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9666B1 - 전기추진 기반 전방위 추진기 적용 개방식 플로팅 도크 - Google Patents

전기추진 기반 전방위 추진기 적용 개방식 플로팅 도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9666B1
KR102329666B1 KR1020200069794A KR20200069794A KR102329666B1 KR 102329666 B1 KR102329666 B1 KR 102329666B1 KR 1020200069794 A KR1020200069794 A KR 1020200069794A KR 20200069794 A KR20200069794 A KR 20200069794A KR 102329666 B1 KR102329666 B1 KR 102329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uster
base body
floating dock
electric propuls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9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원
조민호
이해수
최승준
박소현
고두리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069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96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9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9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00Dry-docking of vessels or flying-boats
    • B63C1/02Floating d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08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of more than one prope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125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movably mounted with respect to hull, e.g. adjustable in direction, e.g. podded azimuthing thrusters
    • B63H2005/1254Podded azimuthing thrusters, i.e. podded thruster units arranged inboard for rotation about vertic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후방 및 양측이 개방되어 있고, 하부에 다수의 스러스터가 설치된 전기추진 기반 전방위 추진기를 적용한 개방식 플로팅 도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하부에 전기추진 기반으로 작동되는 전방위 추진기 즉, 스러스터가 설치되어 자항식과 동등한 선회성능을 보유함으로써, 구조물의 운송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기 스러스터의 높이를 조절하여 수심이 낮은 안벽의 진입이 용이하여 다양한 안벽조건에 따른 작업환경의 제한을 최소화할 수 있고, 전후방 및 양측이 개방되어 있어 선수 및 선미 방면 뿐만 아니라 선측 방면을 통해 구조물의 로드아웃이 가능하여 도크의 활용이 용이한 전기추진 기반 전방위 추진기 적용 개방식 플로팅 도크에 관한 기술분야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전기추진 기반 전방위 추진기 적용 개방식 플로팅 도크{Open floating dock with electric propulsion-based azimuth thruster}
본 발명은 전후방 및 양측이 개방되어 있고, 하부에 다수의 스러스터가 설치된 전기추진 기반 전방위 추진기를 적용한 개방식 플로팅 도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하부에 전기추진 기반으로 작동되는 전방위 추진기 즉, 스러스터가 설치되어 자항식과 동등한 선회성능을 보유함으로써, 구조물의 운송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기 스러스터의 높이를 조절하여 수심이 낮은 안벽의 진입이 용이하여 다양한 안벽조건에 따른 작업환경의 제한을 최소화할 수 있고, 전후방 및 양측이 개방되어 있어 선수 및 선미 방면 뿐만 아니라 선측 방면을 통해 구조물의 로드아웃이 가능하여 도크의 활용이 용이한 전기추진 기반 전방위 추진기 적용 개방식 플로팅 도크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일반적으로, 도크(dock)는 대형 선박을 건조, 수리, 선박의 진수, 구조물 설치, Retrofit, 선박 및 블록 등을 운송하기 위해서 조선소나 항만 등에 건설된 설비를 말하는 것으로, 건식 도크(dry dock)와 부유식 도크(floating dock)로 구분된다.
여기서, 건식 도크는 선박을 진수하기에 충분한수심을 갖는 바다와 인접한 곳에서 선박의 출입이 가능할 정도의 길이, 너비, 깊이로 땅을 파서 바다와 연결시키고 측벽과 바닥을 철근콘크리트나 말뚝으로 보강하고 입구에 도크 게이트(dock gate)를 설치하는 것이다. 그리고 부유식 도크는 강철제 상자로 내부에 많은 밸러스트 탱크(ballast tank)를 가지며 이러한 밸러스트 탱크에 해수의 저장량을 조절함으로써 부유 정도를 조절하는 설비이다.
상기 부유식 도크는 통상 한쪽 방면 즉, 선수 방면으로 구조물(선박, 플랜트 등)의 로드아웃에 대한 작업만 가능하여 다양한 안벽조건에 따른 작업환경 제한에 문제가 있고, 선회성능이 미미하여 도크의 활용공간 확보 및 구조물의 운반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33205호에는 데크 가장자리를 따라 레일이 설치된 도크 본체와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회전 격벽을 포함하여 어느 방향으로나 로드 아웃(load out)/플로트 아웃(float out)이 가능하도록 하는 플로팅 도크 및 이를 이용한 해상 구조물 건조 공법을 제시하고 있다.
