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9092B1 - 부체식 플랩 게이트 - Google Patents

부체식 플랩 게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9092B1
KR101619092B1 KR1020147018912A KR20147018912A KR101619092B1 KR 101619092 B1 KR101619092 B1 KR 101619092B1 KR 1020147018912 A KR1020147018912 A KR 1020147018912A KR 20147018912 A KR20147018912 A KR 20147018912A KR 101619092 B1 KR101619092 B1 KR 101619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ody
counterweight
flap gate
coil spring
compression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8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9551A (ko
Inventor
교이치 나카야스
도시아키 모리이
료타 요시키
마사키 이누이
유이치로 기무라
Original Assignee
히다치 조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조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조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99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9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9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9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0Dams; Dykes; Sluice ways or other structures for dykes, dams, or the like
    • E02B3/102Permanently installed raisable dykes
    • E02B3/104Permanently installed raisable dykes with self-activa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02Fixed barr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05Barrages controlled by the variations of the water level; automatically functioning barr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4Hinged-leaf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입초기나 도복시작시에 있어서 도어체의 동작을 빠르게 하고 또한 기립완료시나 도복완료시의 충격력을 완화시킨다. 개구부 혹은 출입구로 유입되는 물의 방향으로 도어체(12)의 선단측(12b)이 기단측(12a)을 지점으로 하여 기립하면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한 부체식 플랩 게이트(11)이다. 도어체(12)에 일단을 부착한 와이어로프(14)의 타단에 보조력 발생수단(20)을 부착한다. 보조력 발생수단(20)은, 카운터 웨이트(21)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21a)에 압축 코일스프링(22)을 배치하고, 카운터 웨이트(21)의 천장에 형성된 구멍(2lb)을 통하여 압축 코일스프링(22)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와이어로프(14)의 타단과 접속된 가압판(23)을 압축 코일스프링(22)의 하면에 접촉시킴으로써, 압축 코일스프링(22)에 압축력을 작용시키는 구성이다. 유입초기의 월류를 방지할 수 있는 한편, 도복시작시에는 수위의 추종성이 향상된다. 또한 기립완료시나 도복완료시의 충격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부체식 플랩 게이트{FLOATING FLAP GAT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방파제(防波堤)의 개구부(開口部)에 설치되어, 증수(增水)시에 증수된 물이 생활공간이나 지하공간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도어체(door體)를 부상(浮上)시켜서 상기 개구부를 차단하는 부체식 플랩 게이트(浮體式 flap gate)에 관한 것이다.
증수시에 증수된 물이 생활공간이나 지하공간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유입되는 물에 의한 부력(浮力)을 이용하여 도어체를 부상시켜서 예를 들면 방파제의 개구부를 차단하는 부체식 플랩 게이트가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그러나 특허문헌1에 개시된 부체식 플랩 게이트는, 유입초기의 물의 속도가 빠른 경우에 도어체(1)의 부상동작(浮上動作)이 늦어, 생활공간이나 지하공간 등의 배후지역(背後地域)으로 유입되는 물이 월류(越流)하는 문제가 있다(도10(a) 참조).
또한 수위가 저하된 때에는, 도어체(1)는 도어체(1)의 1/3 정도 높이의 수위까지는 기립상태를 유지하고, 그 후에 급격하게 도복(倒伏)한다는 위험한 이동형태를 나타낸다(도10(b) 참조).
상기의 문제점 중에서 유입초기의 월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일단(一端)에 카운터 웨이트(counter weight)를 부착한 로프(rope)의 타단(他端)을 도르래를 통하여 도어체에 연결한 부체식 플랩 게이트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2).
이 특허문헌2에 제안된 부체식 플랩 게이트는, 카운터 웨이트의 무게에 의하여 부체식 플랩 게이트의 부력부족을 보충함으로써 유입초기의 도어체의 부상동작의 지연을 해결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2에 제안된 부체식 플랩 게이트는, 항상 도어체의 부상동작을 돕는 방향으로 카운터 웨이트의 무게를 작용시키기 때문에 수위저하시의 도복이 이루어지기 어려워진다.
또한 상기 문제점 중에서 갑작스러운 도복동작을 회피하기 위하여, 댐퍼회로(damper回路)를 사용하여 도복시의 도복속도를 감쇠시키는 설비가 특허문헌3에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3에 제안된 설비의 경우에, 기립시에는 댐퍼회로가 기립속도를 감쇠시키기 때문에 유입초기에 월류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특허문헌1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1-214425호 공보 특허문헌2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3-253912호 공보 특허문헌3 : 일본국 특허 제4388494호 공보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문제점은, 종래의 부체식 플랩 게이트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어체의 부상동작을 항상 보조하는 장치를 설치하였을 경우에, 수위저하시의 도복이 이루어지기 어려워진다는 점이다. 또한 도복시의 도복속도를 감쇠시키는 댐퍼회로를 설치하였을 경우에, 유입초기에 월류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는 점이다.
