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0949B1 - 밤 약술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밤 약술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0949B1
KR101630949B1 KR1020140142332A KR20140142332A KR101630949B1 KR 101630949 B1 KR101630949 B1 KR 101630949B1 KR 1020140142332 A KR1020140142332 A KR 1020140142332A KR 20140142332 A KR20140142332 A KR 20140142332A KR 101630949 B1 KR101630949 B1 KR 101630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stnut
night
yeast
present
medic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2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6461A (ko
Inventor
곽준열
Original Assignee
곽준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준열 filed Critical 곽준열
Priority to KR1020140142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0949B1/ko
Publication of KR20160046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6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0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09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2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4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 C12G3/05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with health-improving ingredients, e.g. flavonoids, flavones, polyphenols or polysaccharides
    • C12G3/055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with health-improving ingredients, e.g. flavonoids, flavones, polyphenols or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p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H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METHODS FOR ALTER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 C12H1/00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 C12H1/22Ageing or ripening by storing, e.g. lagering of be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otan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밤 약술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밤과 대추, 감태나무, 엄나무, 뽕나무 등의 약재를 주원료로 하여, 숙취로 인한 두통 및 속쓰림이 없어 알콜로 인하여 가중되는 스트레스를 해소시켜 주며, 밤과 이들 약재의 유효 성분에 대한 체내의 빠른 흡수에 의한 약리 작용 효과를 통하여 원기회복 및 건강을 증진시켜 줄 수 있는 밤 약술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밤 약술의 제조방법은, 밤과 누룩을 주원료로 하여 밤 막걸리를 제조하는 밤 막걸리 제조 단계; 대추, 감태나무, 엄나무 및 뽕나무를 중탕하여 약재 추출액을 제조하는 약재 추출액 제조 단계; 및 상기 밤 막걸리와 상기 약재 추출액을 혼합하여 밤 약술을 제조하는 밤 약술 제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밤 약술 및 그 제조방법{A CHESTNUT MEDICINAL