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0177B1 - 기복 게이트식 방파제의 계류장치 - Google Patents

기복 게이트식 방파제의 계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0177B1
KR101680177B1 KR1020127009184A KR20127009184A KR101680177B1 KR 101680177 B1 KR101680177 B1 KR 101680177B1 KR 1020127009184 A KR1020127009184 A KR 1020127009184A KR 20127009184 A KR20127009184 A KR 20127009184A KR 101680177 B1 KR101680177 B1 KR 101680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oring
door body
hook
end side
forward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9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0910A (ko
Inventor
도시아키 모리이
교이치 나카야스
유이치로 기무라
Original Assignee
히다치 조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조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조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00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0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0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0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4Hinged-leaf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50Floating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과제) 계류훅의 자세를 단시간에 보정한다.
(해결수단) 기복 게이트식 방파제(1)의 계류장치(11)에 관한 것이다. 계류상태의 도어체(2)의 게이트 계류부(2d)와 마주 하는 위치에 설치한 토크 샤프트(14)의 게이트 계류부(2d)와의 결합위치에 계류훅(15)을 부착한다. 게이트 계류부(2d)와의 결합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계류훅(15)을 회전시키는 카운터웨이트(16)를 부착한다. 토크 샤프트(14)에 일단측을 부착한 토크암(18)의 타단측에 일단측을 접속하고, 타단측은 도어체 이면(2c)과 마주 보는 부분에 설치하도록 전향링크부재(12, 13)를 사이에 두고 일단측에 장공(17aa)를, 타단측에 구면 부시(17ab)을 설치한 일방의 연직로드(17a)를 구비하는 로드부재(17)의 타단측을 수면위로 인출한다. 일단측을 로드부재(17)에 접속하고, 타단측은 훅착탈용 실린더장치(22)에 부착한 활차(23)를 통하여 코일스프링(26)과 접속하는 와이어 부재(24)를 구비한다.
(효과) 계류훅의 자세를 단시간에 보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복 게이트식 방파제의 계류장치{MOORING DEVICE FOR FLAP GATE TYPE BREAKWATER}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조류(潮流)에 의하여 높아지는 해수면에 대한 대책으로서 항만에 설치되는 기복 게이트식 방파제(起伏 gate式 防波堤)의 도어체(door體)를 계류(繫留)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복 게이트식 방파제로서, 부력(浮力)에 의하여 도어체의 기복을 하는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상기 기복 게이트식 방파제는, 도어체에 설치한 부력실(浮力室)에 급기(給氣)하면서, 부력실내의 해수(海水)를 배수(排水)함으로써 도어체를 부상(浮上)시키므로, 부력실에 대한 급기·부력실로부터의 배수를 하는 급기장치(給氣裝置)가 필요하다.
그러나 상기 기복 게이트식 방파제의 경우에, 정전시에도 필요한 압축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항상 압축 탱크에 압축공기를 축적해 놓아야 한다. 또한 격납상태의 도어체의 부력실에는 해수가 충만하여 도어체의 중량에 의하여 격납위치에 착상(着床)하고 있으므로, 항상 압축 탱크의 압력, 도어체의 전도 모멘트(顚倒 moment))(도어체 선단부의 중량) 및 경사각을 감시할 필요가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부식 등에 의하여 부력실에 구멍이 뚫리는 것 같은 이상은 검출할 수 없다. 또한 퇴적물 등에 의하여 도어체의 중량이 증가하였을 경우에는, 부상조작 또는 준설(浚渫) 등의 유지보수를 할 필요가 있는 등 유지관리의 부담이 크다.
또한 예를 들면 지진발생시에 해일 경보가 발령되어서 방파제를 기립(起立)시키는 경우에는, 부상명령에 의거하여 급기 밸브를 여는 조작을 하여 부력실에 대한 급기·부력실로부터의 배수를 하므로, 방파제의 기립에 긴 시간이 걸리므로 해일 침투의 차단에 대응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출원인은, 부력에 의하여 도어체가 기립하는 기복 게이트식 방파제에 있어서 상기 도어체를 항상 부력을 구비한 상태로 지지하여 계류하는 것을 제안하였다(일본국 특허출원2008-307699호).
이러한 기복 게이트식 방파제의 계류장치에서는, 수중에 설치한 계류훅(繫留 hook)의 조작을 지상으로부터 계류 로프(繫留 rope)를 사용하여 실시하고 있다. 따라서 시간이 지나거나 또는 계절변화에 의하여 계류 로프가 신장했을 경우에, 확실한 계류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계류훅의 자세를 보정할 필요가 있지만, 그 보정에 긴 시간이 걸린다.
