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9162B1 - 내파를 위한 부잔교 - Google Patents

내파를 위한 부잔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9162B1
KR101119162B1 KR1020080076712A KR20080076712A KR101119162B1 KR 101119162 B1 KR101119162 B1 KR 101119162B1 KR 1020080076712 A KR1020080076712 A KR 1020080076712A KR 20080076712 A KR20080076712 A KR 20080076712A KR 101119162 B1 KR101119162 B1 KR 101119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water
buzan
main body
guide p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6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7026A (ko
Inventor
이남서
Original Assignee
이남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남서 filed Critical 이남서
Priority to KR1020080076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9162B1/ko
Publication of KR20100017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7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9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9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4Floating bridges, e.g. pontoon b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파를 위한 부잔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도가 심한 경우 부잔교를 수면 위 또는 수면 아래에 고정시킴으로써 파도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함으로써 파도에 의한 파손을 막을 수 있는 내파를 위한 부잔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내파를 위한 부잔교는, 수면 아래에서 수면 위로 노출되게 연직으로 세워진 수개의 가이드 포스트와, 상기 수면에 뜨는 부력체로서 상기 가이드 포스트를 따라 상하방향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부잔교 본체와, 상기 부잔교 본체를 상기 가이드 포스트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소정의 위치에서 부잔교 본체를 가이드 포스트에 고정시키기 위한 이동 및 고정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부잔교, 내파