WIN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밤 약술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밤과 대추, 감태나무, 엄나무, 뽕나무 등의 약재를 주원료로 하여, 숙취로 인한 두통 및 속쓰림이 없어 알콜로 인하여 가중되는 스트레스를 해소시켜 주며, 밤과 이들 약재의 유효 성분에 대한 체내의 빠른 흡수에 의한 약리 작용 효과를 통하여 원기회복 및 건강을 증진시켜 줄 수 있는 밤 약술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벼농사를 주로 했기 때문에 쌀과 누룩을 원료로 하는 곡주가 일찍부터 발달하였다.
따라서, 탁주(濁酒), 농주(農酒), 재주(滓酒) 및 회주(灰酒)라고도 하는 막걸리의 정확한 기원은 알 수 없으나, 곡주에서 청주를 분리해 내면서부터 그 술 찌꺼기에 대하여 마구 걸렀다는 뜻으로 막걸리라 지칭하고, 농민들 사이에서 애용되어 온 것으로 보인다.
상기 막걸리는 대게, 찹쌀, 보리 및 밀가루 등을 시루에 찐 고두밥을 만드는 과정과, 상기 고두밥을 식히는 과정과, 상기 식힌 고두밥에 누룩과 물을 섞는 과정과, 상기 누룩과 물을 섞은 고두밥을 일정한 온도에서 발효시키는 과정과, 상기의 발효한 고두밥에서 청주를 떠내지 않고, 그대로 걸러 짜내는 과정들에 의해 제조된다.
종래에는 고두밥에 누룩을 섞어 빚은 술을 오지그릇 위에 '井'자 모양의 징그레를 걸고 올려놓아 체에 거를 경우 뿌옇고 텁텁한 탁주가 되고, 이것에 용수를 받아 떠내면 맑은 술이 된다.
그러나, 종래의 막걸리는 텁텁한 맛이 나고, 시식 후 숙취로 인해 누구나 쉽게 시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약술이란 약초와 향미가 뛰어난 기타 의료나 강정(强精)에 도움이 될만한 물질의 성분을 침출한 술의 약칭으로, 술자체를 백약지장(百藥之長)이라 하듯이 알콜에 취하게 하는 성질이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등의 약효를 가지고 있는데, 민간에 전해져 내려오는 약술로서 모과주, 사과주, 포도주, 살구주, 액두주, 진달래주, 머루주, 다래주 등의 과일이나 열매 등을 주정에 침지, 발효시켜 제조한 술이나, 인삼주, 칡주, 마늘주 등이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지닌 물질을 주정에 침지시켜 유효성분을 추출하여서 된 것이 있다.
또한, 한약재를 주류에 침전시켜 한약재에 함유된 약효를 추출하여 된 주류로는 잘 알려진 오미자, 구기자, 감초, 당귀, 백작약, 황비, 대추 등의 한약재를 주정에 침지하여 음용하는 방법이 있으며, 특정한 약효를 위하여 한약재를 2종 이상 혼합하여 주정에 침지하는 방법은 널리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종류와 특정한 약효를 가진 한약재 주류음료는 생활 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건강과 장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기능성 건강식품의 개발 또는 기존 식품의 기능성을 보강하는 방향으로 초점을 맞추어 개발되어 오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능성 건강식품 또는 건강음료의 경우 약효를 얻기 위하여 규칙적으로 음용하여야 하므로, 바쁜 일상생활과 일과에 시달려, 운동부족, 정신적, 육체적으로 과도한 스트레스를 받고 살아가는 현대인의 경우, 과도한 스트레스로 인한 저하된 체력 및 지친 피로를 해소하는 수단으로 적합하지 않다.
그래서 보통 주류 음료를 음용하게 되는데, 이때 음용되는 주류음료는 약효나 기능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닌, 단순히 알콜에 불과한 것이었다.
그러므로 상기 단순 알콜의 경우, 음용 후에 체내 흡수가 늦어지고, 이로 인한 체내 배출이 빨리 이루어지지 않은 관계로 두통, 속쓰림, 헛구역질 내지 거북함 등의 여러가지 통증을 수반하게 되어, 오히려 피로 및 스트레스를 가중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각종 질병 등을 유발시키게 되는 요인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되었다.
