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5110A - 선박의 승하선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의 승하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5110A
KR20020015110A KR1020000048252A KR20000048252A KR20020015110A KR 20020015110 A KR20020015110 A KR 20020015110A KR 1020000048252 A KR1020000048252 A KR 1020000048252A KR 20000048252 A KR20000048252 A KR 20000048252A KR 20020015110 A KR20020015110 A KR 200200151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riable
ship
variable shift
assembly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8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7383B1 (ko
Inventor
김대봉
Original Assignee
김대봉
주식회사 호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봉, 주식회사 호룡 filed Critical 김대봉
Priority to KR1020000048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7383B1/ko
Publication of KR20020015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5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7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73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24Bridges or similar structures, based on land or on a fixed structure and designed to give access to ships or other floating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 E06C9/08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 E06C9/085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unfolded in the direction of the longitudinal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의 승하선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승하선 장치는 한정된 범위내에서 상하의 위치나 각도 조절만 될 뿐, 측방으로 회동될 수 없고 다리의 길이 역시 결정되어져 있다.
따라서, 협소한 거치범위를 갖는 승하선장치에 선박을 위치시켜야 했으며, 일단 교각이 거치된 후 다리는 그 다리의 길이방향이나 하방으로는 융통성이 없는 고정적인 것이어서 정위치에 거치되지 않는 경우 승하선이 불편했던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예시도면 도 2 내지 도 8 과 같이 그 길이와 거치각도가 가변되도록 하고 또한 좌우로 자유롭게 회동가능한 가변교대(14)를 마련하여 이러한 가변교대(14)가 거치되는 자유로운 범위내에서의 선박의 승하선수단을 제공한 것으로, 지지프레임(10) 위에 회동수단(11)과 함께 회전지지대(12)가 설치되고, 이 회전지지대(12)에 가변교대(14)의 각도가 조절되게 승강실린더(13)를 매개로 신장실린더(15)가 포함되어 길이조정이 가능한 가변교대(14)가 설치된 것이다.
또한, 가변교대(14)의 선단에는 목적지점으로의 안착이 용이하게 힌지조립체(16)와 함께 계단조립체(17)가 결합되며, 상기 가변교대(14)에 사람의 존재유무를 감지하는 동작감지센서(19)가 설치되고 계단조립체(17)에는 선박의 유동을 감지하는 유동감지센서(18)가 설치되어 가변교대(14)에 승하선자가 없는 상태에서 선박이 유동되면 이에 따라 가변교대(14)가 작동되어 계단조립체(17)의 안정된 위치가 유지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승하선장치의 좌우회동이나 승강각도 및 가변길이 내에 선박이 위치되면 선박의 위치가 틀어지더라도 융통성 있게 승하선수단을 제공하게 되어 승하선이 편리할 뿐더러, 이러한 본 발명의 승하선장치가 조합되면 다단계의 승하선용 계단도 제공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선박의 승하선장치{Boarding device of ship}
본 발명의 선박의 승하선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체에 그 길이와 거치각도가 자유롭운 가변교대 등을 설치하고 선박의 유동에 따라 가변교대가 제어되도록 하여 선원이나 탑승객의 승하선을 편리하고 안전하게 하는 선박의 승하선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선박은 해상으로의 운송수단이라는 성질때문에 육상의 차량과는 달리 항만시설과 승선 또는 하선과 하역을 위한 시설이 마련되어 있음은 주지된 바와 같다.
특히, 조수간만의 차가 심한 선착장에서는 해수면의 높이 변화에 마추어 가변되는 승하선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예시도면 도 1 에 그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a 에 도시된 것은 단순 각도 조절형 승하선장치로서, 선착장에 계단(미도시)을 포함하는 트러스 구조의 타워(1)가 설치되고, 이 타워 측방에 다리(2)가 힌지결합되어 있다.
또한, 강선(3)으로 다리(2)의 선단이 연결되어 다리(2)의 각도를 조절가능케함으로써, 다리(2)의 거치위치가 조절되도록 되어 있다.
