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4348B1 - 부잔교 - Google Patents

부잔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4348B1
KR101184348B1 KR1020120035105A KR20120035105A KR101184348B1 KR 101184348 B1 KR101184348 B1 KR 101184348B1 KR 1020120035105 A KR1020120035105 A KR 1020120035105A KR 20120035105 A KR20120035105 A KR 20120035105A KR 101184348 B1 KR101184348 B1 KR 101184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footbridge
fixed
byzantine
buoyancy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5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재 현 김
Original Assignee
(주)하나
유한회사 주하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나, 유한회사 주하나 filed Critical (주)하나
Priority to KR1020120035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43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4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4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4Floating bridges, e.g. pontoon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24Bridges or similar structures, based on land or on a fixed structure and designed to give access to ships or other floating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잔교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부력체를 포함하고, 부유 가능한 잔교, 일측이 육지에 힌지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잔교에 접하는 도교, 상기 도교의 타측에 위치하고 상기 도교를 상기 잔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엑추에이터, 그리고 상기 힌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잔교에서 멀어진 상기 도교의 타측이 상기 잔교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회전 방지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교의 타측이 엑추에이터에 의하여 잔교의 상판으로부터 들리게 된다. 도교가 들릴 때 고정 축이 삽입 홀에서 자연스럽게 분리된다. 이에 따라, 태풍 등의 재난 시에 작업자가 도교와 잔교의 연결 위치로 가지 않아도 도교와 잔교를 분리할 수가 있어서 안전하고 신속하게 분리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부잔교{floating pier}
본 발명은 부잔교에 관한 것이다.
부잔교라 함은 배를 접안(接岸)시키기 위해 물가에 만들어진 계선시설인 잔교 (棧橋)와, 육지와 잔교를 연결하는 도교(渡橋)를 말한다.
이러한, 부잔교는 조수간만의 차가 많은 해상에서 해수면의 변동에 관계없이 선박의 접안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항만시설의 일부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상기 잔교는 통상적으로 발포폴리스타이렌(expanded polystyrene; 스티로폼) 수지를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하고, 상기 원기둥들을 목재나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관으로 체결 하여 부력체를 형성한다. 상기 부력체에 상판을 부착하여 형성한다.
이와 같은 잔교는 부력체가 발포폴리스타이렌수지로 만들어져 쉽게 손상되며, 손상되면서 발생한 발포폴리스타이렌수지 가루가 해양을 오염 시켰다. 또한, 어류 들이 발포폴리스타이렌수지 가루를 섭취하게 되면서 2차 오염이 발생한다.
또한, 철재로 잔교를 바지선으로 제작하고 상판을 콘크리트로 형성하였다. 이러한 잔교의 경우 제조비용이 많이 소요 되었다.
또한, 폴리에틸렌관을 중간중간 칸막이를 하여 부력체을 형성 후 상부에 목재나 폴리에틸렌 각재로 이루어진 상판을 설치하여 잔교를 형성한다. 이러한 잔교는 간조시 해수면과 마찰되어 소손될 경우 교체가 불가하여 간조 시 노출되는 선착장에 설치 시 내구성이 낮아지며 파손 시에 수리가 불가능하다.
또한, 폴리에틸렌로 제조된 부자를 결합하여 부력체를 형성하고 상부에 목재나 폴리에틸렌 각재로 이루어진 상판을 설치하여 잔교를 형성한다. 이러한 잔교는 간조 시 해수면과 마찰되어 손상되었다. 그리고 노출되는 선착장에 설치 시 내구성이 낮아지나, 파손 시에 교체는 가능하다.
상기 태풍 시에 잔교와 고정해놓을 경우 파손이 되므로 도교를 잔교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연결한다. 그 방식은 선착장에 체인블록이 결합된 기둥을 설치한다. 체인블록에 감긴 와이어를 도교에 연결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태풍 시 잔교와 도교가 연결된 부분을 분리한 뒤 작업자가 체인 블록을 당겨 와이어가 체인 블록에 감길 수 있도록 한다. 와이어가 체인 블록에 감기면서 도교가 잔교에서 들리게 된다.
