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2206B1 - 선박용 추진기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선박용 추진기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2206B1
KR101302206B1 KR1020110099366A KR20110099366A KR101302206B1 KR 101302206 B1 KR101302206 B1 KR 101302206B1 KR 1020110099366 A KR1020110099366 A KR 1020110099366A KR 20110099366 A KR20110099366 A KR 20110099366A KR 101302206 B1 KR101302206 B1 KR 101302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eller
hull
floating housing
installation portion
fl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9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5097A (ko
Inventor
김진호
김두원
박현상
이영열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9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2206B1/ko
Publication of KR20130035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5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2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2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20Building or assembling prefabricated vessel modules or parts other than hull blocks, e.g. engine rooms, rudders, propellers, superstructures, berths, holds or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6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lifts or hoi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0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 B63B43/06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using ballast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30Moving or transporting modules or hull blocks to assembly sites, e.g. by rolling, lifting or fl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00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1/02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 B63H1/12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in propulsive direction
    • B63H1/14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30Mounting of propulsion plant or unit, e.g. for anti-vibration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125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movably mounted with respect to hull, e.g. adjustable in direction, e.g. podded azimuthing thru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9/00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7/00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wo wings
    • E05C7/002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wo wings for sluice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7/00Buoyancy or ballast means
    • B63B2207/02Variable ballast or buoyanc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선박용 추진기 설치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추진기 설치방법은 일측이 개방된 공간부를 구비한 부유식 하우징을 이용하여 추진기를 선체에 설치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추진기를 상기 부유식 하우징의 공간부에 탑재하는 단계; 상기 부유식 하우징에 물을 채워 상기 부유식 하우징을 수면 아래로 가라앉히는 단계; 상기 선체 저면의 추진기 설치부분과 상기 부유식 하우징의 위치를 서로 일치시키는 단계; 상기 선체 저면 아래에 위치한 상기 부유식 하우징이 상기 선체 저면의 추진기 설치부분에 접촉하도록, 상기 부유식 하우징의 물을 빼서 부유시키는 단계; 상기 선체 저면의 추진기 설치부분과 상기 부유식 하우징을 서로 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추진기를 상기 선체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박용 추진기 설치방법{METHOD FOR INSTALLATION OF PROPELLER}
