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4706B1 - 도교 인양장치 - Google Patents
도교 인양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64706B1 KR102264706B1 KR1020190178062A KR20190178062A KR102264706B1 KR 102264706 B1 KR102264706 B1 KR 102264706B1 KR 1020190178062 A KR1020190178062 A KR 1020190178062A KR 20190178062 A KR20190178062 A KR 20190178062A KR 102264706 B1 KR102264706 B1 KR 1022647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otbridge
- lifting
- bridge
- flow
- pi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06—Bascule bridges; Roller bascule bridges, e.g. of Scherzer type
- E01D15/08—Drawbridg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닷가 등에 구비되는 부잔교와 육지를 연결하는 도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육지의 근접한 도교의 선단 부분을 인양함으로서 최소의 동력으로 원활한 인양이 이루어짐과 아울러, 부잔교와 연결된 도교부분이 전후, 좌우 이동이 가능하여 심한 파고 또는 미 인양시에도 도교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는 도교 인양장치에 관한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육지에 설치되는 인양부(400)와;
바다에 설치되는 부잔교(500)와;
상기 인양부(400)와, 부잔교(500)를 연결하는 도교(100)로 구비되되,
상기 도교(100)의 하단에는 착탈식 고정부(300)를 구비하여 도교(100)의 전방을 최소 전력에 의해 효율적으로 인양을 함과 아울러 상기 도교(100)의 후단부는 부잔교(500)에 상호 결합하되, 전.후 및 좌.우 이동이 가능한 유동수단(220)으로 결합하여 파고에도 파손을 방지 할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육지에 설치되는 인양부(400)와;
바다에 설치되는 부잔교(500)와;
상기 인양부(400)와, 부잔교(500)를 연결하는 도교(100)로 구비되되,
상기 도교(100)의 하단에는 착탈식 고정부(300)를 구비하여 도교(100)의 전방을 최소 전력에 의해 효율적으로 인양을 함과 아울러 상기 도교(100)의 후단부는 부잔교(500)에 상호 결합하되, 전.후 및 좌.우 이동이 가능한 유동수단(220)으로 결합하여 파고에도 파손을 방지 할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바닷가 등에 구비되는 부잔교와 육지를 연결하는 도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육지의 근접한 도교의 선단 부분을 인양함으로서 최소의 동력으로 원활한 인양이 이루어짐과 아울러, 부잔교와 연결된 도교부분이 전후, 좌우로 이동이 가능하여 심한 파고 또는 미 인양시에도 도교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도교 인양장치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잔교는 배를 접안(接岸)시키기 위해 물가에 만들어진 잔교(棧橋)와, 육지와 잔교를 연결하는 도교(渡橋)를 말한다. 이와 같은 부잔교는 조수간만의 차가 많은 바다에서 해수면의 변동에 관계없이 선박의 접안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항만시설의 일부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태풍, 해일 발생시 파도에 의해 잔교는 심하게 움직일 수 있다. 이때 육지에 고정된 도교 부분이 파손될 수 있다.
아울러 종래에는 도교를 들어올리는 과정에 과부하가 발생하여 작동효율을 제한하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첨부 도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도교 인양장치는, 육지에 인양을 위한 지지대(110)가 구비되고, 바다로 부잔교(200)가 구비되며, 상기 육지와 부잔교(200)를 연결하는 도교(100)가 구비되되, 상기 도교(100)의 일단은 육지의 지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은 부잔교(200)로 안착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110)의 상부와 도교(100)의 중앙은 로프에 의해 연결되며, 지지대의 후방에는 상기 도교(100)를 인양하기 위한 펌핑부재(220)로 구비되어 도교를 인양하도록 이루어진 기술이다.
즉, 펌핑부재(220)의 정역 구동에 의해 로프를 감거나 풀어줌으로서 도교(100)가 육지 지면으로 부터 회동되어 경사지게 인양 또는 부잔교(200)와 연결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인양장치는 파고에 따라 부잔교(200)에 안착 연결된 도교(100) 부분이 심하게 유동되어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육지와 연결된 도교 부분 또한, 심한 파고에 의한 파손이 발생되며, 힌지 부분 및 연결부분이 파손되어 인양 자체가 불가능 할 때가 빈번하게 발생되었다.