또한 계류 로프가 신장하여 그 교환이 필요한 경우에, 로프의 선단을 계류훅에 부착하기 위한 수중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3-227125호 공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은, 출원인이 제안한 기복 게이트식 방파제의 계류장치에서는, 확실한 계류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계류훅의 조작을 하는 계류 로프의 변화(신장)에 대하여 실시하는 계류훅의 자세의 보정에 긴 시간이 걸린다고 하는 점이다. 또한 계류훅의 조작을 하는 계류 로프의 계류훅측이 수중에 있으므로, 그 교환에 있어서는 수중작업이 필요하게 된다고 하는 점이다.
본 발명의 기복 게이트식 방파제의 계류장치는,
계류훅의 자세의 보정에 긴 시간이 걸리지 않고 또한 로프를 수중에 위치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도어체 블록을 폭방향으로 복수조 병렬로 설치한 도어체가 부력을 얻은 상태에서 계류되고, 부상조작은 상기 계류를 해제함으로써 하는 기복 게이트식 방파제의 계류장치로서,
계류상태에 있는 상기 도어체의 이면에 부착한 게이트 계류부와 마주 대하는 위치에, 축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토크 샤프트와,
이 토크 샤프트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계류부와의 결합위치로 돌출 모양으로 부착되는 계류훅과,
상기 게이트 계류부에 대한 이 계류훅의 결합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상기 토크 샤프트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토크 샤프트에 부착되는 카운터웨이트와,
상기 도어체를 수중으로 계류하는 수납부에 있어서, 계류상태에 있는 도어체의 이면과 마주 대하는 부분에 설치된 일방의 전향링크부재와,
상기 수납부에 있어서, 계류상태에 있는 도어체 이면측의 일방측 외측에 설치된 타방의 전향링크부재와,
상기 토크 샤프트에 일단측이 부착되는 토크암의 타단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일단측이 접속되고, 타단측은 상기 양 전향링크부재를 사이에 두고 수면위로 인출된 로드부재와,
이 로드부재의 타단측 근방에 설치되고, 피스톤 로드의 선단에 활차를 부착한 훅착탈용 실린더장치와,
일단측이 상기 로드부재의 타단에 접속되고, 타단측은 상기 활차를 통하여 도어체의 요동에 따라 신축하는 신축장치와 접속하는 와이어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로드부재를 구성하고, 상기 토크암의 타단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일단측이, 상기 일방의 전향링크부재의 일방측 단부에 타단측이 각각 피벗 지지된 일방의 연직로드는 일단측에 장공을 타단측에 구면 부시를 각각 구비하고, 도어체의 계류동작시에 상기 게이트 계류부에 의한 상기 계류훅 선단의 하강시작으로부터 상기 계류훅 선단이 상기 게이트 계류부를 지나치기까지의 사이에, 상기 구면 부시를 지점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장공을 따라 상기 토크암의 타단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부착되는 핀이 이동함으로써 상기 계류훅의 상하회전을 허용하는 것을 가장 주요한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계류 로프를 대신하여 채용한 로드부재의 타단측과 도어체의 요동에 따라 신축하는 신축장치를 접속하는 와이어 부재를, 훅착탈용 실린더장치의 피스톤 로드의 선단에 부착한 활차를 통하여 승강이동 함으로써 로드부재의 신장을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로드부재와 도어체의 요동에 따라 신축하는 신축장치를 접속하는 와이어 부재를 훅착탈용 실린더장치의 피스톤 로드에 부착한 활차를 통하여 승강이동 함으로써 로드부재에 신장이 발생하여도 그 신장의 보정을 할 수 있다.
또한 토크암과 일방의 전향링크부재를 연결하는 일방의 연직로드의 일단측에 장공을 타단측에 구면 부시를 각각 설치함으로써, 계류동작이 계류훅과 카운터웨이트 만으로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지상에 설치하는 장치에는 일련의 계류동작에 관한 움직임은 불필요 하게 되어 훅착탈용 실린더장치의 스트로크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일련의 계류동작이 전향링크부재, 로드부재에 관계없이 이루어지므로, 카운터웨이트에 의하여 전향링크부재, 로드부재를 움직일 필요가 없어 카운터웨이트의 중량을 경감시킬 수 있다.
[도1](a)는 본 발명의 계류장치를 구비한 기복 게이트식 방파제의 계류시의 도복상태를 설명하는 개략도, (b)는 도어체 선단부의 확대도다.
[도2]기복 게이트식 방파제를 항구의 폭에 연속하여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a)는 텐션로드를 생략한 사시도, (b)는 측면도다.
[도3]도어체의 정상단과 수납부의 간격 및 도어체 블록의 양 측단부의 개구폭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a)는 측면도, (b)는 입면도다.
[도4]계류장치의 상세도로서, (a)는 수납부측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b)는 제어장치측의 구성을 나타내는 상세도다.