본 발명은, 유입초기(기립시작시)나 도복시작시에 도어체의 동작을 빠르게 하고 또한 기립완료시나 도복완료시의 충격력을 완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임의의 수위에서 도어체가 부상하는 것과 같은 설정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부체식 플랩 게이트는,
개구부 혹은 출입구에 설치되고, 물이 유입될 때에 상기 개구부 혹은 상기 출입구를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유입되는 물의 방향으로 높이방향의 평면내에서 도어체의 선단측이 기단측을 지점으로 하여 기립하면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한 부체식 플랩 게이트로서,
상기 도어체에 일단을 부착한 로프의 타단에 보조력 발생수단을 부착하고,
보조력 발생수단은,
내부에 공간을 형성한 카운터 웨이트와,
이 카운터 웨이트의 상기 공간에 배치되고, 압축력이 작용하였을 경우에는 이 압축력에 반발하여 원래로 돌아가려고 하는 신축부재와,
이 신축부재에 압축력을 작용시키기 위하여 신축부재의 하면에 접촉하고, 상기 카운터 웨이트의 천장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상기 공간에 배치된 상기 신축부재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상기 로프의 타단에 접속된 가압판을 구비하는 구성인 것을 가장 주요한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의 본 발명은, 보조력 발생수단을, 카운터 웨이트의 내부공간에 배치된 신축부재의 하면에 카운터 웨이트의 천장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신축부재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로프의 타단과 접속된 가압판을 접촉시킨 구성으로 함으로써 이하의 작용을 발휘한다.
도어체의 기립초기에는, 신축부재의 반발력에 의하여 로프가 끌어 당겨지기 때문에 도어체의 기립속도가 가속되는 한편 기립완료전에는, 신축수단의 반발력에 의하여 보조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도어체의 기립말기의 기립속도가 감속한다.
도어체의 도복시작시에는, 신축부재의 반발력에 의하여 보조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로프가 끌어 당겨져서 도어체의 도복속도가 가속되는 한편 도복완료전에는, 신축수단의 반발력에 의하여 보조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도어체의 도복말기의 도복속도가 감속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보조력 발생수단의 최상점의 위치를 조절하는 높이위치 조절기구를 더 설치한 경우에는, 신축수단에 있어서 초기의 보조력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도어체의 기립초기(起立初期)에는, 신축부재(伸縮部材)의 반발력에 의하여 로프가 끌어 당겨져서 도어체의 기립속도가 가속되어 유입초기의 월류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기립완료전에는 신축수단의 반발력에 의하여 보조력(補助力)이 발생하여 기립말기(起立末期)의 기립속도가 감속되기 때문에, 기립완료시의 충격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도어체의 도복시작(倒伏始作)시에는, 신축부재의 반발력에 의하여 보조력이 발생하여 로프가 끌어 당겨져서 도어체의 도복속도가 가속됨으로써 수위(水位)의 추종성(追從性)이 향상된다. 한편 도복완료전에는 신축수단의 반발력에 의하여 보조력이 발생하여 도복말기(倒伏末期)의 도복속도가 감속되기 때문에, 도복완료시의 충격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보조력 발생수단의 최상점(最上點)의 위치를 조절하는 높이위치 조절기구를 더 설치한 경우에는, 신축수단에 있어서 초기의 보조력을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임의의 수위에서 도어체가 부상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1] 본 발명의 부체식 플랩 게이트의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a)는 측면으로부터 본 도면, (b)는 정면으로부터 본 도면, (c)는 평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2] 본 발명의 부체식 플랩 게이트의 보조력 발생수단의 구성요소인 신축부재로서 압축 코일스프링을 채용하였을 경우의 설명도로서, (a)는 구조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b)는 운동중에 압축 코일스프링에 작용하는 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 본 발명의 부체식 플랩 게이트의 보조력 발생수단에 있어서 최상점의 높이위치 조절기구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정면도, (b)는 평면도이다.
[도4] 본 발명의 부체식 플랩 게이트의 기립시의 동작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a)는 유입초기, (b)는 기립초기, (c)는 기립중기, (d)는 기립후기, (e)는 기립완료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 본 발명의 부체식 플랩 게이트의 도복시의 동작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a)는 도복시작시, (b)는 도복초기, (c)는 도복중기, (d)는 도복후기, (e)는 도복완료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 부체식 플랩 게이트의 기립각도와 보조력과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a)는 카운터 웨이트 만을 사용하는 경우, (b)는 카운터 웨이트와 압축 코일스프링을 사용하는 경우의 도면이다.
[도7] 본 발명의 부체식 플랩 게이트의 보조력 발생수단의 구성요소인 신축부재로서 가스 실린더를 채용하였을 경우의 설명도이다.
[도8] (a)는 로드에 바퀴를 부착한 본 발명의 부체식 플랩 게이트의 당해 부분의 설명도, (b)는 (a)도의 구성에 레일을 더 설치하였을 경우의 설명도이다.
[도9] (a)는 도어체의 양측에 로드를 추가로 부착한 본 발명의 부체식 플랩 게이트의 당해 부분의 설명도, (b)는 (a)도의 구성에 바퀴를 더 설치하였을 경우의 설명도이다.
