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9631B1 - 선박용 긴급제동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용 긴급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9631B1
KR101259631B1 KR1020100121911A KR20100121911A KR101259631B1 KR 101259631 B1 KR101259631 B1 KR 101259631B1 KR 1020100121911 A KR1020100121911 A KR 1020100121911A KR 20100121911 A KR20100121911 A KR 20100121911A KR 101259631 B1 KR101259631 B1 KR 101259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ing
ship
braking plate
plate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1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0422A (ko
Inventor
박광용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1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9631B1/ko
Publication of KR20120060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0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9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9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50Slowing-down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4Power transmissions between power sources and drums or barr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선박의 긴급제동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긴급제동장치는, 선박의 선미에 승, 하강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선박의 선미에서 제동력이 작용되도록 하는 제동플레이트; 선박의 선미에 설치되어 상기 제동플레이트의 양측단을 레일 결합되도록 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제동플레이트를 와이어 연결시켜 수직방향으로 승강 견인하거나, 견인 해제시켜 상기 제동플레이트의 자중에 의해 하강견인되도록 하는 승강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용 긴급제동장치{SHIP BRAKE DEVICE}
본 발명은 선박용 긴급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 선박에서의 제동은 M/E RPM을 감소시켜 프로펠러 회전수를 줄이거나 프로펠러를 역회전시키는 방법이 유일하다.
더욱이 선박의 항해 중 긴급 제동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나, 이때 역시 선박의 속도 감소는 프로펠러의 회전수나 역회전과 같이 선체에 물이 부딪히면서 생성되는 마찰력에 의해서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선박이 완전히 정지할 때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요구된다. 이처럼 급정지 절차가 다 끝나서야만 효율적인 제동이 이루어진다는 사실로 인해 선박이 완전히 정지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제동 거리가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해상 운송수단의 양적 팽창과 그 규모의 대형화 그리고 나날이 고속수송이 요구되는 현실적 수요를 충족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이와 같은 선박은 그 특성상 항주 중에 제동수단이 가동되더라도 관성에 의한 영향을 받게 되어 제때 멈추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은 관성에 따른 영향은 대형선박일수록 정도가 심하기 때문에 이로 인한 피해가 더욱 커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선박의 선미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승하강되는 제동플레이트를 설치함으로써, 선박의 운행 중 위급 상황에서 프로펠러 후방에 하강되어 커다란 유체저항을 발생시켜 선박의 신속한 제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선박을 안전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박용 긴급제동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선박의 선미측에 긴급제동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설치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일반 항해 중에는 유체 저항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이로 인한 출력손실이 없고, 안벽접안이나 타 선박과의 접안 시에는 상호 간섭되지 않아 안전하게 접안 할 수 있 도록 하는 선박용 긴급제동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박의 선미에 승, 하강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선박의 선미에서 제동력이 작용되도록 하는 제동플레이트; 선박의 선미에 설치되어 상기 제동플레이트의 양측단을 레일 결합되도록 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제동플레이트를 와이어 연결시켜 수직방향으로 승강 견인하거나, 견인 해제시켜 상기 제동플레이트의 자중에 의해 하강견인되도록 하는 승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긴급제동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동플레이트의 하강위치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제동플레이트 상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제1스톱퍼; 및 상기 제1스톱퍼와 대향되도록 상기 가이드레일의 하부 끝단에 연장 형성되는 제2스톱퍼;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스톱퍼와 상기 제2스톱퍼가 마주보는 대향면에 하강충격이 완충되도록 각각 제1댐퍼와 제2댐퍼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제동플레이트에 승강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 및 상기 동력부로부터 회전동력을 받아 상기 제동플레이트와 연결된 와이어를 권취시켜 상기 제동플레이트가 승강되도록 하는 드럼부; 및 상기 동력부와 상기 드럼부 사이에 설치되어 동력전달을 기구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상기 제동플레이트가 자중에 의해 하강되도록 하는 클러치부;를가 포함할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드럼부를 상기 동력부 양측에 각각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부와 상기 드럼부 사이에 설치되어 동력전달을 기구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상기 제동플레이트가 자중에 의해 하강되도록 하는 클러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클러치부는 선박에서의 긴급제동신호 발생시 이에 연동하여 동력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러치부는 전자클러치 또는 유압클러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선박의 선미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승하강되는 제동플레이트를 설치함으로써, 선박의 운행 중 위급 상황에서 프로펠러 후방에 하강되어 커다란 유체저항을 발생시켜 선박의 신속한 제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선박을 안전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선박 충돌로 인한 해상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선박의 선미측에 긴급제동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설치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일반 항해 중에는 유체 저항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이로 인한 출력손실이 없고, 안벽접안이나 타 선박과의 접안 시에는 상호 간섭되지 않아 안전하게 접안 할 수 있다.
