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5913A - 포장약제 보관박스, 포장약제 보관박스 설치용 카트리지 및 포장약제 불출장치 - Google Patents

포장약제 보관박스, 포장약제 보관박스 설치용 카트리지 및 포장약제 불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5913A
KR20140055913A KR1020130015362A KR20130015362A KR20140055913A KR 20140055913 A KR20140055913 A KR 20140055913A KR 1020130015362 A KR1020130015362 A KR 1020130015362A KR 20130015362 A KR20130015362 A KR 20130015362A KR 20140055913 A KR20140055913 A KR 20140055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medicament
medicine
storage box
external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5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호
Original Assignee
(주)제이브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브이엠 filed Critical (주)제이브이엠
Publication of KR20140055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59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05Special arrangements for insuring that only one single article may be dispensed at a tim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38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horizontal
    • G07F11/4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horizontal the articles being delivered by motor-driven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4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in bulk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46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 G07F11/58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the articles being supported on or by endless belts or like conveyo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9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assembling and dispensing of pharmaceutical art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약제 보관박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장약제가 수용되도록 소정의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약제수용부;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된 상기 포장약제에 전방측을 향한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에 연결되어 상기 가압력이 발생되도록 상기 가압부에 전방측을 향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가압근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포장약제 보관박스, 포장약제 보관박스 설치용 카트리지 및 포장약제 불출장치{Packing drug desposit box, catridge for equipping packing drug desposit box and packing drug dispensing device}
본 발명은 포장약제 보관박스, 포장약제 보관박스 설치용 카트리지 및 포장약제 불출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환자의 처방전에 따라 약제 보관박스로부터 정확하게 약제를 불출시키고 불출된 약제를 소정의 공간에 효과적으로 수집되도록 하는 포장약제 보관박스, 포장약제 보관박스 설치용 카트리지 및 포장약제 불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의 처방전에 따른 1회 복용분의 약제에는 다양한 종류 및 형태의 약제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1회 복용분의 약제가 바스켓에 담겨 환자에게 전달되게 된다.
하나의 바스켓에 담기게 되는 다양한 약제는 각각의 약제가 담긴 박스로부터 환자의 처방전에 기재된 약제의 종류 및 개수에 따라 하나의 바스켓에 수집되게 되며, 약제가 수집된 바스켓이 환자에게 전달되고 환자는 상기 바스켓에 수집된 약제를 복용하게 된다.
한편, 하나의 바스켓에 다양한 약제의 수집을 위해서 종래에는 약사 등의 의약 전문가가 환자의 처방전에 따라 수동으로 약제를 담아 놓은 병 등으로부터 일일히 꺼낸 후 담는 과정이 필요하였으며, 이에 따라 약제 수집의 정확성을 재차 판단해야 하는 확인작업이 반드시 필요하였다.
이는 투약의 정확성을 담보하기 어려워 약화사고를 발생시킬 가능성을 항상 내포하게 된다. 또한, 약화사고 가능성뿐만 아니라 수집 과정 자체가 복잡하여 환자의 처방전에 맞게 약제를 수집하는 시간도 오래 걸리게 되어 작업 효율성이 저하된다는 문제도 유발시키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환자의 처방전에 따라 1회 복용분 씩 약제를 수집하는데 있어서, 정확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켜 약사 등의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동시에 약화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방안 및 기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의 처방전에 따라 약제를 수집하는데 있어서, 약제 보관박스로부터 정확하게 불출시키도록 하는 동시에 불출된 약제를 효과적으로 수집되도록 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포장약제 보관박스, 포장약제 보관박스 설치용 카트리지 및 포장약제 불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약제 보관박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장약제가 수용되도록 소정의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약제수용부;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된 상기 포장약제에 전방측을 향한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에 연결되어 상기 가압력이 발생되도록 상기 가압부에 전방측을 향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가압근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약제 보관박스의 상기 가압근원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약제수용부의 전방측에 연결되는 일측고정단 및 상기 일측고정단으로부터 후방측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한 채 상기 가압부와 연결되는 타측자유단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약제 보관박스의 상기 가압근원부는 제1 가압근원부 및 제2 가압근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가압근원부의 타측자유단 및 상기 제2 가압근원부의 타측자유단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약제 보관박스의 상기 제1 가압근원부의 타측자유단 및 상기 제2 가압근원부의 타측자유단은 서로 연결된 채 일체화되어 상기 가압부에 감길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약제 보관박스의 상기 약제수용부는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압근원부가 감기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고정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약제 보관박스의 상기 돌출고정부는 단일개로 상기 약제수용부의 전방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가압근원부는 상기 돌출고정부에 감긴 후 후방측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한 채 상기 가압부와 연결되는 일측자유단 및 타측자유단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약제 보관박스의 가압근원부의 상기 일측자유단 및 상기 타측자유단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약제 보관박스의 가압근원부의 상기 일측자유단 및 상기 타측자유단은 서로 연결된 채 일체화되어 상기 가압부에 감길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약제 보관박스의 상기 돌출고정부는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가압근원부는 제1 가압근원부 및 제2 가압근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가압근원부 및 상기 제2 가압근원부는 각각 상기 약제수용부에 연결되는 일측고정단 및 상기 일측고정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탄성 변형이 가능한 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돌출고정부에 감긴 후 상기 가압부에 연결되는 타측자유단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약제 보관박스의 상기 제1 가압근원부의 타측자유단 및 상기 제2 가압근원부의 타측자유단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약제 보관박스의 상기 제1 가압근원부의 타측자유단 및 상기 제2 가압근원부의 타측자유단은 서로 연결된 채 일체화되어 상기 가압부에 감길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약제 보관박스는 상기 약제수용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약제수용부는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된 상기 포장약제 중 적어도 일부를 외부에 노출시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장약제를 불출하기 위해 인출외력에 의해 상기 지지부로부터 인출방향으로 이동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약제 보관박스의 상기 약제수용부는 상기 인출외력에 의해 상기 지지부로부터 슬라이딩되어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약제 보관박스의 상기 약제수용부는 상기 지지부의 상측면에 안착된 채 인출방향으로의 이동이 가이드되도록 상기 지지부의 측면을 따라 이동가능한 이동가이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약제 보관박스의 상기 지지부의 측면은 상기 이동가이드부가 삽입되어 상기 이동가이드부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도록 인출방향을 따라 함입되어 형성되는 이동가이드대응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약제 보관박스의 상기 이동가이드부는 상기 약제수용부의 측벽의 하측단으로부터 상기 지지부의 측면을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약제 보관박스의 상기 인출외력은 전류의 흐름 여부에 따라 자기화(磁氣化)가 결정되는 전자석에 의해 발생되며, 상기 약제수용부는 상기 전자석의 자기(磁氣)와 반응하여 상기 전자석과의 인력을 발생시키는 전면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약제 보관박스의 상기 약제수용부는 상기 인출외력에 의한 이동이 완료되어 상기 포장약제 중 적어도 하나가 외부로 불출되면, 상기 인출외력의 방향 전환에 의해 제자리로 복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약제 보관박스는 상기 지지부에 체결되며, 상기 약제수용부가 상기 지지부로부터 이동되기 전 상기 약제수용부의 측벽의 적어도 일부를 포위하고 상기 약제수용부가 인출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약제수용부가 통과하는 통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약제 보관박스는 상기 약제수용부가 상기 통과부를 통과하여 인출방향으로 이동된 후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된 포장약제 중 최전방에 배치되는 포장약제가 불출외력인가부에 의한 불출외력에 의해 불출되는 경우, 상기 불출외력인가부가 통과하는 불출공간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약제수용부에 체결되는 불출공간증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약제 보관박스의 불출공간증가부는 상기 약제수용부가 상기 통과부를 통과하기 전에는 상기 통과부와 접촉되어 이동이 차단되며, 상기 통과부를 통과하면 복원력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약제수용부의 전방측에 형성되는 상기 불출공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약제 보관박스의 상기 불출공간증가부는 상기 약제수용부가 상기 통과부를 통과하면 복원력에 의해 상승되어 상기 불출공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약제 보관박스, 포장약제 보관박스 설치용 카트리지 및 포장약제 불출장치에 의하면, 환자의 처방전 따라 필요한 약제를 약제 보관박스로부터 정확하게 불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포장약제가 보관되어 있는 포장약제 보관박스를 카트리지에 안정적으로 연결하여 비이상적인 상기 포장약제 보관박스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포장약제 보관박스에 수용된 포장약제의 비이상적인 불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포장약제 보관박스로부터 환자의 처방전에 따른 포장약제의 불출을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약제 불출설비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야제 불출설비에 제공되는 포장약제 불출장치 및 포장약제 불출장치 이동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4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약제 불출설비에 제공되는 포장약제 불출장치와 포장약제 보관박스의 작동 관계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약제 불출설비에 제공되는 포장약제 보관박스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약제 불출설비에 제공되는 포장약제 보관박스를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약제 불출설비에 제공되는 포장약제 보관박스의 약제수용부가 인출된 이후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약제 불출설비에 제공되는 포장약제 보관박스의 내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약제 불출설비에 제공되는 포장약제 보관박스의 내부를 도시한 개략 분해 사시도.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약제 불출설비에 제공되는 포장약제 보관박스의 가압부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내부 구성도.
