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1634A - 환부 보호용 방수 장치 및 그 방수 장치의 사용방법 - Google Patents

환부 보호용 방수 장치 및 그 방수 장치의 사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1634A
KR20160121634A KR1020150050103A KR20150050103A KR20160121634A KR 20160121634 A KR20160121634 A KR 20160121634A KR 1020150050103 A KR1020150050103 A KR 1020150050103A KR 20150050103 A KR20150050103 A KR 20150050103A KR 20160121634 A KR20160121634 A KR 201601216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ixing
protecting
protective cover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0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택
강성욱
Original Assignee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50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1634A/ko
Publication of KR20160121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16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61F13/00021
    • A61F13/00038

Landscapes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부 보호용 방수 장치 및 그 방수 장치의 사용방법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환자의 환부 부분을 감싸도록 구성되어 내부로 습기가 침투하지 않도록 하는 보호용 커버; 및 상기 보호용 커버의 양단 각각에 구비되어 상기 보호용 커버를 환자의 환부 부분을 감싼 상태로 고정시키는 한 쌍의 고정용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부 보호용 방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환부 보호용 방수 장치 및 그 방수 장치의 사용방법{Water­proof apparatus for protecting affected parts}
본 발명은 환부 보호용 방수 장치 및 그 방수 장치의 사용방법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팔, 다리 등에 골절, 상처를 입은 환자가 세수 또는 목욕 등의 경우, 환부 부위에 물이 침투하지 않도록 방지하여 환부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환부 보호용 방수 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이나 가정 등에서 환자가 세수 내지는 목욕을 하거나 물을 접촉하게 될 때, 환부에 각별한 주의를 필요로 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비닐봉지나 랩으로 환부나 기브스 부위를 감싸서 물기를 차단하고 있다.
하지만, 환부 내부로 물이 침투하면 내부의 습기를 제거하기가 곤란할 뿐만 아니라, 심한 악취를 유발하거나 가려움증을 유발하며, 환부의 회복이 지연됨은 물론, 깁스 내부 오염으로 인해 환부의 2차 감염을 유발하였다.
이로 인해, 환부나 깁스에 물이 침투하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는 실용신안등록 제: 365296호(기브스 보호구) 등이 이미 공지된바 있으며 간략하게 설명하면, 기브스 환자가 샤워를 하고자 할 경우 기브스 내부로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브스 보호구에 있어서, 방수기능을 갖는 비닐원단을 사용하여 장갑 내지는 장화와 같은 형상으로 기브스 보호구를 이루고 보호구의 입구에 고무밴드가 장착되거나 또는 본드 접착제가 도포되어 이를 사용부위에 끼우고 접합시킴으로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런 종래기술은 기브스를 주변을 보호하기 위해서만 사용될 수 있으며, 환부에 대해 전반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하며, 탈부착 형식이 아닌 접착제로 부착되는 형식으로 다양한 상처, 환부 주위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존재한다.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365296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0-0002429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4-0004222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병원에 있는 많은 환자들이 작은 부위 하나로 인해 스스로 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어, 대부분의 환자들은 가족이나 친구들에게 의존하여 씻게 되므로 매우 비효율적으로 생활하게 되며 만일, 가족이나 친구가 곁을 지키지 못하는 상황에서는 혼자서는 절대로 샤워를 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환부 보호용 방수 장치 및 그 방수 장치의 사용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외상으로 인한 상처에 물이 들어가는 경우 감염이 될 우려가 있어 이를 방지할 수 있으며, 상처부위로 인해 잘 씻지 못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장치로 상처부위를 커버하는 토시형태의 장치와 양쪽에 압력을 주어 방수하는 튜브모양의 형태로 이루어진 환부 보호용 방수 장치 및 그 방수 장치의 사용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특히 