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3796B1 - 아조화합물 또는 그 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아조화합물 또는 그 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3796B1
KR101633796B1 KR1020090043339A KR20090043339A KR101633796B1 KR 101633796 B1 KR101633796 B1 KR 101633796B1 KR 1020090043339 A KR1020090043339 A KR 1020090043339A KR 20090043339 A KR20090043339 A KR 20090043339A KR 101633796 B1 KR101633796 B1 KR 101633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substituent
azo compound
aliphatic hydrocarbon
hydrocarbon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3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2126A (ko
Inventor
다쿠마 후지타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22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2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3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37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11/00Amides of sulfonic acids, i.e. compounds having singly-bound oxygen atoms of sulfo groups replaced by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311/50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X being a hetero atom, Y being any atom
    • C07C311/51Y being a hydrogen or a carbon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89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yridine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Optical Filter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 (I)로 나타내는 아조화합물 또는 그 염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9029786038-pat00001
[식 (I)에서, R1은 아조기를 가지는 유기기를 나타내고,
R2 및 R3은, 각각 독립하여,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C1-16 지방족 탄화수소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C3-16 지환식 탄화수소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C7-20 아랄킬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C6-14 아릴기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아조화합물 또는 그 염, 및 그 제조방법{AZO COMPOUND OR SALT THEREOF,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염료로서 유용한 아조화합물 또는 그 염에 관한 것이다.
염료는, 액정 표시패널,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등의 디스플레이장치에 사용되는 컬러 필터의 착색제로서 사용되고 있다.
염료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식 (A-4)로 나타내는 아조화합물이 기재되어 있다.
Figure 112009029786038-pat00002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표2003-510398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공평7-88633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국 특개2006-124634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국 특개2007-99840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내열성 및 내광성이 우수한 도포막을 형성할 수 있는 아조화합물 또는 그 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이, 내열성 및 내광성이 우수한 도포막을 형성할 수 있는 아조화합물 또는 그 염에 대하여 검토한 결과, 본 발명을 발견하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1] ∼ [6]을 제공하는 것이다.
[1] 식 (I)로 나타내는 아조화합물 또는 그 염.
Figure 112009029786038-pat00003
[식 (I)에서, R1은 아조기를 가지는 유기기를 나타내고,
R2 및 R3은, 각각 독립하여,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C1-16 지방족 탄화수소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C3-16 지환식(脂環式) 탄화수소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C7-20 아랄킬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C6-14 아릴기를 나타낸다.]
[2] 식 (I)로 나타내는 아조화합물 또는 그 염이, 식 (II)로 나타내는 아조 화합물 또는 그 염인 [1]에 기재된 아조화합물 또는 그 염.
Figure 112009029786038-pat00004
[식 (II)에서, R2 및 R3은 식 (I))의 경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고,
A는, C1-8 지방족 탄화수소기, C1-8 알콕시기, 카르복실기, N-치환 아조기, 술폰기, 술파모일기 및 N-치환 술파모일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기를 1개 또는 2개 가지고 있어도 좋은 페닐렌기, 또는 N-치환 아조기, 술폰기, 술파모일기 및 N-치환 술파모일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기를 1 내지 3개 가지고 있어도 좋은 나프틸렌기를 나타내고,
R4 및 R5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원자,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C1-16 지방족 탄화수소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C3-16 지환식 탄화수소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C7-20 아랄킬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C6-l4 아릴기를 나타내고,
R6은, 수소원자, 시아노기, 또는 카르바모일기를 나타낸다.]
[3] 식 (III)으로 나타내는 아조화합물과 아실화제를 반응시키는 공정을 가지는, 식 (I)로 나타내는 아조화합물의 제조방법.
Figure 112009029786038-pat00005
[식 (I) 및 식 (III)에서, R1은 아조기를 가지는 유기기를 나타내고,
R2 및 R3은, 각각 독립하여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C1-16 지방족 탄화수소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C3-16 지환식 탄화수소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C7-20 아랄킬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C6-14 아릴기를 나타낸다.]
[4] 아실화제가, 산클로라이드 또는 산무수물인 [3]에 기재된 아조화합물의 제조방법.
[5] [1]에 기재된 아조화합물 또는 그 염의 이량체.
[6] [2]에 기재된 아조화합물 또는 그 염의 이량체.
본 발명의 아조화합물 또는 그 염은, 내열성 및 내광성이 우수한 도포막을 형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아조화합물 또는 그 염의 제조방법은, 높은 수율로 목적으로 하는 아조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식 (I)로 나타내는 화합물(이하, 아조화합물(I)이라 하는 경우가 있다.)이다.
Figure 112009029786038-pat00006
식 (I)에서, R1은 아조기를 가지는 유기기를 나타낸다.
R2 및 R3은, 각각 독립하여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C1-16 지방족 탄화수소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C3-16 지환식 탄화수소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C7-20 아랄킬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C6-14 아릴기를 나타낸다.
식 (I)로 나타내는 화합물은 임의의 위치에서 2량체 이상의 다량체를 형성하고 있어도 좋다.
이하에서는, 식 (I)로 나타내는 화합물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식 (I)에서, R1은, 아조기를 가지는 유기기이고, 구체적으로는, 피리돈아조화합물로부터 유래하는 기, 피라졸론아조화합물로부터 유래하는 기, 피리딘아조화합물로부터 유래하는 기, 피리미딘아조화합물로부터 유래하는 기, 옥시인돌아조화합물로부터 유래하는 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화합물로부터 유래하는 기란, 화 합물로부터 수소원자 1개가 빠진 기를 말한다.
R2 및 R3의 지방족 탄화수소기는, 직쇄형상 또는 분기형상(分岐狀)의 어느 것이어도 좋다. 지방족 탄화수소기의 탄소수에는 치환기의 탄소수는 포함되지 않고, 그 탄소수는, 1∼16이며, 바람직하게는 6∼10 이다. 상기 지방족 탄화수소기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sec-부틸기, tert-부틸기, 메틸부틸기(1, 1, 3, 3-테트라메틸부틸기 등), 메틸헥실기(1, 5-디메틸헥실기 등), 및 에틸헥실기(2-에틸헥실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지방족 탄화수소기는, C1-8 알콕시기, 카르복실기 등의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치환기를 가지는 지방족 탄화수소기로서는 예를 들면, 프로폭시프로필기(3-(이소프로폭시)프로필기 등), 2-(카르복시)에틸기, 3-(카르복시)에틸프로필기, 및 4-(카르복시)부틸기 등을 들 수 있다.
