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4881B1 - 인쇄 장치 및 인쇄 장치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인쇄 장치 및 인쇄 장치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4881B1
KR101624881B1 KR1020130070760A KR20130070760A KR101624881B1 KR 101624881 B1 KR101624881 B1 KR 101624881B1 KR 1020130070760 A KR1020130070760 A KR 1020130070760A KR 20130070760 A KR20130070760 A KR 20130070760A KR 101624881 B1 KR101624881 B1 KR 101624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
data
processing
sheet
pr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0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43502A (ko
Inventor
요시지 가나모토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43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3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4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4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26Duplicate, alternate, selective, or coacting fee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6Job scheduling, e.g. queuing, determine appropriate device
    • G06F3/1264Job scheduling, e.g. queuing, determine appropriate device by assigning post-processing resou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24Pile receivers multiple or compartmented, e.d. for alternate, programmed, or selective f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3/00Forming counted batches in delivery pile or stream of articles
    • B65H33/06Forming counted batches in delivery pile or stream of articles by displacing articles to define batches
    • B65H33/08Displacing whole batches, e.g. forming stepped p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3/00Forming counted batches in delivery pile or stream of articles
    • B65H33/06Forming counted batches in delivery pile or stream of articles by displacing articles to define batches
    • B65H33/10Displacing the end articles of a ba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3/00Use of control, check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devices comprising an element for sensing a vari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20Controlling associated apparat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91Pool of printer devices: self-managing printing devices in a network, e.g. without a serv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40Details not directly involved in printing, e.g. machine management, management of the arrangement as a whole or of its constitutive parts
    • G06K15/4025Managing optional units, e.g. sorters, document feeders
    • G06K15/403Managing optional units, e.g. sorters, document feeders handling the outputted documents, e.g. staplers, so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1Forming a pile
    • B65H2301/4213Forming a pile of a limited number of articles, e.g. buffering, forming bu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1Forming a pile
    • B65H2301/4219Forming a pile forming a pile in which articles are offset from each other, e.g. forming stepped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8/00Specific machines
    • B65H2408/10Specific machines for handling sheet(s)
    • B65H2408/11Sorters or machines for sor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40Identification
    • B65H2511/415Identification of jo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24Post -processing devices
    • B65H2801/27Devices located downstream of office-type machin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886Sorting or discharging
    • G03G2215/00894Placing job divider she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배송처가 동일한 시트 번들마다 구분을 부가하여 시트 번들을 배출함으로써, 사용자의 소트 부담을 경감한다. 인쇄 장치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미리 결정된 정보를 포함하는 잡을 실행하여 시트에 화상을 인쇄하며, 상기 잡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미리 결정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잡을 실행하여 인쇄된 시트가 당해 시트 이전에 배출된 시트의 위치와는 다른 위치에 배출된다.

Description

인쇄 장치 및 인쇄 장치의 제어 방법{PRIN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PRIN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시트 처리를 실시하는 인쇄 장치 및 인쇄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인쇄 장치에서는, 서로 다른 복수의 출력물을 순차적으로 생성하고, 이들을 단일의 번들로 취급하고자 하는 요구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본사와 복수의 지사가 존재하고, 본사에서 인쇄를 취급하며 각 지사를 위한 문서가 생성되고, 지사 단위로 그 문서가 배송되는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 문서의 내용은 지사별로 특화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경우들, 예컨대, 본사와 지사(A, B, C)들이 존재하는 경우와, 문서(D, E, F, G, H, I, J, K, L)들이 있으며 상기 문서가 다음과 같이 각 지사에 배송되는 경우를 상정한다.
지사 A : D, E, F
지사 B : G, H
지사 C : I, J, K, L
본사에 설치된 인쇄 센터에서는, 상기 지사마다 배송되는 총 9 종의 문서(D, E, F, G, H, I, J, K, L)를 상기 인쇄 센터 내에 설치된 디지털 프린터로 인쇄한다. 그러나, 배송처(D, E, F, G, H, I, J, K, L)를 소트(sorting)할 때, 효율성을 고려하여 지사별로 문서를 연속적으로 출력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예를 들면, 배송처가 지사 A인 문서(D, E, F)를 연속적으로 처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처리하지 않을 경우, 예를 들면, D, E, G, H, F 등의 순서로 문서를 출력하면, 배송처가 지사 B인 문서가 지사 A로 배송되어야 하는 문서에 혼합된다. 이 경우, 배송 전에, 사용자는 지사 B로의 배송을 위한 인쇄 대상 데이터(G, H)를 출력물로부터 제거하는 처리를 실시하여야만 한다.
이러한 작업은 귀찮을 뿐만 아니라 인적 실수 등을 초래할 위험이 있고 매우 비효율적이다. 각각의 배송처에 대해 문서를 연속적으로 출력할 필요성은 위와 같은 이유 때문이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8-150204호는 하나의 문서를 하나의 잡(job)으로서 접수하고 잡별로 출력물을 소트하여 배출하는 인쇄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디지털 프린터를 사용하여 복수의 배송처에 대해 다른 종류의 출력물을 연속적으로 생성하는 목적 및 그에 따라 얻어지는 편리성은 배경기술에 기재한 바와 같다. 그러나, 전술한 경우에서, 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하는 것을 고려하면, 편리성을 향상시킬 때, 더욱더 문제점이 존재한다.
상술한 예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배송처인 지사 A에 문서(D, E, F), 지사 B에 문서(G, H), 지사 C에 문서(I, J, K, L)가 이 순서대로 디지털 프린터에 의해 각각 출력된다고 상정한다. 디지털 프린터의 배출 유닛에는 D, E, F, G, H, I, J, K, L의 순서로 출력물이 적재된다.
이 상태에서는, 문서가 배송처별로 연속적으로 출력되었기 때문에, 배경기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배송처별 인쇄물에 다른 배송처의 출력물이 혼재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배출 유닛에 9개의 문서(D 내지 L)가 균일하게 적재되면, 적재된 출력물을 배송처 단위로 소트할 때, 문서들 간의 경계부를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없다.
따라서, 사용자는 인쇄물의 내용을 확인하면서 주의 깊게 인쇄물들 간의 경계 및 배송처들 간의 경계부를 찾아야만 하는 귀찮은 작업을 실시해야 한다. 즉, 배송처별 인쇄물에 다른 배송처의 인쇄물이 혼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균일하게 적재된 인쇄물의 번들을 배송처별 인쇄물로 균일하게 소트하는 작업은 여전히 어려운 작업을 수반한다.
디지털 프린터는, 일본 특허 공개 제2008-15020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잡의 출력물을 배출할 때마다 출력물을 시프트하여 배출하는 기능 및 한 부의 출력물을 배출할 때마다 출력물을 시프트하여 배출하는 소트 기능을 갖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 프린터의 소트 기능을 이용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각 배송처로 문서(D, E, F, G, H, I, J, K, L)를 출력하는 경우에도, 그러한 문제점은 해결될 수 없다. 소트 기능을 이용하여 모든 문서를 시프트된 상태로 배출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문서들 간의 경계부를 잘못 소트할 우려는 줄일 수 있다. 그러나, 배송처를 식별하는 것은 여전히 어렵다. 즉, 본래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문서를 소트하여야 하지만,
지사 A : D, E, F
지사 B : G, H
지사 C : I, J, K, L
지사 단위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문서가 잘못 소트될 가능성이 있다.
지사 A : D, E
지사 B : F, G, H, I
지사 C : J, K, L
상기 오류는 단지 예일 뿐이다. 배송처들 간의 경계가 적재된 출력물의 번들에서 모호하기 때문에, 특정 지사의 문서가 잘못하여 다른 지사의 출력물 번들로 소트될 다른 가능성도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배송처별 소트 처리를 정확하게 실시하기 위해서는, 소트 처리를 실시하는 작업자가 어떤 문서가 어떤 배송처로 배송되어야 하는지를 정확하게 인식한 후 신중하게 작업을 실시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작업은 어려우며, 인적 실수가 쉽게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사로부터 각 지사로 인쇄물을 소트하는 경우를 구체적인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다른 유사한 경우가 많이 존재한다. 즉, 다른 예로서, 인쇄 센터에서, 복수의 배송처에 개인들이 대응되는 경우가 있다. 개인 정보를 포함한 인쇄물의 오배송은 최대한 피해야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인쇄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인쇄 장치는, 미리 결정된 정보를 포함하는 잡을 실행하여 시트에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 수단과, 상기 잡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미리 결정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잡을 실행하여 인쇄된 시트 및/또는, 적절한 경우, 상기 미리 결정된 정보에 기초한 구분을 나타내는 시트를 포함하여, 당해 인쇄된 시트 이전에 배출된 시트들의 배출을 제어 하도록 상기 인쇄 유닛이 구성되는 방식으로, 제어 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기 잡을 실행하여 인쇄된 시트는 당해 시트 이전에 배출된 시트의 위치와는 다른 위치에 배출된다. 대안적으로, 구분을 나타내는 시트를 상기 잡을 실행하여 인쇄된 시트와 당해 시트 이전에 배출된 시트 사이에 삽입한다.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하기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이 명백해질 것이다. 하기된 본 발명의 각각의 실시예들은 단독으로 실시되거나, 각 실시예들로부터의 요소들 또는 특징들이 단일의 실시예로 조합되는 것이 유리한 경우 또는 필요한 경우, 복수의 실시예들 또는 그 특징들의 조합으로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인쇄 장치를 적용하는 인쇄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디지털 프린터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컴퓨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조작 유닛의 일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나타낸 ROM에 저장된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낸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3에 나타낸 CRT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3에 나타낸 CRT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3에 나타낸 CRT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3에 나타낸 CRT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3에 나타낸 CRT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3에 나타낸 CRT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3에 나타낸 CRT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3에 나타낸 CRT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인쇄 장치에서 취급되는 인쇄 잡 데이터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의 소트 명령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디지털 프린터의 배지 장치의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정보 처리 장치의 데이터 처리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9는 정보 처리 장치의 데이터 처리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0은 인쇄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1은 인쇄 장치에서 처리되는 인쇄 잡 데이터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정보 처리 장치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3은 도 3에 나타낸 CRT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도 3에 나타낸 CRT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정보 처리 장치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시스템 구성 설명>
[제1 실시예]
도 1은 본 실시예를 나타내는 인쇄 장치가 적용되는 인쇄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도면은 POD(프린트 온 디맨드) 시장에서 사용하기 위한 디지털 프린터 및 디지털 프린터를 이용한 시스템의 예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100)를 통해 디지털 프린터(102)와 컴퓨터(101)가 연결된 시스템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서, 디지털 프린터(102)는 서로 다른 역할을 하는 복수의 장치가 상호 연결되어 복잡한 시트 처리를 실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인쇄 장치를 구성하는 각 부분에 대해 설명한다.
디지털 인쇄 유닛(1000)은 압축 해제된 화상 데이터를 후술하는 급지 유닛에 적재된 시트에 반송하고, 상기 시트에 토너를 사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장치이다. 이하, 프린터 유닛의 일반적인 구성과 동작 원리에 대해 설명한다.
