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5073B1 - 달걀포장장치를 위한 달걀운반장치 - Google Patents

달걀포장장치를 위한 달걀운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5073B1
KR101645073B1 KR1020137030725A KR20137030725A KR101645073B1 KR 101645073 B1 KR101645073 B1 KR 101645073B1 KR 1020137030725 A KR1020137030725 A KR 1020137030725A KR 20137030725 A KR20137030725 A KR 20137030725A KR 101645073 B1 KR101645073 B1 KR 101645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gg
conveyor
dispensing
eggs
convey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0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4222A (ko
Inventor
버렌트 덱크 허오테더
Original Assignee
모바 그룹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바 그룹 비.브이. filed Critical 모바 그룹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140004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4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5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5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6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B65G47/30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during transit by a series of conveyors
    • B65G47/31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during transit by a series of conveyors by varying the relative speeds of the conveyors forming the s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3/00Packaging fragile or shock-sensitive articles other than bottles; Unpacking eggs
    • B65B23/02Packaging or unpacking eggs
    • B65B23/06Arranging, feeding, or orientating the eggs to be packed; Removing eggs from trays or cart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rapping Of Specific Fragile Articles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드 외측 단부에서부터 배출 외측 단부까지 운반방향으로 연장하고, 운반의 방향에서 보여진 것처럼, 적어도 실질적으로 운반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이드들에 의하여 양쪽에서 경계된 피드매트를 포함하고,
운반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연장하는 가로 방향으로 분배된 배출 컨베이어의 적어도 두 개의 분배트랙 위로 달걀을 운반하는데 적합하고,
상기 피드매트는 적어도 그것의 길이부분 위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고 구동 장치에 의하여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 가능한 적어도 두 개의 분배매트 및, 그 선 상에 놓여있는 분배구역을 포함하고,
사용하는 동안 분배구역으로의 달걀의 운반을 감지하는 센서가 더 제공되는,
달걀포장장치를 위한 달걀운반장치와 관련이 있다.

Description

달걀포장장치를 위한 달걀운반장치{EGG TRANSPORT DEVICE FOR A PACKAGING DEVICE FOR EGGS}
제 1 측에 따르면, 본 발명은 피드(a feed) 외측 단부(outer end)에서부터 배출(a discharge) 외측 단부까지 운반방향으로 연장하고, 운반방향에서 보여진 것처럼, 적어도 실질적으로 운반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이드(guides)들에 의하여 양쪽에서 경계된(bounded) 피드매트(a feed mat)를 포함하고,
운반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하는 가로방향으로(in a width direction) 분배된 배출컨베이어(a discharge conveyor)의 적어도 두 개의 배출트랙(discharge tracks) 위로 달걀을 운반하는데 적합한 달걀포장장치를 위한 달걀운반장치와 관련이 있다. 그 배출트랙은 도징매트(dosing mat)의 부분일 수 있다.
알려져 있는 달걀운반장치는, 달걀포장장치의 부분으로서, 다음 단계에서 해당하는 수 또는 그 배수마다 달걀을 포장하기 위하여 달걀을 두 개 이상, 주로 다섯 또는 여섯 개의 배출트랙에 분배하는데 적합하다. 현재 달걀운반장치의 문제점은 파손(disruption)없이 배출트랙 위로 분배하는 경우가 자연스러운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즉, 피드매트는 공급되는 포장장치의 포장용량에 적합한 속도에서 항상 올바른 수의, 즉 n개의, 달걀을 연속적으로 운반하는 것에 적합하지 않다. 이것의 이유는 달걀이, 그것의 모양 때문에, 일정하지 않은 형태로(in uncontrolled manner) 피드매트 위로 이동하고 그것으로 인하여 하나 이상의 배출트랙이 일시적으로 막힐 수 있기 때문이다. 피드매트의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은 달걀을 축적시킬 가능성과, 그것에 의하여 누름 압력(pushing pressure)의 결과로서 달걀이 파손되는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해결책이 아니다.
알려진 달걀운반장치의 문제점은 만족스럽게 해결되지 않았다. 알려진 장치에서 부분적인 해결책은, 막힌 상태(blockage)의 경우에 피드매트를 일시적으로 멈추는 것이고 따라서 막힌 상태가 수동으로(manually) 해결될 수 있는데 모든 배출트랙이 그 후에 달걀을 다시 받는 것을 보장하기 위함이다. 이것은 병렬 포장기(parallel packer)에서 일어난다. 또 다른 부분적인 해결책은 다음 과정에서 배출트랙에 이어서 하나 이상의 달걀이 누락(absence)된 것을 보충하는(compensate) 것이고 그래서 모든 포장물(package)이 여전히 완전히 채워질 수 있다. 이것은 직렬 포장기(serial packer)에서 일어난다. 그러나 직렬 포장기는 병렬 포장기보다 느리다. 양자의 부분적인 해결책들은 포장장치의 최대 달성용량(attainable capacity)을 감소시킨다.