R2 및 R3의 지환식 탄화수소기의 탄소수에는, 치환기의 탄소수는 포함되지 않고, 그 탄소수는, 3∼16 이다. 상기 지환식 탄화수소기로서는,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메틸시클로헥실기(2-메틸시클로헥실기 등) 및 시클로헥실알킬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지환식 탄화수소기의 치환기로서는, 상기 지방족 탄화수소기의 치환기와 동일한 기를 들 수 있다.
R2 및 R3의 아랄킬기의 방향환 이외의 부분은, 직쇄형상, 분기형상 또는 고 리형상의 어느 것이어도 좋다. 아랄킬기의 탄소수는, 7∼20, 바람직하게는 7∼10 이다. 이 아랄킬기로서는, 벤질기, 페닐에틸기(2-페닐에틸기, 2-(4-하이드록시페닐)에틸기 등), 페닐에틸렌기(2-페닐에틸렌기 등), 페닐부틸기(3-아미노-1-페닐부틸기 등) 등의 페닐알킬기를 들 수 있다.
R2 및 R3의 아릴기는, 무치환이어도 좋고, 지방족 탄화수소기 또는 카르복실기 등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상기 아릴기의 탄소수는, 치환기의 탄소수를 포함하여 세여져, 통상 6∼14, 바람직하게는 6∼10 이다. 이들 아릴기로서는, 예를 들면, 페닐기, 카르복시페닐기(2-카르복시페닐기, 2,4-디카르복시페닐기 등), 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기(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기 등), 메톡시페닐기(4-메톡시페닐기) 등의 무치환 또는 치환 페닐기 등을 들 수 있다.
아조화합물(I)은, 식 (II)로 나타내는 화합물[이하, 아조화합물(II)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09029786038-pat00007
[식 (II)에서, R2 및 R3은 식 (I)의 경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A는, C1-8 지방족 탄화수소기, C1-8 알콕시기, 카르복실기, N-치환 아조기, 술폰기, 술파모일기 및 N-치환 술파모일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기를 1개 또는 2개 가지고 있어도 좋은 페닐렌기, 또는 N-치환 아조기, 술폰기, 술파모일기 및 N-치환 술파모일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기를 1∼3개 가지고 있어도 좋은 나프틸렌기를 나타낸다.
R4 및 R5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원자,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C1-16 지방족 탄화수소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C3-16 지환식 탄화수소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C7-20 아랄킬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C6-14 아릴기를 나타낸다.
R6은, 수소원자, 시아노기, 또는 카르바모일기를 나타낸다.
식 (II)로 나타내는 화합물은 임의의 위치에서 2량체 이상의 다량체를 형성하고 있어도 좋다.]
식 (lI)에서, A는, C1-8 지방족 탄화수소기, C1-8 알콕시기, 카르복실기, N-치환 아조기, 술폰기, 술파모일기 및 N-치환 술파모일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기를 1개 또는 2개 가지고 있어도 좋은 페닐렌기, 또는 N-치환 아조기, 술폰기, 술파모일기 및 N-치환 술파모일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기를 1∼3개 가지고 있어도 좋은 나프틸렌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아조화합물 또는 그 염은, C1-8 지방족 탄화수소기, C1-8 알콕시기, 술폰기, 술파모일기, N-치환 술파모일기를 가짐으로써, 수용성 및 유기용제에 대한 용해성을 겸비할 수 있다. 유기용제에 대한 용해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식 (II)에서, A가, C1-8 지방족 탄화수소기, C1-8 알콕시기, 술파모일기 및 N-치환 술파모일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N-치환 술파모일기로서, -SO2NHR2기(R2는, 상기한 치환기를 나타낸다. ), 또는 -SO2NHR2(COR3)기(R2 및 R3은, 상기한 치환기를 나타낸다.)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아조화합물 또는 그 염은, N-치환 술파모일기를 가짐으로써, 수용성 및 유기용제에 대한 용해성을 겸비할 수 있다.
식 (II)에서, R4 및 R5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원자,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직쇄형상 또는 분기형상 C1-16 지방족 탄화수소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C3-16 지환식 탄화수소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C7-20 아랄킬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C6-14 아릴기를 나타낸다. 상기 지방족 탄화수소기의 탄소수에는, 치환기의 탄소수는 포함되지 않는다. 그 탄소수는, 1∼16, 바람직하게는 2∼8, 더욱 바람직하게는 3∼6 이다. 상기 지방족 탄화수소기급으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sec-부틸기 및 tert-부틸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지환식 탄화수소기의 탄소수는, 3∼16, 바람직하게는 5∼10 이다. 상기 지환식 탄화수소기로서는, 예를 들면 시클로헥실기 및 시클로펜틸기 등을 들 수 있다. R4 및 R5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및 지환식 탄화 수소기는, C1-8 알콕시기 등의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치환기를 가지는 지방족 탄화수소기 및 지환식 탄화수소기로서는 예를 들면, 3-(에틸헥실옥시)프로필기 등을 들 수 있다.
R4 및 R5의 아랄킬기의 방향환 이외의 부분은, R2 및 R3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직쇄형상, 분기형상 또는 고리형상의 어느 것이어도 좋고, 그 탄소수는, 7∼20, 바람직하게는 7∼10 이다. R4 및 R5의 아랄킬기의 구체예는, R2 및 R3의 경우와 동일하다.
R4 및 R5의 아릴기는, R2 및 R3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무치환이어도 좋고, 지방족 탄화수소기 또는 하이드록실기 등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그 탄소수는, 치환기의 탄소수를 포함하여 세여져, 6∼14, 바람직하게는 6∼10 이다. R4및 R5의 아랄킬기의 구체예는, R2 및 R3의 경우와 동일하다.
