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3832B1 - 추진기 분리형 선박 및 그 선박의 추진기 분리방법 - Google Patents

추진기 분리형 선박 및 그 선박의 추진기 분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3832B1
KR101323832B1 KR1020110119489A KR20110119489A KR101323832B1 KR 101323832 B1 KR101323832 B1 KR 101323832B1 KR 1020110119489 A KR1020110119489 A KR 1020110119489A KR 20110119489 A KR20110119489 A KR 20110119489A KR 101323832 B1 KR101323832 B1 KR 101323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uster
block
propeller
hull
receiv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9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3822A (ko
Inventor
김동주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9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3832B1/ko
Publication of KR20130053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3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3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3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125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movably mounted with respect to hull, e.g. adjustable in direction, e.g. podded azimuthing thru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4Constructional features of bunkers, e.g. structural fuel tanks, or ballast tanks, e.g. with elastic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0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 B63B43/06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using ballast tan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추진기 분리형 선박 및 그 선박의 추진기 분리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진기 분리형 선박은, 하나 이상의 수용홈을 구비한 선체와; 상기 선체의 추진을 위한 스러스터형 추진기가 하부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자체부력조절이 가능하여 상기 수용홈에서 분리되어 수면으로 이동 가능한 탈착형 스러스터 블록(detachable thruster block); 및 상기 스러스터 블록을 상기 수용홈에 고정시키는 스러스터 블록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추진기 분리형 선박 및 그 선박의 추진기 분리방법{SHIP WITH DETACHABLE THRUSTER AND METHOD OF DETACHING THE THRUSTER FROM THE SHIP}
본 발명은 추진기 분리형 선박 및 그 선박의 추진기 분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러스터형 추진기를 구비한 선박에서 스러스터형 추진기가 고장나거나 또는 유지보수 차원에서 추진기를 분리하여 수리할 경우, 사람이 선체에 접근하여 추진기를 일일이 분해한 다음 정비창으로 이송하거나 대형 크레인을 이용하여 분해된 추진기를 하나씩 육상으로 이송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추진기를 일일이 분해하는데 사람의 손길이 많이 필요하여 작업효율성이 떨어지며, 물위에 계류중인 선박에서 작업하는 관계로 대형 장비를 이용할 경우 이러한 선체 구조물 간에 마찰로 선체가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추진기 분리작업을 단순화하면서도 장비나 구조물 파손의 가능성을 줄일 수 있는 새로운 대안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54803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스러스터형 추진기를 일일이 분해하여 수송할 필요 없이 스러스터형 추진기와 그 관련 부속들을 한번에 간단하고 신속하게 선체에서 분리하여 정비항으로 이송할 수 있는 추진기 분리형 선박 및 그 선박의 추진기 분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수용홈을 구비한 선체와; 상기 선체의 추진을 위한 스러스터형 추진기가 하부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자체부력조절이 가능하여 상기 수용홈에서 분리되어 수면으로 이동 가능한 탈착형 스러스터 블록(detachable thruster block); 및 상기 스러스터 블록을 상기 수용홈에 고정시키는 스러스터 블록 고정부를 포함하는 추진기 분리형 선박이 제공된다.
상기 스러스터 블록은 상기 추진기를 구동하기 위한 추진기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진기 구동부는 상기 추진기의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러스터 블록은, 상기 수용홈에 고정되면 상기 추진기를 이용하여 상기 선체를 추진시키고, 상기 수용홈으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추진기를 이용하여 자항할 수 있다.
