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8554A - 부유식 구조물의 레그 프로텍터 - Google Patents

부유식 구조물의 레그 프로텍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8554A
KR20140008554A KR1020120073437A KR20120073437A KR20140008554A KR 20140008554 A KR20140008554 A KR 20140008554A KR 1020120073437 A KR1020120073437 A KR 1020120073437A KR 20120073437 A KR20120073437 A KR 20120073437A KR 20140008554 A KR20140008554 A KR 20140008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cover
floating structure
protector
le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3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1517B1 (ko
Inventor
박주신
구정본
김국진
조태민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3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1517B1/ko
Publication of KR20140008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8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1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1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17/0017Means for protecting offshore constructions
    • E02B17/0021Means for protecting offshore constructions against ice-loa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17/0017Means for protecting offshore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17/02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placed by lower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to the bottom, e.g. with subsequent fixing thereto
    • E02B17/021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placed by lower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to the bottom, e.g. with subsequent fixing thereto with relative movement between supporting construction and plat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17/04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sing, lowering, or immobilising the working platform relativ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17/04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sing, lowering, or immobilising the working platform relativ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2B17/08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sing, lowering, or immobilising the working platform relativ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for raising or lowe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2017/0056Platforms with supporting legs
    • E02B2017/006Platforms with supporting legs with lattice style supporting le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부유식 구조물의 레그 프로텍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부유식 구조물의 레그 프로텍터는 잭업 모드로 운용되는 부유식 구조물의 레그가 삽입될 수 있는 중공을 구비하며, 상기 레그가 상기 중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레그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커버; 및 상기 커버에 설치되며, 상기 커버를 상기 레그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부유식 구조물의 레그 프로텍터{LEG PROTECTION APPARATUS OF FLOATING STRUCTURE}
본 발명은 부유식 구조물의 레그 프로텍터에 관한 것이다.
친환경 에너지 개발에 대한 요구가 증대됨에 따라, 풍력 발전기를 활용한 발전이 전세계적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런데, 풍력 발전기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까다로운 환경적인 조건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풍력 발전기가 설치되는 장소는 블레이드의 유의미한 회전을 얻기 위한 일정 수준 이상의 풍속이 보장될 수 있는 곳이어야 하고, 풍력 발전기의 구동 시 발생되는 소음에 따른 공해가 이슈가 되지 않아야 하는 곳이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환경적인 조건을 만족한다고 하더라도, 풍력 발전기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매우 넓은 면적의 공간이 필요하다.
최근에는 위와 같은 제약 조건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해상 풍력 발전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해상 풍력 발전기는 다양한 방법으로 설치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부품을 몇 개의 유닛으로 나누어 육상에서 제작한 후, 제작된 유닛을 해상으로 옮겨 조립하는 방법으로 설치되고 있다.
육상에서 제작된 해상 풍력 발전기의 유닛을 해상으로 옮기고, 해상에서 해상 풍력 발전기를 설치하는 선박을 일반적으로 풍력 발전기 설치 선박(WTIV, Wind Turbine Installation Vessel)이라고 한다.
풍력 발전기 설치 선박은 작업 특성상, 항해 모드(Transit Mode)와 잭업 모드(Jackup Mode)로 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풍력 발전기 설치 선박은 해상 풍력 발전기를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까지 항해 모드로 이동한다. 항해 모드에서 레그는 해수에 의한 저항을 줄이고자 본체의 상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 후, 풍력 발전기 설치 선박은 잭업 모드로 전환하여 레그를 내려 해저에 박은 후, 본체가 해수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될 수 있도록 본체를 레그를 따라 들어올린다. 본체가 일정 위치에 다다르게 되면, 풍력 발전기 설치 선박은 본체의 이동을 중지하고 해상 풍력 발전기를 설치하는 작업을 수행하며, 설치가 완료되면 위의 순서의 역순으로 진행하여 다음 설치 위치까지 이동한다.