이러한, 잔교는 파도가 치는 상태에서 도교를 고정한 도교와 잔교를 분리 시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다. 또한 체인블록을 사람이 직접 조작함에 있어 어촌의 고령화되어 작업에 애로가 많다.
또한 해풍, 파도에 의한 해수가 체인 블록에 유입되어 체인 블록, 와이어가 부식되어 사용이 원활하지 않다.
등록특허공보 제10-0952840호 (부잔교) 2010.04.06.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5354호 (잔교 이동이 가능한 부잔교) 2009.7.14. 등록특허공보 제10-0424277호 (부잔교) 2004.03.11.
본 발명은 제작 비용을 줄이고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부잔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부잔교는, 적어도 하나의 부력체를 포함하고, 부유 가능한 잔교, 일측이 육지에 힌지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잔교에 접하는 도교, 상기 도교의 타측에 위치하고 상기 도교를 상기 잔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엑추에이터, 그리고 상기 힌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잔교에서 멀어진 상기 도교의 타측이 상기 잔교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회전 방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력체는, 발포폴리스타이렌(expanded polystyrene)으로 만들어진 본체, 폴리에틸렌(polyethylene)으로 만들어지고 상기 본체의 외부 둘레면을 감싸는 보호 틀, 그리고 상기 보호 틀의 모서리마다 배치되어 있는 보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력체는, 상기 보호 틀의 저면에 위치하고 금속으로 이루어진 보강 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잔교는, 일측이 상기 육지에 위치하고 타측이 상기 도교의 타측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잔교에서 떨어진 상기 도교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육지에 설치된 기둥, 상기 기둥에 연결되어 있는 체인 블록, 그리고 상기 체인 블록에 권선되어 있고 상기 도교의 타측에 연결된 와이어를 포함한다.
상기 잔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력체에 결합된 상판 및 일측이 해저에 고정되어 있고 상측이 상기 상판을 관통하는 고정 기둥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고정 기둥은, 상기 부력체와 상기 상판이 조류를 따라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부잔교는, 상기 잔교와 상기 도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잔교와 상기 도교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장치는, 상기 도교 타측에서 상기 잔교 방향으로 수직하게 돌출된 고정 축, 상기 잔교에 배치되고 상기 도교 타측과 마주하며 상기 고정 축이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된 고정 몸체, 그리고 상기 고정 몸체와 상기 잔교 사이에 위치한 복수의 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장치는, 상기 고정 축을 상기 도교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고정 축은 상기 가이드의 원주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부잔교는 도교의 타측이 엑추에이터에 의하여 잔교의 상판으로부터 들리게 된다. 도교가 들릴 때 고정 축이 삽입 홀에서 자연스럽게 분리된다. 이에 따라, 태풍 등의 재난 시에 작업자가 도교와 잔교의 연결 위치로 가지 않아도 도교와 잔교를 분리할 수가 있어서 안전성을 확보하며, 도교와 잔교를 신속하게 분리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역회전 방지부에 의하여 잔교로부터 들린 도교의 타측은 잔교 방향으로 내려 가지 않는다. 그리고 지지부가 들린 도교의 타측을 지지하게 되어 잔교로부터 분리된 도교를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육지와 연결된 도교가 물 위에 부유 중인 잔교로부터 분리되므로 잔교가 해수에 의하여 심하게 움직이더라도 그 움직임이 도교로 전달되지 않아 도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부력체의 보강 부재와 보강 패널에 의하여 부력체가 외부 요건으로부터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력체의 손상에 따른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 틀의 내측 및 외측 모서리에 각각 보강 부재가 배치되고 이들의 보강 부재가 서로 결합되므로 보호 틀의 결합성을 향상 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부잔교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부잔교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잔교의 부력체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한 A부분 확대도.
도 5는 도 2에 도시한 B부분 확대도.
