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8208B1 - 추진기의 유지보수 장치 - Google Patents

추진기의 유지보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8208B1
KR101498208B1 KR20130139564A KR20130139564A KR101498208B1 KR 101498208 B1 KR101498208 B1 KR 101498208B1 KR 20130139564 A KR20130139564 A KR 20130139564A KR 20130139564 A KR20130139564 A KR 20130139564A KR 101498208 B1 KR101498208 B1 KR 101498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base plate
maintenance
propell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39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길
이동현
박광근
송지수
노재욱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39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82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8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8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125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movably mounted with respect to hull, e.g. adjustable in direction, e.g. podded azimuthing thrus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추진기의 유지보수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진기의 유지보수 장치는, 프로펠러 덕트부가 입출되는 개구를 갖도록 선체에 설치되는 유지보수룸과, 프로펠러 덕트부의 저부에 설치되는 레그와, 개구를 개폐하는 기저판에 레그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장착수단과, 기저판을 개구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추진기의 유지보수 장치{APPARATUS FOR MAINTENANCE OF AZIMUTH THRUSTER}
본 발명은 추진기의 유지보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전 탐사를 위해 사용되는 드릴쉽(Drillship, 시추선)에는, 항해나 위치 제어를 위한 추력을 제공하는 아지무스 스러스터(azimuth thruster)가 사용하고 있다.
아지무스 스러스터는 추진기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선체 내부에 위치하고, 수평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회전기어모듈을 이용하여 모든 방위각, 즉 전방위에 대해 추력을 낼 수 있다. 아지무스 스러스터는 용도에 따라 덕트(duct)를 가지지 않는 개방형 추진기(예: 프로펠러)를 가질 수 있으며, 정지시 추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덕트를 가지는 덕트형 추진기 형태로 제작되어 있을 수 있다.
아지무스 스러스터의 설치 방법 중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에는 수중 설치 방법이 있다. 예컨대, 크레인(crane)을 통하여 선체 근처로 이동된 아지무스 스러스터는 크레인의 케이블과 연결되어 물속으로 유입된다. 이때 선체와 연결된 또 다른 케이블이 아지무스 스러스터와 연결되어 스러스터 위치를 잡게 된다. 이 후 볼팅 작업을 통해서 스러스터 위치에 아지무스 스러스터가 구속된다.
이러한 수중 설치 방법의 아지무스 스러스터는 수면 아래에 위치하므로, 아지무스 스러스터의 고장시 수중에서 직접 교체작업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매우 먼 거리에 있는 육상의 도크(dock)로 이동시켜 수리할 수 밖에 없다. 이는 이동/수리 기간 동안의 시추선 사용 비용에 해당하는 매우 큰 손실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수중 설치 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캐니스터 설치(canister-type installation)방법이 제안되기도 하였다.
캐니스터는 아지무스 스러스터의 구동을 위해 필요한 각종 장치 등을 담고 있는 일종의 용기(container)로서, 선박의 트렁크의 내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이동 또는 고정 가능하게 설치되고, 캐니스터의 밑 부분에 아지무스 스러스터를 부착할 수 있다. 이 캐니스터의 옆 또는 윗 부분 내지 그와 대응되는 트렁크에는 잭킹장치(jacking system)가 부착된다. 잭킹장치는 잭킹모터, 랙 및 피니언 등을 구비하여, 캐니스터를 트렁크의 내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올릴 수 있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한편, 캐니스터 아지무스 스러스터(이하, '캐니스터 스러스터'라 칭함)는 수리의 용이성과 더불어, 추진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항해시 캐니스터 스러스터의 캐니스터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캐니스터의 아래에 장착된 아지무스 스러스터를 선체 내부, 즉 트렁크의 내부에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트렁크의 내부로 들어온 아지무스 스러스터는 항해를 위한 추진에 사용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이 캐니스터 스러스터는 3가지 운용 모드(mode)를 갖고 있다.
예컨대, 첫 번째는 일반적인 위치 제어에 사용하도록 아지무스 스러스터를 선체 외부에 위치시키는 위치제어 모드(DP mode)이고, 두 번째는 항해를 위해 선수부쪽 아지무스 스러스터를 선체 내부로 들어 올린 트랜싯 모드(transit mode)이고, 세 번째는 수리를 위해 아지무스 스러스터를 일정 높이의 수리 공간으로 들어 올린 유지보수 모드(maintenance mode)이다.