회전 다면경(폴리곤 미러 등)이 화상 데이터에 따라 변조된 레이저 빔과 같은 광선을 입사시키고, 반사 미러를 통해 상기 광선을 반사 주사광으로서 감광 드럼에 조사한다. 상기 레이저 빔에 의해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잠상이 토너로 현상되며, 토너 화상이 전사 드럼에 부착된 시트재, 즉 시트에 전사된다. 이러한 일련의 화상 형성 프로세스를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 토너에 대해 순차적으로 실행함으로써, 풀 컬러 화상을 형성한다. 또한, 4색의 토너 이외에, "스폿 컬러(spot color)"라 칭하는 토너, 투명 토너 등을 전사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풀 컬러 화상이 형성된 전사 드럼 상의 시트재는 정착 디바이스로 반송된다. 정착 디바이스는 롤러와 벨트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할로겐 히터 등과 같은 열원을 내장하고 있다. 정착 디바이스에서, 토너 화상이 전사된 시트재 상의 토너를 열과 압력으로 용융시켜 정착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프린터(102)의 디지털 인쇄 유닛(1000)에는 스캐너(224)와 조작 유닛(204)이 구비되어 있다. 조작 유닛(204)은 디지털 인쇄 유닛(1000)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다. 조작 유닛(204)은, 본 실시예를 나타내는 디지털 인쇄 유닛(1000)의 각종 설정이나 조작 등을 작업자가 실시할 경우, 각종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디지털 프린터(102)는, 디지털 인쇄 유닛(1000) 이외에, 각종 관련 장치가 장착될 수 있는 형태로 인라인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대용량 급지 장치(221, 222, 223)는 본체에 대해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된 급지 장치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급지 장치가 장착될 수 있다. 급지 장치들은 복수의 급지 카세트(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를 각각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대용량 급지 장치가 장착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디지털 프린터(102)는 대용량의 인쇄 처리 실행 중에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대용량 스태커(225, 226)는 배출된 대량의 인쇄된 시트를 각각 내부에 적재하기 위한 장치이다. 급지 장치(221, 222, 223)를 가진 인쇄 장치에서는, 생성되는 출력물도 필연적으로 대용량이기 때문에, 이러한 급지 장치가 필요하다. 도 1에 나타낸 본 실시예의 구성에 따르면, 총 2개의 대용량 스태커(225, 226)가 연결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대용량 스태커(225, 226)에 대해 설명하면, 작업자의 명시적 조작에 의해 내부 적재 트레이에 적재된 시트를 취출하기 위한 외부 커버의 개방 처리를 지시할 수 있다. 동시에, 대용량 스태커는 디지털 인쇄 유닛(1000)으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자동으로 외부 커버를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외부 커버의 개방 처리가 실시되는 경우에는, 대용량 스태커는 당해 대용량 스태커(225, 226)에 인쇄된 시트를 적재하는 처리가 사전에 정지되도록 제어된다.
또한, 대용량 스태커(225, 226)는, 인쇄된 시트를 적재할 때, 임의의 시트에 대해 적재 위치를 시프트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에 따라, 대량으로 적재된 시트를 미리 결정된 번들 단위로 나중에 작업자가 취출할 때 실행하는 소트 처리를 쉽게 할 수 있다.
접음 장치(232)는 새들-접음(saddle-folding), Z 접음, 3 접음, 4 접음 등의 각종 복잡한 접음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장치이다.
중철 제본기(227)는 디지털 인쇄 유닛(1000)으로부터의 시트에 대해 다음과 같은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즉, 스테이플 처리; 제본 출력물을 생성할 때 실시하는 중철, 새들 접음 및 펀칭 처리; 임의의 시트에 적재 위치를 시프트하는 시프트 시트 배출 처리 등을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나타낸 디지털 프린터(102)에서는, 중철 제본기(227)를 사용하여 중철 제본 출력물을 생성할 때, 접음 장치(232)의 접음 기능은 이용하지 않고, 중철 제본기가 구비한 중철 기능과 새들 접음 기능의 조합을 이용하여 출력물 생성한다. 재단 장치(230)는 중철 제본기(227)에서 중철된 제본 출력물을 반송하고, 에지부에 해당하는 부분을 재단하여, 에지를 평면 상에 형성하기 위한 장치이다.
삽입기(228)는 프린터 유닛으로부터 보내지는 시트에 대하여 설정에 기초한 적절한 타이밍에 삽입기 내에 유지된 시트를 삽입하는 기능을 가진 유닛이다. 삽입기(228)에 의해, 인쇄를 필요로 하지 않는 시트를 인쇄된 시트들 사이에 삽입할 수 있다. 대용량 급지 장치(221, 222, 223)와 마찬가지로, 대용량의 인쇄 처리에도 견딜 수 있도록 복수의 삽입기(228)들이 구비된다.
케이스 제본기(229)는 디지털 인쇄 유닛(1000)에 의해 인쇄되거나 삽입기(228)에 의해 삽입된 시트 번들에 대해 표지를 접합하여 케이스 제본 출력물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이다. 표지를 접합하지 않고 접합 제본을 실시하는 가공 처리에 해당하는 상부 접합 제본 처리도 케이스 제본기(229)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제본기(229)는 적어도 케이스 제본 처리를 실시할 수 있는 시트 처리 장치이기 때문에, "케이스 제본기"라 칭한다.
디지털 프린터(102)는 디지털 인쇄 유닛(1000)을 경계로 설정하여 3개의 주요 부분으로 대별될 수 있다. 도 1에서 디지털 인쇄 유닛(1000)의 우측에 배치된 장치를 "급지계 장치"라 한다. 급지계 장치의 주요 역할은 장치 내에 적재된 시트를 적절한 타이밍에 지속적으로 디지털 인쇄 유닛(1000)에 공급하는 것이다.
또한, 장치 내에 적재된 시트의 잔량 검출 등도 실시한다. 디지털 인쇄 유닛(1000) 내부에도 급지 카세트(231)가 존재하며, 기능적으로는 급지계 장치의 처리에 상응하는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디지털 인쇄 유닛(1000) 자체를 위해 구비된 급지 카세트(231)를 "급지계 장치"라고도 칭한다.
도 1에서 디지털 인쇄 유닛(1000)의 좌측에 배치된 장치를 "시트 후처리 장치"라 한다. 시트 후처리 장치는 인쇄 처리가 완료된 시트에 대해 각종 가공 처리를 실행하고, 그 시트들을 수집하는 처리 등을 실시한다.
전술한 급지계 장치 및 시트 후처리 장치를 이후의 설명에서 포괄적으로 "시트 처리 장치(200)"라 한다.
컴퓨터(101)는 네트워크(100)를 통해 디지털 프린터(102)에 연결된 범용 컴퓨터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서, 컴퓨터(101)은 각종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디지털 프린터(102)에는 인쇄 잡(인쇄 대상 화상 데이터 및 인쇄 설정)이 송신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디지털 프린터(102)의 내부 구성(주로, 소프트웨어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디지털 프린터(102)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본 예에서는 디지털 프린터(102)가 시스템 블록 레벨 단위로 분할되어 있기 때문에, 도 1에 도시된 장치 구성의 단위와 항상 대응하지는 않는 부분이 존재한다.
도 2에서, 디지털 프린터(102)는 자체 장치 내부에 복수의 처리 대상이 되는 잡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하드 디스크(209)(이하, "HDD"라고도 함)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드 디스크(209)를 이용한 디지털 프린터(102)의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저장 디바이스는, 유사한 대용량의 비휘발성 저장 디바이스라면, HDD(209)에 한정되지 않는다.
디지털 프린터(102)는 디지털 프린터(102) 자체를 위해 구비된 스캐너 유닛(201)으로부터 수신한 잡 데이터를 상기 HDD(209)를 통해 프린터 유닛(203)으로 인쇄하는 복사 기능을 더 구비한다. 또한, 디지털 프린터(102)는 외부 장치로부터 통신 유닛의 일 예에 해당하는 외부 I/F 유닛(202)을 통해 수신한 잡 데이터를 HDD(209)를 통해 프린터 유닛(203)으로 인쇄하는 인쇄 기능 등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디지털 프린터(102)는 이러한 복수의 기능을 구비한 MPF 타입의 인쇄 장치("화상 형성 장치"라고도 함)이다.
즉, 본 실시예의 디지털 프린터(102)는,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각종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면, 컬러 화상을 인쇄할 수 있는 인쇄 장치 또는 흑백 화상을 인쇄할 수 있는 인쇄 장치와 같은 임의의 구성을 가진 장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디지털 프린터(102)는 원본 화상을 판독하고 판독된 화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스캐너 유닛(201)을 구비한다. 또한, 디지털 프린터(102)는 팩시밀리, 네트워크 접속 장비 및 외부 전용 장치에 대해 화상 데이터 등을 송신/수신하는 외부 I/F 유닛(202)을 구비한다. 또한, 디지털 프린터(102)는 스캐너 유닛(201) 또는 외부 I/F 유닛(202)으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인쇄 대상 잡의 화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HDD(209)를 구비한다.
HDD(209)에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프린터(102)에 의해 저장, 변경 및 관리되는 각종 관리 정보 등도 저장된다.
또한, 디지털 프린터(102)는 HDD(209)에 저장된 인쇄 대상 잡의 데이터의 인쇄 처리를 인쇄 매체에 대해 실행하는 프린터 유닛(203)을 구비한다. 또한, 디지털 프린터(10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의 일 예에 해당하는 표시 유닛을 가진 조작 유닛(204)도 구비한다.
디지털 프린터(102)가 구비한 제어 유닛의 일 예에 해당하는 컨트롤러 유닛("제어 유닛" 또는 "CPU"라고도 함)(205)은 디지털 프린터(102)가 구비한 각종 유닛의 처리 및 동작 등을 통합적으로 제어한다. ROM(207)에는 후술하는 흐름도에 나타낸 각종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본 실시예에서 필요로 하는 각종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ROM(207)에는 도시된 UI 표시 화면(이하, "UI 표시 화면"이라 한다)을 포함한 각종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화면을 조작 유닛(204)의 표시 유닛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 제어 프로그램도 저장되어 있다.
컨트롤러 유닛(205)은 ROM(207)으로부터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본 실시예에서 후술하는 각종 동작이 디지털 프린터(102)에 의해 실행되도록 한다. 외부 I/F 유닛(202)을 통해 외부 장치(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수신된 PDL(페이지 기술 언어) 코드 데이터를 해석하고 래스터 화상 데이터(비트맵 화상 데이터) 등으로 전개하는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도 ROM(207)에 저장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외부 I/F 유닛(202)을 통해 외부 장치(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수신된 인쇄 잡을 해석하고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램도 ROM(207)에 저장되어 있다. 이 프로그램들은 소프트웨어에 의해 처리된다.
ROM(207)은 판독 전용 메모리로 구성되며, ROM(207)에는 부팅 시퀀스 및 폰트 정보 등의 프로그램과 전술한 프로그램 등과 같은 각종 프로그램이 미리 저장되어 있다. ROM(207)에 저장되는 각종 프로그램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RAM(208)은 판독과 기입이 가능한 메모리이며, 스캐너 유닛(201)과 외부 I/F 유닛(202)으로부터 송신된 화상 데이터, 각종 프로그램 및 설정 정보를 저장한다.
HDD(209)는 압축/압축 해제 유닛(210)에 의해 압축된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대용량 저장 디바이스이다. HDD(209)에는 처리 대상 잡의 인쇄 데이터 등과 같은 복수의 데이터가 보관될 수 있다. 컨트롤러 유닛(205)은 스캐너 유닛(201) 및 외부 I/F 유닛(202) 등과 같은 각종 입력 유닛을 통해 입력된 처리 대상 잡의 데이터를 HDD(209)를 통해 프린터 유닛(203)에서 인쇄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또한, 컨트롤러 유닛(205)은 외부 I/F 유닛(202)을 통해 외부 장치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전술한 HDD(209)에 저장된 처리 대상 잡의 데이터의 각종 출력 처리가 실행될 수 있도록 컨트롤러 유닛(205)에 의해 제어된다.
압축/압축 해제 유닛(210)은 JBIG 및 JPEG 등과 같은 다양한 압축 방식들 중 임의의 압축 방식으로 RAM(208)과 HDD(209)에 저장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에 대해 압축/압축 해제 동작을 실행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인쇄 시스템에 구비된 제어 유닛의 일 예로서 제공되는 컨트롤러 유닛(205)이 각 시트 처리 장치(200)의 동작도 제어한다. 상기 시트 처리 장치(200)는 도 1에 개시된 급지계 장치 및 시트 후처리 장치에 해당한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컴퓨터(101)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에서, CPU(301)는 ROM(303)의 프로그램 ROM에 저장되거나 HDD(311)로부터 RAM(302)에 로드된 OS, 일반 애플리케이션, 제본 애플리케이션 등과 같은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RAM(302)은 CPU(301)의 주메모리, 작업 영역 등으로서 기능한다. 키보드 컨트롤러(KBC)(305)는 키보드(309) 또는 포인팅 디바이스(도시되지 않음)로부터의 키 입력을 제어한다.
