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6033B1 - 음향 발생기용 하우징 구조 - Google Patents

음향 발생기용 하우징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6033B1
KR101616033B1 KR1020130002417A KR20130002417A KR101616033B1 KR 101616033 B1 KR101616033 B1 KR 101616033B1 KR 1020130002417 A KR1020130002417 A KR 1020130002417A KR 20130002417 A KR20130002417 A KR 20130002417A KR 101616033 B1 KR101616033 B1 KR 101616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frame
blocking wall
frame portio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2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6160A (ko
Inventor
스스무 미야타
마코토 츠루타
Original Assignee
안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안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86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6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6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6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3Screens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004Mounting transducers, e.g. provided with mechanical moving or orienting devic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9/00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 G10K9/18Details, e.g. bulbs, pumps, pistons, switches or casings
    • G10K9/22Mountings; 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3Acoustic transducers and sound field adaptation in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음향 발생기(5)용 하우징 구조(1)는 격벽(6)을 갖는 베이스부(2); 상기 베이스부와 제 1 공간(16)을 형성하는 케이스부(4); 상기 베이스부와 제 2 공간(17)을 형성하는 덮개부(3); 상기 격벽으로부터 상기 제 2 공간으로 돌출하는 프레임부(7); 차단 벽과 상기 프레임부 사이의 홈(9)을 형성하도록 상기 프레임부의 외측 상에 배치되는 차단 벽(8); 및 상기 차단 벽의 내측 상에 배열되는 차단 판(10)을 포함한다. 상기 차단 판은 상기 프레임부 및 상기 차단 벽으로부터 이격된다.

Description

음향 발생기용 하우징 구조{HOUSING STRUCTURE FOR SOUND GENERATOR}
본 발명은 음향 발생기용 하우징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음향 발생기용 하우징은 차량의 외측에 배열되고, 그래서, 하우징은 우수, 세정액, 해설(snow-melted) 수, 약품 또는 기름 등과 같은 이물질(유체)에 노출될 수 있다. 이물질은 하우징의 개구로부터 하우징으로 들어갈 수 있고, 음향 발생기에 도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음향 발생기의 음향 생성부가 이물질을 받으면, 음향 생성부로부터 방출된 음향(음색) 품질은 낮아질 수 있거나 음향 생성부가 손상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은,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 제 2006-101287호에 의해 설명된다.
일본 공개특허 제2006-101287호에서, 하우징은 복수의 홀들을 갖는 음향 방출부를 포함하고, 음향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음향은 홀을 통과한다. 홀의 각각의 내측 개구부의 직경은 홀을 통과하는 물을 수집 및 저장하는 수(water) 저장부를 형성하기 위해 확장된다.
그러나, 수 저장부는 음향 방출부의 전면에 수직으로 도달하는 물의 분출을 수용할 수 있지만, 물의 분출이 음향 방출부에 대하여 비스듬한 방향으로 도달되는 경우, 수 저장부는 종종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다. 물의 분출이 음향 발생부와 부딪히는 경우, 음향 발생부는 물의 분출에 의해 손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손상이 방지되는 음향 발생기용 하우징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예에 따르면, 음향 발생기용 하우징 구조는 베이스부, 케이스부, 덮개부, 프레임부, 차단 벽, 및 차단 판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부는 격벽을 갖는다.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제 1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덮개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제 2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격벽으로부터 상기 제 2 공간으로 돌출한다. 차단 벽은 상기 프레임부의 외주면의 외측 상에 배치된다. 홈은 상기 차단 벽과 상기 프레임부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차단 판은 상기 차단 판이 상기 프레임부 및 상기 차단 벽으로부터 이격되는 방식으로 상기 차단 벽의 내측 상에 배열된다.
