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9754B1 - 약제 카세트, 약제 불출 장치 및 약제 포장 장치 - Google Patents

약제 카세트, 약제 불출 장치 및 약제 포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9754B1
KR102399754B1 KR1020187017527A KR20187017527A KR102399754B1 KR 102399754 B1 KR102399754 B1 KR 102399754B1 KR 1020187017527 A KR1020187017527 A KR 1020187017527A KR 20187017527 A KR20187017527 A KR 20187017527A KR 102399754 B1 KR102399754 B1 KR 102399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cassette
rotating body
chemical
medical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7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8844A (ko
Inventor
나오키 고이케
다카노리 요로즈
쇼이치로 오카다
겐이치 다카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80088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8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9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9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10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 B65B5/101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 B65B5/103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for packaging pills or tab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76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46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 G07F11/5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th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being rotatably mounted
    • G07F11/5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th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being rotatably mounted about vertical ax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65B35/46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by rotary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65B57/14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and operating to control, or stop, the feed of articles or material to be packaged
    • B65B57/145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and operating to control, or stop, the feed of articles or material to be packaged for fluent material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9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assembling and dispensing of pharmaceutical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70Device provided with specific sensor or indicating means
    • A61J2200/72Device provided with specific sensor or indicating means for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5/00General identification or selection means
    • A61J2205/30Printed labe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약제 카세트(100)는 주벽 구성체(110)와 제1 회전체(120)와 제2 회전체(130)와 약제 배출부(144c)를 구비하고 있다. 약제 카세트(100)는, 약제 수용부(182) 내에 준비된 약제를, 제1 회전체(120)의 회전에 따라 쓸어올려 제2 회전체(130)로 이송시킴과 더불어, 제2 회전체(130)의 회전 방향 하류 측으로 이송시켜, 약제 배출부(144c)로부터 배출시킬 수 있다. 주벽 구성체(110)에는, 제2 회전체(130)의 아래쪽에 있어서 제2 회전체(130)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서 팽출된 팽출부(110a)가 마련되어 있다.

Description

약제 카세트, 약제 불출 장치 및 약제 포장 장치
본 발명은 약제 카세트, 약제 불출 장치 및 약제 포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하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약제 포장 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이 약제 포장 장치는 수작업에 의해 약제를 뿌려 넣을 수 있는 수동 살포부나 약제 피더를 구비하고 있다. 수동 살포부에는 약제를 뿌려 넣는 복수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각 오목부에 미리 한 포 분량의 약제를 뿌려 넣어 놓음으로써, 약제를 한 포 분량씩 불출하여 포장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약제 피더에는 다수의 약제를 수용할 수 있는 약제 카세트가 마련되어 있으며, 처방에 따라서 1개씩 약제를 배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개 2006-232351호 공보
여기서, 최근의 의료 현장에서는 소위 제네릭 의약품이 이용되거나 하여 취급되는 약제의 종류가 방대하게 되고 있다. 약제 포장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나 약제 피더에 준비할 수 있는 약제의 종류에는 한계가 있다. 그 때문에, 종래 기술의 약제 분포(分包) 장치나 이것에 이용되고 있는 약제 불출 장치, 약제 카세트에서는, 어느 약제의 취급 점수의 증가에 대응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약제 피더에 준비할 수 없는 약제를 처방하는 경우에, 상술한 수동 살포부를 활용하는 방법도 생각되지만, 작업 효율의 저하를 초래하고, 인적 실수를 유발하지 않을 수 없다.
이러한 문제점에 감안하여, 본 발명은, 수동 살포부 등을 이용한 수작업에 의한 휴먼 에러의 발생을 최소한으로 억제하고, 최소한의 스페이스에서 원활하게 약제를 불출할 수 있는 약제 카세트나, 약제 불출 장치, 약제 분포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약제 카세트는, 약제가 수용되는 약제 수용부의 주벽(周壁)을 구성하는 주벽 구성체와, 상기 주벽 구성체의 바닥 측에서 상단 측을 향해서 경사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주벽 구성체의 축선에 대하여 경사진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는 제1 회전체와, 상기 주벽 구성체의 상단 측의 외주에 배치되고,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는 제2 회전체와, 약제를 배출하기 위한 약제 배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약제 수용부 내에 준비된 약제를, 상기 제1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제2 회전체로 이송시킴과 더불어, 상기 제2 회전체의 회전 방향 하류 측으로 이송시켜, 상기 약제 배출부로부터 배출시킬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주벽 구성체가 상기 제2 회전체의 아래쪽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체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서 팽출된 팽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약제 카세트에서는 주벽 구성체에 팽출부가 마련되어 있다. 팽출부는, 제2 회전체의 아래쪽에 있어서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서 팽출되어 있으며, 그 만큼 약제 수용부를 크게 취하면서 제2 회전체의 아래쪽 영역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약제의 수용량을 확보하면서 컴팩트하고 설치 스페이스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는 약제 카세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 카세트는, 약제 수용부 내에 약제를 준비해 두면, 제1 회전체 및 제2 회전체의 회전 제어를 행함으로써, 약제를 적절하면서 또한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작업에 의한 휴먼 에러의 발생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약제 카세트에서는, 약제 수용부가 주벽 구성체 및 제1 회전체에 의해서 구획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제1 회전체의 아래쪽이 되는 영역은 약제의 수용에 기여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상술한 것과 같은 팽출부를 마련하는 경우에는, 제1 회전체와의 위치 관계를 고려하여 팽출부를 마련함으로써, 약제 카세트 내의 공간 효율 및 약제 수용부의 용적을 향상시키면서 약제 카세트를 컴팩트화할 수 있다.
이러한 지견에 기초하면, 상술한 약제 카세트는, 상기 팽출부가, 상기 제1 회전체의 외주연과 상기 제2 회전체의 내주연이 인접하는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 회전체의 직경 방향 반대쪽의 영역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약제 카세트에서는, 제1 회전체가 바닥 측에서 상단 측을 향해서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1 회전체의 외주연과 상기 제2 회전체의 내주연이 인접하는 위치(이하 「회전체 인접부」라고도 부른다)에 있어서는, 제1 회전체는 주벽 구성체의 상단 측에 존재하고 있으며, 이 아래쪽에 팽출부를 마련하더라도 약제 수용부의 용적 향상에는 거의 공헌하지 않는다. 또한, 회전체 인접부 측에 팽출부를 마련하면 약제 카세트 내의 공간 효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될 지도 모른다. 이에 대하여, 회전체 인접부에 대하여 제1 회전체의 직경 방향 반대쪽의 위치에 있어서는, 제1 회전체가 주벽 구성체의 바닥 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쪽의 영역에 팽출부를 마련하면 약제 수용부의 용적 향상에 크게 공헌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회전체 인접부에 대하여 제1 회전체의 직경 방향 반대쪽의 위치에 팽출부를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약제 카세트 내의 공간 효율 및 약제 수용부의 용적 향상에 보다 한층 더 기여하면서 약제 카세트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술한 약제 카세트는, 상기 제1 회전체의 외주연과 상기 제2 회전체의 내주연이 인접하는 영역을 올라타기 측 영역으로 하고, 상기 올라타기 측 영역과는 상기 제1 회전체의 직경 방향 반대쪽의 영역을 쓸어올리기 측 영역으로 한 경우에, 상기 팽출부가 적어도 상기 쓸어올리기 측 영역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약제 카세트에서는 제1 회전체가 바닥 측에서 상단 측을 향해서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1 회전체는, 올라타기 측 영역에 있어서 주벽 구성체의 상단 측에 존재하고 있고, 쓸어올리기 측 영역에 있어서 주벽 구성체의 바닥 측에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올라타기 측 영역에 팽출부를 마련하더라도 팽출부가 제1 회전체의 아래쪽에 존재하게 되어, 약제 수용부의 용적 향상에는 거의 기여하지 않는다. 또한, 올라타기 측 영역에 팽출부를 마련하면 약제 카세트 내의 공간 효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될 지도 모른다. 이에 대하여, 쓸어올리기 측 영역에 있어서는 제1 회전체가 주벽 구성체의 바닥 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쓸어올리기 측 영역에 팽출부를 마련하면 약제 수용부의 용적 향상에 크게 공헌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쓸어올리기 측 영역에 팽출부를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약제 카세트 내의 공간 효율 및 약제 수용부의 용적 향상에 보다 한층 더 기여하면서 약제 카세트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약제 카세트는, 약제가 수용되는 약제 수용부의 주벽을 구성하는 주벽 구성체와, 상기 주벽 구성체의 바닥 측에서 상단 측을 향해서 경사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주벽 구성체의 축선에 대하여 경사진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는 제1 회전체와, 상기 주벽 구성체의 상단 측의 외주에 배치되고,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는 제2 회전체와, 약제를 배출하기 위한 약제 배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약제 수용부 내에 준비된 약제를, 상기 제1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제2 회전체로 이송시킴과 더불어, 상기 제2 회전체의 회전 방향 하류 측으로 이송시켜, 상기 약제 배출부로부터 배출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약제가 상기 제1 회전체에서 상기 제2 회전체로 이송된 후, 상기 약제 배출부에 이르기까지의 이송 경로에 있어서 약제를 검지할 수 있는 이송 약제 검지 장치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약제 카세트에서는, 이송 약제 검지 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약제가 제1 회전체에서 제2 회전체로 이송된 후, 약제 배출부에 이르기까지의 이송 경로에 있어서 약제를 검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하면, 이송 약제 검지 장치에 의한 검지 신호에 기초하여 약제의 이송 상태를 파악하고, 약제 카세트의 동작 제어 등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제 카세트는 이송 약제 검지 장치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따라 얻어지는 검지 결과를 약제의 배출 제어에 활용하여, 약제의 불출 작업의 최적화에 도움이 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제 카세트를 이용하면, 수작업을 최소한으로 억제하여, 휴먼 에러를 피하는 데 관해서 일정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약제 카세트는, 상기 제1 회전체의 외주연과 상기 제2 회전체의 내주연이 인접하는 위치가 기준 위치로 되고, 상기 이송 약제 검지 장치가, 상기 기준 위치에서부터 상기 배출부에 이르기까지의 상기 이송 경로에 있어서 약제를 검지할 수 있게 설치된 것이라도 좋다.
본 발명의 약제 카세트에서는, 제1 회전체의 외주연과 제2 회전체의 내주연이 인접하는 위치(기준 위치) 혹은 이 근방에 있어서 약제가 제1 회전체에서 제2 회전체로 이송되는 것으로 상정된다. 그 때문에, 본 발명과 같이 기준 위치에서부터 약제 배출부에 이르는 이송 경로에 이송 약제 검지 장치를 배치함으로써, 약제 수용부 내에 준비된 약제가 제2 회전체로 이송되었는지 여부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약제 카세트는, 약제가 수용되는 약제 수용부의 주벽을 구성하는 주벽 구성체와, 상기 주벽 구성체의 바닥 측에서 상단 측을 향해서 경사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주벽 구성체의 축선에 대하여 경사진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는 제1 회전체와, 상기 주벽 구성체의 상단 측의 외주에 배치되고,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는 제2 회전체와, 약제를 배출하기 위한 약제 배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약제 수용부 내에 준비된 약제를, 상기 제1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제2 회전체로 이송시킴과 더불어, 상기 제2 회전체의 회전 방향 하류 측으로 이송시켜, 상기 약제 배출부로부터 배출시킬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1 회전체가 상기 약제 수용부 측에 있어서 오목형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약제 카세트에서는, 제1 회전체가 약제 수용부 측에 있어서 오목형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 회전체를 평판상 등의 형상으로 한 경우와 비교하여, 약제 수용부의 용적 향상이나 약제 카세트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 카세트를 이용하면, 약제 수용부 내에 약제를 준비해 두면, 제1 회전체 및 제2 회전체의 회전 제어를 행함으로써, 약제를 적절하면서 또한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작업에 의한 휴먼 에러의 발생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약제 카세트에 있어서, 약제 수용부에 준비된 약제를 신속히 약제 배출부까지 도달시키기 위해서는, 제1 회전체에서 제2 회전체로의 약제의 이송이 원활하게 행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지견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본 발명의 약제 카세트는, 약제가 수용되는 약제 수용부의 주벽을 구성하는 주벽 구성체와, 상기 주벽 구성체의 바닥 측에서 상단 측을 향해서 경사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주벽 구성체의 축선에 대하여 경사진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는 제1 회전체와, 상기 주벽 구성체의 상단 측의 외주에 배치되고,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는 제2 회전체와, 약제를 배출하기 위한 약제 배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약제 수용부 내에 준비된 약제를, 상기 제1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제2 회전체로 이송시킴과 더불어, 상기 제2 회전체의 회전 방향 하류 측으로 이송시켜, 상기 약제 배출부로부터 배출시킬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1 회전체의 외주부에 있어서 직경 방향 내측에서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의 구배가, 상기 제1 회전체의 내주부에 있어서 직경 방향 내측에서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의 구배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약제 카세트에 있어서, 제1 회전체는, 주벽 구성체의 바닥 측에서 상단 측, 즉 제2 회전체 측을 향해서 오르막 구배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회전체는, 외주부에 있어서 직경 방향 내측에서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의 구배가, 제1 회전체의 내주부에 있어서 직경 방향 내측에서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의 구배보다도 작게 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1 회전체는 제2 회전체 근방에 있어서 경사가 완만하게 된다. 그 때문에, 상술한 것과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1 회전체에서 제2 회전체로의 약제의 이송를 원활하게 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과 같이 제1 회전체의 외주부의 구배를 내주부보다도 작게 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제1 회전체의 전체적인 설치 각도(구배)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회전체의 설치에 요하는 면적을 최소한으로 억제하고, 나아가서는 약제 카세트의 폭이나 길이를 억제하여, 컴팩트화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약제 카세트는, 제1 회전체 및 제2 회전체의 회전 제어를 행함으로써, 사람손에 의지하지 않고서 약제를 적절하면서 또한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약제 카세트를 채용함으로써, 수작업에 의한 휴먼 에러의 발생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약제 카세트는, 약제가 수용되는 약제 수용부의 주벽을 구성하는 주벽 구성체와, 상기 주벽 구성체의 바닥 측에서 상단 측을 향해서 경사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주벽 구성체의 축선에 대하여 경사진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는 제1 회전체와, 상기 주벽 구성체의 상단 측의 외주에 배치되고,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는 제2 회전체와, 약제를 배출하기 위한 약제 배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약제 수용부 내에 준비된 약제를, 상기 제1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제2 회전체로 이송시킴과 더불어, 상기 제2 회전체의 회전 방향 하류 측으로 이송시켜, 상기 약제 배출부로부터 배출시킬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1 회전체의 외주부에 있어서 직경 방향 내측에서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의 구배가, 상기 제1 회전체의 내주부에 있어서 직경 방향 내측에서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의 구배보다도 작고, 상기 외주부보다도 직경 방향 내측 영역에 있어서 상기 약제 수용부 측이 오목형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약제 카세트에 있어서 채용되고 있는 제1 회전체는 약제 수용부 측에 있어서 오목형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회전체를 오목형으로 한 만큼 약제 수용부의 용적을 향상시켜, 약제 카세트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제 카세트에서는, 제1 회전체의 외주부에 있어서의 구배가 내주부보다도 작게 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1 회전체의 경사는 제2 회전체 근방에 있어서 완만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약제 카세트에서는 제1 회전체에서 제2 회전체로의 약제의 이송이 원활하게 행해진다.