CRT 컨트롤러(CRTC)(306)는 CRT 디스플레이(310)의 표시를 제어한다. 디스크 컨트롤러(DKC)(307)는 부팅 프로그램, 각종 애플리케이션, 폰트 데이터, 사용자 파일 등이 저장되어 있는 HDD(311), 플로피(등록 상표) 디스크(FD) 등에 대한 접근을 제어한다. CRTC는 접속된 디지털 인쇄 유닛(1000)에 대한 신호의 교환을 제어한다. NC(312)는 네트워크에 접속되며, 네트워크에 접속된 다른 기기와의 통신을 제어 하는 통신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조작 유닛(204)의 일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조작 유닛(204)은 하드웨어 키를 사용하여 실행되는 사용자 조작을 수신할 수 있는 키 입력부(402)와, 소프트웨어 키(표시 키)를 사용하여 실행되는 사용자 조작을 수신할 수 있는 표시 유닛의 일 예로서 제공되는 터치 패널부(401)를 갖는다.
도 4의 터치 패널부(401)의 표시 유닛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은 표시 유닛을 통해 컨트롤러 유닛(205)이 실행하는 각종 표시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사용자로부터의 조작 또는 장비의 각종 상태에 따라 표시 화면이 표시 유닛에 표시되고, 표시 화면으로부터 조작할 수 있는 항목은 변화한다.
도 5는 도 2에 나타낸 ROM(207)에 저장되는 모듈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이 도면은 디지털 프린터(102)의 컨트롤러 유닛(205)에 의해 판독되어 실행되는 각종 프로그램 및 상기 프로그램 등에 의해 사용되는 데이터를 예시한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ROM(207)에는 디지털 프린터(102)가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도 5에서, 부트 로더(boot loader)(501)는 디지털 프린터(102)의 전원이 턴 온된 직후에 실행되는 프로그램이다. 부트 로더(501)에는 시스템 활성화에 필요한 각종 활성화 시퀀스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포함된다.
오퍼레이팅 시스템(502)은 디지털 프린터(102)의 기능을 실현하는 각종 프로그램의 실행 환경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오퍼레이팅 시스템(502)은 디지털 프린터(102)의 메모리, 즉 도 2의 ROM(207), RAM(208), 하드 디스크(209) 등의 자원(resource) 관리 및 도 2에 나타낸 각종 장치의 기본적인 입출력 제어 등과 같은 기능을 주로 제공한다.
데이터 송신/수신 프로그램(503)은 도 2의 외부 I/F 유닛(202)을 통해 데이터의 입출력 요구가 발생했을 때 실행되는 송신/수신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송신/수신 프로그램(503)은 TCP/IP 등과 같은 프로토콜 스택을 포함하고 있는 제어 프로그램이며, 네트워크(100)를 통해 접속된 외부 기기 등에 대해 각종 데이터가 송신/수신되는 통신을 실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여기서 실행되는 통신 처리는 디지털 프린터(102)와 외부 I/F 유닛(202) 간에 입출력되는 데이터 패킷의 송신/수신 레벨, HTTP 서버 등의 통신 처리로 제한되는 처리에 해당하다. 후술하는 수신된 데이터의 내용에 관한 분석 처리는 포함되지 않는다. 데이터 분석 처리는, 후술하는 컨트롤러 유닛(205)에 의해, 다른 프로그램의 기술 내용에 기초하여 실행된다.
JDF 기능 프로그램(504)은, JDF 잡 데이터(인쇄 잡 데이터)가 외부 I/F 유닛(202)을 통해 디지털 프린터(102)에서 수신된 경우, 조작 유닛(204)으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컨트롤러 유닛(205)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이다.
컨트롤러 유닛(205)에 의해 실행되는 JDF 인쇄 기능에서는, JDF 기능 프로그램(504)에 기술된 처리 순서와 처리 조건에 기초하여 컨트롤러 유닛(205)이 적절한 순서로 각 장치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지시한다. 이에 따라, JDF 인쇄 처리가 결국 실행된다.
그러한 장치로서, 도 2의 시트 처리 장치(200), 프린터 유닛(203), HDD(209), 압축/압축 해제 유닛(210), RAM(208) 등이 포함된다. 또한, 외부 I/F 유닛(202)을 통해 수신된 JDF 잡 데이터의 분석 처리, 분석 처리의 결과 JDF에 잘못된 설정이 포함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 처리 및 잘못된 설정을 해소하기 위한 설정 변경 등을 실행하는 프로그램도 포함된다.
복사 기능 프로그램(505)은, 조작 유닛(204)을 통해 디지털 프린터(102)의 사용자가 복사 기능의 실행을 지시할 때, 상기 조작 유닛(204)으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컨트롤러 유닛(205)에 의해 실행되는 복사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컨트롤러 유닛(205)에 의해 실행되는 복사 기능에서는, 프로그램에 기술된 처리 순서와 처리 조건에 기초하여 컨트롤러 유닛(205)이 적절한 순서로 각 장치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지시하도록, 디지털 프린터(102)의 자원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결국 복사 처리가 실행되도록 제어된다. 그러한 장치로서, 스캐너 유닛(201), 프린터 유닛(203), 시트 처리 장치(200), HDD(209), 압축/압축 해제 유닛(210), RAM(208) 등이 포함된다.
스캔 기능 프로그램(506)은, 조작 유닛(204)을 통해 디지털 프린터(102)의 사용자가 스캔 기능의 실행을 지시할 때, 조작 유닛(204)으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컨트롤러 유닛(205)에 의해 실행되는 스캔 기능을 실시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컨트롤러 유닛(205)에 의해 실행되는 스캔 기능은 다음과 같이 실행된다.
스캐너 유닛(201), HDD(209), 압축/압축 해제 유닛(210), RAM(208) 등과 같은 모듈이 프로그램에 기술된 처리 순서와 처리 조건에 기초하여 컨트롤러 유닛(205)에 의해 제어되도록, 디지털 프린터(102)의 자원이 제어된다. 이때, 적절한 순서로 이러한 각 장치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지시함으로써 결국 스캔 처리가 실행되도록 제어된다.
PDL 인쇄 기능 프로그램(507)은, PDL 잡 데이터(인쇄 잡 데이터)가 외부 I/F 유닛(202)를 통해 디지털 프린터(102)에서 수신된 경우, 조작 유닛(204)으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컨트롤러 유닛(205)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이다. 컨트롤러 유닛(205)에 의해 실행되는 PDL 인쇄 기능에서는, 프로그램에 기술된 처리 순서와 처리 조건에 기초하여 컨트롤러 유닛(205)이 적절한 순서로 각 장치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지시한다. 이에 따라, PDL 인쇄 처리가 결국 실행되도록 제어된다. 그러한 장치로서, 시트 처리 장치(200), 프린터 유닛(203), HDD(209), 압축/압축 해제 유닛(210), RAM(208) 등이 포함된다.
BOX 기능 프로그램(508)은, 조작 유닛(204)을 통해 디지털 프린터(102)의 사용자가 BOX 기능의 실행을 지시할 때, 조작 유닛(204)으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컨트롤러 유닛(205)에 의해 실행되는 BOX 기능을 실시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BOX 기능에서는, 프로그램에 기술된 처리 순서와 처리 조건에 기초하여 컨트롤러 유닛(205)이 적절한 순서로 각 장치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지시하도록, 디지털 프린터(102)가 제어되며, 이에 따라, BOX 처리가 실행된다. 그러한 장치로서, 스캐너 유닛(201), 프린터 유닛(203), 시트 처리 장치(200), HDD(209), 압축/압축 해제 유닛(210), RAM(208) 등이 포함된다. 저장된 잡 데이터에 대하여, 저장시의 설정을 변경하여 BOX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UI 제어 프로그램(509)은 도 2에 나타낸 조작 유닛(204)을 제어 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UI 제어 프로그램(509)은 디지털 프린터(102)의 사용자에 의해 조작 유닛(204)으로부터 입력된 내용을 식별하여, 적절한 표시 화면으로의 전환을 지시하고, 컨트롤러 유닛(205)에 대해 처리 요구를 지시한다.
시트 관리 프로그램(510)은 디지털 프린터(102)가 사용할 수 있는 시트에 관한 관리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에 의해 관리되는 시트 관련 정보는 이 프로그램의 처리에 의해 HDD(209)에 저장된다.
기타 제어 프로그램(511)은 상술한 프로그램 중 어느 것에도 해당하지 않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며, 각종 동작이 이에 포함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효과를 설명할 때 그들의 세부 사항은 중요하지 않기 때문에, 여기서 설명은 생략한다. 빈 공간(512)이 제공된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낸 각종 기능 프로그램에 있어서, 이 기능 프로그램들을 모두 구비할 필요는 없으며, 기능 프로그램들 중 일부 또는 전술한 프로그램들 이외의 기능 프로그램을 가진 구성도 사용할 수 있다. 어느 경우에서나 본 발명은 유효하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낸 컴퓨터(101)에 의해 실행되는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면은 도 1에 나타낸 컴퓨터(101)의 HDD(311)에 저장되어 CPU(301)에 의해 판독되어 실행되는 각종 프로그램의 예이다.
도 6에서, 부트 로더(601)와 오퍼레이팅 시스템(602)의 동작은 도 5의 인쇄 장치의 부트 로더(501)와 오퍼레이팅 시스템(502)의 동작과 유사하므로,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디바이스 드라이버(603)는 컴퓨터(101)에 접속된 각종 하드웨어를 제어 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KBC(305), CRTC(306), DKC(307) 등을 제어 하기 위한 프로그램도 포함된다.
인쇄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604)은, 컴퓨터에서 작동하고 POD 시스템 사용자에게 다양한 기능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그램의 총칭이다. 인쇄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604)은 인쇄 잡 데이터를 생성 또는 편집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인쇄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604)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설정 표시 화면(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설정된 각종 인쇄 사양을 대응하는 인쇄 설정으로 변환하는 기능도 갖고 있다. 또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인쇄 설정에 포함된 설정으로부터 해당 인쇄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604)의 설정 표시 화면상에 표시되는 항목을 제어 하기 위해 필요한 내부 정보로 변환할 수도 있다.
또한, 인쇄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604)은 HDD(311)에 저장되어 있는 인쇄 설정 파일을 선택하고 인쇄 잡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도 갖고 있다. 상기 인쇄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604)은 상술한 인쇄 설정으로서 PDL 명령 포맷 또는 JDF 포맷으로 변환하고, 인쇄 대상 데이터와 합성하여 인쇄 잡 데이터를 생성하는 능력도 갖고 있다.
네트워크 제어 프로그램(605)은, 상기 인쇄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604)에 의해 생성된 인쇄 잡 데이터가 네트워크(100)에 의해 접속된 디지털 프린터(102)에 송신될 때, 실행되는 프로그램이다.
네트워크 제어 프로그램(605)이, 인쇄 데이터의 송신, 송신 후 상기 컴퓨터(101)에 접속된 디지털 프린터(102)에 의해 실행되는 인쇄 잡의 진행 정보를 인쇄 처리의 진행 등으로서 취득하는 기능도 갖도록 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다. 기타 프로그램(607)은 상술한 프로그램 중 어느 것에도 해당하지 않는 모든 프로그램 군을 포함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도 3에 나타낸 CRT(310) 상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인쇄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604)과 관련하여, 이 도면은 도 3의 CPU(301)의 제어 하에 CRT(310) 상에 표시되는 애플리케이션 표시 화면(701)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표시 화면에 표시되는 각 유닛의 사양 및 관련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에서, 메뉴 바(702)는 인쇄 애플리케이션이 가진 각종 설정 및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표시부이다. 본 실시예의 애플리케이션은 풀-다운 메뉴 포맷으로 추가 세부 항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메뉴 바(702)와 메뉴 바에서 선택할 수 있는 풀-다운 메뉴의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표시 화면 영역(703)에는 인쇄 대상 데이터의 리스트가 나타난다. 상기 영역(703)의 상부에는 각 인쇄 대상 데이터의 정보 및 설정을 표시하기 위한 영역이 존재한다. 구체적으로, 잡 번호(704), 파일 명칭(705), 잡 소유자(706), 페이지 수(707), 부수(708), 배송처(709) 및 소트(710)의 각 정보가 구분되어 표시된다.