그러므로, 제 1 측에 따라서, 본 발명은 알려진 달걀운반장치를 사용하는 것보다 높은 신뢰성 및 수동적 개입(manual intervention)을 적게 또는 없도록 하여 공급되는 달걀이 모든 배출트랙에 나타날 수 있도록 하는 서론에 따른 달걀운반장치를 제공한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피드매트가 적어도 그것의 길이부분 위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고 구동장치(drive devices)에 의하여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 가능한 적어도 두 개의 분배매트들을 구비한 달걀 분배기(an egg distributor) 및, 그 선 상에(in the line) 놓여있는 분배구역(distributing section)을 포함하고, 사용하는 동안 분배구역으로의 달걀의 운반을 감지하는 센서가 더 제공된다는 점에서 이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될 수 있다. 그러한 분배기는 정해진 상황(determined situation)에서 다른 속도로 분배매트(distribution mats)를 구동하는 옵션을 제공하고, 그것에 의하여 분배매트가 상류방향에서 막힌 상태(blockage upstream)가 예방되거나 알려진 달걀운반장치보다 더 빨리 해결될 수 있다. 그렇게 본 발명의 의도된 목적이 달성된다. 달걀운반장치는 분배벨트(distribution belt)와 대응하는 분배구역 사이에서 달걀의 통류(throughflow)를 측정하는데 적합한 센서와 함께 제공된다. 이것은 센서에 의하여 발생 된 데이터를 기초로 한 제어장치(control device)에 의하여 분배매트의 구동을 제어하는 옵션을 제공한다. 상류(upstream)에 배치된 피드 컨베이어(feed conveyor)의 구동이 더구나 센서에 의한 감지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다.
그 분배구역은 바람직하게는 분배매트와 배출트랙 사이에 위치되지만, 선택적으로 또한 그 전체에 수용될 수 있다.
센서는 바람직하게는 달걀의 통과를 감지하기 위해 각각의 배출트랙의 시작 및/또는 끝에 제공된다. 그러므로 배출트랙의 달걀의 숫자는 배출트랙의 시작과 끝을 지나는 달걀의 숫자 사이의 차이로 결정될 수 있다. 다른 분배구역에서 나타나는 달걀의 숫자와 비교하여, 제어장치는 하나 이상의 분배매트의 누름 압력이, 따라서 그 구동이, 조정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분배매트의 상류에서, 분배구역의 앞 부분에서 피드매트에 분배를 위한 달걀이 축적되는 거리를 감지하는데 적합한 하나 이상의 센서가 더 제공될 수 있다. 분배매트 앞의 달걀의 수가 상대적으로 높을 때, 누름 압력으로 인한 파손의 가능성이 높아진다. 반면에, 분배구역 위로 적절한 상태 및 충분한 흐름으로 달걀을 분배하기 위하여, 분배구역의 앞에서 반드시 충분한 수의 달걀이 존재해야 한다.
결합 된 공급 흐름(supply flow)을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하위-흐름(sub-flow)의 바람직한 숫자로 나누기 위하여 피드매트는 바람직하게는 그 폭에 걸쳐(over the width) 분리수단(separating means)과 함께 제공될 것이다. 그 분리수단은 예를 들어 분배구역과 대응하는 구멍(hole)을 갖고 있는 스트립(strip)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대신에, 그 분리수단은 두 개의 의도되고 분리된 흐름 사이에서 피드매트에 대하여 수직으로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직립부(uprights)에 의하여 통로(gate)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그 분리수단은 분배매트와 분배구역의 사이의 전이 영역(transition)에 가까이에 제공된다. 그러므로 결합된 달걀의 공급 흐름은 적절한 전이 영역에 가까운 하위-흐름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폭 전체에 걸쳐(over the whole width) 연장하는 피드매트와 두 개 이상의 연결하는 분배 매트(connecting distribution mats) 사이의 전이 영역에서 달걀이 손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피드매트의 운반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하는 운송 스트립(transfer strip)이 제공될 수 있다.
횡 방향 컨베이어 벨트(transverse conveyor belt)는 분배 컨베이어(distribution conveyor)와 분배매트 사이에서 구동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제공되는 것이 추천되고, 그 횡 방향 컨베이어 벨트는 달걀운반장치의 운반 방향에 수직으로 구동될 수 있다. 게다가 운송 스트립이 운반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제어된 또는 임의의 상태에서 상호 간의 움직임을 만드는 것을 일으키므로 막힌 상태의 위험이 감소 될 수 있다.
분배구역이나 도징매트의 상류에서 그러한 횡 방향 컨베이어벨트는, 분배매트와 독립적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는 적어도 어느 정도의 문제를 또한 해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드 외측 단부에서부터 배출 외측 단부까지 운반방향으로 연장하고, 운반의 방향에서 보여진 것처럼, 적어도 실질적으로 운반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이드들에 의하여 양쪽에서 경계된 피드매트를 포함하고, 운반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연장하는 가로방향으로 분배된 배출 컨베이어의 적어도 두 개의 배출트랙 위로 달걀을 운반하는데 적합하고, 상기 피드매트는 분배 컨베이어와 분배매트 사이에서 운반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횡 방향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하고, 그 횡 방향 컨베이어는 달걀운반장치의 운반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구동 가능한 달걀포장장치를 위한 달걀운반장치를 들 수 있다. 그 달걀운반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사용하는 동안 분배구역으로의 달걀의 운반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한다. 그 횡 방향 컨베이어 벨트는 그러므로 센서의 감지를 조건으로 하여 횡 방향 컨베이어 벨트의 구동을 제어함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좋은 분리 및/또는 달걀의 개별적 하위-흐름의 가이드(guiding)을 위해 경계 부재(bounding member)는 연결된 또는 연결되는 배출 컨베이어의 두 개의 분배 구역 사이의 대응하는 경계로 인접한 두 개의 분배 구역 사이에서 연장하는 것이 추천된다. 이것은 달걀의 흐름이, 한번 그것들이 분리되고 나서, 분리된 다음에 다시 서로 섞이는 것을 방지한다.
