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4651B1 - 약품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약품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4651B1
KR101254651B1 KR1020110022972A KR20110022972A KR101254651B1 KR 101254651 B1 KR101254651 B1 KR 101254651B1 KR 1020110022972 A KR1020110022972 A KR 1020110022972A KR 20110022972 A KR20110022972 A KR 20110022972A KR 101254651 B1 KR101254651 B1 KR 101254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drug
discharge
locking
medic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2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5266A (ko
Inventor
김준호
Original Assignee
(주)제이브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브이엠 filed Critical (주)제이브이엠
Priority to KR1020110022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4651B1/ko
Priority to CA2735105A priority patent/CA2735105C/en
Priority to EP11159795A priority patent/EP2500878A1/en
Priority to CN2011100787672A priority patent/CN102670000A/zh
Priority to US13/073,214 priority patent/US8567639B2/en
Publication of KR20120105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5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4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4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9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assembling and dispensing of pharmaceutical arti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05Special arrangements for insuring that only one single article may be dispensed at a tim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07F11/26Endless band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4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in bul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약품이 수용되도록 상부에 수용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개구에는 커버가 설치되며, 내부에 수용된 약품을 바닥면의 전방에 형성된 배출구로 밀어주는 약품 배출부가 구비된 약품 카트리지와, 상면에 상기 약품 카트리지가 설치되며 하부에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어 외측으로 상기 약품을 배출시키는 외부 배출구가 형성된 카트리지 장착부 및 상기 약품 카트리지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약품 배출부를 구동시키며 약품을 배출시키는 배출구동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약품의 카트리지 내부에 수용되는 약품을 배출구 측으로 밀어주는 약품 배출부가 구비됨에 따라, 약품 카트리지에 수용된 약품을 간단하고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고, 약품 배출부에 별도의 구동기가 포함되는 것이 아니라, 권취가능하게 형성된 탄성이동부재의 장력을 이용하여 약품을 가압하는 이동부재를 이동시킴에 따라 간단한 구조로 약품을 배출할 수 있고 별도의 구동수단이 요구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약품공급장치{ Drug dispenser }
본 발명은 약품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약품을 수용하되, 약품을 밀어주는 이동부재가 구비되어 약품을 보다 확실하게 배출하고, 약품을 배출하는 과정에서 약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특수한 약품의 경우 사용권한이 없는 자가 약품을 공급받는 것을 방지하는 약품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약품은 그 형태와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파우치형의 약품은 파우치(Pouch) 형태의 약품은 종이나 비닐을 이용하여 일측이 개구된 주머니 형상의 파우치를 형성하고, 파우치의 개구를 통해 내부에 약제를 수용하여 개구를 밀봉하여 환자에게 전달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파우치형 약품들은 정제나 산제 등 약품이 파우치에 수용되면 그 형태가 불규칙해짐에 따라 파우치들끼리 부딪히면서 파우치가 손상되면서 파우치로 이물질이 인입되거나 약품이 파우치 외부로 이탈되면서 약품이 손상될 수 있다.
그리고, 피티피(PTP: Press through pack) 포장 약품은 약품의 형태에 맞게 형성된 수용공간에 약품을 수용하고, 수용공간의 개구를 커버하는 커버를 라미네이팅 등의 방법으로 부착하여 환자가 커버를 뜯어내고 복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피티피 포장약품은 환자가 커버를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약한 충격에도 손상될 수 있으므로 약품을 보관하거나 공급할 때 주의가 요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약품들은 자동화 기기를 통해 공급함에 있어서 약품이 공급되는 과정에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어야 한다.
한편, 환자에게 처방되는 약은 보관과 공급에 주의가 요구됨은 물론, 특수한 약일 경우 허가된 사용자만 접근이 허용되어야 한다.
따라서, 약품을 보호하면서 자동으로 공급함은 물론, 허가된 사용자만 약품에 접근할 수 있는 약품공급장치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약품 카트리지의 내부에 수용되는 약품이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밀어주는 약품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탄성이동부재가 권취되거나 권출되면서 발생하는 장력에 의해 약품을 밀어주는 이동부재를 이동시키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탄성이동부재와 이동부재가 연결되어 안정적으로 탄성이동부재가 권취되거나 권출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탄성이동부재가 일정한 위치에 안정적으로 권취되거나 권출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약품 카트리지에 수용되는 약품이 상측 부피가 커진 경우에도 약품이 수용되는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여 안정적으로 약품을 배출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약품을 밀어주는 이동부재를 안정적으로 이동시키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부재에 의해 배출구로 이동된 약품이 안정적으로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출롤러부재와 접하는 약품을 보호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약품 카트리지에 약품을 수용하고, 수용개구를 커버하되 약품 카트리지가 락킹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약품 카트리지의 커버가 수용개구를 커버하는 것을 안내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약품 카트리지가 거꾸로 위치되었을 때 커버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약품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됨과 동시에 락킹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명령에 의해 약품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장착부로부터 분리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카트리지 장착부에 약품 카트리지가 장착되거나 분리될 때 약품 카트리지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되는 약품 카트리지의 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약품 카트리지로부터 배출된 약품을 이송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약품 카트리지가 상하로 배치되어 설치될 때 상측에 설치된 약품 카트리지에서 약품이 배출되는 것을 안내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약품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장착부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약품공급장치는 내부에 약품이 수용되도록 상부에 수용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개구에는 커버가 설치되며, 내부에 수용된 약품을 바닥면의 전방에 형성된 배출구로 밀어주는 약품 배출부가 구비된 약품 카트리지와, 상면에 상기 약품 카트리지가 설치되며 하부에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어 외측으로 상기 약품을 배출시키는 외부 배출구가 형성된 카트리지 장착부 및 상기 약품 카트리지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약품 배출부를 구동시키며 약품을 배출시키는 배출구동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약품 