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2778B1 - 운반대차를 구비한 도교 - Google Patents

운반대차를 구비한 도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2778B1
KR101672778B1 KR1020140054531A KR20140054531A KR101672778B1 KR 101672778 B1 KR101672778 B1 KR 101672778B1 KR 1020140054531 A KR1020140054531 A KR 1020140054531A KR 20140054531 A KR20140054531 A KR 20140054531A KR 101672778 B1 KR101672778 B1 KR 101672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ral shaft
shaft
pedestal
present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4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9103A (ko
Inventor
임인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반도산업개발
주식회사 비엔디해양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반도산업개발, 주식회사 비엔디해양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반도산업개발
Priority to KR1020140054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2778B1/ko
Publication of KR20150129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9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2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2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24Bridges or similar structures, based on land or on a fixed structure and designed to give access to ships or other floating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두에 설치한 힌지부(112)를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도교부재(110)와; 부두에 설치하여 상기 도교부재(110)를 상하방향으로 들어올리거나 내리기 위한 인양부재(120)로 이루어지는 도교에 있어서, 상기 도교부재(110)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하여 운반물 또는 사람 등을 부두 또는 해상구조물로 운반하기 위한 운반대차(130)를 포함하는 운반대차를 구비한 도교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운반물을 편리하게 부두 또는 해상구조물로 이동시켜 운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도교부재를 걸어서 이동하기 불편한 사람을 안전하게 부두 또는 해상구조물로 이동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도교부재를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릴 경우 절첩하고 하부방향으로 내릴 경우 펼쳐질 수 있도록 유도하여 작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운반대차를 구비한 도교{Bridge having board carrier}
본 발명은 운반대차를 구비한 도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반물 또는 거동이 불편한 사람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부두 또는 해상구조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운반대차를 구비한 도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교는 부두 등에 설치하여 선박 또는 부잔교 등과 같은 해상구조물에 사람이나 운반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다리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종래의 도교는 무거운 운반물을 쉽게 운반하기 위한 별도의 운반수단을 마련하지 않으므로 운반효율을 저하하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특히 종래의 도교는 거동이 불편한 사람이 안전하게 이동할 수 없으므로 사용상의 불편함을 초래하게 되었다.
아울러 종래의 도교는 길이가 증가할수록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무게로 인해서 과부하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95805호(2010.09.01)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0-1184348호(2012.09.20) 특허문헌 3: 한국등록특허 제10-1263146호(2013.05.15) 특허문헌 4: 한국등록특허 제10-1325525호(2013.11.07) 특허문헌 5: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127193호(2013.11.22)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도교부재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운반대차를 마련하여 운반물 또는 거동이 불편한 사람을 안전하게 부두 또는 해상구조물로 이동할 수 있는 운반대차를 구비한 도교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교부재가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릴 경우 중간 부분이 접어지고 하부방향으로 내릴 경우 다시 펼쳐지는 운반대차를 구비한 도교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운반대차를 구비한 도교(100)는,
부두에 설치한 힌지부(112)를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도교부재(110)와; 부두에 설치하여 상기 도교부재(110)를 상하방향으로 들어올리거나 내리기 위한 인양부재(120)로 이루어지는 도교에 있어서,