분배매트의 숫자가 분배구역의 숫자와 일치할 때, 각각의 배출트랙으로의 달갈의 흐름이 개별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분배구역의 숫자가 배출트랙의 숫자보다 작은 경우, 예를 들어 두 개의 배출트랙마다 하나의 분배구역 또는 그 이외의 경우, 에 가능하다. 알려진 달걀운반장치에서 달걀은 피드매트의 두 방향 중 하나에 축적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분배 컨베이어를 단지 두 개의 분배매트 및 두 개의 분배구역으로 분할하는 것은 이미 종래기술(prior art)에 비하여 상당한 개선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피드매트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피드매트의 폭 전체에 걸쳐 연장하고 달걀운반장치의 운반방향으로 구동 가능한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한다. 컨베이어벨트는 달걀 운반에 매우 적합하다.
그 달걀운반장치의 분배매트는 게다가 바람직하게는 각각 컨베이어벨트를 포함한다.
분배매트와 그에 대응하는 분배구역 사이의 더 좋은 전이 영역은 분배매트가 분배구역의 앞에서 피드매트의 폭에 걸쳐 연장하는 운송 스트립까지 이어질 때 얻을 수 있다. 그 운송 스트립은 다른 컨베이어들 사이의 좋은 전이 영역을 유지하고 따라서 달걀파손의 위험을 감소시킨다.
제 2 측에 따르면, 본 발명은 피드 컨베이어와 분배 컨베이어 사이에 있는 본 발명의 제1측에 따른 달걀운반장치를 포함하는 달걀포장장치와 관련이 있다. 달걀운반장치는 물론 피드 컨베이어와 배출 컨베이어 사이에 직접적으로 위치할 필요는 없다. 피드 컨베이어와 배출 컨베이어라는 용어는 반드시 게다가 본 발명의 문맥에서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달걀운반장치의 위에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있는 포장장치는 이 문맥에서 또한 배출 컨베이어로 간주되어야 한다.
제 3 측에 따르면, 피드 컨베이어, 달걀운반장치 및 배출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본 발명은 존재하는 달걀포장장치의 달걀 흐름을 개선하기 위하여, 피드 컨베이어와 배출 컨베이어 사이에서 본 발명의 제 1 측에 따른 달걀운반장치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과 관계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달걀운반장치는 예를 들어 현존하는 달걀운반장치를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측에 따라 달걀 분배기를 가진 달걀운반장치의 개선된 분배 특성 덕분에 분배매트의 상류에 위치하고 달걀운반장치의 폭에 걸쳐 연장하는 피드매트는 상대적으로 짧은 형태로 주어질 수 있고, 그래서 둘 중 하나의 컨베이어를 반드시 교체하지 않고도 대체품(replacement) 달걀운반장치가 피드 컨베이어와 배출 컨베이어에 연결될 수 있다.
제 4 측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달걀운반장치를 사용하여 결합 된 달걀의 흐름을 바람직한 숫자의 하위-흐름으로 분배하기 위한 방법과 관계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그 방법은 달걀을 달걀운반장치의 폭에 걸쳐 연장하는 피드매트로부터 적어도 각각 평행하게 연장하고 피드매트와 함께 선상에서(in line with)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 가능한 두 개의 분배매트까지 운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분배매트가 정의에 의하면 피드매트 위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필요가 없지만, 중간수단이 그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것은 또한 넓게 해석될 것이다. 함께 선 상에서(in line with)라는 용어는, 직선으로 구동될 필요가 없는, 운반방향의 선 상의 뜻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해결하려는 과제 및 과제의 해결수단에 설명되어있다.