위치 제어를 위해서는 아지무스 스러스터가 선체 외부로 나와서 정상적인 추력을 발생시킨다. 항해시는 선수부쪽 아지무스 스러스터는 저항이 최소화 되게 선체 내부로 들어 올려지며, 추력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또한 수리 시에는 수리에 해당하는 위치(level)까지 아지무스 스러스터 및 캐니스터를 트렁크 내부에서 들어 올려 수리를 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 일반적인 아지무스 스러스터를 분리 또는 결합시키는 장치 구성에서는 유지 및 보수를 위하여 물속의 잠수부가 직접 아지무스 스러스터를 선저 아래쪽으로 분리한 다음, 별도의 해상크레인을 사용하여 수중 밖으로 상기 아지무스 스러스터를 옮겨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캐니스터 스러스터의 경우, 캐니스터가 유지보수를 위해 트렁크의 상부 쪽으로 이동한 경우, 트렁크 내부로 해수가 차오를 수 있고, 이때, 해수의 흘수 보다 높은 쪽에 트렁크와 연결된 개방된 유지보수 공간이 있더라도, 선박이 해수에 의해 요동할 수 있어서, 상기 해수가 유지보수 공간으로 범람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유지보수 작업자의 안전이 위험해 질 수 있다.
특히, 캐니스터 스러스터에서 프로펠러 덕트를 교체하는 등의 중정비가 필요한 경우, 트렁크 내에서 프로펠러 덕트만을 트렁크의 상부 쪽으로 이동하여 새로운 프로펠러 덕트와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03159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선체의 유지보수룸에서 승강하는 프로펠러 덕트부의 하부의 레그를 기저판에서 착탈하여, 프로펠러 덕트부를 용이하게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추진기의 유지보수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프로펠러 덕트부가 입출되는 개구를 갖도록 선체에 설치되는 유지보수룸; 상기 프로펠러 덕트부의 저부에 설치되는 레그;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기저판에 상기 레그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장착수단; 및 상기 기저판을 상기 개구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착수단은 상기 레그에 장착되고, 단부에 걸림후크가 구비되는 지지부; 상기 기저판에 설치된 본체의 안착홈부에 상기 지지부가 안착될 때, 걸림핀을 통해 상기 걸림후크를 고정하는 클램핑부; 및 상기 걸림후크를 고정하기 위한 작동력을 상기 걸림핀에 제공하는 작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레그의 단부에 고정되는 제 1 지지대; 및 링크편을 매개로 상기 제 1 지지대에 링크 연결되고, 단부에 상기 걸림후크가 구비된 제 2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레그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속편; 상기 구속편의 가압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본체의 하부에 장착되고, 상면에 제 1 레크나사산이 형성되는 제 1 이동바; 상기 본체의 상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단부에 상기 걸림핀에 접촉되는 테이퍼면이 형성되며, 하면에 제 2 레크나사산이 형성되는 제 2 이동바; 상기 제 1 레크나사산과 상기 제 2 레크나사산 사이에 맞물려 작동력을 전달하는 피니언기어; 상기 제 1 이동바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 1 탄성부재; 및 상기 걸림핀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 2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부는 상기 레그에 장착되고, 작동로드를 매개로 상기 구속편에 연결되어 상기 구속편을 승강시키기 위한 작동력을 제공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추진기의 유지보수 장치는 유지보수룸의 내부로 들어온 프로펠러 덕트부의 레그와 기저판을 착탈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룸 내에서 프로펠러 덕트부를 손쉽게 해체 또는 교체하는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선체에 설치된 유지보수룸을 제공하되, 추진기의 유지보수를 위해 프로펠러 덕트부를 유지보수룸의 내부로 상승시켜 수납시킴과 동시에, 추진기의 저부에 마련된 기저판으로 선체의 외부쪽으로 개방된 부위를 밀폐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유지보수룸 내 해수를 배수시킨 상태에서, 유지보수룸으로 들어가 추진기에 대한 유지보수 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진기의 유지보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추진기의 유지보수 장치의 내부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진기의 유지보수 장치에서 레그의 지지부가 기저판의 클램핑부에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도 2에 도시된 유지보수 장치의 작동 및 유지보수 상태를 보인 내부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추진기의 유지보수 장치는 추진기용 프로펠러 덕트부 및 기저판을 선체 외부에 위치시켜 일반적인 선박의 위치 제어에 사용하는 위치제어 모드(DP mode)와, 항해 또는 수리, 유지보수 등을 위해 프로펠러 덕트부를 유지보수룸의 내부로 위치시키거나, 프로펠러 덕트부를 일정 높이의 수리 공간으로 들어 올린 트랜싯 및 유지보수 모드(transit & maintenance mode)로 운용될 수 있는 추진기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유지보수룸은 선체의 트렁크와 유사한 구조물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진기의 유지보수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추진기의 유지보수 장치의 내부를 보인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추진기의 유지보수 장치는, 수리 또는 교체와 같은 정비를 위해, 기저판에서 프로펠러 덕트부(10)를 분리하여 일정 높이의 수리 공간으로 들어올릴 수 있다.
