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0753B1 - 갱웨이 - Google Patents

갱웨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0753B1
KR102560753B1 KR1020210161753A KR20210161753A KR102560753B1 KR 102560753 B1 KR102560753 B1 KR 102560753B1 KR 1020210161753 A KR1020210161753 A KR 1020210161753A KR 20210161753 A KR20210161753 A KR 20210161753A KR 102560753 B1 KR102560753 B1 KR 102560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plunger
footbridge
gangway
mai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1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75296A (ko
Inventor
유금범
이계봉
Original Assignee
유금범
이계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금범, 이계봉 filed Critical 유금범
Priority to KR1020210161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0753B1/ko
Publication of KR20230075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52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0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07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24Bridges or similar structures, based on land or on a fixed structure and designed to give access to ships or other floating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ramps, gangways or outboard ladders ; Pilot lif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갱웨이는 보행을 위한 도교가 복수로 분할됨과 더불어 각 도교는 서로 다른 조작력에 의해 순차적으로 동작될 수 있도록 하여 짧은 조작거리로도 충분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갱웨이{gangway}
본 발명은 비사용 보관시 바람에 의한 손상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갱웨이(gangway)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갱웨이는 부잔교 혹은, 바지선과 같은 해상에 부유하는 구조물과 육지와의 통행을 위해 제공되는 다리이다.
이러한 갱웨이는 통상 육지에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며, 필요시 그의 끝단이 해상 구조물에 연결되면서 육지와 해상 구조물 간의 통로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해상 구조물의 경우는 조수 간만의 차이 혹은, 바람이나 파랑에 의해 다양한 방향으로 흔들리며, 이로써 갱웨이의 양 끝단인 육지와 해상 구조물과의 연결 부위에 많은 부하가 제공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갱웨이의 일단은 육지에 설치하고, 갱웨이의 타단은 해상 구조물에 단순히 얹도록 함으로써 해상 구조물의 흔들림이 발생되더라도 갱웨이와 해상 구조물 간의 연결 부위에 대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에 관련하여는 등록특허 제10-1119162호(선행기술 1), 등록특허 제10-1254018호(선행기술 2), 등록특허 제10-1511689호(선행기술 3) 등에 제시되고 있는 바와 같다.
전술된 종래 기술에서와 같은 갱웨이의 파손 방지를 위한 구조는 통상적인 흔들림을 고려한 구조이며, 태풍과 같은 큰 바람이나 파도가 발생될 때에는 선행기술 1 및 선행기술 2에서와 같이 갱웨이를 해상 구조물로부터 분리하여 보관하고 있다.
즉, 태풍이 발생될 경우 해상 구조물의 유실 우려로 인해 상기 해상 구조물을 별도의 장소에 고정하여 보관하기 때문에 갱웨이는 육지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로 보관하였던 것이다.
특히, 상기 갱웨이는 수면에 가까울수록 파도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한다면 태풍의 발생시에는 상기 갱웨이를 일정 각도이상 들어올린 상태로 고정하여 보관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갱웨이가 외팔보 구조로 일단만 고정되는 경우에는 갱웨이의 길이가 길수록 갱웨이의 중앙측 부위가 아래로 처지거나 휘는 등의 손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선행기술 1 혹은, 선행기술 2와 같이 갱웨이의 끝단에 해당 갱웨이를 들어올리기 위한 연결로프가 설치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연결로프를 이용하는 방식은 해당 연결로프가 충분히 길게 인출되거나 혹은, 감기도록 이루어져야만 하였고, 이를 위해서는 전기모터를 이용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에 전기 연결이 어려운 장소에의 설치는 사실상 불가능하였다.
