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4319B1 - 연속식 하역장치 - Google Patents

연속식 하역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4319B1
KR101344319B1 KR1020120108230A KR20120108230A KR101344319B1 KR 101344319 B1 KR101344319 B1 KR 101344319B1 KR 1020120108230 A KR1020120108230 A KR 1020120108230A KR 20120108230 A KR20120108230 A KR 20120108230A KR 101344319 B1 KR101344319 B1 KR 101344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support
vehicle
rotating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8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식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8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43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4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4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fixed, or normally fixed, relative to traction element
    • B65G17/126Bucket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02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1/00Supporting frames or bases for conveyors as a whole, e.g. transportable conveyor frames
    • B65G41/02Frames mounted on wheels for movement on rail t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연속식 하역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연속식 하역장치는: 회전되는 버킷이 외측에 구비되며 선박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이송물을 퍼올리는 굴삭부와, 굴삭부에 연결되며 이송물을 상측으로 이송시키는 버킷엘리베이터와, 버킷엘리베이터와 붐으로 연결되며 이송물을 지상벨트컨베이어로 공급하는 본체부와, 본체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부와, 레일부의 외측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는 지지부와,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차량에 밀려서 레일부의 상측으로 회전되는 회전덮개부 및 차량이 통과한 후에 회전덮개부를 지지부를 향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복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속식 하역장치{CONTINUOUS SHIP UNLOADER}
본 발명은 연속식 하역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레일을 통과하는 차량의 바퀴가 레일의 사이에 끼이지 않고 안전하게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연속식 하역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 사용되는 광석 등의 원료와, 고로 작업시 광석을 용융시키기 위한 연료로 사용되는 석탄은 대부분 선박으로 이송되어 인접 부두에서 하역작업을 거친 후,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여 제철공장으로 운반된다.
선박에서부터 연료와 원료를 지상의 컨베이어 벨트로 이송하는 설비로 연속식 하역장치가 사용된다.
연속식 하역장치는, 선박의 내측에 있는 이송물을 전달받는 본체부와, 본체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부재를 포함한다.
본체부 하측에 주행휠이 구비되어 레일을 따라 이동되며, 이러한 주행휠은 별도의 브레이크 장치에 의해 회전이 구속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3-0058550호(2003.07.07 공개, 발명의 명칭: 로우 헤드 버켓 엘리베이터 형식의 연속식 하역기)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레일을 통과하는 차량의 바퀴가 레일의 사이에 끼이지 않고 안전하게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연속식 하역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 하역장치는: 회전되는 버킷이 외측에 구비되며 선박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이송물을 퍼올리는 굴삭부와, 굴삭부에 연결되며 이송물을 상측으로 이송시키는 버킷엘리베이터와, 버킷엘리베이터와 붐으로 연결되며 이송물을 지상벨트컨베이어로 공급하는 본체부와, 본체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부와, 레일부의 외측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는 지지부와,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차량에 밀려서 레일부의 상측으로 회전되는 회전덮개부 및 차량이 통과한 후에 회전덮개부를 세워진 상태로 회전시키는 복귀부를 포함한다.
또한 지지부는, 레일부와 이격되어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지지부재 및 제1지지부재와 이격되어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전덮개부는,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에 양측이 힌지 연결되며 차량에 밀려서 레일부의 상측을 덮는 회전패널 및 회전패널에서 레일부를 향한 방향으로 굽어지는 경사패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귀부는, 지지부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부재와, 롤러부재를 통과하여 회전덮개부에 일측이 연결되는 와이어부재 및 와이어부재의 타측에 연결되며 자중에 의해 와이어부재를 하측으로 견인하는 웨이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귀부는, 웨이트부재의 하측에 설치되어 웨이트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 하역장치는, 이동되는 차량에 밀려서 회전덮개부가 회전되며, 이러한 회전덮개부가 레일부의 상측에 위치하여 차량의 이동을 안내하므로, 레일을 통과하는 차량의 바퀴가 레일의 사이에 끼이지 않고 안전하게 이동하여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덮개부가 회전되기 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덮개부를 향하여 차량이 이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덮개부가 차량에 밀려서 회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 하역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덮개부가 회전되기 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덮개부를 향하여 차량이 이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덮개부가 차량에 밀려서 회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장치(1)는, 회전되는 버킷(22)이 외측에 구비되며 선박(10)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이송물(12)을 퍼올리는 굴삭부(20)와, 굴삭부(20)에 연결되며 이송물(12)을 상측으로 이송시키는 버킷엘리베이터(30)와, 버킷엘리베이터(30)와 붐(42)으로 연결되며 이송물(12)을 지상벨트컨베이어(16)로 공급하는 본체부(40)와, 본체부(40)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부(50)와, 레일부(50)의 외측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는 지지부(60)와, 지지부(6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차량(14)에 밀려서 레일부(50)의 상측으로 회전되는 회전덮개부(70) 및 차량(14)이 통과한 후에 회전덮개부(70)를 세워진 상태로 회전시키는 복귀부(80)를 포함한다.