잡 번호(704)는 인쇄 대상으로서 제공되는 인쇄 대상 데이터가 인쇄 애플리케이션에 등록된 순서대로 고유하게 할당된 ID 정보이다. 인쇄 대상 데이터를 관리할 때 잡 번호(704)가 이용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는 본질적이지 않기 때문에,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파일 명칭(705)은 인쇄 대상으로서 제공되는 인쇄 대상 데이터의 파일 명칭을 표시하기 위한 영역이다. 파일 명칭(705)의 목적은 인쇄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가 인쇄 대상 데이터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잡 소유자(owner)(706)는 인쇄 애플리케이션에 인쇄 대상 데이터의 등록 처리, 즉 인쇄 처리 절차를 실행한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사용자에 의해 인쇄 대상 데이터가 일시적으로 등록되고, 이후의 타이밍에서 인쇄 처리를 일제히 실행하는 잡 홀드의 형태를 예시하고 있다.
따라서, 복수의 사용자가 임의의 타이밍에 인쇄 대상 데이터의 등록을 실행한다고 상정하는 경우를 고려하여, 등록된 인쇄 대상 데이터의 관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편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인쇄 대상 데이터의 표시란을 마련하였다.
단일의 사용자에 의해 인쇄 대상 데이터의 등록이 관리되는 경우 또는 복수의 작업자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작업자의 구별이 불필요한 사례에서는 상기 표시란이 불필요해지도록 인쇄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할 수도 있다.
페이지 수(707)는 인쇄 애플리케이션에 등록된 각 인쇄 대상 데이터에 포함된 인쇄 대상 페이지 수를 표시하기 위해 마련된 영역이다. 여기에 표시되는 정보는, 인쇄 애플리케이션이 구비한 기능에 의해, 인쇄 대상 데이터를 등록할 때, 등록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정보를 취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부수(708)는 인쇄 애플리케이션에 등록된 각 인쇄 대상 데이터에 인쇄할 때 지정된 인쇄 사양 중 부수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이다. 인쇄 대상 데이터의 등록시, 인쇄 사양의 설정 유닛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배송처(709)는 인쇄 애플리케이션에 등록된 각 인쇄 대상 데이터의 배송처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이다. 배송처(709)의 목적은 이후의 인쇄 처리에서 배송처 정보에 의해 소트 처리를 실시할 때 해당 정보가 이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인쇄 애플리케이션은 복수의 인쇄 대상 데이터를 당해 인쇄 애플리케이션에 축적하고, 이후의 타이밍에서 인쇄 잡 데이터를 일제히 변환하여 인쇄한다. 상기 인쇄 잡 데이터의 인쇄 처리시에, 배송처(709)의 란에 표시된 정보에 기초한 단위로 소트 처리가 실행되도록 제어가 이루어진다.
즉, 동일한 배송처의 정보를 가진 인쇄 대상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하나의 번들로서 인쇄 및 소트함으로써, 인쇄 처리 실행 완료 후의 성과물을 소트 단위로서 제공되는 각각의 배송처에 대해 블록 단위로 용이하게 분할할 수 있도록 한다.
배송처(709)는 그때의 소트 처리를 실현하기 위한 인쇄 잡 데이터를 구성할 때 이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마련된 정보이다. 인쇄시 배송처 단위로 소트 처리가 실행되기 때문에, 복수의 종류의 다른 인쇄 대상 데이터를 임의의 순서로 인쇄 애플리케이션에 등록한 경우에도, 배송처마다 출력물의 블록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즉, 작업자의 소트 실수로 인해 오배송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소트 단위로서 배송처를 상정한 경우에서의 인쇄 애플리케이션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배송처 이외의 다양한 소트 단위가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배송처(709)에 의해 나타낸 정보를 다른 소트 목적에 기초한 단위를 의미하는 정보로 대체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배송처의 문제를 해소하는 효과를 쉽게 설명할 수 있는 정보를 단지 예시하였다.
소트(710)는 해당 란이 선택된 인쇄 대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인쇄 잡 데이터 중 해당 페이지의 인쇄 개시시 소트 처리가 실행되도록 인쇄 애플리케이션에 지시하기 위한 정보를 설정하기 위해 마련된 필드이다. 인쇄 애플리케이션은 전술한 동작이 실행되도록, 인쇄 잡 데이터의 설정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크롤 바(712)는 도면에 나타낸 인쇄 애플리케이션의 잡 데이터 리스트 표시 화면 상에 데이터를 완전히 표시할 수 없는 경우에 표시 영역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를 하기 위해 사용된다. 총 문서 수(711)는 인쇄 애플리케이션에 등록되어 있는 인쇄 대상 데이터 수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이다.
본 실시예에서, 인쇄 애플리케이션의 예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동등한 기능을 가진 다른 구성도 사용될 수 있다. 도면에 표시된 각종 정보 중 일부 또는 전부를 반드시 애플리케이션 기능으로서 가질 필요는 없다. 즉, 인쇄 대상 데이터가 배송처 정보와 함께 관리되고, 소트 설정이 가능하면, 다른 구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8은 도 3에 나타낸 CRT(310)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면은 도 7에 도시된 메뉴 바(702) 중 편집 메뉴(801)를 선택했을 때 표시되는 풀-다운 메뉴 기능의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기능을 편집 메뉴(801)의 풀-다운 메뉴로부터 선택할 수 있지만, 여기에서는 주요 기능들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설정 변경 메뉴(802)는 선택된 인쇄 대상 데이터의 잡의 인쇄 설정을 변경할 때 선택된다. 본 예는 잡(804), 즉 잡 번호 0008의 잡이 선택되고 반전된 상태로 표시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 설정 변경 메뉴(802)를 선택함으로써, 해당 잡을 등록할 때 한 인쇄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소트 메뉴(803)에서는, 배송처(709)를 키로서 사용하여, 인쇄 애플리케이션에 등록되어 있는 인쇄 대상 데이터의 순서를 배송 순서로 변경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데이터 추가 메뉴(805)는 인쇄 애플리케이션으로 인쇄 대상 데이터를 추가하기 위한 메뉴이다. 인쇄 대상 데이터는 데이터 추가 메뉴(805)에 의해 표시되는 파일 선택 메뉴(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실행될 수 있다. 또는, 인쇄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컴퓨터(101)가 구비한 마우스 등에 의해 파일이 선택되고, 인쇄 애플리케이션 표시 화면에 드래그 앤 드롭 등을 실행하여 그 파일이 추가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인쇄 대상 애플리케이션이 도 8에 나타낸 상태인 경우, 배송 순서대로 소트 메뉴(803)를 선택하고 실행하여 취득한 결과의 상태를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9는 도 3에 나타낸 CRT(310)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예에서는, 인쇄 대상 데이터의 순서 변경 처리가 배송처의 설정에 따라 실시되었음이 확인된다. 즉, 도 9에 나타낸 상태에서 인쇄 처리를 실행하면, 도 9의 잡 데이터 리스트에서 최상위 데이터로부터 인쇄 처리가 개시된다. 따라서, 이는 배송처(901)마다 번들 단위로 인쇄 데이터가 디지털 프린터(102)로 송신되어 인쇄 처리가 실행되는 것을 의미한다.
도 10은 도 3에 나타낸 CRT(310)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면은, 인쇄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표시가 도 9의 상태인 경우, 도 8에 나타낸 데이터 추가 메뉴(805)의 선택 또는 전술한 드래그 앤 드롭 등과 같은 조작에 의해 데이터 추가 처리를 실행했을 때의 표시 화면을 예시하고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 대상으로서 제공되는 인쇄 데이터의 파일 명칭(1001) 및 인쇄 데이터의 추가 처리를 실행한 잡 소유자(1002)가 자동으로 입력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인쇄 대상 데이터를 등록할 때 부수(1003)를 설정할 수 있도록, 인쇄 애플리케이션이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부수 증감 버튼(1006)으로 부수를 변경할 수 있다.
배송처(1004)는 도 7의 배송처(709) 필드에 표시되는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입력란이다. 본 실시예의 예에서는 지사 C가 배송처 란(1005)에 입력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배송처 란(1005)에 입력하는 방법으로서, 도 3의 KB에 의해 직접 입력하거나,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풀-다운 메뉴로 미리 등록된 배송처로부터 선택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을 생각하게 된다. 배송처 란(1005)에 대한 배송처 정보 입력 유닛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조건이 아니기 때문에, 도 10에서는 KB(309)에 의해 직접 입력하는 사양의 예로서 나타내었다.
이러한 방법에 따르면, 임의의 배송처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인쇄 대상 데이터의 등록 처리를 실행한 작업자가 배송처 정보를 입력할 때 잘못된 문자열 등을 입력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배송처의 등록 처리가 사전에 불필요하고 임의의 배송처를 등록할 수 있기 때문에, 운용시의 유연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어느 방법이 더 우수한지를 판단하는 것은 쉽지 않다.
결국, 배송처 란(1005)에 대한 정보 입력 유닛은 본 발명의 주요 요소가 아니다. 어떤 방법을 선택하여도, 본 발명은 유효하다.
인쇄 설정 버튼(1007)은, 등록 대상으로서 제공되는 인쇄 데이터를 인쇄 처리할 때, 인쇄 사양의 설정에 관한 설정 표시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버튼이다. 설정할 수 있는 인쇄 사양으로서는, 도 1에 나타낸 디지털 프린터(102)가 지원하는 인쇄 처리에 지정될 수 있는 각종 조건을 필요에 따라 지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설정 표시 화면으로 지정할 수 있는 인쇄 설정의 내용 자체는 본 발명의 효과를 설명하는 데 본질적이지 않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OK 버튼(1008)을 누름으로써, 인쇄 데이터가 도 7에 나타낸 인쇄 애플리케이션에 등록된다. 즉, 인쇄 대상 데이터에 추가된다.
취소 버튼(1009)을 누르는 경우에는, 인쇄 대상 데이터가 등록되지 않고, 표시 화면이 도 9의 표시 화면의 상태로 전환된다. 그러한 경우에는, 도면에 설정되어 있던 각종 설정 내용도 취소된다.
도 11은 도 3에 나타낸 CRT(310)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면은 도 10에 나타낸 데이터 추가 표시 화면에 의해 OK 버튼(1008)이 눌려진 직후 인쇄 애플리케이션의 표시 화면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0에서 추가 처리를 실행한 인쇄 대상 데이터가 잡 번호(1101)로 나타낸 부분에 추가된 것으로 확인된다. 총 문서 수(1102)에서도, 추가된 데이터가 반영된 것으로 확인된다.
도 12는 도 3에 나타낸 CRT(310)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면은 인쇄 대상 애플리케이션에서, 도 11에 나타낸 표시 화면의 상태에서, 소트 처리의 설정을 실행한 후의 표시 화면의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도 12에서는 체크 마크(1201, 1202)가 추가된 상태가 확인된다. 이 상태는, 체크 마크(1201, 1202)가 추가된 부분에서 인쇄 애플리케이션에 등록되어 있는 인쇄 데이터의 페이지의 인쇄 처리시 소트 처리가 실행되도록, 인쇄 잡 데이터를 구성하도록 인쇄 사양 설정을 지시하는 처리에 해당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사 A와 지사 B 사이의 경계에 해당하는 인쇄 대상 데이터 및 지사 B와 지사 C 사이의 경계에 해당하는 인쇄 대상 데이터에 대해 소트 처리가 지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설정하면, 인쇄 애플리케이션이 디지털 프린터(102)에 인쇄 잡 데이터를 송신하여 인쇄 처리를 실행할 때, 지사 B 및 지사 C용의 출력물의 인쇄 개시시 소트 처리가 실행된다.
도 12의 소트용 체크 마크는 도 3에 나타낸 컴퓨터(101)가 구비하는 마우스(도시되지 않음) 등과 같은 포인팅 디바이스에 의해 처리가 실행되는 것을 상정하고 만들어졌지만, 체크 마크가 다른 유닛에 의해 선택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3은 도 3에 나타낸 CRT(310)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면은, 인쇄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등록된 인쇄 대상 데이터를 인쇄 잡 데이터로 변환한 후, 디지털 프린터(102)에 대해 송신하여 인쇄 처리를 실행할 때의 지시 유닛을 예시하고 있다.