더욱이, 본 발명의 약제 카세트는, 제1 회전체 및 제2 회전체의 회전 제어를 행함으로써 약제의 불출을 기계적으로 행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약제 카세트에 의하면, 수작업에 의한 휴먼 에러의 억제에 공헌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회전체를 구동원 측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가 약제 수용부의 내측을 향해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접속 구조물 분만큼 약제 수용부의 용적이 감소해 버린다. 또한, 접속부에 의한 돌출부가 약제 수용부 내에 있으면, 약제 수용부로부터 약제를 회수할 때에 지장이 될 우려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약제 카세트를 기울여 약제를 회수하고자 하는 경우에 약제가 돌출부에 맞닿아 튀어오를 우려가 있다. 또한, 약제 수용부에 손을 넣어 약제를 회수하고자 할 때에도 돌출부가 방해가 되어 작업 효율이 저하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약제 카세트는, 상기 제1 회전체를 구동원 측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가 상기 약제 수용부의 외측에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약제 카세트에서는 접속부가 약제 수용부의 외측에 마련되어 있다. 즉, 제1 회전체의 약제 수용부 측에는 접속부를 설치함에 따른 돌출부가 존재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하면, 약제 수용부로부터 약제를 회수할 때에 우려되는 상술한 과제를 해소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약제 카세트는, 상기 주벽 구성체, 상기 제1 회전체 및 상기 제2 회전체를 적어도 수용한 카세트 본체를 가지고, 상기 주벽 구성체의 상단 측에 형성된 개구 부분으로부터 상기 약제 수용부에 준비된 약제를 회수할 수 있고, 상기 카세트 본체에, 회수 대상의 약제를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약제 수용부에 있는 약제의 회수 작업을 용이하면서 또한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는 약제 카세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 불출 장치는, 상술한 본 발명의 약제 카세트와, 상기 약제 카세트를 착탈할 수 있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상기 약제 카세트를 접속하는 카세트 접속 기구를 가지고, 상기 약제 카세트가, 상기 주벽 구성체, 상기 제1 회전체 및 상기 제2 회전체를 적어도 수용한 카세트 본체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카세트 본체를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슬라이드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상기 약제 카세트를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착탈할 수 있게 되어 있고, 상기 카세트 접속 기구가, 상기 카세트 본체 혹은 상기 베이스부 중 일측에 마련된 계지편과, 상기 카세트 본체 혹은 상기 베이스부 중 타측에 마련된 받음부와, 상기 계지편을 작동시키는 계지편 작동 기구를 가지고, 상기 계지편 및 상기 받음부가 상기 슬라이드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복수 배치되어 있고, 상기 계지편 작동 기구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계지편을 상기 받음부에 대하여 걸거나 벗길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약제 불출 장치에서는, 계지편 및 받음부가 슬라이드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복수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하면, 약제 카세트를 베이스부에 대하여 경사시키지 않고서 올바른 자세로 부착할 수 있는 약제 불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제 불출 장치에서 이용되고 있는 약제 카세트는, 제1 회전체 및 제2 회전체의 회전 제어를 행함으로써 약제의 불출 작업을 기계화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약제 불출 장치에 의하면, 약제의 불출 작업에 관해서 수작업에 의한 휴먼 에러의 억제에 공헌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약제 카세트는, 상기 주벽 구성체, 상기 제1 회전체 및 상기 제2 회전체를 적어도 수용한 카세트 본체와, 상기 주벽 구성체의 상단 측에 있어서 개폐 가능한 덮개를 가지고, 상기 덮개가 상기 카세트 본체의 정면 측과 인접하는 영역의 전부 또는 일부가 절결된 형상으로 되어 상기 카세트 본체의 정면 측에서 배면 측을 향하여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는 덮개 측의 삽입 영역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덮개 측의 삽입 영역에 손가락을 삽입함으로써 카세트 본체의 착탈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약제 불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약제 불출 장치가 상하 방향으로 간극 없이 배치된 상태라도, 덮개 측의 삽입 영역에 손가락을 넣어 카세트 본체를 상하에서 손가락으로 사이에 끼워 카세트를 빼낼 수 있다. 더욱이, 덮개 측의 삽입 영역을 협지한 채라도 덮개는 개폐 가능하다. 그 때문에, 카세트 본체를 협지한 채로 덮개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카세트 본체에 전자 페이퍼 등에 의해 표시부를 마련하는 경우에는, 많은 경우는 카세트 정면에 설치되기 때문에, 시인성의 관점에서 카세트 본체의 정면 측에 손잡이를 붙이기는 곤란하다. 이러한 경우라도, 상술한 구성에 의해 카세트 본체 정면 측에 설치된 전자 페이퍼 등 표시부의 시인성을 떨어트리는 일 없이 카세트 본체의 착탈이 용이하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약제 불출 장치는, 약제 카세트와 상기 약제 카세트를 착탈할 수 있는 베이스부를 가지고, 상기 약제 카세트가 상기 주벽 구성체, 상기 제1 회전체 및 상기 제2 회전체를 적어도 수용한 카세트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부가 상기 카세트 본체의 정면 측과 인접하는 영역의 전부 또는 일부가 절결된 형상으로 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아래쪽에 다른 약제 카세트를 배치한 상태에 있어서, 그 다른 약제 카세트와 베이스부의 사이에 상기 카세트 본체의 정면 측에서 배면 측을 향하여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는 베이스 측의 삽입 영역이 상기 베이스부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베이스부의 아래쪽에 있는 다른 약제 카세트와 베이스부의 사이에 있는 베이스 측의 삽입 영역에 손가락을 삽입함으로써, 카세트 본체의 착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약제 불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약제 불출 장치가 상하 방향으로 간극 없이 배치된 상태라도, 베이스 측의 삽입 영역에 손가락을 넣어, 카세트 본체를 상하에서 손가락으로 사이에 끼워 카세트를 빼낼 수 있다.
또한, 카세트 본체에 전자 페이퍼 등에 의해 표시부를 마련하는 경우에는, 많은 경우는 카세트 정면에 설치되어, 시인성의 관점에서 카세트 본체의 정면 측에 손잡이를 붙이기가 곤란하다. 이러한 경우라도, 상술한 구성에 의해 카세트 본체 정면 측에 설치된 전자 페이퍼 등 표시부의 시인성을 떨어트리는 일 없이 카세트 본체의 착탈이 용이하게 된다.
여기서, 상술한 약제 불출 장치와 같이, 본 발명의 약제 카세트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제1 회전체에 의해서 쓸어올려진 약제가 제2 회전체 위에 나란히 늘어선 상태가 된다. 제2 회전체 위에 있어서 약제끼리의 간격이 충분하지 않으면, 불출해야 하는 약제에 이어지는 위치에 있는 다른 약제도 잘못 불출되어 버릴 가능성이 없다고는 단언할 수 없다.
상술한 과제를 해소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약제 불출 장치는, 상술한 본 발명의 약제 카세트와, 상기 약제 카세트의 동작을 제어하는 카세트 제어 장치와, 상기 약제 배출부에 있어서의 약제의 배출 상태를 판정하는 배출 상태 판정 장치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2 회전체의 정회전에 따라 상기 배출 상태 판정 장치에 의해 약제의 배출이 검지될 때마다, 상기 제2 회전체를 미리 정해진 양만큼 역회전시키는 회전 제어가 상기 카세트 제어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약제 불출 장치에서는, 제2 회전체를 정회전시켜 약제의 배출이 확인될 때마다 제2 회전체를 미리 정해진 양만큼 역회전시키는 회전 제어가 행해진다. 이러한 회전 제어를 행함으로써, 제2 회전체 위에 있는 약제끼리의 간격이 넓어진다. 이에 따라, 불출해야 하는 약제에 이어지는 다른 약제가 잘못 불출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약제 불출 장치는, 상기 역회전 시의 회전 속도가 상기 정회전 시의 회전 속도보다도 고속으로 되도록 상기 제2 회전체의 회전 제어가 상기 카세트 제어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과 같은 제2 회전체의 회전 제어를 행함으로써, 제2 회전체 위에 있는 약제끼리의 간격을 원활하면서 또한 확실하게 확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불출해야 하는 약제에 이어지는 다른 약제가 잘못 불출되어 버릴 가능성을 한층 더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 불출 장치는, 상술한 본 발명의 약제 카세트와, 상기 약제 카세트의 동작을 제어하는 카세트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약제 수용부 내에서 상기 제2 회전체로 약제가 이송되었다고 상정되는 타이밍에서부터, 상기 제2 회전체로 이송되어 상기 약제 배출부 측으로 이송되는 약제 중 이송 방향 선두에 위치하는 약제가 미리 정해진 위치까지 도달한다고 상정되는 타이밍까지의 기간에 있어서의 상기 제2 회전체의 회전 속도가, 이송 방향 선두에 위치하는 약제가 상기 미리 정해진 위치를 넘은 후에 있어서의 상기 제2 회전체의 회전 속도보다도 고속이 되도록 상기 제2 회전체의 회전 제어가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약제 불출 장치에서는, 제1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약제가 제2 회전체로 이송되었다고 상정되는 타이밍에서부터, 이송 방향 선두에 위치하는 약제가 미리 정해진 위치까지 도달한다고 상정되는 타이밍까지 제2 회전체의 회전 속도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하고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하면, 약제 카세트로부터 최초의 약제가 불출될 때까지 요하는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 불출 장치는, 상술한 본 발명의 약제 카세트와, 상기 약제 배출부에 있어서의 약제의 배출 상태를 판정하는 배출 상태 판정 장치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2 회전체가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에 걸쳐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이송 약제 검지 장치에 의해 약제가 검지되고 또한 상기 배출 약제 검지 장치에 의해 약제의 배출이 검지되지 않음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배출 상태 판정 장치에 의해, 약제의 불출 불량이 생기고 있다는 판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약제의 불출 불량이 생겼다는 판정을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약제 불출 장치는, 상기 약제 카세트의 동작을 제어하는 카세트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배출 상태 판정 장치에 의해 약제의 불출 불량이 생기고 있다는 판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카세트 제어 장치에 의해, 상기 제2 회전체를 약제의 배출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불출 불량 해소 동작의 실행 제어가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과 같이, 약제의 불출 불량이 생기고 있다고 상정되는 경우에 제2 회전체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약제의 자세가 변화되거나 하여 불출 불량이 해소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약제의 불출 불량이 우려되는 경우라도, 사용자를 수고스럽게 하지 않고서 불출 불량을 해소할 수 있는 약제 불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 불출 장치는, 상술한 본 발명의 약제 카세트와, 상기 약제 카세트에 있어서의 약제의 잔존 가능성을 판정하는 잔약 판정 장치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약제 카세트에 의한 약제의 불출 완료 후에 상기 제2 회전체를 약제의 배출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역회전 시작 이후에 상기 이송 약제 검지 장치에 의해 약제가 검지되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잔약 판정 장치에 의해, 상기 약제 카세트 내에 약제가 잔존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판정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약제 카세트 내에 약제가 잔존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음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리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것과 같이 제2 회전체로 이송된 약제의 존재를 검지할 수 있는 이송 약제 검지 장치를 설치한 것에 있어서, 약제 수용부 내에 다수의 약제가 수용되거나 하여 제2 회전체 상에 존재하지 않은 약제가 이송 약제 검지 장치의 검지 범위 내에 들어가면, 제2 회전체 상에 약제가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오검지해 버릴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약제 불출 장치는, 상술한 본 발명의 약제 카세트와, 상기 약제 카세트의 동작을 제어하는 카세트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카세트 제어 장치가, 상기 이송 약제 검지 장치에 의해 약제가 검지되지 않음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제1 회전체를 회전시켜 상기 약제 수용부 내의 약제를 상기 제2 회전체로 이송시키는 이송 동작을 실행시키고, 상기 이송 약제 검지 장치에 의해 약제가 검지되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제1 회전체를 상기 이송 동작 시보다도 저속으로 회전, 정지 혹은 불규칙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약제 불출 장치에서는, 이송 약제 검지 장치에 의해서 약제가 검지되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제1 회전체를 회전, 정지 혹은 불규칙 회전시키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약제 수용부 내에 있는 약제의 자세를 무너뜨려 약제 수용부 내에 있는 약제가 제2 회전체 상에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오검지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회전체를 이송 동작 시보다도 저속으로 회전, 정지 혹은 불규칙 회전시킴으로써, 약제 수용부 내에 있는 약제에 가해지는 부하를 최소한으로 하여, 약제의 파손이나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약제 불출 장치에 있어서는, 약제 수용부에 수용되어 있는 약제의 종류 등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를 마련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약제 수용부에 수용되는 약제가 변경으로 되는 것을 상정하면, 예컨대 액정이나 전자 페이퍼 등과 같이 전력의 공급을 받아 정보의 재기록 등을 행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표시 장치를 전력을 사용하여 정보의 재기록 등을 행하는 것으로 한 경우, 표시 장치에 필요한 정보를 확실하게 표시하게 하거나 표시 장치의 보호를 도모하는 것을 고려하면, 재기록 작업 중 등에 잘못해서 표시 장치와 전력 공급부의 접속이 해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것과 같은 관점에서 본 발명자들이 예의 검토한 바, 표시 장치에 대하여 정보 표시용의 표시 데이터를 송신하기 시작하고 나서 완료될 때까지 드는 시간(재기록 시간)이 약제 불출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의 온도 조건(환경 온도 조건)에 따라서 변동하는 것을 알아냈다. 이러한 현상에 기초하여, 본 발명자들은 환경 온도 조건에 기초하여 재기록 시간을 설정하여, 표시 장치와 전력 공급부의 접속이 해제되지 않게 하는 기간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지견을 얻었다.
