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9706B1 - 상호 결합구조를 갖는 약제 불출박스 및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상호 결합구조를 갖는 약제 불출박스 및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9706B1
KR102019706B1 KR1020120123147A KR20120123147A KR102019706B1 KR 102019706 B1 KR102019706 B1 KR 102019706B1 KR 1020120123147 A KR1020120123147 A KR 1020120123147A KR 20120123147 A KR20120123147 A KR 20120123147A KR 102019706 B1 KR102019706 B1 KR 102019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delivery
cartridge
delivery box
box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3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5810A (ko
Inventor
김준호
Original Assignee
(주)제이브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20123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9706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브이엠 filed Critical (주)제이브이엠
Priority to CA2831201A priority patent/CA2831201C/en
Priority to AU2013248264A priority patent/AU2013248264A1/en
Priority to ES13190467.4T priority patent/ES2667623T3/es
Priority to EP13190467.4A priority patent/EP2728560B1/en
Priority to US14/065,109 priority patent/US9251641B2/en
Priority to CN201320687019.9U priority patent/CN203624331U/zh
Priority to CN201310534647.8A priority patent/CN103803229B/zh
Publication of KR20140055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5810A/ko
Priority to AU2016202236A priority patent/AU2016202236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9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9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38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horizont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26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rotary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65B35/54Feeding articles along multiple paths to a single packaging posi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07F11/24Rotary or oscillatory memb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38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horizontal
    • G07F11/4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horizontal the articles being delivered by motor-driven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46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6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in which the articles are stored in compartments in fixed recepta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9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assembling and dispensing of pharmaceutical articles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호 결합구조를 갖는 약제 불출박스 및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약제 불출장치의 층별로 각각 구비되어 복수의 약제 불출박스가 연결되는 장치로서, 본 발명에 따른 결합구조를 갖는 카트리지는 상기 약제 불출박스를 지지하는 하부 하우징과, 상기 약제 불출박스의 일정 거리 이상의 진입을 제한하는 후면 하우징을 포함하는 카트리지 하우징; 상기 하부 하우징에 상기 약제 불출박스의 진입 경로를 따라 구비되는 레일; 및 상기 약제 불출박스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 데이터 송수신 단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약제 불출박스와 카트리지와의 연결 시 약제 불출박스를 가이드하는 레일을 구비함으로써 정위치에 연결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상호 결합구조를 갖는 약제 불출박스 및 카트리지{dispenser and catridge having the combination structure for mutual connection}
본 발명은 상호 결합구조를 갖는 약제 불출박스 및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수동적인 약제의 불출과는 달리, 약제를 자동적으로 불출하는 장치의 일 구성부로서의 약제 불출박스와 카트리지간의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의 처방전에 따른 1회 복용분의 약제에는 다양한 종류 및 형태의 약제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1회 복용분의 약제가 바스켓에 담겨 환자에게 전달되게 된다.
하나의 바스켓에 담기게 되는 다양한 약제는 각각의 약제가 담긴 박스로부터 환자의 처방전에 기재된 약제의 종류 및 개수에 따라 하나의 바스켓에 수집되게 되며, 약제가 수집된 바스켓이 환자에게 전달되고 환자는 상기 바스켓에 수집된 약제를 복용하게 된다.
한편, 하나의 바스켓에 다양한 약제의 수집을 위해서 종래에는 약사 등의 의약 전문가가 환자의 처방전에 따라 수동으로 약을 선택하여 담는 과정이 필요하였으며, 이에 따라 약제 수집의 정확성을 재차 판단해야 하는 확인 작업이 반드시 필요하였다. 이는 투약의 정확성을 담보하기 어려워 약화사고를 발생시킬 가능성을 항상 내포하게 된다. 또한, 약화사고 가능성뿐만 아니라 수집 과정 자체가 복잡하여 환자의 처방전에 맞게 약제를 수집하는 시간도 오래 걸리게 되어 작업 효율성이 저하된다는 문제도 유발시키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환자의 처방전에 따라 1회 복용분 씩 약제를 수집하는데 있어서, 정확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켜 약사 등의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동시에 약화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방안 및 기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약제 불출을 위한 불출 박스와 약제 불출장치 내에서의 약제 불출 박스의 기계적 고정 및 전기적 제어를 위한 카트리지와의 결합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 동력의 전달을 차단하거나 허용하도록 작동하는 기계적인 동력전달 제어수단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카트리지와 약제 불출박스의 기계적 연결을 견고히 하는 고정 수단을 제공한다.
