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4018B1 - 부잔교 - Google Patents

부잔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4018B1
KR101254018B1 KR1020120140558A KR20120140558A KR101254018B1 KR 101254018 B1 KR101254018 B1 KR 101254018B1 KR 1020120140558 A KR1020120140558 A KR 1020120140558A KR 20120140558 A KR20120140558 A KR 20120140558A KR 101254018 B1 KR101254018 B1 KR 101254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footbridge
land
hinge member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0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재 현 김
Original Assignee
(주)하나
유한회사 주하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나, 유한회사 주하나 filed Critical (주)하나
Priority to KR1020120140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40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4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4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24Bridges or similar structures, based on land or on a fixed structure and designed to give access to ships or other floating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4Floating bridges, e.g. pontoon bridges
    • E01D15/145Floating bridges, e.g. pontoon bridges displaceable or with sections movable to allow passing of water-borne traffic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잔교에 관한 것으로, 바다에 떠있는 잔교, 육지에 설치되어 있는 힌지 부재, 일측이 상기 힌지 부재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잔교에 연결되어 있는 도교, 육지에 위치하며, 상기 힌지 부재와 간격을 둔 채 배치되어 있고, 상기 도교의 일측 상부가 걸릴 수 있으며, 회전 가능한 걸림부, 그리고 육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걸림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에 상기 도교가 걸리고 상기 회전부가 회전하면 상기 도교가 함께 회전한다.

Description

부잔교{floating pier}
본 발명은 부잔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잔교는 배를 접안(接岸)시키기 위해 물가에 만들어진 계선시설인 잔교(棧橋)와, 육지와 잔교를 연결하는 도교(渡橋)를 말한다. 이와 같은 부잔교는 조수간만의 차가 많은 바다에서 해수면의 변동에 관계없이 선박의 접안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항만시설의 일부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태풍, 해일 발생시 파도에 의해 잔교는 심하게 움직일 수 있다. 이때 육지에 고정된 도교부분이 파손될 수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09201호 (2012.02.01.) 등록특허공보 제10-1184348호 (2012.09.13.)
본 발명은 도교를 잔교로부터 육지로 간편하게 옮길 수 있는 부잔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부잔교는 바다에 떠있는 잔교, 육지에 설치되어 있는 힌지 부재, 일측이 상기 힌지 부재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잔교에 연결되어 있는 도교, 육지에 위치하며, 상기 힌지 부재와 간격을 둔 채 배치되어 있고, 상기 도교의 일측 상부가 걸릴 수 있으며, 회전 가능한 걸림부, 그리고 육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걸림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에 상기 도교가 걸리고 상기 회전부가 회전하면 상기 도교가 함께 회전한다.
상기 힌지 부재는 상기 도교의 일측 하부가 놓이는 힌지홈이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힌지홈에 놓인 상기 도교 일측부분을 덮는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를 기준으로 상기 힌지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잔교는 일측이 육지에 위치하고 타측이 상기 도교의 타측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도교를 상기 걸림부를 기준으로 이동시키는 인양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의 걸림홈과 상기 도교의 일측 상부는 상기 힌지 부재를 기준으로 동일 반경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태풍, 해일, 강풍 발생 시 육지와 잔교를 연결하고 있는 도교를 육지로 옮겨 놓을 수 있어 자연 재해에 따른 도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인양부를 이용하여 도교와 잔교를 분리하고, 잔교와 분리된 도교를 육지로 옮기게 되므로 인력으로 도교 분리 및 이동 작업을 실시 하지 않아도 된다. 이에 따라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교의 타측이 잔교에 유동 가능하게 배치된 유동 장치에 연결되어 있어 파도 따위에 의해 잔교가 움직일 때 도교의 타측 부분에 부하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잔교의 움직임에 의한 도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인양부에 의해 도교의 타측이 들릴 때 결합축이 받침대의 결합 홈에서 자연스럽게 분리되므로 작업자가 도교와 잔교가 연결된 부분을 직접 분리하지 않아도 된다. 이에 따라 도교와 잔교의 분리에 따른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교 분리 장치가 적용된 부잔교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A부분 확대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B부분 확대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도교가 잔교에서 떨어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한 도교가 걸림부에 걸린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한 도교가 육지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한 도교가 육지에 내려 놓은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교 분리 장치가 적용된 부잔교를 나타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부잔교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부잔교를 나타나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A부분 확대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한 B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부잔교는 바다에 위치한 잔교(20)와 잔교(20)와 어촌계의 선착장 등 육지(이하, 육지이라 함)를 연결하는 도교(10)를 포함한다. 또한 부잔교는 힌지 부재(50), 걸림부(60) 및 회전부(61)를 포함한다.