상기 도교부재(110)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하여 운반물 또는 사람 등을 부두 또는 해상구조물로 운반하기 위한 운반대차(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도교부재(110)는 상기 힌지부(112)를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제1도교(111)와; 상기 제1도교(111)의 전방에 형성한 절첩축(113)을 중심으로 절첩할 수 있도록 마련하는 제2도교(11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양부재(120)는 부두(20)에 설치하는 본체(120a)와; 상기 본체(120a)의 일측에 형성하는 윈치(121)와; 상기 도교부재(110)의 일측과 상기 윈치(121)를 연결하는 로프(12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운반대차(130)는 양측에 바퀴(131a)을 구비하는 몸체(131)와; 상기 몸체(131)의 전방 일측에 형성하는 힌지축(132)과; 상기 힌지축(132)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받침대(133)와; 상기 몸체(131)와 받침대(133)의 사이에 형성하는 수평조절부재(13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몸체(131)의 전면 및 후면에 완충구(131b)를 설치하고, 상기 받침대(133)의 상부에 안전난간(13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바퀴(131a)의 일측에 모터(13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평조절부재(134)는 상기 몸체(131)의 후방 일측에 설치하는 제1나선축(134b)과; 상기 받침대(133)의 후방 일측에 설치하는 제2나선축(134a)과; 상기 제1나선축(134b) 및 제2나선축(134a)과 나선결합하는 조절구(134c)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운반물을 편리하게 부두 또는 해상구조물로 이동시켜 운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도교부재를 걸어서 이동하기 불편한 사람을 안전하게 부두 또는 해상구조물로 이동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도교부재를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릴 경우 절첩하고 하부방향으로 내릴 경우 펼쳐질 수 있도록 유도하여 작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 운반대차를 구비한 도교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운반대차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운반대차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운반대차를 구비한 도교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도교부재의 절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운반대차를 구비한 도교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운반대차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서 운반대차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운반대차를 구비한 도교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서 도교부재의 절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부두에 설치한 힌지부(112)를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도교부재(110)와; 부두에 설치하여 상기 도교부재(110)를 상하방향으로 들어올리거나 내리기 위한 인양부재(120)로 이루어지는 도교에 있어서,
상기 도교부재(110)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하여 운반물 또는 사람 등을 부두 또는 해상구조물로 운반하기 위한 운반대차(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도교부재(110)는 상기 인양부재(120)의 작동으로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릴 경우 절첩하고 반대로 하부방향으로 내릴 경우 다시 펼쳐질 수 있도록 유도하여 상기 도교부재(110)를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도교부재(110)는 상기 힌지부(112)를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제1도교(111)와; 상기 제1도교(111)의 전방에 형성한 절첩축(113)을 중심으로 절첩할 수 있도록 마련하는 제2도교(114)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도교(111) 및 제2도교(114)의 상부 양측에 난간을 설치하여 운반물 또는 사람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도교(111) 및 제2도교(114)가 상기 절첩축(113)을 중심으로 절첩하여 회전반경을 최소화하고 쉽게 인양할 수 있으며 상기 인양부재(120)의 작동시 적은 힘으로 안정적인 인양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양부재(120)는 상기 도교부재(110)를 들어올리거나 내리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한다.
이를 위해 상기 인양부재(120)는 부두(20)에 설치하는 본체(120a)와; 상기 본체(120a)의 일측에 형성하는 윈치(121)와; 상기 도교부재(110)의 일측과 상기 윈치(121)를 연결하는 로프(123)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본체(120a)의 상부 일측에 제1롤러(122)를 구비하여 상기 로프(123)가 순환할 수 있도록 방향을 유도하여 상기 윈치(121)의 작동시 상기 로프(123)의 원활한 이동을 보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윈치(121)의 작동으로 상기 로프(123)를 당기게 되면 상기 도교부재(110)를 들어올리면서 절첩시켜 인양할 수 있다.
이때,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첩된 상기 도교부재(110)와 본체(120a)의 사이에 고정로프(137)를 연결하여 절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윈치(121)를 역방향으로 작동하면 상기 도교부재(110)의 하중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하강하면서 선박 또는 해상구조물에 안착하여 운반물 또는 사람이 이동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운반대차(130)는 상기 도교부재(110)를 따라서 이동하면서 운반물 또는 거동이 불편한 사람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부두 또는 해상구조물로 이동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운반대차(130)는 양측에 바퀴(131a)을 구비하는 몸체(131)와; 상기 몸체(131)의 전방 일측에 형성하는 힌지축(132)과; 상기 힌지축(132)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받침대(133)와; 상기 몸체(131)와 받침대(133)의 사이에 형성하는 수평조절부재(134)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운반대차(130)는 사람들이 밀거나 당겨서 이동할 수 있음은 물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바퀴(131a)의 일측에 모터(136)를 구비하여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다.