도 19 내지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약제 불출설비에 제공되는 포장약제 보관박스의 가압근원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30 및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약제 불출설비(2)에 제공되는 포장약제 보관박스의 이동을 감지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분해 사시도 및 부분도.
도 32 및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약제 불출설비(2)에 제공되는 포장약제 보관박스의 외부연통공간의 증감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도.
도 34 내지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약제 불출설비(2)에 제공되는 포장약제 보관박스의 정렬부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도.
도 37 내지 도 40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약제 불출설비에 제공되는 포장약제 보관박스의 불출공간증가부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41 내지 도 44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약제 불출설비에 제공되는 포장약제 보관박스의 인출구현부 및 이동차단부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45 및 도 46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약제 불출설비에 제공되는 포장약제 보관박스의 잠금부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47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약제 불출설비에 제공되는 포장약제 보관박스의 카트리지에의 장착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48 내지 5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약제 불출설비에 제공되는 포장약제 불출장치의 인출외력인가부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52 내지 도 57은 포장약제 불출설비에 제공되는 포장약제 불출장치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58 및 도 59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약제 불출설비에 제공되는 포장약제 보관박스 설치용 카트리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60 내지 도 66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약제 불출설비에 제공되는 포장약제 보관박스 설치용 카트리지의 위치고정부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67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약제 불출설비에 제공되는 포장약제 보관박스 설치용 카트리지의 이탈감지센서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포장약제 불출 설비]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약제 불출설비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야제 불출설비에 제공되는 포장약제 불출장치 및 포장약제 불출장치 이동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포장약제 불출설비(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장약제를 수용하는 포장약제 보관박스(4), 상기 포장약제 보관박스(4)가 상기 포장약제 불출설비(2)에 장착되도록 하는 포장약제 보관박스 설치용 카트리지(6, 이하 카트리지), 상기 포장약제 보관박스(4)에 수용된 상기 포장약제를 불출시키도록 하는 포장약제 불출장치(8) 및 상기 포장약제 불출장치(8)를 상기 포장약제 불출설비(2) 내에서 층별 이동시키는 포장약제 불출장치 이동부(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약제 불출설비(2)는 카트리지(6) 상에 다수의 포장약제 보관박스(4)가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카트리지(6)는 상기 포장약제 불출설비(2)의 층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6)는 상기 포장약제 불출설비(2)의 각 층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하나의 카트리지(6)에 장착될 수 있는 포장약제 보관박스(4)의 수는 당업자의 의도에 맞게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포장약제 불출설비(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장약제를 수용하는 포장약제 보관박스(4)의 약제수용부(12)의 인출 및 포장약제 불출장치(8)에 의해 포장약제의 불출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포장약제 보관박스(4)는 상기 카트리지(6) 상에 착탈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포장약제 불출장치(8)는 카트리지(6) 상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된 포장약제 보관박스(4)에 인출외력을 인가하여 포장약제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으며, 노출된 상기 포장약제에 불출외력을 인가하여 외부로 불출되도록 할 수 있다.
외부로 불출된 포장약제는 상기 포장약제 불출장치(8)의 컨베이어부(16)에 안착될 수 있으며, 상기 컨베이어부(16)의 밸트 회전이동에 의해 위치가 가변되어 소정의 외부공간에 수집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포장약제 불출장치(8)의 층별 이동은 포장약제 불출장치 이동부(10)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포장약제 불출장치 이동부(10)는 외부신호에 의해 필요로하는 포장약제가 수용된 포장약제 보관박스(4)가 배치된 층으로 상기 포장약제 불출장치(8)를 이동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환자의 처방전에 따른 신호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약제 불출설비(2)에 인가되면, 상기 신호에 의해 포장약제 불출장치 이동부(10)가 상기 포장약제 불출장치(8)를 원하는 층으로 이동시키고 이후에는 상기 포장약제 불출장치(8)에 의한 인출외력 및 불출외력에 의해 포장약제 보관박스(4)로부터 필요로 하는 포장약제를 불출시킬 수 있다.
불출된 포장약제는 컨베이어부(16)에 안착될 수 있으며, 포장약제가 안착된 컨베이어부(16), 즉, 상기 포장약제 불출장치(8)는 상기 포장약제 불출장치 이동부(10)에 의해 기설정된 불출공간(S1)과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된 후 상기 컨베이어부(16)의 밸트회전이동에 의해 안착된 포장약제를 소정의 외부공간에 수집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컨베이어부(16)의 밸트 회전이동은 상기 컨베이어부(16)가 기설정된 불출공간(S1)과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된 이후에 구현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컨베이어부(16)가 상기 불출공간(S1)과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되기 전에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환자의 처방전에 따른 포장약제가 각 층에 배치되는 다수의 포장약제 보관박스(4) 및 여러층에 배치되는 다수의 포장약제 보관박스(4)에 수용되어 있는 경우 포장약제 불출장치(8)는 포장약제 불출장치 이동부(10)에 의해 어느 한 층에 위치한 후 위치된 층에 배치된 다수의 포장약제 보관박스(4)로부터 순차적으로 포장약제를 불출시킬 수 있으며, 어느 한 층으로부터의 불출이 완료되면 다른 층으로 이동하여 재차 포장약제의 불출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다수의 포장약제 보관박스(4)로부터 환자의 처방전에 따른 포장약제의 불출이 완료되면, 최종적으로 다수의 상기 포장약제가 안착된 컨베이어부(16), 즉, 상기 포장약제 불출장치(8)는 상기 포장약제 불출장치 이동부(10)에 의해 기설정된 불출공간(S1)과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된 후 상기 컨베이어부(16)의 밸트회전이동에 의해 안착된 다수의 포장약제를 소정의 외부공간에 수집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포장약제 불출설비(2)는 다수개가 연결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하나의 포장약제 불출설비(2)의 컨베이어부(16)에 안착된 포장약제는 이웃하는 포장약제 불출설비의 컨베이어부로 전달될 수 있다.
즉, 하나의 포장약제 불출설비(2)의 컨베이어부(16)에서 다른 포장약제 불출설비의 컨베이어로 포장약제가 순차적으로 전달되는 과정이 반복된 후, 최종적으로 수집을 위한 소정의 외부공간(예: 동종 또는 대차 등의 타종의 장치)에 수집될 수 있다.
[포장약제 불출장치에 의한 포장약제 보관박스로부터의 포장약제의 불출 원리]
도 4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약제 불출설비에 제공되는 포장약제 불출장치와 포장약제 보관박스의 작동 관계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포장약제 보관박스(4)로부터의 포장약제의 불출은 상기 포장약제 보관박스(4)의 약제수용부(12)가 포장약제 불출장치(8)의 인출외력인가부(18)에 의해 인출된 후 불출외력인가부(20)에 의한 불출외력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환자의 처방전에 따른 신호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약제 불출설비(2)에 인가되면, 상기 신호에 의해 포장약제 불출장치 이동부(10)가 인출외력인가부(18), 불출외력인가부(20) 및 컨베이어부(16)를 포함하는 상기 포장약제 불출장치(8)를 원하는 층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포장약제 불출장치(8)가 이동된 층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트리지(6)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장약제 보관박스(4)가 장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포장약제 불출장치(8)의 인출외력인가부(18)는 필요로 하는 포장약제가 수용된 어느 하나의 포장약제 보관박스(4)와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이 되게 된다.