이와 같이, 인양 자체가 불가능한 상태에서 그대로 방치를 하게되면 파고에 의한 도교 전체가 파손이 됨은 물론, 이로 인해 도교 장치의 보수가 이루어질 수 없어 전체적으로 교체를 해야하는 경제적 손실을 떠 안게 된다.
그리고, 인양을 위한 로프가 도교의 중앙과 연결된 구조는 인양에 따른 많은 동력과 토로크가 발생되며, 이러한 문제는 인양 구동장치의 잔고장이 발생되고, 현재에도 인양 구동장치의 교체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 도교 인양장치로부터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발명은 육지의 근접한 도교의 선단 부분을 인양함으로서 최소의 동력으로 도 간편하게 도교를 인양할 수 있는 목적과, 부잔교와 연결된 도교부분이 전후, 좌우로 이동이 가능하게 이루어져 심한 파고 또는 미 인양시에도 도교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도교 인양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교 인양장치는, 육지에 설치되는 인양부와; 바다에 설치되는 부잔교와; 상기 인양부와, 부잔교를 연결하는 도교로 이루어지되, 상기 인양부는 가로, 세로, 수직으로 연결되어 육지 지면에 매설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는 전방으로 돌출 구비되는 한 쌍의 암과, 상기 한 쌍의 암에 설치되는 제1도르레, 제2도르레 및 제3도르레가 구비되며, 상기 제1도르레는 축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축은 지지대의 상단부에 구비된 브라켓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축에는 종동스프로킷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의 상단부에는 도교를 인양하기 위한 구동장치가 구비되되; 상기 구동장치는 모터의 축상으로 구동스프로킷이 구비되며, 상기 구동스프로킷과 종동스프로킷은 체인으로 연결되어 인양을 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부잔교는, 하단에 다수의 부고가 구비되는 부잔교판과, 파고에 의해 발생되는 흔들림을 흡수 하는 전.후 유동수단 및 좌.우 유동수단을 갖는 유동수단이 구비되어 파고의 흔들림에 의한 도교의 파손이 방지 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도교의 일단은 육지와 근접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부잔교의 유동수단과 연결 설치되며, 육지와 근접하게 설치되는 선단부 하단에는 착탈식 고정부가 구비되되; 상기 착탈식 고정부는 도교의 하단면에 구비되는 암락과, 육지 벽면에 설치되는 숫락으로 구비되어 착탈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인양부의 지지대 상부로 부잔교 및 도교에 사람이 있는가를 확인하는 모니터링 카메라가 구비되고, 상기 부잔교에 구비되어 기후 변화에 따라 파고를 감지하는 파고 감지기가 구비되며, 상기 모니터링 카메라 및 파고 감지기의 자료를 기지국으로 송출 및 기지국의 송출되는 자료를 수신하는 원격 송수신기가 구비되고, 상기 기지국에서 원격 송수신기로 수신된 신호에 따라 인양장치를 콘트롤 제어하는 콘트롤부를 포함하여 기지국에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도교를 컨트롤인양 할 수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전.후 유동수단과, 좌.우 유동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전.후 유동수단은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단으로 돌출 형성되는 벽체와, 상기 벽체의 양 측부에는 전.후 이동가이드공이 구비되고, 상기 전.후 이동가이드공으로는 도교의 끝 단부가 안착되어 축결합되며, 상기 축 상에는 원활한 유동을 위한 롤러가 구비되고, 본체의 각 모서리 부분에는 좌.우 유동수단의 가이드공에 삽입되는 롤러가 구비되되, 롤러의 중앙에는 상기 가이드공에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분리방지돌부가 구비된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좌.우 유동수단은 부잔교판에 고정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후방에는 좌.우 이동가이드공을 갖는 가이드돌부가 곡면을 갖도록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돌부의 측면에는 상기 분리방지돌부가 삽입되어 이동되도록 분리방지홀가 구비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착탈식 고정부는 도교의 하단면에 구비되는 암락과, 육지 벽면에 설치되는 숫락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암락은 락홈을 갖는 락키와, 상기 락키의 후방에 구비되어 락키를 전후 구동시키는 제1실린더로 구비되며,
상기 숫락은 키홈을 갖는 몸체와 상기 키홈의 수직으로 제2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승하강 하여 락/해지하는 락키가 구비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한 쌍의 암 사이에는 보강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보강프레임 하단에는 도교 인양시 도교의 유동을 제한하기 위한 유동 방지봉이 구비되며, 상기 도교의 제1보조발판에는 상기 유동 방지봉이 삽입되어 전.후 유동은 유지하면서 좌.