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4012A - 원료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원료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4012A
KR20140074012A KR1020120142135A KR20120142135A KR20140074012A KR 20140074012 A KR20140074012 A KR 20140074012A KR 1020120142135 A KR1020120142135 A KR 1020120142135A KR 20120142135 A KR20120142135 A KR 20120142135A KR 20140074012 A KR20140074012 A KR 201400740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chute
belt conveyor
dispose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2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플랜텍
(주)기인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플랜텍, (주)기인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플랜텍
Priority to KR1020120142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4012A/ko
Publication of KR20140074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40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02Loading or unloading machines comprising essentially a conveyor for moving the loads associated with a device for picking-up the loads
    • B65G65/16Loading or unloading machines comprising essentially a conveyor for moving the loads associated with a device for picking-up the loads with rotary pick-up conveyors
    • B65G65/20Paddle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02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 B65G39/06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the roller sleeves being shock-absorbing, e.g. formed by helically-wound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1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materials in bulk
    • B65G47/18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u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 방향 이동이 가능한 벨트 컨베이어가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고, 일측 단부에는 버켓휠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붐프레임와 상기 붐프레임에서 상기 버켓휠과 상기 벨트 컨베이어 사이에 배치되는 슈트 및 상기 슈트의 하부에서 상기 벨트 컨베이어와 연결되며 배치되고, 원료의 적출 또는 적재시 원료의 이송을 가이드하도록 제공되는 원료 이송 가이드수단을 포함하는 원료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원료파일에서 원료의 리크레이밍(적출)시에는 쿠션프레임의 전면측으로 원료가 유출되는 것을 감소시키고, 원료파일에 원료의 스태킹(적재)시에는 벨트 컨베이어와 슈트 하단의 스커트와의 간섭을 최소화하여 원활한 원료 이송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원료 이송장치{Apparatus for reclaiming and stacking of material}
본 발명은 원료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이송간 원료의 유출이나 또는 간섭없이 원활히 적출 또는 적재할 수 있는 원료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원료 리크레이밍(적출, reclaiming) 및 스태킹(적재, stacking) 겸용기가 도시된다.
도 1를 참고하면, 상기 겸용기는 기본적으로 포탈프레임(portal frame;120), 붐프레임(boom frame;150), 벨트 컨베이어(belt conveyor;110,160), 버켓휠(bucket wheel;170), 슈트(chute;180), 트레일러(trailer;140), 발라스트 탱크(ballast tank;1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상기 벨트 컨베이어(110)는 제철설비 등과 연결되도록 지상에 배치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벨트 컨베이어(110)의 상부에는 상기 포탈프레임(120)이 배치되며, 상기 포탈프레임(120)상에는 상기 붐프레임(150)이 원료 파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붐프레임(150)에는 길이 방향으로 상기 벨트 컨베이어(160)가 배치되며, 상기 벨트 컨베이어(160)의 일측 단부는 상기 버켓휠(170) 및 상기 슈트(180)까지 신장되며, 타측 단부는 상기 포탈프레임(120)의 상부까지 신장되며 배치된다.
이때 상기 트레일러(140)의 하측은 상기 지상된 배치된 벨트 컨베이어(110)상에 연결되며 설치되고, 상기 트레일러(140)의 상측은 상기 붐프레임(150)상에 배치된 벨트 컨베이어(160)의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발라스트 탱크(130)는 상기 붐프레임(150)의 무게에 대응하여 전체적인 밸런스를 맞추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겸용기가 원료를 원료파일, 즉 원료가 위치하는 야드(yard)에 적재할 때는 상기 지상에 배치된 벨트 컨베이어(110)로부터 원료가 이송되고, 이는 상기 트레일러(140)를 타고 상승하여 상기 붐프레임(150)상에 배치된 벨트 컨베이어(160)로 이송되게 된다. 상기 붐프레임(150)상에 배치된 벨트 컨베이어(160)로 이송된 원료는 상기 붐프레임(150)의 일측 단부까지 이동하고 원료파일로 낙하되어 적재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겸용기가 원료를 원료파일로부터 적출할 때는 상기 붐프레임(150)이 원료파일 방향으로 하강하게 되며, 상기 붐프레임(150)의 일측 단부에 장착된 상기 버켓휠(170)이 원료를 적출하게 된다. 이때 적출된 원료는 슈트(180)를 통해 상기 붐프레임(150)상에 배치된 벨트 컨베이어(160)로 이송되게 되고, 이는 포탈프레임(120) 상부까지 이동된 후 낙하되어 상기 지상에 배치된 벨트 컨베이어(110)로 이송되게 된다. 그리고 제철설비 등으로 이송되어 사용되게 된다.
