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6666B1 - 전술교량 - Google Patents

전술교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6666B1
KR101696666B1 KR1020140145184A KR20140145184A KR101696666B1 KR 101696666 B1 KR101696666 B1 KR 101696666B1 KR 1020140145184 A KR1020140145184 A KR 1020140145184A KR 20140145184 A KR20140145184 A KR 20140145184A KR 101696666 B1 KR101696666 B1 KR 101696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plate
bridge
cable
top plat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5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8472A (ko
Inventor
이도희
이재형
이재연
Original Assignee
이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도희 filed Critical 이도희
Priority to KR1020140145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6666B1/ko
Publication of KR20160048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8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6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6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2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E01D15/127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combined with ground-supported vehicles for the transport, handling or placing of such bridges or of section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술교량에 관한 것으로, 교량전차에 연결되어 절첩 및 전개되는 설치부; 및 상기 설치부에 의해 파지되어 설치 또는 회수되고, 후방상판, 힌지에 의해 상기 후방상판과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전방상판, 상기 후방상판의 내부에 인출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설치부에 의해 파지되는 제1내부상판, 및 상기 전방상판의 내부에 인출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내부상판을 구비하는 교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술교량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긴 지형간극에 대해서도 전술교량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병력 및 장비가 긴 지형간극을 용이하게 극복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전술교량{tactical bridge}
본 발명은 전술교량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전차에 의해 이동, 설치 및 회수되며, 계곡, 운하, 대전차구 등의 지형적 장애물을 극복하여 장비 및 병력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전술교량에 관한 것이다.
전술교량은 계곡, 운하 또는 대전차구 등과 같이 자연적 또는 인공적으로 형성되어 이동이 곤란하게된 지형을 극복하여 장비 및 병력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장비이다.
이러한 전술교량의 이동, 설치 및 회수는 비교적 짧은 시간 내에 이루어져야 하며, 험난한 지형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때문에 전술교량의 신속한 이동과 안전한 설치 및 회수를 위해서는 전술교량을 탑재하고 이동할 수 있는 추진력과 전술교량의 무게를 견디어 설치 및 회수 가능한 견인력을 가지는 차량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전술교량은 무한 궤도 차량인 교량전차에 탑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의 교량전차에 탑재되는 전술교량 중에는 절첩식 구조를 갖는 것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전술교량은 교량을 전개하였을 때의 길이가 비교적 짧기 때문에 지형적으로 단절된 구간이 긴 운하 또는 계곡 등의 지형에서는 이용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전술교량의 길이를 증가시키기 위한 노력이 이어지고 있으나, 단순히 전술교량 자체의 길이를 증가시키는 것은 전술교량의 설치 과정에서 전술교량의 하중과 길이에 의해 교량전차가 전복되는 등의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크고, 설치된 후에도 긴 길이에 의한 구조적인 파괴 또는 흔들림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긴 지형간극을 극복할 수 있는 전술교량 개발은 아직까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긴 전술교량에 대한 개발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장 큰 문제점은 교량전차에서 전술교량이 전개될 때 전술교량이 반대편 지점에 안착되기도 전에 전술교량의 무게 중심이 교량전차로부터 급격하게 멀어지기 때문에 안정적인 설치가 어려웠다는 점이다.