또한, 전술된 갱웨이의 보관 구조는 해당 갱웨이가 해상으로 과도히 돌출되기 때문에 태풍 등에 의해 그 주변에 위치된 선박이나 여타 해상 구조물이 상기 갱웨이에 부딪혀 서로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1119162호 등록특허 제10-1254018호 등록특허 제10-1511689호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갱웨이의 보관시에는 최대한 짧은 길이를 이룰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관시의 긴 길이로 인한 휨 변형 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가 공급되지 않는 장소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필요에 따라 위치를 옮겨서도 사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갱웨이는 보행 가능하게 형성되고, 일단은 육상에 상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도교와, 보행 가능하게 형성되면서 상기 제1도교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제1도교와 나란히 배치되거나 혹은, 상기 제1도교의 타단으로부터 하향 회전되는 제2도교를 구비한 도교부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갱웨이는 육상에 구비되면서 제1도교를 상하 회전시키는 제1회전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갱웨이는 제1도교와 제2도교의 연결 부위에 구비되면서 상기 제2도교를 제1도교에 대하여 상하 회전시키는 제2회전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갱웨이를 이루는 제1회전모듈은 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세워지도록 설치되는 메인프레임과, 상단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단측 부위에 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단과는 이격된 부위에 연결되는 경사프레임과, 상기 경사프레임에 설치되는 높이조절용 실린더와, 일단은 상기 높이조절용 실린더의 플런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도교에 연결되는 연결로프와, 상기 연결로프가 순차적으로 경유하면서 구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안내롤러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갱웨이를 이루는 복수의 안내롤러는 높이조절용 실린더의 플런저에 의해 승강되면서 연결로프가 경유하는 제1안내롤러와, 상기 제1안내롤러를 지나 제1도교에 연결되는 연결로프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안내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갱웨이를 이루는 메인프레임에는 연결로프의 텐션을 유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타단에는 상기 연결로프가 경유하는 지지롤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갱웨이를 이루는 제2회전모듈은 일단이 제1도교의 끝단측 부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의 플런저는 인출 동작시 상기 제1도교의 끝단을 벗어나도록 구성되는 꺽음용 실린더와, 일단은 상기 제1도교의 끝단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꺽음용 실린더를 이루는 플런저의 끝단에 연결되는 제1연결링크와, 일단은 상기 제2도교의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제1연결링크와 함께 상기 플런저의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연결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갱웨이는 보관시 도교부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이나 해상 구조물과의 원치않는 부딪힘에 의한 파손이 방지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갱웨이는 높이조절용 실린더와 연결로프의 동작 및 꺽음용 실린더의 동작으로 수행하기 때문에 짧은 플런저의 동작거리에도 불구하고 도교부의 원활한 길이 변화가 가능하다는 효과를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의 갱웨이는 전기를 사용하지 않는 구조이기 때문에 전기 공급이 어려운 장소에서도 사용이 가능할 뿐 아니라 필요에 따라 위치를 옮겨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갱웨이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도
도 3은 도 1의 “B”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갱웨이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드펌프와 각 실린더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갱웨이의 도교부가 접힌 상태의 정면도
도 7은 도 6의 “C”부 확대도
도 8은 도 6의 “D”부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갱웨이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갱웨이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도이며, 도 3은 도 1의 “B”부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갱웨이의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갱웨이(gangway)는 보행을 위한 도교가 복수로 분할됨과 더불어 각 도교는 서로 다른 조작력에 의해 순차적으로 동작될 수 있도록 하며, 짧은 조작거리로도 충분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갱웨이는 도교부(100)와, 제1회전모듈(200) 및 제2회전모듈(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갱웨이는 육상과 해상 구조물(예컨대, 부잔교, 바지선 등)을 보행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도교부(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도교부(100)는 보행자의 보행이 가능한 바닥을 가지는 발판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보행자의 안전을 위한 측부펜스(101)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측부펜스(101)는 해당 도교부(100)를 지나는 보행자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해 제공된다.
상기 도교부(100)는 일단(도면상 우측 끝단)이 육상(예컨대, 호안(revetment) 혹은, 안벽(quay wall))에 상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도교(11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이때, 육상의 바닥(1)에는 고정플랜지(10)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1도교(110)의 일단 바닥면에는 상기 고정플랜지(10)에 메인회전축(20)으로 결합되는 회전플랜지(111)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제1도교(110)는 상기 메인회전축(20)을 회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플랜지(10)는 육상 바닥(1)의 끝단에 위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1도교(110)가 일정 각도에 이르기까지는 하향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도교(110)는 육상으로부터 해상을 향해 일정 거리만큼 돌출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일정 거리는 육상을 벗어나는 거리이면서 해상 구조물(30)에는 닿지 않을 정도의 거리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교부(100)는 상기 제1도교(110)로부터 연장되는 제2도교(12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2도교(120)는 상기 제1도교(110)에 연장되면서 해상 구조물(30)에 이르기까지 연결된다.
