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4571B1 -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도킹 기기 및 상기 도킹 기기를 이용하여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도킹 기기 및 상기 도킹 기기를 이용하여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4571B1
KR101584571B1 KR1020140054133A KR20140054133A KR101584571B1 KR 101584571 B1 KR101584571 B1 KR 101584571B1 KR 1020140054133 A KR1020140054133 A KR 1020140054133A KR 20140054133 A KR20140054133 A KR 20140054133A KR 101584571 B1 KR101584571 B1 KR 101584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ge
floating dock
groove
dock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4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7400A (ko
Inventor
황진호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4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4571B1/ko
Publication of KR20150127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7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4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4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00Dry-docking of vessels or flying-boats
    • B63C1/02Floating d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지선으로 운반된 대형 블록을 부유식 도크에 탑재하기 위해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안정적으로 연결하는 도킹 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도킹 기기에 있어서, 상기 바지선에 설치되고, 서로 대향하는 제1 홈 및 제2 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1 도킹 브래킷; 상기 부유식 도크에 설치되고, 서로 대향하는 제3 홈 및 제4 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2 도킹 브래킷; 제1 말단이 상기 제1 홈 및 상기 제2 홈에 걸리고, 제2 말단이 상기 제3 홈 및 제4 홈에 걸려서 상기 바지선과 상기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연결바; 및 상기 연결바의 상기 제2 말단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바의 상기 제1 말단의 위치를 조절하는 레버를 포함하는 도킹 기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도킹 기기 및 상기 도킹 기기를 이용하여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방법{DOCKING DEVICE AND METHOD FOR CONNECTING FLOATING DOCK AND BARGE}
본 발명은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도킹 기기에 관한 것으로, 바지선으로 운반된 대형 블록을 부유식 도크에 탑재하기 위해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안정적으로 연결하는 도킹 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선박은 일반적으로 선박 건조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블록 공법을 이용하여 건조된다. 블록 공법에 따른 선박 건조 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소형 및 중형블록을 가공 및 조립한 후, 도크(dock)에 인접한 조립장으로 이동하여 도크에 설치된 문형 크레인의 인양능력 내의 중량으로 조립하거나, 건식도크에 설치된 문형 크레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인양능력이 큰 해상크레인이 인양할 수 있는 위치로 이송시켜 조립하는 공정(PE, pre-erection)이 육상에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육상에서 완성된 대형블록 내지 초대형블록을 도크로 이동시켜 바닥의 반목상에 안착하거나 바지선에 탑재하고, 도크 내부로 이송된 각각의 블록을 상호결합시켜 선체를 완성시킨다.
한편, 도크(Dock)란 선박을 수리 및 건조하기 위해 조선소 또는 항만에 세워진 시설물이며, 크게 건식 도크(Dry Dock)와 부유식 도크(Floating Dock)가 있다.
건식 도크는 수심이 충분한 바다에 면한 곳에 선박의 출입이 가능할 정도의 길이, 너비, 깊이로 땅을 파서 바다와 연결시키고, 측벽과 바닥을 철근콘크리트나 널말뚝으로 보강하고, 입구에 도크 게이트(Dock gate)를 설치한 육상 구조물로서, 도크 게이트를 개폐시켜, 도크 내부에 물을 채우기도 하고, 도크 내부로부터 물을 빼내기도 할 수 있는 작업장이다. 그리고, 부유식 도크란 도크 내부에 발라스트 탱크(Ballast Tank)를 포함하고 있는 해상 구조물로서, 상기 발라스트 탱크 내부로 물을 주입시키면 상기 부유식 도크는 수중으로 가라앉고, 상기 발라스트 탱크 내부로부터 물을 배출시키면 상기 부유식 도크는 해상으로 부유되는 형태를 갖는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르면, 육상에 있는 대형 블록을 해상에 계류중인 부유식 도크 내에 탑재시키기 위해서는 해상 크레인을 이용하여 육상에 인접하게 위치한 바지선에 탑재시킨 후 바지선을 부유식 도크 측으로 이동시키고, 바지선을 안벽 또는 부유식 도크의 측면에 계류삭으로 연결한 후 다시 해상 크레인을 이용하여 바지선에 탑재된 대형 블록을 부유식 도크로 이송시켜 내려놓는다. 또는, 대형 블록이 탑재되어 있는 바지선을 부유식 도크의 선미에 계류삭으로 연결한 후, 해상 크레인 또는 대차를 이용하여 대형 블록을 부유식 도크로 이동시킨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바지선을 안벽 또는 부유식 도크의 측면에 계류한 경우에는 대형 블록의 이동을 위해 크레인만 이용할 수 있고 대차를 이용할 수 없으며, 이동 거리에 따라 이동 시간이 많이 소요될 수 있고, 크레인의 계류 횟수가 많고, 크레인 계류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바지선을 부유식 도크의 선미에 계류삭으로 계류하는 경우에는 해상 크레인을 사용하려면 해상 크레인을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에서 계류시켜야 하므로 계류 횟수 및 계류시간이 증가하고, 날씨가 좋지 않은 날에는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의 연결 부위가 흔들려 대차를 이용할 수 없고, 해상 크레인 및 대차를 동시에 이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59141호 (2013.04.23.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25139호 (2013.01.16.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해상 크레인을 이용하여 대형 블록을 부유식 도크에 탑재하는 경우에 해상 크레인의 계류 횟수 및 계류 시간을 줄일 수 있고, 날씨에 영향을 받지 않고 대차를 이용하여 대형 블록을 부유식 도크에 탑재할 수 있고, 해상 크레인 및 대차를 동시에 이용하여 대형 블록을 부유식 도크에 탑재할 수 있도록 하는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도킹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도킹 기기에 있어서, 상기 바지선에 설치되고, 서로 대향하는 제1 홈 및 제2 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1 도킹 브래킷; 상기 부유식 도크에 설치되고, 서로 대향하는 제3 홈 및 제4 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2 도킹 브래킷; 제1 말단이 상기 제1 홈 및 상기 제2 홈에 걸리고, 제2 말단이 상기 제3 홈 및 제4 홈에 걸려서 상기 바지선과 상기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연결바; 및 상기 연결바의 상기 제2 말단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바의 상기 제1 말단의 위치를 조절하는 레버를 포함하는 도킹 기기가 제공된다.