따라서, 긴 지형간극을 극복할 수 있는 전술교량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우선적으로 개발될 필요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47393호(2011.05.09)
상기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술교량의 전개 과정에서 전술교량을 반대편 지점에 우선적으로 안착시킨 후, 안정적으로 전술교량의 상판을 이동시킴으로써 전술교량의 무게중심이 이동하여도 이에 의한 하중 및 모멘트를 지지할 수 있는 전술교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교량전차에 연결되어 절첩 및 전개되는 설치부; 및 상기 설치부에 의해 파지되어 설치 또는 회수되고, 후방상판, 힌지에 의해 상기 후방상판과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전방상판, 상기 후방상판의 내부에 인출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설치부에 의해 파지되는 제1내부상판, 및 상기 전방상판의 내부에 인출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내부상판을 구비하는 교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술교량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설치부는 상기 교량전차에 설치되어 상승 및 하강하는 승강실린더; 일측이 상기 승강실린더에 힌지결합되어 전방 및 후방으로 왕복운동하는 전후실린더; 일측이 상기 전후실린더에 힌지결합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타측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1내부상판을 지지하는 교량지지암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내부상판은 제1결합로드와 제2결합로드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결합로드가 삽입되는 제1결합구를 구비하며, 상기 교량지지암은 일단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결합로드가 삽입되는 제2결합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1결합로드의 중심축은 상기 제1결합구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교량지지암의 회동축과 동일선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몸체에 수직하게 연장형성되는 제1케이블 지지대를 구비하고, 상기 설치부는 일측이 상기 전후실린더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1케이블 지지대에 연결되어 상기 제1케이블 지지대를 전개 또는 절첩시키는 지지대 전개실린더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설치부는 상기 교량전차로부터 상기 제1케이블 지지대를 경유하여 상기 교량지지암에 연결되는 케이블을 더 구비하고, 상기 교량지지암은 상기 케이블에 의해 견인되어 절첩 또는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교량부는 상기 제2내부상판의 내부에 인출가능하도록 삽입설치되는 제1연장부, 및 상기 제1연장부의 내부에 인출가능하도록 삽입설치되는 제2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방상판 및 상기 전방상판 중 어느 일측의 상판에는 상기 힌지로부터 이격된 지점에 배치되는 하중 지지구가 측면에 돌출형성되고, 타측의 상판에는 일단이 상기 타측 상판에 결합되고, 상기 후방상판 및 상기 전방상판이 전개된 상태에서 타단은 상기 하중 지지구에 접하는 하중 분산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량부는 상기 후방상판 및 상기 전방상판에 각각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케이블 지지대, 상기 후방상판 및 상기 전방상판에 각각 구비되어 각각의 상기 제2케이블 지지대를 절첩 또는 전개시키는 상판 전개실린더, 및 상기 후방상판으로부터 각각의 상기 제2케이블 지지대를 경유하여 상기 전방상판에 연결되는 케이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방상판은 상기 케이블에 의해 견인되어 절첩 또는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긴 지형간극에 대해서도 전술교량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병력 및 장비가 긴 지형간극을 용이하게 극복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술교량이 교량전차에 의해 전개된 상태에서의 측면도이다.
도2는 도1의 평면도이다.
도3은 전개된 전술교량에서 교량전차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4는 설치부가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5는 교량부의 절첩부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6 내지 도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술교량이 전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첨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술교량이 교량전차에 의해 전개된 상태에서의 측면도이고, 도2는 도1의 평면도이며, 도3은 전개된 전술교량에서 교량전차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4는 설치부가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5는 교량부의 절첩부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1 내지 도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술교량(100)을 설명하되, 전방 및 후방의 방향을 지칭함에 있어서는 도1을 기준으로 하여 교량전차(10)가 위치한 방향을 후방으로 하고, 그 반대편을 전방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술교량(100)은 교량전차(10)에 탑재되어 장간격의 간극지형에 설치되는 가설교량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술교량(100)은 교량전차에 연결되어 절첩 및 전개되는 설치부(110)와 설치부(110)에 의해 파지되어 간극지형에 설치 및 회수되는 교량부(14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설치부(110)는 복수의 실린더(112,114)와 교량부(140)를 파지 및 전개하기 위한 연결부(116)와 교량지지암(126) 등을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설치부(110)는 교량전차(10)에 설치되어 상승 및 하강하는 승강실린더(112)를 구비하고, 승강실린더(112)에는 일측이 힌지결합되어 전방 및 후방으로 왕복운동하는 전후실린더(114)가 배치된다.
승강실린더(112) 및 전후실린더(114)는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유압실린더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후실린더(114)에는 일측이 힌지결합되어 회동가능한 연결부(116)가 설치되고, 연결부(116)의 타측에는 제1내부상판(146)을 지지하는 교량지지암(126)이 힌지결합된다.
이때, 연결부(116)에는 몸체에 수직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형성되는 제1케이블 지지대(118)가 구비된다.
한편, 교량부(140)에 구비되는 제1내부상판(146)은 제1결합로드(148)와 제2결합로드(150)를 구비한다.