[도10] 종래의 부체식 플랩 게이트의 문제점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a)는 유입초기, (b)는 수위저하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유입초기(流入初期)나 도복시작(倒伏始作)시의 도어체(door體)의 동작을 빠르게 하고 또한 기립완료시나 도복완료시의 충격력을 완화시킨다는 목적을, 내부공간에 배치된 신축부재(伸縮部材)의 하면(下面)에, 카운터 웨이트(counter weight)의 천장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신축부재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로프(rope)의 타단(他端)과 접속된 가압판(加壓板)을 접촉시킨 보조력 발생수단(補助力 發生手段)을 설치함으로써 실현시켰다.
[실시예]
이하에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1∼도6을 사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부체식 플랩 게이트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에 있어서, 11은 예를 들면 방파제(防波堤)에 있어서 개구부(開口部)의 노면(路面)(rs)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부체식 플랩 게이트(浮體式 flap gate)이다. 이 부체식 플랩 게이트(11)는, 해양(혹은 하천)으로부터 생활공간이나 지하공간 등의 배후지역(背後地域)으로 물(w)이 유입될 때에, 유입되는 물(w)의 수압을 이용하여 기단측(基端側)(12a)의 회전축(回轉軸)(12c)을 지점(支點)으로 하여 도어체(12)의 선단측(先端側)(12b)을 기립하면서 회전시켜서 개구부를 수밀상태(水密狀態)로 차단하는 것이다. 또 18a는 도어체(12)가 기립하면서 회전하는 것을 안내하기 위하여 도어스토퍼(door stopper)(15)에 형성된 가이드(guide)이다.
이 부체식 플랩 게이트(11)를 구성하는 도어체(12)는 단일(單一)의 부체(浮體)로 구성되고, 차단하는 개구부의 폭이 넓은 경우에는 복수의 도어체(12)가 개구부의 폭방향으로 연결된 구성으로 되고, 각 도어체(12) 사이는 도어간 수밀고무(水密rubber)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또한 양측의 도어체(12)에 있어서 방파제의 개구부에 설치된 도어스토퍼(15)와 마주 대하는 측에는 수밀고무가 설치되어 있다.
도1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부체식 플랩 게이트(11)는 예를 들면 도어체(12)의 선단 부근의 폭방향 전역에 1개의 로드(rod)(13)가 부착되어, 수압하중(水壓荷重)의 지지와 와이어로프(wire rope)(14)의 일단(一端)을 부착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와이어로프(14)의 타단은, 도복시의 도어체(12)의 선단 상방과 기단측 상방의 도어스토퍼(15)에 설치된 제1고정 도르래(16)와 제2고정 도르래(17)를 통하여, 도어스토퍼(15) 내부에 형성된 수용 스페이스(收容 space)(15a)에 배치된 보조력 발생수단(20)에 부착되어 있다.
보조력 발생수단(20)은 예를 들면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카운터 웨이트(21)의 내부에 형성되고 하방(下方)이 개방된 공간(21a)에 신축부재인 압축 코일스프링(壓縮 coil spring)(22)을 배치하고, 이 압축 코일스프링(22)의 하면을 가압판(23)으로 지지하도록 한 구성으로서, 수용 스페이스(15a) 내에 부착된 가이드 부재(guide 部材)(15b)를 따라 승강(昇降)하며 이동한다.
그리고 가압판(23)은, 카운터 웨이트(21)의 천장에 형성된 구멍(2lb)을 통하여 상기 압축 코일스프링(22)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상기 와이어로프(14)의 타단에 접속되어 있다.
30은, 보조력 발생수단(20)의 최상점(最上點)의 위치를 조절하는 높이위치 조절기구로서, 도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2고정 도르래(17)를 부착한 대좌(台座)(30a)에 예를 들면 4개의 누름 볼트(push bolt)(30b)를 나사결합한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의 높이위치 조절기구(30)에서는, 누름 볼트(30b)의 대좌(30a)에 대한 나사결합량에 의하여 보조력 발생수단(20)의 최상점의 위치를 변화시키고, 압축 코일스프링(22)에서만 담당하는 와이어로프(14)의 스트로크량(stroke量)을 변화시켜서 압축 코일스프링(22)에 작용하는 압축력을 조정할 수 있다. 또 도3중의 30c는 대좌(30a)의 고정용 볼트이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본 발명의 부체식 플랩 게이트(11)에서는, 도어체(12)의 기립시 및 도어체(12)의 도복시에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것과 같은 작용을 발휘한다.
(도어체(12)의 기립시 : 도4 참조)
· 유입초기 : (a)도
유입초기에는, 보조력 발생수단(20)은 최상한위치(最上限位置)에 있고, 압축 코일스프링(22)은 압축상태에 있기 때문에, 압축 코일스프링(22)의 반발력에 의하여 와이어로프(14)는 도어체(12)가 기립하는 방향으로 끌어 당겨져서 도어체(12)의 기립을 보조한다. 이 보조력은 압축 코일스프링(22)의 반발력의 감소에 따라 감소한다.
