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2531B1 - 풍선 - Google Patents

풍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2531B1
KR101622531B1 KR1020157034599A KR20157034599A KR101622531B1 KR 101622531 B1 KR101622531 B1 KR 101622531B1 KR 1020157034599 A KR1020157034599 A KR 1020157034599A KR 20157034599 A KR20157034599 A KR 20157034599A KR 101622531 B1 KR101622531 B1 KR 101622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oon
bent
bending
arm
s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4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1766A (ko
Inventor
다케미 모리타
미쓰노리 요시다
아키라 나카무라
사토루 다니구치
Original Assignee
타카라 코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카라 코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타카라 코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21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1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2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2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7/00Toy aircraft; Other flying toys
    • A63H27/10Ballo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06Air-filled or inflatable toy figur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7/00Toy aircraft; Other flying toys
    • A63H27/10Balloons
    • A63H2027/1025Fabrication methods or special materia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7/00Toy aircraft; Other flying toys
    • A63H27/10Balloons
    • A63H2027/1075Special shapes or construction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곡 자세 유지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절곡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풍선을 제공한다. 풍선(1)은, 2장의 플라스틱 필름(10, 12)을 서로 겹쳐서 둘레부(5)를 접합한 것이다. 풍선(1)은, 절곡부(4)를 샌드위치하는 위치에 제 1부분(2)과 제 2부분(3)을 갖는다. 절곡부(4)는, 제 1부분(2)과 제 2부분(3)을 내부에서 연통시키는 통기공(55)과, 둘레부(5)보다 내측의 영역에서 대향하는 2장의 플라스틱 필름(10, 12)을 접합해서 형성된 절곡 시일부(54)를 갖는다. 절곡 시일부(54)는, 그 외측 둘레부(40)가 절곡부(4)를 넘어서 제 1부분(2) 및 제 2부분(3)에 도달한다.

Description

풍선{BALLOON}
본 발명은 내부에 기체를 봉입해도 절곡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풍선에 관한 것이다.
종래, 사람의 팔 등에 장착해서 즐기는 껴안는 인형 모양의 풍선 장난감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풍선은, 사람의 팔 등에 장착했을 때, 가령, 풍선이 동물 인형이나 캐릭터 인형인 경우, 동물 또는 인형의 얼굴이 정면을 향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풍선 본체와 사람의 팔 등에 장착하는 껴안는 부재가 서로 직각 방향을 향하도록, 정면부를 형성하는 정면부재와 배면부를 형성하는 배면부재 이외에, 저면부를 형성하는 저면부재와, 3장의 필름 소재를 필요로 하였다.
최근, 2장의 플라스틱 필름을 서로 겹쳐서 형성하는 필름 풍선이 제안되자, 2장의 필름으로 껴안는 인형 모양의 장난감도 제안되었다(가령, 특허문헌 1). 이 껴안는 인형 모양의 풍선 장난감은, 3장의 필름을 복잡하게 조합시키는 것에 비해서 제조가 용이하며, 양산성이 우수하다. 그러나, 이 풍선은 2장의 플라스틱 필름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본체 풍선부와 끼움부재를 강제로 직각방향으로 절곡한 다음, 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특별한 절곡 자세 유지부재(양면 점착 테이프)를 준비해야 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3169041호 공보
본 발명은, 절곡 자세 유지부재(양면 점착 테이프)를 사용하지 않고도 절곡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풍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다음의 태양 또는 적용예로서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풍선의 일 태양은,
2장의 플라스틱 필름(10, 12)을 서로 겹쳐서 둘레부(5)를 접합한 풍선(1)으로서,
절곡부(4)를 샌드위치하는 위치에 제 1부분(2)과 제 2부분(3)을 갖고,
상기 절곡부(4)는, 상기 제 1부분(2)과 상기 제 2부분(3)을 내부에서 연통시키는 통기공(55)과, 상기 둘레부(5)보다 내측의 영역에서 대향하는 2장의 플라스틱 필름(10, 12)을 접합해서 형성된 절곡 시일부(54)를 갖고,
상기 절곡 시일부(54)는, 그 외측 둘레부(40)가 상기 절곡부(4)를 넘어서 상기 제 1부분(2) 및 상기 제 2부분(3)에 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풍선의 일 태양에 있어서,
상기 절곡 시일부(54)는, 상기 외측 둘레부(40)가 상기 절곡부(4)로부터 상기 제 1부분(2) 및 상기 제 2부분(3) 중 적어도 하나를 향해서 볼록한 원호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풍선의 일 태양에 있어서,
상기 통기공(55)은, 상기 절곡부(4)의 폭방향에 있어서 상기 절곡 시일부(54)를 샌드위치하도록 적어도 1쌍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풍선의 일 태양에 있어서,
상기 절곡 시일부(54)는, 상기 절곡부(4)의 폭방향으로 복수 형성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풍선의 일 태양에 있어서,
상기 제 2부분(3)은, 상기 풍선(1)의 내부에 기체를 봉입해서 팽창시킴으로써, 상기 절곡 시일부(54)의 장력에 의해서 상기 제 1부분(2)에 대해서 절곡부(4)에서 절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풍선의 일 태양에 있어서,
상기 제 1부분(2)은, 인형의 본체부이고,
상기 제 2부분(3)은, 상기 풍선을 사람의 팔 등에 장착하기 위한 끼움부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풍선의 일 태양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는, 2개의 팔부(30, 31)와, 이 팔부(30, 31) 선단의 개방단부(32, 33)와, 이 팔부(30, 31)의 베이스단에 접속되는 접속부(34)를 갖고, 상기 풍선(1)의 내부에 기체를 봉입해서 팽창시킴으로써 대략 고리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접속부(34)는, 상기 절곡부(4)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대략 고리 형상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볼록부(35)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풍선에 의하면, 2장의 플라스틱 필름을 서로 겹쳐서 제조되는 풍선이면서 내부에 기체를 봉입한 상태에서 절곡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제 1실시예에 따르는 풍선의 정면도다.