이러한 부유식 구조물이 작업 중인 동안에는, 레그는 해수면 위에 떠있는 본체로부터 해저까지 연장된 형태를 가진다. 이때, 레그에는 바람, 조류, 파도 등에 의해 다양한 종류의 피로 하중이 가해지는데, 특히 파도에 의한 하중은 해수면 근처에서 가장 크게 작용한다. 따라서, 레그가 해수면과 만나는 부분은 변형, 파손 등 레그의 손상이 발생될 위험이 매우 크다.
레그가 해수면과 만나는 부분에 손상이 발생되면, 향후 부유식 구조물의 모드 전환 시, 레그의 상하 이동에 설계치 이상의 부하가 걸리게 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레그의 상하 이동 자체가 불가능해지거나, 본체가 기울어지는 큰 사고가 유발될 수도 있다.
(특허문헌 1) 미국공개특허 US2010/0067989 (2010.05.18. 공개)
(특허문헌 2) 미국공개특허 US2008/0247827 (2008.10.09.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레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레그 프로텍터가 레그의 손상이 발생될 위험이 큰 부분으로 자체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부유식 구조물의 레그 프로텍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잭업 모드를 갖는 부유식 구조물의 레그가 삽입될 수 있는 중공을 구비하며, 상기 레그가 상기 중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레그를 따라 이동될 수 있는 커버; 및 상기 커버에 설치되며, 상기 커버를 상기 레그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한다.
커버에는 레그를 따라 커버를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제공될 수 있다.
가이드부는 커버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레그에 제공된 랙기어에 맞물리는 피니언기어가 제공될 수 있다.
구동수단은 피니언기어를 회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랙기어의 치열 사이에 삽입되도록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스톱퍼와, 상기 스톱퍼를 전후진하도록 작동하는 솔레노이드를 가지는 고정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의 외측면에 형성된 벌브(bul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는 물에 잠기는 깊이를 조절하기 위한 밸러스트 탱크와, 밸러스트 탱크에 포함된 물의 양을 조절하는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레그의 손상이 발생될 위험이 큰 해수면 부분으로 레그 프로텍터가 자체적으로 이동하여 위치됨으로써, 레그의 손상 원인을 사전에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레그 프로텍터가 설치된 도 1의 부유식 구조물의 잭업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설치된 레그 프로텍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레그가 도 3 레그 프로텍터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 전동 모터의 작동에 따른 레그 프로텍터의 상태도이고,
도 6는 레그 프로텍터의 커버의 외측면에 형성된 벌브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7은 도 6 벌브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8은 도 6 벌브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부유식 구조물의 잭업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1)은 물에 부유할 수 있는 본체(10), 본체(1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레그(Leg, 20), 레그(20)와 본체(10)를 상하 방향으로 상대 운동시키며 레그(20)를 지지하는 레그 지지부(30)를 포함한다.
부유식 구조물(1)은 풍력 발전기 설치 선박(WTIV, Wind Turbine Installation Vessel) 또는 잭업 플랫폼(Jack-up Platform)일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부유식 구조물(1)이 풍력 발전기 설치 선박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겠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할 잭업 모드를 갖는 부유식 구조물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본체(10)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부유 가능한 직사각형 형태의 평면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일반적인 상선(예: 컨테이너선)에 비해 폭이 넓고 높이가 낮으며 길이가 짧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본체(10)는 레그(20) 및 레그 지지부(30)가 설치될 수 있는 임의의 입체적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체(10)에는 부유식 구조물(1)의 기능에 따른 피적재물(2)이 적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본체(10)에는 해상 풍력 발전기의 부품인, 블레이드와 나셀, 타워 등이 피적재물(2)로서 적재될 수 있으며, 피적재물(2)을 본체(10)에 고정시키는 적재 유닛(12)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피적재물(2)의 종류 및 적재 방식은 일 예에 불과하며, 피적재물(2)은 본 발명의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적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레이드와 나셀은 서로 분리된 상태로 적재될 수 있으며, 부유식 구조물(1)이 잭업 플랫폼인 경우 피적재물(2)은 라이저 파이프일 수 있다.