본 발명은 아래에서 수반되는 도면을 참고로 하여 명료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달걀운반장치를 가지고 있는 달걀포장장치의 한 부분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지금 하지만 작동 중인 도 1의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대안의 달걀운반장치를 가진 달걀포장장치의 한 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은 피드 컨베이어(1), 달걀운반장치(4) 및 배출 컨베이어(12)를 가진 달걀포장장치의 부분의 평면 사시도이다. 피드 컨베이어(1)는 드라이브(drive; 나타나 있지 않음) 및 달걀이 혹시라도 바 컨베이어(bar conveyor; 21)의 측면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데 기여하는 두 개의 가이드(22)들을 갖는 바 컨베이어(21)을 구비한다. 피드 컨베이어(1)의 하류에 놓여있는 것은 구동(driven) 피드 분배기(1)과 구동(driven) 달걀운반장치(4) 사이에서 언커플링(uncoupling)과 같은 역할을 하는 운송 스트립(2)이다. 달걀운반장치(4)는 드라이브(나타나 있지 않음), 횡 방향 분배벨트(18), 세로방향으로 서로에 인접하게 연장하고 각각 분리된 드라이브(나타나 있지 않음)를 갖는 여섯 개의 분배벨트(17)를 갖는 컨베이어벨트(3)을 구비한다. 컨베이어벨트(3)의 하류에 위치하고 있는 것은 컨베이어벨트(3)와 분배벨트(17) 사이에서 전이 영역을 제공하는 운송 스트립(5)이다. 분배벨트(17)의 하류에 위치하고 있는 것은 분배벨트(17)와 달걀을 배출 컨베이어(12)의 방향으로 운반하는 도징매트(8) 사이의 전이 영역을 제공하는 운송 스트립(5)이다. 도징매트(8) 위쪽에 위치하고 있는 것은 달걀의 여섯 개의 트랙의 경계를 만드는(define) 경계 벽(bounding walls; 11)이다. 또한 도징매트(8) 위의 처음에 있는 것은 여섯 개의 진입센서(entry sensors; 7) 이고 끝 부분 가까이에 있는 것은 여섯 개의 출구 센서(exit sensors; 10)인데 그것은 각각 얼마나 많은 달걀이 각각의 트랙마다 달걀운반장치(4)로부터 도징매트로 운반되었는지, 그리고 얼마나 많은 달걀이 각각의 트랙마다 배출컨베이어(12) 위로 놓여졌는지를 측정한다. 분배벨트(17)와 도징매트의 배출트랙 사이에 놓여져 있는 것은 분배구역(나타나 있지 않음)이다. 분배벨트(17)마다 하나의 분배구역이 있다. 두 개 이상의 배출 트랙은 분배구역과 관계가 있을 수 있다. 제 1 경우, 진입센서는 배출트랙의 분배구역의 위치에 놓여져 있을 수 있다. 제 2 경우, 분배구역의 위치에서 센서는 관계있는 분배구역에서의 달걀의 통과를 셀 것이다. 그 이상의 진입센서는 이 경우 배출트랙마다 제공될 수 있는데,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컨베이어벨트(3), 분배벨트(17)의 그룹 및 도징매트(8)의 측면에는 양 옆에 달걀이 혹시라도 달걀운반장치의 측면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되는 가이드들(23,24)이 있다. 가이드(23)에 놓여져 있는 것은 이 경우 관계되는 버퍼센서(buffer sensor; 20)에까지 달걀이 쌓이는지를 감지하는 광전지(photocell) 형태의 세 개의 버퍼 센서(20)이다. 버퍼센서는 분배벨트의 앞에서 달걀이 얼마나 멀리 뒤로 연장하는지를 측정하므로 이 측정이 일어난다. 피드 컨베이어(1)의 속도는 이것에 기초하여 조정되고, 그래서 높은 속도와 파손이 적거나 또는 없도록 연속적으로 포장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분배 컨베이어(12)는 도징매트(8)와 같이 달걀운반장치(4)의 하류에 놓여져 있다. 배출컨베이어(12)는 각각의 바(bar)에 여섯 개의 컨베이어 롤러(13)를 갖는 바 컨베이어(25)를 구비한다. 두 개의 인접한 바의 여섯 개의 컨베이어 롤러는 동시에 달걀의 여섯 개의 내려놓을(set-down) 위치를 정한다. 배출 컨베이어(12)는 스트로크(stroke)마다 여섯 개의 달걀로 매번 공급되어야 하는 달걀포장단위(egg packaging unit; 나타나 있지 않음)에 달걀을 운반한다.
도 2는 작동 중인 도 1의 장치를 보여준다. 달걀은 다양하지만 연속적인 달걀의 흐름으로 피드 컨베이어(1)를 통하여 바 컨베이어(21)에 공급된다. 바 컨베이어(21)가 구동되는 속도는, 달걀운반장치(4)에 의하여 도징매트(8)로 어떤 높이(level)의 달걀의 버퍼(buffer)가 나타나는지를 감지하는 버퍼센서(20)에 의한 측정에 달려있다. 어떠한 분배매트(17)가, 독립적인 속력제어 때문에, 분배구역과 배출 트랙으로 달걀을 운반하고 분배한 다음에, 달걀은 바 컨베이어(21)로부터 (구동되지 않는) 운송 스트립(2)을 경유하여 분배매트(17) 및 도징매트(8)의 방향으로 더 멀리 달걀을 운반하는 컨베이어벨트(3) 위로 굴러간다. 도징매트(8) 위에 놓여져 있는 것은 결합 된 장치의 운반 폭(transport width)을 여섯 개의 트랙(9)으로 나누는 경계 벽(11)이다. 컨베이어벨트(3) 및 분배벨트(17)를 경유하며 도징매트(8)의 방향으로 운반되는 무질서한 달걀들이 트랙(9) 중 하나로 그들의 길을 찾아야 하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 달걀의 속력은 일시적으로 느려진다. 이 속력의 감소는 도징매트(8) 앞에서 분배벨트(17) 및 컨베이어벨트(3)에 달걀이 축적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충분한 달걀은 이것에 의하여 항상 도징매트(8)에 나타나기 때문에, 이러한 축적은 한편으로는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으로는 달걀이 (너무) 많이 축적되는 것은 달걀의 누름 압력이 (너무) 커질 때 파손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피드 컨베이어(1)를 경유하는 달걀의 피드는 그러므로 버퍼 센서(20)에 의하여 측정되는 컨베이어벨트(3)의 달걀의 축적에 따라 제어된다. 즉 (너무) 많은 달걀이 컨베이어벨트(3)에 나타날 때 피드 컨베이어(1)의 운반속도가 감소한다.
