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6242B1 - 선박 - Google Patents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6242B1
KR101626242B1 KR1020147033221A KR20147033221A KR101626242B1 KR 101626242 B1 KR101626242 B1 KR 101626242B1 KR 1020147033221 A KR1020147033221 A KR 1020147033221A KR 20147033221 A KR20147033221 A KR 20147033221A KR 101626242 B1 KR101626242 B1 KR 101626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immersion
hull
watertight compartment
deck
watert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3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3202A (ko
Inventor
구니아키 야마토
마사노리 온즈카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13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32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6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6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2Arrangement of bulkheads, e.g. defining cargo sp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4Constructional features of bunkers, e.g. structural fuel tanks, or ballast tanks, e.g. with elastic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54Fer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0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 B63B43/045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by decreasing the free surface effect of water entered in enclosed de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0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 B63B43/06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using ballast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7/00Buoyancy or ballast means
    • B63B2207/02Variable ballast or buoyanc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선박 (1) 은, 좌우의 측벽 (20a, 20b) 과 선저와 건현 갑판을 포함하는 복수의 갑판을 포함하는 선체 (10) 와, 이 선체 (10) 의 내부로서 격벽 (23) 에 의해 선체 (10) 의 길이 방향 전후로 구획되는 복수의 방 (41, 42) 과, 복수의 방 (41, 42) 의 내부에 배치되고, 건현 갑판보다 하층의 2 중 바닥 상갑판 또는 선저로부터 건현 갑판까지의 공간을 구획하며, 또한 좌현측의 측벽 (20a) 또는 우현측의 측벽 (20b) 과 격벽 (23) 에 접하는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a, 31b, 32a, 32b) 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선박{SHIP}
본 발명은, 여객선, 페리, RO-RO 선 (Roll-on/Roll-off Ship), 자동차 전용선으로서의 PCC (Pure Car Carrier), PCTC (Pure Car/Truck Carrier) 등의 선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종래의 여객선은, 선체에 다층의 갑판을 갖는 구획이 형성되고, 이 각 구획에 각 층의 갑판 사이를 접속하는 램프웨이가 형성된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선체의 상층에 거주 구획이 형성되고, 하층에 차량 구획이 형성되고, 자동차는, 드라이버가 운전하여 안벽 (岸壁) 으로부터 쇼어 램프웨이를 통해 선내의 갑판에 들어가고, 램프웨이를 경유하여 하층의 갑판으로 이동하여, 지정된 위치에 주차한다.
또, 이와 같은 여객선은, 거주 구획이나 차량 구획과는 별도로, 선내에 기관실이나 축실 (軸室) 등 다수의 방이 구획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선박의 국제 규칙으로서 데미지 스태빌리티의 요건이 규정되어 있고, 일본 국내법에도 반영되어 있다. 이 규칙에서는, 선측 손상의 요건으로서, 손상 후의 잔존 복원력 확보, 선체 경사각 등이 규정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종래의 선박의 구획 구조로는, 하기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이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자동차 운반선은, 선박 선저의 보이드 스페이스를 형성하는 최하층의 수밀 갑판에 원격으로 개방 가능한 해수 도입 수단을 형성한 것으로, 이로써, 선박의 선측 외판 등이 파손되어 해수가 선내로 진입한 경우, 최하층의 수밀 갑판에 형성된 해수 도입 수단을 개방함으로써 선내로 진입한 해수를 보이드 스페이스에 도입하고, 이 보이드 스페이스를 해수 밸러스트 탱크로서 기능시킴으로써 선박의 복원력을 회복시킬 수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201308호
상기 서술한 종래의 선박의 국제 규칙에 있어서, 선측 손상은, 여객 탑재인수, 배의 길이, 폭, 흘수에 의해 그 손상시의 손상 상정 길이, 폭, 높이가 정해져 있고, 손상시의 침수 용적이 큰 구획 (예를 들어, 기관실, 보기실, 축실 등) 이 손상되었을 때, 격벽을 사이에 두고 2 구획의 손상 요건이 된다. 그 때문에, 배 손상시의 침수 용적이 과대해져, 규칙에서 요구하는 복원 성능의 항목으로서의 GoM (가로 메타센터 높이) 이 커져 버린다. 이 경우, 선형 (船型) 계획의 제약, 상부 구조의 제약, 구획 배치의 제약이 있는 점에서, 배치 자유도가 제한되어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만일의 손상시에 있어서의 복수의 방에 대한 침수를 억제할 수 있는 선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박은, 좌우 현측의 측벽 및 선저와 건현 갑판을 포함하는 복수의 갑판을 포함하는 선체와, 상기 선체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선체의 내부를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에 대해 복수의 방으로 구획하는 격벽과, 상기 복수의 방 중 적어도 1 개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건현 갑판보다 하층의 갑판 또는 상기 선저로부터 상기 건현 갑판까지의 공간을 구획하며, 또한 상기 측벽 및 상기 격벽에 접하는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조에 의해, 측벽에 있어서의 격벽 근방이 손상을 받아도, 침수를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의 침수에 그치게 하여, 복수의 방에 걸쳐 침수될 가능성이 저감되고, 만일의 손상시에 있어서의 복수의 방에 대한 침수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선박은, 침수되었을 때의 침수 용적을 작게 하기 위해서 실시하는 복수의 방의 소형화를 억제하여, 배치 설계에 있어서의 구획 제약을 완화시켜 설계 자유도를 확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로서, 상기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은, 상기 좌현측의 측벽과 상기 격벽에 접하는 좌방의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과, 상기 우현측의 측벽과 상기 격벽에 접하는 우방의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조에 의해,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이 선체의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됨으로써, 침수 억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손상을 받지 않은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에 침수한 물을 유도함으로써, 침수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로서, 상기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은, 상기 격벽과 상기 좌현측의 측벽 사이와, 상기 격벽과 상기 우현측의 측벽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조에 의해,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을 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선체의 길이 방향 전후의 방에서 공용화함으로써, 구조의 간소화 및 저비용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로서, 상기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은, 상기 격벽을 사이에 두고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 전후에 배치되는 각각의 상기 방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조에 의해,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을 격벽의 선체의 길이 방향 전후에 형성함으로써, 추가적인 침수 억제 성능 향상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로서, 상기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은, 상기 복수의 방보다 용적이 작으며, 또한 좌현측의 측벽 또는 우현측의 측벽으로부터 선체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선체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가, 만재 흘수선에 있어서의 상기 선체의 폭의 1/10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조에 의해,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의 크기는, 상정하는 손상의 크기보다 크게 할 수 있어,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에 의한 침수 억제 성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로서, 선수측에 상기 좌우 현측의 측벽 각각의 내측에 상기 좌우 현측의 측벽을 따라 라운지 벌크헤드 격벽을 구비하고, 상기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은, 상기 선체의 내측에 상기 라운지 벌크헤드 격벽이 없는 좌우 현측의 측벽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조에 의해, 라운지 벌크헤드 격벽이 없는 선미측의 스페이스를 확보한다. 또 라운지 벌크헤드 격벽이 없는 선미측에서도, 선박은,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에 의해 침수 억제 성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로서, 상기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은, 상기 건현 갑판보다 높아지도록 융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이 침수되고, 침수된 물의 높이가 건현 갑판의 높이까지 도달하는 경우, 건현 갑판 상이 침수됨과 함께, 다른 구획으로 침수가 확대되어 선체의 복원성이 저감될 가능성이 있다. 상기 구조에 의해,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의 상면은, 건현 갑판보다 높아지도록 융기되어 있기 때문에,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의 선내측의 측벽에 의해, 침수된 물이 건현 갑판까지 도달하는 것을 막아, 선체의 복원성이 저감될 가능성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로서, 상기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의 상방에는 덕트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조에 의해,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을 구비하고 있어도, 건현 갑판의 탑재량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로서, 상기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은, 상기 복수의 방보다 용적이 작으며, 또한 상기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의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의 치수는, 높이 방향의 침수 범위를 제한하는 갑판의 전체 길이, 또는 만재 흘수선보다 하방에 있어서의 상기 선체의 투영 길이의 전단과 후단간의 길이를 비교하여 큰 쪽의 길이의 3/100 과 3 m 를 비교하여 큰 쪽의 길이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조에 의해,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의 크기는, 상정하는 손상의 크기보다 크게 할 수 있어,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에 의한 침수 억제 성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높이 방향의 침수 범위를 제한하는 갑판이란, 만재 흘수선의 흘수에 12.5 m 를 더한 높이를 초과하는 갑판 중, 가장 낮은 갑판 (당해 높이를 초과하는 갑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최상층의 갑판) 또는 예비 부력에 진입할 수 있는 범위의 상한이 되는 갑판 중 어느 낮은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로서, 상기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에 액체를 주입하는 배관에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는, 상기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조에 의해, 밸브는 잘 손상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선박은, 밸브를 닫음으로써, 손상된 배관을 통하여 다른 구획으로 침수가 확대될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선박에 의하면, 만일의 손상시에 있어서의 복수의 방에 대한 침수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 은,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선박의 측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선박의 Ⅱ-Ⅱ 단면의 모식도이다.