도 1 b 에 도시된 것은 보다 발전된 형태의 것으로, 타워(1)와 다리(2)의 힌지결합부에 승강장치(4)를 구비하여 힌지결합점이 이동가능케 하여 다리의 수평을 어느정도 유지케 함으로써, 보다 편리한 승하선을 돕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승하선 장치는 다리의 거치점에 대한 범위가 너무 제약적이라서, 정위치에 선박이 정박되지 않으면 승하선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선박에서 승하선을 위한 출입구는 선수나 선미의 갑판 또는 선체 측부에 형성되어 있고, 선박의 크기나 종류에 따라 그 위치가 다르다.
한편, 종래의 승하선 장치를 살펴보면 그 장착위치에서 한정된 범위내에서 상하의 위치나 각도 조절만 될 뿐, 측방으로 회동될 수 없고 다리의 길이 역시 결정되어진 것이다.
따라서, 협소한 거치범위를 갖는 승하선장치에 선박을 위치시켜야 했으며, 일단 다리가 거치된 후 다리는 그 다리의 길이방향이나 하방으로는 융통성이 없는 고정적인 것이어서 정위치에 거치되지 않는 경우 승하선이 불편했던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선박의 승하선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그 길이와 거치각도가 가변되도록 하고 또한 좌우로 자유롭게 회동가능한 가변교대를 마련하여 이러한 가변교대가 거치되는 자유로운 범위내에서의 선박의 승하선수단을 제공한 것으로, 지지프레임 위에 회동수단과 함께 회전지지대가 설치되고, 이 회전지지대에 가변교대의 각도가 조절되게 승강실린더를 매개로 신장실린더를 포함하여 길이조정이 가능한 가변교대가 설치된 것이다.
또한, 가변교대의 선단에는 목적지점으로의 안착이 용이하게 힌지조립체와 함께 계단조립체가 결합되며, 상기 가변교대에 사람의 존재유무를 감지하는 동작감지센서가 설치되고 계단조립체에는 선박의 유동을 감지하는 유동감지센서가 설치되어 가변교대에 승하선자가 없는 상태에서 선박이 유동되면 이에 따라 가변교대가 작동되어 계단조립체의 안정된 위치가 유지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승하선장치의 좌우회동이나 승강각도 및 가변길이 내에 선박이 위치되면 선박의 위치가 틀어지더라도 융통성 있게 승하선수단을 제공하게 되어 승하선이 편리할 뿐더러, 이러한 본 발명의 승하선장치가 조합되면 다단계의 승하선용 계단도 제공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승하선장치를 나타낸 개요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승하선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회동수단을 나타낸 확대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조립체 및 계단조립체를 나타낸 확대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교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는 본 발명의 승하선장치가 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수단을 나타낸 블럭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수단의 제어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지지프레임, 11 - 회동수단
12 - 회전지지대, 13 - 승강실린더,
14 - 가변교대, 15 - 신장실린더,
16 - 힌지조립체, 17 - 계단조립체,
18 - 유동감지센서, 19 - 동작감지센서,
20 - 제어수단, 21 - 유압모우터,
22 - 내접기어, 23 - 조종부,
24 - 곡면계단, 25 - 브라켓,
26 - 상하힌지구, 27 - 좌우힌지구,
28 - 캐스터, 29 - 난간.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과 함께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시도면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승하선장치의 사시도이고, 예시도면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회전지지대의 회동수단을 나타낸 확대사시도이며, 예시도면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계단조립체 및 힌지조립체를 나타낸 확대사시도이고, 예시도면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수단을 나타낸 블럭도로서, 본 발명은 선착장에 지지프레임(10)이 설치되고 이 지지프레임(10)에 회동수단(11)을 매개로 회전지지대(12)가 설치되며 회전지지대(12)에 가변교대(14)가 힌지결합된다.
또한, 상기 가변교대(14)는 상하각도가 가변되게 승강실린더(13)가 상기 회전지지대와 가변교대(14) 사이에 설치됨과 더불어, 그 길이가 가변되도록 다단계로 분할되어 신장실린더(15)를 매개로 결합되고, 가변교대(14)의 선단에는 목적지점에 용이하게 거치되도록 힌지조립체(16)와 함께 계단조립체(17)가 결합된다.