도 2는 제 1실시예에 따르는 풍선의 제조공정을 설명하는 측면도다.
도 3a는 팽창시킨 상태의 제 1실시예에 따르는 풍선의 정면도다.
도 3b는 절곡부의 확대도다.
도 4a는 팽창시킨 상태의 제 1실시예에 따르는 풍선의 측면도다.
도 4b는 도 5에 있어서의 절곡부의 Ⅳ-Ⅳ 선 확대 종단면도다.
도 5는 팽창시킨 상태에서 제 2부분을 절곡한 제 1실시예에 따르는 풍선의 정면도다.
도 6은 제 1실시예에 따르는 풍선을 정면 우측의 비스듬히 하방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도 7은 비교예 1의 풍선의 정면도다.
도 8은 비교예 1의 풍선을 정면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도 9는 제 2실시예에 따르는 풍선의 정면도다.
도 10은 제 2실시예에 따르는 풍선을 정면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도 11은 비교예 2의 풍선을 정면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도 12는 제 3실시예에 따르는 풍선의 정면도다.
도 13은 제 3실시예에 따르는 풍선을 배면의 비스듬히 상방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도 14는 제 3실시예에 따르는 풍선을 배면 좌측의 비스듬히 상방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르는 풍선은, 2장의 플라스틱 필름(10, 12)을 서로 겹쳐서 둘레부(5)를 접합한 풍선(1)으로서, 절곡부(4)를 샌드위치하는 위치에 제 1부분(2)과 제 2부분(3)을 갖고, 상기 절곡부(4)는, 상기 제 1부분(2)과 상기 제 2부분(3)을 내부에서 연통시키는 통기공(55)과, 상기 둘레부(5)보다 내측의 영역에서 대향하는 2장의 플라스틱 필름(10, 12)을 접합해서 형성된 절곡 시일부(54)를 갖고, 상기 절곡 시일부(54)는, 그 외측 둘레부(40)가 상기 절곡부(4)를 넘어서 상기 제 1부분(2) 및 상기 제 2부분(3)에 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제 1실시예
1.1 풍선
먼저, 도 1 및 도 2를 이용하여, 제 1실시예에 따르는 풍선(1)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풍선(1)의 정면도이고, 도 2는 풍선(1)의 제조공정을 설명하는 측면도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풍선(1)은 2장의 플라스틱 필름(10, 12)(도 2를 참조)을 서로 겹쳐서 둘레부(5)를 접합한 풍선(1)이다. 도 1에서는, 플라스틱 필름인 제 1필름(10)측에서 본 정면도이므로, 제 2필름(12)은 나타나 있지 않으나, 이 제 1필름(10)의 뒤쪽에 이것과 동일한 형상의 제 2필름(12)이 있다.
풍선(1)은, 절곡부(4)를 샌드위치하는 위치에, 제 1부분(2)과 제 2부분(3)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풍선(1)은, 제 1부분(2) 모습의 형태를 모방한 인형의 본체부와, 제 2부분(3)을 사람의 팔 등에 끼울 수 있는 형태의 끼움부를 갖는 껴안는 인형 모양의 풍선 장난감이다. 또한, 풍선(1)은, 인형 모양의 풍선 장난감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 1부분(2)의 형태는, 동물 인형 모양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가령, 별 모양, 하트 모양, 둥근 모양 등의 형태나 캐릭터 인형 모양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또, 제 1부분(2)에는, 가령 선전 광고 등을 인쇄할 수 있다.
제 1부분(2)은 큰 원형의 머리부(20)와, 머리부(20)의 좌우에 원형의 귀부(21)와, 머리부(20)의 하방으로 손과 발이 돌출되도록 형성된 몸체부(22)와, 몸체부(22)의 우측발 부분에 공기 공급밸브(6)를 갖는다.
머리부(20)와, 2개의 귀부(21) 및 몸체부(22)는, 대향한 필름 부분을 용착시킨 머리부 시일부(50) 및 귀부 시일부(52)를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다. 머리부 시일부(50) 및 귀부 시일부(52)는, 머리부(20)의 원형 외측 형태를 따라서 형성된다. 머리부(20)와 귀부(21) 및 몸체부(22) 간의 접속부분에는 대향하는 필름을 용착시키지 않고 형성한 머리부 통기공(51) 및 귀부 통기공(53)을 갖는다. 따라서, 몸체부(22)에서 머리부(20)로, 그리고 머리부(20)에서 귀부(21)로 풍선(1)의 내부는 연통되어 있다.