또한, 본체(10)에는 이동 및 위치 제어를 위한 추진장치(미도시)가 제공될 수 있다.
레그(20)는 부유식 구조물(1)의 사용 목적에 따라 다수 개가 제공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본체(10)의 좌현과 우현에 각각 한 쌍씩, 총 4개의 레그(20)가 제공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겠다.
레그(20)는 본체(1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본체(10)에는 레그(20)가 통과하는 레그웰(Leg Well, 35)이 형성된다. 레그(20)는 본체(10)의 하방으로 이동하여 해저에 고정될 수 있고, 도 2의 잭업 상태에서 본체(10)의 하중을 견딜 수 있을 정도의 강성을 갖도록 형성되며, 원기둥, 사각 트러스 구조, 삼각 트러스 구조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레그(20)가 삼각 트러스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겠다.
레그 지지부(30)는 레그(20)가 통과할 수 있도록 레그웰(35)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레그(20)와 본체(10)가 상하 방향으로 상대 운동할 수 있도록 레그(20)를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레그 지지부(30)는 모터 등의 구동장치를 구비하며, 구동장치의 작동에 의해 레그(20)를 본체(1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본체(10)를 레그(2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레그 지지부(30)에는 피니언 기어 및 모터가 설치되고, 레그(20)에는 랙 기어(26)가 형성되어, 피니언과 랙의 연동에 의해 레그(20)와 본체(10)의 상하 방향의 상대 운동이 이뤄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레그(20)와 본체(10)의 "상하 방향의 상대 운동"은 레그(20)가 본체(1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과, 본체(10)가 레그(2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것이다.
한편, 본체(10)에는 블레이드와 나셀, 타워 등의 피적재물(2)을 운반하여 해상 풍력 발전기를 설치할 수 있는 크레인(40)이 제공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부유식 구조물(1)은 항해 모드(Transit Mode)와 잭업 모드(Jackup Mode)로 운용될 수 있다.
부유식 구조물(1)은 해상 풍력 발전기를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까지 항해 모드로 이동한다. 일반 항해 모드에서, 부유식 구조물(1)은 레그(20)에 의한 저항을 줄이고자 레그(20)를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킨 상태로 이동할 수 있다.
부유식 구조물(1)은 목적 위치까지 이동한 후, 자동 위치 제어(Dynamic Positioning)를 이용해 레그(20)를 내리기 위한 정확한 위치를 잡을 수 있다. 자동 위치 제어는 레그(20)가 하강하여 해저에 닿을 때까지 지속될 수 있다.
이후, 부유식 구조물(1)은 잭업 모드로 전환하여 레그(20)를 해저(B)에 박는다. 이 과정에서, 레그(20)는 중력 및 레그 지지부(30)의 구동장치에 의해 본체(10)의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레그(20)의 하단부가 해저(B)에 닿게 되면, 레그(20)는 더 이상 하방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이 상태에서, 부유식 구조물(1)은 레그 지지부(30)의 구동장치를 작동시켜 본체(10)를 레그(20)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본체(10)의 하중은 레그(20)를 해저(B)로 침투시키는 힘으로 작용하게 되고, 그에 의해, 레그(20)는 해저(B)로 침투하여 고정된다.
본체(10)를 레그(20)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본체(10)는 해수면(S)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가 될 수 있으며, 본체(10)가 해수면(S)으로부터 이격되어 기설정된 작업 위치에 다다른 상태를 잭업 상태라고 할 수 있다.
부유식 구조물(1)은 잭업 상태에서 크레인(40)을 이용하여 해상 풍력 발전기를 설치하며, 설치 작업이 완료되면 위의 순서의 역순으로 진행하여 다시 운항을 개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부유식 구조물(1)의 잭업 상태로의 전환 방법은 일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잭업상태의 본 발명의 부유식 구조물(1)의 레그(20)는 해수면 위에 떠있는 본체(10)로부터 해저까지 연장된 형태를 가진다. 이때, 레그(20)에는 바람, 조류, 파도 등에 의해 다양한 종류의 피로 하중이 가해지는데, 특히 파도에 의한 하중은 해수면 근처에서 가장 크게 작용한다.