도 3 은, 도 1 에 나타내는 선박의 Ⅲ-Ⅲ 단면의 모식도이다.
도 4 는,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과 덕트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 는,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을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이다.
도 6 은, 도 5 에 나타내는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의 단면도이다.
도 7 은, 도 5 에 나타내는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 은, 도 5 에 나타내는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 는, 도 5 에 나타내는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의 제 3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 은,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을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이다.
도 11 은, 도 10 에 나타내는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의 단면도이다.
도 12 는, 도 10 에 나타내는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a 는, 실시형태 3 에 관련된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을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이다.
도 13b 는, 실시형태 3 에 관련된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이다.
도 14 는, 실시형태 4 에 관련된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을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이다.
도 15 는, 실시형태 5 에 관련된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을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이다.
도 16 은, 도 15 에 나타내는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실시형태 5 의 변형예에 관련된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을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실시형태) 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형태에 기재한 내용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이하에 기재한 구성 요소에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상정할 수 있는 것,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포함된다. 또한, 이하에 기재한 구성 요소는 적절히 조합할 수 있다.
(실시형태 1)
도 1 은,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선박의 측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선박의 Ⅱ-Ⅱ 단면의 모식도이다. 도 3 은, 도 1 에 나타내는 선박의 Ⅲ-Ⅲ 단면의 모식도이다. 도 3 에 있어서, 실선은 도 1 에 나타내는 Ⅲ-Ⅲ 을 위에서부터 본 선체 (10) 의 구조를 나타내고, 일점 쇄선은 도 1 에 나타내는 Ⅲ-Ⅲ 을 아래에서부터 본 선체 (10) 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선박 (1) 은, 차량을 운반 가능한 차량 운반선 (카 페리) 이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박 (1) 의 선체 (10) 는, 선저 (10B) 와, 좌우의 측벽 (외판) (20a, 20b) 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WL 은, 선체 (10) 의 만재 흘수선이다. B 는, 만재 흘수선 (WL) 에서의 선체 (10) 의 폭이다. CL 은, 선체 폭 방향의 폭의 중심이다. 선체 (10) 에는, 주추진력원이 되는 주기관에 접속되어 추진력을 전달하는 프로펠러 (71) 와, 선체 (10) 의 방향을 제어하는 키 (72) 를 포함한다. 선박 (1) 은, 프로펠러 (71) 의 회전 및 키 (72) 의 조타 방향에 의해 선체 (10) 의 임의의 방향의 추진력을 부여할 수 있다. 선체 (10) 는, 조기에 선체 (10) 의 방향을 제어하기 위해, 바우 스러스터 (73) 를 구비하고 있다. 또, 선체 (10) 는, 굴뚝인 퍼넬 (19) 을 구비하고 있다.
선체 (10) 에는, 선수측 우현에, 차량이 롤 온ㆍ롤 오프하기 위한 기도식 (起倒式) 의 선수 현측 램프웨이 (61) 가 형성되고, 선미측 우현에는, 기도식의 선미측의 선미 램프웨이 (62)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건현 갑판 (13) 은, 선미측의 선미 램프웨이 (62) 또는 선수 현측 램프웨이 (61) 가 구비된 승선 갑판으로 되어 있다. 건현 갑판 (13) 의 하방에는 하층 공간이 형성되고, 이 하층 공간의 선미측에 추진용 엔진이 배치되어 있는 주기실 (기관실) (42) 이 있다. 선체 (10) 에는, 건현 갑판 (13) 의 상하에 다층의 갑판 (12, 14, 15, 16, 17) 이 구비되어 있다. 갑판 (11) 은, 건현 갑판 (13) 과 선저 (10B) 사이에서 2 중 바닥이 되는 2 중 바닥 상갑판이다. 이하, 갑판 (11) 을 2 중 바닥 상갑판 (11) 이라고 한다.
건현 갑판 (13) 과 갑판 (14) 사이에도, 대형 차량도 통행 가능한 적어도 1 개의 선내 램프 (64, 65) 가 형성되어 있다. 갑판 (14) 과 갑판 (15) 사이에, 적어도 1 개의 선내 램프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그리고,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건현 갑판 (13), 갑판 (14) 상에 트럭, 버스 등의 대형 차량도 탑재 가능한 차량 탑재 구획이 형성되어 있다.
갑판 (12) 과 건현 갑판 (13) 사이에, 차량이 통행 가능한 적어도 1 개의 선내 램프 (63) 가 형성되어 있다. 건현 갑판 (13) 의 하방의 갑판 (12) 상에도 차량 탑재 구획이 형성되고, 이 갑판 (12) 상의 차량 탑재 구획을 둘러싸도록, 선체 (10) 의 선수측에 라운지 벌크헤드 격벽 (21a, 21b) 이 있다.
좌현측의 측벽 (20a) 과 라운지 벌크헤드 격벽 (21a) 사이 및 우현측의 측벽 (20b) 과 라운지 벌크헤드 격벽 (21b) 사이에는, 복수의 수밀 구획 (51a, 52a, 53a, 54a, 55a, 56a, 57a, 51b, 52b, 53b, 54b, 55b, 56b, 57b) 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복수의 수밀 구획 (51a, 52a, 53a, 54a, 55a, 56a, 57a, 51b, 52b, 53b, 54b, 55b, 56b, 57b) 은, 보이드 스페이스, 연료 탱크, 밸러스트 탱크, 기기실, 창고 또는 화물고로서 이용할 수 있다.
주거구용으로서, 갑판 (15, 16, 17) 이 형성되고, 복수 단의 거주 구획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거주 구획은, 추진용 엔진으로부터의 소음을 피하기 위해, 추진용 엔진의 설치 위치인 방 (42) (주기실) 의 바로 위보다 선수측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거주 구획 (갑판 (15) 상) 의 선미측은 유보 (遊步) 스페이스로서 이용되고 있다.