따라서, 하우징 구조에 배치된 음향 발생기는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아래에 상세하게 이루어진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도 1a는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구조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1b는 하우징 구조를 도시하는 저면도이며;
도 2는 도 1a의 선 Ⅱ-Ⅱ을 따라 취한 개략적 단면도이며;
도 3은 덮개부가 없는 하우징 구조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및
도 4는 덮개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실시예는 도 1a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하우징(1)은 베이스부(2), 케이스부(4) 및 덮개부(3)를 포함하고, 음향 발생 유닛(5)은 하우징(1)에 배열된다. 베이스부(2)는 수지로 이루어지고, 격벽(6)을 갖는다. 격벽(6)은 축 방향으로 베이스부(2)에서 중간 부분에 위치된다. 케이스부(4)는 수지로 이루어지고, 축 방향으로 베이스부(2)의 제 1 개구단을 기밀하게 밀폐시킨다. 덮개부(3)는 수지로 이루어지고, 우수 방울과 같은 이물질이 하우징(1)으로 유입함을 방지하기 위해 축 방향으로 베이스부(2)의 제 2 개구단을 밀폐시킨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공간(16)은 격벽(6) 및 케이스부(4)에 의해 형성되고, 제 2 공간(17)은 격벽(6) 및 덮개부(3)에 의해 형성된다. 링-형상 프레임부(7)는 격벽(6)에 배열되고, 격벽(6)으로부터 제 2 공간(17)으로 돌출한다. 프레임부(7)의 중앙은 격벽(6)의 중앙으로부터 벗어난다(도 2에서 상부). 격벽(6)은 프레임부(7)의 형상에 대응하는 개구를 갖는다. 다시 말하면, 프레임부(7)의 내측은 동공(hollow)이다.
프레임부(7)는 제 1 공간(16)에 대향하는 면 상에 환형 홈을 갖는다. 음향 발생 유닛(5)은 음향 발생 유닛(5)의 외주의 볼록 부분이 프레임부(7)의 환형 홈에 맞춰지는 방식으로 프레임부(7)에 장착된다. 즉, 프레임부(7)는 음향 발생 유닛(5)의 진동판(diaphragm)과 같은 음향 발생부로부터 돌출된다.
프레임부(7)는 음향 발생 유닛(5)의 외주 형상과 일치하는 형상을 갖고, 음향 발생 유닛(5)은 음향 발생 유닛(5)의 음향 방출부가 프레임부(7)의 내측에 위치되는 방식으로 프레임부(7)에 부착된다.
차단 벽(8)은 프레임부(7)의 외주면의 외측 상에 방사 방향으로 배열된다. 차단 벽(8)은 프레임부(7)와 동일한 축을 갖는 원통 형상을 갖고, 제 2 공간(17)에 대향하는 격벽(6)의 면으로부터 돌출된다. 홈(9)은 프레임부(7)의 외주면과 격벽(6)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 벽(8)의 하부 절반 원주는 복수의 슬릿들(15)을 갖는다. 슬릿(15)은 차단 벽(8)을 격벽(6)에 도달하도록 절단함으로써 형성된다.
덮개부(3)의 외면은 도 1a에 도시되고, 덮개부(3)의 단면 형상은 도 2에 도시되며, 덮개부(3)의 내면은 도 4에 도시된다. 도 1a,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3)는 최외각면으로부터 리세스되는 리세스 면(recssed surface)을 갖고, 덮개부(3)의 리세스 면은 동일한 중심 및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된 선들을 갖는 원형으로 형성된 리브를 갖는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3)는 덮개의 외주 모서리 상에 배열되는 부착부(13)를 갖는다. 부착부(13)는 베이스부(2)의 부착부(14)로부터 분리되고 그에 부착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2)는 덮개부(3)의 부착부(13)에 대응하는 위치들에 부착부(14)를 갖는다. 부착부(14)는, 부착부(13)와 유사하게, 베이스부(2)의 외주 모서리 상에 배열된다. 따라서, 덮개부(3)는 베이스부(2)로부터 분리되고 그에 부착될 수 있다. 도 4는 베이스부(2)로부터 제거되는 덮개부(3)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 판(10)은 덮개부(3)의 내면에 배치된다. 차단 판(10)은 프레임부(7)와 대략 동일한 직경을 갖고, 차단 판(10)이 차단 벽(8)과 동일한 축을 갖도록 하는 위치에 배열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3)가 베이스부(2)에 부착되는 경우, 차단 판(10)은 차단 벽(8)의 내부 공간에 위치된다. 게다가, 축 방향에서의 차단 벽(8)의 첨단(tip end)은 차단 판(10)의 배면과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된다. 더욱이, 차단 판(10)은 제 1 간격(18)이 차단 판(10)의 외주 단부와 차단 벽(8)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방식으로 덮개부(3)의 배면 상에 배열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 판(10)은 축 방향으로 차단 판(10)의 면(10a)으로부터 돌출된 저지부(11)를 갖는다. 차단 판(10)의 면(10a)은 프레임부(7)에 대향하고, 저지부(11)는 차단 판(10)의 면(10a)의 외주 모서리를 따라 연장한다. 저지부(11)는 원호 형상을 형성하도록 차단 판(10)의 상부 절반 원주 모서리를 따라 위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 방향으로 저지부(11)의 첨단과 프레임부(7)는 제 2 간격(19)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고, 상기 원호 형상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공(air hole)(20)은 리세스된 표면을 최외곽면에 연결하는 덮개부(3)의 연결부에서 관통된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구(12)는 덮개부(3)의 외주면을 절단함으로써 덮개부(3)에 대향하는 베이스부(2)의 외주면의 모서리에 형성된다.