공기 공급밸브(6)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공기 공급밸브(6)는 체크밸브를 갖는 공지의 필름 밸브 구조이며, 선단부를 제 1부분(2) 내에 삽입하고, 베이스부를 제 1부분(2)으로부터 돌출시킨 것이다. 또, 공기 공급밸브(6)의 장착 위치는 제 1부분(2)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지만, 제 1부분(2)의 내부에 공급된 기체, 가령 공기는, 풍선(1)의 모든 부분에 공급된다. 또, 공기 공급밸브(6)는, 풍선(1)을 팽창시킨 후에, 체크밸브의 기능을 갖는 부분만을 남기고서 잘라내도 된다.
제 2부분(3)은, 정면에서 보아 하방을 향해서 개구되는 역 U자형 끼움부이며, 사람의 팔 등을 끼워넣을 수 있는 정도의 간격으로 배치된 2개의 팔부(30, 31)와, 팔부(30, 31) 선단의 개방단부(32, 33)와, 팔부(30, 31)의 베이스단에 접속되는 접속부(34)를 갖는다.
팔부(30, 31)는, 접속부(34)에서 개방단부(32, 33)를 향해서 약간 좁아지도록 내측으로 경사져 있다.
개방단부(32, 33)는,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설계되고, 이 간격이 풍선(1)의 내부에 기체가 충진되었을 때에 개방단부(32, 33)들이 접촉하지 않을 정도까지 좁아지게 된다.
접속부(34)는, 대략 원호형상이지만, 상방의 둘레부(5)에서 절곡부(4)에 접하고, 하방의 둘레부(5)(끼움부 내측 둘레부)에서 하방으로 약간 돌출되는 볼록부(35)를 갖는다. 도 1에서 볼록부(35)의 상방에 파선으로 나타낸 것은, 종래의 내측 둘레부의 형상이다.
절곡부(4)는, 제 1부분(2)과 제 2부분(3)을 내부에서 연통시키는 통기공(55)과, 둘레부(5)보다 내측의 영역에서 제 1필름(10)과 제 2필름(12)을 접합해서 형성된 절곡 시일부(54)를 갖는다. 절곡부(4)는, 풍선(1)을 팽창시킨 상태에서, 제 1부분(2)에 대해서 제 2부분(3)이 제 1필름(10)측 또는 제 2필름(12)측으로 절곡되는 부분이다.
절곡 시일부(54)는, 그 외측 둘레부(40)가 절곡부(4)를 넘어서 제 1부분(2) 및 제 2부분(3)에 도달한다. 제 1부분(2) 및 제 2부분(3)은 내부에 기체가 충진되어 팽창되면, 단면이 원형에 가깝도록 변형된다. 그리고, 제 1부분(2) 및 제 2부분(3)의 영역 내에 있어서의 절곡 시일부(54)에는 제 1부분(2) 및 제 2부분(3)이 멀어지는 방향으로 장력이 발생한다. 이 장력이 절곡부(4)에서 제 1부분(2)에 대해서 제 2부분(3)을 절곡시키는 힘이 된다.
절곡 시일부(54)는, 외측 둘레부(40)가 절곡부(4)로부터 제 1부분(2) 및 제 2부분(3)을 향해서 볼록한 원호를 갖는다. 도 1에서 외측 둘레부(40)는 상하로 볼록한 원호를 갖고 대략 타원형상이지만, 볼록한 원호는 제 1부분(2) 및 제 2부분(3)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할 수 있다. 가령,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부분(2)보다 제 2부분(3)이 도면의 상하방향의 길이가 짧으므로, 절곡 시일부(54)를 동일하게 제 1부분(2)과 제 2부분(3)에 들어가도록 형성해도 제 2부분(3) 쪽이 절곡 시일부(54)에 장력을 발생시키기 어렵다. 그래서, 제 2부분(3)으로 연장되는 절곡 시일부(54)의 외측 둘레부(40)만을 볼록한 원호로 형성해도 된다. 또, 절곡 시일부(54)는 제 1부분(2)보다도 제 2부분(3)으로 깊게 들어가도록 외측 둘레부(40)를 형성해도 된다.
절곡 시일부(54)는, 절곡부(4)의 폭방향에서 둘레부(5) 부근보다도 중앙 부근에 있어서 제 1부분(2) 및 제 2부분(3) 내로 가장 깊게 들어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레부(5) 부근보다도 중앙 부근이 보다 절곡 시일부(54) 내에 장력을 발생시키기 쉽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절곡 시일부(54)는, 절곡부(4)의 폭방향 중앙에 하나만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가령 절곡부(4)의 폭방향으로 복수 형성해도 된다. 절곡부(4)의 폭이 긴 제품이라도, 절곡 시일부(54)를 복수 설치함으로써 대응할 수 있기 때문이다.