아울러,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운반대차(130)의 일측에 상기 인양부재(120)의 로프(123)와 연결하여 상기 윈치(121)의 작동으로 상기 로프(123)를 당기게 되므로 상기 운반대차(130)를 이동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본체(120a)의 하부 일측에 제2롤러(124)를 구비하여 상기 로프(123)가 순환할 수 있도록 방향을 유도하여 상기 윈치(121)의 작동시 상기 운반대차(130)를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교부재(110)의 바닥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삽입홈(111a)을 형성하여 상기 로프(123)가 내부에 삽입한 상태로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흔들리지 않으면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131)의 전면 및 후면에 완충구(131b)를 설치하고, 상기 받침대(133)의 상부에 안전난간(135)을 구비하여 상기 운반대차(130)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충돌 및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조절부재(134)는 상기 도교부재(110)를 따라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받침대(133)의 수평을 유지하여 운반물 또는 사람을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한 상기 수평조절부재(134)는 상기 몸체(131)의 후방 일측에 설치하는 제1나선축(134b)과; 상기 받침대(133)의 후방 일측에 설치하는 제2나선축(134a)과; 상기 제1나선축(134b) 및 제2나선축(134a)과 나선결합하는 조절구(134c)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나선축(134b) 및 제2나선축(134a)은 왼나사와 오른나사로 각각 형성하여 상기 조절구(134c)가 회전할 경우 상기 받침대(133)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시켜 수평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31)와 제1나선축(134b)의 사이에 제1힌지축(134d)를 형성하고, 상기 받침대(133)와 제2나선축(134a)의 사이에 제2힌지축(134e)를 형성하여 상기 받침대(133)의 각도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나선축(134b) 및 제2나선축(134a)이 자연스럽게 회전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10: 해상구조물 20: 부두
100: 본 발명 운반대차를 구비한 도교
110: 도교부재 111: 제1도교
111a: 삽입홈 112: 힌지부
113: 절첩축 114: 제2도교
120: 인양부재 120a: 본체
121: 윈치 122: 제1롤러
123: 로프 124: 제2롤러
130: 운반대차 131: 몸체
131a: 바퀴 131b: 완충구
132: 힌지축 133: 받침대
134: 수평조절부재 134a: 제2나선축
134b: 제1나선축 134c: 조절구
134d: 제1힌지축 134e: 제2힌지축
135: 안전난간 136: 모터
137: 고정로프

Claims (7)

  1. 부두에 설치한 힌지부(112)를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도교부재(110)와; 부두에 설치하여 상기 도교부재(110)를 상하방향으로 들어올리거나 내리기 위한 인양부재(120)로 이루어지는 도교에 있어서,
    상기 도교부재(110)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하여 운반물 또는 사람 등을 부두 또는 해상구조물로 운반하기 위한 운반대차(130)를 포함하되, 상기 도교부재(110)는 상기 힌지부(112)를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제1도교(111)와; 상기 제1도교(111)의 전방에 형성한 절첩축(113)을 중심으로 절첩할 수 있도록 마련하는 제2도교(114)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양부재(120)는 부두(20)에 설치하는 본체(120a)와; 상기 본체(120a)의 일측에 형성하는 윈치(121)와; 상기 도교부재(110)의 일측과 상기 윈치(121)를 연결하는 로프(123)로 이루어지며, 상기 운반대차(130)는 양측에 바퀴(131a)을 구비하는 몸체(131)와; 상기 몸체(131)의 전방 일측에 형성하는 힌지축(132)과; 상기 힌지축(132)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받침대(133)와; 상기 몸체(131)와 받침대(133)의 사이에 형성하는 수평조절부재(134)로 이루어지고, 상기 운반대차(130)는 상기 인양부재(120)의 로프(123)와 연결하며, 상기 바퀴(131a)의 일측에 모터(136)를 구비하고, 상기 수평조절부재(134)는 상기 몸체(131)의 후방 일측에 설치하는 제1나선축(134b)과; 상기 받침대(133)의 후방 일측에 설치하는 제2나선축(134a)과; 상기 제1나선축(134b) 및 제2나선축(134a)과 나선결합하는 조절구(134c)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120a)의 하부 일측에 제2롤러(124)를 구비하여 상기 로프(123)가 순환할 수 있도록 방향을 유도하여 상기 윈치(121)의 작동시 상기 운반대차(130)를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상기 도교부재(110)의 바닥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삽입홈(111a)을 형성하여 상기 로프(123)가 내부에 삽입한 상태로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흔들리지 않으면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몸체(131)의 전면 및 후면에 완충구(131b)를 설치하고, 상기 받침대(133)의 상부에 안전난간(135)을 구비하여 상기 