배출부는 상기 약품 카트리지의 바닥면과 이격되게 설치되며, 전방에 위치된 상기 배출구와 후방이 노출되게 형성된 바닥부재와, 상기 바닥부재의 양측에 그 양측 하단이 안착되어 상기 바닥부재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이동부재와, 상기 약품 수용함에 수용되는 약품과 접하며, 상기 이동부재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약품이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하는 지지부재와, 일단이 권취롤로 형성되어 상기 바닥부재의 노출된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약품 카트리지의 바닥면과 접하고, 타단이 상기 바닥부재에 삽입되어 고정되되, 상기 권취롤과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권취롤에 권취되거나 권출되면서 이동부재를 이동시키도록 탄성 재질로 형성된 탄성편으로 이루어진 탄성이동부재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권취롤의 양단에는 상기 권취롤과 상기 이동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권취롤의 양측면에는 상기 탄성이동부재가 권취되거나 권출되는 것을 안내하는 권취안내부재가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권취안내부재는 상기 권취롤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부재에는 상기 이동부재에 수직으로 설치되되, 상단이 상기 약품 카트리지의 후방 측으로 절곡되는 약품 수용가이드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닥부재의 일측면에는 상기 이동부재의 일측면이 삽입되어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안내홈이 형성된 이동안내부재가 수직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구동부는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의 내부에 설치된 배출구동기와, 상부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의 상면으로 노출되고, 상기 배출구동기에 의해 구동되는 배출구동기어와, 상기 약품 카트리지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배출구동기어와 맞물리며 회전하는 배출종동기어와, 상기 배출종동기어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회전구동축부재와, 상기 배출구의 일측에 설치되는 배출롤러부재 및 상기 회전구동축부재와 상기 배출롤러부재를 연결하는 배출구동벨트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롤러부재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약품 카트리지의 내부 전방면에는 상기 배출롤러부재의 상측을 커버하여 상기 배출롤러부재와 상기 약품이 접하는 부분을 안내하는 배출안내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약품 카트리지에는 상기 약품 카트리지의 수용개구를 커버하는 상기 커버를 락킹하는 수용 락킹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용락킹부는 상기 커버가 상기 수용개구를 커버함과 동시에 잠기도록 상기 커버의 단부에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걸림돌기와, 상기 커버의 걸림돌기의 위치에 대응되게 상기 약품 카트리지의 후면에 위치되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거나 분리되는 걸림홈부재 및 상기 걸림홈부재의 후방에는 상기 걸림홈에 상기 걸림돌기가 인입될 때 일측으로 이동하였다가 그 위치가 복원되도록 설치된 걸림탄성부재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용 락킹부에는 상기 걸림홈부재를 일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걸림돌기와 상기 걸림홈을 분리시키되, 별도의 키부재에 의해 이동하는 자물쇠부재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용 락킹부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으로 인입되는 경로의 외측면에 상기 걸림돌기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부재에 걸리거나 분리되는 것을 안내하는 락킹안내부재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용락킹부에는 상기 약품 카트리지의 수용개구가 하측을 향하도록 위치되었을 때 별도의 키부재를 사용하더라도 상기 약품 카트리지의 수용개구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개방방지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방방지부는 상기 걸림홈부재의 하측면에 형성된 톱니부와, 상기 톱니부와 맞물리도록 형성된 톱니부가 형성된 스토퍼부재와, 상기 스토퍼부재의 하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스토퍼부재가 상기 걸림홈부재의 톱니부와 접하거나, 상기 걸림홈부재의 톱니부와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상기 스토퍼부재가 소정간격 이동가능하게 위치시키는 스토퍼 설치부재 및 상기 수용락킹부가 설치된 상기 약품카트리지의 후면을 커버하는 후면커버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약품 카트리지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는 상기 약품 카트리지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됨을 락킹하는 카트리지 락킹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트리지 락킹부는 상기 약품 카트리지의 후면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체결돌기 및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형성되며 상기 체결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돌기가 삽입되는 체결홈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트리지 락킹부에는 상기 체결홈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체결홈에 삽입된 상기 체결돌기를 일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체결돌기를 상기 체결홈으로부터 분리하도록 회동하는 회동가압부재와, 상기 회동가압부재를 구동시키는 분리구동기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동가압부재의 일측에는 회동된 상기 회동가압부재의 위치를 복원시키도록 회동복원 탄성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트리지 락킹부에는 상기 약품 카트리지의 후면에 다수 개 설치되어 상기 약품 카트리지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될 때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하도록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완충돌기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설치되어 상기 약품 카트리지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될 때 상기 완충돌기와 접하는 완충탄성부재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탄성부재는 판스프링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트리지 락킹부는 상기 카트리지 락킹부는 상기 약품 카트리지의 후면에 설치되어 상기 약품 카트리지의 내부에 수용되는 약품정보가 저장된 메모리 칩과,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는 상기 메모리 칩을 인식하는 메모리 인식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체와, 상기 본체에 다수개 설치되며, 내부에 약품을 수용하는 약품 카트리지 및 상기 약품 카트리지를 거치하는 카트리지 장착부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의 하부에 형성된 외부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약품이 안착되는 이송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부는 상기 외부 배출구에서 배출된 약품을 안착시키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과 타측을 연결하도록 설치된 컨베이어벨트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가 작동되면,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안착된 약품을 인입시키는 취합부 및 상기 취합부와 컨베이어벨트를 승하강 시키는 승하강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약품 카트리지에는 상기 약품 카트리지의 상부에 위치된 다른 카트리지 장착부의 외부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약품이 상기 이송부에 안착되는 것을 안내하도록 하측으로 기울어지게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기 약품 카트리지의 상면에서 연장되게 형성된 안착가이드 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착가이드 부재는 상면에 상기 약품이 배출될 때 상기 약품과 상기 안착가이드 부재의 접촉면을 최소화하도록 다수의 배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착가이드 부재는 하면에 손잡이 요철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약품의 카트리지 내부에 수용되는 약품을 배출구 측으로 밀어주는 약품 배출부가 구비됨에 따라, 약품 카트리지에 수용된 약품을 간단하고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약품 배출부에 별도의 구동기가 포함되는 것이 아니라, 권취가능하게 형성된 탄성이동부재의 장력을 이용하여 약품을 가압하는 이동부재를 이동시킴에 따라 간단한 구조로 약품을 배출할 수 있고 별도의 구동수단이 