특히, 상기 연결바의 상기 제1 말단에는 서로 대향하는 제1 걸림 돌기 및 제2 걸림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바의 상기 제2 말단에는 서로 대향하는 제3 걸림 돌기 및 제4 걸림 돌기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걸림 돌기는 상기 제1 홈에 걸리고, 상기 제2 걸림 돌기는 상기 제2 홈에 걸리고, 상기 제3 걸림 돌기는 상기 제3 홈에 걸리고, 상기 제4 걸림 돌기는 상기 제4 홈에 걸릴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버는 한쪽 말단이 상기 제3 돌기에 부착된 제1 지지대; 한쪽 말단이 상기 제4 돌기에 부착된 제2 지지대; 및 한쪽 말단은 상기 제1 지지대와 연결되고 다른 쪽 말단은 상기 제2 지지대와 연결되는 조정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정대에는 레버블록이 설치되고, 상기 레버블록을 이용하여 상기 조정대를 내리면 상기 연결바의 상기 제1 말단이 올라가고, 상기 조정대를 올리면 상기 연결바의 상기 제1 말단이 내려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말단이 올려진 상태에서 상기 바지선은 상기 부유식 도크에 접안되고, 상기 바지선이 상기 부유식 도크에 접안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말단이 내려오면서 상기 제1 걸림 돌기가 상기 제1 홈에 걸리고 상기 제2 걸림 돌기는 상기 제2 홈에 걸릴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킹 기기는 상기 바지선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도킹 브래킷을 지지하는 제1 베이스 빔; 및 상기 부유식 도크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도킹 브래킷을 지지하는 제2 베이스 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지선과 상기 부유식 도크가 만나는 부위에 상기 바지선 및 상기 부유식 도크 중 적어도 하나에 완충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도킹 기기에 있어서, 상기 바지선에 설치되고, 서로 대향하는 제1 홈 및 제2 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1 도킹 브래킷; 상기 부유식 도크에 설치되고, 서로 대향하는 제3 홈 및 제4 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2 도킹 브래킷; 제1 말단이 상기 제1 홈 및 상기 제2 홈에 걸리고, 제2 말단이 상기 제3 홈 및 제4 홈에 걸려서 상기 바지선과 상기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연결바; 및 상기 제2 도킹 브래킷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바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도킹 기기가 제공된다.
특히,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2 도킹 브래킷에 부착되어 제1 삽입구를 형성하는 제1 삽입구 형성 부재; 상기 제2 도킹 브래킷에 부착되어 제2 삽입구를 형성하는 제2 삽입구 형성 부재; 및 상기 제1 삽입구와 상기 제2 삽입구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바를 지지하여 상기 연결바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걸림쇠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는 상기 걸림쇠에 부착되어 상기 걸림쇠를 상기 제1 삽입구와 상기 제2 삽입구에 삽입시키거나, 상기 제1 삽입구와 상기 제2 삽입구에서 뺄 때 사용되는 손잡이; 및 상기 걸림쇠가 상기 제1 삽입구와 상기 제2 삽입구에서 빠질 때 상기 걸림쇠를 받치는 받침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바의 상기 제1 말단에는 서로 대향하는 제1 걸림 돌기 및 제2 걸림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바의 상기 제2 말단에는 서로 대향하는 제3 걸림 돌기 및 제4 걸림 돌기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걸림 돌기는 상기 제1 홈에 걸리고, 상기 제2 걸림 돌기는 상기 제2 홈에 걸리고, 상기 제3 걸림 돌기는 상기 제3 홈에 걸리고, 상기 제4 걸림 돌기는 상기 제4 홈에 걸릴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킹 기기는 상기 바지선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도킹 브래킷을 지지하는 제1 베이스 빔; 및 상기 부유식 도크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도킹 브래킷을 지지하는 제2 베이스 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지선과 상기 부유식 도크가 만나는 부위에 상기 바지선 및 상기 부유식 도크 중 적어도 하나에 완충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킹 기기를 이용하여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바지선과 상기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연결바의 제1 말단이 올라간 상태에서 상기 바지선을 상기 부유식 도크에 접안시키는 단계; 상기 바지선을 부양시켜서 상기 바지선에 설치되어 있는 제1 도킹 브래킷과 상기 연결바의 상기 제1 말단을 체결시키는 단계; 상기 부유식 도크에 설치된 제2 도킹 브래킷에 부착되어 상기 연결바의 제1 말단이 올라간 상태를 고정시키는 스토퍼를 해제하는 단계; 및 상기 바지선의 선미 트림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도킹 기기를 이용하여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특히,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2 도킹 브래킷에 부착되어 제1 삽입구를 형성하는 제1 삽입구 형성 부재; 상기 제2 도킹 브래킷에 부착되어 제2 삽입구를 형성하는 제2 삽입구 형성 부재; 및 상기 제1 삽입구와 상기 제2 삽입구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바를 지지하여 상기 연결바의 제1 말단이 올라간 상태를 고정시키는 걸림쇠를 포함하는, 도킹 기기를 이용하여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는 상기 걸림쇠에 부착되어 상기 걸림쇠를 상기 제1 삽입구와 상기 제2 삽입구에 삽입시키거나, 상기 제1 삽입구와 상기 제2 삽입구에서 뺄 때 사용되는 손잡이; 