먼저, 힌지 부재(50)는 육지에 배치된 베이스부(40)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베이스부(40)는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힌지 부재(50)는 육지 바로 위에 설치될 수 있다. 베이스부(40)는 기설정된 넓이를 갖는다. 베이스부(40)는 금속이나 석재 및 콘크리트 등을 이용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한편 베이스부(40)가 금속으로 이루어진 패널로 형성된 경우 베이스부(40)는 움직이지 않도록 앵커 볼트 따위로 육지에 견고히 고정되어 있다.
힌지 부재(50)는 본체(51) 및 덮개(52)를 포함한다.
본체(51)는 베이스부(40) 위에 배치되어 있다. 본체(51)의 상면에는 힌지홈(511)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51)를 정면서 볼 때 힌지홈(511)은 반원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힌지홈(511)은 본체(51)의 상면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덮개(52)는 본체(51)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다. 힌지홈(511)과 마주하는 덮개(52) 부분에는 힌지홈(511)과 대응되는 덮개홈(521)이 형성되어 있다. 덮개(52)의 일측은 본체(51)에 볼트, 클램프 따위의 결합 수단(54)으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덮개(52)의 타측은 본체(51)에 힌지(53) 따위로 연결되어 힌지(53)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 수단(14)에 의해 덮개(52)의 일측이 본체(51)로부터 분리되면 덮개(52)는 힌지(132a)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힌지 부재(50)에는 도교(10)의 일측이 연결된다. 도교(10)는 기 설정된 길이와, 폭과, 그리고 높이를 갖는다. 도교(10)의 크기는 선착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교(10)는 인도(11)와 난간(12)을 포함한다. 인도(11)는 보행자가 육지와 잔교(20)를 오갈 수 있도록 한다. 인도(11)의 일측 에는 힌지 부재(50)의 힌지홈(511)과 덮개홈(132a)에 위치하는 힌지축(111)이 형성되어 있다. 힌지축(111)의 둘레면에는 베어링(도시하지 않음) 또는 윤활층(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인도(11)는 힌지축(111)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잔교(20) 부분에 위치한 도교(10)의 타측에는 유동 장치(30)가 배치되어 있다. 유동 장치(30)는 잔교(20)가 조류 및 파도에 의해 움직일 때 도교(10)와 잔교(20)가 연결된 부분에 부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유동 장치(30)는 잔교(20)의 상면에 움직임 가능하게 연결된 받침대(31)와 도교(10)의 타측에 힌지 연결되어 있고 받침대(31)에 삽입되는 결합축(34)을 포함한다.
받침대(31)의 상면에는 축 홈(311)이 형성되어 있고 저면에는 캐스터(32)가 결합되어 있다. 캐스터(32)는 잔교(20)의 상면에 접한다. 받침대(31)는 캐스터(32)에 의하여 잔교(20) 상에서 움직일 수 있다. 이때 받침대(31)의 움직이는 범위를 한정하기 위하여 받침대(31)는 와이어, 체인 따위로 이루어진 연결 부재(33)로 잔교(20)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받침대(31)의 움직임이 자유롭도록 연결 부재(33) 느슨하게 형성되어 있다.
결합축(34)은 도교(10)의 타측에 힌지 연결되어 있다. 결합축(34)은 힌지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결합축(34)은 받침대(31)의 축 홈(311)에 삽입되어 있다. 결합축(34)이 축 홈(311)에 결합됨으로써 도교(10)와 잔교(20)가 연결될 수 있다.