본 발명은 선박용 추진기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체에 설치될 추진기를 선체에 설치하기 위한 선박용 추진기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 설치되는 리트랙터블 스러스터(retractable thruster)와 같은 추진기는 선박 건조 시 한정된 작업 공간, 예를 들어 육상이나 도크(dock) 내의 작업 공간에서 추진기의 설치 작업이 진행된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협소한 작업 공간에서 선박 건조를 위한 다양한 작업이 동시다발적으로 진행되고, 경우에 따라 스러스터의 입고 지연으로 육상에서의 설치가 어려울 경우 선박의 진수 일정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와 같이 추진기 설치 작업 지연으로 인한 선박의 진수 일정 지연을 방지하기 위해, 한정되어 제공되는 육상의 작업 공간을 대신하여 선박 진수 후 해상에서도 추진기 설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8-0019385호(1998.06.05.)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대적으로 한정된 작업 공간을 제공하는 육상의 도크나 기타 작업 공간을 사용할 필요 없이 해상에서 리트랙터블 스러스터의 설치작업을 진행함으로써 전체 공정을 단축할 수 있으며 리트랙터블 스러스터의 납기 지연발생 시에도 선박 진수 공정에 영향을 주는 일 없이 리트랙터블 스러스터 설치 작업을 수행 할 수 있는 선박용 추진기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측이 개방된 공간부를 구비한 부유식 하우징을 이용하여 추진기를 선체에 설치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추진기를 상기 부유식 하우징의 공간부에 탑재하는 단계; 상기 부유식 하우징에 물을 채워 상기 부유식 하우징을 수면 아래로 가라앉히는 단계; 상기 선체 저면의 추진기 설치부분과 상기 부유식 하우징의 위치를 서로 일치시키는 단계; 상기 선체 저면 아래에 위치한 상기 부유식 하우징이 상기 선체 저면의 추진기 설치부분에 접촉하도록, 상기 부유식 하우징의 물을 빼서 부유시키는 단계; 상기 선체 저면의 추진기 설치부분과 상기 부유식 하우징을 서로 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추진기를 상기 선체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박용 추진기 설치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선박용 추진기 설치방법은, 상기 추진기를 상기 부유식 하우징의 공간부에 탑재하는 단계 이후에, 인양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부유식 하우징을 수면 상에 안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체 저면의 설치부분과 상기 부유식 하우징의 위치를 서로 일치시키는 단계는, 상기 선체 저면의 추진기 설치부분과 상기 부유식 하우징이 가상의 수직선 상에서 만나도록, 상기 선체 저면의 추진기 설치부분을 수면 아래에 위치한 상기 부유식 하우징 위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유식 하우징은, 상기 선체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선체 저면의 추진기 설치부분까지의 수평직선거리에 비례하도록, 기준선으로부터 상기 수평직선거리에 상응하여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선체 저면의 설치부분과 상기 부유식 하우징의 위치를 서로 일치시키는 단계는, 상기 선체 저면의 추진기 설치부분과 상기 부유식 하우징이 가상의 수직선 상에서 만나도록, 수면 아래에 위치한 상기 부유식 하우징을 상기 선체 저면의 추진기 설치부분 아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체 저면의 추진기 설치부분과 상기 부유식 하우징은 서로 밀봉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선박용 추진기 설치방법은, 상기 선체 저면의 추진기 설치부분과 상기 부유식 하우징을 서로 결합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공간부 내의 물을 빼서 작업공간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체 저면의 설치부분에는 일단부가 상기 선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스트럿(strut)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추진기를 상기 선체에 결합시키는 단계는, 리프팅 장치(lifting device)를 이용하여 상기 추진기를 들어올리는 단계와; 상기 들어올려진 추진기와 상기 스트럿의 타단부 간의 얼라인먼트(alignment)를 조정하는 단계와; 상기 추진기를 상기 스트럿의 타단부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프팅 장치는 권양기(hois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유식 하우징은, 상기 공간부를 둘러싸도록 상기 공간부 외측에 형성된 부력 조절용 밸러스트 탱크(ballast tank)와; 상기 밸러스트 탱크의 배수를 위한 펌프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유식 하우징은, 상기 선체 저면의 추진기 설치부분과 접촉하는 접촉부에 설치되는 수밀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진기는 리트랙터블 스러스터(retractable thruster)일 수 있다.
상기 선체 저면의 설치부분에는 추진기 수용홈(recess)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추진기 수용홈에는 일단부가 상기 선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스트럿(strut)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추진기는 상기 스트럿의 타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한정된 작업 공간을 제공하는 육상의 도크나 기타 작업 공간을 사용할 필요 없이 해상에서 리트랙터블 스러스터 설치작업을 진행함으로써 전체 공정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리트랙터블 스러스터의 납기 지연발생 시에도 선박 진수 공정에 영향을 주는 일 없이 리트랙터블 스러스터 설치 작업을 수행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추진기 설치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추진기 설치방법에서 부유식 하우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추진기 설치방법에서 부유식 하우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추진기 설치방법에서 선체를 수면 아래에 위치한 부유식 하우징 위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추진기 설치방법에서 선박용 추진기를 탑재한 부유식 하우징이 수면 아래에서 수면 위로 상승하여 선체 저면에 접촉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추진기 설치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추진기 설치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추진기 