게다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은 덮개부(3)의 부착부(13)와 베이스부(2)의 부착부(14) 사이에 생성된다. 음향 발생 유닛(5)에 의해 생성된 음향은 통기공(20), 배수구(12) 및 덮개부(3)와 베이스부(2) 사이의 간격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그러나, 우수, 세정액, 해설 수, 약품 또는 기름 등과 같은 이물질(유체)은 통기공(20), 배수구(12) 및 덮개부(3)와 베이스부(2) 사이의 간격을 통하여 하우징(1)으로 들어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물질은 차단 벽(8) 및 차단 판(10)에 의해 차단되고, 그래서, 이물질은 음향 발생 유닛(5)에 직접 도달하는 것이 방지된다.
게다가, 이물질이 차단 벽(8)의 내면을 따라 유동함으로써 음향 발생 유닛(5)에 도달할 수 있는 경우, 이물질은 프레임부(7)의 외면 및 홈(9)에 의해 차단된다. 하우징(1)이 도 1a에 도시된 상태로 차량에 장착되는 경우(즉, 도 2에서 오르내리는(up-and-down) 방향이 수직 방향에서 오르내리는 방향에 대응하는 경우), 이물질은 프레임부(7)의 외면 및 홈(9)의 하부를 따라 유동하고, 중력에 기인하여 슬릿(15)을 통하여 차단 벽(8)의 외부로 유동한다. 따라서, 이물질은 제 2 공간(17)에 대향하는 격벽(6)의 면을 따라 유동한 다음, 배수구(12)로부터 배출된다.
차단 판(10)과 프레임부(7) 사이의 간격이 음향 발생 유닛(5)에 의해 발생된 음향을 효과적으로 방출하도록 가능한 크게 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반대로, 저지부(11)는 이물질을 차단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간격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즉, 이물질이 부착부(13)와 부착부(14) 사이의 간격에 들어갈 가능성이 가장 많기 때문에, 저지부(11)는 차단 판(10)의 상부 절반 원주 모서리를 따라 위치되고, 제 2 간격(19)은 저지부(11)와 프레임부(7) 사이에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덮개부(3) 및 베이스부(2)가 제 1 부착부(13) 및 제 2 부착부(14)를 통하여 서로 결합되는 경우, 저지부(11)는 제 1 부착부(13)와 제 2 부착부(14) 사이의 간격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 발생 유닛(5)용 하우징(1)은 격벽(6)에 설치된 프레임부(7)를 포함한다. 프레임부(7)는, 음향 발생 유닛(5)이 프레임부(7)에 부착되는 경우, 음향 발생 유닛(5)으로부터 제 2 공간(17)으로 돌출된다. 더욱이, 차단 벽(8)이 프레임부(7)의 외측 상에 형성되고, 홈(9)은 프레임부(7)와 차단 벽(8) 사이에 형성된다. 게다가, 차단 판(10)은 차단 벽(8)의 내측 상에 배열되고 프레임부(7) 및 차단 벽(8)으로부터 이격된다.