난간(12)은 인도(11)를 따라 이동하는 보행자가 인도(11)에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인도(11)의 좌우 양측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난간(12)은 수직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이 복합적으로 연결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난간(12)의 일측 하부는 힌지축(111)에 연결되어 있다. 힌지축(111)과 연결된 난간(12)의 상부측에는 걸림축(121)이 형성되어 있다.
도교(10)의 힌지축(111)과 난간(12)의 걸림축(121)은 도교(10)의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되거나 적어도 일부분에만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힌지축(111)과 걸림축(121)은 도교(10)의 폭 방향 양측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회전부(61)는 베이스부(40)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회전부(61)는 베이스부(40)가 생략된 채 육지 위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회전부(61)의 상하 방향 가상 중심(C)은 힌지 부재(50)와 기 설정된 거리(L1)로 떨어져 있다. 회전부(61)가 힌지 부재(50)로부터 떨어져 있는 거리(L1)는 걸림축(121)이 힌지 부재(50)로부터 떨어져 있는 거리(L2) 보다 클 수 있다.
회전부(61)는 지지체(611), 몸체(612), 그리고 회전체(613)를 포함한다. 지지체(611)는 베이스부(40)에 고정되어 있다. 몸체(612)는 회전체(613)로 지지체(611)에 연결되어 있다. 회전체(613)에는 동력이 연결될 수 있다. 동력에 의해 회전체(613)가 작동하게 되면 몸체(612)는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회전체(613)는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러나 회전체(613)에는 동력이 연결되지 않은 무 동력 상태일 수 있다.
이러한 회전체(613)의 세부적인 구성은 공지된 건설 장비, 특수 차량 따위에 설치되어 몸체를 임의의 방향으로 돌려 주면서 몸체와 지지체를 연결하는 회전부와 동일 유사한 구조를 가지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걸림부(60)는 힌지 부재(50)와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걸림부(60)는 포스트(62) 및 걸림 브래킷(63)을 포함한다.
포스트(62)는 몸체(612)에서 상부측 방향으로 수직하게 설치되어 있다. 포스트(62)의 외부 둘레면에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 브래킷(63)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 브래킷(63)의 상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걸림홈(64)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홈(64)에는 걸림축(121)이 걸릴 수 있다. 걸림홈(64)의 직경은 걸림축(12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걸림축(121) 직경의 1/2 이상이 걸림홈(64)에 위치한다.
걸림 브래킷(63)의 걸림홈(64)의 중심과 걸림축(121)의 중심은 힌지 부재(50)를 기준으로 동일 반경(R) 내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도교(10)가 힌지 부재(50)를 기준으로 회전할 때 걸림축(121)이 걸림홈(64)에 걸릴 수 있다.
한편, 포스트(62)는 생략되고 걸림 브래킷(63)이 회전부(61)의 몸체(612) 부분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인양부(70)는 포스트(62)에 설치되어 있다. 인양부(70)는 지브(71) 및 호이스트(72)를 포함한다.
지브(71)는 포스트(62)의 상단부에서 결합되어 있다. 이때 지브(71)의 일측은 포스트(321)에 연결되고 타측은 포스트(321)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지브(71)의 타측이 포스트(321)에서 돌출되는 정도는 도교(10)의 길이와 동일 유사할 수 있다.
호이스트(72)는 지브(71)에 설치되어 있다. 호이스트(72)는 지브(7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호이스트(72)는 지브(71)의 타측에 고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호이스트(72)의 와이어(721)는 도교(10)의 타측에 연결되어 있다.