환자들의 청결에 대한 불편함을 없애기 위해 설계되었으며, 상처가 난 부위만을 감싸 물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막아주어 물에 의한 2차 감염의 우려를 크게 낮출 수 있고, 상처가 났을 때 팔, 다리 크기에 맞는 사이즈를 선택한 후 사용하여 상처부위만을 가리고 다른 부위를 씻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팔과 다리뿐만 아니라 크기에 맞게 다양한 상처 부위에서 쓰일 수 있는 환부 보호용 방수 장치 및 그 방수 장치의 사용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처 부위의 양 쪽에 위치하게 되는 튜브모양의 장치는 압력을 이용함으로 수축하여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해주고, 또한, 안쪽의 비닐 소재가 상처를 감싸주어 2차 감염에 의한 피해를 상당히 낮춰출 수 있고, 이를 사용함으로 환자 스스로가 샤워를 할 수 있는 환부 보호용 방수 장치 및 그 방수 장치의 사용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장기간 신체 부위의 부상으로 깁스나 붕대를 감고 있는 환자들이나 상처 부위 때문에 제대로 씻지를 못하는 환자들의 경우 상처부위로 인해 전신을 씻는데 상당한 어려움을 갖게 되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환자들은 전보다 더욱 편리하게 씻을 수 있게 되는 환부 보호용 방수 장치 및 그 방수 장치의 사용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법도 굉장히 간단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어디서든 사용이 가능하고, 환자들의 청결함을 도와주며, 그로 인하여 환자들의 마음을 심리적으로 안정시켜 그들의 회복을 더욱 도와줄 뿐만 아니라 그들의 따분하고 지루한 병실 생활을 조금이나마 위안시켜줄 수 있으며, 또한, 물에 의한 2차 감염의 우려를 줄여 매년 22,436명(2013년 보건복지부 통계 조사) 에 해당하는 물에 의한 2차 감염 피해 가능성을 예방할 수 있으며, 사업화의 방안으로서, 이 제품은 의료기기 분야의 획기적인 아이템이 될 수 있는 환부 보호용 방수 장치 및 그 방수 장치의 사용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1목적은, 환부 부위를 보호하기 위해 착용되는 환부 보호용 방수 장치에 있어서, 환자의 환부 부분을 감싸도록 구성되어 내부로 습기가 침투하지 않도록 하는 보호용 커버; 및 상기 보호용 커버의 양단 각각에 구비되어 상기 보호용 커버를 환자의 환부 부분을 감싼 상태로 고정시키는 한 쌍의 고정용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부 보호용 방수 장치로서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용 유닛은, 상기 보호용 커버의 양 끝단 각각의 외주부에 도우넛 형태의 튜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튜브에는 내부로 공기가 주입되고,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주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튜브 내로 공기가 주입, 팽창되어 착용자에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튜브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주입구로 공기를 주입시키는 공기주입수단을 더 포함하거나, 별도의 휴대용 공기주입수단에 의해 상기 공기 주입구로 공기를 주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호용 커버는 신축성 소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용 커버는 비닐, 폴리비닐, 천연고무 및 합성고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고정용 튜브 중 어느 하나의 고정용 튜브 일측과, 나머지 다른 하나의 고정용 튜브 타측 각각에 구비되는 탈부착 수단을 포함하여, 휴대모드에서는 상기 탈부착 수단에 의해 한 쌍의 고정용 튜브가 서로 부착되고, 환부 보호모드에서는 상기 탈부착 수단에 의해 한 쌍의 고정용 튜브가 서로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용 커버의 직경은 12 ~ 20cm이고, 길이는 25 ~ 40cm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환부 부위를 보호하기 위해 착용되는 환부 보호용 방수 장치의 사용방법에 있어서, 상기 환부 보호용 방수장치는, 환자의 환부 부분을 감싸도록 구성되어 내부로 습기가 침투하지 않도록 하는 보호용 커버와, 상기 보호용 커버의 양단 각각에 구비되어 상기 보호용 커버를 환자의 환부 부분을 감싼 상태로 고정시키는 한 쌍의 고정용 유닛을 포함하고, 한 쌍의 고정용 튜브 중 어느 하나의 고정용 튜브 일측과, 나머지 다른 하나의 고정용 튜브 타측 각각에 구비되는 탈부착 수단에 의해 한 쌍의 고정용 튜브를 서로 탈착하는 단계; 상기 보호용 커버가 환자의 환부 부분을 감싸도록 상기 환부 보호용 방수장치를 장착시키는 단계; 상기 고정용 유닛 각각에 구비된 공기주입구로 공기를 주입하여 가압시키는 단계; 및 상기 환부 보호용 방수장치가 고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부 보호용 방수 장치의 사용방법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고정용 유닛 일측에 구비된 공기주입수단에 의해 상기 공기주입구로 공기를 주입하거나, 별도의 휴대용 공기주입수단에 의해 상기 공기 주입구로 공기를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되는 단계 후에, 휴대모드로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공기주입구를 통해, 고정용 튜브 내의 공기를 토출시키고, 탈부착 수단에 의해 한 쌍의 고정용 튜브를 