상기 스러스터 블록은, 자체부력조절을 위한 밸러스트 탱크와; 수면 상에 부유 시, 상기 스러스터 블록의 자세를 제어하기 위한 자세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러스트 탱크는 복수의 내부공간이 형성되도록 구획벽으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자세제어부는, 상기 밸러스트 탱크 내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공간 내의 밸러스트수의 입수 및 배수를 조절하는 펌프와; 상기 밸러스트 탱크 내에 설치되는 제어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러스터 블록 고정부는, 상기 선체와 상기 수용홈이 만나는 부분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힌지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스러스터 블록이 상기 선체에서 분리된 경우에는 상기 선체 측으로 이동해 있다가 상기 스러스터 블록이 상기 수용홈 내에 삽입되는 경우에는 힌지회동에 의해 상기 수용홈 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스러스터 블록을 상기 수용홈 내로 밀어 넣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이 결합된 상기 힌지축을 회전시키는 고정판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러스터 블록의 표면에는 상기 고정판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상기 고정판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진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러스터 블록의 상면, 측면 및 각 모서리부분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고무재질의 완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러스터 블록은 상기 수용홈과 대향하는 측면에서 반대측면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추진기 분리형 선박을 이용하여 상기 선체에서 상기 스러스터 블록을 분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스러스터 블록 고정부를 해체하여 상기 스러스터 블록을 상기 선체로부터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스러스터 블록을 원하는 곳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크레인을 이용하여 상기 스러스터 블록을 인양하여 육상으로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추진기 분리형 선박의 추진기 분리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스러스터 블록 고정부는, 상기 선체와 상기 수용홈이 만나는 부분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힌지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스러스터 블록이 상기 선체에서 분리된 경우에는 상기 선체 측으로 이동해 있다가 상기 스러스터 블록이 상기 수용홈 내에 삽입되는 경우에는 힌지회동에 의해 상기 수용홈 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스러스터 블록을 상기 수용홈 내로 밀어 넣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이 결합된 상기 힌지축을 회전시키는 고정판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러스터 블록을 상기 선체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힌지축을 회전시켜 상기 스러스터 블록의 표면에 마찰결합된 상기 고정판을 상기 선체 측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스러스터 블록의 추진기를 이용하거나 예인선을 이용하여 상기 스러스터 블록을 상기 선체의 수용홈에서 이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스러스터형 추진기를 일일이 분해하여 수송할 필요 없이 스러스터형 추진기와 그 관련 부속들을 한번에 간단하고 신속하게 선체에서 분리하여 정비항으로 이송할 수 있다.
또한, 스러스터형 추진기와 그 관련 부속들은 한번에 분리함으로써, 추진기를 분리하기 위하여 대형 장비를 사용할 필요성이 없으며, 결과적으로 장비나 구조물 파손의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진기 분리형 선박 및 스러스터 블록의 결합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진기 분리형 선박 및 스러스터 블록을 아래에서 바라본 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진기 분리형 선박 및 스러스터 블록의 결합관계를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진기 분리형 선박에 스러스터 블록을 고정시키는 스러스터 블록 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진기 분리형 선박의 추진기 분리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추진기 분리형 선박 및 그 선박의 추진기 분리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진기 분리형 선박 및 이러한 추진기 분리형 선박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러스터 블록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진기 분리형 선박 및 스러스터 블록을 아래에서 바라본 투시도이다. 여기서, 도 2는 추진기 분리형 선박의 선미부에 결합된 상태인 스러스터 블록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의 선박은, 부유식 원유생산저장하역 설비(floating production storage & offloading unit, or FPSO)나 부유식 가스저장재기화 설비(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 or FSRU)와 같은 부유식 해양 구조물을 포함하며, 이외에도 예를 들어 드릴쉽(drill ship)과 같이 자항능력을 가지고 추진 가능한 선박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형의 스러스터 블록(120)은 선박(100)의 추진을 위한 추진기(122)와 그 관련 부속들을 일체형으로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스러스터 블록(120)은 자체부력조절 기능과 자항능력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스러스터 블록(120)을 구비한 추진기 분리형 선박(100)은, 평상시 선박(100)이 운행하거나 수상에 계류중인 상태에서는 스러스터 블록(120)이 선체(110)의 수용홈(112)에 삽입되어 선체(110)에 고정된 상태로 선박(100)에 추력을 제공하다가, 추진기(122)가 고장나서 수리가 필요하거나 유지관리의 차원에서 정비가 필요할 경우에 스러스터 블록(120)을 선체(110)에서 분리하여 수리할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기술에 비해, 수면 상에 계류 중인 선체(110)로부터 추진기(122)를 분리하여 정비창으로 이동시키는 일련의 추진기 분리작업을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이러한 추진기 분리형 선박(100)은, 수용홈(112)을 구비한 선체(110)와 이러한 선체(1)에 탈착(분리 또는 결합) 가능하게 결합되는 탈착형 스러스터 블록(detachable thruster block, 120)과 상기 스러스터 블록(120)을 수용홈(112)에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스러스터 블록 고정부(130, 도 4 참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선체(110)는 그 측면부에 하나 이상의 수용홈(112)을 구비한다. 수용홈(112)은 스러스터 블록(120)을 수용할 수 있도록 선체(110)의 측면에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박스 형상의 홈으로서, 이렇게 형성된 수용홈(112)에는 스러스터 블록(120)이 탈착식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수용홈(11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110)의 선미부에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수용홈(112)은 그 측면부와 하면부가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ㄷ"자 모양으로 선체(110)의 측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의 선체(110) 측면부라 함은 선체(110)의 앞뒤좌우 네 측면뿐만 아니라 하부면까지 포함하는 개념이다.