그래서 최근에는 각각의 약효를 갖는 여러가지 생약재를 혼합 제조한 후 이들 생약재의 약효에 의하여 원기회복, 항피로효과, 항산화, 정력증강 등의 건강 증진에 도움은 물론, 약리증진을 할 수 있는 건강 보조음료 또는 주류들이 많이 개발되어 있으나, 이들은 대부분은 일종에 약리효과를 얻고자 한 기능성 건강 보조식품및 주류 음료이기 때문에 비교적 꾸준히 음용을 하여야 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므로 바쁜 일과에 쫓기는 현대인으로서는 규칙적으로 음용하기가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음용에 따른 약리 기능의 관념을 가지게 되므로 즐겁게 음용하기 가 꺼려지게 되어 쌓여 있는 스트레스를 해소하는데 만족할 만한 효과를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게 되었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12-0039431호(2012년 4월 25일 공개) 국내등록특허 제10-0606639호(2006년 7월 24일 등록) 국내등록특허 제10-0477959호(2005년 3월 10일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숙취로 인한 두통 및 속쓰림이 없고, 음용 후 막걸리 고유의 진한 술 냄새가 없는 밤 약술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쁜 일상생활에 시달려 스트레스가 많이 쌓인 현대인에게 알콜로 인하여 가중되는 스트레스를 해소시켜 주며, 밤과 이들 약재의 유효 성분에 대한 체내의 빠른 흡수에 의한 약리 작용 효과를 통하여 원기회복 및 건강을 증진시켜 줄 수 있는 밤 약술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밤 약술의 제조방법은, 밤과 누룩을 주원료로 하여 밤 막걸리를 제조하는 밤 막걸리 제조 단계; 대추, 감태나무, 엄나무 및 뽕나무를 중탕하여 약재 추출액을 제조하는 약재 추출액 제조 단계; 및 상기 밤 막걸리와 상기 약재 추출액을 혼합하여 밤 약술을 제조하는 밤 약술 제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밤 약술의 제조방법은, 상기 밤 막걸리 제조 단계가 밤, 누룩 및 배양효모를 이용하여 발효시켜 주모를 제조하는 1차 배양 단계; 및 밤, 누룩, 물엿, 배양효모 및 상기 주모를 이용하여 발효시켜 밤 막걸리를 제조하는 2차 배양 단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밤 약술의 제조방법은, 상기 1차 배양 단계에서, 밤을 분쇄하여 찐 다음 식힌 후 누룩과 혼합하여 배양효모를 넣고 물을 상기 밤이 잠길 정도로 붓고 발효시켜 상기 주모를 제조하며, 상기 2차 배양 단계에서, 밤을 분쇄하여 찐 다음 식힌 후 누룩과 혼합하여 섞은 다음 물엿과 함께 물에 넣고 상기 주모 및 배양효모를 첨가하여 발효시켜 상기 밤 막걸리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밤 약술의 제조방법은, 계피를 넣고 끓인 물을 상기 밤 약술과 혼합하여 완제품을 제조하는 완제품 제조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밤 약술은, 본 발명에 따른 밤 약술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밤 약술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숙취로 인한 두통 및 속쓰림이 없고, 음용 후 막걸리 고유의 진한 술 냄새가 없어 거부감을 없애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밤 약술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알콜로 인하여 오히려 더 가중되는 스트레스를 해소시켜 주며, 밤과 이들 약재의 유효 성분에 대한 체내의 빠른 흡수에 의한 약리 작용 효과를 통하여 원기회복 및 건강을 증진시켜 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달성되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하, 후술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밤 약술의 제조방법은, 밤과 누룩을 주원료로 하여 밤 막걸리를 제조하는 밤 막걸리 제조 단계; 대추, 감태나무, 엄나무 및 뽕나무를 중탕하여 약재 추출액을 제조하는 약재 추출액 제조 단계; 및 상기 밤 막걸리와 상기 약재 추출액을 혼합하여 밤 약술을 제조하는 밤 약술 제조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재료로서 밤 및 약재는 다음과 같은 특성 및 효과를 갖는다.
밤{Chestnut}
밤은 위와 비장을 튼튼히 하고 신장을 보하며 양기를 북돋우고 피를 활성화 시키며 피를 멎게 하는 효능이 있어 위암, 위염, 기관지염, 혈액순환이 안 될 때 신장 기능이 약할 때 약으로 처방한다.