도 6은 도 2에 도시한 C부분 확대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부잔교 사용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부잔교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부잔교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부잔교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부잔교(1)는, 잔교(10), 도교(20), 연결 장치(30), 엑추에이터(40), 역회전 방지부(50), 그리고 지지부(60)를 포함한다.
잔교(10)는 육지(선착장)에서 떨어져 해상에 떠 있으며 선박이 접안되는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부력체(11), 상판(12), 그리고 고정 기둥(13)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한 잔교의 부력체 분해 사시도인 도 3을 참고하면, 적어도 하나의 부력체(11)는 본체(111), 보호 틀(112), 그리고 보강 부재(113)를 포함한다.
본체(111)는 블록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본체(111)는 원기둥, 사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11)의 형상과 모양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111)는 물 보다 비중이 작아 물에 부유 가능하며 내수성, 단열성, 방음성 그리고 완충성이 우수한 발포폴리스타이렌(expanded polystyrene)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보호 틀(112)은 본체(111)를 외부 요건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으로 본체(111)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보호 틀(112)의 일측은 개방되어 있다. 보호 틀(112)의 개방된 곳을 통하여 내부로 본체(111)가 수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호 틀(112)은 본체(111)의 외부 표면을 전체적으로 감싼다. 본체(111)를 손상시키는 외부 요건은 파도, 바람, 선박과 충돌, 선착장에 접하여 긁히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외부 요건에 의하여 본체(111)는 부스러질 수 있다.
보호 틀(112)은 본체(111) 보다 단단하며, 내충격성이 큰 폴리에틸렌(polyethylene)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보호 틀(112)의 재질을 한정하지 않는다.
보강 부재(113, 113a)는 보호 틀(112)을 외부 요건으로부터 보호한다. 보강 부재(113, 113a)은 보호 틀(112)의 면과 면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 장착되어 있다. 이때 보강 부재(113)는 보호 틀(112)의 외측에 보강 부재(113a)는 보호 틀(112)의 내측에 위치한다. 보호 틀(112)의 내 외측에 위치한 보강 부재(113, 113a)는 볼트와 같은 체결 수단으로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보강 부재(113, 113a)를 서로 연결하는 체결 수단은 보강 부재(113, 113a)를 사이에 두고 보호 틀(112)을 관통한다.
보강 부재(113, 113a)가 보호 틀(112)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위치하고 이들이 서로 결합되므로 보호 틀(112)에 견고히 고정된다.
한편, 보호 틀(112)의 저면에는 보호 틀(112)이 저면이 지면에 직접적으로 접하는 것을 방지하는 보강 패널(113c)이 설치되어 있다.
보강 부재(113, 113a)와 보강 패널(113c)은 보호 틀(112) 보다 단단한 금속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때 보강 부재(113)는 내식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강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보강 부재(113, 113a), 보강 패널(113c)은 외부 요건에 의하여 보호 틀(112)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외부 요건은 해수면이 낮아지는 간조 시 보호 틀(112)이 지면에 접하게 되면서 지면과 마찰되는 것과 접안 중인 선박과 충돌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부력체(11)는 배열된다. 이때 이웃한 부력체(11)들은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웃한 부력체(11)들의 연결 방식은 다양하다.
상판(12)은 서로 연결된 부력체(11)들의 위에 설치된다. 이때 부력체(11)와 상판(12)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손상된 부력체(11)를 상판(12)가 이웃한 부력체(11)에서 분리하여 수리 및 교체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상판(12)의 외부 둘레면에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부(121)가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결합부(121)의 중앙에는 상하 관통된 관통 홀(121a)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홀(121a)의 둘레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롤러(122)가 설치되어 있다. 아울러, 결합부(121)는 상판(12)의 외부 둘레면에 형성되지 않고 상면에서 하부 방향으로 관통 홀(121a)이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결합부(121)는 생략될 수 있다.