설치방법은, 일측이 개방된 공간부(102)를 구비한 부유식 하우징(100)을 이용하여 추진기(10)를 선체(1)에 설치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추진기(10)를 상기 부유식 하우징(100)의 공간부(102)에 탑재하는 단계(S100); 상기 부유식 하우징(100)에 물을 채워 상기 부유식 하우징(100)을 수면 아래로 가라앉히는 단계(S200); 상기 선체(1) 저면의 추진기 설치부분과 상기 부유식 하우징(100)의 위치를 서로 일치시키는 단계(S300); 상기 선체(1) 저면 아래에 위치한 상기 부유식 하우징(100)이 상기 선체(1) 저면의 추진기 설치부분에 접촉하도록, 상기 부유식 하우징(100)의 물을 빼서 부유시키는 단계(S400); 상기 선체(1) 저면의 추진기 설치부분과 상기 부유식 하우징(100)을 서로 결합시키는 단계(S500); 및 상기 추진기(10)를 상기 선체(1)에 결합시키는 단계(S6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수중에서 부유식 하우징(100)를 이용하여 추진기(10)를 선체(1)에 설치함으로써, 상대적으로 한정된 작업 공간을 제공하는 육상의 도크나 기타 작업 공간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또한, 수중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부력을 갖는 부유식 하우징(100)을 이용함으로써 선박을 진수한 후에도 수면 아래에서 추진기 설치 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기존의 추진기 설치 작업 지연으로 인한 선박의 진수 일정 지연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추진기 설치방법의 각 구성단계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추진기 설치방법에서 부유식 하우징(100)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추진기 설치방법에서 부유식 하우징(100)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추진기 설치방법에서 선체(1)를 수면 아래에 위치한 부유식 하우징(100) 위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추진기 설치방법에서 선박용 추진기(10)를 탑재한 부유식 하우징(100)이 수면 아래에서 수면 위로 상승하여 선체(1) 저면에 접촉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선체(1)에 설치할 추진기(10)를 부유식 하우징(100)의 공간부(102)에 탑재할 수 있다(S100).
본 발명에서의 추진기(10)는, 리트랙터블 스러스터(retractable thruster)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부유식 하우징(100)은, 추진기(10)를 담을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공간부(102)를 구비한 탱크형 용기로서, 자체적으로 부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를 위해, 부유식 하우징(10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부(102)를 둘러싸도록 공간부(102) 외측에 형성된 부력 조절용 밸러스트 탱크(ballast tank, 104)와, 밸러스트 탱크(104)의 배수를 위한 펌프장치(106)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유식 하우징(100)은, 내측에 형성된 공간부(102)를 구비하며, 공간부(102)를 둘러싸도록 복수의 샌드위치 패널(sandwich panel)이 서로 용접 결합되어 부유식 하우징(100)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샌드위치 패널은, 심재와 상기 심재의 양단에 각각 결합된 한 쌍의 판재가 형성하는 패널로서, 상기 한 쌍의 판재 중 하나는 부유식 하우징(100)의 외판을 형성하고, 그 나머지 하나는 부유식 하우징(100)의 내판을 이루어 이중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밸러스트 탱크(104)는, 부유식 하우징(100)에 부력을 제공하는 장치로서, 이중 구조를 형성하는 상기 한 쌍의 판재 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내부에 물을 담거나 뺌으로써 부유식 하우징(100)의 부력을 조절할 수 있다.
펌프장치(106)는, 이러한 밸러스트 탱크(104) 내의 물을 빼거나 담는 장치로서, 펌프(미도시)와 펌프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미도시) 그리고 구동부(미도시)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부유식 하우징(100)은 선체(1) 저면의 추진기 설치부분과 접촉하는 부분(즉, 접촉부(101))에 설치되는 수밀장치(10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밀장치(108)는 선체(1) 저면의 추진기 설치부분과 접촉하는 부유식 하우징(100)의 접촉부(101)에 설치될 수 있으며, 수밀장치(108)로는 예를 들어 실리콘과 같은 탄성을 가진 탄성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단계(S100)에서는, 위에 상술한 바와 같이 부유식 하우징(100)의 공간부(102)에 선체(1)에 설치할 추진기(10)를 탑재하게 된다. 이때, 추진기(10)는 크레인 등에 의해 공간부(102)에 탑재될 수 있다. 또한, 공간부(102)의 바닥면에는 추진기(10)가 탑재되더라도 추진기(10)의 자세가 유지되도록 추진기(10)의 하부를 떠받치는 받침대(cradle, 미도시)가 미리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크레인에 의해 공간부(102) 내에 탑재된 추진기(10)는, 섬유재질의 고강도 와이어(미도시)에 의해 받침대 상에 고정된다. 이때, 받침대에 안착된 추진기(10)를 받침대에 고정시키는 와이어의 장력은 턴버클(turnbuckle)과 같은 텐션조절장치를 사용하여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추진기 설치방법은, 추진기(10)를 부유식 하우징(100)의 공간부(102)에 탑재하는 단계(S100) 이후에, 인양 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부유식 하우징(100)을 수면 상에 안착시키는 단계(S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수중에서 추진기 설치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추진기(10)가 탑재된 부유식 하우징(100)을 인양 장치를 이용하여 수면(즉, 흘수선(2), 도 6 참조) 상에 띄우게 된다.