또 다른 달걀의 독특한 현상은 달걀은 컨베이어벨트의 한쪽으로 구르는 경향이 있다는 사실이다. 이것은 달걀의 비대칭형태의 결과이다. 상대적으로 많은 숫자의 달걀이 컨베이어벨트(3)의 정해진 쪽에 구를 때,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달걀이 관련된 쪽에서 나타나고, 그것으로 인하여 버퍼센서(20)는 컨베이어 벨트(3)가 비교적 잘 채워지고 있다는 신호를 만든다. 하지만 또 상대적으로 적은 달걀이 반대쪽에 나타난다는 것이 가능하다. 잠시 후에 달걀이 또한, 무작위로, 상대적으로 빈 방향으로 구를 것이라는 점에서 이 상태는 거의 해결될 것이다. 그러나 달걀이 컨베이어벨트(3)의 폭에 걸쳐(over the width) 더욱 일정하게 분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달걀운반장치(4)에서 나타나는 또 다른 현상은 트랙(9)에서 달걀은 반드시 상대적으로 무질서한 상태에서 질서 있는 상태로 바뀌어야 한다는 것이다. 달걀은 항상 하나의 트랙(9)에서 하나 이상의 통로를 통하여 지나가야 한다는 사실과 컨베이어벨트(3)에서 달걀의 누름 압력의 조합의 결과로 이 과정은 적절히 일어난다. 트랙(9)으로 들어가는 것은 하지만 때때로 막히는데, 달걀이 연관된 트랙/트랙들(9)의 앞에서 빠르게 갇히고 서로 거의 또는 완전히 움직일 수 없도록 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 그리고 특히 여기에서 논의된 것과 같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에서, 측정은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가능하고 달걀운반장치(4)에서 막힌 상태를 방지하고 더 빠르게 해소하는데 적용할 수 있는 분배벨트(17)를 이용하여 제공된다. 진입센서(7)에 의하여 하나 이상의 트랙(9)의 피드에서의 상대적인 차이점이 감지될 때, 대응하는 분배벨트(들; 17)의 운반속도가 다른 분배벨트의 속도만큼 상대적으로 증가한다. 컨베이어벨트(9)의 오른쪽에, 말하자면, 달걀의 축적은 그러므로 컨베이어벨트(3)의 왼쪽에 있는 하나 이상의 컨베이어벨트(17)의 운반속도의 증가에 의하여 보완될 수 있다. 이것은 아마도 한눈에 비논리적이라는 것이 나타날 것인데 상대적으로 적은 달걀이 나타나는 것은 정확히 왼쪽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문제되는 쪽에 있는 달걀을 좀 더 빠르게 관계되는 트랙/트랙들(9)로 인도함(guiding)에 의하여, 달걀의 누름 압력이 보상하는 효과를 갖게 될 것이다. 선택적이지만 부가적인 측정으로서, 컨베이어벨트(3)의 폭 방향, 즉 달걀의 운반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구동될 수 있는 횡 방향 분배벨트(18)는 달걀운반장치(4)의 폭 방향에 걸쳐 달걀을 더 잘 분배하기 위하여 달걀운반장치(4)에서 제공된다. 분배벨트(18)는 교정하는 수단이다. 달걀운반장치(4)에 걸쳐서 이상적인 달걀분배가 있을 때, 횡 방향 분배벨트(18)는 그 결과 구동되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예를 들어 버퍼센서(20) 및/또는 진입센서(7)에 의하여 측정된, 달걀운반장치(4)에 걸쳐서 달걀의 불규칙한 분배가 발생할 때, 횡 방향 분배벨트(18)는 횡 방향 분배벨트(18)를 경유하여 상대적으로 달걀이 적은 쪽으로 달걀을 옮기기 위해 임시로 활성화된다. 달걀운반장치(4)의 상대적으로 빈 쪽에서 하나 이상의 분배벨트(17)의 분배속도가 그 다음에 다른 분배벨트(17)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속도로 구동될 때, 이것은 달걀운반장치(4)의 폭에 걸쳐서 더 나은 달걀의 분배를 얻을 수 있는 효과를 높인다. 게다가 하나 이상의 트랙(9)의 앞에서 밀집된 것이 발견되었을 때, 대응하는 분배벨트(들; 17)의 수송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관계가 있는 트랙/트랙들의 누름 압력이 증가한다. 하나의 트랙(9) 위로 이동한 달걀은 그 다음에 배출컨베이어(12)로의 전이 영역의 앞 부분에서 적절한 트랙(9)의 버퍼 쪽으로 더 멀리 구른다. 분배 컨베이어(12)는 한번에 여섯 개의 달걀의 한 줄을 들어올리고 달걀을 알려져 있는 방식의 포장단위(나타나 있지 않음) 그 자체로 더 멀리 운반한다.