스러스터 블록(1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선체(110)의 수용홈(112)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추진기(122)를 구비한 박스 형상의 부재로서, 수용홈(112)에서 분리된 후에도 자체부력조절이 가능하여 수면에 부유된 상태로 독립적으로 계류할 수 있는 밸러스트 탱크(126)를 구비한 장치이다.
스러스터 블록(120)은, 밸러스트 탱크 외에도 그 내부에 선체(110)의 추진을 위한 추진기, 보다 구체적으로 아지무스 스러스터(Azimuth thruster)나 포드형 스러스터(pod-type thruster)와 같은 스러스터형 추진기(122)를 포함하여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추진기(122)는 프로펠러와 프로펠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포드(pod)와 이런 포드를 선체(1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스트럿(strut)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러한 추진기(12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러스터 블록(120)의 하부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스러스터 블록(120)은 추진기(122) 외에도 추진기(122)를 구동시키는 부속들, 예를 들어 추진기(122)의 프로펠러와 스트럿을 회전시키는 추진기 구동부(12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추진기 구동부(124)는 선박(100)에 추력을 제공하는 추진기(122)를 구동시키는 장치로서, 추진기(122)의 구동축(미도시)을 회전시키는 모터와 및 이러한 모터에 동력을 제공하는 발전기(미도시)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스러스터 블록(120)의 추진기(122)는 모터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으며, 스러스터 블록(120)이 선체(110)의 수용홈(112)에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에서는 선체(110)를 추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스러스터 블록(120)의 추진기(122)는 선체(110)에서 분리되어 수면 상에 부유된 상태에서는 자체적으로 추진기(122)의 추력을 이용하여 스러스터 블록(120)을 자항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선체(110)로부터 분리된 스러스터 블록(120)은 추진기(122)를 이용하여 원하는 곳으로 자체적으로 자항할 수도 있으며 별도의 예인선에 의해 예인되는 방식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스러스터 블록(120)의 추진기(122)가 작동하기 위해서는 추진기(122)를 돌리는 모터에 전력을 공급해야 되는데, 이 경우 추진기(122)는 스러스터 블록(120) 내에 구비된 발전기(미도시)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도 있으며, 스러스터 블록(120) 내에 발전기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 케이블 연결부(미도시)를 통해 선체(110)로부터 전력과 제어신호를 공급받아 작동할 수도 있다.