[도5]일방의 전향링크부재가 복수개 설치되고 있을 때의 계류장치의 상태를 설명하는 개략도다.
[도6](a)는 계류의 준비동작시에 있어서의 계류장치의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b)는 (a)의 화살표 A-A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7](a)는 계류의 준비동작 완료시에 있어서의 계류장치의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b)는 (a)의 화살표 A-A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8]계류준비조작에 있어서 소정의 스트로크량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9](a)∼(c)는 도어체의 도복에 따르는 게이트 계류핀과 계류훅의 상대적인 위치관계를 순서를 쫓아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10](a)는 계류완료시에 있어서 계류장치의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b)는 (a)의 A-A 방향에서 본 게이트 계류핀과 계류훅의 상대적인 위치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11](a)는 도어체의 계류가 해제되어 있을 때의 계류장치의 상태를 설명하는 개략도, (b)는 (a)의 화살표 A-A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12]도어체의 요동을 허용하였을 경우에 필요한 계류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13]도어체의 도복상태를 지지하는 데에 필요한 계류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는, 계류훅의 자세의 보정을 단시간에 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로드부재와 도어체의 요동에 따라 신축하는 신축장치를 접속하는 와이어 부재를, 훅착탈용 실린더장치의 피스톤 로드에 부착한 활차를 통하여 승강이동 함으로써 실현시켰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1∼도13을 사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계류장치를 구비한 기복 게이트식 방파제의 계류시의 도복상태(倒伏狀態; 누워있는 상태)를 설명하는 개략도다.
도1에 있어서, 1은 기복 게이트식 방파제로서, 예를 들면 도어체(2)와, 이 도어체(2)의 부상시에 도어체(2)가 전도하지 않도록(쓰러지지 않도록) 항만(R)의 항구 외측에 설치된 복수의 텐션로드(3)를 구비한 구성이다.
이 도어체(2)는, 항구폭이 넓은 수역(水域)에 설치하는 경우에 도2(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폭방향으로 복수조(複數組)의 도어체 블록(B)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병렬로 설치하고, 이웃하는 도어체 블록(B) 상호간을 로프에 의하여 연결한 구성의 것으로 한다.
상기 도어체(2)에서는, 이웃하는 상기 각 도어체 블록(B)간의 일방측의 중심으로부터 타방측의 중심까지를 도어체 블록의 1단위로 하고, 도어체 블록 1단위의 폭에서 도어체 블록(B)의 폭을 뺀 값을 도어체 블록(B)의 양 측단부의 개구폭(d1)(도3(b) 참조)으로 한다.
이 도어체 블록(B)의 양 측단부의 개구폭(d1)은, 예를 들면 해일에 대응하는 기복 게이트식 방파제(1)에서는 해일 발생시에 항구내에 대한 누수량이 지나치게 커지지 않도록, 도어체 블록(B)의 폭에 대하여 1%로 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이웃하는 도어체 블록(B)간의 개구폭에 대해서, 도어체 블록 1단위는 폭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병렬로 설치하고 있으므로, (d1/2) · 2 = d1이 되고, 도어체 블록(B)의 폭에 대하여 1%이다. 또, 도어체 블록(B)의 양 측단부의 개구폭(d1)은 너무 작으면 이물질이 끼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도어체(2)는, 기단측의 회전축(2a)을, 예를 들면 항만(R)의 바닥부에 일체적인 구조로 설치한 수납부(4)의 기대(4a)에 베어링(5)에 의하여 회전하도록 지지함으로써, 상기 회전축(2a)을 지점으로 하여 기복한다.
이 기복동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도어체(2)의 정상단과 상기 수납부(4) 사이에도 간격(d2)(도3(b)참조)을 존재시키고 있다. 따라서 도복상태의 도어체(2)의 상측의 공간(S1)과 하측의 공간(S2)은, 도3(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 도어체 블록(B)의 양 측단부의 개구폭(d1)과 각 도어체 블록(B)의 정상단과 수납부(4) 사이의 간격(d2)에 의하여 서로 통하고 있다.
또한 상기 텐션로드(3)는, 예를 들면 그 중간의 연결부(3a)에서 절곡(折曲)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어체(2)의 기립시에 상단측에 위치하는 일방단부(3b)는 상기 도어체(2)의 정상부측에, 상기 기립시에 하단측에 위치하는 타방단부(3c)는 도어체(2)가 도복하는 쪽의 상기 회전축(2a)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각각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상기 도어체(2)의 예를 들면 정상부측에는 부력실(2b)이 설치되고, 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한 급기장치(리시버 탱크와 컴프레서)에 의하여 상기 부력실(2b)에 급기함으로써, 도어체(2)의 부상에 필요한 부력을 얻도록 구성되어 있다.