이러한 추진기의 유지보수 장치는 유지보수룸(100), 레그(200), 장착수단(300) 및 체결수단(400)을 포함할 수 있다.
유지보수룸(100)은 선체에 연결된 벽체 구조물로, 프로펠러 덕트부(10)가 설치되는 선체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유지보수름의 하부에는 선체의 외부쪽(예: 선저쪽)으로 개방된 개구(101)가 형성될 수 있고, 유지보수룸(100)의 상부는 개방되어 있거나 착탈 가능한 해치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유지보수룸(100)의 측벽에는 작업자가 유지보수룸(100)의 내부로 출입하기 위한 액세스도어(130)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유지보수룸(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는 배수 처리 설비를 갖는 펌프실(140)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 펌프실(140)은 작업자가 유지보수룸(100)의 내부로 들어가기 전, 기저판(110)이 선체의 구멍을 밀폐시킨 상태에서, 유지보수룸(100) 내의 해수를 배수시킬 수 있다.
유지보수룸(100)은 유지보수룸(100) 내의 미니캔 혹은 캐니스터 구조물인 모터모듈(500)이 유지보수룸(100) 내에서 승강할 수 있게 하는 구조물일 수 있다. 여기서, 모터모듈(500)은 프로펠러 덕트부(10)의 프로펠러를 회전시켜 추력을 발생시키거나, 또는 경우에 따라 프로펠러 덕트부(10)의 프로펠러 및 덕트를 전방향(예: 360각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모터모듈(500)은 유지보수룸(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승강수단(550)에 의해 승강될 수 있다. 여기서, 승강수단(550)은 볼스크류 타입 또는 윈치 타입 또는 랙 앤 피니언 타입 등으로서 다양한 방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승강수단(550)으로서, 볼스크류 타입이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승강수단(550)은 유지보수룸(100)의 위쪽 부위에 설치되는 승강모터(551)와, 미 도시된 변속기어모듈을 통해 승강모터(551)의 회전샤프트로부터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유지보수룸(100)의 내부에서 수직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볼스크류샤프트(552)와, 볼스크류샤프트(552)의 회전을 지지하는 제 1 축지지부(553)와 제 2 축지지부(554)와, 볼스크류샤프트(552)에 나사결합되도록 모터모듈(500)의 날개부(460)에 설치되는 볼스크류너트(555)와, 승강모터(551)의 회전샤프트에 정지력을 제공하는 모터브레이크모듈(미 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승강수단(550)의 모터브레이크모듈은 승강모터(551)에 모터전압이 인가되지 않을 때, 승강모터(551)의 회전샤프트가 외력에 의해 회전되지 않도록, 승강모터(551)의 회전샤프트에 정지력을 작용하고, 승강모터(551)에 모터전압이 인가되었을 때, 승강모터(551)의 회전샤프트에 작용한 정지력을 해제할 수 있다.
그리고 승강수단(550)의 작동 방법은 볼스크류 이송 방식과 유사하고, 볼스크류샤프트(552)에 연결된 볼스크류너트(555)에 의해서, 모터모듈(500)을 상승 또는 하강, 즉 승강시킬 수 있다. 모터모듈(500)의 승강시, 모터모듈(500)의 저부에 연결된 구성품들, 예를 들어, 모터모듈(500)의 저부에 결합된 프로펠러 덕트부(10) 및 레그(200)가 모두 승강될 수 있다.
