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7541B1 - 용기에 담긴 호지차 음료 - Google Patents

용기에 담긴 호지차 음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7541B1
KR101627541B1 KR1020127019796A KR20127019796A KR101627541B1 KR 101627541 B1 KR101627541 B1 KR 101627541B1 KR 1020127019796 A KR1020127019796 A KR 1020127019796A KR 20127019796 A KR20127019796 A KR 20127019796A KR 101627541 B1 KR101627541 B1 KR 101627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entration
tea
reducing sugar
ppm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9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9683A (ko
Inventor
게이스케 누마타
가즈노부 츠루
후유키 후지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이토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이토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이토엔
Publication of KR20120139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9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7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75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30Further treatment of dried tea extract;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e.g. instant t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63Liquid or semi-liquid tea extract preparations, e.g. gels, liquid extracts in solid caps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36Reducing or removing alkaloid content;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Extracts or infusions thereof
    • A23F3/38Reducing or removing alkaloid content from tea ex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60Sweeten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Tea And Coffee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배전 향이 뛰어나고, 떫은 맛의 감칠맛이 있으면서도, 개운한 맛을 구비하고, 차가운 상태에서도 맛있게 음용할 수 있는 용기에 담긴 호지차 음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기에 담긴 호지차 음료는 카페인 농도가 90 ppm 미만이며, 환원당과 비환원당을 합한 당류의 농도가 60 ppm ∼ 220 ppm 이며, 환원당의 농도에 대한 비환원당의 농도의 비율 (비환원당/환원당) 이 5.0 ∼ 15.0 이며, 갈산의 농도가 20 ppm ∼ 80 ppm 이며, pH 가 5.5 ∼ 6.3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용기에 담긴 호지차 음료{ROASTED GREEN TEA DRINK PACKED IN CONTAINER}
본 발명은 볶은 찻잎에서 추출된 호지차 추출액을 주성분으로 하는 호지차 음료로서, 이것을 플라스틱 보틀이나 캔 등에 충전한 용기에 담긴 호지차 음료에 관한 것이다.
볶은 찻잎에서 추출하는 호지차 음료는 특유의 구수함이 있어, 최근에는 PET 병 등에 충전된 용기에 담긴 호지차 음료로서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호지차 음료는 카페인을 함유하는 것으로, 카페인에는 흥분 작용등이 있다고 일컬어지며, 두통이나 불면 등의 원인이 된다고도 일컬어지고 있다. 특히, 영유아, 고령자나 임산부 등이 호지차 음료를 섭취한 경우에는, 그 사람들에 대한 카페인의 영향이 우려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최근에는 카페인 함유량을 저감시킨 차 음료가 주목받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타닌 및 카페인을 함유하고, 타닌 함유량/카페인 함유량의 비가 3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 음료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 에는, (A) 에스테르형 카테킨, (B) 유리형 카테킨 및 (C) 카페인을 함유하는 음료로, 그들의 함유량이,
(가) (A) + (B) = 500 ∼ 6000 mg
(나) (A)/[(A)+(B)] = 0.7 ∼ 1.0
(다) (A)/(C) = 6 ∼ 27
인 음료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3 에는, 카테킨류 1 중량부에 대해, 카페인을 0.1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함유하고, 사이클로덱스트린을 0.1 ∼ 20.0 중량부의 양으로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11356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6782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4919호
본 발명자는 용기에 담긴 호지차 음료가 보급되어 온 상황 중에서, 특유의 맛과 향을 구비한 음료를 예의 검토한 결과, 단당과 이당을 합한 농도와, 단당 농도에 대한 이당의 농도의 비율, 갈산의 농도에 대한 당류 농도의 비율을 일정 조건으로 조정함으로써, 그 호지차 음료의 뒷맛을 개운하게 하면서도, 배전(焙煎) 향이 강하고, 깔끔한 뒷맛을 갖는 용기들이 음료를 제공하는 것을 알아냈다 (일본 특허출원 2009-47420). 한편, 최근 음용계의 다양화 등에 의해 저카페인의 차 음료가 요구되게 되었는데, 카페인 함유량을 저감시키면, 쓰고 떫은 맛에 관여하는 성분이 저감되어, 농도감을 느끼기 어려워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자는 더욱 예의 검토한 결과, 음료 중의 pH 와 갈산 농도를 주로 조정함으로써, 떫은 맛의 감칠맛과 배전 향을 뛰어나게 할 수 있어 카페인을 저감시킨 용기에 담긴 호지차 음료이어도, 배전 향과 적당한 떫은 맛에 의한 농도감이 있고, 개운한 맛의 음료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을 알아냈다.
그래서, 본 발명은 호지차 음료의 성분 밸런스를 조정하여, 배전 향이 뛰어나고, 떫은 맛의 감칠맛이 있으면서도 개운한 맛을 구비하고, 특히 차가운 상태에서도 맛있게 음용할 수 있는, 카페인량을 저감시킨 용기에 담긴 호지차 음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용기에 담긴 호지차 음료는 카페인 농도가 90 ppm 미만이며, 환원당과 비환원당을 합한 당류의 농도가 60 ppm ∼ 220 ppm 이며, 환원당의 농도에 대한 비환원당의 농도의 비율 (비환원당/환원당) 이 5.0 ∼ 15.0 이며, 갈산의 농도가 20 ppm ∼ 80 ppm 이며, pH 가 5.5 ∼ 6.3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환원당과 비환원당의 당류 농도, 환원당과 비환원당의 농도비, 갈산의 농도, 음료의 pH 를 조정함으로써, 배전 향이 뛰어나고, 떫은 맛이 있으면서도 개운한 맛을 구비하고, 특히 차가운 상태에서도 맛있게 음용할 수 있는, 새로운 용기에 담긴 호지차 음료가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용기에 담긴 호지차 음료의 하나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용기에 담긴 호지차 음료는, 배전한 녹차잎을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액 내지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액체를 용기에 충전하여 이루어지는 음료이며, 적갈색을 나타내고, 또한 특유의 구수한 향을 갖는 차 음료로, 예를 들어 배전한 녹차잎을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액만으로 이루어지는 액체, 혹은 당해 추출액을 희석한 액체, 혹은 추출액끼리를 혼합한 액체, 혹은 이들 상기 어느 액체에 첨가물을 첨가한 액체, 혹은 이들 상기 어느 액체를 건조시킨 것을 분산시켜 이루어지는 액체 등을 들 수 있다.