도 3은 피드 컨베이어(41), 달걀운반장치(44) 및 배출 컨베이어(52)를 가진 달걀포장장치의 한 부분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평면도이다.
피드 컨베이어(41)는 드라이브(나타나 있지 않음) 및 바 컨베이어(61)의 측면에서 달걀이 떨어지는 가능성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되는 두 개의 가이드(62)들을 가진 바 컨베이어(61)를 구비한다. 피드 컨베이어(41)의 하류에 놓여져 있는 것은 구동 피드 분배기 (41)와 구동 달걀운반장치(44) 사이에서 언커플링과 같은 역할을 하는 운송 스트립(42)이다. 달걀운반장치(44)는 드라이브(나타나있지 않음), 횡 방향 분배벨트(58) 및 운송 스트립(45)을 가진 컨베이어벨트(3)를 구비하고 있다. 횡 방향 컨베이어벨트(58)는 달걀이동방향에 관하여 폭 방향으로 드라이브(나타나 있지 않음)를 경유하여 구동 가능하다. 운송 스트립 뒤에 놓여져 있는 것은 상류에서 도징매트(48)로부터 운송 스트립(45)까지 연장하는 경계 벽을 가진 여섯 개의 분배구역(57)이다. 도징매트(48)는 달걀을 배출컨베이어(52)의 방향으로 운반하는데 적합하다. 도징매트(48)의 위에 놓여져 있는 것은 달걀의 여섯 개의 트랙의 경계를 정하는 경계 벽(51)이다. 또한 도징매트(48) 위의 시작부분에 놓여져 있는 것은 여섯 개의 진입센서(47)이고 끝 부분에 놓여져 있는 것은 출구센서(50)인데 그것은 각각 얼마나 많은 달걀이 각각의 트랙마다 달걀 컨베이어(44)로부터 도징매트(48)로 운반되었는지 및 얼마나 많은 달걀이 각각의 트랙마다 배출컨베이어(52) 위에 놓여졌는지(set-down)를 측정한다. 두 개 이상의 배출트랙은 분배구역과 연관될 수 있다. 도 3에서, 하지만, 분배구역마다 하나의 배출트랙이 제공된다. 도 1, 도 2에 대하여 위에서 묘사된 것처럼 도징매트(48)로부터 달걀은 배출컨베이어(52)의 방향의 경로를 따라간다.
본 발명은 도면 및 본 발명에 따른 단지 하나의 전형적인 실시예에 기초한 위의 묘사에 의하여 명백해졌다. 하지만 숙련된 기술자에게 명백하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는 많은 변형들이 다음의 청구항에 의하여 정의되는 발명의 보호범위 안에서 예상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한 줄의 달걀의 숫자는 바뀔 수 있다. 실제로 달걀의 숫자는 보통 줄마다 다섯 개 또는 여섯 개이다. 줄마다 다른 숫자도 더욱이 예상될 수 있다. 그것은 상대적으로 고장에 민감하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은 줄마다 심지어 다섯 개 또는 여섯 개의 달걀의 배수를 포장하는 가능성을 더욱 가져온다. 도면에서 보여지는 운반장치는 서로에 대하여 정렬된 두 일련(series)의 가이드를 구비한다. 하지만 가이드가 하류 또는 다른 방식에서 서로에 관하여 모이도록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은 단지 트랙마다 개별적인 분배벨트가 공급되는 실시예를 보여준다. 두 개 이상의 배출트랙에 분배벨트를 공급 것 또한 가능한데, 예를 들어 한 줄에 다섯 개의 달걀이 지향되는 포장장치에서 하나의 트랙에 하나의 분배벨트 및 분배구역에 의하여 분리되는, 동시에 두 개의 트랙에 세 개의 분배 벨트 및 세 개의 분배구역, 또는 두 개의 트랙에 두 개의 분배벨트 및 분배구역과 같은 것을 말한다. 묘사된 실시예에서, 분배기의 경우에 피드 컨베이어 및 컨베이어벨트와 같은 바 컨베이어의 선택이 만들어진다. 하지만 컨베이어의 종류는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Claims (15)

  1. 달걀포장장치를 위한 달걀운반장치에 있어서,
    상기 달걀운반장치는 피드 외측 단부에서부터 배출 외측 단부까지 운반방향으로 연장하고, 운반 방향에서 보이는 대로 운반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이드들에 의하여 양 측면에서 경계되고, 달걀 운반 장치의 전체 폭(width) 위로 연장하는,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달걀운반장치는 배출 컨베이어의 적어도 두 개의 배출트랙 위로 달걀을 운반하고, 상기 배출 컨베이어는 운반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연장하는 폭(width) 방향으로 분배되고,
    상기 달걀운반장치는.
