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7935Y1 - 도개식 잔교 - Google Patents

도개식 잔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7935Y1
KR200357935Y1 KR20-2004-0013865U KR20040013865U KR200357935Y1 KR 200357935 Y1 KR200357935 Y1 KR 200357935Y1 KR 20040013865 U KR20040013865 U KR 20040013865U KR 200357935 Y1 KR200357935 Y1 KR 2003579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roller
right main
rollers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38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양
Original Assignee
허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양 filed Critical 허양
Priority to KR20-2004-00138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79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79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79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06Bascule bridges; Roller bascule bridges, e.g. of Scherzer type
    • E01D15/08Draw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24Bridges or similar structures, based on land or on a fixed structure and designed to give access to ships or other floating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육지에 접안하는 선박의 높이따라 경사도를 조절이 용이하며, 잔교의 사용이 불필요할 경우에는 잔교를 해상으로부터 자동으로 절첩하여 육지에 위치하도록 하는 도개식 잔교에 관한 고안으로서,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되는 좌,우 주프레임과; 상기 좌,우 주프레임의 상측 끝단과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은 지면에 경사지게 지지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좌,우 주프레임의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제1롤러와; 상기 좌,우 주프레임의 상부에 각각 구비되는 제2롤러와; 상기 좌,우 주프레임의 하부와 힌지 결합되는 잔교와; 상기 잔교의 끝단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3롤러와; 상기 각각의 제1롤러 후측에 구비되는 윈치드럼과; 상기 윈치드럼을 구동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제1롤러와 제2롤러 및 제3롤러에 권선되는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잔교의 높이를 선박의 높이에 맞도록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태풍 등이 발생하거나 파고가 높을때는 잔교를 절첩하여 육지측에 위치시킴으로써 파손이 되거나, 선박의 안전을 해칠 염려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개식 잔교{Pier}
본 고안은 잔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육지에 접안하는 선박의 높이따라 경사도를 조절이 용이하며, 잔교의 사용이 불필요할 경우에는 잔교를 해상으로부터 자동으로 절첩하여 육지에 위치하도록 하는 도개식 잔교에 관한 고안이다.
통상적으로 선박이 육지에 바로 접할 수 없는 입지에서는 육지에 잔교를 설치하여 바지선 또는 부선 등과 육상을 연결하고 있다. 근자에는 주로 철근콘크리트말뚝식이 주로 사용되며, 철근콘크리트케이슨 또는 공기케이슨 등을 사용하는 교각식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잔교는 선박의 높이에 맞게 조절이 불가능하므로, 하역작업시 불편하며, 높은 파고에는 시설물이 파손되는 등의 염려가 있으며, 이렇게 파손되는 경우에는 오히려 선박의 접안에 방해가 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잔교의 문제점을 용이하게 해결하고자 안출한 고안으로서, 다양한 선박의 높이에 맞도록 간단하게 조절하여 적용이 가능하며, 태풍 등이 발생할 경우에는 잔교를 절첩하여 파손이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잔교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잔교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잔교를 회동시켜 선박의 높이와 일치시킨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잔교를 회동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주프레임 20 : 지지프레임
30,40,60 : 롤러 50 : 잔교
51,91 : 힌지 70 : 윈치드럼
71 : 와이어 80 : 구동모터
90 : 보조판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은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되는 좌,우 주프레임과; 상기 좌,우 주프레임의 상측 끝단과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은 지면에 경사지게 지지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좌,우 주프레임의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제1롤러와; 상기 좌,우 주프레임의 상부에 각각 구비되는 제2롤러와; 상기 좌,우 주프레임의 하부와 힌지 결합되는 잔교와; 상기 잔교의 끝단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3롤러와; 상기 각각의 제1롤러 후측에 구비되는 윈치드럼과; 상기 윈치드럼을 구동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제1롤러와 제2롤러 및 제3롤러에 권선되는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잔교의 끝단에는 보조판을 힌지 결합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잔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잔교를 회동시켜 선박의 높이와 일치시킨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잔교를 회동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고안은 해안가에 콘크리트로 견고하게 기초를 다진 후, 일정 폭으로 좌,우측에 주프레임(10)을 세우며, 상기 주프레임(10)은 지면과 대략 수직이 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좌,우 주프레임(10)의 상측 끝단에는 지지프레임(20)을 결합하는 바, 상기 지지프레임(20)은 해안에서 육지측으로 다소 경사지게 설치하여 상기 주프레임(10)을 지지하도록 한다.