· 기립동작초기 : (b)도
도어체(12)의 기립에 따라 압축 코일스프링(22)은 서서히 신장(伸張)해 간다. 압축 코일스프링(22)의 반발력이 카운터 웨이트(21)의 중량을 지탱할 수 없게 될 때까지 감소하면, 카운터 웨이트(21)가 하강하기 시작한다. 이후에는 압축 코일스프링(22)의 반발력에 의하여 카운터 웨이트(21)가 지탱되고, 와이어로프(14)에는 카운터 웨이트(21)의 중량이 작용하여 도어체(12)의 기립을 보조한다.
· 기립동작중기 : (c)도
도어체(12)가 중간 정도(도어체(12)의 기립각도가 35∼55° 정도)까지 기립하면, 카운터 웨이트(21)는 도어스토퍼(15)의 수용 스페이스(15a) 내에 설치된 대좌(15c)에 밑바닥이 닿는다. 밑바닥이 닿으면 카운터 웨이트(21)에 의한 하중이 압축 코일스프링(22)으로부터 해제되고, 압축 코일스프링(22)은 하중이 0인 자유길이가 되어 와이어로프(14)에 장력(張力)이 작용하지 않게 된다.
· 기립동작후기 : (d)도
도어체(12)의 기립이 중간 정도를 지나서, 도어체(12)의 기립동작(도어체(12)에 작용하는 수압)에 의하여 와이어로프(14)가 끌어 당겨지면 압축 코일스프링(22)이 압축된다. 압축 코일스프링(22)의 반발력이 카운터 웨이트(21)의 중량을 지탱할 수 있게 되면, 카운터 웨이트(21)가 대좌(15c)로부터 떨어져서 상승하기 시작한다. 이후에는 압축 코일스프링(22)의 반발력에 의하여 카운터 웨이트(21)가 지탱되고, 와이어로프(14)에는 카운터 웨이트(21)의 중량이 작용하기 때문에 도어체(12)의 급격한 기립동작이 완화된다.
· 기립동작완료기 : (e)도
도어체(12)가 최대기립각도 부근이 되어, 카운터 웨이트(21)가 누름 볼트(30b)에 접촉하여 최상점에 도달하면, 와이어로프(14)의 장력이 모두 압축 코일스프링(22)에 작용하게 되어 압축 코일스프링(22)이 압축된다. 이때에 압축 코일스프링(22)의 반발력에 의하여 도어체(12)의 도복방향으로 보조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도어체(12)의 기립완료시의 충격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
(도어체(12)의 도복시 : 도5 참조)
· 도복시작시 : (a)도
최대기립각도로부터의 도어체(12)의 도복시작시에는, 압축 코일스프링(22)이 압축상태에 있기 때문에, 압축 코일스프링(22)의 반발력에 의하여 와이어로프(14)가 끌어 당겨져서 도복방향으로 보조력이 작용하여, 도어체(12)의 도복을 보조한다. 이 보조력은 압축 코일스프링(22)의 반발력의 감소에 따라 감소한다.
· 도복동작초기 : (b)도
도어체(12)의 도복에 따라 압축 코일스프링(22)은 서서히 신장해 간다. 압축 코일스프링(22)의 반발력이 카운터 웨이트(21)의 중량을 지탱할 수 없게 될 때까지 감소하면, 카운터 웨이트(21)가 하강하기 시작한다. 이후에는 압축 코일스프링(22)의 반발력에 의하여 카운터 웨이트(21)가 지탱되고, 와이어로프(14)에는 카운터 웨이트(21)의 중량이 작용하여 도어체(12)의 도복을 보조하고, 수위의 저하에 맞추어 도어체(12)가 도복한다.
· 도복동작중기 : (c)도
도어체(12)가 중간 정도(도어체(12)의 기립각도가 35∼55° 정도)까지 도복하면, 카운터 웨이트(21)는 도어스토퍼(15)의 수용 스페이스(15a) 내에 설치된 대좌(15c)에 밑바닥이 닿는다. 밑바닥이 닿으면 카운터 웨이트(21)에 의한 하중이 압축 코일스프링(22)으로부터 해제되고, 압축 코일스프링(22)은 하중이 0인 자유길이가 되어 와이어로프(14)에 장력이 작용하지 않게 된다.
· 도복동작후기 : (d)도
도어체(12)의 도복이 중간 정도를 지나면, 도어체(12)의 자체 중량에 의한 도복동작에 의하여 와이어로프(14)가 끌어 당겨져서 압축 코일스프링(22)이 압축된다. 압축 코일스프링(22)의 반발력이 카운터 웨이트(21)의 중량을 지탱할 수 있게 되면, 카운터 웨이트(21)가 대좌(15c)로부터 떨어져서 상승하기 시작한다. 이후에는 압축 코일스프링(22)의 반발력에 의하여 카운터 웨이트(21)가 지탱되고, 와이어로프(14)에는 카운터 웨이트(21)의 중량이 작용하기 때문에 도어체(12)의 급격한 도복동작이 완화된다.