    - 상기 달걀운반장치의 길이의 부분 위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고 구동장치에 의하여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가능한 적어도 두 개의 분배벨트들을 구비한 달걀 분배기;
    상기 분배벨트의 선 상에 놓이는 분배구역; 및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센서에 의하여 발생 된 데이터에 기초하는 제어 장치(control device)에 의하여 상기 분배벨트의 구동 장치를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동안 분배구역으로의 달걀의 운반을 감지하는, 달걀운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달걀의 통과를 감지하기 위해 각각 분배구역의 시작에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걀운반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달걀의 통과를 감지하기 위해 각각 분배구역의 끝에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걀운반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벨트의 상류에는, 분배를 위한 달걀이 상기 분배구역 앞에서 컨베이어 벨트 상에 쌓이는 거리를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걀운반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구역은 도징매트를 포함하고,
    상기 도징 매트는, 합쳐진 공급 흐름을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하위-흐름으로 나누기 위하여, 폭에 걸쳐서 분리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걀운반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달걀운반장치의 운반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구동 가능한 횡방향 컨베이어 벨트가, 상기 분배벨트의 상류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걀운반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벨트의 숫자는 분배구역의 숫자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걀운반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달걀운반장치는 상기 달걀운반장치의 선에 놓이는 여섯개의 분배벨트와 여섯개의 분배구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걀운반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벨트는, 상기 분배구역의 앞에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폭에 걸쳐 연장하는 운송 스트립까지,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걀운반장치.
  10. 피드 컨베이어;
    배출 컨베이어; 및
    상기 피드 컨베이어와 상기 배출 컨베이어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달걀운반장치를 포함하는, 달걀포장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 컨베이어는 바 컨베이어를 가지고,
    상기 바 컨베이어는, 드라이브, 및 상기 바 컨베이어의 측면에서 달걀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두 개의 가이드를 구비하는, 달걀포장장치.
  12. 달걀포장장치로의 달걀의 흐름을 향상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달걀포장장치는 피드 컨베이어, 달걀운반장치 및 배출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피드 컨베이어와 배출 컨베이어의 사이에,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달걀운반장치를 배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37030725A 2011-04-26 2012-03-22 달걀포장장치를 위한 달걀운반장치 KR1016450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2006663A NL2006663C2 (nl) 2011-04-26 2011-04-26 Eiertransportinrichting voor een verpakkingsinrichting voor eieren, verpakkingsinrichting voor eieren met een dergelijke eiertransportinrichting, werkwijze voor het verbeteren van de doorvoer van een verpakkingsinrichting voor eieren en werkwijze voor het verdelen van de eieren.
NL2006663 2011-04-26
PCT/NL2012/050176 WO2012148263A1 (en) 2011-04-26 2012-03-22 Egg transport device for a packaging device for egg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222A KR20140004222A (ko) 2014-01-10
KR101645073B1 true KR101645073B1 (ko) 2016-08-02

Family

ID=45930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0725A KR101645073B1 (ko) 2011-04-26 2012-03-22 달걀포장장치를 위한 달걀운반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8931619B2 (ko)
EP (1) EP2701998B1 (ko)
JP (1) JP5977336B2 (ko)
KR (1) KR101645073B1 (ko)
CN (1) CN103619737B (ko)
BR (1) BR112013027527B1 (ko)
DK (1) DK2701998T3 (ko)
ES (1) ES2539237T3 (ko)
MY (1) MY162304A (ko)
NL (1) NL2006663C2 (ko)
RU (1) RU2595220C2 (ko)
WO (1) WO20121482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76380B (zh) * 2014-09-26 2016-04-13 成都三可实业有限公司 一种包装机械的输糖装置
WO2016118967A1 (en) * 2015-01-24 2016-07-28 Ten Media, Llc Dba Ten Ag Tech Co. Method and system for increasing the aggregate production of food packaging operations
KR20160121634A (ko) 2015-04-09 2016-10-20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환부 보호용 방수 장치 및 그 방수 장치의 사용방법
CA177491S (en) * 2017-04-07 2019-01-23 Giordano Poultry Plast Retainer for transport trays of eggs
CN107176473B (zh) * 2017-05-26 2023-05-05 惠州市三协精密有限公司 一种葡萄干上料机构
CN107187654A (zh) * 2017-07-14 2017-09-22 无锡市荣景晨机械有限公司 香肠排序计数装置
CN109592374A (zh) * 2018-12-01 2019-04-09 淄博天型食品机械有限公司 鸡蛋输送装置的导向机构
CN112777031B (zh) * 2021-01-27 2022-06-28 厚德食品股份有限公司 一种大规模鸡蛋收集装箱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42012A (en) 1964-02-12 1967-09-19 Barker Poultry Equipment Compa Egg packer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41368A (en) * 1971-03-11 1973-06-26 Us Industries Inc Egg packing machine
US4042100A (en) * 1976-07-29 1977-08-16 Otto Niederer Sons, Inc. Apparatus for arranging articles
US4086745A (en) * 1977-01-26 1978-05-02 Eggineers, Inc. Case packing apparatus
NL177970C (nl) * 1977-05-05 1988-01-18 Administratie En Automatiserin Eierspreidbaan.
US4401207A (en) * 1978-12-18 1983-08-30 Garvey Corporation Product accumulator
JPS586816A (ja) * 1981-07-04 1983-01-14 Hiroshi Tomosue 球状物処理機に於ける多列整列供給装置
NL8302210A (nl) * 1983-06-21 1985-01-16 Meyn Pieter Inrichting voor het ontstapelen of stapelen van gevulde eierdraagplaten.