상기 제2도교(120)는 상기 제1도교(110)의 타단(도면상 좌측 끝단)으로부터 연장된다. 이로써 제1도교(110)와 제2도교(120)가 펼쳐지는 동작에 의해 서로 평행한 단일의 도교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2도교(120)의 일단(도면상 우측 끝단)은 상기 제1도교(110)의 타단으로부터 하향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도교(120)와 제1도교(110)는 힌지축(121)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즉, 도교부(100)가 통로의 역할을 수행하지 않고 피난 상태이거나 혹은, 운반 상태일 경우에는 상기 제1도교(110)와 제2도교(120)가 상기 힌지축(121)을 기준으로 서로 접힌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하여 도교부(100)의 길이가 최대한 짧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로써 태풍과 같이 센 바람이 부는 날씨에도 불구하고 도교부(100)가 파손(휨 혹은, 처짐 등)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도교(120)의 타단(도면상 좌측 끝단) 바닥에는 해상 구조물(30)과의 접촉을 위한 접촉바퀴(122)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도교(120)는 상기 제1도교(110)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된다. 이로써 제2도교(120)의 회전시 수면에 닿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1도교(110)의 들어올림 각도를 최대한 낮출 수 있다. 즉, 제2도교(120)가 제1도교(110)보다 길게 형성될 경우 수면에 잠기거나 해상 구조물(30)에 부딪힐 우려가 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1도교(110)를 더욱 높은 위치에 이르기까지 들어올려야 함에 따른 작업의 어려움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제2도교(120)는 상기 제1도교(110)보다 짧으면서도 상기 제1도교(110)의 절반 길이보다는 길게 형성된다. 이로써 제2도교(120)가 수면에 잠기거나 해상 구조물(30)에 부딪힘을 방지하면서도 제1도교(110)의 길이를 최대한 짧게 형성할 수 있어서 각 도교(110,120)에 작용되는 바람(예컨대, 태풍)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갱웨이는 상기 제1도교(110)를 상하 회전시키는 제1회전모듈(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제1회전모듈(200)은 육상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회전모듈(200)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갱웨이는 필요한 장소에 이동 설치할 수 있는 이동식으로 구성될 수가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 제1회전모듈(200)은 육상의 바닥(1)에 일부가 매립됨으로써 견고히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회전모듈(200)은 연결로프(240)를 이용하여 상기 제1도교(110)를 들어올리거나 혹은, 아래로 내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회전모듈(200)은 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세워지도록 설치되는 메인프레임(210)과, 상기 메인프레임(210)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경사프레임(220)과, 상기 경사프레임(220)에 설치되는 높이조절용 실린더(230) 및 연결로프(24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복수의 안내롤러(251,252,2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프레임(210)은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부위이다. 이러한 메인프레임(210)은 지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메인프레임(210)은 상기 제1도교(110)에 연결로프(240)가 연결되는 위치보다 높게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경사프레임(220)은 높이조절용 실린더(230)의 설치를 위한 부위이다. 이러한 경사프레임(220)은 상단이 상기 메인프레임(210)의 상단측 부위에 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메인프레임(210)의 하단과는 이격된 부위의 육상 바닥(1)에 설치되도록 이루어진다.