우 유동을 제한하는 장공이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서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교 인양장치는 도교의 선단부분을 인양하므로서 동력소비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와, 부잔교로 설치되는 도교부분이 전후, 좌우로 유동이 가능하여 심한 파고나, 미 인양시에도 연결부분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다양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도교 인양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교 인양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교 인양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교 인양장치의 인양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교가 인양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교 인양장치의 착탈식 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교 인양장치의 진동흡수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도교 인양장치의 유동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 내지 도 12는 유동 수단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교 인양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교 인양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교 인양장치의 인양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교가 인양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교 인양장치의 착탈식 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교 인양장치의 진동흡수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도교 인양장치의 유동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 내지 도 12는 유동 수단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교 인양장치의 구조를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
첨부 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교 인양장치는 크게 육지에 설치되는 인양부(400)와, 바다에 설치되는 부잔교(500)와, 상기 인양부(400)와, 부잔교(500)를 연결하는 도교(100)와, 상기 도교(100)와 부잔교(500)를 연결하는 유동수단(200)과, 도교의 선단과 육지를 연결하는 착탈식 고정부(300)로 이루어져 사람이나 자동차등이 통행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인양부(400)의 지지대(410) 상부에는 부잔교(500) 및 도교(100)에 사람이 있는가를 확인하는 모니터링 카메라(600)와, 상기 부잔교(500)에 구비되어 기후 변화에 따라 파고를 감지하는 파고 감지기(700)와, 상기 모니터링 카메라(600) 및 파고 감지기(700)의 자료를 기지국(A)으로 송출 및 기지국의 송출되는 자료를 수신하는 원격 송수신기(800)와, 상기 기지국(A)에서 원격 송수신기(800)로 수신된 신호에 따라 인양장치를 콘트롤 제어하는 콘트롤부(90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인양부(400)는 가로, 세로, 수직으로 연결되어 육지 지면에 매설되는 지지대(410)와, 상기 지지대(410)의 상부에는 전방으로 돌출 구비되는 한 쌍의 암(411)으로 구비된다.
상기 한 쌍의 암(411)에는 제1도르레(412) 및 제2도르레(413) 및 제3도르레(414)가 구비되며, 상기 제1도르레(412)는 축(412a)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축(412a)은 지지대(410)의 상단부에 구비된 브라켓(410a)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축(412a)에는 종동스프로킷(423)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대(410)의 상단부에는 도교를 인양하기 위한 구동장치(420)가 구비되며, 상기 구동장치(420)는 모터(421)의 축상으로 구동스프로킷(422)이 구비되고, 상기 구동스프로킷(422)과 종동스프로킷(423)은 체인(424)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암(411) 사이에는 보강프레임(415)이 구비되고, 상기 보강프레임 하단에는 도교(100) 인양시 도교의 유동을 제한하기 위한 유동 방지봉(416)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도교(100)의 제1보조발판(110)에는 상기 유동 방지봉(416)이 삽입되어 전.후 유동은 유지하면서 좌.우 유동을 제한하는 장공(111)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부잔교(500)는 하단에 다수의 부고(511)가 구비되는 부잔교판(510)과, 파고에 의해 발생되는 흔들림을 흡수 하는 전.후 유동수단(210) 및 좌.우 유동수단(220)을 갖는 유동수단(200)이 구비되어 파고의 흔들림에 의한 도교(100)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전.후 유동수단(210)은 본체(211)와 상기 본체의 상단으로 돌출 형성되는 벽체(212)와, 상기 벽체의 양 측부에는 전.후 이동가이드공(213)이 구비되고, 상기 전.후 이동가이드공(213)으로는 도교(100)의 끝 단부가 안착되어 축(113)결합된다.
이때, 상기 축(113) 상에는 원활한 유동을 위한 롤러(112)가 구비되고, 본체(211)의 각 모서리 부분에는 좌.우 유동수단의 가이드공(222a)에 삽입되는 롤러(214)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롤러(214)의 중앙에는 상기 가이드공(222a)에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분리방지돌부(214a)가 구비된다.