운반대차(130)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충돌 및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몸체(131)와 제1나선축(134b)의 사이에 제1힌지축(134d)를 형성하고, 상기 받침대(133)와 제2나선축(134a)의 사이에 제2힌지축(134e)를 형성하여 상기 받침대(133)의 각도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나선축(134b) 및 제2나선축(134a)이 자연스럽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대차를 구비한 도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40054531A 2014-05-08 2014-05-08 운반대차를 구비한 도교 KR101672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4531A KR101672778B1 (ko) 2014-05-08 2014-05-08 운반대차를 구비한 도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4531A KR101672778B1 (ko) 2014-05-08 2014-05-08 운반대차를 구비한 도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9103A KR20150129103A (ko) 2015-11-19
KR101672778B1 true KR101672778B1 (ko) 2016-11-07

Family

ID=54843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4531A KR101672778B1 (ko) 2014-05-08 2014-05-08 운반대차를 구비한 도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27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5296A (ko) * 2021-11-22 2023-05-31 유금범 갱웨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45201B (zh) * 2016-02-03 2018-01-26 青岛港湾职业技术学院 一种机动舷梯
KR101720734B1 (ko) * 2016-10-31 2017-03-30 주식회사 마텍 도교 권상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385B1 (ko) * 2013-04-15 2013-10-08 (주) 뉴텍 절첩식 도교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9394A (ja) * 1992-12-16 1994-06-28 Sanwa Tekko Kk 船側梯子装置
KR20020028627A (ko) * 2000-10-11 2002-04-17 김창섭 건물의 이중바닥판 받침구
KR20100095805A (ko) 2009-02-23 2010-09-01 주식회사 정아마린 와이어 로프를 이용한 부두 설치용 자동 승강식 승하선용 선교
KR101184348B1 (ko) 2012-04-04 2012-09-20 (주)하나 부잔교
KR101384447B1 (ko) 2012-05-14 2014-04-10 주식회사 보성알앤디 도교
KR101263146B1 (ko) 2012-11-26 2013-05-15 (주)씨테크알엔디 연동장치를 구비한 부잔교용 도교
KR101325525B1 (ko) 2013-04-11 2013-11-07 (주)하나 도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부잔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385B1 (ko) * 2013-04-15 2013-10-08 (주) 뉴텍 절첩식 도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5296A (ko) * 2021-11-22 2023-05-31 유금범 갱웨이
KR102560753B1 (ko) * 2021-11-22 2023-07-27 유금범 갱웨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9103A (ko) 2015-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23140B1 (en) Boat access stairway
US8833290B2 (en) Light-weight platform having stairs
KR101672778B1 (ko) 운반대차를 구비한 도교
US9403486B2 (en) Safety railing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ccess to a tanker trailer
CN101074595A (zh) 船用客梯车
EP2354057A1 (en) Dock leveler
US8720643B1 (en) Aquatic ladder for marine applications
US6846129B1 (en) Boatlift and movable canopy assembly
JP6665376B2 (ja) 揚陸用の船舶及び揚陸用の船舶を使用した荷役方法
KR20130124743A (ko) 자동 높이 조절형 선박 접근 통로를 갖는 타워
CN1087250C (zh) 用于设置在船舶上的起重机的副桁架
KR102076677B1 (ko) 초대형 컨테이너선용 승하선장치
US20050274574A1 (en) Aquatic ladder adapted for marine applications
KR101265273B1 (ko) 선박용 승하선 사다리
JP2017189990A (ja) 船舶、船舶を使用した搬送方法
CA2202803C (en) Variable-incline ramp system for horizontal vehicle
US10518990B2 (en) Outdoor mobile loading dock
KR101777648B1 (ko) 슬라이딩 도교
JP2004314890A (ja) 舷梯装置
KR100926890B1 (ko) 잔교 이동이 가능한 부잔교
KR101716331B1 (ko) 승하선 사다리 장치
CN214729506U (zh) 一种新型登船梯
KR20140123360A (ko) 수위차를 이용한 부유구조물 고정장치
US20050241563A1 (en) Aquatic ladder adapted for marine applications
KR20130001447U (ko) 안전 사다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