이 경우, 인양 장치로는 크레인과 같은 기중기가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부유식 하우징(100)에 물을 채워 부유식 하우징(100)을 수면 아래로 가라앉힐 수 있다(S200).
이 경우, 부유식 하우징(100)의 밸러스트 탱크(104)에 물을 채움으로써 부유식 하우징(100)를 수면 아래로 가라앉힐 수 있다. 이때, 부유식 하우징(100)의 개방된 일측을 통해 물이 공간부(102)로 유입될 수 있으며, 공간부(102) 내에 탑재된 추진기(10)도 물에 잠기게 된다.
이 경우, 추진기(10) 내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선체(1) 저면의 설치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스트럿(strut, 20)에 결합될 추진기(10)의 연결부위는 밀봉 처리될 수 있다. 참고로, 스트럿(20)은 육상에서 선체(1)가 건조될 때 스트럿(20)을 지지하는 선체 구조와 함께 미리 선체(1)에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추진기(10)가 설치될 선체(1) 저면의 추진기 설치부분과 부유식 하우징(100)의 위치를 서로 일치시킬 수 있다(S300).
구체적으로, 선체(1) 저면의 추진기 설치부분과 부유식 하우징(100)의 위치를 서로 일치시키는 단계(S300)는, 선체(1) 저면의 추진기 설치부분과 부유식 하우징(100)이 가상의 수직선(Y-Y선, 도 6 및 도 7 참조) 상에서 만나도록, 선체(1) 저면의 추진기 설치부분을 수면 아래에 위치한 부유식 하우징(100) 위로 이동시키는 단계(S31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수면을 상하방향으로 가로지르는 가상의 수직선(Y-Y선)에서 볼 때 선체(1) 저면의 추진기 설치부분과 부유식 하우징(100)이 서로 상기 가상의 수직선(Y-Y선) 상에 위치하도록,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1)를 부유식 하우징(100) 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선체(1) 저면의 추진기 설치부분과 부유식 하우징(100)의 위치를 서로 일치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선체(1) 저면의 추진기 설치부분과 부유식 하우징(100)의 위치를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일치시키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면 아래에 배치될 부유식 하우징(100)은, 선체(1) 측면으로부터 선체(1) 저면의 추진기 설치부분까지의 제1 수평직선거리(L1)에 비례하도록, 기준선(4)으로부터 상기 제1 수평직선거리(L1)에 상응하는 거리(L1)만큼 이격되는 곳의 수면 아래에 투하될 수 있다.
여기서, 기준선(4)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벽 외곽선이 될 수 있으며, 제1 수평직선거리(L1)는 수면에 평행한 가상의 평면 상에 존재하는 하나의 직선으로서 선체(1) 측면으로부터 선체(1) 저면의 추진기 설치부분까지의 최단거리일 수 있다.
이 경우, 선체(1)의 크기와 선체(1) 저면에 추진기가 설치될 곳의 위치는 선박 설계자가 이미 알고 있음으로, 선체(1) 측면으로부터 선체(1) 저면의 추진기 설치부분까지의 제1 수평직선거리(L1)를 기준으로, 기준선(4)으로부터 부유식 하우징(100)이 투하될 해상의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선체(1)를 부유식 하우징(100)의 측으로 이동시킬 때 선체(1) 저면의 추진기 설치부분과 부유식 하우징(100)의 위치를 상기 가상의 수직선(Y-Y선) 상에 보다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다.