선박(10)에 실려 있는 이송물(12)을 부두로 하역하는 연속식 하역장치(1)는, 선박(10)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굴삭부(20)를 구비한다.
회전되는 버킷(22)이 외측에 구비되는 굴삭부(20)는, 선박(10)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이송물(12)을 퍼올리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굴삭부(20)는 수직으로 설치된 버킷엘리베이터(30)의 하부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다.
굴삭부(20)의 둘레를 따라 체인이 이동되며, 이러한 체인에는 버킷(22)이 연결되어 체인과 함께 이동하면서 선박(10)에 있는 이송물(12)을 이송시킨다.
굴삭부(20)의 상측에 연결된 버킷엘리베이터(30)는, 굴삭부(20)의 둘레를 따라 이동하는 버킷(22)을 상측으로 이송시킨다.
따라서, 버킷(22)의 내측에 담긴 이송물(12)도 버킷엘리베이터(30)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된다.
버킷엘리베이터(3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버킷엘리베이터(30)의 내측을 따라 체인에 연결된 버킷(22)이 종방향으로 이동된다.
버킷엘리베이터(30)와 붐(42)으로 연결된 본체부(40)는, 지상벨트컨베이어(16)로 이송물(12)을 공급한다.
버킷엘리베이터(30)의 상측과 연결된 붐(42)은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며, 이송물(12)은 버킷엘리베이터(30)와 붐(42)을 통해 본체부(40)로 이동한다.
본체부(40)의 하부 양측에는 주행휠(44)이 설치된다. 서로 이격된 2개의 주행휠(44)이 한쌍을 이루며 본체부(40)의 하부에 복수로 설치된다.
지면(56)의 상측에는 본체부(40)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부(50)가 설치된다. 이러한 레일부(50)는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는 제1레일(52)과 제2레일(54)을 포함한다.
제1레일(52)과 제2레일(54)은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며, 이러한 제1레일(52)과 제2레일(54)에는 주행휠(44)이 접하여 회전한다.
레일부(50)의 외측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는 지지부(60)는, 레일부(50)를 따라 이동하는 본체부(40)에 간섭되지 않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60)는, 레일부(50)와 이격되어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지지부재(62) 및 제1지지부재(62)와 이격되어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지지부재(64)를 포함한다.
제1지지부재(62)와 제2지지부재(64)는 서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제1지지부재(62)와 제2지지부재(64) 사이의 거리는 제1지지부재(62)와 제2지지부재(64)의 사이를 통과하는 차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제1지지부재(62)와 제2지지부재(64)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이러한 제2지지부재(64)와 제2지지부재(64)의 하측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부재(66)가 설치된다.
지지부(60)의 연장부재(66)에 회전덮개부(7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이러한 회전덮개부(70)는 차량(14)의 이동으로 밀려서 레일부(50)의 상측으로 회전된다.
지지부(60)의 제1지지부재(62)와 제2지지부재(64)에 양측이 힌지 연결되는 회전덮개부(70)는, 차량(14)에 밀려서 레일부(50)의 상측을 덮는 회전패널(72) 및 회전패널(72)에서 레일부(50)를 향한 방향으로 굽어지는 경사패널(76)을 포함한다.
회전패널(72)은 사각 형상의 패널로 형성되며, 이러한 회전패널(72)의 하측은 연장부재(66)에 힌지 연결된다.
회전패널(72)의 상측에서 레일부(50)가 설치된 방향으로 굽어진 경사패널(76)은, 회전패널(72)을 통과하는 차량(14)이 경사패널(76)을 통해 지면(56)으로 이동됨을 안내한다.