서로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병원에 있는 많은 환자들이 작은 부위 하나로 인해 스스로 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어, 대부분의 환자들은 가족이나 친구들에게 의존하여 씻게 되므로 매우 비효율적으로 생활하게 되며 만일, 가족이나 친구가 곁을 지키지 못하는 상황에서는 혼자서는 절대로 샤워를 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외상으로 인한 상처에 물이 들어가는 경우 감염이 될 우려가 있어 이를 방지할 수 있으며, 상처부위로 인해 잘 씻지 못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장치로 상처부위를 커버하는 토시형태의 장치와 양쪽에 압력을 주어 방수하는 튜브모양의 형태로 이루어진 언제 든지 범용적으로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특히 환자들의 청결에 대한 불편함을 없애기 위해 설계되었으며, 상처가 난 부위만을 감싸 물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막아주어 물에 의한 2차 감염의 우려를 크게 낮출 수 있고, 상처가 났을 때 팔, 다리 크기에 맞는 사이즈를 선택한 후 사용하여 상처부위만을 가리고 다른 부위를 씻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팔과 다리뿐만 아니라 크기에 맞게 다양한 상처 부위에서 쓰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처 부위의 양 쪽에 위치하게 되는 튜브모양의 장치는 압력을 이용함으로 수축하여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해주고, 또한, 안쪽의 비닐 소재가 상처를 감싸주어 2차 감염에 의한 피해를 상당히 낮춰출 수 있고, 이를 사용함으로 환자 스스로가 샤워를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장기간 신체 부위의 부상으로 깁스나 붕대를 감고 있는 환자들이나 상처 부위 때문에 제대로 씻지를 못하는 환자들의 경우 상처부위로 인해 전신을 씻는데 상당한 어려움을 갖게 되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환자들은 전보다 더욱 편리하게 씻을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법도 굉장히 간단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어디서든 사용이 가능하고, 환자들의 청결함을 도와주며, 그로 인하여 환자들의 마음을 심리적으로 안정시켜 그들의 회복을 더욱 도와줄 뿐만 아니라 그들의 따분하고 지루한 병실 생활을 조금이나마 위안시켜줄 수 있으며, 또한, 물에 의한 2차 감염의 우려를 줄여 매년 22,436명(2013년 보건복지부 통계 조사) 에 해당하는 물에 의한 2차 감염 피해 가능성을 예방할 수 있으며, 사업화의 방안으로서, 이 제품은 의료기기 분야의 획기적인 아이템이 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압상태에서의 환부 보호용 방수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용준비 상태에서의 환부 보호용 방수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부 보호용 방수 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부 보호용 방수 장치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부 보호용 방수 장치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부 보호용 방수 장치의 착용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모드에서의 환부 보호용 방수 장치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부 보호용 방수 장치의 사용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부 보호용 방수 장치(1)의 구성, 기능 및 사용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압상태에서의 환부 보호용 방수 장치(1)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용준비 상태에서의 환부 보호용 방수 장치(1)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부 보호용 방수 장치(1)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부 보호용 방수 장치(1)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부 보호용 방수 장치(1)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부 보호용 방수 장치(1)는, 전체적으로, 보호용 커버(10)와, 보호용 커버(10) 양단 각각에 구비되는 고정용 유닛(2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부 보호용 방수장치(1)는, 환부 부위를 보호하기 위해 착용되어 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호용 커버(10)는, 환자의 환부 부분을 감싸도록 구성되어 내부로 습기가 침투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또한, 고정용 유닛(20)은, 보호용 커버(10)의 양단 각각에 구비되어 상기 보호용 커버(10)를 환자의 환부 부분을 감싼 상태로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고정용 유닛(2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용 커버(10)의 양 끝단 각각의 외주부에 도우넛 형태의 튜브로 구성되어 짐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튜브 형태의 고정용 유닛(20)에는 내부로 공기가 주입되고,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주입구(21)가 형성되어 진다.