상기 버켓휠(170)은 상기 붐프레임(150)상에 설치된 구동모터(173)과 샤프트(175)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샤프트(175)의 회전을 원활토록 베어링유닛(177)이 설치될 수 있다.
그런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료파일의 중,하단부로부터 원료를 적출하기 위해 상기 붐프레임(150)을 하강시킬 때, 상기 버켓휠(170)에 의해 적출되고 상기 슈트(180)로 이동된 원료가, 상기 벨트 컨베이어(160)의 기울어짐에 의해 상기 슈트(180)의 하부에 배치된 쿠션프레임(190)의 전면을 통해 유출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여기서 쿠션프레임(190)이란 상기 슈트(180)를 통해 원료가 낙하될 때 상기 벨트 컨베이어(160)에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쿠션프레임(190)은 상기 붐프레임(150)의 양측에 직사각형 빔 형태로 한 쌍으로 설치되며, 복수개의 지지롤러(193)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롤러(193)는 상기 슈트(180) 하부를 지나가는 벨트 컨베이어(160)를 지지하게 된다. 즉 상기 벨트 컨베이어(160)는 상기 쿠션프레임(190)에 도달되기 전에는 롤러지지체(162)에 장착된 복수개의 이송롤러(161)에 의해 지지되지만, 상기 쿠션프레임(190)을 지날 때는 상기 지지롤러(193)에 의해 별도로 지지되게 된다.
반대로 도 3a 및 도 3b를 참고하면, 원료파일에 원료를 적재시에는 상기 슈트(180) 하단의 스커트(183)와 상기 쿠션프레임(190)에 장착된 지지롤러(193)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벨트 컨베이어(160)가 근접되어 있음에 따라 원료가 이송 중 간섭이 발생되어 상기 스커트(183)에 의해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따라서 원료의 적출 또는 적재시에 이송간 원료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원료파일에서 원료의 리크레이밍(적출)시에는 쿠션프레임의 전면측으로 원료가 유출되는 것을 감소시키고, 원료파일에 원료의 스태킹(적재)시에는 벨트 컨베이어와 슈트 하단의 스커트와의 간섭을 최소화하여 원활한 원료 이송이 가능토록 구성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원료 이송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양 방향 이동이 가능한 벨트 컨베이어가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고, 일측 단부에는 버켓휠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붐프레임와 상기 붐프레임에서 상기 버켓휠과 상기 벨트 컨베이어 사이에 배치되는 슈트 및 상기 슈트의 하부에서 상기 벨트 컨베이어와 연결되며 배치되고, 원료의 적출 또는 적재시 원료의 이송을 가이드하도록 제공되는 원료 이송 가이드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슈트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슈트로부터 낙하되는 원료로 인해 상기 벨트 컨베이어에 인가되는 충격을 완충토록 제공되는 완충부와 상기 붐프레임에서 상기 완충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지지대 및 상기 완충부재와 상기 지지대간에 연결되어 배치되고, 상기 완충부재를 승강토록 제공되는 승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완충부는, 상기 슈트의 하부에 배치되는 쿠션프레임과 상기 쿠션프레임상에 배치되고, 상기 벨트 컨베이어를 지지토록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롤러 및 상기 지지롤러의 외측 둘레를 감싸며 장착되고, 상기 슈트로부터 낙하되는 원료로 인해 상기 벨트 컨베이어 또는 상기 지지롤러에 인가되는 충격을 완충토록 제공되는 탄성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승강부는, 상기 붐프레임상에 배치되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압실린더의 로드에 연결되며, 상기 유압실린더의 구동에 따라 이동토록 제공되는 이동바 및 상기 지지대상에 설치된 샤프트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일측 단부는 상방향으로 신장되어 상기 쿠션프레임과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일측 단부와 소정 각도로 절곡되어 하방향으로 신장되어 상기 이동바와 연결되는 링크암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인 원료 이송장치의 일 실시예는 원료파일에서 원료를 리크레이밍(적출)할 때에는 쿠션프레임을 상승시켜 슈트에 근접되도록 함으로써, 원료가 쿠션프레임의 전면으로 유출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원료파일에 원료를 스태킹(적재)할 때에는 쿠션프레임을 하강시켜 슈트의 스커트로부터 멀어지도록 함으로써, 벨트 컨베이어와 슈트의 스커트간의 간섭을 최소화하여 원료가 원활히 적재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원료를 리크레이밍(적출) 및 스태킹(적재)할 수 있는 원료 이송장치의 개략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원료 이송장치에 의한 적출시 쿠션프레임의 전면부로 원료가 유출되는 상태가 도시된 도이다.