상기 인출외력인가부(18)가 어느 하나의 포장약제 보관박스(4)와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이 완료되면, 상기 인출외력인가부(18)는 이탈방지가이드부(22)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기 포장약제 보관박스(4)을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인출외력인가부(18)는 상기 포장약제 보관박스(4)와 인력이 작용할 수 있으며, 전류의 흐름 여부에 따라 자기화(磁氣化)가 결정되어 상기 인력의 발생여부가 조절되는 전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출외력인가부(18)와 상기 포장약제 보관박스(4)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포장약제 보관박스(4)의 약제수용부(12)는 상기 인출외력인가부(18)의 자기(磁氣)와 반응하는 전면부(24)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인출외력인가부(18)와 상기 전면부(24)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에 의해 상기 인출외력인가부(18)와 상기 약제수용부(12)는 연동되어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결국, 상기 포장약제 보관박스(4)의 전면부(24)를 향해 이동된 상기 인출외력인가부(18)는 상기 약제수용부(12)와 인력이 작용한 채 다시 제자리로 복귀됨으로써 상기 약제수용부(12)를 지지부(14)로부터 인출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포장약제 보관박스(4)는 상기 약제수용부(12)의 인출로 인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장약제(T)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노출된 상기 포장약제(T)는 컨베이어부(16)로의 불출을 위해 대기 상태로 놓여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외부로 노출된 상기 포장약제(T)는 포장약제 불출장치(8)의 불출외력인가부(20)의 이동에 의해 불출외력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불출외력인가부(20)에 의한 상기 불출외력에 의해 결국 상기 컨베이어부(16)로 불출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불출외력인가부(20)의 불출외력에 의해 상기 컨베이어부(16)로 불출되는 포장약제(T)는 상기 약제수용부(12)에 수용된 포장약제 중 최전방에 위치하는 포장약제(T)일 수 있으며, 상기 불출외력인가부(20)의 이동에 의해 최전방에 위치하는 포장약제(T)가 불출되면 자동적으로 그 위치에는 다른 포장약제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포장약제가 상기 컨베이어부(16)로 불출되면 약제수용부(12) 내의 포장약제는 자동적으로 최전방에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불출외력인가부(20)의 이동에 의해 반복적인 불출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베이어부(16)에 안착된 포장약제(T)는 포장약제 불출장치 이동부(10)에 의한 상하 이동 및 상기 컨베이어부(16)의 밸트 회전 이동에 의해 소정의 외부공간에 수집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포장약제 보관박스(4)로부터 2개 이상의 포장약제의 불출이 필요한 경우 불출외력인가부(20)의 이동에 의해 하나의 포장약제를 불출시킨 후 포장약제 보관박스(4)의 약제수용부(12)가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불출외력인가부(20)의 반복적인 이동에 의해 또 다른 포장약제를 불출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불출외력인가부(20)의 반복적인 이동에 의한 2개 이상의 포장약제 불출은 약제수용부(12) 내에서 포장약제의 자동적인 최전방으로의 이동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한 포장약제 보관박스(4), 포장약제 불출장치(8) 및 포장약제 보관박스 설치용 카트리지(6)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포장약제 보관박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약제 불출설비에 제공되는 포장약제 보관박스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약제 불출설비에 제공되는 포장약제 보관박스를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약제 불출설비에 제공되는 포장약제 보관박스의 약제수용부가 인출된 이후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포장약제 불출설비(2)에 제공되는 포장약제 보관박스(4)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장약제가 수용되도록 소정의 내부공간(S2)을 구비하는 약제수용부(12) 및 상기 약제수용부(12)를 지지하는 지지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14)는 카트리지(6)에 장착되는 구성요소일 수 있으며, 상기 약제수용부(12)는 상기 지지부(14)에 인출가능하도록 안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약제수용부(1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장약제가 불출되기 위해 내부공간에 배치된 상기 포장약제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에 노출시키도록 상기 지지부(14)로부터 인출방향으로 이동가능할 수 있으며, 이는 포장약제 불출장치(8)의 인출외력인가부(18)에 의한 인출외력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 인출외력은 전류의 흐름 여부에 따라 자기화(磁氣化)가 결정되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인출외력인가부(18)에 의해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약제수용부(12)는 상기 전자석의 자기(磁氣)와 반응하여 상기 전자석과의 인력을 발생시키는 전면부(24)를 구비하여 상기 인출외력인가부(18)와 연동되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약제수용부(12)는 상기 인출외력인가부(18)에 의한 인출외력에 의해 인출방향으로의 이동이 완료되어 상기 포장약제 중 적어도 하나가 외부로 불출되면, 상기 인출외력의 제거에 의해 제자리로 자동적으로 복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출외력의 제거에 의한 상기 약제수용부(12)와 상기 인출외력인가부(18)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 차단은 전자석을 포함하는 인출외력인가부(18)에 흐르는 전류가 차단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약제수용부(12)의 자동적 복귀는 약제수용부(12)와 지지부(14)에 형성되는 자석에 의한 인력 또는 탄성부재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약제수용부(12)의 복귀는 상기 인출외력의 제거에 의해 구현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인출외력에 의한 이동이 완료되어 상기 포장약제 중 적어도 하나가 외부로 불출되면, 상기 인출외력의 방향 전환에 의해 제자리로 복귀될 수도 있다.
상기 약제수용부(12)는 인출외력인가부(18)에 의한 인출외력에 의해 지지부(14)로부터 슬라이딩되어 인출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원활한 슬라이딩 이동을 위해 상기 약제수용부(12) 및 상기 지지부(14)는 각각 이동가이드부(26) 및 회전부(28)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동가이드부(26)는 일종의 볼 베어링으로 상기 약제수용부(12)의 측벽의 하측단으로부터 지지부(14)의 측면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30)에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가이드부(26)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개의 연장부(30)에 단일개로 체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의 의도에 맞게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가이드부(26)는 상기 지지부(14)의 상측면에 안착된 채 상기 약제수용부(12)의 인출방향으로의 이동이 가이드되도록 상기 지지부(14)의 측면을 따라 이동가능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14)의 측면은 상기 이동가이드부(26)가 삽입되어 상기 이동가이드부(26)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도록 인출방향을 따라 함입되어 형성되는 이동가이드대응부(32)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인출외력인가부(18)에 의한 인출외력에 의해 상기 약제수용부(12)가 지지부(14)로부터 인출되는 경우 상기 이동가이드부(26)는 상기 이동가이드대응부(32) 내에서 일종의 바퀴 기능을 하게 되어 상기 약제수용부(12)의 원활한 인출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약제수용부(12)의 지지부(14)로부터의 인출은 볼 베어링의 일종인 회전부(28)에 의해 더욱더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부(28)는 상기 지지부(14)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부(28)는 약제수용부(12)가 상기 지지부(14)의 상측면에 안착된 채 인출방향으로의 이동이 가이드되도록 상기 약제수용부(12)의 저면과 접촉되도록 소정의 위치에서 회전되도록 상기 지지부(14)에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28)는 상기 이동가이드부(26)와 마찬가지로 단일개로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당업자의 의도에 맞게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인출외력인가부(18)에 의한 약제수용부(12)의 지지부(14)로부터의 슬라이딩 인출은 이동가이드부(26)가 이동가이드대응부(32) 내에서의 회전 이동 및 소정의 위치에서의 회전부(28)의 회전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가이드부(26) 및 상기 회전부(28)는 볼 베어링 이외의 다른 수단으로 변경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약제 불출설비에 제공되는 포장약제 보관박스의 내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약제 불출설비에 제공되는 포장약제 보관박스의 내부를 도시한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약제수용부(12)에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장약제가 배치될 수 있으며, 약제수용부(12)의 지지부(14)로부터의 인출에 의해 내부공간(S2)에 배치된 상기 포장약제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노출된 적어도 하나의 포장약제는 불출외력인가부(20)의 이동에 의해 컨베이어부(16)로 불출될 수 있으며, 불출이 완료되면 상기 약제수용부(12) 내에 배치된 포장약제는 최전방에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되도록 자동적으로 위치 이동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약제수용부(12) 내에서의 포장약제의 원활한 위치 이동을 위해 상기 포장약제와 상기 약제수용부(12) 사이에 작용하는 위치 이동에 의한 마찰력은 저감될 필요가 있으며, 이는 요철의 표면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착부(34)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34)는 상기 약제수용부(12) 내에서의 포장약제가 안착되는 일종의 바닥벽일 수 있으며, 인출방향을 따라 연속적인 요철 형상으로 인해 내부공간(S3) 내에서 상기 포장약제와의 접촉면적을 저감시켜 상기 포장약제의 이동이 원활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안착부(34)는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착탈부(36)가 지지부(14) 상에 형성된 착탈대응부(38)에 착탈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지지부(14)를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착탈부(36) 및 상기 착탈대응부(38) 중 어느 하나는 돌기로 나머지 하나는 홈 또는 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착탈부(36)가 상기 착탈대응부(38)에 삽입되면, 상기 안착부(34)와 다른 안착부(34) 사이에는 소정의 이격공간(S3)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이격공간(S3)은 후술할 가압부(40)가 인출방향으로 이동되기 위한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약제 불출설비에 제공되는 포장약제 보관박스의 가압부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내부 구성도.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약제수용부(12) 내에서의 포장약제(T)의 위치 이동은 상기 내부공간(S2)에 수용된 상기 포장약제(T)에 전방측을 향한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부(40) 및 상기 가압부(40)에 연결되어 상기 가압력이 발생되도록 상기 가압부(40)에 전방측을 향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가압근원부(42)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가압근원부(42)는 일종의 탄성 변형이 가능한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탄성 변형에 대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가압부(40)를 인출방향을 향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가압부(40)는 약제수용부(12)의 안착부(34)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안착부(34)와 다른 안착부(34)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공간(S3)을 따라 인출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40)는 상기 안착부(34)의 하측에 배치되어 가압근원부(42)가 연결되는 가압이동부(44) 및 상기 가압이동부(44)와 체결되어 상기 안착부(34)의 상측으로 연장되고 포장약제에 직접적인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력제공부(4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이동부(44)는 상기 가압근원부(42)가 안정적으로 감기도록 상기 가압근원부(42)의 외면의 일부와 대응되는 홈을 구비할 수 있으며, 가압근원부(42)의 복원력에 의해 인출방향을 향하여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안착부(34)의 하측과 대응되는 약제수용부(12)는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압근원부(42)가 감기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고정부(48)를 구비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으로 전방측에 치우쳐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돌출고정부(48)는 상기 가압근원부(42)의 외면의 일부와 대응되는 홈을 구비하여 상기 가압근원부(42)를 안정적으로 감기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가압근원부(42)는 제1 가압근원부(41) 및 제2 가압근원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압근원부(41) 및 상기 제2 가압근원부(43)는 상기 약제수용부(12)에 연결되는 일측고정단 및 상기 일측고정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탄성 변형이 가능한 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돌출고정부(48)에 감긴 후 상기 가압부(40)에 연결되는 타측자유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각각의 타측자유단은 서로 연결된 채 일체화되어 상기 가압부(40)에 감길 수 있다.