Description

내파를 위한 부잔교{FLOATING PIER}
본 발명은 내파를 위한 부잔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도가 심한 경우 부잔교를 수면 위 또는 수면 아래에 고정시킴으로써 파도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함으로써 파도에 의한 파손을 막을 수 있는 내파를 위한 부잔교에 관한 것이다.
부잔교는 물에 뜨도록 만든 상자형의 부체(浮體)인 부력체를 물에 띄우고 그 위에 철근콘크리트, 강판, 목재로 바닥판을 깔아 여객의 승하선, 화물의 적양(積楊)에 편하도록 만든 구조물이며, 수위에 따라 바닥판의 높이가 자동으로 조절되므로 조석간만의 차이가 큰 곳이나 그 밖의 수위변화가 많은 곳에서 주로 사용된다.
그런데, 종래의 부잔교는 물에 떠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태풍과 같이 파도가 심한 경우 파도에 의한 충격으로 파손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인식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파도가 심한 경우 부잔교를 수면 위 또는 수면 아래에 고정시킴으로써 파도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함으로써 파도에 의한 파손을 막을 수 있는 내파를 위한 부잔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내파를 위한 부잔교는, 수면 아래에서 수면 위로 노출되게 연직으로 세워진 수개의 가이드 포스트와, 상기 수면에 뜨는 부력체로서 상기 가이드 포스트를 따라 상하방향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부잔교 본체와, 상기 부잔교 본체를 상기 가이드 포스트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소정의 위치에서 부잔교 본체를 가이드 포스트에 고정시키기 위한 이동 및 고정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내파를 위한 부잔교는 파도가 심한 경우 부잔교를 수면 위 또는 수면 아래에 고정시킴으로써 파도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함으로써 파도에 의한 파손을 막을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내파를 위한 부잔교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파를 위한 부잔교에서 부잔교 본체가 수면에 떠있는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파를 위한 부잔교는 가이드 포스트(10), 부잔교 본체(20), 이동 및 고정 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 포스트(10)는 상기 부잔교 본체(20)가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 이동되게 지지되어 태풍과 같이 풍랑이 심한 경우 수면(S) 위 또는 수면(S) 아래에서 부잔교 본체(20)가 고정되기 위한 기둥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 포스트(10)는 수면(S) 아래에서 수면(S) 위로 노출되게 연직으로 세워지게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 포스트(10)는 부잔교 본체(20)가 사각형인 경우 각 모서리 부분에 구비되어 총 4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 포스트(10)의 일측에는 상하 방향으로 랙 기어(11)가 길게 형성되어 상기 이동 및 고정수단(30)의 피니언 기어(31)에 맞물리게 된다.
상기 부잔교 본체(20)는 물 위에 뜨는 부력체로서 상기 가이드 포스트(10)를 따라 상하방향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부잔교 본체(20)의 4 귀퉁이 부분에는 상기 가이드 포스트(10)이 삽입되기 위한 가이드 홀(21)이 상하방향으로 관통형성된다. 또한 상기 부잔교 본체(20)에는 침수를 위해서 상기 부잔교 본체(20)의 내부에 구비된 공간에 물이 채워지기 위한 물이 유입되도록 저부에 물 유입홀(도면에 미도시)이 형성되어 개폐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가이드 포스트(10)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게 설치된 부잔교 본체(20)는 물 위에 떠서 평상시에는 간만에 의한 수면(S)의 상승과 하강에 따라 상기 가이드 포스트(10)를 따라 상하로 이동된 다. 또한, 상기 부잔교 본체(20)는 풍랑이 심한 경우에는 수면(S) 위 또는 수면(S) 아래에 위치되게 상기 가이드 포스트(10)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물 위에 떠있는 부잔교 본체(20)에는 부두에 힌지 연결된 도교(B)가 연결된다. 상기 도교(B)는 부잔교를 이용하지 않거나 부잔교 본체(20)을 들어올리거나 침수시켜 고정시키는 경우에 도교 현수 포스트(P)에 걸쳐져 상기 도교(B)에 연결된 도교 현수 케이블(C)을 도교 인양 윈치(W)로 감아 들어올려져 상기 부잔교 본체(20)과 분리된다.
상기 이동 및 고정수단(30)은 상기 부잔교 본체(20)를 상기 가이드 포스트(10)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수면(S) 위 또는 수면(S) 아래의 위치에서 부잔교 본체(20)를 가이드 포스트(10)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이동 및 고정수단(20)은 외력(예를 들면 사람의 힘 또는 모터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31)가 상기 가이드 포스트(10)에 구비된 랙기어(11)에 맞물리게 구비되어 상기 부잔교 본체(20)를 들어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며, 그 피니언 기어(31)가 회전되지 않게 고정시킴으로써 부잔교 본체(20)가 가이드 포스트(10)을 따라 이동되지 않게 가이드 포스트(10)에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내파를 위한 부잔교는 풍랑이 심한 경우 부잔교 본체(20)가 수면(S) 위 또는 아래에 고정되기 때문에 파도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파를 위한 부잔교에서 부잔교 본체(20)가 수면 위에 고정된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파를 위한 부잔교에서 부잔교 본체가 수면 아래에 침수된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파를 위한 부잔교에서 부잔교 본체를 수면 위 또는 아래에 고정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파도가 약한 경우에는 부잔교 본체(20)를 수면(S) 위에 고정시켜 부잔교 본체(20)가 풍랑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되는데, 만조가 되어 부잔교 본체(20)가 물에 떠 높이 상승되었을 때 상기 이동 및 고정 수단(20)을 작동시켜 상기 부잔교 본체(20)를 만조시의 수면(S) 위로 들어 올리고, 그 들어 올려진 부잔교 본체(20)가 수면(S) 위에 위치된 상태에서 부잔교 본체(20)를 가이드 포스트(10)에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부잔교 본체(20)는 수면(S) 위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수면(S)의 파도가 부잔교 본체(20)에 충돌되지 않아 부잔교 본체(20)는 풍랑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승되어 수면(S) 위에 고정된 부잔교 본체(20)는 풍랑이 잦아들면 상기 이동 및 고정 수단(20)을 작동시켜 부잔교 본체(20)을 하강시켜 물에 다시 띄워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부잔교 본체(20)의 하강은 가능한 부잔교 본체(20)의 하강되는 이동거리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만조시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파도가 심한 경우에는 부잔교 본체(20)의 내부 공간에 물을 채워 부잔교 본체(20)를 침수시켜 수면(S) 아래에 고정시킴으로써 부잔교 본체(20)가 풍랑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할 수 있는데, 간조가 되어 부잔교 본체(20)가 물에 떠 낮게 하강되었을 때 부잔교 본체(20)에 물을 채우고 상기 이동 및 고정 수단(20)을 작동시켜 상기 부잔교 본체(20)가 간조시의 수면 아래에 위치된 상태에서 부잔교 본체(20)를 가이드 포스트(10)에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가이드 포스트(10)의 하단부에 고정된 부잔교 본체(20)는 수면(S)이 상승되더라도 수면(S) 아래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수면에 일렁이는 파도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침수된 부잔교 본체(20)의 복원은 간조시에 부잔교 본체(20)의 내부 공간에 채워진 물을 펌프 등을 이용하여 배수시켜 부잔교 본체(20)을 물에 다시 띄움으로써 이루어진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내파를 위한 부잔교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파를 위한 부잔교에서 부잔교 본체가 수면에 떠있는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파를 위한 부잔교에서 부잔교 본체가 수면 위에 고정된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파를 위한 부잔교에서 부잔교 본체가 수면 아래에 침수된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파를 위한 부잔교에서 부잔교 본체를 수면 위 또는 아래에 고정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B 도교
P 도교 현수 포스트
C 도교 현수 케이블
W 도교 인양 윈치
10 가이드 포스트
11 랙 기어
20 부잔교 본체
21 가이드홀
30 이동 및 고정 수단
31 피니언 기어

Claims (1)