도 3a 및 도 3b은 종래의 원료 이송장치에 의한 적재시 벨트 컨베이어와 슈트의 스커트간의 간섭으로 원료가 원활히 이송되지 못하는 상태가 도시된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의 개략측면도이다.
도 5도 4에 도시된 발명에서 유압실린더와 링크암의 작동원리가 도시된 도이다.
도 6a는 원료파일로부터 원료를 적출시 쿠션프레임을 상승시켜 슈트에 근접시킨 작동상태도이다.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발명의 개략전면도이다.
도 7a는 원료파일에 원료를 적재시 쿠션프레임을 하강시켜 슈트의 스커트로부터 멀어지도록 한 작동상태도이다.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발명의 개략전면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원료 이송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원료파일에서 원료의 리크레이밍(적출)시에는 쿠션프레임의 전면측으로 원료가 유출되는 것을 감소시키고, 원료파일에 원료의 스태킹(적재)시에는 벨트 컨베이어와 슈트 하단의 스커트와의 간섭을 최소화하여 원활한 원료 이송이 가능토록 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의 개략측면도이고, 도 5도 4에 도시된 발명에서 유압실린더와 링크암의 작동원리가 도시된 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인 원료 이송장치의 일 실시예는 양 방향 이동이 가능한 벨트 컨베이어(30)가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고, 일측 단부에는 버켓휠(40)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붐프레임(20)과 상기 붐프레임(20)에서 상기 버켓휠(40)과 상기 벨트 컨베이어(30) 사이에 배치되는 슈트(50) 및 상기 슈트(50)의 하부에서 상기 벨트 컨베이어(30)와 연결되며 배치되고, 원료의 적출 또는 적재시 원료의 이송을 가이드하도록 제공되는 원료 이송 가이드수단(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인 원료 이송장치의 일 실시예는 제철설비 등에서 원료파일(material pile)로부터 원료를 리크레이밍(적출)하거나 또는 원료파일에 원료를 스태킹(적재)할 수 있는 겸용기일 수 있다. 물론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료를 야드(yard)에 적출 또는 적재할 수 있는 다양한 이송설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인 원료 이송장치의 일 실시예는 기본적으로 원료를 이송할 수 있는 포탈프레임(portal frame;미도시), 붐프레임(boom frame;20), 버켓휠(bucket wheel;40), 슈트(chute;50). 벨트 컨베이어(belt conveyor;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붐프레임(20)은 상기 포탈프레임(미도시)에 연결되고, 상기 포탈프레임(미도시)으로부터 원료파일방향으로 신장되며 제공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붐프레임(20)은 상기 포탈프레임(미도시)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다른 원료파일로의 이동성이 도모될 수 있다.
상기 붐프레임(20)상에는 길이 방향으로 상기 벨트 컨베이어(30)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벨트 컨베이어(30)는 상기 붐프레임(20)과 상기 포탈프레임(미도시)간에 연결되어 배치되고, 상기 붐프레임(20)을 통해 적출된 원료를 상기 포탈프레임(미도시) 방향으로 이송시켜 제철설비 등에 사용되도록 할 수 있으며, 반대로 상기 포탈프레임(미도시)로부터 유입되는 원료를 상기 붐프레임(20) 방향으로 이송시켜 원료파일에 적재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벨트 컨베이어(30)는 양 방향 이동이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버켓휠(40)은 상기 붐프레임(20)의 일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도 6b 및 도 7b를 참고하면, 상기 버켓휠(40)은 원료를 적출하는 버켓(41)가 상기 버켓(41)이 복수개로 원주방향으로 장착되는 휠프레임(42)를 포함하고, 상기 버켓휠(40)의 중심부는 샤프트(43)에 의해 상기 붐프레임(20)의 타측 단부에 장착되는 구동모터(45)와 연결되게 된다. 이때 상기 버켓휠(40)은 원료파일로부터 적출한 원료가 상기 슈트(5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소정 각도로 경사지어 배치된다.