상기 좌,우 주프레임(10)의 하측 전면과 상측 전면에는 각각 제1롤러(30)와 제2롤러(40)를 구비하며, 상기 주프레임(10)의 하부에는 잔교(50)를 힌지(51)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잔교(50)의 끝단에는 제3롤러(60)를 구비하고, 주프레임(10)의 후측에는 윈치드럼(70)과 이를 정, 역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터(80)를 설치한다. 상기 윈치드럼(70)에는 와이어(71)를 권선하고, 상기 제1롤러(30)를 거쳐 제2롤러(40)와 제3롤러(60)에 권선시킨다. 아울러, 상기 잔교(50)의 끝단에는 끝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얇아지는 별도의 보조판(90)을 힌지(91) 결합시킨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별도의 스위치를 구비하여 구동모터(80)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 시키며, 상기 스위치는 좌,우 각각의 구동모터를 한꺼번에 구동하거나 각각 구동하거나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서 미설명된 부호 1은 선박이고, 52는 잔교(50)의 승,하강 이동이 원할하도록 하기 위한 바퀴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바지선 또는 부선 등의 선박(1)을 육지와 연결하기 위해 구동모터(80)를 구동하여 정회전 시키면, 윈치드럼(70)에 권선된 와이어(17)가 풀리면서 제1롤러(30)를 거치고 제2롤러(40)를 거치면서, 주프레임(10)에 힌지(51) 결합된 잔교(50)를 회동시켜 점차 해안측으로 하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2롤러(40)와 제3롤러(60) 사이의 와이어(17)는 다수회 권선시킴으로써, 잔교(50)를 회동시킬 때 큰 힘이 작용하도록 한다.
그리고, 하강하는 잔교(50)의 저면에 구비된 바퀴가 선박(1)의 상면에 위치하게 되면, 보조판(90)이 하측으로 힌지(51)에 의해 쳐지게 되며, 상기 보조판(90)에 의해 잔교와 선박(1)이 용이하게 연결이 되며, 이렇게 연결이 완료되면 구동모터(80)를 정지시킨다. 이 때, 상기와 같이 잔교(50)를 설치시 와이어(71)를 다소 느슨하게 풀어주어 파고에 의한 선박(1)의 요동에 잔교(50) 또한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설치된 잔교(50)를 이용해 간편하게 하역작업 또는 하선을 할 수 있으며, 다시 상기 구동모터(80)를 구동하여 역회전시키면, 상기 윈치드럼(70)도 역회전하면서 와이어(71)를 권선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3롤러(60) 측이 당겨지면서 잔교(50)가 회동하여 잔교(50)의 끝단이 주프레임(10) 측으로 상승하게 되며, 일정 높이 이상 상승하면, 구동모터(80)를 정지시키고, 다시 다음으로 접하는 선박(1)에 하강시키거나, 완전히 절첩한 상태로 대기하게 할 수도 있다.
즉, 태풍 등으로 인해 파고가 높아질 우려가 있으면, 상기 잔교(50)를 완전히 절첩된 상태로 위치시켜, 시설물의 파손을 방지하고, 선박의 안전을 확보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을 일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써,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고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잔교의 높이를 선박의 높이에 맞도록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태풍 등이 발생하거나 파고가 높을때는 잔교를 절첩하여 육지측에 위치시킴으로써 파손이 되거나, 선박의 안전을 해칠 염려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

  1.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되는 좌,우 주프레임과;
    상기 좌,우 주프레임의 상측 끝단과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은 지면에 경사지게 지지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좌,우 주프레임의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제1롤러와;
    상기 좌,우 주프레임의 상부에 각각 구비되는 제2롤러와;
    상기 좌,우 주프레임의 하부와 힌지 결합되는 잔교와;
    상기 잔교의 끝단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3롤러와;
    상기 각각의 제1롤러 후측에 구비되는 윈치드럼과;
    상기 윈치드럼을 구동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제1롤러와 제2롤러 및 제3롤러에 권선되는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개식 잔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잔교의 끝단에는 보조판을 힌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개식 잔교.