「주성분」 이란, 당해 주성분의 기능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허용하는 뜻을 포함한다. 이 때, 당해 주성분의 함유 비율을 특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녹차를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액 내지 추출물이, 고형분 농도로서 음료 중의 50 질량% 이상, 특히 70 질량% 이상, 그 중에서도 특히 80 질량% 이상 (100 % 포함한다) 을 차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녹차의 종류를 특별히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찐차, 전차(煎茶), 옥로(玉露), 말차(抹茶), 번차(番茶), 옥녹차(玉綠茶), 부초차(釜炒茶), 중국 녹차 등, 불발효차로 분류되는 차를 넓게 포함한다. 이들 2 종류 이상을 블렌드한 것도 포함한다. 또, 현미 등의 곡물, 쟈스민 등의 플레이버 등을 첨가해도 된다.
본 발명의 용기에 담긴 호지차 음료의 하나의 실시형태 (「본 용기에 담긴 호지차 음료」라고 한다) 는, 환원당과 비환원당을 합한 당류의 농도가 60 ppm ∼ 220 ppm 이며, 환원당의 농도에 대한 비환원당의 농도의 비율 (비환원당/환원당) 이 5.0 ∼ 15.0 이며, 갈산이 20 ppm ∼ 80 ppm 이며, pH 가 5.5 ∼ 6.3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환원당은 환원성을 나타내며, 염기성 용액 중에서 알데히드기와 케톤기를 형성하는 당으로, 본 발명에서 말하는 환원당은 글루코오스 (포도당), 프룩토오스 (과당), 셀로비오스, 말토오스 (맥아당) 를 나타내는 것이다.
비환원당은 환원성을 나타내지 않는 당으로, 본 발명에서 말하는 비환원당은 수크로오스 (자당), 스타키오스, 라피노오스를 나타내는 것이다.
환원당과 비환원당을 합한 당류의 농도 (이하, 당류 농도라고 한다) 가 60 ppm ∼ 220 ppm 인 것에 의해, 상온에서 장기간 보존한 상태나 차가운 상태로 음용해도, 맛과 향의 밸런스가 유지되고, 단맛이나 감칠맛을 가지며, 뒷맛에 쓰고 떫은 맛이나 잡맛 등이 적은 개운한 음료가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당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90 ppm ∼ 160 ppm, 특히 바람직하게는 120 ppm ∼ 160 ppm 이다.
당류 농도를 상기 범위로 조정하려면, 찻잎의 배전 가공이나 추출을 적절한 조건으로 하여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찻잎의 배전 가공을 강하게 하면 당류는 분해되어 감소되고, 또, 고온에서 장시간 추출하면 당류는 분해되어 감소된다. 그런데, 찻잎의 배전 조건과 추출 조건에 의해 당류 농도를 조정할 수 있다.
당류를 첨가하여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호지차 음료의 본래의 향미 밸런스가 무너질 우려가 있기 때문에, 당류를 첨가하지 않고, 차 추출액을 얻기 위한 조건을 조정하는 것 외에, 차 추출액끼리의 혼합, 혹은 차 추출물의 첨가 등에 의해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환원당의 농도에 대한 비환원당의 농도의 비율 (비환원당/환원당) 이 5.0 ∼ 15.0 이면, 호지차의 독특한 처음 풍기는 향을 강하게 가지고, 뒷맛에 느끼는 향을 만족할 수 있는 음료가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환원당의 농도에 대한 비환원당의 농도의 비율 (비환원당/환원당) 은 바람직하게는 6.0 ∼ 14.0, 특히 바람직하게는 8.0 ∼ 14.0 이다.
환원당의 농도에 대한 비환원당의 농도의 비율을 상기 범위로 조정하려면, 찻잎의 배전 가공이나 추출을 적절한 조건으로 하여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찻잎에 배전 가공을 실시하면, 먼저 환원당이 감소되고, 다음으로 비환원당이 감소되어 가기 때문에, 찻잎에 강하게 배전을 실시하여, 고온 단시간에 추출하거나 하여, 비환원당/환원당의 비율을 저감시킬 수 있다.
당류를 첨가하여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호지차 음료의 밸런스가 무너질 우려가 있기 때문에, 당류를 첨가하지 않고, 차 추출액을 얻기 위한 조건을 조정하는 것 외에, 차 추출액끼리의 혼합, 혹은 차 추출물의 첨가 등에 의해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용기에 담긴 호지차 음료에 있어서의 갈산 농도는 20 ppm ∼ 80 ppm 인 것에 의해, 향과 떫은 맛의 밸런스가 유지되고, 불쾌한 강한 떫은 맛도 없고 적당한 농도감이 있어, 뒷맛에 향이 남는 마시기에 족한 맛있는 음료가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갈산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30 ppm ∼ 70 ppm 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35 ppm ∼ 65 ppm 이다.
또한, 「갈산」이란, 3,4,5-트리하이드록시벤젠카르복실산의 관용명이다.
갈산 농도를 상기 범위로 조정하려면, 찻잎의 배전 가공이나 추출을 적절한 조건으로 하여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온에서 볶는 것이나 고온에서 알칼리 추출함으로써 갈산 농도를 높일 수 있다.