11은, 부력을 구비한 상태의 상기 도어체(2)를 수중에 계류시키는 본 발명의 계류장치로서, 예를 들면 도4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12, 13은 벨크랭크(bell crank) 형상의 전향링크부재(轉向link部材)로서, 일방의 전향링크부재(12)는, 상기 도어체(2)를 수중에서 계류시키는 수납부(4)에 있어서, 도1(a)에 나타나 있는 계류시의 도복상태에 있는 도어체(2)의 이면(2c)과 마주 대하는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타방의 전향링크부재(13)는, 격납시의 상기 도복상태에 있는 도어체(2)의 이면(2c)과 마주 대하는 부분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4)에 있어서 상기 도어체(2)의 일방단 외측에 설치되어 있다.
14는, 축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이 가능한 토크 샤프트로서, 계류상태에 있는 상기 도어체(2)의 이면(2c)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정상단부측(기립시는 도어체(2)의 상단측)에 부착한 게이트 계류부(2d)와 마주 대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토크 샤프트(14)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계류부(2d)와의 결합위치에 계류훅(15)이 돌출하는 형상으로 부착되어 있다.
16은, 예를 들면 상기 계류훅(15)을 토크 샤프트(14)의 반대측으로 돌출시키고 이 반대측의 돌출부에 부착한 카운터웨이트(counter-weight)로서, 상기 게이트 계류부(2d)에 대한 계류훅(15)의 결합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토크 샤프트(14)를 회전시킨다.
17은, 상기 토크 샤프트(14)의 축방향 중간위치에 일단측이 부착되는 토크암(18)의 타단측에 일단측이 접속되고, 타단측은 상기 일방의 전향링크부재(12), 상기 타방의 전향링크부재(13)를 사이에 두고 수면위로 인출되는 로드부재다.
이 로드부재(17)는, 일방의 연직로드(17a), 수평로드(17b), 타방의 연직로드(17c)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에서 일방의 연직로드(17a)는, 일방단부에 장공(17aa)을 형성하고, 이 장공(17aa)에 상기 토크암(18)의 타단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설치한 핀(18a)을 삽입하고 있다. 한편 타방단부에는 구면 부시(17ab)를 설치하고, 일방의 전향링크부재(12)의 일방측 단부(12a)에 회전하도록 지지하고 있다.
또한 수평로드(17b)는, 일방단부를 일방의 전향링크부재(12)의 타방측 단부(12b)에 회전하도록 지지하고, 타방단부는 타방의 전향링크부재(13)의 일방측 단부(13a)에 회전하도록 지지하고 있다. 일방의 전향링크부재(12)가 복수개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평로드(17b)는 이 복수개의 일방의 전향링크부재(12)의 타방측 단부(12b)와 회전하도록 지지하여 타방단부를 타방의 전향링크부재(13)의 일방측 단부(13a)에 회전하도록 지지한다(도5 참조).
또한 타방의 연직로드(17c)는, 일방단부를 타방의 전향링크부재(13)의 타방측 단부(13b)에 회전하도록 지지하고, 타방단부는 수면위로 인출되어 이하의 구성을 구비하는 제어장치(21)에 접속되어 있다.
19는 일방의 전향링크부재(12)의 일방측 단부(12a)의 회전궤적상에 설치된 동작제한 스토퍼(動作制限 stopper)로서, 일방의 전향링크부재(12)의 일방단부(12a)가 동작제한 스토퍼(19)에 접촉하여 일방의 전향링크부재(12)의 동작범위를 제한한다(도8 참조).
22는 상기 계류훅(15)을 게이트 계류부(2d)에 착탈하기 위한 훅착탈용 실린더장치로서, 상기 타방의 연직로드(17c)의 타방단 부근에 설치되어 있다. 이 훅착탈용 실린더장치(22)는, 바닥부가 고정된 실린더(22a)로부터 진출하는 피스톤 로드(22b)의 선단에 활차(23)를 부착하고 있다.
24는 상기 활차(23)에 감긴 와이어 부재로서, 그 일단측이 로드셀(25)을 통하여 상기 타방의 연직로드(17c)의 타단에 접속되고, 타단측은 도어체(2)의 요동에 따라 신축하는 신축장치, 예를 들면 스프링 장치(26)와 접속되어 있다. 스프링 장치(26)에 사용하는 스프링은, 가늘고 긴 금속선을 나선형상으로 감은 코일스프링을 사용하고 있다. 이 와이어 부재(24)의 경우에, 신장에 의한 교환은 수중작업이 불필요 하여 지상작업만으로 끝난다.