아울러, 포스트(62)의 상단부에 도르레(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포스트(62)의 하단부에 윈치(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될 수 있다. 윈치의 와이어는 도르레를 통하여 도교(10)의 타측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브(71)와 호이스트(72)를 포함하는 인양부(70)는 공지된 인양부가 적용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아울러, 첨부된 도면에서 인양부(70)는 탑 인양부 형태이나, 인양부(70)의 구조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첨부된 도면에서 인양부(70)가 포스트(62) 상에 연결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인양부(70)는 차량 등과 같은 이동 수단에 설치되어 도교(20)를 이동시킬 때만 사용하고 그 외에는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다음은 도 4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위에서 설명한 부작교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도교가 잔교에서 떨어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한 도교가 걸림부에 걸린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6은 도 4에 도시한 도교가 육지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한 도교가 육지에 내려 놓은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먼저, 도 1을 참고하면 도교(10)의 일측 하부가 힌지 부재(50)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도교(10)의 타측은 바다에 위치한 잔교(20)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호이스트(72)의 와이어(721)는 도교(10)의 타측과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와이어(721)는 도교(10)의 타측에 연결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교(10)를 통하여 육지와 잔교(20)를 오갈 수 있다.
그러나, 태풍, 해일 발생시 잔교(20)는 물결을 따라 움직이게 되며, 이때 육지와 잔교(20)를 연결하고 있는 도교(10) 또한 잔교(20)를 따라 움직이려고 한다. 이러한 움직임에 의해 도교(10)를 육지에 연결하고 있는 힌지 부재(50) 부분에 많은 하중이 발생한다. 따라서, 태풍, 해일 발생시 도교(10)를 잔교(20)로부터 분리해야 한다.
이에 따라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호이스트(72)의 와이어(721)가 도교(10)에 연결된 상태에서 도교(10)의 타측을 지브(71)의 타측 방향으로 끌어 옮기면 잔교(20)는 힌지축(111)을 기준으로 회전한다. 이때 유동 장치(30)의 결합축(34)이 축 홈(311)에서 분리된다. 이에 따라 도교(10)의 타측이 잔교(20)로부터 떨어질 수 있다.
잔교(20)로부터 분리된 도교(10)는 물결을 따라 움직이는 잔교(20)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에 따라 도교(10)를 육지와 연결하고 있는 힌지 부재(50)에 하중이 발생하지 않아 손상되지 않는다.
그러나, 도교(10)가 강풍이 발생하면 외팔보 형태로 형성된 도교(10)는 강풍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에 다라 도교(10)를 육지로 옮겨 놓으면 강풍에 의한 도교(10)을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호이스트(72)를 이용하여 도교(10)의 타측을 더 끌어 올리면 힌지축(111)을 기준으로 도교(10)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걸림축(121)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 부재(50)를 기준으로 동일 반형 내에 위치한 걸림부(60)의 걸림홈(64)에 걸리게 된다.
이때, 힌지 부재(50)의 덮개(52)를 본체(51)로부터 분리하여 힌지축(111)이 힌지 부재(50)로부터 노출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호이스트(72)를 이용하여 도교(10)의 타측을 좀더 끌어 올리게 되면 힌지축(111)은 힌지 부재(50)로부터 분리된다. 이때 도교(10)의 회전 기준점은 힌지축(111)이 아니고 걸림축(121)이 된다.
이에 따라 도교(10)는 걸림축(121)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힌지축(111)이 힌지 부재(50)로부터 분리되면 회전부(61)는 구동하게 된다. 회전부(61)의 구동으로 육지와 잔교(20)를 연결하고 있던 도교(10)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다 방향에서 육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인양부(70)가 포스트(62)에 설치되지 않고 차량에 설치된 경우 인양부(70)는 도교(10)의 타측을 들어 올린 후 도교(10)의 타측을 바다 방향에서 육지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도교(10)는 회전부(61)를 기준으로 회전 하면서 육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육지 방향으로 이동한 도교(10)의 타측을 호이스트(72)가 내려 놓게 되면 도교(10)는 걸림축(121)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육지에 놓이게 된다.