R6은, 수소원자, 시아노기, 또는 카르바모일기를 나타낸다. 색 농도, 유기용제에 대한 용해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수소원자 또는 시아노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색 농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R3이, 탄소수가 5 이하(바람직하게는 3 이하)의 지방족 탄화수소기(예를 들면, 메틸기, 에틸기, 이소프로필기, 2-(카르복시)에틸기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유기용제에 대한 용해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R2가 탄소수가 6∼12의 지방족 탄화수소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색 농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R5가, 탄소수가 3 이하의 지방족 탄화수소기(예를 들면 메틸기, 에틸기 등, 특히 메틸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유기용제에 대한 용해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R4가 탄소수가 2∼12의 지방족 탄화수소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색 농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A가 파라치환 페닐렌기, 또는 메타치환 페닐렌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말하는 파라치환이란, 식 (II)에서의 아조기와 술파모일기가, 페닐렌기 상에서 파라의 위치관계에 있는 것을 가리킨다.
아조화합물(I)을 2종 이상 병용하면, 그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보다, 유기용매에 대한 용해량이 커지는 경향이 있어, 액정 표시장치용의 색소로서는, 아조화합물(I)의 2종 이상의 조합을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유기용제에 대한 용해성이 향상하는 조합의 예로서, 2개의 N-치환 술파모일기를 가지는 아조화합물(디술폰아미드)과, 1개의 N-치환 술파모일기 및 1개의 술폰기를 가지는 아조화합물(모노술폰아미드)과의 조합을 들 수 있다.
또, 모노술폰아미드는 분자량이 낮기 때문에, 색 농도의 관점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유기용제에 대한 용해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R2∼R5는, 분기형상 지방족 탄 화수소기 및 2개 이상의 할로겐 원자가 결합한 지방족 탄화수소기가 바람직하고, tert-부틸기 등의 3급 지방족 탄화수소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등의 3개 이상의 할로겐 원자가 결합한 지방족 탄화수소기 등이 특히 바람직하다.
부피가 큰 기를 선택함으로써, 아조색소의 스택킹을 저감할 수 있고, 유기용제에 대한 용해성을 높일 수 있다. 또 부피가 큰 기를 선택함으로써, 아조기를 보호할 수 있고, 내광성을 높일 수 있다.
식 (I)의 바람직한 예에는, 식 (I-1)∼(I-35) 및 식 (II-1)∼(II-116)을 들수 있다.
Figure 112009029786038-pat00008
Figure 112009029786038-pat00009
Figure 112009029786038-pat00010
Figure 112009029786038-pat00011
Figure 112009029786038-pat00012
Figure 112009029786038-pat00013
Figure 112009029786038-pat00014
Figure 112009029786038-pat00015
Figure 112009029786038-pat00016
Figure 112009029786038-pat00017
Figure 112009029786038-pat00018
Figure 112009029786038-pat00019
Figure 112009029786038-pat00020
Figure 112009029786038-pat00021
Figure 112009029786038-pat00022
Figure 112009029786038-pat00023
Figure 112009029786038-pat00024
Figure 112009029786038-pat00025
Figure 112009029786038-pat00026
Figure 112009029786038-pat00027
Figure 112009029786038-pat00028
Figure 112009029786038-pat00029
Figure 112009029786038-pat00030
Figure 112009029786038-pat00031
Figure 112009029786038-pat00032
아조화합물(I)에서, 색도의 면에서 더욱 바람직한 것은, 식 (II)로 나타내는 화합물과 같은 피리돈아조화합물이다.
본 발명은, 식 (I), 식 (II)로 나타내는 화합물에 한정하지 않고, 그 염도 포함한다. 염으로서는, 분자 내에 술폰기를 가지는 경우의 술폰산염, 카르복실기 를 가지는 경우의 카르본산염을 들 수 있다. 또 이들 염을 형성하는 양이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용매에 대한 용해성을 고려하면, 리튬염, 나트륨염, 칼륨염과 같은 알칼리금속염 ; 암모늄염 ; 및 에탄올아민염, 알킬아민염과 같은 유기아민염 등이 바람직하다. 특히 알칼리금속염(바람직하게는 나트륨염)은, 편광막 기재에 함유시키는 경우에 유용하다. 또 유기아민염은, 경화성 수지조성물에 함유시키는 경우에 유용하고, 또한 비금속염이기 때문에, 절연성이 중요시되는 분야에서도 유용하다.
아조화합물(I)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식 (VI)로 나타내는, 일본국 특공평7-88633에 기재된 방법, 식 (III)으로 나타내는 아조화합물[이하, 아조화합물(III)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과 아실화제를 반응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아조화합물(III)과 아실화제를 반응시키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09029786038-pat00033
아조화합물(III)으로서는, 일반적으로 유통되고 있는 색소(BASF사제의 C. I. Solvent Yellow162 등) 외, 일본국 특공평7-88633 등에 기재되어 있는 아조화합물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아실화제로서는, 산무수물, 산클로라이드 등 공지의 물질을 사용할 수 있고, 반응성의 점에서는 산무수물이 더욱 바람직하다.
산클로라이드로서는, 바람직하게는 아세트산클로라이드, 프로피온산클로라이드, 낙산클로라이드, 및 벤조일클로라이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산무수물로서는, 지방족 카르본산이나 방향족 카르본산의 무수물을 사용할 수 있고, 사슬형상 및 고리형상의 무수물이어도 좋고, 구체적으로는, 무수아세트산, 무수프로피온산, 무수말레인산, 무수낙산, 무수호박산, 무수하이믹산, 및 무수프탈산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사용하는 아실화제의 종류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2종류 이상의 아실화제를 병용하여도 좋다. 아실화제의 사용량은, 아조화합물(III) 1 몰에 대하여, 1∼3 몰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반응계 중으로 물이 가지고 들어 가지는 경우는, 산무수물을 아조화합물에 대하여 과잉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아민은 일반적으로 입수 가능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지방족 아민류, 방향족성 아민류가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트리에틸아민, 피페리딘, 1,4-디아자비시클로[2,2,2]옥탄, 1,8-디아자비시클로[5,4,0]-7-운데센, 피리딘,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및 4-피롤리디노피리딘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반응속도 향상의 관점에서,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및 4-피롤리디노피리딘이 특히 바람직하다. 유기아민의 사용량은, 아조화합물(III) 1 몰에 대하여, 예를 들면 0.05∼50 몰이다. 사용하는 유기아민의 종류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2종류 이상의 유기아민을 병용하여도 좋다.