상기 붐프레임(20)에서 상기 버켓휠(40)과 상기 벨트 컨베이어(30) 사이에 슈트(5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슈트(50)는 상기 붐프레임(20)에 설치된 지지빔(25)에 의해 상기 붐프레임(20)의 상단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슈트(50)의 일측은 상기 버켓휠(40) 방향으로 경사지며 상기 버켓휠(40)에 밀접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슈트(50)의 하부에는 상기 벨트 컨베이어(30)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버켓휠(40)에 의해 적출된 원료는 상기 슈트(50)로 유입되게 되고, 상기 슈트(50)로 유입된 원료는 상기 벨트 컨베이어(30)로 낙하되게 된다. 이때 상기 슈트(50)의 하부에는 원료가 상기 벨트 컨베이어(30)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스커트(55)가 장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슈트(50)의 하부에서 상기 벨트 컨베이어(30)와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수단(60)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수단(60)은 완충부(70), 지지대(90) 및 승강부(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상기 완충부(70)는 상기 슈트(5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슈트(50)로부터 낙하되는 원료로 인해 상기 벨트 컨베이어(30)에 인가되는 충격을 완충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완충부(70)는 쿠션프레임(71), 지지롤러(73) 및 탄성패드(7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쿠션프레임(71)은 상기 슈트(5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붐프레임(20)의 양측에 한 쌍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쿠션프레임(71)간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상기 지지롤러(73)가 복수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롤러(73)는 상기 슈트(50) 하부를 지나는 상기 벨트 컨베이어(30) 부분을 지지토록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도 6b 또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롤러(73)는 상기 슈트(50)로부터 낙하되는 원료가 낙하충격으로 상기 벨트 컨베이어(30)의 양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토록, 세 개의 부분으로 제공되되, 양측의 지지롤러(73a)는 중앙측으로 경사지고. 중앙측의 지지롤러(73b)는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벨트 컨베이어(30)는 하방향으로 만곡된 형태로 지지되어 원료의 유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패드(75)는 상기 지지롤러(73)의 외측 둘레를 감싸며 장착되고, 상기 슈트(50)로부터 낙하되는 원료로 인해 상기 벨트 컨베이어(30) 또는 상기 지지롤러(73)에 인가되는 충격을 완충토록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패드(75)는 고무 등의 재질일 수 있으며, 기타 충격을 완충할 수 있는 다양한 재질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대(90)는 상기 붐프레임(20)상에서 상기 완충부(7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승강부(80)는 상기 완충부(70)와 상기 지지대(90)간에 연결되어 배치되고, 상기 완충부(70)를 승강토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승강부(80)는 유압실린더(81), 이동바(82), 샤프트(86), 힌지블록(87) 및 링크암(8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상기 유압실린더(81)는 상기 붐프레임(20)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압실린더(81)의 몸체부(81a)는 상기 붐프레임(20)에 설치된 고정블록(89)에 일측이 유동 가능하게 힌지부재(81c)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유압실린더(81)의 로드(81b)가 구동할 때 상기 링크암(84)과의 상호 작동과정에서 유동성을 부여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유압실린더(81)의 로드(81b) 단부는 상기 이동바(82)와 플랜지 체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유압실린더(81)가 구동함에 따라 상기 이동바(82)가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링크암(84)은 상기 지지대(90)상에 설치된 샤프트(86)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일측 단부는 상방향으로 신장되어 상기 쿠션프레임(71)과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일측 단부와 소정 각도로 절곡되어 하방향으로 신장되어 상기 이동바(82)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링크암(84)의 양단부는 유동성 보장을 위해 상기 쿠션프레임(71)의 하부 및 상기 이동바(82)에 힌지체결(84a,84b)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링크암(84)은 상기 지지대(90)상에 배치된 샤프트(86)에 장착되며, 상기 유압실린더(81)의 구동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되는 이동바(82)에 의해 일정 범위를 회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링크암(84)의 일측 단부에 연결된 상기 쿠션프레임(71)이 상기 슈트(50)의 하단부를 기준으로 승강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성은 상기와 같으며, 이하에서는 작동상태를 살펴보도록 한다.