요구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이동부재의 권취롤과 이동부재가 연결부재에 연결됨에 따라 탄성이동부재의 권취 또는 권출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탄성이동부재의 권취롤 양단에 권취안내부재가 설치됨에 따라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탄성이동부재가 권취되거나 권출될 수 있으므로 안정적으로 약품을 배출구로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품의 상부가 불룩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약품을 배출구로 밀어줄 수 있도록 이동부재에 설치된 약품 수용가이드 부재의 상측 공간을 충분히 확보함에 따라 안정적으로 약품을 배출하되, 약품이 좁은 공간에서 약품들끼리 마찰되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이동안내홈이 형성된 이동안내부재가 설치됨에 따라 약품을 배출구로 밀어주는 이동부재가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출구동기가 카트리지 장착부에 설치됨에 따라, 약품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되었을 때에만 약품이 배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약품과 접하여 약품을 배출시키는 약품배출롤러가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약품이 배출되는 과정에서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약품 카트리지에서 약품을 수용하기 위해 개방시키는 커버가 닫힘과 동시에 락킹되어 키부재에 의해서만 개방가능하도록 형성됨에 따라, 약품 카트리지를 이송하는 과정에서 허가받지 않은 자가 약품을 꺼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용 락킹부에 개방 방지부가 구비됨에 따라 약품 카트리지가 뒤집어진 상태에서는 키부재를 사용하여도 약품 카트리지의 커버를 개방할 수 없으므로 약품 카트리지가 뒤집어진 상태로 개방되어 약품이 쏟아지면서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약품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됨과 동시에 락킹되어 약품 카트리지를 카트리지 장착부로부터 분리하려면 별도의 허가가 필요함에 따라 허가받지 않은 자가 약품 카트리지를 임의로 탈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카트리지 장착부에 약품 카트리지를 분리하거나, 장착할 때 약품 카트리지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도록 완충돌기와 완충탄성부재가 설치됨에 따라, 약품 카트리지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화여 약품 카트리지에 수용된 약품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약품 카트리지에 약품의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 칩이 설치되고, 카트리지 장착부에 메모리 칩의 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메모리 인식부가 구비됨에 따라 약품 카트리지의 정보를 인식하여 다른 약이 환자에게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수의 약품 카트리지에서 배출된 약품들을 한번에 이송하여 환자에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효율적으로 환자에게 약품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약품 카트리지의 상면에 하측으로 경사지게 안착안내부재가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다수의 약품 카트리지와 카트리지 장착부가 상하로 배치되는 경우 상부의 약품 카트리지에서 약품이 배출되는 것을 하부의 약품 카트리지에 형성된 안착안내부재가 안내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안정적으로 약품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약품이 배출되는 과정에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안착안내부재의 상면에 배출홈이 형성됨에 따라 약품과 안착안내부재의 접촉면이 최소화되어 배출되는 약품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착안내부재의 하면에 손잡이 요철홈이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약품 카트리지를 카트리지 장착부로부터 분리하기 용이하므로 약품 카트리지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약품공급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약품공급장치의 약품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약품공급장치의 약품 카트리지를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약품공급장치의 약품 카트리지 내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약품공급장치의 약품 카트리지의 측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약품공급장치의 약품 카트리지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약품공급장치의 카트리지 장착부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약품공급장치의 수용락킹부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약품공급장치의 수용락킹부가 락킹해제 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약품공급장치의 약품 카트리지가 뒤집어진 것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약품공급장치의 카트리지 장착부 배면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약품공급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약품공급장치의 약품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약품공급장치는 본체(B)와, 본체(B)에 다수개 설치되며, 내부에 약품을 수용하는 약품 카트리지(10) 및 약품 카트리지(10)를 거치하는 카트리지 장착부(20)와, 카트리지 장착부(20)의 하부에 형성된 외부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약품이 본체(B)의 외측으로 배출되어 약품이 필요한 환자에게 공급되도록 약품이 안착되는 이송부(T)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이송부(T)는 일측과 타측을 연결하는 길이로 설치된 컨베이어 벨트(T1)와, 컨베이어 벨트(T1)에 안착된 약품을 본체(B)의 외측으로 인출시키도록 취합하되, 컨베이어 벨트(T1)의 일측과 인접할 수 있도록 설치된 취합부(T2) 및 컨베이어 벨트(T1)를 승하강 시키는 승하강부(T3)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약품 공급장치는 약품 카트리지(10)에서 배출된 약품을 이송부(T)를 통해 작업자에게 인도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약품이 수용된 약품 카트리지(10)는 카트리지 장착부(20)에 장착되어 약품 카트리지(10)에 수용된 약품이 카트리지 장착부(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약품 카트리지(10)와 카트리지 장착부(20)에는 약품 카트리지(10)가 개방되지 않도록 락킹하는 수용락킹부(430)와, 약품 카트리지(10)가 카트리지 장착부(20)에 장착되면 장착된 상태에서 허가받지 않은 작업자가 임의로 약품 카트리지(10)를 카트리지 장착부(20)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방지하는 카트리지 락킹부(450)가 구비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약품공급장치의 약품 카트리지를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약품공급장치의 약품 카트리지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약품공급장치의 약품 카트리지의 측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약품 카트리지(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약품(M)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카트리지 본체(11)가 포함되며, 카트리지 본체(11)는 내부에 약품(M)을 수용시킬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게 수용개구(13)가 형성되고, 하부 전방 측에 수용된 약품(M)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배출구(15)가 형성된다.
카트리지 본체(11)의 내부에는 내부에 수용된 약품(M)을 배출구(15)로 밀어주는 약품 배출부(30)가 설치되고, 약품 카트리지(10)와 카트리지 장착부(20)에는 약품 배출부(30)에서 밀어준 약품을 배출구(15)로 배출시키는 배출구동부(35)가 설치된다.
약품 배출부(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본체(11)의 바닥면과 이격되게 설치된 바닥부재(31)와, 바닥부재(31)의 양측에 그 양측 하단이 안착되는 이동부재(32)와, 카트리지 본체(11)에 수용되는 약품과 접하도록 이동부재(32)의 전면에 설치되는 지지부재(32a)와, 이동부재(32)에 설치되되, 탄성력을 이용하여 이동부재(32)를 배출구(15) 측으로 밀거나 당기는 탄성이동부재(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닥부재(31)는 전방에 배출구(15)가 노출되고 후방에는 후술될 탄성이동부재(33)가 카트리지 본체(11)의 바닥면과 접하도록 노출되게 형성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바닥부재(31)는 후술될 이동부재(32)의 양측 하단면이 안착되도록 11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동부재(3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재(33)에 양측 하단면이 안착되어 바닥부재(31)의 전방 측 즉, 배출구(15)측이나 바닥부재(31)의 후방측으로 이동된다.