고정 기둥(13)은 부력체(11)가 조류를 따라 이동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상판(12)의 둘레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고정 기둥(13)의 하단부는 지면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단부는 결합부(121)의 관통 홀(121a)을 관통하여 상판(12) 상부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 기둥(13)의 외부 둘레면은 롤러(122)에 접한다. 이러한 고정 기둥(13)은 금속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류에 의하여 바닷물의 수위 변동에 따라 부력체(11)가 고정 기둥(13)의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며, 고정 기둥(13)의 고정에 의해 조류를 따라 이동하지 않는다. 또한, 부력체(11)는 고정 기둥(13)의 고정으로 파도 발생시 흔들리 않는다. 이러한, 고정 기둥(13)에 의하여 부력체(11)는 조류 시 움직이지 않고 설치 장소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고정 기둥(13)은 생략될 수 있다. 고정 기둥(13)이 생략된 경우 부력체(11)는 밧줄 따위로 육지에 연결될 수 있다. 부력체(11)가 조류를 따라 이동하지 않도록 하는 구조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교(2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육지와 잔교(10)를 연결한다. 도교(20)를 통하여 잔교(10)에 접안 된 선박 탑승자가 육지로 이동하거나, 육지에 있는 사람이 선박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교(20)의 일측은 육지에 힌지(21)로 연결되어 있다. 도교(20)는 잔교(10)의 부유 상태에 따라 힌지(21)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교(20)에는 이동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난간대(22)가 설치되어 있다.
도교(20)의 타측은 잔교(10)의 상판(12)에 접한다. 잔교(10)가 고정 기둥(13)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때 도교(20)는 힌지(21)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잔교(10)와 도교(20) 사이에는 연결 장치(30)가 배치되어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연결 장치(30)는 잔교(10)와 도교(20)를 서로 연결하며 고정 축(31), 고정 몸체(32), 그리고 케스터(34)를 포함한다.
고정 축(31)은 도교(20)의 타측 저면에서 잔교(10) 방향으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있다. 고정 축(31)의 일측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 축(31)의 구멍으로 도교(20)에 결합된 가이드(33)가 관통한다. 가이드(33)는 원형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원형바 형태의 가이드(33) 양측은 도교(20)에 결합되어 있다.
고정 축(31)은 가이드(33)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고정 축(31)은 가이드(33)의 원주 방향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고정 몸체(32)는 잔교(10)의 상판(12)에 위치하여 고정 몸체(32)는 도교(20)의 타측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잔교(10)에 체인 따위의 고정 수단으로 고정되어 있다. 고정 몸체(32)는 패널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 축(31)과 마주하는 고정 몸체(32) 부분에는 삽입 홀(321)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 홀(321)에는 고정 축(31)의 타측이 삽입된다.
케스터(34)는 고정 몸체(32)의 저면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케스터(34)에 의하여 고정 몸체(32)는 잔교(10)에서 고정 수단의 고정 범위 내에서 움직일 수 있다.
한편, 케스터(34)가 장착된 고정 몸체(32) 상에 도교(20)의 타측이 접하게 되므로 도교(20)의 저면이 잔교(10)에 직접적으로 접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잔교(10)가 움직일 때 도교(20)와 잔교(10)가 서로 마찰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잔교(10)와 도교(2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교(20)에 연결된 고정 축(31)의 타측이 고정 몸체(32)의 삽입 홀(321)에 삽입되므로 도교(20)와 잔교(10)는 서로 연결된다. 잔교(10)가 고정 기둥(13)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때 고정 축(31)은 가이드(33)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되거나 직선 이동할 수 있다. 이때 고정 몸체(32)는 케스터(34)에 의하여 움직일 수도 있다.