또, 선체 (10) 는, 좌우의 측벽 (20a, 20b) 과 선저 (10B) 를 갖고 있고, 건현 갑판 (13) 과 선저 (10B) 사이의 공간이며 또한 갑판 (12) 의 배치 형성 위치보다 후방의 공간에 복수의 방 (41, 42, 43) 이 형성되어 있다. 방 (41) 은 발전기실이다. 방 (42) 은 주기실이다. 방 (43) 은 축실이다. 2 중 바닥 상갑판 (11) 과 선저 (10B) 와 좌우의 측벽 (20a, 20b) 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은, 보이드 스페이스, 연료 탱크, 밸러스트 탱크 또는 공소 (空所) 로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체 (10) 의 내부로서 선저 (10B) 와 2 중 바닥 상갑판 (11) 사이의 보이드 스페이스 (81) 와, 보이드 스페이스 (81) 의 좌우의 측벽 (20a, 20b) 측에는, 각각 밸러스트 탱크 (82) 가 구비되어 있다. 또, 선체 (10) 는, 격벽 (22) 의 선수측에 추가로 선수 격벽 (26) 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서술한 보이드 스페이스 (81) 는, 선수 격벽 (26) 과 격벽 (2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보이드 스페이스 (81) 는, 선수 격벽 (26) 과 격벽 (22) 사이에 배치되고, 선체 (10) 의 길이 방향으로 분할되어 있어도 된다. 또, 보이드 스페이스 (81) 는, 선수 격벽 (26) 과 격벽 (22) 사이에 배치되고, 선체 (10) 의 폭 방향 (단변 방향) 으로 대칭 또는 비대칭으로 분할되어 있어도 된다. 2 중 바닥 상갑판 (11) 은, 선수부터 선미까지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2 중 바닥 상갑판 (11) 과 갑판 (12) 사이는 공소이지만, 2 중 바닥 상갑판 (11) 과 갑판 (12) 사이에 선내 램프를 구비하고, 2 중 바닥 상갑판 (11) 을 최하층의 차량 갑판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도 3 에 나타내는 하부 차량 탑재 구획 (DL) 은, 2 중 바닥 상갑판 (11) 과 건현 갑판 (13) (또는 갑판 (12)) 과 라운지 벌크헤드 격벽 (21a, 21b) 과 선수 격벽 (26), 격벽 (22) 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체 (10) 는, 건현 갑판 (13) 과 선저 (10B) 사이에 갑판 (12) 이 형성됨으로써, 상하의 공간 (방) 이 구획되어 있다. 또, 선체 (10) 는, 선미로부터 선수를 향해 간격을 두고, 좌현측의 측벽 (20a) 과 우현측의 측벽 (20b) 사이를 구분짓는 격벽 (25, 24, 23, 22) 을 구비함으로써, 방 (43, 42, 41) 이 선체 (10) 의 길이 방향으로 구획되어 있다.
그리고, 선체 (10) 에는, 좌현측의 측벽 (20a) 과 격벽 (23) 에 접하는 좌방의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a, 32a) 과, 우현측의 측벽 (20b) 과 격벽 (23) 에 접하는 우방의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b, 32b) 이 형성되어 있다. 또, 선체 (10) 에는, 좌현측의 측벽 (20a) 과 격벽 (24) 에 접하는 좌방의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3a) 과, 우현측의 측벽 (20b) 과 격벽 (24) 에 접하는 우방의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3b) 이 형성되어 있다. 또, 선체 (10) 에는, 좌현측의 측벽 (20a) 과 격벽 (24) 에 접하는 좌방의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4a) 과, 우현측의 측벽 (20b) 과 격벽 (24) 에 접하는 우방의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4b) 이 형성되어 있다.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a, 32a, 33a, 34a) 과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b, 32b, 33b, 34b) 은, 좌우 현에 대칭인 배치 (도 2 에 나타내는 중앙 (CL) 을 대칭축으로 선체 (10) 의 폭 방향으로 선 대칭인 배치) 로 되어 있고, 좌우 현에 각각 대응하는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끼리의 용적은 크기가 동일하다. 이하,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a, 31b, 32a, 32b) 에 대해 설명한다.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3a, 33b, 34a, 34b) 은,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a, 31b, 32a, 32b) 과 동일한 구성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 는,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과 덕트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경우, 각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a, 31b, 32a, 32b) 은, 방 (42) (주기실), 방 (41) (발전기실) 에서부터 건현 갑판 (13) 의 상방으로 연장되는 배관 (91, 92) 이 한데 모인 덕트 (90) 와 높이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덕트 (90) 는, 방 (42) (주기실), 방 (41) (발전기실) 의 배기 가스 (AIR) 를 퍼넬 (19) 까지 배기하는 통풍 덕트이다.
도 5 는,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을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이다. 도 6 은, 도 5 에 나타내는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의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a, 32a) (31b, 32b) 은, 복수의 방인 발전기실 (41), 방 (42) (주기실) 각각보다 용적이 작다. 또,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a, 32a) (31b, 32b) 은, 선체 (10) 의 선저 (10B) 로부터 건현 갑판 (13) 까지를 구획한 수밀 구획이다. 그리고,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a, 32a) (31b, 32b) 은, 선체 (10) 의 선저 (10B) 로부터 건현 갑판 (13) 까지를 연통하는 1 구획이다. 그리고,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a, 32a) (31b, 32b) 은, 왼쪽의 측벽 (20a) (오른쪽의 측벽 (20b)) 으로부터 선체 (10) 의 내측을 향하는, 선체 (10) 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폭 방향) 의 치수 (D) 가, 만재 흘수선 (WL) 에서의 선체 (10) 의 폭 (B) 의 1/10 을 왼쪽의 측벽 (20a) (오른쪽의 측벽 (20b)) 의 내측을 따라 그은 가상 라인 (BL) 보다 크다. 요컨대, 치수 (D) 가, 선체 (10) 의 폭 (B) 의 1/10 보다 크게 된다. 또, 선미로부터 선수 방향을 향하는 선체 (10) 의 길이 방향의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a, 32a) (31b, 32b) 각각의 길이를 합친 길이 (치수) (E) 는, 높이 방향의 침수 범위를 제한하는 갑판의 전체 길이, 또는 만재 흘수선 (WL) 보다 하방에 있어서의 선체 (10) 의 투영 길이의 전단과 후단간의 길이를 비교하여 큰 쪽의 길이의 3/100 과 3 m 를 비교하여 큰 쪽의 길이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높이 방향의 침수 범위를 제한하는 갑판이란, 만재 흘수선 (WL) 의 흘수에 12.5 m 를 더한 높이를 초과하는 갑판 중, 가장 낮은 갑판 (당해 높이를 초과하는 갑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최상층의 갑판) 또는 예비 부력에 진입할 수 있는 범위의 상한이 되는 갑판 중 어느 낮은 것을 말한다. 이로써,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a, 32a) (31b, 32b) 의 크기는, 국제법인 SOLAS Chapter Ⅱ-1 Part.B-1 Regulation 8.3.2, 그리고 일본 국내법인 선박 구획 규정 제44조 각각에 규정되는, 상정하는 손상의 크기보다 크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a, 32a) (31b, 32b) 에 의한 침수 억제 성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3 에 나타내는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3a, 33b) 은, 방 (43) (축실) 보다 용적이 작다. 그리고,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3a, 33b) 의 좌우의 측벽 (20a, 20b) 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선체 (10) 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선체 (10) 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폭 방향) 의 치수가, 상기 서술한 가상 라인 (BL) 보다 크다. 