아조화합물(III)과 아실화제와의 반응은, 유기용매 중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1,4-디옥산 등의 에테르류(특히 고리형상 에테르류) ; 클로로포름, 염화메틸렌, 4염화탄소, 1,2-디클로로에탄, 디클로로에틸렌, 트리클로로에틸렌, 퍼클로로에틸렌, 디클로로프로판, 염화아밀, 1,2-디브로모에탄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
아세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등의 케톤류 ;
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의 탄소계 방향족류 등을 들 수 있고, 2종류 이상의 용매를 병용하여도 좋다. 용매의 사용량은, 아조화합물(III) 1 질량부에 대하여, 예를 들면, 1 질량부 이상(바람직하게는 5 질량부 이상), 20 질량부 이하(바람직하게는 10 질량부 이하) 정도이다.
아조화합물(III)와 아실화제와의 반응은, 질소 분위기하, 또는 아르곤 분위기 하에서 행하여지나, 염화칼슘 등으로 건조한 공기 하에서도 반응은 진행된다.
반응온도는, 예를 들면 0℃ 이상(바람직하게는 10℃ 이상), 70℃ 이하(바람직하게는 60℃ 이하)이다. 반응시간은, 예를 들면 0.5시간 이상(바람직하게는 3시간 이상), 25시간 이하(바람직하게는 15시간 이하)이다.
산무수물, 및 유기아민의 첨가 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아조화합물(III), 유기아민, 및 유기용매로 이루어지는 반응용액에, 산무수물을 첨가(적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 혼합물로부터 목적 화합물인 아조화합물(I)을 취득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여러가지 방법을 채용할 수 있고, 반응 혼합물을 유기용매 로 추출함으로써 정제하는 방법, 반응 혼합물과 유기용매와 물을 혼합하여, 아조화합물(I)을 유기상으로 용출시켜, 분액 로트 등으로 분취(分取)한 유기상을 용매 증류 제거함으로써, 아조화합물(I)을 얻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추출 온도는, 10℃ 이상(바람직하게는 20℃ 이상), 50℃ 이하(바람직하게는 30℃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 추출은, 동일 온도에서 0.5시간∼4시간 정도 교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 후의 아조화합물(I)은, 통상 알콜 등으로 세정하고, 이어서 건조한다. 또 필요에 따라, 재결정 등의 공지의 방법에 의하여, 더욱 정제하여도 좋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함유량 및 사용량을 나타내는 「%」 및 「부」는,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질량% 및 질량부이다.
(실시예 1)
이하의 반응은, 질소 분위기 하에서 행하였다. 식 (A-1)로 나타내는 솔벤트 옐로우(Solvent Yellow)162(BASF제) 32부에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0.6부, 트리에틸아민 20부 및 클로로포름 200부를 가한 후, 30분간 교반하여 반응용액을 조정하였다. 빙냉 하, 반응용액을 교반하면서, 무수아세트산 9부를 30분에 걸쳐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 실온으로 되돌리면서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용액을 물 2 리터 중에 주입한 후, 아세트산에틸 1 리터를 가하여 2시간 교반하였다. 분액 로트를 사용하여 유기상을 분취한 후, 또한 물 2 리터로 세정하였다. 분취한 유기상을 용매증류 제거하여, 조생성물(粗生成物) 32.8부를 얻었다. 조생성물을 메탄올 1 리터로 세정하고, 식 (II-1)로 나타내는 아조화합물을 30.2부를 얻었다. 수율 86%.
Figure 112009029786038-pat00034
아조화합물(II-1)의 구조는, 1H-NMR, 13C-NMR, 및 질량 분석에 의해 결정하였다. NMR장치는 ECA-500(니혼분코(주)제), 질량 분석장치는 JMS-700(니혼덴시(주)제)를 사용하였다. :
1H-NMR(500 MHz, δ값(ppm, TMS 기준), DMSO) ; 0.86-0.92(9H, m), 1.23-1.36(10 H, m), 1.54(2 H, qq, J=6.9, 6.9 Hz), 1.73(1 H, m), 2.22(3 H, s), 2.54 (3 H, s), 3.74(2 H, d, J=7.7 Hz), 3.84(2 H, br. t, J=6.9 Hz), 7.91(2 H, br, d, J=8.4 Hz), 7.98(2 H, br. d, J=8.4 Hz), 14.9(1 H, s)
13C-NMR(125 MHz, δ값(ppm, TMS 기준), DMSO) : 10.47, 13.61, 13.86, 16.43, 19.67, 22.41, 23.09, 24.47, 27.96, 29.16, 29.64, 38.72, 39.17, 50.61, 102.54, 114.74, 117.54, 124.96, 129.39, 135.77, 145.43, 159.13, 159.87, 160.15, 170.42
질량 분석 :
이온화 모드 = FD + : m/z = 543
얻어진 아조화합물(II-1) 0.35 g을 유산에틸에 용해시켜 체적을 250 ㎤로 하고, 그 중의 2 ㎤를 유산에틸로 희석하여 체적을 100 ㎤로 하고(농도 : O.028 g/L), 분광 광도계[석영 셀, 셀의 길이는 1 cm]를 사용하여 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이 화합물은, λmax = 423 nm 에서, 흡광도 2.48(임의단위)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이하의 반응은, 질소 분위기 하에서 행하였다. 식 (A-1)로 나타내는 솔벤트 옐로우(Solvent Yellow)162(BASF제) 10.0부에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0.2부, 트리에틸아민 6.1부 및 클로로포름 62부를 가한 후, 30분 교반하여 반응용액을 조정하였다. 빙냉 하, 반응용액을 교반하면서, 무수호박산 2.2부를 첨가하였다. 적하 종료 후, 실온으로 되돌리면서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물 2 리터 중으로 주입한 후, 아세트산에틸 0.5 리터를 가하여 2시간 교반하였다. 분액 로트를 사용하여 유기상을 분취한 후, 또한 물 1 리터로 세정하였다. 분취한 유기상을 용매 증류 제거하고, 조생성물 8.5부를 얻었다. 조생성물을 메탄올 0.2 리터로 세정하여, 식 (II-4)로 나타내는 아조화합물을 7.6부를 얻었다. 수율 63%.