결국,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근원부(42)는 단일개의 탄성고무일 수 있으며, 일측단이 약제수용부(12)의 후방측에 고정된 후 타측단이 탄성 변형되어 전방측에 형성된 돌출고정부(48)에 감긴 다음 가압이동부(44)에 감긴 후 다시 전방측에 형성된 돌출고정부(48)에 감기고 난 뒤 최종적으로 후방측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가압부(40)는 불출외력인가부(20)에 의해 약제수용부(12)의 최전방에 위치하는 포장약제가 컨베이어부(16)로 불출되면, 자동적으로 상기 가압근원부(42)의 복원력에 의해 인출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최전방에서부터 순차적으로 포장약제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약제 불출설비에 제공되는 포장약제 보관박스의 가압근원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19를 참조하면, 가압근원부(42a)는 전방측에 연결되는 일측고정단 및 상기 일측고정단으로부터 후방측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한 채 가압부(40)와 연결되는 타측자유단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압근원부(42a)는 단일개로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자의 의도에 맞게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0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가압근원부(42b)는 제1 가압근원부(42b1) 및 제2 가압근원부(42b2)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타측 자유단은 서로 연결된 채 일체화되어 가압부(40)에 감길 수 있다.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하면, 가압근원부(42c)는 약제수용부(12)의 전방측에 형성되는 단일개 돌출형성부(48)에 감긴 후 후방측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으며, 일측자유단 및 타측자유단은 가압부(40)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측자유단 및 상기 타측자유단은 서로 연결된 채 일체화되어 상기 가압부(40)에 감길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압근원부(42c) 및 상기 돌출형성부(48)는 단일개로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자의 의도에 맞게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6 및 도 27을 참조하면, 가압근원부(42d)는 제1 가압근원부(42d1) 및 제2 가압근원부(42d2)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 상기 약제수용부(12)에 연결되는 일측고정단 및 상기 일측고정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탄성 변형이 가능한 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돌출고정부(48)에 감긴 후 상기 가압부(40)에 연결되는 타측자유단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가압근원부(42d1)의 타측자유단 및 상기 제2 가압근원부(42d2)의 타측자유단은 서로 연결된 채 가압부(40)에 감길 수 있다.
도 28 및 도 29를 참조하면, 가압근원부(42e)는 랙기어(42e1) 및 피니언 기어(42e2)와 상기 피니언 기어(42e2)의 회전축에 체결되는 나선형 탄성부재(42e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축에 가압부(40)가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압부(40)는 상기 나선형 탄성부재(42e3)에 의해 인출방향을 향한 복원력이 발생될 수 있으며, 피니언 기어(42e2)의 랙기어(42e1) 상의 회전에 의해 인출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30 및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약제 불출설비(2)에 제공되는 포장약제 보관박스의 이동을 감지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분해 사시도 및 부분도이다.
도 30 및 도 31을 참조하면, 포장약제 보관박스(4)는 지지부(14)로부터의 약제수용부(12)의 이동여부, 즉, 인출여부를 감지하는 이동감지센서(5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감지센서(50)는 상기 지지부(14) 및 상기 약제수용부(12)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감지센서(50)가 구비되지 않은 상기 지지부(14) 및 상기 약제수용부(12) 중 하나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기장발생부(52)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감지센서(50)는 자기장 또는 자력선의 크기와 방향을 측정하는 자기센서일 수 있으며, 상기 자기장발생부(52)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의 크기 또는 방향을 측정하여 약제수용부(12)의 인출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일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4)의 후방측 상면에는 자석의 일종인 자기장발생부(52)가 배치될 수 있으며, 약제수용부(12)의 후방측 저면에는 상기 자기장발생부(52)의 자기장을 감지하는 자기센서인 이동감지센서(50)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약제수용부(12)의 인출 시 이동감지센서(50)와 자기장발생부(52)의 거리 변화에 의해 상기 이동감지센서(50)는 상기 약제수용부(12)의 이동여부를 감지할 수 있으며, 감지의 정확성을 위해 상기 자기장발생부(52)의 위치는 가변될 수 있다.
즉, 이동감지센서(50)의 감지력은 환경에 따라 다소 변할 수 있으므로, 이를 보정하기 위해 자기장발생부(52)의 위치를 이동시켜 정확성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지지부(14)는 상기 약제수용부(12)의 이동에 따라 상기 지지부(14)와 상기 약제수용부(12)에 구비되는 상기 자기센서인 이동감지센서(50) 또는 상기 자기장발생부(52)와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약제수용부(12)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간섭방지공간(S4)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간섭방지공간(S4)으로 인하여 상기 약제수용부(12)의 후방측 저면에 배치되는 자기장발생부(52)는 상기 지지부(14)와 간섭이 발생되지 않은 채 안정적으로 인출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32 및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약제 불출설비(2)에 제공되는 포장약제 보관박스의 외부연통공간의 증감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도이다.
도 32 및 도 33을 참조하면, 약제수용부(1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장약제를 수용하는 약제수용부(12)가 인출외력인가부(18)에 의한 인출외력에 의해 인출되어 하나의 포장약제가 불출되는 경우 불출되는 상기 포장약제와 상기 내부공간을 규정하는 측벽(54)과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불출되는 상기 포장약제와 대응되는 외부연통공간(S5)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연통공간(S5)은 착탈가능한 복수의 연통공간조절부(56)에 의해 크기가 가변적일 수 있으며, 상기 연통공간조절부(56)의 크기는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포장약제의 폭과 대응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포장약제 보관박스(4)의 약제수용부(12)에 수용될 수 있는 포장약제는 다양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폭도 다를 수 있다.
폭이 상대적으로 작은 포장약제의 경우에는 외부연통공간(S5)이 상기 폭과 대응되도록 작게 형성되어 있어도 약제수용부(12)가 인출된 후 상기 외부연통공간(S5)을 통하여 포장약제를 불출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발생되지 않으나, 상기 외부연통공간(S5)보다 큰 폭을 가진 포장약제의 경우에는 외부연통공간(S5)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외부연통공간(S5)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통공간조절부(56)의 착탈여부에 의해 조절될 수 있으며, 이는 결국 포장약제의 폭을 고려하여 체결되는 연통공간조절부(56)의 갯수를 조절하면 된다.
도 34 내지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약제 불출설비에 제공되는 포장약제 보관박스의 정렬부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도이다.
도 34 내지 도 36을 참조하면, 약제수용부(12)는 내부공간(S2)에 수용되는 상기 포장약제의 정렬을 위해 상기 포장약제를 일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내부공간 내에서 이동 가능한 정렬부(58)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렬부(58)는 상기 내부공간으로의 새로운 포장약제의 투입을 위해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회동부(60)에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정렬부(58)로 인해 포장약제는 내부공간 내에서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포장약제의 크기는 다양할 수 있으므로,내부공간 내에서의 포장약제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포장약제를 일방향인 일측벽 방향으로 가압하는 정렬부(58)가 요구되는 것이다.
상기 정렬부(58)는 상기 회동부(60)에 인출방향과 소정 각도로 경사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체결된 제1 정렬부(58a) 및 상기 제1 정렬부(58a)에 인출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체결된 제2 정렬부(58b)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정렬부(58a)는 인출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하여 포장약제를 일측벽에 가압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정렬부(58b)는 제1 정렬부(58a)를 기준으로 인출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여 최전방에 배치된 포장약제의 안정적인 불출을 구현하도록 할 수 있다.
정렬부(58)는 내부공간에 배치된 포장약제 중 최전방에 배치된 포장약제를 제외한 모든 포장약제를 일측벽으로 가압하여 안정적인 상기 내부공간에의 배치를 구현할 수 있으며, 불출외력인가부(20)의 최전방에 배치된 포장약제로의 불출외력 인가를 위해 최전방에 배치된 포장약제와는 이격되어야 한다.