또, 선체 (10) 의 길이 방향의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3a) (33b) 의 길이 (치수) 는, 높이 방향의 침수 범위를 제한하는 갑판의 전체 길이, 또는 만재 흘수선 (WL) 보다 하방에 있어서의 선체 (10) 의 투영 길이의 전단과 후단간의 길이를 비교하여 큰 쪽의 길이의 3/100 과 3 m 를 비교하여 큰 쪽의 길이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높이 방향의 침수 범위를 제한하는 갑판이란, 만재 흘수선 (WL) 의 흘수에 12.5 m 를 더한 높이를 초과하는 갑판 중, 가장 낮은 갑판 (당해 높이를 초과하는 갑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최상층의 갑판) 또는 예비 부력에 진입할 수 있는 범위의 상한이 되는 갑판 중 어느 낮은 것을 말한다. 이로써,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3a, 33b) 의 크기도, 국제법인 SOLAS Chapter Ⅱ-1 Part.B-1 Regulation 8.3.2, 그리고 일본 국내법인 선박 구획 규정 제44조 각각에 규정되는, 상정하는 손상의 크기보다 크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3a) (33b) 에 의한 침수 억제 성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선체 (10) 의 외부로부터 격벽 (23) 근방에 위치하는 좌현측의 측벽 (20a) 에 손상을 받은 경우,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a, 32a) 은 침수되지만, 방 (42) (주기실), 방 (41) (발전기실) 에 대한 침수를 억제할 수 있다. 또, 방 (42) (주기실), 방 (41) (발전기실) 보다 작은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a, 32a) 에 침수함으로써, 방 (42) (주기실), 방 (41) (발전기실) 에 대한 침수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a, 32a) (31b, 32b) 을 청수 탱크, 밸러스트 탱크, 및 연료 탱크와 같이 액체 탱크로서 사용하는 경우, 각각의 액체 탱크의 밸브 (45) 를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a, 32a) (31b, 32b) 의 외측에 형성해 둔다. 밸브 (45) 는, 액체를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a, 32a) (31b, 32b) 에 주입하는 배관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좌현측의 측벽 (20a) 에 있어서의 격벽 (23) 근방이 손상을 받아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a, 32a) 이 손상되어 침수되었다고 해도, 밸브 (45) 는 잘 손상되지 않는다. 그 결과, 밸브 (45) 를 닫음으로써, 손상된 배관을 통하여 다른 구획으로 침수가 확대될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밸브 (45) 는, 후술하는 제어 장치 (2) 로 개폐를 원격 조작 가능한 밸브여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선박 (1) 은, 좌우의 측벽 (20a, 20b) 과 선저 (10B) 와 건현 갑판 (13) 을 포함하는 복수의 갑판을 포함하는 선체 (10) 와, 이 선체 (10) 의 내부로서 격벽 (23) 에 의해 선체 (10) 의 길이 방향 전후로 구획되는 복수의 방 (41, 42) 과, 복수의 방 (41, 42) 의 내부에 배치되고, 선저 (10B) 로부터 건현 갑판 (13) 까지의 공간을 구획하며, 또한 측벽 (20a) 또는 측벽 (20b) 과 격벽 (23) 에 접하는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a, 31b, 32a, 32b) 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2a, 32b) 은, 방 (42) 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a, 31b) 은, 방 (41) 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측벽 (20a, 20b) 에 있어서의 격벽 (23) 근방이 손상을 받아도,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a, 31b, 32a, 32b) 이 침수되어, 선체 (10) 의 길이 방향 전후의 방인 방 (42) (주기실), 방 (41) (발전기실) 에 대한 침수를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선박 (1) 은, 침수되었을 때의 침수 용적을 작게 하기 위해서 실시하는 복수의 방 (41, 42) 의 소형화를 억제하여, 배치 설계에 있어서의 구획 제약을 완화시켜 설계 자유도를 확대할 수 있다.
또, 실시형태 1 의 선박 (1) 에서는,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로서, 좌현측의 측벽 (20a) 과 격벽 (23) 에 접하는 좌방의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a, 32a) 과, 우현측의 측벽 (20b) 과 격벽 (23) 에 접하는 우방의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b, 32b) 을 형성하고 있다. 이로써,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a, 31b, 32a, 32b) 이 선체 (10) 의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되게 되어, 침수 억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실시형태 1 의 선박 (1) 에서는,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a, 31b, 32a, 32b) 은, 복수의 방인 방 (42) (주기실), 방 (41) (발전기실) 보다 용적이 작으며, 또한 선체 (10) 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치수 (D) 가 만재 흘수선 (WL) 에서의 선체 (10) 의 폭 (B) 의 1/10 로 한 가상 라인 (BL) 보다 크다. 이로써,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에 의한 침수 억제 성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실시형태 1 의 제 1 변형예>
도 7 은, 도 5 에 나타내는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 1 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a, 32a) (31b, 32b) 의 상면 (13a) 은, 건현 갑판 (13) 보다 높아지도록 융기되어 있다. 또,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a, 32a) (31b, 32b) 은, 선체 (10) 의 선저 (10B) 로부터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a, 32a) (31b, 32b) 의 상면 (13a) 까지를 구획한 수밀 구획이다. 그리고,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a, 32a) (31b, 32b) 은, 선체 (10) 의 선저 (10B) 로부터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a, 32a) (31b, 32b) 의 상면 (13a) 까지를 연통하는 1 구획이다.
선체 (10) 의 외부로부터 격벽 (23) 근방에 위치하는 좌현측의 측벽 (20a) 에 손상을 받은 경우,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a, 32a) 은 침수되고, 침수된 물의 높이가 건현 갑판 (13) 의 높이까지 이르는 경우, 선체 (10) 의 복원성이 저감될 가능성이 있다. 제 1 변형예에 관련된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a, 32a) (31b, 32b) 의 상면 (13a) 은, 건현 갑판 (13) 보다 높아지도록 융기되어 있기 때문에,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a, 32a) (31b, 32b) 로부터 건현 갑판 (13) 상방으로의 침수의 확대를 억제하여, 선체 (10) 의 복원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각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a, 31b, 32a, 32b) 은, 방 (42) (주기실), 방 (41) (발전기실) 에서부터 건현 갑판 (13) 의 상방으로 연장되는 배관 (91, 92) 이 한데 모인 덕트 (90) 와 높이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도록 배치하고 있으면,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a, 32a) (31b, 32b) 의 상면 (13a) 이 건현 갑판 (13) 보다 높아지도록 융기되어 있어도, 건현 갑판 (13) 에 탑재하는 화물의 탑재량에 대한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 1 의 제 2 변형예>
도 8 은, 도 5 에 나타내는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 1 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a, 32a) (31b, 32b) 은, 인접하는 보이드 스페이스 (81) 와 구획하고, 선체 (10) 의 내측에 있는 내벽에 수밀 슬라이딩 도어 (87) 를 구비하고 있다.