이에 대응하여 연결부(116)는 제1결합로드(148)가 삽입되는 제1결합구(120)를 구비하며, 교량지지암(126)은 일단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제2결합로드(150)가 삽입되는 제2결합구(128)를 구비한다.
이때, 제1결합로드(148)의 중심축은 제1결합구(120)에 삽입된 상태에서 교량지지암(126)의 회동축과 동일선상에 배치되어 교량지지암(126)과 제1내부상판(146)이 동일한 축을 중심으로 함께 회동할 수 있도록 한다.
설치부(110)는 일측이 전후실린더(114)에 연결되고, 타측은 제1케이블 지지대(118)에 연결되어 제1케이블 지지대(118)를 전개 또는 절첩시키는 지지대 전개실린더(124)를 더 구비한다.
또한, 설치부(110)는 교량전차(10)로부터 제1케이블 지지대(118)를 경유하여 교량지지암(126)에 연결되는 케이블(130)을 더 구비하는데, 교량지지암(126)은 이 케이블(130)에 의해 견인되어 절첩 또는 전개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교량전차(10)에는 케이블(130)을 권취하기 위한 권취수단(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권취수단(미도시)에 의해 권취되는 케이블(130)은 제1케이블 지지대(118)에 의해 지지되어 교량지지암(126)을 전개 또는 절첩시킴으로써 교량부(140)가 설치 또는 회수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교량부(140)는 병력과 장비들이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후방상판(142), 전방상판(144), 제1내부상판(146) 및 제2내부상판(152) 등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후방상판(142)과 전방상판(144)은 힌지(145)에 의해 서로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교량부(140)가 전개된 상태에서 후방상판(142)은 힌지(145)의 반대편 단부가 교량전차(10)가 위치한 후방을 향하고 전방상판(144)은 그 반대편인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제1내부상판(146)은 후방상판(142)의 내부에 삽입 및 인출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설치부(110)의 교량지지암(126)에 의해 파지된다. 제1내부상판(146)은 교량부(140)의 전개가 완료된 상태에서 교량부(140)의 진입부분을 이루게 된다.
제2내부상판(152)은 전방상판(144)의 내부에 삽입 및 인출가능하도록 설치되며, 교량부(140)의 전개가 완료된 상태에서 간극지형의 반대편 지점에 접하게 된다.
제2내부상판(152)의 내부에는 다단구조로 이루어져 제2내부상판(152)에 삽입 및 인출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연장부(162,164)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연장부(162,164)는 제2내부상판(152)의 내부에 삽입 및 인출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연장부(162)와 제1연장부(162)의 내부에 삽입 및 인출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연장부(164)로 이루어진다.
제1연장부(162)와 제2연장부(164)는 후방상판(142)과 전방상판(144)이 펼쳐진 상태에서 교량부(140) 전체의 무게중심이 교량부(140)의 가운데로 이동하기 전에 간극지형의 반대편 지점에 접하여 지지됨으로써, 교량부(140)의 설치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무게중심의 이동에 의한 하중 및 모멘트 등의 힘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전술교량(100)이 안전하고 신속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1내부상판(146), 제2내부상판(152), 제1연장부(162) 및 제2연장부(164)와 같이 인접하는 부재에 슬라이딩되어 삽입 및 인출되는 구성들은 교량부(140)에 설치되는 모터, 솔레노이드 및 유압실린더 등의 구동수단(미도시)에 의해 슬라이딩 작동되며, 이러한 구동수단(미도시)들의 설치와 작동방식 등은 이미 공지된 기술에 속하므로 여기에서 구동수단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후방상판(142)과 전방상판(144)을 연결하는 힌지(145)는 후방상판(142)과 전방상판(144)이 전개된 상태에서 상당한 하중이 집중되는 부분으로 전술교량(100)의 운용 중에 손상 또는 파괴되기 쉬운 부분이다.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힌지(145)의 부재력을 크게 하여 내구성을 증가시키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으나, 이는 힌지(145) 자체의 중량을 증가시키게 되고, 결과적으로는 교량부(140)의 전체적인 중량을 증가시키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술교량(100)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교량부(140)에 가해지는 하중이 힌지(145)를 회피하여 다른 부분으로 분산되도록 하는 하중 분산부(158) 및 하중 지지구(160)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하중 지지구(160)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상판(142) 및 전방상판(144) 중 어느 일측 상판의 측면에 돌출형성되며, 힌지(145)로부터는 소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배치된다.