다음으로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잔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교 분리 장치가 적용된 부잔교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부잔교는 도교(10), 잔교(20), 힌지 부재(50), 회전부(61), 걸림부(60), 그리고 인양부(7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본 실시예에 따른 도교(10), 잔교(20), 회전부(61), 걸림부(60), 그리고 인양부(70)는 도 1 내지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도교, 잔교, 회전부, 걸림부, 그리고 인양부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 효과를 갖는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도교(10), 잔교(20), 회전부(61), 걸림부(60), 그리고 인양부(7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힌지 부재(50)는 본체(51), 덮개(52), 그리고 가이드부(55)를 포함한다. 힌지 부재(50)는 베이스부(40)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베이스부(40)는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힌지 부재(50)는 육지 바로 위에 설치될 수 있다.
본체(51)와 덮개(52)는 도 1 내지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와 덮개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 효과를 갖는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다른 본체(51)와 덮개(52)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55)는 베이스부(40)와 본체(51)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부(55)는 타측이 들린 도교(10)가 회전부(61)를 기준으로 회전할 때 힌지 부재(50)가 도교(1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한다. 가이드부(55)는 레일(551)과 레일 홈(552)으로 형성되어 있다. 레일(551)과 레일 홈(552)은 회전부(61)를 기준으로 궤적을 그리며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51)가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베이스부(40)와 본체(51) 사이에는 회전볼(553)들이 장착되어 있다. 회전볼(553)은 가이드부(55)와 이웃하게 배치되어 있다. 회전볼(553)은 본체(51)와 베이스부(40)의 마찰을 최소화 한다. 회전볼(553)은 본체(51) 이동 시 구름운동을 하게 된다.
한편, 평소에 도교(10)가 육지와 잔교(20)를 연결하고 있을 때에는 본체(51)는 움직이지 않도록 베이스부(40)에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도교(10)를 바다에서 육지로 이동하고자 할 경우 본체(51)는 움직임 가능하게 베이스부(40)와의 결합이 해제된다.
힌지 부재(50)가 움직임 가능하게 베이스부(40)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도교(10)를 힌지 부재(50)로부터 분리하지 않고도 도교(10)를 바다에서 육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태풍, 해일, 강풍 발생 시 육지와 잔교를 연결하고 있는 도교를 육지로 옮겨 놓을 수 있어 자연 재해에 따른 도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살펴본 많은 특징들이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도교 11: 인도
111: 힌지축 12: 난간
121: 걸림축 20: 잔교
30: 유동 장치 31: 받침대
311: 축 홈 32: 캐스터
33: 연결 부재 34: 결합축
40: 베이스부 50: 힌지 부재
51: 본체 511: 힌지홈
52: 덮개 521: 덮개홈
53: 힌지 54: 결합 수단
55: 가이드부 551: 레일
552: 레일 홈 553: 회전볼
61: 회전부 611: 지지체
612: 몸체 613: 회전체
60: 걸림부 62: 포스트
63: 걸림 브래킷 64: 걸림홈
70: 인양부 71: 지브
72: 호이스트 721: 와이어

Claims (5)

  1. 바다에 떠있는 잔교,
    육지에 설치되어 있는 힌지 부재,
    일측이 상기 힌지 부재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잔교에 연결되어 있는 도교,
    육지에 위치하며, 상기 힌지 부재와 간격을 둔 채 배치되어 있고, 상기 도교의 일측 상부가 걸릴 수 있으며, 회전 가능한 걸림부, 그리고
    육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걸림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부
    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에 상기 도교가 걸리고 상기 회전부가 회전하면 상기 도교가 함께 회전하는
    부잔교.
  2. 제1항에서,
    상기 힌지 부재는
    상기 도교의 일측 하부가 놓이는 힌지홈이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힌지홈에 놓인 상기 도교 일측부분을 덮는 덮개
    를 포함하는
    부잔교.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걸림부를 기준으로 상기 힌지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부잔교.
  4. 제1항에서,
    일측이 육지에 위치하고 타측이 상기 도교의 타측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도교를 상기 걸림부를 기준으로 이동시키는 인양부을 더 포함하는 부잔교.
  5. 제1항에서,
    상기 걸림부의 걸림홈과 상기 도교의 일측 상부는 상기 힌지 부재를 기준으로 동일 반경 내에 위치하는 부잔교.