본 용기에 담긴 호지차 음료에 있어서, 갈산 농도에 대한 당류 농도의 비율 (당류/갈산) 은 0.75 ∼ 1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이면, 단맛과 떫은 맛의 밸런스가 유지되어 뒷맛이 우수한 음료가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갈산 농도에 대한 당류 농도의 비율 (당류/갈산) 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8.0 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 7.0 이다.
갈산 농도에 대한 당류 농도의 비율을 상기 범위로 조정하려면, 배전 조건을 강하게 함으로써, 당이 분해되어 갈산이 증가하는 것이나, 고온 추출을 함으로써 당이 분해되는 것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조건을 설정하도록 하면 된다.
본 용기에 담긴 호지차 음료에 있어서의 총 카테킨류 농도는 90 ppm ∼ 330 pp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총 카테킨류 농도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ppm ∼ 270 ppm 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20 ppm ∼ 240 ppm 이다.
이 때, 총 카테킨류란, 카테킨 (C), 갈로카테킨 (GC), 카테킨갈레이트 (Cg), 갈로카테킨갈레이트 (GCg), 에피카테킨 (EC), 에피갈로카테킨 (EGC), 에피카테킨갈레이트 (ECg) 및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 (EGCg) 의 합계 8 종의 의미이며, 총 카테킨류 농도란 8 종류의 카테킨 농도의 합계값의 의미이다.
총 카테킨류 농도를 상기 범위로 조정하려면, 원료 선정이나 추출 조건 등으로 조정할 수 있다. 카테킨류를 첨가하여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호지차 음료의 밸런스가 무너질 우려가 있기 때문에, 차 추출액을 얻기 위한 조건을 조정하는 것 외에, 차 추출액끼리의 혼합, 혹은 차 추출물의 첨가 등에 의해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용기에 담긴 호지차 음료에 있어서의 에스테르형 카테킨 농도는 75 ppm ∼ 200 pp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에스테르형 카테킨은, 주로 떫은 맛을 느끼게 하는 성분으로, 이러한 범위이면, 적당한 떫은 맛의 감칠맛을 갖는 음료가 된다.
에스테르형 카테킨 농도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ppm ∼ 180 ppm 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20 ppm ∼ 180 ppm 이다.
또한, 「에스테르형 카테킨」이란,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 (EGCg), 갈로카테킨갈레이트 (GCg), 에피카테킨갈레이트 (ECg), 카테킨갈레이트 (Cg) 의 합계 4 종의 의미이다.
에스테르형 카테킨 농도를 상기 범위로 조정하려면, 원료 선정이나 추출 조건 등으로 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음료의 향기 밸런스 유지면에서, 온도가 너무 높거나 추출 시간이 너무 길거나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에스테르형 카테킨을 첨가하여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호지차 음료의 밸런스가 무너질 우려가 있기 때문에, 차 추출액을 얻기 위한 조건을 조정하는 것 외에, 차 추출액끼리의 혼합, 혹은 차 추출물의 첨가 등에 의해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용기에 담긴 호지차 음료에 있어서, 당류 농도에 대한 에스테르형 카테킨 농도의 비율 (에스테르형 카테킨/당류) 은 0.3 ∼ 3.3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이면, 차갑게 하여 음용했을 때에, 떫은 맛과 단맛의 밸런스가 잡히고, 입에 퍼지는 배전 향과도 밸런스가 잡혀 맛있는 음료가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당류 농도에 대한 에스테르형 카테킨 농도의 비율 (에스테르형 카테킨/당류) 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0.7 ∼ 2.8 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0.8 ∼ 2.4 이다.
당류 농도에 대한 에스테르형 카테킨 농도의 비율을 상기 범위로 조정하려면, 추출 조건 등으로 조정 가능하다. 그러나, 카테킨은 고온에서의 추출률이 높아지지만, 당류는 분해되기 쉽기 때문에, 추출 시간은 짧은 편이 바람직하다. 에스테르형 카테킨 및 당류를 첨가하여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호지차 음료의 밸런스가 무너질 우려가 있기 때문에, 차 추출액을 얻기 위한 조건을 조정하는 것 외에, 차 추출액끼리의 혼합, 혹은 차 추출물의 첨가 등에 의해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용기에 담긴 호지차 음료에 있어서, 카페인 농도는 90 ppm 미만이며, 종래의 용기들이 녹차 음료는 대체로 110 ppm ∼ 250 ppm 의 카페인을 함유하는 것인데, 90 ppm 미만으로 함으로써 인간에 대한 생리적 영향이 경감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카페인 농도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5 ppm ∼ 85 ppm 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ppm ∼ 70 ppm 이다.
카페인 농도를 상기 범위로 조정하려면, 찻잎에 열탕을 내뿜거나, 찻잎을 열탕에 침지시키거나 하여 찻잎 중의 카페인을 용출시키고, 그 찻잎을 이용하여 차 추출액을 제조하고, 이들 차 추출액끼리를 혼합하여 조정하면 된다. 또, 추출액에 활성탄이나 백토 등의 흡착제를 작용시켜 카페인을 흡착 제거해도 된다.
본 용기에 담긴 호지차 음료에 있어서, 카페인 농도에 대한 총 카테킨류 농도의 비율 (총 카테킨/카페인) 은 1.0 ∼ 3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카페인 농도에 대한 총 카테킨류 농도의 비율 (총 카테킨/카페인) 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200 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 180 이다.
카페인 농도에 대한 총 카테킨류 농도의 비율을 상기 범위로 조정하려면, 상기한 카페인 저감 처리, 찻잎량, 추출 온도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총 카테킨류를 첨가하여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호지차 음료의 밸런스가 무너질 우려가 있기 때문에, 차 추출액을 얻기 위한 조건을 조정하는 것 외에, 차 추출액끼리의 혼합, 혹은 차 추출물의 첨가 등에 의해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용기에 담긴 호지차 음료에 있어서, 찻잎 유래의 가용성 고형분의 농도는 0.15 ∼ 0.4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찻잎 유래의 가용성 고형분이란, 호지차로부터 추출하여 얻어진 가용성 고형분을 자당 환산했을 때의 값을 말한다.