및 상기 걸림쇠가 상기 제1 삽입구와 상기 제2 삽입구에서 빠질 때 상기 걸림쇠를 받치는 받침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바의 상기 제1 말단에는 서로 대향하는 제1 걸림 돌기 및 제2 걸림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도킹 브래킷에는 제1 홈 및 제2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걸림 돌기는 상기 제1 홈에 걸리고, 상기 제2 걸림 돌기는 상기 제2 홈에 걸려서 상기 제1 도킹 브래킷과 상기 연결바의 상기 제1 말단이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시키는 단계는 상기 바지선의 발라스트 수를 빼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해상 크레인을 이용하여 대형 블록을 부유식 도크에 탑재하는 경우에 해상 크레인의 계류 횟수 및 계류 시간을 줄일 수 있고, 날씨에 영향을 받지 않고 대차를 이용하여 대형 블록을 부유식 도크에 탑재할 수 있고, 해상 크레인 및 대차를 동시에 이용하여 대형 블록을 부유식 도크에 탑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킹 기기를 이용하여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제1 구조의 도킹 기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제1 구조의 도킹 기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제1 구조의 도킹 기기의 설치 모습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제2 구조의 도킹 기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제2 구조의 도킹 기기를 부유식 도크의 선미에서 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제2 구조의 도킹 기기의 스토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제2 구조의 도킹 기기를 이용하여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제2 구조의 도킹 기기를 이용하여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방법의 제1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제2 구조의 도킹 기기를 이용하여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방법의 제2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제2 구조의 도킹 기기를 이용하여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방법의 제3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대형 블록을 부유식 도크에 탑재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해상 크레인을 이용하여 대형 블록을 부유식 도크에 탑재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대차를 이용하여 대형 블록을 부유식 도크에 탑재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는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도킹 기기 두 가지를 제안하고, 제안된 도킹 기기를 이용하여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한 후, 해상 크레인을 이용하여 대형 블록을 부유식 도크에 탑재하는 방법과 대차를 이용하여 대형 블록을 부유식 도크에 탑재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대차 대신에 스키드, 트랜스트포터, 모둘러, 모듈 트랜스포터(MT, module transporter) 등이 이용하여 대형 블록을 이송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대차는 스키드, 트랜스트포터, 모둘러, MT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킹 기기를 이용하여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유식 도크(110)의 선미와 바지선(120)의 선미가 근접하도록 바지선(120)을 부유식 도크(110)에 접안시키고, 로프(140)를 이용하여 바지선(120)을 부유식 도크(110)에 결속시키고, 바지선(120)과 부유식 도크(110)가 만나는 부분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킹 기기(130)를 설치하여 바지선(120)과 부유식 도크(110)가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도킹 기기(130)가 두 개가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바지선(120)의 폭의 길이에 따라 다양한 개수의 도킹 기기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바지선(120)과 부유식 도크(110) 사이에는 간격이 있고, 바지선(120)과 부유식 도크(110)가 만나는 부분에는 완충부재(150)가 설치되어 해류와 같은 외력에 의해 바지선(120)과 부유식 도크(110)가 충돌할 때 발생되는 파손력을 상쇄시킨다. 도 1에는 완충 부재(150)가 부유식 도크(110)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완충 부재(150)는 부유식 도크(110) 및 바지선(120)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바지선(120)과 부유식 도크(110)가 만나는 부분에 철판을 깔아 바지선(120)과 부유식 도크(110) 사이의 간격을 덮는다. 대차를 이용하여 대형 블록을 이송하는 경우 대차는 철판 위를 지나가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두 가지 구조의 도킹 기기를 제안하고, 먼저 도 2 및 3을 참조하여 제1 구조의 도킹 기기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제1 구조의 도킹 기기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제1 구조의 도킹 기기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제1 구조의 도킹 기기의 설치 모습이다.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제1 구조의 도킹 기기는 제1 베이스 빔(base beam)(210), 제2 베이스 빔(211), 제1 도킹 브래킷(docking bracket)(220), 제2 도킹 브래킷(221), 연결바(connection bar)(230) 및 레버(lever)(240)를 포함한다.