차량(14)과 접하는 회전패널(72)의 일측면(도 2기준 우측)에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패널(74)이 설치된다.
완충패널(74)은, 차량(14)이 회전덮개부(70)에 접할 때 발생되는 충격 및 소음을 감소시키는 기술사상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패널(74)은 고무나 실리콘 등의 탄성재질을 포함하며, 이러한 완충패널(74)은 사각패널 형상으로 성형되어 회전패널(72)에 고정된다.
회전덮개부(70)가 레일부(50)의 상측에 놓인 상태에서, 회전덮개부(70)의 상측으로 차량(14)이 통과된 이후, 복귀부(80)의 작동으로 회전덮개부(70)는 지지부(60)를 향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복귀부(80)는 차량(14)에 의한 가압이 해제된 상태의 회전덮개부(70)를 종 방향으로 세우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이동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복귀부(80)는, 지지부(6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부재(82)와, 롤러부재(82)를 통과하여 회전덮개부(70)에 일측이 연결되는 와이어부재(84) 및 와이어부재(84)의 타측에 연결되며 자중에 의해 와이어부재(84)를 하측으로 견인하는 웨이트부재(86)를 포함한다.
제1지지부재(62)와 제2지지부재(64)의 상측에 롤러부재(8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러한 롤러부재(82)에 와이어부재(84)가 이동 가능하게 걸쳐진다.
와이어부재(84)의 일측은 회전덮개부(70)의 상측에 연결되며, 와이어부재(84)의 타측은 롤러부재(82)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웨이트부재(86)에 연결된다.
따라서, 차량(14)에 의한 가압력이 제거된 회전덮개부(70)는, 웨이트의 자중에 의해 이동되는 와이어부재(84)에 연결되어 종방향으로 세워진 초기위치로 회전된다.
제1지지부재(62)와 제2지지부재(64)의 하측에는 탄성지지부(60)가 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이러한 탄성지지부(60)에는 웨이트부재(86)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88)가 설치된다.
코일스프링을 사용하는 탄성부재(88)는 웨이트부재(86)의 하측에 위치하며, 낙하되는 웨이트부재(86)의 낙하속도를 점진적으로 감소시켜 소음감소 및 기기의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굴삭부(20)의 외측을 회전하는 버킷(22)에 담겨져서 이동되는 이송물(12)은, 버킷엘리베이터(30)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된 후, 붐(42)을 통해 본체부(40)로 이송된다.
본체부(40)의 하측에는 지상벨트컨베이어(16)가 설치되며, 본체부(40)의 하측으로 낙하되는 이송물(12)은 지상벨트컨베이어(16)를 통해 적재장소로 이송된다.
본체부(40)의 하부에 구비된 주행휠(44)은 지면(56)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되므로, 굴삭부(20)와 버킷엘리베이터(30) 및 붐(42)도 본체부(40)와 함께 이동한다.
본체부(40)가 위치하지 않은 레일부(50)를 가로질로 차량(14)이 이동하는 경우, 차량(14)은 회전덮개부(70)를 서서히 밀면서 전진한다.
회전덮개부(70)에 구비된 완충패널(74)이 차량(14)에 접하므로, 차량(14)의 외형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차량(14)이 회전덮개부(70)에 접하여 발생되는 소음도 저감시킬 수 있다.
차량(14)의 진행으로 지지부(60)에 연결된 회전덮개부(70)가 회전되어 제1레일(52)과 제2레일(54)의 상측을 덮는다.
차량(14)은 회전패널(72)과 경사패널(76)을 차례로 통과하여 지면(56)으로 이동되며, 차량(14)이 통과한 후의 회전덮개부(70)는 복귀부(80)의 동작으로 초기 상태로 회전된다.
복귀부(80)의 동작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웨이트부재(86)에 연결된 와이어부재(84)가 회전덮개부(70)에 연결되므로, 웨이트부재(86)의 자중에 의해 회전덮개부(70)가 회전한다.