약제 불출장치의 층별로 각각 구비되어 복수의 약제 불출박스가 연결되는 장치로서, 본 발명에 따른 결합구조를 갖는 카트리지는 상기 약제 불출박스를 지지하는 하부 하우징과, 상기 약제 불출박스의 일정 거리 이상의 진입을 제한하는 후면 하우징을 포함하는 카트리지 하우징; 상기 하부 하우징에 상기 약제 불출박스의 진입 경로를 따라 구비되는 레일; 및 상기 약제 불출박스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 데이터 송수신 단자;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레일은 일정 길이를 갖도록 상향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은 둘 이상 구비되고, 상기 레일은 서로 평행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데이터 송수신 단자는 상기 후면 하우징으로부터 전면 방향으로 일정한 단차를 갖는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 데이터 송수신 단자는 하단에 복수의 커넥터핀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약제 불출박스를 고정시키거나 이탈가능하도록 릴리즈 시키는 잠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잠금부는, 일정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장반경부 및 단반경부를 구비하는 캠; 상기 캠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캠의 장반경부에 접하는 경우 상승하고 상기 캠의 단반경부에 접하는 경우 하강하는 잠금부 본체; 및 상기 잠금부 본체의 전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상기 잠금부 본체와 함께 상승 및 하강하는 걸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제 불출박스의 분리 시 상기 약제 불출박스에 분리방향의 힘을 가하는 이탈 촉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이탈 촉진부는,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단으로 돌출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돌출부에 연결되어, 상기 약제 불출박스의 연결 시 가압되었다가 상기 약제 불출박스의 분리 시 상기 분리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에 연결되는 장치로서, 본 발명에 따른 결합구조를 갖는 약제 불출박스는 불출박스 하우징; 상기 불출박스 하우징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카트리지의 레일이 수용되어 연결을 위한 진입 시 진입경로를 가이드하는 레일 수용부; 및 상기 카트리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단자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레일 수용부는 상기 불출박스 하우징의 후면에 이르도록 형성되어 상기 불출박스 하우징의 후면으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 수용부는 상기 불출박스 하우징의 후면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되는 수용 개시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데이터 송수신 단자부는, 상기 카트리지의 데이터 송수신 단자를 수용하는 단자 수용홈; 및 상기 단자 수용홈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카트리지 데이터 송수신 단자에 연결되는 제2 데이터 송수신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의 걸이부가 수용되어 걸리도록 단차진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걸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불출박스 하우징에는 상기 카트리지의 이탈 촉진부를 수용하는 이탈 촉진부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부 동력을 전달받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기어의 회전을 구속하거나 릴리즈시키는 동력전달 차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동력전달 차단부는, 회동축을 중심으로 상기 기어측 방향과 상기 기어의 반대측 방향으로 교번하여 회동하는 제1 단부와, 상기 제1 단부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단부의 회동방향의 반대로 회동하는 제2 단부를 구비하는 회동부; 상기 제2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기어의 이(tooth)와 이(tooth) 사이에 삽입되는 제2 돌출부를 구비하는 차단부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차단부 본체는 상기 제2 단부가 상기 기어의 반대측으로 회동하는 경우 함께 후퇴하여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기어의 이와 이 사이로부터 이탈한다.
더 나아가 상기 차단부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에 상기 기어 측 방향으로 가해지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약제 불출박스와 카트리지와의 연결 시 약제 불출박스를 가이드하는 레일을 구비함으로써 정위치에 연결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약제의 불출을 위하여 외부의 동력이 약제 불출박스 내에 전달되도록 허용하거나 제한하는 동력전달 차단부를 구비함으로써 약제가 적절한 시기에만 불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부를 구비함으로써 약제 불출 과정에서도 약제 불출박스와 카트리지와의 연결 상태를 견고히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의 일부 절개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가드부가 구비된 약제 수집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약제 수집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a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면 가드부가 구비된 약제 수집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약제 수집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a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면 가드부가 구비된 약제 수집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약제 수집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구성 및 작동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박스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는 도 10의 약제 불출박스의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측 저면 사시도이다.
도 12은 도 10의 약제 불출박스의 모습을 나타내는 후면측 저면 사시도이다.
도 13는 도 10의 약제 불출박스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후면측 저면 사시도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도 10의 약제 불출박스의 모습을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박스와 카트리지의 연결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 및 도 19은 일 실시에에 따른 약제 불출박스와 카트리지의 연결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나 언급이 없는 경우에 본 설명에 사용하는 방향을 표시하는 용어는 도면에 표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각 실시예를 통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한편, 도면상에서 표시되는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두께나 치수가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해당 치수나 구성간의 비율로 구성되어야 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각 구성부들을 포함하는 약제 불출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장치(1)는 카트리지(4), 약제 불출박스(60) 및 불출 약제 수집장치(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이 중 불출 약제 수집장치(2)에 관한 것이다. 불출 약제 수집장치(2)는 컨베이어 및 측면 가드부 등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각각의 구성부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를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의 일부 절개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컨베이어(10)에는 불출되는 약제가 안착되는 구성부이다. 컨베이어(10)는 컨베이어 벨트(11), 한 쌍의 궤도축(12a, 12b), 한 쌍의 경로 전환 롤(13a, 13b) 및 구동롤(14)를 포함한다.