· 도복동작완료기 : (e)도
도어체(12)가 도복한계 부근이 되어, 카운터 웨이트(21)가 누름 볼트(30b)에 접촉하여 최상점에 도달하면, 와이어로프(14)의 장력이 모두 압축 코일스프링(22)에 작용하게 되어 압축 코일스프링(22)이 압축된다. 이때에 압축 코일스프링(22)의 반발력에 의하여 도어체(12)의 기립방향으로 보조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도어체(12)의 도복완료시의 충격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부체식 플랩 게이트(11)에서는, 카운터 웨이트(21)와 압축 코일스프링(22)을 병용한 보조력 발생수단(20)을 사용하여 복수의 기능을 작동시킴으로써, 도어체(12)의 기립 및 도복시에 있어서 보조, 충격완화, 수위추종(水位追從)이 가능하게 된다.
그때에 카운터 웨이트(21)와 압축 코일스프링(22)을 병용한 보조력 발생수단(20)을 구비하는 본 발명의 부체식 플랩 게이트(11)에서는, 도6(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도어체(12)의 기립한계 부근, 도어체(12)의 도복한계 부근에서의 보조력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도어체(12)의 기립각도가 45° 전후에서는 카운터 웨이트(21)가 대좌에 밑바닥이 닿아서 서서히 압축 코일스프링(22)이 신장한다. 그때에 도6(b)에서는 도어체(12)의 기립각도가 45°에서 반발력이 0이 될 때까지 압축 코일스프링(22)이 서서히 신장하고 있는 것을 나타냈지만, 반발력이 0이 될 때까지 압축 코일스프링(22)이 신장하지 않아도 된다.
한편 카운터 웨이트(21)만으로 보조력 발생수단(20)을 구성하였을 경우에는, 보조력은 카운터 웨이트(21)의 중량만이기 때문에, 도어체(12)의 기립각도에 관계없이 도6(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일정하게 된다.
부가하여 발명예와 같이 대좌(15c)를 설치하였을 경우에는, 도어체(12)가 중간 정도(도어체(12)의 기립각도가 35∼55° 정도)의 상태에 있는 경우에 보조력을 0으로 할 수 있어, 이 범위에서의 도어체(12)의 수위추종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청구항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이면 적절하게 실시형태를 변경하더라도 좋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면 상기의 예에서는 카운터 웨이트(21)와 압축 코일스프링(22)을 병용한 보조력 발생수단(20)을 나타냈지만, 도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카운터 웨이트(21)와 가스 실린더(gas cylinder)(24)를 병용한 것이더라도 좋다.
이 경우에 카운터 웨이트(21)의 공간(21a)에 실린더(24a)와 피스톤(piston)(24b) 및 로드(24c)로 이루어지는 가스 실린더(24)를 설치하여, 피스톤(24b)에 의하여 밀폐된 로드(24c)측의 실린더(24a) 내에 대기압(大氣壓) 이상의 가스(24d)를 밀폐한다. 그리고 로드(24c)를 카운터 웨이트(21)의 상기 구멍(2lb)을 통하여 돌출시켜서 와이어로프(14)와 접속한다.
이러한 가스 실린더(24)에서는, 와이어로프(14)가 끌어 당겨지면 실린더(24) 내의 가스(24d)가 압축되어 반발력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도어체(12)의 선단 부근의 폭방향 전역에 부착된 1개의 로드(13)가 가이드(18a)에 안내되는 것을 나타냈지만, 도8(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로드(13)와 가이드(18a)가 접촉되는 부분에 바퀴(19)를 부착한 것이더라도 좋다. 또한 도8(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로드(13)에 부착된 바퀴(19)를 레일(rail)(18b)로 안내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도어체(12)의 선단 부근의 폭방향 전역에 1개의 로드(13)를 부착한 것을 나타냈지만, 도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도어체(12)의 양측에만 로드(13)를 부착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에 도9(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로드(13)와 가이드(18a)가 접촉되는 부분에 바퀴(19)를 부착하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와이어로프(14)를 사용하고 있지만, 폴리아미드계(polyamide系), 폴리에스테르계(polyester系), 폴리에틸렌계(polyethylene系), 폴리프로필렌계(polypropylene系), 아라미드계(aramid系), 폴리아릴레이트계(polyarylate系), 초고밀도 폴리에틸렌(超高密度 polyethylene) 등의 섬유로프를 사용하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의 예는 도어체(12)가 단일의 부체로 구성된 부체식 플랩 게이트를 나타냈지만, 복수의 부체를 높이방향으로 연결한 부체 연결식 플랩 게이트에 적용하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보조력 발생수단(20)은 도어스토퍼(15)의 내부의 수용 스페이스(15a)에 부착하고 있지만, 도어스토퍼(15)의 외부에 설치하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가이드(18a)는 도어스토퍼(15)의 외부에 설치하고 있지만, 도어스토퍼(15)의 내부에 설치하더라도 좋다. 또한 바닥부 힌지(bottom hinge) 구조에 의하여 도어체(12)가 바닥부 힌지를 중심으로 하여 기립 및 도복 회전이 가능하다면, 도어스토퍼(15)에 가이드(18a)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보조력 발생수단(20)은 대좌(15c)에 밑바닥이 닿는 것을 나타냈지만, 이 대좌(15c)는 반드시 필수적인 구성요소는 아니다.