또한, 밤은 피부미용, 피로회복, 감기 예방 등에 유효한 비타민 C가 풍부하며, 5대 영양소가 비교적 고르게 함유되어 있을 뿐 아니라, 밤에 함유된 탄수화물은 소화성이 우수하고 위장기능을 강화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동의보감에 의하면 밤은 성질이 따스하고 맛이 짜며, 독이 없고, 기를 더해주고, 위를 보해주며, 신기(腎氣)를 도와주고 주림을 견디게 한다고 되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예로부터 밤은 민간요법으로는 피부미용, 강정제, 신장염, 설사, 무력증 등에 사용되어 왔다.
한편, 밤은 전분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며, 생밤 100g(156 Kcal)에는, 수분 59.8g, 단백질 3,5g, 지방 0.8g, 당질 33.6g, 섬유질 1.1g, 회분 1.2g, 칼슘 35mg,인 93mg, 철 2.1mg, 비타민A 74mg, 티아민 0.45mg, 리보플라빈 0.23mg, 라이신 0.7mg, 아스코르빈산 28mg 등이 함유되어 있다(식품화학, 영지출판사, 1990).
따라서, 밤을 건조하면 전분 함량이 높아 주류제조의 원료로서 우수한 기질을 지니고 있을 뿐 아니라 알콜발효 후에도 밤만이 지닐 수 있는 독특한 향과 맛을 제공하게 되는 밤 원료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밤 겉껍질과 속껍질에도 다양한 영양성분이 들어있으며, 2005년에 밤 겉껍질과 속껍질에 함유되어있는 폴리페놀에 혈당치억제효과가 있다는 사실이 입증되었다. 특히, 밤 속껍질에는 쿠마친, 카테킨 등 항산화물질이 많이 들어 있어서 지방질의 산화를 막고 혈관벽의 손상을 감소시켜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해주니까 피로회복에도 도움이 된다. 밥 속껍질을 삶은 물은 술을 마시고 난 뒤에 나타나는 갈증을 풀어주고, 위가 나빠지는 것을 막아주는 작용이 뛰어나며 약에 체했거나 인삼을 먹고 부작용에 시달릴 때 달여먹으면 해독작용을 한다.
대추{Jujube}
대추는 위장병, 빈혈 ,불면증, 전신쇠약 등에 좋으며 장복하면 체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데 특히 여성이 신경이 날카로와 불면증 증세가 있을 때 탁월한 효과가 있어 신경안정 및 불면증 치료 효과가 있다.
감태나무{Grayblue Spicebush}
감태나무는 독성이 없는 안전한 약나무로서 중풍과 대상포진을 낫게 하며 몸을 따뜻하게 하고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준다. 특히 뼈를 튼튼히 하며 관절염, 근육통, 타박상, 산후통, 골다공증을 낫게 한다. 민간에서는 항암작용이 있다하여 각종 암에 달여서 먹고, 감기나 여름철 더위 먹은데 잎을 달여 먹을 수 있으며, 산을 타다 상처가 났을 때 생잎을 찧어 환부에 붙이면 곪지 않고 상처가 낫는다 한다.
엄나무{Kalopanax}
엄나무는 풍을 없애고 피를 활성화시키며, 열을 내리고 벌레와 균을 죽이며 고름을 빼고 새살을 돋게 하는 효능이 있어 중풍과 관절염, 팔다리가 쑤시고 아플 때, 가레, 치질, 얼굴이 붉게 달아오를 때 염증이 생겼을 때 약으로 처방한다.
뽕나무{Mulberry}
뽕나무는 간과 신장에 이롭고 피를 멈추게 하며 정신을 안정시키고 풍을 없애며 열을 내리고 눈이 밝아지며 관절이 부드러워지고 소변이 잘나오며 새살을 돋게 하고 통증을 없애며 열을 내리는 효능이 있어 기침, 천식, 잦은 소변, 신경쇠약 신경통 팔다리가 뻣뻣하거나 마비가 올 때, 고열에 약으로 처방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밤 약술의 제조방법은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밤 막걸리 제조 단계는 밤, 누룩 및 배양효모를 이용하여 발효시켜 주모를 제조하는 1차 배양 단계; 및 밤, 누룩, 물엿, 배양효모 및 상기 주모를 이용하여 발효시켜 밤 막걸리를 제조하는 2차 배양 단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1차 배양 단계에서, 밤을 분쇄하여 찐 다음 식힌 후 누룩과 혼합하여 배양효모를 넣고 물을 상기 밤이 잠길 정도로 붓고 발효시켜 상기 주모를 제조하며, 상기 2차 배양 단계에서, 밤을 분쇄하여 찐 다음 식힌 후 누룩과 혼합하여 섞은 다음 물엿과 함께 물에 넣고 상기 주모 및 배양효모를 첨가하여 발효시켜 상기 밤 막걸리를 제조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밤은 외피를 제거하거나 외피 및 내피를 제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외피 및 내피를 제거하지 않은 