레그 프로텍터(100)는 레그(20)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부유식 구조물(1)이 잭업 상태일 때, 레그(20)가 해수면과 만나는 부분을 보호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설치된 레그 프로텍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레그가 레그 프로텍터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레그 프로텍터가 해수면과 만나는 위치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부유식 구조물(1)의 레그 프로텍터(100)는 레그(2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중공이 형성된 커버(102)와, 커버(102)의 각 내측면에 설치되며 커버(102)가 레그(20)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102)의 형상은 레그(20)의 형상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레그(20)가 삼각 트러스 구조로 제공되므로, 커버(102)도 삼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커버(102)는 레그(20)를 둘러싸며 보호할 수 있는 임의의 입체적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그(20)가 삼각 트러스 구조로 형성될 경우, 기둥의 역할을 하는 3개의 코드(22)가 삼각형의 꼭지점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코드(22)들은 브레이스(brace)(24)에 의해 격자상으로 지지되어 있다. 또한 레그(20)는 코드(22)에서 돌출되어 코드(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랙기어(26)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는 피니언기어(112)일 수 있으며, 레그(20)의 임의의 다수 위치에 접촉되어 커버(102)가 지지될 수 있도록 커버(102)의 내측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부로서 3개의 코드(22)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커버(102)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피니언기어(112)가 제공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피니언기어(112)는 구동수단에 의해 정역 회전될 수 있으며, 일 예로 구동수단으로 전동 모터(160)가 사용될 수 있다. 전동 모터(160)의 구동력이 피니언기어(112)에 전달되는 예로서 전동 모터(160)와 피니언기어(112)의 사이에 베벨기어가 제공되는 것을 도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삼각 기둥 형상의 레그 프로텍터(100)의 커버(102)에 삼각 트러스 구조의 레그(20)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되면, 피니언기어(112)는 코드(22)의 랙기어(26)와 맞물리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동 모터(160)를 작동함에 따라 레그 프로텍터(100)는 레그(2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피니언기어(112)가 코드(22)의 랙기어(26)와 맞물린 상태에서 전동 모터(160)를 작동함으로써 레그 프로텍터(100)는 자체적으로 레그(20)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동 모터(160)를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하면, 그 구동력은 베벨기어를 거쳐 피니언기어(112)를 회전하게 되고, 피니언기어(112)의 회전에 의해 레그 프로텍터(100)는 레그(20)를 따라 하부로 이동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전동 모터(160)를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하면, 레그(20)를 따라 상승하게 된다.
전동 모터(160)의 작동을 정지하면, 레그 프로텍터(100)은 코드(22)의 랙기어(26)와 피니언기어(112)가 서로 맞물려 있기 때문에 레그(20)를 따라 이동하던 레그 프로텍터(100)도 그 이동을 정지한다. 이와 같이 이동이 정지된 레그 프로텍터(10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레그 프로텍터(100)에는 고정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장치는 랙기어(26)의 치열사이에 삽입되도록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스톱퍼(120)와, 스톱퍼(120)를 전후진하도록 작동하는 솔레노이드(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톱퍼(120)가 돌출되어 랙기어(26)의 치열사이에 삽입되면, 레그 프로텍선(10)은 레그(20)를 따라 이동하다가 정지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커버(102)에는 커버(102)가 물에 잠기는 깊이를 조절하기 위한 밸러스트 탱크(114)와, 밸러스트 탱크(114)에 포함된 물의 양을 조절하는 펌프(미도시)가 제공될 수 있다. 밸러스트 탱크(114)는 커버(102)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커버(102)의 하단부에 마련된다. 펌프(미도시)는 커버(102)의 일측에 마련되어 밸러스트 탱크(114)에 저장된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고, 이를 위한 소정의 배관(미도시)이 커버(102)에 설치될 수 있다. 밸러스트 탱크(114)로 커버(102)에 작용하는 부력을 조절함으로써 커버(102)가 물에 잠기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조류, 파도의 성질에 따라 적절히 레그 프로텍터(1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2,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그 프로텍터는 항해 모드에서 부유식 구조물(1)의 본체(10)내에 수용되어 있다가, 잭업 모드에서 본체(10)로부터 빠져나와 레그(20)를 보호하는 위치로 이동된다.