상술한 지견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본 발명의 약제 불출 장치는, 약제가 수용되는 약제 수용부를 가지고, 상기 약제 수용부 내에 준비된 약제를 처방 데이터에 기초하여 하나씩 불출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약제 수용부에 설치된 표시 장치와, 상기 표시 장치에 정보를 표시하게 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표시 데이터를 상기 표시 장치로 향해서 송신할 수 있는 표시 제어 장치와, 상기 표시 장치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상기 표시 데이터에 따른 표시 내용을 표시하게 하기 위한 전력을 상기 표시 장치에 공급할 수 있는 전력 공급부와, 상기 전력 공급부와 상기 표시 장치의 접속 상태를 유지하는 접속 유지부와, 설치 분위기 온도를 검지할 수 있는 온도 검지부와, 상기 표시 제어 장치에 의한 상기 표시 데이터의 송신 시작 시를 기준으로 하여 재기록 시간을 설정하고, 이 재기록 시간에 걸쳐 상기 전력 공급부와 상기 표시 장치의 접속이 유지되도록 상기 접속 유지부를 제어하는 접속 제어부를 가지고, 상기 접속 제어부가 상기 온도 검지부에 의한 검지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재기록 시간을 설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약제 불출 장치에서는, 환경 온도 조건에 기초하여 설정된 재기록 시간에 준하여, 표시 장치와 전력 공급부의 접속을 유지시키는 제어가 접속 제어부에 의해서 행해진다. 이에 따라, 표시 장치에 필요한 정보를 확실하게 표시하게 할 수 있음과 더불어 표시 장치를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 포장 장치는, 상술한 본 발명의 약제 카세트 혹은 상술한 본 발명의 약제 불출 장치와, 상기 약제 카세트로부터 불출된 약제를 포장하는 포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작업에 의한 휴먼 에러의 발생을 최소한으로 억제하여, 최소한의 스페이스로 원활하게 약제를 불출하여 포장할 수 있는 약제 분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동 살포부 등을 이용한 수작업에 의한 휴먼 에러의 발생을 최소한으로 억제하고, 최소한의 스페이스로 원활하게 약제를 불출할 수 있는 약제 카세트나 약제 불출 장치, 약제 분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의 (a)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포장 장치의 개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의 (b)은 도어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약제 불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약제 불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약제 불출 장치를 구성하는 베이스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베이스부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약제 불출 장치를 구성하는 약제 카세트에 관해서 덮개를 떼어낸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약제 카세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의 (a)은 도 6의 약제 카세트의 정면도이고, 도 8의 (b)은 배면도이고, 도 8의 (c)은 저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제1 회전체, 제2 회전체, 주벽 구성체 및 높이 규제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제1 회전체, 제2 회전체, 주벽 구성체 및 높이 규제체를 다른 각도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높이 규제체를 아래쪽의 각도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3에 도시하는 약제 카세트로부터 덮개 및 카세트 본체부를 제거하고, 폭 규제체를 협폭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3에 도시하는 약제 카세트로부터 덮개 및 카세트 본체부를 제거하고, 폭 규제체를 광폭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6에 도시한 약제 카세트를 단면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5의 (a)는 도 6에 도시한 약제 카세트의 단면도이고, 도 15의 (b)는 제1 회전체, 제2 회전체 및 주벽 구성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제1 회전체 및 동력 전달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7의 (a)은 제1 회전체의 측면도이고, 도 17의 (b)은 하면부 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의 약제 분포 장치에 있어서 행해지는 불출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흐름에 있어서 행해지는 약제 불출 준비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0은 도 18의 흐름에 있어서 행해지는 약제 불출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1은 도 18의 흐름에 있어서 행해지는 잔약 판정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2는 도 23에 도시한 표시 변경 처리를 실현할 수 있는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23은 표시 변경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4의 (a)는 표시 변경 처리를 행할 때의 분위기 온도와 재기록 시간의 관계를 도시하는 설명도이고, 도 24의 (b)는 보조 급전 장치를 설치한 경우에 있어서 표시 변경 처리를 행할 때의 분위기 온도와 재기록 시간의 관계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5의 (a)는 덮개 측 삽입 영역의 변형예, 도 25의 (b), 도 25의 (c)는 베이스 측 삽입 영역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포장 장치(10), 그리고 이것에 이용되는 약제 불출 장치(55) 및 약제 카세트(100)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필요에 따라서 특정 방향이나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예컨대 「상」, 「하」, 「측」, 「단」을 포함하는 용어)를 이용하지만, 이들 용어의 사용은 도면을 참조한 발명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서이며, 이들의 용어의 의미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설명은 본질적으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 그 적용물 혹은 그 용도를 제한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포장 장치(10)의 개략도이다. 약제 포장 장치(10)는 장치 본체(12)에 복수의 제1 약제 공급부(20), 수동 살포 약제 공급부(30), 포장부(40) 및 제2 약제 공급부(50)를 각각 설치한 것이다. 약제 포장 장치(10)를 구성하는 각 부는 제어 장치(200)에 의해서 구동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도 1의 (b)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1 약제 공급부(20)는, 장치 본체(12)의 정면측에 설치된 도어(14)의 내측에 내장되어 있다. 제1 약제 공급부(20)는 종래 공지된 것으로, 장치 본체(12)의 내부에 상하좌우로 복수 개의 약제 카세트(22)를 배치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각 약제 카세트(22)에는 종류별로 다수의 약제(이하, 약제라고 기재하는 경우, 주로 정제이지만, 캡슐제 등도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가 수용되어 있다. 처방 데이터 등에 기초하여, 해당하는 제1 약제 공급부(20)로부터 미리 정해진 수의 약제가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수동 살포 약제 공급부(30)는, 격자형으로 형성된 각 영역에, 반정(半錠)의 정제나 사용 빈도가 낮은 약제를 수동 살포로 셋트해 놓고서, 포장부(40)로 포장할 때에 이용하기 위한 것이다. 수동 살포 약제 공급부(30)는, 장치 본체(12)의 정면측에 있어서, 앞쪽으로 인출함으로써 약제를 수동 살포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약제를 수동 살포로 수동 살포 약제 공급부(30)에 준비한 후, 장치 본체(12) 내로 수동 살포 약제 공급부(30)를 되돌림으로써, 수동 살포에 의해 준비한 약제를 처방에 맞춰 순차 불출할 수 있다.
포장부(40)는, 롤에 휘감은 포장지를 되감아 공급하여, 상기 각 약제 카세트(22)나 수동 살포 약제 공급부(30)로부터 공급되는 약제를 1 포 분량씩 포장한다. 포장부(40)는, 장치 본체(12) 내이며 수동 살포 약제 공급부(30)보다도 아래쪽의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약제 공급부(50)는 사용 빈도가 낮은 약제나 수량을 카운트할 필요가 있는 약제 등을 수용하여 사용한다. 제2 약제 공급부(50)는 약제 불출 장치(55)를 구비하고 있다. 약제 불출 장치(55)는 단일이라도 좋지만,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8개) 마련되어 있다. 제2 약제 공급부(50)에 있어서의 약제 불출 장치(55)의 배치는 적절한 것으로 할 수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제2 약제 공급부(50)는 장치 본체(12)의 정면 측에 있어서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마련되어 있다다. 그 때문에, 제1 약제 공급부(50)와 같이 도어(14)를 개방하지 않더라도 혹은 도어(14)를 개방한 채로, 약제 불출 장치(55)를 구성하는 약제 카세트(100)의 착탈이나 약제 카세트(100)로의 약제의 보충, 교환 등의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약제 불출 장치(55)는 베이스부(60)와 베이스부(60)에 착탈 가능한 약제 카세트(100)로 이루어진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베이스부(60)는 베이스 본체(62)와 거기에 장착되는 복수의 모터 등의 구성 부품과 베이스 커버(65)를 구비한다.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베이스 본체(62)는 합성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평판형인 것이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베이스 본체(62)에는 제1 모터(64), 제2 모터(66), 제3 모터(68), 제4 모터(70), 급전부(72) 및 카세트 로크부(74) 등이 마련되어 있다.
제1 모터(64)는 후술하는 약제 카세트(100) 측에 마련된 높이 규제체(160)의 동력원이 되는 것이다. 제1 모터(64)는 베이스부(60)의 배면 측 영역(배면부(82))에 내장되어 있다. 제1 모터(64)는 회전축이 베이스부(60)의 배면 측에서 정면 측을 향해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모터(64)의 회전축의 선단부에는 제1 구동 기어(64a)가 부착되어 있다.
제2 모터(66)는 후술하는 약제 카세트(100) 측에 마련된 폭 규제체(170)의 동력원이 되는 것이다. 제2 모터(66)는, 제1 모터(64)와 마찬가지로, 베이스부(60)의 배면부(82)에 내장되어 있고, 회전축이 배면 측에서 정면 측을 향해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2 모터(66)의 회전축의 선단부에는 제2 구동 기어(66a)가 부착되어 있다.
제3 모터(68)는 후술하는 약제 카세트(100) 측에 마련된 제1 회전체(120)를 정역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원이 되는 것이다. 제3 모터(68)는 베이스부(60)의 배면부(82)에 내장되어 있고, 배면 측에서 정면 측을 향해서 회전축이 신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3 모터(68)의 회전축에는 제3 구동 기어(68a)가 부착되어 있다.
제4 모터(70)는 후술하는 약제 카세트(100) 측에 마련된 제2 회전체(130)를 정역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원이 되는 것이다. 제4 모터(70)는 베이스부(60)의 배면부(82)에 내장되어 있고, 상하 방향을 향해서 회전축이 신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4 모터(70)의 회전축에는 제4 구동 기어(70a)가 부착되어 있다.
급전부(72)(전력 공급부)는, 약제 카세트(100)가 베이스부(60)에 장착됨으로써 약제 카세트(100) 측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게 하는 단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예컨대, 약제 카세트(100) 측 또는 베이스부(60) 측의 급전부(72) 중 어느 한쪽이 수형의 단자, 남은 다른 쪽이 암형의 단자로 구성되면 된다.). 이에 따라, 약제 카세트(100)가 베이스부(60)에 장착되면 급전부(72)를 통해 후술하는 약제 카세트(100) 측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카세트 로크부(74)는, 후에 상세히 설명하는 약제 카세트(100) 측에 마련된 받음부(142x, 142x)와의 조합에 의해서, 베이스부(60)에 장착된 약제 카세트(100)를 탈락 불가능하게 로크하는 카세트 접속 기구(73)를 구성하는 것이다. 카세트 로크부(74)는 액츄에이터(76)와 작동부(78)를 구비하고 있다. 액츄에이터(76)는 작동부(78)를 작동시키기 위한 것이며, 예컨대 솔레노이드 등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작동부(78)는 접속부(78a)와 회동부(78b)와 지지축(78c)과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계지편(78d, 78d)을 구비하고 있다. 접속부(78a), 회동부(78b) 및 지지축(78c)은 계지편(78d, 78d)을 작동시키는 계지편 작동 기구(78e)를 구성한다.
접속부(78a)는 액츄에이터(76)와 회동부(78b)를 접속하는 조각 형상의 부재이다. 또한, 회동부(78b)는 지지축(78c)이 접속된 부재이며, 지지축(78c)의 축심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지지축(78c)과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지지축(78c)은, 베이스부(60)의 폭 방향, 즉 베이스부(60)에 대하여 약제 카세트(100)를 장착할 때의 슬라이드 방향에 대하여 교차(본 실시형태에서는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축체이다. 지지축(78c)에는 계지편(78d, 78d)이 간격을 두고서 배치되어 있다.
카세트 로크부(74)는, 액츄에이터(76)를 구동시킴으로써, 회동부(78b) 및 지지축(78c)을 회동시켜, 계지편(78d, 78d)을 승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부(60)의 저면부(80)에 형성된 개구로부터 계지편(78d, 78d)을 출몰(出沒) 혹은 퇴입(退入)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부(60)에 장착된 약제 카세트(100)의 저면에 마련된 받음부(142x, 142x)에 계지편(78d, 78d)을 걸거나 벗길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베이스 커버(65)는 저면부(80)와 배면부(82)로 구성되어 있다. 저면부(80)에는, 양측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80a)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80)a의 내측면에 의해서 후술하는 약제 카세트(100)의 카세트 바닥부(142)가 가이드된다. 가이드부(80a)의 상면 외측연으로부터는 더욱 위쪽으로 돌출하는 보조벽(80b)이 형성되어 있다. 보조벽(80b)에 있어서는 내측을 향해서 가이드 받음편(80c)이 돌출되어 있고, 이에 따라 약제 카세트(100)의 카세트 바닥부(142)가 가이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저면부(80)의 전단 중앙에는, 약제 카세트(100)의 전단 부분으로부터 손가락을 삽입하여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베이스 측의 삽입 영역(80d)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측의 삽입 영역(80d)은 오목부나 절결 등에 의해서 형성할 수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약제 불출 장치(55)의 정면 측에 있어서 개구되고, 정면 측에서 배면 측을 향해서 우묵하게 들어간 절결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커버(65)에는, 저면부(80)와 배면부(82)의 경계 근방에 상술한 카세트 로크부(74)의 계지편(78d, 78d)을 출몰 가능하게 하기 위한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배면부(82)에 있어서는 제1 구동 기어(64a), 제2 구동 기어(66a), 제3 구동 기어(68a) 및 제4 구동 기어(70a)가 노출되어 있다. 또한, 배면부(82)에는, 약제 카세트(100)로부터 불출된 약제를 안내하는 호퍼(82a)가 부착되어 있다. 단, 이 호퍼(82a)는 약제 카세트(100)에 고정되어 있어도 좋다. 그리고, 호퍼(82a)에 배출되는 약제는 배출 약제 검지 장치(82b)에 의해서 검출되어 카운트된다.
배출 약제 검지 장치(82b)에는 광 센서가 사용되고,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2 회전체(130)의 상면보다도 미리 정해진 치수(예컨대 1 mm) 아래쪽에 광로가 설정되어 있다. 즉, 약제의 무게중심 위치가 제2 회전체(130)의 상면에서 낙하하는 위치까지 이동함으로써, 약제가 기울어진 것을 검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약제수를 카운트하는 경우, 최종 약제의 배출이 확실하게 된 시점에서 제2 회전체(130)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다음 약제의 배출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6이나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약제 카세트(100)는, 카세트 본체(140) 내에 주벽 구성체(110)를 수용하고, 이 주벽 구성체(110)의 하단 개구부에 제1 회전체(120)를 배치하고, 주벽 구성체(110)의 상단 개구부 외주에 제2 회전체(130)를 배치한 것이다. 또한, 약제 카세트(100)는, 카세트 본체(140) 내에 카세트 구동 기구(150)나 높이 규제체(160), 폭 규제체(170) 등을 내장하고 있다. 약제 카세트(100)의 상측 개구부는 덮개(102)(도 3 참조)에 의해서 폐쇄되어 있다.
도 6이나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카세트 본체(140)는 카세트 바닥부(142) 및 카세트 동체부(144)를 구비하고 있다.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카세트 바닥부(142)는 바닥부 본체(142a)와 바닥부 덮개(142b)를 조합함으로써 구성된다. 바닥부 본체(142a)는, 양측부가 위쪽을 향하여 연장되고, 베이스부(60)의 가이드부(80a)에 의해서 가이드되는 측면부(142c)를 구성하고 있다. 바닥부 본체(142a)는, 바닥이 있고 위쪽이 개구된 상자형 형상으로 되어 있고, 카세트 구동 기구(150)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도 8의 (c)에 도시한 것과 같이, 바닥부 본체(142a)의 이면 측에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받음부(142x, 142x)가 마련되어 있다다. 받음부(142x, 142x)는, 베이스부(60) 측에 마련되어 있는 카세트 로크부(74)의 계지편(78d, 78d)을 계합할 수 있게 된 오목부이다. 받음부(142x, 142x)는, 상술한 베이스부(60) 측의 카세트 로크부(74)와의 조합에 의해서 카세트 접속 기구(73)를 구성한다.
바닥부 덮개(142b)는 바닥부 본체(142a)의 위쪽의 개구 부분을 폐색하는 덮개형의 부재이다. 바닥부 덮개(142b)에는, 통형상체 배치부(142d)나, 개구(142e, 142f, 142g), 제2 회전체 배치부(142h), 센서 배치부(142i), 회전 가이드부(142j) 등이 마련되어 있다.
통형상체 배치부(142d)는, 주벽 구성체(110)를 감입할 수 있는 크기 및 형상으로 된 오목부이다. 통형상체 배치부(142d)의 저면에는 개구(142e)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142e)는 카세트 구동 기구(150)를 구성하는 동력 전달부(156)를 노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개구(142f, 142g)는 각각 카세트 구동 기구(150)를 구성하는 제1 출력 기어(152c) 및 제2 출력 기어(154c)를 노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2 회전체 배치부(142h)는 제2 회전체(130)를 배치하기 위한 것이다. 제2 회전체 배치부(142h)는 통형상체 배치부(142d)의 상단 측에 있어서 통형상체 배치부(142d)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오목부이다. 제2 회전체 배치부(142h)는 환상으로 형성된 제2 회전체(130)의 외연을 따르는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센서 배치부(142i)는 이송 약제 검지체(145)(이송 약제 검지 장치)를 설치하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 센서 배치부(142i)는 제2 회전체 배치부(142h)에 대하여 외주 측에 인접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센서 배치부(142i)는, 후에 상세히 설명하는 올라타기 측 영역(Y)에 마련되어 있고, 후술하는 약제 올라타기 위치(X) 혹은 이보다도 제2 회전체(130)에 의한 약제의 반송 방향 하류 측의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이송 약제 검지체(145)는, 약제 수용부(182) 내에 준비된 약제가 제1 회전체(120)에서 제2 회전체(130)로 이송된 후, 약제 배출부(144c)에 이르기까지의 이송 경로에 있어서 약제를 검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송 약제 검지체(145)는, 약제를 검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좋지만, 예컨대 광학식 센서 등의 센서에 의해서 구성할 수 있다.
회전 가이드부(142j)는, 제2 회전체(130)를 카세트 본체(140)에 조립한 상태에 있어서, 제2 회전체(130)가 부상하지 않고서 대략 수평의 자세를 유지하여 회전할 수 있게 가이드하기 위한 것이다. 회전 가이드부(142j)는, 제2 회전체(130)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좋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센서 배치부(142i)를 구성하기 위해서 세워져 설치된 부분에 있어서, 센서 배치부(142i)의 아래쪽에 형성된 오목부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카세트 바닥부(142)의 전단 부분은 위쪽을 향하여 연장되어, 표시 패널(146)(표시 장치)을 부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표시 패널(146)은, 예컨대 액정 패널과 같이 전자적으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것이나, 종이 조각, 수지판 등과 같은 것 등,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좋지만, 여기서는 전자 페이퍼가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전자 페이퍼란, 표시 내용의 재기록으로 전력이 필요하게 되지만 표시 상태에서의 전력 소비가 없는 것이다. 그리고, 전자 페이퍼에는, 처방 데이터에 기초하여, 그 약제 카세트(100) 내에 수용하여야 할 약제의 명칭이나 수량, 경우에 따라서는 환자명 등을 포함하는 여러 가지 표시 데이터가 입력되어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첫눈에 약제 카세트(100) 내에 수용된 약제를 파악할 수 있다. 더구나, 약제의 명칭이나 수량을 재기록 가능하게 표시함으로써, 약제의 변경 등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약제를 충전하는 경우라도, 전자 페이퍼에 표시된 내용을 확인하고 나서 작업을 진행시킬 수 있다.