도 1,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긴급제동장치의 구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선박의 선미측을 선체의 측면방향에서 바라본 개략도.
도 3,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긴급제동장치의 구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선박의 선미측을 선체의 배면방향에서 바라본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긴급제동장치의 구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선박의 선미측을 선체의 측면방향에서 바라본 개략도이다.
도 1, 2를 참조하면, 선박(10)의 선미측에 제동플레이트(110)가 승, 하강 가능한 상태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동플레이트(110)는 평상시에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선박(10)의 선미측에 승강된 상태로 있다가, 긴급제동을 요하는 상황이 발생되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강됨으로써, 프로펠러 뒤쪽에서 제동력이 작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동플레이트(110)는 최대 하강시 하단선이 선체저면(11)보다는 위쪽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는 선박(10)이 항구와 같이 수심이 낮은 지역에서 긴급제동 하게 되는 경우나, 암초 등과 같은 위험지역에서 긴급 제동하게 되는 경우에 제동플레이트(110)가 바닥이나 암초에 닿아 충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동플레이트(110)는 선박(10)의 선미측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120)에 의해 양측단이 레일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동플레이트(110)를 와이어(138, 도3참조) 연결시켜 수직방향으로 견인되도록 하는 승강 견인하거나, 견인 해제시켜 제동플레이트(110)의 자중에 의해 하강되도록 하는 승강장치(130)가 가이드레일(120) 상부의 선체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동플레이트(110)의 상단부에는 와이어(138, 도3참조)를 연결시키기 위한 견인고리(139, 도3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강장치(130)는 제동플레이트(110)를 승강 및 하강 견인되도록 하는 견인력을 제공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승강장치(130)는 제동플레이트(110)의 승강 견인시에만 견인력이 제공되도록 하고, 제동플레이트(110)의 하강시에는 견인력을 차단시켜 자중에 의해 하강되도록 할 수 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뒤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도 3,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3,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긴급제동장치의 구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선박의 선미측을 선체의 배면방향에서 바라본 개략도로서, 도 3은 평상시 선박(10)의 운항 예로서, 제동플레이트(110)가 승강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4는 긴급제동시의 예로서, 제동플레이트(110)가 하강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3,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제동플레이트(110)의 하강위치를 제한하기 위한 멈춤수단이 구비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멈춤수단은, 제동플레이트(110) 상단부에 돌출되는 제1스톱퍼(111)를 형성하고, 상기 제1스톱퍼(111)와 대향되도록 가이드레일(120)의 하부 끝단에 제2스톱퍼(121)를 연장 형성하는 구조가 이용될 수 있다.