앞서도 언급된 바와 같이, 스러스터 블록(120)은 선체(110)로부터 분리되더라도 자체부력조절 기능이 있어 수면에 부유된 상태로 독립적으로 계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러스터 블록(120)은, 밸러스트 탱크(126) 및 수면 상에 부유된 상태에서 스러스터 블록(120)의 자세를 제어하기 위한 자세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밸러스트 탱크(126)는 스러스터 블록(120)이 선체(110)로부터 분리될 경우 스러스터 블록(120)이 물 위에 뜰 수 있도록 부력(buoyancy)을 제공하는 장치로서, 밸러스트 탱크(126) 내에 밸러스트수(즉, 평형수)를 채우거나 빼내어 스러스터 블록(120)의 부력을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스러스터 블록(120)은 선체(110)로부터 분리될 때 자칫 균형을 잃어 한쪽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밸러스트 탱크(126)는 복수의 내부공간(126a)이 형성되도록 구획벽(126b)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렇게 밸러스트 탱크(126)의 내부를 구획벽(126b)으로 분리하여 형성된 복수의 내부공간(126a)에는 스러스터 블록(120)의 부유 상태에 따라 그 내부의 밸러스트수를 빼거나 채움으로써, 스러스터 블록(120)이 수면상에 부유된 상태에서 한쪽으로 기우는 일 없이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대적으로 무거운 하중을 가진 추진기(122)가 스러스터 블록(120)의 하부측에 배치됨에 따라, 부유 시 스러스터 블록(120)의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밸러스트 탱크(126)는 스러스터 블록(120)의 상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추진기(122)의 하중에 의해 아래로 가라앉으려는 스러스터 블록(120)에 대해, 상기 스러스터 블록(120)의 상부에 위치한 밸러스트 탱크(126)의 밸러스트수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스러스터 블록(120)의 자세를 바르게 유지시킬 수 있다.
자세제어부(미도시)는, 외부와 내부공간(126a)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배관 상에 설치되어 내부공간(126a) 내의 밸러스트수의 입수 및 배수를 조절하는 펌프(미도시)와, 상기 배관 상에 설치되어 밸러스트수의 출입을 제어하는 제어밸브(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펌프 및 제어밸브는 전력 및 제어신호를 공급받아 작동하게 되며, 펌프 및 제어밸브의 작동에 의해 밸러스트수의 입수 및 배수를 실시간으로 조절할 수 있다. 밸러스트수의 입수 및 배수는 스러스터 블록(120)의 밸러스트 탱크(126) 내에 형성된 배관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밸러스트수가 밸러스트 탱크(126) 내로 입수되면, 스러스터 블록(120)이 수면 아래로 가라앉게 되고, 밸러스트수가 밸러스트 탱크(126)에서 배수되면, 스러스터 블록(120)이 수면 위로 부상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펌프 및 제어밸브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력은 스러스터 블록(120) 내에 구비된 발전기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으며, 펌프 및 제어밸브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는 선체(110)의 콘트롤러(미도시)로부터 무선으로 수신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어밸브는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가 사용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 밸브는 배관의 개폐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장치로서, 솔레노이드에 전류가 흘러 자기장이 형성되면 근처의 철제 물체를 끌어당기는 성질을 이용하여 배관의 개폐를 전기적 신호로 제어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스러스터 블록(1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홈(112)과 대향하는 측면에서 그 반대측면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스러스터 블록(120)은 쐐기(wedge)와 같이 수용홈(112)에 끼워져서 움직이지 못하도록 그 횡단면 형상이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외에도, 수용홈(112)과 이에 대향하여 접하는 스러스터 블록(120)의 형상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스러스터 블록(120)의 형상을 수용홈(112)에 대향하는 일측면에서 그 반대쪽 타측면으로 갈 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함으로써, 스러스터 블록(120)이 선체(110)와 결합 또는 분리되는 과정에서 스러스터 블록(120)이 수용홈(112)에 자연스럽게 끼워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스러스터 블록(120)과 선체(110) 간의 결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추진기 분리형 선박(100) 및 스러스터 블록(120)의 결합관계를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추진기 분리형 선박(100)에 스러스터 블록(120)을 고정시키는 스러스터 블록 고정부(13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러스터 블록 고정부(130)는 스러스터 블록(120)을 선체(110)의 수용홈(112)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스러스터 블록 고정부(130)는 고정판(134)과 고정판 구동부(13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러스터 블록 고정부(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110)의 측면에서 바라볼 때 측면으로 개방된 수용홈(112)을 기준으로 그 양쪽 모서리부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외에도,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스러스터 블록 고정부(130)는 선체(110)의 하부면에서 바라볼 때 하부면으로 개방된 수용홈(112)을 기준으로 그 양쪽 모서리부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고정판(134)은 판형상의 부재로서, 선체(110)와 수용홈(112)이 만나는 부분(즉, 모서리부분)에 힌지축(132)을 중심으로 힌지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스러스터 블록(120)이 선체(110)에서 분리된 경우에는 선체(110) 측으로 이동해 있다가 스러스터 블록(120)이 수용홈(112) 내에 삽입되는 경우에는 힌지회동에 의해 수용홈(112) 측으로 이동하면서 스러스터 블록(120)을 수용홈(112) 내로 밀어 넣는 장치이다.