다른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15190호에는 전후방이 개구되고 사방으로 크레인 작업이 가능하도록 정방형으로 형성된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해양구조물의 제작 또는 설치작업이 행하여지는 푼툰부 및 상기 푼툰부의 양측으로 구비되는 타워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중앙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플로팅 도크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선수 또는 선미 방면 즉, 직선방향으로만 구조물의 로드아웃이 가능하고, 선측 방면으로 구조물을 로드아웃시키기 위해서는 데크 또는 몸체부를 회전시켜야 하므로 회전기동에 의한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과, 선회를 위해서 터그선과 같은 예인선이 연결되어야 하므로 구조물의 운반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33205호(2017.03.24.)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15190호(2013.09.30.)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의 플로팅 도크는 한쪽 방면으로만 구조물의 로드아웃이 가능하여 다양한 안벽조건에 따른 작업환경에 제한이 있고, 선회성능이 미미하여 도크의 활용공간 확보 및 구조물의 운반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해결점을 전기추진을 기반으로 작동되는 전방위 추진기 즉, 스러스터가 하부에 복수 개 설치되어 자항식과 동등한 선회성능을 보유하고, 전후방 및 양측이 개방되어 선수 및 선미 방면 뿐만 아니라 선측 방면을 통해 구조물의 로드아웃이 가능하여 도크의 활용이 용이한 전기추진 기반 전방위 추진기 적용 개방식 플로팅 도크를 통하여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다수의 밸러스트 탱크모듈과 상기 밸러스트 탱크모듈의 내부로 물을 주입 및 배출하는 펌프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베이스몸체와 상기 베이스몸체의 전방 양측과 후방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전후방향과 양측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을 통해 로드아웃이 가능하도록 하는 수직격벽과 상기 수직격벽의 상부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크레인 및 상기 베이스몸체의 하부 전방과 후방에 각각 한 쌍으로 설치되어 자항식 추진이 가능하도록 하는 스러스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추진 기반 전방위 추진기 적용 개방식 플로팅 도크를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수직격벽은 복수 개의 밸러스트 탱크모듈로 이루어지고, 상기 펌프모듈에 의해 내부로 물이 주입 및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스러스터는 상기 베이스몸체의 하부에 설치되되, 수평회전 및 승하강되어 상하로 위치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베이스몸체는 상기 스러스터가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스러스터가 승하강되어 인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도록 내입홈(132)이 형성된 스러스트룸을 구성되고, 상기 스러스터는 승강될 때, 하부가 밸러스트 탱크모듈의 하부면까지 상승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스러스터룸과 인접한 밸러스트 탱크모듈은 상기 스러스터룸의 내입홈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추진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몸체와 상기 수직격벽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스퍼드관통홀과 상기 수직격벽의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스퍼드관통홀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승강부 및 상기 스퍼드관통홀과 상기 승강부에 관통되어 설치되되,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승강부에 의해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스퍼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전기추진 기반 전방위 추진기 적용 개방식 플로팅 도크는 다수의 밸러스트 탱크모듈로 구성되는 베이스몸체의 상부에 수직격벽이 설치되되, 전후방 및 양측면이 개방되도록 복수 개의 수직격벽이 설치되어 선수 및 선미 뿐만 아니라 선측을 통해 로드아웃이 가능하여 안벽조건에 따른 작업환경에 적용이 원활함으로써, 도크의 공간 활용이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몸체의 하부에 다수의 아지무스 스러스터(Azimuth Thruster)를 설치하여 자항식과 동등한 성능의 선회성능을 보유할 뿐만 아니라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의 수평방향 회전 및 상하 위치조절이 가능하여 안벽조건 특히, 수심이 낮은 곳에서도 선회성능을 확보할 수 있어 도크의 공간 활용이 더욱 용이한 효과와 구조물의 운송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선수 및 선미 뿐만 아니라 선측을 통해 로드아웃이 가능하고, 자항식과 동등한 성능의 선회성능을 보유함으로써, 도크의 공간 활용이 용이하고, 자항식과 같은 각종 검사 비용이 최소화되어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플로팅 도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플로팅 도크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플로팅 도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플로팅 도크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플로팅 도크를 나타낸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플로팅 도크와 스러스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스퍼드가 설치된 플로팅 도크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스퍼드가 설치된 플로팅 도크를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스퍼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하부유닛부재가 펼쳐진 스퍼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하부유닛부재가 접혀진 스퍼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상부유닛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하부유닛부재의 분해 사시도.