하중 분산부(158)는 일단이 타측 상판에 결합되고, 타단은 후방상판(142) 및 전방상판(144)이 전개된 상태에서 하중 지지구(160)에 접하도록 구비된다.
도5에서는 후방상판(142)에 하중 지지구(160)가 구비되고, 전방상판(144)에는 하중 분산부(158)가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바람직하게 하중 분산부(158)와 하중 지지구(16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상판(142)과 전방상판(144) 각각의 다리 좌우측에 모두 구비된다.
도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일측의 상판(144)에 가해진 하중은 하중 분산부(158)에 의해 타측 상판(142)에 구비된 하중 지지구(160)로 전달되어 분산됨으로써 하중이 힌지(145)로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교량부(140)는 후방상판(142)과 전방상판(144)을 전개 및 절첩시키기 위한 제2케이블 지지대(154)와 상판 전개실린더(156) 및 케이블(157)을 구비한다.
제2케이블 지지대(154)는 후방상판(142) 및 전방상판(144)에 각각 구비되고, 각 상판(142,144)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때, 제2케이블 지지대(154)는 절첩구조로 형성하거나 슬라이딩되는 다단구조로 형성할 수 있는데(도6 참고), 이렇게 함으로써 제2케이블 지지대(154)의 부피를 축소시키면서도 케이블(157)의 견인력을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는 충분한 길이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케이블(157)은 후방상판(142)으로부터 후방상판(142)과 전방상판(144)에 구비된 각각의 제2케이블 지지대(154)를 경유하여 전방상판(144)에 연결되고, 전방상판(144)은 케이블(157)에 의해 견인되어 절첩 또는 전개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후방상판(142) 또는 교량전차(10)에는 케이블(157)을 권취하는 권취수단(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도6 내지 도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술교량이 전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도6 내지 도1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술교량(100)이 전개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술교량(100)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전차(10)에 탑재되어 간극지형으로 이동된다. 전술교량(100)이 이송되어 설치준비가 완료되면 먼저 전후실린더(114)가 전방을 향해 인출되어 교량부(140)를 앞으로 전진시키고(도7 참고), 이어서 승강실린더(112)가 상승하여 설치부(110)가 지면을 향하도록 하고 교량부(140)는 앞으로 기울어지도록 한다(도8 참고).
이후, 지지대 전개실린더(124)가 전진하여 제1케이블 지지대(118)를 지면에 수직하게 세우면(도9 참고), 설치부(110)에 구비된 케이블(130)이 풀어지면서 후방상판(142)이 전방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한다.
이때 각 상판(142,144)에 구비된 상판 전개실린더(156)들은 전진하여 제2케이블 지지대(154)를 각 상판(142,144)에 수직하게 세우고, 이와 함께 교량부(140)에 설치된 케이블(157)은 당겨져서 전방상판(144)을 견인한다(도10 참고).
상기한 과정을 거쳐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상판(142)과 전방상판(144)이 일자로 펼쳐지면, 제2내부상판(152)에 삽입되어 있던 제1연장부(162)가 전방을 향해 인출되고, 이어서 제1연장부(162) 내부에 삽입되어 있던 제2연장부(164)가 인출되어 간극지형의 반대편 지점에 안착된다(도12 참고).
경우에 따라서 제1연장부(162)와 제2연장부(164)는 상기와 같이 순차적으로 인출되지 않고, 동시에 인출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제2연장부(164)가 간극지형의 반대편 지점에 안착된 상태에서는 교량부(140)의 하중이 간극지형의 양단으로 분산되기 때문에 상판(142,144,146,152)들을 간극지형의 반대편으로 더욱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게 된다.
제2연장부(164)가 간극지형의 반대편 지점에 안착된 후에는, 전방상판(144)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던 제2내부상판(152)이 인출되고, 인출되는 제2내부상판(152)에 의해 제1연장부(162)가 전방으로 밀려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제2연장부(164)는 제1연장부(162) 삽입되고, 제1연장부(162)가 간극지형의 반대편 지점에 접하게 된다(도13 참고).