고정판 구동부(136)는 고정판(134)이 힌지축(132)을 중심으로 힌지회동하도록 고정판(134)이 결합된 힌지축(132)을 회전시키는 장치로서, 본 실시예의 경우 고정판 구동부(136)는 모터와 모터의 회전축을 힌지축(132)에 연결시킬 수 있는 베벨기어와 같은 기어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베벨기어는 선체(110) 내에 모터를 설치할 공간이 협소한 경우 모터의 회전축과 힌지축(132)을 서로 직교하여 연결시킬 수 있다.
즉, 모터로 구성된 고정판 구동부(136)가 구동함에 따라, 고정판 구동부(136)의 회전력이 힌지축(132)에 전달되며, 힌지축(132)은 고정판(134)을 좌우방향으로 힌지회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필요한 회전각도로 힌지회동할 수 있는 고정판(134)은, 수용홈(112) 내로 접근하는 스러스터 블록(120)을 수용홈(112) 측으로 물리적으로 누름으로써 스러스터 블록(120)을 수용홈(112) 내에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판(134)이 스러스터 블록(120)을 수용홈(112) 내로 밀게 되는 경우, 고정판(134)의 넓은 표면적이 스러스터 블록(120)의 표면과 마찰접촉하게 됨으로써, 고정판(134)의 회전력이 스러스터 블록(120)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상호 접촉면끼리의 마찰을 통해 고정판(134)이 스러스터 블록(120)을 수용홈(112) 내에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러스터 블록(120)의 표면에는 힌지회동한 고정판(134)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고정판(134)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진 고정홈(138)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판(134)을 고정홈(138) 내에 끼움으로써, 고정판(134)과 스러스터 블록(120)의 결합을 더욱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파도 등에 의한 외력이 스러스터 블록(120)과 선체(110)를 개별적으로 요동시킬 경우, 스러스터 블록(120)과 수용홈(112) 간에 마찰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스러스터 블록 고정부(130)는 각 수용홈(112)마다 복수 개로 설치될 수 있으며, 스러스터 블록(112)이 확실히 고정될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스러스터 블록(120)의 상면, 측면 및 각 모서리부분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고무재질의 완충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러스터 블록(120)의 상면, 측면 및 각 모서리부분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고무재질의 완충부(미도시)를 구비함으로써, 스러스터 블록(120)이 선체(110)와 결합 또는 분리되는 과정에서 스러스터 블록(120)과 선체(110)가 서로 마찰 또는 충돌하여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선체(1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러스터 블록(120)을 이용함으로써, 평상시 선박(100)이 운행하거나 수상에 계류중인 상태에서는 스러스터 블록(120)이 선체(110)의 수용홈(112)에 삽입되어 선체(110)에 고정된 상태로 선박(100)을 추진하다가, 추진기(122)가 고장나거나 유지관리의 차원에서 수리 또는 정비가 필요할 경우에 추진기(122)와 그 관련 부속들을 한번에 선체(110)에서 분리하여 수리할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선체(110)로부터 추진기(122) 분리작업을 보다 용이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즉, 추진기(122)와 그 관련 부속들을 한번에 간단하고 신속하게 선체(110)에서 분리하여 원하는 곳으로 이송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추진기를 일일이 분해하여 수송하거나 대형 크레인을 이용하여 추진기를 분리할 필요 없이 추진기(122)를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분리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추진기 분리형 선박(100)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상기 추진기 분리형 선박(100)을 이용하여 선체(110)에서 스러스터 블록(120)을 분리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추진기 분리형 선박의 추진기 분리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진기 분리형 선박의 추진기 분리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추진기 분리형 선박(100)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 또는 상응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탈착형 스러스터 블록(120)을 추진기 분리형 선박(100)에 분리하는 과정은 크게 다음과 같으며, 스러스터 블록(120)을 추진기 분리형 선박(100)에 결합하는 과정은 이하에서 서술하는 과정의 역순으로 진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추진기 분리형 선박의 추진기 분리방법은, 전술한 추진기 분리형 선박(100)을 이용하여 선체(110)에서 스러스터 블록(120)을 분리하는 방법으로서, 스러스터 블록 고정부(130)를 해체하여 스러스터 블록(120)을 선체(110)로부터 분리하는 단계(S100)와; 이렇게 분리된 스러스터 블록(120)을 원하는 곳으로 이동시키는 단계(S200)와; 크레인(미도시)을 이용하여 스러스터 블록(120)을 인양하여 육상으로 이송하는 단계(S300)를 포함한다.