다시 말하면, 약제수용부(12)에 수용될 수 있는 포장약제는 일정한 것이 아니며, 포장약제의 종류에 따라 폭 및 크기가 다양할 수 있으므로, 제1 정렬부(58a) 및 제2 정렬부(58b)가 회동부(60)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상기와 같은 이유를 모두 충족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37 내지 도 40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약제 불출설비에 제공되는 포장약제 보관박스의 불출공간증가부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7 내지 도 40을 참조하면, 포장약제 보관박스(4)는 약제수용부(12) 및 상기 약제수용부(12)를 지지하는 지지부(1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약제수용부(12)가 인출외력인가부(18)에 의한 인출외력에 의해 상기 지지부(14)로부터 인출되는 경우 통과되는 통과부(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과부(62)는 상기 지지부(14)에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약제수용부(12)가 상기 지지부(14)로부터 이동되기 전 상기 약제수용부(12)의 측벽의 적어도 일부를 포위하고 상기 약제수용부(12)가 인출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약제수용부(12)가 통과하는 구조물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포장약제 보관박스(4)는 상기 약제수용부(12)가 상기 통과부(62)를 통과하여 인출방향으로 이동된 후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된 포장약제 중 최전방에 배치되는 포장약제가 불출외력인가부(20)에 의한 불출외력에 의해 불출되는 경우, 상기 불출외력인가부(20)가 통과하는 불출공간(S6)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약제수용부(12)에 체결되는 불출공간증가부(6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제수용부(12)의 전방측은 상기 약제수용부가 지지부(14)로부터 인출방향으로 이동되기 전부터 전면부(24)와 불출공간증가부(64) 사이에 형성되는 소정의 불출공간(S6)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불출공간증가부(64)는 상기 약제수용부(12)의 인출 시 상기 불출공간(S6)을 증가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불출공간증가부(64)는 상기 약제수용부(12)가 상기 통과부(62)를 통과하기 전에는 상기 통과부(62)와 접촉되어 이동이 차단되며, 상기 통과부(62)를 통과하면 복원력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약제수용부(12)의 전방측에 형성되는 상기 불출공간(S6)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불출공간증가부(64)는 상기 약제수용부(12)가 상기 통과부(62)를 통과하면 일종의 스프링인 복원부재(66)의 복원력에 의해 상승되어 상기 불출공간(S6)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불출공간(S6)의 증가로 인하여 불출외력을 제공하는 불출외력인가부(20)의 원활한 이동을 구현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불출공간증가부(64)는 약제수용부(12)에 결합되는 고정부(64a), 상기 고정부(64a)에 회동가능하도록 체결되는 한 쌍의 매개부(64b) 및 상기 매개부(64b)에 체결되어 상기 매개부(64b)의 회동에 의해 승강여부가 결정되는 승강부(64c)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불출공간(S6)의 증가는 결국, 상기 승강부(64c)의 상승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부(64c)의 상승은 고정부(64a) 내에서 회동하는 한쌍의 매개부(64b)의 회동과 연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약제수용부(12)가 통과부(62)를 통과하게 되면, 고정부(64a)와 결합되어 상기 승강부(64c)에 상승하는 방향으로의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부재(66)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승강부(64c)는 상승하게 되며, 상승과 동시에 매개부(64b)는 상기 고정부(64a)로부터 소정각도 회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복원부재(66)는 고정부(64a)의 인출방향 측의 일측모서리로부터 대략 중앙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복원부재고정부(64a1)에 삽입되는 동시에 상기 복원부재고정부(64a1)를 수용하도록 승강부(64c)에 형성된 수용홈(64c1)에 수용되어 소정의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복원부재(66)는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척력이 발생되는 자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승강부(64c)의 승강은 승강가이드부(68a) 및 상기 승강가이드부(68a)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승강가이드대응부(68b)에 의해 효과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승강가이드부(68a)는 상기 약제수용부(12) 및 승강부(64c) 중 어느 하나에 승강 방향을 따라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가이드대응부(68b)는 나머지 하나에 상기 승강가이드부(68a)와 대응되도록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승강가이드부(68a)와 슬라이딩되도록 할 수 있다.
결국, 상기 승강부(64)의 승강은 승강가이드대응부(68b)가 승강가이드부(68a)를 따라 슬라이딩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으며, 승강 과정에서 상기 승강부(64c)의 이탈 가능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41 내지 도 44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약제 불출설비에 제공되는 포장약제 보관박스의 인출구현부 및 이동차단부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1 내지 도 44를 참조하면, 포장약제 보관박스(4)의 지지부(14)는 상기 지지부(14)가 장착되는 카트리지(6)의 인출허용부(70)에 의해 위치가 이동하는 이동차단부(72)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이동차단부(72)의 위치 이동은 탄성부재(74)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약제수용부(12)는 상기 인출허용부(70)에 의한 이동차단부(72)의 위치 이동에 의해 상기 이동차단부(72)와의 걸림이 해제되어 인출방향으로의 이동이 구현되도록 하는 인출구현부(76)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출구현부(76)는 상기 약제수용부(12)의 저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후방측 일측에는 상기 이동차단부(72)가 걸리게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차단부(72)는 덮개부(78)에 의해 지지부(14)의 후방측 상면에 이동가능하도록 고정될 수 있으며, 탄성부재(74)의 복원력에 의해 인출구현부(76)의 홈에 항상 걸리게 되어 상기 인출구현부(76)의 이동, 즉, 약제수용부(12)의 비이상적인 인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포장약제 보관박스(4)는 카트리지(6)에 장착되기 전에는 상기 이동차단부(72)에 인출구현부(76)가 걸린 상태로 유지되어 약제수용부(12)의 인출이 차단될 수 있으며, 상기 카트리지(6)에 장착되는 순간 상기 카트리지(6)의 인출허용부(70)에 의해 상기 이동차단부(72)가 밀리게 되어 상기 인출구현부(76)는 상기 이동차단부(72)로부터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상태로 변할 수 있다.
결국, 포장약제 보관박스(4)가 카트리지(6)에 장착되면, 인출외력인가부(18)에 의한 약제수용부(12)의 인출이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카트리지(6)에 장착되지 않으면 포장약제의 인출이 차단될 수 있는 것이다.
도 45 및 도 46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약제 불출설비에 제공되는 포장약제 보관박스의 잠금부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45 및 도 46을 참조하면, 포장약제 보관박스(4)는 새로운 포장약제의 투입을 위해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회동부(6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회동부(60)의 회동 여부는 약제수용부(12)에 후방측에 형성되는 잠금부(78)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포장약제 보관박스(4)에 수용된 모든 포장약제가 인출외력인가부(18) 및 불출외력인가부(20)에 의해 불출되고 나면, 새로운 포장약제를 상기 포장약제 보관박스(4)에 투입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 회동부(60)를 회동시켜야 한다.
상기 잠금부(78)는 별도의 잠금해제부재에 의해 위치가 가변적인 잠금매개부(78a)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회동부(60)는 상기 잠금매개부(78a)에 착탈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상기 잠금매개부(78a)의 이동 여부에 의해 걸림 여부가 결정되는 걸림부(60a)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회동부(60)를 회동시켜 새로운 포장약제를 약제수용부(12)에 투입시키기 위해 별도의 잠금해제부재를 이용하여 잠금부(78)의 잠금매개부(78a)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상기 잠금해재부재에 의해 상기 잠금매개부(78a)를 회전시키면 상기 회동부(60)의 걸림부(60a)가 상기 잠금매개부(78a)로부터 이탈됨으로써 상기 회동부(60)의 회동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해재부재는 일종의 열쇠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잠금부(78)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회동부(60)를 회동시킬 수 있으나, 약제의 전문성 및 약화사고 방지를 위해 열쇠가 구비되는 별도의 리필스테이션을 이용할 수도 있다.
즉, 상기 포장약제 보관박스(4)의 약제수용부(12)에 새로운 포장약제를 투입시키려 하는 경우 상기 포장약제 보관박스(4)를 카트리지(6)로부터 분리시킨 후 리필스테이션에 삽입시킴으로써 상기 잠금부(78)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리필스테이션에 구비되는 잠금해재부재인 열쇠는 자동적으로 상기 잠금부(78)에 삽입되어 상기 잠금부(78)를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잠금부(78)의 회전을 위해 기존의 열쇠만으로 구성되는 해재부재를 이용하는 경우보다 상기 리필스테이션을 이용하는 경우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잘못된 약제의 투입으로 인한 약화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47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약제 불출설비에 제공되는 포장약제 보관박스의 카트리지에의 장착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47을 참조하면, 지지부(14)는 상기 지지부(14)가 장착되는 카트리지(6)에 형성된 위치고정부(82)가 삽입되어 상기 카트리지(6) 상에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저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는 위치고정대응부(84)를 구비할 수 있다.
포장약제 보관박스(4)를 카트리지(6)에 삽입시켜 장착하는 경우 상기 위치고정대응부(84)는 상기 카트리지(6)에 승강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위치고정부(82)가 삽입되어 상기 포장약제 보관박스(4)를 고정시킬 수 있으며, 상기 위치고정부(82)의 하강 없이는 상기 포장약제 보관박스(4)를 카트리지(6)로부터 분리시킬 수 없게 된다.
한편, 상기 포장약제 보관박스(4)를 카트리지(6)에 삽입하는 경우 지지부(14)의 양측면의 하측에 삽입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삽입가이드홈(86)에 카트리지(6)에 형성된 삽입가이드돌기(88)가 삽입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지지부(14)의 상기 카트리지(6)에의 삽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삽입가이드돌기(88) 및 상기 삽입가이드홈(86)에 의해 포장약제 보관박스(4)의 카트리지(6)에의 삽입이 가이드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지지부(14)의 저면에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석의 일종인 이탈여부감지대응부(80)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이탈여부감지대응부(80)는 카트리지(6)에 구비되는 이탈감지센서(90)를 작동시켜 상기 지지부(14)가 상기 카트리지(6)로부터의 비이상적인 이탈 여부를 감지토록 할 수 있다.