이와 같이 간극지형의 반대편 지점에 제2연장부(164) 보다 더 큰 지지력을 갖는 제1연장부(162)가 접하게 됨으로써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더욱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후방상판(142)에 삽입되어 있던 제1내부상판(146)이 후방상판(142)으로부터 인출되면서 후방상판(142), 전방상판(144) 및 제2내부상판(152)을 전방으로 밀어낸다(도14 참고).
다시 말해, 후방상판(142)이 전진하면서 전방상판(144)과 제2내부상판(152)을 간극지형의 반대편으로 밀어내어 제2내부상판(152)이 간극지형의 반대편 지점에 접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제1연장부(162)는 제2내부상판(152)이 전진하면서 제2내부상판(152)의 내부에 다시 삽입된다.
마지막으로 연결부(116)를 상승시켜 제1결합로드(148)와 제2결합로드(150)를 각각 제1결합구(120)와 제2결합구(128)에서 분리시킴으로써 설치부(110)와 교량부(140)를 분리시킨다.
교량부(140)에서 분리된 설치부(110)는 설치부(110)가 전개되는 순서의 역순으로 절첩한다. 또한, 설치된 교량부(140)의 회수 역시 설치과정의 역순으로 절첩하여 교량전차(10)에 탑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술교량(100)은 긴 지형간극에 대해서도 교량부(140)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설치하여 병력 및 장비가 긴 지형간극을 용이하게 극복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한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 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교량전차 100: 전술교량
110: 설치부 112: 승강실린더
114: 전후실린더 116: 연결부
118: 제1케이블 지지대 120: 제1결합구
124: 지지대 전개실린더 126: 교량 지지암
128: 제2결합구 130,157: 케이블
140: 교량부 142: 후방상판
144: 전방상판 145: 힌지
146: 제1내부상판 148: 제1결합로드
150: 제2결합로드 152: 제2내부상판
154: 제2케이블 지지대 156: 상판 전개실린더
158: 하중 분산부 160: 하중 지지구
162: 제1연장부 164: 제2연장부

Claims (8)

  1. 교량전차에 연결되어 절첩 및 전개되는 설치부; 및
    상기 설치부에 의해 파지되어 설치 또는 회수되고,
    후방상판,
    힌지에 의해 상기 후방상판과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전방상판,
    상기 후방상판의 내부에 인출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설치부에 의해 파지되는 제1내부상판, 및
    상기 전방상판의 내부에 인출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내부상판을 구비하는 교량부를 포함하되,
    상기 후방상판 및 상기 전방상판 중 어느 일측의 상판에는 상기 힌지로부터 이격된 지점에 배치되는 하중 지지구가 측면에 돌출형성되고,
    타측의 상판에는 일단이 상기 타측 상판에 결합되고, 상기 후방상판 및 상기 전방상판이 전개된 상태에서 타단은 상기 하중 지지구에 접하는 하중 분산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술교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는
    상기 교량전차에 설치되어 상승 및 하강하는 승강실린더;
    일측이 상기 승강실린더에 힌지결합되어 전방 및 후방으로 왕복운동하는 전후실린더;
    일측이 상기 전후실린더에 힌지결합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타측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1내부상판을 지지하는 교량지지암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술교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내부상판은 제1결합로드와 제2결합로드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결합로드가 삽입되는 제1결합구를 구비하며,
    상기 교량지지암은 일단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결합로드가 삽입되는 제2결합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1결합로드의 중심축은 상기 제1결합구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교량지지암의 회동축과 동일선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술교량.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몸체에 수직하게 연장형성되는 제1케이블 지지대를 구비하고,
    상기 설치부는
    일측이 상기 전후실린더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1케이블 지지대에 연결되어 상기 제1케이블 지지대를 전개 또는 절첩시키는 지지대 전개실린더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술교량.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는
    상기 교량전차로부터 상기 제1케이블 지지대를 경유하여 상기 교량지지암에 연결되는 케이블을 더 구비하고, 상기 교량지지암은 상기 케이블에 의해 견인되어 절첩 또는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술교량.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량부는
    상기 제2내부상판의 내부에 인출가능하도록 삽입설치되는 제1연장부, 및
    상기 제1연장부의 내부에 인출가능하도록 삽입설치되는 제2연장부,
    상기 후방상판 및 상기 전방상판에 각각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케이블 지지대,
    상기 후방상판 및 상기 전방상판에 각각 구비되어 각각의 상기 제2케이블 지지대를 절첩 또는 전개시키는 상판 전개실린더, 및
    상기 후방상판으로부터 각각의 상기 제2케이블 지지대를 경유하여 상기 전방상판에 연결되는 케이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방상판은 상기 케이블에 의해 견인되어 절첩 또는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술교량.