이때,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선수부에 총 3개의 추진기(10)를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나머지 2개의 추진기(10)는 제1 수평직선거리(L1)를 기준으로 설치된 추진기(10)의 중심축으로부터 각각 제2 수평직선거리(L2)와 제3 수평직선거리(L3)만큼 이격되는 곳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술한 예 외에도 다른 변형례로서, 선체(1) 저면의 추진기 설치부분과 부유식 하우징(100)의 위치를 서로 일치시키는 단계(S300)는, 선체(1) 저면의 추진기 설치부분과 부유식 하우징(100)이 가상의 수직선(Y-Y선) 상에서 만나도록, 수면 아래에 위치한 부유식 하우징(100)을 선체(1) 저면의 추진기 설치부분 아래로 이동시키는 단계(S31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수면을 상하방향으로 가로지르는 가상의 수직선(Y-Y선)에서 볼 때 선체(1) 저면의 추진기 설치부분과 부유식 하우징(100)이 서로 상기 가상의 수직선(Y-Y선) 상에 위치하도록, 위에 상술한 예와 달리 부유식 하우징(100)을 선체(1) 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선체(1) 저면의 추진기 설치부분과 부유식 하우징(100)의 위치를 서로 일치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수면 아래에 위치한 부유식 하우징(100)은, 예를 들어 부유식 하우징(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프로펠러와 상기 프로펠러를 회전시키는 모터 등을 포함하는 추진장치(미도시)나 견인장치(미도시)에 의해 선체(1) 저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렇게 부유식 하우징(100)과 선체(1) 저면의 추진기 설치부분이 서로 상기 가상의 수직선(Y-Y선) 상에 정렬된 다음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1) 저면 아래에 위치한 부유식 하우징(100)이 선체(1) 저면의 추진기 설치부분에 접촉하도록, 부유식 하우징(100)의 물을 빼서 부유식 하우징(100)을 부유시킬 수 있다(S400).
이 경우, 부유식 하우징(100)에 구비된 펌프장치(106)를 이용하여 밸러스트 탱크(104) 내의 물을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부유식 하우징(100)이 부력을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서로 맞물리도록 접촉된 선체(1) 저면의 추진기 설치부분과 부유식 하우징(100)을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S500).
이때, 선체(1) 저면의 추진기 설치부분과 부유식 하우징(100)은 서로 밀봉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부유식 하우징(100)에 구비된 밸러스트 탱크(104)의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생성된 부력이 부유식 하우징(100)을 수면 위로 밀어 올리게 된다.
이러한 부력은 부유식 하우징(100)을 선체(1) 저면의 추진기 설치부분으로 밀어 올리게 되며, 이러한 부력에 의해 부유식 하우징(100)의 접촉부(101)에 설치된 수밀 장치(108)가 선체(1) 저면의 추진기 설치부분과 밀착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1) 저면의 추진기 설치부분에는 추진기 수용홈(recess, 3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추진기 수용홈(30) 내에는 일단부가 선체(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스트럿(strut, 20)이 설치될 수 있으며, 추진기(10)는 스트럿(20)의 타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단계(S500)에서는, 부유식 하우징(100)의 접촉부(101)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1) 저면의 추진기 설치부분 중 추진기 수용홈(30)의 가장자리 부분에 밀착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부유식 하우징(100)의 접촉부(101)에 설치된 수밀장치(108)가 선체(1) 저면의 추진기 설치부분과 부유식 하우징(100) 간의 틈새를 밀봉시킬 수 있다.
이외에도,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부유식 하우징(100)의 접촉부(101)와 선체(1) 저면의 추진기 설치부분이 서로 밀착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부유식 하우징(100)의 접촉부(101)와 선체(1) 저면의 추진기 설치부분은 서로 볼트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추진기 설치방법은, 선체(1) 저면의 추진기 설치부분과 부유식 하우징(100)을 서로 결합시키는 단계(S500) 이후에, 작업자가 본격적으로 추진기 설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공간부(102) 내의 물을 빼서 작업공간(dry space)을 형성하는 단계(S5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사람이 공간부(102) 내에 접근하여 공간부(102) 내에 탑재된 추진기(10)를 선체(1) 저면의 추진기 설치부분, 즉 추진기 수용홈(30) 내에 설치되어 있는 스트럿(20)에 연결할 수 있도록, 부유식 하우징(100)에 구비된 펌프장치(106)를 이용하여 공간부(108) 내의 물을 외부로 뺄 수 있다.