통기공(55)은, 절곡부(4)의 폭방향에 있어서 절곡 시일부(54)를 샌드위치하도록 적어도 1쌍이 배치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절곡부(4)의 둘레부(5)와 절곡 시일부(54) 간의 용착되지 않은 부분이 통기공(55)이 된다. 둘레부(5)에 있어서의 통기공(55)의 수는, 2개로 한정되지 않으며, 3개 이상이라도 된다.
1. 2 풍선의 제조방법
다음에, 도 2를 이용하여 풍선(1)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라스틱 필름인 제 2필름(12) 상에 별도의 플라스틱 필름인 제 1필름(10)을 서로 겹치고, 소정 영역, 가령 도 1에 도시한 둘레부(5), 머리부 시일부(50), 귀부 시일부(52) 및 절곡 시일부(54)를 용착한다.
제 1, 제 2필름(10, 12)의 재질로서는, 공지의 합성수지제인 풍선에 사용되고 있는 재료, 가령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염화비닐 등을 적당히 채용할 수 있다. 또, 제 1, 제 2필름(10, 12)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을 증착한 것이나, 가스 배리어성이 우수한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 등의 수지를 사용한 것이라도 되며, 복수의 시트를 적층한 적층체라도 된다.
용착 방법으로서는 공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고주파 용착, 열용착, 초음파 용착, 열용착 절단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용착된 부분은 2장의 필름이 일체로 되어,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서, 2장의 제 1, 제 2필름(10, 12)이 용착에 의해서 점착되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풍선(1)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공기 공급밸브(6)의 제 1부분(2)에 장착하는 것은, 풍선의 제조시에, 제 1, 제 2필름(10, 12)을 서로 겹쳐서 둘레부(5)를 형성하는 공정과 동시에 실행할 수 있다.
1. 3. 팽창시킨 상태의 풍선
다음에, 도 3a 내지 도 6을 이용하여, 팽창시킨 상태의 풍선(1)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a는 팽창시킨 상태의 제 1실시예에 따르는 풍선(1)의 정면도이며, 도 3b는 그 절곡부(4)의 확대도다.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풍선(1)에 공기 공급밸브(6)로부터 기체를 불어넣으면, 풍선(1)은 팽창한다. 실제로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곡부(4)에서 제 2부분(3)이 후방 또는 전방으로 자연스럽게 절곡되지만, 도 3a에서는 전체의 형상의 변화 등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해, 절곡부(4)에서 절곡되지 않은 상태를 편의상 나타내었다.
제 2부분(3)은, 팽창되면 팔부(30, 31)의 개방단부(32, 33)가 근접해지도록 변형되며, 전체가 대략 고리 형상이 된다. 풍선(1)의 사용시에는 그 고리 형상으로 된 개방단부(32, 33)을 넓혀서 사용자의 팔 등에 팔부(30, 31)를 끼운다.
접속부(34)는, 절곡부(4)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대략 고리 형상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볼록부(35)를 가지므로, 풍선(1)을 팽창시킨 상태에서 접속부(34)의 중앙 부근에 매듭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접속부(34)의 중앙 부근은, 절곡 시일부(54)가 들어가 있기 때문에, 볼록부(35)가 없다면, 그 폭방향의 양측에 비해서 단면에서 형성되는 원의 반경이 작아지며, 접속부(34)에 매듭이 생기고, 주름이 잡히게 된다. 그러나, 볼록부(35)를 가짐으로써, 접속부(34)의 중앙 부근 단면의 원의 반경이 접속부(34)의 양단 부근 단면의 원의 반경보다 작아지는 것을 방지하면, 접속부(34)에 매듭이 생기기 어렵게 되므로, 상품으로서의 외관이 우수하다.
절곡 시일부(54)는, 외측 둘레부(40)와, 이 외측 둘레부(40)의 내측에 평탄부(41)를 가지며, 평탄부(41)는 제 1필름(10)과 제 2필름(12)를 용착해서 형성하였다. 평탄부(41)는 본 실시예와 같이 전체가 용착되어 있어도 되며, 외측 둘레부(40) 부근만 용착해서 평탄부(41)의 대부분을 용착하지 않아도 되지만, 절곡 시일부(54)에서 발생하는 장력에 견디기 위해서는 전체가 용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풍선(1)이 팽창되면, 절곡부(4)에 인접한 몸체부(22) 및 접속부(34)가 변형되므로, 절곡 시일부(54)의 외측 둘레부(40)는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변형하려고 한다.
그 때문에, 절곡 시일부(54)는, 둘레부(5)에 가까운 엔드 평탄부(41b)보다도 둘레부(5)에서 가장 먼 중앙 평탄부(41a)에 있어서 제 1부분(2) 및 제 2부분(3)이 멀어지려고 하는 장력이 커진다. 이 중앙과 양단 간의 장력 차가 제 1부분(2)에 대해서 제 2부분(3)을 절곡시키고자 하는 힘이 된다고 생각된다.
절곡 시일부(54)의 폭방향 양단에는 통기공(55)이 부풀어 올라 마개부(42)가 형성된다. 마개부(42)는, 절곡부(4)가 절곡되면 통기상태를 유지한 채로 절곡된다.