상기 훅착탈용 실린더장치(22)에는, 피스톤 로드(22b)의 진퇴량을 검출하는 스트로크 센서(22c)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 장치(26)에는, 스프링의 스트로크를 측정하는 스트로크 센서(26a) 및 스트로크 인디케이터가 설치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계류장치(11)에서는, 수납부(4)에 계류된 도어체(2)의 위를 파랑(波浪)이 통과했을 때에 도어체(2)에 발생하는 부상력에 기인하는 요동을 스프링 장치(26)의 신축에 의하여 허용함으로써 파력(波力)을 상쇄한다.
상기 구성의 기복 게이트식 방파제(1)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조작에 의하여 도어체(2)의 계류나 계류의 해제를 한다.
(계류준비동작 : 도6∼도8 참조)
훅착탈용 실린더장치(22)의 피스톤 로드(22b)를 빼내는 동작을 시켜, 일방의 전향링크부재(12)의 일방측 단부(12a)를 동작제한 스토퍼(19)에 접촉시킨다(도6 참조).
그 후에 스프링 장치(26)의 스트로크 센서(26a) 또는 로드셀(25)을 감시하면서, 도어체(2)의 계류시에 있어서의 기준이 되는 부력이 작용할 때와 동등한 계류력이 작용할 때까지, 훅착탈용 실린더장치(22)의 피스톤 로드(22b)를 빼내는 동작을 시킨다. 그리고 그 때의 훅착탈용 실린더장치(22)의 피스톤 로드(22b)의 스트로크 위치를 스트로크 센서(22c)에 의하여 검출하고 기준위치로서 기억한다. 또, 도어체(2)의 계류시에 있어서의 기준이 되는 부력이 작용할 때와 동등한 계류력을 이하에서 소정의 계류력이라고 한다.
이 때에, 동작제한 스토퍼(19)로부터 제어장치(21) 사이의 링크 부재 및 스프링 장치 일체는 소정의 계류력에 상당하는 힘이 작용하여 신장하고 있는 상태이다. 또, 상기 스프링 장치 일체라 함은, 일방의 전향링크부재(12), 로드부재(17b, 17c), 타방의 전향링크부재(13), 로드셀(25), 와이어 부재(24), 스프링 장치(26)를 말한다.
일방의 전향링크부재(12)와 계류훅(15)의 자세의 상대관계는 알려져 있다. 따라서 상기 기억하고 있는 기준위치에 있어서의 일방의 전향링크부재(12)의 자세에서, 소정의 스트로크 상당량만큼 훅착탈용 실린더장치(22)의 피스톤 로드(22b)를 퇴출동작 시킨다(도8 참조). 또, 상기 소정의 스트로크 상당량이라 함은, 일방의 전향링크부재(12)가 동작제한 스토퍼(19)에 접촉하고 있는 위치(상상의 선)로부터 계류훅(15)이 수평상태가 될 때의 상당위치(실선)까지를 말한다.
상기 상태에서, 훅착탈용 실린더장치(22)의 피스톤 로드(22b)를 소정의 스트로크 상당량만큼 퇴출동작 시켰을 때에, 우선 연장되어 있던 상기 링크 부재 및 스프링 장치 일체가 수축한다. 그 후에 일방의 전향링크부재(12)의 일방단부(12a)가 동작제한 스토퍼(19)로부터 떨어진다. 계류훅(15)은, 상기 링크 부재 및 스프링 장치 일체의 수축 상당분만큼 수평상태로부터 하방으로 기운 위치가 된다(도7 참조). 이것으로 계류준비동작이 완료한다.
(계류동작 : 도9∼도10 참조)
상기 계류준비조작을 완료한 상태에서, 도어체(2)의 상단부에 설치한 배기 밸브를 개방하여 부력실(2b)내의 공기를 배기하면서, 부력실(2b)내에 해수를 넣어서 도어체(2)를 도복시킨다.
도어체(2)의 도복에 따라, 도어체(2)에 설치한 게이트 계류부(2d)가 계류훅(15)을 밀어내림과 아울러, 토크암(18)의 핀(18a)이 일방의 연직로드(17a)의 장공(17aa)의 하부로 이동한다(도9(a)에서부터 도9(b)). 이 사이에, 일방의 연직로드(17a)는 구면 부시(17ab)를 지점으로 하여 회전하기 때문에 상기 장공(17aa)을 따르는 토크암(18)의 핀(18a)의 이동은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도어체(2)의 게이트 계류부(2d)가 계류훅(15)을 통과하면, 카운터웨이트(16)의 중량에 의하여 계류훅(15)은 게이트 계류부(2d)를 지나쳐 수평상태로부터 조금 하방으로 기운 위치로 되돌아간다(도9(c)).