11 ; 부체식 플랩 게이트
12 ; 도어체
12a ; 기단측
12b ; 선단측
14 ; 와이어로프
20 ; 보조력 발생수단
21 ; 카운터 웨이트
21a ; 공간
2lb ; 구멍
22 ; 압축 코일스프링
23 ; 가압판
24 ; 가스 실린더
24c ; 로드
30 ; 높이위치 조절기구

Claims (4)

  1. 개구부(開口部) 또는 출입구(出入口)에 설치되고, 물이 유입될 때에 상기 개구부 혹은 상기 출입구를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유입되는 물의 방향으로 높이방향의 평면내에서 도어체(door體)의 선단(先端)측이 기단(基端)측을 지점(支點)으로 하여 기립(起立)하면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한 부체식 플랩 게이트(浮體式 flap gate)로서,
    상기 도어체에 일단(一端)을 부착한 로프(rope)의 타단(他端)에 보조력 발생수단(補助力 發生手段)을 부착하고,
    보조력 발생수단은,
    내부에 공간(空間)을 형성한 카운터 웨이트(counter weight)와,
    이 카운터 웨이트의 상기 공간에 배치되고, 압축력이 작용하였을 경우에는 이 압축력에 반발하여 원래로 돌아가려고 하는 신축부재(伸縮部材)와,
    이 신축부재에 압축력을 작용시키기 위하여 신축부재의 하면(下面)에 접촉하고, 상기 카운터 웨이트의 천장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상기 공간에 배치된 상기 신축부재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상기 로프의 타단에 접속된 가압판(加壓板)을
    구비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체식 플랩 게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재는 압축 스프링(壓縮 sprin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체식 플랩 게이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스프링을 대신하여 가스 실린더(gas cylinder)를 카운터 웨이트의 상기 공간에 배치하고, 가스 실린더를 구성하는 로드(rod)를 카운터 웨이트의 상기 구멍을 통하여 돌출시켜서 상기 로프의 타단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체식 플랩 게이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력 발생수단의 최상점(最上點)의 위치를 조절하는 높이위치 조절기구를 더 설치하여, 상기 신축부재에 있어서 초기의 보조력(補助力)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체식 플랩 게이트.
KR1020147018912A 2012-01-16 2012-11-12 부체식 플랩 게이트 KR1016190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06512 2012-01-16
JP2012006512A JP5971956B2 (ja) 2012-01-16 2012-01-16 浮体式フラップゲート
PCT/JP2012/079294 WO2013108471A1 (ja) 2012-01-16 2012-11-12 浮体式フラップゲー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9551A KR20140099551A (ko) 2014-08-12
KR101619092B1 true KR101619092B1 (ko) 2016-05-10

Family

ID=48798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8912A KR101619092B1 (ko) 2012-01-16 2012-11-12 부체식 플랩 게이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91033B2 (ko)
JP (1) JP5971956B2 (ko)
KR (1) KR101619092B1 (ko)
CN (1) CN103998691B (ko)
TW (1) TWI611073B (ko)
WO (1) WO20131084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71956B2 (ja) * 2012-01-16 2016-08-17 日立造船株式会社 浮体式フラップゲート
JP6220307B2 (ja) * 2014-04-16 2017-10-25 日立造船株式会社 陸上型フラップゲート
JP6434874B2 (ja) * 2015-08-10 2018-12-05 日立造船株式会社 浮体式フラップゲート
CN108026708B (zh) * 2015-09-25 2020-09-15 寺田溥 水闸
ES2845001T3 (es) * 2016-06-13 2021-07-23 Rsa Protective Tech Llc Método y sistema para un sistema de muro de contención retráctil
US10975538B2 (en) 2016-06-13 2021-04-13 Rsa Protective Technologies, Llc Method and system for a retractable floodwall system
JP6689167B2 (ja) * 2016-09-06 2020-04-28 株式会社丸島アクアシステム 防潮ゲート及び駆動機構
WO2018173400A1 (ja) * 2017-03-24 2018-09-27 日立造船株式会社 起伏ゲート
DK179294B1 (da) * 2017-03-30 2018-04-16 Steen Olsen Invest Aps Stormflodssikring
JP6767916B2 (ja) * 2017-04-05 2020-10-14 日立造船株式会社 起伏ゲート
US10731307B2 (en) * 2018-08-24 2020-08-04 Michael Stewart System for flood control
CN110607786B (zh) * 2019-10-11 2020-12-29 广昌县兴莲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河道闸口自动泄洪装置
CN111576351B (zh) * 2020-05-27 2021-10-12 南京中科华兴应急科技研究院有限公司 一种洪涝灾害汛期自我信号调节保护围堰墙
CN112012172B (zh) * 2020-08-12 2021-11-09 宁夏城科达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水利用的闸门装置
US11879252B2 (en) * 2021-04-11 2024-01-23 II Matthew Curtis Williams Roof scupper overflow with sensor
CN113931129A (zh) * 2021-10-25 2022-01-14 国网山东省电力公司东营市垦利区供电公司 一种变电站防汛挡板
CN114320110B (zh) * 2021-12-03 2024-02-20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全断面智能防淹门
KR102463754B1 (ko) * 2022-05-06 2022-11-07 주식회사 엔포텍디에스 실린더형 구동장치를 이용한 가동 위어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3912A (ja) * 2002-03-01 2003-09-10 Kumagai Gumi Co Ltd 水位追従式起伏ゲー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2233C (de) * 1925-11-30 A V Lutz Selbsttaetiges Klappenwehr
US933856A (en) * 1907-11-25 1909-09-14 Harry I Shotwell Alarm for irrigating-ditches.