컨베이어 벨트(11)는 무한 궤도를 따라 회전한다. 컨베이어 벨트(11)는 불출되는 약제가 안착된다. 또한 한 쌍의 궤도축(12a, 12b)은 컨베이어 벨트(11)가 회전하는 무한궤도의 양 축을 담당한다. 즉, 컨베이어 벨트(11)는 한 쌍의 궤도축(12a, 12b)의 외주면을 경유하는 궤도를 따라 회전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벨트(11)는 한 쌍의 경로 전환 롤(13a, 13b) 및 구동롤(14)를 경유하여 회전할 수 있다. 구동롤(14)은 모터(15)와 타이밍 벨트(16) 등으로 연결되어 회전함으로써 컨베이어 벨트(11)가 회전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전달한다. 이 때 한 쌍의 경로 전환 롤(13a, 13b)은 컨베이어 벨트(11)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구비되고, 구동롤(14)은 컨베이어 벨트(11)의 내주면에 접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구동롤(14)은 한 쌍의 경로 전환 롤들(13a, 13b) 사이에 위치하며, 동시에 한 쌍의 경로 전환 롤들(13a, 13b)보다 낮은 위치, 즉 컨베이어 벨트(11)를 기준으로 한 쌍의 경로 전환롤(13a, 13b)들의 외측에 구비된다. 컨베이어 벨트(11)의 상부면 하단에는 지지플레이트(171)가 구비된다. 지지플레이트(171)는 컨베이어 벨트(11)의 상부면을 지지하며 약제 불출 시 낙하하는 약제에 충격을 컨베이어 벨트(11)의 상부면을 통해 전달받는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불출 약제 수집장치는 측면부재(172)를 포함한다. 상술한 지지플레이트(171)는 측면부재(1720에 고정된다.
도 4a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가드부를 설명한다. 도 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가드부가 구비된 약제 수집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약제 수집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불출 약제 수집장치의 측면에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높이를 갖도록 구비되어 상기 약제의 안착시 상기 약제가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 가드부(30)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가드부(30)는 고정부(33), 제1 경사부(32a, 32b) 및 높이 보강부(31)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33)는 측면 가드부(30a, 30b)들을 측면 부재(172)에 고정하기 위한 구성부이다. 제1 경사부(32a, 32b)는 외측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제1 경사부(32a, 32b)는 불출되는 약제가 안착될 수 있는 영역을 확대하는 기능을 하며, 약제의 낙하시 경사에 의하여 낙하 충격을 최소화 하는 기능을 한다. 높이 보강부(31)는 측면 가드부(30)의 높이를 확보하여 약제가 불출되는 도중 바운스(bounce)에 의하여 튀어 올라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면 가드부를 설명한다. 도 5a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면 가드부가 구비된 약제 수집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약제 수집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측면 가드부(30)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면에 불출되는 약제가 부?힘으로써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재(35)가 구비될 수 있다. 완충부재(35)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가드부(30a, 30b)들의 내측에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특히, 적어도 약제 불출박스가 위치하는 방향(D1)의 반대편 측면 가드부(30a)에는 완충부재(35)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면 가드부를 설명한다. 도 6a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면 가드부가 구비된 약제 수집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약제 수집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히, 약제 불출박스가 위치하는 방향(D1)의 반대편 측면 가드부(30a`)는 제1 경사부(32a, 32b)와는 반대의 경사가 형성되는 제2 경사부(34)가 포함될 수 있다. 제2 경사부(34)는 내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됨으로써 불출 시 낙하하는 약제가 외측으로 바운스되어 이탈하는 것을 보다 능동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를 설명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 및 도 9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구성 및 작동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카트리지(4)는 하부 하우징(40) 및 후면 하우징(50)로 구성되는 카트리지 하우징을 포함한다. 하부 하우징(40)은 연결되기 위한 후술할 약제 불출박스가 진입되는 경우 약제 불출박스를 지지하며, 후면 하우징(50)은 약제 불출박스가 일정 거리 이상 진입하는 것을 제한한다. 하부 하우징(40)의 상단에는 레일(41)이 후술할 약제 불출박스의 진입 경로를 따라 구비된다. 레일(41)은 약제 불출박스가 연결을 위하여 진입하는 것을 진입 경로를 따라 가이드한다. 레일(41)은 일정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향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레일(41)은 서로 평행한 둘 이상의 돌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후면 하우징(50)에는 제1 데이터 송수신 단자(51)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데이터 송수신 단자(51)는 약제 불출박스에 연결되어 약제 불출박스 내의 제어수단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일 예로서 약제 불출 장치는 제1 데이터 송수신 단자(51)를 통하여 약제 불출박스의 UUID 등을 수신하며 해당 불출박스에 보관된 약제의 종류 및 수량 등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데이터 송수신 단자(51)는 후면 하우징(50)으로부터 전면을 향하여 일정한 단차를 갖는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단에 약제 불출박스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커넥터 핀이 구비된다.