상기 좌.우 유동수단(220)은 부잔교판(510)에 고정설치되는 본체(221)와, 상기 본체의 전.후방에는 좌.우 이동가이드공(222a)을 갖는 가이드돌부(222)가 곡면을 갖도록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돌부(222)의 측면에는 상기 분리방지돌부(214a)가 삽입되어 이동되도록 분리방지홀(222b)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도교(100)의 일단은 육지와 근접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부잔교(500)의 유동수단(200)과 연결 설치되며, 육지와 근접하게 설치되는 선단부 하단에는 착탈식 고정부(300)가 구비된다.
상기 착탈식 고정부(300)는 도교(100)의 하단면에 구비되는 암락(310)과, 육지 벽면에 설치되는 숫락(320)으로 구비되어 착탈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도교(100)의 하단에 구비되는 암락(310)은 락홈(312a)을 갖는 락키(312)와, 상기 락키(312)의 후방으로 제1실린더(311)가 구비되어 상기 락키를 전후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숫락(320)은 키홈(321a)을 갖는 몸체(321)와 상기 키홈(321a)의 수직으로 제2실린더(322)의 작동에 의해 승하강 하여 락/해지하는 락키(323)가 구비된다.
한편, 도교(100)의 선단부 양측은 지지체(130)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지지체(130)에는 축(131)이 관통 연결되며, 상기 축(131)의 양 끝단에는 구동장치(420)를 이루는 로프(425)가 연결된다.
그리고 인양부(400)가 설치되는 육지 벽면에는 도교(100)를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330)가 구비되되, 상기 받침대(330)의 상부로 상기 숫락(320)이 설치된다.
또한, 숫락(320)의 양 측부에는 도교(100)의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진동흡수체(340)가 구비된다.
상기 진동흡수체(340)는 받침대(330)에 고정되는 본체(342)와 상기 본체(342)로 내장되는 로드(343)및 상기 로드(343)의 상단으로 흡수판(341)이 결합되며, 상기 로드(343)의 외주연으로 진동을 흡수하는 스프링(344)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진동흡수체(340)의 상부에는 도교(100)와 연결되는 방진구(141)가 안착된다. 상기 방진구(141)는 도교(100)와 연결되는 돌출편(140)에 힌지에 의해 결합되는 방진구(141)와 상기 방진구 하단으로 방진패드(142)로 구비되어 진동을 흡수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인양부(400)의 지지대(410) 상부에는 부잔교(500) 및 도교(100)에 사람이 있는가를 확인하는 모니터링 카메라(600)가 구비되되, 실시간으로 도교를 모니터링 하여 정보를 원격 송수신기(800)로 송출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부잔교(500)에는 파고 감지기(700)가 구비되어, 기후 변화에 따른 파고를 감지하여 수집된 정보를 원격 송수신기(800)로 송출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인양부 요부에는 원격 송수신기(800)가 구비되되, 상기 원격 송수신기(800)는 상기 모니터링 카메라(600) 및 파고 감지기(700)에서 송출하는 정보를 입력받아 현장 정보를 기지국(A)으로 송출하도록 구비됨과 아울러 기지국의 송출되는 자료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A)에서 원격 송수신기(800)로 수신된 신호에 따라 인양장치를 콘트롤 제어하는 콘트롤부(900)가 구비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교 인양장치는 현장에서 구동장치를 작동시켜 도교를 인양할 수 있으며, 기지국(A)에서 도교의 정보를 수신받아 이를 원격 송수신기(800)로 송출 하여 도교를 인양할 수 있다.
종래의 도교 인양장치는 도교의 중심을 들어 올리도록 구성되어 많은 전력소비력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의 인양장치는 도교의 선단부를 인양하도록 이루어져 전력소비력을 최소화 시킬 수 있으며, 도교와 부잔교 연결을 유동수단에 의해 체결함으로써, 파고에 의한 도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미 인양시에도 도교의 선단부에 구비된 진동흡수체(340)에 의하여 도교(100)에 전달되는 진동이 흡수됨과 아울러, 유동수단(200)에 의해 파고가 심할 시 도교(100)와 부잔교(500)가 상호 유동이 되어 연결부위이 파손이 방지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교 인양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인양장치는 설치된 현장에서 수동 작동이 가능하며, 현장에서 모니터링된 정보를 수신하여 기지국에서 인양작업이 가능하다.