본 용기에 담긴 호지차 음료의 찻잎 유래의 가용성 고형분의 농도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0.16 ∼ 0.38 % 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0.17 ∼ 0.35 % 이다.
찻잎 유래의 가용성 고형분의 농도를 상기 범위로 조정하려면, 찻잎량과 추출 조건으로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본 용기에 담긴 호지차 음료에 있어서, 찻잎 유래의 가용성 고형분 농도에 대한 당류 농도의 비율 (당류/(찻잎 유래 가용성 고형분 × 100)) 은, 1.5 ∼ 15.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찻잎 유래의 가용성 고형분 농도에 대한 당류 농도의 비율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12.0 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2.5 ∼ 10.0 이다.
찻잎 유래의 가용성 고형분 농도에 대한 당류 농도의 비율을 상기 범위로 조정하려면, 찻잎량을 늘림으로써 고형분 농도를 높일 수 있고, 찻잎량과 원료차의 배전 조건의 조합에 의해 비율을 조정할 수 있다. 이 때, 당류를 첨가하여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호지차 음료의 밸런스가 무너질 우려가 있기 때문에, 차 추출액을 얻기 위한 조건을 조정하는 것 외에, 차 추출액끼리의 혼합, 혹은 차 추출물의 첨가 등에 의해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용기에 담긴 호지차 음료에 있어서, 찻잎 유래의 가용성 고형분 농도에 대한 총 카테킨류 농도의 비율 (총 카테킨/(찻잎 유래 가용성 고형분 × 100)) 은, 2.5 ∼ 2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찻잎 유래의 가용성 고형분 농도에 대한 총 카테킨류 농도의 비율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 18.0 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3.5 ∼ 16.0 이다.
찻잎 유래의 가용성 고형분 농도에 대한 총 카테킨류 농도의 비율을 상기 범위로 조정하려면, 배전 조건이나 추출 조건으로 조정하면 된다. 카테킨류를 첨가하여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호지차 음료의 밸런스가 무너질 우려가 있기 때문에, 차 추출액을 얻기 위한 조건을 조정하는 것 외에, 차 추출액끼리의 혼합, 혹은 차 추출물의 첨가 등에 의해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용기에 담긴 호지차 음료에 있어서, 찻잎 유래의 가용성 고형분 농도에 대한 에스테르형 카테킨의 비율 (에스테르형 카테킨/(찻잎 유래 가용성 고형분 × 100)) 은 2.0 ∼ 16.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비율이 이 범위이면, 차갑게 하여 음용했을 때, 배전 향과 떫은 맛의 밸런스가 잡혀, 향의 여운도 맛볼 수 있는 맛있는 음료가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찻잎 유래의 가용성 고형분 농도에 대한 에스테르형 카테킨 농도의 비율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2.8 ∼ 14.0 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 12.0 이다.
찻잎 유래의 가용성 고형분 농도에 대한 에스테르형 카테킨 농도의 비율을 상기 범위로 조정하려면, 배전 조건이나 추출 온도 등의 추출 조건 등으로 조정하도록 하면 된다. 에스테르형 카테킨을 첨가하여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호지차 음료의 밸런스가 무너질 우려가 있기 때문에, 차 추출액을 얻기 위한 조건을 조정하는 것 외에, 차 추출액끼리의 혼합, 혹은 차 추출물의 첨가 등에 의해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용기에 담긴 호지차 음료의 pH 는, 20 ℃ 에서 5.5 ∼ 6.3 이며, 이와 같이 약간 약산성으로 조정함으로써, 향과 떫은 맛의 밸런스가 잡히고, 산미도 강하게 느끼지 않고, 불쾌한 뒷맛이 되는 떫은 맛이 없고, 처음 풍기는 향과 뒷맛에 남는 향과 농도감의 밸런스가 잡힌, 뒷맛이 좋은 마시기에 족한 맛있고 개운한 음료가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용기에 담긴 호지차 음료의 pH 는, 바람직하게는 5.7 ∼ 6.2 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5.8 ∼ 6.1 이다.
pH 를 상기 범위로 조정하려면, 예를 들어 아스코르브산이나 중조 등의 pH 조정제의 양을 조정하면 된다.
상기한 환원당, 비환원당, 갈산, 에스테르형 카테킨, 총 카테킨, 카페인의 농도는,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램 (HPLC) 등을 이용하여 검량선법 등에 의해 측정할 수 있고, 상기한 찻잎 유래의 가용성 고형분 농도는 시차 농도계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또, pH 는 pH 미터로 측정할 수 있다.
(용기)
본 용기에 담긴 호지차 음료를 충전하는 용기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플라스틱제 보틀 (소위 페트병), 스틸, 알루미늄 등의 금속 캔, 병, 종이 용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특히, 페트병 등의 투명 용기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제조 방법)
상기 용기에 담긴 호지차 음료는, 예를 들어, 찻잎 원료의 선정과 함께, 찻잎의 건조 (화입) 가공이나 추출 조건을 적절히 조정하여, 음료 중의 환원당과 비환원당을 합한 당류의 농도를 60 ppm ∼ 220 ppm 으로 조정하고, 환원당의 농도에 대한 비환원당의 농도의 비율 (비환원당/환원당) 을 5.0 ∼ 15.0 으로 조정하고, 갈산의 농도를 20 ppm ∼ 80 ppm 으로 조정하고, pH 를 5.5 ∼ 6.3 으로 조정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찻잎에 70 ℃ ∼ 100 ℃ 의 열수 샤워를 60 ∼ 180 초 내뿜어 카페인을 용출시키고, 그 찻잎을 200 ℃ ∼ 380 ℃ 에서 볶아, 그 찻잎을 고온 단시간에 추출한 추출액과, 종래 일반적인 호지차 추출액, 즉 찻잎을 180 ℃ ∼ 360 ℃ 에서 배전 가공하여, 그 찻잎을 고온 단시간에 추출한 추출액을 준비하고, 이들을 적절한 비율로 배합함으로써, 본 용기에 담긴 호지차 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단, 이와 같은 제조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찻잎에 배전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먼저 환원당이 감소되고, 다음으로 비환원당이 감소되어 간다. 따라서, 배전 가공의 조건을 조정함으로써, 당류 농도나 비환원당/환원당의 값을 조정할 수도 있다.