본 발명은 전후방 및 양측이 개방되어 있고, 하부에 다수의 스러스터(400)가 설치된 전기추진 기반 전방위 추진기를 적용한 개방식 플로팅 도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수의 밸러스트 탱크모듈(110)과 상기 밸러스트 탱크모듈(110)의 내부로 물을 주입 및 배출하는 펌프모듈(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베이스몸체(100)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몸체(100)의 전방 양측과 후방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전후방 즉, 선수와 선미 방면과 양측방향 즉, 선측 방면 중 어느 한 방향을 통해 구조물(미도시)의 로드아웃이 가능하도록 하는 수직격벽(200)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안벽조건에 따른 작업환경에 대한 제한을 최소화하여 도크 공간 활용이 용이하도록 하는 전기추진 기반 전방위 추진기 적용 개방식 플로팅 도크에 관한 기술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몸체(100)의 하부 전방에 한 상이 설치되고, 하부 후방에 한 쌍으로 설치되어 자항식 추진이 가능하도록 하는 아지무스 스러스터(이하, '스러스터(400)'라 한다.)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자항식과 동등한 성능의 선회성능을 보유하여 구조물의 운송 및 안벽조건에 따른 작업환경에 대한 제한을 더욱더 최소화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은 다수의 밸러스트 탱크모듈(110)과 상기 밸러스트 탱크모듈(110)의 내부로 물을 주입 및 배출하는 펌프모듈(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베이스몸체(100);와 상기 베이스몸체(100)의 전방 양측과 후방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전후방향과 양측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을 통해 로드아웃이 가능하도록 하는 수직격벽(200);과 상기 수직격벽(2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크레인(300); 및 상기 베이스몸체(100)의 하부 전방과 후방에 각각 한 쌍으로 설치되어 자항식 추진이 가능하도록 하는 스러스터(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수직격벽(200)은 복수 개의 밸러스트 탱크모듈(210)로 이루어지고, 상기 펌프모듈(120)에 의해 내부로 물이 주입 및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스러스터(400)는 상기 베이스몸체(100)의 하부에 설치되되, 수평회전 및 승하강되어 상하로 위치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스러스터(400)가 하부에 설치되는 밸러스트 탱크모듈(110)은
상기 스러스터(400)가 승강되어 내입될 수 있는 내입홈(13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러스터(400)는 승강될 때, 하부가 밸러스트 탱크모듈(110)의 하부면까지 상승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스러스터(400)와 인접한 밸러스트 탱크모듈(110)은 상기 스러스터(400)가 하부에 설치되는 밸러스트 탱크모듈(110)의 내입홈(132)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추진홈(11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몸체(100)와 상기 수직격벽(20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스퍼드관통홀(500);과 상기 수직격벽(200)의 상부에 설치되되,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스퍼드관통홀(500)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승강부(600) 및 상기 스퍼드설치홀(500)과 상기 승강부(600)에 관통되어 설치되되, 상기 승강부(600)에 의해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스퍼드(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베이스몸체(100)는
종래의 플로팅 도크에서 사용되는 밸러스트 탱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밸러스트 탱크모듈(110) 다수와, 상기 다수의 밸러스트 탱크모듈(110)의 내부로 물을 주입 및 배출하는 펌프모듈(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종래의 플로팅 도크와 마찬가지로 반잠수 기능을 가져 선방의 진수, 구조물 설치, Retrofit, 선박 및 블록 등을 운송할 수 있고, 상부에 구조물이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크레인(300)에 의해 로드아웃된다.