선체 (10) 의 외부로부터 격벽 (23) 근방에 위치하는 좌현측의 측벽 (20a) 에 손상을 받은 경우,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a, 32a) 은 침수되지만, 방 (42) (주기실), 방 (41) (발전기실) 에 대한 침수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수밀 슬라이딩 도어 (87) 는 개방함으로써,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a, 32a) (31b, 32b) 에 침수한 물을, 인접하는 보이드 스페이스에 넣어, 선체 (10) 의 무게 중심을 낮출 수 있다. 또, 수밀 슬라이딩 도어 (87) 는 개방함으로써, 예를 들어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a, 32a) 에 침수한 물을, 손상되어 있지 않은 반대 현의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b, 32b) 을 침수시켜, 선박 (1) 은, 침수의 영향에 의한 선체 (10) 의 기울어짐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 1 의 제 3 변형예>
도 9 는, 도 5 에 나타내는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의 제 3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 1 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a, 32a) (31b, 32b) 은, 건현 갑판 (13) 보다 하층의 2 중 바닥 상갑판 (11) 으로부터 건현 갑판 (13) 까지를 구획한 수밀 구획이다. 그리고,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a, 32a) (31b, 32b) 은, 2 중 바닥 상갑판 (11) 으로부터 건현 갑판 (13) 까지를 연통하는 1 구획이다. 또,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a, 32a) (31b, 32b) 에는, 인접하는 보이드 스페이스와 구획하는 격벽에 해수 안내관 (83) 을 구비하고 있다. 해수 안내관 (83) 은, 보이드 스페이스 (81) 로부터 밸러스트 탱크 (82) 및 2 중 바닥 상갑판 (11) 을 관통하여, 건현 갑판 (13) 의 하방 및 2 중 바닥 상갑판 (11) 의 상방의 공간과 보이드 스페이스 (81) 를 접속한다. 해수 안내관 (83) 은, 선저 (10B) 와 2 중 바닥 상갑판 (11) 과 좌우 현의 측벽 (20a, 20b) 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과, 건현 갑판 (13) 의 하방 및 2 중 바닥 상갑판 (11) 의 상방의 공간을 접속하는 관 부재이다. 해수 안내관 (83) 은, 적어도 건현 갑판 (13) 의 하방 및 2 중 바닥 상갑판 (11) 의 상방의 공간에 해수 도입구 (83A) 를 구비하고 있다.
해수 도입구 (83A) 는,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a, 32a, 31b, 32b) 의 내부에 있는 해수 안내관 (83) 의 지관 (83a) 에 개구되는 구멍이다. 해수 안내관 (83) 은, 보이드 스페이스 (81) 와,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a, 32a, 31b, 32b) 각각을 연통시키고 있다. 그리고, 해수 안내관 (83) 은,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a, 32a, 31b, 32b) 내부에 있는 지관 (83a) 의 해수 도입구 (83A) 를 닫는 개폐 밸브 (84) 를 구비하고 있고, 통상, 개폐 밸브 (84) 는 폐쇄되어 있다. 예를 들어, 선체 (10) 에는, 제어 장치 (2) 가 탑재되어 있고, 제어 장치 (2) 는, 원격 조작에 의해 개폐 밸브 (84) 를 개폐할 수 있다.
선체 (10) 의 외부로부터 격벽 (23) 근방에 위치하는 좌현측의 측벽 (20a) 에 손상을 받은 경우,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a, 32a) 은 침수되지만, 방 (42) (주기실), 방 (41) (발전기실) 에 대한 침수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제어 장치 (2) 는, 원격 조작에 의해 개폐 밸브 (84) 를 열음으로써, 예를 들어,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a, 32a) (31b, 32b) 에 침수한 물을, 인접하는 보이드 스페이스 (81) 에 넣어, 선체 (10) 의 무게 중심을 낮출 수 있다. 또, 개폐 밸브 (84) 를 열음으로써, 예를 들어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a, 32a) 에 침수한 물을, 손상되어 있지 않은 반대 현의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b, 32b) 을 침수시켜, 선박 (1) 은 침수의 영향에 의한 선체 (10) 의 기울어짐을 억제할 수 있다.
개폐 밸브 (84) 는, 역지 밸브여도 된다. 또, 해수 안내관 (83) 은, 상단의 해수 도입구 (83B) 가 건현 갑판 (13) 의 상면보다 위에 배치되고,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a, 32a, 31b, 32b) 중 어느 것을 관통함과 함께, 건현 갑판 (13) 의 상방의 공간과 보이드 스페이스 (81) 를 연통한다. 이로써, 해수 안내관 (83) 은, 좌현측의 측벽 (20a) (우현측의 측벽 (20b)) 에 손상을 받아 건현 갑판 (13) 의 상면의 침수된 물을 보이드 스페이스 (81) 에 유입시킬 수 있어, 침수의 영향에 의한 선체 (10) 의 기울어짐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해수 안내관 (83) 은, 건현 갑판 (13) 의 상면의 침수된 물을 보이드 스페이스 (81) 에 유입시킨다. 이 때문에, 선체 (10) 는, 무게 중심을 낮출 수 있어, 침수의 영향에 의한 선체 (10) 의 기울어짐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도 10 은,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을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이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a, 32a) (31b, 32b) 은, 방 (42) (주기실), 방 (41) (발전기실) 과,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a, 32a) (31b, 32b) 각각을 연결하는 수밀 슬라이딩 도어 (85) 를 구비하고 있다. 수밀 슬라이딩 도어 (85) 는, 수밀 해치 또는 상기 서술한 제어 장치 (2) 로 개폐를 원격 조작 가능한 밸브여도 된다.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a, 32a) (31b, 32b) 은, 수밀 슬라이딩 도어 (85) 를 개폐함으로써,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a, 32a) (31b, 32b) 내부로의 출입을 가능하게 한다. 이 때문에,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a, 32a) (31b, 32b) 은, 창고, 좌우 흔들림 억제 (핀ㆍ스태빌라이저) 기기, 공조, 오물 처리 기기 등을 격납하는 기기실, 공작 기계를 격납하는 공작실로서 활용할 수 있다.
도 11 은, 도 10 에 나타내는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의 단면도이다.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a, 32a) (31b, 32b) 은, 2 중 바닥 상판인 2 중 바닥 상갑판 (11) 에 수밀 슬라이딩 도어 (86) 를 구비하고 있다. 수밀 슬라이딩 도어 (86) 는, 수밀 해치 또는 상기 서술한 제어 장치 (2) 로 개폐를 원격 조작 가능한 밸브여도 된다. 선체 (10) 의 외부로부터 격벽 (23) 근방에 위치하는 좌현측의 측벽 (20a) 에 손상을 받은 경우,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a, 32a) 은 침수되지만, 방 (42) (주기실), 방 (41) (발전기실) 에 대한 침수를 억제한다. 또, 수밀 슬라이딩 도어 (86) 는 열림으로써,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a, 32a) (31b, 32b) 에 침수한 물을, 하방의 보이드 스페이스 (81) 에 넣어, 무게 중심을 낮춰 선체 (10) 의 복원성의 개선을 도모한다. 또, 수밀 슬라이딩 도어 (86) 는 열림으로써, 손상되어 있지 않은 반대 현의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을 침수시켜, 선박 (1) 은, 침수의 영향에 의한 선체 (10) 의 기울어짐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선박 (1) 은, 좌우의 측벽 (20a, 20b) 과 선저 (10B) 와 건현 갑판 (13) 을 포함하는 복수의 갑판을 포함하는 선체 (10) 와, 이 선체 (10) 의 내부로서 격벽 (23) 에 의해 선체 (10) 의 길이 방향 전후로 구획되는 복수의 방 (41, 42) 과, 복수의 방 (41, 42) 의 내부에 배치되고, 건현 갑판 (13) 보다 하층의 2 중 바닥 상갑판 (11) 으로부터 건현 갑판 (13) 까지의 공간을 구획하며, 또한 측벽 (20a) 또는 측벽 (20b) 과 격벽 (23) 에 접하는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a, 31b, 32a, 32b) 을 구비하고 있다.