도 6a는 원료파일로부터 원료를 적출시 쿠션프레임을 상승시켜 슈트에 근접시킨 작동상태도이고,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발명의 개략전면도이다. 그리고 도 7a는 원료파일에 원료를 적재시 쿠션프레임을 하강시켜 슈트의 스커트(55)로부터 멀어지도록 한 작동상태도이고,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발명의 개략전면도이다.
먼저 도 6a 및 도 6b를 참고하면, 원료파일로부터 원료를 적출할 때는 상기 유압실린더(81)의 로드(81b)가 후진되도록 상기 유압실린더(81)를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유압실린더(81)의 로드(81b)에 연결된 상기 이동바(82)가 후진하게 되며, 상기 이동바(82)에 연결된 링크암(84)이 상기 이동바(82)가 후진한 거리만큼 일정 범위를 회동하게 된다.
상기 링크암(84)이 회동하게 되면, 그만큼 상기 쿠션프레임(71)이 상기 슈트(50) 방향으로 상승하게 되며, 상기 슈트(50)와 상기 쿠션프레임(71)의 거리는 가까워지게 된다. 즉 상기 슈트(50)의 하단부와 상기 쿠션프레임(71)의 전면이 형성하는 공간은 축소되게 된다.
이후 상기 버켓휠(40)을 구동하여 원료파일로부터 원료를 적출하고 상기 슈트(50)로 유입시키게 되며, 상기 슈트(50)로 유입된 원료는 상기 벨트 컨베이어(30)로 낙하되는 때에 상기 쿠션프레임(71)의 전면이 축소됨에 따라, 이송간 상기 쿠션프레임(71)의 전면을 통한유출은 감소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7a 및 도 7b를 참고하면, 원료파일에 원료를 적재할 때는 상기 유압실린더(81)의 로드(81b)가 전진되도록 상기 유압실린더(81)를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유압실린더(81)의 로드(81b)에 연결된 상기 이동바(82)가 전진하게 되며, 상기 이동바(82)에 연결된 링크암(84)이 상기 이동바(82)가 전진한 거리만큼 일정 범위를 회동하게 된다.
상기 링크암(84)이 회동하게 되면, 그만큼 상기 쿠션프레임(71)이 상기 슈트(50)로부터 하강하게 되며, 상기 슈트(50)와 상기 쿠션프레임(71)의 거리는 멀어지게 된다. 즉 상기 슈트(50)의 스커트(55)와 상기 쿠션프레임(71)상에 장착된 상기 지지롤러(73)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벨트 컨베이어(30)의 간격이 멀어지게 된다.
이후 상기 벨트 컨베이어(30)를 구동하여 원료파일에 원료를 적재할 때, 상기 슈트(50)의 스커트(55)와 상기 벨트 컨베이어(30)의 간섭이 최소화되게 되므로, 원료가 상기 벨트 컨베이어(30)상에서 이송될 때 상기 스커트(55)에 부딪혀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은 감소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사항은 원료 이송장치의 특정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한 형태로 치환, 변형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혀 두고자 한다.