상기 밸러스트 탱크모듈(110)은 내부에 밸러스트 탱크가 설치되어 있고, 본 발명의 베이스몸체(100)를 구성하고 있는 다수의 밸러스트 탱크모듈(110)의 밸러스트 탱크와 연결되거나 각각이 단독으로 펌프모듈(120)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펌프모듈(120)은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수직격벽(200)에 설치되는 제어실(10)에서 작업자에 의해 제어되는 펌프(미표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밸러스트 탱크모듈(110)의 밸러스트 탱크에 물 즉, 해수를 주입 및 배출하여 본 발명의 플로팅 도크가 반잠수 가능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베이스몸체(100)는 상부에 구조물이 안착되는 도크가 추가적으로 설치되어도 무방하고, 다수의 밸러스트 탱크모듈(110)과 펌프모듈(120)의 상부에 도크가 기 설치되어 구조물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베이스몸체(100)는 전방 즉, 선수 부분에 안벽에 안착되거나 구조물의 진수가 용이할 수 있도록 힌지결합되어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수직격벽(200)에 의해 형성되는 선수출입구(20)를 개폐하는 어퍼데크(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어퍼데크(50)는 필요시 작업자에 의해 제어실에서 제어된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수직격벽(200)은
상기 베이스몸체(100)의 전방 양측과 후방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전후방향과 양측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을 통해 로드아웃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종래의 플로팅 도크와 다르게 선수 뿐만 아니라 선미, 선측으로도 구조물의 로드아웃이 가능하도록 하여 도크의 공간 활용을 향상시키고,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수직격벽(200)은 앞서 설명된 베이스몸체(100)와 마찬가지로 복수 개의 밸러스트 탱크모듈(210)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몸체(100)에 설치된 펌프모듈(120)에 의해 내부에 물 즉, 해수가 주입 및 배출되어 상기 베이스몸체(100)와 함께 본 발명의 플로팅 도크의 반잠수 기능을 더욱더 향상시킨다. 이때, 본 발명의 수직격벽(200)은 상기 베이스몸체(100)에 설치된 펌프모듈(120)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단독으로 제어되는 펌프모듈(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직격벽(200)은 상부에 설치되는 선실(미표시)과, 상기 선실에 포함되거나 선실과 별도로 상부에 설치될 수 있는 제어실(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크레인(300)이 설치된다. 이때, 본 발명의 수직격벽(200)은 상기 선실과 제어실(10)로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통로(미표시)가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수직격벽(200)은 상기 베이스몸체(100)의 전방 양측에 한 쌍이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몸체(100)의 후방 양측에 한 쌍이 설치됨으로써, 선수에 선수출입구(20)가 형성되고, 선미에 선미출입구(30)가 형성되며, 양쪽의 선측에 선측출입구(40)가 형성됨에 따라 구조물의 로드아웃이 선수 방면 뿐만 아니라 선미와 선측 방면으로도 가능하도록 하여 안벽조건에 따른 작업환경의 제한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도크의 활용이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플로팅 도크는 상기 수직격벽(2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크레인(3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크레인(300)은 종래의 플로팅 도크에 설치되어 구조물의 로드아웃이 가능하도록 하는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고, 앞서 설명된 제어실(10)이 설치되지 않은 수직격벽(20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어를 위해 크레인제어실(미도시)이 함께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스러스터(400)는
상기 베이스몸체(100)의 하부 전방와 후방에 각각 한 쌍으로 설치되어 자항식 추진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베이스몸체(100)의 하부 전방에 한 쌍이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몸체(100)의 하부 후방에 한 쌍이 설치되어 본 발명의 플로팅 도크가 자항식과 동등한 성능의 선회성능을 보유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스러스터(400)는 종래에 사용되는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수평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본 발명의 플로팅 도크의 선회가 가능하도록 하며, 적어도 4개 이상이 상기 베이스몸체(100)의 하부에 설치되므로 본 발명의 플로팅 도크의 추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구조물의 운송이 가능한 효과를 실현케 한다.