따라서, 튜브형태의 고정용 유닛(20) 내로 공기주입구(21)를 통해 공기가 주입, 팽창되어 착용자에게 고정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부 보호용 방수 장치(1)는, 튜브형태의 고정용 유닛(20)의 일측에 구비된 공기주입수단을 통해, 공기주입구(21)로 공기를 주입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이러한 공기주입수단은 압축 공기가 저장된 소형 공기가압기, 공기펌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휴대용 공기주입수단을 통해, 공기 주입구(21)로 공기를 주입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휴대용 공기주입수단은 압축공기가 저장된 휴대 형태의 공기 가압기, 공기펌프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호용 커버(10)는 신축성 소재로 구성되며, 방수 기능을 갖는 부재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보호용 커버(10)는 방수용 비닐, 폴리비닐, 천연고무 및 합성고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고정용 튜브 중 어느 하나의 고정용 튜브 일측과, 나머지 다른 하나의 고정용 튜브 타측 각각에 구비되는 탈부착수단(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부 보호용 방수 장치(1)의 착용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모드에서의 환부 보호용 방수 장치(1)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고정용 튜브 중 어느 하나의 고정용 튜브 일측과, 나머지 다른 하나의 고정용 튜브 타측 각각에 탈부착수단(22)이 구비되어, 한 쌍의 고정용 튜브를 부착 또는 탈착시킬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탈부착수단(22)은 벨크로, 똑딱이 단추 등 고정용 튜브를 서로 탈부착시킬 수 있는 부재, 구성이라면 그 구체적인 형태는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휴대모드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부착수단(22)에 의해 한 쌍의 고정용 튜브를 서로 부착시켜 부피를 감소시켜 휴대가 용이하게 됨을 알 수 있고, 환부 보호모드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부착수단(22)에 의해 한 쌍의 고정용 튜브를 서로 탈착시키게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호용 커버(10)의 직경은 약 12 ~ 20cm 정도이고, 길이는 약 25 ~ 40cm 정도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부 보호용 방수 장치(1)의 사용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환부 부위를 보호하기 위해 착용되는 환부 보호용 방수 장치(1)의 사용방법은, 먼저, 휴대모드에서, 한 쌍의 고정용 튜브 중 어느 하나의 고정용 튜브 일측과, 나머지 다른 하나의 고정용 튜브 타측 각각에 구비되는 탈부착수단(22)에 의해 한 쌍의 고정용 튜브를 서로 탈착시키게 된다(S1).
그리고, 보호용 커버(10)가 환자의 환부 부분을 감싸도록 환부 보호용 방수장치(1)를 장착시키게 된다(S2).
다음으로, 고정용 유닛(20) 각각에 구비된 공기주입구(21)로 공기를 주입하여 고정용 유닛(20)을 팽창시키게 된다(S3).
그리고, 고정용 유닛(20)의 팽창으로 인하여, 환부 보호용 방수장치(1)가 고정되게 된다(S4).
공기주입구(21)로 공기를 주입하는 단계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튜브형태의 고정용 유닛(20) 일측에 구비된 공기주입수단에 의해 공기주입구(21)로 공기를 주입하거나, 또한, 별도의 휴대용 공기주입수단에 의해 공기 주입구(21)로 공기를 주입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다시 휴대모드로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 공기주입구(21)를 통해, 고정용 튜브 내의 공기를 외부로 토출시키고, 탈부착수단(22)에 의해 한 쌍의 고정용 튜브를 서로 부착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환부 보호용 방수 장치
10:보호용 커버
20:고정용 유닛
21:공기주입구
22:탈부착수단

Claims (11)

  1. 환부 부위를 보호하기 위해 착용되는 환부 보호용 방수 장치에 있어서,
    환자의 환부 부분을 감싸도록 구성되어 내부로 습기가 침투하지 않도록 하는 보호용 커버; 및
    상기 보호용 커버의 양단 각각에 구비되어 상기 보호용 커버를 환자의 환부 부분을 감싼 상태로 고정시키는 한 쌍의 고정용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부 보호용 방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유닛은,
    상기 보호용 커버의 양 끝단 각각의 외주부에 도우넛 형태의 튜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부 보호용 방수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에는 내부로 공기가 주입되고,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주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튜브 내로 공기가 주입, 팽창되어 착용자에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부 보호용 방수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주입구로 공기를 주입시키는 공기주입수단을 더 포함하거나,
    별도의 휴대용 공기주입수단에 의해 상기 공기 주입구로 공기를 주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부 보호용 방수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용 커버는 신축성 소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부 보호용 방수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용 커버는 비닐, 폴리비닐, 천연고무 및 합성고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부 보호용 방수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고정용 튜브 중 어느 하나의 고정용 튜브 일측과, 나머지 다른 하나의 고정용 튜브 타측 각각에 구비되는 탈부착 수단을 포함하여,
    휴대모드에서는 상기 탈부착 수단에 의해 한 쌍의 고정용 튜브가 서로 부착되고,
    환부 보호모드에서는 상기 탈부착 수단에 의해 한 쌍의 고정용 튜브가 서로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부 보호용 방수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용 커버의 직경은 12 ~ 20cm이고, 길이는 25 ~ 40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부 보호용 방수 장치.