여기서, 이동부재(32)를 이동시키는 탄성이동부재(3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권취롤(33a)로 형성되고, 타단이 권취롤(33a)과 일체로 형성되되,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 탄성편(33b)으로 이루어져 탄성편(33b)이 권취롤(33a)에 권취되거나 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탄성편(33b)는 탄성을 가져 권취될 수 있으나 권출되었을 때 그 형태가 복원되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바닥부재(33)의 후면으로 삽입되어 설치된다.
또한, 권취롤(33a)의 양 측면은 연결부재(34a)에 의해 이동부재(32)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권취롤(33a)의 양 측면에는 권취롤(33a)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갖는 권취안내부재(34b)가 설치되어 탄성편(33b)이 권취안내부재(34b)의 내측으로 안정되고 균일하게 권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동부재(32)에는 이동부재(32)에 수직으로 설치되되, 상단이 카트리지 본체(11)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절곡되게 형성된 약품 수용가이드 부재(32b)가 더 설치된다.
여기서, 바닥부재(31)의 일측면에는 이동부재(32)이 일측면이 삽입되는 이동안내홈(32b)이 형성된 이동안내부재(32a)가 수직으로 설치된다. 즉, 이동부재(32)는 약품 카트리지(1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때 이동부재(32)이 일단이 이동안내홈(32b)에 삽입된 상태로 이동함에 따라 그 이동됨이 안정적으로 안내될 수 있다.
그러므로, 권취롤(33a)이 회전하여 권취롤(33a)에 탄성편(33b)이 권취되면, 권취롤(33a)은 회전하면서 바닥부재(31) 측으로 이동하므로 권취롤(33a)과 연결부재(34a)에 의해 연결된 이동부재(32)는 배출구(15)으로 이동하면서 지지부재(32a)와 접하게 삽입된 약품(P)을 배출구(15) 측으로 밀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약품을 카트리지 본체(11)에 수용할 때에는 사용자가 수작업으로 이동부재(32)를 약품 카트리지(10)의 후방 측으로 밀면, 탄성이동부재(33)의 탄성편(33b)은 권취롤(33a)에서 권출되면서 펼쳐진다.
그러면, 사용자는 약품의 일단부가 지지부재(32a)와 배출구(15)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고, 약품 카트리지(10)의 후방 측으로 가압된 이동부재(32)의 가압을 해제한다.
그러면, 탄성편(33b)은 권취롤(33a)에 권취되면서 이동부재(32)가 배출구(15) 측으로 이동되어 지지부재(32a)와 배출롤러부재(38) 사이에 약품을 수용한다.
이때, 약품은 단부가 지지부재(32a)와 배출롤러부재(38) 사이에 위치됨에 따라 약들이 약품 포장의 상부 측으로 이동되어 상측의 공간이 많이 필요하게 되지만 약품 카트리지(10)의 후방측으로 상단이 절곡되게 형성된 약품수용가이드부재(32b)에 의해 약품이 이동부재(32)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약품공급장치의 약품 카트리지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약품공급장치의 카트리지 장착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한편, 배출구동부(35)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15)의 상부 일측 즉, 카트리지 본체(11)의 내부 전면 측에 이동부재(32)에 의해 배출구(15) 측으로 이동된 약품(P)과 접하면서 약품(P)을 배출구(15)로 배출시키도록 설치된 배출롤러부재(38)를 구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카트리지 장착부(20)의 내부에 설치된 배출구동기(36)와, 상부가 카트리지 장착부(20)의 상면으로 노출되고, 배출구동기(36)에 의해 구동되는 배출구동기어(37a)와, 약품 카트리지(10)의 하부에 설치되어 배출구동기어(37a)와 맞물리게 설치되어 회전하는 배출종동기어(37b)와, 배출종동기어(37b)와 연결되게 설치되어 회전하는 회전구동축부재(37c) 및 회전구동축부재(37c)와 배출롤러부재(38)의 회전축을 연결하는 배출구동벨트(39)가 포함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품 카트리지(10)가 카트리지 장착부(20)에 장착되고, 약품을 배출시키기 위하여 배출구동기(36)를 구동시키면, 배출구동기(36)에 의해 구동되는 배출구동기어(36)가 회전하고, 배출구동기어(36)가 회전하면 배출구동기어(37a)와 맞물리게 설치된 배출종동기어(37b)가 회전하면서 배출종동기어(37b)가 설치된 회전구동축부재(37c)가 회전하게 된다. 회전구동축부재(37c)가 회전하면 배출구동벨트(38)와 연결된 배출롤러부재(38)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배출롤러부재(38)는 하측을 향하도록 회전하고, 배출롤러부재(38)는 약품(P)의 일면과 접하면서 약품(P)을 하측으로 밀어 배출구(15)를 통해 배출시키게 된다.
여기서, 배출롤러부재(38)는 약품(P)과 접하면서 회전함에 따라 약품(P)이 손상되지 않도록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약품 카트리지(10)의 내부 전방면에는 배출롤러부재(38)가 약품(P)과 접하는 부분만 노출되도록 배출롤러부재(38)의 상측을 커버하여 배출롤러부재(38)와 약품(P)이 접하는 부분을 안내하는 배출안내부재(38a)가 더 설치된다.
한편, 카트리지 장착부(20)의 외부 배출구(21)에는 다시 참조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품 카트리지(10)의 배출구(15)를 통해 약품이 배출되었는지 유무를 감지하는 배출감지센서(22)가 더 포함된다.
배출감지센서(22)는 약품 카트리지(10)의 배출구(15)를 통해 배출된 약품(M)이 외부 배출구(21)로 배출되는 것을 감지하여 배출감지센서(35)에서 감지된 약품 즉, 배출된 약품의 개수를 카운팅하여 산출할 수 있다.