제1 베이스 빔(210)은 바지선에 설치되어 제1 도킹 브래킷(220)을 지지하고, 제2 베이스 빔(211)은 부유식 도크에 설치되어 제2 도킹 브래킷(221)을 지지한다.
제1 도킹 브래킷(220)은 제1 베이스 빔(210) 위에 설치되고, 서로 대향하는 제1 홈 및 제2 홈이 설치되어 있다.
제2 도킹 브래킷(221)은 제2 베이스 빔(211) 위에 설치되고, 서로 대향하는 제3 홈 및 제4 홈이 설치되어 있다.
연결바(230)는 '바' 형상이고 양쪽 말단 각각에 서로 대향하는 2 개의 걸림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도 2 내지 4를 보면, 연결바(230)의 제1 말단에는 제1 걸림 돌기(231) 및 제2 걸림 돌기(232)가 형성되어 있고, 연결바(230)의 제2 말단에는 제3 걸림 돌기(233) 및 제4 걸림 돌기(234)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바(230)의 제1 도킹 브래킷(220)의 제1 홈과 제2 홈, 및 제2 도킹 브래킷(221)의 제3 홈과 제4 홈에 걸려서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할 수 있다. 즉, 연결바(230)의 제1 걸림 돌기(231)는 제1 도킹 브래킷(220)의 제1 홈에 걸리고, 제2 걸림 돌기(232)는 제2 홈에 걸리고, 제3 걸림 돌기(233)는 제2 도킹 브래킷(221)의 제3 홈에 걸리고, 제4 걸림 돌기(234)는 제2 도킹 브래킷(221)의 제4 홈에 걸린다.
레버(240)는 연결바(230)의 제2 말단에 연결되어 연결바(230)의 제1 말단의 위치를 조절한다. 즉, 레버(240)는 연결바(230)의 제2 말단의 제3 홈 및 제4 홈에 부착되어, 연결바(230)의 제1 말단을 올렸다 내렸다 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240)는 제1 지지대(241), 제2 지지대(242) 및 조정대(243)로 구성된다. 제1 지지대(241)는 한쪽 말단은 연결바(230)의 제3 돌기(233)에 부착되고 다른 쪽 말단은 조정대(243)와 연결된다. 제2 지지대(242)는 한쪽 말단은 연결바(230)의 제4 돌기(234)에 부착되고 다른쪽 말단은 조정대(243)와 연결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대(243)를 내리면 연결바(230)의 제1 말단이 올라가고 조정대(243)를 올리면 연결바(230)의 제1 말단이 내려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대(243)에 레버 블록(lever block)(250)이 설치될 수 있다. 레버 블록(250)의 훅을 조정대(243)에 걸고, 레버 블록(250)의 체인의 한 쪽 끝은 지면 또는 제2 베이스 빔(211)에 부착시켜서, 체인의 다른 쪽 끝을 잡아 당기면 조정대(243)가 내려와서 연결바(230)의 제1 말단이 올라간다.
레버 블록(250)을 이용하여 조정대(243)를 내려서 연결바(230)의 제1 말단이 올라간 상태에서 바지선을 부유식 도크에 접안시킨 후, 조정대(243)를 올려서 연결바(230)의 제1 말단이 내려가면서 제1 걸림 돌기(231) 및 제2 걸림 돌기(232)가 제1 도킹 크래킷의 제1 홈 및 제2 홈에 걸리게 함으로써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한다.
다음으로, 도 5 내지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제2 구조의 도킹 기기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제2 구조의 도킹 기기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제2 구조의 도킹 기기를 부유식 도크의 선미에서 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제2 구조의 도킹 기기의 스토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제2 구조의 도킹 기기는 제1 베이스 빔(210), 제2 베이스 빔(211), 제1 도킹 브래킷(220), 제2 도킹 브래킷(220), 연결바(230) 및 스토퍼(540)를 포함한다.
제2 구조의 도킹 기기의 제1 베이스 빔(210), 제2 베이스 빔(211), 제1 도킹 브래킷(220), 제2 도킹 브래킷(220) 및 연결바(230)는 제1 구조의 도킹 기기의 제1 베이스 빔(210), 제2 베이스 빔(211), 제1 도킹 브래킷(220), 제2 도킹 브래킷(220) 및 연결바(230)와 동일한 형상 및 기능을 갖는다.
즉, 제1 베이스 빔(210)은 바지선에 설치되어 제1 도킹 브래킷(220)을 지지하고, 제2 베이스 빔(211)은 부유식 도크에 설치되어 제2 도킹 브래킷(221)을 지지한다.