부가하여, 본 바명의 스러스터(400)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스러스터룸(130)에 설치되는 전기모터(미도시)가 제어실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어 작동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플로팅 도크가 전기추진 기반으로 선회성능을 보유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베이스몸체(100)는 상기 스러스터(400)가 설치될 수 있도록 다수의 밸러스트 탱크모듈(110)과 펌프모듈(120)과 함께 설치되는 스러스터룸(1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스러스터룸(130)은 스러스터(400)가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와 같은 효과를 실현케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스러스터(400)는 상기 베이스몸체(100)의 하부에 설치되되, 수평회전 및 승하강되어 상하로 위치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해저가 낮은 안벽조건의 작업환경일 때 승강되고, 해저가 높은 안벽조건의 작업환경일 때 하강되어 본 발명의 플로팅 도크의 선회성능의 확보가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베이스몸체(100)의 스러스터룸(130)은 상기 스러스터(400)가 하부에 설치되되, 상기 스러스터(400)가 승하강되어 인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내입홈(132)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스러스터(400)의 승하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스러스터(400)는 해저가 매우 낮은 경우 즉, 본 발명의 베이스몸체(100)의 하부면이 해저와 근접되는 안벽조건의 작업환경인 경우에도 본 발명의 플로팅 도크가 선회성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승강될 때, 하부 즉, 하부말단이 밸러스트 탱크모듈(110) 즉, 본 발명의 베이스몸체(100)의 하부면까지 상승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러스터(400)가 승하강되는 구조를 설명하면, 상기 스러스터룸(130)은 설치되는 실린더(미표시)와, 상기 실린더의 하부에 상기 스러스터(400)가 수평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수평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플레이트(미표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에 스러스터(400)가 설치된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스러스터룸(130)과 인접한 밸러스트 탱크모듈(110)은 하부에 상기 스러스터룸(130)의 내입홈(132)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추진홈(1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추진홈(112)은 상기 스러스터(400)의 하부말단이 밸러스트 탱크모듈(110)의 하부면가지 상승되면 상기 내입홈(132) 안에서만의 해수 유동만으로는 선회성능의 확보가 어렵기 때문에 해수의 유동을 더욱더 확장시켜 선회성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전기추진 기반 전방위 추진기 적용 개방식 플로팅 도크는 해상의 환경이 불안정할 때, 보다 안정적이고 안전하게 구조물의 로드아웃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설치가 가능하고, 해저의 바닥면에 하부가 고정되는 스퍼드(7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퍼드(700)는 종래에 일반적으로 해양인프라 및 해양자원개발을 위한 해상설치공가, 유지보수 작업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해상작업용 잭업 바지선(Jack-up Barge)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평상시에는 분리된 상태로 구조물의 로드아웃을 진행하다가 해상의 환경이 불안정할 때 설치되어 상기와 같은 효과를 실현케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전기추진 기반 전방위 추진기 적용 개방식 플로팅 도크는 상기 베이스몸체(100)와 상기 수직격벽(20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스퍼드관통홀(500)과, 상기 수직격벽(200)의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스퍼드관통홀(500)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승강부(600) 및 상기 스퍼드관통홀(500)과 상기 승강부(600)에 관통되어 설치되되,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승강부(600)에 의해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스퍼드(7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퍼드관통홀(500)은 상기 베이스몸체(100)와 상기 수직격벽(200)을 관통하여 형성됨에 따라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상기 스퍼드(700)가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승강부(600)는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수직격벽(200)의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스퍼드관통홀(500)과 상기 중공이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스퍼드(700)가 상기 스퍼드관통홀(500)과 상기 중공에 관통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스퍼드(700)는 다수의 지지기둥(710)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브릿지(720)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하나의 기둥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승강부(600)의 중공에 관통되어 설치되되, 상기 승강부(600)에 의해 승하강 가능하여 필요시 설치하거나 분리하여 제거할 수 있다.
부가하여, 상기 스퍼드(700)가 상기 승강부(600)에 의해 승하강되는 구조는 종래에 사용되는 승하강 구조 중 어떠한 구조를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래크와 피니언 기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설명하면, 상기 스퍼드(700)의 지지기둥(710) 각각의 외측면에는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한 쌍의 래크기어(미표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승강부(600)는 내측에 상기 래크기어와 대응되어 맞물리는 피니언기어(미표시)와, 외측에 상기 피니언기어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피니언기어를 회전시키는 다수의 구동실린더(미표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스퍼드(700)의 승하강은 상기 승강부(600)의 구동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상기 피니언기어가 회전되면 상기 피니언기어와 맞물리는 래크기어에 의해 승강 또는 하강된다.
이때, 상기 스퍼드(700)는 본 발명의 전기추진 기반 전방위 추진기 적용 개방식 플로팅 도크에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유닛(7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유닛(730)들은 상하부에 다른 유닛(730)이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여 필요시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부가하여, 상기 유닛(730)은 상부에 돌출형성되는 수결합돌기(731)와, 하부에 상기 수결합돌기(731)가 내입되는 내입홈(미표시)이 형성되는 암결합돌기(73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결합돌기(731)가 상기 압결합돌기(732)의 내입홈에 내입되어 결합된 후 다수의 볼트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상호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닛(730)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다수의 지지기둥(710)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브릿지(720)에 의해 연결되어 구성됨은 자명할 것이다.