이렇게 공간부(108) 내의 물을 배수한 다음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1) 내부와 연통되도록 추진기 수용홈(30)의 상단부에 형성된 해치(hatch, 40)를 통해 작업자가 추진기 수용홈(30)과 공간부(102) 내의 작업공간으로 진입할 수 있다.
다음으로, 추진기(10)를 선체(1)에 결합시킬 수 있다(S600).
구체적으로, 추진기(10)를 선체(1)에 결합시키는 단계(S6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팅 장치(lifting device, 110)를 이용하여 추진기(10)를 들어올리는 단계(S610)와; 이렇게 들어올려진 추진기(10)와 스트럿(20)의 타단부 간의 얼라인먼트(alignment)를 조정하는 단계(S620)와; 추진기(10)를 스트럿(20)의 타단부에 결합시키는 단계(S630)를 포함할 수 있다.
리프팅 장치(110)를 이용하여 추진기(10)를 들어올리는 단계(S610)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진기 수용홈(30) 상단부에 형성된 리프팅 체결러그(50)와 부유식 하우징(100) 내측면에 형성된 리프팅 체결러그(50)와 추진기(10) 상단부에 형성된 리프팅 체결러그(50) 각각에 리프팅 장치(110)의 와이어(112)를 체결시킨 다음, 리프팅 장치(110)의 모터(114)를 구동시킴으로써, 추진기(10)를 들어올릴 수 있다.
참고로, 와이어(112)를 리프팅 체결러그(50)에 체결하고 리프팅 장치(110)를 작동시키는 작업은, 추진기 수용홈(30)과 공간부(102) 내의 작업공간에 진입한 작업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리프팅 체결러그(50)는 체결홀을 구비한 러그를 지칭하는 것이다.
이렇게 들어올려진 추진기(10)와 스트럿(20)의 타단부 간의 얼라인먼트(alignment)를 조정하는 단계(S620)에서는, 추진기(10)의 연결부위와 스트럿(20)의 타단부에 각각 형성된 볼트 구멍(미도시)들이 서로 정렬될 수 있도록 작업자가 각각의 리프팅 장치(110)의 와이어(112)의 길이를 조절하면서 얼라인먼트(alignment)를 조정할 수 있다.
추진기(10)를 스트럿(20)의 타단부에 결합시키는 단계(S630)에서는, 위에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정렬된 볼트 구멍에 준비된 볼트를 체결함으로써, 추진기(10)와 스트럿(20)의 타단부 간을 서로 볼트 결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리프팅 장치(110)로서 권양기(hoist)가 사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리프팅 장치(110)로는 예를 들어 유압식 잭 등 다양한 권양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이렇게 추진기(10)의 설치작업이 완료된 다음에는, 상술한 구성단계의 역순으로 부유식 하우징(100)을 선체(1) 저면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한정된 작업 공간을 제공하는 육상의 도크나 기타 작업 공간을 사용할 필요 없이 해상에서 추진기 설치작업을 진행함으로써 전체 공정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러스터의 납기 지연발생 시에도 선박 진수 공정에 영향을 주는 일 없이 스러스터 설치 작업을 수행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선체 2: 흘수선
4: 기준선
10: 추진기 20: 스트럿
30: 추진기 수용홈 40: 해치
50: 리프팅 체결러그 100: 부유식 하우징
101: 접촉부 102: 공간부
104: 밸러스트 탱크 106: 펌프장치
108: 수밀장치 110: 리프팅 장치

Claims (13)

  1. 일측이 개방된 공간부를 구비한 부유식 하우징을 이용하여 추진기를 선체에 설치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추진기를 상기 부유식 하우징의 공간부에 탑재하는 단계;
    상기 부유식 하우징에 물을 채워 상기 부유식 하우징을 수면 아래로 가라앉히는 단계;
    상기 선체 저면의 추진기 설치부분과 상기 부유식 하우징의 위치를 서로 일치시키는 단계;
    상기 선체 저면 아래에 위치한 상기 부유식 하우징이 상기 선체 저면의 추진기 설치부분에 접촉하도록, 상기 부유식 하우징에 구비된 밸러스트 탱크의 물을 빼서 부유시키는 단계;
    상기 선체 저면의 추진기 설치부분과 상기 부유식 하우징을 서로 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추진기를 상기 선체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선체 저면의 설치부분에는 일단부가 상기 선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스트럿(strut)이 설치되며,
    상기 추진기를 상기 선체에 결합시키는 단계는,
    리프팅 장치(lifting device)를 이용하여 상기 추진기를 들어올리는 단계와;
    상기 들어올려진 추진기와 상기 스트럿의 타단부 간의 얼라인먼트(alignment)를 조정하는 단계와;