육지와 부잔교(500)의 연결상태를 살펴보면, 도교(100)에 의해 육지와 부잔교(500)가 연결되되, 도교(100)의 선단은 육지의 벽면에 설치된 착탈식 고정부에 의해 고정설치된다.
즉, 도교의 선단부가 안착시 도교의 선단에 구비된 방진구(141)가 진동흡수체(340)로 안착되며, 이 상태에서 제1실린더(311)가 작동하여 락키(312)가 키홈(321a)으로 유입되고, 제2실린더(322)가 작동하여 삽입된 락키(312)의 락홈(312a)을 락키(323)이 진입하여 락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도교(100)의 전방을 연결설치가 이루어지면 심한 파고가 발생하여도 도교가 분리되는 것이 방지됨은 물론 도교의 전방은 진동흡수체(340)로 부터 진동이 흡수되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도교(100)의 후단부는 유동수단(200)에 의해 연결되어 전후, 좌우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파고에 의한 흔들림이 자체 흡수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파고에 의해 부잔교(500)의 전후, 좌우로 유동시 도교(100)와 전후유동수단(210)을 연결하는 축(111)이 전.후 이동가이드공(213)을 따라 이동되게 이루어져 전후 유동을 단속할 수 있다.
또한, 전후 이동시 축(111)에 구비된 롤러(112)가 더욱 원활한 유동이 이루어져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부잔교(500)가 좌우 흔들림시에는 전후유동수단(210)을 중심으로 좌우 이동수단(220)이 좌우로 유동되게 이루어져 파손이 방지된다.
즉, 부잔교(500)가 좌우 유동시 전후 유동수단(210)의 롤러(214)가 좌우 유동수단의 좌우 가이드공(223a)을 따라 유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가능하다.
또한, 롤러(214)에는 분리방지돌부(214a)가 구비되되, 상기 분리방지돌부(214a)가 가이드돌부(222)의 분리방지홀(222b)로 삽입되도록 이루어져 흔들림시 상호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도교(100)를 인양하기 위해서는 현장에서 직접 조작을 하여 인양하거나 기지국에서 조작하여 인양할 수 있는 것으로 기지국에서 조작하여 인양하는 예를 설명한다.
기지국에서는 현장에 설치된 파고 감지기(700) 및 모니터링 카메라(600)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전달받아 인양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원격 수신기(800)로 인양신호를 송출하며, 원격 수신기(800)에서 신호가 접수되면, 이를 콘트롤부(900)로 전송된다.
상기 콘트롤부(900)는 착탈식 고정부(300)를 작동시켜 잠겨있는 락을 해지하게 된다. 즉, 제2실린더(322) 및 제1실린더(311)가 역 작동하여 락키(323)(312)가 해지되며, 이와 같이 해지 상태가 완료되면, 구동장치(420)가 작동하게 되고, 모터(421)의 작동에 의해 도교(100)와 연결된 로프(425)를 감아 도교의 선단 인양이 서서히 이루어진다.