따라서, 이물질이 음향 발생 유닛(5)과 직접적으로 부딪히는 것이 방지되는 장점에 더하여, 차단 벽(8)을 따라 유동하는 이물질이 음향 발생 유닛(5)에 도달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이물질이 음향 발생 유닛(5)에 부착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음향 발생 유닛(5)에 의해 발생된 음향의 품질은 더 양호하게 유지될 수 있고, 음향 발생 유닛(5)은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형, 수정, 및 개량이 당업자의 지식을 기반하여 부가되는 방식들로 수행될 수 있다.
위의 실시예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9)의 하부 부분은 이물질이 쉽게 유동하게 하도록 제 2 공간(17)에 대향하는 격벽(6)의 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된다. 대안적으로, 홈(9)의 하부 부분은 제 2 공간(17)에 대향하는 격벽(6)의 면과 상이한 평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축 방향으로 프레임부(7)의 돌출 양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 즉, 홈(9)의 하부 부분으로부터의 프레임부(7)의 높이가 비교적 작은 경우, 홈(9)의 하부 부분은 제 2 공간(17)에 대향하는 격벽(6)의 면보다는 제 1 공간(16) 측 상에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변경들 및 수정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도록 이해될 수 있다.

Claims (5)

  1. 음향 발생기(5)용 하우징 구조(1)로서,
    격벽(6)을 갖는 베이스부(2);
    상기 베이스부와 제 1 공간(16)을 형성하는 케이스부(4);
    상기 베이스부와 제 2 공간(17)을 형성하는 덮개부(3);
    상기 격벽에 배열되는 프레임부(7) -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제 2 공간으로 돌출함 -;
    상기 프레임부의 외주면의 외측 상에 배치되는 차단 벽(8) - 홈(9)은 상기 차단 벽과 상기 프레임부 사이에 형성됨 - ; 및
    상기 차단 벽의 내측 상에 배열되는 차단 판(10) - 상기 차단 판은 상기 프레임부 및 상기 차단 벽으로부터 이격됨 -을 포함하는, 음향 발생기용 하우징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판은 상기 프레임부(7)에 대향하는 면(10a)을 갖고,
    상기 차단 판은 상기 차단 판의 외주 모서리를 따라 연장하는 저지부(blocking portion)(11)를 갖는, 음향 발생기용 하우징 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벽은 슬릿(15)을 갖는, 음향 발생기용 하우징 구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음향 발생기의 외주 형상과 일치하는 형상을 갖고,
    상기 음향 발생기는 상기 음향 발생기의 음향 방출부가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방식으로 상기 프레임에 부착되는, 음향 발생기용 하우징 구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제 1 부착부(13)를 갖고, 상기 베이스부는 제 2 부착부(14)를 가지며, 간격이 상기 제 1 부착부와 상기 제 2 부착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 및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제 1 부착부와 상기 제 2 부착부를 통하여 서로 결합되며,
    상기 저지부는 상기 제 1 부착부와 상기 제 2 부착부 사이의 간격 부근에 배치되는, 음향 발생기용 하우징 구조.