KR20-2004-0013865U 2004-05-19 2004-05-19 도개식 잔교 KR2003579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3865U KR200357935Y1 (ko) 2004-05-19 2004-05-19 도개식 잔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3865U KR200357935Y1 (ko) 2004-05-19 2004-05-19 도개식 잔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7935Y1 true KR200357935Y1 (ko) 2004-07-31

Family

ID=49434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3865U KR200357935Y1 (ko) 2004-05-19 2004-05-19 도개식 잔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7935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2920B1 (ko) 2010-12-23 2011-10-17 (주)신승이앤씨 수위 변화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물 위의 자전거 도로
KR101344319B1 (ko) 2012-09-27 2013-12-23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식 하역장치
CN104234402A (zh) * 2014-07-18 2014-12-24 武汉天蝎建筑装备有限公司 可开合式吊桥架
KR20160058981A (ko) * 2014-10-10 2016-05-26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장교형 다중 힌지 가동교의 에너지 저감 구동방법
CN107190628A (zh) * 2017-06-30 2017-09-22 湖北工程学院 一种基于升降式塔架的旋转活动桥
CN111254807A (zh) * 2020-03-25 2020-06-09 中冶建工集团有限公司 用于深大基坑土石方转运的转运桥及土石方挖运方法
KR102264706B1 (ko) * 2019-12-30 2021-06-11 임기택 도교 인양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2920B1 (ko) 2010-12-23 2011-10-17 (주)신승이앤씨 수위 변화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물 위의 자전거 도로
KR101344319B1 (ko) 2012-09-27 2013-12-23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식 하역장치
CN104234402A (zh) * 2014-07-18 2014-12-24 武汉天蝎建筑装备有限公司 可开合式吊桥架
KR20160058981A (ko) * 2014-10-10 2016-05-26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장교형 다중 힌지 가동교의 에너지 저감 구동방법
KR101635160B1 (ko) * 2014-10-10 2016-07-04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장교형 다중 힌지 가동교의 에너지 저감 구동방법
CN107190628A (zh) * 2017-06-30 2017-09-22 湖北工程学院 一种基于升降式塔架的旋转活动桥
KR102264706B1 (ko) * 2019-12-30 2021-06-11 임기택 도교 인양장치
CN111254807A (zh) * 2020-03-25 2020-06-09 中冶建工集团有限公司 用于深大基坑土石方转运的转运桥及土石方挖运方法
CN111254807B (zh) * 2020-03-25 2021-05-11 中冶建工集团有限公司 用于深大基坑土石方转运的转运桥及土石方挖运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2917097T3 (en) EASY TRANSPORT AND INSTALLATION STRUCTURE FOR TRANSPORT AND INSTALLATION OF A LIQUID WIND TURBINE, A LIQUID WIND TURBINE AND METHOD FOR TRANSPORTING AND INSTALLING THE SAME
KR200357935Y1 (ko) 도개식 잔교
WO2017058098A1 (en) A mobile dock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reof
KR101210579B1 (ko) 선박용 결합연동형 램프장치
JP2007040044A (ja) 係留装置
US6470816B1 (en) Watercraft lift assembly
TWI426037B (zh) ferry
JP2001088779A (ja) ボート揚げ降ろし用浮き桟橋
US7188440B2 (en) Device and method for bringing ashore or refloating a floating body
CN210002236U (zh) 适用于轮渡码头的汽车栈桥
US6564736B2 (en) Device for installing and/or removing a steerable propulsion pod for a ship
KR20050031664A (ko) 선박건조공법 및 이를 위한 댐
CN212951034U (zh) 一种码头用辅助停靠设备
JP2922835B2 (ja) ワーフラダー付舷梯装置
KR101302206B1 (ko) 선박용 추진기 설치방법
CN212175447U (zh) 一种岸壁式码头与浮码头的连桥结构
KR200382370Y1 (ko) 부두의 승하선용 복합식 선교
KR102382711B1 (ko) 좌우회전 복원기능을 갖는 도교 인양 장치
JP2590044B2 (ja) 水中構造物の建造設備
KR200305676Y1 (ko) 조수간만의 차이를 이용한 노후된 교량의 슬래브 해체장비
CN214934264U (zh) 一种码头装卸料辅助装置
JP3229239U (ja) モジュール式オフショア多機能作業プラットフォーム及び一体式操作プラットフォーム
US2639588A (en) Barge for offshore well drilling
KR101973085B1 (ko) 해양구조물
JP4034587B2 (ja) バリアフリースロー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2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