(용어의 설명)
본 발명에 있어서 「호지차 음료」란, 차를 추출하여 얻어진 차 추출액 내지 차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음료의 뜻이다.
또, 「용기에 담긴 호지차 음료」란, 용기에 채운 호지차 음료의 뜻이지만, 동시에 희석시키지 않고 음용할 수 있는 호지차 음료의 의미이기도 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X ∼ Y」(X, Y 는 임의의 숫자) 로 표현한 경우,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X 이상 Y 이하」의 뜻과 함께, 「바람직하게는 X 보다 크다」및 「바람직하게는 Y 보다 작다」의 뜻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에 있어서 「환원당의 농도」란, 글루코오스 (포도당), 프룩토오스 (과당), 셀로비오스, 말토오스 (맥아당) 의 농도 합계의 의미이며, 「비환원당의 농도」란, 수크로오스 (자당), 스타키오스, 라피노오스의 농도 합계의 의미이다.
《평가 시험》
이하의 추출액 A ∼ F 를 제조하고, 이들을 이용하여 실시예 1 ∼ 7 및 비교예 1 ∼ 5 의 호지차 음료를 제조하고, 관능 평가를 했다.
(추출액 A)
적채 (摘採) 후의 찻잎 (야부키타종, 시즈오카껭산 1 번차) 을 황차(荒茶)로 가공하여, 회전 드럼형 배전기로 설정 온도 350 ℃, 배전 시간 5 분의 조건으로 배전 가공을 실시하고, 그 찻잎을 찻잎 12 g, 90 ℃ 의 열수 1 ℓ, 추출 시간 3.5 분의 조건으로 추출했다. 이 추출액을 스테인리스 메시 (20 메시) 로 여과하여 차 찌꺼기를 제거한 후, 다시 스테인리스 메시 (80 메시) 로 여과하고, 그 여과액을 SA1 연속 원심 분리기 (웨스트팔리아사 제조) 를 이용하여 유속 300 ℓ/h, 회전수 10000 rpm, 원심 침강액 면적 (Σ) 1000 ㎡ 의 조건으로 원심 분리하여, 하기 표 1 에 나타낸 추출액 A 를 얻었다.
(추출액 B)
테라다 제작소 제조 열수 샤워 카페인 저감 장치를 이용하여, 적채 후의 찻잎 (야부키타종, 시즈오카껭산 1 번차) 에, 약 95 ℃ 의 열수 샤워를 약 2 분간 하여 저카페인 처리를 실시했다. 그 찻잎을 황차로 가공하여, 회전 드럼형 화입기로 설정 온도 200 ℃, 건조 시간 30 분의 조건으로 건조 가공 (화입 가공) 을 실시하고, 그 찻잎을 찻잎 8 g, 50 ℃ 의 온수 1 ℓ, 추출 시간 5.5 분의 조건으로 추출했다. 이 추출액을 스테인리스 메시 (20 메시) 로 여과하여 차 찌꺼기를 제거한 후, 다시 스테인리스 메시 (80 메시) 로 여과하고, 그 여과액을 SA1 연속 원심 분리기 (웨스트팔리아사 제조) 를 이용하여 유속 300 ℓ/h, 회전수 10000 rpm, 원심 침강액 면적 (Σ) 1000 ㎡ 의 조건으로 원심 분리하여, 하기 표 1 에 나타낸 추출액 B 를 얻었다.
(추출액 C)
테라다 제작소 제조 열수 샤워 카페인 저감 장치를 이용하여 적채 후의 찻잎 (야부키타종, 시즈오카껭산 1 번차) 에, 약 95 ℃ 의 열수 샤워를 약 2 분간 하여 저카페인 처리를 실시했다. 그 찻잎을 황차로 가공하여, 회전 드럼형 화입기로 설정 온도 300 ℃, 건조 시간 10 분의 조건으로 건조 가공 (화입 가공) 을 실시하고, 그 찻잎을 찻잎 7 g, 65 ℃ 의 온수 1 ℓ, 추출 시간 7 분의 조건으로 추출했다. 이 추출액을 스테인리스 메시 (20 메시) 로 여과하여 차 찌꺼기를 제거한 후, 다시 스테인리스 메시 (80 메시) 로 여과하고, 그 여과액을 SA1 연속 원심 분리기 (웨스트팔리아사 제조) 를 이용하여 유속 300 ℓ/h, 회전수 10000 rpm, 원심 침강액 면적 (Σ) 1000 ㎡ 의 조건으로 원심 분리하여, 하기 표 1 에 나타낸 추출액 C 를 얻었다.
(추출액 D)
테라다 제작소 제조 열수 샤워 카페인 저감 장치를 이용하여 적채 후의 찻잎 (야부키타종, 시즈오카껭산 1 번차) 에, 약 95 ℃ 의 열수 샤워를 약 2 분간 하여 저카페인 처리를 실시했다. 그 찻잎을 황차로 가공하여, 회전 드럼형 화입기로 설정 온도 350 ℃, 건조 시간 5 분의 조건으로 건조 가공 (화입 가공) 을 실시하고, 그 찻잎을 찻잎 12 g, 90 ℃ 의 열수 1 ℓ, 추출 시간 3.5 분의 조건으로 추출했다. 이 추출액을 스테인리스 메시 (20 메시) 로 여과하여 차 찌꺼기를 제거한 후, 다시 스테인리스 메시 (80 메시) 로 여과하고, 그 여과액을 SA1 연속 원심 분리기 (웨스트팔리아사 제조) 를 이용하여 유속 300 ℓ/h, 회전수 10000 rpm, 원심 침강액 면적 (Σ) 1000 ㎡ 의 조건으로 원심 분리하여, 하기 표 1 에 나타낸 추출액 D 를 얻었다.