아조화합물(II-4)의 구조는, 1H-NMR, 13C-NMR, 및 질량 분석에 의하여 결정하였다. NMR 장치는 ECA-500(니혼분코(주)제), 질량 분석장치는 JMS-700(니혼덴시(주)제)을 사용하였다. :
1H-NMR(500 MHz, δ값(ppm, TMS 기준), DMSO) ; 0.88-0.94(9 H, m), 1.23- 1.37(11 H, m), 1.54(2 H, qq, J=6.8, 6.9 Hz), 1.73(1 H, m), 2.62(3 H, s), 2.85-2.87(4 H, m), 3.76(2 H, d, J=7.7 Hz), 3.96(2 H, br. t, J=6.8 Hz), 7.91(2 H, br. d, J=8.4 Hz), 7,98(2 H, br. d, J=8.4 Hz), 14.9(1 H, s)
13C-NMR(125 MHz, δ값(ppm, TMS 기준), DMSO) : 10.48, 13.59, 13.89, 16.52, 20.00, 22.75, 23.43, 28.37, 28.42, 29.58, 30.10, 31.35, 38.97, 39.02, 50.85, 103.48, 113.82, 116.83, 124.65, 129.54, 136.62, 143.77, 158.28, 159.50, 161.3, 171.91, 177.12
질량 분석 :
이온화 모드 = FD + : m/z = 601
얻어진 아조화합물(II-4) 0.35 g을 유산에틸에 용해시켜 체적을 250 ㎤로 하고, 그 중의 2 ㎤를 유산에틸로 희석하여 체적을 100 ㎤로 하고(농도 : O.028 g/L), 분광 광도계[석영 셀, 셀의 길이는 1 cm]를 사용하여 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이 화합물은, λmax = 426 nm에서 흡광도 2.46(임의단위)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식 (B-1)로 나타내는 3-메틸아닐린-4-술폰산 25.0부에 물 150부를 가한 후, 빙냉 하, 30% 수산화나트륨수용액으로 pH 7∼8로 조절하였다. 이하의 조작은 빙냉 하에서 행하였다. 아질산나트륨을 27.6부 가하여 30분간 교반하였다. 35% 염산 97.4부를 소량씩 가하여 갈색 용액으로 한 후, 2시간 교반하였다. 아미드황산 25.1부를 물 250부에 용해한 수용액을 반응용액에 가하여 교반하고, 디아조늄염을 포함하는 현탁액을 얻었다.
Figure 112009029786038-pat00035
식 (C-1)로 나타내는 1-부틸-3-시아노-4-메틸-6-하이드록시피리드-2-온 28.9부에 물 260부를 가한 후, 빙냉 하, 3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pH 8∼9로 조절하였다.
Figure 112009029786038-pat00036
이하의 조작은 빙냉 하에서 행하였다. 상기 피리돈수용액을 교반하여 무색용액으로 한 후, 30% 수산화나트륨수용액으로 pH 8∼9로 조절하면서, 디아조늄염을 포함하는 현탁액을 2시간에 걸쳐 펌프로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 다시 2시간 교반함으로써 황색 현탁액을 얻었다. 여과하여 얻은 황색 고체를 감압 하 60℃에서 건조하고, 식 (D-1)로 나타내는 아조화합물을 46.7부(수율 79%) 얻었다.
Figure 112009029786038-pat00037
이하의 반응은, 질소 분위기 하에서 행하였다. 냉각관 및 교반장치를 구비한 플라스크에, 아조화합물 (D-1)을 30부, 클로로포름 300부 및 N,N-디메틸포름아 미드 11.9부를 투입하고, 교반 하 20℃ 이하를 유지하면서, 염화티오닐 16.6부를 적하하여 가하였다. 적하 종료 후, 50℃로 승온하고, 동일 온도에서 5시간 유지하여 반응시키고, 그 후 20℃로 냉각하였다. 냉각 후의 반응용액을, 교반 하 20℃ 이하로 유지하면서, 2-에틸헥실아민 47.9부 및 트리에틸아민 90.1부의 혼합액을 적하하여 가하였다. 그 후, 동일 온도에서 5시간 교반하여 반응시켰다. 이어서 얻어진 반응 혼합물을 회전 증발기로 용매 증류 제거한 후, 메탄올을 소량 가하여 심하게 교반하였다. 이 혼합물을, 아세트산 60부 및 이온 교환수 600부의 혼합액 중에 교반하면서 가하여, 결정을 석출시켰다. 석출한 결정을 따로 여과하여, 이온 교환수로 잘 세정하고, 60℃에서 감압 건조하여, 식 (A-2)로 나타내는 아조화합물 27.0부(수율 71%)를 얻었다.
Figure 112009029786038-pat00038
이하의 반응은, 질소 분위기 하에서 행하였다. 식 (A-2)로 나타내는 아조화합물부에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0.1부, 트리에틸아민 2.0부 및 클로로포름 26.9부를 가한 후, 30분 교반하여 반응용액을 조정하였다. 빙냉 하, 반응용액을 교반하면서, 무수아세트산 1.1부를 30분에 걸쳐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 실온으로 되돌리면서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용액을 물 2 리터 중에 주입한 후, 아세트산에틸 0.5 리터를 가하여 2시간 교반하였다. 분액 로트를 사용하여 유기상을 분취한 후, 또한 물 1 리터로 세정하였다. 분취한 유기상을 용매 증류 제거하여, 조생성 물 4.0부를 얻었다. 조생성물을 메탄올 1 리터로 세정하여, 식 (II-43)로 나타내는 아조화합물을 3.7부 얻었다. 수율 79%.