저면 하우징(40)에는 이탈 촉진부(42)를 구비한다. 이탈 촉진부(42)는 후술할 약제 불출박스의 분리 시에 약제 불출박스에 분리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구체적으로 이탈 촉진부(42)는 제1 돌출부(421) 및 제1 탄성부재(422)를 포함한다. 제1 돌출부(421)는 하부 하우징(40)의 상단으로 돌출되어 외부로 노출된다. 제1 탄성부재(422)는 약제 불출박스가 연결되는 과정에서 가압되었다가 약제 불출박스가 분리될 때에 약제 불출박스에 탄성력에 의한 복원력을 제공한다.
또한 후면 하우징(50)에는 약제 불출박스를 고정시키거나 이탈가능하도록 릴리즈 시키는 잠금부(52)를 구비한다. 잠금부(5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523), 감금부 본체(522), 걸이부(521), 연장부(524), 피감지부(525) 및 감지부(526)를 포함한다.
캠(523)은 일정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회전의 중심이 되는 축을 중심으로 장반경부 및 단반경부를 구비한다. 잠금부 본체(522)는 잠금부의 몸체를 구성하며,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523)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구비되어 캠(523)이 회전함에 따라 장반경부에 접할 때는 상승하고, 단반경부에 접할때는 하강하도록 작동된다. 걸이부(521)는 잠금부 본체(522)의 전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잠금부 본체(522)의 승강에 따라 함께 상승하거나 하강한다. 한편, 잠금부 본체(522)의 상단으로부터 상향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524)를 더 포함하며, 연장부(524)와 인접하도록 감지부(526)가 구비된다. 감지부(526)로는 수광부 및 발광부를 구비하는 센서, 예를 들면 적외선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연장부(524)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피감지부(525)가 형성되며, 피감지부(525)는 감지부(526)의 수광부와 발광부 사이에서 상승 및 하강 하도록 구비되어 잠금부(52)의 상승 및 하강, 즉 잠금부(52)가 고정 위치인지 혹은 릴리즈 위치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도 10 내지 도 12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박스를 설명한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박스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는 도 10의 약제 불출박스의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측 저면 사시도이며, 도 12은 도 10의 약제 불출박스의 모습을 나타내는 후면측 저면 사시도이다.
약제 불출박스(60)는 불출박스 하우징(61)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하우징(61)은 하우징 본체(611)와 전단부(612)를 포함한다. 전단부(612)에는 배출구(613)이 형성되며, 기어(621)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구비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611)의 저면에는 레일 수용부(64)가 형성된다. 레일 수용부(64)는 상술한 레일이 삽입되어 진입 경로를 따라 가이드된다. 레일 수용부(64)는 하우징 본체(611)의 후면에 이르기까지 형성된다. 또한 레일 수용부(64)은 약제 불출박스와 카트리지의 연결 시에 후면측으로부터 레일이 수용되고, 레일이 레일 수용부(64)를 따라 전면부 측으로 점차적으로 수용된다. 이 때 레일 수용부(64)는 불출박스 하우징(611)의 후면부측에 수용 개시부(64a)가 형성될 수 있다. 수용 개시부(64a)는 레일 수용부(64)의 일부로서 후면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폭이 확대되도록 형성된다. 수용 개시부(64a)는 레일이 수용되는 개시지점으로서 폭이 확대됨으로써 레일이 보다 용이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수용 개시부(64a)는 다양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레일 수용부(64) 전체가 후면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하우징 본체(611)의 저면에는 상술한 이탈 촉진부를 수용하는 이탈 촉진부 수용홈(65)이 형성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탈 촉진부는 약제 불출박스와 카트리지의 연결시에 수용홈(65)에 수용된 상태로 가압되거나 하우징 본체(611)에 분리방향으로 탄성력에 의한 힘을 가한다.