아울러, 상기 스퍼드(700)는 보다 안정적으로 본 발명의 플로팅 도크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부의 폭이 점점 넓어지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하부의 폭이 점점 넓어지는 구성은 스퍼드관통홀(500)과 승강부(600)에 설치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이하와 같은 구조로 스퍼드(700)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스퍼드(700)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다수의 유닛(730)들이 상하로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길이를 가진다. 이때, 상기 유닛(730)은 종래의 스퍼드와 같이 폭이 일정한 형태의 상하방향의 길이를 갖는 즉, 스퍼드관통홀(500)과 승강부(600)에 설치가 가능한 폭으로 형성되는 상부유닛부재(734)와, 상기 상부유닛부재(734)의 하부에 상부가 회전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고 폭의 조절이 가능하며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조절된 폭이 커지는 하부유닛부재(7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부가하여, 상기 상부유닛부재(734)는 복수 개의 상부유닛(734a)이 결합되어상하방향으로 길이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유닛부재(736)는 복수 개의 하부유닛(736a)이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길이를 형성하며, 상기 하부유닛(736a)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브릿지(720)가 지지기둥(710)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브릿지(720)가 적어도 두개 이상으로 구성되되, 각각이 힌지결합되어 접철식으로 접어졌다 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유닛(736a)의 브릿지(720)는 보다더 유연성을 부가하기 위해 힌지결합이 단순히 힌지에 의한 한방향의 회전이 아닌 유니버셜조인트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하부유닛(736a)의 브릿지(720)는 하부에 위치한 하부유닛(736a)일 수록 펴지는 길이가 길도록 형성되어 하부에 위치한 하부유닛(736a)일수록 폭이 커지게되어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폭이 커지게 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본 발명의 플로팅 도크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하부유닛(736a)은 브릿지(720)가 접어졌을 때의 폭이 상기 상부유닛부재(734)의 상부유닛(734a)의 폭과 같아 상기 승강부(600)에 설치된 후 상기 스퍼드관통홀(500)을 관통하여 베이스몸체(100)의 하부로 이동되며, 이동된 후 상기 브릿지(720)가 펼쳐져 폭이 커짐으로써, 상기와 같은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상기 하부유닛(736a)은 폭의 조절을 위한 구성으로 중앙에 위치되는 중앙기둥(736a-1)과, 후방이 상기 중앙기둥(736a-1)에 힌지결합되고 전방이 지지기둥(710)에 힌지결합되는 조절실린더(736a-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조절실린더(736a-2)의 작동에 의해 접철된 브릿지(720)가 접어졌다 펴짐으로써, 폭이 조절된다.
아울러, 상기 중앙기둥(736a-1)은 각각의 하부유닛(736a)이 상하부에 결합될 때, 각각의 하부유닛(736a)의 중앙기둥(736a-1)의 상하부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중앙기둥(736a-1)과 지지기둥(710)과 조절실린더(736a-2) 및 브릿지(720)가 힌지결합됨에 따라 상기 하부유닛(736a)이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중앙기둥(736a-1)들의 결합은 앞서 설명된 지지기둥(710)의 결합과 같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종래의 클램프 또는 핀결합 방식과 같은 구성을 이용한 기둥 결합방식 중 어떠한 방법을 사용하여도 무방함은 자명할 것이다.