레그(200)는 프로펠러 덕트부(10)의 저부에 설치되며, 장착수단(300)을 통해 기저판(110)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작업자는 프로펠러 덕트부(10)를 교체하는 중정비를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장착수단(300)을 통해 레그(200)를 기저판(110)으로부터 분리하여 모터모듈(500), 프로펠러 덕트부(10) 및 레그(200)를 유지보수룸(100)의 내측 상부쪽으로 더 상승시킬 수 있다.
장착수단(300)은 레그(200)를 기저판(110)에서 착탈 또는 취부시키기 위해, 지지부(310), 클램핑부(320) 및 작동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310)는 레그(200)의 하단부에 장착되고, 걸림후크(314)를 통해 기저판(110)의 클램핑부(320)에 착탈될 수 있다. 이 지지부(310)는 레그(200)의 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 1 지지대(311)와, 걸림후크(314)가 구비된 제 2 지지대(312)와, 제 1 지지대(311) 및 제 2 지지대(312)를 서로 링크 연결하는 링크편(313)을 포함할 수 있다.
클램핑부(320)는 본체(321)의 안착홈부(322)에 지지부(310)가 안착될 때, 안착홈부(322)에 삽입된 걸림후크(314)를 걸림핀(323)을 통해 선택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본체(321)는 기저판(110)의 상면에 설치되고, 본체(321)의 상면에는 지지부(310)가 삽입되어 전개되는 안착홈부(322)가 형성되고, 본체(321)의 양측부에는 후술하는 체결수단(400)의 체결구멍부(4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클램핑부(320)는 구속편(341), 제 1 이동바(342), 제 2 이동바(343), 피니언기어(344), 제 1 탄성부재(345) 및 제 2 탄성부재(346)를 포함할 수 있다.
클램핑부(320)의 구속편(341)은 작동부(330)를 통해 레그(20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구속편(341)의 하부에는 제 1 이동바(342)와 접촉 가능한 쐐기면(341a)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이동바(342)는 본체(321)의 하부 내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면에 피니언기어(344)와 맞물리는 제 1 레크나사산(342a)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이동바(343)는 본체(321)의 상부 내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전단부에 테이퍼면(343b)가 형성되고, 하면에 피니언기어(344)와 맞물리는 제 2 레크나사산(343a)이 형성될 수 있다.
클램핑부(320)의 피니언기어(344)는 제 1 이동바(342)와 제 2 이동바(343) 간의 작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제 1 레크나사산(342a)과 제 2 레크나사산(343a) 사이에 맞물리는 다수개의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피니언기어(344)는 서로 맞물리는 3개의 피니언기어(344a, 344b, 344c)로 구성되지만, 이 피니언기어(344)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제 1 이동바(342)와 제 2 이동바(343)이 서로 역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피니언기어(344)가 홀수개로 구성되어야 한다.
클램핑부(320)의 제 1 탄성부재(345)는 본체(321)의 하부에서 제 1 이동바(342)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므로, 구속편(341)의 가압 해제시 제 1 이동바(342)를 원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 2 탄성부재(346)는 본체(321)의 상부에서 걸림핀(323)의 걸림돌기(323a)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므로, 구속편(341)의 가압 해제시 걸림핀(323)을 원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작동부(330)는 걸림후크(314)를 고정하기 위한 작동력을 걸림핀(323)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동부(330)는 작동로드(332)를 매개로 구속편(341)에 구동 연결되는 액츄에이터(331)일 수 있다. 이 액츄에이터(331)는 레그(200)에서 구속편(341)을 승강시킴으로써, 레그(200)를 기저판(110)의 클램핑부(320)에서 착탈시킬 수 있다.
이하, 레그(200)의 지지부(310)가 기저판(110)의 클램핑부(320)에 장착되는 과정을 통해,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수단(300)의 작동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4 내지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진기의 유지보수 장치에서 레그의 지지부가 기저판(110)의 클램핑부에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저판(110)에서 분리 상태인 프로펠러 덕트부(10)를 기저판(110)에 장착하기 위해, 프로펠러 덕트부(10)를 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지지부(310)는 자중에 기저판(110)에 장착된 본체(321)를 향해 하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펠러 덕트부(10)의 레그(200)가 본체(321)의 안착홈부(322)에 진입되면, 지지부(310)의 제 2 지지대(312)가 안착홈부(322)의 양단부측으로 꺾이면서, 지지부(310)의 제 1 지지대(311), 링크편(313) 및 제 2 지지대(312)가 안착홈부(322)에서 전개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310)가 본체(321)의 안착홈부(322)에 완전하게 전개되면, 지지부(310)를 고정하기 위해, 작동부(330)에서 작동력이 클램핑부(320)의 제 1 이동바(342)에 전달되고, 클램핑부(320)의 걸림핀(323)은 제 1 이동바(342), 피니언기어(344), 제 2 이동바(343)를 통해 작동력을 전달받아 지지부(310)의 걸림후크(314)를 고정할 수 있다.