도 12 는, 도 10 에 나타내는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a, 32a) (31b, 32b) 은, 인접하는 보이드 스페이스와 구획하는 격벽에 수밀 슬라이딩 도어 (87) 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수밀 슬라이딩 도어 (86) 및 수밀 슬라이딩 도어 (87) 는 열림으로써,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a, 32a) (31b, 32b) 에 침수한 물을, 하방의 보이드 스페이스 (81) 에 넣어, 무게 중심을 낮춰 선체 (10) 의 복원성의 개선을 도모한다. 또, 수밀 슬라이딩 도어 (87) 는 열림으로써, 손상되어 있지 않은 반대 현의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을 침수시켜, 선박 (1) 은, 침수의 영향에 의한 선체 (10) 의 기울어짐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도 13a 은, 실시형태 3 에 관련된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을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이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2a, 32b) 은, 방 (42) (주기실) 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도 13a 에 나타내는 선체 (10) 에는, 좌현측의 측벽 (20a) 과 격벽 (23) 에 접하는 좌방의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2a) 과, 우현측의 측벽 (20b) 과 격벽 (23) 에 접하는 우방의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2b) 이 형성되어 있다.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2a, 32b) 은, 방 (42) (주기실) 보다 용적이 작다.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2a, 32b) 은, 좌우의 측벽 (20a, 20b) 으로부터 선체 (10) 의 내측을 향하는 치수 (D) 가, 만재 흘수선 (WL) 에서의 선체 (10) 의 폭 (B) 의 1/10 을 왼쪽의 측벽 (20a) (오른쪽의 측벽 (20b)) 의 내측을 따라 그은 가상 라인 (BL) 보다 크다. 요컨대, 치수 (D) 가, 선체 (10) 의 폭 (B) 의 1/10 보다 크게 된다. 또, 선체의 길이 방향의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2a) (32b) 의 길이 (치수) (E) 는, 높이 방향의 침수 범위를 제한하는 갑판의 전체 길이, 또는 만재 흘수선 (WL) 보다 하방에 있어서의 선체 (10) 의 투영 길이의 전단과 후단간의 길이를 비교하여 큰 쪽의 길이의 3/100 과 3 m 를 비교하여 큰 쪽의 길이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높이 방향의 침수 범위를 제한하는 갑판이란, 만재 흘수선 (WL) 의 흘수에 12.5 m 를 더한 높이를 초과하는 갑판 중, 가장 낮은 갑판 (당해 높이를 초과하는 갑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최상층의 갑판) 또는 예비 부력에 진입할 수 있는 범위의 상한이 되는 갑판 중 어느 낮은 것을 말한다. 이로써,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2a, 32b) 의 크기는, 국제법인 SOLAS Chapter Ⅱ-1 Part.B-1 Regulation 8.3.2, 그리고 일본 국내법인 선박 구획 규정 제44조 각각에 규정되는, 상정하는 손상의 크기보다 크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2a) (32b) 에 의한 침수 억제 성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선체 (10) 의 외부로부터 격벽 (23) 근방에 위치하는 좌현측의 측벽 (20a) 에 손상을 받은 경우,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2a) 은 침수되지만, 방 (42) (주기실) 에 대한 침수를 억제할 수 있다. 또, 방 (42) (주기실) 보다 작은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2a) 에 침수함으로써, 방 (42) (주기실) 에 대한 침수량이 저감 된다. 또,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2a) (32b) 을 청수 탱크, 밸러스트 탱크, 및 연료 탱크와 같이, 액체 탱크로서 사용하는 경우, 각각의 액체 탱크의 밸브 (45) 를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2a) (32b) 의 외측에 형성해 둔다. 밸브 (45) 는, 액체를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2a) (32b) 에 주입하는 배관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좌현측의 측벽 (20a) 에 있어서의 격벽 (23) 근방이 손상을 받아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2a) 이 손상되어 침수되었다고 해도, 밸브 (45) 는 잘 손상되지 않는다. 그 결과, 밸브 (45) 를 닫음으로써, 손상된 배관을 통하여 다른 구획으로 침수가 확대될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3b 는, 실시형태 3 에 관련된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이다. 도 13a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 3 에 관련된 선체 (10) 에서는, 격벽 (23) 의 방 (42) (주기실) 측에 배치한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2a) (32b) 을 구비한 예를 설명하였다. 도 1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2a) (32b) 대신에, 격벽 (23) 의 방 (41) (발전기실) 측에 배치한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a) (31b) 이 구비되어 있어도 된다.
(실시형태 4)
도 14 는, 실시형태 4 에 관련된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을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이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 에 나타내는 선체 (10) 에는, 좌현측의 측벽 (20a) 에 접하며, 또한 좌현측의 측벽 (20a) 과 격벽 (23) 사이에 놓인 좌방의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0a) 과, 우현측의 측벽 (20b) 에 접하며, 또한 우현측의 측벽 (20b) 과 격벽 (23) 사이에 놓인 우방의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0b) 이 형성되어 있다.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0a, 30b) 은, 방 (42) (주기실) 및 방 (41) (발전기실) 의 양방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0a, 30b) 은, 방 (42) (주기실) 및 방 (41) (발전기실) 중 어느 것보다 용적이 작다.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0a, 30b) 의 좌우의 측벽 (20a, 20b) 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선체 (10) 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치수가, 만재 흘수선 (WL) 에서의 선체 (10) 의 폭 (B) 의 1/10 보다 크다. 또, 선미로부터 선수 방향을 향하는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0a) (30b) 의 길이 (치수) 는, 높이 방향의 침수 범위를 제한하는 갑판의 전체 길이, 또는 만재 흘수선 (WL) 보다 하방에 있어서의 선체 (10) 의 투영 길이의 전단과 후단간의 길이를 비교하여 큰 쪽의 길이의 3/100 과 3 m 를 비교하여 큰 쪽의 길이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높이 방향의 침수 범위를 제한하는 갑판이란, 만재 흘수선 (WL) 의 흘수에 12.5 m 를 더한 높이를 초과하는 갑판 중, 가장 낮은 갑판 (당해 높이를 초과하는 갑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최상층의 갑판) 또는 예비 부력에 진입할 수 있는 범위의 상한이 되는 갑판 중 어느 낮은 것을 말한다. 이로써,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0a, 30b) 의 크기는, 선박 구획 규정의 제44조에 규정되는, 상정하는 손상의 크기보다 크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0a) (30b) 에 의한 침수 억제 성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선체 (10) 의 외부로부터 격벽 (23) 근방에 위치하는 좌현측의 측벽 (20a) 에 손상을 받은 경우,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0a) 은 침수되지만, 방 (42) (주기실) 또는 방 (41) (발전기실) 이 침수될 확률을 낮출 수 있다. 또, 방 (42) (주기실) 및 방 (41) (발전기실) 중 어느 것보다 작은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2a) 에 침수함으로써, 방 (42) (주기실) 또는 방 (41) (발전기실) 에 대한 침수량이 저감된다. 또,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0a) (30b) 을 청수 탱크, 밸러스트 탱크, 및 연료 탱크와 같이 액체 탱크로서 사용하는 경우, 각각의 액체 탱크의 밸브 (45) 를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0a) (30b) 의 외측에 형성해 둔다. 밸브 (45) 는, 액체를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0a) (30b) 에 주입하는 배관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좌현측의 측벽 (20a) 에 있어서의 격벽 (23) 근방이 손상을 받아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0a) 이 손상되어 침수되었다고 해도, 밸브 (45) 는 잘 손상되지 않는다. 그 결과, 밸브 (45) 를 닫음으로써, 손상된 배관을 통하여 다른 구획으로 침수가 확대될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 5)
도 15 는, 실시형태 5 에 관련된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을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이다. 도 16 은, 도 15 에 나타내는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의 단면도이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선체 (10) 에는, 좌현측의 측벽 (20a) 과 격벽 (23) 에 접하는 좌방의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a, 31aa, 32a, 32aa) 과, 우현측의 측벽 (20b) 과 격벽 (23) 에 접하는 우방의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b, 31bb, 32b, 32bb) 이 형성되어 있다. 구획벽 (28) 은,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a, 32a) 과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aa, 32aa) 을 선체 (10) 의 폭 방향으로 구획하고 있다. 구획벽 (29) 은, 선체 (10) 의 폭 방향으로,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a, 32a) 과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aa, 32aa) 을 구획하고 있다. 또,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2a) (32b) 과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2aa) (32bb) 은 선체 (10) 의 폭 방향으로 인접함과 함께, 동일한 격벽 (23) 의 방 (42) (주기실) 측에 접하며, 또한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2a) (32b) 이 측벽 (20a) (20b) 과 접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a) (31b) 과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aa) (31bb) 은 선체 (10) 의 폭 방향으로 인접함과 함께, 동일한 격벽 (23) 의 방 (41) (발전기실) 측에 접하며, 또한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a) (31b) 이 측벽 (20a) (20b) 과 접하고 있다.