US970308A (en) * 1909-06-11 1910-09-13 Adoniram J Collar Ditch-gate.
US973172A (en) * 1909-11-13 1910-10-18 Adoniram J Collar Ditch-gate.
US1130097A (en) * 1913-09-23 1915-03-02 Roy V Meikle Automatic gate for irrigation-canals.
FR548215A (fr) * 1922-03-04 1923-01-10 Tech Et Ind D Entpr S Soc Dispositif de verrouillage et de déverrouillage automatique d'un barrage mobile
FR554805A (fr) * 1922-08-07 1923-06-18 Vanne à secteur à commande hydraulique
FR566201A (fr) * 1923-05-15 1924-02-11 Huber & Lutz Barrage automatique à valve
US1587616A (en) * 1924-05-17 1926-06-08 Sudler Emory Operating mechanism for sluiceway gates
US1648535A (en) * 1927-02-17 1927-11-08 Ernest L Broome Sealing device for hydraulic gates
US1738051A (en) * 1927-05-18 1929-12-03 Harker Parley Automatic check gate
DE517393C (de) * 1929-08-18 1931-02-02 Ver Stahlwerke Ag Wehr mit Aufsatzklappe
FR771871A (fr) * 1933-04-15 1934-10-18 Voith Gmbh J M Barrage mobile à hausse automatique sur laquelle agit un contrepoids
DE648292C (de) * 1933-04-16 1937-07-28 Maschf Bewegliches Wehr mit selbsttaetig und zwangsweise bewegbarer Aufsatzklappe
DE610988C (de) * 1933-04-16 1935-03-20 J M Voith Fa Bewegliches Wehr mit einer selbsttaetigen Aufsatzklappe
US2026656A (en) * 1933-08-30 1936-01-07 Krupp Ag Grusonwerk Sluice weir
CH180610A (de) * 1935-03-07 1935-11-15 Gottlieb Dr Luescher Automatisches Kkappenwehr.
FR837529A (fr) * 1937-05-18 1939-02-13 Barrage automatique
CH195258A (fr) * 1937-05-18 1938-01-31 Eugene Frote Barrage automatique.
US2307077A (en) * 1940-07-19 1943-01-05 Westinghouse Electric & Mfg Co Motor control system
US2699653A (en) * 1947-02-24 1955-01-18 Meyret Beylier & Piccard Picte Apparatus for automatically regulating the level of liquids
US2689459A (en) * 1952-02-29 1954-09-21 Morgan Smith S Co Crest control gate for dams
US2776541A (en) * 1953-02-24 1957-01-08 Fortes Angelo Automatic balance-beam hinged shutter gate
US2667748A (en) * 1953-03-04 1954-02-02 Roy W Heath Electrically operated control system
DE1038992B (de) * 1955-03-24 1958-09-11 Rheinstahl Union Brueckenbau Selbsttaetige Stauklappe
US3495411A (en) * 1968-06-28 1970-02-17 Us Interior Water level control system
FR2033187A1 (ko) * 1969-02-28 1970-12-04 Petrissans & Cie
FR2288820A1 (fr) * 1974-10-23 1976-05-21 Nomballais Jean Perfectionnement aux dispositifs de commande d'ouverture automatique de porte de barrage
GB1506079A (en) * 1975-09-18 1978-04-05 Nomura T Water gate control system
JP2527333B2 (ja) * 1987-08-12 1996-08-21 東急建設株式会社 建物内への流水防止装置
NL8901563A (nl) * 1989-06-21 1991-01-16 Waterschap Kromme Rijn Onderdorpel constructie voor tuimelstuw.