하측으로 이동하는 웨이트부재(86)는 탄성부재(88)에 접하여 하강속도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므로, 웨이트부재(86)의 하강으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장치(1)는, 이동되는 차량(14)에 밀려서 회전덮개부(70)가 회전되며, 이러한 회전덮개부(70)가 레일부(50)의 상측에 위치하여 차량(14)의 이동을 안내하므로, 레일을 통과하는 차량(14)의 바퀴가 레일의 사이에 끼이지 않고 안전하게 이동하여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연속식 하역장치
10: 선박 12: 이송물
14: 차량 16: 지상벨트컨베이어
20: 굴삭부 22: 버킷
30: 버킷엘리베이터 40: 본체부
42: 붐 44: 주행휠
50: 레일부 52: 제1레일
54: 제2레일 56: 지면
60: 지지부 62: 제1지지부재
64: 제2지지부재 66: 연장부재
68: 탄성지지부재 70: 회전덮개부
72: 회전패널 74: 완충패널
76: 경사패널 80: 복귀부
82: 롤러부재 84: 와이어부재
86: 웨이트부재 88: 탄성부재

Claims (5)

  1. 회전되는 버킷이 외측에 구비되며, 선박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이송물을 퍼올리는 굴삭부;
    상기 굴삭부에 연결되며, 상기 이송물을 상측으로 이송시키는 버킷엘리베이터;
    상기 버킷엘리베이터와 붐으로 연결되며, 상기 이송물을 지상벨트컨베이어로 공급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부;
    상기 레일부의 외측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차량에 밀려서 상기 레일부의 상측으로 회전되는 회전덮개부; 및
    상기 차량이 통과한 후에 상기 회전덮개부를 세워진 상태로 회전시키는 복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하역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레일부와 이격되어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지지부재; 및
    상기 제1지지부재와 이격되어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하역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덮개부는, 상기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재에 양측이 힌지 연결되며, 상기 차량에 밀려서 상기 레일부의 상측을 덮는 회전패널; 및
    상기 회전패널에서 상기 레일부를 향한 방향으로 굽어지는 경사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하역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부는, 상기 지지부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부재;
    상기 롤러부재를 통과하여 상기 회전덮개부에 일측이 연결되는 와이어부재; 및
    상기 와이어부재의 타측에 연결되며, 자중에 의해 상기 와이어부재를 하측으로 견인하는 웨이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하역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부는, 상기 웨이트부재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웨이트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하역장치.
KR1020120108230A 2012-09-27 2012-09-27 연속식 하역장치 KR101344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230A KR101344319B1 (ko) 2012-09-27 2012-09-27 연속식 하역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230A KR101344319B1 (ko) 2012-09-27 2012-09-27 연속식 하역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4319B1 true KR101344319B1 (ko) 2013-12-23

Family

ID=49988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8230A KR101344319B1 (ko) 2012-09-27 2012-09-27 연속식 하역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431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935Y1 (ko) 2004-05-19 2004-07-31 허양 도개식 잔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935Y1 (ko) 2004-05-19 2004-07-31 허양 도개식 잔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8750B1 (ko) 연속하역기용 하역장치
KR101299048B1 (ko) 트리퍼
KR101121563B1 (ko) 트리퍼카 밀림 방지 장치
KR101344315B1 (ko) 연속하역장비용 비상 제동장치
KR20180136333A (ko) 연속식 하역장치
KR101344317B1 (ko) 연속식 하역장치
KR101320657B1 (ko) 연속하역장비의 주행밀림 방지장치
KR20150101272A (ko) 벨트 이동 방지장치
KR20190020447A (ko)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
KR101344319B1 (ko) 연속식 하역장치
JP2014066025A (ja) 連続ベルトコンベアの高さ位置連続変更システム
KR101504932B1 (ko) 연속하역장비용 주행휠 보호장치
KR101411858B1 (ko) 연속하역장비용 주행휠 보호장치
CN105625488A (zh) 一种气动铲斗装岩机
KR101887269B1 (ko) 연속식 하역기용 이송 안내장치
KR20140074012A (ko) 원료 이송장치
KR101257462B1 (ko) 연속식 하역기용 이송물 넘침 방지장치
KR101344310B1 (ko) 연속하역장비의 주행밀림 방지장치
KR101298757B1 (ko) 연속하역장비용 낙광 제거장치
KR101399859B1 (ko) 연속식 하역기
KR101368265B1 (ko) 연속하역기용 비상 정지장치
KR101298765B1 (ko) 벨트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KR101320658B1 (ko) 트리퍼카의 주행밀림 방지장치
KR20160036429A (ko) 연속하역장비용 낙광 제거장치
KR101424469B1 (ko) 연속하역기용 하역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