아조화합물(II-43)의 구조는, 1H-NMR, 13C-NMR 및 질량 분석에 의해 결정하였다. NMR 장치는 ECA-500(니혼분코(주)제), 질량 분석장치는 JMS-700(니혼덴시(주)제)를 사용하였다. :
1H-NMR(500 MHz, δ값(ppm, TMS 기준), DMSO) ; 0.90-0.97(9 H, m), 1.26-1.48(10 H, m), 1.60(2 H, qq, J=6.8, 6.8 Hz), 1.81(1 H, m), 2.23(3 H, s), 2.58(3 H, s), 2.62(3 H, s), 3.78(2 H, d, J=7.5 Hz), 3.88(2 H, br. t, J=6.8 Hz), 7.31(1 H, s), 7.44(2 H, br. d, J=8.7 Hz), 8.03(1 H, br. d, J=8.7 Hz), 14.8 (1 H, s)
13C-NMR(125 MHz, δ값(ppm, TMS 기준), DMSO) : 10.33, 13.50, 13.85, 16.43, 20.00, 20.20, 22.76, 23.36, 24.70, 28.24, 29.50, 30.00, 38.96, 39.77, 50.85, 103.84, 113.84, 120.04, 124.55, 132.17, 135.36, 139.72, 144.25, 158.08, 159.39, 161.24, 170.10
질량 분석 :
이온화 모드 = FD + : m/z = 557
얻어진 아조화합물(II-43) 0.35 g을 유산에틸에 용해시켜 체적을 250 ㎤로 하고, 그 중의 2 ㎤를 유산에틸로 희석하여 체적을 100 ㎤로 하고(농도 : 0.028 g/L), 분광 광도계[석영 셀, 셀의 길이는 1 cm]를 사용하여 흡수 스펙트럼을 측정 하였다. 이 화합물은, λmax = 425 nm에서 흡광도 2.41(임의단위)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이하의 반응은, 질소 분위기 하에서 행한다. 식 (A-1)로 나타내는 솔벤트 옐로우(Solvent Yellow)162(BASF제) 35.0부에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0.9부, 트리에틸아민 20.0부 및 클로로포름 200부를 가한 후, 교반하여 반응용액을 조정한다. 빙냉 하, 반응용액을 교반하면서, 아세트산클로라이드 6.0부를 적하한다. 적하 종료 후, 실온으로 되돌리면서 교반한다. 반응용액을 물 2 리터 중에 주입한 후, 아세트산에틸 1 리터를 가하여 교반한다. 분액 로트를 사용하여 유기상을 분취한 후, 또한 물 2 리터로 세정한다. 분취한 유기상을 용매 증류 제거하여, 조생성물 24.9부를 얻는다. 조생성물을 메탄올 1 리터로 세정하고, 식 (II-1)로 나타내는 아조화합물을 얻는다.
(비교예 1)
식 (B-2)로 나타내는 술파닐산 40.0부에 물 400부를 가한 후, 빙냉 하, 30% 수산화나트륨수용액으로 pH 7∼8로 조절하였다. 이하의 조작은 빙냉 하에서 행하였다. 아질산나트륨을 19.1부 가하여 30분 교반하였다. 35% 염산 72.2부를 소량씩 가하여 갈색 용액으로 한 후, 2시간 교반하였다. 아미드황산 4.4부를 물 30부에 용해한 수용액을 반응용액에 가하여 교반하고, 디아조늄염을 포함하는 현탁액을 얻었다.
Figure 112009029786038-pat00039
식 (C-2)로 나타내는 1-에틸-3-시아노-4-메틸-6-하이드록시피리드-2-온 54.4부에 물 800부를 가한 후, 빙냉 하, 30% 수산화나트륨수용액으로 pH 8∼9로 조절하였다.
Figure 112009029786038-pat00040
이하의 조작은 빙냉 하에서 행하였다. 상기 피리돈수용액을 교반하여 무색용액으로 한 후, 30% 수산화나트륨수용액으로 pH 8∼9로 조절하면서, 디아조늄염을 포함하는 현탁액을 2시간에 걸쳐 펌프로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 다시 2시간 교반함으로써 암색 용액을 얻었다. 여과하여 얻은 황색 고체를 감압 하 60℃에서 건조하고, 식 (D-2)로 나타내는 아조화합물을 80.5부(수율 92%) 얻었다.
Figure 112009029786038-pat00041
냉각관 및 교반장치를 구비한 플라스크에, 아조화합물(D-2)을 5부, 클로로포름 50부 및 N,N-디메틸포름아미드 2.1부를 투입하고, 교반 하 20℃ 이하를 유지하면서, 염화티오닐 6부를 적하하여 가하였다. 적하 종료 후, 50℃로 승온하고, 동일 온도에서 5시간 유지하여 반응시키고, 그 후 20℃로 냉각하였다. 냉각 후의 반응용액을, 교반 하 20℃ 이하로 유지하면서, 3-이소프로폭시프로필아민 4부 및 트리에틸아민 14부의 혼합액을 적하하여 가하였다. 그 후, 동일 온도에서 5시간 교 반하여 반응시켰다. 이어서 얻어진 반응 혼합물을 증발 회전기로 용매 증류 제거한 후, 메탄올을 소량 가하여 심하게 교반하였다. 이 혼합물을, 아세트산29부 및 이온 교환수 300부의 혼합액 중에 교반하면서 가하여, 결정을 석출시켰다. 석출한 결정을 따로 여과하여, 이온 교환수로 잘 세정하고, 60℃에서 감압 건조하여, 식 (A-3)로 나타내는 아조화합물 3.5부(수율 56%)를 얻었다.
Figure 112009029786038-pat00042
얻어진 아조화합물 (A-3) 0.35 g을 유산에틸에 용해시켜 체적을 250 ㎤로 하고, 그 중의 2 ㎤를 이온 교환수로 희석하여 체적을 100 ㎤로 하고(농도 : 0.028 g/L), 분광 광도계(석영 셀, 광로길이 ; 1 cm)를 사용하여 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이 화합물은, λmax = 430 nm에서 흡광도 2.77(임의단위)를 나타내었다.
(비교예 2)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방법으로, 하기 아조화합물을 합성하였다. 아조화합물 (A-4) 0.35 g을 유산에틸에 용해시켜 체적을 250 ㎤로 하고, 그 중의 2 ㎤를 이온 교환수로 희석하여 체적을 100 ㎤로 하고(농도 : 0.028 g/L), 분광 광도계(석영 셀, 광로길이 ; 1 cm)를 사용하여 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이 화합물은, λmax = 425 nm에서 흡광도 2.6(임의단위)을 나타내었다.
Figure 112009029786038-pat00043
이하의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성분은 이하와 같고, 이하, 생략하고 표시하는 경우가 있다.