하우징 본체(611)의 후면에는 데이터 단자부(66, 67)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단자부는 단자 수용홈(66)과 제2 데이터 송수신 단자(67)를 포함한다. 단자 수용홈(66)은 카트리지의 데이터 송수신 단자를 수용하며, 제2 데이터 송수신 단자(67)는 카트리지의 데이터 송수신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하우징 본체(611)의 후면에는 걸림부(68)가 형성된다. 걸림부(68)는 앞서 설명한 카트리지의 잠금부 중 걸이부가 걸릴수 있도록 단차진 홈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박스의 동력 차단부를 설명한다. 도 13는 도 10의 약제 불출박스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후면측 저면 사시도이고, 도 14 내지 도 16은 도 10의 약제 불출박스의 모습을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이다.
한편, 하우징 본체(611)의 저면에 형성된 레일 수용부(64)의 전면측에는 회동부(691)가 노출된다. 회동부(691)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 차단부의 일 구성부로서 상술한 레일이 수용되는 경우 레일에 의하여 가압되는 구성부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약제 불출박스는 외부로부터의 동력을 전달받는 기어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한다. 동력 차단부는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도 불구하고 기어들이 회전하지 못하도록 구속하거나 릴리즈시키도록 제어하는 기계적인 구성부이다.
구체적으로 도 15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 차단부는 회동부(691) 및 차단부 본체(692)를 포함한다. 회동부(691)는 제1 단부(6911), 회동축(6912) 및 제2 단부(6913)을 포함한다. 제1 단부(6911)는 회동축(6912)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제2 단부(6913)는 회동축(6912)을 기준으로 제1 단부(6911)의 타측에 구비되어 제1 단부(6911)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차단부 본체(692)는 접촉부(6921), 제1 연장부(6922), 제2 연장부(6923) 및 제2 돌출부(6924)를 포함한다. 접촉부(6921)는 상술한 제2 단부(6913)에 접촉한 상태로 구비된다. 제1 연장부(6922)는 접촉부(6921)로부터 기어(622) 측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제2 연장부(6923)은 제1 연장부(6922)의 기어(622) 측 단부로부터 상향 연장형성된다. 제2 연장부(6923)의 단부에는 기어(622) 측 방향으로 돌출된 제2 돌출부(6924)가 형성된다. 제2 돌출부(6924)는 기어(622)의 이(tooth)와 이(tooth) 사이에 삽입되어 기어(622)의 회전을 구속하거나, 기어(622)의 이(tooth)와 이(tooth) 사이로부터 이탈하여 기어(622)가 회전가능하도록 릴리즈된다. 한편, 제2 연장부(6923)에 접하도록 제2 탄성부재(693)이 구비될 수 있다. 제2 탄성부재(693)는 탄성에 의하여 제2 연장부(6923)를 기어(622)가 구비된 방향으로 밀어주는 기능을 한다.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단부(6911)가 상술한 레일에 의하여 밀려 기어(622) 측 방향(D2)으로 회동하게 되면, 제2 단부(6913)은 반대로 기어(622)의 반대측 방향(D3)으로 회동한다. 이 때 접촉부(6921)는 제2 단부(6913)에 의하여 기어(622)의 반대측 방향(D3)으로 밀려 후퇴하며, 접촉부(6921)와 제1 연결부(6922) 및 제2 연결부(6923)을 통하여 연결된 제2 돌출부(6924) 또한 기어(622)의 반대측 방향(D3)으로 후퇴하여 기어(622)의 이와 이 사이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기어(622)는 회전이 가능하게 릴리즈된다.
도 17 내지 도 19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박스와 카트리지의 연결 모습을 설명한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박스와 카트리지의 연결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8 및 도 19은 일 실시에에 따른 약제 불출박스와 카트리지의 연결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제 불출박스(60)는 카트리지(4)의 저면 하우징(40)에 구비된 레일(41)을 따라 진입되어 카트리지(4)와 결합된다. 이 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4)에 구비되는 이탈 촉진부(42), 제1 송수신 단자(51) 및 잠금부(52)는 약제 불출박스(60) 중 각각 대응하는 구성부에 삽입된다.
구체적으로 약체 불출박스(60)의 결합 시에 레일(41)은 레일 수용부(64)에 수용되고, 걸이부(521)는 약제 불출박스(60)의 후면에 형성된 걸림부(68)에 삽입되어 걸리는 방식으로 고정된다. 또한 제1 데이터 송수신 단자(51)는 데이터 단자부(66)에 수용된 상태로 약제 불출박스(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때 캠(523)은 외주면 중 단반경 부분이 잠금부 본체(522)와 접하게 된다.