도복완료후에 부력실(2b)내에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부력실(2b)내의 해수를 배수한다. 이에 따라 도어체(2)가 부상하고, 게이트 계류부(2d)가 상기 계류훅(15)을 밀어올려 도어체(2)의 부력을 전달한다. 동시에, 로드부재(17), 일방의 전향링크부재(12), 타방의 전향링크부재(13), 와이어 부재(24), 스프링 장치(26)는, 도어체(2)의 부력에 의한 계류력이 작용하여 연장되어 변위한다. 변위한 분만큼 계류훅(15)은 상방으로 이동한다(도10).
그 후에 스프링 장치(26)의 스트로크 센서(26a) 또는 로드셀(25)을 감시하고, 소정의 계류력이 작용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여 부력실(2b)에 대한 급기를 정지한다. 이 때에, 계류훅(15)은 수평상태가 된다.
이상의 일련의 계류동작에 관해서는 지상에 설치하는 제어장치(21)의 움직임은 불필요 하기 때문에 훅착탈용 실린더장치(22)의 스트로크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카운터웨이트(16)에 의하여 전향링크부재(12, 13)나 로드부재(17)를 움직일 필요가 없으므로, 카운터웨이트(16)의 중량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로드부재(17), 일방의 전향링크부재(12), 타방의 전향링크부재(13)에 신장이나 휘어짐 등의 변화가 있는 경우에도, 계류동작전에 매회 상기 일련의 계류준비동작을 해 두면, 수중의 계류훅(15)의 자세를 육안으로 봐서 확인하지 않아도, 항상 계류훅(15)의 자세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항상 정상의 계류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어체(2)의 부상조작시 : 도11 참조)
훅착탈용 실린더장치(22)의 유압력을 개방하여 지지력을 늦춘다. 이에 따라 타방의 연직로드(17c), 타방의 전향링크부재(13), 수평로드(17b), 일방의 전향링크부재(12), 일방의 연직로드(17a), 토크암(18)을 통하여 계류훅(15)의 계류력이 느슨해진다. 따라서 도어체(2)의 부력 및 카운터웨이트(16)의 힘에 의하여 계류훅(15)은 밀어올려지므로 게이트 계류부(2d)와의 결합을 해제한다.
그 후에 스프링 장치(26)가 수축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고 또한 로드셀(25)에 의하여 계류력이 없는 것을 확인한다.
상기 구성의 기복 게이트식 방파제(1)에서는 스프링 장치(26)에 의하여 도어체(2)의 요동을 허용하여 계류한다. 이 경우에, 도어체(2)가 상방으로 변위함으로써 도어체(2)의 하측의 공간(S2)이 부압(負壓)이 되어, 도어체(2)의 상면과의 압력차이에 의하여 도어체(2)에 대하여 하측을 향하여 작용하는 힘이 발생한다(도12 참조).
이에 따라 물결(파도)에 의하여 발생하는 도어체(2)의 회전축(2a) 주위의 모멘트로서 작용하는 하중을 모두 계류기구가 부담하여야만 하는, 도어체(2)를 고정시켜 계류하는 경우(도13 참조)에 비하여, 도어체(2)의 계류에 필요한 하중은 적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 청구항에 기재되어 있는 기술적 사상의 범주이면, 적절하게 실시형태를 변경하더라도 좋은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B : 도어체 블록
1 : 기복 게이트식 방파제
2 : 도어체
2a : 회전축
2b : 부력실
2c : 이면
2d : 게이트 계류부
4 : 수납부
5 : 베어링
11 : 계류기구
12 : 일방의 전향링크부재
13 : 타방의 전향링크부재
14 : 토크 샤프트
15 : 계류훅
16 : 카운터웨이트
17 : 로드부재
17a : 일방의 연직로드
17aa : 장공
17ab : 구면 부시
17b : 수평로드
17c : 타방의 연직로드
18 : 토크암
19 : 동작제한 스토퍼
22 : 훅착탈용 실린더장치
22b : 피스톤 로드
23 : 활차
24 : 와이어 부재
26 : 스프링 장치

Claims (2)

  1. 도어체 블록(door體 block)을 폭방향으로 복수조(複數組) 병렬로 설치한 도어체(door體)가 부력(浮力)을 얻은 상태에서 계류(繫留)되고, 부상조작(浮上操作)은 상기 계류를 해제함으로써 하는 기복 게이트식 방파제(起伏 gate式 防波堤)의 계류장치(繫留裝置)로서,
    계류상태(繫留狀態)에 있는 상기 도어체의 이면(裏面)에 부착한 게이트 계류부와 마주 대하는 위치에, 축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토크 샤프트(torque shaft)와,
    이 토크 샤프트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계류부와의 결합위치에 돌출형상으로 부착되는 계류훅(繫留hook)과,
    상기 게이트 계류부에 대한 이 계류훅의 결합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상기 토크 샤프트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토크 샤프트에 부착되는 카운터웨이트(counter-weight)와,
    상기 도어체를 수중에서 계류하는 수납부에 있어서, 계류상태에 있는 도어체의 이면과 마주 대하는 부분에 설치된 일방의 전향링크부재(轉向 link 部材)와,
    상기 수납부에 있어서, 계류상태에 있는 도어체 이면측의 일방측 외측에 설치된 타방의 전향링크부재와,
    상기 토크 샤프트에 일단측이 부착되는 토크암(torque arm)의 타단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일단측이 접속되고, 타단측은 상기 양 전향링크부재를 사이에 두고 수면위로 인출된 로드부재(rod 部材)와,
