968307A (zh) * 2020-08-31 2020-11-20 北京飞凡巧匠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售药设备的取药方法
CL2021000523A1 (es) * 2021-03-02 2021-07-09 Sistema y procedimiento para el automatizado de almacenaje y dispensación de gestión global de medicamentos e insumos médicos, capaz de trabajar con cualquier presentación, formato y dimensión de los medicamentos o insumos.
CN113071722B (zh) * 2021-05-19 2022-09-09 江西润井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药粉定量分装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17708A (ja) * 2005-09-30 2007-05-17 Yuyama Manufacturing Co Ltd 薬剤払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97515A (en) * 1995-10-18 1998-08-25 Adds, Inc. Method for controlling a drug dispensing system
JP3222374B2 (ja) * 1996-01-26 2001-10-29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収納取り出し装置
JPH09215728A (ja) * 1996-02-07 1997-08-19 Yuyama Seisakusho:Kk 錠剤払出し方法
US6213166B1 (en) * 2000-01-12 2001-04-10 Patrick Thibiant Apparatus and process for forming novel spiral compositions
US6830161B2 (en) * 2000-03-16 2004-12-14 Yuyama Mfg. Co., Ltd. Automatic dispenser for injection-containing members
US20020092275A1 (en) * 2001-01-16 2002-07-18 Jv Medi Co., Ltd. Tablet supplying and packaging apparatus
JP4467850B2 (ja) * 2001-09-14 2010-05-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注射薬自動払出装置
KR100972347B1 (ko) 2001-11-09 2010-07-26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앰풀수납용기
JP4422397B2 (ja) * 2001-11-09 2010-02-24 株式会社湯山製作所 アンプル収納容器
TWI290898B (en) * 2002-08-05 2007-12-11 Yuyama Mfg Co Ltd Feeding device of drug
US7228198B2 (en) * 2002-08-09 2007-06-05 Mckesson Automation Systems, Inc. Prescription filling apparatus implementing a pick and place method
US7123989B2 (en) * 2003-07-01 2006-10-17 Astere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random access and random load dispensing unit
US20050192705A1 (en) * 2003-07-01 2005-09-01 Asteres Inc. Random access and random load dispensing unit
US7228200B2 (en) * 2004-04-22 2007-06-05 Parata Systems, Llc Apparatus, system and methods for dispensing products
JP4935353B2 (ja) * 2004-05-19 2012-05-23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品払出装置
KR101261062B1 (ko) * 2004-05-19 2013-05-06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품 불출 장치
JP4520814B2 (ja) * 2004-10-15 2010-08-11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品払出装置
JP2006232357A (ja) * 2005-02-25 2006-09-07 Yuyama Manufacturing Co Ltd 錠剤充填装置
JP4877586B2 (ja) * 2006-07-06 2012-02-15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収納取出装置
CA2662873C (en) * 2006-09-11 2013-11-19 Synergie Medicale Brg Inc. Medication dispenser system and method
KR100787808B1 (ko) * 2006-12-22 2007-12-21 (주)제이브이엠 도어락킹부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US8251629B2 (en) * 2007-02-09 2012-08-28 Cerner Innovation, Inc. Medication dispensing apparatus
BRPI0810825A2 (pt) * 2007-04-25 2014-10-29 Planning Technologies Internat Inc Sistema e método de distribuição
TWI455858B (zh) * 2007-10-23 2014-10-11 Yuyama Mfg Co Ltd 藥劑送出裝置
US8281553B2 (en) * 2009-05-29 2012-10-09 Jvm Co., Ltd. Automated medicine storage and medicine introduction/discharge management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17708A (ja) * 2005-09-30 2007-05-17 Yuyama Manufacturing Co Ltd 薬剤払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201152A (ja) 2010-09-16
US20110173926A1 (en) 2011-07-21
EP2338459A4 (en) 2013-09-11
CN102159171B (zh) 2015-02-18
KR20110063465A (ko) 2011-06-10
CN102159171A (zh) 2011-08-17
US8991138B2 (en) 2015-03-31
EP2338459A1 (en) 2011-06-29
WO2010032475A1 (ja) 2010-03-25
JP5564868B2 (ja) 2014-08-06
KR101743412B1 (ko) 2017-06-02
KR20160101210A (ko) 2016-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0090B1 (ko) 약제 불출 장치
AU2022202063B2 (en) Unit dose dispensing systems and methods
KR101704068B1 (ko) 약제 불출 장치
KR101156278B1 (ko) 약품 트레이 공급 장치
EP1981760B1 (en) Automated solid pharmaceutical packaging machine utilizing robotic drive
TWI573742B (zh) 藥劑收容器
US20100147868A1 (en) Apparatus for releasing drugs
KR101776347B1 (ko) 약제 불출 장치
EP1857364A1 (en) Tablet filling device
JP2006288573A (ja) 薬品類カセット及び払出装置
JP6965916B2 (ja) 薬剤払出装置
JP3860271B2 (ja) 調剤用薬剤払出方法
JP2012139249A (ja) 薬品払出装置
EP2727864A1 (en) Drug gathering apparatus
JP3860272B2 (ja) 調剤用薬剤払出装置
JP3907768B2 (ja) 薬剤収容払出カセット
JP6096149B2 (ja) 払出装置
JP4386760B2 (ja) 薬品払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