그런데, 전자 페이퍼는, 표시 데이터가 입력되어도 표시의 재기록에 다소의 시간이 걸린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시하지 않는 충전식의 이차전지나 콘덴서 등의 축전 장치나, 일차전지 등의 휴대형 전력 공급원을 마련하여, 약제 카세트(100)를 베이스부(60)에 장착하고 있을 때에, 이 전지(또는 콘덴서)를 충전할 수 있게 하고 있다. 그리고, 전자 페이퍼에 대하여 신호가 입력되고 나서 즉시 베이스부(60)로부터 약제 카세트(100)가 떼어내어졌다고 해도, 축전 장치 등으로부터 전자 페이퍼에 전력을 공급하여 표시 내용을 재기록할 수 있게 하고 있다. 표시 데이터의 입력 시작에서부터 완료까지 요하는 미리 정해진 시간으로, 카세트 로크부(74)를 작동시켜 로크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베이스부(60)로부터 약제 카세트(100)를 떼어낼 수 있게 하고 있다. 이 경우의 로크 해제까지의 시간은 미리 장치 본체(1) 측의 기억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기억시켜 두면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구성의 약제 카세트(100)에 의하면, 전자 페이퍼를 사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표시 데이터의 입력이 이루어지면, 바로 베이스부(60)로부터 떼어내어 약제의 충전 작업 등을 행할 수 있다. 떼어낸 상태에서는, 전자 페이퍼에서의 소비 전력은 0이기 때문에, 전지나 콘덴서 등의 축전 장치라도 문제없이 원하는 표시 데이터를 표시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된 내용에 따라서, 해당하는 약제를 충전하는 등의 작업을 진행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지 등의 휴대형 전력 공급원을 설치한 구성을 예시했지만, 이러한 전력 공급원을 갖지 않는 것이라도 좋다.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카세트 바닥부(142)의 내부에는 카세트 구동 기구(150)가 배치되어 있다. 카세트 구동 기구(150)는 높이 규제체 동력 전달부(152), 폭 규제체 동력 전달부(154) 및 동력 전달부(156)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은 각각 높이 규제체(160), 폭 규제체(170) 및 제1 회전체(120)에 대하여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높이 규제체 동력 전달부(152)는, 제1 종동 기어(152a)에서부터 제1 중계부(152b)를 거쳐 제1 출력 기어(152c)에 이르는 경로로 높이 규제체(160) 측에 동력을 전달하는 것이다. 제1 종동 기어(152a)와 제1 중계부(152b)의 사이는, 배면 측에서 정면 측을 향해서 연장되는 제1 동력 전달축(152d)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제1 종동 기어(152a)는 베이스부(60) 측에 마련된 제1 구동 기어(64a)와 맞물릴 수 있는 기어이다. 또한, 제1 중계부(152b)에서부터 제1 출력 기어(152c)의 사이는, 정면 측에 있어서 세워져 설치된 제1 출력축(152e)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제1 중계부(152b)는, 제1 동력 전달축(152d) 및 제1 출력축(152e)에 접속된 베벨 기어(152f, 152g)를 갖추고 있으며, 양자를 통해 동력 전달 가능하게 되어 있다.
폭 규제체 동력 전달부(154)는 높이 규제체 동력 전달부(152)와 같은 식의 구성을 갖는다. 폭 규제체 동력 전달부(154)는, 제2 종동 기어(154a)에서부터 제2 중계부(154b)를 거쳐 제2 출력 기어(154c)에 이르는 경로로 폭 규제체(170) 측에 동력을 전달하는 것이다. 제2 종동 기어(154a)와 제2 중계부(154b)의 사이는, 제1 동력 전달축(152d)과 대략 평행하게 배치된 제2 동력 전달축(154d)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제2 종동 기어(154a)는 베이스부(60) 측에 마련된 제2 구동 기어(66a)와 맞물릴 수 있는 기어이다. 또한, 제2 중계부(154b)에서부터 제2 출력 기어(154c)의 사이는, 정면 측에 있어서 세워져 설치된 제2 출력축(154e)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제2 중계부(154b)는, 제2 동력 전달축(154d) 및 제2 출력축(154e)에 접속된 베벨 기어(154f, 154g)를 구비하고 있으며, 양자를 통해 동력 전달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7 및 도 16에 도시한 것과 같이, 동력 전달부(156)는 동력 전달축(156a)과 접속축(156b)을 갖는다. 동력 전달축(156a)의 일단 측에는 제3 종동 기어(156c)가 마련되고, 타단 측에는 제1 중간 기어(156d)가 마련되어 있다. 제3 종동 기어(156c)는 베이스부(60) 측에 마련되는 제3 구동 기어(68a)에 연결되어 있다. 접속축(156b)은 베어링(156e)(도 6에서는 생략)에 의해서 미리 정해진 각도로 경사진 상태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접속축(156b)은, 후에 상세히 설명하는 주벽 구성체(110)나 제2 회전체(130)의 회전축(축선)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각도로 경사져 있다. 접속축(156b)의 중간에는 제2 중간 기어(156f)가 마련되어 있으며, 제1 중간 기어(156d)와 맞물려 있다. 제1 중간 기어(156d) 및 제2 중간 기어(156f)는 어떠한 것이라도 좋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양자가 베벨 기어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접속축(156b)의 상단부에는 접속부(156g)가 마련되어 있다. 접속부(156g)는, 후술하는 제1 회전체(120)의 하면부(120b)에 마련된 접속부(120e)에 삽입되어 접속되는 부분이다. 접속부(156g)는 자석 혹은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소재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으며, 접속부(120e) 내에 마련된 접속 부재(120f)를 자력에 의해서 흡착 고정할 수 있다.
도 9∼도 11에 도시한 것과 같이, 높이 규제체(160)는 접속부(162)와 이 접속부(162)로부터 연장되는 높이 규제부(164)를 구비한다. 접속부(162)에는 나사축(162a)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가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나사축(162a)은 카세트 동체부(144)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 내에 세워져 설치되어 있다. 높이 규제부(164)는, 제2 회전체(130)의 상면에 대하여 원하는 간격으로 배치되는 제1 가이드면(164a)과, 제2 회전체(130)에 의한 원주 방향의 약제 반송 경로의 외주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2 가이드면(164b)을 갖는다. 나사축(162a)의 하단부에는 제1 입력 기어(162b)가 일체화되어 있다. 제1 입력 기어(162b)는 상술한 개구(142g)를 통해 제1 출력 기어(152c)와 맞물려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부(60) 측의 제1 모터(64)에 있어서 출력된 구동력이 높이 규제체 동력 전달부(152)를 통해 나사축(162a)에 전달된다. 또한, 나사축(162a)에 마련된 수나사와 접속부(162)에 마련된 암나사의 나사 결합 위치가 변화되어, 높이 규제체(160)가 승강한다. 그리고, 제2 회전체(130)의 상면에 대한 제1 가이드면(164a)의 위치가 조정된다. 이 결과, 제2 회전체(130)에 의해서 원주 방향으로 반송되는 약제가 통과할 수 있는 높이가 높이 규제체(160)에 의해서 규제된 상태가 된다.
또한, 높이 규제부(164)의 상면에는,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보조편(164c)이 부착되어 있다. 보조편(164c)은, 지지축에 설치한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높이 규제부(164)의 상면에서 일어서도록 압박되어 있다. 이에 따라, 높이 규제체(160)가 강하함으로써, 스프링의 압박력에 의해서 보조편(164c)을 일어서게 하여, 높이 규제부(164)의 상면과 덮개(102)의 하면의 사이에 생기는 간극에 약제가 진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것과 같이, 폭 규제체(170)는, 제2 회전체(130)의 외주를 따라서 서서히 외경 측으로 만곡된 제1 가이드면(172)과 이것에 이어지는 평탄한 제2 가이드면(174)을 갖는다. 제1 가이드면(172)의 외경 측에는 제1 축 부재(176) 및 제2 축 부재(178)가 배치되어 있다. 제1 축 부재(176)의 상단부에는 구동 기어(176a)가 마련되고, 하단부에는 제2 입력 기어(176b)가 마련되어 있다. 구동 기어(176a)는 제2 축 부재(178)의 일단부에 마련된 종동 기어(178a)와 맞물려 있다. 또한, 제2 입력 기어(176b)는 상술한 개구(142f)를 통해 제2 출력 기어(154c)와 맞물려 있다. 더욱이, 제2 축 부재(178)의 타단부(종동 기어(178a)와는 반대쪽)에는 수나사(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축 부재(178)의 타단부는 폭 규제체(170)에 일체화된 암나사 부재(170a)의 암나사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제1 축 부재(176)가 정역회전하면, 구동 기어(176a) 및 종동 기어(178a)를 통해 제2 축 부재(178)가 회전한다. 이에 따라, 폭 규제체(170)가 제2 축 부재(178)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1 축 부재(176)의 회전 방향을 전환함으로써, 도 12에 도시하는 광폭 위치와 도 13에 도시하는 협폭 위치의 사이에서 폭 규제 부재를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높이 규제체(160) 및 폭 규제체(170)는 모두 카세트 동체부(144) 측에 마련되고, 높이 규제체 동력 전달부(152) 및 폭 규제체 동력 전달부(154)는 카세트 바닥부(142) 측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높이 규제체(160)와 높이 규제체 동력 전달부(152)의 연결이나 동력의 전달은, 제1 출력 기어(152c)와 제1 입력 기어(162b)가 맞물림으으로써 이루어지고, 폭 규제체(170)와 폭 규제체 동력 전달부(154)의 연결이나 동력의 전달은, 제2 출력 기어(154c)와 제2 입력 기어(176b)가 맞물림으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이들 제1 출력 기어(152c) 및 제2 출력 기어(154c)는, 개구1(42g, 142f)로부터 노출되어 카세트 바닥부(142)의 외측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제1 출력 기어(152c) 및 제2 출력 기어(154c)는 카세트 바닥부(142)의 외측에 배치된다. 그 때문에, 이들 기어와 맞물리는 제1 입력 기어(162b) 및 제2 입력 기어(176b)는, 카세트 동체부(144)에 대하여 부착된 채로의 상태에서, 카세트 동체부(144)를 위쪽으로 들어올려 카세트 바닥부(142)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즉, 약제 카세트(100)는, 높이 규제체(160) 및 폭 규제체(170)를 카세트 동체부(144)로부터 분해하거나 하지 않더라도, 또한 베벨 기어(152f, 152g) 및 베벨 기어(154f, 154g)가 각각 맞물린 상태에서 카세트 바닥부(142)와 카세트 동체부(144)를 분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세트 동체부(144)와 카세트 바닥부(142)를 분리하여 주벽 구성체(110)나 제1 회전체(120)를 떼어내어, 카세트 바닥부(142)의 내측이나 바닥부를 청소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7 등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1 동력 전달축(152b) 및 제2 동력 전달축(154b)에 대하여 연결되어 있는 베벨 기어(152g, 154g)는, 제1 출력축(152e) 및 제2 출력축(154e)에 대하여 연결되어 있는 베벨 기어(152f, 154f)의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다른 구성예로서, 베벨 기어(152g, 154g)가 베벨 기어(152f, 154f)의 위쪽에 위치하여 이들 기어를 상호 분리 가능하게 하고, 제1 출력 기어(152c)와 제1 입력 기어(162b), 제2 출력 기어(154c)와 제2 입력 기어(164b)를 각각 분리 불가능하게 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하더라도, 카세트 바닥부(142)로부터 카세트 동체부(144)를 위쪽으로 이동시켜, 카세트 바닥부(142)와 카세트 동체부(144)를 분리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을 채용한 경우에는, 카세트 동체부(144)를 카세트 바닥부(142)에 대하여 다시 장착할 때, 베벨 기어(152f, 152g), 베벨 기어(154f, 154g)의 각각의 톱니의 산이 접촉하여, 계합하기 어렵게 될 가능성이 생긴다.
도 6이나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카세트 동체부(144)는,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이며, 제2 회전체(130)의 외주연을 따르는 내주면의 일부(약 반)를 구성하는 내벽(144a)이 내주 측에 형성되어 있다. 내벽(144a)의 일단부에는, 배출 가이드편(180)(도 12 참조)이 부착되어, 제2 회전체(130)에 의해서 반송된 약제를 약제 배출부(144c)를 통해 호퍼(82a)로 유도한다.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이, 카세트 동체부(144)에는 가이드부(144b)가 마련되어 있다. 가이드부(144b)는 약제 수용부(182) 내에 준비되어 있는 약제를 회수할 때에 약제를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가이드부(144b)는, 후에 상세히 설명하는 올라타기 측 영역(Y)에 대하여 제1 회전체(120)나 제2 회전체(130)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인접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약제 카세트(100)에 있어서는, 카세트 동체부(144)의 폭 방향 일단 측에 덮개(102)를 카세트 동체부(144)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접속하는 지지축이 마련되어 있는데, 이 지지축이 마련된 것과는 반대쪽(카세트 동체부(144)의 타단 측)에 가이드부(144b)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부(144b)가 마련된 위치에 있어서, 카세트 동체부(144)는 오목형으로 되어 있고, 주입구 형상으로 우묵하게 들어가 있다. 그 때문에, 약제 수용부(182)에 준비된 약제를 회수할 때는, 덮개(102)를 열어, 가이드부(144b)가 마련된 측이 아래쪽으로 되도록 약제 카세트(100)를 기울임으로써, 약제가 자연스럽게 가이드부(144b)에 모여 배출(회수)된다.
또한, 도 6이나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카세트 동체부(144)의 배면 측에는 약제를 불출하기 위한 약제 배출부(144c)가 마련되어 있다. 약제 카세트(100)를 베이스부(60)에 장착함으로써, 약제 배출부(144c)를 이루는 개구로부터 호퍼(82a)로 향해서 약제를 배출할 수 있다.