로프를 따라 상승되는 도교(100)가 일정한 높이로 상승되면, 도교의 제1보조발판(110)에 형성된 장공(111)이 유동방지봉(416)으로 삽입되어 인양작업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인양이 완료된 상태에서 유동방지봉(416)에서 도교를 클램프하기 때문에 파고에 의핸 도교(100)의 흔들림을 제재할 수 있으며, 도교의 후단부는 유동수단에 의해 파고에 의한 흔들림을 억제하여 도교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전술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0: 도교 110: 제1보조발판
120: 제2보조발판 200: 유동수단
210: 전.후 유동수단 213: 전.후 이동가이드공
214a: 분리 방지돌부 220: 좌.우 이동수단
222: 가이드 돌부 222b: 분리 방지홀
300: 착탈식 고정부 310: 암락
312, 323: 락키 320: 숫락
321: 몸체 321a: 키홈
400: 인양부 410: 지지대
420: 구동장치 500: 부잔교
600: 모니터링 카메라 700: 파고 감지기
800: 원격 송수신기 900: 콘트롤부
A: 기지국
120: 제2보조발판 200: 유동수단
210: 전.후 유동수단 213: 전.후 이동가이드공
214a: 분리 방지돌부 220: 좌.우 이동수단
222: 가이드 돌부 222b: 분리 방지홀
300: 착탈식 고정부 310: 암락
312, 323: 락키 320: 숫락
321: 몸체 321a: 키홈
400: 인양부 410: 지지대
420: 구동장치 500: 부잔교
600: 모니터링 카메라 700: 파고 감지기
800: 원격 송수신기 900: 콘트롤부
A: 기지국
Claims (5)
- 육지에 설치되는 인양부(400)와, 바다에 설치되는 부잔교(500)와, 상기 인양부(400)와, 부잔교(500)를 연결하는 도교(100)로 구비되는 도교 인양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양부(400)는 육지 지면에 매설되는 지지대(410)와, 상기 지지대(410)의 상부에는 전방으로 돌출 구비되는 한 쌍의 암(411)과, 상기 한 쌍의 암(411)에 설치되는 제1도르레(412) 및 제2도르레(413) 및 제3도르레(414)가 구비되되; 상기 제1도르레(412)는 축(412a)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축(412a)은 지지대(410)의 상단부에 구비된 브라켓(410a)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축(412a)에는 종동스프로킷(423)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410)의 상단부에는 도교를 인양하기 위한 구동장치(420)가 구비되되; 상기 구동장치(420)는 모터(421)의 축상으로 구동스프로킷(422)이 구비되며, 상기 구동스프로킷(422)과 종동스프로킷(423)은 체인(424)으로 연결되어 인양을 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암(411) 사이에는 보강프레임(415)이 구비되고, 상기 보강프레임 하단에는 도교(100) 인양 후 도교의 유동을 제한하기 위한 유동 방지봉(416)이 구비되며, 상기 도교(100)의 제1보조발판(110)에는 상기 유동 방지봉(416)으로 삽입되어 전.후 유동은 유지하면서 좌.우 유동을 제한하는 장공(111)이 형성되고,
상기 부잔교(500) 상부에는 파고에 의해 발생되는 흔들림을 흡수하기 위하여 전.후/좌.우 유동이 가능한 유동수단(200)이 구비되되;
본체(211)와, 상기 본체의 상단으로 돌출 형성되는 벽체(212)와, 상기 벽체의 양 측부에는 전.후 이동가이드공(213)이 구비되고, 상기 전.후 이동가이드공(213)으로는 도교(100)의 끝 단부가 안착되어 축(113)결합되며, 상기 축(113) 상에는 원활한 유동을 위한 롤러(112)가 구비되고, 본체(211)의 하단 각 모서리 부분에는 좌.우 유동수단의 가이드공(222a)에 삽입되는 롤러(214)가 구비되며, 상기 롤러(214)의 중앙에는 상기 가이드공(222a)에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분리방지돌부(214a)가 구비되는 전,후 유동수단(210)과,
부잔교판(510)에 고정설치되는 본체(221)와, 상기 본체의 전.후방에는 좌.우 이동가이드공(222a)을 갖는 가이드돌부(222)가 곡면을 갖도록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돌부(222)의 측면에는 상기 분리방지돌부(214a)가 삽입되어 이동되도록 분리방지홀(222b)이 구비되는 좌.우 유동수단(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교 인양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부(400)의 지지대(410) 상부에는 부잔교(500) 및 도교(100)에 사람이 있는가를 확인하는 모니터링 카메라(600)와,
상기 부잔교(500)에 구비되어 기후 변화에 따라 파고를 감지하는 파고 감지기(700)와,
상기 모니터링 카메라(600) 및 파고 감지기(700)의 자료를 기지국(A)으로 송출 및 기지국의 송출되는 자료를 수신하는 원격 송수신기(800)와,
상기 기지국(A)에서 원격 송수신기(800)로 수신된 신호에 따라 인양장치를 콘트롤 제어하는 콘트롤부(9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교 인양장치.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도교(100)의 하단에는 암락(310)구비되고, 육지 벽면에는 숫락(320)구비되되,
상기 암락(310)은 락홈(312a)을 갖는 락키(312)와, 상기 락키(312)의 후방으로 제1실린더(311)가 구비되어 상기 락키를 전후 이동시키며,