한편, 잔교(10)가 움직일 때 고정 축(31)에 하중이 집중되지 않아 고정 축(31)의 파손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다시 참고하면, 엑추에이터(40)는 도교(20)의 타측을 잔교(10)로부터 멀어지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엑추에이터(40)의 점성이 낮은 기름인 유압유를 사용한다. 엑추에이터(40)로 유압류를 공급하고 회수하는 유압 장치(도시하지 않음)은 육지에 위치한다. 유압유가 유입되고 배출되는 엑추에이터(40)의 하우징은 힌지로 도교(20)에 결합되어 있다. 하우징은 힌지를 기준으로 움직일 수 있다. 엑추에이터(40)의 작동 로드는 유입되고 배출되는 하우징에 일측이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잔교(10)의 상판(12)에 접한다. 작동 로드는 유압유가 하우징에 유입되는 방향에 따라 하우징 내부로 인입되거나 하우징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작동 로드가 하우징에 인출되면 도교(20)는 힌지(21)를 기준으로 회전되며, 타측은 잔교(10)의 상판(1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잔교(10)와 도교(20)를 연결하고 있는 연결 장치(30)의 고정 축(31)은 고정 몸체(32)의 삽입 홀(321)에서 이탈하게 된다.
역회전 방지부(50)는 힌지(21)에 장착되어 있다. 역회전 방지부(50)는 도교(20)가 엑추에이터(40)에 의하여 힌지(21)를 기준으로 잔교(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였을 잔교(10) 방향으로 다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6을 참고하면, 역회전 방지부(50)는 래칫(52)과 래칫 휠(51)을 포함하는 래칫 장치(ratchet gearing)이다.
래칫 휠(51)의 외부 둘레면에는 일방향으로 치차들이 형성되어 있다. 래칫 휠(51)의 중앙은 관통되어 있으며 중앙이 관통된 래칫 휠(51)은 힌지(21)에 결합된다. 이때 래칫 휠(51)은 도교(20)에 고정된다. 래칫 휠(51)은 볼트 따위로 도교(20)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래칫 휠(51)은 힌지(21)에 키(도시하지 않음) 따위로 고정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힌지(21)가 도교(20)에 고정되어 있다.
래칫(52)는 힌지(21)를 육지에 고정하는 브라켓(24)에 연결된 폴(52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폴(521)은 브라켓(24)이 아닌 육지에 연결될 수도 있다. 래칫(52)는 래칫 휠(51)의 치차에 걸린다. 그러나 래칫(52)는 래칫 휠(51)의 치차에서도 분리될 수 있다.
래칫(52)가 래칫 휠(51)에 걸린 상태에서 래칫 휠(51)은 일방향으로만 회전한다. 그러나 래칫(52)가 래칫 휠(51)의 치차에서 분리되면 래칫 휠(51)은 양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래칫(52)가 래칫 휠(51)에 걸린 상태에서 도교(20)가 힌지(21)를 기준으로 잔교(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 래칫 휠(51)은 회전될 수 있다. 도교(20)가 회전을 멈춘 뒤 도교(20)가 잔교(10)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면 래칫(52)가 래칫 휠(51)에 걸려 있어 도교(20)는 잔교(10)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도교(20)는 잔교(10)에서 떨어진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래칫(52)가 래칫 휠(51)의 치차에서 분리되면 도교(20)는 잔교(10)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지지부(60)는 잔교(10)로부터 떨어진 도교(20)를 지지하는 것으로, 기둥(61), 체인 블록 (chain block)(62), 그리고 와이어(63)를 포함한다.
기둥(61)은 도교(20)의 일측 양측에 위치하여 하단부가 육지에 고정되어 있다. 기둥(61)은 육지와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다.
체인 블록(62)은 기둥(61)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있다. 체인 블록(62)은 사람의 힘으로 감아 올리는 도르래 이다. 이러한 체인 블록(62)은 기어를 편성해서 만들며, 조작용 체인을 손으로 잡아당기거나 체인 풀리의 회전을 평기어로 감속하여, 와이어(63)가 연결된 훅(쇠고리)이 달린 체인을 감는 구조로 되어 있다. 체인에서 손을 떼어도 체인 풀리가 회전 되지 않도록 체인 풀리에는 기계 브레이크가 달려 있다.