KR1020130002417A 2012-01-23 2013-01-09 음향 발생기용 하우징 구조 KR1016160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11273 2012-01-23
JP2012011273A JP5620415B2 (ja) 2012-01-23 2012-01-23 発音体用筺体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6160A KR20130086160A (ko) 2013-07-31
KR101616033B1 true KR101616033B1 (ko) 2016-04-27

Family

ID=48796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2417A KR101616033B1 (ko) 2012-01-23 2013-01-09 음향 발생기용 하우징 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761426B2 (ko)
JP (1) JP5620415B2 (ko)
KR (1) KR1016160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12965B2 (ja) * 2011-06-22 2015-05-07 アンデン株式会社 車両用発音器
JP5759909B2 (ja) 2012-01-23 2015-08-05 アンデン株式会社 筺体構造
JP5620415B2 (ja) 2012-01-23 2014-11-05 アンデン株式会社 発音体用筺体構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9686A (ja) 1999-01-12 2000-07-28 Denso Corp 警報装置
JP2006101287A (ja) 2004-09-30 2006-04-13 Icom Inc 筐体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54068Y2 (ko) * 1974-04-30 1980-12-15
JP2819144B2 (ja) * 1989-03-15 1998-10-30 能美防災株式会社 防滴型ブザーボックス
JPH07117570A (ja) * 1993-10-22 1995-05-09 Suzuki Motor Corp 自動車のドアスピーカー取付部の排水構造
JP3327014B2 (ja) * 1994-11-28 2002-09-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スピーカ
JP3634143B2 (ja) * 1998-03-31 2005-03-30 三菱電機株式会社 スピーカ装置及びその防水カバー
JP3550683B2 (ja) 2001-04-27 2004-08-04 日本精機株式会社 ケースの通気構造
JP4082185B2 (ja) * 2002-11-18 2008-04-30 アンデン株式会社 ブザー
JP2004229340A (ja) 2003-01-20 2004-08-12 Omron Corp 防水型筐体
US7840021B2 (en) * 2005-02-08 2010-11-23 UTC Fire & Security Corporati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weather proof notification device
JP5088779B2 (ja) * 2007-08-07 2012-12-05 日本ゴア株式会社 電気音響変換装置、電子機器、及び防水カバー、並びに、電気音響変換装置の通気試験方法
US7886868B2 (en) * 2008-03-25 2011-02-15 Simplexgrinnell Lp Self-draining grill and system incorporating the same
JP5499911B2 (ja) * 2010-06-01 2014-05-21 アンデン株式会社 車両用警報器
JP2012236520A (ja) 2011-05-12 2012-12-06 Anden 筐体構造
JP5712965B2 (ja) 2011-06-22 2015-05-07 アンデン株式会社 車両用発音器
JP5620415B2 (ja) 2012-01-23 2014-11-05 アンデン株式会社 発音体用筺体構造
JP5650142B2 (ja) 2012-01-23 2015-01-07 アンデン株式会社 電気部品用筺体構造
JP5759909B2 (ja) 2012-01-23 2015-08-05 アンデン株式会社 筺体構造
JP5835143B2 (ja) 2012-07-24 2015-12-24 アンデン株式会社 樹脂ケース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9686A (ja) 1999-01-12 2000-07-28 Denso Corp 警報装置
JP2006101287A (ja) 2004-09-30 2006-04-13 Icom Inc 筐体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761426B2 (en) 2014-06-24
JP5620415B2 (ja) 2014-11-05
US20130187523A1 (en) 2013-07-25
JP2013150263A (ja) 2013-08-01
KR20130086160A (ko) 2013-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6033B1 (ko) 음향 발생기용 하우징 구조
JP6337669B2 (ja) 車両用発音器
JP2016114249A (ja) ギアモータ組立体のギアボックス
JP2017080716A (ja) フィルタ装置
RU2010118616A (ru) Укупорочный колпачок из полимерного материала
JP2015206291A (ja) オイルストレーナ
JP6446199B2 (ja) フロート弁装置
JP5536813B2 (ja) ブリーザ装置
JP2017155834A (ja) ブリーザ装置
JP2015189276A (ja) リザーバタンク
JP5724751B2 (ja) 燃料タンクの気液分離装置
JP2010075423A (ja) 循環配管の浴槽への接続構造
CN210169878U (zh) 一种防水汽的食品加工机
JP2016176561A (ja) 自動変速機及び自動変速機を搭載した車両
JP2006075292A (ja) 電気ポット
US8127806B2 (en) Ventilation device, particularly for fluid-storing reservoirs such as tanks
JP5769598B2 (ja) 変速機のオイルストレーナ
JP6501515B2 (ja) 燃料タンク
JP2015040547A (ja) エアクリーナ
JP2012077733A (ja) 車両用リザーバタンクの冷却水排出装置
JP2016222292A (ja) 泡吐出容器
JP5897868B2 (ja) ウォーターポンプ
KR101205380B1 (ko) 배수 시스템
JP5342214B2 (ja) ポンプ装置
JP5906443B2 (ja) 水洗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