NL8601304A (nl) * 1986-05-22 1987-12-16 Administratie En Automatiserin Eierspreidbaan.
DK155790C (da) * 1987-06-19 1989-10-02 Sanovo Eng As Aegaftagningsapparat
NL1003761C2 (nl) * 1996-08-07 1998-02-12 Food Processing Systems Doseerinrichting voor eieren of dergelijke in hoofdzaak ronde voorwerpen.
JP2003206016A (ja) * 2002-01-16 2003-07-22 Kyowa Machinery Co Ltd 卵整列装置
JP2004284598A (ja) * 2003-03-19 2004-10-14 Naberu:Kk 鶏卵の選別包装装置
US6811017B1 (en) * 2003-04-08 2004-11-02 Embrex, Inc. Egg transfer apparatus with converging-diverging guides that facilitate even distribution of eggs on a moving conveyor
US6776278B1 (en) * 2003-04-08 2004-08-17 Embrex, Inc. Egg transfer apparatus with converging guides that facilitate even distribution of eggs on a moving conveyor
US7322459B2 (en) * 2006-05-01 2008-01-29 Garvey Corporation Differential speed conveyor accumulation system and method
DE202006004894U1 (de) * 2006-03-24 2007-07-26 Big Dutchman International Gmbh Förderbandsteuerung mit Kraftsensor
JP5190186B2 (ja) * 2006-07-11 2013-04-24 株式会社ナベル 農畜産物の分配整列装置
JP5190188B2 (ja) * 2006-07-26 2013-04-24 株式会社ナベル 農畜産物の分配整列装置
WO2009012135A2 (en) * 2007-07-17 2009-01-22 Diamond Automations, Inc. Egg orienting and accumulating system with forward and reverse interconnected conveyors for preventing egg overflow/ride up and prior to exiting in individual rows upon spool bars
US9145220B2 (en) * 2007-09-21 2015-09-29 Nelson Yamasaki Packaging machine for incubator trays
CN201597773U (zh) * 2010-01-22 2010-10-06 浙江大学 一种多功能禽蛋包装设备
KR20130093496A (ko) * 2010-04-15 2013-08-22 에프피에스 푸드 프로세싱 시스템즈 비.브이. 달걀들을 이송하기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42012A (en) 1964-02-12 1967-09-19 Barker Poultry Equipment Compa Egg pac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931619B2 (en) 2015-01-13
RU2013145413A (ru) 2015-06-10
CN103619737B (zh) 2015-12-09
DK2701998T3 (da) 2015-06-22
NL2006663C2 (nl) 2012-10-29
US20140054130A1 (en) 2014-02-27
KR20140004222A (ko) 2014-01-10
ES2539237T3 (es) 2015-06-29
CN103619737A (zh) 2014-03-05
BR112013027527B1 (pt) 2020-05-26
JP5977336B2 (ja) 2016-08-24
MY162304A (en) 2017-05-31
EP2701998B1 (en) 2015-05-20
JP2014516332A (ja) 2014-07-10
WO2012148263A1 (en) 2012-11-01
EP2701998A1 (en) 2014-03-05
RU2595220C2 (ru) 2016-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5073B1 (ko) 달걀포장장치를 위한 달걀운반장치
EP2558388B1 (en) Apparatus for conveying eggs
US6540061B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conveying cigarettes
EP2560900B1 (de) Fördervorrichtung
WO2009012135A2 (en) Egg orienting and accumulating system with forward and reverse interconnected conveyors for preventing egg overflow/ride up and prior to exiting in individual rows upon spool bars
US990864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lacing products into containers in a robot line
CN103857609B (zh) 用于输送条状或板状产品的方法和设备
CN101233955A (zh) 卸料斗以及卸载装有杆状产品的托架的方法
WO2012021495A2 (en) Automated product engager, transporter and patterned depositor system
EP0871379B1 (en) Conveyor system for rod-like articles
US11926484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veying products
US4273233A (en) Apparatus for conveying rod-like articles
SK279527B6 (sk) Spôsob prepravy výrobkov a zariadenie na vykonávan
CN100512691C (zh) 带排出台的可变容存放装置
US6543600B2 (en) Early detection photo controls
CN104768388B (zh) 用于生产条形物体,尤其是口香糖棒的方法和装置
NL1006157C2 (nl) Afneem- en inleginrichting voor hoogkant gepositioneerde platte produkten.
JP2023535247A (ja) 物品のための移送ユニット
FI94614B (fi) Menetelmä ja laitteisto puutavarapinkan välirimoituksen suorittamiseksi
ITTO960658A1 (it) Sistema convogliatore per prodotti alimentari da forno, particolarmen- te biscotti e simili.
JP2014076850A (ja) 横形製袋充填機および包装方法
ITFO980032A1 (it) Macchina per il riempimento automatico dei vassoi di confezionamentoper prodotti di forma rotondeggiante, ortofrutticoli e non, da disporr
JPH06127528A (ja) 袋包装品の分配供給装置
ITBO980461A1 (it) Procedimento e apparato per il convogliamento di articoli .
ITRE20080105A1 (it) '' dispositivo per l ' accumulo ed il rilascio di oggett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