주벽 구성체(110)는, 제2 회전체(130)의 내주연을 따르는 상단 개구부를 가지고, 아래쪽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주벽 구성체(110)의 하단 개구부는, 제1 회전체(120)의 경사 각도에 맞춰 비스듬히 컷트되어 있다. 주벽 구성체(110)의 내주면과 제1 회전체(120)의 상면으로 구획된 영역에, 약제를 수용할 수 있는 약제 수용부(182)(도 9∼도 15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도 10이나 도 12∼도 15에 도시한 것과 같이, 주벽 구성체(110)는, 제2 회전체(130)의 아래쪽에 있어서 제2 회전체(130)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서 팽출된 팽출부(110a)를 갖는다. 팽출부(110a)는, 주벽 구성체(110)의 상단 측에 있어서 제1 회전체(120)의 외주연과 제2 회전체의 내주연이 인접하는 위치를 기준 위치(이하 「약제 올라타기 위치(X)」라고도 부른다)로 하고, 약제 올라타기 위치(X)가 존재하는 쪽의 영역(이하 「올라타기 측 영역(Y)」이라고도 부른다)에 대하여 제1 회전체(120)의 직경 방향 반대쪽의 영역(이하 「쓸어올리기 측 영역(Z)」이라고도 부른다)에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5의 (a), 도 15의 (b)에 도시한 것과 같이, 팽출부(110a)는 제2 회전체(130)의 아래쪽 중, 제2 회전체(130)의 외주연보다도 직경 방향 외측으로 약간 팽출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팽출부(110a)의 상기 팽출량이 증가하면 약제 카세트(100)가 대형화한다. 그 때문에, 팽출부(110a)는 제2 회전체(130)의 외주연보다 직경 방향 외측으로 팽출되지 않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도 10이나 도 12∼도 14 등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1 회전체(120)는 원판형이며, 상면부(120a)와 하면부(120b)를 갖는다. 도 12∼도 15 등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1 회전체(120)는 주벽 구성체(110)의 하단 개구부에 배치되고, 수평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도 16 등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면부(120a)의 상면에는, 중심 측에서 외경 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복수의 돌출조(120c)가 형성되어 있다. 각 돌출조(120c)는, 제1 회전체(120)의 회전 중심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에 대하여 제1 회전체(120)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쪽으로 경사져 있다. 또한, 각 돌출조(120c)는, 상면부(120a)의 상면에서 돌출되는 제1 경사면(120x)과, 회전 방향을 향함에 따라서 서서히 상면부(120a)의 상면에 접근하도록 경사지는 제2 경사면(120y)을 갖는다. 상면부(120a)의 상면에 대한 제1 경사면(120x)의 경사 각도는 제2 경사면(120y)에 비해서 충분히 크게 설정되어 있다. 제1 경사면(120x)은, 상면부(120a)의 상면에 대하여 수직인 면으로 구성하여도 좋다. 이에 따라, 제1 회전체(120)가 회전하면, 약제는 제2 경사면(120y)에 눌리어 회전 방향으로 이동한다. 약제는 제2 경사면(120y)에 의해서 눌리기 때문에, 회전 방향의 분력이 그다지 크지 않고, 적량이 원활하게 회전 방향으로 반송된다. 또한, 돌출조(120c)가 회전 방향과는 반대쪽을 향하여 비스듬하게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약제는 외경 측으로도 이동하여, 제2 회전체(130)의 상면으로 이송된다.
도 17 등에 도시한 것과 같이, 하면부(120b)의 중심부에는 접속부(120e)(접속부)가 마련되어 있다. 접속부(120e)는, 하면부(120b)에 있어서 돌출된 통 형상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14나 도 15의 (a)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접속부(120e)는 상술한 동력 전달부(156)의 접속부(156g)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접속부(120e)의 내측에는, 철 등의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원판형의 금속판 혹은 자석으로 이루어지는 접속부재(120f)가 부착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동력 전달부(156) 측의 접속부(156g)가 접속부(120e) 내에 삽입되도록 제1 회전체(120)를 셋트함으로써, 자력에 의해 제1 회전체(120)와 동력 전달부(156)를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접속할 수 있다.
제1 회전체(120)는, 상술한 것과 같이 동력 전달부(156)의 접속부(156g)에 대하여 접속된다. 여기서, 도 15의 (b) 등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접속부(156g)가 마련되어 있는 접속축(156b)은, 주벽 구성체(110)나 제2 회전체(130)의 회전축(축선)인 제2 회전축(R2)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각도로 경사져 있다. 그 때문에, 제1 회전체(120)는, 주벽 구성체(110) 및 제2 회전체의 제2 회전축(R2)에 대하여 경사진 회전축(제1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1 회전체(120)는, 주벽 구성체(110)의 바닥 측에서 상단 측을 향해서 미리 정해진 각도로 오르막 구배로 되도록 경사진 자세로 배치되어 있다. 제1 회전체(120)는, 회전축을 수직이 되는 자세로 된 경우는, 제1 회전체(120)는 외주부에 있어서 직경 방향 외측에서 내측을 향해서 미리 정해진 각도로 내리막 구배를 구성한다. 그 때문에, 제1 회전체(120)를 약제 카세트(100)에 배치한 상태에서는, 제1 회전체(120)의 외주부에 있어서도 내주부와 마찬가지로 오르막 구배로 되지만, 올라타기 측 영역(Y) 측의 외주부에 있어서의 구배의 크기는 내주부에 있어서의 구배보다도 작게 된다.
도 15의 (b)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1 회전체(120)는, 외주부(120i)보다도 직경 방향 내측 영역(이하 「메인 영역(120h)」이라고도 부른다)에서는 약제 수용부(182) 측의 상면부(120a)에 있어서 오목형으로 되도록 만곡 혹은 굴곡된 단면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메인 영역(120h)이 평판형인 경우(도 15의 (b)에 있어서의 파선 참조)에 비해서, 메인 영역(120h)을 오목형으로 한 분만큼 약제 수용부(182)의 용적이 크다. 또한, 제1 회전체(120)는, 외주부(120i)에 있어서 직경 방향 내측에서 외측을 향해서 내리막 구배가 되는 단면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1 회전체(120)는, 메인 영역에 있어서의 경사에 비해서, 주벽 구성체(110)의 상단 측에 있어서 외주부(120i)가 제2 회전체(130)의 내주연과 인접하는 위치(약제 올라타기 위치(X)) 및 이 근방의 영역(올라타기 측 영역(Y))에 있어서의 경사가 완만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1 회전체(120)는, 상면부(120a)가 접속부(120e)에 대응하는 영역(접속부 대응 영역(120g))에 있어서 인접하는 영역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속부 대응 영역(120g)이, 인접하는 영역과 완만히 연속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접속부 대응 영역(120g)에 있어서의 팽출량은 돌출조(120c)의 팽출량과 같은 정도 혹은 돌출조(120c)의 팽출량 이하로 되어 있다.
도 6 등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2 회전체(130)는, 주벽 구성체(110)의 상측 개구부의 외주 측에 배치되는, 직경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폭을 갖는 환상체이다. 제2 회전체(130)의 내주연에는, 위쪽을 향하여 돌출되는 환상구부(環狀口部)(132)가 형성되어 있다. 환상구부(132)는, 제1 가이드면(172) 및 제2 가이드면(174)과 함께, 제2 회전체(130) 상에 위치하는 약제의 길이 방향이 제2 회전체(130)의 원주 방향을 향하도록 하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 즉, 제2 회전체(130) 상에 위치하는 약제는, 제1 가이드면(172)이나 제2 가이드면(174)에 가이드되면서 반송되며, 약제의 길이 방향이 반송 방향을 향하는 자세로 반송된다. 여기서, 배출 가이드편(180)과 제2 가이드면(174)의 거리는, 약제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약제의 치수보다 약간 큰 길이가 된다. 약제의 길이 방향의 방향을, 제2 회전체(130)의 원주 방향을 향하게 함으로써, 약제를 호퍼(82a)로 배출할 수 있다. 환상구부(132)의 높이는, 제1 회전체(120)로부터의 약제의 이동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고, 제2 회전체(130)의 회전에 의한 약제의 반송에서 내측으로 낙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을 정도로 되어 있다. 또한, 제2 회전체(130)의 하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제2 회전체 종동 기어(134)가 형성되어 있다. 도 8의 (b)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2 회전체 종동 기어(134)는 카세트 본체(140)의 배면 측에 있어서 일부가 노출되어 있다. 제2 회전체 종동 기어(134)는, 베이스부(60)에 대하여 약제 카세트(100)를 장착함으로써베이스부(60) 측에 마련된 제4 구동 기어(70a)에 맞물린다. 그 때문에, 베이스부(60) 측에 마련된 제4 모터(70)를 구동시킴으로써, 제4 구동 기어(70a) 및 제2 회전체 종동 기어(134)를 통해 동력을 전달하게 하여, 제2 회전체(1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2∼도 1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2 회전체(130)의 외주연에는 단차부(136)가 형성되어 있다. 단차부(136)는, 제2 회전체(130)를 카세트 본체(140)에 조립한 상태에 있어서 카세트 바닥부(142)의 바닥부 덮개(142b)에 마련된 회전 가이드부(142j)에 의해서 부상이 방지되고 있다. 단차부(136)는, 카세트 동체부(144)에 있어서 내벽(144a)이 설치된 위치에 대하여 외경 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카세트 본체(140) 내에 제2 회전체(130)를 조립한 상태에서는, 제2 회전체(130)의 상면에서 반송되는 약제가 단차부(136)와 회전 가이드부(142j)의 사이로 맞물려 들어가는 일이 없고, 제2 회전체(130)의 상면이 상처를 입는 일도 없다. 또한, 회전 가이드부(142j)는 제4 구동 기어(70a)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가장 힘이 작용하는 부분에서의 부상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분해하여 청소한 후, 조립할 때의 덜걱거림이나 위치 어긋남 등도 방지할 수 있다.
덮개(102)는, 카세트 동체부(144)의 일측의 측부에 마련된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도 2나 도 8의 (a)에 도시한 것과 같이, 덮개(102)에 있어서 약제 카세트(100)의 정면 측이 되는 위치에는 덮개 측의 삽입 영역(102a)이 마련되어 있다. 덮개 측의 삽입 영역(102a)은 약제 카세트(100)의 상부면 측 및 정면 측으로 개방된 오목부이다. 덮개 측의 삽입 영역(102a)에는, 베이스부(60)에 대하여 약제 카세트(100)를 장착할 때의 슬라이드 방향(본 실시형태에서는 정면 측에서 배면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다.
약제 카세트(100)는 적절하게 분해하여 청소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약제 카세트(100)는, 카세트 바닥부(142)로부터 높이 규제체(160) 및 폭 규제체(170)가 고정된 상태의 카세트 동체부(144)를 떼어내고, 제1 회전체(120) 및 제2 회전체(130)를 떼어낼 수 있다. 이와 같이, 약제 카세트(100)는 약제가 접촉하는 부품을 분해하여 청소할 수 있기 때문에, 약제의 종류를 변경한 경우 등, 약제의 일부가 빠지거나 탈락하거나 분말이 발생하거나 한 경우라도, 컨태미네이션(이종 약제의 혼합)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어 장치(200)는, 도시하지 않는 서버 등으로부터 수신한 처방 데이터나 배출 약제 검지 장치(82b)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각 모터나 포장부(40) 등을 구동 제어한다.
이어서,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약제 포장 장치(10)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약제 포장 장치(10)에서는, 약제 불출 장치(55)에 있어서 약제 카세트(100)에 의해 행해지는 약제의 불출 처리에 특징을 갖기 때문에, 이 동작에 한정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그 밖의 동작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약제의 불출 처리에 관해서≫
사용 빈도가 낮은 약제나 약제의 수량을 카운트하거나 하는 경우에는, 그 약제를 약제 불출 장치(55)에 마련된 약제 카세트(100)에 수용하고, 도 18의 제어 흐름에 따라 약제를 불출하여 포장할 수 있다. 이하, 도 18의 제어 흐름에 기초하여 약제 불출 처리에 관해서 설명한다.
(단계 1-1)
제어 장치(200)는, 약제 분포 장치(10)의 상위 제어 장치 등으로부터 약제 불출 장치(55)를 이용하여 처방해야 하는 처방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약제 불출 장치(55)를 이용하여 처방해야 한다고 판단된 경우(단계 1-1=YES)에는 단계 1-2로 처리가 진행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단계 1-1=NO)에는 일련의 제어 흐름이 완료된다.
(단계 1-2)
단계 1-2에서는, 약제 불출 장치(55)에 마련된 복수의 약제 카세트(100) 중, 어느 약제 카세트(100)를 약제의 불출에 이용할 것인지를 특정하는 처리가 행해진다. 예컨대, 제어 장치(200)가 미리 각 약제 카세트(100)에 준비되어 있는 약제에 관한 정보를 등록한 데이터 테이블을 준비해 두고, 단계 1-2에 있어서 이 데이터 테이블을 참조함으로써, 처방하여야 할 약제가 어떤 약제 카세트(100)에 준비되어 있는지를 특정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단계 1-2의 처리를 행할 수 있다. 그 밖에,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약제 카세트(100)를, 약제의 불출에 이용해야 할 것으로서 특정하는 방법 등, 단계 1-2의 처리 방법에서는 다양한 방법이 생각된다. 단계 1-2에 있어서 약제의 불출에 이용하여야 할 약제 카세트(100)의 특정이 완료되면, 단계 1-3으로 처리가 진행된다.
(단계 1-3)
단계 1-3에 있어서, 제어 장치(200)는 단계 1-2에서 특정된 약제 카세트(100)의 높이 규제체(160)를, 불출 대상인 약제의 정보(형상, 사이즈 등)에 따라서 승강시키는 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모터(64)를 작동시킴으로써, 높이 규제체(160)를 승강시켜, 높이 규제체(160)의 하면과 제2 회전체(130)의 상면 사이의 간극을, 약제가 하나만 통과할 수 있는 간격(높이)으로 한다. 약제 카세트(100)는, 이에 따라 약제의 다양한 형상 및 사이즈에 대응하여 약제를 불출할 수 있다. 더욱이, 수동 살포 약제 공급부(30)에 약제를 뿌려 넣는 경우와는 달리, 1 포 분량마다 약제를 뿌려 넣을 필요는 없다. 높이 규제체(160)의 조정이 완료되면 단계 1-4로 처리가 진행된다. 또한, 약제의 형상이나 사이즈 등의 정보는, 예컨대 미리 규정되어 있는 약제의 정보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는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단계 1-4)
단계 1-4에 있어서, 제어 장치(200)는 단계 1-2에서 특정된 약제 카세트(100)의 폭 규제체(170)를, 불출 대상인 약제의 정보(형상, 사이즈 등)에 따라서 승강시키는 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제2 모터(66)를 작동시킴으로써 폭 규제체(170)를 수평 이동시켜, 폭 규제체(170)의 제1 가이드면(172) 및 제2 가이드면(174)의 위치를 조정한다. 이에 따라, 제2 회전체(130)의 내주연에서부터 제1 가이드면(172)까지의 직경 방향의 간격을 약제가 하나만 이동할 수 있는 치수로 한다. 이 치수 W1은, 약제의 폭 w(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치수)에 대하여 1/2 w 이상이며 w 이하(1/2 w≤W1≤w)가 되도록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가이드면(172)과 배출 가이드편(180) 사이의 치수 W2는, 약제의 폭 w 이상이며 약제의 폭 w의 1.5배(1.5 w) 이하(w≤W2≤1.5 w))가 되도록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폭 규제체(170)의 조정이 완료되면 단계 1-5로 처리가 진행된다.
(단계 1-5)
단계 1-5에 있어서, 제어 장치(200)는 약제 불출 준비 동작을 행하도록 약제 카세트(100)의 동작 제어를 행한다. 약제 불출 준비 동작은, 후에 상세히 설명하는 것과 같이, 도 19에 도시한 제어 흐름에 따라 제1 회전체(120) 및 제2 회전체(130)를 고속 회전시킴으로써 행해진다. 약제 불출 준비 동작 시에 있어서의 제1 회전체(120) 및 제2 회전체(130)의 회전 속도는, 약제 불출 동작 시(단계 1-6)의 회전 속도보다도 고속으로 된다. 약제 불출 준비 동작을 행함으로써, 약제 수용부(182) 내에 준비된 약제를 신속하게 제2 회전체(130)로 이송시킴과 더불어, 약제 올라타기 위치(X)보다도 약제의 반송 방향 하류 측의 위치까지 도달시켜, 1번째의 약제를 불출할 때까지 요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약제 불출 준비 동작이 완료되면 단계 1-6으로 처리가 진행된다.
(단계 1-6)
단계 1-6에 있어서, 제어 장치(200)는 약제 불출 처리를 행하도록 약제 카세트(100)의 동작 제어를 행한다. 약제 불출 처리는, 후에 상세히 설명하는 것과 같이, 도 20에 도시한 제어 흐름에 따라 제1 회전체(120) 및 제2 회전체(130)를 회전시킴으로써 행해진다. 약제 불출 동작 시에 있어서의 제2 회전체(130)의 회전 속도는 상술한 약제 불출 준비 동작 시보다 저속으로 된다. 또한, 약제 불출 동작 시에 있어서의 제1 회전체(120)의 회전 속도에 관해서는 약제 불출 준비 동작 시와 동등하여도 좋다. 또한, 복수 설치된 약제 카세트(100) 중 하나에 있어서 약제 불출 처리를 행하고 있는 사이에, 약제 불출 처리를 이어서 행할 예정의 다른 약제 카세트(100)에 있어서 약제 불출 준비 동작(단계 1-5)을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에 따라, 먼저 약제의 불출을 행하는 약제 카세트(100)에 있어서 약제 불출 처리가 종료된 후, 이어서 약제 불출 처리를 행할 예정의 약제 카세트(100)로부터 곧바로 약제를 배출할 수 있다. 약제 불출 동작이 완료되면 단계 1-7로 처리가 진행된다.