한편, 계단조립체(17)에는 선박의 유동을 감지하는 유동감지센서(18)가 설치되고 가변교대(14)에는 여기에서의 사람존재유무를 감지하는 동작감지센서(19)가 설치되며, 상기 유동감지센서(18)와 동작감지센서(19)로부터 가변교대(14)에 승하선자가 없는 상태에서 선박의 유동이 있는 경우 그 유동에 따라 계단조립체(17)가 이동되도록 상기 승강실린더(13)와 신장실린더(15)를 제어하는 제어수단(20)이 마련된 선박의 승하선장치이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변교대(14)가 좌우로 자유롭게 회동되고 그 길이와 거치각도가 가변되도록 하여 이러한 가변교대(14)가 거치되는 자유로운 범위내에서의 선박의 승하선수단을 제공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선착장 등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10)이 마련되어 이 지지프레임(10)에 회동수단(11)을 매개로 회전지지대(12)가 설치된다.
회동수단(11)은 감속기어가 부착된 유압모우터(21)가 지지프레임(10)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이 감속기어에 맞물리는 내접기어(22)가 마련되며 이 내접기어 (22)상부에 회전지지대(12)가 결합된 것이며, 내접기어(22)는 도시된 링기어의 내륜이고, 베어링결합된 외륜은 지지프레임(10)과 결합되어 외륜이 내륜인 내접기어(22)를 지지한다.
이러한 회전지지대에 가변교대(14)가 설치되어 가변교대(14)에 자유로운 자유회동을 부여하며, 가변교대(14)는 상하의 각도와 그 길이가 임의로 조종된다.
이를 위한 가변교대(14)는 회전지지대(12)에 승강실린더(13)와 함께 힌지결합되어 지며, 다단계로 분할되고 분할된 가변교대(14)는 신장실린더(15)로 결합되어 진다.
상기 신장실린더(15)의 신장길이에 의해 분할된 가변교대(14)가 상기 신장길이 범위내에서 자유로운 길이를 갖는 교대가 되는 것이다.
상기 승강실린더(13)와 신장실린더(15)는 유압펌프(미도시)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실린더로서, 유압펌프의 조종은 사용자에 의함은 당연하고 상기된 유압모우터에 의한 회동수단(11)의 조종역시 마찬가지이다.
상기 조종을 위한 조종레버 등을 포함하는 조종부(23)는 회전지지대의 일측에 배치되어 진다.
이러한 가변교대(14)는 승하선자의 안전을 보조하기 위한 난간(29)을 포함하며, 목적지점에 따라 거치각도가 변경됨을 고려하여 발판을 이루는 계단이 반원통형의 곡면계단(24)을 갖도록 하여 거치각도 변경에 따른 계단형성에 융통성이 부여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상하의 각도조절이 자유로우므로,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승하선장치가 다수개 연동되면 다단계의 층계가 형성되고, 이에 의해 본 발명은 그 조합으로 다양한 형태의 승하선 수단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된 본 발명은 그 각도 조절의 자유로움에 따라 통상적인 계단을형성하는 경우 계단 평면의 경사가 변경되므로 이를 적용하기 곤란하며, 이러한 가변교대(14)의 상하각도 변경에 따라 계단이 융통적으로 적용되기 위해서는 곡면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의 가변교대(14)에는 도 5 와 같이 반원통형의 곡면계단(24)이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된 이유로 본 발명의 가변교대(14) 선단에는 다각도에 따라 목적물에 안정되게 거치되어 승하선을 돕는 별도의 수단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계단조립체(17)가 마련되어 가변교대(14)의 선단에 결합되어 진다.
계단조립체(17)는 힌지조립체(16)를 매개로 가변교대(14) 선단에 결합되어 각도 변경에 따른 목적지점에서의 안착이 용이하도록 되어지며, 힌지조립체(16)는 가변교대(14) 선단에 브라켓(25)이 형성되고 이 브라켓(25)에 상하힌지구(26)가 형성됨과 더불어, 이 상하힌지구(26)에 좌우힌지구(27)가 형성되어져 여기에 계단조립체(17)가 결합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상하-좌우힌지구(26)(27)의 연동으로 상하방향과 좌우방향의 회동에 자유로움이 계단조립체(17)에 부여되며, 이에 의해 목적지점으로의 계단조립체(17)의 안착과 수평상태의 유지가 용이해 지는 것이다.