도 15 및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a, 31aa) (31b, 31bb) 은, 방 (41) (발전기실) 보다 용적이 작다. 또,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2a, 32aa) (32b, 32bb) 은, 방 (42) (주기실) 보다 용적이 작다.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a, 31aa, 32a, 32aa) (31b, 31bb, 32b, 32bb) 은, 선체 (10) 의 선저 (10B) 로부터 건현 갑판 (13) 까지를 구획한 수밀 구획이다. 그리고,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2a, 32aa) (32b, 32bb) 각각의 길이를 합친, 왼쪽의 측벽 (20a) (오른쪽의 측벽 (20b)) 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선체 (10) 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치수 (D) 가, 만재 흘수선 (WL) 에서의 선체 (10) 의 폭 (B) 의 1/10 보다 크다. 또, 선미로부터 선수 방향을 향하는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a, 32a) (31b, 32b) 각각의 길이를 합친 길이 (치수) (E) 는, 높이 방향의 침수 범위를 제한하는 갑판의 전체 길이, 또는 만재 흘수선 (WL) 보다 하방에 있어서의 선체 (10) 의 투영 길이의 전단과 후단간의 길이를 비교하여 큰 쪽의 길이의 3/100 과 3 m 를 비교하여 큰 쪽의 길이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높이 방향의 침수 범위를 제한하는 갑판이란, 만재 흘수선 (WL) 의 흘수에 12.5 m 를 더한 높이를 초과하는 갑판 중, 가장 낮은 갑판 (당해 높이를 초과하는 갑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최상층의 갑판) 또는 예비 부력에 진입할 수 있는 범위의 상한이 되는 갑판 중 어느 낮은 것을 말한다. 이로써,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a, 31aa) (31b, 31bb) 의 크기는, 국제법인 SOLAS Chapter Ⅱ-1 Part.B-1 Regulation 8.3.2, 그리고 일본 국내법인 선박 구획 규정 제44조 각각에 규정되는, 상정하는 손상의 크기보다 크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a, 31aa) (31b, 31bb) 에 의한 침수 억제 성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수밀 슬라이딩 도어 (85) 를 개폐함으로써,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aa, 32aa) (31bb, 32bb) 내부로의 출입을 가능하게 한다. 이 때문에,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aa, 32aa) (31bb, 32bb) 은, 창고, 좌우 흔들림 억제 (핀ㆍ스태빌라이저) 기기, 공조, 오물 처리 기기 등을 격납하는 기기실, 공작 기계를 격납하는 공작실로서 활용할 수 있다.
도 17 은, 실시형태 5 의 변형예에 관련된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을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이다.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체 (10) 에는, 좌현측의 측벽 (20a) 과 격벽 (23) 에 접하는 좌방의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a, 31aa, 32a, 32aa) 과, 우현측의 측벽 (20b) 과 격벽 (23) 에 접하는 우방의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b, 31bb, 32b, 32bb) 이 형성되어 있다. 또,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2a) (32b) 과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2aa) (32bb) 은 인접함과 함께, 동일한 격벽 (23) 의 방 (42) (주기실) 측에 접하며, 또한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2aa) (32bb) 이 측벽 (20a) (20b) 과 접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a) (31b) 과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aa) (31bb) 은 인접함과 함께, 동일한 격벽 (23) 의 방 (41) (발전기실) 측에 접하며, 또한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31aa) (31bb) 이 측벽 (20a) (20b) 과 접하고 있다.
1 : 선박
2 : 제어 장치
10 : 선체
10B : 선저
11 : 2 중 바닥 상갑판
13 : 건현 갑판
12, 14, 15, 16, 17 : 갑판
20a : 좌현측의 측벽 (측벽)
20b : 우현측의 측벽 (측벽)
21a, 21b : 라운지 벌크헤드 격벽
22, 23, 24, 25 : 격벽
30a, 30b, 31a, 31b, 31aa, 31bb, 32a, 32b, 32aa, 32bb, 33a, 33b :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
41 : 방 (발전기실)
42 : 방 (주기실)
43 : 방 (축실)
45 : 밸브
61 : 선수 현측 램프웨이
62 : 선미 램프웨이
63, 64, 65 : 선내 램프
81 : 보이드 스페이스
83 : 해수 안내관
84 : 개폐 밸브
85, 86, 87 : 수밀 슬라이딩 도어
90 : 덕트
91, 92 : 배관
WL : 만재 흘수선

Claims (14)

  1. 좌우 현측의 측벽 및 선저와, 건현 갑판을 포함하는 복수의 갑판을 포함하는 선체와,
    상기 선체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선체의 내부를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에 대해 복수의 방으로 구획하는 격벽과,
    상기 복수의 방 중 적어도 1 개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건현 갑판보다 하층의 갑판 또는 상기 선저로부터 상기 건현 갑판까지의 공간을 구획하며, 또한 상기 측벽 및 상기 격벽에 접하는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을 구비하고,
    상기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은, 상기 건현 갑판보다 높아지도록 융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2. 좌우 현측의 측벽 및 선저와, 건현 갑판을 포함하는 복수의 갑판을 포함하는 선체와,
    상기 선체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선체의 내부를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에 대해 복수의 방으로 구획하는 격벽과,
    상기 복수의 방 중 적어도 1 개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건현 갑판보다 하층의 갑판 또는 상기 선저로부터 상기 건현 갑판까지의 공간을 구획하며, 또한 상기 측벽 및 상기 격벽에 접하는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을 구비하고,
    상기 선체는, 선수측에 상기 좌우 현측의 측벽 각각의 내측에 상기 좌우 현측의 측벽을 따라 라운지 벌크헤드 격벽을 구비하고, 상기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은, 상기 선체의 내측에 상기 라운지 벌크헤드 격벽이 없는 좌우 현측의 측벽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3. 좌우 현측의 측벽 및 선저와, 건현 갑판을 포함하는 복수의 갑판을 포함하는 선체와,
    상기 선체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선체의 내부를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에 대해 복수의 방으로 구획하는 격벽과,
    상기 복수의 방 중 적어도 1 개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건현 갑판보다 하층의 갑판 또는 상기 선저로부터 상기 건현 갑판까지의 공간을 구획하며, 또한 상기 측벽 및 상기 격벽에 접하는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을 구비하고,
    상기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의 상방에는 덕트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은, 상기 좌현측의 측벽과 상기 격벽에 접하는 좌방의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과, 상기 우현측의 측벽과 상기 격벽에 접하는 우방의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방 중 적어도 1 개의 내부는, 발전기실, 주기실 및 축실 중 적어도 1 개의 내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은, 상기 격벽과 상기 좌현측의 측벽 사이와, 상기 격벽과 상기 우현측의 측벽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은, 상기 격벽을 사이에 두고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 전후에 배치되는 각각의 상기 방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은, 상기 격벽을 사이에 두고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 전후에 배치되는 방의 양방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은, 상기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이 설치되는 상기 방보다 용적이 작으며, 또한 좌현측의 측벽 또는 우현측의 측벽으로부터 선체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선체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가, 만재 흘수선에 있어서의 상기 선체의 폭의 1/10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10.