물론, 높이조절용 실린더(230)는 상기 메인프레임(210)에 설치될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 높이조절용 실린더(230)를 메인프레임(210)에 설치하는 것보다 경사프레임(220)에 설치하는 것이 연결로프(240)의 당김 거리가 더욱 길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메인프레임(210)보다 경사프레임(220)이 더 길게 형성되기 때문에 그만큼 높이조절용 실린더(230)의 플런저(231)의 동작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용 실린더(230)는 연결로프(240)의 당김을 위한 동작력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물론, 상기 연결로프(240)의 당김은 전기모터를 이용할 수도 있다. 하지만 통상적으로 갱웨이가 설치되는 호안이나 안벽은 해상에 인접한 위치이기 때문에 전원선을 해당 장소에 이르기까지 연결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더욱이, 도서지역의 섬과 같이 전기를 제공받기가 어려운 장소에서는 전기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어렵다.
이를 고려한다면 유압(혹은, 공압)을 이용하는 실린더로써 연결로프(240)의 당김을 위한 동작력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여, 전기가 제공되지 않는 장소이더라도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상기한 높이조절용 실린더(230)는 예컨대, 핸드펌프(도 4 참조)60)를 이용하여 펌핑된 유압으로 동작되도록 구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핸드펌프(260)의 동작으로 펌핑된 유압은 제1호스(232)를 통해 상기 높이조절용 실린더(230)로 제공되도록 이루어진다. 미설명 부호 261은 상기 핸드펀프(261)에 의해 펌핑되는 유압이 저장된 오일탱크이다.
또한, 상기 연결로프(240)는 상기 높이조절용 실린더(230)의 플런저(231)가 인출 혹은, 인입되는 거리만큼 제1도교(110)를 들어올리거나 혹은, 내릴 수 있도록 연결되는 금속 재질의 로프(예컨대, 와이어)이다.
상기 연결로프(240)의 일단은 상기 경사프레임(220)의 어느 한 부위에 형성된 연결단(221)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도교(110)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연결로프(240)의 일단이 연결되는 부위는 상기 높이조절용 실린더(230)의 플런저(231) 끝단보다 더욱 상측에 위치된다. 이로써 상기 플런저(231)의 끝단을 경유하는 연결로프(240)는 상기 플런저(231)의 인출에 의해 상기 일단의 연결 부위와 플런저(231) 사이의 길이가 길아지면서 연결로프(240)의 타단을 당기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연결로프(240)의 타단은 상기 제1도교(110)의 중앙(길이 방향을 기준으로볼 때 중앙)과 해당 제1도교(110)의 일단 사이에 연결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연결 구조에 의해 짧은 거리의 들어올림으로도 제1도교(110)의 끝단이 최대한 높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안내롤러(251,252,253)는 상기 연결로프(240)의 이동을 안내하는 구성이다. 즉, 연결로프(240)는 상기 각 안내롤러(251,252,253)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면서 높이조절용 실린더(230)의 플런저(231)와 제1도교(110) 간을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특히, 상기 복수의 안내롤러(251,252,253)는 상기 플런저(231)에 의해 승강되는 제1안내롤러(251)와, 상기 메인프레임(210)의 상단 일측(경사프레임이 연결되는 측)에 위치되는 제2안내롤러(25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안내롤러(251)는 상기 플런저(231)의 끝단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플런저(231)의 끝단을 경유하면서 급격히 꺽이는 연결로프(240)가 원활히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2안내롤러(252)는 상기 경사프레임(220)의 상단에 설치되면서 상기 메인프레임(210)의 상단 일측에 위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2안내롤러(252)는 상기 메인프레임(210)의 상단에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안내롤러(251,252,253)는 상기 제2안내롤러(252)를 지난 연결로프(240)가 급격한 꺽임없이 제1도교(110)에 연결될 수 있도록 제3안내롤러(253)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안내롤러(253)는 메인프레임(210)의 상단 타측(해상을 향하는 측)에 설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2안내롤러(252)의 경우 경사프레임(220)의 상단에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메인프레임(210)에는 상기 연결로프(240)의 텐션을 유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270)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지지프레임(270)의 타단에는 상기 연결로프(240)가 경유하는 지지롤러(271)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제2도교(120)가 해양 구조물(30)에 안착될 경우 제3안내롤러(253)로부터 제1도교(110)에 이르기까지의 연결로프(240)의 길이가 가장 길게 이루어져 처질 수 있음을 고려할 때 해당 상태에서 지지프레임(270)이 자중으로 연결로프(240)에 가압력을 제공하여 일정한 텐션(tension)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전술된 제1회전모듈의 높이조절용 실린더와 연결로프와 각 안내롤러는 둘 이상 복수로 제공될 수도 있다. 