즉, 상기 하부유닛(736a)은 상기 중앙기둥(736a-1)과 지지기둥(710)과 조절실린더(736a-2) 및 브릿지(720)가 힌지결합됨에 따라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기 힘들지만 최초 즉, 가장 하부에 위치한 하부유닛(736a)을 승강부(600)에 설치한 후 상기 중앙기둥(736a-1)들이 결합되면서 상부에 위치한 지지기둥(736a-1)에 의해 지지되어 안정적으로 하부유닛(736a)이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하부유닛(736a)의 안정적인 형태의 유지를 위해 상기 상부유닛(734a)은 중앙에 상기 하부유닛(736a)의 중앙기둥(736a-1)과 대응되는 즉, 상기 중앙기둥(736a-1)과 동일한 형상으로 상기 중앙기둥(736a-1)에 결합 가능하도록 위치되는 중앙기둥(734a-1)과, 상기 중앙기둥(734a-1)을 상기 상부유닛(734a)의 지지기둥(710)에 고정하는 고정브릿지(734a-2)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하부유닛(736a)의 형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부가하여,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스퍼드(700)의 설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브릿지(720)가 접철되어 접어진 가장 하부에 위치되는 하부유닛(736a)을 승강부(600)에 먼저 설치한 후 상기 가장 하부에 위치되는 하부유닛(736a)의 상부에 다른 하부유닛(736a)을 결합하되, 중앙기둥(736a-1)을 연결하고, 이어서 승강부(600)를 통해 가장 하부에 위치되는 하부유닛(736a)과 다른 하부유닛(736a)으로 구성된 하부유닛부재(736)를 일정거리 하강시킨 다음 상기 다른 하부유닛(736a)의 상부에 상기와 같이 복수 개의 하부유닛(736a)을 결합하고 하강시키는 방법을 순차적으로 진행시킨 후 가장 상부의 하부유닛(736a)의 상부에 순차적으로 상부유닛(734a)을 결합시키며 하강시켜 상부유닛부재(734)를 하부유닛부재(736)의 상부에 결합하여 스퍼트(700)를 설치하고, 가장 하부의 하부유닛(736a)이 해저의 바닥면에 닿기전에 조절실린더(736a-2)를 작동시켜 하부유닛(736a)들의 폭을 조절한뒤 해저의 바닥면에 가장 하부의 하부유닛(736a)의 하부말단이 닿도록 설치함으로써, 스퍼드(700)에 의해 본 발명의 플로팅 도크가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고정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하부유닛(736a)과 상부 또는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유닛(736a)의 지지기둥(710)은 폭의 조절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힌지결합된다.
아울러, 상부유닛(734a)와 하부유닛(736a)에 설치되는 중앙기둥(734a-1)(736a-1)은 종래의 스퍼드보다 본 발명의 스퍼드(700)의 내구성이 보다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전기추진 기반 전방위 추진기 적용 개방식 플로팅 도크는 한 방향으로만 구조물의 로드아웃이 가능한 종래의 플로팅 도크에 비해 선수 방면 뿐만 아니라 선미, 선측 방면으로도 구조물의 로드아웃이 가능하여 도크의 공간 활용이 용이하고, 더불어 다수의 스러스터(400)를 이용하여 자항식과 동등한 선회성능을 보유함은 물론, 상기 스러스터(400)의 승하강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안벽조건에 따른 작업환경에 적용이 용이하여 더욱더 도크의 공간활용이 용이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퍼드(700)를 선택적으로 설치가능하여 불안정한 해상 환경일 때, 상기 스퍼드(700)를 설치함으로써, 구조물의 로드아웃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할 수 있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0 : 베이스몸체
110, 210 : 밸러스트 탱크모듈
112 : 추진홈
120 : 펌프모듈
130 : 스러스터룸
132 : 내입홈
200 : 수직격벽
300 : 크레인
400 : 스러스터

Claims (6)

  1. 다수의 밸러스트 탱크모듈(110)과 상기 밸러스트 탱크모듈(110)의 내부로 물을 주입 및 배출하는 펌프모듈(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베이스몸체(100);와
    상기 베이스몸체(100)의 전방 양측과 후방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전후방향과 양측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을 통해 로드아웃이 가능하도록 하는 수직격벽(200);과
    상기 수직격벽(2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크레인(300); 및
    상기 베이스몸체(100)의 하부 전방과 후방에 각각 한 쌍으로 설치되어 자항식 추진이 가능하도록 하는 스러스터(4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러스터(400)는
    상기 베이스몸체(100)의 하부에 설치되되, 수평회전 및 승하강되어 상하로 위치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베이스몸체(100)는
    상기 스러스터(400)가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스러스터(400)가 승하강되어 인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도록 내입홈(132)이 형성된 스러스터룸(13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러스터(400)는
    승강될 때, 하부가 밸러스트 탱크모듈(110)의 하부면까지 상승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편,
    상기 스러스터룸(130)과 인접한 밸러스트 탱크모듈(110)은
    상기 스러스터룸(130)의 내입홈(132)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추진홈(11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추진 기반 전방위 추진기 적용 개방식 플로팅 도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격벽(200)은
    복수 개의 밸러스트 탱크모듈(210)로 이루어지고, 상기 펌프모듈(120)에 의해 내부로 물이 주입 및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추진 기반 전방위 추진기 적용 개방식 플로팅 도크.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추진 기반 전방위 추진기 적용 개방식 플로팅 도크는
    상기 베이스몸체(100)와 상기 수직격벽(20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스퍼드관통홀(500);과
    상기 수직격벽(200)의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스퍼드관통홀(500)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승강부(600); 및
    상기 스퍼드관통홀(500)과 상기 승강부(600)에 관통되어 설치되되,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승강부(600)에 의해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스퍼드(7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추진 기반 전방위 추진기 적용 개방식 플로팅 도크.