즉, 최초 약품 카트리지(10)가 카트리지 장착부(20)에 장착된 후 배출된 약품의 배출 개수를 카운팅할 수 있도록 이루짐에 따라, 약품 카트리지(10)에 남아 있는 약품의 개수를 산출하여 약품 카트리지(10)의 약품 수급시기를 산출할 수 있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약품공급장치의 수용락킹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약품공급장치의 수용락킹부가 락킹해제 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약품공급장치의 약품 카트리지가 뒤집어진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약품공급장치의 카트리지 장착부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약품 카트리지(10)와 카트리지 장착부(20)에는 약품이 허가받지 않은 사용자에 의해 약품이 꺼내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약품 카트리지(10)의 수용개구(13)를 커버하는 커버(14)를 락킹하는 수용락킹부(430) 및 약품 카트리지(10)가 카트리지 장착부(20)에 장착되면 약품 카트리지(10)를 락킹시키는 카트리지 락킹부(450)가 포함된다.
수용락킹부(430)는 커버(14)가 수용개구(13)를 커버함과 동시에 잠기도록 커버(14)의 단부에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걸림돌기(431)와, 커버(14)의 걸림돌기(431)의 위치에 대응되게 약품 카트리지(10)의 후방에 위치되는 걸림홈(433)이 형성되어 걸림돌기(431)가 걸림홈(433)에 삽입되거나 분리되는 걸림홈부재(435) 및 걸림홈부재(435)에는 후방에 걸림홈(433)에 걸림돌기(431)가 인입될 때 일측으로 이동하였다가 그 위치가 복원되도록 걸림탄성부재(437)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걸림홈부재(435)에는 걸림홈부재(435)를 일측으로 이동시켜 걸림돌기(431)가 걸림홈(433)에 삽입되거나 분리되도록 하는 이동부재로서 자물쇠부재(439)가 설치된다.
자물쇠부재(439)는 허가받은 사용자만 사용할 수 있는 별도의 키부재(미도시)에 의해 약품 카트리지(10)를 개방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걸림돌기(431)가 걸림홈(433)에 삽입되거나 분리될 때 걸림홈부재(433)를 일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작동된다.
이때, 약품 카트리지(10)의 외측 후면에는 걸림돌기(431)가 걸림홈(433)으로 인입되는 경로의 외측면에 걸림돌기(431)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걸림돌기(431)가 걸림홈부재(435)의 걸림홈(433)에 걸리거나 분리되는 것을 안내하는 락킹안내부재(441)가 설치된다.
이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4)가 약품 카트리지(10)의 수용개구(11)를 커버하도록 하면, 커버(14)에 설치된 걸림돌기(431)가 락킹안내부재(441)를 따라 걸림홈(433)으로 인입된다. 이때, 걸림홈부재(435)는 걸림탄성부재(437)를 일측으로 가압하면서 일측으로 이동되었다가 걸림돌기(431)가 완전히 인입되면 걸림탄성부재(437)의 복원력에 의해 타측으로 이동되어 걸림돌기(431)가 걸림홈(433)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락킹된 커버는 허가받은 사용자가 키부재를 자물쇠부재(439)에 삽입하여 걸림홈부재(435)를 일측으로 이동시키면 걸림돌기(431)가 걸림홈(433)을 이탈하면서 커버(14)의 락킹이 해제된다. 이때, 키부재는 허가받은 사용자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약품 카트리지(10)를 개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약품 카트리지(10)의 내부에 수용된 약품이 소진되었거나 약품을 교체하는 등의 이유로 약품 카트리지(10)의 커버(14)를 개방시킬 수 있다.
한편, 수용락킹부(430)에는 약품 카트리지(10)가 뒤집어져 수용개구(11)가 하측을 향하도록 위치되었을 때 키부재를 사용하여 자물쇠 부재(439)를 이동시키더라도 전술한 걸림돌기(431)가 걸림홈(433)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개방방지부(442)가 포함된다.
개방방지부(442)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홈부재(435)의 하측면에 형성된 톱니부(443)와, 걸림홈부재(435)의 톱니부(443)와 맞물리도록 톱니부(447)가 형성된 스토퍼부재(445) 및 스토퍼 부재(445)의 하측에 위치되어 스토퍼 부재(445)를 설치하는 스토퍼 설치부재(448) 및 약품 카트리지(10)의 후면을 커버하는 후면커버(449)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스토퍼 설치부재(448)는 스토퍼부재(445)가 걸림홈부재(435)의 톱니부(443)와 맞물리지 않고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도록 걸림홈부재(435)와 스토퍼부재(445)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스토퍼 부재(445)는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된 것이 아니라, 걸림홈부재(435)와 스토퍼 설치부재(448) 사이에 자유단이 되되, 후면커버(449)에 의해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측으로 이동하거나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그러므로, 스토퍼 부재(445)는 약품 카트리지(10)가 정상적으로 위치된 상태 즉, 수용개구(13)가 상측에 위치되면,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스토퍼 설치부재(448)에 접하도록 위치됨에 따라 사용자가 키부재를 이용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약품 카트리지(10)를 개방시킬 수 있다.
반면, 약품 카트리지(10)의 수용개구(13)가 하측으로 위치되면 자중에 의해 스토퍼 부재(445)가 하강하여 스토퍼부재(445)의 톱니부(447)가 걸림홈부재(435)의 톱니부(443)에 맞물리게 되므로 사용자가 키부재를 이용하여 자물쇠 부재(438)를 이동시키려고 할 때 걸림홈부재(435)는 전혀 움직일 수 없다. 즉, 약품 카트리지(10)가 뒤집어진 경우에는 약품 카트리지(10)의 수용개구(13)를 개방할 수 없다.
따라서, 약품 카트리지(10)가 뒤집어져 수용개구(13)가 하측에 위치되었을 경우 수용개구(13)가 개방되면, 약품 카트리지(10)에 수용된 약품이 모두 쏟아져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카트리지 락킹부(450)는 약품 카트리지(10)의 후면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체결돌기(451)와, 카트리지 장착부(20)에 형성되며 체결돌기(451)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체결돌기(451)가 삽입되는 체결홈(453)으로 이루어져 약품 카트리지(10)가 카트리지 장착부(20)에 장착될 때, 체결돌기(451)가 체결홈(453)의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약품 카트리지(10)가 카트리지 장착부(20)에 장착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약품 카트리지(10)의 후면에는 약품 카트리지(10)의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 칩(471)이 설치되고, 카트리지 장착부(20)에는 메모리 칩(471)을 인식하는 메모리 인식부(도시생략)가 설치됨에 따라, 카트리지 장착부(20)의 메모리 인식부는 메모리칩(471)으로부터 장착된 약품 카트리지(10)에 대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즉, 약품 카트리지(10)에 설치된 메모리 칩(471)에는 약품 카트리지(10)의 고유번호나 수용되는 약품에 대한 정보 등이 저장되어 카트리지 장착부(20)에서 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카트리지 락킹부(450)는 약품 카트리지(10)가 카트리지 장착부(20)에 결합된 후 전술한 체결돌기(451)가 임의로 체결홈(453)와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체결돌기(451)와 체결홈(453)을 분리하는 별도의 분리수단이 구비된다.