제1 도킹 브래킷(220)은 제1 베이스 빔(210) 위에 설치되고, 서로 대향하는 제1 홈 및 제2 홈이 설치되어 있고, 제2 도킹 브래킷(221)은 제2 베이스 빔(211) 위에 설치되고, 서로 대향하는 제3 홈 및 제4 홈이 설치되어 있다.
연결바(230)는 '바' 형상이고 양쪽 말단 각각에 서로 대향하는 2 개의 걸림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바(230)의 제1 말단에는 제1 걸림 돌기 및 제2 걸림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연결바(230)의 제2 말단에는 제3 걸림 돌기(233) 및 제4 걸림 돌기(234)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바(230)의 제1 도킹 브래킷(220)의 제1 홈과 제2 홈, 및 제2 도킹 브래킷(221)의 제3 홈과 제4 홈에 걸려서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할 수 있다. 즉, 연결바(230)의 제1 걸림 돌기는 제1 도킹 브래킷(220)의 제1 홈에 걸리고, 제2 걸림 돌기는 제2 홈에 걸리고, 제3 걸림 돌기(233)는 제2 도킹 브래킷(221)의 제3 홈에 걸리고, 제4 걸림 돌기(234)는 제2 도킹 브래킷(221)의 제4 홈에 걸린다.
스토퍼(540)는 도 5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도킹 브래킷(211)에 설치되어 연결바(230)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540)는 걸림쇠(541), 손잡이(542), 받침대(543), 제1 내지 제4 간격 유지용 각재(544a, 544b, 544c, 544d) 및 제1 내지 제2 덮개(545a, 545b)를 포함한다.
제1 내지 제4 간격 유지용 각재(544a, 544b, 544c, 544d)는 제2 도킹 브래킷(211)에 부착된다. 그리고, 제1 덮개(545a)가 제1 간격 유지용 각재(544a)와 제2 간격 유지용 각재(544b) 위에 부착되어, 제1 덮개(545a), 제1 간격 유지용 각재(544a) 및 제2 간격 유지용 각재(544b) 사이에 제1 삽입구가 형성된다. 즉, 제1 덮개(545a), 제1 간격 유지용 각재(544a) 및 제2 간격 유지용 각재(544b)는 제2 도킹 브래킷(221)에 부착되어 제1 삽입구를 형성하는 제1 삽입구 형성 부재를 구성한다.
그리고, 제2 덮개(545b)가 제3 간격 유지용 각재(544c)와 제4 간격 유지용 각재(544d) 위에 부착되어, 제2 덮개(545b), 제3 간격 유지용 각재(544c) 및 제4 간격 유지용 각재(544d) 사이에 제2 삽입구가 형성된다. 즉, 제2 덮개(545b), 제3 간격 유지용 각재(544c) 및 제4 간격 유지용 각재(544d)는 제2 도킹 브래킷(221)에 부착되어 제2 삽입구를 형성하는 제2 삽입구 형성 부재를 구성한다.
걸림쇠(541)는 제1 삽입구와 제2 삽입구에 삽입되어 연결바(230)를 지지하여 연결바(230)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즉, 걸림쇠(541)가 제1 삽입구와 제2 삽입구에 삽입되어 있을 때는 연결바(230)가 올라간 상태를 유지하고, 걸림쇠(541)가 제1 삽입구와 제2 삽입구에 빠져 있을 때는 연결바(230)가 내려간 상태를 유지한다.
손잡이(542)는 걸림쇠(541)에 부착되어 걸림쇠(541)를 제1 삽입구와 제2 삽입구에 삽입시키거나, 제1 삽입구와 제2 삽입구에서 뺄 때 사용되고, 받침대(543)는 걸림쇠(541)가 제1 삽입구와 제2 삽입구에서 빠질 때 걸림쇠(541)를 받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도 8 내지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제2 구조의 도킹 기기를 이용하여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제2 구조의 도킹 기기를 이용하여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제2 구조의 도킹 기기를 이용하여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방법의 제1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제2 구조의 도킹 기기를 이용하여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방법의 제2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제2 구조의 도킹 기기를 이용하여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방법의 제3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9를 참조하면, 연결바(230)의 제1 말단이 올라간 상태로 바지선을 부유식 도크에 접안시킨다(S810).
그리고, 바지선을 부양하여 연결바가 제1 도킹 브래킷(220)과 체결되도록 한다(S820). 이때, 바지선의 선미 쪽의 발라스트 수를 빼서 바지선을 부양시킬 수 있다. 바지선이 부양하면 바지선에 설치되어 있는 제1 도킹 브래킷(220)과 연결바(230)가 만나게 되고, 연결바(230)의 제1 걸림 돌기(231) 및 제2 걸림 돌기(232)가 제1 도킹 브래킷(220)의 홈에 걸린다.
그리고, 스토퍼(540)를 해제한 후 바지선의 선미 트림을 조정한다(S830). 이때, 스토퍼(540)의 걸림쇠(541)를 제1 삽입구 및 제2 삽입구로부터 뺌으로써 스토퍼(540)를 해제하고, 바지선의 선미에 발라스트 수를 채워 바지선의 선미 트림을 조정할 수 있다. 그러면, 스토퍼(540)가 해제된 상태이므로, 바지선의 선미 트림을 조정할 때 연결바(230)도 같이 내려온다.