체인 블록(62)의 훅에 연결된 와이어(63)의 끝은 도교(20)의 타측에 연결되어 있다. 잔교(10)가 수위에 따라 고정 기둥(13)의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으므로 와이어(63)는 어느 정도 느슨한 상태를 유지한다.
도교(20)의 타측이 잔교(10)로부터 멀어지면 와이어(63)는 초기 상태보다 좀더 느슨해질 수 있다. 이때 체인 블록(62)의 체인을 잡아 당겨 체인 풀리를 회전시킨다. 회전하는 체인 풀리는 체인을 당기게 된다. 훅이 체인 풀리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느슨한 와이어(63)가 팽팽해질 수 있다. 팽팽해진 와이어(63)는 잔교(10)로부터 떨어진 도교(20)를 안전하게 지지한다.
아울러, 지지부(60)가 도교(20)를 지지하고 있으므로 도교(20)가 들리면서 도교(20)의 일측에 가해지는 하중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부잔교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잔교가 고정 기둥을 따라 하강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도교의 타측이 잔교로부터 떨어진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9는 엑추에이터의 작동 로드가 잔교로부터 떨어진 상태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 이다.
먼저, 도 7을 참고하면, 밀물 상태에서 잔교(10)는 고정 기둥(13)의 고정으로 조류를 따라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연결 장치(30, 도 6 참조)가 설치된 경우 고정 축(31)은 고정 몸체(32)의 삽입 홀(321)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수위에 따라 잔교(10)는 고정 기둥(1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예컨대, 밀물 상태에서는 해면이 상승하므로 잔교(10)는 고정 기둥(13)을 따라 상승한다. 그러나 썰물 상태에서는 해면이 낮아지므로 잔교(10)는 고정 기둥(13)을 따라 하강한다.
이때 부력체(11)의 보강 패널(113c, 도 3 참조)에 의하여 보호 틀(112)의 저면이 지면에 직접적으로 접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보호 틀(112)이 지면에 닿으면서 발생할 수 있는 외부 요건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잔교(10)가 해수면에 의하여 고정 기둥(13)을 따라 움직일 때 도교(20)는 힌지(21)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움직일 수 있다. 이때 역회전 방지부(50, 도 5 참조)의 래칫(52)는 래칫 휠(51)에 걸려 있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태풍, 해일, 너울 따위에 의해 잔교(10)와 도교(20)를 분리해야 할 경우,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압 장치를 작동시켜 엑추에이터(40)의 하우징에서 작동 로드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유압유를 유입시킨다. 작동 로드가 하우징에서 인출 되므로서 도교(20)의 타측은 잔교(10)의 상판(1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아울러, 작동 로드가 인출될 때 연결 장치(30, 도 6 참조)의 고정 축(31)이 삽입 홀(321)에서 벗어나게 된다. 그리고 도교(20)의 타측은 일측 힌지(21)를 기준으로 상부측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잔교(10)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즉, 도교(20)의 타측이 엑추에이터(40)의 작동으로 잔교(10)의 상판(12)으로부터 들리게 된다.
작동 로드의 인출이 정지되면 도교(20) 또한 회전을 멈추게 된다. 이때 역회전방지부(50, 도 5 참조)의 래칫 휠(51) 치차에 래칫(52)이 걸리게 된다. 래칫(52)이 래칫 휠(51)의 치차에 걸리므로 도교(20)의 들린 타측은 잔교(10)의 상판 방향으로 내려가지 않게 된다. 그리고 지지부(60)의 와이어(63)는 느슨한 상태가 된다.