(단계 1-7)
단계 1-7에 있어서, 제어 장치(200)는 잔약 판정 처리를 행하도록 약제 카세트(100)의 동작 제어를 행한다. 잔약 판정 처리는, 단계 1-6에서 약제의 불출이 완료된 약제 카세트(100) 내에 약제가 잔존하고 있을 가능성에 관해서 판정을 행하는 처리이다. 잔약 판정 처리는, 후에 상세히 설명하는 것과 같이, 도 21에 도시한 제어 흐름에 따라 행해진다. 잔약 판정 처리가 완료되면 일련의 제어 흐름이 완료된다. 또한, 후에 상세히 설명하는 약제 불출 처리에 있어서 약제의 불출 불량에 따른 에러 통지(단계 1-6-11)가 행해지는 경우에는, 단계 1-7에 따른 잔약 판정 처리를 생략하여도 좋다.
≪약제 불출 준비 처리에 관해서≫
이어서, 상술한 단계 1-5에서 행해지는 약제 불출 준비 처리에 관해서 도 19에 도시한 제어 흐름에 따라 설명한다.
(단계 1-5-1)
단계 1-5-1에 있어서, 제어 장치(200)는 제1 회전체(120) 및 제2 회전체(13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여기서, 제1 회전체(120) 및 제2 회전체(130)의 회전 속도는, 각각 후에 행해지는 약제 불출 처리에 있어서의 제1 회전체(120) 및 제2 회전체(130)의 회전 속도보다도 고속으로 된다. 그 후, 단계 1-5-2로 처리가 진행된다.
(단계 1-5-2)
단계 1-5-2에 있어서, 제어 장치(200)는 제2 회전체(130)로 약제가 이송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송 약제 검지체(145)에 의해 약제가 검지되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제2 회전체(130)로 약제가 이송된 것으로서 판단된다. 제2 회전체(130)로의 약제의 이송이 확인된 경우(단계 1-5-2=YES)에는 단계 1-5-3으로 처리가 진행되고, 이송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에는 처리가 단계 1-5-1로 되돌아간다.
(단계 1-5-3)
단계 1-5-3에 있어서, 제어 장치(200)는 제2 회전체(130)로 이송된 약제 중 약제의 반송 방향 선두 측의 것이 미리 정해진 위치까지 도달했다고 상정되는 타이밍(이하 「준비 완료 타이밍」이라고도 부른다)이 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약제 올라타기 위치(X)에서 원주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양(본 실시형태에서는 180도)만큼 진행한 위치까지 약제가 도달했다고 상정되는 타이밍이 준비 완료 타이밍으로서 규정되어 있고, 이 타이밍이 되었는지 여부의 판정이 이루어진다. 준비 완료 타이밍이 되었는지 여부의 판정은 다양한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계 1-5-2에서 약제가 검지된 타이밍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시간 후의 타이밍이 되었는지 여부에 의해 판정하고 있다. 준비 완료 타이밍이 되었다는 판정이 아직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단계 1-5-3=NO)는, 처리가 단계 1-5-1로 되돌려지고, 준비 완료 타이밍이 되었다는 판정이 이루어진 경우(단계 1-5-3=YES)에는, 일련의 제어 흐름이 완료된다.
≪약제 불출 처리에 관해서≫
이어서, 상술한 단계 1-6에서 행해지는 약제 불출 처리에 관해서 도 20에 도시한 제어 흐름에 따라 설명한다.
(단계 1-6-1)
단계 1-6-1에 있어서, 제어 장치(200)는 제2 회전체(130)를 회전시킨다. 제2 회전체(130)의 회전 속도는 약제 불출 준비 처리에 있어서의 제2 회전체(130)의 회전 속도보다도 저속으로 된다. 또한, 단계 1-6-1에서는, 제1 회전체(120)를 회전시키더라도 좋고, 혹은 회전시키지 않고서 정지한 상태로 하여도 좋다. 제2 회전체(130)의 회전 시작 후, 단계 1-6-2로 처리가 진행된다.
(단계 1-6-2)
단계 1-6-2에 있어서, 제어 장치(200)는 제2 회전체(130) 위에 약제가 존재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구체적으로는, 제2 회전체(130)의 측방에 배치된 이송 약제 검지체(145)에 의해, 약제가 검지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제2 회전체(130) 위에 약제가 존재하고 있음이 확인된 경우(단계 1-6-2=YES)에는, 단계 1-6-3으로 처리가 진행된다. 한편, 제2 회전체(130) 위에 있어서의 약제의 존재가 검지되지 않은 경우(단계 1-6-2=NO)에는, 단계 1-6-4로 처리가 진행된다.
(단계 1-6-3)
단계 1-6-3에 있어서, 제어 장치(200)는 제1 회전체(120)를 대기 상태로 하는 동작 제어를 행한다. 즉, 단계 1-6-3으로 처리가 이행하여 온 상태에서는, 제2 회전체(130) 위에 약제가 존재하고 있으며, 제1 회전체(120)에서 제2 회전체(130)로의 약제의 이송를 필요 이상으로 행하지 않아도 좋다. 그래서, 단계 1-6-3에 있어서, 제어 장치(200)는 제1 회전체(120)를 대기 상태로 하는 제어를 행한다. 대기 상태에 있어서, 제1 회전체(120)를 완전 정지시키더라도 좋지만, 제1 회전체(120)를 단계 1-6-1보다도 더욱 저속으로 회전시키거나 불규칙 회전시키거나 하여도 좋다. 제1 회전체(120)를 불규칙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회전과 정지를 순차 반복해서 행하도록 하거나, 회전 속도를 연속적 혹은 단속적으로 변화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단계 1-6-3에서 제1 회전체(120)가 대기 상태가 되면 단계 1-6-5로 처리가 진행된다.
(단계 1-6-4)
단계 1-6-4에 있어서, 제어 장치(200)는 제1 회전체(120)의 회전을 계속하게 하는 제어를 행한다. 즉, 단계 1-6-4로 처리가 진행된 경우에는, 단계 1-6-2에서 이송 약제 검지체(145)에 의해 약제가 검지되지 않고, 제2 회전체(130) 상에 약제가 충분히 준비되어 있지 않을 우려가 있다. 그래서, 단계 1-6-4에서는 제1 회전체(120)의 회전을 시작하게 한다. 그 후, 단계 1-6-2로 처리가 되돌아간다.
(단계 1-6-5)
단계 1-6-5에 있어서, 제어 장치(200)는 배출 약제 검지 장치(82b)에 의한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약제 카세트(100)로부터 약제가 불출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 결과, 제2 회전체(130)가 회전을 시작하고 나서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약제의 배출이 검지된 경우(단계 1-6-5=YES)에는, 처리가 단계 1-6-6으로 진행된다. 한편, 제2 회전체(130)가 회전을 시작하고 나서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 경과하더라도 또 약제의 불출이 검지되지 않는 경우(단계 1-6-5=NO)에는, 약제가 가득차 막히거나 하여 불출 불량이 생겼을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이 경우에는 처리가 단계 1-6-8으로 진행된다.
(단계 1-6-6)
단계 1-6-6에 있어서, 제어 장치(200)는 제2 회전체(130)를 미리 정해진 양만큼 역회전시키는 처리를 하게 한다. 제2 회전체(130)의 역회전 시의 회전 속도는 정회전 시와 동일하여도 좋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회전 시보다도 고속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역회전 시에는 정회전 시의 회전 속도의 1.5∼2배 정도의 회전 속도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단계 1-6-5 혹은 단계 1-6-10에서 불출이 검지된 약제에 이어서 제2 회전체(130) 상에 있는 약제가 잘못 불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제2 회전체(130) 상에 나란히 늘어선 약제끼리의 간격을 넓힐 수 있다. 단계 1-6-6의 처리가 완료되면 단계 1-6-7로 처리가 진행된다.
(단계 1-6-7)
단계 1-6-7에 있어서, 제어 장치(200)는 약제 카세트(100)로부터 배출된 약제의 수량이 미리 정해진 수에 달했는지 여부가 확인된다. 또한, 약제 불출 처리에 있어서, 이송 약제 검지체(145)가 약제를 검출하지 않게 된 경우, 제1 회전체(120)를 고속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2 회전체(130) 상으로 약제를 이동시키더라도 좋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수만큼의 약제의 불출이 완료되었음이 확인된 경우(단계 1-6-7=YES)에는, 일련의 처리가 완료된다. 한편, 약제의 불출수가 미리 정해진 수에 달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1-6-1로 처리가 되돌아간다.
(단계 1-6-8)
단계 1-6-5에서 단계 1-6-8로 처리가 이행된 경우에는, 상술한 것과 같이 약제가 가득차 막히는 등의 불출 불량이 발생했을 우려가 있다. 그래서, 단계 1-6-8에 있어서, 제어 장치(200)는 불출 불량을 해소하기 위한 동작(불출 불량 해소 동작)을 약제 카세트(100)에 행하게 한다. 불출 불량 해소 동작은 불출 불량의 원인을 해소할 수 있을 가망이 있는 동작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회전체(130)를 역회전, 즉 약제를 배출구와는 반대쪽을 향해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제2 회전체(130)를 미리 정해진 양 혹은 미리 정해진 시간만큼 회전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이에 따라, 약제 카세트(100)의 배출구 근방에 집적되어 있었던 약제의 자세를 무너뜨려, 불출 불량의 해소를 기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불출 불량 해소 동작이 행해지면 처리가 단계 1-6-9로 진행된다.
(단계 1-6-9)
단계 1-6-9에 있어서, 제어 장치(200)는 제2 회전체(13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이에 따라, 단계 1-6-8에 있어서의 불출 불량 해소 동작에 의해 일단 정지하고 있었던 약제의 배출 동작을 재개시킨다. 그 후, 단계 1-6-10으로 처리가 이행된다.
(단계 1-6-10)
단계 1-6-10에 있어서, 제어 장치(200)는 배출 약제 검지 장치(82b)에 의한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약제 카세트(100)로부터 약제가 불출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 결과, 약제의 배출이 검지된 경우(단계 1-6-10=YES)에는 상술한 단계 1-6-6으로 처리가 진행되고, 검출되지 않은 경우(단계 1-6-10=NO)에는 단계 1-6-11로 처리가 진행된다.
(단계 1-6-11)
단계 1-6-11로 처리가 진행된 경우에는, 단계 1-6-8에서 불출 불량 해소 동작을 행하더라도 또 약제의 불출 불량을 해소할 수 없었던 경우이다. 그래서, 이 경우에는, 제어 장치(200)는 에러 통지를 하여 사용자에게 메인터넌스가 필요하다는 것을 통지한다. 이에 따라 일련의 처리가 완료된다.
≪잔약 판정 처리에 관해서≫
이어서, 상술한 단계 1-7에서 행해지는 잔약 판정 처리에 관해서 도 21에 도시한 제어 흐름에 따라 설명한다.
(단계 1-7-1)
단계 1-7-1에 있어서, 제어 장치(200)는 제2 회전체(130)의 역회전을 시작하게 하는 처리를 행한다. 제2 회전체(130) 위에 약제가 존재하고 있는 경우에는, 약제가 불출 방향의 상류 측으로 되돌려진다. 그 후, 처리가 단계 1-7-2로 진행된다.
(단계 1-7-2)
단계 1-7-2에 있어서, 제어 장치(200)는 제2 회전체(130) 상에 있어서의 약제의 존재가 검지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회전체(130)의 측방에 배치된 이송 약제 검지체(145)에 의해 약제가 검지되었는지 여부가 확인된다. 여기서, 약제가 검지되지 않은 경우(단계 1-7-2=NO)에는 단계 1-7-3으로 처리가 진행된다. 한편, 약제가 검지된 경우(단계 1-7-2=YES)에는 단계 1-7-4로 처리가 진행된다.
(단계 1-7-3)
단계 1-7-3에 있어서, 제어 장치(200)는 단계 1-7-1에서 제2 회전체(130)의 역회전을 시작하게 하고 나서 미리 정해진 판정 기간만큼의 시간이 경과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판정 기간은 적절하게 설정 가능한데, 제2 회전체(130) 상에 있어서 약제의 불출 방향 최하류 측의 위치(배출구 근방)에 존재하는 약제가 약제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센서 등(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송 약제 검지체(145))이 설치된 위치를 통과하기 위해서 필요하다고 상정되는 시간 이상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1-7-3에 있어서, 제2 회전체(130)의 역회전 시작으로부터 판정 기간만큼의 시간이 경과했다고 판단된 경우(단계 1-7-3=YES)에는 단계 1-7-5로 처리가 진행된다. 한편, 아직 판정 기간만큼의 시간이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처리가 단계 1-7-2로 되돌아간다.
(단계 1-7-4)
단계 1-7-4로 처리가 이행한 경우에는, 제2 회전체(130)를 역회전시킴으로써 약제의 존재가 검지되고 있으며, 약제 카세트(100) 내에 약제가 잔존하고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래서, 단계 1-7-4에 있어서, 제어 장치(200)는 약제가 잔존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판정을 하고, 그 취지의 경고 등을 행한다. 그 후, 제어 흐름이 단계 1-7-5로 진행된다.
(단계 1-7-5)
단계 1-7-5로 처리가 이행한 경우에는, 제2 회전체(130)를 미리 정해진 판정 기간에 걸쳐 역회전시키더라도 약제가 검지되지 않았다. 그 때문에, 약제 카세트(100) 내에 약제가 잔존하고 있을 가능성이 낮다고 생각된다. 그래서, 단계 1-7-5에서는 제2 회전체(130)를 정지시켜 일련의 제어 흐름를 완료시킨다.