예컨대, 첨부된 도 4와 같이 경사프레임과 메인프레임의 어느 일 측에 어느 한 높이조절용 실린더와 제1안내롤러와 제2안내롤러 및 제3안내롤러를 각각 설치한 후 연결로프로 경사프레임과 제1도교의 일측을 연결하고, 경사프레임과 메인프레임의 다른 일 측에 다른 한 높이조절용 실린더와 제1안내롤러와 제2안내롤러 및 제3안내롤러를 각각 설치한 후 또 다른 연결로프로 경사프레임과 제1도교의 타측을 연결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갱웨이의 제2도교(120)를 제1도교(110)에 대하여 상하 회전시키기 위한 제2회전모듈(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제2회전모듈(300)은 상기 제1도교(110)와 제2도교(120)의 연결 부위에 구비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제2회전모듈(300)은 제2도교(120)의 강제적인 회전 동작을 위한 꺽음용 실린더(310)와, 상기 꺽음용 실린더(310)와 제2도교(120)를 연결하는 연결링크(321,3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제2회전모듈(300)은 꺽음용 실린더(310)의 동작에 의한 연결링크(321,322)의 동작으로 제1도교(110)로부터 제2도교(12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꺽음용 실린더(310)는 일단이 상기 제1도교(110)의 끝단측 부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의 플런저(311)는 인출 동작시 상기 제1도교(110)의 끝단을 벗어나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한 꺽음용 실린더(310)는 핸드펌프(260)를 이용하여 펌핑된 유압으로 동작되도록 구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핸드펌프(260)에서 펌핑된 유압은 제2호스(312)를 통해 상기 꺽음용 실린더(310)로 제공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핸드펌프(260)는 전술된 높이조절용 실린더(230)와 상기 꺽음용 실린더(310)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핸드펌프(260)와 높이조절용 실린더(230)를 연결하는 제1호스(232)에는 해당 유로를 개폐하는 제1개폐밸브(233)가 구비되고, 상기 핸드펌프(260)와 꺽음용 실린더(310)를 연결하는 제2호스(312)에는 해당 유로를 개폐하는 제2개폐밸브(313)가 구비된다.
즉, 두 개폐밸브(233,313)의 선택적인 조작으로 각 호스(232,312)를 개폐함으로써 높이조절용 실린더(230) 혹은, 꺽음용 실린더(310)가 선택적으로 동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개폐밸브(233) 및 상기 제2개폐밸브(313)는 수동 조작으로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링크(321,322)는 일단이 상기 제1도교(110)의 끝단 외면(저면)에 형성된 지지플랜지(11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꺽음용 실린더(310)를 이루는 플런저(311)의 끝단에 연결되는 제1연결링크(321)와, 일단이 상기 제2도교(120)의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제1연결링크(321)와 함께 상기 플런저(311)의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연결링크(322)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전술된 두 연결링크(321,322)의 연결 구조에 의해 꺽음용 실린더(310)의 플런저(311)가 인출되는 동작으로 제2도교(120)가 제1도교(110)에 대하여 나란하게 펼쳐지거나 혹은, 접힐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상기 제1연결링크(321)와 제2연결링크(322)의 끝단(플런저와 연결되는 측의 끝단)은 플런저(311)의 동작 방향을 고려하여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런저(311)의 끝단(제1연결링크와 제2연결링크가 연결되는 부위)은 두 도교(110,120)가 펼쳐진 상태에서 힌지축(121)보다 제1도교(110)의 내측에 위치된다. 두 도교(110,120)가 접혀진 상태에서는 상기 플런저(311)의 끝단이 힌지축(121)보다 제1도교(110)의 외측에 위치된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갱웨이의 각 상황별 동작 상태 및 동작 과정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갱웨이의 사용시에는 도교부(100)를 이루는 제1도교(110)와 제2도교(120)가 펼쳐진 상태로 나란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2도교(120)의 타단(해상 구조물측 끝단, 도면상 좌측 끝단)은 해상 구조물(30)의 상면에 얹히도록 위치된다. 이때, 상기 제2도교(120)의 끝단 바닥에 구비된 접촉바퀴(122)는 상기 해상 구조물(30)에 얹힌 상태로 유지된다. 이로써 해상 구조물(30)의 상하 유동(예컨대, 출렁임)이 발생되더라도 제2도교(120)의 얹힘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초기의 상태에서, 해상 구조물(30)을 이동시키거나, 태풍 등의 강한 바람에 의한 파손 위험이 발생될 경우 혹은, 만조시와 같이 해수위가 과도히 높을 경우에는 도교부(200)를 들어올려 해상 구조물(30)로부터 이격시킨다.