(추출액 E)
테라다 제작소 제조 열수 샤워 카페인 저감 장치를 이용하여 적채 후의 찻잎 (야부키타종, 시즈오카껭산 1 번차) 에, 약 95 ℃ 의 열수 샤워를 약 2 분간 하여 저카페인 처리를 실시했다. 그 찻잎을 황차로 가공하여, 회전 드럼형 화입기로 설정 온도 370 ℃, 건조 시간 3 분의 조건으로 건조 가공 (화입 가공) 을 실시하고, 그 찻잎을 찻잎 13 g, 90 ℃ 의 열수 1 ℓ, 추출 시간 3.5 분의 조건으로 추출했다. 이 추출액을 스테인리스 메시 (20 메시) 로 여과하여 차 찌꺼기를 제거한 후, 다시 스테인리스 메시 (80 메시) 로 여과하고, 그 여과액을 SA1 연속 원심 분리기 (웨스트팔리아사 제조) 를 이용하여 유속 300 ℓ/h, 회전수 10000 rpm, 원심 침강액 면적 (Σ) 1000 ㎡ 의 조건으로 원심 분리하여, 하기 표 1 에 나타낸 추출액 E 를 얻었다.
(추출액 F)
테라다 제작소 제조 열수 샤워 카페인 저감 장치를 이용하여 적채 후의 찻잎 (야부키타종, 시즈오카껭산 1 번차) 에, 약 95 ℃ 의 열수 샤워를 약 2 분간 하여 저카페인 처리를 실시했다. 그 찻잎을 황차로 가공하여, 회전 드럼형 화입기로 설정 온도 310 ℃, 건조 시간 10 분의 조건으로 건조 가공 (화입 가공) 을 실시하고, 그 찻잎을 찻잎 8 g, 90 ℃ 의 열수 1 ℓ, 추출 시간 10 분의 조건으로 추출했다. 이 추출액을 스테인리스 메시 (20 메시) 로 여과하여 차 찌꺼기를 제거한 후, 다시 스테인리스 메시 (80 메시) 로 여과하고, 그 여과액을 SA1 연속 원심 분리기 (웨스트팔리아사 제조) 를 이용하여 유속 300 ℓ/h, 회전수 10000 rpm, 원심 침강액 면적 (Σ) 1000 ㎡ 의 조건으로 원심 분리하여, 하기 표 1 에 나타낸 추출액 F 를 얻었다.
(추출액의 분석)
상기 각 추출액의 1/10 량을 재어 취하고, 아스코르브산을 400 ppm 첨가한 후, 중조를 첨가하여 pH 6.2 로 조정하고, 이온 교환수를 첨가하여 전체량을 100 ㎖ 로 조정하고, 이 액을 내열성의 투명 용기 (병) 에 충전하여 뚜껑을 덮고, 30 초간 전도 살균하여, 레토르트 살균 F0 값 9 이상 (121 ℃, 9 분) 을 실시하고, 즉시 20 ℃ 까지 냉각시킨 용액을 측정하여, 각 추출액의 성분을 분석했다.
그 분석 결과를 하기 표 1 에 나타낸다. 또한 측정 방법은 하기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다.
Figure 112012059953648-pct00001
(배합)
추출액 A ∼ F 를 이하의 표 2 에 나타낸 비율로 배합하고, 아스코르브산을 400 ppm 첨가한 후, 중조를 첨가하여 pH 를 적절히 조정하고, 이온 교환수를 첨가하여 전체량을 1000 ㎖ 로 조정하고, 이 액을 내열성의 투명 용기 (병) 에 충전하여 뚜껑을 덮고, 30 초간 전도 살균하여, 레토르트 살균 F0 값 9 이상 (121 ℃, 9 분) 을 실시하고, 즉시 20 ℃ 까지 냉각시켜, 실시예 1 ∼ 7 및 비교예 1 ∼ 5 의 호지차 음료를 제조했다.
Figure 112012059953648-pct00002
(실시예 및 비교예의 분석)
실시예 1 ∼ 7 및 비교예 1 ∼ 5 의 호지차 음료의 성분 및 pH 를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정했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 에 나타낸다.
Figure 112012059953648-pct00003
환원당 농도 및 비환원당 농도는 HPLC 당분석 장치 (Dionex 사 제조) 를 이하의 조건으로 조작하고, 검량선법에 의해 정량하여 측정했다.
칼럼 : Dionex 사 제조 Carbopack PA1 φ4.6 × 250 ㎜
칼럼 온도 : 30 ℃
이동상 : A 상 200 mM NaOH
: B 상 1000 mM 나트륨 아세테이트
: C 상 초순수
유속 : 1.0 ㎖/min
주입량 : 25 ㎕
검출 : Dionex 사 제조 ED50 금전극
갈산 농도, 에스테르형 카테킨 농도, 총 카테킨 농도, 카페인 농도는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램 (HPLC) 을 이하의 조건으로 조작하고, 검량선법에 의해 정량하여 측정했다.
칼럼 : waters 사 제조 Xbridge shield RP18 φ3.5 × 150 ㎜
칼럼 온도 : 40 ℃
이동상 : A 상 물
: B 상 아세토니트릴
: C 상 1 % 인산
유속 : 0.5 ㎖/min
주입량 : 5㎕
검출 : waters 사 제조 UV 검출기 UV 230 ㎚
pH 는 호리바사 제조 pH 미터 F-24 로 측정했다.