KR1020120140558A 2012-12-05 2012-12-05 부잔교 KR101254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558A KR101254018B1 (ko) 2012-12-05 2012-12-05 부잔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558A KR101254018B1 (ko) 2012-12-05 2012-12-05 부잔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4018B1 true KR101254018B1 (ko) 2013-04-12

Family

ID=48443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0558A KR101254018B1 (ko) 2012-12-05 2012-12-05 부잔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4018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384B1 (ko) * 2013-04-15 2013-10-08 (주) 뉴텍 회전식 도교
KR101325525B1 (ko) * 2013-04-11 2013-11-07 (주)하나 도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부잔교
KR101914944B1 (ko) 2017-09-15 2018-11-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계류용 갱웨이 장치
KR102238197B1 (ko) 2020-12-04 2021-04-09 보성포리테크 주식회사 도교 인양 장치
KR102264706B1 (ko) * 2019-12-30 2021-06-11 임기택 도교 인양장치
KR20230075296A (ko) 2021-11-22 2023-05-31 유금범 갱웨이
KR20230116199A (ko) 2022-01-28 2023-08-04 김경배 친환경 조립형 알루미늄 부잔교
KR20230151571A (ko) 2022-04-25 2023-11-02 박정순 컨베이어가 결합된 부잔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8778A (ko) * 2009-09-02 2010-01-26 (주)엠디 도교의 결합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8778A (ko) * 2009-09-02 2010-01-26 (주)엠디 도교의 결합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5525B1 (ko) * 2013-04-11 2013-11-07 (주)하나 도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부잔교
KR101315384B1 (ko) * 2013-04-15 2013-10-08 (주) 뉴텍 회전식 도교
KR101914944B1 (ko) 2017-09-15 2018-11-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계류용 갱웨이 장치
KR102264706B1 (ko) * 2019-12-30 2021-06-11 임기택 도교 인양장치
KR102238197B1 (ko) 2020-12-04 2021-04-09 보성포리테크 주식회사 도교 인양 장치
KR20230075296A (ko) 2021-11-22 2023-05-31 유금범 갱웨이
KR20230116199A (ko) 2022-01-28 2023-08-04 김경배 친환경 조립형 알루미늄 부잔교
KR20230151571A (ko) 2022-04-25 2023-11-02 박정순 컨베이어가 결합된 부잔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4018B1 (ko) 부잔교
DK2971366T3 (en) Flood protection barrier lift system
KR101325525B1 (ko) 도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부잔교
CN202765242U (zh) 登或离海上固定平台的舷梯装置
KR20150119794A (ko) 육상형 플랩 게이트
KR101876483B1 (ko) 파일 전도 방법, 파일 전도 시스템 및 그러한 파일 전도 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CN106877203B (zh) 一种码头岸电供电系统随动式供电设备
CN112813977A (zh) 一种利用绳锯截除超高混凝土管桩的施工方法
US8215868B2 (en) Hydraulic powered boat portage apparatus
KR20190130320A (ko) 선박용 접안장치
KR20160005930A (ko) 승하선 사다리의 전기식 텔레스코픽 시스템
KR101658615B1 (ko) 재해예방을 위한 도교 인양 장치
CN213709665U (zh) 一种河道防沙清淤施工设备
US9216879B1 (en) Automated oil containment boom recovery device
CN109958118A (zh) 溶洞探测和预处理施工平台
CN214823953U (zh) 一种应用于绞吸挖泥工程的浮筒装置
JP2002302387A (ja) ボートリフター装置
KR200484732Y1 (ko) 인양장치
CN110004903A (zh) 配备可滑移钻机的溶洞探测和预处理施工平台
CN212904558U (zh) 一种可适用多种检测环境的桥梁检测装置
KR101269547B1 (ko) 카운터 웨이트 연동형 플로팅 갠트리 크레인을 이용한 골재 반송용 선박
KR101362001B1 (ko) 오일 붐 인양장치
CN211664471U (zh) 一种围油栏收放装置
KR20170123953A (ko) 도교 인양장치
KR20100008556U (ko) 선박인양용 지브 크레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