분리수단은 카트리지 장착부(20)의 배면에 설치되되, 체결홈(453)의 일측에 설치되어 체결홈(453)에 삽입된 체결돌기(451)를 가압하여 체결돌기(451)가 체결홈(453)을 이탈하도록 회동하는 회동가압부재(455)와 회동가압부재(455)를 구동시키는 분리구동기(457) 그리고, 관리자에 의해 카트리지 장착부(20)에서 약품 카트리지(10)가 분리되게 분리 신호를 전송받아 분리 구동기(457)로 구동신호를 전송하는 중앙 제어부(도시 생략)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회동가압부재(455)의 일측에는 회동복원 탄성부재(459)가 설치되어 분리 구동기(457)가 구동되지 않으면 회동가압부재(455)가 최초의 위치로 복원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약품 카트리지(10)의 배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완충돌기(461)가 설치되고, 카트리지 장착부(20)의 배면에는 카트리지 장착부(20)가 약품 카트리지(10)에 장착될 때 완충돌기(461)가 접하는 부분에 완충돌기(461)가 삽입되는 홀(부호 생략)이 형성되고, 홀의 배면에는 완충탄성부재(463)가 설치된다. 여기서, 완충탄성부재(463)는 판스프링부재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완충돌기(461)와 완충탄성부재(463)는 약품 카트리지(10)가 카트리지 장착부(20)에 장착되거나, 분리될 때 약품 카트리지(1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것으로서, 완충돌기(461)는 탄성을 갖는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판스프링부재인 완충탄성부재(463)는 전술한 분리 구동기(457)가 작동되어 회동가압부재(455)가 체결돌기(451)를 가압하여 밀어내면서 체결돌기(451)가 체결홈(453)을 이탈할 때 완충돌기(461)를 가압하면서 약품 카트리지(10)가 분리될 때 발생하는 반력을 감쇄하여 깨어지기 쉬운 앰플 등이 수용된 약품 카트리지(1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한다.
본체(10)에 설치되는 약품 카트리지(10) 및 카트리지 장착부(20)는 사용되는 약품의 종류만큼 다수개가 설치된다. 다수개 배치되는 약품 카트리지(10)와 카트리지 장착부(20)는 상하로 정렬되도록 배치될 경우, 카트리지 장착부(20)의 외부배출구(21)가 하부에 위치된 약품 카트리지(10)의 상부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에, 약품 카트리지(10)의 상부면은 전방측 상부에 위치된 외부 배출구(21)에서 배출되는 약품이 이송부(T)에 안착되는 것을 안내하도록 외부 배출구(21)와 마주보는 면이 하측으로 경사지게 경사면으로 연장되게 안착안내부재(19)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안착안내부재(19)는 상면에 다수의 배출홈(19a)이 형성된다. 배출홈(19a)은 약품이 배출될 때 약품과 안착안내부재(19)의 접촉면을 최소화한다. 그러면, 약품과 안착안내부재(19)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을 최소화됨에 따라, 배출되는 과정에서 약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안착안내부재(19)의 하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게 손잡이 요철홈(19b)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약품 카트리지(10)가 카트리지 장착부(20)에 장착되거나 분리될 때 사용자가 약품 카트리지(10)를 잡기 위한 것이므로 사용자가 약품 카트리지(10)를 안정적으로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외부 배출구(21)를 통해 배출된 약품은 하부에 위치된 약품 카트리지(10)의 안착가이드부재(19)를 따라 하부로 이송되어 안정적으로 이송부(T)에 안착되는 것이 용이하다.
이송부(T)는 다시 참조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과 타측을 연결하는 길이로 설치된 컨베이어 벨트(T1)와, 컨베이어 벨트(T1)에 안착된 약품을 본체(B)의 외측으로 인출시키도록 취합하되, 컨베이어 벨트(T1)의 일측과 인접할 수 있도록 설치된 취합부(T2) 및 컨베이어 벨트(T1)를 승하강 시키는 승하강부(T3)로 이루어진다.
이에, 외부 배출구(21)를 통해 배출된 약품은 컨베이어 벨트(T1)에 안착되고, 컨베이어 벨트(T1)는 승하강부(T3)에 의해 일측이 취합부(T2)와 인접되도록 승강하거나 하강한다. 컨베이어 벨트(T1)의 일측이 취합부(T2)에 인접되면, 컨베이어 벨트(T1)가 작동되어 컨베이어 벨트(T1)에 안착된 약품들이 취합부(T2)로 인입되도록 하고, 취합부(T2)에 취합된 약품들은 사용자에 의해 수거되어 환자에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약품공급장치의 작동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약품 카트리지(10)의 상부에 형성된 수용개구(13)를 통해 내부에 약품을 수용시킨다.
이때, 약품 카트리지(10)는 허가받은 사용자가 자물쇠부재(445)에 키부재를 삽입하여 걸림홈부재(435)를 일측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걸림홈부재(435)의 걸림홈(433)으로부터 걸림돌기(431)를 분리시켜 커버(14)를 개방시킨다.
약품 카트리지(10)에 지정된 약품을 수용한 후, 커버(14)를 닫아 수용개구(13)를 닫으면, 걸림돌기(431)가 락킹안내부재(441)의 안내를 받으며 걸림홈(433)에 걸리도록 삽입되어 걸림홈부재(435)가 일시적으로 일측으로 이동하였다가 걸림돌기(431)가 걸림홈(433)에 걸리면, 걸림탄성부재(443)에 의해 그 위치가 복원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커버(14)는 수용 락킹부(430)에 의해 허가받은 사용자가 지닌 키부재를 통해 개방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다음, 약품이 수용된 약품 카트리지(10)를 카트리지 장착부(20)에 장착시킨다. 이때, 사용자는 약품 카트리지(10)의 상면과 연장되게 형성된 안착안내부재(19)를 잡고 장착시키되, 안착안내부재(19)의 하면에 형성된 손잡이 요철홈(19b)에 의해 미끄러짐이 방지된다.