다음으로, 도 12 내지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킹 기기를 이용하여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한 후, 대형 블록을 부유식 도크에 탑재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대형 블록을 부유식 도크에 탑재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해상 크레인을 이용하여 대형 블록을 부유식 도크에 탑재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대차를 이용하여 대형 블록을 부유식 도크에 탑재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를 보면, 먼저 대형 블록을 바지선에 탑재한다(S1210). S1210 단계에서는 육상에 있는 대형 블록을 대차 또는 해상 크레인을 이용하여 바지선에 탑재한다.
그리고, 바지선을 부유식 도크에 접안시킨다(S1220). S1220 단계에서는 대형 블록이 탑재된 바지선을 부유식 도크 쪽으로 운항하여 부유식 도크의 선미와 바지선의 선미가 근접하도록 바지선을 부유식 도크의 선미에 접안시킨다. 이때, 연결바(230)의 제1 말단이 올라간 상태에서 바지선을 부유식 도크에 접안시킨다.
그리고,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위에서 설명한 제1 구조의 도킹 기기 또는 제2 구조의 도킹 기기를 이용하여 연결한다(S1230). 이때,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도킹 기기의 개수는 바지선의 폭의 길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지선의 폭의 길이가 길면 4 개의 도킹 기기가 사용되고, 바지선의 폭의 길이가 짧으면 2 개의 도킹 기기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 사이에는 간격이 있고,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가 만나는 부분에는 완충부재(150)가 설치되어 해류와 같은 외력에 의해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가 충돌할 때 발생되는 파손력을 상쇄시킨다. 완충 부재(150)는 부유식 도크(110) 및 바지선(120)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가 만나는 부분에 철판을 깔아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 사이의 간격을 덮는다. 대차를 이용하여 대형 블록을 이송하는 경우 대차는 철판 위를 지나가게 된다.
본 발명의 제1 구조의 도킹 기기를 이용하여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경우에는, 레버(243)를 이용하여 연결바(230)의 제1 말단을 내려서 제1 말단과 바지선에 설치되어 있는 제1 도킹 브래킷(220)을 체결시켜서,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한다.
본 발명의 제2 구조의 도킹 기기를 이용하여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경우에는, 바지선을 부양시켜서 바지선에 설치되어 있는 제1 도킹 브래킷(220)과 연결바(230)의 제1 말단을 체결시킨 후, 부유식 도크에 설치된 제2 도킹 브래킷(221)에 부착되어 연결바(230)의 제1 말단이 올라간 상태를 고정시키는 스토퍼(540)를 해제하고, 바지선의 선미 트림을 조정하여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한다.
그리고, 대차 또는 해상 크레인을 이용하여 바지선의 대형 블록을 부유식 도크에 탑재한다(S1240).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상 크레인은 바지선에 탑재되어 있는 대형 블록을 들어서 부유식 도크 쪽으로 운반하여 부유식 도크에 탑재한다. 이때, 해상 크레인은 한 쪽은 바지선에 계류되고, 다른 쪽은 부유식 도크에 계류되어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차를 이용하여 바지선에 탑재되어 있는 대형 블록을 부유식 도크로 운반할 수 있다.
그리고, 대차와 해상 크레인을 모두 이용하여 바지선의 대형 블록들을 부유식 도크에 탑재할 수도 있다. 바지선에 복수의 대형 블록들이 탑재되어 있는 경우, 복수의 대형 블록들 중 일부는 대차대차 이용하여 부유식 도크로 이동시키고, 나머지는 해상 크레인을 이용하여 부유식 도크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 부유식 도크
120 : 바지선
130 : 도킹 기기
140 : 로프
150 : 완충부재
210 : 제1 베이스 빔
211 : 제2 베이스 빔
220 : 제1 도킹 브래킷
221 : 제2 도킹 브래킷
230 : 연결바
240 : 레버
241 : 제1 지지대
242 : 제2 지지대
243 : 조정대
250 : 레버 블록
540 : 스토퍼
541 : 걸림쇠
542 : 손잡이
543 : 받침대
544a : 제1 간격 유지용 각재
544b : 제2 간격 유지용 각재
544c : 제3 간격 유지용 각재
544d : 제4 간격 유지용 각재
545a : 제1 덮개
545b : 제2 덮개

Claims (20)

  1.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도킹 기기에 있어서,
    상기 바지선에 설치되고, 서로 대향하는 제1 홈 및 제2 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1 도킹 브래킷;
    상기 부유식 도크에 설치되고, 서로 대향하는 제3 홈 및 제4 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2 도킹 브래킷;
    제1 말단이 상기 제1 홈 및 상기 제2 홈에 걸리고, 제2 말단이 상기 제3 홈 및 제4 홈에 걸려서 상기 바지선과 상기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연결바; 및