  9. 환부 부위를 보호하기 위해 착용되는 환부 보호용 방수 장치의 사용방법에 있어서,
    상기 환부 보호용 방수장치는, 환자의 환부 부분을 감싸도록 구성되어 내부로 습기가 침투하지 않도록 하는 보호용 커버와, 상기 보호용 커버의 양단 각각에 구비되어 상기 보호용 커버를 환자의 환부 부분을 감싼 상태로 고정시키는 한 쌍의 고정용 유닛을 포함하고,
    한 쌍의 고정용 튜브 중 어느 하나의 고정용 튜브 일측과, 나머지 다른 하나의 고정용 튜브 타측 각각에 구비되는 탈부착 수단에 의해 한 쌍의 고정용 튜브를 서로 탈착하는 단계;
    상기 보호용 커버가 환자의 환부 부분을 감싸도록 상기 환부 보호용 방수장치를 장착시키는 단계;
    상기 고정용 유닛 각각에 구비된 공기주입구로 공기를 주입하여 가압시키는 단계; 및
    상기 환부 보호용 방수장치가 고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부 보호용 방수 장치의 사용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고정용 유닛 일측에 구비된 공기주입수단에 의해 상기 공기주입구로 공기를 주입하거나,
    별도의 휴대용 공기주입수단에 의해 상기 공기 주입구로 공기를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부 보호용 방수 장치의 사용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되는 단계 후에,
    휴대모드로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공기주입구를 통해, 고정용 튜브 내의 공기를 토출시키고, 탈부착 수단에 의해 한 쌍의 고정용 튜브를 서로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부 보호용 방수 장치의 사용방법.
KR1020150050103A 2015-04-09 2015-04-09 환부 보호용 방수 장치 및 그 방수 장치의 사용방법 KR201601216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0103A KR20160121634A (ko) 2015-04-09 2015-04-09 환부 보호용 방수 장치 및 그 방수 장치의 사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0103A KR20160121634A (ko) 2015-04-09 2015-04-09 환부 보호용 방수 장치 및 그 방수 장치의 사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1634A true KR20160121634A (ko) 2016-10-20

Family

ID=57251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0103A KR20160121634A (ko) 2015-04-09 2015-04-09 환부 보호용 방수 장치 및 그 방수 장치의 사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1634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1230A (ko) 2000-08-01 2002-02-08 박호군 비파괴 판독형 비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의 구동 회로
KR20100002429A (ko) 2008-06-30 2010-01-07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탄소재와 이산화티탄을 이용한 축전 탈이온화용 복합전극의제조방법
KR20140004222A (ko) 2011-04-26 2014-01-10 모바 그룹 비.브이. 달걀포장장치를 위한 달걀운반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1230A (ko) 2000-08-01 2002-02-08 박호군 비파괴 판독형 비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의 구동 회로
KR20100002429A (ko) 2008-06-30 2010-01-07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탄소재와 이산화티탄을 이용한 축전 탈이온화용 복합전극의제조방법
KR20140004222A (ko) 2011-04-26 2014-01-10 모바 그룹 비.브이. 달걀포장장치를 위한 달걀운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325804B2 (en) Therapeutic compression apparatus and methods of use
US11771616B2 (en) Heel protector and corresponding rehabilit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US7290290B2 (en) Disposable, contaminant/water resistant, elasticized protective limb and body covers
JP2010082441A (ja) 圧縮装置のためのポータブルコントローラユニット
JP2010082455A (ja) チューブレス圧縮装置
KR102008557B1 (ko) 땀 배출 기능성을 갖는 압박 의류
CA3013903C (en) Catheter protector
CN205251982U (zh) 一种用于抗血栓治疗仪的腿套
US20140288476A1 (en) Cranial cap
KR20160121634A (ko) 환부 보호용 방수 장치 및 그 방수 장치의 사용방법
JP3112140U (ja) 足サポータおよび磁気サポータ
CN210353309U (zh) 一种风湿免疫用关节保护套
KR200365296Y1 (ko) 기브스 보호구
CN206508096U (zh) 一种约束带
CN215132919U (zh) 一种一次性气压治疗防护脚套
CN213098655U (zh) 一种小儿阴茎术后防护器
CN214910198U (zh) 一种用于肢体气压治疗的隔离套
KR20140009293A (ko) 훈증 커버
CN210784932U (zh) 一种可配合手术床使用的肢体约束装置
KR200458288Y1 (ko) 커프 확장용 부재
CN208339852U (zh) 一种血液透析中心静脉导管防护套
KR101556742B1 (ko) 샤워용 방수커버 및 그 제조방법
CN211067303U (zh) 多功能约束手套
CN217338683U (zh) 一种新型多部位盐袋固定装置
CN213312250U (zh) 一种用于治疗手指关节疼痛的药物竹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