그러면, 약품 카트리지(10)의 체결돌기(451)는 카트리지 장착부(20)의 체결홈(453)에 삽입되도록 이루어져 카트리지 락킹부(450)에 의해 약품 카트리지(10)가 카트리지 장착부(20)에 장착되도록 한다.
이때, 카트리지 장착부(20)에 설치된 메모리 인식부는 약품 카트리지(10)에 설치된 메모리 칩(471)에 저장된 약품의 정보를 인식한다.
한편, 배출감지센서(22)에서 감지된 배출약품의 수가 최초에 약품 카트리지(10)에 수용된 약품의 수와 동일하면, 중앙제어부는 분리 구동기(457)로 구동신호를 전송하고, 분리 구동기(457)는 회동가압부재(455)를 회동시켜 체결돌기(451)를 가압하여 체결돌기(451)가 체결홈(453)을 이탈하도록 한다.
분리된 약품 카트리지(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약품 카트리지(10)에 약을 수용하고, 다시 카트리지 장착부(20)에 장착되도록 한다.
한편, 약품을 공급하기 위하여 중앙제어부로부터 약품인출 명령신호가 수신되면, 배출구동기(36)가 구동되면서 배출구동기어(37a) 및 배출종동기어(37b)가 구동되어 회전구동축부재(37c)가 회전함에 따라 배출롤러부재(38)가 하측으로 회전되면서 약품(P)이 배출구(15)를 통해 배출된다.
그러면, 배출구(15)로 낙하하여 약품 카트리지(10)의 외측으로 인출되고, 카트리지 장착부(20)의 외부배출구(21)를 통해 이송부(T)로 배출된다.
이송부(T)로 배출된 약품은 컨베이어벨트(T1)에 안착되어 취합부(T2)를 통해 사용자에게 인도되어 환자에게 공급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약품의 일단을 배출구 측으로 밀어주고, 배출구 측에서 하측으로 배출되도록 배출롤러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약품이 약품끼리 부딪히는 것이 최소화되고 자동으로 약품 카트리지(10) 및 카트리지 장착부(2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허가된 사용자에게 안전하게 공급되도록 한다.
T : 이송부 10 : 약품 카트리지
11 : 카트리지 본체 13 : 수용개구
14 : 커버 15 : 배출구
19 : 안착안내부재 20 : 카트리지 장착부
21 : 외부 배출구 30 : 약품배출부
31 : 바닥부재 32 : 이동부재
32a : 지지부재 32b : 약품 수용가이드부재
32c : 이동안내부재 32d : 이동안내홈
33 : 탄성이동부재 33a : 권취롤
33b : 탄성편 34a : 연결부재
34b : 권취안내부재 35 : 배출구동부
36 : 배출구동기 37a : 배출구동기어
37b : 배출종동기어 37c : 회전구동축부재
38 : 배출롤러부재 39 : 배출구동벨트
430 : 수용락킹부 431 : 걸림돌기
433 : 걸림홈 435 : 걸림홈부재
437 : 걸림탄성부재 439 : 자물쇠부재
441 : 락킹안내부재 442 : 개방방지부
443 : 톱니부 445 : 스토퍼부재
448 : 스토퍼 설치부재 449 : 후면커버
450 : 카트리지 락킹부 451 : 체결돌기
453 : 체결홈 455 : 회동가압부재
457 : 분리구동기 459 : 회동복원 탄성부재
461 : 완충돌기 463 : 완충탄성부재
471 : 메모리칩

Claims (28)

  1. 내부에 약품이 수용되도록 상부에 수용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개구에는 커버가 설치되며, 내부에 수용된 약품을 바닥면의 전방 에 형성된 배출구로 밀어주는 약품 배출부가 구비된 약품 카트리지;
    상면에 상기 약품 카트리지가 설치되며 하부에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어 외측으로 상기 약품을 배출시키는 외부 배출구가 형성된 카트리지 장착부; 및
    상기 약품 카트리지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약품 배출부를 구동시키며 약품을 배출시키는 배출구동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 배출부는 상기 약품 카트리지의 바닥면과 이격되게 설치되며, 전방에 위치된 상기 배출구와 후방이 노출되게 형성된 바닥부재;
    상기 바닥부재의 양측에 그 양측 하단이 안착되어 상기 바닥부재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이동부재;
    상기 약품 카트리지에 수용되는 약품과 접하며, 상기 이동부재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약품이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하는 지지부재;
    일단이 권취롤로 형성되어 상기 바닥부재의 노출된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약품 카트리지의 바닥면과 접하고, 타단이 상기 바닥부재에 삽입되어 고정되되, 상기 권취롤과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권취롤에 권취되거나 권출되면서 이동부재를 이동시키도록 탄성 재질로 형성된 탄성편으로 이루어진 탄성이동부재;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공급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롤의 양단에는 상기 권취롤과 상기 이동부재를 연결하되, 상기 권취롤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부재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공급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롤의 양측면에는 상기 탄성이동부재가 권취되거나 권출되는 것을 안내하는 권취안내부재가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공급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안내부재는 상기 권취롤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공급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에는 상기 이동부재에 수직으로 설치되되, 상단이 상기 약품 카트리지의 후방 측으로 절곡되는 약품 수용가이드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공급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재의 일측면에는 상기 이동부재의 일측면이 삽입되어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안내홈이 형성된 이동안내부재가 수직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공급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동부는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의 내부에 설치된 배출구동기;
    상부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의 상면으로 노출되고, 상기 배출구동기에 의해 구동되는 배출구동기어;
    상기 약품 카트리지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배출구동기어와 맞물리며 회전하는 배출종동기어;
    상기 배출종동기어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회전구동축부재;
    상기 배출구의 일측에 설치되는 배출롤러부재; 및
    상기 회전구동축부재와 상기 배출롤러부재를 연결하는 배출구동벨트;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공급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 카트리지의 내부 전방면에는 상기 배출롤러부재의 상측을 커버하여 상기 배출롤러부재와 상기 약품이 접하는 부분을 안내하는 배출안내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공급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롤러부재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공급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 카트리지에는 상기 약품 카트리지의 수용개구를 커버하는 상기 커버를 락킹하는 수용 락킹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공급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락킹부는 상기 커버가 상기 수용개구를 커버함과 동시에 잠기도록 상기 커버의 단부에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걸림돌기;와
    상기 커버의 걸림돌기의 위치에 대응되게 상기 약품 카트리지의 후면에 위치되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거나 분리되는 걸림홈부재; 및
    상기 걸림홈부재의 후방에는 상기 걸림홈에 상기 걸림돌기가 인입될 때 일측으로 이동하였다가 그 위치가 복원되도록 설치된 걸림탄성부재;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공급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락킹부에는 상기 걸림홈부재를 일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걸림돌기와 상기 걸림홈을 분리시키되, 별도의 키부재에 의해 이동하는 자물쇠부재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공급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락킹부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으로 인입되는 경로의 외측면에 상기 걸림돌기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부재에 걸리거나 분리되는 것을 안내하는 락킹안내부재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공급장치.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락킹부에는 상기 약품 카트리지의 수용개구가 하측을 향하도록 위치되었을 때 별도의 키부재를 사용하더라도 상기 약품 카트리지의 수용개구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개방방지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공급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방지부는 상기 걸림홈부재의 하측면에 형성된 톱니부;와