또한 약제 불출박스(60)의 분리 시에는 역으로 캠(523)의 외주면 중 장반경 부분이 잠금부 본체(522)와 접하게 되어 걸이부(521)가 들어올려지게 된다. 걸이부(521)가 들어올려지게 되면, 걸이부(521)는 약제 불출박스(60)의 후면에 형성된 걸림부(68)로부터 릴리즈 됨으로써 약제 불출박스(60)가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된다. 약제 불출박스(60)가 분리되는 경우 레일(41)은 레일 수용홈(64)으로부터 점차적으로 이탈되는 부분이 증가하게 되며, 제1 데이터 송수신 단자(51)는 데이터 단자부(66) 또한 데이터 단자부(66)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한 상호 결합구조를 갖는 약제 불출박스 및 카트리지로 구현될 수 있다.
1: 약제 불출장치 2: 불출 약제 수집장치
4: 카트리지 10: 컨베이어
20: 배출 지연부 30: 측면 가드부
40: 하부 하우징 50: 후면 하우징
52: 잠금부 60: 약제 불출박스
64: 레일 수용부 691: 회동부
692: 차단부 본체

Claims (19)

  1. 약제 불출장치의 층별로 각각 구비되어 복수의 약제 불출박스가 연결되는 장치로서,
    상기 약제 불출박스를 지지하는 하부 하우징과, 상기 약제 불출박스의 일정 거리 이상의 진입을 제한하는 후면 하우징을 포함하는 카트리지 하우징;
    상기 하부 하우징에 상기 약제 불출박스의 진입 경로를 따라 구비되는 레일; 및
    상기 약제 불출박스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 데이터 송수신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레일은,
    상기 약제 불출박스가 진입하는 경우, 상기 약제 불출박스에 구비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기어의 회전을 구속하거나 릴리즈시키는 동력전달 차단부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구조를 갖는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일정 길이를 갖도록 상향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결합구조를 갖는 카트리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둘 이상 구비되고, 상기 레일은 서로 평행하게 구비되는 결합구조를 갖는 카트리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송수신 단자는 상기 후면 하우징으로부터 전면 방향으로 일정한 단차를 갖는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결합구조를 갖는 카트리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송수신 단자는 하단에 복수의 커넥터핀이 구비되는 결합구조를 갖는 카트리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약제 불출박스를 고정시키거나 이탈가능하도록 릴리즈 시키는 잠금부;를 포함하는 결합구조를 갖는 카트리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일정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장반경부 및 단반경부를 구비하는 캠;
    상기 캠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캠의 장반경부에 접하는 경우 상승하고 상기 캠의 단반경부에 접하는 경우 하강하는 잠금부 본체; 및
    상기 잠금부 본체의 전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상기 잠금부 본체와 함께 상승 및 하강하는 걸이부;를 포함하는 결합구조를 갖는 카트리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불출박스의 분리 시 상기 약제 불출박스에 분리방향의 힘을 가하는 이탈 촉진부;를 포함하는 결합구조를 갖는 카트리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촉진부는,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단으로 돌출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돌출부에 연결되어, 상기 약제 불출박스의 연결 시 가압되었다가 상기 약제 불출박스의 분리 시 상기 분리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결합구조를 갖는 카트리지.
  10. 카트리지에 연결되는 장치로서,
    불출박스 하우징;
    상기 불출박스 하우징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카트리지의 레일이 수용되어 연결을 위한 진입 시 진입경로를 가이드하는 레일 수용부; 및
    상기 카트리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단자부;
    동력을 전달받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기어; 및
    상기 기어의 회전을 구속하거나 릴리즈시키는 동력전달 차단부;를 포함하는 결합구조를 갖는 약제 불출박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수용부는 상기 불출박스 하우징의 후면에 이르도록 형성되어 상기 불출박스 하우징의 후면으로부터 노출되는 결합구조를 갖는 약제 불출박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수용부는 상기 불출박스 하우징의 후면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되는 수용 개시부가 더 형성되는 결합구조를 갖는 약제 불출박스.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단자부는,
    상기 카트리지의 데이터 송수신 단자를 수용하는 단자 수용홈; 및
    상기 단자 수용홈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카트리지 데이터 송수신 단자에 연결되는 제2 데이터 송수신 단자를 포함하는 결합구조를 갖는 약제 불출박스.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의 걸이부가 수용되어 걸리도록 단차진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걸림부를 더 포함하는 결합구조를 갖는 약제 불출박스.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불출박스 하우징에는 상기 카트리지의 이탈 촉진부를 수용하는 이탈 촉진부 수용홈이 형성되는 결합구조를 갖는 약제 불출박스.