20...붐프레임 30...벨트 컨베이어
40...버켓휠 50...슈트
60...원료 이송 가이드수단 70...완충부
71...쿠션프레임 73...지지롤러
75...탄성패드 80...승강부
81...유압실린더 82...이동바
84...링크암 86..샤프트
87...힌지블록

Claims (4)

  1. 양 방향 이동이 가능한 벨트 컨베이어가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고, 일측 단부에는 버켓휠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붐프레임;
    상기 붐프레임에서 상기 버켓휠과 상기 벨트 컨베이어 사이에 배치되는 슈트; 및
    상기 슈트의 하부에서 상기 벨트 컨베이어와 연결되며 배치되고, 원료의 적출 또는 적재시 원료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원료 이송 가이드수단;
    을 포함하는 원료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슈트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슈트로부터 낙하되는 원료로 인해 상기 벨트 컨베이어에 인가되는 충격을 완충토록 제공되는 완충부;
    상기 붐프레임에서 상기 완충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지지대; 및
    상기 완충부재와 상기 지지대간에 연결되어 배치되고, 상기 완충부재를 승강토록 제공되는 승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 이송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슈트의 하부에 배치되는 쿠션프레임;
    상기 쿠션프레임상에 배치되고, 상기 벨트 컨베이어를 지지토록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롤러; 및
    상기 지지롤러의 외측 둘레를 감싸며 장착되고, 상기 슈트로부터 낙하되는 원료로 인해 상기 벨트 컨베이어 또는 상기 지지롤러에 인가되는 충격을 완충토록 제공되는 탄성패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 이송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붐프레임상에 배치되는 유압실린더;
    상기 유압실린더의 로드에 연결되며, 상기 유압실린더의 구동에 따라 이동토록 제공되는 이동바; 및
    상기 지지대상에 설치된 샤프트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일측 단부는 상방향으로 신장되어 상기 쿠션프레임과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일측 단부와 소정 각도로 절곡되어 하방향으로 신장되어 상기 이동바와 연결되는 링크암;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 이송장치.
KR1020120142135A 2012-12-07 2012-12-07 원료 이송장치 KR201400740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2135A KR20140074012A (ko) 2012-12-07 2012-12-07 원료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2135A KR20140074012A (ko) 2012-12-07 2012-12-07 원료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4012A true KR20140074012A (ko) 2014-06-17

Family

ID=51127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2135A KR20140074012A (ko) 2012-12-07 2012-12-07 원료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7401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37074A1 (en) * 2020-12-21 2022-06-30 Flsmidth A/S Bucket wheel chute assembly
CN116534559A (zh) * 2023-05-17 2023-08-04 中国铝业股份有限公司 一种铝土矿开采的带式传输机
CN117566454A (zh) * 2023-12-22 2024-02-20 南通奥普机械工程有限公司 一种具有防物料碰撞功能的移动式斗轮取料机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37074A1 (en) * 2020-12-21 2022-06-30 Flsmidth A/S Bucket wheel chute assembly
CN116534559A (zh) * 2023-05-17 2023-08-04 中国铝业股份有限公司 一种铝土矿开采的带式传输机
CN116534559B (zh) * 2023-05-17 2024-02-23 中国铝业股份有限公司 一种铝土矿开采的带式传输机
CN117566454A (zh) * 2023-12-22 2024-02-20 南通奥普机械工程有限公司 一种具有防物料碰撞功能的移动式斗轮取料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0260025B2 (en) Apparatus for stacking and reclaiming material
CN103771151A (zh) 翻斗式高位自动上料装置及布料方法
US9533840B1 (en) Stacker-reclaimer apparatus
CN105593145B (zh) 用于移动式块状材料加工设备的主框架
KR20140074012A (ko) 원료 이송장치
KR101299048B1 (ko) 트리퍼
KR20110060008A (ko) 연속식언로더
KR101424455B1 (ko) 트리퍼카용 이송물 제거장치
KR20220063561A (ko) 양방향 스태커 리클레이머
KR20190020447A (ko)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
KR101675671B1 (ko) 트리퍼카의 이송벨트용 가압장치
KR101253876B1 (ko) 벨트컨베이어 장치
KR100918696B1 (ko) 가역 벨트 컨베이어의 클리너 조절 장치
KR20130046567A (ko) 트리퍼용 집진장치
KR20110047038A (ko) 연속하역기용 하역장치
KR200462268Y1 (ko) 벨트 컨베이어용 낙광 방지장치
KR101399859B1 (ko) 연속식 하역기
KR20130046581A (ko) 벨트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KR101344319B1 (ko) 연속식 하역장치
KR101424467B1 (ko) 트리퍼용 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102299559B1 (ko) 연속식 하역기
KR102032634B1 (ko) 연속식 하역장치
KR101368935B1 (ko) 연속하역장비
CN209112940U (zh) 一种带有多个给料机的皮带输送机
CN104118707B (zh) 固体颗粒物集装箱散装输送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