이를 위해, 제1개폐밸브(233)는 제1호스(232)를 개방하도록 조작되고 제2개폐밸브(313)는 제2호스(312)를 폐쇄하도록 조작된 상태로 핸드펌프(260)를 동작시켜 높이조절용 실린더(230)의 플런저(231)를 점차 인출한다.
상기한 높이조절용 실린더(230)의 플런저(231)가 점차 인출됨에 따라 안내로프(240) 중 경사프레임(220)에 고정된 일단으로부터 제1안내롤러(251)에 이르기까지의 길이가 점차 길어지면서 상기 안내로프(240)의 타단은 제3안내롤러(253)를 향해 점차 당겨진다. 따라서 상기 안내로프(240)의 타단이 연결된 제1도교(110)는 메인회전축(20)을 회전 중심으로 점차 들어올려진다.
그리고, 상기 동작에 의해 제1도교(110)가 설정 각도만큼 회전되면(들어올려지면) 높이조절용 실린더(230)의 동작은 정지되고 꺽음용 실린더(310)의 플런저(311)가 인출되는 동작이 수행된다. 이를 위해 제1개폐밸브(233)는 제1호스(232)를 폐쇄하도록 조작되고 제2개폐밸브(313)는 제2호스(312)를 개방하도록 조작되어, 핸드펌프(260)의 동작에 의해 펌핑된 유압을 상기 꺽음용 실린더(310)가 제공받게 된다.
상기 작용에 의해 꺽음용 실린더(310)의 플런저(311)가 인출될 경우에는 해당 플런저(311)와 각 연결링크(321,322) 간의 연결 부위가 제1도교(110)와 제2도교(120)를 연결하는 힌지축(121)보다 제1도교(110)의 외측에 위치된다. 이로써 제2연결링크(322)의 일단(제2도교와의 연결 부위)은 상기 힌지축(121)보다 아래에 위치되면서 제2도교(120)의 일단이 제1도교(110)의 타단으로부터 하향 절곡된다.
이때, 상기 제2도교(120)는 상기 제1도교(110)가 일정 각도 이상 들어올려진 이후 하향 절곡되기 때문에 해당 제2도교(120)가 하향 절곡되는 과정에서 해상 구조물(30)에 부딪힘 혹은, 해상에 잠기는 문제점은 방지될 수 있다. 이는 첨부된 도 6 내지 도 8의 상태와 같다.
그리고, 상기 제2도교(120)가 제1도교(110)로부터 하향 절곡된 상태가 완료되면 제2개폐밸브(313)가 제2호스(312)를 폐쇄하도록 조작된다. 이로써 제1호스(232)와 제2호스(312)가 모두 폐쇄된 상태이기 때문에 높이조절용 실린더(230) 및 꺽음용 실린더(310)는 각각 플런저(231,311)가 인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갱웨이를 이루는 도교부(200)는 길이가 최소화된 상태로 보관되며, 이로써 도교부(200)의 길이가 최대화된 상태로 보관할 때보다 바람의 영향에 의한 휨 변형이나 파손 발생이 확연히 줄어들거나 방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도교부(200)의 보관 상태에서 다시금 해당 도교부(200)를 해상 구조물(30)에 연결하고자 할 경우에는 전술된 제2도교(120)의 접음 과정과는 역순으로 조작되도록 한다.