  1. 수면 아래에서 수면 위로 노출되게 연직으로 세워진 수개의 가이드 포스트와, 상기 수면에 뜨는 부력체로서 상기 가이드 포스트를 따라 상하방향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되, 수면 아래로 침수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내부에 구비된 공간에 채워지기 위한 물이 유입되기 위한 물 유입홀이 형성된 부잔교 본체와, 상기 부잔교 본체를 상기 가이드 포스트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되, 파도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상기 부잔교 본체가 수면 아래로 침수된 상태에서 또는 상기 부잔교 본체가 수면 위로 들어 올려진 상태에서 상기 부잔교 본체를 상기 가이드 포스트에 고정시키기 위한 이동 및 고정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간조가 되어 부잔교 본체가 가이드 포스트를 따라 낮게 하강되어 간조시의 수면에 위치되었을 때 부잔교 본체에 물을 채우고 상기 이동 및 고정 수단을 작동시켜 상기 부잔교 본체를 가이드 포스트에 고정시켜 수면이 간조보다 높을 때 부잔교 본체가 수면 아래에 놓여 침수되며,
    간조시에 부잔교 본체의 내부 공간에 채워진 물을 배수시키고 상기 이동 및 고정 수단을 해제시켜 부잔교 본체가 부잔교 본체가 수면에 떠서 가이드 포스트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파를 위한 부잔교.
KR1020080076712A 2008-08-05 2008-08-05 내파를 위한 부잔교 KR101119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6712A KR101119162B1 (ko) 2008-08-05 2008-08-05 내파를 위한 부잔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6712A KR101119162B1 (ko) 2008-08-05 2008-08-05 내파를 위한 부잔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7026A KR20100017026A (ko) 2010-02-16
KR101119162B1 true KR101119162B1 (ko) 2012-03-20

Family

ID=42088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6712A KR101119162B1 (ko) 2008-08-05 2008-08-05 내파를 위한 부잔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91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5296A (ko) 2021-11-22 2023-05-31 유금범 갱웨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VR20120128A1 (it) * 2012-06-26 2013-12-27 Irditech S R L Piattaforma per aree soggette ad allagamento
CN110024680B (zh) * 2019-03-16 2021-04-02 管秋霞 一种种植水生植物的浮床
CN110184895B (zh) * 2019-07-01 2023-10-27 沈阳建筑大学 一种可随河流水位上涨自动调整高度的桥梁及其构筑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7646U (ko) * 1994-03-04 1995-10-18 임권신 분해 조립식 부잔교
KR20030013614A (ko) * 2001-08-08 2003-02-15 원 회 양 해저면에 그라우팅 작업을 하기위한 폰투운식 바지선의 구조
KR20060094625A (ko) * 2005-02-25 2006-08-30 진정숙 부잔교
KR200432359Y1 (ko) * 2006-07-27 2006-12-04 신승호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부력관을 부력제로 이용한부잔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7646U (ko) * 1994-03-04 1995-10-18 임권신 분해 조립식 부잔교
KR20030013614A (ko) * 2001-08-08 2003-02-15 원 회 양 해저면에 그라우팅 작업을 하기위한 폰투운식 바지선의 구조
KR20060094625A (ko) * 2005-02-25 2006-08-30 진정숙 부잔교
KR200432359Y1 (ko) * 2006-07-27 2006-12-04 신승호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부력관을 부력제로 이용한부잔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5296A (ko) 2021-11-22 2023-05-31 유금범 갱웨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7026A (ko) 2010-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9162B1 (ko) 내파를 위한 부잔교
KR101439520B1 (ko)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용 작업선
JP2015534923A (ja) 浮遊風力タービンを輸送および設置するための浮遊輸送および設置構造体、浮遊風力タービン、およびそれを輸送および設置するための方法
KR20140125955A (ko) 해양 부유 구조물의 자가 부력 조절장치
RU2013120793A (ru) Самоподъемная буровая установка с двумя вышками для работы в ледовых условиях
CN109642402B (zh) 沉箱块建造方法和沉箱块结构
KR101399933B1 (ko) 부유식 구조물
KR102630564B1 (ko) 진수 방법
KR20130139930A (ko) 예비 하중 인장 시스템을 갖는 얼음에 적합한 잭-업 굴착선
KR101763691B1 (ko) 해양구조물 설치선박
KR100952910B1 (ko) 부양식 수문 독 및 그의 선박 건조방법
KR20120126218A (ko) 고정식 심해 가두리 시설
KR101402763B1 (ko) 수상시설용 롤링피칭 감쇠장치
KR101977110B1 (ko) 부유식 교량 구조
RU2013123024A (ru) Самоподъемное буровое морское основание ледового класса с газовым перемешиванием и ледовыми экранами опор
JP2006233745A (ja) 水害浮上建築物の浮体施工方法
KR102188615B1 (ko) 승강 고정식 부잔교 시설물
KR101638694B1 (ko) 부하 승강 유도체
KR102268277B1 (ko) 해상 태양광 발전장치의 부력체
KR101336220B1 (ko) 해수 리프팅 시스템
DK2860314T3 (en) Gravity fundering
KR20130042284A (ko) 부유식 도크 및 부유식 도크에서의 선박 진수 방법
WO2013048915A1 (en) Anchoring apparatus for wave energy converters
KR20140008554A (ko) 부유식 구조물의 레그 프로텍터
KR101080982B1 (ko) 조류 발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