JPH0781257B2 (ja) * 1990-11-30 1995-08-30 財団法人未来農業国際研究財団 海水逆流防止自動制御ゲート
CA2096269C (en) * 1993-05-14 1997-09-30 Peter Langemann Irrigation control structure
JP2627479B2 (ja) * 1993-11-19 1997-07-09 豊国工業株式会社 貯溜量配分ゲート
JPH1037166A (ja) * 1996-07-25 1998-02-10 Shohei Oka 起伏堰
JP2000319857A (ja) * 1999-05-07 2000-11-21 Spacetech:Kk 防潮装置
JP3542537B2 (ja) 2000-02-02 2004-07-14 日本エフ・アール・ピー株式会社 建造物出入口の流入水遮断用フローゲートのロック装置
JP2003214052A (ja) * 2002-01-25 2003-07-30 Tokyo Metropolis 出入口扉
JP2003319857A (ja) * 2002-05-01 2003-11-11 Hidekazu Tanaka 支柱内収納式マネキンボディ
JP2006022517A (ja) * 2004-07-07 2006-01-26 Kubota Corp フラッシュゲート
JP4388494B2 (ja) 2005-03-18 2009-12-24 株式会社協和製作所 陸閘の自動防潮扉設備
FR2926095A1 (fr) * 2008-01-03 2009-07-10 Gerard Orriere Digue comprenant un socle sur lequel est articulee une barriere qui est manoeuvrable en pivotement par un flotteur
CN101597894A (zh) * 2009-07-07 2009-12-09 上海市水利工程设计研究院 水下卧倒门水闸
JP5180945B2 (ja) * 2009-11-24 2013-04-10 日立造船株式会社 起伏ゲート式防波堤の係留装置
JP5329374B2 (ja) * 2009-11-25 2013-10-30 日立造船株式会社 起伏ゲート式防波堤
CN201649044U (zh) * 2009-12-08 2010-11-24 上海勘测设计研究院 卧倒门结构
JP5199227B2 (ja) * 2009-12-15 2013-05-15 日立造船株式会社 波除用フラップゲートの起立状態保持機構
US8246272B1 (en) * 2010-01-19 2012-08-21 Denios, Inc. Actuated spill barrier
CN201593176U (zh) * 2010-02-01 2010-09-29 代兵 池塘排水口放水闸
JP2011202474A (ja) * 2010-03-26 2011-10-13 Hitachi Zosen Corp 浮体連結式フラップゲート
EP2625341B8 (en) * 2010-10-04 2020-10-07 Parafoil Design & Engineering Pte Ltd A floodgate
CN202064327U (zh) * 2011-03-25 2011-12-07 江苏天雨环保集团有限公司 景观挡潮闸门
CN201990991U (zh) * 2011-03-28 2011-09-28 上海华滋奔腾防汛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地翻式活动防汛闸门
CN202099789U (zh) * 2011-05-24 2012-01-04 浙江衢州河口闸门有限公司 全开式液控翻板闸门
JP5971956B2 (ja) * 2012-01-16 2016-08-17 日立造船株式会社 浮体式フラップゲート
JP5873745B2 (ja) * 2012-03-26 2016-03-01 日立造船株式会社 水底設置型フラップゲート式防波堤
JP5361096B1 (ja) * 2012-05-30 2013-12-04 隆美 角田 水門
JP2013253381A (ja) * 2012-06-05 2013-12-19 Hitachi Zosen Corp 浮体式フラップゲート
CN203160209U (zh) * 2013-03-29 2013-08-28 日立造船株式会社 起伏闸门式防波堤的门体系留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3912A (ja) * 2002-03-01 2003-09-10 Kumagai Gumi Co Ltd 水位追従式起伏ゲー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144913A (ja) 2013-07-25
TW201335467A (zh) 2013-09-01
CN103998691B (zh) 2016-01-13
US20140328628A1 (en) 2014-11-06
KR20140099551A (ko) 2014-08-12
US9091033B2 (en) 2015-07-28
TWI611073B (zh) 2018-01-11
JP5971956B2 (ja) 2016-08-17
WO2013108471A1 (ja) 2013-07-25
CN103998691A (zh) 2014-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9092B1 (ko) 부체식 플랩 게이트
KR101680172B1 (ko) 부체식 플랩 게이트
CN106436657B (zh) 浮体式铰链闸门
JP2022000582A (ja) 波エネルギを電気エネルギに変換するためのデバイス、およびそれを配置する方法
US9080554B2 (en) Floating, anchored installation for energy production
WO2014097712A1 (ja) 浮体式フラップゲート
KR101267155B1 (ko) 항만 부두에 설치되는 선박충돌 완화장치
JP6472104B2 (ja) 水門
JP2013253381A (ja) 浮体式フラップゲート
WO2016174919A1 (ja) 浮体式フラップゲート
JP6117280B2 (ja) 浮体式フラップゲート
WO2014053088A1 (zh) 潜标或配重滑轮系泊系统
KR101512283B1 (ko) 크레인 케이블 흔들림 방지장치
TWI767973B (zh) 起伏門
JP2018013033A (ja) 浮体式フラップゲート
KR102560753B1 (ko) 갱웨이
WO2017163691A1 (ja) 浮体式フラップゲート設備
CN219410722U (zh) 一种橡胶坝保护装置
IT201600098221A1 (it) Dispositivo di tensionamento per strall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