상술한 본 실시형태의 약제 카세트(100)는 주벽 구성체(110)에 팽출부(110a)가 마련되어 있다. 팽출부(110a)는, 제2 회전체(130)의 아래쪽에 있어서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서 팽출되어 있으며, 그 만큼 약제 수용부(182)를 크게 취하면서 제2 회전체(130)의 아래쪽 영역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회전체(120)와 제2 회전체(130)가 인접하는 약제 올라타기 위치(X)(회전체 인접부)가 있는 올라타기 측 영역(X)에 대하여 제1 회전체(120)의 직경 방향 반대쪽의 위치에 있는 쓸어올리기 측 영역(Z)에 팽출부(110a)를 마련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약제 수용부(182)의 용적 확대에 기여하지 않는 올라타기 측 영역(Y)의 아래쪽 영역에 있어서 주벽 구성체(110)가 차지하는 용적을 최소한으로 억제하고 있다. 따라서, 상술한 것과 같은 팽출부(110a)를 마련함으로써, 약제 카세트(100) 내의 공간 효율 및 약제 수용부(182)의 용적 향상에 보다 한층 더 기여하면서 약제 카세트(100)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팽출부(110a)를 쓸어올리기 측 영역(Z)에 마련하고, 올라타기 측 영역(Y)의 아래쪽에는 팽출부(110a)를 마련하지 않는 예를 나타냈지만, 올라타기 측 영역(Y)의 아래쪽에도 팽출부(110a)를 마련하여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약제 카세트(100)에서는, 이송 약제 검지체(145)가 마련되어 있어, 약제가 제1 회전체(120)에서 제2 회전체(130)로 이송된 후, 약제 배출부(144c)에 이르기까지의 이송 경로에 있어서 약제를 검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약제 카세트(100)에 의하면, 이송 약제 검지체(145)에 의한 검지 신호에 기초하여 약제의 이송 상태를 파악하고, 약제 카세트(100)의 동작 제어 등에 활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것과 같이, 이송 약제 검지체(145)에 의한 검지 정보를, 제2 회전체(130) 상에 약제가 존재하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서 제1 회전체(120)의 회전 속도를 최적화하기 위해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송 약제 검지체(145)에 의한 검지 정보를, 약제 배출부(144c)에 있어서의 배출 불량의 유무를 확인하는 용도나, 약제의 불출 완료 후에 있어서의 약제의 잔존 상황을 확인하는 용도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송 약제 검지체(145)를 설치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이송 약제 검지체(145)를 설치하지 않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이송 약제 검지체(145)를 제1 회전체(120)의 회전 제어나 약제의 배출 불량 검지, 약제의 잔존 상황 검지 등, 복수의 용도로 이용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각 용도마다 따로따로 센서 등의 검지체를 마련하여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약제 카세트(100)에서는, 제1 회전체(120)가 약제 수용부(182) 측에 있어서 오목형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 회전체(120)를 평판형 등의 형상으로 한 경우와 비교하여, 약제 수용부(182)의 용적 향상이나 약제 카세트(100)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1 회전체(120)는, 외주부(120i)에 있어서, 직경 방향 내측에서 외측을 향해서 내리막 구배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1 회전체(120)는 약제 올라타기 위치(X) 근방에 있어서 경사가 완만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회전체(120)에서 제2 회전체(130)로의 약제의 이송를 원활하게 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회전체(120)의 외주부(120i)를 직경 방향 내측에서 외측을 향해서 내리막 구배가 되는 형상으로 함으로써, 제1 회전체(120) 전체적인 설치 각도(경사)를 높게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회전체(120)의 설치에 요하는 면적을 최소한으로 억제하고, 나아가서는 약제 카세트(100)의 폭이나 길이를 억제하여, 컴팩트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회전체(120)를 약제 수용부(182) 측에 있어서 오목형으로 되도록 형성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오목형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회전체(120)를 외주부(120i)에 있어서 직경 방향 내측에서 외측을 향해서 내리막 구배가 되도록 형성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외주부(120i)에 있어서 경사를 붙이지 않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회전체(120)를 구동원 측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120e)가 약제 수용부(182)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회전체(120)에 있어서 약제 수용부(182) 측의 면이, 접속부(120e)에 대응하는 영역에 있어서 인접하는 영역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불연속으로 돌출된 부분을 갖지 않는다. 그 때문에, 접속부(120e)에 기인하는 약제 수용부(182)의 용적 감소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약제 카세트(100)를 기울여 약제를 회수하고자 하는 경우에, 약제가 충돌하는 부분이 없고, 약제의 튀어오름 등의 문제도 생기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속부(120e)에 기인하여 약제 수용부(182) 측으로 돌출된 돌기 등의 불연속 부분이 형성되지 않도록 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불연속 부분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약제 카세트(100)는, 덮개(102)를 연 상태에서 카세트 본체(140)를 기울임으로써, 약제 수용부(182) 내에 잔존하고 있는 약제를 회수할 수 있다. 또한, 약제 카세트(100)에서는, 카세트(140)에 있어서 덮개(102)의 지지축과는 반대쪽의 위치에, 회수 대상의 약제를 안내하기 위한 회전 가이드부(142j)가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약제 카세트(100)에 의하면, 약제 수용부(182)에 있는 약제의 회수 작업을 용이하며 또한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이드부(144b)를 설치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가이드부(144b)를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가이드부(144b)의 형상이나 위치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약제의 회수에 효과적인 형상 및 위치로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약제 카세트(100)에는 카세트 접속 기구(73)를 구비하고 있다. 카세트 접속 기구(73)는, 베이스부(60) 측에 간격을 두고서 마련된 2개의 계지편(78d, 78d)을, 약제 카세트(100)(카세트 본체(140)) 측에 마련된 2개의 받음부(142x, 142x)에 계합시킴으로써, 약제 카세트(100)를 베이스부(60)에 대하여 경사지지 않고 올바른 자세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베이스부(60) 측에 계지편(78d, 78d)을 마련하고, 약제 카세트(100) 측에 받음부(142x, 142x)를 마련한 예를 나타냈지만, 약제 카세트(100) 측에 계지편(78d, 78d)을 마련하고, 베이스부(60) 측에 받음부(142x, 142x)를 마련하는 등, 적절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약제 카세트(100)는 카세트 접속 기구(73)를 구비하지 않은 것이라도 좋다.
상술한 약제 불출 장치(55)에서는, 약제 카세트(100)의 덮개(102)에 덮개 측의 삽입 영역(102a)이 마련되고, 베이스부(60)에 베이스 측의 삽입 영역(80d)이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복수의 약제 불출 장치(55)가 상하 방향으로 간극 없이 배치되어 있더라도, 덮개 측의 삽입 영역(102a) 및 베이스 측의 삽입 영역(80d)에 손가락을 삽입함으로써, 약제 카세트(100)의 정면 측을 쥐고서 베이스부(60)에 대한 착탈 작업을 행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약제 카세트(100)의 착탈 작업을 용이하면서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덮개 측의 삽입 영역(102a) 및 베이스 측의 삽입 영역(80d)을 마련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마련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덮개 측의 삽입 영역(102a) 및 베이스 측의 삽입 영역(80d)은, 약제 불출 장치(55)의 정면 측의 일부가 배면 측을 향해서 우묵하게 들어간 절결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으로 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는, 도 25의 (a)에 도시한 덮개 측의 삽입 영역(102a)과 같이, 약제 불출 장치(55)의 정면 측 영역의 전체 폭에 걸쳐 배면 측으로 절결된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도 25의 (b)에 도시한 것과 같이, 도면 중에 파선으로 나타낸 부분을 없앰으로써, 베이스 측의 삽입 영역(80d)을 약제 불출 장치(55)의 정면 측 영역의 전체 폭에 걸쳐 배면 측으로 절결된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즉, 덮개(102) 및 베이스부(60)의 저면부(80)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이 카세트 본체(140)의 앞면(정면)과 한 면이 아니라, 앞면(정면)보다도 배면 측으로 후퇴된 형상의 것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베이스부(60)의 상면 측에서 하면 측에 걸쳐 연통된 절결이나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베이스 측의 삽입 영역(80d)을 형성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구체적으로는, 도 25의 (c)에 도시한 것과 같이, 베이스 측의 삽입 영역(80d)은 베이스부(60)의 상면 측에만 형성된 오목부나 절결 등에 의해 형성되어도 좋다.
상술한 것과 같이, 제어 장치(200)는, 약제 불출 처리에 있어서 제2 회전체(130)의 정회전에 따라 약제의 불출이 검지될 때마다, 제2 회전체(130)를 미리 정해진 양만큼 역회전시키는 회전 제어를 행한다. 이러한 회전 제어를 행함으로써, 제2 회전체(130) 위에 있는 약제끼리의 간격이 넓어진다. 이에 따라, 불출해야 하는 약제에 이어지는 다른 약제가 잘못 불출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 장치(200)에 의해,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배출 상태 판정 장치 및 카세트 제어 장치를 구성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배출 상태 판정 장치 및 카세트 제어 장치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제어 장치(200) 이외의 것으로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약제를 하나 불출할 때마다 제2 회전체(130)를 역회전시키는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약제의 불출 검지 후에 제2 회전체(130)를 역회전시키는 제어를 행하지 않도록 하거나, 정기적 혹은 부정기적인 미리 정해진 타이밍에 제2 회전체(130)를 역회전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분포 처리에 있어서 약제 불출 처리(단계 1-6)에 앞서서 약제 불출 준비 처리(단계 1-5)를 행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약제 불출 준비 처리가 행해지는 기간, 즉 제1 회전체(120)의 회전에 따라 약제 수용부(182) 내에서 제2 회전체(130)로 약제가 이송되었다고 상정되는 타이밍에서부터, 제2 회전체(130)로 이송되어 약제 배출부(144c) 측으로 이송되는 약제 중 이송 방향 선두에 위치하는 약제가 미리 정해진 위치까지 도달한다고 상정되는 타이밍까지의 기간에 있어서, 약제 불출 처리 시보다도 제2 회전체(130)의 회전 속도보다도 고속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2 회전체(130)로 이송된 약제가 약제 배출부(144c)의 근방까지 도달하기까지의 시간을 최소한으로 억제하여, 약제의 불출을 원활하게 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최초의 약제가 불출되기까지의 소요 시간을 단축하도록 약제 불출 준비 처리를 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약제 불출 준비 처리를 하지 않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약제 불출 준비 처리에 있어서, 제2 회전체(130)뿐만 아니라, 제1 회전체(120)에 관해서도 약제 불출 처리 시보다도 고속 회전시키는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는, 제1 회전체(120)에 관해서는 약제 불출 처리 시와 동등한 속도로 회전시키도록 하거나, 제2 회전체(130)로의 약제의 이송이 검지된 시점(단계 1-5-2=YES)에 있어서, 제1 회전체(120)의 회전 속도를 저속화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 장치(200)에 의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카세트 제어 장치를 구성하여, 약제 준비 처리에 따른 제어를 행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약제 준비 처리에 따른 제어를 행하는 카세트 제어 장치에 상당하는 것을 별도 마련하여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약제 불출 처리에 있어서, 제2 회전체(130)가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에 걸쳐 회전하고 있고, 이송 약제 검지체(145)에 의해 약제가 검지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배출 약제 검지 장치(82b)에 의해 약제의 배출이 검지되지 않음을 조건으로 하여, 제어 장치(200)에 의해 약제의 불출 불량이 생겼다는 판정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약제의 불출 불량이 생겼다는 판정을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200)에 의해 약제의 불출 불량이 생겼다는 판정이 이루지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제2 회전체(130)를 약제의 배출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작(불출 불량 해소 동작)을 행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를 번거롭게 하지 않고서 불출 불량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약제의 배출 불량에 관한 판정 제어나 배출 불량 해소 동작의 실시 제어를 행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의 제어를 행하지 않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 장치(200)에 의해 본 발명의 배출 상태 판정 장치나 카세트 제어 장치를 구성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배출 상태 판정 장치나 카세트 제어 장치에 상당하는 것을 별도 마련하여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약제 불출 처리(단계 1-6)에 있어서 약제를 불출한 후에 잔약 판정 처리(단계 1-7)를 행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또한, 잔약 판정 처리에 있어서, 제2 회전체(130)를 약제의 배출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역회전의 시작 이후에 이송 약제 검지체(145)에 의해 약제가 검지되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약제 카세트(100) 내에 약제가 잔존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판정을 행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잔약 판정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약제 카세트(100) 내에 약제가 잔존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음을 파악하여, 사용자에게 통지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잔약 판정 처리를 행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잔약 판정 처리는 본 발명에 있어서 필수적인 처리가 아니며, 적절하게 생략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 장치(200)에 의해 본 발명의 잔약 판정 장치를 구성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잔약 판정 장치에 상당하는 것을 별도 마련하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송 약제 검지체(145)에 의해 약제가 검지되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제1 회전체(120)를 이송 동작 시보다도 저속으로 회전, 정지, 혹은 불규칙 회전시키는 것으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약제 불출 처리에 있어서, 제2 회전체(130) 상에 약제가 존재하고 있다고 검지된 경우(단계 1-6-2=YES)에, 제1 회전체(120)를 대기 상태로 하고(단계 1-6-3), 제1 회전체(120)를 이송 동작 시보다도 저속으로 회전, 정지 혹은 불규칙 회전시키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약제 수용부(182) 내에 있는 약제의 자세를 무너뜨려, 약제 수용부(182) 내에 있는 약제가 제2 회전체(130) 상에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오검지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회전체(120)를 이송 동작 시보다도 저속으로 회전, 정지 혹은 불규칙 회전시킴으로써, 약제 수용부(182) 내에 있는 약제에 가해지는 부하를 최소한으로 하여, 약제의 파손이나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송 약제 검지체(145)에 의해 약제가 제2 회전체(130) 상에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오검지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제1 회전체(120)를 대기 상태로 할 때에 저속으로 회전, 정지 혹은 불규칙 회전시키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대기 상태로 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 장치(200)를 제1 회전체(120)를 대기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러한 제어를 행하는 제어 장치(본 발명의 카세트 제어 장치에 상당)로서 제어 장치(200) 이외의 것을 채용하여도 좋다.
또한, 상술한 약제 포장 장치(10)나 약제 불출 장치(55), 약제 카세트(100)에 의하면, 수작업에 의한 휴먼 에러의 발생을 최소한으로 억제하여, 최소한의 스페이스에서 원활하게 약제를 불출하여 포장할 수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기재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더욱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약제 불출 장치(55)를 이용하여 사용 빈도가 적은 약제를 포장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이 약제 불출 장치(55)는 약제의 수량을 카운트하는 경우에도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호퍼(82a)로부터 배출되는 약제를, 장착된 약제 카세트(100)의 전방 측으로 유도하는, 상기 동일한 포장부 측으로의 배출 루트와는 별도의 루트를 형성하여, 거기로부터 배출되는 약제를 바이알병 등에 회수하면 된다. 또한, 바이알병에 미리 정해진 수량의 약제를 불출하는 경우에도 이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약제 불출 장치(55)에 이용되고 있는 약제 카세트(100)를 제1 약제 공급부(20)의 약제 카세트(22)로서 채용하거나, 약제 불출 장치(55) 혹은 약제 카세트(100)를 수동 살포 약제 공급부(30)에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약제 카세트(100)나 약제 불출 장치(55)를 약제 카세트(22)나 수동 살포 약제 공급부(30)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구성의 일부를 적절하게 생략하여 간소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약제 포장 장치(10)에 있어서는, 약제 불출 장치(55)에 표시 패널(146)(표시 장치)이 마련되어 있다. 표시 장치(146)에 대하여 약제 정보 등의 정보를 표시하게 하기 위한 제어는 제어 장치(200) 등에 의해 적절하게 행할 수 있지만, 표시 패널(146)에 필요한 정보를 확실하게 표시하게 하거나, 표시 패널(146)의 보호를 충분히 도모할 수 있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표시 패널(146)에 대하여 정보 표시용의 표시 데이터를 송신하기 시작하고 나서 완료될 때까지의 재기록 시간 내에 약제 카세트(100)를 떼어내 버리거나 하여, 표시 패널(146)에의 급전이 중단되면, 표시 패널(146)에 필요한 정보를 표시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표시 패널(146)이 고장나는 원인이 될지도 모른다. 그 때문에, 재기록 시간 중에는 표시 패널(146)에의 급전이 중단되지 않도록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자들에 의해서 발견된, 약제 불출 장치(55)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의 온도 조건(환경 온도 조건)에 따라서 재기록 시간이 변동된다고 하는 현상을 고려하면, 환경 온도 조건에 기초하여 재기록 시간을 설정하고, 이 재기록 시간 내에는 표시 패널(146)과 전력 공급원인 급전부(72)의 접속이 해제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것과 같은 지견에 기초하면, 예컨대 약제 포장 장치(10) 혹은 약제 불출 장치(55)는 도 22의 블럭도에 도시한 것과 같은 구성을 구비한 것이라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도 22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온도 검지부(202)가 설치됨과 더불어, 제어 장치(200)에 관해서 표시 제어부(204)(표시 제어 장치)나 접속 제어부(206)(접속 제어 장치)를 구비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하, 도 22 등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온도 검지부(202)는 설치 분위기의 온도(설치 분위기 온도(t))를 검지할 수 있는 것이다. 온도 검지부(202)는 예컨대 온도 센서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고, 약제 카세트(100)마다 설치 분위기 온도(t)를 검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온도 검지부(202)는 어떠한 장소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온도 검지부(202)가 각 약제 카세트(100)에 있어서, 후에 상세히 설명하는 표시 제어부(204)의 기능을 갖춘 전자 기판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표시 제어부(204)는, 표시 패널(146)에 정보를 표시하게 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표시 데이터를 생성하여, 표시 패널(146)로 향해서 송신할 수 있는 것이다.