    상기 연결바의 상기 제2 말단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바의 상기 제1 말단의 위치를 조절하는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바의 상기 제1 말단에는 서로 대향하는 제1 걸림 돌기 및 제2 걸림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바의 상기 제2 말단에는 서로 대향하는 제3 걸림 돌기 및 제4 걸림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도킹 기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 돌기는 상기 제1 홈에 걸리고, 상기 제2 걸림 돌기는 상기 제2 홈에 걸리고, 상기 제3 걸림 돌기는 상기 제3 홈에 걸리고, 상기 제4 걸림 돌기는 상기 제4 홈에 걸리는, 도킹 기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한쪽 말단이 상기 제3 걸림 돌기에 부착된 제1 지지대;
    한쪽 말단이 상기 제4 걸림 돌기에 부착된 제2 지지대; 및
    한쪽 말단은 상기 제1 지지대와 연결되고 다른 쪽 말단은 상기 제2 지지대와 연결되는 조정대로 구성되는, 도킹 기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조정대에는 레버블록이 설치되고, 상기 레버블록을 이용하여 상기 조정대를 내리면 상기 연결바의 상기 제1 말단이 올라가고, 상기 조정대를 올리면 상기 연결바의 상기 제1 말단이 내려가는, 도킹 기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말단이 올려진 상태에서 상기 바지선은 상기 부유식 도크에 접안되고, 상기 바지선이 상기 부유식 도크에 접안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말단이 내려오면서 상기 제1 걸림 돌기가 상기 제1 홈에 걸리고 상기 제2 걸림 돌기는 상기 제2 홈에 걸리는, 도킹 기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지선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도킹 브래킷을 지지하는 제1 베이스 빔; 및
    상기 부유식 도크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도킹 브래킷을 지지하는 제2 베이스 빔을 더 포함하는 도킹 기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지선과 상기 부유식 도크가 만나는 부위에 상기 바지선 및 상기 부유식 도크 중 적어도 하나에 완충부재가 설치되는, 도킹 기기.
  9.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도킹 기기에 있어서,
    상기 바지선에 설치되고, 서로 대향하는 제1 홈 및 제2 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1 도킹 브래킷;
    상기 부유식 도크에 설치되고, 서로 대향하는 제3 홈 및 제4 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2 도킹 브래킷;
    제1 말단이 상기 제1 홈 및 상기 제2 홈에 걸리고, 제2 말단이 상기 제3 홈 및 제4 홈에 걸려서 상기 바지선과 상기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연결바; 및
    상기 제2 도킹 브래킷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바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바의 상기 제1 말단에는 서로 대향하는 제1 걸림 돌기 및 제2 걸림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바의 상기 제2 말단에는 서로 대향하는 제3 걸림 돌기 및 제4 걸림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도킹 기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2 도킹 브래킷에 부착되어 제1 삽입구를 형성하는 제1 삽입구 형성 부재;
    상기 제2 도킹 브래킷에 부착되어 제2 삽입구를 형성하는 제2 삽입구 형성 부재; 및
    상기 제1 삽입구와 상기 제2 삽입구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바를 지지하여 상기 연결바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걸림쇠를 포함하는, 도킹 기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걸림쇠에 부착되어 상기 걸림쇠를 상기 제1 삽입구와 상기 제2 삽입구에 삽입시키거나, 상기 제1 삽입구와 상기 제2 삽입구에서 뺄 때 사용되는 손잡이; 및
    상기 걸림쇠가 상기 제1 삽입구와 상기 제2 삽입구에서 빠질 때 상기 걸림쇠를 받치는 받침대를 더 포함하는, 도킹 기기.
  12. 삭제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 돌기는 상기 제1 홈에 걸리고, 상기 제2 걸림 돌기는 상기 제2 홈에 걸리고, 상기 제3 걸림 돌기는 상기 제3 홈에 걸리고, 상기 제4 걸림 돌기는 상기 제4 홈에 걸리는, 도킹 기기.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바지선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도킹 브래킷을 지지하는 제1 베이스 빔; 및
    상기 부유식 도크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도킹 브래킷을 지지하는 제2 베이스 빔을 더 포함하는 도킹 기기.
  15.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바지선과 상기 부유식 도크가 만나는 부위에 상기 바지선 및 상기 부유식 도크 중 적어도 하나에 완충부재가 설치되는, 도킹 기기.