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의 상면은, 상기 건현 갑판이상이 되도록 융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11.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은, 상기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이 설치되는 상기 방보다 용적이 작으며, 또한 상기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의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의 치수는, 높이 방향의 침수 범위를 제한하는 갑판의 전체 길이, 또는 만재 흘수선보다 하방에 있어서의 상기 선체의 투영 길이의 전단과 후단간의 길이를 비교하여 큰 쪽의 길이의 3/100 과, 3 m 를 비교하여 큰 쪽의 길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12.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에 액체를 주입하는 배관에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는, 상기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13.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은, 상기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에 침수된 물을, 상기 건현 갑판보다 하층의 갑판으로 구획되는 2 중 바닥으로 유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1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침수 억제 수밀 구획실과, 상기 복수의 방 중 적어도 1 개의 내부를 연결하는, 수밀 슬라이딩 도어, 수밀 해치 및 밸브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KR1020147033221A 2012-06-27 2013-06-26 선박 KR1016262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44769 2012-06-27
JP2012144769A JP5596084B2 (ja) 2012-06-27 2012-06-27 船舶
PCT/JP2013/067511 WO2014003055A1 (ja) 2012-06-27 2013-06-26 船舶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3202A KR20150013202A (ko) 2015-02-04
KR101626242B1 true KR101626242B1 (ko) 2016-05-31

Family

ID=49783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3221A KR101626242B1 (ko) 2012-06-27 2013-06-26 선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278732B2 (ko)
EP (2) EP2868569B1 (ko)
JP (1) JP5596084B2 (ko)
KR (1) KR101626242B1 (ko)
CN (1) CN104349976B (ko)
WO (1) WO20140030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06771B2 (ja) * 2014-04-30 2017-10-0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船舶
JP5602326B1 (ja) * 2014-06-05 2014-10-08 株式会社エクサ 船舶設計支援プログラム
JP6410532B2 (ja) * 2014-09-05 2018-10-24 ジャパンマリンユナイテッド株式会社 船舶の復原力回復構造及びこれを備えた船舶
JP6226852B2 (ja) * 2014-11-10 2017-11-0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船舶
JP6304554B2 (ja) * 2015-01-07 2018-04-0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船舶
JP2017052311A (ja) * 2015-09-07 2017-03-16 三井造船株式会社 船舶
WO2017064748A1 (ja) * 2015-10-13 2017-04-2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船舶
JP6692207B2 (ja) * 2016-04-27 2020-05-13 三菱造船株式会社 船舶
CN105836051A (zh) * 2016-05-25 2016-08-10 中国海洋石油总公司 一种适用于浮式生产储油装置的折线型舱壁
JP6666219B2 (ja) * 2016-09-06 2020-03-13 三菱造船株式会社 船舶、船舶の復原性確保方法
SE542010C2 (en) * 2016-10-06 2020-02-11 Bassoe Tech Ab Ship
JP6685946B2 (ja) * 2017-01-31 2020-04-22 三菱造船株式会社 浸水防止構造及びこれを備えた船舶
JP6654587B2 (ja) * 2017-02-21 2020-02-26 ジャパンマリンユナイテッド株式会社 車両運搬船
JP2019026083A (ja) * 2017-07-31 2019-02-21 三井E&S造船株式会社 船形構造物
JP7370885B2 (ja) * 2020-01-31 2023-10-30 三菱造船株式会社 船舶
JP2022011719A (ja) * 2020-06-30 2022-01-17 三井E&S造船株式会社 液化ガス運搬船
CN112918615B (zh) * 2021-03-12 2022-02-15 中国船舶科学研究中心 一种沿海短途客船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11892U (ko) * 1974-02-20 1975-09-11
JPS52143689A (en) * 1976-05-24 1977-11-30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Tanker
GB8826847D0 (en) * 1988-11-17 1988-12-21 Brown J G Vehicle ferry vessel having enhanced flooding survival capability combined with unimpeded flow of no road traffic
WO1992010396A1 (en) * 1990-12-05 1992-06-25 William Stuart Watercraft hull modification
US5582124A (en) * 1995-07-26 1996-12-1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Hybrid framing system for vessels
DE69804136D1 (de) * 1997-12-03 2002-04-11 Ima Internat Maritime Advisers Transportschiff
JP2001001981A (ja) 1999-06-18 2001-01-09 Mitsubishi Heavy Ind Ltd 船舶の船体構造
JP3435433B2 (ja) * 2000-05-19 2003-08-11 株式会社新来島どっく 多目的貨物船の船倉配置構造
JP2003137168A (ja) * 2001-10-31 2003-05-14 Ihi Marine United Inc 旅客船兼自動車航送船の機関区域構造
JP3914540B2 (ja) * 2004-04-19 2007-05-16 株式会社新来島どっく 貨物船
JP4814120B2 (ja) * 2007-02-21 2011-11-1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船舶の復原力回復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自動車運搬船
WO2010018618A1 (ja) * 2008-08-12 2010-02-1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船舶の復原力回復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自動車運搬船
JP2012131242A (ja) * 2010-12-18 2012-07-12 Mitsubishi Heavy Ind Ltd 船舶
JP6304554B2 (ja) * 2015-01-07 2018-04-0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船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05570B1 (en) 2018-10-31
KR20150013202A (ko) 2015-02-04
CN104349976A (zh) 2015-02-11
US20150122166A1 (en) 2015-05-07
EP2868569A1 (en) 2015-05-06
EP2868569A4 (en) 2016-11-02
EP3205570A1 (en) 2017-08-16
US9278732B2 (en) 2016-03-08
JP2014008805A (ja) 2014-01-20
WO2014003055A1 (ja) 2014-01-03
EP2868569B1 (en) 2020-08-12
CN104349976B (zh) 2017-05-31
JP5596084B2 (ja) 2014-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6242B1 (ko) 선박
JP5931602B2 (ja) 船舶
JP5863904B2 (ja) 船舶
KR101066670B1 (ko) 흘수조절이 자유로운 유동 밸러스트구조를 구비한 공기쿠션선박
JP6041940B2 (ja) 船舶
JP6304554B2 (ja) 船舶
JP6021750B2 (ja) 船舶の区画構造
JP2018138436A (ja) 船舶
JP5894240B2 (ja) 船舶
KR101757274B1 (ko) 로우어 카고 홀드 침수 방지용 수밀 장치를 구비한 선박
JP6104563B2 (ja) 車両運搬船
JP6241669B2 (ja) 船舶
JP5536254B2 (ja) 船舶
JP2017197013A (ja) 船舶
WO2024135052A1 (ja) 船舶
JP2006123814A (ja) 船舶
JP6492350B2 (ja) カーフェリー
JP6734381B2 (ja) 船舶
JP2012131242A (ja) 船舶
JP6685946B2 (ja) 浸水防止構造及びこれを備えた船舶
JP5148834B2 (ja) オープンバルカー型貨物船
JP2024090910A (ja) 船舶
WO2023199859A1 (ja) 船舶
WO2001014205A1 (en) Ventilation systems for water-borne vessels
JP2023106751A (ja) 船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