껍질째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이에 의하면 외피 및 내피에 포함된 유효 성분에 의한 약리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피 또는 내피를 제거하기 위하여 기계를 사용하거나 일일이 수작업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추가 공정이 필요하지 않아 상기 밤 막걸리 제조 단계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약재 추출액 제조 단계에서 상기 약재 추출액은 대추, 감태나무, 엄나무 및 뽕나무를 중탕하여 제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약재 추출액은 본 발명에서 완성되는 밤 약술의 성질을 결정하는 것으로서 이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진액을 추출하는 일반적인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약재들을 물에 넣고 가열하는 공지의 열수 추출방법으로 그 유효성분을 추출할 수 있는 것이다. 그 외 공지의 추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주요 약재로서 건대추 5 ~ 10 중량부, 감태나무 잎 또는 줄기 또는 잎과 줄기 20 ~ 40 중량부, 엄나무 잎 또는 줄기 또는 잎과 줄기 20 ~ 40 중량부, 뽕나무 잎 또는 줄기 또는 잎과 줄기 20 ~ 40 중량부로 구성되는 약재 혼합물을 사용하여 공지의 열수 추출 방법으로 본 발명의 약재 추출액을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열수 추출방법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약재들로 이루어지는 약재 혼합물을 그 중량의 0.5 ~ 2.0배의 물이 들어있는 추출기에 넣고 30 ~ 50℃의 온도에서 72시간 이상 농축시킨 후 압착하여 상기 약재 추출액을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열수 추출에 사용하는 물의 비율이 약재 혼합물 중량의 0.5 미만인 경우에는 물의 양이 열수 추출에 필요한 최소한의 양에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열수 추출과정에서 약재 혼합물에 포함된 약재의 변형을 야기시킬 수 있으며, 추출되는 추출액의 양이 적어 비경제적일 수 있으며, 물의 비율이 양이 2.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열수 추출하여 충분히 농축시키는 데 걸리는 시간이 지나치게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상기 약재 혼합물을 추출하기 전에 30 ~ 50℃의 온도에서 72 시간 이상 숙성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여 상기 약재에 포함한 각종 독소를 제거할 수 있다.
열수 추출은 30 ~ 50℃ 온도에서 72 시간 이상 농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0℃ 미만의 온도에서 열수 추출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약재들에 함유된 유효성분이 충분히 추출되지 못하기 때문이며, 50℃를 초과하여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약재들에 함유된 유효성분의 변형을 야기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의 밤 약술 제조 단계에서 상기 밤 막걸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약재 추출액 5 ~ 10 중량부을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약재 추출액이 상기 밤 막걸리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 미만으로 함유되는 경우에는 약재의 효능을 충분히 발휘되지 못하며, 상기 약재 추출액이 상기 밤 막걸리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를 초과하여 함유되는 경우에는 초과되는 양 대비하여 약재의 효능이 현저히 감소하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밤 약술의 제조방법은, 계피를 넣고 끓인 물을 상기 밤 약술과 혼합하여 완제품을 제조하는 완제품 제조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계피를 넣고 끓인 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공지의 방법에 의하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물에 잠길 정도로 일정량의 계피를 잠기도록 넣고 소정의 시간 동안 끓여 우려내는 물을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밤 약술에 상기 계피를 넣고 끓인 물을 10 ~ 30 중량% 섞으면 완제품으로서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다. 계피는 다음과 같은 특성 및 효과를 갖는다.