구체적으로 항해 모드에서 레그 프로텍터(100)는 본체(10)의 상방으로 이동된 레그(20)가 끼워진 상태로 도 5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도어(180)가 폐쇄되어 본체(10)내에 수용된 상태로 이동된다.
이어서, 잭업 모드에서 본체(10)가 해수면(S)으로부터 이격되어 기설정된 작업 위치에 다다르면, 도 3의 레그 프로텍터(100)를 해수면과 만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즉 잭업 모드에서 레그(20)가 하방으로 이동되어 해저(B)에 박히면, 슬라이딩도어(180)를 개방한 후, 전동 모터(160)에 의해 레그 프로텍터(100)를 자체 구동하여 도 5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레그 프로텍터(100)를 레그(20)를 따라 이동시키고, 레그 프로텍터(100)가 일정 깊이 물에 잠길 수 있도록 밸러스트 탱크(114)의 저수량을 조절한다.
한편 해수면과 만나는 레그(20)의 부분이 변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본 발명 실시예는 스톱퍼(120)를 후퇴시킴과 동시에 전동 모터(160)를 정역회전시키는 작동으로 해수면과 만나는 레그(10) 부분의 변화에 따라 레그 프로텍터(100)를 승하강시킬 수도 있다.
이에 의해, 파도에 의한 하중이 강하게 작용하는 해수면 부분의 레그(20)는 보호될 수 있다.
부유식 구조물(10)이 목적하는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레그 프로텍터(100)는 상방으로 이동되어 부유식 구조물(1)의 본체(10)내에 수용될 수 있다.
한편, 해수면 부분의 레그(20)에는 파도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소용돌이 유발 진동(Vortex Induced Vibration)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소용돌이 유발 진동의 발생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의 부유식 구조물의 레그 프로텍터는 레그 프로텍터(100)의 커버(102)의 외측면에 벌브(bulb)를 추가하여 포함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레그 프로텍터의 커버 외측면에 형성된 벌브의 여러 예를 나타내고 있다.
벌브는 도 6 및 도 7과 같이, 유선형 형상 벌브(220) 또는 쐐기 형상 벌브(240)로 형성할 수 있고, 한 쌍이 서로 대향하면서도 경사져서 비대칭되게 배치되도록 설계됨에 따라 유동 흐름이 방사상으로 퍼트리며, 커버(102) 주변의 와류 방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각 벌브(220)(240) 사이의 간격은 유동간섭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큰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형 돌기 벌브(260)와 쐐기 형상 벌브(240)가 조합되어 형성될 수 도 있고, 기타 다양한 형상의 벌브로서 조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부유식 구조물의 레그 프로텍터는 항해 모드에서는 레그 프로텍터(100)를 부유식 구조물(1)의 본체(10)에 수용한 상태로 이동하고, 잭업 모드에서는 해수면과 만나는 부분의 레그(20)에 레그 프로텍터(100)를 위치시킴으로써 레그(20)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또한 레그 프로텍터(100)의 본체 외측면에 형성한 벌브에 의해 소용돌이 유발 진동(VIV)도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 : 부유식 구조물 2 : 피적재물
10 : 본체 20 : 레그
22 : 코드 26 : 랙기어
30 : 레그 지지부 35 : 레그웰
40 : 크레인 100 : 레그 프로텍터
112 : 피니언기어 120 : 스톱퍼
140 : 솔레노이드 160 : 전동 모터
220 : 유선형 형상 벌브 240 : 쐐기 형상 벌브
260 : 나선형 돌기형상 벌브

Claims (7)

  1. 잭업 모드로 운용되는 부유식 구조물의 레그가 삽입될 수 있는 중공을 구비하며, 상기 레그가 상기 중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레그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커버; 및
    상기 커버에 설치되며, 상기 커버를 상기 레그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의 레그 프로텍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는 상기 레그를 따라 상기 커버를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제공되는 부유식 구조물의 레그 프로텍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커버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레그에 제공된 랙기어에 맞물리는 피니언기어가 제공되는 부유식 구조물의 레그 프로텍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피니언기어를 회동시키는 모터인 부유식 구조물의 레그 프로텍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랙기어의 치열 사이에 삽입되도록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스톱퍼와,
    상기 스톱퍼를 작동시키는 솔레노이드를 가지는 고정장치를 더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의 레그 프로텍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외측면에 형성된 벌브(bulb)를 더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의 레그 프로텍터.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물에 잠기는 깊이를 조절하기 위한 밸러스트 탱크와, 상기 밸러스트 탱크에 포함된 물의 양을 조절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의 레그 프로텍터.