    상기 추진기를 상기 스트럿의 타단부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박용 추진기 설치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기를 상기 부유식 하우징의 공간부에 탑재하는 단계 이후에,
    인양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부유식 하우징을 수면 상에 안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선박용 추진기 설치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 저면의 설치부분과 상기 부유식 하우징의 위치를 서로 일치시키는 단계는,
    상기 선체 저면의 추진기 설치부분과 상기 부유식 하우징이 가상의 수직선 상에서 만나도록, 상기 선체 저면의 추진기 설치부분을 수면 아래에 위치한 상기 부유식 하우징 위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박용 추진기 설치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식 하우징은,
    상기 선체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선체 저면의 추진기 설치부분까지의 수평직선거리에 비례하도록, 기준선으로부터 상기 수평직선거리에 상응하여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추진기 설치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 저면의 설치부분과 상기 부유식 하우징의 위치를 서로 일치시키는 단계는,
    상기 선체 저면의 추진기 설치부분과 상기 부유식 하우징이 가상의 수직선 상에서 만나도록, 수면 아래에 위치한 상기 부유식 하우징을 상기 선체 저면의 추진기 설치부분 아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박용 추진기 설치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 저면의 추진기 설치부분과 상기 부유식 하우징은 서로 밀봉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추진기 설치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 저면의 추진기 설치부분과 상기 부유식 하우징을 서로 결합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공간부 내의 물을 빼서 작업공간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선박용 추진기 설치방법.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장치는 권양기(hoist)를 포함하는 선박용 추진기 설치방법.
  10. 제1항 내지 제7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식 하우징은,
    상기 공간부를 둘러싸도록 상기 공간부 외측에 형성된 부력 조절용 밸러스트 탱크(ballast tank)와;
    상기 밸러스트 탱크의 배수를 위한 펌프장치를 포함하는 선박용 추진기 설치방법.
  11. 제1항 내지 제7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식 하우징은,
    상기 선체 저면의 추진기 설치부분과 접촉하는 접촉부에 설치되는 수밀장치를 더 포함하는 선박용 추진기 설치방법.
  12. 제1항 내지 제7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기는 리트랙터블 스러스터(retractable thrust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추진기 설치방법.
  13. 일측이 개방된 공간부를 구비한 부유식 하우징을 이용하여 추진기를 선체에 설치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추진기를 상기 부유식 하우징의 공간부에 탑재하는 단계;
    상기 부유식 하우징에 물을 채워 상기 부유식 하우징을 수면 아래로 가라앉히는 단계;
    상기 선체 저면의 추진기 설치부분과 상기 부유식 하우징의 위치를 서로 일치시키는 단계;
    상기 선체 저면 아래에 위치한 상기 부유식 하우징이 상기 선체 저면의 추진기 설치부분에 접촉하도록, 상기 부유식 하우징에 구비된 밸러스트 탱크의 물을 빼서 부유시키는 단계;
    상기 선체 저면의 추진기 설치부분과 상기 부유식 하우징을 서로 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추진기를 상기 선체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선체 저면의 설치부분에는 추진기 수용홈(recess)이 형성되며,
    상기 추진기 수용홈에는 일단부가 상기 선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스트럿(strut)이 설치되며,
    상기 추진기는 상기 스트럿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추진기 설치방법.