계피{Cinnamon}
계피는 녹나무과의 계피 나무의 껍질로서 스리랑카 산의 트루 시나몬(True-cinnamon)과 중국, 일본 및 한국 등의 캐셔 시나몬(Cassia-cinnamon)으로 나눠진다. 계피의 외피를 제거하거나 혹은 그대로 건조한 것으로서 보통 계피 또는 육계라고 한다. 계피는 한약이나 의약품, 식품 등으로 사용되어왔다. 계피의 추출물을 계피유라고 하고 이에는 신나믹 알데하이드(cinnamic aldehyde), 캄펜(camphene), 치네올(cineol), 신나믹산(cinnamic acid), 리나룰(linalool), 유게놀(eugenol), 지방질, 인, 철분, 비타민A, 비타민B1 및 비타민B2 등의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계피는 전통 한방에서 뿐만 아니라 현대의 의약학에 의해서도 여러 효능이 입증되고 있다. 계피의 성분은 음식물의 부패를 억제시키는 항균활성 기능, 충치균 증식의 억제효과, 머리에 사용함으로써 두피에 대해 강한 소염 및 탈모 방지효능, 가려움증, 가벼운 상처치료, 국부 충혈 조절, 유해 대장균 억제 효과, 콜레스테롤 형성 억제 효과, 항균활성효과 등이 입증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밤 약술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밤 약술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밤 막걸리 제조 단계
(1) 1차 배양 - 주모(酒母) 제조
밤 약 0.8kg을 외피 및 내피를 제거하지 않은 껍질째 분쇄하여 그대로 찜통에서 찐 다음 식힌 후 누룩 약 500g과 혼합하여 배양효모 약 2g을 넣고 물을 밤이 잠길 정도로 붓고 약 25℃ 정도의 온도를 유지시켜 약 24시간 정도 발효시킨다.
2. 2차 배양
밤 약 8kg 정도를 외피 및 내피를 제거하지 않은 껍질째 분쇄하여 그대로 찜통에서 찐 다음 식힌 후 누룩 약 5kg 정도와 섞은 다음 물엿 약 20kg을 물 약 10ℓ에 희석시켜 약 20ℓ의 물에 함께 섞어 항아리에 담고 1차 배양에서 제조한 상기 주모를 섞은 다음 효모 약 6g을 물에 희석하여 넣고 약 25℃ 정도로 유지시켜 약 6일 정도 발효시켜 밤 막걸리를 만든다.
3.약재 추출액 제조
건대추 약 2되, 감태나무 잎과 줄기 약 3kg, 엄나무 잎과 줄기 약 3kg, 뽕나무 잎과 줄기 약 3kg을 넣고 물로 약 5시간 정도 중탕가공하여 120g 포장 190포를 만든다.
4. 약재와 막걸리 혼합
상기 밤 막걸리에 상기 약재 추출액 120g 1봉을 넣어 밤 약술 1되(1.8ℓ)를 만든다.
[ 비교예 ]
시중에서 판매되는 쌀 막걸리 및 인삼 막걸리를 각각 비교예 1 및 2로 하였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밤 약술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밤 약술의 효과를 시험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 시험예 ]
전술한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대한 관능 시험을 하였다. 관능 시험은 맛, 향, 기호도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기호도는 맛, 향 외에 각자의 주량을 다소 초과하도록 마시게 한 후 숙취로 인한 두통 및 속쓰림에 대한 만족도를 포함하여 설문에 답하도록 하였다.
연령과 성별을 고려하여 20대 ~ 50대 성인 남녀를 각각 연령대별로 10명씩 총 40명을 선발하여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을 시음하도록 하였으며, 그 만족도를 7점법에 따라 응답하도록 하였고, 『아주 크다 : 7점, 크다 : 6점, 약간 크다 : 5점, 보통 : 4점, 약간 낮다 : 3점, 낮다 : 2점, 아주 낮다 : 1점』를 의미하는 것으로 하였으며, 그 설문조사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항목