찻잎 유래 가용성 고형분 농도는, 찻잎만 추출한 추출액을 액량이 1 ℓ 가 되는 비율로 희석하여, 아타고사 제조 시차 농도계 DD-7 로 측정했다.
(평가 항목)
실시예 1 ∼ 7 및 비교예 1 ∼ 5 의 호지차 음료를 이용하여, 처음 풍기는 향, 뒷맛에 느끼는 향, 뒷맛, 산미, 농도감, 기호성 (향과 맛의 밸런스) 에 대해 평가했다.
(평가 시험)
실시예 1 ∼ 7 및 비교예 1 ∼ 5 의 호지차 음료를 냉장고에서 5 ℃ 로 차게 했다. 이 호지차 음료를, 5 명의 숙련된 심사관에게 시음하게 하고, 이하의 평가에서 점수를 매겨, 5 명의 평균점이 3.5 이상을 「◎」, 3 이상 3.5 미만을 「○」, 2 이상 3 미만을 「△」, 1 이상 2 미만을 「×」로 하여 평가했다. 이들 결과를, 상기 표 3 에 나타낸다.
<처음 풍기는 향>
특히 강하다 = 4
강하다 = 3
있다 = 2
약하다 = 1
<뒷맛에 느끼는 향>
특히 강하다 = 4
강하다 = 3
있다 = 2
약하다 = 1
<뒷맛>
매우 좋다 = 4
좋다 = 3
보통 = 2
나쁘다 = 1
<산미>
전혀 없다 = 4
조금 느낀다 = 3
느낀다 = 2
강하게 느낀다 = 1
<농도감>
특히 강하다 = 4
강하다 = 3
있다 = 2
약하다 = 1
<기호성 (향과 맛의 밸런스)>
매우 좋아함 = 4
좋아함 = 3
보통 = 2
싫음 = 1
(종합 평가)
상기 6 개의 평가 시험의 평균점을 산출하여, 평균점이 3.5 이상을 「◎」, 3 이상 3.5 미만을 「○」, 2 이상 3 미만을 「△」, 1 이상 2 미만을 「×」로 하여 종합 평가했다.
실시예 1 ∼ 7 은 모두 종합 평가 「○」이상의 평가로 바람직한 결과가 얻어졌다.
한편, 비교예 1 ∼ 3 은 「△」, 비교예 4, 5 는 「×」의 평가로,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였다.
(고찰)
비교예 1, 2 의 결과로부터, pH 가 높아지면 기호성이 나빠지고, pH 가 낮아지면, 기호성뿐만 아니라 뒷맛이 나쁘고, 산미가 강해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 비교예 3, 4 의 결과로부터, 갈산의 농도가 높아지면, 불쾌한 떫은 맛이 있어 관능 평가 전체가 나빠지고, 갈산의 농도가 낮아지면, 처음 풍기는 향, 뒷맛, 기호성이 나빠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비교예 4, 5 의 결과로부터, 비환원당/환원당의 값이 높거나 또는 낮아지면, 뒷맛에 느끼는 향이 부족하고, 관능 평가 전체가 나빠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들 결과로부터, 카페인 농도가 90 ppm 미만이며, 환원당과 비환원당을 합한 당류의 농도가 60 ppm ∼ 220 ppm 이며, 환원당의 농도에 대한 비환원당의 농도의 비율 (비환원당/환원당) 이 5.0 ∼ 15.0 이며, 갈산의 농도가 20 ppm ∼ 80 ppm 이며, pH 가 5.5 ∼ 6.3 이면, 처음 풍기는 향, 뒷맛에 느끼는 향, 뒷맛, 산미, 농도감, 기호성 (향과 맛의 밸런스) 의 평가가 양호해지는 범위라고 상정되고, 이들이 이 범위에 있는 호지차 음료는, 배전 향이 뛰어나고, 떫은 맛의 감칠맛이 있으면서도, 개운한 맛을 구비하고, 차가운 상태에서도 맛있게 음용할 수 있는 것이 되는 것을 알아낼 수 있었다.

Claims (3)

  1. 카페인 농도가 90 ppm 미만이며, 환원당과 비환원당을 합한 당류의 농도가 60 ppm ∼ 220 ppm 이며, 환원당의 농도에 대한 비환원당의 농도의 비율 (비환원당/환원당) 이 5.0 ∼ 15.0 이며, 갈산의 농도가 20 ppm ∼ 80 ppm 이며, pH 가 5.5 ∼ 6.3 인 용기에 담긴 호지차 음료.
  2. 호지차 음료 중의 카페인 농도를 90 ppm 미만으로 조정하고, 환원당과 비환원당을 합한 당류의 농도를 60 ppm ∼ 220 ppm 으로 조정하고, 환원당의 농도에 대한 비환원당의 농도의 비율 (비환원당/환원당) 을 5.0 ∼ 15.0 으로 조정하고, 갈산의 농도를 20 ppm ∼ 80 ppm 으로 조정하고, 또한, pH 를 5.5 ∼ 6.3 으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에 담긴 호지차 음료의 제조 방법.
  3. 호지차 음료 중의 카페인 농도를 90 ppm 미만으로 조정하고, 환원당과 비환원당을 합한 당류의 농도를 60 ppm ∼ 220 ppm 으로 조정하고, 환원당의 농도에 대한 비환원당의 농도의 비율 (비환원당/환원당) 을 5.0 ∼ 15.0 으로 조정하고, 갈산의 농도를 20 ppm ∼ 80 ppm 으로 조정하고, 또한, pH 를 5.5 ∼ 6.3 으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에 담긴 호지차 음료의 향미 개선 방법.