또한, 그 안착을 위한 이동의 용이함을 보조하기 위해 계단조립체(17)의 하단에 캐스터(28)가 장착되어 진다.
한편, 본 발명의 승하선장치는 정박된 선박의 움직임에 따라 가변교대(14)의 길이나 거치각도가 조절되어 계단조립체(17)가 선박에 안정되게 거치되어 진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계단조립체(17)에 선박의 유동을 감지하는 유동감지센서(18)가 설치되어 이로부터 승강실린더(13)와 신장실린더(15)가 제어되는 것이다.
유동감지센서(18)는 목표물의 거리를 감지하는 광학센서로, 계단조립체(17)의 일지점으로부터 하방의 거리를 감지하는 것과 수평의 거리를 감지하는 것의 연동으로 이루어진다.
즉, 계단조립체(17)에 설치된 유동감지센서(18)의 목표물은 선박으로, 하방의 거리를 감지하는 것은 선박의 상하유동을 감지하고 수평의 거리를 감지하는 것은 선박의 수평유동을 감지하여, 선박의 종합적인 유동상태를 감지하는 것이다.
감지된 신호는 도 7 과 같이 제어수단(20)으로 송출되며 제어수단(20)은 이 신호에 의거하여 승강실린더(13)와 신장실린더(15)를 선박에 유동에 마추어 조절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센서부에 의한 신호에 의해 가변교대(14)가 이동될 때, 가변교대(14)위에 승하선자가 있으면, 그 흔들림에 의해 안전사고가 일어날 우려가 있다.
따라서, 가변교대(14)위에 승하선자가 있으면 센서의 신호에도 불구하고 가변교대(14)를 고정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안전수단으로 상기 유동감지센서(18)의 신호에 우선되는 동작감지센서(19)가 가변교대(14)에 설치되어 진다.
동작감지센서(19)는 가변교대(14)위에 다수개가 설치되어지며, 동작물체가 센서를 통과할때 이를 감지하는 광학센서이다.
따라서, 센서부와 제어수단(20)으로부터 승강실린더(13)와 신장실린더(15)의 제어는 도 8 과 같아서, 가변교대(14)위에 승하선자가 없는 상태에서 선박의 유동이 있는 경우 승강실린더(13)와 신장실린더(15)가 작동되어 상기 선박의 유동에 따라 계단조립체(17)가 이동되어 그 거치위치가 유지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제어수행은 사용자가 본 발명의 승하선 장치를 조종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의 보조수단으로 작동됨이 적당하며, 따라서 제어수단(20)에 사용자의 조종이 가장 우선된 신호로 받아들여짐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승하선장치의 좌우회동이나 승강각도 및 가변길이 내에 선박이 위치되면 선박의 위치가 틀어지더라도 융통성 있게 승하선수단을 제공하게 되어 승하선이 편리할 뿐더러, 이러한 본 발명의 승하선장치가 조합되면 다단계의 승하선용 계단도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선착장에 지지프레임(10)이 설치되고 이 지지프레임(10)에 회동수단(11)을 매개로 회전지지대(12)가 설치되어져 이 회전지지대에 가변교대(14)가 힌지결합되며, 상기 가변교대(14)는 상하각도가 가변되게 승강조절실린더가 상기 회전지지대와 가변교대(14) 사이에 설치됨과 더불어, 그 길이가 가변되도록 다단계로 분할되어 신장실린더(15)를 매개로 결합되고, 가변교대(14)의 선단에는 목적지점에 용이하게 거치되도록 힌지조립체(16)와 함께 계단조립체(17)가 결합되는 한편, 계단조립체(17)에는 선박의 유동을 감지하는 유동감지센서(18)가 설치되고 가변교대(14)에는 여기에서의 사람존재유무를 감지하는 동작감지센서(19)가 설치되며, 상기 유동감지센서(18)와 동작감지센서(19)로부터 가변교대(14)에 승하선자가 없는 상태에서 선박의 유동이 있는 경우 그 유동에 따라 계단조립체(17)가 이동되도록 상기 승강실린더(13)와 신장실린더(15)를 제어하는 제어수단(20)이 마련된 선박의 승하선장치.