즉, 긴급 제동시 제동플레이트(110)와 함께 제1스톱퍼(111)가 하강되어 제2스톱퍼(121)에 맞닿아 하강이 멈추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제1스톱퍼(111)와 제2스톱퍼(121)가 마주보는 대향면에 각각 제1댐퍼(113)와 제2댐퍼(123)를 설치함으로써, 하강충격이 완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120)은 하부 끝단을 "L"자 형상으로 연장시켜 연장부에 제2스톱퍼(121)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제2스톱퍼(121)의 대향 위치에 제1스톱퍼(111)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제1스톱퍼(111)와 제2스톱퍼(121)는 각각 한쌍이 나란히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은 멈춤수단은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를 설명한 것일 뿐 이와 같은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멈춤수단은, 제동플레이트(110)와 상기 제동플레이트(110)와 대면하는 선체 사이에 상호 대향 결합되는 가이드홈(미도시) 및 가이드돌기(미도시)를 형성함으로써, 동일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즉, 가이드홈을 선체측에 형성하는 한편, 상기 가이드홈과 대향 결합되는 가이드돌기를 제동플레이트(110) 측에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이와 반대로 가이드홈과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동플레이트(110)를 와이어(138)로 연결시켜 수직방향으로 견인되도록 하는 승강 견인하거나, 견인 해제시켜 제동플레이트(110)의 자중에 의해 하강되도록 하는 승강장치(130)가 가이드레일(120) 상부의 선체에 설치되는데, 상기 승강장치(130)는, 크게 동력부(131), 드럼부(135), 클러치부(133)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선체의 상부 갑판에는 제동플레이트(110)의 승강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131)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동력부(131)는 감속기를 포함하는 모터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동력부(131)의 좌우 양측에는 동력부(131)로부터 회전동력을 받아 제동플레이트(110)와 연결된 와이어(138)를 권취시켜 제동플레이트(110)가 승강되도록 하는 드럼부(135)가 설치된다. 상기 드럼부(135)와 선체 사이에는 가이드롤러(137)를 더 설치함으로써, 와이어(138)를 안정적으로 가이드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승강장치(130)는 제동플레이트(110)를 승강 및 하강 견인되도록 하는 견인력을 제공하게 되는데, 동력부(131)와 드럼부(135) 사이에 클러치부(133) 설치함으로써, 제동플레이트(110)의 승강견인 시에만 견인력이 제공되도록 하고, 제동플레이트(110)의 하강시에는 견인력을 차단시켜 자중에 의해 하강되도록 할 수 도 있다.
이때, 이때, 상기 동력부(131)와 드럼부(135) 사이에는 클러치부(133)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클러치부(133)는 선박에서의 긴급제동신호 발생시 이에 연동하여 동력전달이 기구적으로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제동플레이트(110)가 자중에 의해 하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클러치부(133)는 전자클러치 또는 유압클러치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선박의 선미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승하강되는 제동플레이트를 설치함으로써, 선박의 운행 중 위급 상황에서 프로펠러 후방에 하강되어 커다란 유체저항을 발생시켜 선박의 신속한 제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선박을 안전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선박 충돌로 인한 해상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선박의 선미측에 긴급제동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설치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일반 항해 중에는 유체 저항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이로 인한 출력손실이 없고, 안벽접안이나 타 선박과의 접안 시에는 상호 간섭되지 않아 안전하게 접안 할 수 있게 된다.
10: 선박 11: 선체저면
110: 제동플레이트 111: 제1스톱퍼
113: 제1댐퍼 120: 가이드레일
121: 제2스톱퍼 123: 제2댐퍼
130: 승강장치 131: 동력부
133: 클러치부 135: 드럼부
137: 가이드롤러 138: 와이어
139: 견인고리

Claims (6)

  1. 선박의 선미에 승, 하강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선박의 선미에서 제동력이 작용되도록 하는 제동플레이트;
    선박의 선미에 설치되어 상기 제동플레이트의 양측단을 레일 결합되도록 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제동플레이트를 와이어 연결시켜 수직방향으로 견인되도록 하는 승강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제동플레이트에 승강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
    상기 동력부로부터 회전동력을 받아 상기 제동플레이트와 연결된 와이어를 권취시켜 상기 제동플레이트가 승강되도록 하는 드럼부; 및
    상기 동력부와 상기 드럼부 사이에 설치되어 동력전달을 기구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상기 제동플레이트가 자중에 의해 하강되도록 하는 클러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클러치부는 선박에서의 긴급제동신호 발생시 이에 연동하여 동력 차단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긴급제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플레이트의 하강위치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제동플레이트 상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제1스톱퍼; 및
    상기 제1스톱퍼와 대향되도록 상기 가이드레일의 하부 끝단에 연장 형성되는 제2스톱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긴급제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톱퍼와 상기 제2스톱퍼가 마주보는 대향면에 하강충격이 완충되도록 각각 제1댐퍼와 제2댐퍼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긴급제동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부를 상기 동력부 양측에 각각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긴급제동장치.