KR1020127019796A 2010-01-29 2010-12-22 용기에 담긴 호지차 음료 KR1016275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19138 2010-01-29
JP2010019138A JP5086380B2 (ja) 2010-01-29 2010-01-29 容器詰ほうじ茶飲料
PCT/JP2010/073107 WO2011092978A1 (ja) 2010-01-29 2010-12-22 容器詰ほうじ茶飲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9683A KR20120139683A (ko) 2012-12-27
KR101627541B1 true KR101627541B1 (ko) 2016-06-07

Family

ID=44318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9796A KR101627541B1 (ko) 2010-01-29 2010-12-22 용기에 담긴 호지차 음료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20301594A1 (ko)
JP (1) JP5086380B2 (ko)
KR (1) KR101627541B1 (ko)
CN (1) CN102711501B (ko)
AU (1) AU2010344585B2 (ko)
CA (1) CA2786687A1 (ko)
SG (1) SG182690A1 (ko)
TW (1) TWI407914B (ko)
WO (1) WO20110929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29132A1 (ja) * 2010-08-31 2012-03-08 株式会社伊藤園 容器詰緑茶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5898516B2 (ja) * 2012-02-16 2016-04-06 キリ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高香味脱カフェイン茶飲料
EP3364775B1 (en) * 2015-10-22 2021-05-26 Givaudan SA Method of masking off-tastes with cellobiose and/or psicose
JP6607538B2 (ja) * 2016-12-28 2019-11-20 株式会社 伊藤園 容器詰乳含有焙じ茶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6426312B1 (ja) * 2018-01-31 2018-11-21 茶研究・原事務所株式会社 カフェインレス紅茶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JP7260338B2 (ja) * 2019-03-01 2023-04-18 ポッカサッポロフード&ビバレッジ株式会社 ほうじ茶飲料、ほうじ茶飲料の製造方法、及び、ほうじ茶飲料の苦味を抑え、かつ後切れを向上させる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72923A (ja) * 2006-09-20 2008-04-03 Ide Hiroyuki 高品位の緑茶を製造する方法
JP2008113569A (ja) 2006-11-01 2008-05-22 Dydo Drinco Inc 茶飲料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1265A (en) * 1975-06-18 1977-06-2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Agriculture Method of reducing bitterness in citrus juices
JP3259758B2 (ja) 1996-06-21 2002-02-25 東洋精糖株式会社 飲食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1557097B1 (en) * 2002-10-28 2013-10-23 Kao Corporation Method of removing caffeine from caffeine-containing catechin compound composition
JP3981108B2 (ja) 2004-08-31 2007-09-26 株式会社 伊藤園 茶系飲料
JP4536581B2 (ja) * 2005-04-25 2010-09-01 株式会社寺田製作所 茶生葉低カフェイン処理装置
JP4742752B2 (ja) * 2005-08-30 2011-08-10 独立行政法人農業・食品産業技術総合研究機構 飲料の製造方法
KR20070026005A (ko) * 2005-09-01 2007-03-08 카오카부시키가이샤 정제 녹차 추출물의 제조 방법
JP4977523B2 (ja) * 2006-05-09 2012-07-18 花王株式会社 容器詰茶飲料
TWI411399B (zh) * 2006-05-09 2013-10-11 Kao Corp Containers of tea drinks
JP5140284B2 (ja) * 2006-05-16 2013-02-06 花王株式会社 容器詰飲料
US8455034B2 (en) * 2006-12-22 2013-06-04 Kao Corporation Green tea drink packed in container
JP5297649B2 (ja) * 2006-12-27 2013-09-25 花王株式会社 容器詰飲料
JP5101913B2 (ja) * 2007-03-26 2012-12-19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容器詰混合茶飲料
JP4819005B2 (ja) * 2007-08-10 2011-11-16 花王株式会社 容器詰茶飲料の製造法
JP4843119B2 (ja) * 2009-02-27 2011-12-21 株式会社 伊藤園 容器詰緑茶飲料
JP4880798B2 (ja) * 2009-02-27 2012-02-22 株式会社 伊藤園 容器詰ほうじ茶飲料
JP2010246484A (ja) * 2009-04-17 2010-11-04 Ito En Ltd 容器詰焙じ茶飲料及びその製法、並びに高カテキン焙じ茶飲料の苦・渋み改善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72923A (ja) * 2006-09-20 2008-04-03 Ide Hiroyuki 高品位の緑茶を製造する方法
JP2008113569A (ja) 2006-11-01 2008-05-22 Dydo Drinco Inc 茶飲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0344585B2 (en) 2015-01-15
US20120301594A1 (en) 2012-11-29
CN102711501A (zh) 2012-10-03
JP5086380B2 (ja) 2012-11-28
TW201136526A (en) 2011-11-01
AU2010344585A1 (en) 2012-08-09
KR20120139683A (ko) 2012-12-27
CN102711501B (zh) 2017-03-29
JP2011155878A (ja) 2011-08-18
WO2011092978A1 (ja) 2011-08-04
CA2786687A1 (en) 2011-08-04
TWI407914B (zh) 2013-09-11
SG182690A1 (en) 201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6566B1 (ko) 용기에 담긴 녹차 음료
TWI394535B (zh) Container packaging of green tea drinks
KR101627539B1 (ko) 용기에 담은 호지차 음료
KR101546565B1 (ko) 용기에 담긴 녹차 음료
KR101627536B1 (ko) 용기에 담긴 녹차 음료
KR101627541B1 (ko) 용기에 담긴 호지차 음료
JP5439566B1 (ja) 容器詰緑茶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6777572B2 (ja) 茶飲料
JP2019041738A (ja) 飲料組成物
WO2018150571A1 (ja) 茶飲料
JP7186087B2 (ja) 容器詰乳含有緑茶飲料の製造方法
JP6544850B2 (ja) 苦渋味の低減と発生が抑制された容器詰紅茶飲料
KR102400684B1 (ko) 용기에 담긴 차 음료
WO2014054603A1 (ja) 容器詰緑茶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3184404A (ja) タンニン含有飲料
JP2019080589A (ja) 飲料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