도 4a 내지 도 6을 이용하여, 팽창시켜서 절곡한 상태의 풍선(1)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a는 팽창시킨 상태의 풍선(1)의 측면도이며, 도 4b는 도 5에서 절곡부(4)의 Ⅳ-Ⅳ 선 확대 단면도다. 도 5는 팽창시킨 상태에서 제 2부분(3)을 후방으로 절곡한 풍선(1)의 정면도다. 도 6은 풍선(1)을 정면 우측의 비스듬히 하방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부분(3)은 절곡부(4)에서 도면의 우측(제 2필름(12)측)으로 절곡되고, 제 1부분(2)에 대해서 제 2부분(3)은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 있다.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곡부(4)의 절곡 시일부(54)는, 몸체부(22)와 접속부(34) 사이에서 인장되며, 기둥부(42)가 절곡됨으로써, 도면의 우측에서 몸체부(22)와 접속부(34)가 가까워지도록 변형된다.
절곡 시일부(54)에 있어서의 장력은, 제 2부분(3)이 제 1부분(2)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항상 작용하고 있으며, 제 2부분(3)이 제 1부분(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해도 원래의 대략 직각으로 절곡된 상태로 되돌아가기 위한 복원력이 된다. 따라서, 특허문헌 1과 같이 절곡된 상태를 유지학기 위한 절곡 자세 유지부재(양면 점착 테이프)가 필요 없다. 단, 절곡된 상태를 완전히 고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특허문헌 1과 같은 절곡 자세 유지부재를 보조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부(34)는, 그 폭방향 중심 부근에 작은 매듭이 있으나, 도 3에서 설명한 볼록부(35)의 작용에 의해서 그 매듭은 작은 크기로 되어 있어, 외관에 주는 영향이 작다.
풍선(1)을 실제로 제작하고, 팽창시킨 것을 도 6에 나타낸다. 풍선(1)은 내부에 공기를 충진하면, 절곡부(4)에서 자연스럽게 절곡되며,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동안은 그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또, 풍선(1)의 제 1부분(2) 및 제 2부분(3)이 멀어지도록, 즉, 도 3a의 상태로 연신되도록 그 외력을 가했다 해도 외력을 제거하면, 자동적으로 절곡부(4)에서 절곡되며,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온다.
이와 같이, 풍선(1)에 의하면, 2장의 플라스틱 필름(10, 12)를 서로 겹쳐서 제조되는 풍선(1)이므로, 내부에 기체를 봉입한 상태에서 절곡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 본원에 있어서, "절곡된 상태를 유지하는"이란,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이면 절곡된 상태를 유지한다는 것이며, 풍선(1)의 자중에 의해서도 절곡된 상태를 유지한다는 것이다.
2. 비교예 1
다음에, 비교예 1로서, 절곡부의 형태를 변경한 풍선(71)에 대해서, 도 7 및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비교예 1의 풍선(71)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비교예 1의 풍선(71)을 정면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풍선(71)은 2장의 플라스틱 필름을 서로 겹쳐서 둘레부(75)를 접합한 풍선(71)이다. 풍선(71)은 절곡부(74)를 샌드위치하는 위치에 제 1부분(72) 및 제 2부분(73)을 갖는다. 비교예 1에 있어서, 풍선(71)은, 정면에서 보아 전체의 외관이 대략 사각형으로, 그 중앙 부근을 횡단하도록 절곡부(74)가 형성되어 있다.
절곡부(74)는, 일직선 상에 가늘게 용착에 의해서 형성된 시일부(77)를 갖는다. 시일부(77)는 2곳에서 불연속으로 되어 있고, 그 불연속 부분에 통기공(78)이 형성되어 있다.
풍선(71)의 한쪽 변의 중앙 부근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공기 공급밸브(76)로부터 풍선(71)의 내부로 공기를 불어넣으면, 통기공(78)을 통해서 제 1부분(72)에서 제 2부분(73)으로 공기가 흘러 들어가서 풍선(71) 전체가 팽창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팽창된 상태의 비교예 1의 풍선(71)은, 자동적으로 절곡부(74)에서 절곡되지는 않았다. 또, 팽창된 상태의 풍선(71)을 절곡부(74)에서 절곡시킨다 해도, 도 8에 도시한 상태로 되돌아가서, 절곡된 상태를 유지할 수가 없었다.
게다가, 시일부(77)의 폭(도면의 좌우방향)을 넓게 해서 직사각형의 시일부로서, 통기공(78)을 그 양단에 설치한 풍선에 대해서도 시험제작이지만, 절곡된 상태를 유지할 수가 없었다.
3. 제 2실시예
다음에, 제 2실시예로서 절곡부의 형태를 변경한 풍선(91)에 대해서, 도 9 및 도 1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9는 풍선(91)의 정면도이고, 도 10은 풍선(91)을 정면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풍선(91)은 절곡부(94)의 형태를 제외하고, 비교예 1의 풍선(71)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비교예 1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절곡부(94)는 중심 부근에서 제 1부분(92) 및 제 2부분(93)의 내측으로 깊게 들어가고, 둘레부(95)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폭이 좁아지는 절곡 시일부(97)의 외측 둘레부(99)를 갖는다. 절곡 시일부(97)는 2장의 플라스틱 필름이 용착되어 형성된다.