  16. 삭제
  17. 삭제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 차단부는,
    회동축을 중심으로 상기 기어측 방향과 상기 기어의 반대측 방향으로 교번하여 회동하는 제1 단부와, 상기 제1 단부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단부의 회동방향의 반대로 회동하는 제2 단부를 구비하는 회동부;
    상기 제2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기어의 이(tooth)와 이(tooth) 사이에 삽입되는 제2 돌출부를 구비하는 차단부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부 본체는 상기 제2 단부가 상기 기어의 반대측으로 회동하는 경우 함께 후퇴하여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기어의 이와 이 사이로부터 이탈하는 결합구조를 갖는 약제 불출박스.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에 상기 기어 측 방향으로 가해지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결합구조를 갖는 약제 불출박스.
KR1020120123147A 2012-11-01 2012-11-01 상호 결합구조를 갖는 약제 불출박스 및 카트리지 KR102019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147A KR102019706B1 (ko) 2012-11-01 2012-11-01 상호 결합구조를 갖는 약제 불출박스 및 카트리지
AU2013248264A AU2013248264A1 (en) 2012-11-01 2013-10-28 Drug dispensing box and cartridge having mutually coupled structure
ES13190467.4T ES2667623T3 (es) 2012-11-01 2013-10-28 Caja dispensadora de medicamentos y cartucho que tienen una estructura mutuamente acoplada
EP13190467.4A EP2728560B1 (en) 2012-11-01 2013-10-28 Drug dispensing box and catridge having mutually coupled structure
CA2831201A CA2831201C (en) 2012-11-01 2013-10-28 Drug dispensing box and cartridge having mutually coupled structure
US14/065,109 US9251641B2 (en) 2012-11-01 2013-10-28 Drug dispensing box and cartridge having mutually coupled structure
CN201320687019.9U CN203624331U (zh) 2012-11-01 2013-11-01 具有相互耦合结构的药剂发放箱和储药器
CN201310534647.8A CN103803229B (zh) 2012-11-01 2013-11-01 具有相互耦合结构的药剂发放箱和储药器
AU2016202236A AU2016202236B2 (en) 2012-11-01 2016-04-11 Drug dispensing box and cartridge having mutually coupled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147A KR102019706B1 (ko) 2012-11-01 2012-11-01 상호 결합구조를 갖는 약제 불출박스 및 카트리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5810A KR20140055810A (ko) 2014-05-09
KR102019706B1 true KR102019706B1 (ko) 2019-09-09

Family

ID=49517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3147A KR102019706B1 (ko) 2012-11-01 2012-11-01 상호 결합구조를 갖는 약제 불출박스 및 카트리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251641B2 (ko)
EP (1) EP2728560B1 (ko)
KR (1) KR102019706B1 (ko)
CN (2) CN103803229B (ko)
AU (2) AU2013248264A1 (ko)
CA (1) CA2831201C (ko)
ES (1) ES2667623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77668A (zh) * 2012-04-18 2019-02-22 Jvm有限公司 药物配发系统及其控制方法
KR102019706B1 (ko) * 2012-11-01 2019-09-09 (주)제이브이엠 상호 결합구조를 갖는 약제 불출박스 및 카트리지
WO2016193869A1 (en) * 2015-05-29 2016-12-08 Swisslog Italia S.P.A. Automatic storage and distribution system, and housing unit and picking unit for products packaged in unit doses
CN107480459B (zh) * 2017-08-24 2021-03-16 伯图电子商务股份有限公司 保健功能品推荐方法及装置
CN108820662A (zh) * 2018-05-30 2018-11-16 深圳市智莱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工作服自动发放装置
USD979649S1 (en) * 2020-10-02 2023-02-28 Ethicon, Inc. Medical product storage device
USD989176S1 (en) * 2020-10-02 2023-06-13 Ethicon, Inc. Combined storage and dispensing device for medical produc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27810B2 (ja) * 2008-09-18 2010-08-18 株式会社湯山製作所 錠剤フィーダ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39838A (en) * 1959-09-16 1962-06-19 Ind Corp Holding mechanism
US3658394A (en) * 1970-09-01 1972-04-25 Kenneth H Gutner Drawer slide and guide assembly
US4436215A (en) * 1982-01-21 1984-03-13 Kleinert Karl W Storage drawer with retained partitions