인쇄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인쇄 개시가 지시될 때, 도 7의 메뉴 바(702)의 파일 메뉴(1301)로 선택할 수 있는 인쇄 메뉴(1302)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4는 도 3에 나타낸 CRT(310)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면은 도 13에 나타낸 인쇄 메뉴(1302)를 선택한 후 표시되는 인쇄 개시를 지시하기 위한 인쇄 표시 화면을 예시하고 있다. 각종 정보가 기재되어 있지만, 중요한 부분에 대해서만 후술한다.
도 14에서, 프린터 명칭(1403)은 인쇄할 때 사용되는 디지털 프린터(102)를 선택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기능은, 복수의 디지털 프린터(102)가 인쇄 애플리케이션이 동작하는 컴퓨터(101)에 네트워크(100)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경우, 특정 디지털 프린터(102)를 지정할 때 사용하는 것을 상정하여 마련된 것이다. 복수의 디지털 프린터(102)를 풀-다운 메뉴에 의해 미리 등록된 프린터로부터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속성(1404)은 인쇄 애플리케이션에 등록되어 있는 인쇄 대상 데이터를 인쇄 잡 데이터로 변환할 때 실시하는 각종 인쇄 사양의 설정 및 디지털 프린터(102)에 대한 동작 지시에 관한 사양을 설정하기 위한 표시 화면을 표시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여기에서 지정할 수 있는 인쇄 사양의 항목이 다양하게 존재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소트 처리 이외의 인쇄 사양의 설정은 효과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중요하지 않다.
소트 처리의 설정에 있어서, 인쇄 애플리케이션은 속성(1404) 대신 도 7에 나타낸 소트(710) 필드에서 지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인쇄 애플리케이션은 도 13에 나타낸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속성(1404)을 누름으로써 표시되는 인쇄 사양 설정 표시 화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OK 버튼(1401)을 누름으로써, 인쇄 사양에 의한 인쇄 처리가 개시된다. 취소 버튼(1402)을 누름으로써, 인쇄 처리의 지시가 중지되고 표시 화면이 도 12에 상당하는 표시 화면으로 전환되도록 제어가 이루어진다.
도 15는 본 실시예를 나타내는 인쇄 장치에서 취급되는 인쇄 잡 데이터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도면은, 인쇄 애플리케이션에 등록된 인쇄 대상 데이터가 도 13의 상태에 있을 때, 도 14의 OK 버튼을 누른 후 생성되는 인쇄 잡 데이터의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인쇄 잡 데이터(1500) 전체가 단일의 PDL 스트림 데이터로서 구성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즉, 인쇄 애플리케이션에서는, 도 7 및 이후의 도면들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쇄 대상 데이터가 개별적으로 등록 및 관리되고 있다. 그러나, 인쇄 처리를 지시하고 실행했을 때, 그 인쇄 대상 데이터를 각각 PDL 데이터로 변환하고, 각 인쇄 대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PDL 데이터를 연결한 단일의 데이터를 구성하도록 제어가 이루어진다.
이는 트랜잭션 잡(transaction job)이라 하는 POD(Print On Demand) 사례에서 흔히 사용되는 데이터 형성 방법을 인쇄 애플리케이션이 채용한 것에 기인하기 때문이다. 트랜잭션 잡은 VDP(가변 데이터 인쇄) 등 다량의 페이지를 연속적으로 프린터에 대해 송신하고 순차적으로 처리하는 다른 사례에도 적합한 기술이다.
도 15에서, 도면에 있는 스트림 데이터의 우측은 데이터의 선두 위치에 해당하고, 좌측은 데이터의 말미에 해당한다. 연속적인 PDL 잡 데이터로서 제공되는 스트림 데이터 중에서 변환 전의 인쇄 대상 데이터와의 관련성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도면에서 원래의 데이터로서 제공되는 인쇄 대상 데이터의 파일 명칭이 도면에 대응하여 기재되어 있다.
즉, 각 파일 명칭의 인쇄 대상 데이터(1501, 1502, 1503, 1504, 1505, 1506, 1507, 1508, 1509)가 이들에 해당한다.
스트림 데이터 중에서 원래의 데이터로서 제공되는 인쇄 대상 데이터의 정렬 순서가 도 12에 나타낸 인쇄 애플리케이션에 등록되어 있는 인쇄 대상 데이터의 순서와 일치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즉, 인쇄 대상 데이터는, 도 12에 나타낸 인쇄 대상 데이터의 순서에 따라 도 15에 나타낸 PDL 스트림 데이터가 형성되도록, 제어된다.
도 15에서, 상술한 각 인쇄 대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PDL 데이터와는 다른 데이터가 상기 PDL 스트림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다.
헤더(1510)는 헤더라 불리며, 디지털 프린터가 인쇄 처리를 실행할 때, 전처리 또는 초기화 처리 등을 실행할 때 필요에 따라 추가되는 데이터이다. 이러한 처리가 불필요한 경우, 헤더(1510)를 생략할 수도 있다. 사용되는 PDL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헤더(1510)가 필요한 처리와 헤더(1510)가 불필요한 처리가 존재한다. 이 도면에서는 헤더(1510)가 필요한 경우를 상정한 예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헤더(1510)에 기재되는 지시 정보의 내용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효과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중요하지 않기 때문에,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영역(1511)에는 헤더와 유사한 목적을 가진 설정이 저장된다. 이 영역(1511)은 후처리를 목적으로 한다는 점에서 헤더(1510)와 다르다. 영역(1511)이 불필요하면, 헤더(1510)와 마찬가지로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도 15에서는 이 정보가 필요한 경우를 상정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이 영역에 기재된 지시 정보의 내용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효과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중요하지 않기 때문에,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소트 처리 명령(1512 및 1513)이 제공된다. 이러한 소트 명령이 스트림 데이터에 삽입된 위치가 중요하다. 즉, F(1503)와 G(1504) 사이의 위치 및 H(1505)와 I(1506) 사이의 위치가 그러한 위치에 해당한다. 즉, 도 12에 나타낸 배송처별 소트 단위의 위치와 일치하도록 소트 명령이 삽입된 것으로 확인된다.
인쇄 잡 데이터(1500)를 디지털 프린터(102)가 수신하였을 때, 소트 명령이 삽입된 위치에서, 디지털 프린터(102)의 배지 기구가 구비한 소트 장치에 의해 소트 처리가 실시되도록, 인쇄 애플리케이션이 스트림 데이터를 구성한다.
도 16은 도 15의 소트 명령(1512)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에서, 상부는 스트림 데이터의 선두 방향을 의미하고, 하부는 말미 방향을 의미한다.
디지털 프린터로부터 인쇄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에 의해 변환된 PDL 데이터 F(1503), G(1504), H(1505)의 부분에 주목하여 데이터가 기재되어 있다. 이 부분의 전후 부분들은 도면에서 생략되어 있다.
도 16에는 F(1503)와 G(1504) 사이에 소트 명령(1512)이 삽입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소트 명령의 예를 도면에 나타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실제로는, PDL 데이터 유형 및 디지털 프린터(102)가 해석 및 처리할 수 있는 소트 명령의 사양에 따라 좌우된다.
PDL 인쇄 기능 프로그램(507)이 수신한 스트림 데이터의 선두부터 처리를 실행하는 과정에서, 디지털 프린터(102)는 도 16에 나타낸 소트 명령을 포함하여 각 소트 명령(도 15 참조)을 인식하여 해석한다. 이 단계에서, 디지털 프린터(102)가 지시된 소트 처리를 실행하도록, 시스템이 제어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디지털 프린터(102)에서의 소트 처리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도 17은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낸 인쇄 애플리케이션이 디지털 프린터(102)에 대해 송신한 인쇄 잡 데이터를 수신하여 인쇄 처리 및 소트 처리를 실행한 후의 디지털 프린터의 배지 장치의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에서, 배지 트레이(1701)는 도 2에 나타낸 대용량 스태커(225, 226) 또는 중철 제본기(227)가 구비하는 일반 배지 트레이 중 하나에 해당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지 트레이(1701)에 복수의 출력 시트가 소트된 상태로 적재되어 있는 것이 도면으로부터 확인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소트 처리는 시프트 배지의 경우를 예로서 나타내었다.
출력 시트 번들(1702)은 배송처가 지사 A인 인쇄 대상 데이터(D, E, F)에 의한 출력물에 해당한다. 출력 시트 번들(1703)은 배송처가 지사 B인 인쇄 대상 데이터(G, H)에 의한 출력물에 해당한다. 마찬가지로, 출력 시트 번들(1704)은 배송처가 지사 C인 인쇄 대상 데이터(I, J, K, L)에 의한 출력물에 해당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출력 시트가 결국 지정된 배송처마다 적재되어 시프트 배지(소트 처리)되고 디지털 프린터(102)의 배지 장치에 적재되기 때문에, 배송처별 소트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작업자의 부담을 경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소트시 실수로 인한 오배송의 위험을 줄이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컨트롤러 유닛(205)은, 동일한 소트 장치에서 시트 번들(출력 시트 번들)의 배치 위치를 변경하여 시트를 배출하는 방법 이외에, 다음과 같이 구분을 명확하게 하는 시트 배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컨트롤러 유닛(205)은 복수의 소트 장치를 배송처에 할당하고 시트 번들(출력 시트 번들)을 배출시키는 방법, 또는 동일한 소트 장치에서 동일한 위치로 배출된 시트 번들에 구분 시트를 삽입하여 시트 번들을 배출시키는 방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도 18은 본 실시예를 나타낸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 도면은 인쇄 처리를 예시하고 있다. 각 처리 단계는 컴퓨터(101)에서 CPU(301)에 의해 실행되는 인쇄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604)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컴퓨터(101)에서 인쇄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604)에 의한 인쇄 처리는 도 13에 나타낸 인쇄 메뉴(1302)가 선택되는 타이밍에 개시된다(단계(S1801)).
그 다음, 처리 루틴은 단계(S1802)로 진행하고, CPU(301)는 인쇄 처리에서 사용하는 네트워크(100)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디지털 프린터(102)와의 접속을 확립한다. 구체적으로, 컴퓨터(101)가 구비하는 NC(312)와 디지털 프린터(102)가 구비하는 외부 I/F 유닛(202) 사이의 접속을 확립함으로써, 데이터 송신을 준비한다.
단계(S1803)에서, 단계(S1802)의 실행에 의해 확립된 컴퓨터(101)와 디지털 프린터(102) 사이의 접속을 통해 헤더 명령을 컴퓨터(101)가 디지털 프린터(102)에 송신한다.
단계(S1803)에서 디지털 프린터(102)에 송신되는 정보는 도 15에 나타낸 헤더(1510)로 표현되는 스트림 데이터의 선두부에 해당하는 정보이다.
그 다음, 단계(S1804)에서, CPU(301)는 인쇄 대상 데이터를 디지털 프린터(102)로 송신한다. 단계(S1804)에서 송신되는 정보는 도 15의 예에서 다음과 같은 참조번호로 표현된 정보에 해당한다: 즉, 1501, 1502, 1503, 1512, 1504, 1505, 1513, 1506, 1507, 1508 및 1509. 단계(S1804)에서의 처리의 세부 사항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단계(S1804)에서의 처리가 완료된 후, 단계(S1805)로 이어지며, 컴퓨터(101)의 CPU(301)는 도 15에서 영역(1511)으로 표현된 정보를 디지털 프린터(102)로 송신한다. 단계(S1805)에서 송신되는 정보는 도 15에 나타낸 헤더(1510)로 표현된 스트림 데이터의 말미부에 해당하는 정보이다.
마지막으로, 단계(S1806)에서, CPU(301)는 단계(S1802)에서 디지털 프린터(102)와 CPU(301) 사이에 확립된 접속을 단절(접속 종료)하고 인쇄 처리를 종료한다.