KR1020000048252A 2000-08-21 2000-08-21 선박의 승하선장치 KR100347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8252A KR100347383B1 (ko) 2000-08-21 2000-08-21 선박의 승하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8252A KR100347383B1 (ko) 2000-08-21 2000-08-21 선박의 승하선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3602U Division KR200209214Y1 (ko) 2000-08-21 2000-08-21 선박의 승하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5110A true KR20020015110A (ko) 2002-02-27
KR100347383B1 KR100347383B1 (ko) 2002-08-07

Family

ID=19684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8252A KR100347383B1 (ko) 2000-08-21 2000-08-21 선박의 승하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738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685B1 (ko) * 2011-02-09 2013-06-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승하선 장치
KR101271208B1 (ko) * 2011-02-09 2013-06-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승하선 장치
KR101378798B1 (ko) * 2012-08-09 2014-03-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상의 브릿지 설치 시스템 및 설치 방법
CN105544376A (zh) * 2016-01-19 2016-05-04 华德宝机械(昆山)有限公司 一种登船桥接船用渡板装置及登船桥
CN109850075A (zh) * 2019-03-29 2019-06-07 上海海事大学 一种邮轮工装货物升降装卸平台
KR102264706B1 (ko) * 2019-12-30 2021-06-11 임기택 도교 인양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851B1 (ko) * 2010-01-28 2012-05-03 현대제철 주식회사 선박용 탑승장치
KR101265273B1 (ko) 2012-01-17 2013-05-16 삼광조선공업(주) 선박용 승하선 사다리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685B1 (ko) * 2011-02-09 2013-06-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승하선 장치
KR101271208B1 (ko) * 2011-02-09 2013-06-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승하선 장치
KR101378798B1 (ko) * 2012-08-09 2014-03-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상의 브릿지 설치 시스템 및 설치 방법
CN105544376A (zh) * 2016-01-19 2016-05-04 华德宝机械(昆山)有限公司 一种登船桥接船用渡板装置及登船桥
CN109850075A (zh) * 2019-03-29 2019-06-07 上海海事大学 一种邮轮工装货物升降装卸平台
CN109850075B (zh) * 2019-03-29 2023-09-19 上海海事大学 一种邮轮工装货物升降装卸平台
KR102264706B1 (ko) * 2019-12-30 2021-06-11 임기택 도교 인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47383B1 (ko) 2002-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33290B2 (en) Light-weight platform having stairs
US20100089302A1 (en) Lowerable platform with float for a watercraft
KR100347383B1 (ko) 선박의 승하선장치
US20080066241A1 (en) Overhead self-levelling lift system for transporting payloads in dynamic settings and use thereof
KR102098313B1 (ko) 선박용 현측 사다리
CN102383370A (zh) 双通道旅客登船桥
GB2292911A (en) Improvements relating to boarding ramps.
CN1087250C (zh) 用于设置在船舶上的起重机的副桁架
KR200209214Y1 (ko) 선박의 승하선장치
KR102076677B1 (ko) 초대형 컨테이너선용 승하선장치
EP3771631B1 (en) A retractable telescopic gangway for a floating navigation unit
EP0047563B1 (en) Accomodation ladder for ships
KR20080101307A (ko) 선박의 승하선 장치
US7152548B2 (en) Boat with dive elevator
JP6746320B2 (ja) ボーディングブリッジ
JPH06286959A (ja) 車椅子用乗船装置
KR102566898B1 (ko) 안전성이 개선된 레저용 보트
SE451373B (sv) Korbar ramp for lastning och lossning av fartyg
ES2781959T3 (es) Pasarela de embarque y desembarque de pasajeros
US11761159B2 (en) Passenger bridge
US20240083548A1 (en) Adjustable height upper deck system and method
CN108570921B (zh) 登船桥
JPS5924034B2 (ja) ロ−ルオンロ−ルオフ船の車両乗下船装置
KR20230010372A (ko) 선박용 사다리 플랫폼
JP2535577Y2 (ja) フルームライド施設用ボート滑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