KR1020110099366A 2011-09-29 2011-09-29 선박용 추진기 설치방법 KR101302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9366A KR101302206B1 (ko) 2011-09-29 2011-09-29 선박용 추진기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9366A KR101302206B1 (ko) 2011-09-29 2011-09-29 선박용 추진기 설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5097A KR20130035097A (ko) 2013-04-08
KR101302206B1 true KR101302206B1 (ko) 2013-08-30

Family

ID=48437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9366A KR101302206B1 (ko) 2011-09-29 2011-09-29 선박용 추진기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22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1287B1 (ko) * 2015-07-13 2017-02-0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코퍼댐을 이용한 시추선 하부구조물 설치 및 해제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97A (en) * 1977-05-31 1979-01-05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repairing under water
JPS63207788A (ja) * 1987-02-20 1988-08-29 Daiho Constr Co Ltd 作業台船
KR100568613B1 (ko) * 1998-06-30 2006-06-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시추선의 스러스터 장착 장치 및 방법
KR20090016832A (ko) * 2007-08-13 2009-02-1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언더워터 마운팅 아지무스 쓰러스터 설치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97A (en) * 1977-05-31 1979-01-05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repairing under water
JPS63207788A (ja) * 1987-02-20 1988-08-29 Daiho Constr Co Ltd 作業台船
KR100568613B1 (ko) * 1998-06-30 2006-06-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시추선의 스러스터 장착 장치 및 방법
KR20090016832A (ko) * 2007-08-13 2009-02-1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언더워터 마운팅 아지무스 쓰러스터 설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5097A (ko) 2013-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794887B (zh) 海上构造物的施工方法及海上构造物
JP5192396B2 (ja) 深海設置船
RU2594042C1 (ru) Способ разборки и/или сборки подводной секции выдвижного подруливающего устройства
KR20100124734A (ko) 분리 가능한 바닥부/표면 연결 덕트용의 도킹 부표를 갖는 릴을 포함하는 지지물
KR20010108293A (ko) 고 수축 가능형 해양 스러스터
CN101397050A (zh) 一种可拆卸式多功能浮船坞
CN111114690B (zh) 一种用于双燃料超大型集装箱船加气站的多功能外翻舷门
US20020040904A1 (en) Bottomless spar-type oil storage tank
JP5820953B1 (ja) 風力発電装置の組み付け方法、風力発電装置の分解方法、風力発電装置の設置方法、及び風力発電装置の作業用船舶
CN110758702A (zh) 一种可船内维护的伸缩式推进器系统
KR101302206B1 (ko) 선박용 추진기 설치방법
JP7252857B2 (ja) 浮体構造物設置システム、及び、浮体構造物設置方法
KR100952910B1 (ko) 부양식 수문 독 및 그의 선박 건조방법
JPH0986485A (ja) 大型構造物の製造作業方法及び修理作業方法並にこれらの方法の実施に用いるバージ
KR101323832B1 (ko) 추진기 분리형 선박 및 그 선박의 추진기 분리방법
MX2014013115A (es) Metodo para varar en dique seco una unidad flotante.
NL1023320C2 (nl) De uitvinding heeft betrekking op een methode voor fabricage, installatie en verwijderen van een offshore platform.
CN211618030U (zh) 一种水上船舶起浮装置
FR2755661A1 (fr) Dispositif de mise hors de l'eau de bateaux
KR20140022999A (ko) 반잠수식 드릴링 유닛의 애지머스 스러스터 설치방법
JP2019502865A (ja) 海洋発電システム
EP2876040A1 (en) In-ship removal-type thruster device
KR102329666B1 (ko) 전기추진 기반 전방위 추진기 적용 개방식 플로팅 도크
EP2885201B1 (en) Method and system for salvage of vessels
KR102544957B1 (ko) 침몰선 인양용 선박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