[포장약제 불출장치]
도 48 내지 5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약제 불출설비에 제공되는 포장약제 불출장치의 인출외력인가부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며, 도 52 내지 도 57은 포장약제 불출설비에 제공되는 포장약제 불출장치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8 내지 도 57을 참조하면, 포장약제 불출장치(8)는 소정의 위치에 고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장약제를 수용하는 포장약제 보관박스(4)에 인출외력을 인가하여 상기 포장약제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에 노출시키며, 노출된 상기 포장약제에 불출외력을 인가하여 외부로 불출되도록 하는 일종의 외력인가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상기 인출외력은 지지프레임(92)상에 이동가능하게 체결되는 인출외력인가부(18) 및 상기 인출외력인가부(18)와 연결되어 상기 인출외력인가부(18)의 인출방향으로의 이동에 대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인출외력구동력제공부(94)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출외력인가부(18)는 카트리지(6)에 장착된 포장약제 보관박스(4)를 인출하여 포장약제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에 노출시키도록 상기 포장약제 보관박스(4)에 상기 인출외력을 인가할 수 있으며, 상기 인출외력구동력제공부(94)는 상기 인출외력인가부(18)와 연결되어 상기 인출외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인출외력인가부(18)를 이동가능하게 하는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인출외력인가부(18)는 지지프레임(92)에 이동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포장약제 보관박스(4) 중 어느 하나와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가능할 수 있으며, 이는 환자의 처방전에 따른 신호가 포장약제 불출설비(2)에 인가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 신호에 의해 상기 포장약제 불출장치(8)가 이동된 층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트리지(6)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장약제 보관박스(4)가 장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포장약제 불출장치(8)의 인출외력인가부(18)는 지지프레임(92) 상에서 이동되어 필요로 하는 포장약제가 수용된 어느 하나의 포장약제 보관박스(4)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상기 인출외력인가부(18)가 어느 하나의 포장약제 보관박스(4)와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이 완료되면, 상기 인출외력인가부(18)는 이탈방지가이드부(22)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기 포장약제 보관박스(4)을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상기 이탈방지가이드부(22)는 상기 인출외력인가부(18)의 포장약제 보관박스(4)를 향하여 이동하는 과정에서의 상기 인출외력인가부(18)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인출외력인가부(18)가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인출외력인가부(18)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가이드부(22)는 상기 인출외력인가부(18)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탈방지가이드홈(22a)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인출외력인가부(18)는 상기 이탈방지가이드홈(22a)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이탈방지가이드홈(22a)에 삽입되는 이탈방지가이드돌기(22b)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출외력인가부(18)의 상기 포장약제 보관박스(4)를 향한 이동은 상기 이탈방지가이드돌기(22b)가 상기 이탈방지가이드홈(22a)에 삽입된 채 구현되므로, 안정적인 슬라이딩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인출외력인가부(18)에 의한 인출외력은 상기 인출외력인가부(18)와 상기 포장약제 보관박스(4)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인출외력인가부(18)와 전면부(24)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일 수 있다.
상기 인력은 전류의 흐름 여부에 따라 자기화(磁氣化)가 결정되는 전자석에 의해 발생될 수 있으며, 상기 인출외력인가부(18)는 전자석을 포함하여 인력의 발생여부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인출외력인가부(18)는 인출외력구동력제공부(94)에 의한 구동력에 의해 상기 포장약제 보관박스(4)를 향하여 이동되어 상기 포장약제 보관박스(4)에 상기 인출외력인 인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포장약제 보관박스(4)와 인력이 작용된 상태로 상기 인출외력구동력제공부(94)에 의한 구동력에 의해 제자리로 복귀되어 상기 포장약제 보관박스(4)의 약제수용부(12)의 인출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인출외력인가부(18)에 의한 인출외력에 의해 약제수용부(12)가 인출되면, 불출외력인가부(20)에 의해 포장약제 중 하나가 컨베이어부(16)로 불출될 수 있으며, 상기 컨베이어부(16)에 안착된 포장약제는 컨베이어부(16)의 밸트 회전에 의해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인출외력인가부(18)의 이동은 인출외력구동력제공부(94)의 회전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인출외력구동력제공부(94)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인출외력인가부(18)의 이동 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즉, 인출외력구동력제공부(94)에 의한 구동력은 베벨기어에 의해 인출외력전달부(96)로 전달될 수 있으며, 상기 인출외력전달부(96)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체인풀리부(96a), 제2 체인풀리부(96b) 및 체인부(96c)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출외력전달부(96)는 상기 인출외력구동력제공부(94)와 상기 인출외력인가부(18)와 연결되어 상기 인출외력구동력제공부(94)에 의한 구동력을 상기 인출외력인가부(18)로 전달하는 일종의 구동력 전달구조물일 수 있다.
상기 인출외력구동력제공부(94)는 베벨기어를 회전시켜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구동력은 제1 체인풀리부(96a) 및 제2 체인풀리부(96b)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체인부(96c)는 상기 제1 체인풀리부(96a) 및 상기 제2 체인풀리부(96b)에 물리게 되어 상기 제1 체인풀리부(96a) 및 상기 제2 체인풀리부(96b)의 회전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인출외력인가부(18)는 상기 체인부(96c)에 체결되어 상기 체인부(96c)의 이동과 연동되어 포장약제 보관박스(4)를 향하여 이동되거나 반대 방향을 향하여 이동될 수 있으며, 결국, 인출외력구동력제공부(94)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1 체인풀리부(96a) 및 제2 체인풀리부(96b)의 회전 방향이 바뀌게 되어 인출외력인가부(18)의 진행 방향도 바뀔 수 있다.
한편, 인출외력구동력제공부(94)에 의한 인출외력인가부(18)의 이동 시 이동 여부는 인출감지센서(98)에 의해 감지될 수 있으며, 상기 인출감지센서(98)는 이탈방지가이드부(22)의 일측면에 체결되는 센서안착부(100)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인출감지센서(98)가 체결되는 위치는 상기 센서안착부(100) 상에서 인출외력인가부(18)의 초기 위치 및 이동되어 최종적으로 배치되는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의 의도에 맞게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출감지센서(98)의 갯수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인출외력인가부(18)가 불출을 필요로 하는 포장약제 보관박스(4)의 약제수용부(12)를 인출하게 되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장약제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노출된 포장약제 중 하나는 불출외력인가부(20)에 의한 불출외력에 의해 컨베이어부(16)로 불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불출외력인가부(20)는 지지프레임(92) 상에서 상기 인출외력인가부(18)의 주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동에 따른 불출외력을 인가하여 포장약제 보관박스(4)에 수용된 포장약제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인 컨베이어부(16)로 불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불출외력인가부(20)에 의한 불출외력은 상기 인출외력인가부(18)에 의해 인출된 상기 포장약제 보관박스(4)의 일측 방향으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일측 방향으로부터 상기 타측 방향으로 이동된 후 다시 상기 일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또 다른 불출외력이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불출외력인가부(20)의 지지프레임(92)에서의 이동은 상기 인출외력인가부(18)의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포장약제 보관박스 중 어느 하나와 대응되는 위치로의 이동과 서로 다른 구동력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상기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102, 104)는 지지프레임(92) 상에 체결될 수 있다.
불출외력인가부(20)에 의한 불출외력에 의해 포장약제 보관박스(4)로부터 포장약제가 불출되어 컨베이어부(16)에 안착되는 경우 상기 포장약제의 불출여부 또는 상기 컨베이어부(16)에의 적층되어 안착되는지 여부는 적층감지센서(106)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적층감지센서(106)는 상기 인출외력인가부(18)와 이웃하게 배치되어 포장약제의 불출 여부를 감지하거나, 불출된 이후의 포장약제의 적층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포장약제 불출장치(8)는 환자의 처방전에 따라 포장약제 불출설비(2) 내에서 포장약제 불출장치 이동부(10)에 의해 필요로 하는 포장약제가 수용되는 포장약제 보관박스(4)가 배치되는 층으로 이동되고, 인출외력 및 불출외력에 의해 포장약제 보관박스(4)로부터 필요로 하는 포장약제를 불출시킬 수 있다.
상기 포장약제 불출장치(8)는 포장약제의 불출이 완료되면, 환자의 처방전에 따라 다른 층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반복적인 동작에 의해 또 다른 포장약제의 불출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층에 배치되는 포장약제가 불출되는 경우 서로 다른 포장약제는 층만 다를 뿐 위치가 동일한 포장약제 보관박스(4)에 수용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컨베이어부(16)의 동일한 위치에 서로 다른 포장약제가 불출될 가능성이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로 다른 포장약제는 컨베이어부(16)의 거의 동일한 위치에 안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적층되어 안착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만약, 서로 다른 포장약제가 적층되면 적층된 포장약제의 부피로 인해 인출외력인가부(18) 및 불출외력인가부(20)의 이동이 문제될 수 있으며, 이를 감지하는 수단이 적층감지센서(106)인 것이다.