예컨대, 작동부(330)의 액츄에이터가 구속편(341)을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구속편(341)은 제 1 이동바(342)를 푸쉬하여 제 1 이동바(342)를 일방향(도면의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 1 이동바(342)는 제 1 이동바(342)의 제 1 레크나사산(342a)에 맞물려 있는 피니언기어(344)를 회전시켜, 제 2 이동바(343)를 타방향(도면의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걸림핀(323)은 제 2 이동바(343)의 이동에 의해 하방향으로 푸쉬되면서, 지지부(310)의 걸림후크(314)를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저판(110)에 장착된 프로펠러 덕트부(10)를 기저판(110)에서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상술한 작동 방식을 역순으로 진행하여 프로펠러 덕트부(10)를 기저판(110)에서 분리할 수 있다.
한편, 체결수단(400)은 기저판(110)을 개구(101)에 고정시키기 위해, 작동실린더(334), 체결구멍부(410) 및 록킹핀(335)을 포함할 수 있다.
작동실린더(334)는 모터모듈(500)의 측면에 대응하는 위치인 유지보수룸(100)의 측벽부에 설치될 수 있고, 작동실린더(334)에는 유압을 제공 또는 회수하는 유압설비가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지보수품의 측벽부에 설치되지만, 선체에 별도로 마련된 설치공간에 설치될 수도 있다.
체결구멍부(410)는 기저판(110)을 유지보수룸(100)의 개구(101)에 고정하기 위해, 록킹핀(335)이 선택적으로 삽입가능한 구멍으로, 기저판(110)에 설치된 본체(321)의 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록킹핀(335)은 체결구멍부(410)에 삽입되도록 작동실린더(334)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록킹핀(335)의 끝단은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체결구멍부(410)에 용이하게 삽입 또는 결합이 가능할 수 있고, 기저판(110)을 선체와 더욱 밀착 고정시키며 수밀을 강화시킬 수 있다.
특히, 기저판(110)과 유지보수룸(100)의 개구(101) 간의 결합시, 이들 간의 수밀 상태 또는 밀폐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기저판(110)에는 밀폐부(600)가 마련될 수 있다.
밀폐부(600)는 기저판(110)의 전체 형태와 대응되도록 라운드 직사각형의 폐곡선을 이룰 수 있으나, 밀폐부(600)의 폐곡선의 형상은 기저판(110)의 형상에 따라 바뀔 수 있다. 그리고 밀폐부(600)의 재질은 해수에 의한 부식에 강하고, 연성 또는 탄성 재질일 수 있거나, 선박 분야에서 수밀재로 사용되는 일반적인 수밀 재질일 수 있다.
밀폐부(600)는 개구(101)를 향해 돌출되도록 기저판(110)의 테두리부를 따라 마련되는 제 1 밀착패드(610)와, 제 1 밀착패드(610)에 대응되도록 개구(101)의 테두리부에 마련되는 제 2 밀착패드(620)를 포함할 수 있다(도 9 참고). 이들 제 1 밀착패드(610) 및 제 2 밀착패드(620)는 서로 교합가능한 요철 구조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지보수를 위하여 프로펠러 덕트부(10) 및 기저판(110)이 유지보수룸(100)의 내부로 들어가도록 상승될 경우, 기저판(110)이 선체의 외측면(예: 선저면) 쪽으로 가까워질 수 있고, 이 경우, 제 1 밀착패드(610)의 상면이 제 2 밀착패드(620)의 하면에 밀착되어서, 수밀 또는 밀폐 상태가 더욱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진기의 유지보수 장치의 작동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8 내지 도 11은 도 2에 도시된 유지보수 장치의 작동 및 유지보수 상태를 보인 내부 정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의 위치제어를 위해서, 추진기의 모터모듈(500)이 동작하고, 이에 따라 모터모듈(500)의 메인모터(501)의 회전력은 메인샤프트(502)와, 그 메인샤프트(502)에 축결합된 베벨기어(미 도시)와, 그 베벨기어에 축결합된 프로펠러샤프트(12)를 경유하여 프로펠러(13)에 전달되고, 그 결과, 프로펠러(13)이 회전하여 추력을 발생시킨다.