도 19는 본 실시예를 나타낸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 흐름도는 도 18에 나타낸 단계(S1804)의 처리의 예, 즉 인쇄 대상 데이터 송신 처리의 상세한 예에 관한 것이다. 각 처리 단계는 도 18에 나타낸 흐름도와 유사한 방식으로 컴퓨터(101)에서 CPU(301)에 의해 실행되는 인쇄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604)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먼저, CPU(301)는 인쇄 대상 데이터의 리스트를 취득한다(단계(S1901)). 단계(S1901)의 처리는 인쇄 애플리케이션에 등록된 잡 리스트(703)에 표시되는 인쇄 대상 데이터가 표시 순서대로 배열되도록 만든 리스트를 취득하는 처리에 해당한다. 즉, 인쇄 애플리케이션은 단계(S1901)에서 취득한 순서대로 인쇄 대상 데이터를 인쇄 잡 데이터로 변환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이를 위해, 단계(S1901)에서 취득한 리스트가 이용된다. 단계(S1902) 이후의 처리들은 단계(S1901)에서 취득한 리스트의 각 요소에 대해 실행된다.
단계(S1902)에서, CPU(301)는 인쇄 데이터의 생성 및 송신 처리가 단계(S1901)에서 취득한 리스트에 포함된 모든 인쇄 대상 데이터에 대해 실행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취득한 리스트에 포함된 모든 인쇄 대상 데이터에 대해 처리가 실행된 것으로 CPU(301)가 판단하는 경우, 이는 모든 데이터에 대한 처리가 완료되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흐름도에 나타낸 처리를 종료한다.
반면에, 단계(S1902)에서, 취득한 리스트에 포함된 모든 인쇄 대상 데이터에 대해 처리가 아직 실행되지 않은 것으로 CPU(301)가 판단하는 경우, 이는 아직 처리가 완료되지 않은 인쇄 대상 데이터가 남아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에는, 계속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 처리 루틴이 단계(S1903)로 진행한다.
단계(S1903)에서는, 단계(S1901)에서 취득한 리스트로부터 아직 처리되지 않은 데이터를 리스트의 순서에 따라 선택하고 취득한다.
그 다음, 단계(S1904)에서, CPU(301)는 단계(S1903)에서 취득한 인쇄 대상 데이터에 대해 소트 처리가 설정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이 소트 처리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정된다.
여기서, CPU(301)가 취득한 인쇄 대상 데이터에 대해 소트 처리가 설정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CPU(301)는 소트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명령을 컴퓨터(101)에서 디지털 프린터(102)로 송신한다(단계(S1905)).
단계(S1904)에서, 취득한 인쇄 대상 데이터에 대해 소트 처리가 설정되지 않은 것으로 CPU(301)가 판단하는 경우, 소트 명령을 송신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단계(S1905)의 처리를 생략하고, 단계(S1906)로 진행한다.
단계(S1906)에서, CPU(301)는 단계(S1903)에서 선택한 인쇄 대상 데이터를 인쇄 잡 데이터로 변환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단계(S1906)에서 변환되는 PDL 데이터의 종류는 임의의 종류이다. 즉, 어떤 명령 또는 데이터 포맷이 선택된 경우에도, 본 발명은 유효하다.
그 다음, 단계(S1907)에서는, 단계(S1906)에서 생성 및 변환된 데이터를 컴퓨터(101)가 디지털 프린터(102)에 송신할 수 있도록 하는 처리를 CPU(301)가 실행한다. 송신 처리가 완료된 후, 처리 루틴은 다시 단계(S1902)로 돌아온다.
단계(S1901)에서 취득한 리스트의 모든 요소에 대해 처리가 완료될 때까지, 단계(S1902) 내지 단계(S1906)의 처리 루프가 반복적으로 실행된다.
단계(S1906)의 인쇄 잡 데이터의 변환 처리와 단계(S1907)의 송신 처리가 도면에 나타낸 흐름에서 다른 단계들인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 두 단계들을 병행하여 처리할 수도 있다. 즉, 데이터 변환 처리를 실행하면서 변환이 완료된 데이터를 스트림으로서 연속적으로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단계(S1906)와 단계(S1907)는 병렬적으로 처리된다.
도 20은 본 실시예를 나타낸 인쇄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 도면은, 디지털 프린터(102)가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낸 컴퓨터(101)에서 생성되는 인쇄 잡 데이터를 수신했을 때, 인쇄 잡 데이터의 인쇄 처리의 예에 관한 것이다. 각 단계에서 각각의 단계는 디지털 프린터(102)의 컨트롤러 유닛(205)에 의해 실행되는 PDL 인쇄 기능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단계(S2001)에서, 컨트롤러 유닛(205)은 네트워크(100)를 통해 접속된 컴퓨터(101)로부터 접속 요구를 수신하여 접속을 확립한다. 컴퓨터(101)로부터의 접속 요구는 도 18에 나타낸 단계(S1801)의 처리에 해당한다.
컴퓨터(101)와 디지털 프린터(102) 사이에 접속이 확립되면, 단계(S2002)로 진행하여, 컨트롤러 유닛(205)은 컴퓨터(101)로부터 송신되는 인쇄 잡 데이터를 수신한다. 단계(S2003) 이후의 처리는 단계(S2002)에서 수신된 모든 인쇄 잡 데이터에 대해 처리를 반복하기 위한 처리 루프를 형성한다.
단계(S2003)에서, 컨트롤러 유닛(205)은 접속을 통해 송신되는 처리 대상 데이터, 즉 인쇄 잡 데이터 중 아직 처리되지 않은 데이터(아직 실행되지 않은 명령)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아직 처리되지 않은 데이터가 존재하는 것으로 컨트롤러 유닛(205)이 판단한 경우, 컨트롤러 유닛은 처리 대상 데이터가 남아 있다고 판단한다. 단계(S2004) 이후의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아직 처리되지 않은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컨트롤러 유닛(205)이 판단한 경우, 컨트롤러 유닛은 모든 인쇄 잡 데이터에 대한 처리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한다. 처리 루틴은 단계(S2009)로 진행하고, 컴퓨터(101)와 디지털 프린터(102) 사이에 확립된 접속을 단절하고 인쇄 처리를 종료한다.
인쇄 잡 데이터는 묘화 명령, 프린터의 후처리 등을 지정하는 제어 명령 및 이 명령들의 처리 대상으로서 제공되는 데이터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이들을 일관되게 명령이라 표현하는 것으로 상정하고 후술한다. 즉, 인쇄 잡 데이터를 "명령의 집합"이라고 달리 표현할 수 있다.
그 다음, 단계(S2004)에서, 컨트롤러 유닛(205)은 인쇄 처리 대상으로서 제공되는 인쇄 잡 데이터를 형성하는 스트림으로부터 다음 처리 대상 명령을 취득한다. 단계(S2005)에서, 컨트롤러 유닛(205)은 취득한 명령의 분석 처리를 실행한다.
그 다음, 단계(S2006)에서, 컨트롤러 유닛(205)은, 단계(S2005)에서의 분석 결과, 처리 대상 명령의 종류가 소트 명령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컨트롤러 유닛(205)이 처리 대상 명령의 종류가 소트 명령이라고 판단하는 경우, 단계(S2007)로 진행하여 지정된 소트 처리를 실행한다. 단계(S2007)에서 실행되는 소트 처리의 세부 사항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17에 나타낸 시프트 처리에 의한 소트를 나타낸다. 즉, 컨트롤러 유닛(205)은, 직전에 배출된 출력물의 배지 위치와는 다른 배지 위치로 배지 위치가 시프트되고, 시프트된 위치로 출력물이 배출되도록 제어한다. 배지 위치의 시프트 량은 5㎜ 또는 10㎜로 설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시각적인 검사로 출력물들 간의 구분 위치를 인식할 수 있는 임으의 위치로 설정하면 충분하다. 사용자는 시프트 량을 사전에 설정할 수 있고, 컨트롤러 유닛(205)은 설정된 시프트 량에 따라 소프트웨어 시트 배출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즉, 단계(S2007)에서의 소트 처리의 실행은, 컨트롤러 유닛(205)이 시트 처리 장치(200)의 배지 장치에 대해 배지 위치를 시프트하도록 변경하기 위한 명령을 송신하고 배지 장치가 그 명령을 실행하는 처리에 해당한다. 여기서, 컨트롤러 유닛(205)에서 배지 장치로 송신되는 명령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은 생략한다.
그 후, 다시 디지털 프린터가 시프트 명령을 수신하여 실행하지 않는 한, 배지 장치의 배지 위치는 변하지 않는다. 즉, 다음에 시프트 명령을 수신하는 시점에, 다시 시프트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컨트롤러 유닛(205)이 처리 대상 명령의 종류가 소트 명령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컨트롤러 유닛(205)이 판단한 소트 처리 이외의 명령을 실행한다(단계(S2008)). 예를 들어, 컨트롤러 유닛(205)은, 인쇄 잡 데이터에 기초하여, 프린터 유닛(203)이 화상을 시트에 인쇄하고 인쇄된 시트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단계(S2007) 또는 단계(S2008)가 완료된 후, 처리 루틴은 단계(S2002)로 돌아가고, 컨트롤러 유닛(205)은 다음 명령의 처리를 실행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디지털 프린터(102)에서 인쇄 처리시의 동작이 실행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 유닛(205)은 사용자가 지정한 임의의 인쇄 대상 데이터의 출력물이 직전에 배출된 출력물로부터 시프트된 상태로 배출되도록 제어 하고, 그외의 인쇄 대상 데이터의 출력물이 직전에 배출된 출력물로부터 시프트된 상태로 배출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어떤 문서가 어떤 배송처로 배송되어야 하는지를 소트하는 부담이 경감되고, 작업자가 배송처별로 소트된 출력 시트 번들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으며, 배송처의 오인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인쇄 대상 데이터로부터 인쇄 잡 데이터를 생성할 때, 인쇄 애플리케이션이 단일의 인쇄 잡 데이터를 생성하는 트랜잭션 인쇄 사례를 예로서 설명했다. 즉,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 잡 데이터가 단일의 스트림으로서 취급되며, 디지털 프린터(102)가 단일의 잡으로서 인식하고 처리를 실행한다. 제2 실시예에서는, 인쇄 애플리케이션이 트랜잭션 인쇄가 아닌 인쇄 잡을 생성하고, 인쇄 잡의 헤더 정보에 소트 명령을 매립하고 이를 소트하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1은 본 실시예를 나타낸 인쇄 장치에서 처리되는 인쇄 잡 데이터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도면은 인쇄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되는 인쇄 잡 데이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채용된 것이다.
도 21에서, 인쇄 잡 헤더(2101)는 소트 명령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인쇄 잡 데이터(2102)는 소트 명령을 포함하지 않는 예이다.
이 모든 경우들에서, 디지털 프린터가 인쇄 처리를 실행할 때, 전처리 또는 초기화 처리 등을 실행할 때 필요에 따라 추가되는 헤더(2103, 2107)가 포함된다. 이들은 도 15의 헤더(1510)에 대응한다.
마찬가지로, 인쇄 대상 명령 및 데이터 본체로서 제공되는 PDL 데이터부(2105, 2108)가 포함된다. 이들은 도 15의 부분(1501, 1502, 1503, 1504, 1505, 1506, 1507, 1508, 1509)들에 대응한다.
마찬가지로, 후처리 명령(2106, 2109)이 포함된다. 이는 도 15의 데이터(1511)에 대응한다.
소트 명령(2104)은 도 15에 나타낸 데이터(1512)에 대응한다.
도 22는 본 실시예를 나타낸 정보 처리 장치의 데이터 처리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 흐름도는 컴퓨터(101)에서 CPU(301)에 의해 인쇄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604)이 실행될 때 실행되는 처리의 예에 관한 것이다. 이후의 설명에서, 제2 실시예의 인쇄 애플리케이션이 제1 실시예에서 나타낸 것들과 공통된 기능을 가진 경우에는 제1 실시예의 도면을 일부 인용하여 설명한다.
인쇄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604)에 의해 실행되는 인쇄 처리는 도 13에 나타낸 인쇄 메뉴(1302)가 선택되는 타이밍에 개시된다(단계(S2201)).
그 다음, 단계(S2202)에서, CPU(301)는 인쇄 처리에서 사용하는 네트워크(100)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디지털 프린터(102)에 대한 접속을 확립한다. 구체적으로, 컴퓨터(101)가 구비하는 NC(312)와 디지털 프린터(102)가 구비하는 외부 I/F 유닛(202) 사이의 접속을 확립함으로써, 데이터 송신을 준비한다.