먼저, 스러스터 블록 고정부(130)를 해체하여 스러스터 블록(120)을 선체(110)로부터 분리한다(S100).
구체적으로, 본 단계(S100)는, 고정판 구동부(136)에 의해 구동하는 힌지축(132)을 회전시켜 스러스터 블록(120)의 표면(구체적으로, 고정홈(138))에 마찰결합된 고정판(134)을 선체(110) 측으로 이동시키는 단계(S110)와, 스러스터 블록(120)의 추진기(122)를 이용하거나 예인선(미도시)을 이용하여 스러스터 블록(120)을 선체(110)의 수용홈(112)에서 이격시키는 단계(S1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고정판(134)에 의해 선체(110)에 고정된 스러스터 블록(130)을 선체(110)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고정판(134)을 선체(110)의 외측으로 힌지회동시킴으로써, 고정판(134)과 스러스터 블록(120)의 고정홈(138) 간에 마찰결합이 해체될 수 있으며, 스러스터 블록(130)은 자연스럽게 선체(110)의 수용홈(112)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이렇게 선체(110)에서 분리된 스러스터 블록(120)은 미리 준비된 예인선(미도시)을 이용하거나 스러스터 블록(120) 내에 구비된 추진기(122)의 추력을 이용하여 선체(110)의 수용홈(112)에서 이격될 수 있다.
이때, 스러스터 블록(120)이 선체(110)로부터 분리되면서 자칫 균형을 잃어 한쪽으로 기울어질 수 있는데, 이 경우 스러스터 블록(120)의 자체부력조절 기능을 사용하여 스러스터 블록(120)의 자세를 바르게 유지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이렇게 분리된 스러스터 블록(120)을 원하는 곳으로 이동시킨다(S200). 이 경우, 앞서 서술된 바와 같이, 미리 준비된 예인선(미도시)을 이용하거나 스러스터 블록(120) 내에 구비된 추진기(122)의 추력을 이용하여 스러스터 블록(120)을 원하는 곳(예를 들어, 정비창이 있는 항구 등)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이렇게 수면 상의 원하는 지점에 도착한 스러스터 블록(120)은 미리 준비된 크레인(미도시)에 의해 수면 위로 인양되며, 이렇게 인양된 스러스터 블록(120)은 수리 또는 정비를 할 수 있는 정비창이 있는 육상으로 이송되게 된다(S30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선체(1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러스터 블록(120)을 이용함으로써, 평상시 선박(100)이 운행하거나 수상에 계류중인 상태에서는 스러스터 블록(120)이 선체(110)의 수용홈(112)에 삽입되어 선체(110)에 고정된 상태로 선박(100)을 추진하다가, 추진기(122)가 고장나거나 유지관리의 차원에서 수리 또는 정비가 필요할 경우에만 추진기(122)와 그 관련 부속들을 한번에 선체(110)에서 분리하여 수리할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선체(110)로부터 추진기(122) 분리작업을 보다 용이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즉, 추진기(122)와 그 관련 부속들을 한번에 간단하고 신속하게 선체(110)에서 분리하여 원하는 곳으로 이송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추진기를 일일이 분해하여 수송하거나 대형 크레인을 이용하여 추진기를 분리할 필요 없이 추진기(122)를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분리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추진기 분리형 선박 110: 선체
112: 수용홈 120: 스러스터 블록
122: 추진기 124: 추진기 구동부
126: 밸러스트 탱크 126a: 내부공간
126b: 구획벽
130: 스러스터 블록 고정부 132: 힌지축
134: 고정판 136: 고정판 구동부
138: 고정홈

Claims (13)

  1. 하나 이상의 수용홈을 구비한 선체와;
    상기 선체의 추진을 위한 스러스터형 추진기가 하부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자체부력조절이 가능하여 상기 수용홈에서 분리되어 수면으로 이동 가능한 탈착형 스러스터 블록(detachable thruster block); 및
    상기 스러스터 블록을 상기 수용홈에 고정시키는 스러스터 블록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러스터 블록 고정부는,
    상기 선체와 상기 수용홈이 만나는 부분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힌지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스러스터 블록이 상기 선체에서 분리된 경우에는 상기 선체 측으로 이동해 있다가 상기 스러스터 블록이 상기 수용홈 내에 삽입되는 경우에는 힌지회동에 의해 상기 수용홈 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스러스터 블록을 상기 수용홈 내로 밀어 넣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이 결합된 상기 힌지축을 회전시키는 고정판 구동부를 포함하는 추진기 분리형 선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러스터 블록은 상기 추진기를 구동하기 위한 추진기 구동부를 포함하는 추진기 분리형 선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기 구동부는 상기 추진기의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추진기 분리형 선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러스터 블록은,