이후, 추진기의 유지보수가 필요한 경우, 모터모듈(500)의 메인모터(501)가 정지된다.
또한, 체결수단(400)의 작동실린더(334)에 유압이 공급되어서, 작동실린더(334)의 록킹핀(335)이 모터모듈(500)의 핀구멍(510)에서 분리되고, 그 결과, 모터모듈(500)의 고정 상태가 해제, 즉 모터모듈(500)이 상승될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이후, 승강수단(550)의 각 승강모터(551)가 작동되고, 승강모터(551)에 의해 모터모듈(500)이 유지보수룸(100)의 내부 공간쪽으로 이동(예: 상승)된다. 그리고 모터모듈(500)의 상승으로 인하여, 모터모듈(500)의 저부에 설치된 프로펠러 덕트부(10) 및 기저판(110)도 상승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핀(335)이 체결구멍부(410)에서 해제된 상태로서, 모터모듈(500), 프로펠러 덕트부(10), 레그(200) 및 기저판(110)은, 승강수단(550)에 의해 유지보수룸(100)의 내부쪽으로 계속해서 상승되고, 그 결과, 기저판(110)이 선체의 저면에 근접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저판(110)이 선체의 구멍을 폐쇄하는 시점, 즉 밀폐부(600)의 제 1 밀폐패드(610)와 제 2 밀폐패드(620)가 서로 교합되고, 기저판(110)의 상승이 정지되는 시점에서는, 승강모터(550)의 작동이 정지되는 대신, 모터브레이크모듈(미 도시)이 작동하여, 승강모터(550)의 회전샤프트 및 볼스크류샤프트(552)를 정지 상태로 유지한다.
이때, 본체(321)의 체결구멍부(410)과 록킹핀(335)은 수평방향으로 일치되게 위치될 수 있고, 체결수단(400)의 작동실린더(334)는 록킹 동작을 수행한다. 예컨대, 록킹핀(335)이 체결구멍부(410)을 향해 수평 이동하고, 이렇게 수평 이동하는 록킹핀(335)은 본체(321)의 체결구멍부(410)에 삽입된 후 정지될 수 있다. 이로써, 모터모듈(500), 프로펠러 덕트부(10), 레그(200) 및 기저판(110)은 하강되지 않는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후, 작업자는 펌프실(320)의 배수 처리 설비를 가동시켜서, 유지보수룸(100) 내부의 해수를 유지보수룸(100)의 밖 또는 선체 내의 밸러스팅 시스템 쪽으로 배수시킬 수 있고, 모터모듈(500), 프로펠러 덕트부(10) 등에 관하여 미리 유지보수 또는 정비 핸드북에 정해진 절차 또는 유지보수 시작시 판단한 상황에 대응하게 유지보수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프로펠러 덕트부(10)를 교체하는 중정비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작업자는 프로펠러 덕트부(10)의 레그(200)를 기저판(110)의 본체(321)로부터 분리한다. 여기서, 레그(200)를 본체(321)에서 분리하기 과정은, 상술한 장착수단의 작동 방법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후, 작업자는 승강수단(550)을 가동시켜서, 모터모듈(500) 및 프로펠러 덕트부(10) 를 유지보수룸(100)의 내측 상부쪽으로 더 상승시켜, 프로펠러 덕트부(10)와 기저판(110)을 서로 분리할 수 있다.