절곡 시일부(97)와 둘레부(95) 사이에는 통기공(98)이 형성된다.
풍선(91)의 공기 공급밸브(96)로부터 풍선(91)의 내측으로 공기를 불어넣으면, 풍선(91) 전체가 팽창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팽창된 상태의 풍선(91)은, 자연스럽게 절곡된 상태로 되며, 절곡된 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었다. 또, 팽창된 상태의 풍선(91)은, 절곡부(94)의 접힌 부분을 연신시켜 똑바로 한 다음 손을 떼면, 튕기듯이 도 10에 도시한 상태로 되돌아왔다.
도 10의 상태에서 절곡 시일부(97)을 보면, 절곡부(94)의 중앙 부분은 팽팽하고 강하게 당겨져 있으며, 장력이 높은 것을 알 수 있고, 둘레부(95)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주름이 잡히고, 장력이 약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 비교예 2
다음에, 제 2실시예에 따르는 풍선(91)의 절곡 시일부(97)의 외측 둘레부(99)를 남기고, 그 내측을 잘라낸 비교예 2의 풍선(91a)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은 비교예 2의 풍선(91a)을 정면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풍선(91a)은 외측 둘레부(99)를 남기고 관통공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절곡 시일부(97)가 없어지게 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풍선(91a)은 자중에 의해 절곡부에서 절곡되는 것을 들어올려서 뒤집으면 자중에 의해 반대측으로 절곡되어 버려, 절곡된 상태를 유지할 수가 없었다.
또,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풍선(91)의 절곡 시일부(97) 대신에, 같은 크기의 복수(9개)의 둥근 시일부를 통기공(8개)을 샌드위치해서 배열한 풍선을 시험제작한 바, 도 10의 풍선(91)과 마찬가지로 절곡된 상태를 유지할 수가 없었다.
5. 제 3실시예
마지막으로, 제 3실시예로서 복수의 제 1부분(62)을 갖는 풍선(61)에 대해서, 도 12 내지 도 1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풍선(61)의 정면도이고, 도 13은 제 3실시예에 따르는 풍선을 배면의 비스듬히 상방에서 촬영한 사진이며, 도 14는 제 3실시예에 따르는 풍선을 배면 좌측의 비스듬히 상방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풍선(61)은 하나의 제 2부분(63)에 대해서 복수(4개)의 제 1부분(62)을 설치한 것이며, 제 2부분(63)은 역 U자 형상의 끼움부다.
4개의 제 1부분(62)과 제 2부분(63) 사이에는 절곡부(64)가 설치되고, 절곡부(64)에는 각각 절곡 시일부(67)가 형성되어 있다. 절곡 시일부(67)는,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2장의 플라스틱 필름을 둘레부(65)에서 용착해서 형성하였다.
절곡부(64)는 절곡 시일부(67)의 양단에 통기공(68)을 가지며, 공기 공급밸브(66)로부터 풍선(61)의 내부에 공기를 불어넣으면, 통기공(68)을 개재하여 제 1부분(62) 및 제 2부분(63)으로 흘러 들어가서, 풍선(61)이 팽창된다.
절곡 시일부(67)의 구조는 제 1실시예와 같으며, 절곡 시일부(67)의 외측 둘레부가 절곡부(64)를 넘어서 제 1부분(62) 및 제 2부분(63)에 도달해 있다.
그 때문에, 팽창된 상태의 풍선(61)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곡부(64)에서 자연스럽게 절곡되고, 제 2부분(63)으로부터 한쪽으로 절곡된 4개의 둥근 제 1부분(62)을 갖는다. 제 1부분(62)의 절곡 방향은, 각각 독자적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가령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제 1부분(62)만 상이한 방향으로 절곡하는 것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또, 제 2부분(63)은 개방단부(69)를 갖는 대략 고리 형상의 끼움부일 수 있으며, 사람의 팔 등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1부분(62)은 제 2부분(63)에 대해서 절곡된 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 변경한 형태를 기술적 범위로 포함하는 것이다.