    상기 수용홈에 고정되면 상기 추진기를 이용하여 상기 선체를 추진시키고,
    상기 수용홈으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추진기를 이용하여 자항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기 분리형 선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러스터 블록은,
    자체부력조절을 위한 밸러스트 탱크와;
    수면 상에 부유 시, 상기 스러스터 블록의 자세를 제어하기 위한 자세제어부를 포함하는 추진기 분리형 선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밸러스트 탱크는 복수의 내부공간이 형성되도록 구획벽으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기 분리형 선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제어부는,
    상기 밸러스트 탱크 내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공간 내의 밸러스트수의 입수 및 배수를 조절하는 펌프와;
    상기 밸러스트 탱크 내에 설치되는 제어밸브를 포함하는 추진기 분리형 선박.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러스터 블록의 표면에는 상기 고정판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상기 고정판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진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기 분리형 선박.
  10. 제1항 내지 제7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러스터 블록의 상면, 측면 및 각 모서리부분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고무재질의 완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기 분리형 선박.
  11. 제1항 내지 제7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러스터 블록은 상기 수용홈과 대향하는 측면에서 반대측면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기 분리형 선박.
  12. 제1항 내지 제7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추진기 분리형 선박을 이용하여 상기 선체에서 상기 스러스터 블록을 분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스러스터 블록 고정부를 해체하여 상기 스러스터 블록을 상기 선체로부터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스러스터 블록을 원하는 곳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크레인을 이용하여 상기 스러스터 블록을 인양하여 육상으로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추진기 분리형 선박의 추진기 분리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러스터 블록 고정부는,
    상기 선체와 상기 수용홈이 만나는 부분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힌지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스러스터 블록이 상기 선체에서 분리된 경우에는 상기 선체 측으로 이동해 있다가 상기 스러스터 블록이 상기 수용홈 내에 삽입되는 경우에는 힌지회동에 의해 상기 수용홈 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스러스터 블록을 상기 수용홈 내로 밀어 넣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이 결합된 상기 힌지축을 회전시키는 고정판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러스터 블록을 상기 선체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힌지축을 회전시켜 상기 스러스터 블록의 표면에 마찰결합된 상기 고정판을 상기 선체 측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스러스터 블록의 추진기를 이용하거나 예인선을 이용하여 상기 스러스터 블록을 상기 선체의 수용홈에서 이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추진기 분리형 선박의 추진기 분리방법.