도 9를 참고하면, 작업자가 체인 블록(62)을 당기게 되면 체인 블록(62)의 훅이 체인 블록(62)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느슨한 와이어(63)는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팽팽해진 와이어(63)는 타측이 들린 도교(20)를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엑추에이터(40)의 하우징에 작동 로드가 인입되는 방향으로 유압유를 유입시켜 작동 로드가 하우징 내부로 인입 되도록 한다. 작동 로드가 하우징 내부로 완전하게 인입되면 도교(20)는 잔교(10)의 상판(12)에서 완전하게 떨어진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부잔교(1)는 엑추에이터(40)의 작동 로드가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면 도교(20)의 타측이 잔교(10)의 상판(12)으로부터 들리게 된다. 도교(20)가 들릴 때 도교(20)와 잔교(10)를 연결하는 연결 장치(30)의 고정 축(31)이 삽입 홀(321)에서 자연스럽게 분리된다. 이에 따라, 태풍 등의 재난 시에 작업자가 도교(20)와 잔교(10)의 연결 위치에 가지 않아도 도교(20)를 잔교(10)로부터 분리할 수가 있어서 안전성이 확보된다.
그리고 역회전 방지부(50)에 의하여 잔교(10)로부터 들린 도교(20)의 타측은 잔교(10) 방향으로 내려 가지 않는다. 그리고 지지부(60)가 들린 도교(20)의 타측을 지지하게 되어 잔교(10)로부터 분리된 도교(20)를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다.
육지와 연결된 도교(20)가 물 위에 부유 중인 잔교(10)로부터 분리되므로 잔교(10)가 해수에 의하여 심하게 움직이더라도 그 움직임이 도교(20)로 전달되지 않아 도교(20)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잔교(10)가 해상에 떠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잔교(10)는 강물에도 떠 있을 수 있다. 즉, 부잔교(1)는 바다가 아니 강에도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부잔교
10: 잔교
11: 부력체 111: 본체 112: 보호 틀 113, 113a: 보강 부재 113b: 보강 패널
12: 상판 121: 결합부 121a: 관통 홀 122: 롤러
13: 고정 기둥
20: 도교
21: 힌지 22: 난간대 24: 브라켓
30: 연결 장치
31: 고정 축 32: 고정 몸체 321: 삽입 홀 33: 가이드 34: 케스터
40: 엑추에이터
50: 역회전 방지부
51: 래칫 휠 52: 래칫 521: 폴
60: 지지부
61: 기둥 62: 체인 블록 63: 와이어

Claims (9)

  1. 적어도 하나의 부력체를 포함하고 부유 가능한 잔교,
    일측이 육지에 힌지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잔교에 접하는 도교,
    상기 도교의 타측에 위치하고 상기 도교의 타측을 상기 잔교에서 떨어트리는 엑추에이터, 그리고
    상기 힌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잔교에서 떨어진 상기 도교의 타측이 상기 잔교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회전 방지부
    를 포함하는 부잔교.
  2. 제1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력체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으로 만들어지고 일측이 개방된 보호 틀,
    상기 보호 틀 내부에 위치하고 발포폴리스타이렌(expanded polystyrene)으로 만들어진 본체, 그리고
    상기 보호 틀의 내측과 외측 모서리마다 배치되어 있는 보강 부재
    를 포함하는
    부잔교.
  3. 제2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력체는,
    상기 보호 틀의 저면에 위치하고 금속으로 이루어진 보강 패널
    을 더 포함하는
    부잔교.
  4. 제1항에서,
    일측이 상기 육지에 위치하고 타측이 상기 도교의 타측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잔교에서 떨어진 상기 도교를 지지하는 지지부
    를 더 포함하는 부잔교.
  5. 제4항에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육지에 설치된 기둥,
    상기 기둥에 연결되어 있는 체인 블록, 그리고
    상기 체인 블록에 권선되어 있고 상기 도교의 타측에 연결된 와이어
    를 포함하는
    부잔교.
  6. 제1항에서,
    상기 잔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력체에 결합된 상판 및
    일측이 해저에 고정되어 있고 상측이 상기 상판을 관통하는 고정 기둥
    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기둥은, 상기 부력체와 상기 상판이 조류를 따라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부잔교.
  7. 제1항에서,
    상기 잔교와 상기 도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잔교와 상기 도교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장치
    를 더 포함하는 부잔교.