US4664289A (en) * 1985-06-03 1987-05-12 Sanyo Electric Co, Ltd. Drug dispensing apparatus
US4832509A (en) * 1987-08-24 1989-05-23 Winzeler Stamping Company Drawer guide structure
JPH02162794A (ja) 1988-12-16 1990-06-22 Seiko Epson Corp 上下筐体取り付けロック機構
JP2666104B2 (ja) * 1992-09-16 1997-10-22 三田工業株式会社 ペーパーカセットの支持装置
US6116461A (en) 1998-05-29 2000-09-12 Pyxi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dispensing of drugs
US6185530B1 (en) * 1998-08-14 2001-02-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potential acoustic confusibility among words in a speech recognition system
JP4617011B2 (ja) * 2001-03-13 2011-01-19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収容取出し装置
JP4351016B2 (ja) * 2003-10-01 2009-10-28 株式会社湯山製作所 錠剤カセット
KR100599509B1 (ko) 2005-03-10 2006-07-13 (주)제이브이엠 약제 자동 포장장치 및 그 장치 카트리지의 카세트 자동인식방법
JP4961791B2 (ja) * 2006-03-27 2012-06-27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カート
US8430269B2 (en) 2008-09-30 2013-04-30 Jvm Co., Ltd. Tablet cassette of automatic tablet packing apparatus
US20110172815A1 (en) * 2010-01-11 2011-07-14 Jvm Co., Ltd. Medicine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bin for the apparatus, and cart for the apparatus
CA2735105C (en) * 2011-03-15 2015-02-10 Jvm Co., Ltd. Medicine feeding apparatus
KR101254651B1 (ko) * 2011-03-15 2013-04-15 (주)제이브이엠 약품공급장치
KR101254633B1 (ko) * 2011-03-15 2013-04-15 (주)제이브이엠 약품공급장치와 이 장치를 이용한 약품공급방법
KR101293099B1 (ko) * 2011-03-15 2013-08-12 (주)제이브이엠 약품공급장치
KR102019706B1 (ko) * 2012-11-01 2019-09-09 (주)제이브이엠 상호 결합구조를 갖는 약제 불출박스 및 카트리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27810B2 (ja) * 2008-09-18 2010-08-18 株式会社湯山製作所 錠剤フィー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803229A (zh) 2014-05-21
KR20140055810A (ko) 2014-05-09
ES2667623T3 (es) 2018-05-11
CN103803229B (zh) 2017-09-01
CA2831201C (en) 2016-06-28
CA2831201A1 (en) 2014-05-01
US9251641B2 (en) 2016-02-02
AU2013248264A1 (en) 2014-05-15
AU2016202236B2 (en) 2018-07-12
US20140117038A1 (en) 2014-05-01
CN203624331U (zh) 2014-06-04
AU2016202236A1 (en) 2016-05-05
EP2728560B1 (en) 2018-03-07
EP2728560A1 (en) 2014-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9706B1 (ko) 상호 결합구조를 갖는 약제 불출박스 및 카트리지
EP3300044B1 (en) Medicine-dispensing apparatus
JP2010535683A (ja) 薬剤包装装置の自由形状錠剤の自動排出器及び錠剤供給方法
KR102399754B1 (ko) 약제 카세트, 약제 불출 장치 및 약제 포장 장치
KR101776347B1 (ko) 약제 불출 장치
KR102049273B1 (ko) 약제 불출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 불출 장치
KR20160060043A (ko) 약제 공급 유닛
KR102142749B1 (ko) 약제 카세트 및 약제 포장 장치
CN104044852A (zh) 用于收集被分发药剂的设备
KR20160060045A (ko) 약제 공급 유닛 및 약제 공급 장치
RU2593364C2 (ru) Трубка для хранения разовых доз лекарственного средства,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е наполнения и блок выдачи, использующий вышеупомянутое
EP2727864A1 (en) Drug gathering apparatus
KR20140055809A (ko) 불출 약제 수집장치
CN104106949A (zh) 针剂取药机构
KR20160058106A (ko) 약제 공급체 및 약제 공급 유닛
KR20160060642A (ko) 약제 공급 유닛
WO2009086538A2 (en) Zero cross-contamination collector
KR102147197B1 (ko) 의약품 불출 장치
US10445970B2 (en) Medicine-dispensing apparatus
KR102458354B1 (ko) 의약품 불출 장치
KR20140055947A (ko) 약제 수집장치
KR101659805B1 (ko) 알약 정량 공급용 캐니스터
KR102531178B1 (ko) 블리스터 팩용 블리스터 시트 공급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약제의 블리스터 팩킹 장치
US11738155B2 (en) Device for handling a syringe and automated device for preparing intravenous medication comprising said device for handling a syringe
TW202211901A (zh) 錠劑放出裝置、具有錠劑放出裝置的藥劑分包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