단계(S2203)에서, CPU(301)는 인쇄 대상 데이터 중 아직 송신되지 않은 데이터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인쇄 대상 데이터 중 아직 송신되지 않은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CPU(301)가 판단하는 경우, 이는 모든 데이터에 대한 처리가 완료되었음을 의미하므로, 처리 루틴은 단계(S2211)로 진행한다. 단계(S2202)에서 확립된 접속을 단절하고 흐름도에 나타낸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단계(S2203)에서, 인쇄 대상 데이터 중 아직 송신되지 않은 데이터가 존재하는 것으로 CPU(301)가 판단하는 경우, 이는 아직 처리가 완료되지 않은 인쇄 대상 데이터가 남아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에는, 계속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 처리 루틴이 단계(S2204)로 진행하여, 다음 인쇄 처리 대상으로서 제공되는 인쇄 대상 데이터를 선택한다.
단계(S2205)에서, 단계(S2202)의 실행에 의해 확립된 컴퓨터(101)와 디지털 프린터(102) 사이의 접속을 통해 헤더 명령을 컴퓨터(101)의 CPU(301)가 디지털 프린터(102)에 송신한다. 여기서 송신되는 정보는 도 21에 나타낸 헤더(2103, 2107)로 표현되는 정보이다.
그 다음, 단계(S2206)에서, CPU(301)는 단계(S2204)에서 취득한 인쇄 대상 데이터에 대해 소트 처리가 설정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이 소트 처리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정된다.
여기서, CPU(301)가 단계(S2204)에서 취득한 인쇄 대상 데이터에 대해 소트 처리가 설정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CPU(301)는 소트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소트 명령(2104)을 컴퓨터(101)에서 디지털 프린터(102)로 송신한다(단계(S2207)).
단계(S2206)에서, 단계(S2204)에서 취득한 인쇄 대상 데이터에 대해 소트 처리가 설정되지 않은 것으로 CPU(301)가 판단하는 경우, 소트 명령을 송신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단계(S2207)의 처리를 생략하고, 단계(S2208)로 진행한다.
그 다음, 단계(S2208)에서, CPU(301)는 단계(S2204)에서 선택한 인쇄 대상 데이터를 인쇄 잡 데이터로 변환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단계(S2208)에서 변환되는 PDL 데이터의 종류는 임의의 종류이다. 즉, 어떤 명령 또는 데이터 포맷이 선택된 경우에도, 본 실시예에 나타낸 특징적인 항목을 포함하는 경우라면, 본 발명은 유효하다.
그 다음, 단계(S2209)에서는, 단계(S2208)에서 생성 및 변환된 인쇄 잡 데이터를 디지털 프린터(102)에 송신하기 위한 처리를 CPU(301)가 실행한다. 송신 처리가 완료된 후, CPU(301)는 단계(S2210)로 진행하여, 후처리 명령(2106 또는 2109)을 송신한다. 처리 루틴은 다시 단계(S2203)로 돌아온다.
여기서 송신되는 정보는 도 21의 후처리 명령(2106 또는 2109)으로 표현되는 정보이다. CPU(301)는, 단계(S2210)가 완료된 후, 다시 단계(S2203)로 돌아온다.
전술한 단계(S2203) 내지 단계(S2210)의 처리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송신되는 대상으로서 제공되는 모든 인쇄 대상 데이터에 대한 처리가 완료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실행되는 처리 루프를 구성한다.
도 22에 나타낸 흐름도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인쇄 및 소트 처리를 실행하는 디지털 프린터(102) 측에서의 처리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도 20에 나타낸 흐름도의 처리와 유사하므로, 그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 유닛(205)은 사용자가 지정한 임의의 인쇄 잡의 출력물이 직전에 배출된 출력물로부터 시프트된 상태로 배출되도록 제어 하고, 그외의 인쇄 잡의 출력물이 직전에 배출된 출력물로부터 시프트된 상태로 배출되도록 제어 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어떤 문서가 어떤 배송처로 배송되어야 하는지를 소트하는 부담이 경감되고, 작업자가 배송처별로 소트된 출력 시트 번들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으며, 배송처의 오인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는, 예로서 나타낸 인쇄 애플리케이션에서, 도 7 및 이후의 도면들의 인쇄 애플리케이션의 표시 화면의 소트 필드(710)에서 소트 처리를 실행하는 구성의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 경우, 지정된 임의의 위치에서 소트 처리를 지정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배송처가 동일한 경우에도, 의도적으로 동일한 배송처의 출력물 번들을 블록 등으로 분할하기 위해 소트 처리를 지정할 수 있다.
그러나, 소트 처리의 설정 실수로 인해 인쇄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잘못된 위치에 대해 소트 처리를 지정할 가능성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경우를 상정한 다른 소트 방법에 의한 인쇄 애플리케이션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3은 도 3에 나타낸 CRT(310)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면은 인쇄 애플리케이션의 조작 표시 화면의 일 예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7에 나타낸 표시 화면과 비교하면, 소트 필드(710)가 생략된 것이 확인된다.
도 24는 도 3에 나타낸 CRT(310)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면은 도 23에 나타낸 인쇄 애플리케이션의 인쇄 지정 표시 화면의 일 예에 관한 것이다.
도 24에 나타낸 UI 표시 화면은, 도 13에 나타낸 인쇄 메뉴(1302)에 대응하는 메뉴를 도 23에 나타낸 인쇄 애플리케이션으로 선택한 후, CRT(310)에 표시된다. 각종 정보가 기재되어 있지만, 중요한 부분에 대해서만 후술한다.
도 24에서, 버튼(2403)이 선택된 경우, 이는 인쇄 잡이 인쇄 대상 데이터를 각각의 배송처에 대해 소트하여 출력하는 설정을 인쇄 애플리케이션에 제공하였음을 의미한다. 버튼(2403)이 선택된 상태에서 OK 버튼(2401)을 누르는 경우, 인쇄 애플리케이션에 등록되어 있는 인쇄 대상 데이터가 배송처마다 수집되고, 배송처들 간의 출력물의 경계에서 소트 처리가 실시되어, 출력물 번들이 출력된다.
도 25는 본 실시예를 나타낸 정보 처리 장치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 흐름도는 컴퓨터에서 CPU(301)에 의해 인쇄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604)의 인쇄가 실행될 때 처리의 예에 관한 것이다. 이후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인쇄 애플리케이션이 제1 실시예에서 나타낸 도면의 것들과 공통된 기능을 가진 경우에는 제1 실시예의 도면을 일부 인용하여 설명한다.
인쇄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604)에 의한 인쇄 처리는 도 13에 나타낸 인쇄 메뉴(1302)가 선택되는 타이밍에 개시된다(단계(S2501)).
그 다음, 단계(S2502)로 진행하여, CPU(301)는 인쇄 처리에서 사용하는 네트워크(100)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디지털 프린터(102)와 CPU(301) 사이의 접속을 확립한다. 구체적으로, 컴퓨터(101)가 구비하는 NC(312)와 디지털 프린터(102)가 구비하는 외부 I/F 유닛(202) 사이의 접속을 확립함으로써, 데이터 송신을 준비한다.
단계(S2503)에서, CPU(301)는 소트 대상으로서 제공되는 배송처 정보의 리스트를 취득한다. 이 배송처 정보는 도 23에 나타낸 인쇄 애플리케이션의 표시 화면의 배송처 필드(2301)에 기재된 정보를 포함하는 특이한 요소의 집합에 대해 순서를 부여한 정보이다. 상기 순서는 문자열을 소트하는 순서일 수도 있다. 각각의 배송처에 대해 순서를 부여할 수 있는 인쇄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지정된 순서에 기초하여 소트하는 구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단계(S2504)에서, CPU(301)는 단계(S2503)에서 취득한 배송처 리스트에 포함된 모든 배송처에 대해 처리가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취득한 배송처 리스트에 포함된 모든 배송처에 대해 처리가 완료된 것으로 CPU(301)가 판단하는 경우, 이는 모든 배송처에 대한 처리가 완료되었음을 의미하므로, 처리 루틴은 단계(S2513)로 진행하고, 단계(S2502)에서 확립된 접속을 단절한다. 본 처리 루틴이 종료된다.
단계(S2504)에서 배송처 리스트에 포함된 모든 배송처에 대해 처리가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CPU(301)가 판단하는 경우, 이는 아직 처리되지 않은 인쇄 대상 데이터가 남아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에는, 계속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 처리 루틴이 단계(S2505) 이후의 처리로 진행한다.
단계(S2505)에서, CPU(301)는 단계(S2503)에서 취득한 배송처 리스트로부터 아직 처리되지 않은 배송처 정보를 선택한다.
그 다음, 단계(S2506)에서, CPU(301)는 소트 명령을 디지털 프린터(102)에 송신한다.
단계(S2506)에서 소트 명령을 송신하는 목적은 다음과 같다. 즉, 단계(S2507) 및 이후의 단계들에서, 동일한 배송처에 포함된 복수의 인쇄 대상 데이터의 인쇄 처리를 실행한다. 단계(S2505)에서, 선택된 배송처에 대응하는 인쇄 대상 데이터의 모든 처리가 완료된 단계에서, 처리 루틴은 다시 단계(S2504)로 돌아온다. 단계(S2503)에서 취득한 배송처 리스트의 다다음 배송처에 대응하는 인쇄 대상 데이터의 인쇄를 처리하는 처리 루프를 형성한다.
즉, 어떤 배송처에 대응하는 인쇄 대상 데이터의 인쇄 처리를 개시하기 전에 반드시 소트 명령을 디지털 프린터(102)에 송신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송처마다 출력물을 소트한 상태에서 출력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단계(S2507)에서, CPU(301)는 단계(S2505)에서 선택된 배송처에 대응하는 모든 인쇄 대상 데이터에 대해 인쇄 처리가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선택된 배송처에 대응하는 모든 인쇄 대상 데이터에 대해 인쇄 처리가 완료된 것으로 CPU(301)가 판단하는 경우, 이는 단계(S2505)에서 선택된 배송처에 대응하는 모든 인쇄 대상 데이터에 대한 처리가 완료되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다음 배송처에 대응하는 인쇄 대상 데이터의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 처리 루틴이 다시 단계(S2504)로 돌아온다.
한편, 선택된 배송처에 대응하는 모든 인쇄 대상 데이터에 대해 아직 인쇄 처리가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CPU(301)가 판단하는 경우, 단계(S2508)로 진행한다. 단계(S2505)에서 선택된 배송처에 대응하는 인쇄 대상 데이터 중 다음 인쇄 대상 데이터를 선택한다.
단계(S2509)에서, 단계(S2502)의 실행에 의해 확립된 컴퓨터(101)와 디지털 프린터(102) 사이의 접속을 통해 헤더 명령을 컴퓨터(101)의 CPU(301)가 디지털 프린터(102)에 송신한다. 컴퓨터(101)로 송신되는 정보에 대해서는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이미 설명하였기 때문에, 여기에서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S2509)의 처리는 컴퓨터(101)의 CPU(301)에 의해 인쇄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604)이 실행됨으로써 실시된다.
그 다음, 단계(S2510)에서, CPU(301)는 단계(S2508)에서 선택한 인쇄 대상 데이터를 인쇄 잡 데이터로 변환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변환되는 PDL 데이터의 종류는 임의의 종류이다. 즉, 어떤 명령 또는 데이터 포맷이 선택된 경우에도, 본 발명은 유효하다.
그 다음, 단계(S2511)에서는, 단계(S2510)에서 생성 및 변환된 데이터를 컴퓨터(101)가 디지털 프린터(102)에 송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처리를 CPU(301)가 실행한다. 송신 처리가 완료된 후, 처리 루틴은 단계(S2512)로 진행하고, CPU(301)는 후처리 명령을 송신한다. 송신되는 정보에 대해서는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이미 설명하였기 때문에, 여기에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계(S2512)가 완료된 후, CPU(301)는 다시 단계(S2507)로 돌아와서, 다음 인쇄 대상 데이터의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처리 루프를 반복한다. 단계(S2512)의 처리는 컴퓨터(101)의 CPU(301)에 의해 인쇄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604)이 실행됨으로써 실시된다.