    상기 톱니부와 맞물리도록 형성된 톱니부가 형성된 스토퍼부재;
    상기 스토퍼부재의 하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스토퍼부재가 상기 걸림홈부재의 톱니부와 접하거나, 상기 걸림홈부재의 톱니부와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상기 스토퍼부재가 소정간격 이동가능하게 위치시키는 스토퍼 설치부재; 및
    상기 수용락킹부가 설치된 상기 약품카트리지의 후면을 커버하는 후면커버;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공급장치.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 카트리지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는 상기 약품 카트리지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됨을 락킹하는 카트리지 락킹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공급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락킹부는 상기 약품 카트리지의 후면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체결돌기; 및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형성되며 상기 체결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돌기가 삽입되는 체결홈;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공급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락킹부에는 상기 체결홈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체결홈에 삽입된 상기 체결돌기를 일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체결돌기를 상기 체결홈으로부터 분리하도록 회동하는 회동가압부재;와,
    상기 회동가압부재를 구동시키는 분리구동기;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공급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가압부재의 일측에는 회동된 상기 회동가압부재의 위치를 복원시키도록 회동복원 탄성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공급장치.
  21.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락킹부에는 상기 약품 카트리지의 후면에 다수 개 설치되어 상기 약품 카트리지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될 때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하도록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완충돌기;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설치되어 상기 약품 카트리지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될 때 상기 완충돌기와 접하는 완충탄성부재;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공급장치.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탄성부재는 판스프링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공급장치.
  23.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락킹부는 상기 카트리지 락킹부는 상기 약품 카트리지의 후면에 설치되어 상기 약품 카트리지의 내부에 수용되는 약품정보가 저장된 메모리 칩;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는 상기 메모리 칩을 인식하는 메모리 인식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공급장치.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KR1020110022972A 2011-03-15 2011-03-15 약품공급장치 KR101254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2972A KR101254651B1 (ko) 2011-03-15 2011-03-15 약품공급장치
CA2735105A CA2735105C (en) 2011-03-15 2011-03-24 Medicine feeding apparatus
EP11159795A EP2500878A1 (en) 2011-03-15 2011-03-25 Medicine feeding apparatus
CN2011100787672A CN102670000A (zh) 2011-03-15 2011-03-28 药品供给装置
US13/073,214 US8567639B2 (en) 2011-03-15 2011-03-28 Medicine feed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2972A KR101254651B1 (ko) 2011-03-15 2011-03-15 약품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5266A KR20120105266A (ko) 2012-09-25
KR101254651B1 true KR101254651B1 (ko) 2013-04-15

Family

ID=47112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2972A KR101254651B1 (ko) 2011-03-15 2011-03-15 약품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46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9706B1 (ko) * 2012-11-01 2019-09-09 (주)제이브이엠 상호 결합구조를 갖는 약제 불출박스 및 카트리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0039A (ko) * 2001-11-14 2003-05-22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제피이더
KR20060086945A (ko) * 2003-09-26 2006-08-01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품불출장치
KR20080114762A (ko) * 2006-03-27 2008-12-31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제 카트
JP2010201152A (ja) * 2008-09-19 2010-09-16 Yuyama Manufacturing Co Ltd 薬剤払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0039A (ko) * 2001-11-14 2003-05-22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제피이더
KR20060086945A (ko) * 2003-09-26 2006-08-01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품불출장치
KR20080114762A (ko) * 2006-03-27 2008-12-31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제 카트
JP2010201152A (ja) * 2008-09-19 2010-09-16 Yuyama Manufacturing Co Ltd 薬剤払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5266A (ko) 2012-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4633B1 (ko) 약품공급장치와 이 장치를 이용한 약품공급방법
KR100998145B1 (ko) 약제 공급 장치
CA2735105C (en) Medicine feeding apparatus
KR101570895B1 (ko) 카트리지, 상기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의약 분배기 및 상기 카트리지 및 상기 의약 분배기의 용도
US9505544B2 (en) Cartridge, medicament dispenser for solid medicament portions, and uses of the cartridge and of the medicament dispenser
KR101293099B1 (ko) 약품공급장치
KR101254659B1 (ko) 약품공급장치
KR101254651B1 (ko) 약품공급장치
KR101254658B1 (ko) 약품공급장치
KR20140055913A (ko) 포장약제 보관박스, 포장약제 보관박스 설치용 카트리지 및 포장약제 불출장치
US20110290818A1 (en) Pharmaceutical dispenser and use thereof
JP4505199B2 (ja) 薬剤棚のシャッター装置
JP6482921B2 (ja) 固形製剤収容装置
JP2003237707A (ja) 薬剤供給装置
JP4241365B2 (ja) 現金自動取引装置
KR100814292B1 (ko) 반자동 약제 포장기
JP4292235B2 (ja) 現金自動取引装置
KR20060081022A (ko) 지폐도난방지기능을 갖는 지폐방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