(II-1) 착색제 : 실시예 1에서 합성한 아조화합물
(II-4) 착색제 : 실시예 2에서 합성한 아조화합물
(II-43) 착색제 : 실시예 3에서 합성한 아조화합물
(A-1) 착색제 : 솔벤트 옐로우(Solvent Yellow)162(BASF사제)
(A-3) 착색제 : 비교예 1에서 합성한 아조화합물
(A-4) 착색제 : 비교예 2에서 합성한 아조화합물
(F-1) 수지 : HN-122(다오카화학공업(주)제)
(G-1) 용제 : N,N-디메틸포름아미드
(실시예 5)
[착색 조성물 1의 조제]
(II-1) 0.51 질량부
(F-1) 1.19 질량부
(G-1) 8.30 질량부
를 혼합하여 착색 조성물 1을 얻었다.
다음에 유리(#1737 : 코닝) 위에, 상기에서 얻은 착색 조성물 1을 스핀 코트법으로 도포한 후, 100℃에서 3분간 휘발성분을 휘발시켜 착색 조성물 1의 도포막을 형성하였다.
그 상기 도포막에 있어서, C 광원을 CIE의 XYZ 표색계에서의 xy 색도를 측색기[OSP-SP-200 ; OLYMPUS(주)제]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평가 1] 내열성 평가방법
얻어진 도포막을 230℃에서 120분간 가열하고, 가열 후의 색도를 상기와 동일하게 측정하여, 가열 전후의 색차(ΔEab*)를 구하였다.
색차의 평가 기준으로서는, ΔEab*가 6 이하이면 색상 변화는 거의 확인되지 않아, 컬러 필터로서 양호한 특성을 나타내고, ΔEab*가 6을 넘고 10 이하이면, 약간의 색상 변화는 확인되나, 컬러 필터의 실용상 문제가 없는 레벨이며, ΔEab*가 10 이상이면, 분명하게 색상 변화를 확인할 수 있어, 컬러 필터로서는 문제가 있는 레벨이다.
[평가 2] 내광성 평가방법
얻어진 도포막의 위에 자외선 차단 필터[COLORED OPTlCAL GLASS L38 ; 호야(주)제]를 겹쳐서 내광성 시험기(SUNTEST CPS+ : (주)도요세이키세이사쿠쇼제)로 크세논 램프광을 48시간 조사하였다.
다음에, 내광성 시험 후의 색도를 측정하여, 내광성 시험 전후의 색차(ΔEab*)를 구하였다.
[도포막의 평가]
얻어진 도포막에 대하여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평가를 실시한 결과, 내열성평가에서의 색차(ΔEab*)는 4.0 이고, 내광성 평가에서의 색차(ΔEab*)는 O.5이었다.
(실시예 6)
[착색 조성물 2의 조제]
실시예 5의 착색제 (II-1)를 착색제 (II-4)로 변경하는 이외는, 실시예 5와 동일하게 혼합하여 착색 조성물 2를 얻었다.
[도포막의 형성 및 평가]
실시예 5와 동일하게 하여 도포막을 작성하고, 평가를 실시한 결과, 내열성평가에서의 색차(ΔEab*)는 4.9 이고, 내광성 평가에서의 색차(ΔEab*)는 0.6 이었다.
(실시예 7)
[착색 조성물 3의 조제]
실시예 5의 착색제 (II-1)를 착색제 (II-43)로 변경하는 이외는, 실시예 5와 동일하게 혼합하여 착색 조성물 3을 얻었다.
[도포막의 형성 및 평가]
실시예 5와 동일하게 하여 도포막을 작성하고, 평가를 실시한 결과, 내열성평가에서의 색차(ΔEab*)는 5.3 이고, 내광성 평가에서의 색차(ΔEab*)는 O.3 이었다.
(비교예 3)
[착색 조성물 4의 조제]
실시예 5의 착색제 (II-1)를 착색제 (A-1)로 변경하는 이외는, 실시예 5와 동일하게 혼합하여 착색 조성물 4를 얻었다.
[도포막의 형성 및 평가]
실시예 5와 동일하게 하여 도포막을 작성하고, 평가를 실시한 결과, 내열성평가에서의 색차(ΔEab*)는 10.8 이고, 내광성 평가에서의 색차(ΔEab*)는 O.8 이었다.
(비교예 4)
[착색 조성물 5의 조제]
실시예 5의 착색제 (II-1)를 착색제 (A-3)로 변경하는 이외는, 실시예 5와 동일하게 혼합하여 착색 조성물 5를 얻었다.
[도포막의 형성 및 평가]
실시예 5와 동일하게 하여 도포막을 작성하고, 평가를 실시한 결과, 내열성평가에서의 색차(ΔEab*)는 7.5 이고, 내광성 평가에서의 색차(ΔEab*)는 1.3 이었다.
(비교예 5)
[착색 조성물 6의 조제]
실시예 5의 착색제 (II-1)를 착색제 (A-4)로 변경하는 이외는, 실시예 5와 동일하게 혼합하여 착색 조성물 6을 얻었다.
[도포막의 형성 및 평가]
실시예 5와 동일하게 하여 도포막을 작성하고, 평가를 실시한 결과, 내열성평가에서의 색차(ΔEab*)는 117.6 이고, 내광성 평가에서의 색차(ΔEab*)는 1.5 이었다.
상기한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아조화합물은, 종래의 아조화합물에 비하여, 내열성, 및 내광성이 향상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아조화합물 또는 그 염은, 내열성 및 내광성이 우수한 도포막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액정 표시패널,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등의 디스플레이장치에 사용되는 컬러 필터의 착색제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6)

  1. 식 (II)로 나타내는 아조화합물 또는 그 염.