이에 따라, 출력물이 시프트하여 배출되는 위치를 사용자가 수동으로 설정하지 않아도, 배송처마다 출력물이 직전에 배출된 출력물로부터 시프트된 상태로 배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배송처별로 출력물을 쉽게 구별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쉽게 픽업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
상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인쇄 사양으로서 PDL 데이터를 이용한 시스템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인쇄 사양의 표현 형태로서, JDF 등과 같은 미리 결정된 잡 티켓으로 잡을 지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인쇄 사양은 인쇄 대상 데이터로부터 변환되어 생성된 인쇄 잡 데이터로부터의 분리/인쇄 잡 데이터와의 합성이 용이하다는 특징이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인쇄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604)이 소트 명령을 포함하는 인쇄 사양을 JDF 포맷으로 생성하는 능력을 갖추는 경우, 인쇄 잡 데이터를 디지털 프린터(102)의 JDF 기능 프로그램으로 실행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소트 처리를 배지 장치가 구비한 시프트 시트 배출 기능을 사용하여 실행하는 경우에 대해 예시하였다. 그러나, 소트 처리로서 시프트 시트 배출 기능 이외의 각종 기능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소트 처리로서, 소트 단위로 출력 시트의 배출 위치를 변경하는 소트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소트 처리로서, 소트 단위로 출력 시트에 삽입 용지를 삽입하여, 소트별 출력 시트들 사이의 경계 부분을 명확하게 하는 등의 방법도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용량 스태커가 컨트롤러 유닛(205)으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외부 커버를 개방하는 기능을 갖춘다면, 소트 처리로서, 소트 타이밍에 대용량 스태커의 성과물을 배출하는 처리에 의해 소트하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소트 처리의 유형으로서 어떠한 방법을 사용하여도, 본 발명은 적용된다.
또한, 컨트롤러 유닛(205)이 배송처별로 시트 번들을 배출할 수 있는 상태에 시스템이 있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 시트 번들의 배출이 오류가 된다는 것을 통지하는 통지 처리에 대응하는 단계를 대응하는 실시예에 통합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컨트롤러 유닛(205)이 시트 번들의 배출중에 배송처별로 시트 번들을 배출할 수 있는 상태에 시스템이 있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 시트 번들의 배출을 중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낸 기능이 외부로부터 설치되는 프로그램에 따라 호스트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각종 조작 표시 화면을 포함하고 본 실시예에서 논의한 조작 표시 화면과 유사한 조작 표시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를 외부로부터 설치하고, 상기 호스트 컴퓨터의 표시부에 상기 각종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에 있어서, CD-ROM, 플래시 메모리, FD 등과 같은 저장 매체에 의해,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저장 매체로부터, 프로그램을 포함한 정보들을 출력 장치에 공급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은 적용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에 기초한 (실시예들의 유기적인 조합을 포함하여)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며, 그 변형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서 배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술한 각종 설정 표시 화면을 디지털 프린터(102)의 조작 유닛(204)에 표시하고, 표시된 설정 표시 화면을 통해 접수된 설정에 따라 컨트롤러 유닛(205)이 인쇄 및 소트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로부터 지시된 타이밍에 출력물이 시프트 배출되도록 설정하고, 그 설정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지시된 타이밍에 출력물이 시프트 배출되도록, 컨트롤러 유닛(205)을 구성하면 충분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지털 프린터(102) 내의 컨트롤러 유닛(205)이 상기 각종 제어를 행하는 메인 유닛이지만, 디지털 프린터(102)와는 다른 별도의 본체로서 외장 컨트롤러 등에 의해 상기 각종 제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실행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양태들은, 전술한 실시예들의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 디바이스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실행시키는 컴퓨터 또는 시스템 또는 장치(또는 CPU 또는 MPU와 같은 디바이스들)에 의해, 및 전술한 실시예들의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 디바이스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예컨대, 판독하고 실행시킴으로써,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단계들이 실시되는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예컨대, 네트워크를 통해, 또는 메모리 디바이스로서 제공되는 다양한 종류의 기록 매체(예컨대,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부터,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제공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하기된 특허청구범위는 그러한 변형들과 등가의 구조들과 기능들을 모두 포함하도록 최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적어도 제1 인쇄 데이터와 제2 인쇄 데이터를 포함하는 인쇄 잡을 실행하여 시트에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 수단과,
    상기 제1 인쇄 데이터와 상기 제2 인쇄 데이터 사이에서 미리 결정된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화상이 인쇄된 제2 시트가, 상기 제1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화상이 인쇄된 제1 시트가 배출되는 제1 위치와 상이한 제2 위치로 배출되는 방식으로, 상기 인쇄 수단에 의해 화상이 인쇄된 시트의 배출을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시트가 상기 제1 위치로 배출되는 방식으로 상기 인쇄 수단에 의해 화상이 인쇄된 시트의 배출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인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정보는 배송처에 기초하여 추가되는, 인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제1 위치와 동일한 트레이 상에 위치되는, 인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제1 위치와 상이한 트레이 상에 위치되는, 인쇄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인쇄 잡을 수신하는 수신 수단을 더 포함하는, 인쇄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정보는, 상기 제1 인쇄 데이터 및 상기 제2 인쇄 데이터를 소트하기 위한 소트 인쇄 설정의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인쇄 잡에 포함된 소트 명령인, 인쇄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잡은, 상기 제1 인쇄 데이터, 상기 제2 인쇄 데이터, 및 상기 제1 인쇄 데이터와 상기 제2 인쇄 데이터 사이에 삽입된 소트 명령으로 구성된 PDL 스트림으로 구성되는, 인쇄 장치.
  8. 적어도 제1 인쇄 데이터와 제2 인쇄 데이터를 포함하는 인쇄 잡을 실행하여 시트에 화상을 인쇄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인쇄 데이터와 상기 제2 인쇄 데이터 사이에서 미리 결정된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미리 결정된 정보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화상이 인쇄된 제2 시트가, 상기 제1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화상이 인쇄된 제1 시트가 배출되는 제1 위치와 상이한 제2 위치로 배출되는 방식으로, 화상이 인쇄된 시트의 배출을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시트가 상기 제1 위치로 배출되는 방식으로 화상이 인쇄된 시트의 배출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쇄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30070760A 2012-06-21 2013-06-20 인쇄 장치 및 인쇄 장치의 제어 방법 KR1016248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39822A JP6087522B2 (ja) 2012-06-21 2012-06-21 印刷装置、印刷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JP-P-2012-139822 2012-06-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3502A KR20130143502A (ko) 2013-12-31
KR101624881B1 true KR101624881B1 (ko) 2016-05-27

Family

ID=48792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0760A KR101624881B1 (ko) 2012-06-21 2013-06-20 인쇄 장치 및 인쇄 장치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9073726B2 (ko)
EP (1) EP2676911B1 (ko)
JP (1) JP6087522B2 (ko)
KR (1) KR101624881B1 (ko)
CN (1) CN10350744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87522B2 (ja) * 2012-06-21 2017-03-01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印刷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4046681A (ja) * 2012-09-04 2014-03-17 Canon Inc 印刷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6261195B2 (ja) 2012-12-14 2018-01-17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JP6281122B2 (ja) * 2013-12-27 2018-02-2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JP2016117203A (ja) 2014-12-19 2016-06-30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150644B2 (en) 2015-06-29 2018-12-11 Koenig & Bauer Ag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for setting the delivery systems
JP6668837B2 (ja) * 2016-03-10 2020-03-1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印刷制御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及び印刷システム
JP6813959B2 (ja) * 2016-04-05 2021-01-13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6949578B2 (ja) * 2017-06-23 2021-10-1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043859B2 (ja) * 2018-02-01 2022-03-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及び印刷装置の制御方法
JP7286942B2 (ja) * 2018-10-24 2023-06-0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9154A (ja) * 2003-11-14 2005-06-09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印刷制御装置、印刷装置、印刷制御方法、印刷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印刷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6092405A (ja) * 2004-09-27 2006-04-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印刷装置および印刷物排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6279A (en) * 1993-01-04 1994-05-31 Xerox Corporation Copier/printer job stacking with discrete cover sheets with extending printed banners
US5848346A (en) * 1994-08-08 1998-12-08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for offsetting output sheet
US5898592A (en) * 1996-09-26 1999-04-27 Xerox Corporation Sheet delivery control system
JP3743477B2 (ja) * 1998-09-09 2006-02-08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1180084A (ja) * 1999-12-24 2001-07-03 Canon Inc 出力装置と出力制御装置、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並びに出力制御方法
JP2001205899A (ja) * 2000-01-26 2001-07-31 Canon Inc 画像出力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排紙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JP4112525B2 (ja) * 2004-05-28 2008-07-02 京セラミ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6268110A (ja) * 2005-03-22 2006-10-05 Fuji Xerox Co Ltd 印刷ジョブ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方法および分散配布システム
JP4748306B2 (ja) 2005-08-10 2011-08-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及び液体噴射装置
JP2007218962A (ja) * 2006-02-14 2007-08-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形成装置
JP5043422B2 (ja) 2006-12-20 2012-10-10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システム、ジョブ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09096145A (ja) * 2007-10-19 2009-05-07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
JP4513884B2 (ja) 2008-03-27 2010-07-28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シート積載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4664391B2 (ja) 2008-04-28 2011-04-06 シャープ株式会社 印刷出力装置および印刷出力システム
JP5006256B2 (ja) 2008-05-23 2012-08-22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スタック装置及びそのスタック装置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JP2009285848A (ja) * 2008-05-27 2009-12-10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
JP2011006169A (ja) * 2009-06-24 2011-01-13 Murata Machinery Ltd 画像形成装置
JP5627347B2 (ja) 2009-09-10 2014-11-1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両面印刷方法
JP5483966B2 (ja) 2009-09-17 2014-05-07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及び印刷制御装置とその制御方法
KR20110100410A (ko) 2010-03-04 2011-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쇄매체 후처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6087522B2 (ja) * 2012-06-21 2017-03-01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印刷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9154A (ja) * 2003-11-14 2005-06-09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印刷制御装置、印刷装置、印刷制御方法、印刷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印刷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6092405A (ja) * 2004-09-27 2006-04-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印刷装置および印刷物排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087522B2 (ja) 2017-03-01
US20150254040A1 (en) 2015-09-10
EP2676911B1 (en) 2018-11-28
US9658812B2 (en) 2017-05-23
US9073726B2 (en) 2015-07-07
US20130341861A1 (en) 2013-12-26
KR20130143502A (ko) 2013-12-31
EP2676911A1 (en) 2013-12-25
CN103507445B (zh) 2017-04-26
CN103507445A (zh) 2014-01-15
JP2014004688A (ja) 2014-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4881B1 (ko) 인쇄 장치 및 인쇄 장치의 제어 방법
US809903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KR101238615B1 (ko) 인쇄 제어 장치, 정보 처리 장치, 인쇄 장치 제어 방법, 정보 처리 장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US6973274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job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storage medium
US8564810B2 (en) Job management apparatus, job management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using information of a post-processing apparatus to manage a print job
CN102455882B (zh) 图像形成装置和打印作业控制方法
CN101419537A (zh) 作业处理系统及其方法
JP5305930B2 (ja) 画像形成装置、ジョブ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US7810804B2 (en) Printing system, control method thereof, and printing apparatus
CN101135959B (zh) 打印系统及其控制方法
CN103482402A (zh) 片材处理装置及片材处理装置的控制方法
JP2007060097A (ja) 画像形成装置システム
JP2008033659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CN101924852A (zh) 打印系统和打印系统的控制方法
JP6147106B2 (ja) 印刷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US20140367907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print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JP2013208824A (ja) バリアブル印刷システム
JP4235437B2 (ja) 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2017209831A (ja) 印刷制御装置および印刷制御方法
JP2022124459A (ja) 印刷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と印刷装置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5186521A (ja) 印刷制御装置および方法
JP2018194965A (ja) 分散印刷システム、用紙仕分け方法、およびジョブ管理装置
JP2003107817A (ja) 画像処理システム、排紙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