이런 상태에서, 작업자는 인양장비 및 교체용 지그(미 도시)를 이용하면서, 기저판(110)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의 기존 프로펠러 덕트부(10)를 모터모듈(500)에서 분리하고, 액세스도어(130)를 통해서 유지보수룸(100)의 바깥쪽 위치로 이동시키고, 선체 내에 미리 준비해 둔 새로운 프로펠러 덕트부(10')를 유지보수룸(100)의 안쪽 위치로 이동시킨 후, 모터모듈(5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유지보수룸 101 :개구
110 : 기저판 200 : 레그
300 : 장착수단 310 : 지지부
311 : 제 1 지지대 312 : 제 2 지지대
313 : 링크편 314 : 걸림후크
320 : 클램핑부 321 : 본체
322 : 안착홈부 323 : 걸림핀
330 : 작동부 341 : 구속편
342 : 제 1 이동바 343 : 제 2 이동바
344 : 피니언 기어 345 : 제 1 탄성부재
346 : 제 2 탄성부재 351 : 푸쉬바
352 : 탄성스프링 400 : 체결수단
410 : 체결구멍부

Claims (5)

  1. 프로펠러 덕트부가 입출되는 개구를 갖도록 선체에 설치되는 유지보수룸;
    상기 프로펠러 덕트부의 저부에 설치되는 레그;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기저판에 상기 레그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장착수단; 및
    상기 기저판을 상기 개구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추진기의 유지보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수단은
    상기 레그에 장착되고, 단부에 걸림후크가 구비되는 지지부;
    상기 기저판의 상면에 설치된 본체의 안착홈부에 상기 지지부가 안착될 때, 걸림핀을 통해 상기 걸림후크를 고정하는 클램핑부; 및
    상기 걸림후크를 고정하기 위한 작동력을 상기 걸림핀에 제공하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추진기의 유지보수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레그의 단부에 고정되는 제 1 지지대; 및
    링크편을 매개로 상기 제 1 지지대에 링크 연결되고, 단부에 상기 걸림후크가 구비된 제 2 지지대를 포함하는 추진기의 유지보수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레그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속편;
    상기 구속편의 가압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본체의 하부에 장착되고, 상면에 제 1 레크나사산이 형성되는 제 1 이동바;
    상기 본체의 상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단부에 상기 걸림핀에 접촉되는 테이퍼면이 형성되며, 하면에 제 2 레크나사산이 형성되는 제 2 이동바;
    상기 제 1 레크나사산과 상기 제 2 레크나사산 사이에 맞물려 작동력을 전달하는 피니언기어;
    상기 제 1 이동바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 1 탄성부재; 및
    상기 걸림핀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 2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추진기의 유지보수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레그에 장착되고, 작동로드를 매개로 상기 구속편에 연결되어 상기 구속편을 승강시키기 위한 작동력을 제공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추진기의 유지보수 장치.
KR20130139564A 2013-11-18 2013-11-18 추진기의 유지보수 장치 KR101498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9564A KR101498208B1 (ko) 2013-11-18 2013-11-18 추진기의 유지보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9564A KR101498208B1 (ko) 2013-11-18 2013-11-18 추진기의 유지보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8208B1 true KR101498208B1 (ko) 2015-03-03

Family

ID=53026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39564A KR101498208B1 (ko) 2013-11-18 2013-11-18 추진기의 유지보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820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3161A (ko) * 2010-07-02 2012-01-1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드릴쉽의 스러스터와 캐니스터의 일괄 탑재방법
KR20130053822A (ko) * 2011-11-16 2013-05-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추진기 분리형 선박 및 그 선박의 추진기 분리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3161A (ko) * 2010-07-02 2012-01-1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드릴쉽의 스러스터와 캐니스터의 일괄 탑재방법
KR20130053822A (ko) * 2011-11-16 2013-05-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추진기 분리형 선박 및 그 선박의 추진기 분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26382B2 (en) Mounting method of thruster
US6375524B1 (en) Vessel comprising a retractable thruster
JP6104404B2 (ja) 格納可能なスラスタユニットの水中部分の取り外しおよび/または取り付け方法
KR20120093217A (ko) 수축 가능한 스러스터 어셈블리를 구비한 선박
KR20150016452A (ko) 승강수단을 갖는 추진기의 유지보수 장치
CN110758702A (zh) 一种可船内维护的伸缩式推进器系统
KR101498208B1 (ko) 추진기의 유지보수 장치
EP2909082B1 (en) An thruster assembly in a marine vessel
EP2909081B1 (en) A closing cover for closing a lower part of a hoisting chamber in a hull of a marine vessel and a method of facilitating access to a lower part of a hoisting chamber
KR101808290B1 (ko) 인양장치를 구비한 선박 및 그의 인양방법
NO154874B (no) Anordning for montering av thrusterpropeller.
JP5802335B2 (ja) 船内取外し式スラスタ装置
EP2909080B1 (en) Method of handling a unit in a marine vessel and an assembly in a marine vessel
KR101359637B1 (ko) 캐니스터 스러스터 고정 장치
KR20110003451U (ko) 선박의 아지무스 스러스터 고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