상기 숫락(320)은 키홈(321a)을 갖는 몸체(321)와 상기 키홈(321a)의 수직으로 제2실린더(322)의 작동에 의해 승하강 하여 락/해지하는 락키(32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교 인양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78062A KR102264706B1 (ko) | 2019-12-30 | 2019-12-30 | 도교 인양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78062A KR102264706B1 (ko) | 2019-12-30 | 2019-12-30 | 도교 인양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64706B1 true KR102264706B1 (ko) | 2021-06-11 |
Family
ID=76376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78062A KR102264706B1 (ko) | 2019-12-30 | 2019-12-30 | 도교 인양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64706B1 (ko)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15110A (ko) * | 2000-08-21 | 2002-02-27 | 김대봉 | 선박의 승하선장치 |
KR200357935Y1 (ko) * | 2004-05-19 | 2004-07-31 | 허양 | 도개식 잔교 |
KR101254018B1 (ko) * | 2012-12-05 | 2013-04-12 | (주)하나 | 부잔교 |
KR101315384B1 (ko) | 2013-04-15 | 2013-10-08 | (주) 뉴텍 | 회전식 도교 |
KR20140137916A (ko) * | 2013-05-24 | 2014-12-03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바지선 고정장치 |
KR101550453B1 (ko) | 2014-09-24 | 2015-09-08 | 주식회사 반도산업개발 | 잠수식 부잔교를 구비하는 도교 |
KR20170123953A (ko) * | 2016-04-29 | 2017-11-09 | 정창원 | 도교 인양장치 |
-
2019
- 2019-12-30 KR KR1020190178062A patent/KR10226470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15110A (ko) * | 2000-08-21 | 2002-02-27 | 김대봉 | 선박의 승하선장치 |
KR200357935Y1 (ko) * | 2004-05-19 | 2004-07-31 | 허양 | 도개식 잔교 |
KR101254018B1 (ko) * | 2012-12-05 | 2013-04-12 | (주)하나 | 부잔교 |
KR101315384B1 (ko) | 2013-04-15 | 2013-10-08 | (주) 뉴텍 | 회전식 도교 |
KR20140137916A (ko) * | 2013-05-24 | 2014-12-03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바지선 고정장치 |
KR101550453B1 (ko) | 2014-09-24 | 2015-09-08 | 주식회사 반도산업개발 | 잠수식 부잔교를 구비하는 도교 |
KR20170123953A (ko) * | 2016-04-29 | 2017-11-09 | 정창원 | 도교 인양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433861B (zh) | 一种针对水中悬漂物或航行物的拦截装置 | |
KR101254018B1 (ko) | 부잔교 | |
KR102348737B1 (ko) | 부력을 이용한 타이케이블 설치장치 | |
KR102264706B1 (ko) | 도교 인양장치 | |
GB2148246A (en) | Boat lift | |
US11691705B2 (en) | Automated boat lift and trolley | |
US6749371B2 (en) | Pile guide | |
CN107217642B (zh) | 一种生态护坡 | |
US6470816B1 (en) | Watercraft lift assembly | |
CN111776152A (zh) | 一种垃圾清理装置 | |
KR101550453B1 (ko) | 잠수식 부잔교를 구비하는 도교 | |
US3442239A (en) | Submergible stabilizer for barges | |
CN210421223U (zh) | 一种用于清淤船的泵吸系统 | |
KR101606693B1 (ko) | 바지선의 대형 블록을 부유식 도크에 탑재하는 방법 | |
KR101259631B1 (ko) | 선박용 긴급제동장치 | |
US3350798A (en) | Condition responsive elevator dredge | |
CN211898381U (zh) | 一种水中混凝土梁下钢管桩拔除设备 | |
CN205712036U (zh) | 潜水泵止动装置 | |
US11603637B1 (en) | Wave attenuator system | |
KR101584571B1 (ko) |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도킹 기기 및 상기 도킹 기기를 이용하여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방법 | |
CN210013154U (zh) | 一种防反转潜入闸机机芯 | |
CN221251676U (zh) | 水下抛石装置及船舶 | |
CN109958118A (zh) | 溶洞探测和预处理施工平台 | |
JP3510012B2 (ja) | 横引き式防波堤設備 | |
JPH04237693A (ja) | アンカー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