  16. 도킹 기기를 이용하여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바지선과 상기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연결바의 제1 말단이 올라간 상태에서 상기 바지선을 상기 부유식 도크에 접안시키는 단계;
    상기 바지선을 부양시켜서 상기 바지선에 설치되어 있는 제1 도킹 브래킷과 상기 연결바의 상기 제1 말단을 체결시키는 단계;
    상기 부유식 도크에 설치된 제2 도킹 브래킷에 부착되어 상기 연결바의 제1 말단이 올라간 상태를 고정시키는 스토퍼를 해제하는 단계; 및
    상기 바지선의 선미 트림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바의 상기 제1 말단에는 서로 대향하는 제1 걸림 돌기 및 제2 걸림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도킹 브래킷에는 제1 홈 및 제2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걸림 돌기는 상기 제1 홈에 걸리고, 상기 제2 걸림 돌기는 상기 제2 홈에 걸려서 상기 제1 도킹 브래킷과 상기 연결바의 상기 제1 말단이 체결되도록 하는, 도킹 기기를 이용하여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2 도킹 브래킷에 부착되어 제1 삽입구를 형성하는 제1 삽입구 형성 부재;
    상기 제2 도킹 브래킷에 부착되어 제2 삽입구를 형성하는 제2 삽입구 형성 부재; 및
    상기 제1 삽입구와 상기 제2 삽입구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바를 지지하여 상기 연결바의 제1 말단이 올라간 상태를 고정시키는 걸림쇠를 포함하는, 도킹 기기를 이용하여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걸림쇠에 부착되어 상기 걸림쇠를 상기 제1 삽입구와 상기 제2 삽입구에 삽입시키거나, 상기 제1 삽입구와 상기 제2 삽입구에서 뺄 때 사용되는 손잡이; 및
    상기 걸림쇠가 상기 제1 삽입구와 상기 제2 삽입구에서 빠질 때 상기 걸림쇠를 받치는 받침대를 더 포함하는, 도킹 기기를 이용하여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방법.
  19. 삭제
  20.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체결시키는 단계는
    상기 바지선의 발라스트 수를 빼는 단계를 포함하는, 도킹 기기를 이용하여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방법.
KR1020140054133A 2014-05-07 2014-05-07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도킹 기기 및 상기 도킹 기기를 이용하여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방법 KR101584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4133A KR101584571B1 (ko) 2014-05-07 2014-05-07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도킹 기기 및 상기 도킹 기기를 이용하여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4133A KR101584571B1 (ko) 2014-05-07 2014-05-07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도킹 기기 및 상기 도킹 기기를 이용하여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7400A KR20150127400A (ko) 2015-11-17
KR101584571B1 true KR101584571B1 (ko) 2016-01-22

Family

ID=54786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4133A KR101584571B1 (ko) 2014-05-07 2014-05-07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도킹 기기 및 상기 도킹 기기를 이용하여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45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50085A (zh) * 2019-03-14 2019-06-07 中交上海航道局有限公司 一种对开式泥驳船的快速锁紧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61990A (en) * 1974-11-26 1976-05-28 Nippon Kokan Kk Bunkatsusentaino setsugohoho
JPS5541995U (ko) * 1978-09-12 1980-03-18
NO159006C (no) * 1986-06-09 1988-11-23 Haugesund Mekaniske Verksted Fremgangsmaate og anordning til heving eller dokksetting av halvt nedsenkbare rigger.
KR101053683B1 (ko) * 2009-10-12 2011-08-04 (주)대한정공 액화 가스 운반선에서 샤프트 정밀 정렬 방법 및 그의 장치
KR101225139B1 (ko) 2010-06-29 2013-01-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도킹구조
KR101259141B1 (ko) 2011-04-15 2013-04-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도킹장치, 도킹장치를 구비하는 자율이동장치 및 자율이동장치의 도킹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7400A (ko) 2015-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7978B1 (ko) 심해 설치선
FI114306B (fi) Menetelmä ja ponttoni kannen asentamiseksi kelluvalle meritekniselle alusrakenteelle
KR101606693B1 (ko) 바지선의 대형 블록을 부유식 도크에 탑재하는 방법
KR101584571B1 (ko)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도킹 기기 및 상기 도킹 기기를 이용하여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방법
KR20150021305A (ko) 슬라이딩 타입 부유식 발전 플랜트 계류 장치
KR20150065442A (ko) 이동식 계류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100914385B1 (ko) 대형블럭의 플로팅도크 탑재방법 및 이를 이용한해상건조공법
KR101481329B1 (ko) 접안시설의 선박 리프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박 지지방법
KR102309460B1 (ko) 항만 플랜트 및 항만 플랜트에 플로팅 바디를 계류시키기 위한 방법
EP3732097A1 (en) A semi submersible vessel
KR100907680B1 (ko) 건조 공법 및 건조 공법용 구조물
KR100827462B1 (ko) 이동식 플로팅 안벽
JP5684220B2 (ja) 浮標の設置方法
KR102474394B1 (ko) 수중 구조물의 운반 시스템, 수중 구조물의 운반 및 해체 방법
CN206278821U (zh) 一种将船舶移至岸上或干船坞内的吊运装置
JPS61115794A (ja) フロ−トオンフロ−トオフ船
KR20150049623A (ko) 가설상판을 이용한 해상 재킷 구조물 시공방법
KR101326773B1 (ko) 부등침하에 대응이 용이한 항만구조물
KR200310142Y1 (ko) 잔교형 중력식 선박접안시설
KR20110063984A (ko) 메가블록 슬라이딩 진수를 통한 선박건조공법
TW201945622A (zh) 海港設施以及在該海港設施停泊浮體的方法
KR102493444B1 (ko) 부유체 안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로드아웃 방법
KR100967887B1 (ko) 독 배치 구조 및 그의 선박 건조방법
KR101140399B1 (ko) 확장형 부유식 도크 및 이를 이용한 선박 건조 공법
KR102087177B1 (ko) 부유식 발전 플랜트 계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