    이 로드부재의 타단측 근방에 설치되고, 피스톤 로드(piston rod)의 선단에 활차(滑車)를 부착한 훅착탈용 실린더장치(hook 着脫用 cylinder 裝置)와,
    일단측이 상기 로드부재의 타단에 접속되고, 타단측은 상기 활차를 통하여 도어체의 요동에 따라 신축하는 신축장치와 접속하는 와이어 부재(wire 部材)를
    구비하고,
    상기 로드부재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토크암의 타단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일단측이, 상기 일방의 전향링크부재의 일방측 단부에 타단측이 각각 피벗 지지된 일방의 연직로드는, 일단측에 장공을, 타단측에 구면 부시를 각각 구비하고, 도어체의 계류동작시에 상기 게이트 계류부에 의한 상기 계류훅 선단의 하강시작으로부터 상기 계류훅 선단이 상기 게이트 계류부를 지나치기까지의 사이에, 상기 구면 부시를 지점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장공을 따라 상기 토크암의 타단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부착되는 핀이 이동함으로써 상기 계류훅의 상하회전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복 게이트식 방파제의 계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의 전향링크부재의 일방단측의 회전궤적(回轉軌跡)상에, 일방의 전향링크부재의 회전을 제한하는 동작제한 스토퍼(動作制限 stopper)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복 게이트식 방파제의 계류장치.
KR1020127009184A 2009-11-24 2010-09-03 기복 게이트식 방파제의 계류장치 KR1016801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66451 2009-11-24
JP2009266451A JP5180945B2 (ja) 2009-11-24 2009-11-24 起伏ゲート式防波堤の係留装置
PCT/JP2010/065145 WO2011065086A1 (ja) 2009-11-24 2010-09-03 起伏ゲート式防波堤の係留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0910A KR20120100910A (ko) 2012-09-12
KR101680177B1 true KR101680177B1 (ko) 2016-11-28

Family

ID=44066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9184A KR101680177B1 (ko) 2009-11-24 2010-09-03 기복 게이트식 방파제의 계류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714875B2 (ko)
JP (1) JP5180945B2 (ko)
KR (1) KR101680177B1 (ko)
CN (1) CN102597376B (ko)
HK (1) HK1169467A1 (ko)
WO (1) WO20110650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52613B (zh) * 2011-08-17 2014-02-12 国家海洋局第二海洋研究所 闸门式防波堤
JP5792022B2 (ja) * 2011-10-19 2015-10-07 日立造船株式会社 壁面設置用フラップゲート式防水パネル
JP5971956B2 (ja) * 2012-01-16 2016-08-17 日立造船株式会社 浮体式フラップゲート
JP5883731B2 (ja) * 2012-07-02 2016-03-15 日立造船株式会社 海底設置型フラップゲートの係留フック
EP2994577B1 (en) * 2013-05-09 2020-07-08 Floodbreak, LLC Self-actuating flood guard
JP6043242B2 (ja) * 2013-05-21 2016-12-14 日立造船株式会社 水中設置フラップゲートの係留装置
JP6220307B2 (ja) * 2014-04-16 2017-10-25 日立造船株式会社 陸上型フラップゲート
JP6524602B2 (ja) * 2014-04-30 2019-06-05 有限会社日本環境電装 複合トリプルパワーを用いた自立可動防波堤
JP6431401B2 (ja) * 2015-02-19 2018-11-28 日立造船株式会社 河川への津波遡上阻止ゲート
JP6461699B2 (ja) * 2015-04-28 2019-01-30 日立造船株式会社 浮体式フラップゲート
CN108026708B (zh) * 2015-09-25 2020-09-15 寺田溥 水闸
US10975538B2 (en) 2016-06-13 2021-04-13 Rsa Protective Technologies, Llc Method and system for a retractable floodwall system
CA3027502A1 (en) * 2016-06-13 2017-12-21 Rsa Protective Technologies, Llc Method and system for a retractable floodwall system
US9850633B1 (en) * 2016-08-30 2017-12-26 Sergey Sharapov Method and structure for dampening tsunami waves
JP6738707B2 (ja) * 2016-09-30 2020-08-12 日立造船株式会社 起伏ゲートの回転支承および起伏ゲート
DK179294B1 (da) * 2017-03-30 2018-04-16 Steen Olsen Invest Aps Stormflodssikring
JP6846315B2 (ja) * 2017-08-30 2021-03-24 日立造船株式会社 水底設置型起伏ゲート
US10619317B2 (en) * 2018-01-08 2020-04-14 Floodbreak, L.L.C. Flood barrier