    Figure 112016019328666-pat00044
    [식 (II)에서, R2 및 R3은, 각각 독립하여, C1-8 알콕시기 또는 카르복실기 중 어느 하나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C1-16 지방족 탄화수소기, C1-8 알콕시기 또는 카르복실기 중 어느 하나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C3-16 지환식 탄화수소기, C7-20 아랄킬기, 또는 지방족 탄화수소기 또는 카르복실기 중 어느 하나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C6-14 아릴기를 나타내고,
    A는, C1-8 지방족 탄화수소기, C1-8 알콕시기, 카르복실기, N-치환 아조기, 술폰기, 술파모일기 및 N-치환 술파모일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기를 1개 또는 2개 가지고 있어도 좋은 페닐렌기, 또는 N-치환 아조기, 술폰기, 술파모일기 및 N-치환 술파모일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기를 1 내지 3개 가지고 있어도 좋은 나프틸렌기를 나타내며,
    R4 및 R5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원자, C1-8 알콕시기를 치환기로 가지고 있어도 좋은 C1-16 지방족 탄화수소기, C1-8 알콕시기를 치환기로 가지고 있어도 좋은 C3-16 지환식 탄화수소기, C7-20 아랄킬기, 또는 지방족 탄화수소기 또는 하이드록실기 중 어느 하나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C6-l4 아릴기를 나타내고,
    R6은, 수소원자, 시아노기, 또는 카르바모일기를 나타낸다.]
  2. 삭제
  3. 식 (III)으로 나타내는 아조화합물과 아실화제를 반응시키는 공정을 가지는, 식 (II)로 나타내는 아조화합물의 제조방법.
    Figure 112016019328666-pat00045
    Figure 112016019328666-pat00046
    [식 (II) 및 식 (III)에서,
    R1
    Figure 112016019328666-pat00047
    를 나타내고,
    R2 및 R3은, 각각 독립하여, C1-8 알콕시기 또는 카르복실기 중 어느 하나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C1-16 지방족 탄화수소기, C1-8 알콕시기 또는 카르복실기 중 어느 하나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C3-16 지환식 탄화수소기, C7-20 아랄킬기, 또는 지방족 탄화수소기 또는 카르복실기 중 어느 하나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C6-14 아릴기를 나타내며,
    A는, C1-8 지방족 탄화수소기, C1-8 알콕시기, 카르복실기, N-치환 아조기, 술폰기, 술파모일기 및 N-치환 술파모일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기를 1개 또는 2개 가지고 있어도 좋은 페닐렌기, 또는 N-치환 아조기, 술폰기, 술파모일기 및 N-치환 술파모일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기를 1 내지 3개 가지고 있어도 좋은 나프틸렌기를 나타내고,
    R4 및 R5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원자, C1-8 알콕시기를 치환기로 가지고 있어도 좋은 C1-16 지방족 탄화수소기, C1-8 알콕시기를 치환기로 가지고 있어도 좋은 C3-16 지환식 탄화수소기, C7-20 아랄킬기, 또는 지방족 탄화수소기 또는 하이드록실기 중 어느 하나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C6-l4 아릴기를 나타내며,
    R6은, 수소원자, 시아노기, 또는 카르바모일기를 나타낸다.]
  4. 제 3항에 있어서,
    아실화제가, 산클로라이드 또는 산무수물인 아조화합물의 제조방법.
  5. 식 (II-111) 내지 (II-116)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아조화합물 또는 그 염.
    Figure 112015076732421-pat00048
  6. 삭제
KR1020090043339A 2008-05-22 2009-05-19 아조화합물 또는 그 염, 및 그 제조방법 KR1016337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33811 2008-05-22
JPJP-P-2008-133811 2008-05-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2126A KR20090122126A (ko) 2009-11-26
KR101633796B1 true KR101633796B1 (ko) 2016-06-27

Family

ID=41370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3339A KR101633796B1 (ko) 2008-05-22 2009-05-19 아조화합물 또는 그 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564201B2 (ko)
KR (1) KR101633796B1 (ko)
CN (1) CN101585806A (ko)
TW (1) TW20100056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34353A1 (ja) * 2022-06-02 2023-12-0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吸収フィルタ、光学フィルタ及びその製造方法、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無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17691A1 (de) * 1969-04-05 1970-12-03 Hoechst Ag Wasserunloesliche Monoazofarbstoff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FR2217726B1 (ko) * 1973-02-12 1983-01-14 Eastman Kodak Co
JPS5785350A (en) * 1980-11-13 1982-05-28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N-acyl-acid amide compound
JPS5784453A (en) * 1980-11-13 1982-05-26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Photographic el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2126A (ko) 2009-11-26
JP5564201B2 (ja) 2014-07-30
CN101585806A (zh) 2009-11-25
TW201000568A (en) 2010-01-01
JP2010001469A (ja) 2010-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9653B1 (ko) 색소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록액
JP2009280691A (ja) アゾ化合物又はその塩
JP5572987B2 (ja) アゾ化合物又はその塩
JP2009013290A (ja) アゾ化合物又はその塩
CA2187593A1 (en) Naphthalenelactamimide fluorescence dyes
KR101633796B1 (ko) 아조화합물 또는 그 염, 및 그 제조방법
JP2012193311A (ja) インクセット、インクカートリッジ、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KR101521141B1 (ko) 아조 화합물 또는 그 염
KR20060121195A (ko) 전자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JP5130521B2 (ja) 複素多環系フェナジン化合物
WO2013175687A1 (ja) 電子デバイス用ビスアゾ系色素並びに該色素を用いた電子デバイス
KR101644916B1 (ko) 아조화합물 또는 그 염
Loganathan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sation of 2-(substituted Phenyl) azo-4, 6-dipropionylresorcinol derivatives
WO2023090221A1 (ja) フッ化フタロシアニン化合物、着色組成物、及び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
Turgut et al.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hromophore group containing cyclotriphosphazenes: V. Spectroscopic investigation of some hexakis (p-phenylazo-α-naphtoxy) cyclotriphosphazenes
JP6754566B2 (ja) 化合物の製造方法
JP2018118944A (ja) 新規蛍光化合物、及びそれを含有する蛍光組成物
JP2003335974A (ja) ビピロリノニリデン系化合物、該化合物を含有する着色剤およびビピロリノニリデン系化合物の製造方法
US6740153B2 (en) Bipyrrolinonylidene-type compound, colorant therewith, and method of production thereof
JP2009013293A (ja) アゾ化合物又はその塩
JP2009013291A (ja) アゾ化合物又はその塩
JPH05255221A (ja) パーフルオロアルキル置換アゾ化合物の製造方法
JP4524086B2 (ja) フタロシアニン化合物
JP2009013292A (ja) アゾ化合物又はその塩
JPH04252271A (ja) アゾメチン系化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