즉, 제1개폐밸브(233)는 제1호스(232)를 폐쇄하도록 조작되고 제2개폐밸브(313)는 제2호스(312)를 개방하도록 조작한 상태에서 핸드펌프(260)를 동작하여 꺽음용 실린더(310)에 유압을 제공하면서 해당 꺽음용 실린더(310)의 플런저(311)가 인입되도록 동작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플런저(311)와 각 연결링크(321,322) 간의 연결 부위가 제1도교(110)와 제2도교(120)를 연결하는 힌지축(121)보다 제1도교(110)의 내측에 위치되고, 제2연결링크(322)의 일단(제2도교와의 연결 부위)은 점차 힌지축(121)과 같은(혹은, 더욱 높은) 높이에 이르기까지 상향 이동되면서 제2도교(120)는 제1도교(110)와 점차 수평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후, 상기 동작으로 제2도교(120)가 제1도교(110)와 수평한 상태를 이루면 제1개폐밸브(233)는 제1호스(232)를 개방하도록 조작되고 제2개폐밸브(313)는 제2호스(312)를 폐쇄하도록 조작된다. 이로써, 핸드펌프(260)의 동작으로 펌핑된 유압은 높이조절용 실린더(230)에 제공되면서 해당 높이조절용 실린더(230)의 플런저(231)가 인입되도록 동작시킨다.
따라서, 상기 조작 및 동작에 의해 제1도교(110)는 메인회전축(20)을 회전 중심으로 하향 회전되고, 제2도교(120)의 끝단은 해상 구조물(30)에 얹히게 된다.
이의 상태에서는 핸드펌프(260)에 걸린 압력을 해소함으로써 각 회전 부위가 자유롭게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결국, 전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갱웨이는 그의 보관시 도교부(200)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이나 해상 구조물(30)과의 원치않는 부딪힘에 의한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갱웨이는 높이조절용 실린더(230)와 연결로프(240)의 동작 및 꺽음용 실린더(310)의 구동으로 동작되기 때문에 짧은 플런저(231,311)의 동작거리에도 불구하고 도교부(200)의 원활한 길이 변화가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의 갱웨이는 전기를 사용하지 않는 구조이기 때문에 전기 공급이 어려운 장소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1. 육상 바닥 10. 고정플랜지
20. 메인회전축 30. 해상 구조물
100. 도교부 101. 측부펜스
110. 제1도교 111. 회전플랜지
120. 제2도교 121. 힌지축
122. 접촉바퀴 200. 제1회전모듈
210. 메인프레임 220. 경사프레임
230. 높이조절용 실린더 231. 플런저
232. 제1호스 233. 제1개폐밸브
240. 연결로프 251,252,253. 안내롤러
260. 핸드펌프 270. 지지프레임
271. 지지롤러 300. 제2회전모듈
310. 꺽음용 실린더 311. 플런저
312. 제2호스 313. 제2개폐밸브
321. 제1연결링크 322. 제2연결링크

Claims (5)

  1. 보행 가능하게 형성되고, 일단은 육상에 상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도교와, 상기 제1도교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면서 선택적으로 상기 제1도교와 나란히 배치되거나 혹은, 상기 제1도교의 타단으로부터 하향 회전되는 제2도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도교부;
    육상에 구비되면서 상기 제1도교를 상하 회전시키는 제1회전모듈;
    상기 제1도교와 제2도교의 연결 부위에 구비되면서 상기 제2도교를 제1도교에 대하여 상하 회전시키는 제2회전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회전모듈은
    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세워지도록 설치되는 메인프레임과,
    상단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단측 부위에 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단과는 이격된 부위에 연결되는 경사프레임과,
    상기 경사프레임에 고정되면서 상기 경사프레임의 하단을 향해 플런저가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높이조절용 실린더와,
    일단은 상기 경사프레임 중 상기 플런저보다 높은 위치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도교에 연결되는 연결로프와,
    상기 연결로프가 순차적으로 경유하면서 구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안내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2회전모듈은
    일단이 상기 제1도교의 끝단측 부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의 플런저는 인출 동작시 상기 제1도교의 끝단을 벗어나도록 구성되는 꺽음용 실린더와,
    일단은 상기 제1도교의 끝단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꺽음용 실린더를 이루는 플런저의 끝단에 연결되는 제1연결링크와,
    일단은 상기 제2도교의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제1연결링크와 함께 상기 플런저의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연결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갱웨이.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안내롤러는
    상기 플런저에 의해 승강되는 제1안내롤러와,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단 일측에 위치되어 제1안내롤러를 지난 연결로프를 안내하는 제2안내롤러와,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단 타측에 위치되어 제2안내롤러를 지난 연결로프를 안내하는 제3안내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갱웨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에는 상기 연결로프의 텐션을 유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타단에는 상기 연결로프가 경유하는 지지롤러가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갱웨이.