따라서, 적층감지센서(106)에 의해 포장약제의 적층 여부가 감지되면 컨베이어부(16)의 밸트 회전 이동 및 진동 등에 의해 적층을 제거할 수 있다.
다만, 서로 다른 포장약제의 적층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포장약제 불출장치(8)의 층별 이동 시 컨베이어부(16)의 밸트 회전이 이루어져도 무방할 수 있다.
[포장약제 보관박스 설치용 카트리지]
도 58 및 도 59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약제 불출설비에 제공되는 포장약제 보관박스 설치용 카트리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58 및 도 59를 참조하면, 카트리지(6)는 포장약제 불출설비(2)의 층별로 구비될 수 있으며, 포장약제 보관박스(4)가 착탈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일종의 포장약제 보관박스 설치구조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트리지(6)는 포장약제 보관박스(4)의 소정 거리 이상의 진입을 제한한 채 상기 포장약제 보관박스(4)를 지지하는 카트리지 하우징(108) 및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108)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포장약제 보관박스(4)의 약제수용부(12)의 인출을 허용하도록 하는 인출허용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출허용부(70)는 상기 포장약제 보관박스(4)가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108)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포장약제 보관박스(4)의 지지부(14)의 내부로 삽입되어 인출구현부(76)를 이동차단부(72)로부터 분리를 시켜 인출외력인가부(18)에 의한 약제수용부(12)의 인출을 구현토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포장약제 보관박스(4)는 카트리지(6)에 장착되기 전에는 상기 이동차단부(72)에 인출구현부(76)가 걸린 상태로 유지되어 약제수용부(12)의 인출이 차단될 수 있으며, 상기 카트리지(6)에 장착되는 순간 상기 카트리지(6)의 인출허용부(70)에 의해 상기 이동차단부(72)가 밀리게 되어 상기 인출구현부(76)는 상기 이동차단부(72)로부터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상태로 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108)은 상기 포장약제 보관박스(4)가 안착되는 안착하우징(110) 및 상기 안착하우징(110)의 일측단에 결합되어 상기 포장약제 보관박스(4)의 진입 범위를 규정하는 제한하우징(11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한하우징(112)은 포장약제 보관박스(4)의 후방측벽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108)의 상기 제한하우징(112)은 포장약제 보관박스(4)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데이터 송수신 단자를 구비할 수 있으며,상기 데이터 송수신 단자(114)에 의해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108)은 포장약제과 관련된 정보를 포장약제 보관박스(4)와 송수신 할 수 있다.
한편, 인출허용부(70)은 상기 제한하우징(112)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안착하우징(110)과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출허용부(70)는 상기 제한하우징(112)을 향한 일측단보다 타측단의 폭이 작게 형성되어 상기 인출허용부(70)가 포장약제 보관박스(4)의 지지부(14)에 삽입되는 경우 이동차단부(72)를 부드럽게 밀어 인출구현부(76)를 상기 이동차단부(72)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인출허용부(70)는 상기 제한하우징(112)으로부터 소정 길이 이후부터 폭이 선형적 또는 비선형적으로 감소될 수 있으며, 다른 측면으로 상기 인출허용부(70)의 일측면은 상기 제한하우징(112)으로부터 소정 길이 이후부터 타측면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60 내지 도 66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약제 불출설비에 제공되는 포장약제 보관박스 설치용 카트리지의 위치고정부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60 내지 도 66을 참조하면, 카트리지(6)는 포장약제 보관박스(4)의 저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는 위치고정대응부(84)에 삽입되어 상기 포장약제 보관박스(4)의 상기 안착하우징(110)에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위치고정부(8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위치고정부(82)는 안착하우징(110)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부(82)는 안착하우징(110)의 전방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하강근원부(116)에 의해 하강이 구현될 수 있으며, 하강된 이후 복원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상승이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강근원부(116)는 포장약제 보관박스(4)의 위치고정대응부(84)에 상기 위치고정부(82)가 삽입된 이후 필요로 하는 포장약제의 불출이 완료되거나 상기 포장약제 보관박스(4)를 카트리지(6)로부터 분리시키려고 하는 경우 상기 위치고정부(82)를 하강시켜 상기 포장약제 보관박스(4)를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108)으로부터 인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위치고정부(82)를 하강시키는 하강력은 상기 위치고정부(82)와의 접촉면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하강근원부(116)와 상기 위치고정부(82)의 접촉면은 상기 하강근원부(116)의 제한하우징(112)을 향한 위치 이동 방향과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하강근원부(116)가 제한하우징(112)을 향하여 위치 이동하게 되면 상기 위치고정부(82)는 경사지게 형성되는 접촉면에 의해 자연스럽게 하강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하강근원부(116) 및 상기 위치고정부(82)는 상기 하강근원부(116)의 상기 제한하우징(112)을 향한 위치 이동 후 복원력에 의해 자동으로 제자리로 복귀될 수 있으며, 이는 각각 상기 하강근원부(116)와 상기 안착하우징(110)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복원부재(118) 및 상기 위치고정부(82)와 상기 안착하우징(110)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복원부재(12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복원부재(118)는 상기 하강근원부(116)의 양측단과 안착하우징(110)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체인 스프링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복원부재(120)는 위치고정부(82)의 저면과 안착하우징(110)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체인 스프링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복원부재(118) 및 상기 제2 복원부재(120)의 갯수는 일정하게 정해질 필요는 없으며, 당업자의 의도에 맞게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복원부재(118) 및 상기 제2 복원부재(120)는 반드시 탄성체인 스프링일 필요는 없으며, 척력을 발생시키는 자석 등으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하강근원부(116)가 제한하우징(112)을 향한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하강근원부(116)의 하측에 배치되는 스톱퍼(122)에 의해 상기 하강근원부(116)의 제한하우징(112)으로의 이동 범위가 제한될 수 있으며, 상기 스톱퍼(122)는 안착하우징(110)의 상면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스톱퍼(122)는 상기 하강근원부(116)와의 접촉에 의해 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으며, 접촉되는 부분에 접촉에 의한 충격을 완화하도록 하는 완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완충부는 일종의 탄성체로 고무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강근원부(116)의 제한하우징(112)을 향한 이동에 의한 위치고정부(82)의 하강 및 복원력에 의한 위치고정부(82)의 승강 시 승강가이드돌기(124) 및 상기 승강가이드돌기(124)가 삽입되는 승강가이드홈(126)에 의해 위치고정부(82)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승강가이드돌기(124)는 상기 위치고정부(82)의 일측면 및 상기 일측면과 대향하는 상기 안착하우징(110)의 일면 중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가이드홈(126)은 나머지 하나에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승강가이드돌기(124)는 위치고정부(82)의 양측면으로부터 승강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가이드홈(126)은 상기 승강가이드돌기(124)가 승강가능하도록 승강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강근원부(116)에 의한 위치 이동에 의한 위치고정부(82)의 승강은 상기 승강가이드홈(126)을 따라 상기 승강가이드돌기(124)가 슬라이딩되어 안정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안착하우징(110)은 상기 포장약제 보관박스(4)가 삽입되는 경우 삽입을 안내하는 삽입가이드부(128)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삽입가이드부(128)는 포장약제 보관박스(4)의 폭과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삽입가이드부(128)는 상기 포장약제 보관박스(4)의 양측면의 하측에 형성된 삽입가이드홈(86)에 삽입되는 삽입가이드돌기(88)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삽입가이드돌기(88)는 상기 삽입가이드홈(86)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가이드돌기(88)는 하나의 삽입가이드부(128)의 양측에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삽입가이드돌기(88)와 다른 삽입가이드부(128)의 삽입가이드돌기(88)가 동시에 하나의 포장약제 보관박스(4)의 한 쌍의 삽입가이드홈(86)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포장약제 보관박스(4)의 카트리지(6)로의 삽입은 상기 삽입가이드돌기(88)가 상기 삽입가이드홈(86)에 삽입된 채 슬라이딩되어 안정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67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약제 불출설비에 제공되는 포장약제 보관박스 설치용 카트리지의 이탈감지센서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67을 참조하면, 카트리지 하우징(108)에는 포장약제 보관박스(4)가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108)으로부터의 이탈 여부를 감지토록 하는 이탈감지센서(9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이탈감지센서(90)는 포장약제 보관박스(4)의 지지부(14)의 저면에 결합되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이탈여부감지대응부(80)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탈감지센서(90)는 상기 카트리지(6)로부터의 상기 포장약제 보관박스(4)의 비이상적인 이탈 여부를 감지하여 허용되지 않은 제3 자에 의한 상기 포장약제 보관박스(4)의 인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예를 들어, 상기에서는 포장약제 보관박스(4)에 수용되는 구성요소를 포장약제로 가정하여 상기 포장약제가 불출되는 구성 등을 설명하였으나, 상기 포장약제 보관박스(4)에 수용될 수 있는 구성요소는 포장약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포장약제 보관박스(4)에 수용될 수 있는 구성요소는 형상이 상이한 약제, 붕대, 의료기기 등 다양할 수 있는 것이다.
2: 포장약제 불출설비
4: 포장약제 보관박스
6: 포장약제 보관박스 설치용 카트리지
8: 포장약제 불출장치.