접속 제어부(206)는, 표시 패널(146)에의 전력 공급원(전력 공급부)이 되는 급전부(72)와 표시 패널(146)의 접속이 유지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약제 카세트(100)가 베이스부(60)에 장착되면, 급전부(72)와 표시 패널(146)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가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베이스부(60)에 장착된 약제 카세트(100)의 접속을 유지하기 위한 기구로서 카세트 접속 기구(73)(접속 유지부)가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접속 제어부(206)는, 카세트기구부(73)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급전부(72)와 표시 패널(146)의 접속을 유지시키는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접속 제어부(206)는, 온도 검지부(202)에 의해 검지된 설치 분위기 온도(t)에 기초하여 재기록 시간(L)을 설정할 수 있다. 재기록 시간(L)은, 미리 규정되어 있는 연산식에 기초하여 설정하는 방법이나, 미리 정해진 임계 온도(ts)를 기준으로 하여 고온인지 저온인지에 따라서 재기록 시간(L)을 단계적으로 설정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후자의 설정 방법이 채용되어, 도 24의 (a)와 같이 미리 정해진 임계 온도(ts)를 기준으로 하여 고온 측인 경우의 재기록 시간(L)(예컨대 3초)을, 저온 측인 경우의 재기록 시간(L)(예컨대 15초)보다도 짧게 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재기록 시간(L)이 설치 분위기 온도(t)에 기초하여 2 단계로 전환된다.
상술한 도 22의 블럭도에 도시한 구성을 채용한 경우에 실행되는 표시 패널(146)의 표시 변경에 따른 처리(표시 변경 처리)에 관해서 도 23에 도시한 흐름도에 따라 설명한다.
(단계 2-1)
단계 2-1에 있어서, 제어 장치(200)는 표시 패널(146)에 있어서의 표시 변경의 필요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표시 변경이 필요한 경우(단계 2-1=YES)에는 단계 2-2로 처리가 진행되고, 표시 변경이 불필요한 경우(단계 2-1=NO)에는 표시 변경의 필요 여부 확인이 계속된다.
(단계 2-2)
단계 2-2에 있어서, 접속 제어부(206)에 의해, 온도 검지부(202)에서 검지된 설치 분위기 온도(t)에 기초하여 재기록 시간(L)을 설정하는 처리가 실행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온도 검지부(202)에서 검지된 설치 분위기 온도(t)가 임계 온도(ts)를 기준으로 하여 고온 측인지 여부에 따라 재기록 시간(L)이 설정된다. 그 후, 단계 2-3으로 처리가 진행된다.
(단계 2-3)
단계 2-3에 있어서, 약제 카세트(100)가 베이스부(60)에 접속된 상태(로크 상태)를 유지하여 급전부(72)로부터의 급전이 물리적으로 차단되지 않도록 접속 제어부(206)에 의해 카세트 접속 기구(73)의 동작 제어가 이루어진다. 그 후, 단계 2-4로 처리가 진행된다.
(단계 2-4)
단계 2-4에 있어서, 표시 패널(146)에 정보를 표시하게 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표시 데이터가 표시 제어부(204)에 의해 생성되어, 표시 패널(146) 측으로 송신된다. 그 후, 단계 2-5로 처리가 진행된다.
(단계 2-5)
단계 2-5에 있어서, 표시 데이터의 송신 시작 시부터 재기록 시간(L)에 상당하는 시간이 경과했는지 여부의 판정이 접속 제어부(206)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재기록 시간(L)에 상당하는 시간이 경과하지 않았다는 판정이 이루어진 경우(단계 2-5=NO)에는 처리가 단계 2-5에 멈추게 되고, 재기록 시간(L)에 상당하는 시간이 경과했다는 판정이 이루어진 경우(단계 2-5=YES)에는 처리가 단계 2-6으로 진행된다.
(단계 2-6)
단계 2-6에 있어서, 약제 카세트(100)의 베이스부(60)에의 로크가 해제된 상태(로크 해제 상태)가 되도록 접속 제어부(206)에 의해 카세트 접속 기구(73)의 동작 제어가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일련의 제어 흐름이 완료된다.
상술한 것과 같이, 표시 패널(146)에 대하여 정보 표시용의 표시 데이터를 송신하기 시작하고 나서 완료될 때까지의 재기록 시간 내에 약제 카세트(100)를 떼어내 버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표시 패널(146)에 필요한 정보를 확실하게 표시하게 함과 더불어, 예기치 않은 급전 중단에 따른 표시 패널(146)의 고장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환경 온도 조건에 따라서 재기록 시간(L)을 변동시킴으로써, 표시 패널(146)에의 정보 표시의 확실성을 한층 더 향상시킴과 더불어, 표시 패널(146)의 고장 등의 문제점도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146)에 대하여 정보 표시용의 표시 데이터를 송신하기 시작하고 나서 완료될 때까지의 사이에 약제 카세트(100)를 떼어내 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나 제어 방법에 관해서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이나 제어는 약제 포장 장치(10)나 약제 불출 장치(55)에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적절하게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예에서는 환경 온도 조건에 따라서 재기록 시간(L)을 변동시키는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환경 온도 조건에 상관없이 재기록 시간(L)을 일정하게 하여도 좋다. 이 경우, 표시 패널(146)의 표시를 변경하고 있는 와중에 표시 패널(146)에의 급전이 중단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재기록 시간(L)은 길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예에서는 재기록 시간(L)의 변동 요인으로서 환경 온도 조건만을 채용한 예를 나타냈지만, 다른 조건을 더욱 가미하여 재기록 시간(L)의 최적화를 도모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급전부(72)와의 접속이 해제되면 즉시 표시 패널(146)에의 전력 공급이 정지해 버리는 구성을 예시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구체적으로는, 약제 카세트(100)에 커패시터나 콘덴서 등의 보조 급전 장치를 설치하여, 급전부(72)와의 접속이 해제된 경우에, 재기록 시간에는 차지 않지만 미리 정해진 보조 급전 시간(Lh)에 걸쳐 표시 패널(146)에 대하여 급전 가능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 도 24의 (b)에 도시한 것과 같이, 표시 패널(146)의 표시를 재기록하는 처리를 시작하는 타이밍에서부터 로크 해제 상태로 할 수 있을 때까지의 기간을 보조 급전 시간(Lh)분만큼 단축하더라도 표시 패널(146)의 표시 변경 불량 등의 문제점이 생기지 않는다.
이상,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 변경이 가능하고, 이들은 전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약제를 포장하는 약제 포장 장치, 약제를 불출하는 약제 불출 장치 및 약제 카세트 전반에 있어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10: 약제 포장 장치 55: 약제 불출 장치
60: 베이스부 72: 급전부(전력 공급부)
73: 카세트 접속 기구(접속 유지부) 78d: 계지편
78e: 계지편 작동 기구 80d: 베이스 측의 삽입 영역
82b: 배출 약제 검지 장치 100: 약제 카세트
102: 덮개 102a: 덮개 측의 삽입 영역
110: 주벽 구성체 110a: 팽출부
120: 제1 회전체 120e: 접속부
120i: 외주부 130: 제2 회전체
140: 카세트 본체 142x: 받음부
144b: 가이드부 144c: 약제 배출부
145: 이송 약제 검지체 182: 약제 수용부
200: 제어 장치 202: 온도 검지부
204: 표시 제어부(표시 제어 장치) 206: 접속 제어부(접속 제어 장치)
L: 재기록 시간 t: 설치 분위기 온도
ts: 임계 온도 X: 약제 올라타기 위치
Y: 올라타기 측 영역 Z: 쓸어올리기 측 영역
R1: 제1 회전축 R2: 제2 회전축

Claims (17)

  1. 약제 카세트로서,
    약제가 수용되는 약제 수용부의 주벽을 구성하는 주벽 구성체와,
    상기 주벽 구성체의 바닥 측에서 상단 측을 향해서 경사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주벽 구성체의 축선에 대하여 경사진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는 제1 회전체와,
    상기 주벽 구성체의 상단 측의 외주에 배치되고,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는 제2 회전체와,
    약제를 배출하기 위한 약제 배출부
    를 구비하고, 상기 약제 수용부 내에 준비된 약제를, 상기 제1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제2 회전체로 이송시킴과 더불어, 상기 제2 회전체의 회전 방향 하류 측으로 이송시켜, 상기 약제 배출부로부터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인 약제 카세트와,
    상기 약제 카세트의 동작을 제어하는 카세트 제어 장치와,
    상기 약제 배출부에 있어서의 약제의 배출 상태를 판정하는 배출 상태 판정 장치
    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2 회전체의 정회전에 따라 상기 배출 상태 판정 장치에 의해 약제의 배출이 검지될 때마다, 상기 제2 회전체를 미리 정해진 양만큼 역회전시키는 회전 제어가 상기 카세트 제어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불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회전 시의 회전 속도가 상기 정회전 시의 회전 속도보다도 고속으로 되도록 상기 제2 회전체의 회전 제어가 상기 카세트 제어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불출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187017527A 2015-11-30 2016-11-28 약제 카세트, 약제 불출 장치 및 약제 포장 장치 KR1023997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234280 2015-11-30
JPJP-P-2015-234280 2015-11-30
PCT/JP2016/085251 WO2017094687A1 (ja) 2015-11-30 2016-11-28 薬剤カセット、薬剤払出装置、及び薬剤包装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8844A KR20180088844A (ko) 2018-08-07
KR102399754B1 true KR102399754B1 (ko) 2022-05-20

Family

ID=58796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7527A KR102399754B1 (ko) 2015-11-30 2016-11-28 약제 카세트, 약제 불출 장치 및 약제 포장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3) US10391036B2 (ko)
EP (1) EP3384891A4 (ko)
JP (3) JP6172489B1 (ko)
KR (1) KR102399754B1 (ko)
CN (1) CN108366909B (ko)
AU (1) AU2016362656B2 (ko)
CA (1) CA3006492C (ko)
WO (1) WO20170946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72489B1 (ja) 2015-11-30 2017-08-02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カセット、薬剤払出装置、及び薬剤包装装置
JP6997447B2 (ja) * 2018-03-26 2022-01-17 株式会社トーショー 固形薬剤供給装置及び固形薬剤払出し装置
EP3815668A4 (en) * 2018-06-26 2022-04-06 Yuyama Mfg. Co., Ltd. DRUG DELIVERY DEVICE
JP7063183B2 (ja) * 2018-08-09 2022-05-09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払出装置および薬剤払出方法
JP7375414B2 (ja) * 2019-09-26 2023-11-08 富士電機株式会社 商品収納装置
JP7387147B2 (ja) * 2019-10-11 2023-11-28 株式会社タカゾノ 薬剤包装装置
JP2022135599A (ja) * 2021-03-05 2022-09-15 株式会社トーショー 薬剤フィー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57608A (zh) 2011-09-06 2014-06-11 株式会社汤山制作所 药剂匣和药剂供给装置
CN104245515A (zh) 2012-03-21 2014-12-24 株式会社汤山制作所 药剂供给装置及药剂计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6945A (en) * 1990-03-09 1992-02-11 Corella Arthur P Tablet selector and packaging system using same
FR2713436B1 (fr) * 1993-12-10 1996-03-01 Ribouleau Ateliers Distributeur pour semoir monograine à disque distributeur plan et déflecteur cranté.
US6109193A (en) * 1995-12-29 2000-08-29 Case Corporation Seed planter apparatus and method
US6497342B2 (en) * 2000-11-30 2002-12-24 Mckesson Automated Healthcare, Inc. Medicine feeder
US6615754B2 (en) * 2000-11-30 2003-09-09 Seed Research Equipment Solutions, Llc Vacuum seed planter for test plots and method of use
JP2004175453A (ja) * 2002-11-13 2004-06-24 Yuyama Manufacturing Co Ltd 薬剤フィーダ
JP4634823B2 (ja) 2005-02-25 2011-02-16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包装装置
US7832591B2 (en) * 2007-05-18 2010-11-16 Parata System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solid pharmaceutical articles
JP5564868B2 (ja) * 2008-09-19 2014-08-06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払出装置
CN103108619B (zh) * 2010-12-09 2015-07-08 株式会社汤山制作所 药剂送出装置及药剂计数装置
WO2012099189A1 (ja) * 2011-01-20 2012-07-26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供給装置および薬剤供給装置を用いた薬剤計数装置
EP2479527B1 (en) * 2011-01-24 2013-10-30 Daniel Hedberg Development AB A ball feeding arrangement
JP6088728B2 (ja) * 2011-09-27 2017-03-01 株式会社松井製作所 粉粒体材料の供給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粉粒体材料の配合供給装置
JP6167907B2 (ja) * 2012-02-10 2017-07-26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カセット
KR20150106820A (ko) 2013-01-18 2015-09-22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품 불출 장치, 약품 불출 방법, 약품 불출 프로그램, 기록 매체
BR102013007976B1 (pt) * 2013-04-03 2019-11-19 Jose Roberto Do Amaral Assy mecanismo dosador e misturador de sólidos particulados para distribuidor giratório de sementes empregado em equipamentos agrícolas para semeadura
JP5950876B2 (ja) * 2013-07-25 2016-07-13 株式会社トーショー 薬剤フィーダ
EP3047836A4 (en) * 2013-09-18 2017-05-10 Yuyama Mfg. Co., Ltd. Drug cassette and drug packaging device
JP5537723B1 (ja) * 2013-12-27 2014-07-02 株式会社桂川精螺製作所 ワーク整列搬送方法とワーク整列搬送装置
WO2015119055A1 (ja) * 2014-02-06 2015-08-13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品撮影装置、薬品形状測定装置、薬品払出装置
CN106535859B (zh) * 2014-07-23 2019-06-14 株式会社汤山制作所 药剂盒
JP6172489B1 (ja) * 2015-11-30 2017-08-02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カセット、薬剤払出装置、及び薬剤包装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57608A (zh) 2011-09-06 2014-06-11 株式会社汤山制作所 药剂匣和药剂供给装置
CN104245515A (zh) 2012-03-21 2014-12-24 株式会社汤山制作所 药剂供给装置及药剂计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006492A1 (en) 2017-06-08
AU2016362656A1 (en) 2018-06-21
JP2017164560A (ja) 2017-09-21
JP6172489B1 (ja) 2017-08-02
CN108366909A (zh) 2018-08-03
US10391036B2 (en) 2019-08-27
JPWO2017094687A1 (ja) 2017-11-30
CN108366909B (zh) 2021-06-11
JP2019195652A (ja) 2019-11-14
US10894003B2 (en) 2021-01-19
KR20180088844A (ko) 2018-08-07
WO2017094687A1 (ja) 2017-06-08
US20190374437A1 (en) 2019-12-12
US20210121365A1 (en) 2021-04-29
JP6555299B2 (ja) 2019-08-07
AU2016362656B2 (en) 2021-03-25
US20180369071A1 (en) 2018-12-27
US11406567B2 (en) 2022-08-09
CA3006492C (en) 2023-06-27
EP3384891A1 (en) 2018-10-10
EP3384891A4 (en) 2019-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9754B1 (ko) 약제 카세트, 약제 불출 장치 및 약제 포장 장치
TWI623312B (zh) 藥劑饋送器
KR101567393B1 (ko) 약제 포장 장치 및 약제 포장 방법
JP6195617B2 (ja) 薬剤ディスペンサ
JP5239297B2 (ja) 薬剤包装装置
TWI635857B (zh) 藥劑卡匣及藥劑包裝裝置
TWI746577B (zh) 檢查輔助系統
JPWO2018021323A1 (ja) 薬剤払出し装置
JP4643448B2 (ja) 薬剤払出し装置及び薬剤充填装置
US8381491B2 (en) Vial lid fastening device and medicine accommodating and removing device
JP2006206090A (ja) 薬剤供給装置
JP6961493B2 (ja) 薬剤ディスペンサのピル取出機構
JP4488917B2 (ja) 薬剤供給装置
JP4488918B2 (ja) 薬剤供給装置
JP2006204495A (ja) 薬剤供給装置
KR102515162B1 (ko) 약제 포장용 블리스터 시트 공급기
JP2006204493A (ja) 薬剤供給装置
KR100814292B1 (ko) 반자동 약제 포장기
JP2006204494A (ja) タブレット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