  5. 삭제
KR1020210161753A 2021-11-22 2021-11-22 갱웨이 KR102560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1753A KR102560753B1 (ko) 2021-11-22 2021-11-22 갱웨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1753A KR102560753B1 (ko) 2021-11-22 2021-11-22 갱웨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5296A KR20230075296A (ko) 2023-05-31
KR102560753B1 true KR102560753B1 (ko) 2023-07-27

Family

ID=86542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1753A KR102560753B1 (ko) 2021-11-22 2021-11-22 갱웨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075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385B1 (ko) * 2013-04-15 2013-10-08 (주) 뉴텍 절첩식 도교
KR101672778B1 (ko) * 2014-05-08 2016-11-07 주식회사 반도산업개발 운반대차를 구비한 도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162B1 (ko) 2008-08-05 2012-03-20 이남서 내파를 위한 부잔교
KR101254018B1 (ko) 2012-12-05 2013-04-12 (주)하나 부잔교
KR101511689B1 (ko) 2013-07-26 2015-04-10 김대령 인양 용이형 부잔교용 도교
KR101696666B1 (ko) * 2014-10-24 2017-01-16 이도희 전술교량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385B1 (ko) * 2013-04-15 2013-10-08 (주) 뉴텍 절첩식 도교
KR101672778B1 (ko) * 2014-05-08 2016-11-07 주식회사 반도산업개발 운반대차를 구비한 도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5296A (ko) 2023-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71366B1 (en) Flood guard barrier lifting system
AU2015265775B9 (en) Floating structure and method of installing same
US7438504B2 (en) Arrangement for anchoring a floating structure
KR101680177B1 (ko) 기복 게이트식 방파제의 계류장치
KR100929613B1 (ko) 복합게이트 수문비
JP5074367B2 (ja) 起伏ゲート式防波堤の扉体係留装置
JP6434874B2 (ja) 浮体式フラップゲート
WO2010139725A1 (en) Method of installation of an offshore wind turbine and combination of an offshore wind turbine and a floating vessel
KR102560753B1 (ko) 갱웨이
CN113235394A (zh) 可水平开启的浮桥
JP6461699B2 (ja) 浮体式フラップゲート
CN102858626B (zh) 用于折叠船跳板的设备
WO2019011177A1 (zh) 具有缆绳的柔性坝及其加强方法
JP5329292B2 (ja) 起伏ゲート式防波堤
TWI767973B (zh) 起伏門
JP2003239243A (ja) 起伏式防波装置
JP5699888B2 (ja) 浮体式起伏型ゲート設備
KR100890029B1 (ko) 수문 수납형 조력발전 방조제용 수로
KR101939878B1 (ko) 팬더리프트 가변교각형 댐
KR102599629B1 (ko) 지하 출입구 차수 장치
KR102613908B1 (ko) 컨베이어가 결합된 부잔교
NL2026381B1 (en) Support comprising a buoyant member, and a stabilizer configured to stabilize the support in a submerged state, such as in deep water, assembly comprising the support and a superstructure, preferably comprising a wave energy extractor, and method of supporting a superstructure on a support
KR102382711B1 (ko) 좌우회전 복원기능을 갖는 도교 인양 장치
JP4031694B2 (ja) 防潮・防波堤
JP2007247250A (ja) 津波防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