  6. 삭제
KR1020100121911A 2010-12-02 2010-12-02 선박용 긴급제동장치 KR101259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1911A KR101259631B1 (ko) 2010-12-02 2010-12-02 선박용 긴급제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1911A KR101259631B1 (ko) 2010-12-02 2010-12-02 선박용 긴급제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0422A KR20120060422A (ko) 2012-06-12
KR101259631B1 true KR101259631B1 (ko) 2013-04-29

Family

ID=46611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1911A KR101259631B1 (ko) 2010-12-02 2010-12-02 선박용 긴급제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96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722B1 (ko) * 2014-07-16 2016-03-21 김제형 선박의 선회 및 감속 보조장치
KR102392456B1 (ko) * 2020-11-17 2022-04-28 윤병재 선박용 추진 모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49797A (en) * 1977-09-26 1979-04-19 Kouji Matsumoto Emergency stop device for ship
JPS5671695A (en) * 1979-11-10 1981-06-15 Mitsubishi Heavy Ind Ltd Brake gear for emergency stopping of ship
JPH0532297U (ja) * 1991-10-14 1993-04-27 幹治 石田 船舶用制動構造
KR100529737B1 (ko) * 2005-05-12 2005-11-23 (주)일신설계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수해방지 설비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49797A (en) * 1977-09-26 1979-04-19 Kouji Matsumoto Emergency stop device for ship
JPS5671695A (en) * 1979-11-10 1981-06-15 Mitsubishi Heavy Ind Ltd Brake gear for emergency stopping of ship
JPH0532297U (ja) * 1991-10-14 1993-04-27 幹治 石田 船舶用制動構造
KR100529737B1 (ko) * 2005-05-12 2005-11-23 (주)일신설계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수해방지 설비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0422A (ko) 2012-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32387A (en) Winding mechanism
US3151594A (en) Drilling barge anchor system
CN107140156B (zh) 托底钢梁整体打捞沉船方法
CN100506634C (zh) 一种引导船舶上的缆索的牵引栓装置
US4458631A (en) Stop assembly for securing a buoy line connecting a mooring anchor to the associated buoy
CN205314061U (zh) 一种智能吸附式大吨位船舶靠泊的缓冲装置
CN102161374A (zh) 链制动设备
KR101259631B1 (ko) 선박용 긴급제동장치
US20150217838A1 (en) Method for lowering and hoisting of a load to or from an ocean floor
CN103835262B (zh) 消能重力锚自动下落式浮基高架拦阻船舶设施
US4348960A (en) Aerial cableway between a sea vessel and a fixed installation
KR20180038700A (ko) 회전 계선주가 구비되는 선박의 계류구조 및 이를 이용한 선박 계류방법
CN103661831A (zh) 艏部具有双锚绞机的全回转拖船
CN109866873B (zh) 一种封闭式艏楼锚链的进舱方法
CN213508365U (zh) 一种多缆式水下阻拦网装置及水下阻拦网系统
NL2016759B1 (en) Assembly of a Vessel and a Floating Module
CN212358241U (zh) 升船机船厢船舶靠泊与防护一体化装置
KR200436987Y1 (ko) 선박후방경사면으로의 보트 인양 및 하강장치
KR100926890B1 (ko) 잔교 이동이 가능한 부잔교
US9988127B2 (en) Vessel having a retractable cursor frame assembly
CN104060594B (zh) 可适应不同水位变化的升船机船厢门防撞方法
NO336080B1 (no) Fartøy og fremgangsmåte for undervannsslep av tunge laster
CN203714157U (zh) 艏部具有双锚绞机的全回转拖船
GB2479742A (en) A boat lift incorporating lift components attached to side portions of the boat
KR20150104734A (ko) 도르래를 이용한 선박 계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