KR1020200069794A 2020-06-09 2020-06-09 전기추진 기반 전방위 추진기 적용 개방식 플로팅 도크 KR102329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794A KR102329666B1 (ko) 2020-06-09 2020-06-09 전기추진 기반 전방위 추진기 적용 개방식 플로팅 도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794A KR102329666B1 (ko) 2020-06-09 2020-06-09 전기추진 기반 전방위 추진기 적용 개방식 플로팅 도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9666B1 true KR102329666B1 (ko) 2021-11-22

Family

ID=78717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9794A KR102329666B1 (ko) 2020-06-09 2020-06-09 전기추진 기반 전방위 추진기 적용 개방식 플로팅 도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966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2284A (ko) * 2011-10-18 2013-04-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도크 및 부유식 도크에서의 선박 진수 방법
KR101315190B1 (ko) 2011-12-09 2013-10-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플로팅 도크 및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제작방법
KR20140050792A (ko) * 2012-10-22 2014-04-3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플로팅 도크
KR20140071090A (ko) * 2012-12-03 2014-06-1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KR20160100037A (ko) * 2015-02-13 2016-08-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도크 구조체
KR20170033205A (ko) 2015-09-16 2017-03-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회전 격벽을 포함하는 플로팅 도크 및 이를 이용한 해상 구조물 건조 공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2284A (ko) * 2011-10-18 2013-04-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도크 및 부유식 도크에서의 선박 진수 방법
KR101315190B1 (ko) 2011-12-09 2013-10-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플로팅 도크 및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제작방법
KR20140050792A (ko) * 2012-10-22 2014-04-3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플로팅 도크
KR20140071090A (ko) * 2012-12-03 2014-06-1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KR20160100037A (ko) * 2015-02-13 2016-08-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도크 구조체
KR20170033205A (ko) 2015-09-16 2017-03-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회전 격벽을 포함하는 플로팅 도크 및 이를 이용한 해상 구조물 건조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0560B1 (ko) 풍력 에너지 발전소 및 구성 방법
US8820254B2 (en) Catamaran ship used for assembling, transporting and installing a marine wind turbine on the seafloor
US2699321A (en) Deepwater oil drilling and storage craft
EP3583269A1 (en) Framework for installing an offshore windmill
KR20210010997A (ko) 윈드 터빈 및 윈드 터빈을 설치하기 위한 방법
WO2017058098A1 (en) A mobile dock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reof
TWI770460B (zh) 浮體構造物設置系統、以及浮體構造物設置方法
CN110758702A (zh) 一种可船内维护的伸缩式推进器系统
JP3663693B2 (ja) 大型構造物の製造作業方法及び修理作業方法並にこれらの方法の実施に用いるバージ
KR102329666B1 (ko) 전기추진 기반 전방위 추진기 적용 개방식 플로팅 도크
KR100952910B1 (ko) 부양식 수문 독 및 그의 선박 건조방법
WO2010109243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ling a submersible item
GB2485678A (en) Jack-up vessel system for offshore transport and handling of cargo
EP3243734B1 (en) Assembly of a vessel and a floating module
NL1023320C2 (nl) De uitvinding heeft betrekking op een methode voor fabricage, installatie en verwijderen van een offshore platform.
EP2876040B1 (en) In-ship removal-type thruster device
KR101302206B1 (ko) 선박용 추진기 설치방법
KR100967887B1 (ko) 독 배치 구조 및 그의 선박 건조방법
NL2005370A (en) Floating marine structure with suction piles and vessel.
KR101140399B1 (ko) 확장형 부유식 도크 및 이를 이용한 선박 건조 공법
JP3229239U (ja) モジュール式オフショア多機能作業プラットフォーム及び一体式操作プラットフォーム
KR100640189B1 (ko) 선박의 독 구조
JPH07149286A (ja) ケーソン建造進水用非水密ドック及びバージ
SU1188249A1 (ru) Плавучий кессон-завод
JP2022074879A (ja) 浮体構造物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