KR1020110119489A 2011-11-16 2011-11-16 추진기 분리형 선박 및 그 선박의 추진기 분리방법 KR101323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9489A KR101323832B1 (ko) 2011-11-16 2011-11-16 추진기 분리형 선박 및 그 선박의 추진기 분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9489A KR101323832B1 (ko) 2011-11-16 2011-11-16 추진기 분리형 선박 및 그 선박의 추진기 분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3822A KR20130053822A (ko) 2013-05-24
KR101323832B1 true KR101323832B1 (ko) 2013-10-31

Family

ID=48662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9489A KR101323832B1 (ko) 2011-11-16 2011-11-16 추진기 분리형 선박 및 그 선박의 추진기 분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38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208B1 (ko) * 2013-11-18 2015-03-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추진기의 유지보수 장치
KR101865403B1 (ko) * 2016-11-10 2018-06-08 해양환경공단 스마트 스키머
KR102503162B1 (ko) * 2018-01-09 2023-02-24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구조물용 추진 장치 및 해양구조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999Y2 (ja) * 1989-06-20 1995-05-10 川崎重工業株式会社 作業船の補助推進器
JP2002544028A (ja) 1997-10-23 2002-12-24 ガスト・エンジニアリング・シー・ブイ 引き込み得る推進装置を具備した船舶
KR20090123459A (ko) * 2008-05-28 2009-12-02 솔라스 사이언스 앤드 엔지니어링 컴파니 리미티드 선박용 추진 시스템
US7644675B1 (en) 2009-04-08 2010-01-12 Don Dongcho Ha Lateral thruster unit for marine vessel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999Y2 (ja) * 1989-06-20 1995-05-10 川崎重工業株式会社 作業船の補助推進器
JP2002544028A (ja) 1997-10-23 2002-12-24 ガスト・エンジニアリング・シー・ブイ 引き込み得る推進装置を具備した船舶
KR20090123459A (ko) * 2008-05-28 2009-12-02 솔라스 사이언스 앤드 엔지니어링 컴파니 리미티드 선박용 추진 시스템
US7644675B1 (en) 2009-04-08 2010-01-12 Don Dongcho Ha Lateral thruster unit for marine vesse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3822A (ko) 2013-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31598B1 (en) A submergible cleaning system
US6439936B1 (en) High retraction marine thruster
KR102015165B1 (ko) 선박용 추진 시스템
KR101323832B1 (ko) 추진기 분리형 선박 및 그 선박의 추진기 분리방법
EP2051903B1 (en) Barge arrangement and method for operation of a barge arrangement
CN101100221A (zh) 推进吊舱设备、装有此设备的船及安置此设备的装置
RU2483967C2 (ru) Ледоколь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плавающих тел
JP2011513133A (ja) 石油製品を収集するための船舶
JPH0719999Y2 (ja) 作業船の補助推進器
KR101170388B1 (ko) 문풀의 조파저항 저감 및 쇄파 장치
US5184563A (en) Marine propulsion apparatus
CN106082053B (zh) 一种多单元水下垂直运输系统
KR101302206B1 (ko) 선박용 추진기 설치방법
CN1032300C (zh) 船用推进装置
JP2002059891A (ja) 浮体構造物
RU2286903C1 (ru) Способ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наливных грузов (варианты)
JPH04277216A (ja) 遠隔操作式自航装置付きオイルフェンス
KR102329666B1 (ko) 전기추진 기반 전방위 추진기 적용 개방식 플로팅 도크
AU636114B2 (en) Marine propulsion apparatus
JP2006103614A (ja) 係船装置
KR200331697Y1 (ko) 보트용 배터리 추진장치
KR101259134B1 (ko) 직진안정 핀과 이를 포함하는 선박
US7044816B2 (en) Jet drive and retractable rudder fin and filter systems and methods for watercraft
EP4323266A1 (en) A method and system of ballasting and deballasting a vessel
US8857362B2 (en) Mobile marine service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