  8. 제6항에서,
    상기 연결 장치,
    상기 도교 타측에서 상기 잔교 방향으로 수직하게 돌출된 고정 축,
    상기 잔교에 배치되고 상기 도교 타측과 마주하며 상기 고정 축이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된 고정 몸체, 그리고
    상기 고정 몸체와 상기 잔교 사이에 위치한 복수의 케스터
    를 포함하는
    부잔교.
  9. 제8항에서,
    상기 연결 장치는 상기 고정 축을 상기 도교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축은 상기 가이드의 원주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부잔교.
KR1020120035105A 2012-04-04 2012-04-04 부잔교 KR101184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105A KR101184348B1 (ko) 2012-04-04 2012-04-04 부잔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105A KR101184348B1 (ko) 2012-04-04 2012-04-04 부잔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4348B1 true KR101184348B1 (ko) 2012-09-20

Family

ID=47113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5105A KR101184348B1 (ko) 2012-04-04 2012-04-04 부잔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434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5525B1 (ko) * 2013-04-11 2013-11-07 (주)하나 도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부잔교
KR20150129103A (ko) 2014-05-08 2015-11-19 주식회사 반도산업개발 운반대차를 구비한 도교
KR20200134057A (ko) 2019-05-21 2020-12-01 주창혁 수상 도보용 데크
KR102257051B1 (ko) 2020-12-17 2021-05-27 김용채 부유식 연락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4940A (ja) 2003-02-14 2004-09-02 Molten Corp 浮桟橋用渡橋
KR101005500B1 (ko) 2010-08-04 2011-01-04 주식회사 혁신 푼툰수납틀이 구비된 조립식 부유해상구조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4940A (ja) 2003-02-14 2004-09-02 Molten Corp 浮桟橋用渡橋
KR101005500B1 (ko) 2010-08-04 2011-01-04 주식회사 혁신 푼툰수납틀이 구비된 조립식 부유해상구조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5525B1 (ko) * 2013-04-11 2013-11-07 (주)하나 도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부잔교
KR20150129103A (ko) 2014-05-08 2015-11-19 주식회사 반도산업개발 운반대차를 구비한 도교
KR20200134057A (ko) 2019-05-21 2020-12-01 주창혁 수상 도보용 데크
KR102257051B1 (ko) 2020-12-17 2021-05-27 김용채 부유식 연락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4348B1 (ko) 부잔교
WO2009081162A2 (en) Tidal flow power generation
US3818708A (en) Floating barrier
KR101950805B1 (ko) 부유식 해상시설물
KR101555362B1 (ko) 부유 구조물
JP5776083B2 (ja) 非常用防護装置
KR101642489B1 (ko)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
RU2573372C2 (ru) Самоподъемное буровое морское основание ледового класса с газовым перемешиванием и ледовыми экранами опор
CN204849677U (zh) 一种柔性外置助浮防波堤
CN112356987B (zh) 一种浮标
WO2013048915A1 (en) Anchoring apparatus for wave energy converters
KR20140022999A (ko) 반잠수식 드릴링 유닛의 애지머스 스러스터 설치방법
US7618214B2 (en) Containment boom guide system and method
KR20060094625A (ko) 부잔교
KR100802194B1 (ko) 선착장
RU2483968C2 (ru) Морская плавучая электростанция
KR200390423Y1 (ko) 부유형 방현재의 지지구조
CN104648625A (zh) 预制混凝土水上平台
KR101851216B1 (ko) 기어가 부력탱크에 매설된 유압 로터-작동식 선박 부양 또는 침수용 보트리프트 장치
CN218463825U (zh) 一种水上施工平台
JPS60144408A (ja) 船舶侵入防護施設
KR101831106B1 (ko) 부유체 선형 흐트러짐 방지 브라켓을 이용한 수중막체 수직유지 장치
KR20120007093U (ko) 오탁방지막 장치
CN104895009A (zh) 一种柔性外置助浮防波堤
US11661157B2 (en) Offshore floating isl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