1: 풍선 2: 제 1부분
3: 제 2부분 4: 절곡부
5: 둘레부 6: 공기 공급밸브
10: 제 1필름 12: 제 2필름
20: 머리부 21: 귀부
22: 몸체부 30: 팔부
31: 팔부 32: 개방단부
33: 개방단부 34: 접속부
35: 볼록부 40: 외측 둘레부
41: 평탄부 41a: 중앙 평탄부
41b: 엔드 평탄부 42: 기둥부
50: 머리부 시일부 51: 통기공
52: 귀부 시일부 53: 귀부 통기공
54: 절곡 시일부 55: 통기공
61: 풍선 62: 제 1부분
63: 제 2부분 64: 절곡부
65: 둘레부 66: 공기 공급밸브
67: 절곡 시일부 68: 통기공
69: 개방단부 71: 풍선
72: 제 1부분 73: 제 2부분
74: 절곡부 75: 둘레부
76: 공기 공급밸브 77: 시일부
78: 통기공 91: 풍선
91a: 풍선 92: 제 1부분
93: 제 2부분 94: 절곡부
95: 둘레부 96: 공기 공급밸브
97: 절곡 시일부 98: 통기공
99: 외측 둘레부

Claims (14)

  1. 2장의 플라스틱 필름을 서로 겹쳐서 둘레부를 접합한 풍선으로서,
    절곡부를 샌드위치하는 위치에 제 1부분과 제 2부분을 갖고,
    상기 절곡부는, 상기 제 1부분과 상기 제 2부분을 내부에서 연통시키는 통기공과, 상기 둘레부보다 내측의 영역에서 대향하는 2장의 플라스틱 필름을 접합해서 형성된 절곡 시일부를 갖고,
    상기 절곡 시일부는, 그 외측 둘레부가 상기 절곡부를 넘어서 상기 제 1부분 및 상기 제 2부분에 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 시일부는 상기 외측 둘레부가 상기 절곡부로부터 상기 제 1부분 및 상기 제 2부분 중 적어도 하나를 향해서 볼록한 원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선.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공은, 상기 절곡부의 폭방향에 있어서 상기 절곡 시일부를 샌드위치하도록 적어도 1쌍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선.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 시일부는, 상기 절곡부의 폭방향으로 복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선.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 시일부는, 상기 절곡부의 폭방향으로 복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선.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부분은, 상기 풍선의 내부에 기체를 봉입해서 팽창시킴으로써, 상기 절곡 시일부의 장력에 의해서 상기 제 1부분에 대해서 절곡부에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선.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부분은, 상기 풍선의 내부에 기체를 봉입해서 팽창시킴으로써, 상기 절곡 시일부의 장력에 의해서 상기 제 1부분에 대해서 절곡부에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선.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부분은, 상기 풍선의 내부에 기체를 봉입해서 팽창시킴으로써, 상기 절곡 시일부의 장력에 의해서 상기 제 1부분에 대해서 절곡부에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선.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부분은, 인형의 본체부이고,
    상기 제 2부분은, 상기 풍선을 사람의 팔에 장착하기 위한 끼움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선.
  10.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부분은, 인형의 본체부이고,
    상기 제 2부분은, 상기 풍선을 사람의 팔에 장착하기 위한 끼움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선.
  11.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부분은, 인형의 본체부이고,
    상기 제 2부분은, 상기 풍선을 사람의 팔에 장착하기 위한 끼움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선.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는, 2개의 팔부와, 이 팔부 선단의 개방단부와, 이 팔부의 베이스단에 접속되는 접속부를 갖고, 상기 풍선의 내부에 기체를 봉입해서 팽창시킴으로써 고리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절곡부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고리 형상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볼록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선.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는, 2개의 팔부와, 이 팔부 선단의 개방단부와, 이 팔부의 베이스단에 접속되는 접속부를 갖고, 상기 풍선의 내부에 기체를 봉입해서 팽창시킴으로써 고리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절곡부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고리 형상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볼록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선.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는, 2개의 팔부와, 이 팔부 선단의 개방단부와, 이 팔부의 베이스단에 접속되는 접속부를 갖고, 상기 풍선의 내부에 기체를 봉입해서 팽창시킴으로써 고리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절곡부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고리 형상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볼록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선.
KR1020157034599A 2014-07-17 2015-02-09 풍선 KR1016225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46655A JP6401954B2 (ja) 2014-07-17 2014-07-17 ふうせん
JPJP-P-2014-146655 2014-07-17
PCT/JP2015/053486 WO2016009664A1 (ja) 2014-07-17 2015-02-09 ふうせ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1766A KR20160021766A (ko) 2016-02-26
KR101622531B1 true KR101622531B1 (ko) 2016-05-18

Family

ID=55078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4599A KR101622531B1 (ko) 2014-07-17 2015-02-09 풍선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751024B2 (ko)
EP (1) EP3012005B1 (ko)
JP (1) JP6401954B2 (ko)
KR (1) KR101622531B1 (ko)
CN (2) CN105431212B (ko)
AU (1) AU2015264910B2 (ko)
ES (1) ES2697340T3 (ko)
MX (1) MX354469B (ko)
WO (1) WO20160096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01954B2 (ja) * 2014-07-17 2018-10-10 宝興産株式会社 ふうせん