KR1020120073437A 2012-07-05 2012-07-05 부유식 구조물의 레그 프로텍터 KR101411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3437A KR101411517B1 (ko) 2012-07-05 2012-07-05 부유식 구조물의 레그 프로텍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3437A KR101411517B1 (ko) 2012-07-05 2012-07-05 부유식 구조물의 레그 프로텍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8554A true KR20140008554A (ko) 2014-01-22
KR101411517B1 KR101411517B1 (ko) 2014-06-27

Family

ID=50142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3437A KR101411517B1 (ko) 2012-07-05 2012-07-05 부유식 구조물의 레그 프로텍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15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753A (ko) * 2019-06-28 2021-01-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체보호 프로텍터 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2422B1 (ko) * 2014-10-23 2016-08-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
KR101864166B1 (ko) * 2015-10-29 2018-06-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의 레그 지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250491A (en) * 1984-10-22 1989-02-28 Jacek S. Pawlowski Semi-submersible drilling unit with cylindrical ring floats
KR19980052200U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승객추락 방지기능의 시트구조
US6953308B1 (en) * 2004-05-12 2005-10-11 Deepwater Technologies, Inc. Offshore platform stabilizing strakes
KR101584560B1 (ko) * 2010-06-07 2016-01-2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풍력발전설비 설치용 부유식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753A (ko) * 2019-06-28 2021-01-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체보호 프로텍터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1517B1 (ko) 2014-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6498B1 (ko)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 및 그 장치의 부품 반송 방법
KR101390933B1 (ko) 풍력 발전기 설치 선박
KR101399933B1 (ko) 부유식 구조물
JP5690116B2 (ja) 水流発電設備
KR101422236B1 (ko) 부유식 구조물의 레그 프로텍터
KR101411517B1 (ko) 부유식 구조물의 레그 프로텍터
KR101378990B1 (ko) 부유식 구조물
KR101422232B1 (ko) 부유식 구조물의 스퍼드캔
KR101346225B1 (ko) 부유식 구조물
KR101359653B1 (ko) 부유식 구조물의 지지레그 장치
KR101346230B1 (ko) 부유식 구조물의 스퍼드캔
KR101947670B1 (ko) 부유식 구조물
KR101422235B1 (ko) 부유식 구조물의 레그 프로텍터 격납 장치
KR101422229B1 (ko) 부유식 구조물
KR20160029473A (ko) 부유식 구조물
KR101368887B1 (ko) 부유식 구조물 및 그 제어 방법
KR101359651B1 (ko) 부유식 구조물의 지지레그 장치
KR101346227B1 (ko) 부유식 구조물
KR20140008579A (ko) 부유식 구조물의 레그 프로텍터
KR102474063B1 (ko) 풍력 발전기 설치 선박
KR101358236B1 (ko) 부유식 구조물 및 부유식 구조물의 레그
KR20140021770A (ko) 부유식 구조물
KR101625496B1 (ko) 부유식 구조물
KR101845426B1 (ko) 부유식 구조물
KR101422233B1 (ko) 부유식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