CN108330927B (zh) * 2018-02-08 2020-04-17 宁波市水利水电规划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高强度高防撞性水利闸门
US10731307B2 (en) * 2018-08-24 2020-08-04 Michael Stewart System for flood control
JP2020070595A (ja) * 2018-10-30 2020-05-07 日立造船株式会社 起伏ゲート式防波堤
US10619318B1 (en) * 2019-05-24 2020-04-14 Floodbreak, L.L.C. Flood barrier
CN112982284B (zh) * 2021-02-25 2023-02-10 青岛理工大学 一种地下车库水动力阻水装置及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3238A (ja) 2002-05-31 2004-01-08 Fudo Constr Co Ltd 高潮防止用水門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05108B (it) * 1987-05-25 1989-03-15 Riva Calzoni Spa Cerniera disconnettibile,particolarmente per il vincolo al fondale di apparecchiature in installazioni sottomarine
JPH02204515A (ja) * 1989-02-03 1990-08-14 Taisei Corp 可動型斜板消波堤
NL8901563A (nl) * 1989-06-21 1991-01-16 Waterschap Kromme Rijn Onderdorpel constructie voor tuimelstuw.
US5178490A (en) * 1992-07-02 1993-01-1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Wicket dam lifting module
US5433555A (en) * 1994-02-22 1995-07-18 Nancy Brac De La Perriere Wicket dam and lifting jack
US5984575A (en) * 1998-05-11 1999-11-16 Knott, Sr.; James M. Flood flow modulator
DE10107647A1 (de) * 2001-02-19 2002-09-19 Oce Printing Systems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rsatz von gealtertem Entwickler
JP2003227125A (ja) * 2002-02-04 2003-08-15 Hitachi Zosen Corp 起伏ゲート
US6623209B1 (en) * 2002-04-04 2003-09-23 Floodbreak Llc Automatic flood gate
CN2915939Y (zh) * 2006-05-08 2007-06-27 张重辉 卧底式平板方闸门
JP5199227B2 (ja) * 2009-12-15 2013-05-15 日立造船株式会社 波除用フラップゲートの起立状態保持機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3238A (ja) 2002-05-31 2004-01-08 Fudo Constr Co Ltd 高潮防止用水門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019522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597376A (zh) 2012-07-18
HK1169467A1 (en) 2013-01-25
US8714875B2 (en) 2014-05-06
WO2011065086A1 (ja) 2011-06-03
KR20120100910A (ko) 2012-09-12
JP2011111722A (ja) 2011-06-09
JP5180945B2 (ja) 2013-04-10
US20120219360A1 (en) 2012-08-30
CN102597376B (zh) 2014-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0177B1 (ko) 기복 게이트식 방파제의 계류장치
JP5074367B2 (ja) 起伏ゲート式防波堤の扉体係留装置
US5339760A (en) Apparatus for securing a vessel to a submersible mooring buoy
EP2327620A2 (en) Piling barge
US6830002B1 (en) Lift for watercraft
JP5873745B2 (ja) 水底設置型フラップゲート式防波堤
WO2014023664A1 (en) Vessel comprising a mooring connector with a heave compensator
JP5250534B2 (ja) 起伏ゲート式防波堤における係留機構の弾性係数決定方法
CN113815813B (zh) 一种船坞折倒装置、船坞系统及船舶进出坞方法
JP5329374B2 (ja) 起伏ゲート式防波堤
JP5074345B2 (ja) 起伏ゲート式防波堤及びその起立、倒伏・係留、係留方法
JP6914411B1 (ja) 杭の施工方法
CN111332409A (zh) 一种掣链器及其使用方法
CN116176766A (zh) 一种双向抓地式船锚及其使用方法
CN110239665A (zh) 一种海洋平台的抛锚、解锚方法
CN203160209U (zh) 起伏闸门式防波堤的门体系留装置
JP6043242B2 (ja) 水中設置フラップゲートの係留装置
CN206800338U (zh) 侧向旋转支撑的液压坝
JP2013525206A (ja) 船舶用折り畳み式ランプウェイに結合される装置
CN103118932B (zh) 可缩回链连接器
JP2006219955A (ja) 起伏式ゲート
KR102560753B1 (ko) 갱웨이
CN214271947U (zh) 一种双向翻转式闸门
CN110254650B (zh) 一种海洋平台上能够柔软度可调的缆索
CN110194248B (zh) 一种半固定式海洋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