US10588996B2 (en) * 2017-05-11 2020-03-17 William Paul Warkentin Vent balloon
US10493669B1 (en) 2019-03-04 2019-12-03 Carlos Robaina Balloon mold form for forming a balloon with appendag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9041B2 (ja) 1994-10-06 2001-05-21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接続箱による電線保持方法およびその構造
JP2016016160A (ja) 2014-07-09 2016-02-01 宝興産株式会社 連結ふうせん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38872A (en) * 1955-04-27 1958-06-17 Kestral Corp Inflatable figure toy
JPS5519756Y2 (ko) * 1978-06-08 1980-05-10
JPS5659091U (ko) 1979-10-12 1981-05-20
JPS5661291U (ko) 1979-10-17 1981-05-25
JPS5919192U (ja) * 1982-07-30 1984-02-06 株式会社タカラ 合成樹脂製空気注入玩具
GB8802474D0 (en) * 1988-02-04 1988-03-02 Wang T C C Inflatable article
US4936804A (en) * 1988-12-09 1990-06-26 Dowdeswell M Richard Non-inflatable buoyancy aid
JPH03162512A (ja) * 1989-11-20 1991-07-12 Nkk Corp 高炉ベル
JPH03169041A (ja) 1989-11-29 1991-07-22 Japan Synthetic Rubber Co Ltd 真空処理装置
US5023118A (en) * 1990-06-12 1991-06-11 Cheng Peter S C Artificial flower with inflatable petals and/or inflatable multiple petal assemblies
JPH0633983Y2 (ja) * 1990-07-12 1994-09-07 宝興産株式会社 風船玩具
CN2119954U (zh) * 1992-04-18 1992-10-28 黄�俊 玩具降落伞
US5480029A (en) * 1993-01-08 1996-01-02 Air-Ride Packaging Of America, Inc. Air inflatable/deflatable packaging component shaped to fit a corner of an article
US5620096A (en) * 1996-05-21 1997-04-15 Sealed Air Corporation Inflatable packaging cushion with pocket
US5862914A (en) * 1996-11-25 1999-01-26 Sealed Air Corporation Inflatable package for protecting an article
CN1161745C (zh) * 1998-12-31 2004-08-11 约翰·A·布莱克曼 声音发生器及产生声音的方法
JP3316679B2 (ja) 1999-09-24 2002-08-19 株式会社リングストン 空気袋の製造方法
US6106349A (en) * 1999-10-01 2000-08-22 Motosko; Stephen Inflatable flotation device
US6398029B1 (en) * 2000-03-17 2002-06-04 Sealed Air Corporation (Us) Packaging cushion and packaging assemblies incorporating same
US6554669B1 (en) * 2001-12-18 2003-04-29 Stephen J. Motosko Inflatable flotation device
US6575805B1 (en) * 2002-07-30 2003-06-10 Anagram International, Inc. Non-latex centerpiece balloon
JP2006218165A (ja) * 2005-02-14 2006-08-24 Ringstone Co Ltd 風船用ホルダー
TWM278659U (en) * 2005-06-09 2005-10-21 Bo-Shin Jian Damper device for air column piece
US20070161322A1 (en) * 2006-01-10 2007-07-12 Carmon Arie D Multi-segment animation balloon
CN201161115Y (zh) * 2008-01-22 2008-12-10 焦晓娟 可同时充气的气球链
JP3162512U (ja) * 2010-06-24 2010-09-02 紘子 金宮 支持具
JP3169041U (ja) * 2011-04-28 2011-07-07 宝興産株式会社 抱きつき人形型風船おもちゃ
GB2492156A (en) * 2011-06-24 2012-12-26 Seatriever Int Holdings Ltd Balloon deflation method
CN202199114U (zh) 2011-08-16 2012-04-25 陈礼海 创意幻彩魔球
JP6401954B2 (ja) * 2014-07-17 2018-10-10 宝興産株式会社 ふうせ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9041B2 (ja) 1994-10-06 2001-05-21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接続箱による電線保持方法およびその構造
JP2016016160A (ja) 2014-07-09 2016-02-01 宝興産株式会社 連結ふうせ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228784A1 (en) 2016-08-11
KR20160021766A (ko) 2016-02-26
WO2016009664A1 (ja) 2016-01-21
CN107335230A (zh) 2017-11-10
AU2015264910B2 (en) 2016-02-25
JP6401954B2 (ja) 2018-10-10
ES2697340T3 (es) 2019-01-23
CN107335230B (zh) 2019-11-12
EP3012005A4 (en) 2016-07-06
MX2015016501A (es) 2016-03-30
CN105431212B (zh) 2017-09-08
EP3012005B1 (en) 2018-08-29
CN105431212A (zh) 2016-03-23
US9751024B2 (en) 2017-09-05
EP3012005A1 (en) 2016-04-27
MX354469B (es) 2018-03-07
JP2016022042A (ja) 2016-02-08
AU2015264910A1 (en) 2016-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42247B2 (ja) 支持体
KR101622531B1 (ko) 풍선
JP5528989B2 (ja) 衛生マスク
JP6318393B2 (ja) シート付き包装体
JP6623007B2 (ja) ふうせん
WO1992021264A1 (en) Bag made of plastic film having pattern drawn on inflated portion
JP5754034B1 (ja) 連結風船
JP2013176680A (ja) 衛生マスク
JP2006298377A (ja) 気泡性緩衝シート及び緩衝袋
KR101782586B1 (ko) 에어캡 쇼핑백 제조방법
JP5347107B2 (ja) 緩衝性包装体
JP6248007B2 (ja) 連結ふうせん
JP3071005U (ja) 装飾玩具
JP2014000250A (ja) マスク
JP4431538B2 (ja) ハンガー
JP2011092241A (ja) 部分マネキン
JP2002037273A (ja) サイドガゼット付き商品包装袋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6164074A (ja) 包材、包装体および包装体の製造方法
JP2784993B2 (ja) 合成樹脂製バッグ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8172172A (ja) 物品結束材及び物品包装体
JP2013245011A (ja) スキンパック包装体の製造方法
JP2009250267A (ja) フィルム逆止弁および風船構造体
JP2001097398A (ja) 通気性袋と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