  7. 삭제
  8. 삭제
KR1020140145184A 2014-10-24 2014-10-24 전술교량 KR101696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5184A KR101696666B1 (ko) 2014-10-24 2014-10-24 전술교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5184A KR101696666B1 (ko) 2014-10-24 2014-10-24 전술교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8472A KR20160048472A (ko) 2016-05-04
KR101696666B1 true KR101696666B1 (ko) 2017-01-16

Family

ID=56021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5184A KR101696666B1 (ko) 2014-10-24 2014-10-24 전술교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66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45360A (zh) * 2018-06-22 2018-10-12 核工业西南勘察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桥梁监测方法
CN111648225A (zh) * 2019-11-25 2020-09-11 泰富重工制造有限公司 一种山顶之间安装圆管输送机的方法
CN113715715A (zh) * 2021-09-30 2021-11-30 国网山东省电力公司巨野县供电公司 一种应急疏导车
KR102560753B1 (ko) * 2021-11-22 2023-07-27 유금범 갱웨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1818A (ja) * 1999-07-01 2001-01-16 Tadano Ltd 仮橋梁車
JP2007205014A (ja) * 2006-02-01 2007-08-16 Yokogawa Bridge Corp 橋梁の架設方法及び装置
US20080163439A1 (en) * 2005-01-22 2008-07-10 Volker Green Mobile Bridg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10637A (en) * 1983-03-14 1985-04-16 Lucjan Zlotnicki Bridge launcher
KR101078712B1 (ko) 2009-10-30 2011-11-01 현대로템 주식회사 이동식 교량 가설장치용 유도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도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1818A (ja) * 1999-07-01 2001-01-16 Tadano Ltd 仮橋梁車
US20080163439A1 (en) * 2005-01-22 2008-07-10 Volker Green Mobile Bridge System
JP2007205014A (ja) * 2006-02-01 2007-08-16 Yokogawa Bridge Corp 橋梁の架設方法及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8472A (ko) 2016-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6666B1 (ko) 전술교량
US11530117B2 (en) Tank car lifting apparatus
US9868380B2 (en) Transportable drop trailer
EP2856255B1 (en) Camera crane transport vehicle
CN109098078B (zh) 一种车桥可分离的多用途机械化桥及其架设方法
CN104499417A (zh) 一种重力自平衡式应急抢通快速自架桥
CN106677807A (zh) 一种折叠式钢拱架及其安装方法
CN105755966B (zh) 一种可折叠的装配式公路钢桥架设平台
US6186275B1 (en) Basket transportable by helicopter for use on elevated cables or installations
CN111172858B (zh) 机械化桥架设机构及机械化桥架设车辆及方法
CN106592408B (zh) 折叠式应急通道及使用方法
CN204251242U (zh) 轮式履带式两用起重机
CN105281009A (zh) 液压翻转举升机构
ES2700428T3 (es) Un remolque con bogie deslizante
CN221092494U (zh) 一种悬挂可伸缩式转运装置
JP3234088B2 (ja) 移動式クレーンの上下着脱装置
JP6622514B2 (ja) 建設機械およびカーボディウエイトの取付方法
JP3216009B2 (ja) 車両用昇降装置における手摺杆の自動起伏およびプラットホームの自動展開・起立ロック装置。
JP2007297143A (ja) 高所作業車
CN202081699U (zh) 用于竖立电线的紧急铁塔的装置和系统
CN104512313B (zh) 功能副车
CN108909534B (zh) 一种城市轨道交通客车接触网检修液压折叠型检修车
JPH08301429A (ja) 自走式コンベア
CN107472500B (zh) 一种锚泊车
KR101296693B1 (ko) 연속구조물 이송장치가 구비된 이동식흙막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