Claims (22)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장약제가 수용되도록 소정의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약제수용부;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된 상기 포장약제에 전방측을 향한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에 연결되어 상기 가압력이 발생되도록 상기 가압부에 전방측을 향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가압근원부;를 포함하는 포장약제 보관박스.
  2. 제1항 있어서,
    상기 가압근원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약제수용부의 전방측에 연결되는 일측고정단 및 상기 일측고정단으로부터 후방측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한 채 상기 가압부와 연결되는 타측자유단을 구비하는 포장약제 보관박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근원부는 제1 가압근원부 및 제2 가압근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가압근원부의 타측자유단 및 상기 제2 가압근원부의 타측자유단은 서로 연결되는 포장약제 보관박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근원부의 타측자유단 및 상기 제2 가압근원부의 타측자유단은 서로 연결된 채 일체화되어 상기 가압부에 감기는 포장약제 보관박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수용부는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압근원부가 감기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고정부를 구비하는 포장약제 보관박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고정부는 단일개로 상기 약제수용부의 전방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가압근원부는 상기 돌출고정부에 감긴 후 후방측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한 채 상기 가압부와 연결되는 일측자유단 및 타측자유단을 구비하는 포장약제 보관박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자유단 및 상기 타측자유단은 서로 연결되는 포장약제 보관박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자유단 및 상기 타측자유단은 서로 연결된 채 일체화되어 상기 가압부에 감기는 포장약제 보관박스.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고정부는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가압근원부는 제1 가압근원부 및 제2 가압근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가압근원부 및 상기 제2 가압근원부는 각각 상기 약제수용부에 연결되는 일측고정단 및 상기 일측고정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탄성 변형이 가능한 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돌출고정부에 감긴 후 상기 가압부에 연결되는 타측자유단을 구비하는 포장약제 보관박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근원부의 타측자유단 및 상기 제2 가압근원부의 타측자유단은 서로 연결되는 포장약제 보관박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근원부의 타측자유단 및 상기 제2 가압근원부의 타측자유단은 서로 연결된 채 일체화되어 상기 가압부에 감기는 포장약제 보관박스.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수용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약제수용부는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된 상기 포장약제 중 적어도 일부를 외부에 노출시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장약제를 불출하기 위해 인출외력에 의해 상기 지지부로부터 인출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포장약제 보관박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수용부는 상기 인출외력에 의해 상기 지지부로부터 슬라이딩되어 이동되는 포장약제 보관박스.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수용부는 상기 지지부의 상측면에 안착된 채 인출방향으로의 이동이 가이드되도록 상기 지지부의 측면을 따라 이동가능한 이동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포장약제 보관박스.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측면은 상기 이동가이드부가 삽입되어 상기 이동가이드부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도록 인출방향을 따라 함입되어 형성되는 이동가이드대응부를 구비하는 포장약제 보관박스.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이드부는 상기 약제수용부의 측벽의 하측단으로부터 상기 지지부의 측면을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는 포장약제 보관박스.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외력은 전류의 흐름 여부에 따라 자기화(磁氣化)가 결정되는 전자석에 의해 발생되며,
    상기 약제수용부는 상기 전자석의 자기(磁氣)와 반응하여 상기 전자석과의 인력을 발생시키는 전면부를 구비하는 포장약제 보관박스.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수용부는 상기 인출외력에 의한 이동이 완료되어 상기 포장약제 중 적어도 하나가 외부로 불출되면, 상기 인출외력의 방향 전환에 의해 제자리로 복귀되는 포장약제 보관박스.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 체결되며, 상기 약제수용부가 상기 지지부로부터 이동되기 전 상기 약제수용부의 측벽의 적어도 일부를 포위하고 상기 약제수용부가 인출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약제수용부가 통과하는 통과부;를 더 포함하는 포장약제 보관박스.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수용부가 상기 통과부를 통과하여 인출방향으로 이동된 후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된 포장약제 중 최전방에 배치되는 포장약제가 불출외력인가부에 의한 불출외력에 의해 불출되는 경우, 상기 불출외력인가부가 통과하는 불출공간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약제수용부에 체결되는 불출공간증가부;를 더 포함하는 포장약제 보관박스.
  21. 제20항에 있어서,
    불출공간증가부는 상기 약제수용부가 상기 통과부를 통과하기 전에는 상기 통과부와 접촉되어 이동이 차단되며, 상기 통과부를 통과하면 복원력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약제수용부의 전방측에 형성되는 상기 불출공간을 증가시키는 포장약제 보관박스.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불출공간증가부는 상기 약제수용부가 상기 통과부를 통과하면 복원력에 의해 상승되어 상기 불출공간을 증가시키는 포장약제 보관박스.
KR1020130015362A 2012-11-01 2013-02-13 포장약제 보관박스, 포장약제 보관박스 설치용 카트리지 및 포장약제 불출장치 KR201400559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148 2012-11-01
KR1020120123149 2012-11-01
KR20120123148 2012-11-01
KR20120123149 2012-11-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5913A true KR20140055913A (ko) 2014-05-09

Family

ID=50887469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5362A KR20140055913A (ko) 2012-11-01 2013-02-13 포장약제 보관박스, 포장약제 보관박스 설치용 카트리지 및 포장약제 불출장치
KR1020130015361A KR20140055912A (ko) 2012-11-01 2013-02-13 포장약제 보관박스, 포장약제 보관박스 설치용 카트리지 및 포장약제 불출장치
KR1020130015363A KR20140055914A (ko) 2012-11-01 2013-02-13 포장약제 보관박스, 포장약제 보관박스 설치용 카트리지 및 포장약제 불출장치
KR1020130015364A KR20140055915A (ko) 2012-11-01 2013-02-13 포장약제 보관박스, 포장약제 보관박스 설치용 카트리지 및 포장약제 불출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5361A KR20140055912A (ko) 2012-11-01 2013-02-13 포장약제 보관박스, 포장약제 보관박스 설치용 카트리지 및 포장약제 불출장치
KR1020130015363A KR20140055914A (ko) 2012-11-01 2013-02-13 포장약제 보관박스, 포장약제 보관박스 설치용 카트리지 및 포장약제 불출장치
KR1020130015364A KR20140055915A (ko) 2012-11-01 2013-02-13 포장약제 보관박스, 포장약제 보관박스 설치용 카트리지 및 포장약제 불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2014005591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34124A (zh) * 2016-12-31 2017-12-05 广州燃烧医疗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新型阶梯式医疗箱
CN114275204A (zh) * 2022-01-07 2022-04-05 陶志泽 一种中药自动配药、包装和传送机器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9071B1 (ko) * 2014-11-13 2021-06-24 (주)제이브이엠 약제 포장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N109324351B (zh) * 2017-08-01 2022-11-29 北京华兴长泰物联网技术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光学药盒传感器及药盒
CN109324346B (zh) * 2017-08-01 2023-03-31 北京华兴长泰物联网技术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药盒传感器及药盒
CN114455155B (zh) * 2022-03-24 2022-11-29 浙江大学 一种医用药品打包设备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34124A (zh) * 2016-12-31 2017-12-05 广州燃烧医疗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新型阶梯式医疗箱
CN107434124B (zh) * 2016-12-31 2019-03-05 马诗歌瑞生物科技江苏有限公司 一种新型阶梯式医疗箱
CN114275204A (zh) * 2022-01-07 2022-04-05 陶志泽 一种中药自动配药、包装和传送机器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5915A (ko) 2014-05-09
KR20140055914A (ko) 2014-05-09
KR20140055912A (ko) 2014-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55913A (ko) 포장약제 보관박스, 포장약제 보관박스 설치용 카트리지 및 포장약제 불출장치
JP5434420B2 (ja) 薬剤払出装置及び薬剤払出方法
JP6167907B2 (ja) 薬剤カセット
KR100605769B1 (ko) 약제 수집 시스템
JP7173224B2 (ja) 薬剤払出装置
KR101411802B1 (ko) 정제 충전 장치
US9387153B1 (en) Metered dispensing system
KR20040094427A (ko) 약제 공급 장치
JP2015526362A (ja) 1用量の固形薬品ポーションを貯蔵及び吐出するための貯蔵及び用量分割ステーション
JP5332346B2 (ja) 薬剤包装装置及び包装ユニット交換用台車
CN102307799A (zh) 药品托盘供给装置
KR20120085677A (ko) 약제 자동 포장기
JP5382263B2 (ja) 薬剤払出装置および薬剤残量算出方法
CN105491989A (zh) 药品盒及药品包装装置
JP4958871B2 (ja) 薬剤供給装置
JP2003237707A (ja) 薬剤供給装置
KR101254651B1 (ko) 약품공급장치
JP2003237713A (ja) 薬剤供給装置
KR20140055806A (ko) 파우치형 약제 불출 박스
EP4241755A1 (en) Medication dispenser apparatus
JP7484680B2 (ja) 服薬支援装置
CN116602871A (zh) 服药辅助装置
JP2004114612A (ja) 薬剤供給装置
KR20120054944A (ko) 약제 자동 포장기의 카세트 설치대 구조
JP2006109858A (ja) 調剤用薬剤払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