기호도

종합

실시예 1

6.7

6.8

6.9

6.80

비교예 1

5.7

5.9

4.9

5.50

비교예 2

5.3

5.4

5.4

5.37
상기 표 1의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밤 약술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밤 약술을 일반 쌀 막걸리보다 맛, 향에 있어서 더욱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기호도의 면에 있어서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비하여 맛, 향 외에 숙취로 인한 두통 및 속쓰림이 거의 없어 상대적으로 매우 만족하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밤 약술은 숙취로 인한 두통 및 속쓰림이 없으며, 밤와 대추, 감태나무, 엄나무 및 뽕나무 등 약재의 유효 성분에 의하여 원기회복 및 건강 증진에도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5)

  1. 밤과 누룩을 주원료로 하여 밤 막걸리를 제조하는 밤 막걸리 제조 단계; 대추, 감태나무, 엄나무 및 뽕나무를 중탕하여 약재 추출액을 제조하는 약재 추출액 제조 단계; 및 상기 밤 막걸리와 상기 약재 추출액을 혼합하여 밤 약술을 제조하는 밤 약술 제조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밤 막걸리 제조 단계는,
    밤, 누룩 및 배양효모를 이용하여 발효시켜 주모를 제조하는 1차 배양 단계; 및 밤, 누룩, 물엿, 배양효모 및 상기 주모를 이용하여 발효시켜 밤 막걸리를 제조하는 2차 배양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1차 배양 단계에서,
    밤을 분쇄하여 찐 다음 식힌 후 누룩과 혼합하여 배양효모를 넣고 물을 상기 밤이 잠길 정도로 붓고 발효시켜 상기 주모를 제조하며,
    상기 2차 배양 단계에서,
    밤을 분쇄하여 찐 다음 식힌 후 누룩과 혼합하여 섞은 다음 물엿과 함께 물에 넣고 상기 주모 및 배양효모를 첨가하여 발효시켜 상기 밤 막걸리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밤 약술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계피를 넣고 끓인 물을 상기 밤 약술과 혼합하여 완제품을 제조하는 완제품 제조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밤 약술의 제조방법.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의 밤 약술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밤 약술.
KR1020140142332A 2014-10-21 2014-10-21 밤 약술 및 그 제조방법 KR101630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2332A KR101630949B1 (ko) 2014-10-21 2014-10-21 밤 약술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2332A KR101630949B1 (ko) 2014-10-21 2014-10-21 밤 약술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6461A KR20160046461A (ko) 2016-04-29
KR101630949B1 true KR101630949B1 (ko) 2016-06-15

Family

ID=55915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2332A KR101630949B1 (ko) 2014-10-21 2014-10-21 밤 약술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09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41573A (zh) * 2016-07-20 2018-01-30 中国传统食品公司 一种板栗酒的酿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7371A (ko) * 1999-08-10 2001-03-05 김길용 포도 탁주 및 약주의 제조방법
KR100477959B1 (ko) 2002-07-05 2005-03-22 (주) 김형민한약연구소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및 그를이용한 한방 약술
KR100606639B1 (ko) 2006-04-26 2006-07-31 음장수 구증구포 천마를 이용한 약술의 제조방법
KR20120039431A (ko) 2010-10-16 2012-04-25 윤기훈 자색 마 막걸리 제조 방법
KR101357576B1 (ko) * 2012-03-06 2014-02-06 전주시 모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모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6461A (ko) 2016-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0284B1 (ko) 홍삼과 녹용 추출물을 포함하는 드링크제 및 그의 제조방법
CN102787062A (zh) 秋葵玛咖酒及其制备方法
KR101539864B1 (ko) 숙취해소 음료
KR20130000535A (ko) 황토지장수를 이용한 삼계탕용 육수 및 삼계탕의 제조방법
CN103416561B (zh) 一种苦菜茶及其发酵剂
CN108783157A (zh) 一种火龙果玫瑰花饮料及其制备方法
CN104560576A (zh) 玛卡养生酒及其制备方法
KR20090098024A (ko) 약주의 제조방법
KR101647917B1 (ko) 초석잠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재 추출액과 밤 약술 및 그 제조방법
CN105029553A (zh) 一种果汁蛋钙中药保健饮料及其制备方法
CN101869334B (zh) 一种佛手饮料及其制作方法
KR102452902B1 (ko) 한약재 토종 약술 및 그 제조방법
KR101630949B1 (ko) 밤 약술 및 그 제조방법
CN107384680B (zh) 一种百香果龙眼果酒及其酿造方法
KR20160014073A (ko) 쌍화커피 제조방법
KR101037572B1 (ko) 복분자를 이용한 발효분말 제조방법
CN108208508A (zh) 一种用于抗炎的组合物及其饮料和制备方法
KR102363848B1 (ko) 맛과 향이 우수한 증류주의 제조방법
KR20190006702A (ko) 모과, 박하, 산수유 함유 기능성음료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기능성음료
CN106900916A (zh) 一种当归茱萸明目茶饮料及其制备方法
CN102787048A (zh) 一种龙葵果保健型酒的酿制方法
KR20170002050A (ko) 머드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천연 양조식초 및 그 제조방법
CN105942115A (zh) 芦荟冬瓜发酵饮料及其制备方法
KR20160123552A (ko) 건강음료 및 그 제조방법
CN110655999A (zh) 一种改善酒口感的保鲜防腐剂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